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00001913A - 무인 감시 방법, 장치 및 그 방법을 실행하는 프로그램이기록된 기록매체 - Google Patents

무인 감시 방법, 장치 및 그 방법을 실행하는 프로그램이기록된 기록매체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00001913A
KR20100001913A KR1020080062007A KR20080062007A KR20100001913A KR 20100001913 A KR20100001913 A KR 20100001913A KR 1020080062007 A KR1020080062007 A KR 1020080062007A KR 20080062007 A KR20080062007 A KR 20080062007A KR 20100001913 A KR20100001913 A KR 20100001913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assenger
image
area
mobile
cargo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80062007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강민수
현종철
홍현표
Original Assignee
인천국제공항공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인천국제공항공사 filed Critical 인천국제공항공사
Priority to KR1020080062007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100001913A/ko
Publication of KR20100001913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00001913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7/00Television systems
    • H04N7/18Closed-circuit television [CCTV] systems, i.e. systems in which the video signal is not broadcast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TIMAGE DATA PROCESSING OR GENERATION, IN GENERAL
    • G06T7/00Image analysis
    • G06T7/10Segmentation; Edge detection
    • G06T7/194Segmentation; Edge detection involving foreground-background segmentation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TIMAGE DATA PROCESSING OR GENERATION, IN GENERAL
    • G06T7/00Image analysis
    • G06T7/20Analysis of motion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TIMAGE DATA PROCESSING OR GENERATION, IN GENERAL
    • G06T7/00Image analysis
    • G06T7/70Determining position or orientation of objects or cameras
    • G06T7/73Determining position or orientation of objects or cameras using feature-based method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88/00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e.g. terminals, base stations or access point devices
    • H04W88/02Terminal device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omputer Vision & Pattern Recognition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Multimedia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Alarm Systems (AREA)

Abstract

본 발명의 일 측면에 따르면, 무인 감시 방법이 개시된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무인 감시 방법은 특정 영역의 감시를 위한 기준으로서, 배경 영상을 저장하는 단계; 영역을 촬영한 대상 영상을 배경 영상 및 대상 영상 이전에 촬영한 이전 영상에 기초하여 정적 영역과 동적 영역을 추출하는 단계; 및 동적 영역을 이동 여객으로 설정하고, 이동 여객의 경로를 추적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본 발명에 의하면 다수의 사람의 왕래가 잦은 장소에서도 이동하는 사람이나 폭발물 등을 감시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무인 감시, 영상 기반, 대상 영상, 이동 여객, 화물

Description

무인 감시 방법, 장치 및 그 방법을 실행하는 프로그램이 기록된 기록매체{An unmanned monitoring method, apparatus and computer readable record-medium on which program for executing method thereof}
본 발명은 무인 감시 방법에 관한 것으로, 상세하게는 특정 영역을 촬영한 영상을 이용하여 해당 영역의 감시를 수행하는 무인 감시 방법, 장치 및 그 방법을 실행하는 프로그램이 기록된 기록매체에 관한 것이다.
최근 범죄가 다양해지고, 영국의 런던 지하철 테러 등의 무차별 테러가 발생함에 따라 범죄나 테러 방지를 위한 보안, 감시 분야의 중요성이 높아지고 있다. 보안 시스템의 대표적인 것이 카메라 장비를 이용하는 영상 기반의 감시 시스템이다.
최초에 카메라를 통해 얻은 영상을 바탕으로 다음 영상과의 차이를 검사하면 변화된 이미지를 얻을 수 있다. 이때 변화된 이미지가 없으면 아무 것도 움직인 것이 없는 것을 나타내고, 변화된 이미지가 있다면 움직이는 물체가 있다는 것을 의 미한다. 이러한 움직임 추적(motion tracking)은 기법 여러 도난 경비 시스템에 응용되고 있으며, 다양한 추적 및 인식 기술에도 응용되고 있다.
종래의 대부분의 기술은 화면상에 전면에 보이면서 움직이는 물체를 추출하고 인식하는 데에 집중되고 있다. 예를 들면, 사진을 찍을 때에 대부분이 배경의 변화에 관계없이 사람 또는 특정 대상에게 포커스가 맞춰지는 경향이 있다. 즉, 보안 감시 시스템 연구의 기술적 중심도 이러한 경향을 따라가고 있으므로 배경의 변화에 대한 연구는 적은 편이다.
그러나 이러한 기존의 감시 시스템은 다수의 사람들이 이동하는 공공 시설, 즉 공항 등에서는 전면에 보이는 물체를 인식하기 어려워 사람의 왕래가 잦은 곳에서 폭발물이나 산업 현장의 위험물을 카메라를 통해 탐지할 수 없는 문제점이 있었다.
한편, 기존의 감시 시스템은 항상 모니터링을 위한 사람이 배치되어야 하는 문제가 따르기 때문에 비용이 많이 소요되는 문제점이 있었다.
따라서 본 발명은 상술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안출된 것으로서, 본 발명은 다수의 사람의 왕래가 잦은 장소에서 이동하는 사람이나 폭발물 등을 감시하는 무인 감시 방법을 제공하기 위함이다.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은 모니터링을 위해 사람이 항상 배치될 필요가 없는 무인 감시 방법을 제공하는데 있다.
본 발명의 일 측면에 따르면, 무인 감시 방법이 개시된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무인 감시 방법은 (a) 상기 영역의 감시를 위한 기준으로서, 배경 영상을 저장하는 단계; (b) 상기 영역을 촬영한 대상 영상을 상기 배경 영상 및 상기 대상 영상 이전에 촬영한 이전 영상에 기초하여 정적 영역과 동적 영역을 추출하는 단계; 및 (c) 상기 동적 영역을 이동 여객으로 설정하고, 상기 이동 여객의 경로를 추적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상기 배경 영상은, 상기 소정의 영역이 감시 대상이 없는 상태로 확인된 시점에 촬영된 영상인 것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 할 수 있다.
상기 (b) 단계는, 상기 대상 영상의 프레임과 상기 배경 영상의 프레임을 통하여 제1 차영상을 획득하는 단계; 상기 이전 영상의 프레임과 상기 배경 영상의 프레임을 통하여 제2 차영상을 획득하는 단계; 및 상기 제1 차영상 및 상기 제2 차영상을 비교하여, 상기 대상 영상을 정적 영역과 동적 영역을 추출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
상기 (b) 단계는, 상기 대상 영상의 프레임과 상기 대상 영상 이전에 촬영된 이전 영상의 프레임을 통하여 동적 영역을 검출하는 단계; 및 상기 대상 영상 중에서, 상기 동적 영역을 제외한 영상과 상기 배경 영상을 비교하여 정적 영역을 검출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
상기 (c) 단계는, 상기 이동 여객의 행동 패턴을 산출하는 단계; 상기 산출 된 행동 패턴이 설정된 위험 행동 패턴에 대응하는 경우, 상기 이동 여객을 감시 대상 여객으로 설정하는 단계; 및 상기 감시 대상 여객의 이동 경로를 추적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
상기 (c) 단계는, 미리 설정된 보호 대상 여객의 식별 정보를 독출하는 단계; 상기 영역 내에 설치된 센서가 상기 이동 여객이 소지한 전자 여권에 부착된 전자 태그로부터 상기 이동 여객의 식별 정보를 수신하는 단계; 및 상기 보호 대상 여객 식별 정보와 상기 이동 여객의 식별 정보가 동일한 경우, 상기 이동 여객을 보호 대상 여객으로 설정하고, 상기 이동 여객의 경로를 추적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
상기 (c) 단계는, 상기 이동 여객에 대한 하나 이상의 특징점을 추출하는 단계; 상기 대상 영상 이후에 촬영되는 영상에서 상기 특징점에 대응하는 영역을 선택하는 단계; 및 상기 선택된 영역으로 상기 이동 여객이 이동된 것을 판단하고, 상기 이동 여객의 경로를 추적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
상기 무인 감시 방법은 상기 (c) 단계 이후에, 상기 정적 영역이 일정 시간 동안 동적인 변화가 없는 경우, 상기 정적 영역을 감시 대상 화물이 존재하는 화물 감시 영역으로 설정하는 단계를 더 포함 할 수 있다.
