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00004745A - 휴대 단말기용 스윙식 덮개 개폐장치 - Google Patents

휴대 단말기용 스윙식 덮개 개폐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00004745A
KR20100004745A KR1020080065087A KR20080065087A KR20100004745A KR 20100004745 A KR20100004745 A KR 20100004745A KR 1020080065087 A KR1020080065087 A KR 1020080065087A KR 20080065087 A KR20080065087 A KR 20080065087A KR 20100004745 A KR20100004745 A KR 20100004745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over
rotating body
swing
closing device
fixing plat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80065087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0988605B1 (ko
Inventor
김용연
Original Assignee
(주) 프렉코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 프렉코 filed Critical (주) 프렉코
Priority to KR1020080065087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988605B1/ko
Priority to PCT/KR2008/005120 priority patent/WO2010002065A1/en
Priority to US13/002,481 priority patent/US8185172B2/en
Priority to JP2011516093A priority patent/JP2011526764A/ja
Publication of KR20100004745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00004745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988605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988605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BTRANSMISSION
    • H04B1/00Details of transmission systems, not covered by a single one of groups H04B3/00 - H04B13/00; Details of transmission systems not characterised by the medium used for transmission
    • H04B1/38Transceivers, i.e. devices in which transmitter and receiver form a structural unit and in which at least one part is used for functions of transmitting and receiving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MTELEPHONIC COMMUNICATION
    • H04M1/00Substation equipment, e.g. for use by subscribers
    • H04M1/02Constructional features of telephone sets
    • H04M1/0202Portable telephone sets, e.g. cordless phones, mobile phones or bar type handsets
    • H04M1/0206Portable telephones comprising a plurality of mechanically joined movable body parts, e.g. hinged housings
    • H04M1/0208Portable telephones comprising a plurality of mechanically joined movable body parts, e.g. hinged housings characterized by the relative motions of the body parts
    • H04M1/0225Rotatable telephones, i.e. the body parts pivoting to an open position around an axis perpendicular to the plane they define in closed position
    • H04M1/0227Rotatable in one plane, i.e. using a one degree of freedom hinge

Abstract

본 발명의 예시적인 실시예에 따른 휴대 단말기용 스윙식 덮개 개폐장치는, 본체와 덮개로 이루어지고 그 덮개에 형성된 중공축부가 상기 본체에 회전 가능하게 지지되는 휴대 단말기에 구성되어 상기 중공축부를 중심으로 하여 상기 덮개를 시계 또는 반시계 방향으로 회전시키기 위한 것으로서, ⅰ)상기 중공축부에 대응하여 상기 본체의 일측에 고정되게 설치되고, 상기 중공축부가 관통하는 관통공을 지니며 그 관통공의 가장자리 부분에 링형 돌기를 일체로 형성하고 있는 고정판과, ⅱ)중공을 가진 디스크 형태로 이루어지며, 상기 링형 돌기에 회전 가능하게 결합되고, 상기 중공으로 상기 중공축부가 끼워진 상태로 상기 덮개와 체결되는 회전체와, ⅲ)상기 중공에 대응하는 지지 구멍을 형성하고, 상기 지지 구멍을 통해 상기 회전체의 외측 가장자리부를 지지하며 상기 고정판과 결합하는 커버부재와, ⅳ)상기 고정판 및 상기 회전체에 양쪽 끝 부분이 각각 회전 가능하게 결합되어 상기 덮개를 통한 상기 회전체의 회전으로서 그 회전체로 탄성력을 제공하는 탄성유닛을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휴대 단말기, 스윙식, 덮개, 반장동, 개폐, 고정판, 회전체, 탄성유닛, 링크

Description

휴대 단말기용 스윙식 덮개 개폐장치 {SWING TYPE COVER OPENING AND CLOSING DEVICE FOR MOBILE PHONE}
본 발명의 예시적인 실시예는 휴대용 단말기용 덮개 개폐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휴대 단말기의 덮개를 반자동으로서 시계 또는 반 시계 방향으로 회전시킬 수 있도록 하는 휴대 단말기용 스윙식 덮개 개폐장치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고정된 위치가 아닌 장소에서 이동 중에 통신 및 방송 등의 서비스를 무선으로 이용하기 위해서는 휴대폰, PDA, 노트북, 및 DMB폰 등의 휴대 단말기가 많이 사용된다.
상기 휴대 단말기는 정보화 시대에 따른 생활의 편의성을 누리기 위해 없어서는 안 될 중요한 필수품 중의 한가지로 자리 잡고 있으며, 특히 휴대폰의 경우 초, 중, 고등학생과 노인 등에 이르기까지 보급 대상이 매우 광범위하다.
상기와 같이 휴대 단말기는 최근 들어 수요량과 사용자층이 급격히 증가함에 따라 이를 이용하는 소비자의 입장에서는 계속해서 새로운 디자인이나 기능이 부여된 제품을 기대하기에 이르렀다.
상기 휴대 단말기는 키패드가 구비되는 본체와, 디스플레이용 액정이 구비되는 덮개가 상호 개폐 가능하게 결합되며, 통상 본체에 대한 덮개의 개폐 구조에 따라 폴더형 힌지 방식, 슬라이딩 방식, 및 스윙 방식 등으로 구분할 수 있다.
그리고 최근에 DMB(digital multimedia broadcasting)서비스가 상용화됨에 따라 사진 및 동영상 등 멀티미디어를 편리하게 감상할 수 있도록 덮개를 본체에 대해 소정의 각도로 회전시킬 경우 본체와 덮개 사이에 형성되는 스윙장치에 의해 반자동으로 회전되면서 덮개가 본체에 대해 개방되는 구조를 가지는 스윙식 덮개 개폐장치가 소비자에게 큰 인기를 끌고 있다.
그런데, 종래 기술에 따른 대부분의 휴대 단말기용 스윙식 덮개 개폐장치는 반자동으로 덮개를 개폐하도록 구성됨에 따라 제품의 크기 및 두께, 부품수 등이 증가하는 문제점으로 인하여 휴대 단말기의 소형화 및 슬림화에 장애 요인이 되고 있으므로, 이러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기술개발이 절실히 요구되고 있다.
특히, 종래 기술에서는 통상적으로 면 접촉 방식의 캠 및 탄성부재를 채용하여 덮개를 반자동으로서 개폐시키는 구조로서 이루어지므로, 전체적인 구조가 복잡하고, 캠의 면 접촉에 따른 덮개의 개폐 작동이 안정적이지 못다는 문제점을 내포하고 있다.
본 발명의 예시적인 실시예는 상기에서와 같은 문제점을 개선하기 위하여 창출된 것으로서, 간단한 구조로서 덮개의 개폐 동작이 부드럽고 안정적이며 내구성이 향상되고, 휴대 단말기의 슬림화 및 경량화를 구현할 수 있도록 하는 휴대 단말기용 스윙식 덮개 개폐장치를 제공한다.
