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00003092U - 자전거 보관대 - Google Patents

자전거 보관대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00003092U
KR20100003092U KR2020080012243U KR20080012243U KR20100003092U KR 20100003092 U KR20100003092 U KR 20100003092U KR 2020080012243 U KR2020080012243 U KR 2020080012243U KR 20080012243 U KR20080012243 U KR 20080012243U KR 20100003092 U KR20100003092 U KR 20100003092U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ost
support bracket
bicycle
locking
locking ba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080012243U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정재화
정혜영
Original Assignee
주은스틸아트 (주)
재영테크(주)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은스틸아트 (주), 재영테크(주) filed Critical 주은스틸아트 (주)
Priority to KR2020080012243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100003092U/ko
Publication of KR20100003092U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00003092U/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2LAND VEHICLES FOR TRAVELLING OTHERWISE THAN ON RAILS
    • B62HCYCLE STANDS; SUPPORTS OR HOLDERS FOR PARKING OR STORING CYCLES; APPLIANCES PREVENTING OR INDICATING UNAUTHORIZED USE OR THEFT OF CYCLES; LOCKS INTEGRAL WITH CYCLES; DEVICES FOR LEARNING TO RIDE CYCLES
    • B62H3/00Separate supports or holders for parking or storing cycles
    • B62H3/02Separate supports or holders for parking or storing cycles involving means for gripping the cycle by the handlebars or by the upper part of the frame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Fittings On The Vehicle Exterior For Carrying Loads, And Devices For Holding Or Mounting Articles (AREA)

Abstract

본 고안의 자전거 보관대는, 지면에 수직방향으로 설치되는 포스트(10)와, 상기 포스트의 측면에 구비되어 자전거 프레임(5)이 올려놓여지는 지지브라켓(20)과, 상기 포스트에 상하 이동 가능하게 장착되며, 하향 위치된 상태에서 별도의 시건장치에 의해 상기 지지브라켓과 결속됨으로써 상기 지지브라켓에 놓여진 자전거 프레임을 록킹하는 록킹바(30)를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이와 같은 본 고안에 의하면 자전거의 구성요소 중에서 가장 부피가 크고, 중요한 위치를 차지하는 프레임을 결속함으로써 결과적으로 보다 적극적으로 자전거 도난을 방지할 수 있게 되는 등, 자전거 이용에 많은 도움이 된다는 이점이 있다.

