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00003502U - 축사의 가축용 스크래치 - Google Patents

축사의 가축용 스크래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00003502U
KR20100003502U KR2020080012779U KR20080012779U KR20100003502U KR 20100003502 U KR20100003502 U KR 20100003502U KR 2020080012779 U KR2020080012779 U KR 2020080012779U KR 20080012779 U KR20080012779 U KR 20080012779U KR 20100003502 U KR20100003502 U KR 20100003502U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livestock
support plate
scratch
plate
bar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080012779U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신기원
Original Assignee
신기원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신기원 filed Critical 신기원
Priority to KR2020080012779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100003502U/ko
Publication of KR20100003502U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00003502U/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KANIMAL HUSBANDRY; AVICULTURE; APICULTURE; PISCICULTURE; FISHING; REARING OR BREEDING ANIM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NEW BREEDS OF ANIMALS
    • A01K1/00Housing animals; Equipment therefor
    • A01K1/02Pigsties; Dog-kennels; Rabbit-hutches or the like
    • A01K1/035Devices for use in keeping domestic animals, e.g. fittings in housings or dog beds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KANIMAL HUSBANDRY; AVICULTURE; APICULTURE; PISCICULTURE; FISHING; REARING OR BREEDING ANIM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NEW BREEDS OF ANIMALS
    • A01K13/00Devices for grooming or caring of animals, e.g. curry-combs; Fetlock rings; Tail-holders; Devices for preventing crib-biting; Washing devices; Protection against weather conditions or insects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KANIMAL HUSBANDRY; AVICULTURE; APICULTURE; PISCICULTURE; FISHING; REARING OR BREEDING ANIM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NEW BREEDS OF ANIMALS
    • A01K29/00Other apparatus for animal husbandry

Landscapes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Environmental Sciences (AREA)
  • Animal Husbandry (AREA)
  • Biodiversity & Conservation Biology (AREA)
  • Zoology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Housing For Livestock And Birds (AREA)

Abstract

본 고안은 주로 축사 내에 소정높이로 설치고정하여 가축들의 가려움증 해소에 이용할 수 있도록 한 가축용 스크래치에 관한 것이다.
본 고안은 무수한 돌기(12)를 갖는 연질의 합성수지재 돌기판(10)을 반원통형의 지지판(20) 전면에 밀착되게 연결고정하여 지지판(20)의 양측 후방에 연결형성되는 연결대(50)를 이용하여 축사의 내벽이나 울타리(60)등에 상하로 길게 연결고정하여 사용하도록 한 것으로서, 가축들이 가려운 부위를 집중적이고도 효과적으로 긁어줄 수가 있어 가려움증에 의한 스트레스를 없애주고 또 가려움증의 해소과정에 피부가 손상되는 것을 방지해 줄 수 있도록 한 것이다.

