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00004212U - 진공청소기용 먼지흡입관 - Google Patents

진공청소기용 먼지흡입관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00004212U
KR20100004212U KR2020090002546U KR20090002546U KR20100004212U KR 20100004212 U KR20100004212 U KR 20100004212U KR 2020090002546 U KR2020090002546 U KR 2020090002546U KR 20090002546 U KR20090002546 U KR 20090002546U KR 20100004212 U KR20100004212 U KR 20100004212U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uction pipe
dust
vacuum cleaner
dust suction
control uni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090002546U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461131Y1 (ko
Inventor
권영두
Original Assignee
권영두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권영두 filed Critical 권영두
Priority to KR2020090002546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461131Y1/ko
Priority to US12/575,228 priority patent/US8161600B2/en
Publication of KR20100004212U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00004212U/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461131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461131Y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LDOMESTIC WASHING OR CLEANING;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L9/00Details or accessories of suction cleaners, e.g. mechanical means for controlling the suction or for effecting pulsating action; Storing devices specially adapted to suction cleaners or parts thereof; Carrying-vehicles specially adapted for suction cleaners
    • A47L9/02Nozzle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LDOMESTIC WASHING OR CLEANING;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L9/00Details or accessories of suction cleaners, e.g. mechanical means for controlling the suction or for effecting pulsating action; Storing devices specially adapted to suction cleaners or parts thereof; Carrying-vehicles specially adapted for suction cleaners
    • A47L9/02Nozzles
    • A47L9/06Nozzles with fixed, e.g. adjustably fixed brushes or the like
    • A47L9/0673Nozzles with fixed, e.g. adjustably fixed brushes or the like with removable brushes, combs, lips or pad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LDOMESTIC WASHING OR CLEANING;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L9/00Details or accessories of suction cleaners, e.g. mechanical means for controlling the suction or for effecting pulsating action; Storing devices specially adapted to suction cleaners or parts thereof; Carrying-vehicles specially adapted for suction cleaners
    • A47L9/24Hoses or pipes; Hose or pipe couplings
    • A47L9/248Parts, details or accessories of hoses or pipes

Abstract

본 고안은 진공청소기용 먼지흡입관에 관한 것으로, 좀더 상세하게는 장롱의 상부면이나 장롱 밑의 바닥면과 같은 곳의 먼지 등을 제거할 때 또는 냉장고의 방열부 등 기존의 진공청소기용 먼지흡입관의 흡입구 위치가 닿지 않는 곳에도 효율적이고 용이하게 청소할 수 있는 구조를 갖는 진공청소기용 먼지흡입관에 관한 것이다.
본 고안은 진공 청소기 본체의 신축관 선단 또는 조절부 선단에 착탈가능하게 결합하는 먼지흡입관에 있어서, 상기 신축관 선단 또는 조절부 선단에 결합하는 결합부; 상기 결합부에 일체로 연장 형성되는 연장부; 및 상기 연장부의 끝단에 일방향으로 경사지게 형성되는 절곡부와, 상기 절곡부의 끝단부에 중공의 포집구가 구비되는 흡입부;를 포함한다.
상기와 같은 본 고안에 따른 진공청소기용 먼지흡입관에 의하면, 장롱의 상부면이나 장롱 밑의 바닥면과 같은 곳의 먼지 등을 제거할 때 용이하게 먼지 등의 이물질을 제거할 수 있으며, 냉장고의 방열부 등을 청소시에 효율적이고 용이하게 먼지 등의 이물질을 제거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진공청소기, 흡입관, 먼지, 흡입구, 냉장고, 장롱

Description

진공청소기용 먼지흡입관{INHALATION PIPE FOR REMOVING DUST IN VACUUM CLEANER}
본 고안은 진공청소기용 먼지흡입관에 관한 것으로, 좀더 상세하게는 장롱의 상부면이나 장롱 밑의 바닥면과 같은 곳의 먼지 등을 제거할 때 또는 냉장고의 방열부 등 기존의 진공청소기용 먼지흡입관의 흡입구 위치가 닿지 않는 곳에도 효율적이고 용이하게 청소할 수 있는 구조를 갖는 진공청소기용 먼지흡입관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진공청소기는 팬모터 구동에 의한 강한 흡인력으로 바닥의 먼지 나 기타 이물질을 빨아들이는 청소 기구를 말한다.
