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00003639A - 디지털 영상 처리 장치 - Google Patents

디지털 영상 처리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00003639A
KR20100003639A KR1020080063628A KR20080063628A KR20100003639A KR 20100003639 A KR20100003639 A KR 20100003639A KR 1020080063628 A KR1020080063628 A KR 1020080063628A KR 20080063628 A KR20080063628 A KR 20080063628A KR 20100003639 A KR20100003639 A KR 20100003639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hutter
light
incident
transmittance
lens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80063628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류헌영
정현우
Original Assignee
삼성디지털이미징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삼성디지털이미징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삼성디지털이미징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080063628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100003639A/ko
Publication of KR20100003639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00003639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JMEASUREMENT OF INTENSITY, VELOCITY, SPECTRAL CONTENT, POLARISATION, PHASE OR PULSE CHARACTERISTICS OF INFRARED, VISIBLE OR ULTRAVIOLET LIGHT; COLORIMETRY; RADIATION PYROMETRY
    • G01J1/00Photometry, e.g. photographic exposure meter
    • G01J1/02Details
    • G01J1/0238Details making use of sensor-related data, e.g. for identification of sensor or optical parts
    • GPHYSICS
    • G03PHOTOGRAPHY; CINEMATOGRAPHY; ANALOGOUS TECHNIQUES USING WAVES OTHER THAN OPTICAL WAVES; ELECTROGRAPHY; HOLOGRAPHY
    • G03BAPPARATUS OR ARRANGEMENTS FOR TAKING PHOTOGRAPHS OR FOR PROJECTING OR VIEWING THEM; APPARATUS OR ARRANGEMENTS EMPLOYING ANALOGOUS TECHNIQUES USING WAVES OTHER THAN OPTICAL WAVES; ACCESSORIES THEREFOR
    • G03B9/00Exposure-making shutters; Diaphragms
    • G03B9/08Shutters

Landscapes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Spectroscopy & Molecular Physics (AREA)
  • Studio Devic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디지털 영상 처리 장치에 관한 것으로, 상세하게는 광 투과율이 변경 가능한 셔터를 구비하여 측광 성능이 향상된 디지털 영상 처리 장치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은 렌즈부; 상기 렌즈부를 통해 입사되는 광 에너지를 전기적인 신호로 변환하는 촬상 소자; 상기 렌즈부를 통해 입사되는 광의 투과율이 변경 가능하도록 형성되는 셔터; 및 상기 셔터의 일 측에 형성되어, 상기 셔터에서 반사된 광으로부터 광량을 측정하는 측광 센서를 포함하는 디지털 영상 처리 장치를 제공한다.

Description

디지털 영상 처리 장치{Apparatus for digital picturing image}
본 발명은 디지털 영상 처리 장치에 관한 것으로, 상세하게는 광 투과율이 변경 가능한 셔터를 구비하여 측광 성능이 향상된 디지털 영상 처리 장치에 관한 것이다.
최근, 전문가급의 사진을 찍을 수 있는 디지털 일안 반사식(Digital Single Lens Reflex, DSLR) 카메라가 널리 보급되고 있다. 디지털 일안 반사식 카메라란 디지털 사진을 찍는 일안 반사식 카메라를 말한다.
여기서, 일안 반사식이란 한 개의 렌즈를 통해서 뷰파인더로 사물을 보내기도 하고, 사진을 찍는 센서에 빛을 보내기도 하는 방식을 말한다. 흔히 사용하는 보급형 디지털 카메라는 이안식(二眼式)이다. 따라서, 보급형 디지털 카메라는 보는 것과 찍히는 것이 달라서 센서에 전달되는 이미지를 화면을 통해서 보면서 찍을 수 있다.
이러한 종래의 일안 반사식 카메라에서는, 렌즈의 광축 상에 미러(mirror)가 축을 중심으로 소정 각도 내에서 회전 가능하도록 형성된다. 평상시에는, 렌즈부에서 얻어진 피사체 빛은, 미러에서 반사되고, 초점판에서 결상되어, 촬영자는 초점 판에 결상되는 피사체의 상을 펜타프리즘과 뷰 파인더를 이용하여 확인할 수 있다. 이때, 셔터-릴리스 신호가 입력되면, 미러는 축을 중심으로 소정 범위 내에서 회전 구동햐여 렌즈부의 광축 상으로부터 퇴피하기 위하여 상승하고, 셔터가 셔터 구동 회로의 구동 제어에 의하여 오픈 상태가 되면, 촬상 소자 상에 피사체의 상이 형성된다.