Description

자전거 보관대 {bicycle parking unit}
본 고안은 자전거의 프레임을 결속하여 거치하는 것이 가능하게 됨으로써 자전거 도난을 방지할 수 있도록 하는 자전거 보관대에 관한 것이다.
근래에 들어 차량이 증가하여 교통체증 및 환경오염이 심해지는 등의 이유로 인해 근거리 이동에는 자전거가 점차 많이 이용되고 있다. 자전거는 운행에 따른 환경오염의 걱정이 없고 사용자의 건강에도 도움이 되는 교통수단으로서, 도로공간 이용이 효율적이고 도로가 혼잡할 때에도 개인의 이동성을 높여 줄 수 있다.
따라서 자전거의 생활화를 정부와 시민단체에서 적극 장려하고 있으며, 이 러한 정책의 일환으로 전국에 자전거 도로망이 늘어나게 되었고 역, 터미널, 백화점, 공공시설물 및 아파트 단지와 같은 공용주거시설 등에 자전거를 보관하기 위한 자전거 보관대가 만들어지게 되었다.
일반적인 자전거 보관대는 철제 구조물로서 자전거의 휠을 거치할 수 있는 형태로 이루어지며 이 같은 자전거주차대에 자전거를 주차하는 경우에는 자전거 소 유자가 별도의 잠금장치(케이블형 자물쇠 등)를 휴대하고 이를 이용하여 자전거와 보관대를 결속하는 방식으로 자전거의 도난을 방지하고 있다.
그러나 이러한 종래기술에 의하면 자전거의 휠만을 결속하게 됨으로써 프레임과 휠의 분리가 용이하게 이루어진 자전거의 구조특성상 휠과 프레임이 분리되어 도난될 가능성이 있기 때문에 자전거를 안전하게 보관하기 어렵다는 문제점이 있다.
본 고안은 상기한 종래 문제점을 해결하고자 안출된 것으로, 자전거의 프레임을 결속하여 거치되도록 함으로써 자전거의 도난 위험이 대폭감소되는 자전거 보관대의 제공을 목적으로 한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제공되는 본 고안에 따른 자전거 보관대는, 지면에 수직방향으로 설치되는 포스트와, 상기 포스트의 측면에 구비되어 자전거 프레임이 올려놓여지는 지지브라켓과, 상기 포스트에 상하 이동 가능하게 장착되며, 하향 위치된 상태에서 별도의 시건장치에 의해 상기 지지브라켓과 결속됨으로써 상기 지지브라켓에 놓여진 자전거 프레임을 록킹하는 록킹바를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상기 지지브라켓은 상기 포스트의 측면에서 수평방향으로 돌출된 패널형태로 서 상하로 관통되는 걸림슬롯이 갖추어진 구조로 이루어지며, 상기 록킹바는 상기 포스트의 상면에 수직방향으로 이동 가능하게 삽입되는 삽입단부와, 상기 삽입단부의 상단에서 수평연장되는 덮개부와, 상기 덮개부에서 아래로 수직연장되어 상기 지지브라켓의 걸림슬롯에 삽입 가능토록 구성되며 관통공간을 갖는 걸림단부로 이루어진다.
상기 포스트는 내부공간이 빈 육면체형태로 이루어지며, 상기 록킹바의 삽입단부는 상기 포스트의 상면에 형성된 삽입홀을 통해 삽입되고, 상기 록킹바의 삽입단부 끝에는 포스트의 상면에 걸리는 이탈방지링이 구비된다.
이상에서 살펴본 바와 같이 본 고안에 따른 자전거 보관대에 의하면, 자전거의 구성요소 중에서 가장 부피가 크고, 중요한 위치를 차지하는 프레임을 결속함으로써 결과적으로 보다 적극적으로 자전거 도난을 방지할 수 있게 되는 등, 자전거 이용에 많은 도움이 된다는 이점이 있다.
이하 본 고안의 구체적인 내용을 첨부된 도 1부터 도 3b까지 참조로 하여 상세하게 설명한다.
본 고안에 따른 자전거 거치대는 도 1에 나타난 것과 같이 지면에 수직방향으로 설치되는 포스트(10)와, 상기 포스트(10)의 측면에 구비되는 지지브라켓(20) 과, 상기 포스트(10)에 상하 이동 가능하게 장착되며, 하향 위치된 상태에서 별도의 시건장치(40)(도 3b 참조)에 의해 상기 지지브라켓(20)과 결속되는 록킹바(30)를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상기 지지브라켓(20)은 상기 포스트(10)의 측면에서 수평방향으로 돌출된 패널형태로서 상하로 관통되는 걸림슬롯(20a)이 갖추어진 구조로 이루어진다.
상기 록킹바(30)는 상기 포스트(10)의 상면에 수직방향으로 이동 가능하게 삽입되는 삽입단부(32)와, 상기 삽입단부(32)의 상단에서 수평연장되는 덮개부(34)와, 상기 덮개부(34)에서 아래로 수직연장되어 상기 지지브라켓(20)의 걸림슬롯(20a)에 삽입 가능토록 구성되며 관통공간(30a)을 갖는 걸림단부(36)로 이루어진다.
즉, 상기 록킹바(30)는 삽입단부(32)와 걸림단부(36)가 덮개부(34)를 사이에 두고 동일한 방향으로 절곡되어 평행하게 연장됨으로써 측면에서 볼 때 대략‘∩’형태를 이루며, 걸림단부(36)에 관통공간(30a)이 형성되는 구조이면 구체적인 형태의 제한은 없다.
