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00005140U - 의료용 밴드 - Google Patents

의료용 밴드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00005140U
KR20100005140U KR2020080014973U KR20080014973U KR20100005140U KR 20100005140 U KR20100005140 U KR 20100005140U KR 2020080014973 U KR2020080014973 U KR 2020080014973U KR 20080014973 U KR20080014973 U KR 20080014973U KR 20100005140 U KR20100005140 U KR 20100005140U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tube
band
male velcro
adhesive
medical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080014973U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송인금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인성메디칼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인성메디칼 filed Critical 주식회사 인성메디칼
Priority to KR2020080014973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100005140U/ko
Publication of KR20100005140U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00005140U/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FFILTERS IMPLANTABLE INTO BLOOD VESSELS; PROSTHESES; DEVICES PROVIDING PATENCY TO, OR PREVENTING COLLAPSING OF, TUBULAR STRUCTURES OF THE BODY, e.g. STENTS; ORTHOPAEDIC, NURSING OR CONTRACEPTIVE DEVICES; FOMENTATION; TREATMENT OR PROTECTION OF EYES OR EARS; BANDAGES, DRESSINGS OR ABSORBENT PADS; FIRST-AID KITS
    • A61F13/00Bandages or dressings; Absorbent pads
    • A61F13/02Adhesive plasters or dressing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FFILTERS IMPLANTABLE INTO BLOOD VESSELS; PROSTHESES; DEVICES PROVIDING PATENCY TO, OR PREVENTING COLLAPSING OF, TUBULAR STRUCTURES OF THE BODY, e.g. STENTS; ORTHOPAEDIC, NURSING OR CONTRACEPTIVE DEVICES; FOMENTATION; TREATMENT OR PROTECTION OF EYES OR EARS; BANDAGES, DRESSINGS OR ABSORBENT PADS; FIRST-AID KITS
    • A61F13/00Bandages or dressings; Absorbent pads
    • A61F13/02Adhesive plasters or dressings
    • A61F13/0246Adhesive plasters or dressings characterised by the skin adhering layer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FFILTERS IMPLANTABLE INTO BLOOD VESSELS; PROSTHESES; DEVICES PROVIDING PATENCY TO, OR PREVENTING COLLAPSING OF, TUBULAR STRUCTURES OF THE BODY, e.g. STENTS; ORTHOPAEDIC, NURSING OR CONTRACEPTIVE DEVICES; FOMENTATION; TREATMENT OR PROTECTION OF EYES OR EARS; BANDAGES, DRESSINGS OR ABSORBENT PADS; FIRST-AID KITS
    • A61F13/00Bandages or dressings; Absorbent pads
    • A61F13/02Adhesive plasters or dressings
    • A61F13/0269Tapes for dressing attachment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MDEVICES FOR INTRODUCING MEDIA INTO, OR ONTO, THE BODY; DEVICES FOR TRANSDUCING BODY MEDIA OR FOR TAKING MEDIA FROM THE BODY; DEVICES FOR PRODUCING OR ENDING SLEEP OR STUPOR
    • A61M25/00Catheters; Hollow probes
    • A61M25/01Introducing, guiding, advancing, emplacing or holding catheters
    • A61M25/02Holding devices, e.g. on the body
    • A61M2025/0253Holding devices, e.g. on the body where the catheter is attached by straps, bands or the like secured by adhesives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Biomedical Technology (AREA)
  • Heart & Thoracic Surgery (AREA)
  • Vascular Medicine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ublic Health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Dermatology (AREA)
  • Epidemiology (AREA)
  • Media Introduction/Drainage Providing Device (AREA)