이러한 종래의 일안 반사식 카메라에서, 광량을 측정하기 위한 측광 센서가 광의 경로 상에 직접 배치될 수는 없기 때문에, 뷰 파인더 일 측에 측광 센서가 배치되고, 펜타프리즘을 통해 뷰 파인더로 출력되는 빛의 일부가 상기 측광 센서에서 센싱 됨으로써 측광이 이루어졌다.
한편, 종래의 일안 반사식 카메라에서는 라이브 뷰(live-view) 기능을 구현하기 위하여 다양한 방법들이 개발되고 있으며, 노멀 오픈 포컬 플레인 셔터(normal open focal plane shutter)를 사용하는 방법은 그 일 예라 할 수 있다. 즉, 일반적인 포컬 플레인 셔터는 평상시에 셔터가 닫혀있는 상태로 유지되기 때문에 라이브 뷰 구현이 불가능하다. 따라서, 평상시에 셔터가 열려있는 상태(open state)로 유지될 수 있는 노멀 오픈 포컬 플레인 셔터가 개발 중에 있다.
그런데, 이와 같은 노멀 오픈 포컬 플레인 셔터를 일안 반사식 카메라에 적용하면, 미러와 파인더 광학계가 불필요하게 되므로, 종래의 측광 센서는 더 이상 그 사용이 불가능하게 된다는 문제점이 존재하였다.
그리고, 이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노멀 오픈 포컬 플레인 셔터의 셔터막을 빛이 잘 반사되는 흰색으로 형성하고, 셔터의 전면 일 측에 측광 센서 를 배치하여, 상기 셔터막에서 반사되어져 나오는 빛을 이용하여 측광을 수행하는 방법이 개발 중에 있다.
그런데, 이와 같이 셔터에서 반사되어 나오는 빛을 이용하여 측광을 수행할 경우에는 다음과 같은 문제점이 존재하였다. 즉, 카메라의 설계 시에는 초점이 촬상 소자 면에 맞도록 설계되는 반면, 측광 센서는 셔터막 상에 맺힌 상을 통해 측광을 수행하게 된다. 그런데, 셔터와 촬상 소자는 일정 정도 이격되어 있기 때문에, 셔터와 촬상 소자 사이에는 약간이나마 물리적인 거리가 존재하며, 따라서 셔터와 촬상 소자의 위치 차이에 의하여 디포커스가 필연적으로 발생할 수밖에 없다는 문제점이 존재하였다.
본 발명은 광 투과율이 변경 가능한 셔터를 구비하여 측광 성능이 향상된 디지털 영상 처리 장치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본 발명은 렌즈부; 상기 렌즈부를 통해 입사되는 광 에너지를 전기적인 신호로 변환하는 촬상 소자; 상기 렌즈부를 통해 입사되는 광의 투과율이 변경 가능하도록 형성되는 셔터; 및 상기 셔터의 일 측에 형성되어, 상기 셔터에서 반사된 광으로부터 광량을 측정하는 측광 센서를 포함하는 디지털 영상 처리 장치를 제공한다.
본 발명에 있어서, 상기 셔터는 스마트 윈도우(Smart window) 일 수 있다.
본 발명에 있어서, 상기 셔터는 액정(LCD: Liquid Crystal Display), 분극입자분산(SPD: Suspended Particle Display), 일렉트로크로믹(EC: Electrochromic glass), 포토크롬(PC: Photochromic glass) 및 써모크롬(LTC: Thermo-chromic glass)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에 있어서, 상기 셔터는 전계 인가 여부에 따라 광의 투과율이 변경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셔터에 전계가 인가되면 상기 셔터의 광 투과율이 높아질 수 있다.
본 발명에 있어서, 상기 촬상 소자와 상기 셔터는 일체로 형성될 수 있다.
