KR20100005574A - 휴대 단말기 - Google Patents

휴대 단말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00005574A
KR20100005574A KR1020080065663A KR20080065663A KR20100005574A KR 20100005574 A KR20100005574 A KR 20100005574A KR 1020080065663 A KR1020080065663 A KR 1020080065663A KR 20080065663 A KR20080065663 A KR 20080065663A KR 20100005574 A KR20100005574 A KR 20100005574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unit
operation unit
slide
display unit
portable terminal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80065663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1474447B1 (ko
Inventor
장창용
주원석
조중현
Original Assignee
엘지전자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엘지전자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엘지전자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080065663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474447B1/ko
Priority to US12/393,850 priority patent/US8116834B2/en
Priority to CN2009101281321A priority patent/CN101626413B/zh
Priority to EP09003205.3A priority patent/EP2144424B1/en
Publication of KR20100005574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00005574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474447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474447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MTELEPHONIC COMMUNICATION
    • H04M1/00Substation equipment, e.g. for use by subscribers
    • H04M1/02Constructional features of telephone sets
    • H04M1/0202Portable telephone sets, e.g. cordless phones, mobile phones or bar type handsets
    • H04M1/0206Portable telephones comprising a plurality of mechanically joined movable body parts, e.g. hinged housings
    • H04M1/0208Portable telephones comprising a plurality of mechanically joined movable body parts, e.g. hinged housings characterized by the relative motions of the body parts
    • H04M1/0235Slidable or telescopic telephones, i.e. with a relative translation movement of the body parts; Telephones using a combination of translation and other relative motions of the body parts
    • H04M1/0237Sliding mechanism with one degree of freedom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BTRANSMISSION
    • H04B1/00Details of transmission systems, not covered by a single one of groups H04B3/00 - H04B13/00; Details of transmission systems not characterised by the medium used for transmission
    • H04B1/38Transceivers, i.e. devices in which transmitter and receiver form a structural unit and in which at least one part is used for functions of transmitting and receiving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MTELEPHONIC COMMUNICATION
    • H04M1/00Substation equipment, e.g. for use by subscribers
    • H04M1/02Constructional features of telephone sets
    • H04M1/0202Portable telephone sets, e.g. cordless phones, mobile phones or bar type handsets
    • H04M1/0206Portable telephones comprising a plurality of mechanically joined movable body parts, e.g. hinged housings
    • H04M1/0208Portable telephones comprising a plurality of mechanically joined movable body parts, e.g. hinged housings characterized by the relative motions of the body parts
    • H04M1/0214Foldable telephones, i.e. with body parts pivoting to an open position around an axis parallel to the plane they define in closed position
    • H04M1/0216Foldable in one direction, i.e. using a one degree of freedom hinge

Abstract

본 발명은 디스플레이부가 배치되는 주면과 상기 주면에서 연장하는 복수의 측면을 구비하는 제1 바디와, 상기 제1 바디의 측면들 중 적어도 하나의 일부를 감싸도록 결합 되며 주면에는 상기 제1 바디에 수용 가능하도록 조작부가 구비되는 제2 바디와, 상기 제1 및 제2 바디들을 슬라이딩 가능하게 연결하며, 상기 조작부가 외부로 노출되는 열린 상태에서 상기 디스플레이부와 상기 조작부가 이루는 평면들이 서로 교차 되도록 상기 슬라이딩을 안내하는 슬라이드 모듈을 포함하는 휴대 단말기를 제공한다.

Description

휴대 단말기{PORTABLE TERMINAL}
본 발명은 복수의 바디들을 서로에 대해 상대 슬라이딩 가능하게 연결하는 슬라이드 모듈을 구비하는 휴대 단말기에 관한 것이다.
휴대 단말기는 휴대가 가능하면서 음성 및 영상 통화 기능, 정보를 입·출력하는 기능 및 데이터를 저장할 수 있는 기능 등을 하나 이상 갖춘 휴대용 전자기기이다.
휴대 단말기는 기능이 다양화됨에 따라 예를 들어, 사진이나 동영상의 촬영, 음악이나 동영상 파일의 재생, 게임, 방송의 수신 등의 복잡한 기능들을 갖춘 멀티미디어 기기(Multimedia player) 형태로 구현되고 있다.
이러한 멀티 미디어 기기에는 복잡한 기능을 구현하기 위해 하드웨어 또는 소프트웨어의 면에서 새로운 다양한 시도들이 적용되고 있다. 일 예로 사용자가 쉽고 편리하게 기능을 검색하거나 선택하기 위한 유저 인터페이스(User Interface) 환경이 제공되고 있다.
본 발명의 일 목적은 종래와 다른 형태의 유저 인터페이스 구현에 적합한 슬라이드 모듈을 구비하는 휴대 단말기를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다른 일 목적은 상기 휴대 단말기의 구조적 안정성을 향상시키는 것이다.
본 발명의 또 다른 일 목적은 상기 휴대 단말기가 열린 상태에서 디스플레이부와 관련된 사용자의 사용 환경을 향상시키는 것이다.
상기한 과제를 실현하기 위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휴대 단말기는 제1 바디와, 제2 바디 및 슬라이드 모듈을 포함한다. 상기 제1 바디는 디스플레이부가 배치되는 주면과, 상기 주면에서 연장하는 복수의 측면을 구비한다. 상기 제2 바디는 상기 제1 바디의 측면들 중 적어도 하나의 일부를 감싸도록 결합 된다. 상기 제2 바디의 주면에는 상기 제1 바디에 수용 가능하도록 조작부가 구비된다. 상기 슬라이드 모듈은 상기 제1 및 제2 바디들을 슬라이딩 가능하게 연결한다. 상기 슬라이드 모듈에 의하여, 상기 조작부가 외부로 노출되는 열린 상태에서, 상기 디스플레이부와 상기 조작부가 이루는 평면들이 서로 교차 되도록 상기 슬라이딩이 안내된다. 상기 슬라이드 모듈은 상기 제1 바디가 상기 제2 바디의 길이 방향에 수직한 방향을 따라 슬라이딩 되도록 형성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측면에 따르면, 상기 조작부가 외부로 노출되지 않는 닫힌 상 태에서 상기 디스플레이부와 상기 조작부가 이루는 평면들은 서로 평행하도록 배치된다. 상기 제1 및 제2 바디들은 각각 서로 이격 되게 일 부분이 연결되는 한 쌍의 프론트 및 리어 케이스들을 포함한다. 상기 제1 바디의 주면에 대해 수직한 방향을 따라서는 상기 제1 바디의 프론트 케이스, 상기 제2 바디의 프론트 케이스, 상기 제1 바디의 리어 케이스, 그리고 상기 제2 바디의 리어 케이스가 순차적으로 배치된다.
