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00001017A - Portable terminal capable of sensing proximity touch - Google Patents

Portable terminal capable of sensing proximity touch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00001017A
KR20100001017A KR1020080060744A KR20080060744A KR20100001017A KR 20100001017 A KR20100001017 A KR 20100001017A KR 1020080060744 A KR1020080060744 A KR 1020080060744A KR 20080060744 A KR20080060744 A KR 20080060744A KR 20100001017 A KR20100001017 A KR 20100001017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touch
input medium
objects
user
touch scree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80060744A
Other languages
Korean (ko)
Inventor
권귀숙
Original Assignee
엘지전자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엘지전자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엘지전자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080060744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100001017A/en
Priority to US12/490,282 priority patent/US9030418B2/en
Priority to ES09008286.8T priority patent/ES2628976T3/en
Priority to EP09008286.8A priority patent/EP2138929B1/en
Publication of KR20100001017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00001017A/en
Priority to US14/678,865 priority patent/US9639222B2/en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1/00Details not covered by groups G06F3/00 - G06F13/00 and G06F21/00
    • G06F1/16Constructional details or arrangements
    • G06F1/1613Constructional details or arrangements for portable computers
    • G06F1/1626Constructional details or arrangements for portable computers with a single-body enclosure integrating a flat display, e.g. Personal Digital Assistants [PDA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1/00Details not covered by groups G06F3/00 - G06F13/00 and G06F21/00
    • G06F1/16Constructional details or arrangements
    • G06F1/1613Constructional details or arrangements for portable computers
    • G06F1/1633Constructional details or arrangements of portable computers not specific to the type of enclosures covered by groups G06F1/1615 - G06F1/1626
    • G06F1/1637Details related to the display arrangement, including those related to the mounting of the display in the housing
    • G06F1/1643Details related to the display arrangement, including those related to the mounting of the display in the housing the display being associated to a digitizer, e.g. laptops that can be used as penpad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01Input arrangements or combined input and output arrangements for interaction between user and computer
    • G06F3/03Arrangements for converting the position or the displacement of a member into a coded form
    • G06F3/041Digitisers, e.g. for touch screens or touch pads, characterised by the transducing mean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01Input arrangements or combined input and output arrangements for interaction between user and computer
    • G06F3/048Interaction techniques based on graphical user interfaces [GUI]
    • G06F3/0481Interaction techniques based on graphical user interfaces [GUI] based on specific properties of the displayed interaction object or a metaphor-based environment, e.g. interaction with desktop elements like windows or icons, or assisted by a cursor's changing behaviour or appearance
    • G06F3/0482Interaction with lists of selectable items, e.g. menu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01Input arrangements or combined input and output arrangements for interaction between user and computer
    • G06F3/048Interaction techniques based on graphical user interfaces [GUI]
    • G06F3/0487Interaction techniques based on graphical user interfaces [GUI] using specific features provided by the input device, e.g. functions controlled by the rotation of a mouse with dual sensing arrangements, or of the nature of the input device, e.g. tap gestures based on pressure sensed by a digitiser
    • G06F3/0488Interaction techniques based on graphical user interfaces [GUI] using specific features provided by the input device, e.g. functions controlled by the rotation of a mouse with dual sensing arrangements, or of the nature of the input device, e.g. tap gestures based on pressure sensed by a digitiser using a touch-screen or digitiser, e.g. input of commands through traced gesture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14Digital output to display device ; Cooperation and interconnection of the display device with other functional unit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2203/00Indexing scheme relating to G06F3/00 - G06F3/048
    • G06F2203/041Indexing scheme relating to G06F3/041 - G06F3/045
    • G06F2203/04106Multi-sensing digitiser, i.e. digitiser using at least two different sensing technologies simultaneously or alternatively, e.g. for detecting pen and finger, for saving power or for improving position detection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2203/00Indexing scheme relating to G06F3/00 - G06F3/048
    • G06F2203/041Indexing scheme relating to G06F3/041 - G06F3/045
    • G06F2203/04108Touchless 2D- digitiser, i.e. digitiser detecting the X/Y position of the input means, finger or stylus, also when it does not touch, but is proximate to the digitiser's interaction surface without distance measurement in the Z direction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Human Computer Interaction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Computer Hardware Design (AREA)
  • User Interface Of Digital Computer (AREA)

Abstract

PURPOSE: A portable terminal sensing the nearing touch interaction of an input media is provided to improve the convenience of a user by changing the magnification of an object according to the direct touch operation. CONSTITUTION: A touch screen(500) generates different touch input signal according to direct touch operation or proximity touch. A controller indicates a plurality of objects within a predetermined range from the input media. A plurality of selected objects is expanded. The user easily distinguishes an object in case the size of the basic object is small. The user easily selects the object.