본 발명에 있어서, 상기 촬상 소자와 상기 셔터 사이에는 실질적으로 간격이 존재하지 아니하도록 형성될 수 있다.
본 발명에 있어서, 상기 셔터의 광 투과율이 높아지면, 상기 셔터를 투과한 빛이 상기 촬상 소자에 입사될 수 있다.
본 발명에 있어서, 상기 셔터의 광 투과율이 낮아지면, 상기 셔터에서 반사된 빛이 상기 측광 센서에 입사될 수 있다.
본 발명에 있어서, 셔터-릴리스 신호가 입력되면, 상기 셔터의 상기 광 투과율이 낮아져서 상기 셔터에서 반사된 광이 상기 측광 소자에 입사된 후, 상기 셔터의 상기 광 투과율이 높아져서 상기 렌즈부를 통해 입사된 광이 상기 촬상 소자로 입사될 수 있다.
본 발명에 있어서, 상기 셔터의 광 투과 여부에 따라 상기 촬상 소자로의 광의 입사 여부가 제어될 수 있다.
이와 같은 본 발명에 의해서, 광 투과율이 변경 가능한 셔터를 구비함으로써, 측광 성능이 향상되는 효과를 얻을 수 있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을 상세히 설명한다.
도 1은 본 발명에 관한 디지털 영상 처리 장치의 앞쪽 외형을 보여주는 도면이다.
도 1을 참조하면 디지털 영상 처리 장치(100)의 앞쪽에는 셔터-릴리스 버 튼(111), 모드 다이얼(113), 렌즈부(120)가 구비되어 있다.
디지털 영상 처리 장치(100)의 셔터-릴리스 버튼(111)은 정해진 시간 동안 영상 취득소자(예를 들어, CCD 또는 COMS)를 빛에 노출시키기 위해 열리고 닫히며, 조리개(미도시)와 연동하여 피사체를 적정하게 노출시켜 영상 취득소자에 영상을 기록한다.
셔터-릴리스 버튼(111)은 촬영자 입력에 의해 제1 및 제2 영상 촬영 신호를 생성한다. 반셔터 신호로서의 제1 영상 촬영 신호가 입력되면, 디지털 영상 처리 장치(100)는 초점을 잡고 빛의 양을 조절한다. 제1 영상 촬영 신호의 입력으로 초점이 잡히고 빛의 양이 조절되면, 비로소 완전셔터 신호로서의 제2 영상 촬영 신호가 입력되어 영상을 촬영한다.
모드 다이얼(113)은 촬영 모드 선택을 위해 입력된다. 디지털 영상 처리 장치(100)에서, 모드 다이얼(113)에는 사용자 설정을 최소화하고 사용 목적에 따라 빠르고 간편하게 영상을 촬영하고자 할 때 이용하는 AUTO(자동 촬영) 모드, 촬영 상황 또는 피사체의 상태에 따라 최적의 카메라 설정을 간단히 설정하기 위해 이용하는 SCENE 모드, 연속촬영 장면촬영 등 영상 촬영에 특별한 효과를 주기 위해 이용하는 EFFECT 모드, 조리개와 셔터속도를 포함한 각종 기능을 수동으로 설정하여 영상을 촬영하기 위해 이용하는 A/S/M 모드 등을 지원하고 있으며, 상기 모드들로 국한되지 않는다.
렌즈부(120)는 외부 광원으로부터 빛을 받아 영상을 처리한다.
도 2는 본 발명에 관한 디지털 영상 처리 장치의 뒤쪽 외형을 보여주는 도면이다.
도 2를 참조하면, 디지털 영상 처리 장치(100)의 뒤쪽에는 광각(wide angle)-줌(zoom) 버튼(119w), 망원(telephoto)-줌 버튼(119t), 기능 버튼(121) 및 디스플레이부(123)가 있다.
디지털 영상 처리 장치(100)에서는 디스플레이부(123)를 통해 저장된 영상을 재생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에서는 디스플레이부(123)를 통해 촬영할 피사체의 상을 확인하는 라이브 뷰(live-view) 기능을 구현하는 것 또한 가능하다.
