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00004401U - Dustpan keeping the open end being flat - Google Patents

Dustpan keeping the open end being flat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00004401U
KR20100004401U KR2020080013976U KR20080013976U KR20100004401U KR 20100004401 U KR20100004401 U KR 20100004401U KR 2020080013976 U KR2020080013976 U KR 2020080013976U KR 20080013976 U KR20080013976 U KR 20080013976U KR 20100004401 U KR20100004401 U KR 20100004401U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main body
support member
dustpan
flat
keep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080013976U
Other languages
Korean (ko)
Other versions
KR200451911Y1 (en
Inventor
최환웅
Original Assignee
최환웅
정명수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최환웅, 정명수 filed Critical 최환웅
Priority to KR2020080013976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451911Y1/en
Publication of KR20100004401U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00004401U/en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451911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451911Y1/en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LDOMESTIC WASHING OR CLEANING;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L13/00Implements for cleaning floors, carpets, furniture, walls, or wall coverings
    • A47L13/10Scrubbing; Scouring; Cleaning; Polishing
    • A47L13/50Auxiliary implements
    • A47L13/52Dust pans; Crumb trays

Abstract

본 고안에 따른 단부를 평평하게 유지하는 쓰레받기는, 쓰레기를 수용하는 공간이 마련된 본체; 상기 본체의 단부의 양 측벽에 각각 형성된 결합공; 상기 결합공들에 걸려 상기 본체에 결합되고 상부면 또는 하부면에 톱니형상의 요철부가 구비되어 상기 결합공들 사이의 본체를 직선으로 유지하는 지지부재;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The dustpan for keeping the end flat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the main body provided with a space for receiving garbage; Coupling holes respectively formed on both sidewalls of an end of the main body; It is characterized in that it comprises a; support member for holding the coupling holes coupled to the main body is provided with a sawtooth uneven portion on the upper or lower surface to maintain the body between the coupling holes in a straight line.

Description

단부를 평평하게 유지하는 쓰레받기{Dustpan keeping the open end being flat}Dust keeping the open end being flat}

본 고안은 바닥의 쓰레기를 비로 쓸어담을 때 지면과 경계를 이루는 단부를 항상 평평하게 유지하여 쓰레기가 밑바닥으로 유출되는 것을 방지하도록 구조가 개선된 쓰레받기에 관한 것이다.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dustpan with an improved structure to prevent waste from spilling to the floor by always keeping the end bounded with the ground flat when sweeping the floor waste.

일반적으로 우리가 일상 생활에서 쓰는 쓰레받기는 사용 초기에 끝부분이 평평하여 쓰레기를 잘 쓸어 담을 수 있다. 그러나 그 쓰레받기를 오래 사용할 경우에는 쓰레받기가 영구변형이 되어 그 끝 부분이 지면에 대해 수직인 방향으로 휘어지게 된다. 특히 플라스틱 소재로 이루어진 쓰레받기의 경우에 이와 같은 문제점이 빈번하게 발생하게 된다. 이와 같이 그 끝 부분이 영구변형되어 휘어지게 되면, 바닥에 있는 쓰레기를 그 쓰레받기에 쓸어 담는 경우에 지면과 그 쓰레받기 사이에 생긴 틈으로 쓰레기가 유출되게 된다. 따라서 쓰레받기로서의 효율성이 현저하게 저하되는 문제점이 발생하곤 한다.In general, the dustpan we use in our daily lives is flat at the end, so we can clean up the garbage well. However, if the dustpan is used for a long time, the dustpan becomes permanently deformed and its tip is bent in a direction perpendicular to the ground. In particular, in the case of a dustpan made of a plastic material, such a problem frequently occurs. When the tip is permanently deformed and bent in this way, when the garbage on the floor is swept into the dustpan, the waste is spilled into the gap between the ground and the dustpan. Therefore, there is a problem that the efficiency as a dust reduce significantly.

최근에는 쓰레받기 끝 부분에 고무를 붙이는 경우가 있다. 그러나 이와 같은 경우에도 고무가 변형되어 같은 문제가 발생하곤 한다.Recently, there is a case where rubber is attached to the end of the dustpan. However, even in this case, the rubber is deformed and the same problem occurs.

본 고안에 따른 단부를 평평하게 유지하는 쓰레받기는 그 끝 부분이 영구변형에 의해 휘어지는 경우에 간단한 조작으로 그 끝 부분을 평평한 상태로 교정할 수 있도록 구조가 개선된 쓰레받기를 제공하는 데 있다.The dust trap for keeping the end flat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s to provide a dust trap whose structure is improved so that the end portion can be straightened with a simple operation when the end portion is bent by the permanent deformation.

