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00004173A - 비상조명등 - Google Patents

비상조명등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00004173A
KR20100004173A KR1020080064203A KR20080064203A KR20100004173A KR 20100004173 A KR20100004173 A KR 20100004173A KR 1020080064203 A KR1020080064203 A KR 1020080064203A KR 20080064203 A KR20080064203 A KR 20080064203A KR 20100004173 A KR20100004173 A KR 20100004173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light
unit
emergency
illumination
power supply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80064203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0971376B1 (ko
Inventor
박성용
Original Assignee
박성용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박성용 filed Critical 박성용
Priority to KR1020080064203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971376B1/ko
Publication of KR20100004173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00004173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971376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971376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1LIGHTING
    • F21SNON-PORTABLE LIGHTING DEVICES; SYSTEMS THEREOF; VEHICLE LIGHTING 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 EXTERIORS
    • F21S9/00Lighting devices with a built-in power supply; Systems employing lighting devices with a built-in power supply
    • F21S9/02Lighting devices with a built-in power supply; Systems employing lighting devices with a built-in power supply the power supply being a battery or accumulator
    • F21S9/022Emergency lighting device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1LIGHTING
    • F21VFUNCTIONAL FEATURES OR DETAILS OF LIGHTING DEVICES OR SYSTEMS THEREOF; STRUCTURAL COMBINATIONS OF LIGHTING DEVICES WITH OTHER ARTICL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F21V14/00Controlling the distribution of the light emitted by adjustment of elements
    • F21V14/02Controlling the distribution of the light emitted by adjustment of elements by movement of light source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1LIGHTING
    • F21VFUNCTIONAL FEATURES OR DETAILS OF LIGHTING DEVICES OR SYSTEMS THEREOF; STRUCTURAL COMBINATIONS OF LIGHTING DEVICES WITH OTHER ARTICL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F21V23/00Arrangement of electric circuit elements in or on lighting devices
    • F21V23/003Arrangement of electric circuit elements in or on lighting devices the elements being electronics drivers or controllers for operating the light source, e.g. for a LED array
    • F21V23/007Arrangement of electric circuit elements in or on lighting devices the elements being electronics drivers or controllers for operating the light source, e.g. for a LED array enclosed in a casing
    • F21V23/009Arrangement of electric circuit elements in or on lighting devices the elements being electronics drivers or controllers for operating the light source, e.g. for a LED array enclosed in a casing the casing being inside the housing of the lighting device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1LIGHTING
    • F21VFUNCTIONAL FEATURES OR DETAILS OF LIGHTING DEVICES OR SYSTEMS THEREOF; STRUCTURAL COMBINATIONS OF LIGHTING DEVICES WITH OTHER ARTICL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F21V23/00Arrangement of electric circuit elements in or on lighting devices
    • F21V23/04Arrangement of electric circuit elements in or on lighting devices the elements being switches
    • F21V23/0442Arrangement of electric circuit elements in or on lighting devices the elements being switches activated by means of a sensor, e.g. motion or photodetector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1LIGHTING
    • F21VFUNCTIONAL FEATURES OR DETAILS OF LIGHTING DEVICES OR SYSTEMS THEREOF; STRUCTURAL COMBINATIONS OF LIGHTING DEVICES WITH OTHER ARTICL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F21V33/00Structural combinations of lighting devices with other articl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F21V33/0004Personal or domestic articles
    • F21V33/0052Audio or video equipment, e.g. televisions, telephones, cameras or computers; Remote control devices therefor
    • F21V33/0056Audio equipment, e.g. music instruments, radios or speaker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1LIGHTING
    • F21VFUNCTIONAL FEATURES OR DETAILS OF LIGHTING DEVICES OR SYSTEMS THEREOF; STRUCTURAL COMBINATIONS OF LIGHTING DEVICES WITH OTHER ARTICL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F21V33/00Structural combinations of lighting devices with other articl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F21V33/0064Health, life-saving or fire-fighting equipment
    • F21V33/0076Safety or security signalisation, e.g. smoke or burglar alarms, earthquake detectors; Self-defence device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ultimedia (AREA)
  • Computer Security & Cryptography (AREA)
  • Environmental & Geological Engineering (AREA)
  • Microelectronics & Electronic Packaging (AREA)
  • Non-Portable Lighting Devices Or Systems Thereof (AREA)
  • Circuit Arrangement For Electric Light Sources In General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비상조명등에 관한 것으로서, 비상스위치, 비상스위치의 폐로에 대응하여 특정파장의 빛을 발광시키는 발광부로 이루어진 사용자 조작부와, 특정파장의 빛을 투과시키는 광투과필터, 광투과필터를 통과한 빛을 수광하는 수광부, 수광부로부터 출력된 신호에 대응하여 조명등제어신호를 출력시키는 제어부, 조명등제어신호에 따라 조명등을 점등시키는 조명등구동부, 조명이 이루어지는 조명등, 및 외부전원으로부터 전원을 공급받아 충전시키고, 충전된 전원을 동작전원으로서 공급하는 배터리로 이루어진 본체로 이루어져, 센서 등의 장비 결함이 발생하더라도 관리자 또는 주변인 등에 의해 비상 상황에 용이하게 대응할 수 있으며, 비상시 암시적으로 제시된 안전지대의 방향과 조명 밝기에 의해 용이하게 안전지대로 대피할 수 있다.
Figure P1020080064203
비상조명등