Abstract

링거 튜브나 카테터 등을 환자 몸에 고정하는데 사용되는 의료용 밴드에 관한 것으로, 튜브를 고정할 때는 물론 해체할 때에도 취급이 용이하도록 개선된 구조가 개시된다. 개시된 의료용 밴드는 접착밴드(10)와 튜브고정패드(20)로 이루어진다. 접착밴드는 바람직하게는 손이나 팔 등의 신체 부위를 한 바퀴 이상 감아 붙일 수 있는 길이로 제작된다. 고정패드는 튜브나 카테터 고정을 위한 것으로서, 암, 수벨크로부(21,22)와 이 암,수벨크로부 사이의 튜브안착부(23)로 이루어지고, 수벨크로부(22)에는 파지부(24)가 외측으로 돌출하게 연장되어 있다. 암, 수벨크로부는 서로 엉겨 붙어서 그 사이에 튜브나 카테터를 구속한다. 서로 엉겨 붙은 암, 수벨크로부는 파지부를 이용하여 쉽게 떼어낼 수 있다. 따라서 튜브를 고정할 때는 물론, 해체할 때에도 암, 수벨크로부의 취급이 용이하여 작업이 간편하고 튜브를 안전하게 고정 및 해체시킬 수 있는 것이다.
의료용 밴드, 접착밴드, 튜브고정패드, 벨크로, 파지부