본 고안에 따른 단부를 평평하게 유지하는 쓰레받기는, 쓰레기를 수용하는 공간이 마련된 본체;The dustpan for keeping the end flat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the main body provided with a space for receiving garbage;

상기 본체의 단부의 양 측벽에 각각 형성된 결합공;Coupling holes respectively formed on both sidewalls of an end of the main body;

상기 결합공들에 걸려 상기 본체에 결합되고 상부면 또는 하부면에 톱니형상의 요철부가 구비되어 상기 결합공들 사이의 본체를 직선으로 유지하는 지지부재;를 포함하는 점에 특징이 있다.It is characterized in that it comprises a support member that is coupled to the main body by the engaging holes and is provided with a sawtooth uneven portion on the upper surface or the lower surface to maintain the body between the coupling holes in a straight line.

상기 지지부재와 상기 본체의 경계면은 지면에 대해 경사지게 형성되어 있는 것이 바람직하다.It is preferable that the interface between the support member and the main body is inclined with respect to the ground.

상기 지지부재와 상기 본체의 경계면은 돌출부와 그 돌출부를 수용하는 수용홈의 상호 결합에 의해 지지될 수도 있다.The interface between the support member and the main body may be supported by mutual coupling of a protrusion and a receiving groove accommodating the protrusion.

상기 지지부재는 플라스틱 또는 고무로 된 것이 바람직하다.The support member is preferably made of plastic or rubber.

본 고안에 따른 단부를 평평하게 유지하는 쓰레받기는 쓰레받기 본체의 양단부를 평평하게 유지할 수 있는 지지부재를 부착하여 그 지지부재를 조작하여 쓰레 받기 본체의 단부를 간단하게 평평한 상태로 유지할 수 있는 있으므로 항상 새것처럼 쓰레기의 수거 효율이 우수한 쓰레받기를 제공하는 효과가 있다.The dust trap to keep the end flat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s attached to a support member that can keep both ends of the dust trap main body flat, so that the end of the dust collector main body can be kept simply flat by operating the support member. As such, it is effective to provide an excellent dustpan for collecting waste.

이하, 본 고안에 따른 바람직한 일 실시예를 첨부된 도면들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한다.Hereinafter, a preferred embodiment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in detail with reference to the accompanying drawings.

도 1은 본 고안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단부를 평평하게 유지하는 쓰레받기의 개략적 사시도이다. 도 2는 도 1에 도시된 쓰레받기의 분리 사시도 이다.1 is a schematic perspective view of a dustpan keeping the end flat according to a preferre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ure 2 is an exploded perspective view of the dustpan shown in FIG.

도 1 및 도 2를 참조하면, 본 고안의 바람직한 일 실시예에 따른 단부를 평평하게 유지하는 쓰레받기(10, 이하 "쓰레받기"라 함)는 본체(20)와, 지지부재(30)를 구비하고 있다. 1 and 2, a dust trap (10, hereinafter referred to as "dust trap") for keeping the end flat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provided with a main body 20, and a support member 30 have.

상기 본체(20)는 쓰레기를 수용하는 공간이 마련되어 있다. 상기 본체(20)의 단부의 양 측벽에는 각각 결합공(22)이 형성되어 있다. 본 실시예에서 상기 결합공(22)은 사각형으로 형성되어 있다. 상기 본체(20)는 금속, 플라스틱 등 다양한 소재로 제조될 수 있지만 일반적으로는 플라스틱 소재로 제조된다. 상기 본체(20)에는 손잡이(26)가 마련되어 있다.The main body 20 is provided with a space for receiving garbage. Coupling holes 22 are formed on both sidewalls of the ends of the main body 20, respectively. In the present embodiment, the coupling hole 22 is formed in a square. The main body 20 may be made of various materials such as metal and plastic, but is generally made of plastic. The main body 20 is provided with a handle 26.