광각-줌 버튼(119w) 또는 망원-줌 버튼(119t)은 입력에 따라 화각이 넓어지거나, 화각이 좁아지는데, 특히, 선택된 노출영역의 크기를 변경시키고자 할 때 입력할 수 있다. 광각-줌 버튼(119w)이 입력되면, 선택된 노출영역의 크기가 작아지고, 망원-줌 버튼(119t)이 입력되면, 선택된 노출영역의 크기가 커진다.
기능 버튼(121)은 상향 버튼, 하향 버튼, 좌향 버튼, 우향 버튼 및 메뉴/OK 버튼을 포함하여 총 5개의 버튼을 포함한다. 기능 버튼(121)은 디지털 영상 처리 장치(100)의 동작에 관한 각종 메뉴를 실행시키기 위해 입력되며, 상기 각 키들은 단축키로써도 이용될 수 있으며 기능 버튼(121)은 각 제조사에 따라 다를 수 있다.
도 3은 본 발명에 관한 디지털 영상 처리 장치의 블록도이다.
도 3을 참조하면, 본 발명에 관한 디지털 영상 처리 장치(100)는 카메라 전체의 동작을 제어하는 제어 수단으로서의 CPU(141)와, 상기 CPU(141)로부터의 제어 신호에 따라 동작하는 다수 개의 구성 요소들(예를 들어, 렌즈부(120), 촬상부(130) 등)을 포함한다.
렌즈부(120)는 제1 렌즈(121)와 제2 렌즈(123)를 포함하고, 제1 렌즈(121)와 제2 렌즈(123) 사이에 조리개(122)가 배치되어 있다. 상기 렌즈부(120)의 제1 렌즈(121) 및 제2 렌즈(123)는 렌즈 구동부(135)에 의해 구동 제어되고, 상기 조리개(122)는 조리개 구동부(136)에 의해 구동 제어가 이루어진다.
상세히, 렌즈 구동부(135)는 CPU(141)의 제어 하에서, 렌즈부(120)의 제1 렌즈(121) 및 제2 렌즈(123)를 구동하여 초점을 맞춘다. 여기서, 렌즈 구동부(135)는 전자 모터 또는 초음파 모터 등의 구동원과, 이를 제어하기 위한 드라이버 회로나, 렌즈의 위치를 검출하기 위한 인코더(encoder) 장치 등을 포함한다.
상기 제1 렌즈(121)와 제2 렌즈(123)의 광축 상에서 상기 제2 렌즈(123)의 뒤쪽에는 촬상부(130)가 형성된다. 상기 셔터(131)는, 셔터 구동부(139)의 구동 제어에 의하여 소정 시간 동안 빛이 투과할 수 있게 되어, 상기 촬상 소자(132)에서 피사체의 상이 촬상된다. 즉, 셔터(131)가 셔터 구동부(139)의 구동 제어에 의하여 빛 투과가 가능한 상태가 되면, 촬상 소자(132) 상에 피사체 상의 형성되는 것이다. 여기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관한 디지털 영상 처리 장치(100)는 셔터(131)와 촬상 소자(132)가 일체로 형성되어 촬상부(130)를 이루며, 상기 셔터(131)는 광 투과율이 변경 가능한 재질로 형성되는 것을 일 특징으로 한다. 상기 촬상부(130)에 대하여는 뒤에서 상세히 설명한다.
한편, 상기 촬상부(130) 쪽으로 입사된 빛의 일부는 상기 셔터(131) 전면에 서 반사된다. 그리고, 상기 반사된 빛의 경로 상의 상기 촬상부(130)의 일 측에는 측광 센서(137)가 배치된다. 측광 센서(137)는 측광 센서 구동부(138)에 접속되어 있다. 따라서, 측광 센서(137)는 CPU(141)의 제어 하에서, 측광 센서 구동부(138)에 의해서 구동 제어된다. 즉, CPU(141)는 측광 센서(137)에서 생성한 화상 신호에 근거하여 디포커스 양을 계산하여, 측광 제어를 수행한다.
상기 렌즈 구동부(135), 조리개 구동부(136), 측광 센서 구동부(138) 및 셔터 구동부(139)는 데이터 버스(152)를 통하여, 마이크로 프로세서(micro processor)로 구성되는 CPU(141)에 접속되어 있다.