본 발명의 다른 일 측면에 따르면, 상기 디스플레이부는 상기 제1 바디의 프론트 케이스에 배치되고 상기 조작부는 상기 제2 바디의 프론트 케이스에 배치된다. 상기 제1 바디의 리어 케이스 및 상기 제2 바디의 리어 케이스들 중 어느 하나에는 전원 공급부가 배치된다. 상기 조작부는 키패드 또는 터치 스크린을 구비하는 디스플레이부일 수 있다.
본 발명의 또 다른 일 측면에 따르면, 상기 슬라이드 모듈은, 상기 제1 바디에 구비되는 제1 슬라이드 부재와, 상기 제2 바디에 구비되며 상기 제1 슬라이드 부재에 슬라이딩 가능하게 연결되는 제2 슬라이드 부재를 포함한다. 상기 제1 및 제2 슬라이드 부재들 중 어느 하나의 적어도 일 부분의 단면은 곡선을 이룬다. 상기 제2 슬라이드 부재는 상기 제2 바디에 구비되며, 상기 제2 바디의 일 단부로 갈수록 곡률이 작아지도록 형성될 수 있다.
본 발명의 또 다른 일 측면에 따르면, 일단은 상기 제1 바디와 연결되고 타단은 상기 제2 바디와 연결되어, 상기 슬라이드 모듈에 의한 슬라이딩 시 상기 제1 바디가 상기 열린 상태와 닫힌 상태 중 일 상태로 편향되게 하는 편향 유 닛(biasing unit)이 더 구비될 수 있다.
본 발명의 다른 일 실시예에 따르는 휴대 단말기는 제1 바디와, 일 상태에서 조작부가 배치되는 일 부분은 상기 제1 바디의 내부에 수용되고 다른 부분은 상기 제1 바디의 외면의 적어도 일부를 덮는 제2 바디와, 상기 제1 및 제2 바디들을 슬라이딩 가능하게 연결하며 상기 제1 및 제2 바디들이 평행하지 않게 배치되도록 상기 제1 바디가 상기 제2 바디의 너비 방향에 수직한 면에 대하여 곡선형의 궤적을 그리면서 상기 조작부가 노출되는 다른 상태로 슬라이딩 되게 하는 슬라이드 모듈을 포함한다.
상기와 같이 구성되는 본 발명에 관련된 휴대 단말기는, 제2 바디가 제1 바디의 측면을 감싸도록 결합 되고 조작부는 제1 바디에 수용 가능하도록 형성됨에 따라, 휴대 단말기가 닫힌 또는 열린 상태이건 그들 사이에서 상대 슬라이딩 되는 상태이건 구조적으로 보다 안전한 상태가 되게 한다.
상기 슬라이드 모듈에 의해 열린 상태에서 조작부에 대하여 디스플레이부가 교차된 상태로 배치됨에 따라서는, 조작부와 디스플레이부를 함께 활용함에 있어서 사용자의 사용 환경 또는 편의성이 개선된다.
이하, 본 발명과 관련된 휴대 단말기에 대하여 도면을 참조하여 보다 상세하게 설명한다. 본 명세서에서는 서로 다른 실시예라도 동일·유사한 구성에 대해서는 동일·유사한 참조번호를 부여하고, 그 설명은 처음 설명으로 갈음한다.
도 1은 본 발명과 관련된 휴대 단말기의 닫힌 상태를 전면에서 바라본 사시도이다.
본 도면을 참조하면, 상기 휴대 단말기는 제1바디(10)와, 상기 제1바디(10)에 적어도 일 방향을 따라 슬라이딩 가능하게 구성된 제2바디(20)를 포함한다. 본 도면에 예시된 바와 같이 제1바디(10)가 제2바디(20)와 중첩되게 배치된 상태를 닫힌 상태(closed configuration)라 칭할 수 있으며, 제1바디(10)가 제2바디(20)의 덮여졌던 면의 적어도 일 부분을 노출한 상태를 열린 상태(open configuration, 도 2등 참조)라 칭할 수 있다.
상기 휴대 단말기는 닫힌 상태에서 주로 대기 모드로 작동하지만 사용자의 조작에 의해 대기 모드가 해제되기도 한다. 상기 휴대 단말기는 열린 상태에서 주로 통화 모드 등으로 작동하지만 사용자의 조작 또는 소정 시간의 경과에 의해 대기 모드로 전환되기도 한다.
상기 제1바디(10)의 외관을 이루는 케이스(케이싱, 하우징, 커버 등)는 프론트 케이스(11)와 리어 케이스(12)에 의해 형성된다. 상기 프론트 케이스(11)와 리어 케이스(12)에 의해 형성된 공간에는 각종 전자부품들이 내장된다. 프론트 케이스(11)와 리어 케이스(12) 사이에는 적어도 하나의 중간 케이스들이 추가로 배치될 수도 있다. 상기 케이스들은 합성수지를 사출하여 형성되거나 금속 재질, 예를 들어 스테인레스 스틸(STS) 또는 티타늄(Ti) 등과 같은 금속 재질을 갖도록 형성될 수도 있다.