본 발명의 예시적인 실시예에 따른 휴대 단말기용 스윙식 덮개 개폐장치는, 본체와 덮개로 이루어지고 그 덮개에 형성된 중공축부가 상기 본체에 회전 가능하게 지지되는 휴대 단말기에 구성되어 상기 중공축부를 중심으로 하여 상기 덮개를 시계 또는 반시계 방향으로 회전시키기 위한 것으로서, ⅰ)상기 중공축부에 대응하여 상기 본체의 일측에 고정되게 설치되고, 상기 중공축부가 관통하는 관통공을 지니며 그 관통공의 가장자리 부분에 링형 돌기를 일체로 형성하고 있는 고정판과, ⅱ)중공을 가진 디스크 형태로 이루어지며, 상기 링형 돌기에 회전 가능하게 결합되고, 상기 중공으로 상기 중공축부가 끼워진 상태로 상기 덮개와 체결되는 회전체와, ⅲ)상기 중공에 대응하는 지지 구멍을 형성하고, 상기 지지 구멍을 통해 상기 회전체의 외측 가장자리부를 지지하며 상기 고정판과 결합하는 커버부재와, ⅳ)상기 고정판 및 상기 회전체에 양쪽 끝 부분이 각각 회전 가능하게 결합되어 상기 덮개를 통한 상기 회전체의 회전으로서 그 회전체로 탄성력을 제공하는 탄성유닛을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상기 휴대 단말기용 스윙식 덮개 개폐장치에 있어서, 상기 회전체는 상기 덮개를 통과한 체결부재가 체결될 수 있는 복수의 체결부를 상부면에 형성하고, 상기 링형 돌기와 형태의 결합을 이루는 결합홈을 하부면에 형성할 수 있다.
상기 휴대 단말기용 스윙식 덮개 개폐장치에 있어서, 상기 회전체는 상기 링형 돌기의 내주면을 실질적으로 지지하는 지지 돌기를 구비할 수 있다.
이 경우 상기 지지 돌기는 상기 결합홈의 내측벽으로서 이루어지며, 상기 결합홈의 깊이 보다 상대적으로 큰 폭을 지니며 형성될 수 있다.
상기 휴대 단말기용 스윙식 덮개 개폐장치에 있어서, 상기 고정판은 상기 회전체에 대응하여 적어도 90도 이상의 궤적을 그리는 원호 형상의 레일부가 형성되고, 상기 레일부의 양쪽 끝 부분에 걸림턱이 각각 형성될 수 있다.
상기 휴대 단말기용 스윙식 덮개 개폐장치에 있어서, 상기 회전체의 하부면에는 상기 레일부를 따라 슬라이딩되는 돌기 형태의 스토퍼가 일체로 형성될 수 있다.
상기 휴대 단말기용 스윙식 덮개 개폐장치에 있어서, 상기 커버부재는 체결부재를 통해 상기 고정판과 결합되고, 상기 고정판과의 결합력을 보강하기 위한 적어도 하나의 후크가 가장자리 부분에 형성될 수 있다.
상기 휴대 단말기용 스윙식 덮개 개폐장치에 있어서, 상기 고정판의 가장자리 부분에는 상기 후크에 대응하여 그 후크와 결합하는 후크 돌기가 형성될 수 있다.
상기 휴대 단말기용 스윙식 덮개 개폐장치에 있어서, 상기 탄성유닛은 상기 고정판에 힌지핀을 통하여 회전 가능하게 설치되는 하우징과, 상기 회전체의 하부면에 회전 가능하게 연결되며 상기 하우징의 내부에 슬라이딩 및 로킹 가능하게 결합되는 슬라이드부재와, 상기 하우징 내부에 설치되어 상기 슬라이드부재로 탄발력을 발휘하는 복수의 스프링부재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휴대 단말기용 스윙식 덮개 개폐장치에 있어서, 상기 고정판에는 상기 하우징의 회전 궤적에 상응하는 장착홀이 관통되게 형성될 수 있다.
상기 휴대 단말기용 스윙식 덮개 개폐장치에 있어서, 상기 고정판은 상기 회전체의 기설정된 회전 각도를 제어하는 보조 스토퍼를 더욱 포함할 수 있다.
이 경우 상기 보조 스토퍼는 상기 장착홀의 양측 구멍단으로서 이루어질 수 있다.
상기 휴대 단말기용 스윙식 덮개 개폐장치에 있어서, 상기 하우징은 플레이트 형태로서 이루어지며, 상기 각 스프링부재를 장착하기 위한 복수의 스프링 장착홈을 폭방향을 따라 연속적으로 형성하고, 상기 각 스프링 장착홈과 연결되면서 상기 슬라이드부재와 형태의 결합을 이루는 가이드홈을 형성하며, 이의 양측면에 상기 가이드홈과 연결되는 장공 형태의 로킹홀을 형성할 수 있다.
상기 휴대 단말기용 스윙식 덮개 개폐장치에 있어서, 상기 슬라이드부재는 상기 가이드홈으로 끼워지는 판 형상을 취하며, 상기 하우징의 양 사이드쪽 스프링 장착홈에 장착된 상기 각 스프링부재에 끼워지는 한 쌍의 지지핀을 일체로 형성할 수 있다.
이 경우 상기 각 지지핀은 상기 로킹홀에 결합되는 로킹 돌기를 형성할 수 있다.
상기 휴대 단말기용 스윙식 덮개 개폐장치에 있어서, 상기 회전체는 상기 슬라이드부재와 힌지 결합되는 힌지 돌기를 하부면에 형성할 수 있다.
상기 휴대 단말기용 스윙식 덮개 개폐장치에 있어서, 상기 슬라이드부재는 상기 힌지 돌기와 결합하는 힌지홀이 형성될 수 있다.
상기 휴대 단말기용 스윙식 덮개 개폐장치에 있어서, 상기 하우징에는 상기 힌지핀을 결합하기 위한 힌지홀이 형성될 수 있다.
상기 휴대 단말기용 스윙식 덮개 개폐장치는, 상기 본체와 덮개가 정사각형으로 이루어진 휴대 단말기에 설치되며, 상기 본체와 덮개 사이에서 이들의 일측 모서리 부분에 장착되고, 상기 회전체가 90도의 회전 궤적을 그리며 상기 덮개를 시계 또는 반시계 방향으로 180도 회전시키도록 구성될 수 있다.
상술한 바와 같은 본 발명의 예시적인 실시예에 따른 휴대 단말기용 스윙식 덮개 개폐장치에 의하면, 고정판에 회전 가능하게 지지되는 회전체와, 그 고정판 및 회전체에 힌지 결합되는 링크 타입의 탄성유닛을 구비함에 따라, 캠 구조에 의한 면 접촉 방식의 종래 기술과 달리 내구성이 형상되며, 간단한 구조로서 덮개를 더욱 부드럽고 안정적으로 개폐시키는 것이 가능하다.
또한, 본 실시예에서는 고정판 및 회전체가 판 형태로서 이루어지고, 그 고정판에 탄성유닛을 장착하기 위한 장착홀을 형성하므로, 이로 인해 장치의 전체적인 두께를 줄일 수 있으며, 결과적으로는 휴대 단말기의 슬림화 및 경량화에 유리 한 효과가 있다.
이하, 첨부한 도면을 참고로 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에 대하여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용이하게 실시할 수 있도록 상세히 설명한다. 그러나 본 발명은 여러 가지 상이한 형태로 구현될 수 있으며 여기에서 설명하는 실시예에 한정되지 않는다.
