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00003957A - 렌즈 커버 장치 - Google Patents

렌즈 커버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00003957A
KR20100003957A KR1020080064029A KR20080064029A KR20100003957A KR 20100003957 A KR20100003957 A KR 20100003957A KR 1020080064029 A KR1020080064029 A KR 1020080064029A KR 20080064029 A KR20080064029 A KR 20080064029A KR 20100003957 A KR20100003957 A KR 20100003957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am portion
pressing piece
guide surface
lens
cov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80064029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0997475B1 (ko
Inventor
김성덕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다이아벨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다이아벨 filed Critical 주식회사 다이아벨
Priority to KR1020080064029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997475B1/ko
Publication of KR20100003957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00003957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997475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997475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MTELEPHONIC COMMUNICATION
    • H04M1/00Substation equipment, e.g. for use by subscribers
    • H04M1/02Constructional features of telephone sets
    • H04M1/0202Portable telephone sets, e.g. cordless phones, mobile phones or bar type handsets
    • H04M1/026Details of the structure or mounting of specific components
    • H04M1/0264Details of the structure or mounting of specific components for a camera module assembly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Blocking Light For Camera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렌즈 커버 장치에 관한 것으로, 그 구성은 렌즈가 구비되는 몸체; 상기 몸체 일측에 구비되어 렌즈를 개폐하는 덮개; 및 상기 몸체에 내설되어 상기 덮개를 회전가능하게 하는 힌지 모듈;을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본 발명에 따르면, 간단한 조작을 통해 덮개로 하여금 렌즈를 단속하게 함으로써 조작성 및 작동성이 우수한 효과가 있다.
렌즈, 몸체, 커버 장치, 힌지 모듈, 팝업

Description

렌즈 커버 장치{Lens cover apparatus}
본 발명은 렌즈 커버 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간단한 조작을 통해 덮개로 하여금 렌즈를 단속하게 함으로써 조작성 및 작동성이 우수한 렌즈 커버 장치에 관한 것이다.
중요한 부품을 외부의 충격으로부터 보호하거나 제품의 내부를 외부의 이물질로부터 보호하기 위하여 커버장치가 사용된다. 커버장치는 제품의 내부부품과 고정되어 내부부품의 위치를 고정시키거나, 이동에 따라 내부부품을 선택적으로 노출시키기도 한다.
휴대전화를 예로 들어 설명하면 아래와 같다. 최근의 휴대전화는 카메라를 탑재하고 있으며, 카메라의 렌즈는 휴대전화의 후면에 설치된다. 휴대전화의 후면에는 렌즈를 보호하기 위한 커버장치가 제공되며, 커버장치는 이동에 따라 렌즈를 선택적으로 노출시킨다. 휴대전화의 중요부품인 전화모듈은 휴대전화의 내부에 실장되며, 외부에는 전화모듈을 감싸는 몸체가 제공된다. 커버장치는 몸체를 따라 승강하며, 승강에 따라 렌즈를 선택적으로 노출시킨다.
이와 같은 커버장치를 제공함에 있어서 가장 주목해야 할 점은 '부피 또는 무게의 최소화'이다. 커버장치로 인하여 휴대전화의 전체 부피가 크게 증가하거나 무게가 크게 증가할 경우, 오히려 사용자에게 불편함을 초래할 수 있다. 또한, 몸체에 결합된 커버장치의 외관을 고려할 필요가 있다.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안출된 것으로서, 본 발명의 목적은 간단한 조작을 통해 덮개로 하여금 렌즈를 단속하게 함으로써 조작성 및 작동성이 우수한 렌즈 커버 장치를 제공함에 있다.
본 발명은 앞서 본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다음과 같은 구성을 가진다.
본 발명의 렌즈 커버 장치는, 렌즈가 구비되는 몸체; 상기 몸체 일측에 구비되어 렌즈를 개폐하는 덮개; 및 상기 몸체에 내설되어 상기 덮개를 회전가능하게 하는 힌지 모듈;을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또한 상기 덮개는 상기 몸체 내부에 매립된 상태로 렌즈를 차폐하도록 하며, 상기 힌지 모듈은 상기 덮개를 몸체에 대해 팝업시켜 개방되게 한다.