상기 무인 감시 장치는, 상기 여객 운송을 위한 영역 내에 설치된 센서가 상기 감시 대상 화물에 부착된 전자태그로부터 화물 식별 정보를 수신하는 경우, 상기 수신된 화물 식별 정보에 대응하는 상기 감시 대상 화물의 소유자 정보를 추출하고, 상기 추출된 소유자 정보를 상기 여객 운송을 위한 영역 내에 안내 시스템으 로 안내 방송을 요청하는 것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
상기 여객 운송을 위한 영역은, 공항, 항만, 지하철 및 터미널 중 어느 하나인 것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
상기 추적된 이동 여객의 경로 또는 상기 화물 감시 영역에 대한 정보는, 상기 여객 운송을 위한 영역에 대한 보안 요원의 이동통신 단말로 전송되는 것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
본 발명의 다른 측면에 따르면, 무인 감시 장치가 개시된다.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무인 감시 장치는 상기 영역의 감시를 위한 기준으로서, 배경 영상을 저장하는 저장부; 상기 영역을 촬영한 대상 영상을 상기 배경 영상 및 상기 대상 영상 이전에 촬영한 이전 영상에 기초하여 정적 영역과 동적 영역을 추출하는 영상 관리부; 및 상기 동적 영역을 이동 여객으로 설정하고, 상기 이동 여객의 경로를 추적하는 여객 관리부를 포함한다.
상기 배경 영상은, 상기 소정의 영역이 감시 대상이 없는 상태로 확인된 시점에 촬영된 영상인 것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
상기 영상 관리부는, 상기 대상 영상의 프레임과 상기 배경 영상의 프레임을 통하여 제1 차영상을 획득하고, 상기 이전 영상의 프레임과 상기 배경 영상의 프레임을 통하여 제2 차영상을 획득하고, 상기 제1 차영상 및 상기 제2 차영상을 비교하여, 상기 대상 영상을 정적 영역과 동적 영역을 추출하는 것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
상기 영상 관리부는, 상기 대상 영상의 프레임과 상기 대상 영상 이전에 촬영된 이전 영상의 프레임을 통하여 동적 영역을 검출하고, 상기 대상 영상 중에서, 상기 동적 영역을 제외한 영상과 상기 배경 영상을 비교하여 정적 영역을 검출하는 것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
상기 여객 관리부는, 상기 이동 여객의 행동 패턴을 산출하고, 상기 산출된 행동 패턴이 설정된 위험 행동 패턴에 대응하는 경우, 상기 이동 여객을 감시 대상 여객으로 설정하고, 상기 감시 대상 여객의 이동 경로를 추적하는 것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
상기 여객 관리부는, 미리 설정된 보호 대상 여객 식별 정보를 독출하고, 상기 영역 내에 설치된 센서가 상기 이동 여객이 소지한 전자 여권에 부착된 전자 태그로부터 상기 이동 여객의 식별 정보를 수신하고, 상기 보호 대상 여객 식별 정보와 상기 이동 여객의 식별 정보가 동일한 경우, 상기 이동 여객을 보호 대상 여객으로 설정하고, 상기 이동 여객의 경로를 추적하는 것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
상기 여객 관리부는, 상기 이동 여객에 대한 하나 이상의 특징점을 추출하고, 상기 대상 영상 이후에 촬영되는 영상에서 상기 특징점에 대응하는 영역을 선택하고, 상기 선택된 영역으로 상기 이동 여객이 이동된 것을 판단하여, 상기 이동 여객의 경로를 추적하는 것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
상기 무인 감시 장치는 상기 정적 영역이 일정 시간 동안 동적인 변화가 없는 경우, 상기 정적 영역을 감시 대상 화물이 존재하는 화물 감시 영역으로 설정하는 화물 관리부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
상기 무인 감시 장치는, 상기 여객 운송을 위한 영역 내에 설치된 센서가 상기 감시 대상 화물에 부착된 전자태그로부터 화물 식별 정보를 수신하는 경우, 상기 수신된 화물 식별 정보에 대응하는 상기 감시 대상 화물의 소유자 정보를 추출하고, 상기 추출된 소유자 정보를 상기 여객 운송을 위한 영역 내에 안내 방송 시스템으로 안내 방송을 요청하는 것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
상기 여객 운송을 위한 영역은, 공항, 항만, 지하철 및 터미널 중 어느 하나인 것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
상기 추적된 이동 여객의 경로 또는 상기 화물 감시 영역에 대한 정보는, 상기 여객 운송을 위한 영역에 대한 보안 요원의 이동통신 단말로 전송되는 것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
따라서 본 발명은 다수의 사람의 왕래가 잦은 장소에서도 이동하는 사람이나 폭발물 등을 감시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또한, 본 발명은 모니터링을 위해 사람이 항상 배치될 필요가 없어 비용 및 노력을 절감할 수 있는 효과도 있다.
본 발명은 다양한 변경을 가할 수 있고 여러 가지 실시예를 가질 수 있는 바, 특정 실시예들을 도면에 예시하고 상세한 설명에 상세하게 설명하고자 한다. 그러나, 이는 본 발명을 특정한 실시 형태에 대해 한정하려는 것이 아니며, 본 발명의 사상 및 기술 범위에 포함되는 모든 변경, 균등물 내지 대체물을 포함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제2, 제1 등과 같이 서수를 포함하는 용어는 다양한 구성요소들을 설명하는데 사용될 수 있지만, 상기 구성요소들은 상기 용어들에 의해 한정되지는 않는다. 상기 용어들은 하나의 구성요소를 다른 구성요소로부터 구별하는 목적으로만 사용된다. 예를 들어, 본 발명의 권리 범위를 벗어나지 않으면서 제2 구성요소는 제1 구성요소로 명명될 수 있고, 유사하게 제1 구성요소도 제2 구성요소로 명명될 수 있다. 및/또는 이라는 용어는 복수의 관련된 기재된 항목들의 조합 또는 복수의 관련된 기재된 항목들 중의 어느 항목을 포함한다.
어떤 구성요소가 다른 구성요소에 "연결되어" 있다거나 "접속되어" 있다고 언급된 때에는, 그 다른 구성요소에 직접적으로 연결되어 있거나 또는 접속되어 있을 수도 있지만, 중간에 다른 구성요소가 존재할 수도 있다고 이해되어야 할 것이다. 반면에, 어떤 구성요소가 다른 구성요소에 "직접 연결되어" 있다거나 "직접 접속되어" 있다고 언급된 때에는, 중간에 다른 구성요소가 존재하지 않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할 것이다.
