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00001490A - 휴대용 단말기의 동영상 재생시 메모 입력 방법 및 이를수행하는 휴대용 단말기 - Google Patents

휴대용 단말기의 동영상 재생시 메모 입력 방법 및 이를수행하는 휴대용 단말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00001490A
KR20100001490A KR1020080061402A KR20080061402A KR20100001490A KR 20100001490 A KR20100001490 A KR 20100001490A KR 1020080061402 A KR1020080061402 A KR 1020080061402A KR 20080061402 A KR20080061402 A KR 20080061402A KR 20100001490 A KR20100001490 A KR 20100001490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memo
video
input
portable terminal
informatio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80061402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김성수
김주현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케이티테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케이티테크 filed Critical 주식회사 케이티테크
Priority to KR1020080061402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100001490A/ko
Publication of KR20100001490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00001490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MTELEPHONIC COMMUNICATION
    • H04M1/00Substation equipment, e.g. for use by subscribers
    • H04M1/72Mobile telephones; Cordless telephones, i.e. devices for establishing wireless links to base stations without route selection
    • H04M1/724User interfaces specially adapted for cordless or mobile telephones
    • H04M1/72403User interfaces specially adapted for cordless or mobile telephones with means for local support of applications that increase the functionality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MTELEPHONIC COMMUNICATION
    • H04M1/00Substation equipment, e.g. for use by subscribers
    • H04M1/72Mobile telephones; Cordless telephones, i.e. devices for establishing wireless links to base stations without route selection
    • H04M1/724User interfaces specially adapted for cordless or mobile telephones
    • H04M1/72469User interfaces specially adapted for cordless or mobile telephones for operating the device by selecting functions from two or more displayed items, e.g. menus or ic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MTELEPHONIC COMMUNICATION
    • H04M2250/00Details of telephonic subscriber devices
    • H04M2250/22Details of telephonic subscriber devices including a touch pad, a touch sensor or a touch detector

Abstract

휴대용 단말기에서 재생되는 동영상의 재생 화면에 용이하게 메모를 입력하고 표시할 수 있는 휴대용 단말기의 동영상 재생시 메모 입력 방법 및 이를 수행 하는 휴대용 단말기가 개시된다. 터치 스크린을 구비한 휴대용 단말기의 동영상 재생시 메모 입력 방법에 있어서, 터치 스크린에 동영상의 재생 화면이 표시되는 도중 메모가 입력되는 단계, 입력된 메모 정보가 추출되는 단계 및 추출된 메모 정보가 동영상의 재생 시간과 동기되어 저장되는 단계를 포함한다. 따라서, 동영상 재생화면에 메모를 용이하게 입력할 수 있고, 동영상의 재생시 입력된 메모를 동영상의 재생 시간과 동기시켜 표시함으로써 사용 편의성이 향상된다.
휴대용 단말기, 동영상, 메모, 동기

Description

휴대용 단말기의 동영상 재생시 메모 입력 방법 및 이를 수행하는 휴대용 단말기{Method For Inputting Memo On Screen Of Moving Picture In Portable Terminal And Portable Terminal Performing The Same}
본 발명은 휴대용 단말기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동영상 재생 기능을 구비한 휴대용 단말기에 적용될 수 있는 휴대용 단말기의 동영상 재생시 메모 입력 방법 및 이를 수행하는 휴대용 단말기에 관한 것이다.
최근 들어, 휴대용 단말기는 외형에 있어서 휴대를 편리하게 하기 위해 휴대용 단말기의 크기는 작아지고 무게 또한 가볍게 개선되고 있으며, 내적 기능에 있어서는 음악을 들을 수 있는 MP3, 책을 읽을 수 있는 이북, 무선 인터넷을 이용한 인터넷 서비스 및 동영상을 재생할 수 있는 기능 등이 있다.
상기 동영상 재생 기능은 휴대용 단말기의 저장소에 저장된 동영상을 재생하는 기능을 의미 한다. 상기 동영상은 휴대용 단말기에 내장된 카메라를 이용하여 녹화한 동영상, 무선 인터넷에 접속하여 다운로드한 동영상 및 컴퓨터와 동기하여 휴대용 단말기의 저장소에 저장된 동영상 등이 있다.
휴대용 단말기는 동영상의 재생시 재생되는 동영상에 대응하는 자막파일을 불러와 동영상과 함께 중첩하여 재생할 수도 있고 또한, 동영상에 자막을 삽입하여 하나의 파일로 저장하여 재생할 수도 있다.
하지만, 사용자가 동영상의 재생화면에 직접 메모를 입력하여 입력된 메모를 추후 재생시 동영상의 재생화면에 중첩하여 표시할 수는 없었다.
본 발명의 제 1 목적은, 휴대용 단말기에서 재생되는 동영상의 재생화면에 용이하게 메모를 입력하고 표시할 수 있는 휴대용 단말기의 동영상 재생시 메모 입력 방법을 제공하는데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제2다른 목적은, 휴대용 단말기에서 재생되는 동영상의 재생화면에 용이하게 메모를 입력하고 표시할 수 있는 메모 입력 기능을 구비한 휴대용 단말기를 제공하는데 있다.
