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00004422U - 휴대용 분무기의 몸체 - Google Patents

휴대용 분무기의 몸체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00004422U
KR20100004422U KR2020100002840U KR20100002840U KR20100004422U KR 20100004422 U KR20100004422 U KR 20100004422U KR 2020100002840 U KR2020100002840 U KR 2020100002840U KR 20100002840 U KR20100002840 U KR 20100002840U KR 20100004422 U KR20100004422 U KR 20100004422U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ontents
wall
sprayer
nebulizer
portabl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100002840U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임두만
이기천
Original Assignee
임두만
이기천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임두만, 이기천 filed Critical 임두만
Priority to KR2020100002840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100004422U/ko
Publication of KR20100004422U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00004422U/ko
Priority to PCT/KR2011/001860 priority patent/WO2011115436A2/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5SPRAYING OR ATOMISING IN GENERAL; APPLYING FLUENT MATERIALS TO SURFACES, IN GENERAL
    • B05BSPRAYING APPARATUS; ATOMISING APPARATUS; NOZZLES
    • B05B11/00Single-unit hand-held apparatus in which flow of contents is produced by the muscular force of the operator at the moment of use
    • B05B11/0005Components or details
    • B05B11/0037Containers
    • B05B11/0038Inner container disposed in an outer shell or outer casing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5SPRAYING OR ATOMISING IN GENERAL; APPLYING FLUENT MATERIALS TO SURFACES, IN GENERAL
    • B05BSPRAYING APPARATUS; ATOMISING APPARATUS; NOZZLES
    • B05B11/00Single-unit hand-held apparatus in which flow of contents is produced by the muscular force of the operator at the moment of use
    • B05B11/01Single-unit hand-held apparatus in which flow of contents is produced by the muscular force of the operator at the moment of use characterised by the means producing the flow
    • B05B11/10Pump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the contents from the container to a pump chamber by a sucking effect and forcing the contents out through the dispensing nozzle
    • B05B11/1042Components or detail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5SPRAYING OR ATOMISING IN GENERAL; APPLYING FLUENT MATERIALS TO SURFACES, IN GENERAL
    • B05BSPRAYING APPARATUS; ATOMISING APPARATUS; NOZZLES
    • B05B11/00Single-unit hand-held apparatus in which flow of contents is produced by the muscular force of the operator at the moment of use
    • B05B11/0005Components or details
    • B05B11/0037Container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5SPRAYING OR ATOMISING IN GENERAL; APPLYING FLUENT MATERIALS TO SURFACES, IN GENERAL
    • B05BSPRAYING APPARATUS; ATOMISING APPARATUS; NOZZLES
    • B05B11/00Single-unit hand-held apparatus in which flow of contents is produced by the muscular force of the operator at the moment of use
    • B05B11/0005Components or details
    • B05B11/0059Components or details allowing operation in any orientation, e.g. for discharge in inverted position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5SPRAYING OR ATOMISING IN GENERAL; APPLYING FLUENT MATERIALS TO SURFACES, IN GENERAL
    • B05BSPRAYING APPARATUS; ATOMISING APPARATUS; NOZZLES
    • B05B11/00Single-unit hand-held apparatus in which flow of contents is produced by the muscular force of the operator at the moment of use
    • B05B11/01Single-unit hand-held apparatus in which flow of contents is produced by the muscular force of the operator at the moment of use characterised by the means producing the flow
    • B05B11/10Pump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the contents from the container to a pump chamber by a sucking effect and forcing the contents out through the dispensing nozzle
    • B05B11/1001Piston pumps
    • B05B11/1009Piston pumps actuated by a lever
    • B05B11/1011Piston pumps actuated by a lever without substantial movement of the nozzle in the direction of the pressure stroke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5SPRAYING OR ATOMISING IN GENERAL; APPLYING FLUENT MATERIALS TO SURFACES, IN GENERAL
    • B05BSPRAYING APPARATUS; ATOMISING APPARATUS; NOZZLES
    • B05B15/00Details of spraying plant or spraying apparatus not otherwise provided for; Accessories
    • B05B15/30Dip tubes

Landscapes

  • Containers And Packaging Bodies Having A Special Means To Remove Contents (AREA)
  • Nozzles (AREA)

Abstract

본 고안은 분무기의 몸체 내부를 간단히 변경하여 저장부에 잔류하는 소량의 내용물을 최대한 사용할 수 있도록 개선한 휴대용 분무기의 몸체를 제공하기 위한 것으로, 하단으로 설치된 인출관을 통해 흡입된 내용물을 외부로 분사시키는 노즐분사부와, 상기 노즐분사부와 결합되어지되 그 내부에 일정한 용량의 내용물을 채울 수 있는 저장부가 구비되는 휴대용 분무기의 몸체에 있어서, 상기 몸체가 기울어질 때 저장부에 채워진 내용물이 인출관의 하단부에 모일 수 있는 구조의 경사진 내벽이 형성되어 이루어지며, 상기 경사진 내벽은 외벽과의 사이에 중공부가 형성된 특징적인 구조로 이루어진다.