첨부 도면 중, 도 1은 종래의 진공청소기의 구성을 나타내는 개략도로서, 이를 참고하면, 팬모터의 구동에 의해 발생하는 흡인력으로 먼지 및 기타 이물질을 빨아들이면서 포집하는 먼지주머니가 내설 또는 외설되는 본체(10)와, 이 본체(10)의 흡입단에 연결되어 흡입되는 이물질을 먼지주머니로 포집되게 가이드하는 연장관(20)과, 이 연장관(20)의 일단에 결합하여 팬모터를 제어하여 흡인력을 조절하도록 하는 조절부(30)와, 이 조절부(30)의 일단에 결합하여 사용자에 의한 길이 조절 이 가능한 신축관(40), 및 이 신축관(40)의 일단에 착탈가능하게 결합하는 브러쉬수단(50)을 포함하여 구성된다.
통상 상기 브러쉬수단(50)은 신축관(40)의 끝단부에 관연결하여 사용하게 되나, 신축관(40) 자체가 단단한 재질로 이루어져 있기 때문에 평면과 같은 바닥면 청소시에는 문제가 발생하지 않지만, 장롱의 상부면이나 장롱 밑의 바닥면과 같은 곳의 먼지 등을 제거할 때는 신축관과 브러쉬수단의 자체 부피로 인해 청소 부위로 위치시키기가 어려운 문제점이 있었다.
한편, 가전 제품인 냉장고의 방열부는 종래 단층수직형에서 현재 복층수평형으로 바뀜에 따라 엄청난 양(두께 약 1~1.5cm)의 먼지가 쌓임에 따라 냉장고의 열효율이 현저하게 저하하게 되고 먼지 등으로 인해 화재의 위험도 존재하며, 따라서 이러한 냉장고의 방열부를 청소할 수 있는 별도의 진공청소기 신축관 및 브러쉬수단을 요구하고 있다.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본 고안은 장롱의 상부면이나 장롱 밑의 바닥면과 같은 곳의 먼지 등을 제거할 때 장공의 흡입구 및 긴 연결관을 가짐으로써, 용이하게 먼지 등의 이물질을 제거할 수 있는 구조를 갖는 진공청소기용 먼지흡입관를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또한, 냉장고의 방열부 등을 청소시에 긴 연결관을 가짐으로써, 효율적이고 용이하게 먼지 등의 이물질을 제거할 수 있는 구조를 갖는 진공청소기용 먼지흡입관를 제공하는데 다른 목적이 있다.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고안은 진공 청소기 본체의 신축관 선단 또는 조절부 선단에 착탈가능하게 결합하는 먼지흡입관에 있어서, 상기 신축관 선단 또는 조절부 선단에 결합하는 결합부; 상기 결합부에 일체로 연장 형성되는 연장부; 및 상기 연장부의 끝단에 일방향으로 경사지게 형성되는 절곡부와, 상기 절곡부의 끝단부에 중공의 포집구가 구비되는 흡입부;를 포함한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절곡부는 상기 포집구가 형성되는 끝단부에 둘레 방향을 따라 일정깊이 함몰형성되는 다수의 관통홈이 구비될 수 있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흡입부는 상기 포집구에 브러쉬부나 고무팁부가 착탈가능하게 결합될 수 있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고무팁부는 그 바닥면이 물결 형상으로 절곡되어 형성될 수 있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포집구는 그 내경이 좁혀지도록 단턱부가 구비될 수 있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포집구는 원형 또는 다각의 형상으로 구비될 수 있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연장부의 길이는 60 ~ 90cm인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 고안은 진공 청소기 본체의 신축관 선단 또는 조절부 선단에 착탈가능하게 결합하는 먼지흡입관에 있어서, 상기 신축관 선단 또는 조절부 선단에 결합하는 결합부; 상기 결합부에 일체로 연장 형성되는 연장부; 및 상기 연장부의 일단에 상호 반대 방향으로 경사지게 형성되는 한 쌍의 절곡부와, 상기 한 쌍의 절곡부의 끝단부에 중공의 포집구가 각각 구비되는 흡입부;를 포함한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절곡부는 상기 포집구가 형성되는 끝단부에 둘레 방향을 따라 일정깊이 함몰형성되는 다수의 관통홈이 구비될 수 있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흡입부는 상기 포집구에 브러쉬부나 고무팁부가 착탈가능하게 결합될 수 있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고무팁부는 그 바닥면이 물결 형상으로 절곡되어 형성될 수 있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포집구는 그 내경이 좁혀지도록 단턱부가 구비될 수 있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포집구는 원형 또는 다각의 형상으로 구비될 수 있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연장부의 길이는 60 ~ 90cm인 것을 특징으로 한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먼지흡입관은 상기 한 쌍의 흡입부 중 어느 하나의 흡입부에 형성되는 포집구 측에 선택적으로 포집구를 밀폐시킬 수 있는 밀폐마개가 구비될 수 있다.