본 출원에서 사용한 용어는 단지 특정한 실시예를 설명하기 위해 사용된 것으로, 본 발명을 한정하려는 의도가 아니다. 단수의 표현은 문맥상 명백하게 다르게 뜻하지 않는 한, 복수의 표현을 포함한다. 본 출원에서, "포함하다" 또는 "가지다" 등의 용어는 명세서상에 기재된 특징,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이 존재함을 지정하려는 것이지, 하나 또는 그 이상의 다른 특징들이나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들의 존재 또는 부가 가능성을 미리 배제하지 않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다르게 정의되지 않는 한, 기술적이거나 과학적인 용어를 포함해서 여기서 사용되는 모든 용어들은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해 일반적으로 이해되는 것과 동일한 의미를 가지고 있다. 일반적으로 사용되는 사전에 정의되어 있는 것과 같은 용어들은 관련 기술의 문맥 상 가지는 의미와 일치하는 의미를 가지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하며, 본 출원에서 명백하게 정의하지 않는 한, 이상적이거나 과도하게 형식적인 의미로 해석되지 않는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에 따른 바람직한 실시예를 상세히 설명하되, 도면 부호에 관계없이 동일하거나 대응하는 구성 요소는 동일한 참조 번호를 부여하고 이에 대한 중복되는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
본 발명은 여객 운송을 위한 영역, 예를 들어 공항, 항만, 지하철 및 터미널 등의 장소에서 영상을 기반으로 하는 감시 방법에 관한 것이다. 특히, 본 발명은 USN(Ubiquitous Sensor Network) 환경에서 센서들(후술할 감지 카메라 등)로부터 수신된 영상 정보를 분석하고, 특정 화물이나 여객의 선정하여 감시 및 추적하는 것이다.
상세하게는, 본 발명에서는, 하나 이상의 센서(영상 촬영을 위한 카메라 등)가 상술한 영역에 설치되며, 무인 감시 장치는 센서들로부터 촬영된 영상을 수신한 다. 그 후, 무인 감시 장치는 수신된 영상을 분석하여 특정 여객의 이동을 추적하거나, 특정 화물을 감시한다.
이하, 도 1을 참조하여 무인 감시 장치를 포함하는 무인 감시 시스템에 관하여 설명하도록 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무인 감시를 위한 시스템도이다.
도 1을 참조하면, 무인 감시를 위한 시스템은 무인 감시 장치(100), 하나 이상의 감시 카메라(110), 보안 요원의 단말 및 사용자 단말을 포함한다.
감시 카메라(110)는 특정 영역을 촬영하는 영상 획득 수단이다. 예를 들어, 디지털 카메라, 캠코더 등을 포함한다. 감시 카메라(110)는 여객 운송을 위한 영역에 설치된다.
본 명세서에서는 감시 카메라(110)는 정지 영상이나 동영상을 촬영할 수 있는 디지털 카메라를 예로서 설명하나, 촬영에 의하여 영상을 획득할 수 있는 모든 장치가 포함된다.
또한, 감시 카메라(110)는 무인 감시 장치(100)와 구분되는 별도의 수단으로 설명하나, 본 발명은 이에 한정되지 아니한다. 즉, 감시 카메라(110)는 무인 감시 장치(100)에 포함되는 촬영 수단으로, 무인 감시 장치(100)의 일 기능부로서 구현될 수 있다.
무인 감시 장치(100)는 소정의 영역(즉, 미리 설정된 배경 영상의 영역)에 대한 여객의 움직임이나 특정 화물의 위치를 감시한다. 무인 감시 장치(100)는 감 시 카메라(110)가 촬영한 영상으로부 정적 영역과 동적 영역을 추출한다. 그리고 무인 감시 장치(100)는 정적 영역으로부터 특정 화물을 감시하고, 동적 영역으로부터 특정 여객의 움직임, 즉 이동 경로를 추적한다.
상세하게는, 무인 감시 장치(100)는 영상 관리부(120), 여객 관리부(130), 화물 관리부(140) 및 저장부(150)를 포함할 수 있다.
영상 관리부(120)는 감시 카메라(110)가 촬영한 영상을 관리한다. 상세하게는, 영상 관리부(120)는 감시하여야 하는 영역을 촬영한 대상 영상으로부터 정적 영역과 동적 영역을 추출한다. 여기서, 대상 영상은 감시를 위한 영역을 촬영한 영상이다. 본 명세서에서는 이해와 설명의 편의를 위하여 정적 영역과 동적 영역을 추출하는 영상을 대상 영상, 대상 영상보다 시간적으로 이전 촬영된 영상을 이전 영상이라 칭하기로 한다.
영상 관리부(120)는 배경 영상과 이전 영상에 기초하여 대상 영상으로부터 정적 영역과 동적 영역을 추출한다. 여기서, 배경 영상은 해당 영역이 감시 대상이 없는 상태로 확인된 시점에 촬영된 영상이다. 예를 들어, 배경 영상은 공항에서 사람이나 화물이 전혀 없고, 단순히 공항의 자체의 시설만 있는 때에 촬영된 영상이다. 또한, 정적 영역은 배경 영상 이외에 소정의 시간 동안 변화가 없는 영역, 즉 소유자가 방치한 화물을 포함하는 영역이다. 그리고 동적 영역은 시간의 경과에 따라, 촬영된 영상마다 변경되는 영역이다. 즉 동적 영역은 공항이나 지하철에서 사람들이 움직이는 영역일 수 있다.
영상 관리부(120)가 대상 영상으로부터 동적 영역과 정적 영역을 추출하는 자세한 과정은 도 2의 설명에서 자세히 설명하도록 한다.
여객 관리부(130)는 감시를 위한 영역(이하, "배경 영상의 영역"이라 칭함)에서 움직이는 여객들의 영상을 관리한다. 상세하게는 여객 관리부(130)는 상술한 영상 관리부(120)에 의하여 추출된 동적 영역을 추적한다. 따라서 여객 관리부(130)는 동적 영역, 즉 이동하는 여객들의 경로 추적한다.
여객 관리부(130)는 미리 설정된 해동 패턴, 즉 수상한 행동이나 위험한 행동의 특징점을 포함하는 행동 패턴을 이용하여 특정 여객을 감시 대상 여객으로 설정할 수 있다. 또한, 여객 관리부(130)는 미리 설정된 보호 대상 여객의 식별 정보(예를 들어, 이름이나 전자 여권 번호, 주민등록번호, 지문이나 홍체 등의 생체 정보 등)와 이동 중인 여객(이하, "이동 여객"이라 칭함)의 식별 정보를 비교하여 해당 이동 여객을 보호 대상 여객으로 설정할 수 있다. 그리고 여객 관리부(130)는 감시 대상 여객이나 보호 대상 여객으로 설정된 이동 여객의 경로를 추적할 수 있다.