Description

휴대용 분무기의 몸체{A BODY OF SPRAYER}
본 고안은 일반적으로 가정이나 사무실 등에서 사용되는 휴대용 분무기의 몸체에 관한 것으로, 특히 분무기의 몸체 내부에 채워진 물이나 약액 등의 내용물이 소량 남아 있는 경우라도 최대한 분무가 가능하도록 하여 다양한 용도에 사용되는 분무기의 사용을 편리하게 하는 휴대용 분무기의 몸체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가정이나 사무실, 작업장 등에서 물이나 약액 등을 넣어 사용하는 휴대용 분무기는 물이나 약액 등 일정한 대상물에 그 내용물을 분무하는데 주로 사용된다.
이러한 분무기는 상단의 노즐분사부와, 상기 노즐분사부의 하단에 결합되며 그 내부에 일정량의 내용물이 채워지는 저장부가 구비되는 몸체로 구성되어 있다.
통상의 휴대용 분무기의 몸체는 그 내부에 물을 주입할 수 있도록 상단부에소구경의 개구부가 형성되고, 상기 개구부 하단으로는 사용자가 몸체를 손으로 감싸 잡을 수 있도록 일정길이의 잘록한 손잡이부가 형성되며, 상기 손잡이부의 하단으로는 그 내부에 일정량의 물이나 약액 등이 채워질 수 있는 라운드형이나 직육면체형의 저장부가 구비된 몸체로 이루어진다.
상술한 구조로 이루어지는 통상의 휴대용 분무기의 몸체는 저장부의 내측에 일정량의 내용물이 채워져 있는 경우, 몸체가 기울어지더라도 노즐분사부를 통해 내용물이 분사되는데 특별한 불편이 없지만, 분무기를 사용하는 도중에 내용물의 양이 소량으로 남은 상태에서 분무기를 일정각도 기울여 사용하는 경우에는 저장부 내측에 잔존하는 내용물이 몸체의 기울어지는 일측 방향으로 쏠리게 되어 저장부 내측 중심부로 내려온 흡입관의 하단부가 내용물에 잠기지 않게 되어 소량의 내용물을 끝까지 사용할 수 없어서 다시 몸체의 저장부에 내용물을 채워넣어 사용하여야 하기 때문에 사용장소에 따라 물을 넣거나 약액을 보충하기 위해 이동을 하거나 잔존하는 약품 등을 추가로 투입하여야 하는 불편함이 많이 있었다.
이러한 종래의 불편함을 없애기 위한 일실시예로 몸체의 내측으로 뻗어 내려온 인출관의 상단부가 몸체의 기울어지는 방향에 따라 휘어지도록 구성되는 기술과, 또 다른 실시예로 몸체의 상단 연결부를 연질의 탄력있는 재질로 구성하여 몸체의 내측으로 설치된 인출관을 내용물이 남아 있는 위치로 움직여서 잔존하는 내용물을 끝까지 사용할 수 있도록 구성되었다.
그러나, 본 고안과 동일한 기술분야에 속하는 분무기의 몸체와 관련된 상기 다른 실시예의 경우, 노즐분사부와 몸체를 연결하는 목부가 연질의 탄력 있는 재질로 이루어져 분무기 사용시 가장 많은 힘을 받게 되어 상기 목부가 사용자의 레버조작시 유동될 수 있어 몸체의 움직임으로 인해 인출관이 내용물이 채워진 위치에서 벗어나게 되어 잔류하는 내용물을 끝까지 인출하여 사용하는데 여전히 불편함을 가지고 있었다.
본 고안은 분무기의 몸체 내부를 간단히 변경하여 저장부에 잔류하는 소량의 내용물을 최대한 사용할 수 있도록 개선한 휴대용 분무기의 몸체를 제공하고자 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상술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본 고안에 따른 휴대용 분무기의 몸체는 내용물을 미립자로 분무하는 노즐분사부와, 상기 노즐분사부와 결합되어지되 그 내부에 일정한 용량의 내용물을 채울 수 있는 저장부가 구비되는 휴대용 분무기의 몸체에 있어서, 상기 몸체가 일정각도 기울어지더라도 그 내측에 채워진 내용물이 인출관의 하단 중심부로 자연스럽게 모일 수 있도록 내용물이 접촉하는 내벽이 상광하협(上廣下狹)식으로 형성되어 소량의 내용물까지 최대한 인출하여 사용할 수 있도록 하는 특징적인 형상으로 이루어진다.
