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00005469U - contact switch assembly - Google Patents

contact switch assembly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00005469U
KR20100005469U KR2020080015418U KR20080015418U KR20100005469U KR 20100005469 U KR20100005469 U KR 20100005469U KR 2020080015418 U KR2020080015418 U KR 2020080015418U KR 20080015418 U KR20080015418 U KR 20080015418U KR 20100005469 U KR20100005469 U KR 20100005469U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main body
cover
bracket
hook
contact switch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080015418U
Other languages
Korean (ko)
Inventor
윤희탁
Original Assignee
한국단자공업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한국단자공업 주식회사 filed Critical 한국단자공업 주식회사
Priority to KR2020080015418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100005469U/en
Publication of KR20100005469U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00005469U/en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HELECTRIC SWITCHES; RELAYS; SELECTORS; EMERGENCY PROTECTIVE DEVICES
    • H01H9/00Details of switching devices, not covered by groups H01H1/00 - H01H7/00
    • H01H9/02Bases, casings, or cover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HELECTRIC SWITCHES; RELAYS; SELECTORS; EMERGENCY PROTECTIVE DEVICES
    • H01H2231/00Applications
    • H01H2231/026Car

Landscapes

  • Switch Cases, Indication, And Locking (AREA)

Abstract

본 고안은 컨택트 스위치 어셈블리에 관한 것이다. 본 고안에 의한 컨택트 스위치에 의하면, 메인몸체(31)가 커버(33)의 공간(S)에 삽입되어 안착된다. 그리고 브라켓(50)의 일측이 상기 메인몸체(31)의 저면을 지지한 상태에서, 상기 브라켓(50)의 걸이편(53)이 상기 커버(33)의 안착면(35)에 형성된 걸이돌기(36)에 걸어진다. 이와 같이 되면, 상기 브라켓(50)에 의해 상기 메인몸체(31)와 커버(33)의 결합상태가 유지된다. 이 상태에서 상기 브라켓(50)은 상기 메인몸체(31)와 볼트에 의해 체결된다. 그러면, 상기 메인몸체(31), 커버(33), 그리고 브라켓(50)이 한번에 결합된다. 한편, 상기 커버(33)의 안착면(35)에는 상기 걸이돌기(36)에 걸어진 걸이편(53)의 가장자리를 지지하는 지지리브(37)가 형성된다. 또한, 브라켓(50)의 체결 전에 상기 메인몸체(31)와 커버(33)가 가조립될 수 있도록, 상기 메인몸체(31)의 양측면에 형성된 결합돌기(32)는 상기 커버(33)에 형성된 결합공(34)에 걸어진다. 본 고안에 의하면, 컨택트 스위치 어셈블리의 조립이 용이해져 작업성이 향상되는 이점이 있다.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contact switch assembly. According to the contact switch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the main body 31 is inserted into the space (S) of the cover 33 is seated. In addition, the hook protrusion 53 formed on the seating surface 35 of the cover 33 of the bracket 50 of the bracket 50 in a state where one side of the bracket 50 supports the bottom surface of the main body 31. On 36). In this case, the coupling state of the main body 31 and the cover 33 is maintained by the bracket 50. In this state, the bracket 50 is fastened by the main body 31 and the bolt. Then, the main body 31, the cover 33, and the bracket 50 are combined at one time. On the other hand, on the seating surface 35 of the cover 33 is formed a support rib 37 for supporting the edge of the hook piece 53 hooked on the hook projection (36). In addition, the coupling protrusions 32 formed on both sides of the main body 31 are coupled to the cover 33 so that the main body 31 and the cover 33 can be temporarily assembled before the bracket 50 is fastened. Walk on the ball 34.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there is an advantage in that the assembly of the contact switch assembly is easy and the workability is improved.

컨택트 스위치, 커버, 브라켓, 걸이편, 걸이돌기 Contact switch, cover, bracket, hook, hook

Description

컨택트 스위치 어셈블리{contact switch assembly}Contact switch assembly

본 고안은 컨택트 스위치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자동차의 글래스 도어의 동작을 제어하기 위한 컨택트 스위치에 관한 것이다.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contact switch, and more particularly to a contact switch for controlling the operation of the glass door of the vehicle.