또한, 본 고안은 진공 청소기 본체의 신축관 선단 또는 조절부 선단에 착탈가능하게 결합하는 먼지흡입관에 있어서, 상기 신축관 선단 또는 조절부 선단에 결합하는 결합부; 상기 결합부에 일체로 연장 형성되는 연장부; 및 상기 연장부의 일단에 길이방향으로 일정길이 연장되고, 일측면에는 그 중앙 영역에 먼지를 포함하는 이물질이 흡입되는 장공의 포집구가 구비되고, 상기 포집구의 양측에는 길이방향을 따라 돌출 형성되는 접촉부가 구비되며, 상기 접촉부는 길이 방향을 따라 일정간격을 두고 함몰형성되는 관통홈이 구비되는 흡입부;를 포함한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흡입부의 길이는 30 ~ 35cm인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와 같은 본 고안에 따른 진공청소기용 먼지흡입관에 의하면, 장롱의 상부면이나 장롱 밑의 바닥면과 같은 곳의 먼지 등을 제거할 때 용이하게 먼지 등의 이물질을 제거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또한, 냉장고의 방열부 등을 청소시에 효율적이고 용이하게 먼지 등의 이물질을 제거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이하, 본 고안의 바람직한 실시 예를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더욱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첨부 도면 중, 도 2는 본 고안의 제1실시 예에 따른 진공청소기용 먼지흡입관의 구조를 보여주는 도면으로서, a)는 브러쉬부가 구비되는 경우 b)는 고무팁부가 구비되는 경우 c)는 고무팁부의 변형예이고, 도 3은 본 고안의 제1실시 예에 따른 진공청소기용 먼지흡입관의 구조를 보여주는 도면으로서, a)는 포집구에 관통홈이 구비되는 경우 b)는 도 3a)에 단턱이 구비되는 경우 c)는 도 3b)에 고무팁부가 결합되는 경우이고, 도 4는 본 고안의 제2실시 예에 따른 진공청소기용 먼지흡입관의 구조를 보여주는 도면으로서, a)는 브러쉬부나 고무팁부가 구비되지 않는 경우 b)는 고무팁부가 구비되는 경우이고, 도 5는 본 고안의 제1,2실시 예에 따른 진공청소기용 먼지흡입관의 사용상태를 보여주는 상태도이고, 도 6은 본 고안의 제3실시 예에 따른 진공청소기용 먼지흡입관의 구조를 보여주는 도면이며, 도 7은 본 고안의 제3실시 예에 따른 진공청소기용 먼지흡입관의 사용상태를 보여주는 상태도이다.
본 고안에 따른 진공청소기용 먼지흡입관은 진공청소기의 본체에 결합하는 신축관의 선단이나 조절부의 선단에 착탈가능하게 결합하는 장치로, 냉장고의 방열부나 장롱의 상부면 또는 장롱 밑의 바닥면과 같은 곳의 먼지 등의 이물질 제거시에 매우 유용한 장치이다.
이하, 동일한 구성요소에 대해서는 동일한 부호를 사용하여 설명하기로 한다.
-제 1 실시 예
먼저, 도 2를 참조하면, 본 고안의 제1실시 예에 따른 진공청소기용 먼지흡입관(100)은 결합부(110)와, 연장부(120) 및 흡입부(130)로 구성된다.
본 고안에 따른 결합부(110)는 진공청소기 본체(101)의 신축관(102)의 선단(도1 참조) 또는 조절부(103)의 선단(도 5참조)에 결합되는 부분으로, 먼지흡입관(100)의 착탈을 가능하게 한다.