그리고 상기 힌지 모듈은, 상부 회전체; 상기 상부 회전체가 내설되어 회전 및 승강할 수 있게 하는 하부 회전체; 상기 상부 회전체와 하부 회전체를 결합시는 고정축 및; 상기 고정축과 상부 회전체의 사이에 마련되는 탄성체;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며, 상기 상부 회전체는 프레임, 상기 프레임를 관통하는 축삽입공과, 상기 축삽입공의 원주를 따라 상기 프레임 저면부에 돌출형성되는 제1 캠부 및 제2 캠부로 이루어지며, 상기 제1 캠부 및 제2 캠부는 서로 크로스(Cross) 형태로 마련되게 한다.
또한 상기 하부 회전체는 베이스 몸체, 상기 베이스 몸체 중심부에 돌출 형 성되는 고정축 결착공과, 상기 고정축 결착공을 기준으로 원호 형태로 각각 형성되는 제1 캠부 안내면 및 제2 캠부 안내면과, 상기 제2 캠부 안내면을 함몰시켜 형성되는 제2 캠부 안착홈과, 가압편 삽입홈 내에서 탄성지지되며 상기 제1 캠부를 압지하는 가압편과, 상기 베이스 몸체와 대응되는 형태의 케이싱으로 이루어진다.
그리고 상기 고정축은 상기 상부 회전체와는 이격된 형태이되, 상기 하부 회전체에는 고정된 형태로 마련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탄성체는 판스프링 또는 코일 스프링 중 선택된 어느 하나로 이루어지며, 상기 제1 캠부는 곡선형태를 하는 가압편 안내면을 형성하고, 상기 가압편 안내면의 양단에는 상기 가압편을 안착하는 가압편 안착홈;을 더 형성한다.
그리고 상기 가압편 삽입홈은 베이스 몸체의 대각부분에 형성되며, 상기 제1 캠부 안내면과 제2 캠부 안내면은 상기 가압편 삽입홈을 기준으로 양분되게 형성되며, 상기 제1 캠부 안내면과 제2 캠부 안내면은 서로 단차지게 형성되도록 하고, 상기 가압편 삽입홈은 스프링을 삽입 고정하게 하는 스프링 삽입홈;을 더 형성하게 한다.
본 발명에 따르면, 간단한 조작을 통해 덮개로 하여금 렌즈를 단속하게 함으로써 조작성 및 작동성이 우수한 효과가 있다.
본 발명에 따르면, 렌즈 커버 장치는, 렌즈가 구비되는 몸체; 상기 몸체 일측에 구비되어 렌즈를 개폐하는 덮개; 및 상기 몸체에 내설되어 상기 덮개를 회전 가능하게 하는 힌지 모듈;을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또한 상기 덮개는 상기 몸체 내부에 매립된 상태로 렌즈를 차폐하도록 하며, 상기 힌지 모듈은 상기 덮개를 몸체에 대해 팝업시켜 개방되게 한다.
그리고 상기 힌지 모듈은, 상부 회전체; 상기 상부 회전체가 내설되어 회전 및 승강할 수 있게 하는 하부 회전체; 상기 상부 회전체와 하부 회전체를 결합시는 고정축 및; 상기 고정축과 상부 회전체의 사이에 마련되는 탄성체;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며, 상기 상부 회전체는 프레임, 상기 프레임를 관통하는 축삽입공과, 상기 축삽입공의 원주를 따라 상기 프레임 저면부에 돌출형성되는 제1 캠부 및 제2 캠부로 이루어지며, 상기 제1 캠부 및 제2 캠부는 서로 크로스(Cross) 형태로 마련되게 한다.
또한 상기 하부 회전체는 베이스 몸체, 상기 베이스 몸체 중심부에 돌출 형성되는 고정축 결착공과, 상기 고정축 결착공을 기준으로 원호 형태로 각각 형성되는 제1 캠부 안내면 및 제2 캠부 안내면과, 상기 제2 캠부 안내면을 함몰시켜 형성되는 제2 캠부 안착홈과, 가압편 삽입홈 내에서 탄성지지되며 상기 제1 캠부를 압지하는 가압편과, 상기 베이스 몸체와 대응되는 형태의 케이싱으로 이루어진다.