상기 지지부재(30)는 상기 본체(20)의 단부에 결합되어 있다. 더 구체적으로 상기 지지부재(30)는 상기 결합공(22)들에 걸려 상기 본체(20)에 결합되어 있다. 상기 지지부재(30)의 양측에는 상기 결합공(22)에 걸리기 위한 톱니형상의 요철부(32)가 구비되어 있다. 상기 요철부(32)는 상기 지지부재(30)의 하부면에 마련되어 있다. 상기 요철부(32)는 상기 지지부재(30)의 상부면에 마련될 수 있으며, 상 기 요철부(32)는 상기 지지부재(30)의 상부면 및 하부면에 동시에 마련될 수도 있다. 상기 지지부재(30)는 상기 결합공(22)들 사이의 본체(20)를 직선으로 유지하기 위해 마련된 것이다. 즉, 상기 지지부재(30)에 마련된 톱니모양의 요철부(32)를 상기 결합공(22)에 걸리도록 적절히 조정함으로써 상기 본체(20)의 단부가 영구변형되어 휘게 되는 경우에도 간단하게 그 단부를 직선으로 즉 지면에 대해 평평하게 유지할 수 있게 하는 역할을 한다. 상기 지지부재(30)는 플라스틱 또는 고무로 제조되는 것이 바람직하다.The support member 30 is coupled to the end of the body 20. More specifically, the support member 30 is coupled to the main body 20 by hanging the coupling holes 22. On both sides of the support member 30 is provided with a tooth-shaped uneven portion 32 for catching the coupling hole 22. The uneven portion 32 is provided on the lower surface of the support member 30. The uneven part 32 may be provided on an upper surface of the support member 30, and the uneven part 32 may be simultaneously provided on an upper surface and a lower surface of the support member 30. The support member 30 is provided to maintain the body 20 between the coupling holes 22 in a straight line. That is, even when the end portion of the main body 20 is permanently deformed and bent by appropriately adjusting the sawtooth-shaped uneven portion 32 provided on the support member 30 to be caught by the coupling hole 22, the end thereof is simply To keep it in a straight line, ie flat to the ground. The support member 30 is preferably made of plastic or rubber.

상기 지지부재(30)와 상기 본체(20)의 경계면(24,34)은 지면에 대해 경사지게 형성되어 있다. 한편, 상기 지지부재(30)와 상기 본체(20)의 경계면(24,34)은 본 실시예와 달리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본체(20)에 마련된 돌출부(27)와 그 돌출부(27)를 수용하도록 상기 지지부재(30)에 마련된 수용홈(37)의 상호 결합에 의해 지지되도록 구성할 수도 있다. 상기 돌출부(27)와 수용홈(37)의 위치는 상기 지지부재(30)와 상기 본체(20)에 상호 결합되도록 반대로 마련될 수 있다.Interfaces 24 and 34 of the support member 30 and the main body 20 are inclined with respect to the ground. On the other hand, the interface (24,34) of the support member 30 and the main body 20 is different from the present embodiment, as shown in Figure 3, the protrusions 27 provided in the main body 20 and the protrusions 27 It may be configured to be supported by the mutual coupling of the receiving groove 37 provided in the support member 30 to accommodate). Positions of the protrusions 27 and the receiving grooves 37 may be provided oppositely to be coupled to the support member 30 and the main body 20.

이하, 상술한 바와 같이 구성된 본 실시예에 따른 쓰레받기(10)의 작용을 그 쓰레받기(10)를 사용하여 바닥의 먼지와 같은 쓰레기를 쓸어 담는 과정을 따라 상세하게 서술하기로 한다.Hereinafter, the operation of the dust trap 10 according to the present embodiment configured as described above will be described in detail along with a process of sweeping garbage such as dust on the floor using the dust trap 10.

