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00002632U - 차양 장치의 커버 - Google Patents

차양 장치의 커버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00002632U
KR20100002632U KR2020080011694U KR20080011694U KR20100002632U KR 20100002632 U KR20100002632 U KR 20100002632U KR 2020080011694 U KR2020080011694 U KR 2020080011694U KR 20080011694 U KR20080011694 U KR 20080011694U KR 20100002632 U KR20100002632 U KR 20100002632U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over
sunshade device
sunshade
coupled
coupl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080011694U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451110Y1 (ko
Inventor
모병조
Original Assignee
모병조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모병조 filed Critical 모병조
Priority to KR2020080011694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451110Y1/ko
Publication of KR20100002632U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00002632U/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451110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451110Y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FFINISHING WORK ON BUILDINGS, e.g. STAIRS, FLOORS
    • E04F10/00Sunshades, e.g. Florentine blinds or jalousies; Outside screens; Awnings or baldachins
    • E04F10/02Sunshades, e.g. Florentine blinds or jalousies; Outside screens; Awnings or baldachins of flexible canopy materials, e.g. canvas ; Baldachins
    • E04F10/06Sunshades, e.g. Florentine blinds or jalousies; Outside screens; Awnings or baldachins of flexible canopy materials, e.g. canvas ; Baldachins comprising a roller-blind with means for holding the end away from a building
    • E04F10/0685Covers or housings for the rolled-up blind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BDEVICES FOR FASTENING OR SECURING CONSTRUCTIONAL ELEMENTS OR MACHINE PARTS TOGETHER, e.g. NAILS, BOLTS, CIRCLIPS, CLAMPS, CLIPS OR WEDGES; JOINTS OR JOINTING
    • F16B5/00Joining sheets or plates, e.g. panels, to one another or to strips or bars parallel to them
    • F16B5/02Joining sheets or plates, e.g. panels, to one another or to strips or bars parallel to them by means of fastening members using screw-thread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Architecture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Building Awnings And Sunshades (AREA)

Abstract

본 고안은 차양 장치의 커버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건물 외벽에 설치된 차양 장치로의 외풍, 빗물, 눈의 유입을 차단하고, 외부로 노출되지 않게 함으로써 미관을 이루게 하는 차양 장치의 측면 커버 및 이 측면 커버가 포함되는 차양 장치의 커버에 관한 것이다.
본 고안에 의하면, 차양 장치의 측면에 배치되고, 상측에 내향 돌출된 결합부가 형성된 커버부; 및 상기 결합부와의 사이에 틈이 형성되도록 상기 결합부의 상측에 결합되는 마감캡;을 포함하되, 차양 장치의 상측을 덮도록 건물 외벽에 고정되는 상부 갓의 측단부가 상기 틈에 끼워지면서 차양 장치의 측면을 덮게 되는 차양 장치의 측면 커버가 제공되며, 이 측면 커버에 차양 장치의 상측을 덮도록 건물 외벽에 고정되는 상부 갓이 포함되는 차양 장치의 커버가 제공된다.
차양 장치, 측면 커버, 상부 갓, 측면 커버

Description

차양 장치의 커버 {A cover of awning device}
본 고안은 차양 장치의 커버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건물 외벽에 설치된 차양 장치로의 외풍, 빗물, 눈의 유입을 차단하고, 외부로 노출되지 않게 함으로써 미관을 이루게 하는 차양 장치의 측면 커버 및 이 측면 커버가 포함되는 차양 장치의 커버에 관한 것이다.
햇빛, 눈, 비로부터 건물 주변의 사람, 진열된 상품 등을 보호하기 위하여 건물 외벽에는 차양 장치가 설치된다.
근래 사용되는 차양 장치의 일 예로는,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권취 드럼(10)의 회전에 의해 천막지(15)가 감기거나 풀리는 구조로 되고, 이 천막지(15)를 지지하는 지지프레임(20)은 절첩 구조로 되며, 이 지지프레임(20)의 일단부는 건물 외벽에 고정된 수평 프레임에 고정되는 힌지 수단(50)에 힌지 결합되는 차양 장치(5)를 들 수 있다.