Description

의료용 밴드{MEDICAL BAND}
본 고안은 링거 튜브나 카테터(catheter) 등을 고정하는데 사용되는 의료용 밴드에 관한 것으로서, 특히 취급이 용이하게 개선된 의료용 밴드에 관한 것이다.
환자의 몸속 내 기관에 또는 그로부터 혈액 또는 약물을 주입하거나 배출하기 위한 링거 튜브 또는 카테터는 신체에 움직이지 않게 잘 고정되어야 하며, 일반적으로는 반창고를 붙여 고정한다. 그러나 반창고는 일일이 적당한 길이로 절단하고 여러 개를 겹겹이 붙여야 하는 등 작업이 번거롭고 더뎠으며, 특히 고정 후에 환자의 거동 등에 의해 쉽게 떨어져 밴드나 카테터를 안전하게 고정할 수 없었다.
이러한 반창고 사용 시의 불편과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종래에 등록실용신안 20-0388189의 의료용 밴드가 제안되어 있다. 종래의 의료용 밴드는 반창고와 같은 부착패드 위에 링거 튜브 또는 카테터(이하, '튜브'라 통칭한다) 고정을 위한 고정패드를 설치한 구조이다. 고정패드는 서로 엉겨 붙는 암벨크로부와 수벨크로부가 간격을 두고 양측에 형성되고 그 사이에 튜브를 접착시킬 수 있는 튜브 접착부를 형성한 것이다. 고정패드의 암벨크로부는 부착패드와 고착되고 수벨크로부는 부착패드와 떨어져 있다. 즉, 튜브를 고정패드의 튜브 접착부에 부착시킨 상태에 서 수벨크로부를 암벨크로부에 엉겨 붙게 함으로써 암, 수벨크로부가 튜브를 감은 채 서로 엉겨 붙음으로써 튜브를 견고하게 고정할 수 있는 것이다.
이러한 종래의 의료용 밴드를 사용하면 반창고 사용 시에 비해 작업이 훨씬 간편하고 신속해 짐은 물론이다.
전술한 종래의 의료용 밴드에 있어서 암, 수벨크로부가 대략 같은 면적으로 되어 상호간 전면이 엉겨 붙게 되어 있는데, 이와 같이 전면이 엉겨 붙는 암, 수벨크로부는 다시 떼어 내기가 쉽지 않다. 즉, 환자에 대한 의료 처치 완료 후 튜브를 해체하기 위해서는 그 튜브를 고정패드에서 분리시켜야 하는데, 전면이 엉겨 붙은 암, 수벨크로부를 떼어 내는데 큰 불편이 따랐으며 이 과정에서 튜브가 크게 유동되고, 이로 인해 그 튜브에 연결된 주사바늘 등이 신체의 기관을 자극하여 환자가 통증을 호소하거나 심지어 신체 기관을 손상시키는 일이 종종 발생되었다.
한편, 종래의 의료용 밴드는 부착패드와 신체의 피부 사이에 그 부착패드의 접착력에 의존하여 밴드를 지탱하였으나, 환자의 잦은 거동 등에 의해 그 접착력이 점차 약화되어 쉽게 떨어지는 문제점이 있으며, 따라서 대체로 산만하고 호기심 많은 어린이나 유아의 경우에 특히 주의 관찰이 요구되었다.
본 고안의 목적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감안, 튜브를 고정할 때는 물론, 그 사용 후 해체하는 경우에도 취급이 용이하도록 개선된 의료용 밴드를 제공하는 것이다.
본 고안의 목적은 또한 튜브를 환자의 신체에 지속적으로 안전하게 고정할 수 있는 의료용 밴드를 제공하는 것이다.
상기 첫 번째 목적을 달성하는 본 고안에 따른 의료용 밴드는, 신체에 접착되는 접착밴드, 이 접착밴드에 붙어 있는 암벨크로부와 접착밴드와 떨어져 있는 수벨크로부로 이루어지고 그 암, 수벨크로부 사이에 튜브안착부를 갖는 튜브고정패드가 구비된 것으로서, 암, 수벨크로부가 서로 엉겨 붙은 상태에서 수벨크로부에서 외측으로 돌출하게 연장되어 잡을 수 있는 파지부가 형성되어 있는 것을 그 특징으로 한다.
바람직한 형태로서, 상기 튜브고정패드는 2 이상 구비될 수 있다.
한편, 상기 두 번째 목적을 달성하는 본 고안에 따른 의료용 밴드는 전술한 특징에 있어서 접착밴드가 띠 모양으로서 신체의 손이나 팔 등에 한 바퀴 이상 감아 붙일 수 있는 길이로 형성된 것을 그 특징으로 한다.
상기 첫 번째 특징에 따른 본 고안의 의료용 밴드에 의하면, 튜브를 고정함에 있어서 신속하고 간편하게 작업할 수 있음은 물론이며, 의료 조치 완료 후 튜브를 해체할 때에도 튜브를 감싸고 서로 엉겨 붙은 암, 수벨크로부를 전술한 파지부를 이용하여 쉽게 떼어낼 수 있어 그 튜브를 해체작업도 간편하고 그 과정에서 튜브를 크게 유동시키지 않아서 환자가 통증을 호소하거나 신체 기관이 손상되는 문제를 간단히 해결할 수 있다.
또한 상기 두 번째 특징에 따른 본 고안의 의료용 밴드에 의하면, 접착밴드가 환자의 손이나 팔 등의 신체 부위를 한 바퀴 이상 감아 붙일 수 있으므로 환자 신체와의 견고한 접착 상태를 지속적으로 유지할 수 있다. 따라서 치료중 환자의 거동 등에 의해 튜브가 유동되거나 신체에서 분리되는 일이 없어 안전하며, 어린이나 유아의 경우에도 비교적 안전한 것이다.
상기한 바와 같은 본 고안의 바람직한 실시 예를 첨부된 도면에 의하여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 1은 본 고안에 따른 의료용 밴드의 외관을 보인 사시도이고, 도 2는 본 고안에 따른 의료용 밴드의 이형지가 분리된 상태를 보인 사시도이며, 도 3은 본 고안에 따른 의료용 밴드의 부분 단면도, 도 4a 및 4b는 본 고안에 따른 의료용 밴드의 튜브고정패드에 튜브를 고정하는 과정을 순서 도시한 사시도, 도 5는 본 고안에 따른 의료용 밴드를 손등에 사용한 상태를 보인 예시도이다.