또한, 스위치 입력 수단(142)과 비휘발성 메모리인 EEPROM(143) 또한 데이터 버스(152)를 통하여, 마이크로 프로세서(micro processor)로 구성되는 CPU(141)에 접속되어 있다.
상기 스위치 입력 수단(142)은 디지털 영상 처리 장치(100)의 셔터-릴리스 버튼(도 1의 111 참조)의 반셔터 신호로서의 제1 영상 촬영 신호에 의해 온(on) 되는 제1 릴리스 스위치, 셔터-릴리스 버튼(도 1의 111 참조)의 완전셔터 신호로서의 제2 영상 촬영 신호에 의해 온(on) 되는 제2 릴리스 스위치, 파워 버튼(미도시)에 연동하는 파워 스위치 등의 복수의 스위치(switch)에 의하여 구성되어 있고, 상기 스위치 입력 수단(142)의 어느 한쪽의 스위치 조작에 의한 조작 신호를 CPU(141)에 공급한다.
상기 CPU(141)는 제1 릴리스 스위치가 온(ON) 되면 2상 간의 거리를 연산하고, 상기 거리 데이터로부터 상기 렌즈 구동부(135)를 구동 제어하여, 렌즈부(120) 의 제1 렌즈(121)와 제2 렌즈(123)의 초점 조정을 수행한다.
상기 CPU(141)는 제2 릴리스 스위치가 온(ON) 되면 상기 측광 센서(137)의 출력에 근거하는 피사체 휘도 정보를 기초로 적정 단면 수축값과 셔터 노출 시간을 구한다. 그리고, 상기 수축값을 이용하여 상기 조리개 구동부(136)를 구동 제어하여 조리개(122)를 구동하고, 상기 셔터 노출 시간을 이용하여 상기 셔터 구동부(139)를 구동 제어하여 셔터(131)를 구동한다.
이와 같은 동작에 의하여 촬상 소자(132)의 촬상 면에 피사체의 상이 결상된다면, 상기 피사체의 상은 아날로그(analog) 영상 신호로 변환되고, 이는 신호 처리 회로(145)에서 디지털(digital) 영상 신호로 변환된다.
신호 처리 회로(145)는 데이터 버스(151)를 이용하여 EPROM(147), SDRAM(148) 및 플래시 메모리(flash memory)(150)에 접속되어 있다.
EPROM(147)에는 신호 처리 회로(145)에 포함되는 프로세서에서 수행되는 프로그램들이 저장되어 있다. SDRAM(synchronous dynamic random-accessmemory)(148)은 화상 처리 전의 화상 데이터나 화상 처리 중의 화상 데이터를 일시적으로 기억하는 메모리이다. 플래시 메모리(150)는, 최종적으로 확정되는 화상 데이터를 기억하는 불휘발성의 메모리이다. SDRAM(148)은 휘발성의 일시적 기억 수단으로, 고속 동작이 가능하지만 전원 공급이 차단되면 기억 내용이 소멸되는 반면, 플래시 메모리(150)는 비휘발성 기억 수단이고, 저속으로 동작하지만, 전원 공급이 차단되어도 기억 내용이 보존된다.
이하에서는, 렌즈부(120)를 통해 입사되는 피사체 광의 투과율이 변경 가능하도록 형성되는 셔터(131) 및 상기 셔터(131)와 일체로 형성되어 있는 촬상 소자(132)를 포함하는 촬상부(130)에 대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상세히, 일안 반사식 카메라에서, 라이브 뷰(live-view)를 구현하기 위한 노멀 오픈 포컬 플레인 셔터를 적용하면, 파인더 광학계 일 측에 배치되었던 종래의 측광 센서는 더 이상 그 사용이 불가능하게 된다. 따라서, 측광을 하기 위하여 노멀 오픈 포컬 플레인 셔터의 셔터막을 빛이 잘 반사되는 흰색으로 형성하고, 셔터의 전면 일 측에 측광 센서를 배치하여, 상기 셔터막에서 반사되어져 나오는 빛을 이용하여 측광을 수행하는 방법이 사용될 수 있다. 그런데, 이와 같이 셔터에서 반사되어 나오는 빛을 이용하여 측광을 수행할 경우에는 다음과 같은 문제점이 존재하였다. 즉, 카메라의 설계 시에는 초점이 촬상 소자 면에 맞도록 설계되는 반면, 측광 센서는 셔터막 상에 맺힌 상을 통해 측광을 수행하게 된다. 그런데, 셔터와 촬상 소자 사이에는 약간이나마 물리적인 거리가 존재하며, 따라서 셔터와 촬상 소자는 일정 정도 이격되어 있기 때문에, 셔터와 촬상 소자의 위치 차이에 의하여 디포커스가 필연적으로 발생할 수밖에 없다는 문제점이 존재하였다.