이 차양 장치(5)는 권취 드럼(10)의 일측에 마련된 회전 수단을 이용하여 인 위적으로 회전시킴으로써 이와 연동하는 권취 드럼(10)의 회전에 의해 천막지(15)가 감기거나 펼쳐지며, 이 과정에서 지지프레임(20)은 회동 및 절첩되어 건물 외측면에 밀착되거나 반대로 다시 펼쳐지면서 천막지(15)를 지지하게 된다.
이 외에도 구동 모터에 의해 권취 드럼으로 천막지가 자동 권취될 수 있는 전동식 차양 장치 등 다양한 차양 장치가 등장하고 있다.
한편, 상술한 차양 장치는 그 구조적 특성으로 인해 회전 구조나 절첩 구조의 원활한 작동이 얼마나 유지되느냐에 따라 장치의 내구성, 사용 편의성이 결정된다.
하지만 종래 차양 장치는 차양 장치의 상측 및 좌, 우측이 노출되어 있기 때문에 권취드럼(10) 및 이 권취드럼(10)이 회전 가능하게 결합되는 지지브라켓(20)의 결합 부위와, 지지프레임(20)의 힌지 결합 부위 등이 외풍이나 비, 눈에 직접 노출될 수밖에 없다.
이로 인해 각 결합 부위에 녹이 형성되거나 이물질이 끼어 권취 드럼(10)의 회전이나 지지프레임(20)의 회동 등이 원활히 되지 못하는 차양 장치의 고장이 쉽게 발생한다.
이를 방지하고자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전술한 결합부위로의 빗물, 눈 등의 유입을 막기 위한 상부 갓(25)이 차양 장치의 상측에 배치되도록 건물 외벽에 고정되기도 하지만, 이 갓(25)에 의하더라도 차양 장치의 좌, 우측이 여전히 노출되어 있어서 차양 장치의 측면을 덮을 수 있는 커버의 필요성이 제기되고 있다.
더불어 종래 차양 장치는, 차양 장치의 복잡한 구조가 통행하는 사람들의 시야에 고스란히 노출됨으로 인해 차양 장치가 설치된 건물 외벽의 외관을 해치는 점도 또한 문제이다.
본 고안은 전술한 종래 차양 장치의 외부로의 노출 문제를 해결하고자 안출된 것이며, 본 고안은 차양 장치의 상측, 좌, 우측을 덮을 수 있는 차양 장치의 커버를 제공함에 그 목적이 있다.
또한, 갓의 설치 각도, 설치 높이 등에 대응할 수 있는 차양 장치의 측면 커버를 제공함에 그 목적이 있다.
그리고, 본 고안은 차양 장치의 상측 및 좌, 우측을 덮어 통행하는 사람들의 시야에 차양 장치의 복잡한 외관이 노출되지 않게 하여 미관을 연출할 수 있는 차양 장치의 커버를 제공함에 그 목적이 있다.
본 고안에 의하면, 차양 장치의 측면에 배치되고, 상측에 내향 돌출된 결합부가 형성된 커버부; 및 상기 결합부와의 사이에 틈이 형성되도록 상기 결합부의 상측에 결합되는 마감캡;을 포함하되, 차양 장치의 상측을 덮도록 건물 외벽에 고정되는 상부 갓의 측단부가 상기 틈에 끼워지면서 차양 장치의 측면을 덮게 되는 차양 장치의 측면 커버가 제공된다.
그리고 상기 커버부는, 차양 장치의 측면에 마련되는 홈으로 결합될 수 있게 상기 커버부의 내측면에 구비되는 돌기부가 더 포함될 수 있다.
이때 상기 돌기부는 상기 커버부에 형성된 관통공으로 삽입되는 볼트 부재에 의해 상기 커버부의 내측면에 결합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돌기부는 중공형이면서 일측에 절개홈이 형성되어 상기 볼트 부재와 결합될 때 외향으로 탄성 변형될 수 있다.
