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00003570U - 휴대용 디스플레이 장치 - Google Patents

휴대용 디스플레이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00003570U
KR20100003570U KR2020080012875U KR20080012875U KR20100003570U KR 20100003570 U KR20100003570 U KR 20100003570U KR 2020080012875 U KR2020080012875 U KR 2020080012875U KR 20080012875 U KR20080012875 U KR 20080012875U KR 20100003570 U KR20100003570 U KR 20100003570U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display module
display
reflective
main
portabl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080012875U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황현하
윤정환
Original Assignee
이미지랩(주)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이미지랩(주) filed Critical 이미지랩(주)
Priority to KR2020080012875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100003570U/ko
Publication of KR20100003570U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00003570U/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2OPTICS
    • G02FOPTICAL 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LIGHT BY MODIFICATION OF THE OPTICAL PROPERTIES OF THE MEDIA OF THE ELEMENTS INVOLVED THEREIN; NON-LINEAR OPTICS; FREQUENCY-CHANGING OF LIGHT; OPTICAL LOGIC ELEMENTS; OPTICAL ANALOGUE/DIGITAL CONVERTERS
    • G02F1/00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colour, phase, polarisation or direction of light arriving from an independent light source, e.g. switching, gating or modulating; Non-linear optics
    • G02F1/01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colour, phase, polarisation or direction of light arriving from an independent light source, e.g. switching, gating or modulating; Non-linear optic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phase, polarisation or colour 
    • G02F1/13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colour, phase, polarisation or direction of light arriving from an independent light source, e.g. switching, gating or modulating; Non-linear optic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phase, polarisation or colour  based on liquid crystals, e.g. single liquid crystal display cells
    • G02F1/133Constructional arrangements; Operation of liquid crystal cells; Circuit arrangements
    • G02F1/1333Constructional arrangements; Manufacturing methods
    • G02F1/1335Structural association of cells with optical devices, e.g. polarisers or reflectors
    • G02F1/133553Reflecting elements
    • GPHYSICS
    • G02OPTICS
    • G02FOPTICAL 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LIGHT BY MODIFICATION OF THE OPTICAL PROPERTIES OF THE MEDIA OF THE ELEMENTS INVOLVED THEREIN; NON-LINEAR OPTICS; FREQUENCY-CHANGING OF LIGHT; OPTICAL LOGIC ELEMENTS; OPTICAL ANALOGUE/DIGITAL CONVERTERS
    • G02F1/00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colour, phase, polarisation or direction of light arriving from an independent light source, e.g. switching, gating or modulating; Non-linear optics
    • G02F1/01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colour, phase, polarisation or direction of light arriving from an independent light source, e.g. switching, gating or modulating; Non-linear optic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phase, polarisation or colour 
    • G02F1/13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colour, phase, polarisation or direction of light arriving from an independent light source, e.g. switching, gating or modulating; Non-linear optic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phase, polarisation or colour  based on liquid crystals, e.g. single liquid crystal display cells
    • G02F1/137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colour, phase, polarisation or direction of light arriving from an independent light source, e.g. switching, gating or modulating; Non-linear optic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phase, polarisation or colour  based on liquid crystals, e.g. single liquid crystal display cells characterised by the electro-optical or magneto-optical effect, e.g. field-induced phase transition, orientation effect, guest-host interaction or dynamic scattering
    • G02F1/13718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colour, phase, polarisation or direction of light arriving from an independent light source, e.g. switching, gating or modulating; Non-linear optic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phase, polarisation or colour  based on liquid crystals, e.g. single liquid crystal display cells characterised by the electro-optical or magneto-optical effect, e.g. field-induced phase transition, orientation effect, guest-host interaction or dynamic scattering based on a change of the texture state of a cholesteric liquid crystal
    • GPHYSICS
    • G02OPTICS
    • G02FOPTICAL 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LIGHT BY MODIFICATION OF THE OPTICAL PROPERTIES OF THE MEDIA OF THE ELEMENTS INVOLVED THEREIN; NON-LINEAR OPTICS; FREQUENCY-CHANGING OF LIGHT; OPTICAL LOGIC ELEMENTS; OPTICAL ANALOGUE/DIGITAL CONVERTERS
    • G02F1/00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colour, phase, polarisation or direction of light arriving from an independent light source, e.g. switching, gating or modulating; Non-linear optics
    • G02F1/01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colour, phase, polarisation or direction of light arriving from an independent light source, e.g. switching, gating or modulating; Non-linear optic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phase, polarisation or colour 
    • G02F1/13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colour, phase, polarisation or direction of light arriving from an independent light source, e.g. switching, gating or modulating; Non-linear optic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phase, polarisation or colour  based on liquid crystals, e.g. single liquid crystal display cells
    • G02F1/133Constructional arrangements; Operation of liquid crystal cells; Circuit arrangements
    • G02F1/1333Constructional arrangements; Manufacturing methods
    • G02F1/1335Structural association of cells with optical devices, e.g. polarisers or reflectors
    • G02F1/13363Birefringent elements, e.g. for optical compensation
    • G02F1/133638Waveplates, i.e. plates with a retardation value of lambda/n