여객 관리부(130)가 이동 여객을 감시 대상 여객이나 보호 대상 여객으로 설정하고, 설정된 이동 여객의 경로를 추적하는 내용에 대해서는 도 3의 설명에서 자세히 설명하도록 한다
화물 관리부(140)는 대상 영상 중에서 상술한 영상 관리부(120)가 추출한 정적 영역을 관리한다. 여기서 정적 영역은 대상 영상 중에서, 배경 영상에 포함되지 않고 소정의 시간 동안 동적인 변화가 없는 영역을 의미한다.
예를 들어, 공항의 시설물(의자나 시계탑 등)은 배경 영상에서 포함되므로 정적 영역에 속하지 않는다. 공항에서 특정 사람이 화물(가방 등)을 의자 밑에 두고 간 경우를 가정하자. 해당 화물이 소정의 시간 동안 이동하지 않는 경우, 정적 영역은 해당 화물을 포함하는 영역일 수 있다. 이 경우, 해당 화물은 분실물이거나 테러를 위한 폭발물일 가능성이 있기 때문에 본 발명의 무인 감시 장치(100)는 해당 화물을 정적 영역으로 감시한다.
저장부(150)는 무인 감시 장치(100)의 전반적인 동작을 제어하는 소정의 프로그램 및 입출력되는 데이터 및 처리되는 각종 데이터를 저장할 수 있다.
또한, 저장부(150)는 상술한 영상 관리부(120)가 대상 영상으로부터 정적 영역과 동적 영역을 추출하는데 필요한 배경 영상을 저장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저장부(150)는 이동 여객이 감시 대상 여객인지, 보호 대상 여객인지 여부를 판단하기 위해 필요한 행동 패턴 정보 또는 감시 대상 여객으로 분류된 사람의 식별 정보를 저장할 수 있다.
또한, 저장부(150)는 다수의 감시해야될 영역의 촬영 영상(즉, 이전 영상이나 대상 영상 포함)을 저장할 수 있다.
저장부(150)는 상술한 영상 관리부(120) 등으로부터 요청되는 정보를 저장 영역으로부터 독출하여 제공할 수 있으며, 이에 대해서는 저장 영역의 포인터를 이용하는 등 다양한 방법으로 구현될 수 있음은 당업자에게 자명하다.
본 명세서에서 영상 관리부(120), 여객 관리부(130), 화물 관리부(140) 및 저장부(150)는 기능적으로 표현하였다. 즉, 각각의 기능부는 분리되어 표현되어 있다. 그러나 이는 설명의 편의를 위함이며, 각 기능부는 하나의 회로(하나의 논리부 로서 마이크로 회로) 내에 구현될 수 있다.
무인 감시 장치(100)는 감시 대상 화물에 대한 정보나, 특정 이동 여객의 경로에 대한 정보(감시 대상 여객, 보호 대상 여객이나 수상한 행동을 하는 여객의 경로 정보 등)을 보안 요원의 이동통신 단말이나 관리자의 단말로 전송할 수 있다.
보안 요원은 공항 등에서 주재하는 테러 방지 요원, 폭탄 해체 요원, 경비 요원, 관리 요원(항공사 직원 포함)을 포함할 수 있다. 여기서, 보안 요원의 이동통신 단말은 PDA(Personal Digital Assistant), 셀룰러폰, PCS(Personal Communication Service)폰, WCDMA폰, CDMA-2000폰, MBS(Mobile Broad and System)폰 뿐만 아니라 핸드헬드 PC(Hand-Held PC) 및 노트북 PC(Notebook PC) 등과 같이 무선 인터넷망과 통신하는 휴대 단말을 포함한다.
보안 요원은 무인 감시 장치(100)로부터 감시의 결과에 대한 정보(감시 화물에 대한 정보나 특정 여객의 이동 경로에 대한 정보 등)를 수신하고, 수신된 정보에 기반하여 훈련된 행동(테러 방지 대책이나 의심되는 화물의 처리 등)을 수행한다.
관리자의 단말은 상술한 PDA(Personal Digital Assistant), 셀룰러폰, PCS(Personal Communication Service)폰, WCDMA폰, CDMA-2000폰, MBS(Mobile Broad and System)폰 뿐만 아니라, 핸드헬드 PC(Hand-Held PC), 노트북 PC(Notebook PC) 및 PC(Personal Computer) 등과 같이 유무선 인터넷망과 통신하는 단말을 포함한다.
관리자의 단말은 표시 장치(LCD 모니터 등)으로부터 상술한 감시의 결과에 대한 정보를 디스플레이한다. 관리자는 이를 주시하여 무인화 시스템에서 간과될 수 있는 위험을 2차적으로 방어할 수 있다.
본 명세서에서는 감시 카메라(110), 무인 감시 장치(100), 관리자의 단말(160)이 각각 구분되어 구현되는 것으로 설명하였으나, 본 발명은 이에 한정되지 아니하고 감시 카메라(110), 무인 감시 장치(100), 관리자의 단말(160)이 하나의 장비를 통하여 구현될 수 있다.
지금까지 도 1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무인 감시를 위한 시스템 및 무인 감시 장치(100)를 설명하였다. 이하, 도 2를 참조하여 무인 감시 방법에 대해서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무인 감시 과정을 설명하기 위한 순서도이다.
본 발명은 USN 환경 하에서 무인 감시 장치(100)가 수집된 영상을 분석하여 특정 이동 여객 및 화물을 선정한다. 그리고 무인 감시 장치(100)는 해당 이동 여객의 경로를 추적하거나 해당 화물의 감시한다.
이하, 도 2를 참조하여 무인 감시 방법에 대하여 자세히 설명하도록 한다.
단계 S201에서, 무인 감시 장치(100)는 배경 영상을 저장한다. 여기서, 배경 영상은 감시 대상이 없는 상태로 확인된 시점에서 촬영된 영상이다. 상세하게는, 배경 영상은 최초 무인 감시 시스템의 설치시, 또는 감시 영역에서 동적인 물체가 없는 상태로 정리가 완료된 시점에 촬영된 영상이다. 즉, 배경 영상은 사람의 왕래 가 없고 보안 점검이 완료된 이후에 카메라를 통해 획득된 영상일 수 있다. 이러한 배경 영상은 감시 영역이 변경되거나, 감시 영역의 초기 배치가 달라지는 경우가 발생하면 갱신 저장한다.
무인 감시 장치(100)는 이러한 배경 영상을 미리 촬영하여 저장한다. 그리고 무인 감시 장치(100)는 이후에 영상 분석을 위한 기준으로 배경 영상을 이용한다.
이어서, 단계 S203에서, 무인 감시 장치(100)는 촬영된 대상 영상을 수집한다. 무인 감시 장치(100)는 USN 환경 하에서 센서들(카메라 등)이 촬영한 영상을 수집한다.
대상 영상은 본 발명의 감시를 위한 영상 분석의 대상이 된다. 따라서 본 명세서는 대상 영상을 기준으로 이동 여객이나 화물의 감시를 수행하는 것을 예로서 설명한다.