상기 관통공은 경사지게 형성된 슬롯 형상이며, 서로 인접하도록 적어도 2 이상이 형성되는 것도 가능하다.
본 고안에 의하면, 전술한 일 실시예의 측면 커버에 차양 장치의 상측을 덮도록 건물 외벽에 고정되는 상부 갓이 포함되는 차양 장치의 커버가 제공된다.
본 고안에 의하면, 차양 장치의 상측에 위치하는 갓의 측단부에 커버부의 결합부와 마감캡 사이의 틈을 통해 측면 커버를 결합시키는 간편한 결합 구조로 되면서 차양 장치의 상측 및 좌, 우측을 덮을 수 있는 이점이 있다.
또한, 측면 커버는 커버부의 끼움부에 의해 차양 장치의 측면에 결합될 수 있어서, 건물 외벽에 고정되는 갓과 함께 차량 장치에 의해서도 견고히 지지될 수 있다.
이때, 측면 커버의 커버부에 서로 인접하는 다수의 관통공이 형성되어 있어서 적당한 위치의 관통공을 선택하여 끼움부가 결합될 수 있으므로 갓의 설치 높이에 대응하여 갓에 결합될 수 있는 이점이 있다.
이와 더불어 이 관통공이 슬롯 형상으로 이루어짐으로써 슬롯의 길이방향을 따라 적당한 위치에서 끼움부를 위치시킬 수 있기 때문에 갓의 설치 각도에 대해 또한 대응 결합이 가능한 이점을 갖게 된다.
본 고안에 의하여 차양 장치는 그 상측 및 좌, 우측이 덮이게 되어 차양 장치로의 외풍, 비, 눈 등의 유입이 확실히 차단되는 효과를 얻게 된다.
뿐만 아니라 통행하는 사람의 시야에 들어오는 차양 장치의 복잡한 측면 구조가 본 고안에 의해 덮이게 됨으로써 차양 장치의 노출되는 전체적 외관이 미려해지는 효과를 얻게 된다.
본 고안의 바람직한 일 실시예에 의한 차양 장치의 측면 커버는, 차양 장치의 측면에 배치되고, 상측에 내향 돌출된 결합부가 형성된 커버부; 및 상기 결합부와의 사이에 틈이 형성되도록 상기 결합부의 상측에 결합되는 마감캡;을 포함하되, 차양 장치의 상측을 덮도록 건물 외벽에 고정되는 상부 갓의 측단부가 상기 틈에 끼워지면서 차양 장치의 측면을 덮게 된다.
그리고 상기 커버부는, 차양 장치의 측면에 마련되는 홈으로 결합될 수 있게 상기 커버부의 내측면에 구비되는 돌기부가 더 포함될 수 있다.
이때 상기 돌기부는 상기 커버부에 형성된 관통공으로 삽입되는 볼트 부재에 의해 상기 커버부의 내측면에 결합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돌기부는 중공형이면서 일측에 절개홈이 형성되어 상기 볼트 부재와 결합될 때 외향으로 탄성 변형될 수 있다.
상기 관통공은 경사지게 형성된 슬롯 형상이며, 서로 인접하도록 적어도 2 이상이 형성되는 것도 가능하다.
본 고안의 바람직한 다른 실시예에 의한 차양 장치의 커버는 전술한 일 실시예의 측면 커버에 차양 장치의 상측을 덮도록 건물 외벽에 고정되는 상부 갓이 포함되어 이루어진다.
본 고안의 일 실시예에 의한 차양 장치의 측면 커버에 대하여 첨부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하기로 하되, 동일한 참조부호는 동일한 기능을 하는 동일한 부재를 나타내는 것으로 한다.