본 고안에 따른 연장부(120)는 결합부(110)에 일체로 연장 형성되는 부분으로, 이 연장부(120)의 길이는 약 60 ~ 90cm로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 연장부(120)는 종래의 먼지흡입관과는 달리 길이가 길게 형성되며, 이로 인해 종래의 먼지흡입관를 사용할 경우 길이가 짧아 닿지 않았던 청소 부위- 예컨대, 가전 제품인 냉장고의 방열부-를 용이하게 청소할 수 있게 된다.
가전 제품인 냉장고의 방열부는 종래 단층수직형에서 현재 복층수평형으로 바뀜에 따라 엄청난 양(두께 약 1~1.5cm)의 먼지가 쌓이는데, 종래에는 이 부분을 청소할 특별한 수단이 없었다. 방열부에 쌓이는 먼지를 제거하지 않을 경우에 냉장고의 열효율이 출고시 대비 반 이하로 떨어지는 문제점이 있었으며, 누설 전류 존재시에 먼지를 통해 통전됨으로써 화재의 위험도 존재하였다.
따라서, 본 고안에 따른 길이가 긴 먼지흡입관에 의할 경우, 종래의 진공청소기의 먼지흡입관이 닿지 않는 부분까지 청소할 수 있게 되는 등의 기술적 특징을 이룰 수가 있게 된다.
한편, 본 고안의 제1실시 예에 따른 진공청소기용 먼지흡입관(100)의 흡입 부(130)는 연장부(120)의 끝단에 일체로 연장 형성되는 부분으로, 연장부(120)의 끝단으로부터 일방향으로 경사지게 형성되는 절곡부(134)가 구비되고, 상기 절곡부(134)의 중심부에는 진공청소기 본체(101) 측으로 먼지를 포함한 이물질이 흡입되는 포집구(131)가 형성된다.
이때, 상기 절곡부(134)는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포집구(131)가 형성되는 끝단부에 둘레 방향을 따라 일정깊이 함몰형성되는 다수의 관통홈(132)이 구비될 수 있다. 이와 같은 관통홈(132)은 절곡부(134)의 끝단부가 바닥면에 부분접촉되도록 함으로써, 청소시에 먼지흡입관(100)이 흡입력으로 인해 평면 바닥면에 달라붙는 것을 방지하여 먼지흡입관(100)의 이동을 용이하게 한다.
그리고 절곡부(134)의 관통홈(171)을 통해서 먼지 등의 이물질을 1차 흡입하게 되고, 이 흡입된 먼지 등의 이물질은 포집구(161)를 통해서 흡입되어 본체(101, 도 6참고) 측으로 유입하게 된다.
또한, 도 3b)에 도시한 바와 같이, 포집구(131) 측에는 포집구(131)의 내경을 좁혀 흡입력을 높일 수 있도록 단턱(133)을 형성할 수 있으며, 도 2에 도시한 바와 같이, 단턱이 없는 포집구(131)를 형성할 수도 있다.
한편, 도 2a)에 도시된 바와 같이, 포집구(131)가 형성되는 절곡부(134)의 끝단부에는 브러쉬부(140)가 착탈 가능하게 결합될 수 있다. 이와 같은 브러쉬부(140)가 구비됨으로써, 브러쉬부(140)를 통해 굴곡이 심한 표면이나 평면을 형성하지 않는 부분 또는 먼지흡입관에 의해 흠집이 발생할 수 있는 표면 등을 용이하게 청소할 수 있게 된다.
또한, 포집구(131)가 형성되는 절곡부(134)의 끝단부에는 도 2b)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브러쉬부(140) 대신에 고무팁부(180)가 착탈 가능하게 결합될 수 있다. 이와 같이 고무팁부(180)를 결합하여 사용하는 경우, 포집구(131)를 통해 먼지를 흡입하는 흡입력이 우수하여 청소 효율을 높일 수가 있다.
이때, 상기 고무팁부(180')는 도 2c)에 도시된 바와 같이, 바닥면의 형상을 물결 형상으로 절곡형성하여 청소하고자 하는 표면과 부분접촉 또는 선 접촉하도록 함으로써, 흡입력에 의해 고무팁부(180)의 바닥면이 청소하고자 하는 표면에 들러붙는 것을 방지할 수도 있다.