도 1은 본 발명의 예시적인 실시예에 따른 스윙식 덮개 개폐장치가 적용되는 휴대 단말기의 일 예를 도시한 도면이고, 도 2는 도 1의 분해 사시도이다.
도면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예시적인 실시예에 따른 스윙식 덮개 개폐장치(100)가 적용되는 휴대 단말기(1)로는 키패드 등이 구성되는 본체 케이스(3: 이하에서는 편의상 "본체" 라고 한다), 및 디스플레이부 등이 구성되는 덮개 케이스(5: 이하에서는 편의상 "덮개" 라고 한다)로서 이루어지는 휴대폰을 예로 들 수 있다.
이러한 휴대 단말기(1)는 본 실시예에 의한 스윙식 덮개 개폐장치(100)를 통하여 덮개(5)를 기설정된 임의의 회전 궤적을 따라 시계 방향 혹은 반시계 방향으로 회전시킬 수 있는 구조로 이루어진다.
상기에서, 휴대 단말기(1)는 본체(3)와 덮개(5)가 대략 정사각형으로 이루어지는 바, 덮개(5)는 전면(덮개를 세워서 봤을 때의 면)의 상측 모서리부에 후방을 향하여 중공축부(6)가 돌출되게 형성된다.
그리고 상기 본체(3)는 덮개(5)의 중공축부(6)에 대응하는 모서리부에 본 실 시예에 따른 스윙식 덮개 개폐장치(100)를 장착하기 위한 장착부(4)를 형성하고 있다.
이 장착부(4)는 상기한 스윙식 덮개 개폐장치(100)와 형태의 결합을 이루는 요홈으로서 이루어지며, 이의 바닥면에는 덮개(5)의 중공축부(6)를 회전 가능하게 지지하는 지지홈(8)을 형성하고 있다.
여기서, 상기 덮개(5)의 전면을 기준으로 중공축부(6)의 가장자리 부분, 및 장착부(4)의 바닥면에는 볼트 및 리벳 등과 같은 체결부재(B1, B2(도 3 참조))가 체결될 수 있는 다수의 제1 및 제2 체결홀들(7, 9)이 각각 형성되어 있다.
상기에서와 같은 본 발명의 예시적인 실시예에 따른 스윙식 덮개 개폐장치(100)는 언급한 바 있는 휴대폰에 적용되는 것에 한정되지 않고, PDA, PMP, DMB 등과 같은 각종 휴대 단말기에 적용될 수도 있다.
도 3은 본 발명의 예시적인 실시예에 따른 휴대 단말기용 스윙식 덮개 개폐장치를 도시한 분해 사시도이고, 도 4는 도 3의 결합 사시도이고, 도 5는 도 4의 단면 구성도이다.
앞서 개시한 도 1 및 도 2와 함께 상기한 도면들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예시적인 실시예에 따른 휴대 단말기용 스윙식 덮개 개폐장치(100)는 덮개(5)의 개폐 동작이 부드럽고 안정적이며, 간단한 구조로서 덮개(5)를 반자동으로 회전시킬 수 있고, 휴대 단말기(1)의 슬림화 및 경량화를 구현할 수 있는 구성들로 이루어진다.
이러한 휴대 단말기용 스윙식 덮개 개폐장치(100)는 기본적으로 고정판(10), 회전체(30), 커버부재(50), 및 탄성유닛(70)을 포함하여 구성되며, 이를 각 구성별 로 더욱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본 실시예에서, 상기 고정판(10)은 덮개(5)의 중공축부(6)에 대응하여 본체(3)의 전면(본체를 세워서 봤을 때의 면) 상측 모서리부에 고정되게 설치된다.
상기 고정판(10)은 본체(3)의 장착부(4)에 형태의 결합을 이루며 장착되는 바, 그 장착부(4)의 지지홈(8)과 연결되는 관통공(11)을 형성하고 있다.
여기서, 상기 관통공(11)은 덮개(5)의 중공축부(6)가 관통하여 장착부(4)의 지지홈(8)으로 지지되는 원형의 구멍으로서 이루어진다.
상기 고정판(10)에는 볼트 및 리벳 등과 같은 체결부재(B2)가 장착부(4)의 제2 체결홀들(9)을 관통하여 체결될 수 있는 다수의 제3 체결홀들(H1)을 가장자리 부분에 형성하고 있다.
그리고, 상기 고정판(10)에는 뒤에서 더욱 설명하는 커버부재(50)를 볼트 및 리벳 등과 같은 체결부재(B3)를 통하여 고정시키기 위한 다수의 제4 체결홀들(H2)을 가장자리 부분에 형성하고 있다.
이와 함께 상기 고정판(10)에는 뒤에서 더욱 설명하는 탄성유닛(70)의 한 쪽 끝 부분을 회전 가능하게 결합하기 위한 결합홀(H3)을 구비하고 있다.
또한, 상기 고정판(10)은 관통공(11)의 가장자리 부분에 원주 방향을 따라 일체로서 돌출되게 형성되는 링형 돌기(12)를 더욱 포함하고 있다.
상기 링형 돌기(12)는 고정판(10)의 상면으로부터 일정 폭을 지니며 돌출되게 형성되는데, 이 링형 돌기(12)는 뒤에서 더욱 설명하는 회전체(30)를 회전 가능하게 지지하기 위한 것이다.
이에 더하여, 상기 고정판(10)은 링형 돌기(12)의 외측으로 적어도 90도 이상의 회전 궤적, 바람직하게는 90도의 회전 궤적을 그리는 원호 형상의 레일부(13)를 형성하며, 그 레일부(13)의 양쪽 끝 부분에는 돌기 형태의 걸림턱(14)이 각각 형성된다.
본 실시예에서, 상기 회전체(30)는 고정판(10)의 링형 돌기(12)에 회전 가능하게 결합되며, 전체적인 외관 형상이 중공(31)을 지닌 디스크 형태로서 이루어진다.
상기 회전체(30)는 중공(31)으로 덮개(5)의 중공축부(6)가 끼워지고 고정판(10)의 관통공(11)을 통과하여 본체(3)의 지지홈(8)에 지지된 상태로 체결부재(B1)를 통하여 덮개(5)와 체결된다.
이와 같이 회전체(30)를 고정판(10)의 링형 돌기(12)에 회전 가능하게 결합하고 그 회전체(30)를 덮개(5)와 체결하기 위해서 본 실시예에 의한 상기 회전체(30)는 이의 상부면에 복수의 체결부들(32)을 형성하고, 하부면에는 원형의 결합홈(33: 도 6 참조)을 형성하고 있다.
상기 각 체결부(32)는 회전체(30)의 상부면에 일정 간격을 두고 돌기 형태로서 돌출되게 형성된다.
각각의 체결부(32)에는 덮개(5)의 제1 체결홀(7)을 통과한 제1 체결부재(B1)의 단부가 체결될 수 있는 제5 체결홀(H4)을 형성하고 있다.