그리고, 하기에 기재되는 '차양 장치'는 일 예로서 도 1을 참조하여 앞서 설명된 권취 드럼(10)과, 절첩 구조의 지지프레임(20)과, 이 지지프레임(20)이 회동할 수 있게 힌지 결합되는 힌지 수단(50), 그리고 이 차양 장치가 건물 외벽에 고정되도록 하는 고정브라켓(30) 등이 포함되는 차양 장치(5)에 관하여 설명하면서 본 고안의 일 실시예가 이 차양 장치(5)에 적용됨을 설명하고 있으나 꼭 이 차양 장치(5)에만 적용되는 것으로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상측 및 좌, 우측의 덮임이 요구되는 그 외 다양한 구조의 차양 장치에 적용될 수 있음은 물론이다.
그리고, 실용신안등록청구범위에서 기재되고 있는 '차양 장치의 측면'은 차양 장치에 포함되는 구성 중에서 차양 장치의 좌, 우측 끝에 배치되는 어느 구성(예컨대, 도 1에 도시된 차양 장치(5)의 예에서는 고정브라켓(30), 혹은 지지브라 켓(40)을 들 수 있다)의 측면을 의미하는 것이며, 이 구성은 본 고안의 기술적 범위에 포함되지 않음과 동시에 특정 차양 장치의 특정 구성으로 한정될 필요가 없기 때문에 '차양 장치의 측면'이라는 표현으로 상기 의미를 대신하는 것이다.
도 2는 본 고안의 일 실시예에 의한 차양 장치의 측면 커버(1′)를 도시한 사시도이며, 도 3 및 도 4는 도 2에 도시된 측면 커버(1′)의 분해 사시도이고, 도 5 및 도 6은 는 도 2에 도시된 커버부(200)의 다른 예를 보인 분해 사시도이며, 도 7은 본 고안의 다른 실시예에 의한 차양 장치의 커버(1″)를 도시한 사시도이고, 도 8은 도 7에 도시된 커버(1″)의 분해 사시도이며, 도 9는 도 2 및 도 7에 도시된 차양 장치의 측면커버(1′) 내지 커버(1″)의 사용 상태도.
도 2 내지 도 6에 도시된 본 고안의 일 실시예에 의한 차양 장치의 측면 커버(1′)는 커버부(200)와 마감캡(300)을 포함한다.
그리고, 도 7 내지 도 8에 도시된 본 고안의 다른 실시예에 의한 차양 장치의 커버(1″)는 본 고안의 일 실시예인 차양 장치의 측면 커버(1′)에서 후술할 상부 갓(100)이 포함되어 이루어진다.
커버부(200)는 차양 장치의 측부에서 대략 수직하게 배치되어 차양 장치의 결합 구조, 예를 들어 도 1에 도시된 차양 장치(5)의 일 예에서의 권취 드럼(10)과 지지브라켓(40)의 회전 결합구조나, 지지브라켓(40)과 고정브라켓(30)의 연결구조, 지지프레임(20)과 힌지 수단(50)의 힌지 결합구조 등의 결합구조가 그 측방향으로 가려질 수 있게 배치된다.
커버부(200)는 상측에 내향으로 돌출되는 결합부(210)가 마련된다. 결합부(210)의 상면은 여기에 위치하게 되는 후술할 상부 갓(100)의 측단부 내저면에 합형되게 형성되어 있다.
결합부(210)의 상측에는 마감캡(300)이 결합되는데, 이때, 결합부(210)의 상면과 마감캡(300)의 내저면 사이에는 소정 간격의 틈이 형성되도록 결합된다.
마감캡(300)의 결합은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커버부(200)의 상측 측면에 끼움공(240)이 형성되고, 마감캡(300)의 내측 측면에 이에 대응하는 끼움편(310)가 돌출 형성되어 억지 끼움 되면서 결합되는 예가 제시될 수 있다.
결합부(210)와 마감캡(300)의 사이의 틈에는 후술할 상부 갓(100)의 측단부가 끼워져 개재됨으로써 측면 커버(1′)가 상부 갓(100)에 결합된다.