그리고 상기 고정축은 상기 상부 회전체와는 이격된 형태이되, 상기 하부 회전체에는 고정된 형태로 마련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탄성체는 판스프링 또는 코일 스프링 중 선택된 어느 하나로 이루어지며, 상기 제1 캠부는 곡선형태를 하는 가압편 안내면을 형성하고, 상기 가압편 안내면의 양단에는 상기 가압편을 안착하는 가압편 안착홈;을 더 형성한다.
그리고 상기 가압편 삽입홈은 베이스 몸체의 대각부분에 형성되며, 상기 제1 캠부 안내면과 제2 캠부 안내면은 상기 가압편 삽입홈을 기준으로 양분되게 형성되며, 상기 제1 캠부 안내면과 제2 캠부 안내면은 서로 단차지게 형성되도록 하고, 상기 가압편 삽입홈은 스프링을 삽입 고정하게 하는 스프링 삽입홈;을 더 형성하게 한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설명한다.
도 1 또는 도 2에 도시된 바에 의하면, 상기 렌즈 커버 장치(20)는 렌즈가 구비된 몸체(10)에 실장되어 렌즈를 개폐하도록 하고 있으며, 상기 렌즈 커버 장치는 덮개(100) 및 힌지 모듈(200)을 포함한다. 또한 상기 몸체(10)는 휴대 단말기의 내부에 실장된 부품들(도시안됨)을 외부로부터 감싼다. 부품들은 휴대 단말기의 기능을 수행하며, 몸체(10) 상에 고정설치된다. 몸체(10)의 전면에는 디스플레이창(도시안됨) 또는 키패드(도시안됨) 등이 제공된다. 상기 디스플레이창을 이용하여 정보를 디스플레이하며, 키패드를 이용하여 휴대 단말기에 정보를 입력한다.
상기 덮개(100)는 상기 몸체(10) 내부에 인입된 상태로 일측은 힌지 모듈(200)에 의해 몸체 내측으로부터 힌지 모듈을 기준으로 회전되며 팝업되며 개방되게 구성된다. 또한 상기 덮개(100)는 몸체(10)에 인입된 상태를 개방하기 위해 몸체에 형성된 홈(11)을 이용해 동작될 수 있게 하고 있다.
상기 힌지 모듈(200)은 도 3 또는 도 4에 도시된 바에 의하면, 상부 회전체(210), 하부 회전체(220), 고정축(230) 및 탄성체(2400)로 이루어진다.
상기 상부 회전체(210)는 원 형태로 형성된 프레임(211) 원주 중심을 관통하여 축 삽입공(217)을 형성하고 있으며, 상기 프레임(211) 저면부에 돌출 형성되되 상기 축 삽입공(217) 원주를 따라 돌출되는 복수의 제1 캠부(213)와 제2 캠부(216)가 서로 크로스 형태로 형성되어 있다. 즉, 상기 복수의 제1 캠부(213)가 축 삽입공(217)을 기준으로 서로 대향되게 형성하면, 상기 제1 캠부(213)과 직교하는 위치에 복수의 제2 캠부(216)를 형성시킨다.
한편 상기 제1 캠부(213)는 가압편 안내면(214)을 곡선면을 갖게 형성시켜 후술하는 가압편이 가압편 안내편(214)을 따라 캠 운동할 수 있게 하고 있다.
여기서 상기 가압편 안내면(214)의 양단에는 가압편 안착홈(215);를 더 형성하도록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는 가압편(229)의 끝단이 가압편 안착홈(215)에 안착되면 상부 회전체(210)를 회전시키기 위해 힘이 작용하지 않을 경우에는 회전되지 않게 하기 위함이다.
상기 하부 회전체(220)는 베이스 몸체(221), 가압편(220) 및 게이싱(222)로 이루어지진다.