이어서, 단계 S205에서, 무인 감시 장치(100)는 대상 영상으로부터 정적 영역과 동적 영역을 추출한다. 여기서, 동적 영역은 배경 영상에 없는 객체로서, 이전 영상과 대상 영상 사이에 변화가 있는 영역을 의미한다. 또한, 정적 영역은 배경 영상에 없는 객체로서, 이전 영상과 대상 영상에서 동일한 영역을 의미한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무인 감시 장치(100)는 대상 영상의 프레임과 배경 영상의 프레임을 편차를 이용하여 차영상(이하, "제1 차영상"이라 칭함)을 획득한다. 그리고 무인 감시 장치(100)는 이전 영상과 배경 영상의 프레임의 편차를 이용하여 차영상(이하, "제2 차영상"이라 칭함)을 획득한다. 그 후, 무인 감시 장치(100)는 제1 차영상과 제2 차영상을 비교한다. 그 비교 결과, 무인 감시 장 치(100)는 동일한 부분은 정적 영역으로, 차이(소정의 기준치 이상의 차이로 설정 가능)가 있는 부분은 동적 영역으로 추출한다.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르면, 무인 감시 장치(100)는 대상 영상의 프레임과 이전 영상의 프레임을 통하여 동적 영역을 검출한다. 그리고 무인 감지 장치는 대상 영상에서 검출된 동적 영역을 제외한 영상과 배경 영상을 비교한다. 그 비교 결과, 무인 감시 장치(100)는 동일하지 않는 영역, 즉 차이가 나는 영역을 정적 영역으로 검출한다.
상술한 예와 같이, 무인 감시 장치(100)는 이전 영상과 배경 영상에 기초하여 대상 영상으로부터 동적 영역과 정적 영역을 추출할 수 있다.
이하, 무인 감시 장치(100)가 동적 영역과 정적 영역에 대해 수행하는 영상 분석에 대하여 구분하여 설명하도록 한다.
우선, 단계 S207에서, 무인 감시 장치(100)는 동적 영역을 이동 여객으로 설정한다. 즉, 무인 감시 장치(100)는 동적 영역을 이동 여객이 이동하는 것으로 판단하고, 동적 영역의 이동을 여객의 이동으로 판단할 수 있다.
이어서, 단계 S209에서, 무인 감시 장치(100)는 이동 여객이 감시 대상 여객이나 보호 대상 여객인지 여부를 판단한다.
여기서, 감시 대상 여객은 수상한 행동을 하는 자를 의미한다. 즉, 무인 감시 장치(100)는 총으로 판단되는 물건을 감지하거나, 이동 여객이 폭탄의 설치 행동으로 판단되는 경우에는 해당 여객을 감시 대상 여객으로 판단한다.
상세하게는, 무인 감시 장치(100)는 이동 여객의 행동 패턴을 산출한다. 여 기서, 행동 패턴은 이동 여객의 에지(Edge)를 산출하고, 산출된 에지 중에서 일정한 간격으로 추출한 특징점들의 움직임일 수 있다.
그 후, 무인 감시 장치(100)는 이동 여객의 행동 패턴과 미리 설정된 위험 행동 패턴을 비교한다. 여기서, 위험 행동 패턴은 상술한 폭탄 설치 등과 같이 수상한 행동이나 위험한 행동의 행동 패턴으로 저장 영역에 미리 저장되어 있다.
그리고 무인 감시 장치(100)는 이동 여객의 행동 패턴이 위험 행동 패턴에 대응되는 경우, 해당 이동 여객을 감시 대상 여객으로 설정한다.
한편, 보호 대상 여객은 각국 대통령 등의 귀빈과 같이 경호가 필요한 사람을 의미한다. 이러한 무인 감시 장치(100)는 보호 대상 여객에 대한 정보를 저장 영역에 저장할 수 있다.
무인 감시 장치(100)는 보호 대상 여객의 식별 정보를 저장 영역으로부터 독출한다. 그리고 무인 감시 장치(100)는 공항 등의 영역 내에 설치된 센서들로부터 이동 여객의 식별정보를 수신한다. 이때, 이동 여객의 식별 정보는 해당 이동 여객이 가지고 있는 전자 여권에 부착된 전자 태그로부터 수신(RFID 등의 근거리 무선 통신 기술 이용)된 식별 정보일 수 있다.
그 후, 무인 감시 장치(100)는 보호 대상 여객의 식별 정보 및 이동 여객의 식별 정보를 비교한다. 그리고 무인 감시 장치(100)는 동일한 사람으로 판단되는 경우, 해당 이동 여객을 보호 대상 여객으로 설정한다.
본 명세서에서는 이해와 편의를 위하여 식별 정보를 이용하여 이동 여객을 보호 대상 여객으로 설정하는 방법을 귀빈과 같이 경호가 필요한 인물로 설명하였 다. 그러나 본 발명은 상술한 감시 대상 여객을 설정하는 경우에도 흉악범이나 테러리스트, 출입국이 금지된 자에 대해서도 미리 저장된 식별정보를 이용하여 동일한 방법을 이용하는 것을 포함한다. 즉, 본 발명의 무인 감시 장치(100)는 흉악범 등의 식별정보와 이동 여객의 식별 정보를 비교하여, 동일한 경우 해당 이동 여객을 감시 대상 여객으로 설정할 수도 있다.
이어서, 단계 S211 및 단계 S213에서, 무인 감시 장치(100)는 이동 여객의 특징점을 추출한다(S211). 그리고 무인 감시 장치(100)는 추출된 특징점을 이용하여 이동 여객의 경로를 추적한다(S213).
여기서, 특징점은 상술한 이동 여객의 에지를 산출하고 특징점을 추출할 수도 있다. 혹은 이동 여객의 얼굴 부위를 특정하고, 얼굴의 특징점을 추출할 수도 있다. 상세하게는, 이동 여객의 식별에 중요 부위인 얼굴 부위만을 유효한 데이터로 인식하고, 얼굴 부위를 추출한다. 예를 들어, 영상 데이터의 프레임별 각 픽셀들의 RGB 색상을 파악하고, 각 픽셀들의 RGB 색상을 HSV(Hue-Saturation-Value) 색상 공간의 HS(Hue/Saturation) 색상 값으로 변환시켜 추출할 수 있다. 무인 감시 장치(100)는 추출된 얼굴 부위에서 눈, 코, 입술, 귀의 위치 및 가장자리의 특징점을 추출할 수 있다.
그리고 무인 감시 장치(100)는 시간적으로 대상 영상 이후에 촬영된 영상(이하, "이후 영상"이라 칭함)에서, 추출된 특징점에 대응하는 영역을 선택한다. 무인 감시 장치(100)는 이후 영상에서도, 대상 영상에서 수행한 정적 영역과 동적 영역의 추출을 수행하고, 해당 특징점에 대응하는 영역을 선택할 수 있다.
이후, 무인 감시 장치(100)는 이동 여객이 선택된 영역으로 이동한 것으로 판단한다. 이러한 과정을 반복적으로 수행함으로써, 무인 감시 장치(100)는 이동 여객의 경로를 추적할 수 있다.
이로써, 본 발명에 따르면, 무인 감시 장치(100)는 수상한 행동을 하는 여객, 흉악범, 테러범이나 보호가 필요한 사람을 감시 대상 여객이나 보호 대상 여객으로 설정하여 경로를 추적할 수 있다.
한편, 단계 S215에서, 무인 감시 장치(100)는 정적 영역이 일정 시간 동안 동적인 변화가 없는지 여부를 판단한다.
