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00001536U - 다중 롤러를 이용한 디버터 컨베이어 - Google Patents

다중 롤러를 이용한 디버터 컨베이어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00001536U
KR20100001536U KR2020090016403U KR20090016403U KR20100001536U KR 20100001536 U KR20100001536 U KR 20100001536U KR 2020090016403 U KR2020090016403 U KR 2020090016403U KR 20090016403 U KR20090016403 U KR 20090016403U KR 20100001536 U KR20100001536 U KR 20100001536U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roller
wheel
idle
rollers
driving directio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090016403U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김기철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태성기연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태성기연 filed Critical 주식회사 태성기연
Priority to KR2020090016403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100001536U/ko
Publication of KR20100001536U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00001536U/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GTRANSPORT OR STORAGE DEVICES, e.g. CONVEYORS FOR LOADING OR TIPPING, SHOP CONVEYOR SYSTEMS OR PNEUMATIC TUBE CONVEYORS
    • B65G13/00Roller-ways
    • B65G13/08Roller-ways of curved form; with branch-offs
    • B65G13/10Switching arrangement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GTRANSPORT OR STORAGE DEVICES, e.g. CONVEYORS FOR LOADING OR TIPPING, SHOP CONVEYOR SYSTEMS OR PNEUMATIC TUBE CONVEYORS
    • B65G15/00Conveyors having endless load-conveying surfaces, i.e. belts and like continuous members, to which tractive effort is transmitted by means other than endless driving elements of similar configuration
    • B65G15/60Arrangements for supporting or guiding belts, e.g. by fluid jet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GTRANSPORT OR STORAGE DEVICES, e.g. CONVEYORS FOR LOADING OR TIPPING, SHOP CONVEYOR SYSTEMS OR PNEUMATIC TUBE CONVEYORS
    • B65G17/00Conveyors having an endless traction element, e.g. a chain, transmitting movement to a continuous or substantially-continuous load-carrying surface or to a series of individual load-carriers; Endless-chain conveyors in which the chains form the load-carrying surface
    • B65G17/24Conveyors having an endless traction element, e.g. a chain, transmitting movement to a continuous or substantially-continuous load-carrying surface or to a series of individual load-carriers; Endless-chain conveyors in which the chains form the load-carrying surface comprising a series of rollers which are moved, e.g. over a supporting surface, by the traction element to effect conveyance of loads or load-carrier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GTRANSPORT OR STORAGE DEVICES, e.g. CONVEYORS FOR LOADING OR TIPPING, SHOP CONVEYOR SYSTEMS OR PNEUMATIC TUBE CONVEYORS
    • B65G21/00Supporting or protective framework or housings for endless load-carriers or traction elements of belt or chain conveyors
    • B65G21/10Supporting or protective framework or housings for endless load-carriers or traction elements of belt or chain conveyors movable, or having interchangeable or relatively movable parts; Devices for moving framework or parts thereof