컨택트 스위치는 자동차용 윈드쉴드 글래스의 개폐장치에 사용되는 것으로, 상기 글래스의 개폐동작 과정 중에 상기 글래스의 일측에 연결된 상대커넥터가 상기 컨택트스위치와 선택적으로 연결되면서 글래스의 동작이 제어된다. The contact switch is used in the opening and closing device of the windshield glass for automobiles, and the operation of the glass is controlled while the mating connector connected to one side of the glass is selectively connected to the contact switch during the opening and closing operation of the glass.

도 1에는 종래의 컨택트 스위치의 구성이 사시도로 도시되어 있다. 1 is a perspective view showing the configuration of a conventional contact switch.

컨택트 스위치(10)의 외관과 골격을 메인몸체(11)가 형성한다. 상기 메인몸체(11)에는 도시하지는 않았지만 리셉터클터미널이 다수개 구비된다. The main body 11 forms the appearance and skeleton of the contact switch 10. Although not shown, the main body 11 is provided with a plurality of receptacle terminals.

상기 메인몸체(11)에는 커버(12)가 결합된다. 상기 커버(12)는 상기 메인몸체(11)를 둘러 감싸도록 형성된다. 상기 커버(12)의 일측에는 삽입공(미도시)이 다수개 형성된다. 상기 삽입공을 통해서 상대물의 탭터미널(미도시)이 삽입된다. 상기 탭터미널은 상기 커버(12)의 내부에 구비되는 메인몸체(11)의 리셉터클터미널과 선택적으로 접촉된다. The cover 12 is coupled to the main body 11. The cover 12 is formed to surround the main body 11. One side of the cover 12 is formed with a plurality of insertion holes (not shown). The tap terminal (not shown) of the counterpart is inserted through the insertion hole. The tab terminal is selectively in contact with the receptacle terminal of the main body 11 provided in the cover 12.

상기 커버(12)의 일측에는 체결홈(14)이 다수개 형성된다. 그리고 상기 체결 홈(14)에는 상기 커버(12)와 메인몸체(11)를 결합시키기 위한 볼트(15)가 체결된다. A plurality of fastening grooves 14 are formed at one side of the cover 12. And the fastening groove 14 is fastened to the bolt 15 for coupling the cover 12 and the main body (11).

상기 커버(12)의 일측에는 안착면(16)이 형성된다. 상기 안착면(16)에는 후술할 브라켓(17)의 안착편(19)이 밀착된다. A seating surface 16 is formed at one side of the cover 12. The seating surface 19 of the bracket 17 to be described later is in close contact with the seating surface 16.

브라켓(17)은 상기 메인몸체(11)를 장착패널에 고정시키기 위한 것이다. 상기 브라켓(17)에는 장착패널(미도시)과 결합되는 장착편(18)이 다수개 형성된다. 상기 장착편(18)에는 볼트가 관통하는 통공(18')이 형성된다. The bracket 17 is for fixing the main body 11 to the mounting panel. The bracket 17 is provided with a plurality of mounting pieces 18 coupled to the mounting panel (not shown). The mounting piece 18 is formed with a through hole 18 ′ through which the bolt passes.

상기 브라켓(17)은 도 1을 기준으로 상기 메인몸체(11)의 저면에 체결되는 볼트(미도시)에 의해 상기 메인몸체(11)와 결합된다. 이때, 상기 브라켓(17)의 체결위치를 안내하기 위하여 브라켓(17)의 일측에 형성된 안착편(19)이 상기 커버(12)의 안착면(16)에 안착된다. The bracket 17 is coupled to the main body 11 by bolts (not shown) fastened to the bottom of the main body 11 with reference to FIG. 1. At this time, a mounting piece 19 formed on one side of the bracket 17 is seated on the seating surface 16 of the cover 12 to guide the fastening position of the bracket 17.

그러나 상기한 바와 같은 종래의 기술에 의한 커넥터 어셈블리에는 다음과 같은 문제점이 있다.However, the connector assembly according to the related art as described above has the following problems.