도 1을 참조하면, 한 손으로 상기 본체(20)의 손잡이(26)를 잡고 다른 손으로 빗자루(미도시)를 잡는다. 상기 쓰레받기(10)의 단부 즉 상기 지지부재(30)의 단부가 지면에 밀착되도록 한 다음 다른 손으로 잡은 빗자루를 사용하여 바닥에 놓인 쓰레기 또는 먼지를 쓸어 담는다. 이때 상기 지지부재(30)의 전단부가 빗면으로 형성되어 있기 때문에 바닥의 쓰레기나 먼지가 자연스럽게 그 지지부재(30)의 경사진 부분을 타고 올라와 상기 본체(20)의 수용공간(25)에 퇴적된다. 이와 같이 오랜 시간 반복하여 상기 쓰레받기(10)를 사용한 경우에 상기 본체(20)의 단부 또는 상기 지지부재(30)가 영구변형이 되어 지면에 대해 상측 방향으로 휘는 경우가 발생할 수 있다. 이와 같은 경우에 상기 지지부재(30)를 상기 결합공(22)에 대해 상대적으로 팽팽하게 잡아당긴다. 그러면 상기 지지부재(30)의 양측에 마련된 톱니모양의 요철부(32)가 순차적으로 상기 결합공(22)을 통과하게 된다. 상기 요철부(32)는 상기 결합공(22)을 통과한 후에 각 톱니모양마다 상기 결합공(22)에 걸려서 단계적으로 상기 결합공(22)들 사이의 거리를 조절할 수 있게 한다. 따라서, 영구변형된 본체(20)의 단부나 상기 지지부재(30)가 지면에 대해 평평하게 즉 직선으로 유지될 수 있도록 조절할 수 있다. 이와 같이 상기 지지부재(30)의 요철부(32)를 상기 결합공(22)에 적절하게 걸리도록 조절하면 항상 신제품 상태와 같이 지면에 대해 평평한 상태로 상기 쓰레받기(10)의 단부를 유지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따라서 종래의 쓰레받기에서 발생하는 지면과 쓰레받기(10) 단부의 틈에 의해 쓰레기가 상기 수용공간(25)에 퇴적되지 않고 그 본체(20) 바닥으로 유출되는 문제점을 해소할 수 있는 효과를 제공한다.Referring to FIG. 1, the handle 26 of the main body 20 is held by one hand and a broom (not shown) is held by the other hand. The end of the dust trap 10, that is, the end of the support member 30 is brought into close contact with the ground, and then sweeps up garbage or dust placed on the floor using a broom held by another hand. At this time, since the front end portion of the support member 30 is formed in the inclined surface, garbage or dust on the bottom naturally rises on the inclined portion of the support member 30 and is deposited in the accommodation space 25 of the main body 20. . As such, when the dust collector 10 is used repeatedly for a long time, an end portion of the main body 20 or the support member 30 may be permanently deformed and bend upward with respect to the ground. In this case, the support member 30 is pulled relatively with respect to the coupling hole 22. Then, the serrated uneven portion 32 provided on both sides of the support member 30 sequentially passes through the coupling hole 22. The concave-convex portion 32 is caught by the coupling hole 22 in each tooth shape after passing through the coupling hole 22 to enable to adjust the distance between the coupling holes 22 step by step. Therefore, the end of the permanently deformed body 20 or the support member 30 can be adjusted to be kept flat or straight with respect to the ground. As such, when the uneven portion 32 of the support member 30 is adjusted to be appropriately caught by the coupling hole 22, the end of the dust trap 10 can be maintained in a flat state with respect to the ground as in the state of a new product. It works. Therefore, it is possible to solve the problem that garbage does not accumulate in the accommodation space 25 and is leaked to the bottom of the main body 20 due to the gap between the ground and the end of the dust trap 10 generated in the conventional dust trap.

이상, 본 고안을 바람직한 실시예를 들어 상세하게 설명하였으나, 본 고안은 상기 실시예에 한정되지 않으며, 본 고안의 기술적 사상 내에서 당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하여 여러 가지 많은 변형이 가능함은 명백하다.As described above, the present invention has been described in detail with reference to preferred embodiments, but the present invention is not limited to the above embodiments, and various modifications may be made by those skilled in the art within the technical idea of the present invention. Is obvious.

도 1은 본 고안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단부를 평평하게 유지하는 쓰레받기의 개략적 사시도이다.1 is a schematic perspective view of a dustpan keeping the end flat according to a preferre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2는 도 1에 도시된 쓰레받기의 분리 사시도 이다.Figure 2 is an exploded perspective view of the dustpan shown in FIG.

도 3은 본 고안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쓰레받기의 분리 사시도 이다.Figure 3 is an exploded perspective view of the dustpan 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Description of the symbols for the main parts of the drawings>

10...단부를 평평하게 유지하는 쓰레받기10 ... dustpans to keep the ends flat

20...본체 22...결합공20.Body 22 ... Joint

24,34...경계면 25...수용공간24,34 ... Border boundary 25 ... Accommodation space

26...손잡이 27...돌출부26 ... handle 27 ... protrusion

30...지지부재 32...요철부30.Support member 32.Uneven part

37...수용홈 37.Home

Claims (4)