Description

비상조명등{EMERGENCY FLASH}
본 발명은 비상조명등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비상시 사용자가 직접 비상조명등을 점등시켜야 하는 경우에 따른 사용자 조작의 편리성을 제공하며, 조명의 회전 제어 및 밝기 제어를 통해 안전지대를 효율적으로 유도하는 비상조명등에 관한 것이다.
건물, 통로, 특히 지하공간에는 화재 등의 비상시에 빛을 통해 사람들을 안전지대로 유도하기 위한 비상등이 설치되어 있다. 또한, 비상등은 투명판넬에 방향을 지시하는 내용 등을 표기하여 안전지대의 방향을 알려주기도 한다.
이러한 비상등은 통상 건물이나 지하선로를 통해 전원을 공급받게 된다. 이러한 전원 공급 체계로 인해 건물에 화재가 발생하여 전원 공급 라인이 파손될 경우 실질적으로 비상등의 기능을 상실하게 된다. 이러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비상등에 별도의 배터리를 마련하고, 평상시 전원을 충전하고 있다가 비상시 배터리를 통해 전원을 공급하는 방식이 제안되었다.
이와 같은 비상등은 일반적으로 센싱을 통해 비상등의 점등을 제어하는 방식이 주로 사용되었다. 즉, 전원 공급 여부를 센싱하여 화재 여부를 판단하거나, 화재 등으로 인한 연기를 센싱하거나, 조광 정도를 센싱하여 화재 여부를 판단하는 방식을 통해 비상등이 점등되거나 소등되는 구성을 하고 있었다.
그런데, 비상등은 일정한 장소에 장기간 설치되는 특징으로 인해, 관리가 지속적으로 이루지지 않을 경우 화재 등의 비상시에 가장 중요한 기능을 수행하여야 할 센서가 작동하지 않을 수 있는 잠재적인 문제점을 가지고 있다.
이에 비상등의 정상작동이 이루어지지 않을 경우에 관리자가 직접 비상등을 조작하여야 하나, 조작이 불편하거나 심지어 조작이 불가능한 위치에 설치되어 있어 비상등의 용도가 비상시에 이용되지 못할 수 있는 문제점을 항상 내포하고 있다.
한편, 비상등을 이용하여 안전지대를 유도하는 방법이 다수 제안되었는데, 그 대표적인 방법으로 바닥에 LED 또는 전등을 설치하고 이를 이용하여 진행 방향을 표시하는 방법, 또는 레이저를 이용한 진행 방향을 표시하는 방법 등이 있다.
그런데, 바닥에 LED 또는 전등을 설치하는 방식은 초기 설치 비용이 너무 많이 소요되는 단점이 있으며, 레이저를 이용하는 방식은 화재 등으로 인한 연기 발생시 효율적이지 못한 단점이 있다.
따라서, 본 발명은 상기한 종래 기술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이루어진 것으로서, 본 발명의 목적은 사용자 조작에 의해 발광하는 사용자 조작부와 수광 및 조명이 이루어지는 본체를 일정 간격을 갖고 배치하여 사용자 조작부의 인위적인 조작에 의해 본체가 구동되는 비상조명등을 제공하는데 있다.
한편,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비상시 진행 방향을 암시적으로 표현하는 조명의 회전 제어 및 최종 안전지대를 표시하는 조명의 밝기 제어를 통해 안전지대를 효율적으로 유도하는 비상조명등을 제공하는데 있다.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비상조명등은, 비상스위치와, 상기 비상스위치의 폐로에 대응하여 특정파장의 빛을 발광시키는 발광부로 이루어진 사용자 조작부; 및 상기 특정파장의 빛을 투과시키는 광투과필터와, 상기 광투과필터를 통과한 빛을 수광하는 수광부와, 상기 수광부로부터 출력된 신호에 대응하여 조명등제어신호를 출력시키는 제어부와, 상기 조명등제어신호에 따라 조명등을 점등시키는 조명등구동부와, 조명이 이루어지는 조명등과, 외부전원으로부터 전원을 공급받아 충전시키고, 충전된 전원을 동작전원으로서 공급하는 배터리로 이루어진 본체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때, 상기 사용자 조작부는 별도로 분리될 수 있으며, 이 경우에 자체적으 로 배터리를 더 마련하여야 한다.
또한, 상기 조명등구동부는 조명등의 회전구동을 제어하는 회전구동부와, 조명등의 밝기를 제어하는 가변저항부를 포함하게 된다.