Description

축사의 가축용 스크래치{LIVESTOCK SCRATCH OF CATTLE PEN}
본 고안은 축사에 설치고정되어 가축들의 가려움증 해소에 이용할 수 있도록 한 가축용 스크래치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소, 말, 돼지등과 같은 가축들을 집단사육하는 축사는 현실적으로 위생적인 관리가 불가능하므로 가축들은 모기나 파리등과 같은 각종 해충으로부터 자유롭지 못해 상시 가려움증에 시달리게 된다.
따라서 가축들은 이러한 해충들에 의한 가려움증의 발생시 축사의 벽면이나 또는 울타리에 가려운 부위를 접촉시켜서 문질러 주도록 하고 있다.
그러나 축사의 경우 그 벽면은 평면의 콘크리트로 이루어져 있고 또 울타리는 지지봉 사이에 횡봉을 클램프로 연결하여서 된 것으로서, 가려운 부위만을 집중적으로 긁어줄 수가 없어 가려움증에 의한 큰 스트레스가 주어지게 되므로 스트레스로 인한 성장장애 및 육질저하를 가져와 축산농가의 소득감소로 이어지게 되고 또 표면이 거친 콘크리트 벽면과 울타리의 지지봉과 횡봉을 연결하는 클램프의 돌출부위등에 피부를 접촉하여 문지르는 과정에서 피부에 큰 상처를 주게 되므로 잦은 피부질환을 유발시키게 되는 등의 문제점들이 있는 것이다.
본 고안은 가축들이 가려운 부위만을 집중적이고도 효과적으로 긁어줄 수가 있어 가려움증에 의한 스트레스를 방지해 줄 수가 있고 또 가려운 부위를 긁는 과정에서 피부에 상처를 줄 우려가 전혀 없는 축사의 가축용 스크래치를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본 고안의 목적은 무수한 돌기를 갖는 연질의 합성수지재 돌기판을 반원통형의 지지판 전면에 밀착되게 고정형성하여 축사의 측벽이나 또는 울타리에 수직으로 연결고정해 주도록 구성되는 가축용 스크래치에 의해 달성된다.
본 고안은 무수한 돌기(12)를 갖는 연질의 합성수지재 돌기판(10)이 반원통형의 지지판(20) 전면에 밀착고정되어 그 후방양측에 갖는 연결대(50)를 통하여 축사의 내벽이나 또는 울타리(60)등에 수직으로 고정설치해 주도록 함으로서, 돌기판(10)이 축사의 벽면으로부터 상하로 길고 또 만곡하게 돌출되므로 가축들이 가려운 부위만을 집중적으로 긁어줄 수가 있어 가려움증으로 인한 스트레스를 없애줄 수가 있게 되므로 스트레스로 인한 성장장애나 육질저하등에 의한 소득감소우려가 없고 또 돌기판(10)은 연질의 합성수지재로서 무수한 돌기(12)들은 각기 그 단부가 만곡형성되어 있어 가려운 부위를 긁는 과정에서 가축들의 피부에 상처를 줄 우려가 없어 안심하고 사용하도록 할 수가 있게 되는 등의 효과가 있는 것이다.
이하 본 고안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첨부한 도면에 의거 상세히 설명하기로 하며, 다만 도면들 중 동일한 구성요소들은 가능한 동일부호로 기재하고, 관련된 공지기술이나 기능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은 본 고안의 요지가 모호해지지 않도록 하기 위하여 생략하기로 한다.
도 1은 본 고안의 사시도이고, 도 2는 본 고안의 분해사시도로서, 본 고안 스크래치(A)는 전면에 무수한 돌기(2)가 돌출형성되는 돌기판(10)이 반원통형의 지지판(20) 전면에 결합되게 하여 좌우고정편(30)을 통하여 수개의 연결볼트(40)로 연결고정되게 하고, 지지판(20)의 양측 후면에는 연결대(50)가 연결형성되게 한다.
본 고안에 이용되는 돌기판(10)은 연질의 합성수지로 성형제작되는데, 베이스 전면에 갖는 무수한 돌기(12)들은 소정굵기와 길이를 갖는 것으로서, 각기 그 단부는 만곡되게 형성되고 또 양측부에는 수개의 결합공(14)이 형성된다.
또한 지지판(20)은 돌기판(10)의 형태유지 및 지지력 확보를 위한 것으로서, 소정두께의 금속판재로 제작되고 또 양측부에는 각기 돌기판(10)이 갖는 결합공(14)과 연통되는 결합공(22)이 형성된다.