이러한 제5 체결홀(H4)은 언급한 바 있는 결합홈(33)과 상호 연결되게 형성되는 바, 본 실시예에서는 체결부(32)에 구멍 형태의 제5 체결홀(H4)을 형성하는 것에 반드시 한정되지 않고, 결합홈(33)으로 관통되지 않는 체결홈을 형성할 수도 있다.
그리고 상기 결합홈(33)은 도 6에서와 같이 고정판(10)의 링형 돌기(12)에 대응하여 회전체(30)의 하부면에 형성되며, 중공(31)의 가장자리 외측에 그 중공(31)의 원주 방향을 따라 형성된다.
이 경우 상기 결합홈(33)은 고정판(10)의 링형 돌기(12)와 형태의 결합을 이루며 그 링형 돌기(12)에 대하여 소정의 갭을 형성하는 요홈으로서 이루어진다.
또한, 상기 회전체(30)는 결합홈(33)을 통하여 고정판(10)의 링형 돌기(12)에 회전 가능하게 장착된 상태로, 그 링형 돌기(12)의 내주면을 지지하기 위한 지지 돌기(34)를 형성하고 있다.
여기서, 상기 지지 돌기(34)는 결합홈(33)의 내측벽(다시말해 중공의 내측벽)으로서 이루어지며, 그 결합홈(33)의 깊이 보다 상대적으로 큰 폭을 지니며 회전체(30)의 상부에서 하부 방향으로 돌출되게 형성된다.
그리고, 상기 회전체(30)는 이의 하부면에 고정판(10)의 레일부(13)를 따라 슬라이딩되는 돌기 형태의 스토퍼(35)를 일체로 형성하고 있다.
상기 스토퍼(35)는 레일부(13)에 형태의 결합을 이루며 덮개(5)를 통한 회전체(30)의 회전으로서 그 레일부(13)를 따라 슬라이딩 된다.
이러한 스토퍼(35)는 회전체(30)가 회전될 때, 레일부(13)를 따라 슬라이딩되면서 그 레일부(13) 양측의 걸림턱(14)에 걸림으로, 상기 회전체(30)가 기설정된 회전 각도(90도) 이상으로 회전되는 것을 저지하는 기능을 하게 된다.
그리고 상기 회전체(30)는 뒤에서 더욱 설명하는 탄성유닛(70)의 다른 한 쪽 끝 부분을 회전 가능하게 결합하기 위한 힌지 돌기(36)를 이의 하부면에 일체로 형성하고 있다.
본 실시예에서, 상기 커버부재(50)는 회전체(30)가 고정판(10)으로부터 이탈되는 것을 방지하도록 회전체(30)의 외측 가장자리 부분을 지지하기 위한 것이다.
이 커버부재(50)는 회전체(30)의 외측 가장자리 부분을 지지하기 위해 회전체(30)의 중공(31)에 대응하는 지지 구멍(51)을 가지며 체결부재(B3)를 통하여 고정판(10)에 체결된다.
상기한 커버부재(50)는 고정판(10)의 상면을 덮으면서 지지 구멍(51)의 가장자리 부분을 통해 회전체(30)의 외측 가장자리 부분을 지지하게 되는 바, 이를 만족하기 위해 회전체(30)의 외측 가장자리 부분에는 단차면(37)을 형성하고 있다.
이러한 단차면(37)은 지지 구멍(51)의 가장자리 부분에 상응하는 폭으로서 회전체(30)의 원주 방향을 따라 형성된다.
그리고 상기 커버부재(50)에는 언급한 바 있는 체결부재(B3)를 체결하기 위해 고정판(10)의 제4 체결홀들(H2)에 대응하는 다수의 제6 체결홀들(H5)을 가장자리 부분에 형성하고 있다.
따라서 체결부재(B3)가 커버부재(50)의 제6 체결홀들(H5)을 통해 고정판(10)의 제4 체결홀들(H2)로 체결됨으로, 상기 커버부재(50)는 지지 구멍(51)의 가장자리 부분을 통해 회전체(30)의 외측 가장자리 부분을 지지한 상태로 고정판(10)에 결합된다.
또한, 상기 커버부재(50)는 고정판(10)과의 결합력을 더욱 보강하기 위해 이의 가장자리 부분에 복수의 후크들(53)을 형성하고 있다.
상기 각 후크(53)는 커버부재(50)와 일체로 형성되며, 고정판(10)의 가장자리 부분으로 절곡된 형태를 취하며 후크홀(55)을 형성하고 있다.
한편, 상기한 커버부재(50)의 후크(53)에 대응하여 고정판(10)의 가장자리 부분에는 그 후크(53)의 후크홀(55)로 결합될 수 있는 후크 돌기(15)가 형성된다.
본 실시예에서, 상기 탄성유닛(70)은 휴대 단말기(1)의 덮개(5)를 통한 회전체(30)의 회전으로서 그 회전체(30)에 탄성력을 제공하기 위한 것이다.
즉, 상기 탄성유닛(70)은 덮개(5)가 일정 구간 회전될 때까지 사용자가 덮개(5)에 힘을 가함에 따라 덮개(5)와 함께 회전하는 회전체(30)에 탄성력이 제공되고, 나머지 구간에서 그 탄성력에 의해 덮개(5)의 회전 운동이 자동으로 이루어지도록 하는 기능을 하게 된다.
상기 탄성유닛(70)은 고정판(10)의 결합홀(H3) 및 회전체(30)의 힌지 돌기(36)에 양쪽 끝 부분이 각각 회전 가능하게 결합된다.
이러한 탄성유닛(70)은 도 7에서와 같이 하우징(71), 슬라이드부재(81), 및 복수의 스프링부재들(91)을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여기서, 상기 하우징(71)은 고정판(10)에 회전 가능하게 결합되고, 슬라이드부재(81)는 회전체(30)의 하부면에 회전 가능하게 연결되면서 하우징(71)의 내부에 슬라이딩 및 로킹 가능하게 결합된다. 그리고 스프링부재(91)들은 하우징(71)의 내부에 설치된다.
상기 탄성유닛(70)을 각 구성별로 상세히 설명하면, 먼저 하우징(71)은 플레이트 형태로 이루어지며, 힌지핀(72)을 통하여 고정판(10)의 결합홀(H3)에 회전 가능하게 설치된다.
이를 위해 상기 하우징(71)의 일측 단부에는 고정판(10)의 결합홀(H3)을 통과한 힌지핀(72)이 결합될 수 있는 제1 힌지홀(73)을 형성하고 있다.
본 실시예에서, 상기 하우징(71)은 회전체(30)의 중공(31) 중심과 동일 선상에 위치하는 힌지점 즉, 고정판(10)의 결합홀(H3)과 제1 힌지홀(73)이 일치한 상태로 힌지핀(72)이 끼워진 지점을 중심으로 90도의 궤적을 그리며 회전 가능하게 설치된다.
그리고 상기 하우징(71)은 다른 일측 단부로부터 내부로 폭 방향을 따라 각각의 스프링부재(91)를 장착하기 위한 복수의 스프링 장착홈(74)을 연속적으로 형성하고 있다.
바람직하게, 상기 스프링 장착홈(74)은 하우징(71)의 내부에서 폭 방향을 따라 일정 간격 이격되게 4 개소로서 형성된다.
