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00004746U - 드럼세탁기 - Google Patents

드럼세탁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00004746U
KR20100004746U KR2020080014458U KR20080014458U KR20100004746U KR 20100004746 U KR20100004746 U KR 20100004746U KR 2020080014458 U KR2020080014458 U KR 2020080014458U KR 20080014458 U KR20080014458 U KR 20080014458U KR 20100004746 U KR20100004746 U KR 20100004746U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washing machine
tub
water supply
supply pipe
dry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080014458U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주성수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대우일렉트로닉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대우일렉트로닉스 filed Critical 주식회사 대우일렉트로닉스
Priority to KR2020080014458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100004746U/ko
Publication of KR20100004746U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00004746U/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DTEXTILES; PAPER
    • D06TREATMENT OF TEXTILES OR THE LIKE; LAUNDERING; FLEXIBLE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D06FLAUNDERING, DRYING, IRONING, PRESSING OR FOLDING TEXTILE ARTICLES
    • D06F25/00Washing machines with receptacles, e.g. perforated, having a rotary movement, e.g. oscillatory movement, the receptacle serving both for washing and for centrifugally separating water from the laundry and having further drying means, e.g. using hot air 
    • DTEXTILES; PAPER
    • D06TREATMENT OF TEXTILES OR THE LIKE; LAUNDERING; FLEXIBLE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D06FLAUNDERING, DRYING, IRONING, PRESSING OR FOLDING TEXTILE ARTICLES
    • D06F37/00Details specific to washing machines covered by groups D06F21/00 - D06F25/00
    • D06F37/02Rotary receptacles, e.g. drums
    • D06F37/04Rotary receptacles, e.g. drums adapted for rotation or oscillation about a horizontal or inclined axis
    • DTEXTILES; PAPER
    • D06TREATMENT OF TEXTILES OR THE LIKE; LAUNDERING; FLEXIBLE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D06FLAUNDERING, DRYING, IRONING, PRESSING OR FOLDING TEXTILE ARTICLES
    • D06F37/00Details specific to washing machines covered by groups D06F21/00 - D06F25/00
    • D06F37/20Mountings, e.g. resilient mountings, for the rotary receptacle, motor, tub or casing; Preventing or damping vibrations
    • D06F37/22Mountings, e.g. resilient mountings, for the rotary receptacle, motor, tub or casing; Preventing or damping vibrations in machines with a receptacle rotating or oscillating about a horizontal axis
    • DTEXTILES; PAPER
    • D06TREATMENT OF TEXTILES OR THE LIKE; LAUNDERING; FLEXIBLE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D06FLAUNDERING, DRYING, IRONING, PRESSING OR FOLDING TEXTILE ARTICLES
    • D06F58/00Domestic laundry dryers
    • D06F58/02Domestic laundry dryers having dryer drums rotating about a horizontal axis
    • D06F58/04Details 
    • DTEXTILES; PAPER
    • D06TREATMENT OF TEXTILES OR THE LIKE; LAUNDERING; FLEXIBLE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D06FLAUNDERING, DRYING, IRONING, PRESSING OR FOLDING TEXTILE ARTICLES
    • D06F58/00Domestic laundry dryers
    • D06F58/10Drying cabinets or drying chambers having heating or ventilating means
    • DTEXTILES; PAPER
    • D06TREATMENT OF TEXTILES OR THE LIKE; LAUNDERING; FLEXIBLE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D06FLAUNDERING, DRYING, IRONING, PRESSING OR FOLDING TEXTILE ARTICLES
    • D06F58/00Domestic laundry dryers
    • D06F58/20General details of domestic laundry dryers 
    • D06F58/26Heating arrangements, e.g. gas heating equipment
    • D06F58/263Gas heating equipment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BCLIMATE CHANGE MITIGATION TECHNOLOGIES RELATED TO BUILDINGS, e.g. HOUSING, HOUSE APPLIANCES OR RELATED END-USER APPLICATIONS
    • Y02B40/00Technologies aiming at improving the efficiency of home appliances, e.g. induction cooking or efficient technologies for refrigerators, freezers or dish washers