상술한 본 발명의 제1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일 측면에 따른 휴대용 단말기의 동영상 재생시 메모 입력 방법은, 터치 스크린을 구비한 휴대용 단말기의 동영상 재생시 메모 입력 방법에 있어서, 상기 터치 스크린에 동영상의 재생 화면이 표시되는 도중 메모가 입력되는 단계, 입력된 상기 메모 정보가 추출되는 단계 및 추출된 메모 정보가 상기 동영상의 재생 시간과 동기되어 저장되는 단계를 포함한다. 상기 터치 스크린에 동영상의 재생 화면이 표시되는 도중 메모가 입력되는 단계는, 상기 재생되는 동영상의 소정 재생 시간에 텍스트, 그래픽 및 이미지 중 적어도 하나의 메모 정보가 입력될 수 있다. 상기 터치 스크린에 동영상의 재생 화면이 표시되는 도중 메모가 입력되는 단계는, 상기 휴대용 단말기가 미리 설정된 시간 간격으로 메모 입력을 안내하는 메시지를 표시하는 단계 및 상기 메모 입력을 안내하는 메시지에 상응하여 메모가 입력되는 단계를 더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상기 입력된 메모 정보가 추출되는 단계는, 상기 입력된 메모가 표시될 동영상의 재생 시간, 상기 입력된 메모의 표시가 종료될 동영상의 재생 시간 및 입력된 메모의 표시 정보를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상기 추출된 메모 정보가 상기 동영상의 재생 시간과 동기되어 저장되는 단계는, 적어도 하나의 상기 추출된 메모 정보를 상기 동영상과 동기된 메모 파일로 생성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상술한 본 발명의 제2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일 측면에 따른 메모 입력 기능을 구비한 휴대용 단말기는, 휴대용 단말기에 동영상의 재생 화면이 표시되는 도중 입력된 메모를 제공받고, 상기 입력된 메모 정보를 추출하고, 상기 추출된 메모 정보를 상기 동영상의 재생 시간과 동기하여 저장하는 제어부 및 상기 제어부의 제어에 기초하여 동영상 재생 중 입력된 메모를 표시하는 터치 스크린으로 구성된다. 상기 제어부는 상기 입력된 메모가 표시될 동영상의 재생 시간, 상기 입력된 메모의 표시가 종료될 동영상의 재생 시간 및 입력된 메모의 표시 정보를 추출할 수 있다. 상기 제어부는 상기 추출된 메모 정보와 상기 동영상의 재생시간을 동기하여 메모 동기 파일로 생성할 수 있다.
상기와 같은 휴대용 단말기의 동영상 재생시 메모 입력 방법 및 이를 수행하는 휴대용 단말기에 따르면, 휴대용 단말기의 터치 스크린에 동영상이 재생되는 도중 메모가 입력되면, 상기 입력된 메모의 정보를 추출하고, 상기 추출된 메모의 정보를 상기 동영상의 재생시간과 동기시켜 저장한다. 따라서, 동영상 재생화면에 메모를 용이하게 입력할 수 있고, 동영상의 재생시 입력된 메모를 동영상의 재생 시 간과 동기시켜 표시함으로써 사용 편의성이 향상된다.
본 발명은 다양한 변경을 가할 수 있고 여러 가지 실시예를 가질 수 있는 바, 특정 실시 예들을 도면에 예시하고 상세한 설명에 상세하게 설명하고자 한다. 그러나, 이는 본 발명을 특정한 실시 형태에 대해 한정하려는 것이 아니며, 본 발명의 사상 및 기술 범위에 포함되는 모든 변경, 균등 물 내지 대체물을 포함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각 도면을 설명하면서 유사한 참조부호를 유사한 구성요소에 대해 사용하였다.
제1, 제2, A, B 등의 용어는 다양한 구성요소들을 설명하는데 사용될 수 있지만, 상기 구성요소들은 상기 용어들에 의해 한정되어서는 안된다. 상기 용어들은 하나의 구성요소를 다른 구성요소로부터 구별하는 목적으로만 사용된다. 예를 들어, 본 발명의 권리 범위를 벗어나지 않으면서 제1 구성요소는 제2 구성요소로 명명될 수 있고, 유사하게 제2 구성요소도 제1 구성요소로 명명될 수 있다. 및/또는 이라는 용어는 복수의 관련된 기재된 항목들의 조합 또는 복수의 관련된 기재된 항목들 중의 어느 항목을 포함한다.
어떤 구성요소가 다른 구성요소에 "연결되어" 있다거나 "접속되어" 있다고 언급된 때에는, 그 다른 구성요소에 직접적으로 연결되어 있거나 또는 접속되어 있을 수도 있지만, 중간에 다른 구성요소가 존재할 수도 있다고 이해되어야 할 것이다. 반면에, 어떤 구성요소가 다른 구성요소에 "직접 연결되어" 있다거나 "직접 접속되어" 있다고 언급된 때에는, 중간에 다른 구성요소가 존재하지 않는 것으로 이 해되어야 할 것이다.