먼저 도 1을 참조하면, 본 고안에 따른 의료용 밴드는 접착밴드(10)와 튜브고정패드(20)로 이루어진다. 접착밴드(10)는 반창고와 같은 것으로 그 밴드 본체가 통기성 직물로 되고 그 하면에 피부와 부착하는 점착제(11)가 도포되어 있다. 접착밴드(10)는 띠 모양으로서 충분한 길이, 바람직하게는 손이나 팔 등의 신체 부위를 한 바퀴 이상 감아 붙일 수 있는 길이로 제작된다. 고정패드(20)는 전술한 바와 같은 튜브를 고정하기 위한 것으로서, 암, 수벨크로부(21,22)와 이 암,수벨크로부 사이의 튜브안착부(23)로 이루어지고, 수벨크로부(22)에는 파지부(24)가 외측 으로 돌출하게 연장되어 있다. 암벨크로부(21)는 접착밴드(10) 위에 떨어지지 않게 붙어 있고, 수벨크로부(22)는 접착밴드(10)와 분리되어 그 수벨크로부(22)를 암벨크로부(21)에 엉겨 붙일 수 있게 된 것이다. 암, 수벨크로부(21,22)는 대략 같은 면적으로 되어 전면에서 서로 엉겨 붙도록 되어 있다. 즉, 암, 수벨크로부(21,22)의 전면이 서로 엉겨 붙은 상태에서도 수벨크로부(22)에서 연장된 파지부(24)는 손으로 쉽게 잡을 수 있는 것이다. 여기서 암, 수벨크로부는 그 위치가 서로 맞바뀌어도 무방하다.
도 2 및 도 3을 참조하면, 접착밴드(10)의 점착제(11) 위에는 이형지(12,13)가 가접착된다. 즉, 그 이형지(12,13)에 의해 점착제(11)가 오염되지 않게 보호된 상태로 유통되며, 그 이형지(12,13)를 떼어서 사용하면 된다. 튜브고정패드(20)의 튜브안착부(23)는 점착제(25)가 도포되고 그 위에 이형지(26)가 가접착된다.
도 4a 및 4b에 나타난 바와 같이, 튜브고정패드(20)의 접착층(25)에 튜브(30)를 안착시킨 상태에서 수벨크로부(22)를 암벨크로부(21) 측으로 접어 개켜서 꼭 누르면 암, 수벨크로부(21,22)가 튜브(30)를 감싸는 상태로 서로 엉겨 붙게 된다. 따라서 튜브는 암, 수벨크로부(21,22) 사이에서 구속되어 그로부터 이탈될 수 없는 상태가 되며, 또한 접착층(25)에 부착된 상태이므로 그 길이방향으로도 유동되지 못한다.
도 5는 본 고안에 따른 의료용 밴드를 신체의 손등에 부착한 상태를 보인 것이다. 도시된 바와 같이 접착밴드(10)는 손 등 주위에 한 바퀴 이상 감아 붙여진 상태로 튜브(30)를 지탱한다. 따라서 환자의 거동 등에 의해 접착밴드(10)의 접착 상태는 매우 견고하며, 치료동안 그 견고한 상태가 유지되는 것이다. 튜브(30)는 또한 튜브고정패드(20)의 서로 엉겨 붙은 암, 수벨크로부(21,22)에 구속되고 또한 전술한 접착층(23)에 의해 유동됨이 없이 신체와 고정된 상태로 유지되는 것이다.
이와 같은 상태에서, 치료가 완료된 후 튜브를 해체하고자 할 때에는 도면에 가상선으로 나타낸 바와 같이 수벨크로부(22)를 암벨크로부로부터 떼어서 펼쳐주면 되는데, 이때 파지부(24)를 이용하여 수벨크로부(22)를 쉽게 떼어낼 수 있는 것이다. 이 과정에서도 튜브(30)는 전술한 접착층(23)에 부착된 상태로 유지되므로 크게 유동되지 아니하는 것이다. 즉, 간편하고 안전하게 튜브(30)를 해체할 수 있으며, 따라서 그 해체 과정에서 튜브(30)의 유동으로 인해 신체 기관이 자극받아 통증을 일으키거나 손상되는 문제가 일어나지 않는 것이다.
다음, 도 6은 본 고안의 다른 실시예로서, 하나의 접착밴드(10a)에 2개의 튜브고정패드(20a,20b)가 설치되어 2개의 튜브(30a,30b)를 동시에 고정할 수 있는 구조를 예시한 것이다. 2개의 튜브고정패드(20a,20b)는 전술한 실시예와 같은 구조로서 각각 파지부(24a,24b)를 가지고 있다.
앞의 실시예들에 있어서 파지부(24,24a,24b)는 반원형으로 예시되었으나, 쉽게 잡을 수 있는 형태라면 어떤 모양이라도 괜찮다.
본 고안은 이상의 실시예들에 의해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동일한 기술사상의 범위 내에서 또 다른 여러 가지 실시가 가능한 것이다.
도 1 은 본 고안에 따른 의료용 밴드의 외관을 보인 사시도.
도 2 는 본 고안에 따른 의료용 밴드의 이형지가 분리된 상태를 보인 사시도.
도 3은 본 고안에 따른 의료용 밴드의 부분 단면도.
도 4a 및 4b는 본 고안에 따른 의료용 밴드의 튜브고정패드에 튜브를 고정하는 과정을 순서 도시한 사시도.
도 5는 본 고안에 따른 의료용 밴드를 손등에 사용한 상태를 보인 예시도.
도 6은 본 고안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의료용 밴드의 사용상태 사시도.
*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
10: 접착밴드
20: 튜브고정패드
21: 암벨크로부
22: 수벨크로부
24: 파지부
30: 튜브