제1 바디(10), 구체적으로 프론트 케이스(11)의 전면(front face) 또는 주 면(main surface)에는 디스플레이부(13), 음향출력부(14), 제1 영상입력부(15), 제1 조작부(16) 및 음향입력부(17)가 배치될 수 있다. 위 주면에서 대략 수직하게 연장하는 측면(side surface)들은 상기 주면 보다 작은 넓이를 가진다.
상기 디스플레이부(13)는 정보를 시각적으로 표현하는 LCD(liquid crystal display) 모듈, OLED(Organic Light Emitting Diodes) 모듈 등을 포함한다. 상기 디스플레이부(13)는 터치 스크린을 더 포함하여 사용자의 터치에 의한 정보의 입력 또한 가능하게 할 수도 있다.
상기 음향출력부(14)는 리시버(Receiver) 또는 스피커(speaker)의 형태로 구현될 수 있다. 상기 음향입력부(14)는, 본 도면과 달리, 디스플레이부(13)의 양 측에 각각 배치되는 한 쌍을 이루도록 형성될 수도 있다. 상기 제1 영상입력부(15)는 사용자 등에 대한 이미지 또는 동영상을 촬영하기 위한 카메라 모듈과 같은 형태로 구현될 수 있다. 상기 제1조작부(16)는 상기 일 실시예에 관련된 휴대 단말기의 동작을 제어하기 위한 명령을 입력받는다. 상기 디스플레이부(13)에 터치 스크린이 채용된다면, 제1조작부(16)는 상기 터치 스크린을 보조하는 입력 수단으로서 존재하거나, 상기 터치 스크린에 의해 대체될 수도 있다. 상기 음향 입력부(17)는 사용자의 음성, 기타 소리 등을 입력받기 위해, 예를 들어 마이크로폰(Microphone)과 같은 형태로 구현될 수 있다.
제1바디(10)와 마찬가지로, 프론트 케이스(21)와 리어 케이스(22)가 제2 바디(20)의 케이스를 형성할 수 있다.
도 2는 도 1의 휴대 단말기의 열린 상태를 보인 사시도이다.
본 도면을 참조하면, 제2 바디(20), 구체적으로 프론트 케이스(21)는 제1 바디(10)가 슬라이딩 방향(S)을 따라 슬라이딩 됨에 따라 외부로 노출된다. 상기 슬라이딩 방향(S)은 제1 바디(10)의 길이 방향(L)에 수직한 것으로 예시하였으나, 슬라이딩 방향(S)은 그에 제한되는 것은 아니다.
프론트 케이스(21)의 전면(front face) 또는 주면(main surface)에는 제2 조작부(23)가 배치된다. 제2 조작부(23)는 쿼티(QWERTY) 배열을 가지는 키패드일 수 있다.
상기 주면에서는 그보다 작은 면적을 가지는 측면(side surface)들이 연장한다. 상기 제2 바디(20)의 측면들 중 적어도 일부는 제1 바디(10)의 측면들 중 일부를 감싸게 되고, 상기 감싸진 부분의 일부는 상기 열린 상태에서 외부로 노출되게 된다.
프론트 케이스(21) 또는 리어 케이스(22) 중 적어도 하나에는 제3 조작부(24), 인터페이스(26) 등이 배치될 수 있다.
상기 제1 내지 제3 조작부(16,23,24)는 조작부(manipulating portion)라 통칭될 수 있으며, 사용자가 촉각적인 느낌을 가면서 조작하게 되는 방식(tactile manner)이라면 어떤 방식이든 채용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상기 조작부는 사용자의 푸시 또는 터치 조작에 의해 명령 또는 정보를 입력받을 수 있는 돔 스위치 또는 터치 스크린, 터치 패드로 구현되거나, 키를 회전시키는 휠 또는 조그 방식이나 조이스틱과 같이 조작하는 방식 등으로도 구현될 수 있다.
제2 조작부(23)가 터치 스크린을 구비한 디스플레이부로 구현된다면, 상기 터치 스크린은 한글이나 영문, 그리고 숫자 등을 입력하기 위한 쿼티(QWERTY) 타입의 소프트 키들을 출력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상기 터치 스크린을 통해 터치(touching) 되거나 작성(writing), 또는 그려지는(drawing) 정보(이미지 등) 또는 상기 정보와 연관된 정보가 제1 디스플레이부(13)에 표시될 수도 있다.
예를 들어, 상기 터치 스크린을 통해 입력되는 문자나 숫자 등은 제1 디스플레이부(13)에 표시된다. 이는 이메일 작성 등의 경우에 유용하다. 또한, 상기 터치 스크린에 스타일러스 등을 통해 임의의 방향이 입력되면, 제1 디스플레이부(13)에 표시되는 개체가 상기 방향으로 이동될 수 있다. 상기 터치 스크린을 터치함에 따라 복수의 메뉴들에 대한 스크롤이 이루어지고, 상기 터치의 빈도에 따라 스크롤 속도가 달라지게 구성될 수도 있다.
기능적인 면에서, 제1 조작부(16)는 시작, 종료, 스크롤 등과 같은 명령을 입력하기 위한 것이고, 제2 조작부(23)는 숫자 또는 문자, 심볼(symbol) 등을 입력하기 위한 것일 수 있다. 제3 조작부(24)는 제1 영상입력부(15)의 활성화 등과 같은 특수한 기능을 수행하는 핫 키(hot-key)로서 작동할 수 있다.
상기 인터페이스(26)는 상기 휴대 단말기가 외부 기기와 데이터 교환 등을 할 수 있게 하는 통로가 된다. 예를 들어, 상기 인터페이스(26)는 유선 또는 무선으로, 이어폰과 연결하기 위한 접속단자, 근거리 통신을 위한 포트{예를 들어 적외선 포트(IrDA port), 블루투스 포트(BLUTOOTH port), 무선 랜 포트(wireless Lan port)등}, 또는 상기 휴대 단말기에 전원을 공급하기 위한 전원공급 단자들 중 적어도 하나일 수 있다. 상기 인터페이스(26)는 SIM(subscriber identification module) 또는 UIM(user identity module), 정보 저장을 위한 메모리 카드 등의 외장형 카드를 수용하는 카드 소켓일 수도 있다.