또한, 상기 경사진 내벽은 외벽과의 사이에 소정의 중공부가 형성되는 구조로 이루어지며, 상기 경사진 내벽은 몸체 높이의 1/2 이하로 형성되는 것이 저장부에 채워지는 내용물의 용량을 감안할 때 더욱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내벽의 하단에는 소량의 내용물까지 완전히 분무시키는데 용이하도록 일정깊이의 오목부가 추가로 형성될 수 있다.
본 고안에 따른 분무기의 몸체는 통상의 사용환경에서 업무용이나 가정용 및 작업용 등으로 사용될 때 내용물을 끝까지 배출시킬 수 있도록 이루어져 사용의 편리성을 대폭 향상시킨 분무기용 몸체를 제공하게 된다.
특히, 종래에 다수 안출되어진 다른 발명 및 고안들의 대부분이 분사노즐이나 인출관이 포함된 노즐분사부를 개량하여 내용물을 최대한 배출시킬 수 있도록 구성됨으로써 제조공정이나 단가가 상승되는 요인이 발생되었던 문제점을 본 고안에 따른 몸체는 내측 형상을 간단히 변경하여 특별히 원가상승요인이 발생되지 않아 경제적 부담 없이 수요자들이 구입하여 사용할 수 있는 분무기를 제공하는 유용한 효과를 가진다.
또한, 본 고안에 따른 휴대용 분무기의 몸체는 경사진 내벽에 특정광고문구나 캐릭터 등을 성형시켜 반영구적으로 제품이나 회사의 홍보수단으로 이용할 수 있는 유용한 장점을 제공한다.
또한, 공업용 세정제 등 각종 화학약품을 넣어 사용하던 종래의 휴대용 분무기의 경우 내용물이 소량으로 남을 경우 끝까지 사용하지 못하고 버리는 경우가 많아 각종 환경오염 등을 일으키는 문제점이 있었으나, 본 고안에 따른 휴대용 분무기의 몸체를 사용하는 경우 내용물을 최대한 소모시킬 수 있어 인체 및 환경에 유해한 각종 공업용 화학약품 등을 버리는 문제점을 해결할 수 있는 유용한 효과를 제공하게 된다.
도 1은 종래의 사용중인 통상의 분문기가 기울어어져 사용되는 상태도,
도 2는 본 고안의 일실시예에 따른 분무기 몸체의 결합사시도,
도 3은 본 고안의 일실시예에 따른 분무기 몸체에 소량의 내용물이 채워져 전방으로 일정각도 기울어져 사용되는 상태도,
도 4는 본 고안의 일실시예에 따른 분무기 몸체에 소량의 내용물이 채워져 상방을 향해 일정각도 기울어져 사용되는 상태도,
도 5는 본 고안의 일실시예에 따른 분무기의 몸체의 수직 절단단면도이고,
도 6은 본 고안의 실시예에 따른 분무기의 몸체 내벽에 소정의 광고문구가 형성된 상태도이다.
이하에서는 본 고안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대하여 첨부된 도면을 참고하면서 상세히 설명한다.
본 고안에 따른 분무기용 몸체는 일반 가정이나 사무실 및 작업장 등에서 흔히 사용되는 휴대용 분문기에 사용되는 것으로, 분무기의 주요 구성은 크게 조작레버의 조작에 의해 저장부 내측에 채워진 내용물이 인출관을 통해 흡입되어 분사구로 분사되도록 구성되는 노즐분사부; 상단 개구부가 노즐분사부의 하단에 결합되고, 개구부의 하단으로 그 내부에 일정량의 내용물이 채워지도록 소정의 부피를 갖는 원통형 또는 직육면체 형상의 저장부가 구비되는 몸체;로 구성된다.
본 고안은 휴대용 분무기에서 분무되는 내용물이 채워지는 분무기의 몸체에 관한 것으로, 분무기의 주요 구성요소인 상기 노즐분사부에 대한 상세한 설명은 생략하고, 본 고안의 특징부인 몸체 위주로 상세한 설명을 하기로 한다.