본 출원에서 사용한 용어는 단지 특정한 실시예를 설명하기 위해 사용된 것으로, 본 발명을 한정하려는 의도가 아니다. 단수의 표현은 문맥상 명백하게 다르게 뜻하지 않는 한, 복수의 표현을 포함한다. 본 출원에서, "포함하다" 또는 "가지다" 등의 용어는 명세서상에 기재된 특징,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이 존재함을 지정하려는 것이지, 하나 또는 그 이상의 다른 특징들이나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들의 존재 또는 부가 가능성을 미리 배제하지 않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다르게 정의되지 않는 한, 기술적이거나 과학적인 용어를 포함해서 여기서 사용되는 모든 용어들은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해 일반적으로 이해되는 것과 동일한 의미를 가지고 있다. 일반적으로 사용되는 사전에 정의되어 있는 것과 같은 용어들은 관련 기술의 문맥 상 가지는 의미와 일치하는 의미를 가지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하며, 본 출원에서 명백하게 정의하지 않는 한, 이상적이거나 과도하게 형식적인 의미로 해석되지 않는다.
이하, 본 발명에 따른 바람직한 실시예를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하게 설명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휴대용 단말기의 동영상 재생시 메모를 입력하는 과정을 나타내는 흐름도이고, 도 2는 도 1에 도시된 메모 입력 과정에서 휴대용 단말기에 표시되는 사용자 인터페이스 화면이다. 또한,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휴대용 단말기의 동영상 재생시 메모를 입력하는 방법에서 메모 동기 정보를 저장한 메모 파일의 포맷이다.
도 1, 도 2 및 도 3을 참조하면, 먼저 터치 스크린을 구비한 휴대용 단말기에 동영상이 재생되면(단계 101), 휴대용 단말기는 재생되는 동영상의 재생화면에 메모가 입력 되었는지를 판단한다(단계 103). 여기서, 상기 입력되는 메모는 텍스트, 그래픽(예를들면 선, 도형 등) 및 이미지(예를들면 사진) 등을 포함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입력되는 메모가 이미지인 경우에는 재생되는 동영상이 일시 정지되고 휴대용 단말기에 저장된 이미지들 중 사용자가 소정 이미지를 선택함으로써 입력될 수 있다.
또는, 사용자가 메모 입력을 원하는 임의의 시간에, 휴대용 단말기의 터치 스크린에 텍스트, 직선, 점, 원, 삼각형, 사각형, 마름모, 별 등과 같은 메모를 직접 입력할 수 있다.
또는, 휴대용 단말기가 동영상이 재생되는 도중 미리 설정된 소정 시간 간격으로 메모 입력을 안내하는 메시지를 화면에 표시하고, 사용자가 상기 메모 입력을 안내하는 메시지에 상응하여 메모를 입력하도록 구성될 수도 있다.
예를들면,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휴대용 단말기에 구비된 터치 스크린에 동영상의 재생화면이 표시되면, 사용자는 터치 스크린에 터치를 통해 직접 텍스트 및/또는 도형 등과 같은 메모를 입력할 수 있다. 도 2에서는, 사용자가 직접 휴대용 단말기의 터치 스크린에 '운영자', '소지품'과 같은 텍스트와 '원', '선'과 같은 도형을 입력한 것으로 예를 들어 도시하였다.
단계 103에서, 메모가 입력되지 않은것으로 판단되면, 휴대용 단말기는 동영상 재생이 종료되었는지를 판단 한다(단계 115). 단계 115에서 동영상이 종료된 것으로 판단 되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휴대용 단말기의 동영상 재생시 메모 입력 방법은 종료된다. 단계 115에서 동영상이 종료되지 않은것으로 판단되면, 휴대용 단말기는 단계 101로 되돌아가서 이후의 단계들을 순차적으로 수행한다.
단계 103에서, 메모가 입력된 것으로 판단되면, 휴대용 단말기는 입력된 메모 정보를 추출하게 된다(단계 105).
여기서, 휴대용 단말기는 동영상이 재생되는 도중 사용자에 의해 소정의 메모가 입력되면 터치 스크린으로부터 제공되는 좌표값에 기초하여 메모가 입력된 동영상의 재생 시간을 추출하고, 메모가 입력된 위치(즉, 메모가 입력된 위치의 좌표값), 입력된 메모의 유형(또는, 모양) 등과 같은 입력된 메모의 정보를 추출한다.
이후, 휴대용 단말기는 메모 입력이 종료 되었는지를 판단하고(단계 107), 메모 입력이 종료되지 않은것으로 판단되면, 단계 103으로 되돌아가서 이후의 단계들을 순차적으로 수행한다.
단계 107에서, 사용자는 미리 정해진 메모 종료 메뉴의 터치 또는 별도의 키 조작을 통해 입력된 메모가 표시되지 않도록 하는 키 이벤트 신호를 발생시킬 수 있고, 휴대용 단말기는 상기 키 이벤트 신호에 기초하여 메모 입력 종료 여부를 판단할 수 있다.