Description

근접 터치 감지 기능을 갖는 휴대 단말기{PORTABLE TERMINAL CAPABLE OF SENSING PROXIMITY TOUCH}PORTABLE TERMINAL CAPABLE OF SENSING PROXIMITY TOUCH}

본 발명은 휴대 단말기에 관한 것으로, 특히 입력 매체의 근접 터치 동작을 감지할 수 있는 휴대 단말기에 관한 것이다.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portable terminal, and more particularly, to a portable terminal capable of sensing a proximity touch operation of an input medium.

일반적으로, 휴대 단말기는 휴대가 가능하면서 음성 및 영상 통화 기능, 정보를 입·출력하는 기능 및 데이터를 저장할 수 있는 기능 등을 하나 이상 갖춘 휴대용 기기이다.In general, a portable terminal is a portable device that is portable and has one or more functions such as voice and video calling, input and output of information, and a function of storing data.

그리고 휴대 단말기는 기능이 다양화됨에 따라 예를 들어 사진이나 동영상의 촬영, 음악이나 동영상 파일의 재생, 게임, 방송의 수신 등의 복잡한 기능들을 갖추고 있으며, 종합적인 멀티미디어 기기(Multimedia player) 형태로 구현되고 있다. As the functions are diversified, for example, the mobile terminal has complex functions such as taking a picture or video, playing a music or video file, playing a game, and receiving a broadcast, and is realized in the form of a comprehensive multimedia player. It is becoming.

이러한 멀티 미디어 기기에는 복잡한 기능을 구현하기 위해 하드웨어 또는 소프트웨어의 면에서 새로운 다양한 시도들이 적용되고 있다. 일 예로 사용자가 쉽 고 편리하게 기능을 검색하거나 선택하기 위한 사용자 인터페이스(User Interface) 환경이 제공되고 있다.Many new attempts are being applied to these multimedia devices in terms of hardware or software to implement complex functions. For example, a user interface environment is provided for a user to search for or select a function easily and conveniently.

또한, 최근에는 다양한 사용자 인터페이스 환경을 제공하기 위하여 디스플레이 모듈에 터치패드를 결합한 터치스크린이 휴대 단말기에 채용되고 있으며, 이로 인하여 사용자는 디스플레이 모듈에 구현된 화면을 보면서 다양한 사용자 명령을 입력하거나 기능을 선택할 수 있게 되었다.In addition, recently, in order to provide various user interface environments, a touch screen in which a touch pad is combined with a display module has been adopted in a portable terminal. As a result, a user may input various user commands or select a function while viewing a screen implemented in the display module. It became possible.

그러나, 종래의 터치스크린을 이용한 휴대 단말기에서는 사용자가 단순히 휴대 단말기의 화면에 디스플레이된 메뉴 또는 아이콘을 손가락으로 터치함으로써 상기 메뉴 또는 아이콘과 관련된 기능을 선택할 수 있을 뿐, 사용자의 동작에 따른 다양한 사용자 인터페이스 환경을 제공하지 못하는 문제가 있다.However, in a mobile terminal using a conventional touch screen, a user can select a function related to the menu or icon by simply touching a menu or icon displayed on a screen of the mobile terminal with a finger, and various user interfaces according to the user's operation. There is a problem that does not provide an environment.

또한, 종래의 휴대 단말기에 구비된 터치스크린은 그 크기에 제약으로 인하여, 하나의 화면 내에 형성될 수 있는 메뉴 및 아이콘 등의 개수에 제한이 있다.In addition, the touch screen provided in the conventional portable terminal has a limitation on the number of menus and icons that can be formed in one screen due to the limitation on the size thereof.

이로 인하여, 종래에는 휴대 단말기를 통하여 다양한 기능들을 제공하고 있음에도 불구하고, 사용자가 특정 기능을 실행하기 위해서는 다단계의 메뉴 검색 과정을 거쳐야한 한다. 즉, 종래의 휴대 단말기에 구현된 각각의 기능은 복수의 대분류 메뉴(예를 들어, 휴대 단말기의 초기 화면에 형성된 메뉴 또는 아이콘)와 상기 각각의 대분류 메뉴에 연관된 다수의 소분류 메뉴들이 다단계 뎁스(Depth) 형태로 이루어진다. 그러나, 사용자가 이와 같이 휴대 단말기에 구성된 다단계의 메뉴들 중 특정 메뉴에 해당하는 기능을 실행하기 위해서는, 상기 다단계 뎁스(Depth)로 이루어진 대분류 메뉴 및 소분류 메뉴들을 차례대로 검색해서 상기 특정 메뉴를 찾 아서 실행해야만 하는 불편함이 있다. Therefore, although various functions are conventionally provided through the portable terminal, the user must go through a multi-step menu search process to execute a specific function. That is, each function implemented in the conventional portable terminal includes a plurality of large category menus (for example, menus or icons formed on an initial screen of the portable terminal) and a plurality of small category menus associated with the respective large category menus. ) Form. However, in order for a user to execute a function corresponding to a specific menu among the multi-level menus configured in the portable terminal as described above, the specific menu is searched by sequentially searching the large-class menu consisting of the multi-level depth and the small-class menu. There is an inconvenience to be executed.