도 1은 본 고안의 실시예와 상호 대비를 위해 종래의 분무기에 대한 사용상태를 도시하고 있으며, 도 2는 본 고안의 일 실시예에 따른 분무기 몸체의 결합사시도를 도시하고 있다.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고안에 따른 분무기용 몸체(20)는 외형적으로는 도 1의 종래 실시예와 동일한 형상으로 이루어지지만, 본 고안의 특징부는 내용물이 채워지는 몸체(20)의 저장부(21) 내측에 있다.
즉, 본 고안의 특징부인 몸체(20)의 저장부(21)에는 내벽(26)이 위쪽에서 아래쪽으로 갈수록 그 직경(간격)이 점점 줄어드는 원기둥 또는 역마름모 형상의 상광하협(上廣下陜) 형상으로 이루어진 것에 있다.
도 1의 종래 실시예에 따른 경우, 저장부(21)의 내측에 소량의 내용물(30)이 남아 있는 상태에서 특정 대상물에 그 내용물(30)을 분무시키기 위해서는 분무기 자체를 일정각도 기울여 사용하기 마련인데, 이렇게 분무기를 기울여 사용하는 경우 통상 몸체(20a)의 내측 중앙으로 설치된 인출관(15)의 하단부가 소량의 내용물로부터 노출되어 인출관(15)의 내부에 차있는 내용물을 완전히 분사시킨 후에는 더 이상 내용물의 흡입이 이루어지지 않게 되어 소량의 내용물이 남아 있는 상태로 기울여 사용하는 것은 불가능하기 때문에 추가로 내용물을 다시 채워 넣어서 사용해야 된다.
그러나, 도 3에 도시된 본 고안의 일실시예에 따른 분무기의 사용상태도에서 알 수 있듯이, 몸체(20)의 내측에 소량의 내용물이 남아 있는 상태에서 몸체(20)가 약간 기울여진 상태로 사용되더라도 몸체(20)의 저장부(21)에 형성된 내벽(26)이 인출관(15)의 하단을 향해 점점 좁아지는 상광하협식의 직선형으로 이루어져 소량의 내용물이더라도 종래와 같이 만곡형의 몸체(20a)의 측면에 모이는 것이 아니라 직선형의 몸체(20)의 하단부인 인출관(15)의 아래로 모이게 되어 소량으로 남아있는 내용물(30)까지 최대한 배출시킬 수 있도록 구성된다.
상기 내벽(26)은 도면에 도시된 바와 같이, 몸체(20)의 중간 높이에서 바닥면의 중심부를 향해 직선형으로 이루어짐으로써 저장부(21)에 채워지는 내용물(30)의 양을 적절하게 유지할 수 있어 더욱 바람직하다.
또한, 도 4에는 본 고안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분무기의 사용상태를 도시하고 있는 것으로, 도 4의 다른실시예는 상술한 본 고안의 일실시예의 몸체 저장부 하단에 우물모양의 오목부(28)가 추가로 형성되어 소량의 내용물이 인출관을 통해 쉽게 배출될 수 있도록 구성되는 특징을 갖는다.
즉, 도 4의 다른 실시예에서도 상술한 도 3의 일실시예와 마찬가지로 어느 일측, 도면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방을 향해 분무시키는 경우에도 분무기의 몸체(20) 내측에 소량으로 남아 있는 내용물(30)이 인출관(15)의 하단 오목부(28)에 자연스럽게 모이게 되어 비록 소량일지라도 내용물을 거의 남김없이 배출시킬 수 있도록 한다.
한편, 도 5에는 본 고안의 일실시예에 따른 몸체(20)의 일부에 대한 수직 절단단면도를 도시하고 있는 것으로, 도면에 도시된 바와 같이 몸체(20)의 내측에 상광하협식의 내벽(26)이 형성되면, 상기 내벽(26)과 외벽(27)과의 사이에는 소정의 중공부(40)가 형성되도록 하여 상기 중공부(40)로 인해 저장부(21)에 채워지는 내용물(30)의 양이 종래보다 줄어드는 효과는 있지만, 종래의 분무기에서 내용물을 가득 채워 사용할 때 그 중량감으로 인해 사용의 불편함이 발생되었던 문제점을 오히려 해소할 수 있는 유용한 장점을 제공할 수도 있게 된다.