종래에는 브라켓(17)을 상기 메인몸체(11)에 결합시킬 때, 단순히 브라켓(17)의 안착편(19)을 상기 커버(12)의 안착면(16)에 안착시키는 것으로 브라켓(17)의 결합위치를 확인하였다. 하지만, 브라켓(17)의 안착편(19)이 상기 안착면(16)에 안착된 상태에서 자유롭게 유동될 수 있어, 상기 메인몸체(11)와의 조립시에 상기 브라켓(17)이 정확한 위치에서 벗어나는 문제가 있었다. Conventionally, when the bracket 17 is coupled to the main body 11, the bracket 17 is simply mounted on the seating surface 16 of the cover 12 by simply mounting the seating piece 19 of the bracket 17. The binding position was confirmed. However, the mounting piece 19 of the bracket 17 can be freely flow in the state seated on the seating surface 16, the bracket 17 is out of the correct position when assembling with the main body 11 There was a problem.

또한, 종래에는 메인몸체(11)와 커버(12)가 별도의 볼트(15)로 체결되므로, 컨택트 스위치(10)를 조립할 때, 메인몸체(11)와 커버(12)의 결합을 위한 볼트(15) 체결작업과 브라켓(17)을 상기 메인몸체(11)의 일측에 결합시키기 위한 볼트체결작업이 소요되어, 볼트체결작업이 두번에 걸쳐 이루어지므로 컨택트 스위치의 조립작업이 번거로운 문제가 있었다. In addition, in the related art, since the main body 11 and the cover 12 are fastened by separate bolts 15, when assembling the contact switch 10, a bolt for coupling the main body 11 and the cover 12 ( 15) Since the fastening operation and the bolt fastening operation for coupling the bracket 17 to one side of the main body 11 are required, the bolt fastening operation is performed twice, which causes the trouble of assembling the contact switch.

따라서, 본 고안의 목적은 상기한 바와 같은 종래 기술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 메인몸체와 커버의 조립상태와 브라켓의 가조립상태를 견고하게 유지하는 것이다. Accordingly, an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to solve the problems of the prior art as described above, and to maintain the assembled state of the main body and the cover and the temporarily assembled state of the bracket.

본 고안의 다른 목적은 컨택트 스위치의 조립작업을 용이하게 하는 것이다. Another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to facilitate the assembly of the contact switch.

상기한 바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고안의 특징에 따르면, 본 고안은 리셉터클 터미널이 구비되는 메인몸체; 상기 메인몸체를 둘러 감싸며, 일측에 상기 리셉터클 터미널과 선택적으로 접촉되는 상대물의 탭터미널이 출입하는 삽입공이 형성되는 커버; 상기 커버의 일측에 걸어진 상태에서 상기 메인몸체와 결합되고, 상기 커버와 메인몸체의 조립상태를 유지한 상태에서 장착패널에 고정되어 상기 메인몸체와 커버를 장착패널에 장착시키는 브라켓; 포함하여 구성된다. According to a feature of the present invention for achieving the object as described above, the present invention is a main body having a receptacle terminal; A cover surrounding the main body and having an insertion hole formed at one side to allow the tap terminal of the counterpart to be selectively contacted with the receptacle terminal; A bracket coupled to the main body in a state of being hooked to one side of the cover, and fixed to a mounting panel while maintaining the assembled state of the cover and the main body to mount the main body and the cover to the mounting panel; It is configured to include.

상기 커버의 일측에 안착면이 형성되고, 상기 안착면에 걸이돌기가 형성되며, 상기 브라켓의 일측에는 상기 안착면에 안착되는 걸이편이 구비되고, 상기 걸이편에는 상기 걸이돌기가 삽입되는 걸이슬롯이 형성되어 상기 걸이편이 상기 걸이돌기에 걸어짐을 특징으로 한다. A seating surface is formed on one side of the cover, and a hooking protrusion is formed on the seating surface, and a hooking portion seated on the seating surface is provided on one side of the bracket, and a hooking slot into which the hooking protrusion is inserted into the hooking piece. It is characterized in that the hook piece is hooked to the hook projection.

상기 안착면에는 상기 걸이편의 가장자리를 지지하는 지지리브가 형성됨을 특징으로 한다. The seating surface is characterized in that the support ribs for supporting the edge of the hook piece is formed.

상기 지지리브는 상기 걸이편의 양측 단부를 지지하는 측단지지부와 상기 걸 이편의 선단을 지지하는 선단지지부로 구성되어, 상기 걸이돌기를 가운데 두고 'ㄷ'형상으로 형성됨을 특징으로 한다. The support rib is composed of a side end support portion for supporting both end portions of the hook piece and a tip support portion for supporting the tip of the hook piece, characterized in that the hook protrusion is formed in the 'c' shape.