도 7 및 도 8에 도시된 상부 갓(100)은 차양 장치의 상측에 배치되도록 건물 외벽에 고정된다. 상부 갓(100)은 차양 장치의 상측, 도 1에 도시된 차양 장치(5)의 일 예에서는 권취 드럼(10)과, 이 권취 드럼(10)의 지지브라켓(40)과의 연결부위, 지지프레임(20)의 힌지 수단(50)에 대한 힌지 결합 부위 등을 포함할 수 있는 상측을 덮음으로써 이러한 구성 및 그 연결부위로의 빗물, 눈 등의 유입을 막을 수 있게 된다.
따라서, 상부 갓(100)은 소정 면적을 갖는 대략 평판 형상으로 이루어지며 그 전단부는 하방으로 경사지게 형성되어 빗물 등이 쉽게 흘러 유출될 수 있다.
이 상부 갓(100)은 그 후단부가 건물 외벽에 밀착되도록 다양한 고정 방식에 의해 건물 외벽 상에 고정된다.
상부 갓(100)의 측단부에 전술한 측면 커버(1′)가 결합되는 과정을 설명하면, 마감캡(300)이 분리된 상태에서 결합부(210)의 상면이 상부 갓(100)의 내저면에 밀착되게 위치시킨다. 다음으로 마감캡(300)을 결합부(210) 상측에 결합시키게 되면 결합부(210) 상면과 마감캡(300)의 내저면 사이의 틈으로 상부 갓(100)의 측단부가 개재된 채 끼어져 있게 되어 측면 커버(1′)가 상부 갓(100)에 결합된다.
물론 이 과정에 의해서만 결합되는 것은 아니며, 마감캡(300)이 결합부(210) 상측에 결합된 상태에서 그 틈을 통해 상부 갓(100)의 측단부에 억지 끼움하여 결합하는 것도 가능하다.
한편, 도 3 및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부 갓(100)과 측면 커버(1′) 간 결합 시 측면 커버(1′)의 유동을 제한하기 위하여 상부 갓(100)에는 요철부(110)가 길이방향으로 형성될 수 있고, 결합부(210)에는 이 요철부(110)에 대응하는 요홈(211)이 형성될 수 있다.
이 경우 요철부(110)가 결합부(210)의 요홈(211)에 안착된 상태에서 마감캡(300)이 결합되고, 이때 요홈(211)의 전, 후측 벽은 요철부(110)의 전, 후측 벽에 지지되기 때문에 상부 갓(100)에 대하여 측면 커버(1′)가 유동하지 않고 견고히 지지될 수 있다.
도 5 및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마감캡(300)의 내저면에는 요홈(211)에 안착된 요철부(110)의 상측이 가압될 수 있게 이 요홈(211)에 대응하는 돌출편(320)가 형성될 수 있다.
이 측면 커버(1′)는 한 쌍을 이루면서 상부 갓(100)의 좌, 우측 단부에 각각 결합되어 차양 장치의 좌, 우측을 덮게 된다.
측면 커버(1′)는 보다 견고히 지지될 수 있도록 상부 갓(100)의 측단부에 끼워지는 결합 구조에 더하여 차양 장치의 측면에 형성되는 결합홈으로 결합될 수 있는 돌기부(230)가 더 구비될 수 있다.
구체적으로, 돌기부(230)는 커버부(200)의 내측면에 구비되어 차양 장치의 측면에 형성되는 홈, 도 1에 도시된 차양 장치(5)의 일 예에서는 권취 드럼(10)을 지지하도록 고정브라켓(30)에 결합되는, 그리고 권취 드럼(10)의 측단부가 회전 가능하게 결합되는 지지브라켓(40)의 측면에 형성되는 결합홈(45)에 삽입 결합된다.
이 돌기부(230)가 삽입 결합되는 차양 장치의 측면 결합홈(45)은 전술한 지지브라켓(40)에 형성되는 것으로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차양 장치에 포함되는 또 다른 구성에 형성될 수도 있다. 돌기부(230)는 이 결합홈에 대응하는 커버부(200)의 위치에 구비된다.