단계 107에서, 메모 입력이 종료된것으로 판단되면, 휴대용 단말기는 상기 입력된 메모의 표시가 종료될 동영상의 재생시간을 추출하고(단계 109), 추출된 메 모 정보를 상기 동영상의 재생 시간과 동기시켜 저장한다(단계 111). 이후, 휴대용 단말기는 동기된 메모 정보를 별도의 메모 파일로 생성한다(단계 113).
여기서, 상기 메모 파일의 파일명은, 휴대용 단말기에서 재생되는 동영상의 파일명과 재생되는 동영상에 대응하는 메모 파일의 파일명을 일치시켜 생성할 수 있다. 또한, 상기 메모 파일의 확장자는 syn와 같이 메모 파일이 동영상과 동기된 파일임을 표시할 수 있도록 생성될 수 있다.
또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서는, 메모 파일의 이름을 별도의 규칙에 의해 생성하지 않고 사용자에 의해 생성되도록 구성될 수도 있다.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메모 파일의 구조는 헤더와 메모 데이터로 구성될 수 있다. 상기 헤더는 메모 데이터가 표시되는 동영상의 재생시간(start), 메모 데이터의 표시가 종료될 동영상의 재생시간(End), 메모 데이터가 저장된 메모리의 주소(Offset) 및 메모 데이터의 크기(Len)로 구성된다.
예를 들어, 동영상의 재생 중 첫 번째로 입력된 메모 데이터(예를 들면, '메모 데이터1')의 입력 시간이 1951ms이고, 상기 입력된 메모 데이터의 표시 종료 시간이 3304ms이면, 휴대용 단말기는 상기와 같은 시간 정보에 기초하여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메모 파일의 헤더에 'Start=1951', 'End=3304', 'Offset=0x00000F', 'Len=0x5632EF'를 기록하고, 헤더의 Offset 값이 지시하는 메모리의 위치에 Len 값이 지시하는 메모리의 크기를 할당하여 '메모 데이터1'을 기록한다.
다음으로, 휴대용 단말기는 상기 메모 파일을 생성한 후 동영상 재생의 종료 여부를 판단한다(단계 115).
단계 115에서 동영상의 재생이 종료된것으로 판단되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메모 입력 방법을 종료한다. 또는, 휴대용 단말기는 단계 115에서 동영상의 재생이 종료되지 않은것으로 판단되면 단계 101로 되돌아가서 단계 101 내지 단계 115를 수행한다.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휴대용 단말기의 동영상 재생시 메모 정보 표시 방법을 나타내는 흐름도 이다.
도 4를 참조하면, 휴대용 단말기는 동영상 재생의 수행을 지시하는 이벤트가 발생되면(단계 401), 상기 재생될 동영상에 대응되는 메모 파일이 존재하는지를 판단하게 된다(단계 403).
여기서, 휴대용 단말기는 재생되는 동영상의 파일명과 동일한 파일명을 가지는 메모 파일을 검색하여 메모 파일의 존재 여부를 판단할 수 있다.
단계 403에서, 상기 재생될 동영상에 대응되는 메모 파일이 존재하지 않은 것으로 판단된 경우, 휴대용 단말기는 동영상의 재생 화면만 터치 스크린에 표시하고(단계 423) 이후 동영상의 재생 종료 여부를 판단한다 (단계 425).
단계 403에서, 상기 재생될 동영상에 대응되는 메모 파일이 존재한것으로 판단되면, 휴대용 단말기는 재생될 동영상에 대응되는 해당 메모 파일을 파싱(Parsing)하고(단계 405), 파싱된 메모 파일에서 메모 표시가 시작될 동영상의 재생 시간, 메모 표시가 종료될 동영상의 재생 시간 및 입력된 메모의 표시 정보를 추출한 후 동영상을 재생한다(단계 407).
이후, 휴대용 단말기는 상기 파싱된 메모 파일에서 메모 표시가 시작될 동영 상의 재생 시간을 독출하고(단계 409), 상기 동영상의 재생 시간과 상기 독출된 메모 표시가 시작될 동영상의 재생 시간이 동일한지 판단한다(단계 411).
단계 411에서, 상기 동영상의 재생 시간과 상기 독출된 메모 표시가 시작될 재생 시간이 동일하지 않은것으로 판단된 경우, 단계 407로 되돌아가서 단계 407 내지 단계 411을 반복적으로 수행함으로써 상기 동영상의 재생시간과 독출된 메모 표시가 시작될 재생 시간이 동일한지를 판단한다.
단계 411에서, 상기 동영상의 재생시간과 상기 독출된 메모 표시가 시작 될 재생 시간이 동일한것으로 판단된 경우, 휴대용 단말기는 독출된 메모 정보를 동영상의 재생 화면에 중첩하여 표시한다(단계 413).
이후, 휴대용 단말기는 상기 독출된 메모 정보를 동영상의 재생 화면에 중첩하여 표시한후, 단계 405에서 파싱한 메모 파일에서 메모 표시가 종료될 동영상의 재생시간을 독출하고(단계 415), 상기 독출된 메모 표시가 종료될 동영상의 재생시간과 동영상의 재생시간이 동일한지 판단한다(단계 417).