상기 커버의 내부에는 일면이 개구되는 공간이 형성되고, 상기 공간에 상기 메인몸체가 삽입되어 안착되며, 상기 메인몸체의 양측면에는 결합돌기가 형성되고, 상기 커버의 양측면에는 상기 결합돌기가 관통하여 걸어지는 결합공이 형성됨을 특징으로 한다. Inside the cover, a space is formed in which one surface is opened, and the main body is inserted and seated in the space. Coupling protrusions are formed on both sides of the main body, and the coupling protrusions are walked on both sides of the cover. It is characterized in that the coupling hole is formed.

본 고안에 의하면, 브라켓의 걸이편이 걸이돌기에 걸어짐에 따라 메인몸체와 커버의 조립상태가 견고하게 유지된다. 또한, 브라켓의 걸이편이 지지리브에 의해 지지되어 유동이 방지되므로 브라켓의 가조립상태도 잘 유지되어 볼트체결작업이 용이해져 작업성이 좋아지는 효과가 있다.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as the hook piece of the bracket is hooked to the hook protrusion, the assembled state of the main body and the cover is firmly maintained. In addition, since the hook piece of the bracket is supported by the support ribs to prevent flow, the temporarily assembled state of the bracket is also maintained well, so that the bolt fastening operation is easy, and thus the workability is improved.

그리고 본 고안에서는, 메인몸체의 결합돌기를 커버의 결합공에 걸어지게 하여 메인몸체와 커버를 가조립하고, 브라켓의 걸이편을 커버의 걸이돌기에 걸어지게 한 상태에서, 브라켓과 메인몸체의 저면을 볼트체결함으로써 브라켓과 메인몸체와 커버를 한번의 체결작업으로 결합시킨다. 따라서 컨택트 스위치 어셈블리의 조립작업이 용이해져 제품 생산성이 향상되는 효과가 있다. In the present invention, the main body and the cover are assembled by hooking the engaging projection of the main body to the engaging hole of the cover, and the bottom surface of the bracket and the main body is fixed while the hook piece of the bracket is hooked on the hook projection of the cover. By fastening the bolts, the bracket, main body and cover are combined in one fastening operation. Therefore, assembling of the contact switch assembly is facilitated, thereby improving the product productivity.

이하 본 고안에 의한 레버타입 커넥터어셈블리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도면을 참고하여 상세하게 설명하기로 한다.Hereinafter, a preferred embodiment of the lever type connector assembly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in detail with reference to the drawings.

도 2에는 본 고안에 의한 컨택트 스위치 어셈블리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구성 하는 메인몸체와 커버가 분리사시도로 도시되어 있고, 도 3에는 본 고안 실시예에서 메인몸체와 커버가 결합된 상태가 부분사시도로 도시되어 있으며, 도 4에는 본 고안 실시예에서 브라켓이 결합된 상태가 부분사시도로 도시되어 있다.2 is a separate perspective view of the main body and the cover constituting the preferred embodiment of the contact switch assembly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Figure 3 is a partial perspective view showing a state in which the main body and the cover is coupled in the present invention embodiment 4 is a partial perspective view showing a state in which the bracket is coupled in th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이들 도면에 따르면, 컨택트 스위치(30)의 외관과 골격을 메인몸체(31)가 형성한다. 상기 메인몸체(31)에는 도시하지는 않았지만 리셉터클터미널이 다수개 구비된다. 상기 리셉터클터미널에는 상대커넥터의 탭터미널이 선택적으로 연결된다. According to these drawings, the main body 31 forms the appearance and skeleton of the contact switch 30. Although not shown, the main body 31 is provided with a plurality of receptacle terminals. The receptacle terminal is selectively connected to the tab terminal of the mating connector.

상기 메인몸체(31)의 양측면에는 결합돌기(32)가 돌출되게 형성된다. 상기 결합돌기(32)는 후술할 커버(33)의 결합공(34)에 걸어져 상기 메인몸체(31)와 커버(33)를 결합시키는 역할을 한다. 상기 결합돌기(32)의 외면 일측에는 상기 결합돌기(32)가 상기 공간(S)으로 용이하게 삽입되도록 안내하는 경사면(32')이 형성된다.Both sides of the main body 31 is formed to protrude the coupling projection (32). The coupling protrusion 32 is engaged with the coupling hole 34 of the cover 33 to be described later serves to couple the main body 31 and the cover 33. One side of the outer surface of the coupling protrusion 32 is formed with an inclined surface 32 'for guiding the coupling protrusion 32 to be easily inserted into the space S.