돌기부(230)는 커버부(200)의 내측면에서 돌출되도록 커버부(200)와 일체로 형성될 수도 있지만,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커버부(200)에 관통공(220)이 형성되고 커버부(200)의 외측에서 이 관통공(220)을 통하는 볼트 부재(260)에 의해 커 버부(200)의 내측면에 결합될 수도 있다. 이때, 돌기부(230)에는 이 볼트 부재(260)와 결합되기 위한 나사홈(도시생략)이 형성된다.
그리고, 도시되어 있지는 않지만 돌기부(230)는 전술한 볼트 부재(260)에 의하는 것이 아니라 관통공(220)에 억지 끼움되어 커버부(200) 내측면에 결합되는 것도 가능하다.
한편, 이 돌기부(230)의 다른 예로서 도 5 및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돌기부(230)는 중공형이면서 일측에 절개홈(231)이 형성될 수도 있다.
볼트 부재(260)와 나사 결합되는 과정에서 돌기부(230)는 이 절개홈(231)의 형성으로 외향으로 벌어지는 탄성 변형이 가능하게 되며, 이로써 차양 장치의 측면 결합홈에 더 견고히 결합될 수 있다.
또한, 도 5 및 도 6에서는 관통공(220)의 다른 예가 함께 도시되고 있으며, 이 예에서는 관통공(220)이 다수 형성되면서 서로 인접하게 형성된다.
이로써 돌기부(230)는 전술한 바와 같이 볼트 부재(260)에 의해 결합될 때 적당한 위치의 관통공(220)이 선택되어 결합될 수 있으며, 이는 상부 갓(100)이 설치되는 위치, 즉 상부 갓(100)의 차양 장치와의 이격 지점이 설치되는 건물 외벽의 사정 등에 의해 변경되더라도 이에 대응할 수 있기 위함이다.
더불어, 이 관통공(220)은 슬롯 형상으로 되면서 경사지게 형성될 수 있으며, 이와 같이 됨으로써 돌기부(230)는 하나의 관통공(220) 내부에서도 슬롯의 길이방향을 따라 위치 조정이 가능하다. 그 결과 커버부(200)의 다소의 회동이 가능 하게 된다. 이는 상부 갓(100)이 건물 외벽의 사정에 의해 혹은 상부 갓(100)의 설치 과정에서 상, 하방(상부 갓(100)을 측방향에서 바라볼 때)으로 기울어짐이 발생할 수 있는데 이때 차양 장치의 측면 결합홈은 이미 고정된 위치를 갖기 때문에 돌기부(230)가 상부 갓(100)의 기울어짐에 대응할 수 있도록 위치 조정이 가능하게 하기 위함이다.
도 5 및 도 6에서는 두 개의 돌기부(230)가 결합되는 예가 제시되며, 이는 도 1에 도시된 차양 장치의 일 예에서 지지브라켓(40)에 두 개의 결합홈(45)이 형성되고 있음에 대응한 것이다.
그리고 관통공(220)은 하나의 돌기부(230)가 결합되는 부위에 다수가 인접하여 형성되는 원형 관통공(220)과, 다른 하나의 돌기부(230)가 결합되는 부위에 다수가 인접하여 형성되는 슬롯 형상의 관통공(220)이 구비된 예를 보이고 있다.
이때 하나의 돌기부(230)는 적당한 위치의 원형의 관통공(220)을 통해 볼트 부재(260)와 결합되며, 다른 하나의 돌기부(230)는 적당한 위치의 슬롯 형상의 관통공(220)을 통해 볼트 부재(260)와 결합하되 이때 이 슬롯 길이 상에서 적당한 위치로 조정될 수 있게 결합된다.
상부 갓(100)의 기울어짐에 대응한 커버부(200)의 위치 조정은 하나의 돌기부(230)가 지지브라켓(40)의 하나의 홈에 결합된 채 다른 하나의 돌기부(230)의 위치 조정을 통해 가능하게 된다.