도 3은 도 2의 휴대 단말기가 틸팅 상태(Tilted configuration)에 이른 경우를 보인 사시도이다.
본 도면을 참조하면, 상기 틸팅 상태는 앞선 열린 상태에서 제1 바디(10)가 제2 바디(20) 대하여 보다 이동하여 이루어진 상태이다. 이 상태에서, 제1 바디(10)는 제2 바디(20)가 이루는 평면에 대하여 교차 되게 배치되는 평면을 이루게 된다.
위 평면이 교차 되게 배치됨에 따라, 제1 바디(10)와 제2 바디(20)는 일정 각도(α)를 이루게 된다. 상기 각도(α)는 예각인 것이 사용 환경을 고려할 때 바람직하다. 이러한 틸팅 상태에서, 사용자는 위 각도(α)가 0도인 경우보다 용이하게 디스플레이부(13)에 출력되는 내용을 살피면서 제2 조작부(23)를 조작할 수 있게 된다.
도 4는 도 3의 휴대 단말기의 배면을 바라본 사시도이다.
도 4를 참조하면, 제1 바디(10)의 리어 케이스(12) 측에는 본체에 전원을 공급하기 위한 전원공급부(27)가 장착된다. 상기 전원공급부(27)는, 예를 들어 충전 가능한 배터리로서 충전 등을 위하여 탈착 가능하게 결합 될 수 있다.
제1바디(10)의 리어 케이스(12)에는 제2 영상입력부(28)가 추가로 장착될 수 있다. 상기 제2 영상입력부(28)는 제1 영상입력부(15, 도 1 참조)와 실질적으로 반대되는 촬영 방향을 가지며, 제1 영상입력부(15)와 서로 다른 화소를 가지는 카메라일 수 있다.
예를 들어, 제1 영상입력부(15)는 화상 통화 등의 경우에 사용자의 얼굴을 촬영하여 상대방에 전송함에 무리가 없도록 저 화소를 가지며, 제2 영상입력부(28)는 일반적인 피사체를 촬영하고 바로 전송하지는 않는 경우가 많기에 고 화소를 가질 수 있다.
제2 영상입력부(28)에 인접하게는 플래쉬(29)와 거울부(30)가 추가로 배치된다. 상기 플래쉬(29)는 제2 영상입력부(28)로 피사체를 촬영하는 경우에 상기 피사체를 향해 빛을 비추게 된다. 거울부(30)는 사용자가 제2 영상입력부(28)를 이용하여 자신을 촬영(셀프 촬영)하고자 하는 경우에, 사용자 자신의 얼굴 등을 비춰볼 수 있게 한다.
리어 케이스(12)에는 제2 음향출력부(31)가 추가로 배치될 수도 있다. 상기 제2 음향출력부(31)는 제1 음향출력부(14, 도1 참조)와 함께 스테레오 기능을 구현할 수 있으며, 스피커폰 모드로 통화를 위하여 사용될 수도 있다.
리어 케이스(12)의 일 측에는 통화 등을 위한 안테나 외에 방송신호 수신용 안테나(32)가 배치될 수 있다. 상기 안테나(32)는 제2 바디(20)에서 인출 가능하게 설치될 수 있다.
이상에서는 제2 영상입력부(28) 등이 제1바디(10)에 배치되는 것으로 설명하였으나, 반드시 그에 제한되는 것은 아니다. 예를 들어, 제2 영상입력부(28) 등과 같이 리어 케이스(12)에 배치되는 것으로 설명한 구성들(28 내지 32) 중 적어도 하나 이상이 제2바디(20), 주로는 리어 케이스(22)에 장착되는 것도 가능하다.
나아가, 제2 영상입력부(28)가 별도로 구비되지 않더라도, 제1 영상입력부(15)가 회전 가능하게 형성되어 제2 영상입력부(28)의 촬영 방향까지 촬영 가능하도록 구성될 수도 있다. 제2 디스플레이부(23)도 정보의 입력이 가능한 키패드 형태로 구현될 수도 있다.
도 5는 도 1의 라인(Ⅴ-Ⅴ)을 따라 취한 단면도이다.
본 도면을 참조하면, 닫힌 상태에서 휴대 단말기의 외관은 제1 바디(10)의 프론트 케이스(11)와 제2 바디(20)의 리어 케이스(22)가 형성하게 된다. 제1 바디(10)의 리어 케이스(12)는 제2 바디(20)의 리어 케이스(22)에 의해 감싸진다. 제2 바디(20)의 프론트 케이스(21)는 제1 바디(10)의 프론트 케이스(11)에 의해 덮혀 진다. 이에 의하여, 제1 바디(10)의 측면들, 구체적으로는 리어 케이스(12)의 측면들이 제2 바디(20)의 측면들, 구체적으로는 리어 케이스(22)의 측면들에 의해 감싸지게 된다. 제2 바디(20)의 프론트 케이스(21)에 배치되는 제2 조작부(23) 역시 프론트 케이스(11)에 의해 외부로 노출되지 않게 된다.
제1 바디(10)의 리어 케이스(12)와 제2 바디(20)의 프론트 케이스(21)에는 제1 바디(10)를 제2 바디(20)에 대해 상대 슬라이딩 가능하게 연결하는 슬라이드 모듈(33)이 형성된다. 상기 슬라이드 모듈(33)은 제2 바디(20)에 대하여 제1 바디(10)가 닫힌 상태에서 열린 상태를 거쳐 틸팅 상태까지 슬라이딩 방향(S, 도 2 참조)를 따라 상대 이동 가능하게 한다.
상기 슬라이드 모듈(33)은 리어 케이스(12)에 인접하게 배치되는 제1 슬라이드 부재(34)와, 프론트 케이스(21)에 장착되는 제2 슬라이드 부재(35)를 포함한다. 제1 슬라이드 부재(34)는 제2 슬라이드 부재(35)에 슬라이딩 가능하게 연결된다. 제1 및 제2 슬라이드 부재들(34 및 35) 사이의 구체적인 작동 관계는 도 8을 참조하여 후술한다.