상기 저장부(21) 내측에 구비되는 경사진 내벽(26)은 종래의 분무기 몸체와 같이 그 외형이 외측으로 만곡되게 돌출되지 않은 직선형으로 이루어진 것에 그 특징이 있고, 내벽(26)의 기울기는 바닥면에 대해서 10도 이상 60도 이하이면 충분하며, 소정의 기울기를 갖도록 구성되는 것이면 충분하므로 굳이 그 기울기의 각도를 한정할 필요는 없을 것이다.
한편, 도 6에는 본 고안의 실시예에 따른 몸체(20)의 내벽(26)에 광고성 문구나 회사의 로고, 캐릭터 등이 형성되도록 성형하여 경사진 내벽(26)을 이용하여 제품이나 회사이미지 등을 광고할 수 있으며, 외부에 직접 노출되지 않아 부식등의 위험이 없어 반 영구적인 광고효과를 제공할 수 있는 장점도 있다.
이와 같이, 본 고안의 실시예에 따른 분무기용 몸체(20)는 저장부(21)에 채워지는 내용물이 몸체가 90도 이상 기울어지지 않은 이상 그 내용물을 인출관의 하단으로 모을 수 있기 때문에 내용물의 대소에 관계없이, 또는 몸체(20)의 기울어지는 각도에 관계없이 저장부(21)의 내부에 남아 있는 소량의 내용물까지 배출시킬 수 있도록 하는 유용한 장점을 제공함으로써 내용물이 남아 있는 상태에서 추가로 내용물을 보충하는 불편함을 줄이고, 약액 등이 남아 있는 경우 미처 다 사용하지 못한 내용물을 버림으로 인해서 환경을 오염시키는 문제점 등을 해소할 수 있는 특유의 장점을 제공한다.
또한, 몸체의 내측에 설치된 내벽과 외벽 사이의 중공부가 형성됨으로 인해서 종래의 분무기 몸체보다 비록 적은 양의 내용물을 채울 수 있지만, 이는 종래의 분무기 몸체에 내용물을 꽉 채울시 그 중량으로 인해 사용자의 손목에 많은 부담감을 주는 경우가 있었으나, 본 고안에 따른 분무기 몸체의 경우에는 내용물을 채울수 있는 공간부가 줄어듬으로 인해서 분무기에 채워지는 내용물의 총량을 줄일 수 있어 몸체에 내용물을 충만시켜 사용하는 경우에도 중량으로 인한 피로감을 줄여 사용의 편리성을 향상시키는 장점도 제공하게 된다.
본 고안의 실시예에 따른 분무기용 몸체는 분무기가 통상적으로 어느 정도 기울어진 상태로 사용되는 환경을 감안하여 안출된 것으로, 다림질이나 화초에 물을 분무할 때도 분사노즐부의 분사구가 해당 대상물을 향하도록 하기 위해서는 분무기를 어느 정도 기울어야 하므로, 분무기가 기울어지게 되면 몸체 역시 동일한 기울기만큼 기울어지게 되고, 몸체가 기울어지더라도 몸체의 저장부에 내벽이 형성되어 있어 저장부의 내용물이 내벽의 하단으로 자연스럽게 모이게 되어 인출관을 통해 외부로 분사되기 좋은 환경을 제공하게 된다.
상술한 바와 같이, 본 고안에 따른 분무기용 몸체는 내벽의 높이나 기울기의 각도에 제한없이 저장부 내에서 인출관의 하단부를 향해 상광하협의 직선형 경사진 내벽을 갖는 것이면 소정의 목적을 달성할 수 있는 것이므로, 이와 같은 기술적 사상을 갖는 것이면 모두 본 고안의 권리범위에 포함된다 할 것이다.
상술한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분무기용 몸체는 일반가정이나 사무실, 공장 등 다양한 곳에서 다양한 용도로 사용되는 통상의 휴대용분무기에 결합하여 사용할 수 있는 휴대용 분무기의 몸체를 제공하므로, 그 이용성이 뛰어날 뿐만 아니라 분무기가 90도 이상 기울어지지 않은 한 몸체 내부에 채워진 내용물을 몸체 하단으로 자연스럽게 모일 수 있도록 하여 그 사용이 편리한 더욱 분무기를 제공할 수 있다.
10 : 분사노즐부 11 : 조작레버
13: 체결부 15 : 인출관
20a, 20 : 몸체 21 : 저장부
24 : 손잡이부 26 : 내벽
27 : 외벽 28 : 오목부
30 : 내용물 36 : 광고문구
40 : 중공부