따라서, 각 도면에 나타난 바와 같이 빔형태의 부재를 다수회 절곡한 형태로 만들어질 수 있음은 물론, 도면으로 나타내지는 않았지만 단순히 패널형태의 부재를 절곡하고, 이에 관통공간을 형성하는 방식으로 만들어 질 수 도 있다.
상기 포스트(10)는 내부공간이 빈 육면체 즉, 박스형태로 이루어지며, 상기 록킹바(30)의 삽입단부(32)는 상기 포스트(10)의 상면에 형성된 삽입홀(10a)을 통해 삽입되고, 상기 록킹바(30)의 삽입단부(32) 끝에는 포스트(10)의 상면에 걸리는 이탈방지링(321)이 구비된다.
이탈방지링(321)이 구비된 본 고안의 구조상, 포스트(10)에 록킹바(30)를 장착할 때에는 우선 포스트(10)의 전면 또는 후면이 개방된 상태에서 포스트 상면의 삽입홀(10a)을 통해 록킹바(30)의 삽입단부(32)을 삽입한 다음, 상기 삽입단부(32)에 상기 이탈방지링(321)을 부착하고, 포스트(10)의 개방된 면을 커버하게 된다.
상술한 바와 같이 구성된 본 고안에 따른 자전거 보관대의 작용에 대해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먼저, 본 고안에 따른 자전거 보관대는, 기본적으로 제한된 범위에서 상기 록킹바(30)의 상하이동이 자유롭게 가능한 상태를 유지하게 된다.
상기 록킹바(30)가 하향된 상태에서는 도 2a에 나타난 것과 같이 걸림단부(36)가 지지브라켓(20)의 걸림슬롯(20a)을 부분적으로 통과하게 됨으로써 관통공간(30a)이 지지브라켓(20)의 아래쪽으로 드러나게 된다.
상기 록킹바(30)가 상향된 상태에서는 도 2b에 나타난 것과 같이 걸림단부(36)가 지지브라켓(20)의 위쪽으로 이탈되며, 록킹바(30)와 지지브라켓(20) 사이에 간극이 유지된다.
따라서, 우선 자전거를 보관할 때는 도 3a에 나타난 것과 같이 록킹바(30)를 들어올려서 걸림단부(36)가 지지브라켓(20)과 이격되도록 한 다음, 걸림단부(36)와 지지브라켓(20) 사이간극을 통해 자전거의 프레임(5)이 지지브라켓(20)에 의해 받쳐지도록 올려놓게 된다.
이어서, 도 3b에 나타난 것과 같이 록킹바(30)의 걸림단부(36)가 아래로 내려오도록 하여 관통공간이 지지브라켓(20)의 아래로 돌출되도록 하는데, 이때 상기 록킹바(30)는 덮개부(34)가 포스트(10)의 상단에 걸리기 때문에 자전거 프레임(5)과 닿을 정도로 내려오지는 않으며, 자전거 프레임(5)을 상방으로 이격하여 감싸게 된다.
그리고, 지지브라켓(20)의 하방으로 돌출된 록킹바(30)의 관통공간(30a)과 지지브라켓(20)의 걸림슬롯(20a)에 케이블 형태의 시건장치(40)를 체결하게 되는데, 이와 같이 하면 상기 시건장치에 의해 록킹바(30)의 걸림단부(36)가 지지브라켓(20)으로부터 이탈되지 않기 때문에 자전거의 프레임(5)을 지지브라켓으로부터 들어낼 수 없게 된다.
자전거를 보관대에서 꺼낼 때에는 우선 시건장치(40)를 풀어서 록킹바(30)와 지지브라켓(20)의 결속상태를 해제한 다음, 록킹바(30)를 들어올려서 걸림단부(36)와 지지브라켓(20) 사이에 간극을 유지한 상태에서 자전거의 프레임(5)을 옆으로 꺼내면 된다.
이때, 상기 록킹바(30)는 삽입단부(32)의 하단에 장착된 이탈방지링(321)이 포스트(10) 상면에 걸리기 때문에 포스트(10)로부터 이탈되지 않으며, 자전거의 프레임(5)을 꺼낼 수 있을 정도로만 상향 이동하게 된다.
이와 같은 본 고안에 의하면 자전거의 구성요소 중에서 가장 부피가 크고, 중요한 위치를 차지하는 프레임(5)을 결속함으로써 결과적으로 보다 적극적으로 자전거 도난을 방지하게 된다.
이상의 설명은 본 고안의 몇 가지 예시에 지나지 않으며, 본 고안의 권리범위를 한정하는 것은 아니다. 즉 본 고안의 가장 큰 특징은 자전거의 프레임을 고정하는 록킹바와 지지브라켓의 연계구조에 있고 이를 만족시키는 한 그 어떠한 변형도 본 고안의 권리범위에 속한다 해야 할 것인바, 이는 이하의 청구범위를 통해서 당업자에게 보다 자명하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
도 1은 본 고안에 따른 자전거 보관대를 나타낸 사시도이다.
도 2a, 2b는 본 고안에 따른 자전거 보관대의 요부구조 및 작동을 나타낸 예시도이다.
도 3a, 3b는 본 고안에 따른 자전거 보관대에 자전거가 보관된 상태를 나타낸 사용상태도이다.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0: 포스트 20: 지지브라켓
30: 록킹바 32: 삽입단부
34: 덮개부 36: 걸림단부
40: 시건장치