- 제2실시예
도 4를 참고하면, 본 고안의 제2실시 예에 따른 진공청소기용 먼지흡입관(100)은 결합부(110)와, 연장부(120) 및 흡입부(130)로 구성된다. 본 고안에 따른 결합부(110)는 진공청소기 본체(101)의 신축 관(102)의 선단(도 1참고) 또는 조절부(103, 도 5참고)의 선단에 결합되는 부분으로, 먼지흡입관(100)의 착탈을 가능하게 한다. 본 고안에 따른 연장부(120)는 결합부(110)에 일체로 연장 형성되는 부분으로, 이 연장부(120)의 길이는 약 60 ~ 90cm로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본 고안의 제2실시 예에 따른 진공청소기용 먼지흡입관(100)의 흡입부(130)는 연장부(120)의 일단에 상호 반대 방향으로 경사지게 한 쌍의 절곡부(134a,134b)가 구비되고, 상기 한 쌍의 절곡부(134a,134b)의 끝단부의 중심부에는 중공의 포집구(131)가 각각 구비되어 먼지 등과 같은 이물질을 흡입하게 된다.
이때, 상기 절곡부(134)는 포집구(131)가 형성되는 끝단부에 둘레 방향을 따라 일정깊이 함몰형성되는 다수의 관통홈(132)이 구비될 수 있다. 이와 같은 관통홈(132)은 절곡부(134a,134b)의 끝단부가 바닥면에 부분접촉되도록 함으로써 청소시에 먼지흡입관(100)이 흡입력으로 인해 평면 바닥면에 달라붙는 것을 방지하여 먼지흡입관(100)의 이동을 용이하게 한다.
그리고 절곡부(134a,134b)의 관통홈(171)을 통해서 먼지 등의 이물질을 1차 흡입하게 되고, 이 흡입된 먼지 등의 이물질은 포집구(161)를 통해서 흡입되어 본체(101, 도 6참고) 측으로 유입하게 된다.
또한, 상기 한 쌍의 절곡부(134a,134b) 중 어느 하나의 절곡부에 형성되는 포집구(131) 측에는 포집구(131)를 선택적으로 밀폐시킬 수 있는 밀폐마개(150)가 더 구비된다. 이 밀폐마개(150)는 두 개의 포집구(131) 중에 사용하지 않는 부분을 밀폐시켜 개방된 포집구(131)를 통한 흡입력을 높여주는 역할을 한다.
한편, 상기 포집구(131) 측에는 도 4b)에 도시한 바와 같이, 포집구(131)의 내경을 좁혀 흡입력을 높일 수 있도록 단턱(133)을 형성할 수도 있다. 그리고 도 2에 도시된 것과 같은 방식으로 상기 포집구(131)가 형성되는 절곡부(134)의 끝단부에는 브러쉬부(140)나 고무팁부(180)가 착탈 가능하게 결합될 수도 있다.
이와 같은 브러쉬부(140)가 구비되는 경우(도 4b)에서 고무팁부(180)를 브러쉬부(140)로 대체한 경우), 상기 브러쉬부(140)를 통해 굴곡이 심한 표면이나 평면을 형성하지 않는 부분 또는 먼지흡입관에 의해 흠집이 발생할 수 있는 표면 등을 용이하게 청소할 수 있게 된다.
또한, 포집구(131)가 형성되는 절곡부(134)의 끝단부에 도 4b)에 도시된 바와 같이, 고무팁부(180)를 결합하여 사용하는 경우 포집구(131)를 통해 먼지를 흡입하는 흡입력이 우수하여 청소 효율을 높일 수가 있다.
이때, 상기 고무팁부(180')는 바닥면의 형상을 물결 형상으로 절곡형성하여 청소하고자 하는 표면과 부분접촉 또는 선 접촉하도록 함으로써, 흡입력에 의해 고무팁부(180)의 바닥면이 청소하고자 하는 표면에 들러붙는 것을 방지할 수도 있다.(도 2c)참고)
한편, 본 고안의 제1, 2실시 예에 따른 진공청소기용 먼지흡입관(100)의 포집구(131)는 원형 또는 사각, 오각, 육각 등과 같이 다양한 형상으로 구비될 수 있으며 당업자나 사용자의 선택에 의해 형성할 수 있는 것으로 어느 특정한 형상으로 한정하지 않음을 밝혀둔다.