또한, 상기 하우징(71)의 내부에는 각 스프링 장착홈(74)과 상호 연결되면서 슬라이드부재(81)가 형태의 결합을 이루며 삽입될 수 있는 가이드홈(75)을 형성하고 있다.
상기 가이드홈(75)은 하우징(71)의 폭 방향을 따라 각 스프링 장착홈(74)과 상호 연결되며, 그 하우징(71)의 양측 사이드 부분까지 연장하여 형성된다.
이에 더하여, 상기 하우징(71)의 양측 사이드면에는 가이드홈(75)과 연결되 는 장공 형태의 로킹홀(76)을 형성하고 있다.
본 실시예에서, 상기 슬라이드부재(81)는 하우징(71)의 다른 일측 단부로부터 가이드홈(75)으로 삽입 가능한 판 형상으로 이루어진다.
상기 슬라이드부재(81)는 하우징(71)의 가이드홈(75)과 로킹홀(76)에 각각 슬라이딩 및 로킹 가능하게 장착된 상태로 이의 끝 부분이 회전체(30)의 힌지 돌기(36)에 힌지 결합된다.
이를 위해 상기 회전체(30)에 대응하는 슬라이드부재(81)의 끝 부분에는 힌지 돌기(36)와 결합하는 제2 힌지홀(82)이 형성된다.
그리고 상기 슬라이드부재(81)는 하우징(71)의 양 사이드쪽 스프링 장착홈(74)에 장착된 각 스프링부재(91)로 끼워지는 한 쌍의 지지핀(84)을 일체로 형성하고 있다.
여기서, 상기 각 지지핀(84)에는 하우징(71)의 로킹홀(76)에 끼워져 슬라이드부재(81)로 발휘되는 스프링부재(91)의 탄성력으로서 그 로킹홀(76)에 로킹될 수 있는 로킹 돌기(88)가 형성된다.
상기에서, 각 스프링부재(91)는 하우징(71)의 스프링 장착홈(74)에 끼워져 슬라이드부재(81)로 탄발력을 발휘하는 기능을 하게 된다.
이러한 스프링부재(91)는 본 실시예에서 압축 코일 스프링으로서 이루어지는 것이 바람직하다.
한편, 언급한 바 있는 탄성유닛(70)의 하우징(71)에 대응하여 본 실시예에 의한 고정판(10)에는 그 하우징(71)의 회전 궤적에 상응하는 장착홀(18)이 형성된 다.
즉, 상기 장착홀(18)은 하우징(71)의 회전 궤적에 상응하는 고정판(10)의 일 부분을 절개함으로써 형성되는 바, 상기 하우징(71)은 그 장착홀(18)의 내부 영역에서 90도의 회전 궤적을 그리며 회전하게 된다.
이와 같이 고정판(10)에 하우징(71)의 회전 궤적에 상응하는 장착홀(18)을 형성하는 이유는 하우징(71)의 두께 만큼 고정판(10)의 두께를 줄이기 위함이다.
따라서 본 실시예에서는 장착홀(18)을 통하여 고정판(10)의 두께를 줄임으로 전체 장치(100)의 두께를 줄이는 결과를 가져와 궁극적으로는 휴대 단말기(1)의 슬림화 및 경량화를 도모할 수 있게 된다.
다른 한편으로, 본 실시예에 의한 상기 고정판(10)은 회전체(30)의 기설정된 회전 각도(90도)를 보조적으로 제어하기 위한 보조 스토퍼(19)를 더욱 포함하고 있다.
이러한 보조 스토퍼(19)는 앞서 언급한 바 있는 스토퍼(35)의 기능을 보조하기 위한 것으로, 상기 장착홀(18)의 양측 구멍단으로서 이루어진다.
이하, 상기와 같이 구성되는 본 발명의 예시적인 실시예에 따른 휴대 단말기용 스윙식 덮개 개폐장치(100)의 조립 순서 및 작동 과정을 상세하게 설명하기로 한다.
본 발명의 예시적인 실시예에 따른 상기 휴대 단말기용 스윙식 덮개 개폐장치(100)의 조립 순서를 살펴 보면, 우선 본 실시예에서는 탄성유닛(70)을 고정판(10)에 장착하는데, 하우징(71)의 제1 힌지홀(73)과 고정판(10)의 결합홀(H3)을 일치시킨 상태에서 제1 힌지홀(73)과 결합홀(H3)에 힌지핀(72)을 끼운다.
이 때, 상기 탄성유닛(70)의 하우징(71)은 고정판(10)의 장착홀(18) 내부 영역에 위치하면서 힌지핀(72)을 중심으로 기설정된 회전 각도(90도)의 궤적을 따라 장착홀(18)의 내부 영역에서 회전 가능한 상태에 있다.
따라서, 본 실시예에서는 탄성유닛(70)의 하우징(71)을 장착홀(18)에 장착함으로 하우징(71)의 두께 만큼 고정판(10)의 두께를 줄일 수 있으므로, 이로 인해 전체 장치(100)의 두께를 줄일 수 있으며, 결과적으로는 휴대 단말기(1)의 슬림화 및 경량화를 도모할 수 있게 된다.
다음, 회전체(30)의 결합홈(33)을 통하여 그 회전체(30)를 고정판(10)의 링형 돌기(12)에 회전 가능하게 장착한다.
여기서, 상기 회전체(30)는 지지 돌기(34)를 통해 링형 돌기(12)의 내주면을 지지하면서 그 링형 돌기(12)에 회전 가능하게 장착될 수 있다.
이러는 과정에서, 본 실시예에서는 회전체(30)의 스토퍼(35)가 고정판(10)의 레일부(13)에 위치되도록 하고, 슬라이드부재(81)의 제2 힌지홀(82)에 회전체(30)의 힌지 돌기(36)를 결합한다.
이어서, 커버부재(50)를 통해 고정판(10)의 상면을 덮는데, 그 커버부재(50)의 제6 체결홀들(H5)과 고정판(10)의 제4 체결홀들(H2)을 상호 일치시킨 상태로, 커버부재(50)의 후크들(53)을 고정판(10)의 후크 돌기(15)에 결합시킨다.
그러면, 상기 커버부재(50)는 지지 구멍(51)의 가장자리 부분이 회전체(30)의 단차면(37)에 자연스럽게 안착되면서 그 회전체(30)의 가장자리 부분을 지지하 게 된다.
마지막으로, 볼트 및 리벳 등과 같은 체결부재들(B3)을 제6 체결홀들(H5)을 통해 제4 체결홀들(H2)로 체결하게 되면, 본 실시예에 의한 휴대 단말기용 스윙식 덮개 개폐장치(100)의 조립은 완료된다.
상술한 바와 같이 조립된 본 실시예에 의한 휴대 단말기용 스윙식 덮개 개폐장치(100)는 휴대 단말기(1)의 본체(3) 및 덮개(5)에 장착되는데, 그 장착 과정을 살펴 보면, 우선 본 실시예에서는 휴대 단말기 본체(3)의 장착부(4)로 본 장치(100)를 끼워 넣는다.
그러면, 회전체(30)의 중공(31)과 장착부(4)의 지지홈(8)은 자연스럽게 일치되고, 그 장착부(4)의 제2 체결홀들(9) 및 고정판(10)의 제3 체결홀들(H1) 또한 상호 일치된 상태를 유지하게 된다.