    • B65G21/14Supporting or protective framework or housings for endless load-carriers or traction elements of belt or chain conveyors movable, or having interchangeable or relatively movable parts; Devices for moving framework or parts thereof to allow adjustment of length or configuration of load-carrier or traction element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GTRANSPORT OR STORAGE DEVICES, e.g. CONVEYORS FOR LOADING OR TIPPING, SHOP CONVEYOR SYSTEMS OR PNEUMATIC TUBE CONVEYORS
    • B65G47/00Article or material-handling devices associated with conveyors; Methods employing such devices
    • B65G47/52Devices for transferring articles or materials between conveyors i.e. discharging or feeding devices
    • B65G47/53Devices for transferring articles or materials between conveyors i.e. discharging or feeding devices between conveyors which cross one another
    • B65G47/54Devices for transferring articles or materials between conveyors i.e. discharging or feeding devices between conveyors which cross one another at least one of which is a roller-way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GTRANSPORT OR STORAGE DEVICES, e.g. CONVEYORS FOR LOADING OR TIPPING, SHOP CONVEYOR SYSTEMS OR PNEUMATIC TUBE CONVEYORS
    • B65G2201/00Indexing codes relating to handling devices, e.g. conveyors, characterised by the type of product or load being conveyed or handled
    • B65G2201/02Articl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GTRANSPORT OR STORAGE DEVICES, e.g. CONVEYORS FOR LOADING OR TIPPING, SHOP CONVEYOR SYSTEMS OR PNEUMATIC TUBE CONVEYORS
    • B65G2207/00Indexing codes relating to constructional details, configuration and additional features of a handling device, e.g. Conveyors
    • B65G2207/28Impact protection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GTRANSPORT OR STORAGE DEVICES, e.g. CONVEYORS FOR LOADING OR TIPPING, SHOP CONVEYOR SYSTEMS OR PNEUMATIC TUBE CONVEYORS
    • B65G2207/00Indexing codes relating to constructional details, configuration and additional features of a handling device, e.g. Conveyors
    • B65G2207/40Safety features of loads, equipment or person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Rollers For Roller Conveyors For Transfer (AREA)

Abstract

본 고안은 판유리와 같은 바닥면이 평평한 물체를 이송하는 롤러 컨베이어 장치에 관한 것으로 이송방향롤러부재와 변경방향롤러부재를 구성하는 롤러는 외주면의 아이들롤러설치홈에는 자유롭게 회동하는 다수의 아이들롤러A가 일정한 간격으로 설치된 주행방향휠A와; 상기 주행방향휠A와 동일한 규격을 가지고 동일한 중심축에 끼워져 동시 회동하며 외주면에 설치된 다수의 아이들롤러B가 상기 주행방향휠A의 아이들롤러A와 서로 엇갈리게 결합되도록 한 주행방향휠B가 상호 대응하여 쌍을 이루어 결합된 다중롤러로서 이송중인 물체의 이송방향을 변경하도록 하는 디버터의 구조를 단순화시켜 이송 작업시간을 단축하여 생산성을 향상하도록 하며, 이송제품에 충격을 최소화 하도록 하는 다중롤러를 이용한 디버터 컨베이어에 관한 것이다.
다중롤러, 주행방향휠, 아이들롤러, 중심축

Description

다중 롤러를 이용한 디버터 컨베이어{Diverter CONV Using Multi-Roller}
본 고안은 판유리와 같은 바닥면이 평평한 물체를 이송하는 롤러 컨베이어 장치에 관한 것으로, 더욱 구체적으로는 컨베이어 라인을 구성함에 있어 이송중인 물체의 이송방향을 변경하도록 하는 디버터의 구조를 단순화시켜 이송 작업시간을 단축하여 생산성을 향상하도록 하며, 이송제품에 충격을 최소화 하도록 하는 다중 롤러를 이용한 디버터 컨베이어에 관한 것이다.
물류 이송장치 중 롤러 컨베이어는 다수의 롤러가 배열되어 상부에 얹혀진 물체를 이송하는 장치이며, 이러한 롤러 컨베이어 장치를 이루는 부속장치로서 이송물체의 이송방향을 변경시켜 주도록 하는 장치가 디버터이다.
도 4는 종래의 일반적인 롤러형 디버터의 일 예를 도시한 측면도로서 일측방향으로 배열 설치된 다수의 이송방향롤러(1)와 상기 이송방향롤러(1)와 수직방향으로 배열 설치된 변환방향롤러(2)가 각각 서로 높이차이를 가지면서 배열 설치되어 있으며, 방향을 바꿔주기 위하여 상기 변환방향롤러(2)부분을 상승/하강시켜 주도록 하는 업/다운 실린더(3)가 구비되어 있다.
상기 종래의 롤러형 디버터의 이송방향롤러(1)와 변환방향롤러(2)는 모두 관용적으로 사용되고 있는 것으로 원형을 이루는 휠과 상기 휠의 중심에 끼워지는 축으로 구성된 것으로 이송방향롤러(1)와 변환방향롤러(2)는 휠의 회동방향이 한 방향으로만 제한되어 있다.