단계 417에서, 상기 독출된 메모 표시가 종료될 동영상의 재생시간과 동영상의 재생시간이 동일하지 않으면, 상기 메모 표시 정보는 동영상의 재생 화면과 중첩되어 계속 표시되고, 휴대용 단말기는 단계 413으로 되돌아가서 단계 413 내지 단계 415를 반복적으로 수행함으로써 상기 독출된 메모 표시가 종료될 동영상의 재생시간과 동영상의 재생기간이 동일한지를 판단한다.
단계 417에서, 상기 독출된 메모 표시가 종료될 동영상의 재생시간과 동영상의 재생시간이 동일한 경우, 휴대용 단말기는 동영상에 중첩되어 표시된 메모가 더 이상 표시되지 않도록 한다(단계 419).
다음으로, 휴대용 단말기는 상기 파싱된 메모 파일에서 다음 표시될 메모 동기 정보가 존재하는지 판단한다(단계 421).
단계 421에서, 상기 다음 표시될 메모 동기 정보가 존재한 것으로 판단된 경우, 단계 409로 되돌아가서 단계 409 내지 단계 419를 반복적으로 수행함으로써 동영상의 재생시간과 독출된 메모 표시가 시작될 재생시간이 일치한 경우, 상기 재생되는 동영상에 메모 정보를 중첩하여 표시한다.
이후, 단계 405에서 메모 표시가 종료될 동영상의 재생시간을 추출하여, 추출된 메모 표시가 종료될 동영상의 재생시간과 동영상의 재생시간이 동일하면, 상기 재생되는 동영상과 중첩하여 표시되는 메모 표시를 종료한다.
단계 421에서, 상기 다음 표시될 메모 동기 정보가 존재하지 않는것으로 판단된 경우, 휴대용 단말기는 동영상의 재생 화면만 표시하고(단계 423), 동영상 재생이 종료되었는지를 판단하게 된다(단계 425).
단계 425에서, 동영상 재생이 종료되지 않은것으로 판단된 경우, 단계 423으로 되돌아가서 이후의 단계들을 순차적으로 수행하고, 단계 423에서, 동영상 재생이 종료된 것으로 판단된 경우에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휴대용 단말기의 동영상 재생시 메모 입력 방법을 종료한다.
도 1 내지 도 4에서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휴대용 단말기의 동영상 재생시 메모 입력 방법에서는, 터치 스크린에 동영상이 재생화면이 표시되는 도중 메모가 입력되면, 입력된 메모의 정보를 추출하고, 추출된 메모 의 정보를 상기 동영상의 재생시간과 동기하여 저장한다. 따라서, 동영상 재생화면에 사용자가 용이하게 메모를 입력할 수 있고, 동영상의 재생시 입력된 메모 정보가 동기되어 표시됨으로써 사용 편의성을 향상시킬 수 있다.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메모 입력 기능을 구비한 휴대용 단말기의 구성을 나타내는 블록도이다.
도 5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메모 입력 기능을 구비한 휴대용 단말기는 터치 스크린(510), 제어부(520), 저장부(530), 그래픽 처리부(540), 무선 송수신부(550), 마이크(560) 및 스피커(570)를 포함할 수 있다.
터치 스크린(510)은 액정표시장치(LCD: Liquid Crystal Display) 또는 유기발광다이오드(OLED: Organinc Light Emitting Diode) 등과 같은 디스플레이 장치와 터치 패드(touch pad)가 결합된 형태로 제어부(520)의 제어에 기초하여 휴대용 단말기의 메뉴나 버튼 등과 같은 사용자 인터페이스 및 휴대용 단말기의 동작 상태를 표시하고 사용자가 입력한 터치 입력에 상응하는 이벤트 신호를 제어부(520)에 제공한다.
터치 스크린(510)은 접촉식 정전용량 방식, 적외선 광 감지 방식, 표면 초음파 방식, 압전 방식, 저항막 방식 중 어느 하나의 방식이 사용될 수 있고 사용자가 입력한 터치 입력에 상응하는 좌표값을 제어부(520)에 제공한다.
예를 들어, 터치 스크린(510)에 저항막 방식이 사용된 경우 사용자에 의해 터치 입력이 발생되면 터치 스크린(510)은 터치된 위치의 전위차를 감지하고 감지된 전위차에 기초하여 표시 영역에서 터치된 위치의 X, Y 좌표를 제어부(520)에 제 공할 수 있다.
특히, 터치 스크린(510)은 동영상의 재생 화면이 표시되는 도중 사용자로부터 제공된 메모에 대응되는 좌표값을 제어부(520)에 제공한다.
또한, 터치 스크린(510)은 제어부(520)의 제어에 기초하여 동영상의 재생 화면 및 메모 정보를 표시한다.
제어부(520)는 터치 스크린(510)으로부터 소정 동영상의 재생을 지시하는 이벤트 신호가 제공되면 이에 상응하여 동영상의 재생을 위한 제어를 수행한다.
이후, 제어부(520)는 동영상의 재생 화면이 터치 스크린(510)에 표시되는 도중 메모가 입력되면, 터치 스크린(510)으로부터 제공된 좌표값에 기초하여 입력된 메모 정보를 추출한다.