한편, 제어부에 접속되어 연기를 감지하여 연기감지신호가 발생되는 연기감지센서, 열을 감지하여 열감지신호가 발생되는 열감지센서, 상기 외부전원과 배터리 사이에 마련되어 상기 외부전원의 공급여부를 감지하여 상기 제어부로 전원감지신호를 전달하는 전원공급감지센서, 및 상기 제어부에 접속되어 경보음 및 안내음을 출력시키는 음향출력부를 더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술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의한 비상조명등은 센서 등의 장비 결함이 발생하더라도 관리자 또는 주변인 등에 의해 비상 상황에 용이하게 대응할 수 있으며, 비상시 암시적으로 제시된 안전지대의 방향과 조명 밝기에 의해 용이하게 안전지대로 대피할 수 있다.
이하, 본 발명의 비상조명등에 대하여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의한 비상조명등의 개념도이다.
본 발명의 비상조명등은 크게 사용자 조작부(10)와 본체(20)로 구성되어 있 으며, 사용자 조작부(10)와 본체(20)는 일정거리를 갖고 설치되어 있다.
사용자 조작부(10)는 비상스위치(101)와 특정파장대역의 빛을 발산하는 발광부(102)를 포함하고 있다. 일례로서, 발광부(102)는 He-Ne Laser 650[nm]를 출력시키는 것이 바람직하며, 이에 한정되는 것을 아니다.
본체(20)는 케이스(201)에 의해 전체적인 외관이 형성되고, 케이스(201)의 상부에는 조명등(202)이 부착되어 있으며, 케이스(201)의 측면에 비상조명등 구동을 위해 사용자가 조작할 수 있도록 한 구동스위치(203)가 형성되어 있으며, 케이스(201) 저면에는 발광부(102)로부터 발산된 빛을 수광하는 수광부(204)가 형성되어 있다. 구동스위치(203) 및 수광부(204)는 임의로 그 형성 위치가 변경될 수 있으며, 특히 사용자 조작부(10)의 설치 위치 변경에 따라 수광부(204)의 위치 역시 변경되어야 할 것이다.
이와 같이, 구성된 본 비상조명등은 전원공급감지센서, 연기감지센서 및 열감지센서 등을 마련하여 화재 등의 비상시에 조명등(202)을 점등시키는 통상의 기능을 수행하며, 본 발명에서 제시하는 사용자 조작부(10)를 이용하여 인위적인 조작에 의해 조명등을 점등시킬 수 있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의한 비상조명등의 수광부 영역 단면도이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의한 수광부(204) 영역에는 광투과필터(205)가 부착되어 있다. 이 광투과필터(205)는 특정파장대역의 빛만을 투과시키는 기능을 수행하게 된다.
이와 같은 광투과필터(205)를 장착하는 이유는 평상시 수광부(204)에 입사되는 자연광 뿐만 아니라 전등에 의한 조명광에 의해 비상조명등이 점등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함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의한 비상조명등의 제어회로블록도이다.
사용자 조작부(10)는 비상스위치(101)와, 저항(R) 및 발광다이오드(D)로 이루어진 발광부(102)로 구성되어 있다. 이 사용자 조작부(10)는 별도로 분리되어 사용자가 임으로 원격에서 조정할 수도 있다. 이 경우에 사용자 조작부(10)는 자체적으로 배터리를 더 마련하여야 한다.
본체(20)는, 연기를 감지하여 연기감지신호를 제어부(208)로 전달하는 연기감지센서(206)와, 열을 감지하여 열감지신호를 제어부(208)로 전달하는 열감지센서(207)와, 특정파장대역의 빛을 투과시키는 광투과필터(205)와, 광투과필터(205)를 통과한 빛을 수광하는 수광부(204)와, 수광부(204)로부터 출력된 신호에 대응하여 조명등제어신호를 출력시키는 제어부(208)와, 조명등제어신호에 따라 조명등(202)의 회전구동 및 밝기제어가 수행되는 조명등구동부(209)와, 회전구동 및 밝기제어가 이루어지는 조명등(202)과, 외부전원으로부터 전원을 공급받아 충전시키고, 발광부(102), 수광부(204), 제어부(208), 조명등구동부(209) 및 조명등(202)에 충전된 전원을 공급하는 배터리(210)로 구성되어 있다.