Landscapes

  • Physics & Mathematics (AREA)
  • Nonlinear Science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rystallography & Structural Chemistry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Optics & Photonics (AREA)
  • Mathematical Physics (AREA)
  • Liquid Crystal Display Device Control (AREA)
  • Liquid Crystal (AREA)
  • Control Of Indicators Other Than Cathode Ray Tubes (AREA)

Abstract

본 고안은 휴대용 디스플레이 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본 고안에서는 사용자에게 디스플레이 정보를 제공하는 메인 디스플레이 모듈(20)을 구비하는 휴대용 디스플레이 장치에 있어서, 메인 디스플레이 모듈(20) 상부에 반사형 디스플레이 모듈(10)을 부착하고, 반사형 디스플레이 모듈(20)과 상기 메인 디스플레이 모듈(10) 사이에 설치되는 λ/4 위상 차판을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용 디스플레이 장치가 제공된다.
Figure P2020080012875
휴대용 단말기, 투명 윈도우, 반사형 디스플레이, 쌍안정성(Bistable)

Description

휴대용 디스플레이 장치{PORTABLE DISPLAY APPARATUS}
본 고안은 휴대용 디스플레이 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구체적으로는 윈도우 일체형 휴대폰이나 PDA, PMP 겸용 휴대용 단말기에 적용 가능한 휴대용 디스플레이 장치에 대한 것이다. 종래에는 단순히 휴대용 단말기의 투과형 디스플레이 화면 보호용 윈도우로만 사용되던 투명 윈도우에 디스플레이 기능을 추가함으로써 단말기 투과형 디스플레이가 온(On)시에는 종래와 동일하게 투과 모드로 작동되고 단말기 투과형 디스플레이가 오프(Off) 시에는 반사형 디스플레이로 작동되는 휴대용 디스플레이 장치에 관한 것이다.
현재 휴대폰이나 PDA, PMP 겸용 휴대용 단말기의 디스플레이 장치로는 주로 액정 디스플레이가 많이 사용되고 있는데 향후에는 액정 디스플레이에 비해 화질 특성이 우수하고 두께 측면에서도 유리한 유기EL 디스플레이(OLED)도 많이 적용될 것으로 예상되고 있다.
이러한 휴대용 단말기에는 메인 디스플레이의 화면 보호용으로 아크릴, PC, PET 재질의 투명 또는 반투명한 윈도우가 주로 사용되고 있다. 경우에 따라서는 내충격성 강화를 위해 일부에서는 강화 유리가 투명 윈도우로 사용되기도 한다. 하지만, 어느 경우이건 이러한 투명 또는 반투명 윈도우는 단순히 단말기 메인 디스플레이 소자의 화면 보호 및 디스플레이 화면을 깨끗하게 표시되도록 하는 투명 보호창 역할만 수행할 뿐 다른 기능으로 사용되지 않고 있는 실정이다.