상기 휴대 단말기는 제1 바디(10)를 닫힌 상태와 열린 상태(또는 틸팅 상태) 중 어느 일 상태로 편향시키는 편향 유닛(biasing unit)을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편향 유닛는 일 단이 제1 바디(10)에 연결되고 타단이 제2 바디(20)에 연결되는 탄성체일 수 있다. 상기 편향 유닛은 자기적 인력 또는 척력을 이용하기 위한 자석(및 자성체)들의 조합일 수도 있다.
도 6은 도 1의 라인(Ⅵ-Ⅵ)을 따라 취한 단면도이다.
본 도면을 참조하면, 닫힌 상태에서 제1 및 제2 바디들(10 및 20)을 이루는 케이스들(11,12,21,22)은 디스플레이부(13)에 대해 수직한 방향을 따라 프론트 케이스(11)- 프론트 케이스(21) - 리어 케이스(12) - 리어 케이스(22)의 순서로서 배열된다.
이러한 배열에 의하면, 제1 및 제2 바디들(10 및 20)은 각각 일 면이 개구된 형태를 가지고, 상기 개구된 일 면을 통해서는 다른 바디(20 또는 10)의 일 부분을 수용하게 된다. 제2 바디(20)의 프론트 케이스(21)에 장착된 제2 조작부(23)는 위 배열에 의해 제1 바디(10)의 내부에 수용되게 된다. 제1 바디(10)의 리어 케이스(12)에 장착되는 전원공급부(27)는 제2 바디(20)의 리어 케이스(22)에 의해 감싸 진다.
도 7은 도 2의 라인(Ⅶ-Ⅶ)을 따라 취한 단면도이다.
본 도면을 참조하면, 열린 상태에서 제2 조작부(23)는 제1 바디(10)에서 벗어나서 외부로 노출된다. 리어 케이스(12)에 장착된 전원공급부(27) 역시 외부로 노출된다.
제1 및 제2 바디들(10 및 20)의 각 케이스들(11,12,21,22)은 각각 서로에 대하여 실질적으로 평행한 상태를 유지한다.
도 8은 도 3의 라인(Ⅷ-Ⅷ)을 따라 취한 단면도이다.
본 도면을 참조하면, 틸팅 상태에서 제1 바디(10)는 제2 바디(20)에 대하여 교차 된 배치 형태를 갖게 된다.
이러한 상태를 위하여, 제2 슬라이드 부재(35)는 일 단부로 갈수록 곡률이 작아지는 형태를 가진다. 제2 슬라이드 부재(35)는 제2 바디(20)의 너비 방향 또는 주면에 수직한 면에 대하여 곡선의 일 부분을 형성하게 된다. 제1 바디(10)에 장착된 제1 슬라이드 부재(34)가 제2 슬라이드 부재(35)에 의해 안내됨에 따라, 위 틸팅 상태가 이루어지게 된다.
상기 틸팅 상태의 유지를 위하여, 상기 제1 및 제2 슬라이드 부재들(34 및 35)에는 상기 제1 바디(10)의 멈춤을 위한 구조가 형성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제1 슬라이드 부재(34)에 형성된 홈에 제2 슬라이드 부재(35)에 형성된 돌기가 걸리거나, 제1 슬라이드 부재(34)에 배치된 자석에 제2 슬라이드 부재(35)에 배치된 자석 또는 자성체가 인력에 의해 부착되는 방식으로 위 멈춤이 구현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관련된 휴대 단말기는 도 1에 도시된 슬라이드 타입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고, 바 타입, 폴더 타입, 스윙 타입 등 다양한 구조에도 적용이 가능하다.
도 9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휴대 단말기는 무선통신 모듈(41), 조작부(16,23,24), 영상 입력부(15,28), 음향입력부(17), 디스플레이부(13), 음향 출력부(14,31), 센싱 유닛(46), 인터페이스(26), 방송 수신 모듈(45), 메모리(44), 전원공급부(27), 제어부(40)를 포함한다.
제어부(40)는 통상적으로 휴대 단말기의 전반적인 동작을 제어한다. 예를 들어 음성 통화, 데이터 통신, 화상 통화 등을 위한 관련된 제어 및 처리를 수행한다. 또한, 제어부(40)는 통상적인 기능 제어 이외에 추가적으로 본 발명과 관련된 휴대 단말기의 동작을 제어한다.
무선통신 모듈(41)은 안테나를 통하여 이동통신 기지국과 무선 신호를 송/수신한다. 예를 들어 제어부(40)의 제어 하에 음성 데이터, 문자 데이터, 영상 데이터 및 제어 데이터의 송수신을 담당하며 이를 위해 송신할 신호를 변조하여 송신하는 송신부(42)와, 수신되는 신호를 복조하는 수신부(42)를 포함한다.
조작부(16,23,24)는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구성되어 사용자가 단말기의 동작 제어를 위하여 입력하는 키 입력 데이터를 제어부(40)에 제공한다. 조작부(16,23,24)는 돔 스위치 (dome switch), 터치 패드(정압/정전), 조그 휠, 조그 스위치 등으로 구성된다.
영상 입력부(15,28)는 화상 통화모드 또는 촬영 모드에서 이미지 센서에 의 해 얻어지는 정지영상 또는 동영상 등의 화상 프레임을 처리한다. 그리고, 처리된 화상 프레임은 디스플레이부(13)에 표시 가능한 영상 데이터로 변환되어 디스플레이부(13)로 출력된다. 영상 입력부(15,28)에서 처리된 화상 프레임은 제어부(40)의 제어에 의해 메모리(44)에 저장되거나 무선 송수신부(41)를 통하여 외부로 전송된다.