이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관한 디지털 영상 처리 장치(100)에서는, 스마트 윈도우를 이용하여 입사되는 광의 투과율이 변경 가능하도록 형성되는 셔터(131)를 구비하고, 촬상 소자(132)와 상기 스마트 윈도우 재질의 셔터(131)를 일체로 형성하여, 셔터(131)와 촬상 소자(132)의 위치 차이를 실질적으로 없앰으로써 디포커스가 발생하지 않도록 하는 것을 일 특징으로 한다.
상세히, 스마트 윈도우(smart glass, smart windows)는 광의 투과율을 자유롭게 조절할 수 있는 유리로, 전압이 걸리면 빛의 투과성이 변화하는 특성을 가지고 있다. 즉, 과거 대부분의 광 투과율 조절기술은 특정 투과율을 가진 필름을 윈도우 상에 장착하는 방식이었다. 그러나, 스마트 윈도우 방식은 광 투과율을 자유롭게 조절할 수 있는 물질을 개발하여 윈도우에 삽입함으로써, 필름을 장착하는 방식에 비하여 광의 투과율이 대폭 상승함과 동시에 사용자에게 고도의 편의성을 제공하며, 윈도우의 광 투과율을 신속하고 용이하게 제어할 수 있다는 장점을 지니고 있다.
스마트 윈도우의 작동 원리는 다음과 같다. 전계를 인가하지 않은 상태에서는 미세액정 내에 존재하는 광 편광 입자가 불규칙분산(random brownian) 운동을 하기 때문에 입사되는 광이 흡수, 산란되어 빛을 차단한다. 한편, 스마트 윈도우에 전계가 인가되면 전극 양단에 형성되는 전기장(electric field)에 의해 광 편광 입자가 전계 방향으로 배열되기 때문에 투명한 상태로 전환된다. 다시 말해서, 전계를 가하면 투명해져서 광 투과율이 높아지므로 창을 통해 들어오는 빛이 많아지고, 전계를 제거하면 창이 짙은 청색 등으로 바뀌어 빛이 차단되는 것이다.
이러한 스마트 윈도우는 기능성을 나타내는 재료의 종류에 따라, 액정(LCD: Liquid Crystal Display), 분극입자분산(SPD: Suspended Particle Display), 일렉트로크로믹(EC: Electrochromic glass), 포토크롬(PC: Photochromic glass) 및 써모크롬(LTC: Thermo-chromic glass) 등으로 구분되고 있다.  
이와 같은 스마트 윈도우가 적용된 셔터(131)는 본 발명에 다음과 같이 적용될 수 있다.
먼저,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셔터(131)와 촬상 소자(132)가 결합하여 촬상부(130)를 형성한다. 즉, 셔터(131)를 스마트 윈도우 재질도 형성함으로써, 별도의 기구적인 구성없이 셔터(131)에 전계를 인가/해제하는 것만으로 셔터(131)의 개폐, 즉 광의 투과 여부를 제어할 수 있다. 따라서, 셔터(131)의 형성 및 동작을 위한 별도의 공간이 불필요하게 되므로, 셔터(131)를 촬상 소자(132)와 간격 없이 일체로 형성할 수 있게 되는 것이다.
여기서, 사용자가 라이브 뷰 기능을 이용하여 디스플레이부(도 2의 123 참조)를 통해 피사체의 상을 관찰할 경우에는, 촬상 소자(132)에 피사체의 광이 도달하여야 한다. 따라서, 렌즈부(120)를 통해 입사되는 빛이 셔터(131)를 투과하여 촬상 소자(132) 쪽으로 전달되어야 한다. 따라서, 셔터(131)의 광 투과율이 일정 정도 이상으로 높아져야 하므로, 셔터(131)에 소정의 전계를 가해여 셔터(131)의 광 투과율이 상승하도록 한다. 이때, 셔터(131)의 광 투과율은 회로적인 방법으로 제어되므로, 그 제어가 신속하고 용이하게 이루어질 수 있다는 장점을 지니고 있다.