따라서 본 고안은 현재 휴대폰이나 PDA, PMP 등의 휴대용 단말기의 메인 디스플레이 소자의 보호창으로 널리 사용되고 있는 투명 또는 반투명 윈도우에 디스플레이 기능을 추가하여 경우에 따라서는 반사형 디스플레이로도 작동되도록 함으로써 종래 단순하게 보호창의 기능만을 담당하는 윈도우를 한 단계 업그레이드하여 다기능화시키는 데 목적이 있다.
본 고안의 상기 목적은 사용자에게 디스플레이 정보를 제공하는 메인 디스플레이 모듈(20)을 구비하는 휴대용 디스플레이 장치에 있어서, 메인 디스플레이 모듈(20) 상부에 반사형 디스플레이 모듈(10)을 부착하고, 상기 반사형 디스플레이 모듈(20)과 상기 메인 디스플레이 모듈(10) 사이에 설치되는 λ/4 위상 차판을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용 디스플레이 장치에 의해서 달성 가능하다.
반사형 디스플레이 모듈은 콜레스테릭 액정으로 구비되는 것이 바람직하며, 메인 디스플레이 모듈을 제어하는 제 1 디스플레이 구동 IC와, 반사형 디스플레이 모듈을 제어하는 제 2 디스플레이 구동 IC 및 제 1 디스플레이 IC 및 제 2 디스플레이 IC를 제어하는 메인 제어 IC를 더 구비하고, 메인 디스플레이 모듈이 온 상태를 유지할 때 상기 반사형 디스플레이 모듈은 투과 상태를 유지하도록 제어되고, 메인 디스플레이 모듈이 오프 상태를 유지할 때 상기 반사형 디스플레이 모듈은 반 사형 모드로 제어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상에서 기술한 바와 같이, 본 고안은 종래 단순한 디스플레이 패널 보호용 커버로만 사용되던 휴대용 단말기의 투명 또는 반투명 보호용 윈도우를 콜레스테릭 액정 장치를 적용한 반사형 디스플레이 소자로 대체함으로써, 제품의 기능을 다양화할 수 있는 효과와 아울러 메모리 특성을 갖는 반사형 디스플레이를 적용함으로써 디스플레이 소자 추가에 따른 소비전력 증가 우려도 최소화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이하에서, 본 고안의 장점, 특징 및 바람직한 실시예를 첨부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하게 설명하도록 한다.
도 1은 본 고안의 일 실시예의 휴대용 디스플레이 장치의 블록 구성도이다. 본 고안에 따른 휴대용 디스플레이 장치는 사용자에게 디스플레이 정보를 제공하는 메인 디스플레이 모듈(20)과, 메인 디스플레이 모듈(20) 상부에 부착되는 반사형 디스플레이 모듈(10)과, 반사형 디스플레이 모듈(10)과 메인 디스플레이 모듈(20) 사이에 설치되는 λ/4 위상 차판(13)과, 메인 디스플레이 소자(22)을 구동하는 제 1 디스플레이 구동 IC(30)와, 반사형 디스플레이 소자(12)를 구동하는 제 2 디스플레이 구동 IC(50) 및 제 1 디스플레이 구동 IC(30) 및 제 2 디스플레이 구동 IC(50)를 제어하는 메인 제어 IC(60)를 구비한다.