여기서, 제어부(520)는 동영상이 재생되는 도중 미리 설정된 소정 시간 간격으로 메모 입력을 안내하는 메시지를 화면에 표시하고, 사용자가 상기 메모 입력을 안내하는 메시지에 상응하여 메모를 입력하도록 구성할 수도 있다.
그리고, 제어부(520)는 터치 스크린(510)으로부터 제공되는 좌표값에 기초하여 메모가 입력된 동영상의 재생 시간, 메모가 입력된 위치(즉, 메모가 입력된 위치의 좌표값), 입력된 메모의 유형(또는, 모양) 등과 같은 입력된 메모 정보를 추출할 수 있다.
다음으로, 제어부(520)는 메모 입력이 종료된 것으로 판단되면, 입력된 메모의 표시가 종료될 동영상의 재생시간을 추출한다. 여기서, 사용자가 입력된 메모의 표시가 종료되도록 설정된 메뉴 버튼 또는 별도의 키를 조작하면, 제어부(520)는 이에 상응하여 메모 표시가 종료될 동영상의 재생시간을 추출할 수 있다.
이후, 제어부(520)는 추출된 메모 정보를 동영상의 재생 시간과 동기시켜 저장하고 동기된 메모 정보를 별도의 메모 파일로 생성한다. 또한, 제어부(520)는 터치 스크린(510)으로부터 동영상 재생을 지시하는 이벤트 신호가 제공되면, 재생될 동영상에 대응되는 메모 파일이 존재하는지 판단한다. 여기서, 제어부(520)는 재생되는 동영상의 파일명과 동일한 파일명을 가지는 메모 파일을 검색하여 메모 파일의 존재 여부를 판단할 수 있다.
이후, 제어부(520)는 상기 재생될 동영상에 대응되는 메모 파일이 존재하면, 재생될 동영상에 대응되는 해당 메모 파일을 파싱(Parsing)하고, 파싱된 메모 파일에서 메모 표시가 시작될 동영상의 재생 시간, 메모 표시가 종료될 동영상의 재생 시간 및 입력된 메모의 표시 정보를 추출한후 동영상을 재생한다.
다음으로, 제어부(520)는 상기 파싱된 메모 파일에서 메모 표시가 시작될 동영상의 재생 시간을 독출하고, 상기 동영상의 재생 시간과 상기 독출된 메모 표시가 시작될 동영상의 재생 시간이 동일한 것으로 판단되면, 독출된 메모를 동영상의 해당 재생 시간에 동기시켜 표시한다.
그리고, 제어부(520)는 상기 메모의 표시가 종료될 시간을 독출하고, 동영상의 재생 시간이 상기 메모 표시 종료 시간과 일치하면 상기 표시된 메모의 표시를 종료한다.
이후, 제어부(520)는 파싱된 메모 파일에서 다음 표시될 메모 동기 정보가 존재하는 것으로 판단되면, 상기 메모 표시 과정을 반복한다.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서 제어부(520)는 터치 스크린(510)에 동영상이 재생되는 도중 미리 설정된 소정 시간 간격으로 메모 입력을 안내하는 메시지가 터치 스크린(510)에 표시되도록 제어하고, 상기 안내 메시지에 상응하여 사용자가 입력한 메모 정보를 추출하여 메모 파일을 생성하도록 구성될 수도 있다.
상기한 바와 같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메모 입력 및 표시 처리 과정은 소프트웨어 프로그램으로 구현될 수 있는 메모 입력 처리 모듈(521)에 의해 수행될 수 있다. 상기 메모 입력 처리 모듈(521)은 제어부(520)를 구성하는 프로세서에 의해 독출되어 수행될 수 있다.
또한, 제어부(520)는 음성 통화를 수행하기 위한 음성 코덱(523)을 포함할 수 있다. 음성코덱(523)은 무선 송수신부(550)를 통해 음성 통화 상대방의 휴대용 단말기로부터 제공된 상대방의 음성을 디코딩한 후 아날로그 신호로 변환하여 스피커(570)에 제공한다. 또한, 음성코덱(523)은 마이크(560)로부터 제공된 사용자의 음성 통화 규격에 적합한 포맷으로 인코딩한 후 무선 송수신부(550)에 제공한다.
저장부(530)는 플래쉬(Flash) 메모리, EEPROM(Electrically Erasable And Programmable Read Only Memory) 등과 같은 비휘발성 메모리로 구성될 수 있고, 휴대용 단말기의 기본 동작에 필요한 시스템 프로그램(예를 들면 운영체제)과, 기타 응용프로그램 및/또는 사용자에 의해 생성된 데이터가 저장될 수 있다.
특히, 저장부(530)에는 제어부(520)의 제어에 기초하여 메모 파일이 저장된다.
그래픽 처리부(540)는 동영상 재생을 위한 동영상 코덱(미도시)을 포함할 수 있다. 특히, 그래픽 처리부(540)는 제어부(520)의 제어에 기초하여 동기된 동영상 및 메모가 동시에 표시되도록 영상 처리를 수행한 후 터치 스크린(510)에 제공한다.