수광부(204)는 통상의 포토 트랜지스터(photo transistor)를 이용한다.
조명등구동부(209)는 통상의 모터 또는 스테핑 모터 등의 회전구동부와 밝기 를 제어하는 가변저항부를 포함한다. 즉, 조명등구동부(209)는 기본적으로 조명등(202)의 점등 또는 소등에만 관계하는 일례와, 상기한 바와 같이 회전구동부 및 가변저항부를 부가함으로써 그 기능을 추가시킨 다른 예를 모두 포함하고 있다.
한편, 배터리(210)와 외부전원 사이에는 외부전원의 공급여부를 감지하는 전원공급감지센서(211)가 형성되어 제어부(208)로 전원감지신호를 전달한다.
그리고, 경보음 및 안내음을 출력시키는 음향출력부(212)가 제어부(208)에 접속되어 있다.
그러면, 상기와 같은 구성을 가지는 본 발명의 비상조명등의 동작과정에 대해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본 발명의 비상조명등이 정상작동할 경우 구동스위치(203)을 온(on)시킨 상태에서 전원공급감지센서(211), 연기감지센서(206) 및 열감지센서(207)에 의해 비상조명등의 점등이 이루어질 수도 있고 인위적으로 사용자 조작에 의해 비상조명등이 점등될 수도 있으나, 본 실시예에서는 전원공급감지센서(211), 연기감지센서(206) 및 열감지센서(207)가 작동하지 않을 경우를 가정하여 인위적으로 사용자 조작부(10)에 의해 비상조명등이 점등되는 과정에 대해서만 설명하기로 한다.
사용자가 인위적으로 사용자 조작부(10)의 비상스위치(101)를 누르면, 발광부(102)로부터 특정파장대역의 빛이 발산된다.
이에 발산된 빛은 광투과필터(205)를 거쳐 수광부(204)에 입사되고, 제어부(208)에서는 수광부(204)로부터 출력된 신호에 대응하여 조명등제어신호를 출력 시키게 된다.
이 조명등제어신호에 따라 조명등구동부(209)에서는 조명을 점등시킴과 동시에 회전구동시키게 된다. 이때, 조명의 회전 구동은 안전지대로의 방향을 암시할 수 있도록 연속적 또는 스텝별로 일정각도로 회전시키게 되며, 조명의 점등은 최종 안전지대에서 최대 밝기로 점등될 수 있도록 한다. 즉, 미리 설정된 목적지로 조명등(202)이 이동하면서 서로 다른 밝기로 조명하게 된다. 이때, 조명등(202)의 회전이 반복적으로 수행되는데, 안전지대를 조명한 후 원위치로 복귀할 경우에는 소등 상태를 유지하여 진행 방향을 명확하게 구분하도록 한다.
이후 비상상황이 종료되면 본체(20)에 형성된 구동스위치(203)를 오프(off) 조작함에 따라 시스템 오프상태, 즉 조명등(202)이 소등됨과 동시에 모든 시스템을 정지시킨다. 이후 본체(20)에 형성된 구동스위치(203)를 온(on) 조작함에 따라 시스템 초기상태, 즉 조명등(202)은 소등 상태를 유지하면서 모든 시스템을 초기화시켜 비상조명등의 기능을 수행하게 된다.
이상에서 몇 가지 실시예를 들어 본 발명을 더욱 상세하게 설명하였으나, 본 발명은 반드시 이러한 실시예로 국한되는 것이 아니고 본 발명의 기술사상을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다양하게 변형실시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의한 비상조명등의 개념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의한 비상조명등의 수광부 영역 단면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의한 비상조명등의 제어회로블록도이다.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0 : 사용자 조작부 101 : 비상스위치
102 : 발광부
20 : 본체 201 : 케이스
202 : 조명등 203 : 구동스위치
204 : 수광부 205 : 광투과필터
206 : 연기감지센서 207 : 열감지센서
208 : 제어부 209 : 조명등구동부
210 : 배터리 211 : 전원공급감지센서
212 : 음향출력부