도 1의 실시예에서는 메인 디스플레이 모듈(20)은 백라이트 소자(24)와, 메인 디스플레이 소자(22) 및 메인 디스플레이 소자(22)의 상하부에 부착되는 편광판(21, 23)으로 구성된다. 도 1의 메인 디스플레이 모듈(20)은 투과형 액정 디스플레이 소자를 이용하여 구성한 예를 도시한 것으로서, 자발광 소자인 유기 EL을 사용할 경우 백라이트 소자(24) 및 편광판(21, 23)이 불필요하게 됨은 물론이다.
도 1의 실시예에서는 메인 디스플레이 모듈(20) 상부에 반사형 디스플레이 모듈(10)을 부착하였다. 반사형 디스플레이 모듈(10)은 반사형 모드로 동작되는 반사형 디스플레이 소자(12) 상부에 눈부심을 방지하는 안티 그레어(Anti-Glare) 또는 반사 방지(Anti Reflection) 기능을 제공하는 눈부심 방지층(11)을 구비하였다.
반사형 디스플레이 소자(12)는 콜레스테릭 액정으로 형성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일반적으로 콜레스터릭 액정은 액정의 꼬임 상태가 좌선성(Left-handed)이냐 우선성(Right-handed)이냐에 따라 입사하는 빛을 반사하는 특성이 달라진다. 예를 들어, 좌선성의 꼬임 특성을 갖는 콜레스터릭 액정은 외부로부터 입사하는 빛에 대해 좌선성을 갖는 빛만 반사시키고 우선성의 빛은 투과시키는 특징을 가진다. 반면에 우선성의 꼬임 특성을 갖는 콜레스터릭 액정은 외부로부터 입사하는 빛에 대해 우선성을 갖는 빛만 반사시키고 좌선성을 갖는 빛은 통과시키는 특징을 가진다. 따라서, 도 1에서는 콜레스터릭 액정의 꼬임 특성에 따라 좌선성의 빛이 반사될 수도 있고 우선성의 빛이 반사될 수도 있다. 또한 콜레스터릭 액정은 쌍안정 성(Bistable) 특성을 갖기 때문에 디스플레이의 전원을 꺼도 액정의 상태가 그대로 유지되어서 소비전력을 절감하는 효과가 있다.
반사형 디스플레이 모듈(10)과 메인 디스플레이 모듈(20) 사이에 λ/4 위상 차판(13)을 구비하였다. λ/4 위상 차판(13)은 콜레스테릭 액정을 통과한 원형 편광된 빛을 선형 편광된 빛으로 변환시켜주는 역할을 한다. 이와 같이 원형 편광된 빛을 다시 선형 편광된 빛으로 변환시켜 줌으로써 콜레스테릭 액정을 투과한 투과광이 하측의 메인 디스플레이 모듈의 최상측에 위치한 편광판(21)에 흡수되도록 하여 대조비를 향상시킬 수 있게 되었다.
제 1 디스플레이 구동 IC(30)는 메인 디스플레이 소자(22)를 구동하기 위한 칩이며, 제 2 디스플레이 구동 IC(50)는 반사형 디스플레이 소자(12)를 구동하기 위한 칩이다. 제 1 디스플레이 구동 IC(30) 및 제 2 디스플레이 구동 IC(50)는 메인 제어 IC(60)에 의해 제어된다.