도 5는 본 고안의 제1, 2실시 예에 따른 진공청소기용 먼지흡입관를 본체에 결합시켜 시용하는 것을 보여주는 사용상태도로서, 먼지흡입관(100)을 조절부(103) 측에 연결하여 사용할 수 있다. 이는 사용하는 장소에 따라서 먼지흡입관(100)을 조절부(103) 측에 연결하여 사용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조절부(103) 측에 별도로 결합하는 신축관(102)의 선단에 결합하여 사용할 수도 있음을 밝혀둔다.
- 제 3 실시예
도 6a)를 참고하면, 본 고안의 제3실시 예에 따른 진공청소기용 먼지흡입 관(100)은 결합부(110)와, 연장부(120) 및 흡입부(130)로 구성된다. 본 고안에 따른 결합부(110)는 진공청소기 본체(101, 도 7참고)의 신축관(102, 도 7참고)의 선단 또는 조절부(103, 도 7참고)의 선단에 결합되는 부분으로, 먼지흡입관(100)의 착탈을 가능하게 한다. 본 고안에 따른 연장부(120)는 결합부(110)에 일체로 연장 형성되는 부분으로, 이 연장부(120)의 길이는 약 60 ~ 90cm로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흡입부(130)는 일측면이 수평면(172)이고 타측면이 곡선면(171)으로 구비되어 상기 연장부(120)의 일단에 길이 방향으로 일정길이 연장되고, 상기 수평면에는 그 중앙 영역에 먼지를 포함하는 이물질이 흡입되는 장공의 포집구(173)가 중심에 형성된다. 그리고 장공의 포집구(173) 양측으로는 길이 방향을 따라 돌출 형성되는 접촉부(174)가 구비되며, 상기 접촉부(174)에는 일정간격을 두고 함몰형성되는 다수의 관통홈(175)이 구비된다.
상기 접촉부(174)는 청소시에 먼지흡입관(100)이 흡입력으로 인해 평면 바닥면에 달라붙는 것을 방지하여 먼지흡입관(100)의 이동을 용이하게 한다.
그리고 접촉부(174)의 관통홈(175)을 통해서 먼지 등의 이물질을 1차 흡입하게 되고, 이 흡입된 먼지 등의 이물질은 포집구(173)를 통해서 흡입되어 본체(101, 도 7참고) 측으로 유입하게 된다.
한편, 도 6b)를 참고하면, 본 고안의 제3실시 예에 따른 진공청소기용 먼지흡입관(100)의 흡입부(130)는 포집구(173)의 양측으로 다수의 관통홈(175)이 내측으로 형성된 구조를 가질 수 있다. 즉, 수평면(172)의 내측으로 관통홈(175)이 형 성된 구조를 가짐으로써, 외관상 돌출된 접촉부(174)를 없앨 수 있게 된다.
상기와 같은 본 고안의 제3실시 예에 따른 진공청소기용 먼지흡입관(100)은 장롱의 상부면이나 장롱 밑의 바닥면과 같은 곳의 먼지 등을 제거할 때 용이하게 사용할 수 있는 등의 기술적 특징을 이룰 수 있다.
도 7은 본 고안의 제3실시 예에 따른 진공청소기용 먼지흡입관를 본체에 결합시켜 사용하는 모습을 보여주는 사용상태도로서, 먼지흡입관(100)을 조절부(103) 측에 연결하여 사용할 수 있다. 이는 사용하는 장소에 따라서 먼지흡입관(100)을 조절부(103) 측에 연결하여 사용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조절부(103) 측에 별도로 결합하는 신축관(102)의 선단에 결합하여 사용할 수도 있음을 밝혀둔다.
본 고안은 상기에서 도면을 참조하여 특정 실시예에 관련하여 상세히 설명하였지만 본 고안을 이와 같은 특정 구조에 한정하는 것은 아니다. 당 업계의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이하의 실용신안등록청구범위에 기재된 본 고안의 기술 사상 및 권리범위를 벗어나지 않고서도 본 고안의 실시예를 다양하게 수정 또는 변경시킬 수 있을 것이다. 그러나 그와 같은 단순한 실시예의 수정 또는 설계변형 구조들은 모두 명백하게 본 고안의 권리범위 내에 속하게 됨을 미리 밝혀 두고자 한다.
도 1은 종래의 진공청소기의 구성을 나타내는 개략도.