Abstract

본 고안은 드럼세탁기에 관한 것으로서, 특히, 세탁작동이 완료된 후에 진행되는 건조작동의 효율이 향상되도록 하는 드럼세탁기에 관한 것이다.
본 고안은, 터브에 구비되어 건조작동이 개시되면 상기 터브 내부의 공기가 순환되는 건조덕트; 상기 터브에 냉각수를 공급하는 급수관으로부터 분기되어 상기 건조덕트에 냉각수를 공급하는 보조급수관; 및 상기 급수관과 상기 보조급수관 사이에 구비되는 밸브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드럼세탁기를 제공한다.
세탁기, 드럼세탁기, 건조덕트, 수직관, 수평관

Description

드럼세탁기 {DRUM TYPE WASHING MACHINE}
본 고안은 드럼세탁기에 관한 것으로서, 특히, 세탁작동이 완료된 후에 진행되는 건조작동의 효율이 향상되도록 하는 드럼세탁기에 관한 것이다.
도 1은 일반적인 세탁기가 도시된 구성도이다.
도 1을 참조하면, 종래 기술에 따른 세탁기는 캐비닛(1) 내부에 설치되어 세탁수를 담수하는 터브(2)와, 터브(2)에 회전 가능하게 설치되어 세탁물이 수납되는 드럼(3)과, 드럼(3)을 회전시키는 구동장치(10)와, 터브(2)에 세탁수를 공급하는 급수장치(5)와, 세탁작동이 종료된 후에 세탁수를 캐비닛(1) 외측으로 배출하는 배수장치(7)를 포함한다.
여기서, 터브(2)에는 세탁작동이 종료된 후에 세탁물을 건조하기 위한 건조덕트(20)가 구비되는데, 건조덕트(20)는 터브(2)의 저면으로부터 터브(2)의 상단까지 설치되고, 건조덕트(20) 내부에는 터브(2) 내부의 공기를 순환시키는 송풍팬(22)과, 순환되는 공기를 가열하여 수분을 제거하는 히터(24)가 설치된다.
이로써, 건조작동이 개시되면 송풍팬(22)이 구동되어 터브(2) 내부의 공기가 터브(2)의 저면으로부터 건조덕트(20)로 유입되고, 송풍팬(22)을 지난 공기는 히터(24)를 지나면서 공기 중의 수분이 감소된 상태로 다시 터브(2) 내부로 순환된다.
종래 기술에 따른 드럼세탁기는 건조덕트를 통해 순환되는 공기 중의 수분을 제거하기 위해 설치되는 히터 외에 추가로 수분을 제거하는 장치가 구비되지 않기 때문에 건조효율을 소정치 이상 향상시키기 어려운 문제점이 있다.
따라서 이를 개선할 필요성이 요청된다.
본 고안은 건조효율이 향상되어 건조작동에 소요되는 시간 및 전기에너지를 절감할 수 있는 드럼세탁기를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고안은, 터브에 구비되어 건조작동이 개시되면 상기 터브 내부의 공기가 순환되는 건조덕트; 상기 터브에 냉각수를 공급하는 급수관으로부터 분기되어 상기 건조덕트에 냉각수를 공급하는 보조급수관; 및 상기 급수관과 상기 보조급수관 사이에 구비되는 밸브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드럼세탁기를 제공한다.
또한, 본 고안의 상기 건조덕트에는 냉각수의 유로를 연장하는 굴절패널이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드럼세탁기를 제공한다.
또한, 본 고안의 상기 굴절패널은 하측 방향으로 기울어지게 배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드럼세탁기를 제공한다.
본 고안에 따른 드럼세탁기는 건조덕트에 냉각수를 공급하는 보조급수관이 구비됨으로써, 세탁작동이 종료된 후에 터브로부터 순환되는 공기와 냉각수가 접촉되므로 공기의 온도를 낮추고, 공기 중의 수분을 효과적으로 포집하여 건조효율이 향상되고, 건조작동에 소요되는 시간 및 비용을 절감할 수 있는 이점이 있다.
또한, 본 고안에 다른 드럼세탁기는 건조덕트 내부로 공급되는 냉각수가 비산되게 하는 굴절패널이 형성됨으로써, 건조덕트 내부로 공급되는 냉각수의 유로가 굴절패널에 의해 더 길게 연장되고, 굴절패널과 충돌되는 냉각수가 건조덕트 내부에서 비산되므로 냉각수와 공기가 접촉되는 시간을 늘어나게 되어 효과적인 냉각 및 수분의 포집을 행할 수 있는 이점이 있다.