음향 입력부(17)는 통화모드 또는 녹음모드, 음성인식 모드 등에서 마이크로폰(Microphone)에 의해 외부의 음향 신호를 입력받아 전기적인 음성 데이터로 처리한다. 그리고, 처리된 음성 데이터는 통화 모드인 경우 무선통신 모듈(41)를 통하여 이동통신 기지국으로 송신 가능한 형태로 변환되어 무선 통신 모듈로 출력된다. 녹음 모드인 경우 처리된 음성 데이터는 메모리(44)에 저장되도록 출력된다. 음향 입력부(17)는 외부의 음향 신호를 입력받는 과정에서 발생 되는 잡음(noise)를 제거하기 위한 다양한 잡음 제거 알고리즘이 구현될 수 있다.
디스플레이부(13)는 휴대 단말기에서 처리되는 정보를 표시 출력한다. 예를 들어 휴대 단말기가 통화 모드인 경우 제어부(40)의 제어에 의해 통화와 관련된 UI(User Interface) 또는 GUI(Graphic User Interface)를 표시 출력한다. 그리고 휴대 단말기가 화상 통화 모드 또는 촬영 모드인 경우 제어부(40)의 제어에 의해 촬영된 영상 또는 UI,GUI를 표시 출력한다. 디스플레이부(13)는 터치 스크린을 포함하여 구성되는 경우, 출력 장치 이외에 입력 장치로 사용된다.
음향 출력부(14,31)는 호신호 수신, 통화모드 또는 녹음 모드, 음성인식 모드, 방송수신 모드 등에서 제어부(40)의 제어에 의해 무선통신 모듈(41)로부터 수 신된 음향 데이터 또는 메모리(44)에 저장된 음향 데이터를 변환하여 외부로 출력한다. 또한, 음향 출력부(14,31)는 휴대 단말기에서 수행되는 기능(예를 들어, 호신호 수신음, 메시지 수신음 등)과 관련된 음향 신호를 출력한다. 이러한 음향 출력부(14,31)는 스피커(speaker), 리시버(Receiver), 버저(Buzzer) 등으로 포함한다.
센싱 유닛(46)은 휴대 단말기의 개폐 상태, 휴대 단말기의 위치, 사용자 접촉 유무 등과 같이 휴대 단말기의 현 상태를 감지하여 휴대 단말기의 동작을 제어하기 위한 센싱 신호를 발생시킨다. 예를 들어 휴대 단말기가 슬라이드 폰 형태인 경우 슬라이드 폰의 개폐 여부를 센싱하여 제어부(40)로 센싱 결과를 출력하여 단말기의 동작이 제어되도록 한다. 또한 전원 공급부(27)의 전원 공급 여부, 인터 페이스(26)의 외부 기기 결합 여부 등과 관련된 센싱 기능을 담당한다.
인터페이스(26)는 휴대 단말기 이외 유/무선 헤드셋, 외부 충전기, 유/무선 데이터 포트, 카드 소켓(예를 들어, 메모리 카드(Memory card), SIM/UIM card) 등을 휴대 단말기에 연결되는 모든 외부기기와의 인터페이스 역할을 한다. 이와 같은 인터페이스(26)는 외부 기기로부터 데이터를 전송받거나 전원을 공급받아 휴대 단말기 내부의 각 구성 요소에 전달하거나 휴대 단말기 내부의 데이터가 외부 기기로 전송되도록 한다.
메모리(44)는 제어부(40)의 처리 및 제어를 위한 프로그램이 저장될 수도 있고, 입/출력되는 데이터들(예를 들어, 폰북, 메시지, 정지영상, 동영상 등)의 임시 저장을 위한 기능을 수행할 수도 있다. 또한, 메모리(44)에는 본 발명과 관련된 휴 대 단말기의 동작을 제어하는 프로그램이 저장된다. 메모리(44)는 일반적으로 알려진 하드 디스크, 카드 타입의 메모리(예를 들어 SD 또는 XD 메모리 등), 플래시 메모리, 램, 롬 등의 개념을 포함한다.
방송 수신 모듈(45)은 위성 또는 지상파 등을 통하여 전송된 방송 신호를 수신하여 음향 출력부(14,31), 디스플레이부(13)에 출력 가능한 방송 데이터 형태로 변환하여 제어부(40)에 출력한다. 또한 방송 수신 모듈(45)은 방송과 관련된 부가 데이터{예를 들면, EPG(Electric Program Guide), 채널 리스트 등}를 수신한다. 방송 수신 모듈(45)에서 변환된 방송 데이터 및 부가 데이터는 메모리(44)에 저장될 수도 있다.
전원 공급부(27)는 제어부(40)의 제어에 의해 외부의 전원, 내부의 전원을 인가받아 각 구성요소들의 동작에 필요한 전원을 공급한다.
상기 제어부(40)는 열린 상태와 틸팅 상태에서 디스플레이부(13) 등의 출력을 달리할 수 있다.
예를 들어, 휴대 단말기가 열린 상태인 것으로 판단되면, 제어부(40)는 디스플레이부(13)가 단문 문자 전송 모드를 출력하도록 할 수 있다.
휴대 단말기가 틸팅 상태인 것으로 판단되면, 제어부(40)는 디스플레이부(13)가 동영상을 재생하거나 웹 브라우징(web-browsing)이 가능한 모드를 출력하도록 할 수 있다. 동영상 감상이나 웹 브라우징은 문자 전송보다는 긴 시간을 요하므로, 틸팅 상태로 휴대 단말기를 유지하는 것이 사용자의 의도나 사용 환경에 부합할 것이다.
상기와 같은 휴대 단말기는 위에서 설명된 실시예들의 구성과 방법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라, 상기 실시예들은 다양한 변형이 이루어질 수 있도록 각 실시예들의 전부 또는 일부가 선택적으로 조합되어 구성될 수도 있다.
도 1은 본 발명과 관련된 휴대 단말기의 닫힌 상태를 전면에서 바라본 사시도.
도 2는 도 1의 휴대 단말기의 열린 상태를 보인 사시도.