상기 메인몸체(31)에는 커버(33)가 결합된다. 상기 커버(33)의 내부에는 일측으로 개구되는 공간(S)이 형성된다. 상기 공간(S)에 상기 메인몸체(31)가 삽입되어 안착된다. 상기 커버(33)는 상기 메인몸체(31)를 둘러 감싸 상기 메인몸체(31)에 구비되는 리셉터클터미널을 보호하는 역할을 한다. 참고로, 상기 커버(33)의 일측에는 다수개의 삽입공(미도시)이 형성된다. 상기 삽입공을 통해서는 상대 커넥터의 탭터미널(미도시)이 삽입된다. 상기 삽입공을 통해 삽입되는 탭터미널(미도시)은 상기 리셉터클터미널과 접촉된다. The cover 33 is coupled to the main body 31. The inside of the cover 33 is a space (S) opening to one side is formed. The main body 31 is inserted and seated in the space S. The cover 33 surrounds the main body 31 to protect the receptacle terminal provided in the main body 31. For reference, a plurality of insertion holes (not shown) are formed at one side of the cover 33. The tap terminal (not shown) of the mating connector is inserted through the insertion hole. A tap terminal (not shown) inserted through the insertion hole contacts the receptacle terminal.

상기 커버(33)에는 상기 결합돌기(32)와 대응되는 위치에 결합공(34)이 형성된다. 상기 결합공(34)은 상기 커버(33)의 측면을 관통하는 구멍이다. 상기 결합 공(34)은 통해 상기 결합돌기(32)는 상기 공간(S)에서 외측방향으로 통과하여 상기 커버(33)의 일측에 걸어진다. 이와 같이 본 실시예에서는 상기 커버(33)와 메인몸체(31)가 상기 결합돌기(32)와 결합공(34)에 의해 가조립된다. The cover 33 is provided with a coupling hole 34 at a position corresponding to the coupling protrusion 32. The coupling hole 34 is a hole passing through the side surface of the cover 33. Through the coupling hole 34, the coupling protrusion 32 passes outwardly in the space S and is walked on one side of the cover 33. Thus, in the present embodiment, the cover 33 and the main body 31 is temporarily assembled by the coupling protrusion 32 and the coupling hole 34.

한편, 상기 커버(33)의 일측에는 안착면(35)이 형성된다. 상기 안착면(35)은 후술할 브라켓(50)의 걸이편(53)이 안착되는 부분이다. 상기 안착면(35)에는 걸이돌기(36)가 돌출되게 형성된다. 상기 걸이돌기(36)는 후술할 브라켓(50)의 걸이슬롯(55)에 삽입된다. 상기 걸이돌기(36)는 상기 걸이편(53)의 일측을 걸어주는 역할을 한다. 상기 걸이돌기(36)의 외면에는 상기 걸이슬롯(55)에 용이하게 삽입되도록 하는 경사안내면(36')이 형성된다. On the other hand, a seating surface 35 is formed on one side of the cover 33. The seating surface 35 is a part on which the hook piece 53 of the bracket 50 to be described later is seated. The mounting protrusion 35 is formed to protrude from the seating surface 35. The hook protrusion 36 is inserted into the hook slot 55 of the bracket 50 to be described later. The hook protrusion 36 serves to hook one side of the hook piece 53. An inclined guide surface 36 ′ is formed on an outer surface of the hook protrusion 36 to be easily inserted into the hook slot 55.

그리고 상기 안착면(35)에는 지지리브(37)가 형성된다. 상기 지지리브(37)는 상기 걸이편(53)의 선단을 지지하는 선단지지부(38)와 상기 걸이편(53)의 양측 단부를 지지하는 측단지지부(39)로 구성된다. 다시 말해, 상기 지지리브(37)는 가운데 걸이돌기(36)를 두고 대략 'ㄷ' 형상으로 형성되어 상기 걸이편(53)의 3면을 지지한다. 상기 지지리브(37)는 상기 걸이편(53)의 가장자리를 지지하여 상기 걸이편(53)의 유동을 방지하는 역할을 한다. 즉, 상기 지지리브(37)는 상기 걸이편(53)이 정확한 위치에 안착되도록 한다. A support rib 37 is formed on the seating surface 35. The support rib 37 includes a tip support part 38 for supporting the tip of the hook piece 53 and a side end support part 39 for supporting both end portions of the hook piece 53. In other words, the support ribs 37 are formed in an approximately 'c' shape with the center hanging protrusion 36 to support three surfaces of the hanging piece 53. The support rib 37 supports the edge of the hook piece 53 to prevent the flow of the hook piece 53. That is, the support rib 37 allows the hook piece 53 to be seated in the correct position.