이와 같은 종래의 롤러형 디버터는 이송방향롤러(1)와 변환방향롤러(2)를 각각 별도로 배열 설치하고, 이를 승강시켜 방향전환 기능을 하도록 하기 위한 장치인 업/다운실린더(3)를 별도로 설치하여야 하므로 장치가 매우 복잡해지며, 시설 비용이 증가되는 문제점이 있다.
특히, 업/다운실린더(3)에 의해 이송방향롤러(1) 또는 변환방향롤러(2)의 높이를 조절 상승시킴으로서 물체를 이송방향롤러(1)로 부터 변환방향롤러(2)로 변경하여 지지되도록 하여 이송방향을 변경하여야 하므로 종래의 디버터는 업/다운을 위한 별도의 시간이 요구되게 되며, 따라서 전체 컨베이어 라인의 택트타임이 길어져 생산성이 저하되는 문제점이 있었다.
또한 종래의 롤러형 디버터에 의해 판유리 등의 이송방향을 변경하여 주도록 하는 경우 업/다운 공정을 수반하여야 하므로 이송작업시 이송되는 판유리가 훼손될 우려가 있으며, 또한 라인공정 상 에러 발생율이 높아져 생산성이 저하되는 문제점이 있었다.
이러한 문제점을 개선하기 위하여 본 출원인은 선출원 10-2007-70515호를 제안한 바 있다.
*상기 선출원은 도 4와 도 5 및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프레임(100)과; 상기 프레임(100)상에 고정 설치된 이송방향이중롤러부재와 변경방향이중롤러부재로 구성된 것으로 상기 이송방향이중롤러부재는 상기 프레임(100)의 상부에 이송방향과 나란한 방향으로 다수의 이중롤러A(201)가 배열된 것으로 상기 다수의 이중롤러A(201)를 지지하며 구동시키도록 동일한 높이로 나란히 배열설치된 다수의 이송방향롤러축(110)과; 상기 다수의 이송방향롤러축(110)을 동시에 동일한 방향과 회전속도로 회동시키도록 하는 이송방향롤러축연동수단(120)과; 상기 이송방향롤러축연동수단(120)에 회전동력을 전달하는 이송방향구동모터(130)를 포함하며, 상기 변경방향이중롤러부재는 상기 프레임(100)의 상부에 변경방향과 나란한 방향으로 다수의 이중롤러B(202)가 배열된 것으로 상기 이송방향이중롤러부재의 롤러상부와 동일한 롤러상부 높이를 갖도록 설치되며, 상기 이송방향이중롤러부재에 대응하여 서로 직각을 이루는 방향과 나란한 방향으로 다수의 이중롤러B(202)가 배열된 것이다.
상기 변경방향이중롤러부재는 상기 이송방향이중롤러부재에 대응하여 서로 직각을 이루는 변경방향으로 설치되고, 다수의 이중롤러B(202)를 지지하며 구동시키도록 동일한 높이로 나란히 배열설치된 다수의 변경방향롤러축(140)과; 상기 다수의 변경방향롤러축(140)을 동시에 동일한 방향과 회전속도로 회동시키도록 하는 변경방향롤러축연동수단(150)과; 상기 변경방향롤러축연동수단(150)에 회전동력을 전달하는 변경방향구동모터(160)를 포함한다.
상기 이송방향롤러부재와 변경방향롤러부재에 각각 설치되는 이중롤러A(201)와 이중롤러B(202)는 서로 각각 다른 크기를 갖도록 하므로서 이송방향롤러축(110) 과 변경방향롤러축(140)의 높이가 서로 다르게 설치되어도 롤러의 상부는 동일한 높이를 갖도록 하는 것이다.