상기 베이스 몸체(221)는 사각 형태의 판체 중심부에 고정축 결합공(228)을 돌출 형성시키고 있고, 상기 고정축 결합공(228)을 중심으로 제1 캠부 안내면(224) 및 제2 캠부 안내면(225)을 형성하며, 상기 베이스 몸체(221) 양측 대각선상에 가압편 삽입홈(223)을 형성하고 있다. 여기서 상기 제1 캠부 안내면(224)과 제2 캠부 안내면(225)은 양측 대각선 상에 형성된 상기 가압편 삽입홈(223)을 기준으로 반원 형상으로 마련되며, 상기 제1 캠부 안내면(224)에 대해 제2 캠부 안내면(225)이 단 차지게 형성된다. 그리고 상기 반원 형상의 제2 캠부 안내면(225) 양단에는 상기 제2 캠부 안내면(225)보다 더 함몰된 제2 캠부 안착홈(226)이 마련된다.
한편 상기 가압편 삽입홈(223) 일단에는 스프링 삽입홈(223a);을 더 형성시켜 스프링(229a)이 이탈되는 것을 방지하게 하고 있다.
상기 가압편(229)은 "ㄷ" 형상의 일측은 폐쇄되고, 타측은 개방된 형태를 하고 있으며, 폐쇄된 측은 유선형태로 되어 상기 가압편 안착홈(215)에 삽입되고, 가압편 안내면(214)이 가압편(229)을 따라 슬라이딩 이동할 수 있게 하고 있다. 그리고 상기 개방된 측에는 스프링(229a)을 내설하여 가압편(229)을 지지하게 하고 있다.
상기 케이싱(222)은 상기 베이스 몸체(221)와 동일한 형태를 갖게 하여 상기 베이스 몸체(221) 상부를 밀폐시켜 가압편(229)의 이탈을 방지하게 하고 있으며, 그 중심부를 상기 상부 회전체(210)와 동일 크기를 갖게 관통하는 통공(222a)을 형성하여 상기 통공(222a)을 통해 상기 하부 회전체(220)와 상부 회전체(210)가 결합할 수 있게 하고 있다.
상기 고정축(230)은 관(231) 형태의 상단에 상기 관(231)의 외주보다 큰 고정편(232)을 마련하여 상기 관(231)은 상기 고정축 결합공(228)에 삽입 고정되게 하고, 상기 고정편(232)은 탄성체(240)를 이용해 상부 회전체(210)를 지지하도록 하고 있다.
상기 탄성체(240)는 상기 고정축(230)과 상부 회전체(210)의 사이에 위치하여 상부 회전체(210)를 탄성지지하게 하고 있다.
그리고 상기 탄성체(240)는 판스프링 또는 코일스프링 중 선택된 어느 하나로 이루어지는 것이 바람직하며, 본 실시예에서는 판스프링으로 실시예를 설명하고 있다. 상기 판스프링은 링 형상의 중심부를 소정 각도 절곡하여 탄성력을 갖도록 함으로써 링의 양측으로 상부 회전체와 고정체를 균일하게 지지할 수 있게 하고 있다.
상기 힌지 모듈에 대한 결합관계를 보면, 먼저 상기 가압편(229)에 스프링(229a)을 삽입 고정한다. 그리고 상기 베이스 몸체(221)의 가압편 삽입홈(223)에 상기 가압편(229)과 스프링(229a)을 삽입하는데, 이때 상기 스프링(229a)은 스프링 삽입홈(223a)에 고정될 있게 한 후 상기 케이싱(222)을 베이스 몸체(221)와 결합시켜 가압편(229)을 고정시킴으로써 가압편(229)과 스프링(229a)의 이탈을 방지하게 한다.
그리고 상기 상부 회전체(210)의 프레임(211)를 통공(222a)을 통해 상기 베이스 몸체(221)에 삽입하는데, 이때 상기 프레임(211)에 형성된 제1 캠부(213)는 제1 캠부 안내면(224) 측에 위치하게 하고, 상기 제2 캠부(216)는 제2 캠부 안착홈(226)에 안착되게 삽입하며, 상기 가압편 안착홈(215)에 가압편(229) 일측 단부가 일치될 수 있게 삽입한다.
계속해서, 상기 상부 회전체(210)의 프레임(211)이 삽입된 상태에서 상기 탄성체(240)를 프레임(211) 상면에 위치시킨 후 상기 고정축(230)의 관(231)을 탄성체(240)와 축 삽입공(217) 및 고정축 결합공(228)에 순차적으로 삽입시켜 상기 고정편(232)과 상부 회전체(210)의 사이에 탄성체(240)를 두고 상부 회전체(210) 상 면에 지지되게 하며, 상기 관(231) 하단은 상기 고정축 결합공(228)에 대해 확장시켜 베이스 몸체(221) 저면에 고정시킨다. 예를 들어 리벳 결합과 같은 원리를 이용한다.