브라켓(50)은 상기 컨택트 스위치 어셈블리(30)를 장착패널(미도시)에 고정시키기 위한 것이다. 상기 브라켓(50)의 일측에는 걸이편(53)이 구비된다. 상기 걸이편(53)은 상기 커버(33)의 안착면(35)에 밀착되는 부분이다. The bracket 50 is for fixing the contact switch assembly 30 to a mounting panel (not shown). The hook piece 53 is provided at one side of the bracket 50. The hook piece 53 is in close contact with the seating surface 35 of the cover 33.

상기 걸이편(53)에는 걸이슬롯(55)이 관통되어 형성된다. 상기 걸이슬롯(55) 에 상기 걸이돌기(36)가 삽입됨으로써 상기 걸이편(53)이 상기 걸이돌기(36)에 걸어지게 된다. 또한, 상기 걸이편(53)의 양측 단부와 선단이 상기 지지리브(37)에 의해 지지되어 상기 걸이편(53)의 유동이 방지된다. Hanger slot 55 is formed through the hook piece 53. The hook piece 53 is hooked to the hook protrusion 36 by inserting the hook protrusion 36 into the hook slot 55. In addition, both ends and the front end of the hook piece 53 are supported by the support rib 37 to prevent the flow of the hook piece 53.

상기 브라켓(50)은 도 4를 기준으로 상기 메인몸체(31)의 저면에 체결되는 볼트(미도시)에 의해 상기 메인몸체(11)와 결합된다. 이때, 상기 브라켓(50)의 걸이편(53)이 상기 걸이돌기(36)에 걸어짐으로써, 상기 브라켓(50)이 상기 커버(33)와 메인몸체(31)의 결합을 견고하게 유지할 수 있게 된다.The bracket 50 is coupled to the main body 11 by bolts (not shown) fastened to the bottom surface of the main body 31 with reference to FIG. 4. At this time, the hook piece 53 of the bracket 50 is hooked to the hook projection 36 so that the bracket 50 can firmly maintain the coupling of the cover 33 and the main body 31. do.

이하 본 고안에 의한 컨택트 스위치 어셈블리의 조립과정을 도면을 통하여 상세하게 설명하기로 한다.Hereinafter, the assembly process of the contact switch assembly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in detail with reference to the drawings.

먼저, 메인몸체(31)와 커버(33)를 도 2와 같은 상태로 위치시킨 상태에서, 상기 메인몸체(31)를 상기 커버(33)의 공간(S)으로 삽입한다. 상기 메인몸체(31)를 상기 공간(S)으로 완전히 삽입시키면, 도 3과 같이 상기 메인몸체(31)의 결합돌기(32)가 상기 커버(33)의 결합공(34) 일측에 걸어짐에 의해 상기 메인몸체(31)와 커버(33)가 서로 결합된다. First, the main body 31 is inserted into the space S of the cover 33 in a state where the main body 31 and the cover 33 are positioned in the state as shown in FIG. 2. When the main body 31 is fully inserted into the space S, as shown in FIG. 3, the engaging protrusion 32 of the main body 31 is hooked to one side of the coupling hole 34 of the cover 33. The main body 31 and the cover 33 are coupled to each other by.