상기 이중롤러A(201)와 이중롤러B(202)를 포함하는 이중롤러(200)는 물품의 진행방향으로 설치된 진행방향휠(210)과; 상기 진행방향휠(210)의 외주연부에 일정한 간격으로 다수 설치되며 회동방향이 상기 진행방향휠(210)과 직각방향인 아이들휠(220)을 구비한 것이다.
즉, 상기 이중롤러(200)는 이송방향롤러축(110) 또는 변경방향롤러축(140)에 끼워져 동시에 회동하는 진행방향휠(210)과; 상기 진행방향휠(210)의 외주면A(211)에 일정한 간격으로 형성된 다수의 아이들휠설치홈(212)과; 상기 진행방향휠(210)의 이송방향롤러축(110) 또는 변경방향롤러축(140)과 직교방향으로 상기 아이들휠설치홈(212)에 설치되는 다수의 아이들휠축(222)과; 상기 아이들휠축(222)에 끼워져 회동하며 이송물체와 접촉하는 외주면B(221)를 구비한 다수의 아이들휠(220)을 포함한다.
상기 아이들휠(220)의 외주면B(221)의 선단부 높이는 진행방향휠(210)의 외주면A(211)의 높이보다 더 높게 설치되도록 구성된다.
또한 상기 진행방향휠(210)에 설치된 다수의 아이들휠(220)은 서로 인접하는 아이들휠(220)의 외주면B(221)를 연결하는 평면 즉 물체(300)의 저면이 상기 진행방향휠(210)의 외주면A(211)와 서로 접촉되지 않도록 하여야 한다.
이와 같은 구성으로 된 상기 선행기술의 작동상태를 살펴보면, 디버터 컨베이어상에 저면이 평평한 물체(300)가 얹혀 있을 경우 이중롤러A(201)와 이중롤러 B(202)의 모든 아이들휠(220)의 외주면(221)에 접촉한 상태에서 이중롤러A(201) 또는 이중롤러B(202)가 구동됨에 따라 방향이 정해지도록 하는 것이다.
단, 상기 이중롤러A(201)와 이중롤러B(202)가 동시에 구동되어서는 안되며, 반드시 이송하고자 하는 방향으로 구동되는 이중롤러만이 구동되어야 한다.
이송방향롤러축구동모터(130)의 구동력에 의해 이송방향롤러축연동수단(120)에 의해 모든 이중롤러A(201)이 동시에 동일한 방향으로 회동하면서 물체(300)를 이송하게 된다.
이때 변경방향롤러축구동모터(160)는 정지한 상태이고, 따라서 변경방향이중롤러부재인 다수의 이중롤러B(202)의 주행방향휠(210)은 정지상태를 유지하나, 상기 이중롤러B(202)의 아이들휠(220)은 물체(300)의 이송방향으로 회동하게 된다.
따라서 원활하게 물체(300)가 일측 방향으로 이송이 가능한 것이다.
물체의 이송방향을 변경하고자 할 경우 상기 이송방향롤러축구동모터(130)를 정지시키고, 변경방향롤러축구동모터(160)을 구동시킴으로서 즉시 이송방향을 변경할 수 있게 된다.
*즉, 변경방향롤러축구동모터(160)의 구동력에 의해 변경방향롤러축연동수단(150)에 의해 모든 이중롤러B(202)가 동시에 동일한 방향으로 회동하면서 물체(300)를 이송하므로서 물체의 이송방향이 90도 변경되어 이송되는 것이다.
이때 이송방향롤러축구동모터(130)는 정지한 상태이고, 따라서 이송방향이중롤러부재인 다수의 이중롤러A(201)의 주행방향휠(210)은 정지상태를 유지하나, 상 기 이중롤러A(202)의 아이들휠(220)은 물체(300)의 이송방향으로 회동하게 된다.
따라서 이송방향이나 변경방향의 모든 롤러를 상승이나 하강작용을 하지 않고 즉시 방향변경이 가능하도록 한 것이다.
그러나 상기 선행기술은 아이들휠의 구조 및 배치의 특성상 이송하는 물체와 이중롤러의 아이들휠 간의 접촉부위가 작아 진동이 발생할 우려가 있으며 접촉부위의 압력증가에 따른 제품 훼손의 우려가 있었다.