한편, 돌기부(230)에는 커버부(200)의 내측면에 결합된 상태에서 커버부(200)의 내측면에 의해 지지되도록 지지리브(232)가 형성될 수 있다.
그리고, 전술한 관통공(220) 테두리와 이 관통공(220)의 주위에는 소정 두께를 가지면서 커버부(200)의 내측으로 돌출되는 보강리브(233)가 형성될 수 있다.
커버부(200)의 외측면에는 전술한 관통공(220)과 볼트 부재(260)를 외부로 노출하지 않기 위한 외측 덮개(400)가 결합될 수 있다. 도 3 내지 도 6에서는 외측 덮개(400)의 내측면에 돌출 형성되는 끼움편(410)가 구비되고, 이에 대응하여 커버부(200)의 측면에 끼움공(250)이 형성되어 외측 덮개(400)가 커버부(200)에 끼움 결합되는 예를 도시하고 있다.
본 고안은 실용신안등록청구범위에서 청구하는 요지를 벗어나지 않고도 당해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하여 다양하게 변경 실시될 수 있으므로, 본 고안의 기술보호범위는 상술한 특정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한정되지 않는다.
도 1은 종래 차양 장치와 이 차양 장치의 상측을 덮고 있는 상부 갓을 도시한 사시도,
도 2는 본 고안의 일 실시예에 의한 차양 장치의 측면 커버를 도시한 사시도,
도 3 및 도 4는 도 2에 도시된 측면 커버의 분해 사시도,
도 5 및 도 6은 는 도 2에 도시된 커버부의 다른 예를 보인 분해 사시도.
도 7은 본 고안의 다른 실시예에 의한 차양 장치의 커버를 도시한 사시도,
도 8은 도 7에 도시된 커버의 분해 사시도,
도 9는 도 2 및 도 7에 도시된 차양 장치의 측면 커버 내지 커버의 사용 상태도.
*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
1´; 차양 장치의 측면 커버 1˝; 차양 장치의 커버
100; 상부 갓 200; 커버부
210; 결합부 220; 관통공
230; 돌기부 300; 마감캡
400; 외측 덮개

Claims (10)

  1. 차양 장치의 측면에 배치되고, 상측에 내향 돌출된 결합부가 형성된 커버부; 및 상기 결합부와의 사이에 틈이 형성되도록 상기 결합부의 상측에 결합되는 마감캡;을 포함하되,
    차양 장치의 상측을 덮도록 건물 외벽에 고정되는 상부 갓의 측단부가 상기 틈에 끼워지면서 차양 장치의 측면을 덮게 되는 차양 장치의 측면 커버.
  2.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커버부는,
    차양 장치의 측면에 마련되는 홈으로 결합될 수 있게 상기 커버부의 내측면에 구비되는 돌기부가 더 포함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양 장치의 측면 커버.
  3. 청구항 2에 있어서,
    상기 돌기부는 상기 커버부에 형성된 관통공으로 삽입되는 볼트 부재에 의해 상기 커버부의 내측면에 결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양 장치의 측면 커버.
  4. 청구항 3에 있어서,
    상기 돌기부는 중공형이면서 일측에 절개홈이 형성되어 상기 볼트 부재와 결합될 때 외향으로 탄성 변형될 수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양 장치의 측면 커버.
  5. 청구항 3에 있어서,
    상기 관통공은 경사지게 형성된 슬롯 형상이며, 서로 인접하도록 적어도 2 이상이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양 장치의 측면 커버.
  6. 차양 장치의 상측을 덮도록 건물 외벽에 고정되는 상부 갓; 및
    차양 장치의 측면에 배치되고 상측에 내향 돌출된 결합부가 형성된 커버부와, 상기 결합부와의 사이에 틈이 형성되도록 상기 결합부의 상측에 결합되는 마감캡을 포함하되, 상기 상부 갓의 측단부가 상기 틈에 끼워지면서 차양 장치의 측면을 덮게 되는 측면 커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양 장치의 커버.