다음으로, 도 4와 같이, 브라켓(50)의 걸이편(53)을 상기 커버(33)의 안착면(35)에 안착시킨다. 이때, 상기 브라켓(50)의 걸이슬롯(55)에 상기 걸이돌기(36)가 삽입됨으로써 상기 걸이편(53)이 상기 걸이돌기(36)에 걸어지게 된다. 그리고, 상기 커버(33)의 지지리브(37)가 상기 안착면(35)에 안착된 상태의 걸이편(53)의 가장자리를 지지한다. 그러면, 상기 브라켓(50)의 일면이 상기 메인몸체(31)의 저면과 밀착됨과 동시에 상기 걸이편(53)이 상기 걸이돌기(36)에 걸어지므로, 커 버(33)와 메인몸체(31)의 결합이 견고하게 된다. Next, as shown in FIG. 4, the hook piece 53 of the bracket 50 is seated on the seating surface 35 of the cover 33. At this time, the hook protrusion 36 is inserted into the hook slot 55 of the bracket 50 so that the hook piece 53 is hooked to the hook protrusion 36. And, the support rib 37 of the cover 33 supports the edge of the hook piece 53 in a state seated on the seating surface (35). Then, one surface of the bracket 50 is in close contact with the bottom surface of the main body 31 and at the same time the hook piece 53 is hooked on the hook projection 36, the cover 33 and the main body 31 The combination of becomes strong.

이 상태에서, 마지막으로 도 4를 기준으로 상기 브라켓(50)의 일면과 상기 메인몸체(31)의 저면을 관통하는 볼트(미도시)를 체결한다. 상기 메인몸체(31)를 사이에 두고 상기 브라켓(50)의 걸이편(53)이 상기 커버(33)를 걸어준 상태에서 상기 브라켓(50)을 메인몸체(31)와 결합시키기 위한 한번의 볼트체결작업에 의하여, 상기 커버(33)와 메인몸체(31)와 브라켓(50)이 완전히 결합된다. 즉, 본 고안에서는 커버(33)와 메인몸체(31)를 결합시키기 위한 종래의 볼트체결작업이 불필요하다.In this state, a bolt (not shown) penetrating one surface of the bracket 50 and the bottom surface of the main body 31 is finally fastened based on FIG. 4. One bolt for engaging the bracket 50 with the main body 31 while the hook piece 53 of the bracket 50 hangs the cover 33 with the main body 31 interposed therebetween. By the fastening operation, the cover 33, the main body 31 and the bracket 50 is completely coupled. That is, in the present invention, a conventional bolting operation for coupling the cover 33 and the main body 31 is unnecessary.

본 고안의 권리범위는 위에서 설명된 실시예에 한정되지 않고 청구범위에 기재된 바에 의해 정의되며, 본 고안의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청구범위에 기재된 권리범위 내에서 다양한 변형과 개작을 할 수 있다는 것은 자명하다.The scope of the present invention is not limited to the embodiments described above, but is defined by the claims, and various changes and modifications can be made by those skilled in the art within the scope of the claims. It is self evident.

도 1은 종래기술에 의한 컨택트 스위치 어셈블리의 구성을 보인 사시도. 1 is a perspective view showing the configuration of a contact switch assembly according to the prior art.

도 2는 본 고안에 의한 컨택트 스위치 어셈블리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구성하는 메인몸체와 커버를 보인 분리사시도.Figure 2 is an exploded perspective view showing the main body and the cover constituting a preferred embodiment of the contact switch assembly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도 3은 본 고안 실시예에서 메인몸체와 커버가 결합된 상태를 보인 부분사시도.Figure 3 is a partial perspective view showing a state in which the main body and the cover is coupled in th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4는 본 고안 실시예에서 브라켓이 결합된 상태를 보인 부분사시도.Figure 4 is a partial perspective view showing a state in which the bracket is coupled in th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Description of the symbols for the main parts of the drawings *

31: 메인몸체 32: 결합돌기31: main body 32: engaging projection

33: 커버 34: 결합공33: cover 34: coupling hole

35: 안착면 36: 걸이돌기35: Seating surface 36: Hanging hook

37: 지지리브 38: 선단지지부37: support rib 38: tip support

39: 측단지지부 50: 브라켓39: side support 50: bracket

53: 걸이편 55: 걸이슬롯53: hanger 55: hanger slot

S: 공간S: space

Claims (5)