이 상태에서, 체결부재들(B2)을 제2 체결홀들(9)을 통해 제3 체결홀들(H1)에 체결하게 되면, 본 장치(100)는 본체(3)의 장착부(4)에 견고하게 고정된다.
상기한 과정을 거친 후, 덮개(5)의 중공축부(6)를 회전체(30)의 중공(31)으로 끼우는데, 그 중공축부(6)는 고정판(10)의 관통공(11)을 통과하여 장착부(4)의 지지홈(8)으로 지지된다.
마지막으로, 덮개(5)의 제1 체결홀들(7)과 회전체(30)의 체결부들(32)을 일치시킨 상태에서, 체결부재들(B1)을 제1 체결홀들(7)을 통해 체결부들(32)로 체결하게 되면, 그 덮개(5)가 회전체(30)에 고정됨으로써 휴대 단말기에 대한 본 실시예에 따른 스윙식 덮개 개폐장치(100)의 장착은 완료된다.
이하, 상술한 바와 같이 휴대 단말기(1)에 구성된 본 발명의 예시적인 실시예에 따른 휴대 단말기용 스윙식 덮개 개폐장치(100)의 작동 과정을 앞서 개시한 도면들 및 하기의 도면들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먼저, 도 1에서와 같이 휴대 단말기(1)의 본체(3)에 대하여 덮개(5)를 완전히 닫은 경우, 탄성유닛(70)은 덮개(5)의 회전 방향에 대하여 비스듬한 상태를 유지한다.
여기서, 상기 탄성유닛(70)의 스프링부재(91)에는 회전체(30)로 비교적 작은 크기의 탄발력이 작용한다.
이 때, 상기 회전체(30)는 이의 스토퍼(35)가 레일부(13)의 일측 걸림턱(14)에 걸려 있는 상태에 있다.
그리고 상기 탄성유닛(70)의 하우징(71)은 고정판(10)의 보조 스토퍼(19) 즉, 장착홀(18)의 일측 구멍단에 스토핑된 상태에 있다.
이와 같은 상태에서, 도 8에서와 같이 덮개(5)에 시계 방향으로 회전력을 가하면, 그 덮개(5)는 이의 중공축부(6)를 중심축으로 하여 본체(3)의 장착부(4)에 지지된 상태로 회전체(30)와 함께 회전하기 시작한다.
이 과정에서, 덮개(5)가 본체(3)로부터 반정도(대략 90도) 열릴 때까지 회전하게 되면, 상기 회전체(30)는 대략 45도 정도 시계 방향으로 회전을 하게 된다.
즉, 상기 회전체(30)는 고정판(10)의 링형 돌기(12)에 지지된 상태로 스토퍼(35)가 고정판(10)의 레일부(13)를 따라 슬라이딩되면서 시계 방향으로의 회전이 이루어지게 된다.
상기한 과정을 거치는 동안, 탄성유닛(70)은 이의 하우징(71)과 슬라이드부재(81)가 고정판(10) 및 회전체(30)에 각각 힌지 결합되어 있기 때문에, 이들 고정판(10) 및 회전체(30)의 힌지점을 중심으로 회전체(30)의 회전 방향과 반대인 반 시계 방향으로 회전하게 된다.
그리고 상기 탄성유닛(70)은 회전체(30)가 대략 45도 정도 시계 방향으로 회전한 상태에서 그 회전체(30)의 중공(31) 중심과 동일 선상(정점)에 위치하게 된다.
따라서 상기에서와 같이 탄성유닛(70)이 회전체(30)와 함께 회전함으로, 그 탄성유닛(70)의 슬라이드부재(81)는 스프링부재(91)를 최대로 압축하게 되고, 스프링부재(91)는 이의 탄성 복원력을 슬라이드부재(81)를 통해 회전체(30)로 발휘하게 된다.
이 후, 사용자가 덮개(5)에 대하여 계속적으로 회전력을 가하면, 도 9에서와 같이, 회전체(30)는 탄성유닛(70)이 중공(31)의 중심과 동일 선상을 지나는 순간 사용자가 더 이상 덮개(5)에 힘을 가하지 않더라도 스프링부재(91)의 탄성 복원력이 슬라이드부재(81)를 통해 제공되므로 시계 방향을 따라 자동으로 회전하게 된다.
여기서, 상기 회전체(30)는 스토퍼(35)가 고정판(10)의 레일부(13)를 따라 슬라이딩되면서 시계 방향으로의 회전이 이루어지는데, 그 스토퍼(35)가 레일부(13)의 다른 일측 걸림턱(14)에 걸리면서 45도 만큼 회전된다.
이 과정에서, 상기 탄성유닛(70)은 회전체(30)와 함께 회전하면서 그 하우 징(71)이 고정판(10)의 보조 스토퍼(19) 즉, 장착홀(18)의 다른 일측 구멍단에 스토핑된 상태에 있으며, 스프링부재(91)는 덮개(5)가 닫혔을 때와 마찬가지로 원상 복원되면서 탄발력이 약해지거나 해제된다.
따라서, 본 실시예에서는 회전체(30)가 상기에서와 같은 작동으로 90도 만큼 회전됨으로 휴대 단말기(1)의 덮개(5)는 본체(3)로부터 180도 회전하면서 완전히 열리게 된다.
이와 같이 상기 회전체(30)가 90도 회전하는 동안 덮개(5)가 180도 회전을 하게 되는 이유는, 휴대 단말기(1)의 본체(3) 및 덮개(5)가 정사각형으로 이루어지며, 본 실시예에 의한 스윙식 덮개 개폐장치(100)가 그 본체(3)와 덮개(5) 사이에서 이들의 모서리 부분에 구성되어 있기 때문이다.
한편, 덮개(5)의 개방이 완료된 상태에서 그 덮개(5)를 다시 닫는 경우, 상기 덮개(5)에 반 시계 방향으로 힘을 가하면, 상기 덮개(5)의 개방 작동 역순으로 각 부품의 동작이 이루어지면서 덮개(5)는 완전히 닫히게 된다.
이로써 본 실시예에서는 고정판(10)에 회전 가능하게 지지되는 회전체(30)와, 그 고정판(10) 및 회전체(30)에 힌지 결합되는 링크 타입의 탄성유닛(70)을 구비함으로, 캠 구조에 의한 면 접촉 방식의 종래 기술과 달리 내구성이 형상되며, 간단한 구조로서 덮개(5)를 더욱 부드럽고 안정적으로 개폐시키는 것이 가능하다.
그리고, 본 실시예에서는 고정판(10) 및 회전체(30)가 판 형태로서 이루어지고, 그 고정판(10)에 탄성유닛(70)을 장착하기 위한 장착홀(18)을 형성하므로, 전체적인 두께를 줄일 수 있어 결과적으로는 휴대 단말기(1)의 슬림화 및 경량화에 유리한 효과가 있다.
이상을 통해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대하여 설명하였지만, 본 발명은 이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고 특허청구범위와 발명의 상세한 설명 및 첨부한 도면의 범위 안에서 여러 가지로 변형하여 실시하는 것이 가능하고 이 또한 본 발명의 범위에 속하는 것은 당연하다.