도 2는 본 고안의 제1실시 예에 따른 진공청소기용 먼지흡입관의 구조를 보여주는 도면으로서, a)는 브러쉬부가 구비되는 경우 b)는 고무팁부가 구비되는 경우 c)는 고무팁부의 변형예.
도 3은 본 고안의 제1실시 예에 따른 진공청소기용 먼지흡입관의 구조를 보여주는 도면으로서, a)는 포집구에 관통홈이 구비되는 경우 b)는 도 3a)에 단턱이 구비되는 경우 c)는 도 3b)에 고무팁부가 결합되는 경우.
도 4는 본 고안의 제2실시 예에 따른 진공청소기용 먼지흡입관의 구조를 보여주는 도면으로서, a)는 브러쉬부나 고무팁부가 구비되지 않는 경우 b)는 고무팁부가 구비되는 경우.
도 5는 본 고안의 제1,2실시 예에 따른 진공청소기용 먼지흡입관의 사용상태를 보여주는 상태도.
도 6은 본 고안의 제3실시 예에 따른 진공청소기용 먼지흡입관의 구조를 보여주는 도면.
도 7은 본 고안의 제3실시 예에 따른 진공청소기용 먼지흡입관의 사용상태를 보여주는 상태도.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00 : 먼지흡입관 101 : 본체
102 : 신축관 103 : 조절부
110 : 결합부 120 : 연장부
130 : 흡입부 131: 포집구
132 : 관통홈 133 : 단턱
134 : 절곡부 140 : 브러쉬부
150 : 밀폐마개 171 : 곡선면
172 : 수평면 173 : 포집구
174 : 접촉부 175 : 관통홈
180,180' : 고무팁부

Claims (11)

  1. 진공 청소기 본체의 신축관 선단 또는 조절부 선단에 착탈가능하게 결합하는 먼지흡입관에 있어서,
    상기 신축관 선단 또는 조절부 선단에 결합하는 결합부;
    상기 결합부에 일체로 연장 형성되는 연장부; 및
    상기 연장부의 끝단에 일방향으로 경사지게 형성되는 절곡부와, 상기 절곡부의 끝단부에 중공의 포집구가 구비되는 흡입부;를 포함하는 진공청소기용 먼지흡입관.
  2. 진공 청소기 본체의 신축관 선단 또는 조절부 선단에 착탈가능하게 결합하는 먼지흡입관에 있어서,
    상기 신축관 선단 또는 조절부 선단에 결합하는 결합부;
    상기 결합부에 일체로 연장 형성되는 연장부; 및
    상기 연장부의 일단에 상호 반대 방향으로 경사지게 형성되는 한 쌍의 절곡부와, 상기 한 쌍의 절곡부의 끝단부에 중공의 포집구가 각각 구비되는 흡입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진공청소기용 먼지흡입관.
  3. 제 1항 또는 제 2항에 있어서,
    상기 절곡부는 상기 포집구가 형성되는 끝단부에 둘레 방향을 따라 일정깊이 함몰형성되는 다수의 관통홈이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진공청소기용 먼지흡입관.
  4. 제 1항 또는 제 2항에 있어서, 상기 흡입부는 상기 포집구에 브러쉬부나 고무팁부가 착탈가능하게 결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진공청소기용 먼지흡입관.
  5. 제 4항에 있어서,
    상기 고무팁부는 그 바닥면이 물결 형상으로 절곡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진공청소기용 먼지흡입관.
  6. 제 1항 또는 제 2항에 있어서,
    상기 포집구는 그 내경이 좁혀지도록 단턱부가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진공청소기용 먼지흡입관.
  7. 제 1항 또는 제 2항에 있어서,
    상기 포집구는 원형 또는 다각의 형상으로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진공청소기용 먼지흡입관.
  8. 제 1항 또는 제 2항에 있어서,
    상기 연장부의 길이는 60 ~ 90cm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진공청소기용 먼지흡 입관.
  9. 제 2항에 있어서,
    상기 먼지흡입관은 상기 한 쌍의 흡입부 중 어느 하나의 흡입부에 형성되는 포집구 측에 선택적으로 포집구를 밀폐시킬 수 있는 밀폐마개가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진공청소기용 먼지흡입관.