이하, 첨부된 도면들을 참조하여 본 고안에 따른 드럼세탁기의 일 실시예를 설명한다.
이러한 과정에서 도면에 도시된 선들의 두께나 구성요소의 크기 등은 설명의 명료성과 편의상 과장되게 도시되어 있을 수 있다.
또한, 후술되는 용어들은 본 고안에서의 기능을 고려하여 정의된 용어들로써, 이는 사용자, 운용자의 의도 또는 관례에 따라 달라질 수 있다.
그러므로 이러한 용어들에 대한 정의는 본 명세서 전반에 걸친 내용을 토대로 내려져야 할 것이다.
도 2는 본 고안의 일 실시예에 따른 드럼세탁기가 도시된 단면도이고, 도 3은 본 고안의 일 실시예에 따른 드럼세탁기의 건조덕트가 도시된 단면도이다.
도 2 및 도 3을 참조하면, 본 고안의 일 실시예에 따른 드럼세탁기는 세탁수를 담수하는 터브(52)와, 터브(52)에 회전 가능하게 구비되어 세탁물이 수납되는 드럼(54)과, 터브(52)에 구비되어 드럼(54)을 회전시키는 구동장치(62)와, 세탁작동이 종료된 후에 터브(52)로부터 세탁수를 배출시키는 배수장치(64)와, 터브(52)에 구비되어 배수작동이 종료된 후에 터브(52) 내부의 공기가 순환되는 건조덕트(80)를 포함한다.
이로써, 세탁작동 및 헹굼작동이 종료되면 배수장치(64)에 의해 세탁수가 캐비닛(50) 외측으로 배수되고, 터브(52) 내부의 공기는 건조덕트(80)를 따라 순환하면서 공기 중의 수분이 배출되고, 건조공기가 터브(52)로 다시 공급되면서 건조작동이 진행된다.
여기서, 건조덕트(80)는 터브(52)의 저면으로부터 상단까지 연결되고, 건조덕트(80)의 내부에는 송풍팬(86)이 설치되어 터브(52) 저면으로부터 유입되는 공기는 건조덕트(80)를 지나 터브(52)의 상단으로 분사된다.
또한, 건조덕트(52)의 내부에는 히터(88)가 설치되므로 송풍팬(86)을 지난 공기를 가열하여 터브(52) 내부로부터 유입되는 공기를 고온의 건조 공기로 변환시키게 된다.
상기한 바와 같이 터브(52) 저면으로부터 터브(52)의 상단까지 연결되는 건조덕트(80)는 'ㄱ' 모양으로 절곡되어 수직 방향으로 배치되는 수직관(84)과, 수평 방향으로 배치되는 수평관(82)으로 이루어지는데, 송풍팬(86)은 수직관(84)과 수평관(82)의 연결부위에 설치되고, 히터(88)는 수평관(82) 내부에 설치된다.
수직관(84)에는 급수장치(70)로부터 분기되는 보조급수관(78)이 연결되는데, 보조급수관(78)은 급수관(72)에 설치되는 밸브(76)에 냉각수의 공급 여부가 결정된다.
보조급수관(78)은 수직관(84) 일측에 연결되므로 건조작동이 개시될 때에 송풍팬(86)의 구동과 동시에 밸브(76)가 구동되어 보조급수관(78)에 냉각수가 공급되면 수직관(84)의 하단으로부터 유입되는 공기와 수직관(84)의 상단으로부터 유입되는 공기가 수직관(84) 내부에서 접촉하게 된다.
하측 방향으로 떨어지는 냉각수는 공기의 온도를 낮춤과 동시에 공기 중의 수분을 포집하여 하측 방향으로 떨어지게 되므로 냉각수가 저온 건조 공기로 변환되는 효과가 나타나게 된다.
또한, 수직관(84) 내부에는 다수 개의 굴절패널(90)이 형성됨으로써, 수직관(84)을 따라 하측 방향으로 떨어지는 냉각수는 굴절패널(90)을 따라 유동되면서 수직관(84)을 통과하는 냉각수의 유로가 길어지게 된다.
이로써, 냉각수와 공기 사이의 접촉 시간이 증가되므로 냉각수 접촉에 의한 공기의 냉각 및 수분의 포집이 보다 효과적으로 이루어질 수 있게 된다.
또한, 굴절패널(90)에 충돌되는 냉각수는 수직관(84) 내부에서 비산되므로 냉각수와 공기 사이의 접촉 면적이 넓어지는 효과가 나타나게 되며, 이렇게 접촉 면적이 증가하게 되면 냉각작용 및 수분의 포집이 보다 효과적으로 이루어질 수 있 게 된다.
여기서, 굴절패널(90)은 하측 방향으로 기울어지게 배치되므로 굴절패널(90)에 충돌된 냉각수가 굴절패널(90)과 수직관(84) 사이에 잔존하지 않고 하측 방향으로 흐를 수 있도록 한다.