리셉터클 터미널이 구비되는 메인몸체;A main body having a receptacle terminal; 상기 메인몸체를 둘러 감싸며, 일측에 상기 리셉터클 터미널과 선택적으로 접촉되는 상대물의 탭터미널이 출입하는 삽입공이 형성되는 커버;A cover surrounding the main body and having an insertion hole formed at one side to allow the tap terminal of the counterpart to be selectively contacted with the receptacle terminal; 상기 커버의 일측에 걸어진 상태에서 상기 메인몸체와 결합되고, 상기 커버와 메인몸체의 조립상태를 유지한 상태에서 장착패널에 고정되어 상기 메인몸체와 커버를 장착패널에 장착시키는 브라켓; 포함하여 구성되는 컨택트 스위치 어셈블리.A bracket coupled to the main body in a state of being hooked to one side of the cover, and fixed to a mounting panel while maintaining the assembled state of the cover and the main body to mount the main body and the cover to the mounting panel; Contact switch assembly configured to include.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커버의 일측에 안착면이 형성되고, 상기 안착면에 걸이돌기가 형성되며, The method of claim 1, wherein a seating surface is formed on one side of the cover, a hooking protrusion is formed on the seating surface, 상기 브라켓의 일측에는 상기 안착면에 안착되는 걸이편이 구비되고, 상기 걸이편에는 상기 걸이돌기가 삽입되는 걸이슬롯이 형성되어 상기 걸이편이 상기 걸이돌기에 걸어짐을 특징으로 하는 컨택트 스위치 어셈블리.One side of the bracket is provided with a hook piece which is seated on the seating surface, the hook piece is formed with a hook slot into which the hook projection is inserted, characterized in that the hook piece is hooked to the hook projection.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안착면에는 상기 걸이편의 가장자리를 지지하는 지지리브가 형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컨택트 스위치 어셈블리.3. The contact switch assembly of claim 2, wherein a support rib is formed on the seating surface to support an edge of the hook piece. 제 3 항에 있어서, 상기 지지리브는 상기 걸이편의 양측 단부를 지지하는 측 단지지부와 상기 걸이편의 선단을 지지하는 선단지지부로 구성되어, 상기 걸이돌기를 가운데 두고 'ㄷ'형상으로 형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컨택트 스위치 어셈블리.The support rib of claim 3, wherein the support ribs are formed of a side support portion supporting both end portions of the hook piece and a tip support portion supporting the tip of the hook piece, and formed in a 'c' shape with the hook protrusion in the center. Contact switch assembly. 제 1 항 내지 제 4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커버의 내부에는 일면이 개구되는 공간이 형성되고, The space according to any one of claims 1 to 4, wherein a space in which one surface is opened is formed inside the cover. 상기 공간에 상기 메인몸체가 삽입되어 안착되며,The main body is inserted and seated in the space, 상기 메인몸체의 양측면에는 결합돌기가 형성되고, 상기 커버의 양측면에는 상기 결합돌기가 관통하여 걸어지는 결합공이 형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컨택트 스위치 어셈블리.Coupling projections are formed on both sides of the main body, the contact switch assembly, characterized in that the coupling hole is formed through the coupling projections on both sides of the cover.
KR2020080015418U 2008-11-19 2008-11-19 contact switch assembly KR20100005469U (en)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80015418U KR20100005469U (en) 2008-11-19 2008-11-19 contact switch assembly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80015418U KR20100005469U (en) 2008-11-19 2008-11-19 contact switch assembly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00005469U true KR20100005469U (en) 2010-05-27

Family

ID=4445102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080015418U KR20100005469U (en) 2008-11-19 2008-11-19 contact switch assembly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100005469U (en)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20090008655U (en) Fixing structure of bracket for box
KR100988786B1 (en) Connector assembly
KR20090044365A (en) Connector
KR20100005469U (en) contact switch assembly
KR100936255B1 (en) Panel mounting type connector assembly
JP4830803B2 (en) Covered connector
KR200442526Y1 (en) Connector housing
KR200448593Y1 (en) Connector
KR101009362B1 (en) Connector assembly
US7976095B2 (en) Integrated switch mount and harness hook
KR20120014709A (en) Connector assembly
KR20090072743A (en) Connector
KR200406008Y1 (en) connector for an automobile
KR20090129229A (en) Connector assembly
JP2006081276A (en) Electric connection box
KR20080086581A (en) Connector assembly
KR100719326B1 (en) Terminal Housing
KR20100006545U (en) Contact switch
KR102673379B1 (en) Bulb holder bracket
KR20080014462A (en) Cover mounting structure of box
KR101364113B1 (en) Connector
KR200158632Y1 (en) Anchoring structure for lamp cover of a refrigerator
KR101083720B1 (en) Connector
KR20080001227U (en) Lever type connector
KR20100070894A (en) Connector assembly for box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WITN Withdrawal due to no request for examin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