즉, 이송물체인 판유리와 아이들휠이 상호 점접촉 상태에서 이송되므로 접촉부에 심한 자극을 가하는 문제점이 있었다.
상기의 문제점을 개선하기 위한 본 고안에서는 이송물체와 아이들휠과의 접촉면적을 극대화하여 접촉부의 압력을 줄여 이송물체의 훼손을 최소화하도록 한 다중롤러를 이용한 디버터컨베이어를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상기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고안에서는 롤러컨베이어장치에서 이송물품의 방향을 전환시키는 장치로서, 프레임의 상부에 이송방향과 나란한 방향으로 다수의 롤러가 배열된 이송방향롤러부재와; 상기 이송방향롤러부재의 롤러상부와 동일한 롤러상부 높이를 갖도록 설치되며, 상기 이송방향롤러부재에 대응하여 서로 직각을 이루는 방향과 나란한 방향으로 다수의 롤러가 배열된 변경방향롤러부재를 포함하는 디버터에 있어서, 상기 이송방향롤러부재와 변경방향롤러부재를 구성하는 롤러는 중심축에 끼워져 회동하며, 외주면의 아이들롤러설치홈에는 상기 중심축과 직교방향으로 설치되어 자유롭게 회동하는 다수의 아이들롤러A가 일정한 간격으로 설치된 주행방향휠A와; 상기 주행방향휠A와 동일한 규격을 가지고 동일한 중심축에 끼워져 동시 회동하며 외주면에 설치된 다수의 아이들롤러B가 상기 주행방향휠A의 아이들롤러A와 서로 엇갈리게 결합되도록 한 주행방향휠B가 상호 대응하여 쌍을 이루어 결합된 다중롤러임을 특징으로 한다.
본 고안에 있어서 상기 주행방향휠A에 대응하여 쌍을 이루어 결합되는 주행방향휠B의 아이들롤러B는 중앙부가 상기 주행방향휠A의 아이들롤러연결편과 일치되도록 상호 엇갈리게 결합됨을 특징으로 한다.
본 고안에 있어서 상기 아이들롤러A와 아이들롤러B는 서로 동일한 규격으로서 중앙부의 직경이 크고 양측의 직경이 작으며, 중앙부의 직경보다 높이가 큰 원통형 구조임을 특징으로 한다.
본 고안에 있어서 상기 아이들롤러A를 포함하는 주행방향휠A와 상기 아이들롤러B를 포함하는 주행방향휠B는 서로 결합된 상태의 조합체가 중심축을 중심으로 하는 원통의 직경과 동일한 직경의 원주를 이루도록 함을 특징으로 한다.
이와 같은 본 고안은 롤러의 상부에 놓여지는 이송물체가 점접촉이 아닌 선접촉으로 접촉된 상태로 회전하게 되므로 접촉부위의 압력이 분산되어 충격이 감소하므로 보다 안전하게 이송작업을 수행할 수 있어 제품의 품질을 높일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도 1은 본 고안의 실시예에 적용된 단위 다중롤러의 결합상태 사시도이고, 도 2는 도 1의 분해상태 사시도이다.
본 고안은 롤러컨베이어장치에서 이송물품의 방향을 전환시키는 장치로서, 프레임의 상부에 이송방향과 나란한 방향으로 다수의 롤러가 배열된 이송방향롤러부재와; 상기 이송방향롤러부재의 롤러상부와 동일한 롤러상부 높이를 갖도록 설치되며, 상기 이송방향롤러부재에 대응하여 서로 직각을 이루는 방향과 나란한 방향으로 다수의 롤러가 배열된 변경방향롤러부재를 포함하는 다중롤러로 구성된 디버터에 관한 것이다.
본 고안에 적용되어 물체의 이송 및 방향전환을 하는 상기 이송방향롤러부재와 변경방향롤러부재를 구성하는 롤러는 주행방향휠A(10)와 주행방향휠B(20)가 결합되어 하나의 단위 다중롤러를 형성한다.