  7. 청구항 6에 있어서, 상기 커버부는,
    차양 장치의 측면에 마련되는 홈으로 결합될 수 있게 상기 커버부의 내측면에 구비되는 돌기부가 더 포함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양 장치의 커버.
  8. 청구항 7에 있어서,
    상기 돌기부는 상기 커버부에 형성된 관통공으로 삽입되는 볼트 부재에 의해 상기 커버부의 내측면에 결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양 장치의 커버.
  9. 청구항 8에 있어서,
    상기 돌기부는 중공형이면서 일측에 절개홈이 형성되어 상기 볼트 부재와 결합될 때 외향으로 탄성 변형될 수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양 장치의 커버.
  10. 청구항 8에 있어서,
    상기 관통공은 경사지게 형성된 슬롯 형상이며, 서로 인접하도록 적어도 2 이상이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양 장치의 커버.
KR2020080011694U 2008-08-29 2008-08-29 차양 장치의 커버 KR200451110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80011694U KR200451110Y1 (ko) 2008-08-29 2008-08-29 차양 장치의 커버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80011694U KR200451110Y1 (ko) 2008-08-29 2008-08-29 차양 장치의 커버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00002632U true KR20100002632U (ko) 2010-03-10
KR200451110Y1 KR200451110Y1 (ko) 2010-11-25

Family

ID=4419796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080011694U KR200451110Y1 (ko) 2008-08-29 2008-08-29 차양 장치의 커버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451110Y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302689B1 (ko) * 2013-01-14 2013-09-03 주식회사 한미하이텍 차양에 설치되는 보조차양

Family Cites Familie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1150763A (ja) 1997-07-31 1999-02-23 Sanwa Shutter Corp シャッタ−ケ−スのサイドカバ−
JP2001132186A (ja) 2000-10-04 2001-05-15 Ykk Corp 日除け装置
KR200284061Y1 (ko) 2002-04-30 2002-07-31 윤상인 차양장치
JP4481634B2 (ja) 2003-12-25 2010-06-16 トステム株式会社 日よけ装置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302689B1 (ko) * 2013-01-14 2013-09-03 주식회사 한미하이텍 차양에 설치되는 보조차양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451110Y1 (ko) 2010-11-25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541253B1 (ko) 각동 어닝
CA2801511C (en) End cap for roller blind cassette
US20100258255A1 (en) Shutter type roll screen
KR101236750B1 (ko) 롤 스크린 장치가 내장되게 한 시스템 창호
KR200451110Y1 (ko) 차양 장치의 커버
KR101101348B1 (ko) 천막 조립체.
KR200482354Y1 (ko) 접이식 어닝 텐트
KR101581201B1 (ko) 복층 방충망 창틀 장치
EP2150672B1 (en) A screening arrangement including a top element having a compact configuration
JP2006274666A (ja) 屋根
EP2333194B1 (en) Canopy structure
KR200446420Y1 (ko) 베니션블라인드의 고정장치
JP4902124B2 (ja) 日除け装置
KR100648098B1 (ko) 건축구조물 창문틀 구조
KR200405559Y1 (ko) 고정샷시 장착용 물받이샷시
KR200322706Y1 (ko) 실ㆍ내외 겸용 다목적 롤블라인드
JPH1171975A (ja) 建物用シャッター
KR102040891B1 (ko) 레인블라인드 조립체
KR20130006147U (ko) 상점용 천막의 워터커버장치
KR102538015B1 (ko) 캠핑용 차량의 어닝으로 탈부착이 용이한 사이드월 시스템
JP7251097B2 (ja) 日よけ
JPS608023Y2 (ja) 手摺と日覆を備えたサツシ
KR200392808Y1 (ko) 공기차단용 버티칼 블라인드
KR200256835Y1 (ko) 차양막과 방충막의 전환이 가능한 보조창
KR101448221B1 (ko) 장착과 사용이 용이한 어닝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1118

Year of fee payment: 4