여기서 상기 고정축(230)의 관(231) 외주면과 상기 프레임(211)의 축 삽입공(217)의 내주면은 서로 이격된 상태여서 프레임(211)과 회전 및 승강시 서로 간섭되지 않게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그리고 상기 힌지 모듈(200)의 하부 회전체(220)를 덮개(100) 측에 고정시키고, 상기 상부 회전체(210)를 몸체(10) 측에 고정되게 하여 몸체에 마련된 렌즈를 덮개로 하여금 개폐할 수 있게 한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작동상태를 설명한다.
도 5 내지 도 9를 참조하면, 앞서 설명한 바와 같이 상기 덮개(100)는 몸체(10) 내부에 인입된 상태로 렌즈(L)를 폐쇄시킨 상태이며 덮개와 몸체는 각각의 외주가 평행한 상태이며, 상기 덮개(100) 몸체 측에 밀착되는 면이 하부 회전체(220)와 연결되고, 상기 상부 회전체(210)는 몸체 내부에 고정된 상태이다. 이 상태에서 상기 몸체(10)에 형성된 홈(11)을 이용해 덮개(100)를 가압하면 상기 덮개(100)는 일측이 힌지 모듈(200)에 의해 몸체 내에 실장된 상태가 해지되게 된다.
그리고 상기 힌지 모듈(200)을 기준으로 덮개(100)를 회전시키면 상기 상부 회전체(210)에 대해 하부 회전체(220)가 회전하게 되는데, 이때 상기 상부 회전체(210)에 마련된 제1 캠부(213)의 가압편 안내면은 불규칙한 곡선면을 갖고 있어 상기 가압편 안내면이 가압편(229)을 가압하며 이동하게 되며, 상기 가압편(229)은 스프링(229a)을 가압하여 압축하게 된다.
이와 동시에,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상부 회전체(210)의 제2 캠부(216)가 제2 캠부 안착홈(226)에서 이탈되어 상기 제2 캠부 안내면(225)에 위치하게 되며, 이로 인해 상기 하부 회전체(220)를 승강시켜 상기 몸체(10)로부터 상기 덮개(100)를 팝업시키며 회전시킨다.
계속해서 상기 덮개(100)을 회전시키면, 도 8 및 도 9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가압편(229)은 가압편 안내면의 만곡점에 도달하게 되고, 이를 지나치게 되면 압축된 스프링(229a)의 압축력에 의해 가압편(229)이 가압편 안내면을 밀며 덮개를 몸체 측에서 팝업시키며 일정각도가 되게 회전시키며 렌즈(L)를 개방하게 된다.
이때 상기 가압편(229)은 처음 위치된 가압편 안착홈(226)에서 타측 가압편 안착홈으로 이동하며 안착되며, 상기 덮개(110)의 이동을 제안하게 되고, 상기 제2 캠부(216)는 제2 캠부 안착홈(226)에 삽입되며 하부 회전체(220)가 하강하며 덮개가 몸체 측으로 밀착될 수 있게 된다.
본 실시예의 작동상태에서 알 수 있듯이 몸체에 대해 덮개를 승강시키며 회전될 수 있게 함으로써 몸체에 구비되는 렌즈를 개폐할 수 있어 렌즈 손상을 방지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몸체 측에 덮개가 매립된 상태로 렌즈를 폐쇄시켜 미관을 수려하게 할 수 있게 된다.
또한 본 발명에서는 상부 회전체가 덮개 측에 구비되는 것으로 실시예를 기재하고 있으나 상부 회전체가 몸체 측에 구비되어 덮개를 회전 팝업시키는 것도 가 능하다.
본 발명은 상기에 기술된 실시예들에 의해 한정되지 않고, 당업자들에 의해 다양한 변형 및 변경을 가져올 수 있으며, 이는 첨부된 청구항에서 정의되는 본 발명의 취지와 범위에 포함된다.