Claims (5)

  1. 하단으로 설치된 인출관을 통해 흡입된 내용물을 외부로 분사시키는 노즐분사부와, 상기 노즐분사부와 결합되어지되 그 내부에 일정한 용량의 내용물을 채울 수 있는 저장부가 구비되는 휴대용 분무기의 몸체에 있어서,
    상기 몸체는 분무기가 기울어지더라도 저장부에 채워진 내용물이 인출관의 하단 중심부에 모일 수 있는 직선형의 경사진 내벽이 형성되어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용 분무기의 몸체.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경사진 내벽은 외벽과의 사이에 중공부가 형성되는 구조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용 분무기의 몸체.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경사진 내벽은 몸체 높이의 1/2 이하로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용 분무기의 몸체.
  4. 제2항 또는 제3항에 있어서,
    상기 경사진 내벽의 하단에는 소량의 내용물까지 최대한 분무시킬수 있도록 일정깊이의 오목부가 형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용 분무기의 몸체.
  5. 제1항 내지 제3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몸체의 내측에는 기울어지는 몸체에 의해 몸체 내부의 내용물이 목부로 이동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는 차단막이 형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용 분무기의 몸체.
KR2020100002840U 2010-03-18 2010-03-18 휴대용 분무기의 몸체 KR20100004422U (ko)

Priority Applications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100002840U KR20100004422U (ko) 2010-03-18 2010-03-18 휴대용 분무기의 몸체
PCT/KR2011/001860 WO2011115436A2 (ko) 2010-03-18 2011-03-17 휴대용 분무기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100002840U KR20100004422U (ko) 2010-03-18 2010-03-18 휴대용 분무기의 몸체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00004422U true KR20100004422U (ko) 2010-04-29

Family

ID=4419889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100002840U KR20100004422U (ko) 2010-03-18 2010-03-18 휴대용 분무기의 몸체

Country Status (2)

Country Link
KR (1) KR20100004422U (ko)
WO (1) WO2011115436A2 (ko)

Family Cites Familie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9990033950U (ko) * 1998-01-09 1999-08-16 배창수 내용물 흡입구에 무거운 추를 착설한 수동분사식 스프레이 기구
EP1088562A1 (en) * 1999-09-29 2001-04-04 Givaudan SA A device for the controllable transfer of a liquid and an apparatus for dispensing transferred liquids
JP3989365B2 (ja) * 2002-12-02 2007-10-10 トチセン化成工業株式会社 コンテナー用内袋。
KR20080003975U (ko) * 2007-03-15 2008-09-19 엄재성 개량 분무기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WO2011115436A2 (ko) 2011-09-22
WO2011115436A3 (ko) 2012-01-12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8322576B2 (en) Spray bottle reservoir system
US20060237485A1 (en) All position spray bottle
US20090212077A1 (en) Spray mechanism
US3199739A (en) Container for toilet bowl cleaning fluid and receptacle for mop
US7637397B2 (en) Flexible down tube and methods of use thereof
CN102639046A (zh) 清洁用具
KR200467913Y1 (ko) 분무기
US6360918B1 (en) Bottle
BRPI0406611B1 (pt) A dispenser for providing a mixture of two or more fluids and methods for providing a foam or mist, and for treating or cleaning a surface with a foam or mist
KR20100004422U (ko) 휴대용 분무기의 몸체
CA2453549A1 (en) Trigger sprayers
KR102141859B1 (ko) 분무 효율이 개선된 분무기
US20050087568A1 (en) Spray bottle
US20150001317A1 (en) Water absorbing apparatus for water spray container
JP2006213351A (ja) ポンプ容器
US20080245824A1 (en) Efficient fluidic spray and other delivery multipurpose asymmetrical or symmetrical systems
JP2012017108A (ja) 噴射器付き容器
KR20210000958U (ko) 다방향 분무용 빨대
KR200494230Y1 (ko) 분무기
KR20090021327A (ko) 분무기
KR102485746B1 (ko) 분무기
JP2012025485A (ja) ecoボトル
US9227211B2 (en) Spray dispenser and method for using
JP2012214234A (ja) 2液混合吐出容器
US20220047124A1 (en) Portable fluid dispensing apparatuses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