Claims (7)

  1. 비상스위치와, 상기 비상스위치의 폐로에 대응하여 특정파장의 빛을 발광시키는 발광부로 이루어진 사용자 조작부; 및
    상기 특정파장의 빛을 투과시키는 광투과필터와, 상기 광투과필터를 통과한 빛을 수광하는 수광부와, 상기 수광부로부터 출력된 신호에 대응하여 조명등제어신호를 출력시키는 제어부와, 상기 조명등제어신호에 따라 조명등을 점등시키는 조명등구동부와, 조명이 이루어지는 조명등과, 외부전원으로부터 전원을 공급받아 충전시키고, 충전된 전원을 동작전원으로서 공급하는 배터리로 이루어진 본체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비상조명등.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사용자 조작부는 별도로 분리되며, 자체적으로 배터리를 더 마련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비상조명등.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조명등구동부는 조명등의 회전구동을 제어하는 회전구동부와, 조명등의 밝기를 제어하는 가변저항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비상조명등.
  4. 제3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에 접속되어 상기 조명등제어신호와 연계시키며, 연기를 감지하여 연기감지신호를 발생시키는 연기감지센서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비상조명등.
  5. 제3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에 접속되어 상기 조명등제어신호와 연계시키며, 열을 감지하여 열감지신호를 발생시키는 열감지센서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비상조명등.
  6. 제3항 내지 제5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외부전원과 배터리 사이에 마련되어 상기 조명등제어신호와 연계시키며, 상기 외부전원의 공급여부를 감지하여 상기 제어부로 전원감지신호를 전달하는 전원공급감지센서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비상조명등.
  7. 제6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에 접속되어 경보음 및 안내음을 출력시키는 음향출력부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비상조명등.
KR1020080064203A 2008-07-03 2008-07-03 비상조명등 KR100971376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80064203A KR100971376B1 (ko) 2008-07-03 2008-07-03 비상조명등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80064203A KR100971376B1 (ko) 2008-07-03 2008-07-03 비상조명등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00004173A true KR20100004173A (ko) 2010-01-13
KR100971376B1 KR100971376B1 (ko) 2010-07-20