Claims (3)

  1. 지면에 수직방향으로 설치되는 포스트;
    상기 포스트의 측면에 구비되어 자전거 프레임이 올려놓여지는 지지브라켓;
    상기 포스트에 상하 이동 가능하게 장착되며, 하향 위치된 상태에서 별도의 시건장치에 의해 상기 지지브라켓과 결속됨으로써 상기 지지브라켓에 놓여진 자전거 프레임을 록킹하는 록킹바;
    을 포함하는 자전거 보관대.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지지브라켓은
    상기 포스트의 측면에서 수평방향으로 돌출된 패널형태로서 상하로 관통되는 걸림슬롯이 갖추어진 구조로 이루어지며,
    상기 록킹바는
    상기 포스트의 상면에 수직방향으로 이동 가능하게 삽입되는 삽입단부와,
    상기 삽입단부의 상단에서 수평연장되는 덮개부와,
    상기 덮개부에서 아래로 수직연장되어 상기 지지브라켓의 걸림슬롯에 삽입 가능토록 구성되며 관통공간을 갖는 걸림단부
    로 이루어짐으로써
    상기 록킹바가 하향 위치된 상태에서는 상기 걸림단부의 관통공간이 지지브라켓의 걸림슬롯을 통해 아래로 돌출되고,
    상향 위치된 상태에서는 걸림단부가 지지브라켓과 이격되는 것
    을 특징으로 하는 자전거 보관대.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포스트는 내부공간이 빈 육면체형태로 이루어지며,
    상기 록킹바의 삽입단부는 상기 포스트의 상면에 형성된 삽입홀을 통해 삽입되고,
    상기 록킹바의 삽입단부 끝에는 포스트의 상면에 걸리는 이탈방지링이 구비됨으로써
    상기 록킹바가 포스트에서 완전히 이탈되지 않는 구조로 이루어지는 것
    을 특징으로 하는 자전거 보관대.
KR2020080012243U 2008-09-09 2008-09-09 자전거 보관대 KR20100003092U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80012243U KR20100003092U (ko) 2008-09-09 2008-09-09 자전거 보관대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80012243U KR20100003092U (ko) 2008-09-09 2008-09-09 자전거 보관대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00003092U true KR20100003092U (ko) 2010-03-18

Family

ID=4419842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080012243U KR20100003092U (ko) 2008-09-09 2008-09-09 자전거 보관대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100003092U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22171616A1 (en) 2021-02-09 2022-08-18 Fourown Kig Bicycle rack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22171616A1 (en) 2021-02-09 2022-08-18 Fourown Kig Bicycle rack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910008B1 (ko) 수직거치식 자전거 주차장치
US3945159A (en) Anti-theft vehicle shelter
KR20130035303A (ko) 자전거 주차방법 및 그 장치
US8668186B1 (en) Dumpster screen and method of use thereof
KR20100003092U (ko) 자전거 보관대
JP2022519119A (ja) 電子ロックを備えるスタンドに自転車をロックするための駐輪スタンド
KR101475030B1 (ko) 그레이팅 구조체
KR102031244B1 (ko) 무인 대여 및 보관이 가능한 자전거 거치장치
KR200441306Y1 (ko) 자전거 보관대
KR20110034955A (ko) 자전거 보관대
JP5403741B2 (ja) ロッカー付き自動二輪駐車装置
CA2226325A1 (en) Bicycle stand
KR101074669B1 (ko) 매설형 자전거 보관대의 안전장치
KR101109427B1 (ko) 도로경계용 울타리를 이용한 자전거 주차장치
RU114659U1 (ru) Устройство для закрепления двухколесного транспортного средства
KR101736761B1 (ko) 스마트 자전거 거치대
KR200481413Y1 (ko) 물받이홈을 구비한 화물차량의 지붕 수납장치
KR102624398B1 (ko) 자전거 주차장치
RU2798016C2 (ru) Стойка для парковки велосипедов для фиксации велосипеда на стойке, включающая электронный замок
JP4132966B2 (ja) 駐車装置
KR200324501Y1 (ko) 자전거 안전 보관대
KR101123784B1 (ko) 자전거 거치대
KR20100128248A (ko) 자전거 주차관리시스템
JP3100580U (ja) ポール装置
GB2470384A (en) Refuse receptacle retaining device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