쓰레기를 수용하는 공간이 마련된 본체;A main body provided with a space for receiving garbage; 상기 본체의 단부의 양 측벽에 각각 형성된 결합공;Coupling holes respectively formed on both sidewalls of an end of the main body; 상기 결합공들에 걸려 상기 본체에 결합되고 상부면 또는 하부면에 톱니형상의 요철부가 구비되어 상기 결합공들 사이의 본체를 직선으로 유지하는 지지부재;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단부를 평평하게 유지하는 쓰레받기.And a support member which is coupled to the main body by the engaging holes and is provided with a sawtooth-shaped uneven portion at an upper surface or a lower surface thereof to hold the main body between the coupling holes in a straight line. Dustpan to maintain. 제1항에 있어서,The method of claim 1, 상기 지지부재와 상기 본체의 경계면은 지면에 대해 경사지게 형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단부를 평평하게 유지하는 쓰레받기.The interface between the support member and the main body is formed inclined with respect to the ground dustpan to keep the end flat. 제1항에 있어서,The method of claim 1, 상기 지지부재와 상기 본체의 경계면은 돌출부와 그 돌출부를 수용하는 수용홈의 상호 결합에 의해 지지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단부를 평평하게 유지하는 쓰레받기.And a boundary surface of the support member and the main body is supported by mutual coupling of a protrusion and a receiving groove accommodating the protrusion. 제1항 내지 제3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The method according to any one of claims 1 to 3, 상기 지지부재는 플라스틱 또는 고무로 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단부를 평평하게 유지하는 쓰레받기.The support member is a dustpan to keep the end flat, characterized in that made of plastic or rubber.
KR2020080013976U 2008-10-21 2008-10-21 Dustpan keeping the open end being flat KR200451911Y1 (en)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80013976U KR200451911Y1 (en) 2008-10-21 2008-10-21 Dustpan keeping the open end being flat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80013976U KR200451911Y1 (en) 2008-10-21 2008-10-21 Dustpan keeping the open end being flat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00004401U true KR20100004401U (en) 2010-04-29
KR200451911Y1 KR200451911Y1 (en) 2011-01-21

Family

ID=4419887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080013976U KR200451911Y1 (en) 2008-10-21 2008-10-21 Dustpan keeping the open end being flat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451911Y1 (en)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5101858A (en) * 2013-01-24 2015-11-25 Wisp工业股份有限公司 Dustpan
KR102028350B1 (en) 2018-11-07 2019-10-04 오승우 Dustpan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834339B1 (en) * 2017-06-05 2018-03-05 김성우 Pet excrement device

Family Cites Familie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S6362069A (en) 1986-09-02 1988-03-18 Mitsubishi Electric Corp Documentation device
JP3809006B2 (en) 1998-03-23 2006-08-16 株式会社ダスキン Dust removal
JP3526304B1 (en) 2003-07-03 2004-05-10 拓也 赤窄 Dustpan
JP4138714B2 (en) 2003-07-26 2008-08-27 青 中井 Dust removal and garbage removal method using this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5101858A (en) * 2013-01-24 2015-11-25 Wisp工业股份有限公司 Dustpan
KR102028350B1 (en) 2018-11-07 2019-10-04 오승우 Dustpan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451911Y1 (en) 2011-01-21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CN100528064C (en) Sheet holding structure and cleaner having the same
KR20080068837A (en) Cleaning tool
KR20070048241A (en) Dust mop having dust-collecting protrusions
KR200451911Y1 (en) Dustpan keeping the open end being flat
US9408459B2 (en) Combination broom and shovel
US20070163069A1 (en) Dustpan with a latching mechanism
CN104224057A (en) Bottom cover structure of sweeper of self-propelled cleaning device and assembling and sweeping methods thereof
CN103298388A (en) Multi-functional dustpan
KR20100045803A (en) The mop with the cleaning pad of a curved surface
JP2015013098A (en) Cleaning mop
US20110173769A1 (en) Edge apparatus attachable to receptacle
JP3944177B2 (en) Cleaning tool
JP3909047B2 (en) Strength reinforcement rod and cleaning method
JP7309303B2 (en) broom
JP2019058372A (en) Cleaning tool
JP7097785B2 (en) Dustpan with broom
JP2005237589A (en) Sweeping implement
KR20130001260U (en) Broom with a damp cloth for passive cleaner
KR20180001802U (en) Filter and a small hair with a dustpan.
KR20090008235U (en) .V-dust pan
JP2005021432A (en) Dustpan
KR101608980B1 (en) Assembly Cleaning Broom
CN214712445U (en) Mop cleaning device, mop bucket and mop
KR101197550B1 (en) A broomstick
JP2022076953A (en) Dustpan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