또한 돌기판(10)과 지지판(20)을 연결하는 고정편(30)은 상하로 긴 띠형으로서 각기 돌기판과 지지판이 갖는 결합공과 연통되는 결합공(32)이 형성되게 하여 돌기판(10)을 지지판(20) 전면에 밀착시켜서 고정편(30) 전방으로부터 결합공(14)(22)(32)을 통하여 연결볼트(40)를 체결하여 돌기판(10)과 지지판(20)을 일체감있게 연결고정해 주게 된다.
그리고 연결대(50)는 금속판재를 절곡형성하여서 된 것으로서, 그 일면에 연결공(52)이 형성되는데, 이는 지지판에 용접고정해 줄 수도 있으나, 지지판(20)과 분리구성될 경우 이역시 지지판(20)과 연통되는 결합공(54)을 형성하여 연결볼트(40)를 이용한 돌기판(10)과 지지판(20)의 연결시 함께 연결고정되게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도 5 내지 도 7은 본 고안의 다른 실시예를 나타낸 것으로서, 지지판(10)의 양측 후면에 갖는 연결대(50)는 관체로 형성하여 그 후면에 긴 연결공(52)이 형성하여 사용하도록 할 수도 있음을 보여주고 있다.
다만 본 고안에서는 연질의 합성수지 돌기판(10)과 지지판(20)을 분리구성하여 고정편(30)과 연결볼트(40)를 이용하여 연결고정해 주는 것으로 설명하고 있으나, 돌기판의 성형시 지지판은 돌기판 내에 인서트성형해 줄 수도 있음을 유의하여야 한다.
따라서 본 고안은 별도의 보강수단에 의해 지지력이 확보되고 또 형태를 유지하면서 연질의 합성수지재 돌기판이 전면에 형성되는 것이면 모두 만족할 수가 있게 된다.
본 고안 스크래치(A)는 지지판(20)의 양측 후면에 형성되는 연결대(50)를 통하여 축사의 내벽이나 또는 축사의 울타리(60)을 구성하는 지지봉이나 횡봉등에 적정높이로 수직되게 설치고정되는데, 연결설치시에는 일반클램프(70)를 이용할 수도 있고 또 긴 볼트(80)를 이용할 수도 있다.
즉 축사나 또는 축사의 울타리(60)가 지지봉과 횡봉으로 이루어진 경우 그 지지봉이나 또는 횡봉의 적정위치에 클램프(70)를 연결고정한 다음 연결대(50)가 갖는 연결공(52)을 통하여 클램프(70)의 볼트공에 고정볼트(72)를 체결해 줌으로서 견고히 연결고정된다.
또한 도 5 내지 도 7에서와 같이 스크래치(A)의 연결대(50)가 관체로 구성될 경우 그 연결대가 갖는 연결공(52)과 관통되게 울타리(60)의 횡봉에 연결공을 형성하여 연결공을 통한 긴 볼트(80)의 죄임으로 연결고정해 줄 수도 있게 된다.
본 고안 스크래치(A)는 축사나 또는 축사의 울타리에 고정설치시 그 전방에 갖는 돌기판(10)은 지지판(20)에 의해 반원통형으로 돌출형성되어 상하로 길게 위치하게 되는바, 가축들은 몸통의 특정부위, 즉 가려운 부위만을 돌기판(10)에 접촉되게 하여 문질러주면 되므로 가려움증을 신속하고 효과적으로 해소할 수가 있는만큼 가려움증에 의한 스트레스 우려를 없애줄 수가 있게 된다.
또한 이때 가축들의 신체와 접촉하는 돌기판(10)은 연질의 합성수지로 구성되고 또 무수한 돌기(12)들은 단부가 만곡되어 있어 가려운 부위를 더욱 시원하게 긁어줄 수가 있을 뿐 아니라 긁는 과정에서 피부에 손상을 줄 우려가 전혀 없게 된다.
그리고 본 고안에 이용되는 돌기판(10)은 소모성으로서, 장기간 사용으로 돌기(2)가 마모되는등 수명을 다하게 되면 돌기판(10)과 지지판(20)을 연결하는 연결볼트(40)를 풀고 돌기판(10)을 교체해 주면 되므로 반영구적으로 이용할 수가 있게 되는 것이다.
도 1 : 본 고안의 사시도
도 2 : 본 고안의 분해사시도
도 3 : 본 고안 설치시의 평단면구성도
도 4 : 본 고안 설치시의 배면사시도
도 5 : 본 고안 다른 실시예의 사시도
도 6 : 본 고안 다른 실시예의 설치시를 나타낸 평단면구성도
도 7 : 본 고안 다른 실시예의 설치시를 나타낸 배면사시도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A)--스크래치 (10)--돌기판
(12)--돌기 (14)(22)--결합공
(20)--지지판 (30)--고정편
(32)--결합공 (40)--연결볼트
(50)--연결대 (52)--연결공
(54)--결합공 (60)--울타리
(70)--클램프 (72)--볼트
(80)--긴 볼트