도 3은 도 2의 휴대 단말기가 틸팅 상태(Tilted configuration)에 이른 경우를 보인 사시도.
도 4는 도 3의 휴대 단말기의 배면을 바라본 사시도.
도 5는 도 1의 라인(Ⅴ-Ⅴ)을 따라 취한 단면도.
도 6은 도 1의 라인(Ⅵ-Ⅵ)을 따라 취한 단면도.
도 7은 도 2의 라인(Ⅶ-Ⅶ)을 따라 취한 단면도.
도 8은 도 3의 라인(Ⅷ-Ⅷ)을 따라 취한 단면도.
도 9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관련된 휴대 단말기의 블록 구성도.

Claims (10)

  1. 디스플레이부가 배치되는 주면과, 상기 주면에서 연장하는 복수의 측면을 구비하는 제1 바디;
    상기 제1 바디의 측면들 중 적어도 하나의 일부를 감싸도록 결합 되며, 주면에는 상기 제1 바디에 수용 가능하도록 조작부가 구비되는 제2 바디; 및
    상기 제1 및 제2 바디들을 슬라이딩 가능하게 연결하며, 상기 조작부가 외부로 노출되는 열린 상태에서 상기 디스플레이부와 상기 조작부가 이루는 평면들이 서로 교차 되도록 상기 슬라이딩을 안내하는 슬라이드 모듈을 포함하는 휴대 단말기.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조작부가 외부로 노출되지 않는 닫힌 상태에서 상기 디스플레이부와 상기 조작부가 이루는 평면들은 서로 평행하도록 배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 단말기.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1 및 제2 바디들은 각각 서로 이격 되게 일 부분이 연결되는 한 쌍의 프론트 및 리어 케이스들을 포함하고,
    상기 조작부가 외부로 노출되지 않는 닫힌 상태에서 상기 제1 바디의 주면에 대해 수직한 방향을 따라서는 상기 제1 바디의 프론트 케이스, 상기 제2 바디의 프론트 케이스, 상기 제1 바디의 리어 케이스, 그리고 상기 제2 바디의 리어 케이스가 순차적으로 배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 단말기.
  4. 제3항에 있어서,
    상기 디스플레이부는 상기 제1 바디의 프론트 케이스에 배치되고 상기 조작부는 상기 제2 바디의 프론트 케이스에 배치되며,
    상기 제1 바디의 리어 케이스 및 상기 제2 바디의 리어 케이스들 중 어느 하나에는 전원 공급부가 배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 단말기.
  5. 제3항에 있어서,
    상기 슬라이드 모듈은,
    상기 제1 바디에 구비되는 제1 슬라이드 부재; 및
    상기 제2 바디에 구비되며, 상기 제1 슬라이드 부재에 슬라이딩 가능하게 연결되는 제2 슬라이드 부재를 포함하고,
    상기 제1 및 제2 슬라이드 부재들 중 어느 하나의 적어도 일 부분의 단면은 곡선을 이루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 단말기.
  6. 제5항에 있어서,
    상기 제2 슬라이드 부재는 상기 제2 바디에 구비되며, 상기 제2 바디의 일 단부로 갈수록 작은 곡률을 가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 단말기.
  7. 제3항에 있어서,
    일단은 상기 제1 바디와 연결되고 타단은 상기 제2 바디와 연결되어, 상기 슬라이드 모듈에 의한 슬라이딩 시 상기 제1 바디가 상기 열린 상태와 닫힌 상태 중 일 상태로 편향되게 하는 편향 유닛(biasing unit)을 더 포함하는 휴대 단말기.
  8.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조작부는 키패드 또는 터치 스크린을 구비하는 디스플레이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 단말기.
  9.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슬라이드 모듈은 상기 제1 바디가 상기 제2 바디의 길이 방향에 수직한 방향을 따라 슬라이딩 되도록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 단말기.
  10. 제1 바디;
    일 상태에서 조작부가 배치되는 일 부분은 상기 제1 바디의 내부에 수용되고 다른 부분은 상기 제1 바디의 외면의 적어도 일부를 덮는 제2 바디; 및
    상기 제1 및 제2 바디들을 슬라이딩 가능하게 연결하며, 상기 제1 및 제2 바디들이 평행하지 않게 배치되도록 상기 제1 바디가 상기 제2 바디의 너비 방향에 수직한 면에 대하여 곡선형의 궤적을 그리면서 상기 조작부가 노출되는 다른 상태로 슬라이딩 되게 하는 슬라이드 모듈을 포함하는 휴대 단말기.