이 도면들은 본 발명의 예시적인 실시예를 설명하는데 참조하기 위함이므로,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첨부한 도면에 한정해서 해석하여서는 아니된다.
도 1은 본 발명의 예시적인 실시예에 따른 스윙식 덮개 개폐장치가 적용되는 휴대 단말기의 일 예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예시적인 실시예에 따른 스윙식 덮개 개폐장치가 적용되는 휴대 단말기의 분해 사시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예시적인 실시예에 따른 휴대 단말기용 스윙식 덮개 개폐장치의 분해 사시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예시적인 실시예에 따른 휴대 단말기용 스윙식 덮개 개폐장치의 결합 사시도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예시적인 실시예에 따른 휴대 단말기용 스윙식 덮개 개폐장치의 단면 구성도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예시적인 실시예에 따른 휴대 단말기용 스윙식 덮개 개폐장치에 적용되는 회전체의 하부면 부위를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 7은 본 발명의 예시적인 실시예에 따른 휴대 단말기용 스윙식 덮개 개폐장치에 적용되는 탄성유닛의 구성을 도시한 분해 사시도이다.
도 8은 본 발명의 예시적인 실시예에 따른 휴대 단말기용 스윙식 덮개 개폐장치에 있어서, 휴대 단말기의 덮개를 90도로 개방한 상태를 도시한 평면 구성도이다.
도 9는 본 발명의 예시적인 실시예에 따른 휴대 단말기용 스윙식 덮개 개폐장치에 있어서, 휴대 단말기의 덮개를 180도로 개방한 상태를 도시한 평면 구성도이다.

Claims (13)

  1. 본체와 덮개로 이루어지고 그 덮개에 형성된 중공축부가 상기 본체에 회전 가능하게 지지되는 휴대 단말기에 구성되어 상기 중공축부를 중심으로 하여 상기 덮개를 시계 또는 반시계 방향으로 회전시키기 위한 휴대 단말기용 스윙식 덮개 개폐장치에 있어서,
    상기 중공축부에 대응하여 상기 본체의 일측에 고정되게 설치되고, 상기 중공축부가 관통하는 관통공을 지니며 그 관통공의 가장자리 부분에 링형 돌기를 일체로 형성하고 있는 고정판;
    중공을 가진 디스크 형태로 이루어지며, 상기 링형 돌기에 회전 가능하게 결합되고, 상기 중공으로 상기 중공축부가 끼워진 상태로 상기 덮개와 체결되는 회전체;
    상기 중공에 대응하는 지지 구멍을 형성하고, 상기 지지 구멍을 통해 상기 회전체의 외측 가장자리부를 지지하며 상기 고정판과 결합하는 커버부재; 및
    상기 고정판 및 상기 회전체에 양쪽 끝 부분이 각각 회전 가능하게 결합되어 상기 덮개를 통한 상기 회전체의 회전으로서 그 회전체로 탄성력을 제공하는 탄성유닛
    을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 단말기용 스윙식 덮개 개폐장치.
  2. 제1 항에 있어서,
    상기 회전체는 상기 덮개를 통과한 체결부재가 체결될 수 있는 복수의 체결부를 상부면에 형성하고, 상기 링형 돌기와 형태의 결합을 이루는 결합홈을 하부면에 형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 단말기용 스윙식 덮개 개폐장치.
  3. 제2 항에 있어서,
    상기 회전체는 상기 링형 돌기의 내주면을 실질적으로 지지하는 지지 돌기를 구비하고,
    상기 지지 돌기는 상기 결합홈의 내측벽으로서 이루어지며, 상기 결합홈의 깊이 보다 상대적으로 큰 폭을 지니며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 단말기용 스윙식 덮개 개폐장치.
  4. 제1 항에 있어서,
    상기 고정판은 상기 회전체에 대응하여 적어도 90도 이상의 궤적을 그리는 원호 형상의 레일부가 형성되고, 상기 레일부의 양쪽 끝 부분에 걸림턱이 각각 형성되며,
    상기 회전체의 하부면에는 상기 레일부를 따라 슬라이딩되는 돌기 형태의 스토퍼가 일체로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 단말기용 스윙식 덮개 개폐장치.
  5. 제1 항에 있어서,
    상기 커버부재는 체결부재를 통해 상기 고정판과 결합되고, 상기 고정판과의 결합력을 보강하기 위한 적어도 하나의 후크가 가장자리 부분에 형성되며,
    상기 고정판의 가장자리 부분에는 상기 후크에 대응하여 그 후크와 결합하는 후크 돌기가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 단말기용 스윙식 덮개 개폐장치.
  6. 제1 항에 있어서,
    상기 탄성유닛은,
    상기 고정판에 힌지핀을 통하여 회전 가능하게 설치되는 하우징과,
    상기 회전체의 하부면에 회전 가능하게 연결되며, 상기 하우징의 내부에 슬라이딩 및 로킹 가능하게 결합되는 슬라이드부재와,
    상기 하우징 내부에 설치되어 상기 슬라이드부재로 탄발력을 발휘하는 복수의 스프링부재
    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 단말기용 스윙식 덮개 개폐장치.
  7. 제6 항에 있어서,
    상기 고정판에는 상기 하우징의 회전 궤적에 상응하는 장착홀이 관통되게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 단말기용 스윙식 덮개 개폐장치.
  8. 제7 항에 있어서,
    상기 고정판은 상기 회전체의 기설정된 회전 각도를 제어하는 보조 스토퍼를 더욱 포함하며,
    상기 보조 스토퍼는 상기 장착홀의 양측 구멍단으로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 단말기용 스윙식 덮개 개폐장치.
  9. 제6 항에 있어서,
    상기 하우징은 플레이트 형태로서 이루어지며, 상기 각 스프링부재를 장착하기 위한 복수의 스프링 장착홈을 폭방향을 따라 연속적으로 형성하고, 상기 각 스프링 장착홈과 연결되면서 상기 슬라이드부재와 형태의 결합을 이루는 가이드홈을 형성하며, 이의 양측면에 상기 가이드홈과 연결되는 장공 형태의 로킹홀을 형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 단말기용 스윙식 덮개 개폐장치.
  10. 제9 항에 있어서,
    상기 슬라이드부재는 상기 가이드홈으로 끼워지는 판 형상을 취하며, 상기 하우징의 양 사이드쪽 스프링 장착홈에 장착된 상기 각 스프링부재에 끼워지는 한 쌍의 지지핀을 일체로 형성하고,
    상기 각 지지핀은 상기 로킹홀에 결합되는 로킹 돌기를 형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 단말기용 스윙식 덮개 개폐장치.
  11. 제1 항에 있어서,
    상기 회전체는 상기 슬라이드부재와 힌지 결합되는 힌지 돌기를 하부면에 형성하고,
    상기 슬라이드부재는 상기 힌지 돌기와 결합하는 힌지홀이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 단말기용 스윙식 덮개 개폐장치.
  12. 제1 항에 있어서,
    상기 하우징에는 상기 힌지핀을 결합하기 위한 힌지홀이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 단말기용 스윙식 덮개 개폐장치.