여기서, 그래픽 처리부(540)는 제어부(520)에 의해 수행될 수 있는 소프트웨어 프로그램으로 구현될 수도 있고, 별도의 반도체 칩으로 구현될 수도 있다.
무선 송수신부(550)는 공지된 기술에 해당하므로 상세하게 도시하지는 않았으나, 듀플렉서, 고주파 처리부 및 중간 주파수 처리부를 포함할 수 있고, 안테나(ANT)에 유기된 무선 고주파 신호(RF: Radio Frequency)를 듀플렉서를 통해 수신하고 수신된 무선 고주파 신호를 중간 주파수(Intermediate Frequency)로 변환한 후 다시 베이스 밴드(baseband) 신호로 변환하여 제어부(520)에 제공하고, 제어부(520)로부터 제공되는 베이스 밴드 신호를 중간 주파수로 변환한 후 중간 주파수의 신호를 다시 무선 고주파 신호로 변환하여 듀플렉서를 통해 안테나(ANT)에 제공할 수 있다.
또는, 무선 송수신부(550)는 상기와 같은 고주파 신호를 중간 주파수 변환을 거쳐 베이스 밴드 신호로 복조하는 헤테로다인 수신 방식 대신 주파수 변환 없이 수신된 고주파 신호에서 직접 신호를 복조하는 직접 변환 방식을 사용할 수도 있다.
마이크(560)는 음성 통화시 사용자 즉, 발신자의 음성을 입력 받고 이를 전기신호로 변환한 후 제어부(520)에 제공한다. 스피커(570)는 음성 코덱(523)으로부터 디코딩된 음성 통화 상대방의 음성 신호를 제공받고 이를 가청 주파수 대역의 신호로 출력한다.
이상 실시예를 참조하여 설명하였지만, 해당 기술 분야의 숙련된 당업자는 하기의 특허 청구의 범위에 기재된 본 발명의 사상 및 영역으로부터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본 발명을 다양하게 수정 및 변경시킬 수 있음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휴대용 단말기의 동영상 재생시 메모를 입력하는 과정을 나타내는 흐름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휴대용 단말기의 동영상 재생시 메모 입력 과정에서 휴대용 단말기에 표시되는 사용자 인터페이스 화면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휴대용 단말기의 동영상 재생시 메모를 입력하는 방법에서 메모 동기 정보를 저장한 메모 파일 포맷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휴대용 단말기의 동영상 재생시 메모 정보 표시 방법을 나타내는 흐름도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메모 입력 기능을 구비한 휴대용 단말기의 구성을 나타내는 블록도이다.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510: 터치 스크린 520: 제어부
530: 저장부 540: 그래픽 처리부
550: 무선 송수신부 560: 마이크
570: 스피커

Claims (8)

  1. 터치 스크린을 구비한 휴대용 단말기의 동영상 재생시 메모 입력 방법에 있어서,
    상기 터치 스크린에 동영상의 재생 화면이 표시되는 도중 메모가 입력되는 단계;
    입력된 상기 메모 정보가 추출되는 단계; 및
    추출된 메모 정보가 상기 동영상의 재생 시간과 동기되어 저장되는 단계를 포함하는 휴대용 단말기의 동영상 재생시 메모 입력 방법.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터치 스크린에 동영상의 재생 화면이 표시되는 도중 메모가 입력되는 단계는,
    상기 재생되는 동영상의 소정 재생 시간에 텍스트, 그래픽 정보 및 이미지 중 적어도 하나의 메모 정보가 입력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용 단말기의 동영상 재생시 메모 입력 방법.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터치 스크린에 동영상의 재생 화면이 표시되는 도중 메모가 입력되는 단계는,
    상기 휴대용 단말기가 미리 설정된 시간 간격으로 메모 입력을 안내하는 메시지를 표시하는 단계; 및
    상기 메모 입력을 안내하는 메시지에 상응하여 메모가 입력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용 단말기의 동영상 재생시 메모 입력 방법.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입력된 메모 정보가 추출되는 단계는,
    상기 입력된 메모가 표시될 동영상의 재생 시간, 상기 입력된 메모의 표시가 종료될 동영상의 재생 시간 및 입력된 메모의 표시 정보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용 단말기의 동영상 재생시 메모 입력 방법.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추출된 메모 정보가 상기 동영상의 재생 시간과 동기되어 저장되는 단계는,
    적어도 하나의 상기 추출된 메모 정보를 상기 동영상과 동기된 메모 파일로 생성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하는 휴대용 단말기의 동영상 재생시 메모 입력 방법.
  6. 휴대용 단말기에 동영상 재생 화면이 표시되는 도중 입력된 메모를 제공받고, 상기 입력된 메모 정보를 추출하고, 상기 추출된 메모 정보를 상기 동영상의 재생 시간과 동기하여 저장하는 제어부; 및
    상기 제어부의 제어에 기초하여 동영상 재생 중 입력된 메모를 표시하는 터치 스크린을 포함하는 메모 입력 기능을 구비한 휴대용 단말기.