도 2는 본 고안의 일 실시예의 휴대용 디스플레이 장치의 블록 구성도인데, 도 1에 제시된 휴대용 디스플레이 장치와의 구조적인 차이점은 메인 디스플레이 소자(22)와 반사형 디스플레이 소자(12)가 하나의 제 3 디스플레이 구동 IC(70)에 의해 구동되는 차이점만 있고 나머지 구성 및 동작은 동일한 것이다.
도 3은 본 고안의 휴대용 디스플레이 장치에서 메인 디스플레이 모듈이 오프 상태를 유지할 때의 동작 상태를 설명하는 도면이며, 도 4는 본 고안의 휴대용 디스플레이 장치에서 메인 디스플레이 모듈이 온 상태를 유지할 때의 동작 상태를 설 명하는 도면이다.
도 3에서 메인 디스플레이 모듈(20)은 오프 상태를 유지하고, 반사형 디스플레이 모듈(10)은 반사형 동작 모드 상태를 유지한다. 입사광(31) 중 일부는 반사형 디스플레이 모듈(10)에서 반사된 후 영상을 형성한 반사광(32)으로 사용자에게 입사되고, 나머지 흡수광(33)은 λ/4 위상 차판(13)에 의해 선형 편광으로 변환된 후, 편광판(21)에 의해 흡수된다. 전술한 바와 같이 λ/4 위상 차판(13)은 원형 편광된 빛을 다시 선형 편광된 빛으로 변환시켜 줌으로써 콜레스테릭 액정을 투과한 투과광이 하측의 메인 디스플레이 모듈의 최상측에 위치한 편광판(21)에 흡수되도록 하여 대조비를 향상시킬 수 있게 되었다. 도 3에서 반사형 디스플레이 모듈(10)이 온 상태를 유지한다고 하였으나 반사형 디스플레이 모듈(10)을 콜레스테릭 액정으로 형성할 경우 한 번의 쓰기 동작을 수행한 후 전원을 끊어도 동일한 상태를 유지하는 콜레스테릭 액정 동작을 이용할 경우 전원 소비를 줄일 수 있는 이점이 있다.
도 4에서 메인 디스플레이 모듈(20)은 온 상태를 유지하고, 반사형 디스플레이 모듈(10)은 투과 모드 상태로 동작되는 것이다. 메인 디스플레이 모듈(20)에서 생성된 영상은 반사형 디스플레이 모듈(10)을 투과하여 사용자에게 그대로 전달되게 된다.
상기에서 본 고안의 특정한 실시예가 설명 및 도시되었지만, 본 고안의 기술적 사상을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당업자에 의하여 다양하게 변형되어 실시될 가능성이 있는 것은 자명한 일이다.
도 1은 본 고안의 일 실시예의 휴대용 디스플레이 장치의 블록 구성도.
도 2는 본 고안의 일 실시예의 휴대용 디스플레이 장치의 블록 구성도.
도 3은 본 고안의 휴대용 디스플레이 장치에서 메인 디스플레이 모듈이 오프 상태를 유지할 때의 동작 상태를 설명하는 도.
도 4는 본 고안의 휴대용 디스플레이 장치에서 메인 디스플레이 모듈이 온 상태를 유지할 때의 동작 상태를 설명하는 도.
***** 도면상의 주요 기호에 대한 간략한 설명 *****
10: 반사형 디스플레이 모듈 11: 눈부심 방지층
12: 반사형 디스플레이 소자 13: λ/4 위상 차판
20: 메인 디스플레이 모듈 21, 23: 편광판
22: 메인 디스플레이 소자 24: 백라이트 소자
30: 제 1 디스플레이 구동 IC 50: 제 2 디스플레이 구동 IC
60: 메인 제어 IC 70: 제 3 디스플레이 구동 IC