KR1020080065663A 2008-07-07 2008-07-07 휴대 단말기 KR101474447B1 (ko)

Priority Applications (4)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80065663A KR101474447B1 (ko) 2008-07-07 2008-07-07 휴대 단말기
US12/393,850 US8116834B2 (en) 2008-07-07 2009-02-26 Mobile terminal with tilting display
CN2009101281321A CN101626413B (zh) 2008-07-07 2009-03-05 具有倾斜显示器的移动终端
EP09003205.3A EP2144424B1 (en) 2008-07-07 2009-03-05 Mobile terminal with tilting display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80065663A KR101474447B1 (ko) 2008-07-07 2008-07-07 휴대 단말기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00005574A true KR20100005574A (ko) 2010-01-15
KR101474447B1 KR101474447B1 (ko) 2014-12-19

Family

ID=4110054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80065663A KR101474447B1 (ko) 2008-07-07 2008-07-07 휴대 단말기

Country Status (4)

Country Link
US (1) US8116834B2 (ko)
EP (1) EP2144424B1 (ko)
KR (1) KR101474447B1 (ko)
CN (1) CN101626413B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16043431A1 (ko) * 2014-09-18 2016-03-24 엘지전자(주) 전자 디바이스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427264B1 (ko) * 2007-12-17 2014-08-06 엘지전자 주식회사 휴대 단말기
TWI362209B (en) * 2008-10-08 2012-04-11 Htc Corp Portable electronic device
US8199487B2 (en) * 2009-03-10 2012-06-12 Nokia Corporation Extendible apparatus
TWI406164B (zh) * 2009-05-21 2013-08-21 Ite Tech Inc 滑軸架構的觸控感應器
TWI407758B (zh) * 2009-05-27 2013-09-01 Htc Corp 電子裝置
KR101649626B1 (ko) * 2009-08-27 2016-08-19 엘지전자 주식회사 이동 단말기
CN102123568A (zh) * 2010-01-07 2011-07-13 深圳富泰宏精密工业有限公司 滑动机构及应用该滑动机构的便携式电子装置
KR101117585B1 (ko) * 2010-02-26 2012-02-24 주식회사 케이에이치바텍 휴대단말기용 틸트힌지모듈 및 그 작동방법
US8385057B2 (en) * 2010-06-08 2013-02-26 Hewlett-Packard Development Company, L.P. Fully extendable dual-segmented housing assembly for mobile computing device
USD701862S1 (en) * 2011-02-18 2014-04-01 Lg Electronics Inc. Cart barcode scanner
US8611973B2 (en) * 2011-03-07 2013-12-17 Blackberry Limited Slidable portable electronic device with keypad portion adapted for covering display
USD667807S1 (en) * 2011-09-20 2012-09-25 Research In Motion Limited Electronic device
TW201317834A (zh) * 2011-10-21 2013-05-01 Eturbotouch Technology Inc 可攜式電子裝置
US8774716B2 (en) * 2012-03-29 2014-07-08 Auden Techno Corp. Mobile terminal extension case
CN105554192B (zh) * 2015-12-29 2018-07-06 广东欧珀移动通信有限公司 一种移动终端

Family Cites Families (1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DE3836406A1 (de) 1988-10-26 1990-05-03 Bosch Gmbh Robert Handapparatfoermiges funkbedienteil
GB2381774B (en) 2001-11-06 2004-03-03 Inventec Appliances Corp Hand-held electronic device with hidden keyboard
US7149557B2 (en) * 2003-05-12 2006-12-12 Siemens Communications, Inc. Mobile communication device having extendable display
US7636748B2 (en) * 2003-09-29 2009-12-22 Microsoft Corporation Display configurations for a data processing device
JP3944506B2 (ja) * 2003-10-28 2007-07-11 エルジー エレクトロニクス インコーポレイティド スライド型携帯端末機及びそれに使用されるスライド装置
JP4363205B2 (ja) * 2004-02-05 2009-11-11 株式会社日立製作所 携帯端末装置
CN2731854Y (zh) 2004-10-19 2005-10-05 宏达国际电子股份有限公司 双操作型态的手持电子装置
JP4440092B2 (ja) 2004-12-27 2010-03-24 三菱電機株式会社 携帯端末装置
KR100652718B1 (ko) * 2005-04-04 2006-12-01 엘지전자 주식회사 이동통신 단말기의 기어구동형 슬라이드 모듈 및 그 개폐방법
TWI260193B (en) * 2005-04-15 2006-08-11 Benq Corp Mobile device
EP1796351B1 (en) * 2005-12-12 2016-10-19 LG Electronics Inc. Sliding type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TWI286019B (en) * 2005-12-30 2007-08-21 High Tech Comp Corp Dynamic sliding module and uses thereof
US7653422B2 (en) * 2006-02-28 2010-01-26 Motorola, Inc. Method and apparatus for a sliding hinge
US8029309B2 (en) * 2006-10-03 2011-10-04 Htc Corporation Electronic devices with sliding and tilting mechanisms, and associated methods
CN101460023B (zh) * 2007-12-10 2012-03-28 鸿富锦精密工业(深圳)有限公司 滑动机构
US20100113100A1 (en) * 2008-11-04 2010-05-06 Motorola, Inc. Electronic device having a clamshell configuration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16043431A1 (ko) * 2014-09-18 2016-03-24 엘지전자(주) 전자 디바이스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US8116834B2 (en) 2012-02-14
EP2144424B1 (en) 2014-06-25
EP2144424A1 (en) 2010-01-13
KR101474447B1 (ko) 2014-12-19
CN101626413B (zh) 2012-07-11
US20100004027A1 (en) 2010-01-07
CN101626413A (zh) 2010-01-13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474447B1 (ko) 휴대 단말기
KR101427264B1 (ko) 휴대 단말기
KR20090013129A (ko) 휴대 단말기
KR20090118765A (ko) 휴대 단말기
KR20090102243A (ko) 슬라이드 모듈 및 이를 구비하는 휴대 단말기
KR20090102242A (ko) 슬라이드 모듈 및 이를 구비하는 휴대 단말기
KR20110022385A (ko) 휴대 단말기
KR20100035530A (ko) 슬라이드 모듈 및 그를 구비하는 휴대 단말기
KR20110021477A (ko) 이동 단말기
KR20100041553A (ko) 슬라이드 모듈 및 그를 구비하는 휴대 단말기
KR20120038841A (ko) 이동 단말기
KR101545572B1 (ko) 슬라이드 모듈 및 이를 구비하는 휴대 단말기
KR101474435B1 (ko) 휴대 단말기
KR101537700B1 (ko) 슬라이드 모듈 및 그를 구비하는 휴대 단말기
KR100930564B1 (ko) 휴대 단말기
KR20090100996A (ko) 휴대 단말기
KR20090093670A (ko) 휴대 단말기
KR20100039741A (ko) 휴대 단말기
KR20090030093A (ko) 휴대 단말기
KR20100116026A (ko) 슬라이드 모듈 및 그를 구비하는 휴대 단말기
KR20090049429A (ko) 신호발생장치 및 그를 구비하는 휴대 단말기
KR20100033812A (ko) 휴대 단말기
KR20100135595A (ko) 휴대 단말기
KR20090063905A (ko) 슬라이드 모듈 및 그를 구비하는 휴대 단말기
KR20110005554A (ko) 휴대 단말기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1124

Year of fee payment: 4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