여기서, 일정 시간은 화물이 소유자에 의하여 방치된 것으로 판단할 수 있을 만큼의 시간으로 설정한다. 일정 시간은 사용자에 의하여 설정 및 변경이 가능하다. 이는 감시 영역의 특성에 따라 다르게 설정될 수 있음은 당업자에게 자명하다.
이어서, 단계 S217에서, 무인 감시 장치(100)는 정적 영역을 화물 감시 영역으로 설정한다. 여기서, 화물 감시 영역은 분실물, 위험물, 폭발물 등의 존재를 검출하기 위하여 설정된 영역이다.
본 발명에서, 정적 영역은 배경 영상에는 포함되지 않고(즉, 공항 등에 원래 존재하던 시설물들은 포함하지 않고), 대상 영상 중에서 움직임이 없는 영역이다. 따라서 정적 영역이 일정 시간 동안 움직임이 없는 경우는, 소유자에 의하여 의도적으로, 혹은 실수로 방치된 화물일 가능성이 높다. 예를 들어, 무인 감시 장치(100)는 화물 감시 영역을 통하여 컨베이어에서 이동 중인 수하물이 바깥으로 떨어진 경우, 공항 등의 시설에서 폭발물로 의심되는 물건 등을 검출할 수 있다.
단계 S219에서, 무인 감시 장치(100)는 동적 영역을 이용하여 추적되는 이동 여객의 경로에 대한 정보를 보안 요원의 이동통신 단말이나 관리자의 단말로 전송한다. 또한, 무인 감시 장치(100)는 정적 영역을 이용하여 설정된 화물 감시 영역에 대한 정보를 보안 요원의 이동통신 단말이나 관리자의 단말로 전송한다.
보안 요원이나 관리자는 해당 수신 정보를 이용하여 정적 영역에 직접 가서 확인 및 대처를 수행할 수 있으며, 이동 여객을 주시하며 이동 여객의 행동에 대처할 수 있다.
또한, 무인 감시 장치(100)는 도면에 도시하지는 않았지만, 화물에 부착된 전자 태그로부터 공항 내에 설치된 센서들이 수집한 화물 식별 정보를 수신할 수 있다. 이 경우, 무인 감시 장치(100)는 수신된 화물 식별 정보로부터 소유자 정보를 추출한다. 그리고 무인 감시 장치(100)는 추출된 소유자 정보를 공항이나 항만 등의 안내 시스템으로 안내 방송을 요청할 수 있다. 이는 해당 화물이 분실물로 판단되어 수거된 경우에 유용하다.
지금까지 도 2를 참조하여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무인 감시 방법을 설명하였다. 이하, 도 3을 참조하여 동적 영역과 정적 영역에 대해서 예를 들어 자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동적 영역과 정적 영역을 설명하기 위한 예시도이다.
예시영상 310은 공항의 배경 영상의 예(310)이다. 배경 영상(310)은 공항이 나 항만 등이 여객 운송에 관련된 영역을 촬영한 영상 중에서, 감시 대상이 없는 상태로 확인된 시점에 촬영된 영상이다. 예를 들어, 배경 영상(310)은 공항에서 사람이나 화물이 전혀 없고, 단순히 공항의 자체의 시설만 있는 때에 촬영된 영상이다.
따라서 배경 영상(310)에서는 공항의 원래 존재하는 의자나 시계탑 등의 시설만 존재한다.
예시영상 320 및 330은 배경 영상(310)과 달리 여객의 이동이나 화물이 존재하는 시점에 촬영된 영상이다. 예시 영상 330은 예시 영상 320이 촬영된 이후에, 일정한 시간이 경과한 후에 촬영된 영상을 예시한다. 즉, 예시 영상 330을 대상 영상으로, 예시 영상 320을 이전 영상으로 설명하도록 한다.
무인 감시 장치(100)는 대상 영상(330)으로부터 정적 영역과 동적 영역을 추출한다. 무인 감시 장치(100)는 다양한 방법으로 동적 영역과 정적 영역을 추출할 수 있다.
한 예로, 무인 감시 장치(100)는 대상 영상(330)과 배경 영상(310)의 차영상(제1 차영상)을 획득한다. 즉, 제1 차영상은 예시 영상 330에서 가방과 사람 외에 나머지 객체가 제외된 영상이다.
그리고 무인 감시 장치(100)는 이전 영상(320)과 배경 영상(310)의 차영상(제2 차영상)을 획득한다. 즉, 제2 차영상은 예시 영상 320에서 가방과 사람 외에 나머지 객체가 제외된 영상이다.
그 후, 무인 감시 장치(100)는 제1 차영상 및 제2 차영상을 비교한다. 이때, 무인 감시 장치(100)는 차이가 있는 영역을 동적 영역으로, 동일한 영역을 정적 영역으로 추출한다. 즉, 예시 영상 330에서, 무인 감시 장치(100)는 사람을 동적 영역으로, 가방을 정적 영역으로 추출한다.
본 발명에 따르면, 무인 감시 장치(100)는 추출된 동적 영역을 이동 여객으로 설정하고, 해당 이동 여객의 경로를 추적하여 감시한다. 또한, 무인 감시 장치(100)는 추출된 정적 영역을 화물 영역으로 설정하고, 해당 화물이 방치된 화물인지 여부를 감시한다.
이로써, 본 발명에 따른 무인 감시 장치(100)는 이동 여객의 경로를 추적할 수 있고, 방치된 화물을 검출할 수 있다.
지금까지 도 3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동적 영역과 정적 영역을 설명하였다. 이하, 도 4를 참조하여 보안 요원 및 관리자의 단말로 제공되는 정보에 대해서 예를 들어 자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보안 요원 및 관리자의 단말로 제공되는 정보를 설명하기 위한 예시도이다.
예시도 410은 보안 요원의 이동통신 단말에 디스플레이되는 메시지를 나타낸다. 여기서, 보안 요원의 이동통신 단말은 무인 감시 장치(100)로부터 화물 감시 영역에 관한 정보나 이동 여객의 경로에 대한 정보를 수신한다. 그리고 이동통신 단말은 수신된 정보를 표시 영역을 통하여 디스플레이한다. 예시도 410을 참조하면, 이동통신 단말은 화물 감시 영역에 대하여 방치된 화물의 위치나 방치된 시간 에 관한 정보를 디스플레이한다. 이때, 보안 요원은 해당 위치로 가서 해당 화물을 수거할 수 있다. 혹은 해당 화물이 폭발물로 의심되는 경우, 폭발물 전담 관리팀을 호출할 수도 있다.
예시도 420은 관리자 단말에 디스플레이되는 감시 화면이나 메시지를 나타낸다. 여기서, 관리자의 단말은 무인 감시 장치(100)로부터 감시 영상(대상 영상 등의 촬영된 영상, 동영상일 수도 있음)을 실시간으로 수신할 수 있다. 그리고 예시도 420을 참조하면, 무인 감시 장치(100)가 추적하는 이동 여객의 표시를 포함하는 감시 영상을 디스플레이할 수 있다. 그리고 무인 감시 장치(100)는 해당 이동 여객에 관한 정보(보호 대상 여객인지 감시 대상 여객인지 여부 등)를 더 디스플레이할 수 있다.