  13. 제1 항에 있어서,
    상기 스윙식 덮개 개폐장치는 상기 본체와 덮개가 정사각형으로 이루어진 휴대 단말기에 설치되며, 상기 본체와 덮개 사이에서 이들의 일측 모서리 부분에 장착되고, 상기 회전체가 90도의 회전 궤적을 그리며 상기 덮개를 시계 또는 반시계 방향으로 180도 회전시키도록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 단말기용 스윙식 덮개 개폐장치.
KR1020080065087A 2008-07-04 2008-07-04 휴대 단말기용 스윙식 덮개 개폐장치 KR100988605B1 (ko)

Priority Applications (4)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80065087A KR100988605B1 (ko) 2008-07-04 2008-07-04 휴대 단말기용 스윙식 덮개 개폐장치
PCT/KR2008/005120 WO2010002065A1 (en) 2008-07-04 2008-09-01 Swing type cover opening and closing device for mobile phone
US13/002,481 US8185172B2 (en) 2008-07-04 2008-09-01 Swing type cover opening and closing device for mobile phone
JP2011516093A JP2011526764A (ja) 2008-07-04 2008-09-01 携帯端末機用スイング式カバー開閉装置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80065087A KR100988605B1 (ko) 2008-07-04 2008-07-04 휴대 단말기용 스윙식 덮개 개폐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00004745A true KR20100004745A (ko) 2010-01-13
KR100988605B1 KR100988605B1 (ko) 2010-10-18

Family

ID=4146613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80065087A KR100988605B1 (ko) 2008-07-04 2008-07-04 휴대 단말기용 스윙식 덮개 개폐장치

Country Status (4)

Country Link
US (1) US8185172B2 (ko)
JP (1) JP2011526764A (ko)
KR (1) KR100988605B1 (ko)
WO (1) WO2010002065A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991463B1 (ko) * 2008-07-04 2010-11-04 (주) 프렉코 휴대 단말기용 스윙식 덮개 개폐장치
KR200467719Y1 (ko) * 2012-08-31 2013-07-01 (주)에스피에스 모바일 단말기의 백커버
NL2023844B1 (en) * 2019-09-18 2021-05-18 Microsoft Technology Licensing Llc Display counterbalance mechanism

Family Cites Families (19)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062936B1 (ko) * 2002-07-22 2011-09-07 모토로라 모빌리티, 인크. 전자 장치용 자가 개방 기구
EP1385319B1 (en) * 2002-07-22 2011-09-28 Motorola Mobility, Inc. Self operating opening mechanism for use in a hand-held electronic device
KR100660819B1 (ko) 2004-07-09 2006-12-28 주식회사 엠투시스 슬라이드 및 회전형 통신단말기
JP4148095B2 (ja) 2003-10-15 2008-09-10 オムロン株式会社 回転支持機構および電子機器
KR100566276B1 (ko) * 2003-10-17 2006-03-30 삼성전자주식회사 휴대용 단말기 및 그의 스윙 힌지 모듈
KR100640380B1 (ko) * 2004-03-12 2006-10-30 삼성전자주식회사 스윙 타입 휴대용 단말기
KR20060033298A (ko) * 2004-10-14 2006-04-19 주식회사 팬택앤큐리텔 스윙 폴더형 휴대폰의 회전 힌지
KR100681373B1 (ko) 2004-11-15 2007-02-15 이근주 휴대용단말기의 회동개폐장치
KR200387277Y1 (ko) * 2005-03-03 2005-06-17 이근주 휴대용단말기의 스윙장치
US20070087792A1 (en) 2005-10-18 2007-04-19 Nokia Corporation Portable electronic device
KR200408523Y1 (ko) * 2005-11-28 2006-02-13 주식회사 모젬 스윙 타입 휴대폰용 힌지구조체
KR200416846Y1 (ko) * 2006-03-07 2006-05-23 윤덕상 휴대 단말기용 슬라이드-스윙 모듈
KR200419184Y1 (ko) * 2006-03-23 2006-06-16 이근주 휴대용 단말기의 스윙장치
KR100761663B1 (ko) 2006-06-14 2007-10-01 (주) 프렉코 휴대단말기용 스윙식 덮개 개폐장치
US7866000B2 (en) * 2006-07-24 2011-01-11 Samsung Electronics Co., Ltd Swing hinge apparatus of portable terminal
KR100768499B1 (ko) * 2006-08-11 2007-10-18 주식회사 다이아벨 휴대폰의 스윙 힌지 장치
KR100699245B1 (ko) * 2006-08-28 2007-03-23 정영조 휴대폰의 회전장치
KR100796725B1 (ko) 2006-10-02 2008-01-21 (주) 프렉코 휴대단말기용 복합식 덮개 개폐장치
KR100991463B1 (ko) * 2008-07-04 2010-11-04 (주) 프렉코 휴대 단말기용 스윙식 덮개 개폐장치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US8185172B2 (en) 2012-05-22
WO2010002065A1 (en) 2010-01-07
JP2011526764A (ja) 2011-10-13
US20110111812A1 (en) 2011-05-12
KR100988605B1 (ko) 2010-10-18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200439610Y1 (ko) 휴대단말기용 힌지식 덮개 개폐장치
US7184805B2 (en) Hinge device of swing-type portable terminal
US8336168B2 (en) Hinge mechanism and electronic device using the same
EP1693539B1 (en) Hinge device for a display for rotation type mobile phone
KR101142836B1 (ko) 2축 힌지 모듈 및 이것이 장착된 휴대단말기
US8185171B2 (en) Swing type cover opening and closing device for mobile phone
KR100988605B1 (ko) 휴대 단말기용 스윙식 덮개 개폐장치
JP2526490B2 (ja) 折り畳み式機器のヒンジ構造
KR100791266B1 (ko) 휴대단말기용 힌지식 덮개 개폐장치
KR100686095B1 (ko) 힌지모듈 및 이를 구비하는 이동통신 단말기
KR200430930Y1 (ko) 슬라이딩 핸드폰의 디스플레이부 스윙 작동용 힌지 조립체
KR100827607B1 (ko) 휴대폰용 양방향 스윙 힌지 모듈
KR100976116B1 (ko) 이중 폴더형 전자기기
KR200372886Y1 (ko) 휴대용단말기의 회전장치
CN216291056U (zh) 电子设备保护壳
KR100986775B1 (ko) 휴대 단말기용 힌지 장치
KR100628916B1 (ko) 휴대용단말기의 회전장치
KR200374141Y1 (ko) 슬라이딩 방식 휴대폰
KR100971997B1 (ko) 휴대 단말기용 듀얼 트위스트 힌지 장치
KR100641325B1 (ko) 양 방향 힌지 장치 및 이를 구비한 휴대용 단말기
KR200414542Y1 (ko) 휴대전화기의 스윙 힌지 모듈
KR200364933Y1 (ko) 휴대단말기의 투 벤딩 힌지 모듈
KR100810352B1 (ko) 힌지 장치를 구비하는 휴대용 단말기
KR200364954Y1 (ko) 폴더형 이동통신 단말기의 스위블 힌지장치
KR100796945B1 (ko) 폴더형 휴대폰의 2클릭 힌지장치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