한편, 사용자가 셔터-릴리스 신호를 입력하여 촬상이 수행될 경우, 측광 센서(137)에서 측광이 수행되기 위해서는 렌즈부(120)를 통해 입사되는 빛이 셔터(131)에서 반사되어 측광 센서(137)에 입사되어야 한다. 따라서, 셔터(131)의 광 투과율이 0에 가까울수록 유리하므로, 셔터(131)에 전계가 가해지지 않는 상태가 바람직하다. 이와 같은 구성에 의하여, 측광 센서(137)의 센싱 효율이 향상되는 효 과를 얻을 수 있다. 그리고 나서, 셔터(131)는 셔터 구동부(139)의 구동 제어에 의하여 소정 시간 동안 오픈(open) 상태, 즉 전계가 가하여져서 광 투과율 높아진 상태가 되어, 상기 촬상 소자(132)에서 피사체의 상이 촬상된다.
이와 같이, 셔터(131)와 촬상 소자(132) 사이의 물리적인 간격을 실질적으로 제거함으로써, 셔터(131)와 촬상 소자(132)의 위치 차이에 의하여 발생하는 디포커스 문제를 제거하는 효과를 얻을 수 있다. 또한, 셔터(131)와 촬상 소자(132)가 촬상부(130)로 일체화됨으로써, 디지털 영상 처리 장치가 전체적으로 슬림화되는 효과를 얻을 수 있다. 나아가, 본 발명은 미러와 펜타프리즘이 구비되지 아니한 일안 리플렉스 카메라에도 적용 가능하므로, 이 경우 디지털 영상 처리 장치가 더욱 경량화 및 슬림화되는 효과를 얻을 수 있다.
이제까지 본 발명에 대하여 그 바람직한 실시 예들을 중심으로 살펴보았다.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는 본 발명이 본 발명의 본질적인 특성에서 벗어나지 않는 범위에서 변형된 형태로 구현될 수 있음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그러므로 개시된 실시 예들은 한정적인 관점이 아니라 설명적인 관점에서 고려되어야 한다. 본 발명의 범위는 전술한 설명이 아니라 특허청구범위에 나타나 있으며, 그와 동등한 범위 내에 있는 모든 차이점은 본 발명에 포함된 것으로 해석되어야 할 것이다.
도 1은 본 발명에 관한 디지털 영상 처리 장치의 앞쪽 외형을 보여주는 도면이다.
도 2는 본 발명에 관한 디지털 영상 처리 장치의 뒤쪽 외형을 보여주는 도면이다.
도 3은 본 발명에 관한 디지털 영상 처리 장치의 블록도이다.
도 4는 도 3의 디지털 영상 처리 장치의 촬상부를 나타내는 측면도이다.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00: 디지털 영상 처리 장치 120: 렌즈부
130: 촬상부 131: 셔터
132: 촬상 소자 137: 측광 센서
141: CPU 145: 신호 처리 회로

Claims (11)

  1. 렌즈부;
    상기 렌즈부를 통해 입사되는 광 에너지를 전기적인 신호로 변환하는 촬상 소자;
    상기 렌즈부를 통해 입사되는 광의 투과율이 변경 가능하도록 형성되는 셔터; 및
    상기 셔터의 일 측에 형성되어, 상기 셔터에서 반사된 광으로부터 광량을 측정하는 측광 센서를 포함하는 디지털 영상 처리 장치.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셔터는 스마트 윈도우(Smart window)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디지털 영상 처리 장치.
  3.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셔터는 액정(LCD: Liquid Crystal Display), 분극입자분산(SPD: Suspended Particle Display), 일렉트로크로믹(EC: Electrochromic glass), 포토크롬(PC: Photochromic glass) 및 써모크롬(LTC: Thermo-chromic glass)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디지털 영상 처리 장치.