Claims (3)

  1. 신체에 접착되는 접착밴드, 이 접착밴드에 붙어 있는 암벨크로부와 접착밴드와 떨어져 있는 수벨크로부로 이루어지고 그 암, 수벨크로부 사이에 튜브안착부를 갖는 튜브고정패드가 구비된 것으로서, 암, 수벨크로부가 서로 엉겨 붙은 상태에서 수벨크로부에서 외측으로 돌출하게 연장되어 잡을 수 있는 파지부가 형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의료용 밴드.
  2.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튜브고정패드가 2 이상 구비되어 2 이상의 튜브를 동시에 고정할 수 있게 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의료용 밴드.
  3.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접착밴드가 신체의 손이나 팔 등에 한 바퀴 이상 감아 붙일 수 있는 충분한 길이로 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의료용 밴드.
KR2020080014973U 2008-11-10 2008-11-10 의료용 밴드 KR20100005140U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80014973U KR20100005140U (ko) 2008-11-10 2008-11-10 의료용 밴드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80014973U KR20100005140U (ko) 2008-11-10 2008-11-10 의료용 밴드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00005140U true KR20100005140U (ko) 2010-05-19

Family

ID=4445073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080014973U KR20100005140U (ko) 2008-11-10 2008-11-10 의료용 밴드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100005140U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477208Y1 (ko) * 2013-11-27 2015-06-16 주식회사 애니원 밴드형 각반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477208Y1 (ko) * 2013-11-27 2015-06-16 주식회사 애니원 밴드형 각반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WO2007110642B1 (en) Support devices for catheters
JP6348417B2 (ja) 一体型固定ストリップによるカテーテルの固定
JP2015505706A5 (ko)
US9227039B1 (en) Holder for medical IV or catheter device
US20010037077A1 (en) Super care bandages
WO2006129537A1 (ja) テーピングテープ
KR20100005140U (ko) 의료용 밴드
JP5210750B2 (ja) 手関節固定具
JP3877628B2 (ja) 治療用テープ
JP3115302U (ja) 耳掛け紐の当たり緩和具
JP2011072379A (ja) 安全性の高いカニューレホルダー
CN205849655U (zh) 头部敷料固定帽
CN214967403U (zh) 一种手术约束带
CN213788078U (zh) 约束手套
JP3161028U (ja) 耳の細部清掃具
CN107496067B (zh) 一种交腹皮瓣固定装置
CN216439769U (zh) 一种儿童用穿刺部位固定板的便携套袋
CN220256590U (zh) 一种picc固定防拔管保护套
CN215653311U (zh) 一种picc固定带
JP3186312U (ja) 透析器具又は注射器具固定用テープ
CN209827169U (zh) 一种医用约束带
AU2016236123B2 (en) A bandage securing device
CN213372857U (zh) 一种约束带用防抓保护套
JP7274296B2 (ja) パンツ型使い捨ておむつ
CN208096895U (zh) 一种皮肤科包扎用辅助固定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