  10. 진공 청소기 본체의 신축관 선단 또는 조절부 선단에 착탈가능하게 결합하는 먼지흡입관에 있어서,
    상기 신축관 선단 또는 조절부 선단에 결합하는 결합부;
    상기 결합부에 일체로 연장 형성되는 연장부; 및
    상기 연장부의 일단에 길이방향으로 일정길이 연장되고, 일측면에는 그 중앙 영역에 먼지를 포함하는 이물질이 흡입되는 장공의 포집구가 구비되고, 상기 포집구의 양측에는 길이방향을 따라 돌출 형성되는 접촉부가 구비되며, 상기 접촉부는 길이 방향을 따라 일정간격을 두고 함몰형성되는 관통홈이 구비되는 흡입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진공청소기용 먼지흡입관.
  11. 제 10항에 있어서,
    상기 흡입부의 길이는 30 ~ 35cm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진공청소기용 먼지흡입관.
KR2020090002546U 2008-10-14 2009-03-06 진공청소기용 먼지흡입관 KR200461131Y1 (ko)

Priority Applications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90002546U KR200461131Y1 (ko) 2008-10-14 2009-03-06 진공청소기용 먼지흡입관
US12/575,228 US8161600B2 (en) 2008-10-14 2009-10-07 Dust collecting pipe for vacuum cleaner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80013699 2008-10-14
KR2020090002546U KR200461131Y1 (ko) 2008-10-14 2009-03-06 진공청소기용 먼지흡입관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00004212U true KR20100004212U (ko) 2010-04-22
KR200461131Y1 KR200461131Y1 (ko) 2012-06-25

Family

ID=4445026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090002546U KR200461131Y1 (ko) 2008-10-14 2009-03-06 진공청소기용 먼지흡입관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461131Y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17196336A1 (en) * 2016-05-12 2017-11-16 Hewlett-Packard Development Company, L.P. Inlet for a vacuum hose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451865B1 (ko) * 2013-07-05 2014-10-16 유진하이테크(주) 놀이기구용 급배기장치
KR101556059B1 (ko) 2014-04-02 2015-09-30 최진민 팽창탱크 일체형 열교환기 및 그를 포함한 보일러

Family Cites Familie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7236Y2 (ja) * 1989-08-10 1995-01-11 中野 浩二 真空紫外線酸化分解装置
JP2000126097A (ja) * 1998-10-21 2000-05-09 Toshiba Tec Corp 電気掃除機およびその吸込口体
KR100840058B1 (ko) * 2005-08-10 2008-06-19 산요덴키가부시키가이샤 청소기용 어태치먼트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17196336A1 (en) * 2016-05-12 2017-11-16 Hewlett-Packard Development Company, L.P. Inlet for a vacuum hose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461131Y1 (ko) 2012-06-25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8161600B2 (en) Dust collecting pipe for vacuum cleaner
KR200461131Y1 (ko) 진공청소기용 먼지흡입관
CN205286240U (zh) 地刷及吸尘器
KR101716347B1 (ko) 송풍기용 먼지 제거기
ES2729340T3 (es) Placa de base para un cabezal de aspiración para aspirador o similares
KR102172618B1 (ko) 스팀물걸레 진공청소기
CN209595657U (zh) 地刷组件及扫地机器人
CN109555733A (zh) 一种可适应多种电风扇大小的清洁装置
CN104510414A (zh) 带有喷气功能的吸尘器地刷
CN206151369U (zh) 吸尘器地刷及其吸尘器
CN206387284U (zh) 一种散热器结构
CN101411601A (zh) 防止灰尘撒漏的集尘箱
KR102222204B1 (ko) 진공청소기용 흡입헤드
CN204889877U (zh) 一种洁净室地面除水装置
KR200466328Y1 (ko) 삽입형 먼지 제거기
CN109452909A (zh) 地刷组件及扫地机器人
CN213728451U (zh) 一种排风式净化除尘水平流工作台
CN209053842U (zh) 一种可适应多种电风扇大小的清洁装置
CN216090328U (zh) 一种手持清洁装置
CN219895566U (zh) 一种除尘螨装置及设有该装置的清洁设备
CN216754366U (zh) 一种带有蒸汽功能的洗地机
CN211155555U (zh) 一种用于吸尘器的吸水附件
KR100750726B1 (ko) 진공청소기의 흡입 브러시
KR101742522B1 (ko) 진공청소기의 흡입구
ES1303688U (es) Cabezal universal para aspiradoras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0615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620

Year of fee payment: 5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