Family

ID=4181377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80064203A KR100971376B1 (ko) 2008-07-03 2008-07-03 비상조명등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971376B1 (ko)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13015506A1 (ko) * 2011-07-22 2013-01-31 그린엘이디 주식회사 휴대기능을 가지는 조명등
US9208897B2 (en) 2010-01-27 2015-12-08 Intelligent Intellectual Property Holdings 2 Llc Configuring storage cells
KR200491168Y1 (ko) 2019-04-30 2020-02-26 조보갑 충전기능을 구비한 확성기 보관함

Family Cites Familie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40020366A (ko) * 2002-08-30 2004-03-09 배종진 꽃 받침대
JP2007165017A (ja) * 2005-12-09 2007-06-28 Toshiba Lighting & Technology Corp 非常用照明装置
KR200420366Y1 (ko) 2006-04-05 2006-07-03 주식회사 디에스이 Led 비상 유도등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9208897B2 (en) 2010-01-27 2015-12-08 Intelligent Intellectual Property Holdings 2 Llc Configuring storage cells
WO2013015506A1 (ko) * 2011-07-22 2013-01-31 그린엘이디 주식회사 휴대기능을 가지는 조명등
KR200491168Y1 (ko) 2019-04-30 2020-02-26 조보갑 충전기능을 구비한 확성기 보관함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0971376B1 (ko) 2010-07-20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7800511B1 (en) Emergency lighting system
KR101485115B1 (ko) 지능형 레이저 유도등
KR101261448B1 (ko) 지능형 대피 유도 시스템 및 그 제어 방법
KR101516879B1 (ko) 비상상황 안내기능이 구비된 휴대용 비상조명 등기구
KR20070012756A (ko) 지능형 비상유도라인 시스템
KR20130023991A (ko) 주차장 조명 제어장치
KR100971376B1 (ko) 비상조명등
JP2008158830A (ja) 点灯制御システム
TWI475928B (zh) 熱射線式無線發射器和無線接收器
KR100998997B1 (ko) 동적방향을 지시하는 유도등 제어시스템
JPWO2008105187A1 (ja) 防犯器具及びその防犯器具の配置構造
KR101407929B1 (ko) 비상구 유도등
WO2010105825A1 (en) Escape guidance apparatus
KR20080001355U (ko) 비상 대피 안내 광고판
KR20170010346A (ko) 대피안내 겸용 조명장치
KR20140054999A (ko) 비상등 자체에 고장을 알수있는 비상등
KR20110037802A (ko) 비상시 유도기능을 갖는 엘이디등 시스템 및 그 제어방법
KR100940543B1 (ko) 조명등 디지털 제어 장치 및 방법
KR20070099777A (ko) 가변유도등 및 가변유도등 제어시스템
KR100989315B1 (ko) 비상조명등
KR20140054998A (ko) 비상등 자체에 고장을 알수있는 비상등
KR200329862Y1 (ko) 비상 발광표시 디스플레이
KR200489948Y1 (ko) 비상탈출구 유도표시장치
KR200397464Y1 (ko) 주차 유도 제어기
KR101272324B1 (ko) 소등 알람장치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0424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0424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0427

Year of fee payment: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525

Year of fee payment: 7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427

Year of fee payment: 8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420

Year of fee payment: 9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423

Year of fee payment: 1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