도 1은 본 발명의 렌즈 커버 장치를 나타내는 개략도.
도 2는 도 1에 도시된 렌즈 커버 장치를 나타내는 개략 단면도.
도 3은 도 2에 도시된 힌지 모듈을 나타내는 사시도.
도 4는 도 3에 도시된 힌지 모듈을 나타내는 분해 사시도.
도 5 내지 도 9는 본 발명에 따른 렌즈 커버 장의 작동상태를 나타내는 작동도.

Claims (12)

  1. 렌즈가 구비되는 몸체;
    상기 몸체 일측에 구비되어 렌즈를 개폐하는 덮개; 및
    상기 몸체에 내설되어 상기 덮개를 회전가능하게 하는 힌지 모듈;을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렌즈 커버 장치.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덮개는 상기 몸체 내부에 매립된 상태로 렌즈를 차폐하도록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렌즈 커버 장치.
  3.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힌지 모듈은 상기 덮개를 몸체에 대해 팝업시켜 개방되게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렌즈 커버 장치.
  4. 제 3 항에 있어서,
    상기 힌지 모듈은,
    상부 회전체;
    상기 상부 회전체가 내설되어 회전 및 승강할 수 있게 하는 하부 회전체;
    상기 상부 회전체와 하부 회전체를 결합시는 고정축 및;
    상기 고정축과 상부 회전체의 사이에 마련되는 탄성체;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렌즈 커버 장치.
  5. 제 3 항에 있어서,
    상기 상부 회전체는 프레임, 상기 프레임를 관통하는 축삽입공과, 상기 축삽입공의 원주를 따라 상기 프레임 저면부에 돌출형성되는 제1 캠부 및 제2 캠부로 이루어지며, 상기 제1 캠부 및 제2 캠부는 서로 크로스(Cross) 형태로 마련되게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렌즈 커버 장치.
  6. 제 3 항에 있어서,
    상기 하부 회전체는 베이스 몸체, 상기 베이스 몸체 중심부에 돌출 형성되는 고정축 결착공과, 상기 고정축 결착공을 기준으로 원호 형태로 각각 형성되는 제1 캠부 안내면 및 제2 캠부 안내면과, 상기 제2 캠부 안내면을 함몰시켜 형성되는 제2 캠부 안착홈과, 가압편 삽입홈 내에서 탄성지지되며 상기 제1 캠부를 압지하는 가압편과, 상기 베이스 몸체와 대응되는 형태의 케이싱으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렌즈 커버 장치.
  7. 제 3 항에 있어서,
    상기 고정축은 상기 상부 회전체와는 이격된 형태이되, 상기 하부 회전체에는 고정된 형태로 마련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렌즈 커버 장치.
  8. 제 3 항에 있어서,
    상기 탄성체는 판스프링 또는 코일 스프링 중 선택된 어느 하나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렌즈 커버 장치.
  9. 제 5 항에 있어서,
    상기 제1 캠부는 곡선형태를 하는 가압편 안내면을 형성하고, 상기 가압편 안내면의 양단에는 상기 가압편을 안착하는 가압편 안착홈;을 더 형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렌즈 커버 장치.
  10. 제 6 항에 있어서,
    상기 가압편 삽입홈은 베이스 몸체의 대각부분에 형성되며, 상기 제1 캠부 안내면과 제2 캠부 안내면은 상기 가압편 삽입홈을 기준으로 양분되게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렌즈 커버 장치.
  11. 제 10 항에 있어서,
    상기 제1 캠부 안내면과 제2 캠부 안내면은 서로 단차지게 형성되도록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렌즈 커버 장치.
  12. 제 10 항에 있어서,
    상기 가압편 삽입홈은 스프링을 삽입 고정하게 하는 스프링 삽입홈;을 더 형성하게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렌즈 커버 장치.