여기서, 관리자는 무인 감시 장치(100)의 제공하는 정보에 대응하여 보안 요원의 호출 등을 수행할 수 있으며, 본 발명의 무인 감시를 위해 필수적으로 관리자가 필요한 것이 아니나, 무인 감시 이후에 2차적인 감시를 수행할 수 있다.
본 발명은 또한 컴퓨터로 읽을 수 있는 기록매체에 컴퓨터가 읽을 수 있는 코드로서 구현하는 것이 가능하다. 컴퓨터가 읽을 수 있는 기록매체는 컴퓨터 시스템에 의하여 읽혀질 수 있는 데이터가 저장되는 모든 종류의 기록장치를 포함한다.
예를 들어, 컴퓨터가 읽을 수 있는 기록매체는 ROM, RAM, CD-ROM, 자기 테이프, 플라피디스크, 광데이터 저장장치 등을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캐리어 웨이브(예를 들어 인터넷을 통한 전송)의 형태로 구현되는 것도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컴퓨터가 읽을 수 있는 기록매체는 네트워크로 연결된 컴퓨터 시스템에 분산되어, 분산방식으로 컴퓨터가 읽을 수 있는 코드가 저장되고 실행될 수 있다.
그리고 본 발명을 구현하기 위한 기능적인(functional) 프로그램, 코드 및 코드 세그먼트들은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의 프로그래머들에 의해 용이하게 추론될 수 있다.
상기에서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참조하여 설명하였지만, 해당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하기의 특허 청구의 범위에 기재된 본 발명의 사상 및 영역으로부터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본 발명을 다양하게 수정 및 변경시킬 수 있음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무인 감시를 위한 시스템도.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무인 감시 과정을 설명하기 위한 순서도.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동적 영역과 정적 영역을 설명하기 위한 예시도.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보안 요원 및 관리자의 단말로 제공되는 정보를 설명하기 위한 예시도.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00: 무인 감시 장치 110: 감시 카메라
120: 영상 관리부 130: 여객 관리부
140: 화물 관리부 150: 저장부
160: 관리자의 단말 170: 보안 요원의 단말
310: 배경 영상 320: 이전 영상
330: 대상 영상 410: 보안 요원의 이동통신 단말
420: 관리자의 단말

Claims (22)

  1. 무인 감시 장치가 영상을 기반으로 여객 운송을 위한 영역을 감시하는 방법에 있어서,
    (a) 상기 영역의 감시를 위한 기준으로서, 배경 영상을 저장하는 단계;
    (b) 상기 영역을 촬영한 대상 영상을 상기 배경 영상 및 상기 대상 영상 이전에 촬영한 이전 영상에 기초하여 정적 영역과 동적 영역을 추출하는 단계; 및
    (c) 상기 동적 영역을 이동 여객으로 설정하고, 상기 이동 여객의 경로를 추적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무인 감시 방법.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배경 영상은,
    상기 소정의 영역이 감시 대상이 없는 상태로 확인된 시점에 촬영된 영상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무인 감시 방법.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b) 단계는,
    상기 대상 영상의 프레임과 상기 배경 영상의 프레임을 통하여 제1 차영상을 획득하는 단계;
    상기 이전 영상의 프레임과 상기 배경 영상의 프레임을 통하여 제2 차영상을 획득하는 단계; 및
    상기 제1 차영상 및 상기 제2 차영상을 비교하여, 상기 대상 영상을 정적 영역과 동적 영역을 추출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무인 감시 방법.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b) 단계는,
    상기 대상 영상의 프레임과 상기 대상 영상 이전에 촬영된 이전 영상의 프레임을 통하여 동적 영역을 검출하는 단계; 및
    상기 대상 영상 중에서, 상기 동적 영역을 제외한 영상과 상기 배경 영상을 비교하여 정적 영역을 검출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무인 감시 방법.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c) 단계는,
    상기 이동 여객의 행동 패턴을 산출하는 단계;
    상기 산출된 행동 패턴이 설정된 위험 행동 패턴에 대응하는 경우, 상기 이 동 여객을 감시 대상 여객으로 설정하는 단계; 및
    상기 감시 대상 여객의 이동 경로를 추적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무인 감시 방법.
  6. 제1항에 있어서,
    상기 (c) 단계는,
    미리 설정된 보호 대상 여객의 식별 정보를 독출하는 단계;
    상기 영역 내에 설치된 센서가 상기 이동 여객이 소지한 전자 여권에 부착된 전자 태그로부터 상기 이동 여객의 식별 정보를 수신하는 단계; 및
    상기 보호 대상 여객 식별 정보와 상기 이동 여객의 식별 정보가 동일한 경우, 상기 이동 여객을 보호 대상 여객으로 설정하고, 상기 이동 여객의 경로를 추적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무인 감시 방법.
  7. 제1항에 있어서,
    상기 (c) 단계는,
    상기 이동 여객에 대한 하나 이상의 특징점을 추출하는 단계;
    상기 대상 영상 이후에 촬영되는 영상에서 상기 특징점에 대응하는 영역을 선택하는 단계; 및
    상기 선택된 영역으로 상기 이동 여객이 이동된 것을 판단하고, 상기 이동 여객의 경로를 추적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무인 감시 방법.
  8. 제1항에 있어서,
    상기 (c) 단계 이후에,
    상기 정적 영역이 일정 시간 동안 동적인 변화가 없는 경우, 상기 정적 영역을 감시 대상 화물이 존재하는 화물 감시 영역으로 설정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무인 감시 방법.
  9. 제8항에 있어서,
    상기 무인 감시 장치는,
    상기 여객 운송을 위한 영역 내에 설치된 센서가 상기 감시 대상 화물에 부착된 전자태그로부터 화물 식별 정보를 수신하는 경우, 상기 수신된 화물 식별 정보에 대응하는 상기 감시 대상 화물의 소유자 정보를 추출하고, 상기 추출된 소유자 정보를 상기 여객 운송을 위한 영역 내에 안내 시스템으로 안내 방송을 요청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무인 감시 방법.
  10.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여객 운송을 위한 영역은,
    공항, 항만, 지하철 및 터미널 중 어느 하나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무인 감시 방법.
  11. 제1항 또는 제8항에 있어서,
    상기 추적된 이동 여객의 경로 또는 상기 화물 감시 영역에 대한 정보는,
    상기 여객 운송을 위한 영역에 대한 보안 요원의 이동통신 단말로 전송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무인 감시 방법.
  12. 영상을 기반으로 여객 운송을 위한 영역을 감시하는 무인 감시 장치에 있어서,
    상기 영역의 감시를 위한 기준으로서, 배경 영상을 저장하는 저장부;
    상기 영역을 촬영한 대상 영상을 상기 배경 영상 및 상기 대상 영상 이전에 촬영한 이전 영상에 기초하여 정적 영역과 동적 영역을 추출하는 영상 관리부; 및
    상기 동적 영역을 이동 여객으로 설정하고, 상기 이동 여객의 경로를 추적하는 여객 관리부를 포함하는 무인 감시 장치.
  13. 제12항에 있어서,
    상기 배경 영상은,
    상기 소정의 영역이 감시 대상이 없는 상태로 확인된 시점에 촬영된 영상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무인 감시 장치.