상기 주행방향휠A(10)은 중심축(30)에 끼워져 회동하며, 외주면의 아이들롤러설치홈에는 상기 중심축(30)과 직교방향으로 설치되어 자유롭게 회동하는 다수의 아이들롤러A(11)가 일정한 간격으로 설치되어 있다.
또한 상기 주행방향휠A(10)와 동일한 규격을 가지고 동일한 중심축(30)에 끼워져 동시 회동하는 주행방향휠B(20)도 외주면에 설치된 다수의 아이들롤러B(21)가 상기 이송방향휠A(10)의 아이들롤러A(11)와 서로 엇갈리게 결합되어 있다.
즉, 상기 주행방향휠A(10)에 대응하여 쌍을 이루어 결합되는 주행방향휠B(20)의 아이들롤러B(21)는 중앙부가 상기 주행방향휠A(10)의 아이들롤러연결 편(15)과 일치되도록 상호 엇갈리게 결합되어 있다.
특히 상기 아이들롤러A(11)와 아이들롤러B(21)는 서로 동일한 규격으로서 중앙부의 직경이 크고 양측의 직경이 작으며, 중앙부의 직경보다 높이가 큰 길죽한 형태의 원통형 구조로 구성되어 있다.
상기 아이들롤러A(11)를 포함하는 주행방향휠A(10)와 상기 아이들롤러B(21)를 포함하는 주행방향휠B(20)는 서로 결합된 상태의 조합체가 중심축(30)을 중심으로 하는 원통의 직경과 동일한 직경의 원주를 이루도록 하여야 한다.
이와 같은 단위 다중롤러는 이송방향휠과 변경방향휠에도 동일한 구성으로 이루어져 있으며, 상호 중심축간의 간섭을 피하도록 규격에서 상호 차이가 나도록 구성한다.
상측에 위치하는 모든 아이들롤러의 최선단 높이는 동일한 높이를 갖도록 함으로서 바닥면이 평평한 물체의 이송 및 방향전환이 용이하게 이루어지도록 한다.
이와 같은 구성으로 된 본 고안의 작동상태를 살펴본다.
도 3은 본 고안의 실시예에 의한 디버터 컨베이어의 작동상태를 보인 정면도이로서 디버터 컨베이어상에 저면이 평평한 물체(70)가 얹혀 있을 경우 다중롤러의 모든 아이들롤러A(11),아이들롤러B(21)의 외주면에 접촉한 상태에서 이송방향다중롤러 또는 변경방향다중롤러의 구동방향에 따라 방향이 정해지도록 하는 것이다.
이송방향으로 이송시에는 상기 이송방향 다중롤러와 변경방향 다중롤러가 동시에 구동되어서는 안되며, 반드시 이송하고자 하는 방향으로 구동되는 다중롤러만이 구동되어야 한다.
이때 변경방향롤러축구동모터는 정지한 상태이고, 따라서 변경방향롤러부재인 다수의 다중롤러의 주행방향휠은 정지상태를 유지하나, 상기 변경방향롤러부재의 아이들롤러들은 물체(70)의 이송방향으로 자유롭게 회동하게 된다.
따라서 원활하게 물체(70)가 일측 방향으로 이송이 가능한 것이다.
물체의 이송방향을 변경하고자 할 경우 상기 이송방향롤러축구동모터를 정지시키고, 변경방향롤러축구동모터을 구동시킴으로서 즉시 이송방향을 변경할 수 있게 된다.
즉, 변경방향롤러축구동모터의 구동력에 의해 변경방향롤러부재의 주행방향휠이 동시에 동일한 방향으로 회동하면서 물체(70)를 이송하므로서 물체의 이송방향이 90도 변경되어 이송되는 것이다.