Claims (5)

  1. 사용자에게 디스플레이 정보를 제공하는 메인 디스플레이 모듈(20)을 구비하는 휴대용 디스플레이 장치에 있어서,
    상기 메인 디스플레이 모듈(20) 상부에 반사형 디스플레이 모듈(10)을 부착하고, 상기 반사형 디스플레이 모듈(10)과 상기 메인 디스플레이 모듈(20) 사이에 설치되는 λ/4 위상 차판(13)을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용 디스플레이 장치.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반사형 디스플레이 모듈(10)은 콜레스테릭 액정으로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용 디스플레이 장치.
  3. 제 1항 또는 제 2항에 있어서,
    상기 메인 디스플레이 모듈(20)을 제어하는 제 1 디스플레이 구동 IC(30);
    상기 반사형 디스플레이 모듈(10)을 제어하는 제 2 디스플레이 구동 IC(50); 및
    상기 제 1 디스플레이 구동 IC(30) 및 상기 제 2 디스플레이 구동 IC(50)를 제어하는 메인 제어 IC(60)를 더 구비하고, 상기 메인 디스플레이 모듈(20)이 온 상태를 유지할 때 상기 반사형 디스플레이 모듈(10)은 투과 상태를 유지하도록 제어되고, 상기 메인 디스플레이 모듈(20)이 오프 상태를 유지할 때 상기 반사형 디스플레이 모듈(10)은 반사형 모드로 제어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용 디스플레이 장치.
  4.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메인 디스플레이 모듈(20) 및 상기 반사형 디스플레이 모듈(10)을 제어하는 제 3 디스플레이 구동 IC(70); 및
    상기 제 3 디스플레이 구동 IC(70)를 제어하는 메인 제어 IC(60)를 더 구비하고, 상기 메인 디스플레이 모듈(20)이 온 상태를 유지할 때 상기 반사형 디스플레이 모듈(10)은 투과 상태를 유지하도록 제어되고, 상기 메인 디스플레이 모듈(20)이 오프 상태를 유지할 때 상기 반사형 디스플레이 모듈(10)은 반사형 모드로 제어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용 디스플레이 장치.
  5.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메인 디스플레이 모듈(20)은 액정 디스플레이 또는 유기EL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용 디스플레이 장치.
KR2020080012875U 2008-09-25 2008-09-25 휴대용 디스플레이 장치 KR20100003570U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80012875U KR20100003570U (ko) 2008-09-25 2008-09-25 휴대용 디스플레이 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80012875U KR20100003570U (ko) 2008-09-25 2008-09-25 휴대용 디스플레이 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00003570U true KR20100003570U (ko) 2010-04-02

Family

ID=4929398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080012875U KR20100003570U (ko) 2008-09-25 2008-09-25 휴대용 디스플레이 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100003570U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70118652A (ko) * 2014-08-07 2017-10-25 더 스와치 그룹 리서치 앤 디벨롭먼트 엘티디 태양 전지를 포함하는 하이브리드 디스플레이 어셈블리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70118652A (ko) * 2014-08-07 2017-10-25 더 스와치 그룹 리서치 앤 디벨롭먼트 엘티디 태양 전지를 포함하는 하이브리드 디스플레이 어셈블리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CN107949805B (zh) 显示装置
US11360603B2 (en) Electronic device, image display method, program, and display system
US9851776B2 (en) Semiconductor device
CN102763156B (zh) 液晶显示装置和电子装置
CN106057144B (zh) 液晶显示装置及驱动液晶显示装置的方法
CN102736287B (zh) 触控显示装置
KR100518408B1 (ko) 듀얼 프론트 라이트를 이용한 듀얼 액정표시장치
CN102376243B (zh) 有源矩阵有机发光二极管显示器及控制其显示的方法
WO1999004315A1 (fr) Affichage a cristaux liquides
CN105321434A (zh) 包括两个叠置的显示装置的显示组件
US20160104410A1 (en) Display assembly including two superposed display devices
TWI441053B (zh) 觸控顯示裝置
KR20090034827A (ko) 내부 및 외부 디스플레이를 갖는 모바일 전자 디바이스용 디스플레이 스택업
US20160104751A1 (en) Hybrid display assembly including a solar cell
US11067841B2 (en) Manufacturing method of a display device comprising polymerizing a monomer contained in a second liquid crystal layer in a region not overlapping with a coloring layer by light irradiation
US8593384B2 (en) System for displaying images
CN103969871A (zh) 显示装置
JP6917222B2 (ja) 表示装置
JP7109887B2 (ja) 表示システム
KR20150047800A (ko) Oca를 이용한 방수구조를 구현하는 디스플레이 모듈
US20180364504A1 (en) Electronic apparatus and control method thereof
KR20100003570U (ko) 휴대용 디스플레이 장치
JP5168350B2 (ja) 表示素子、電子機器および携帯電話機
KR101740672B1 (ko) 표시패널
KR102418919B1 (ko) 미러 표시패널 및 이를 포함하는 표시장치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