  7. 제6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입력된 메모가 표시될 동영상의 재생 시간, 상기 입력된 메모의 표시가 종료될 동영상의 재생 시간 및 입력된 메모의 표시 정보를 추출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메모 입력 기능을 구비한 휴대용 단말기.
  8. 제6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추출된 메모 정보와 상기 동영상의 재생시간을 동기하여 메모 동기 파일로 생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메모 입력 기능을 구비한 휴대용 단말기.
KR1020080061402A 2008-06-27 2008-06-27 휴대용 단말기의 동영상 재생시 메모 입력 방법 및 이를수행하는 휴대용 단말기 KR20100001490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80061402A KR20100001490A (ko) 2008-06-27 2008-06-27 휴대용 단말기의 동영상 재생시 메모 입력 방법 및 이를수행하는 휴대용 단말기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80061402A KR20100001490A (ko) 2008-06-27 2008-06-27 휴대용 단말기의 동영상 재생시 메모 입력 방법 및 이를수행하는 휴대용 단말기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00001490A true KR20100001490A (ko) 2010-01-06

Family

ID=4181178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80061402A KR20100001490A (ko) 2008-06-27 2008-06-27 휴대용 단말기의 동영상 재생시 메모 입력 방법 및 이를수행하는 휴대용 단말기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100001490A (ko)

Cited By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11094046A2 (en) * 2010-01-28 2011-08-04 Microsoft Corporation Cross-reference gestures
KR20120005153A (ko) * 2010-07-08 2012-01-16 에스케이 텔레콤주식회사 컨텐츠재생장치 및 컨텐츠재생장치의 동작 방법
KR101445650B1 (ko) * 2012-12-21 2014-10-06 박용 이동 단말기 및 그 제어방법
KR101445656B1 (ko) * 2012-12-10 2014-10-06 박용 이동 단말기 및 그 제어방법
KR20150039461A (ko) * 2013-10-02 2015-04-10 엘지전자 주식회사 이동 단말기 및 그것의 제어방법.
US10282086B2 (en) 2010-01-28 2019-05-07 Microsoft Technology Licensing, Llc Brush, carbon-copy, and fill gestures

Cited By (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11094046A2 (en) * 2010-01-28 2011-08-04 Microsoft Corporation Cross-reference gestures
WO2011094046A3 (en) * 2010-01-28 2011-12-15 Microsoft Corporation Cross-reference gestures
US10282086B2 (en) 2010-01-28 2019-05-07 Microsoft Technology Licensing, Llc Brush, carbon-copy, and fill gestures
KR20120005153A (ko) * 2010-07-08 2012-01-16 에스케이 텔레콤주식회사 컨텐츠재생장치 및 컨텐츠재생장치의 동작 방법
KR101445656B1 (ko) * 2012-12-10 2014-10-06 박용 이동 단말기 및 그 제어방법
KR101445650B1 (ko) * 2012-12-21 2014-10-06 박용 이동 단말기 및 그 제어방법
KR20150039461A (ko) * 2013-10-02 2015-04-10 엘지전자 주식회사 이동 단말기 및 그것의 제어방법.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10200634B2 (en) Video generation method, apparatus and terminal
US11003331B2 (en) Screen capturing method and terminal, and screenshot reading method and terminal
CN111294638B (zh) 一种实现视频互动的方法、装置、终端和存储介质
US11178358B2 (en) Method and apparatus for generating video file, and storage medium
JP6186443B2 (ja) 録音方法、再生方法、装置、端末、システム、プログラム及び記録媒体
WO2016066092A1 (zh) 多媒体播放控制方法、装置以及存储介质
CN106803993B (zh) 一种实现视频分支选择播放的方法及装置
TW201346700A (zh) 資訊處理裝置,資訊處理方法,以及程式
US9659547B2 (en) Method and device for displaying images and text in accordance with a selected pattern
JP5872264B2 (ja) 携帯端末における電子書籍サービス提供方法及び装置
CN110601959B (zh) 会话消息显示方法、装置、终端及存储介质
KR20100001490A (ko) 휴대용 단말기의 동영상 재생시 메모 입력 방법 및 이를수행하는 휴대용 단말기
KR102023157B1 (ko) 휴대 단말기의 사용자 음성 녹음 및 재생 방법 및 장치
US9014728B2 (en) Method and apparatus for operating call function of portable terminal
WO2017101260A1 (zh) 音频切换方法、装置以及存储介质
CN106777204B (zh) 图片数据的处理方法、装置及移动终端
KR20110067998A (ko) 휴대 단말기의 사용자 인터페이스 운용 방법 및 장치
KR100621852B1 (ko) 이동통신 단말기에서 정보 막대 표시 방법
JP2010268207A (ja) 携帯端末
KR20120045218A (ko) 멀티 터치를 이용한 문자 입력 방법 및 장치
US8180836B2 (en) Information processing apparatus
KR20120026458A (ko) 데이터 관리 장치, 데이터 관리 방법 및 기록 매체
JP2012003610A (ja) 情報処理装置
JP2008252742A (ja) 電話装置、電話装置の動作方法、及び電話装置の動作プログラム
JP4869710B2 (ja) 携帯端末装置及び画像表示方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WITN Withdrawal due to no request for examin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