이때 이송방향롤러축구동모터는 정지한 상태이고, 따라서 이송방향롤러부재의 주행방향휠은 정지상태를 유지하나, 아이들롤러들은 물체(70)를 지지한 상태에서 자유롭게 구동될 수 있으므로 이송방향으로 회동하게 된다.
이와 같은 본 고안은 물체(70)와 접촉되는 아이들롤러A(11)과 아이들롤러B(21)가 길죽한 형태로서 접촉면적이 비교적 넓게 형성된 상태로 물체(70)를 지지하게 되므로 접촉부위에 충격을 최소화 한 상태에서 이송방향이 전환되도록 하는 것이다.
상기 아이들롤러A(11)를 포함하는 주행방향휠A(10)와 상기 아이들롤러B(21)를 포함하는 주행방향휠B(20)는 서로 결합된 상태의 조합체가 중심축(30)을 중심으로 하는 원통의 직경과 동일한 직경의 원주를 이루고 있으므로 동력을 전달하는 다 중롤러는 하나의 완전한 원통롤러와 동일한 작용을 하게 되므로 작동과정에서 떨림현상이 전혀 발생되지 않게 된다.
즉, 상측에 위치하는 모든 아이들롤러의 최선단 높이는 동일한 높이를 갖도록 함으로서 판유리와 같은 물체는 충격없이 자연스럽게 방향전환이나 이송작용이 원활하게 이루어지도록 하는 것이다.
이와 같은 본 고안은 판유리와 같은 저면이 평평한 물체의 이송을 위한 롤러컨베이어장치에서 용이하게 방향전환을 하도록 하되 물체에 충격을 최소화하면서 물체를 이송하도록 하는 것으로 평면디스플레이 가공공장 등에 즉시 적용할 수 있는 기술로서 산업상 이용가능성이 매우 큰 기술이다.
도 1은 본 고안의 실시예에 적용된 단위 다중롤러의 결합상태 사시도.
도 2는 도 1의 분해상태 사시도.
도 3은 본 고안의 실시예에 의한 디버터 컨베이어의 작동상태를 보인 정면도.
도 4는 종래의 디버터 컨베이어의 구성을 보인 측면도.
도 5는 종래의 이중롤러가 적용된 디버터 컨베이어의 사시도.
도 6은 도 5에 적용된 종래의 단위 이중롤러의 사시도.
도 7은 도 5의 작동상태를 보인 정면도.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0: 이송방향휠A 11: 아이들롤러A
15: 아이들롤러연결편 20: 이송방향휠B
21: 아이들롤러B 30: 중심축
70: 물체(판유리)

Claims (4)

  1. 롤러컨베이어장치에서 이송물품의 방향을 전환시키는 장치로서, 프레임의 상부에 이송방향과 나란한 방향으로 다수의 롤러가 배열된 이송방향롤러부재와; 상기 이송방향롤러부재의 롤러상부와 동일한 롤러상부 높이를 갖도록 설치되며, 상기 이송방향롤러부재에 대응하여 서로 직각을 이루는 방향과 나란한 방향으로 다수의 롤러가 배열된 변경방향롤러부재를 포함하는 디버터 컨베이어에 있어서,
    상기 이송방향롤러부재와 변경방향롤러부재를 구성하는 롤러는
    중심축(30)에 끼워져 회동하며, 외주면의 아이들롤러설치홈에는 상기 중심축(30)과 직교방향으로 설치되어 자유롭게 회동하는 다수의 아이들롤러A(11)가 일정한 간격으로 설치된 주행방향휠A(10)와;
    상기 주행방향휠A(10)와 동일한 규격을 가지고 동일한 중심축(30)에 끼워져 동시 회동하며 외주면에 설치된 다수의 아이들롤러B(21)가 상기 주행방향휠A(10)의 아이들롤러A(11)와 서로 엇갈리게 결합되도록 한 주행방향휠B(20)가 상호 대응하여 쌍을 이루어 결합된 다중롤러임을 특징으로 하는 포함하는 다중 롤러를 이용한 디버터 컨베이어.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주행방향휠A(10)에 대응하여 쌍을 이루어 결합되는 주행방향휠B(20)의 아이들롤러B(21)는 중앙부가 상기 주행방향휠A(10)의 아이들롤러연결편(15)과 일치되도록 상호 엇갈리게 결합됨을 특징으로 하는 다중 롤러를 이용한 디버터 컨베이어.