  4.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셔터는 전계 인가 여부에 따라 광의 투과율이 변경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디지털 일안 리플렉스 카메라.
  5. 제 4 항에 있어서,
    상기 셔터에 전계가 인가되면 상기 셔터의 광 투과율이 높아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디지털 영상 처리 장치.
  6.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촬상 소자와 상기 셔터는 일체로 형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디지털 영상 처리 장치.
  7.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촬상 소자와 상기 셔터 사이에는 실질적으로 간격이 존재하지 아니하도록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디지털 영상 처리 장치.
  8.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셔터의 광 투과율이 높아지면, 상기 셔터를 투과한 빛이 상기 촬상 소자에 입사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디지털 영상 처리 장치.
  9.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셔터의 광 투과율이 낮아지면, 상기 셔터에서 반사된 빛이 상기 측광 센서에 입사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디지털 영상 처리 장치.
  10. 제 1 항에 있어서,
    셔터-릴리스 신호가 입력되면,
    상기 셔터의 상기 광 투과율이 낮아져서 상기 셔터에서 반사된 광이 상기 측광 소자에 입사된 후,
    상기 셔터의 상기 광 투과율이 높아져서 상기 렌즈부를 통해 입사된 광이 상기 촬상 소자로 입사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디지털 영상 처리 장치.
  11.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셔터의 광 투과 여부에 따라 상기 촬상 소자로의 광의 입사 여부가 제어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디지털 영상 처리 장치.
KR1020080063628A 2008-07-01 2008-07-01 디지털 영상 처리 장치 KR20100003639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80063628A KR20100003639A (ko) 2008-07-01 2008-07-01 디지털 영상 처리 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80063628A KR20100003639A (ko) 2008-07-01 2008-07-01 디지털 영상 처리 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00003639A true KR20100003639A (ko) 2010-01-11

Family

ID=4181339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80063628A KR20100003639A (ko) 2008-07-01 2008-07-01 디지털 영상 처리 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100003639A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17146346A1 (ko) * 2016-02-24 2017-08-31 주식회사 날비컴퍼니 파노라마 촬영장치, 파노라마 영상 생성방법, 컴퓨터 판독가능 기록매체 및 컴퓨터 판독가능 기록매체에 저장된 컴퓨터 프로그램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17146346A1 (ko) * 2016-02-24 2017-08-31 주식회사 날비컴퍼니 파노라마 촬영장치, 파노라마 영상 생성방법, 컴퓨터 판독가능 기록매체 및 컴퓨터 판독가능 기록매체에 저장된 컴퓨터 프로그램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TW200947096A (en) Image pickup apparatus
TW200835313A (en) Imaging apparatus
KR101532603B1 (ko) 이미지 처리 장치, 이를 구비하는 촬상 장치 및 촬상 방법
JP2008170872A (ja) 撮像装置
US7483072B2 (en) Image-taking apparatus and image-taking system
US20120195584A1 (en) Imaging apparatus and method for controlling the same
JP2009260959A (ja) カメラシステム、およびそれを構成するカメラ本体
JP2007312196A (ja) ライブビュー可能なカメラ
JP3665520B2 (ja) 電子スチルカメラの液晶表示素子制御装置
JP2008242230A (ja) 撮影装置、撮影システム、および撮影方法
JP2006339902A (ja) ファインダ装置及びカメラ
US8452170B2 (en) Digital single lens reflex camera
JP5532565B2 (ja) カメラ
JP4105933B2 (ja) デジタルカメラおよび画像生成方法
KR20100003639A (ko) 디지털 영상 처리 장치
JP5572564B2 (ja) 撮像装置及びその表示制御方法
JP2007312197A (ja) ライブビュー可能なカメラ
JP2008306490A (ja) 撮像装置
JP4343753B2 (ja) 撮像装置
KR20100005547A (ko) 디지털 일안 리플렉스 카메라
KR20100013699A (ko) 촬상 장치
KR20090072503A (ko) 카메라 시스템 및 그 제어 방법
JP2007312198A (ja) ライブビュー可能なカメラ
JP2010016762A (ja) カメラ
KR101477534B1 (ko) 디지털 일안 리플렉스 카메라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N231 Notification of change of applicant
N231 Notification of change of applicant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