Claims (3)

  1. 무수한 돌기(12)를 갖는 돌기판(10)이 지지판(12) 전면에 일체감있게 형성되고, 지지판(12)의 양측 후방에는 연결대(50)가 연결형성되도록 구성함을 특징으로 하는 축사의 가축용 스크래치.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돌기판(10)과 지지판(20)을 분리제작하여 지지판(20) 전면에 돌기판(10)이 밀착형성되게 한 다음 양단부를 고정편(30)과 양단부를 연결볼트(40)로 연결고정하여 구성함을 특징으로 하는 축사의 가축용 스크래치.
  3.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상기 돌기판(10)은 대체로 반원통형을 유지하도록 구성함을 특징으로 하는 축사의 가축용 스크래치.
KR2020080012779U 2008-09-23 2008-09-23 축사의 가축용 스크래치 KR20100003502U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80012779U KR20100003502U (ko) 2008-09-23 2008-09-23 축사의 가축용 스크래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80012779U KR20100003502U (ko) 2008-09-23 2008-09-23 축사의 가축용 스크래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00003502U true KR20100003502U (ko) 2010-04-01

Family

ID=4929393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080012779U KR20100003502U (ko) 2008-09-23 2008-09-23 축사의 가축용 스크래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100003502U (ko)

Cited By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455646Y1 (ko) * 2009-08-26 2011-09-16 최대식 가축용 스크래치
KR200464942Y1 (ko) * 2010-10-06 2013-01-24 현동호 가축용 브러쉬
CN102893883A (zh) * 2012-10-25 2013-01-30 中博农畜牧科技股份有限公司 一种牛用蹭痒桩
KR200473781Y1 (ko) * 2012-09-13 2014-07-29 박희숙 축산용 긁개
CN108926410A (zh) * 2018-07-26 2018-12-04 柴印成 一种用于具有皮肤病的成年活猪护理治疗用兽栏
KR102222995B1 (ko) * 2020-09-25 2021-03-03 신상식 유해물질 및 해충과 스트레스 해소를 위한 동물전용 브러시 및 그 제조방법

Cited By (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455646Y1 (ko) * 2009-08-26 2011-09-16 최대식 가축용 스크래치
KR200464942Y1 (ko) * 2010-10-06 2013-01-24 현동호 가축용 브러쉬
KR200473781Y1 (ko) * 2012-09-13 2014-07-29 박희숙 축산용 긁개
CN102893883A (zh) * 2012-10-25 2013-01-30 中博农畜牧科技股份有限公司 一种牛用蹭痒桩
CN108926410A (zh) * 2018-07-26 2018-12-04 柴印成 一种用于具有皮肤病的成年活猪护理治疗用兽栏
CN108926410B (zh) * 2018-07-26 2020-01-17 江门市富美畜牧发展有限公司 一种用于具有皮肤病的成年活猪护理治疗用兽栏
KR102222995B1 (ko) * 2020-09-25 2021-03-03 신상식 유해물질 및 해충과 스트레스 해소를 위한 동물전용 브러시 및 그 제조방법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20100003502U (ko) 축사의 가축용 스크래치
US7849819B2 (en) Brisket tube hanger for cow stall assembly
US7806089B2 (en) Pet grooming restraint apparatus and method
CN111278332A (zh) 可调节的门上挂钩以及具有可移除的垫片的挂架
KR20080010855A (ko) 다기능 소 보정틀
US20080023479A1 (en) Adjustable animal feeder
KR100982244B1 (ko) 가축용 브러시
CA2938834C (en) Flexible neckrail coupling
US7007632B1 (en) Milking parlor stall shoulder bumper
US3457901A (en) Portable and adjustable platform extender for barns
GB2471707A (en) A livestock accommodation divider
KR200464942Y1 (ko) 가축용 브러쉬
US4911104A (en) Flexible stall divider for free stall barn
US20180132445A1 (en) Cattle stall system
US20220087218A1 (en) Accessory for breeding animals which is designed to be attached to a structure to be covered and protected
KR102222995B1 (ko) 유해물질 및 해충과 스트레스 해소를 위한 동물전용 브러시 및 그 제조방법
KR200169176Y1 (ko) 가축용빗
US6925962B2 (en) Elevated beam cow stall assembly
US20100186678A1 (en) Cubicle, arrangement in a cubicle and a method for mounting said arrangement
KR200334577Y1 (ko) 애완동물용 조립식 울타리
KR200465535Y1 (ko) 우사용 자동 목걸이틀
AU2010100541A4 (en) Dual Velcro-strap Equine Over-reach Protection Boot
WO2019171338A1 (en) A feeder
USRE36996E (en) Animal stall having anti-cast safety strip
KR200480148Y1 (ko) 축산용 브러시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