또한, 굴절패널(90)은 수직관(84) 내벽에 다수 개가 형성되고, 다수 개의 굴절패널(90)이 좌우에 교호로 배치됨으로써, 좌측에 위치한 굴절패널(90)에 충돌된 냉각수는 하측 방향으로 떨어지면서 우측에 위치한 굴절패널(90)과 충돌되고, 이러한 작용이 반복하여 다수 차례 이루어지게 된다.
아울러, 굴절패널(90)은 다양한 모양으로 응용이 가능하지만, 본 고안의 기술구성을 인지한 당업자가 용이하게 변경하여 실시할 수 있으므로 굴절패널(90)의 다른 실시예에 대한 도면이나 구체적인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
상기와 같이 구성된 본 고안의 일 실시예에 따른 드럼세탁기의 동작을 살펴보면 다음과 같다.
먼저, 사용자가 드럼(54)에 세탁물을 수납한 후에 세제함(74)에 세제를 투입하고, 컨트롤패널을 조작하여 세탁작동을 개시하면 급수장치(70)에 의해 터브(52) 내부에 세탁수가 공급된다.
이때, 밸브(76)는 보조급수관(78)을 차단하므로 급수관(72)을 따라 공급되는 세탁수는 터브(52) 내측으로만 공급되고, 세제함(74)을 지나면서 세제와 함께 터브(52) 내부로 공급된다.
세탁수 및 세제의 공급이 완료되면 구동장치(62)에 전원이 인가되어 드 럼(54)이 회전되면서 세탁작동이 이루어지게 된다.
세탁작동이 종료된 후에는 세제를 포함하지 않은 세탁수가 터브(52)로 공급되어 드럼(54)이 회전되는 헹굼작동이 다수 차례 진행되고, 헹굼작동이 종료되면 배수장치(64)에 의해 세탁수가 캐비닛(50) 외측으로 배수된다.
배수작동이 완료된 후에는 송풍팬(86) 및 히터(88)에 전원이 인가되어 터브(52) 내부의 공기가 건조덕트(80)를 따라 순환하게 되는데, 이때, 밸브(76)가 개방되어 급수관(72)을 통해 공급되는 세탁수가 건조덕트(80)의 수직관(84)으로 공급되면서 냉각수 역할을 행하게 된다.
건조덕트(80)의 수직관(84) 상단으로 공급되는 공기는 수직관(84) 하측으로 떨어지면서 굴절패널(90)에 충돌되어 진행 방향이 바뀌게 되는데, 좌우에 교호로 배치되는 굴절패널(90)에 의해 냉각수의 유로는 수직관(84)의 길이 이상으로 길어지게 된다.
이렇게 냉각수의 유로가 길어지게 되면 송풍팬(86)에 의해 수직관(84)의 하단으로부터 상측으로 상승되는 공기와 냉각수의 접촉 시간이 증가하게 되므로 냉각수는 공기의 냉각 및 공기 중의 수분을 효과적으로 포집하게 된다.
또한, 굴절패널(90)에 충돌되는 냉각수는 수직관(84) 내부에서 비산되므로 공기와의 접촉면적 또한 증가하게 되어 냉각작용 및 수분의 포집은 보다 효과적으로 이루어지게 된다.
이렇게 수직관(84)을 통과하면서 저온 건조 공기로 변환된 공기는 수평관(820을 지나면서 히터(88)에 의해 가열되어 고온 건조 공기로 변환되므로 터 브(52) 내부로 다시 분사될 때에 세탁물의 건조작동을 효과적으로 행할 수 있게 된다.
이로써, 건조효율이 향상되어 건조작동에 소요되는 시간 및 전기에너지를 절감할 수 있는 드럼세탁기를 제공할 수 있게 된다.
본 고안은 도면에 도시되는 일 실시예를 참고로 하여 설명되었으나, 이는 예시적인 것에 불과하며, 당해 기술이 속하는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이로부터 다양한 변형 및 균등한 타 실시예가 가능하다는 점을 이해할 것이다.
또한, 드럼세탁기를 예로 들어 설명하였으나, 이는 예시적인 것에 불과하며, 드럼세탁기가 아닌 다른 제품에도 본 고안의 건조덕트가 사용될 수 있다.
따라서 본 고안의 진정한 기술적 보호범위는 아래의 실용신안등록청구범위에 의해서 정하여져야 할 것이다.
도 1은 일반적인 세탁기가 도시된 구성도이다.
도 2는 본 고안의 일 실시예에 따른 드럼세탁기가 도시된 단면도이다.
도 3은 본 고안의 일 실시예에 따른 드럼세탁기의 건조덕트가 도시된 단면도이다.
<도면의 주요 부분에 관한 부호의 설명>
50 : 캐비닛 52 : 터브
54 : 드럼 62 : 구동장치
64 : 배수장치 70 : 급수장치
72 : 급수관 74 : 세제함
76 : 밸브 78 : 보조급수관
80 : 건조덕트 82 : 수평관
84 : 수직관 86 : 송풍팬
88 : 히터 90 : 굴절패널