KR1020080064029A 2008-07-02 2008-07-02 렌즈 커버 장치 KR100997475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80064029A KR100997475B1 (ko) 2008-07-02 2008-07-02 렌즈 커버 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80064029A KR100997475B1 (ko) 2008-07-02 2008-07-02 렌즈 커버 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00003957A true KR20100003957A (ko) 2010-01-12
KR100997475B1 KR100997475B1 (ko) 2010-12-01

Family

ID=4181363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80064029A KR100997475B1 (ko) 2008-07-02 2008-07-02 렌즈 커버 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997475B1 (ko)

Cited By (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9829770B1 (en) 2016-05-13 2017-11-28 Sol Pals, Llc Camera obstructing device
USD807947S1 (en) 2016-06-10 2018-01-16 Sol Pals, Llc Sliding webcam cover
USD808457S1 (en) 2016-05-13 2018-01-23 Sol Pals, Llc Webcam cover
USD810180S1 (en) 2016-05-13 2018-02-13 Sol Pals, Llc Webcam cover
USD836154S1 (en) 2016-05-13 2018-12-18 C-Slide Holdings, Llc Webcam cover with stone element
US10317776B2 (en) 2016-05-13 2019-06-11 Sol Pals, Llc Camera obstructing device
USD861696S1 (en) 2017-04-25 2019-10-01 C-Slide Holdings, Llc Mic block

Family Cites Familie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4177874A (ja) 2002-11-29 2004-06-24 Kyocera Corp 携帯端末装置
JP2004184817A (ja) 2002-12-05 2004-07-02 Nidec Copal Corp 携帯情報端末装置

Cited By (8)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9829770B1 (en) 2016-05-13 2017-11-28 Sol Pals, Llc Camera obstructing device
USD808457S1 (en) 2016-05-13 2018-01-23 Sol Pals, Llc Webcam cover
USD810180S1 (en) 2016-05-13 2018-02-13 Sol Pals, Llc Webcam cover
USD836154S1 (en) 2016-05-13 2018-12-18 C-Slide Holdings, Llc Webcam cover with stone element
USD849123S1 (en) 2016-05-13 2019-05-21 Sol Pals, Llc Webcam cover
US10317776B2 (en) 2016-05-13 2019-06-11 Sol Pals, Llc Camera obstructing device
USD807947S1 (en) 2016-06-10 2018-01-16 Sol Pals, Llc Sliding webcam cover
USD861696S1 (en) 2017-04-25 2019-10-01 C-Slide Holdings, Llc Mic block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0997475B1 (ko) 2010-12-01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997475B1 (ko) 렌즈 커버 장치
JP5841456B2 (ja) クレードル装置
KR100685388B1 (ko) 곡형 슬라이딩 타입 휴대 통신 장치 및 그의 슬라이딩 장치
US7380312B2 (en) Cover restricting mechanism
KR101927201B1 (ko) 지지판을 구비하는 휴대용 단말기
US7798828B2 (en) Cover assembly
BRMU8902775U2 (pt) projeto e implementação de dobradiça de fricção com uma faixa de movimento e de separação de retentor maior que 180 graus
JPH05508296A (ja) 折り畳み可能な無線電話装置用の自己ラッチ型ヒンジ・シャフトを有するヒンジ装置
KR100735305B1 (ko) 슬라이딩 타입 휴대 단말기의 슬라이딩 모듈 및 그에장착된 외장형 카드 커버 장치
US7991440B2 (en) Rotary mechanism for portable electronic device
US20060133796A1 (en) Cover restricting mechanism of foldable electronic device
CN109561369A (zh) 扬声器单元以及电子设备
TWI485932B (zh) 晶片卡保護蓋組件及應用其的電子裝置
KR100448670B1 (ko) 이동통신단말기용 케이스
KR100845220B1 (ko) 스윙 힌지 장치
US8625268B2 (en) Sliding module for electronic device
KR20100020133A (ko) 폴더형 휴대 단말기의 힌지장치
KR100678768B1 (ko) 슬라이딩 안테나를 구비한 단말기
TWM442344U (en) Chip card protection cover assembly and electronic device using same
CN219999374U (zh) 无线电子设备
CN216905262U (zh) 一种防耳机外漏的耳机盒
US8161602B2 (en) Hinge assembly and portable electronic device using same
KR100845222B1 (ko) 휴대폰의 플립형 덮개
KR100690715B1 (ko) 휴대용 단말기
KR100967383B1 (ko) 커버장치 및 이를 포함하는 휴대 단말기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1101

Year of fee payment: 4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