  14. 제12항에 있어서,
    상기 영상 관리부는,
    상기 대상 영상의 프레임과 상기 배경 영상의 프레임을 통하여 제1 차영상을 획득하고,
    상기 이전 영상의 프레임과 상기 배경 영상의 프레임을 통하여 제2 차영상을 획득하고,
    상기 제1 차영상 및 상기 제2 차영상을 비교하여, 상기 대상 영상을 정적 영역과 동적 영역을 추출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무인 감시 장치.
  15. 제12항에 있어서,
    상기 영상 관리부는,
    상기 대상 영상의 프레임과 상기 대상 영상 이전에 촬영된 이전 영상의 프레 임을 통하여 동적 영역을 검출하고,
    상기 대상 영상 중에서, 상기 동적 영역을 제외한 영상과 상기 배경 영상을 비교하여 정적 영역을 검출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무인 감시 장치.
  16. 제12항에 있어서,
    상기 여객 관리부는,
    상기 이동 여객의 행동 패턴을 산출하고,
    상기 산출된 행동 패턴이 설정된 위험 행동 패턴에 대응하는 경우, 상기 이동 여객을 감시 대상 여객으로 설정하고,
    상기 감시 대상 여객의 이동 경로를 추적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무인 감시 장치.
  17. 제12항에 있어서,
    상기 여객 관리부는,
    미리 설정된 보호 대상 여객 식별 정보를 독출하고,
    상기 영역 내에 설치된 센서가 상기 이동 여객이 소지한 전자 여권에 부착된 전자 태그로부터 상기 이동 여객의 식별 정보를 수신하고,
    상기 보호 대상 여객 식별 정보와 상기 이동 여객의 식별 정보가 동일한 경 우, 상기 이동 여객을 보호 대상 여객으로 설정하고, 상기 이동 여객의 경로를 추적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무인 감시 장치.
  18. 제12항에 있어서,
    상기 여객 관리부는,
    상기 이동 여객에 대한 하나 이상의 특징점을 추출하고,
    상기 대상 영상 이후에 촬영되는 영상에서 상기 특징점에 대응하는 영역을 선택하고,
    상기 선택된 영역으로 상기 이동 여객이 이동된 것을 판단하여, 상기 이동 여객의 경로를 추적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무인 감시 장치.
  19. 제12항에 있어서,
    상기 정적 영역이 일정 시간 동안 동적인 변화가 없는 경우, 상기 정적 영역을 감시 대상 화물이 존재하는 화물 감시 영역으로 설정하는 화물 관리부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무인 감시 장치.
  20. 제19항에 있어서,
    상기 무인 감시 장치는,
    상기 여객 운송을 위한 영역 내에 설치된 센서가 상기 감시 대상 화물에 부착된 전자태그로부터 화물 식별 정보를 수신하는 경우, 상기 수신된 화물 식별 정보에 대응하는 상기 감시 대상 화물의 소유자 정보를 추출하고, 상기 추출된 소유자 정보를 상기 여객 운송을 위한 영역 내에 안내 방송 시스템으로 안내 방송을 요청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무인 감시 장치.
  21. 제12항에 있어서,
    상기 여객 운송을 위한 영역은,
    공항, 항만, 지하철 및 터미널 중 어느 하나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무인 감시 장치.
  22. 제12항 또는 제19항에 있어서,
    상기 추적된 이동 여객의 경로 또는 상기 화물 감시 영역에 대한 정보는,
    상기 여객 운송을 위한 영역에 대한 보안 요원의 이동통신 단말로 전송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무인 감시 장치.
KR1020080062007A 2008-06-27 2008-06-27 무인 감시 방법, 장치 및 그 방법을 실행하는 프로그램이기록된 기록매체 KR20100001913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80062007A KR20100001913A (ko) 2008-06-27 2008-06-27 무인 감시 방법, 장치 및 그 방법을 실행하는 프로그램이기록된 기록매체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80062007A KR20100001913A (ko) 2008-06-27 2008-06-27 무인 감시 방법, 장치 및 그 방법을 실행하는 프로그램이기록된 기록매체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00001913A true KR20100001913A (ko) 2010-01-06

Family

ID=4181216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80062007A KR20100001913A (ko) 2008-06-27 2008-06-27 무인 감시 방법, 장치 및 그 방법을 실행하는 프로그램이기록된 기록매체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100001913A (ko)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401101B1 (ko) * 2012-12-20 2014-05-28 한국항공우주연구원 시각 센서를 이용한 쉘터 내 침입 및 화재 감시 시스템 및 방법
CN113743545A (zh) * 2020-05-29 2021-12-03 杭州海康威视数字技术股份有限公司 行李托运管理系统、方法、装置、服务器及存储介质
CN113743545B (zh) * 2020-05-29 2024-06-04 杭州海康威视数字技术股份有限公司 行李托运管理系统、方法、装置、服务器及存储介质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401101B1 (ko) * 2012-12-20 2014-05-28 한국항공우주연구원 시각 센서를 이용한 쉘터 내 침입 및 화재 감시 시스템 및 방법
CN113743545A (zh) * 2020-05-29 2021-12-03 杭州海康威视数字技术股份有限公司 行李托运管理系统、方法、装置、服务器及存储介质
CN113743545B (zh) * 2020-05-29 2024-06-04 杭州海康威视数字技术股份有限公司 行李托运管理系统、方法、装置、服务器及存储介质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7973656B2 (en) Suspicious activity detection apparatus and method, and program and recording medium
KR100962529B1 (ko) 객체 추적 방법
US20070122003A1 (en) System and method for identifying a threat associated person among a crowd
US20090268030A1 (en) Integrated video surveillance and cell phone tracking system
KR102039279B1 (ko) 영상 인식을 이용한 경찰 업무 지원 시스템 및 그 방법
US20210312774A1 (en) Video monitoring system with privacy features
US20160350583A1 (en) Image search system and image search method
JP2009500743A (ja) 携帯可能なハンドヘルド型のセキュリティ装置
US9640003B2 (en) System and method of dynamic subject tracking and multi-tagging in access control systems
US10419728B2 (en) Monitoring system having personal information protection function and method thereof
US20210326563A1 (en) Electronic fingerprint device for identifying perpetrators and witnesses of a crime and method thereof
KR102481995B1 (ko) 딥러닝 기반으로 이상 행동을 자동으로 감지하는 온디바이스 ai 장치 및 이의 동작 방법
KR20160074208A (ko) 비콘신호를 이용한 안전 서비스 제공 시스템 및 방법
CN111539338A (zh) 行人口罩佩戴管控方法、装置、设备及计算机存储介质
US11308792B2 (en) Security systems integration
US11450186B2 (en) Person monitoring system and person monitoring method
Davies et al. A progress review of intelligent CCTV surveillance systems
US20170278363A1 (en) Emergency doorbell communicator
CN201765619U (zh) 基于人像生物识别技术的陌生人人像预警系统
Gohringer The application of face recognition in airports
KR20190072323A (ko) 영상 감시 시스템 및 영상 감시방법
JP5730000B2 (ja) 顔照合システム、顔照合装置及び顔照合方法
KR20100001913A (ko) 무인 감시 방법, 장치 및 그 방법을 실행하는 프로그램이기록된 기록매체
Lumaban et al. CCTV-Based Surveillance System with Face Recognition Feature
US20220232356A1 (en) Anomalous subject and device identification based on rolling baseline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