Claims (3)

  1. 터브에 구비되어 건조작동이 개시되면 상기 터브 내부의 공기가 순환되는 건조덕트; 및
    상기 터브에 냉각수를 공급하는 급수관으로부터 분기되어 상기 건조덕트에 냉각수를 공급하는 보조급수관; 및
    상기 급수관과 상기 보조급수관 사이에 구비되는 밸브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드럼세탁기.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건조덕트에는 냉각수의 유로를 연장하는 굴절패널이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드럼세탁기.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굴절패널은 하측 방향으로 기울어지게 배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드럼세탁기.
KR2020080014458U 2008-10-29 2008-10-29 드럼세탁기 KR20100004746U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80014458U KR20100004746U (ko) 2008-10-29 2008-10-29 드럼세탁기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80014458U KR20100004746U (ko) 2008-10-29 2008-10-29 드럼세탁기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00004746U true KR20100004746U (ko) 2010-05-10

Family

ID=4445039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080014458U KR20100004746U (ko) 2008-10-29 2008-10-29 드럼세탁기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100004746U (ko)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20050223503A1 (en) Heating apparatus of washing machine and washing method thereof
KR100644834B1 (ko) 세탁기의 건조장치
JP6040418B2 (ja) 衣類乾燥機
CN204723007U (zh) 洗碗机
CN104739345A (zh) 洗碗机
JP2005323697A (ja) 洗濯乾燥機および洗濯機
KR20060031164A (ko) 건조 세탁기
KR100617110B1 (ko) 건조겸용 드럼세탁기
KR20140109119A (ko) 세탁물 처리장치
US20060107706A1 (en) Washing machine
KR20100001440A (ko) 응축식 건조장치 및 이를 구비하는 세탁기
JP3574423B2 (ja) パルセーター方式の乾燥洗濯機
CN112553851B (zh) 一种冷却除湿装置
KR101492986B1 (ko) 드럼세탁기
KR20100020788A (ko) 식기 세척기
KR20120073582A (ko) 응축식 건조장치
KR101234069B1 (ko) 건조 겸용 드럼 세탁기
KR20100004746U (ko) 드럼세탁기
CN204385474U (zh) 洗干一体洗衣机
KR100382505B1 (ko) 건조세탁기용 제습장치
KR101387544B1 (ko) 의류처리장치
CN100398720C (zh) 具有烘干功能的家电产品
KR100648171B1 (ko) 드럼세탁기의 제습장치
KR100795050B1 (ko) 응축식 건조장치 및 이를 구비하는 드럼세탁기
JP2008006123A (ja) 洗濯乾燥機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WITN Application deemed withdrawn, e.g. because no request for examination was filed or no examination fee was pai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