  3.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아이들롤러A(11)와 아이들롤러B(21)는
    서로 동일한 규격으로서 중앙부의 직경이 크고 양측의 직경이 작으며, 중앙부의 직경보다 높이가 큰 원통형 구조임을 특징으로 하는 다중 롤러를 이용한 디버터 컨베이어.
  4.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아이들롤러A(11)를 포함하는 주행방향휠A(10)와 상기 아이들롤러B(21)를 포함하는 주행방향휠B(20)는 서로 결합된 상태의 조합체가 중심축(30)을 중심으로 하는 원통의 직경과 동일한 직경의 원주를 이루도록 함을 특징으로 하는 다중 롤러를 이용한 디버터 컨베이어.
KR2020090016403U 2009-12-16 2009-12-16 다중 롤러를 이용한 디버터 컨베이어 KR20100001536U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90016403U KR20100001536U (ko) 2009-12-16 2009-12-16 다중 롤러를 이용한 디버터 컨베이어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90016403U KR20100001536U (ko) 2009-12-16 2009-12-16 다중 롤러를 이용한 디버터 컨베이어

Related Parent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70132452A Division KR20090065032A (ko) 2007-12-17 2007-12-17 다중 롤러를 이용한 디버터 컨베이어

Related Child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100005383U Division KR200454748Y1 (ko) 2010-05-24 2010-05-24 다중 롤러를 이용한 디버터 컨베이어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00001536U true KR20100001536U (ko) 2010-02-10

Family

ID=4419711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090016403U KR20100001536U (ko) 2009-12-16 2009-12-16 다중 롤러를 이용한 디버터 컨베이어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100001536U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452157Y1 (ko) * 2010-04-14 2011-02-10 주식회사 태성기연 디버터 컨베이어용 이송휠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452157Y1 (ko) * 2010-04-14 2011-02-10 주식회사 태성기연 디버터 컨베이어용 이송휠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20090006984A (ko) 이중 롤러를 이용한 디버터 컨베이어
JP2011225376A (ja) マルチゲートコンベヤー
CN102951437A (zh) 包含具有输送辊的升降-横向单元的输送装置
JP6140467B2 (ja) 被搬送物の方向転換装置
KR101951871B1 (ko) 보조레일을 구비한 방향전환용 연결레일모듈
JP2014152025A (ja) 被搬送物の方向転換装置
CN102101572A (zh) 多辊输送机
CN102633080A (zh) 板材转运台
KR20100001536U (ko) 다중 롤러를 이용한 디버터 컨베이어
KR20090065032A (ko) 다중 롤러를 이용한 디버터 컨베이어
JP2015030610A5 (ko)
KR101259832B1 (ko) 리프트형 판유리 방향 전환장치
KR20100006339U (ko) 다중 롤러를 이용한 디버터 컨베이어
KR20110112260A (ko) 기판 이송 장치
KR101016651B1 (ko) 멀티 턴 컨베이어
KR101993823B1 (ko) 리니어모터의 방열구조를 갖는 팰릿 이송 제어시스템
CN101875430A (zh) 多辊转向式输送机
KR101904892B1 (ko) 대면적 기판의 이송장치
KR101057791B1 (ko) 4방향 물류 리프터
KR101207897B1 (ko) 멀티 게이트 컨베이어
CN201140902Y (zh) 输送系统
KR20100103780A (ko) 멀티 턴 컨베이어
CN211569138U (zh) 一种组合式多向皮带输送装置
JP2013071815A (ja) 搬送方向変換装置
CN210338441U (zh) 一种用于双链条等间距的输送机构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U106 Divisional application of utility model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