또한, 최근 휴대 단말기를 통하여 제공되는 기능들이 급속히 증가함에 따라, 사용자가 하나의 대분류 메뉴를 선택하면 상기 대분류 메뉴에 연관된 모든 기능을 수행하기 위한 다수의 소분류 메뉴가 휴대 단말기에 디스플레이된다. 그러나, 대부분의 사용자는 이와 같은 다수의 기능들 중 일부 기능만을 빈번하게 사용할 뿐, 그외 기능들은 사용하지 않는 경우가 많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상기 대분류 메뉴에 연관된 특정 기능을 수행하기 위해서 사용자는 상기 대분류 메뉴의 하부에 구성된 다수의 소분류 메뉴들을 차례대로 검색해서 상기 특정 기능에 대응하는 메뉴를 찾는 과정을 거쳐야만 하는 불편함이 있고, 이로 인하여 특히 휴대 단말기의 기능 활용에 익숙하지 않은 고령층 사용자의 휴대 단말기 사용 욕구를 저하시키는 문제가 있다.In addition, with the recent rapid increase in functions provided through the portable terminal, when the user selects one large category menu, a plurality of small category menus for performing all functions related to the large category menu are displayed on the portable terminal. However, most users frequently use only some of these functions, but often do not use other functions. Nevertheless, in order to perform a specific function related to the large category menu, a user has to inconvenience searching for a menu corresponding to the specific function by sequentially searching a plurality of small category menus configured under the large category menu. Therefore, there is a problem of lowering the desire for using a mobile terminal by an elderly user who is not accustomed to utilizing the functions of the mobile terminal.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소하기 위한 것으로서, 사용자의 서로 다른 터치 동작에 따라 다양한 사용자 친화적인 그래픽 사용자 인터페이스를 제공하는 근접 터치 감지 기능을 갖는 휴대 단말기에 관한 것이다.The present invention is to solve the above problems, and relates to a portable terminal having a proximity touch sensing function to provide a variety of user-friendly graphical user interface according to the user's different touch operation.

또한, 본 발명은 사용자가 휴대 단말기에 구비된 특정 기능을 실행하고자 하는 경우, 다단계의 메뉴를 모두 검색해야 하는 불편함이 없이 사용자가 자주 사용하는 기능을 바로 실행할 수 있는 그래픽 사용자 인터페이스를 제공하기 위한 것이 다. 아울러, 상기 터치 동작에 따라 반응하는 객체를 복수개로 함으로써, 보다 사용자에게 친밀한 그래픽 사용자 인터페이스를 제공하고자 한다.In addition, the present invention is to provide a graphical user interface that can immediately execute a function frequently used by the user without the inconvenience of having to search all the menu of the multi-level, if the user wants to execute a specific function provided in the portable terminal will be. In addition, by providing a plurality of objects that respond to the touch operation, to provide a more familiar graphical user interface to the user.

상기한 과제를 실현하기 위한 본 발명의 일예와 관련된 휴대 단말기는, 입력 매체의 근접 터치 또는 직접 터치 동작에 따라 서로 다른 터치 입력 신호를 생성하는 터치 스크린 및 상기 입력 매체로부터 일정 범위 이내의 복수 객체(선택 복수 객체)를 상기 입력 매체의 근접 터치 또는 직접 터치 동작에 따라 배율을 변경하여 디스플레이하는 제어부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According to an aspec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re is provided a portable terminal including a touch screen for generating different touch input signals according to a proximity touch or direct touch operation of an input medium, and a plurality of objects within a predetermined range from the input medium ( And a control unit for changing the magnification according to the proximity touch or direct touch operation of the input medium.

이때, 상기 제어부는 상기 선택 복수 객체 중 상기 입력 매체로부터 최단거리의 객체를 다른 선택 복수 객체보다 더 크게 디스플레이하는 것이 바람직하다.In this case, the control unit preferably displays the object of the shortest distance from the input medium among the plurality of selected plurality of objects larger than other selected plurality of objects.

상기 제어부는 상기 입력 매체의 근접 터치의 정도에 따라 상기 선택 복수 객체 디스플레이의 배율을 다르게 조정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여기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근접 터치가 상기 터치 스크린에 가깝게 이루어질수록 상기 선택 복수 객체를 확대하여 디스플레이하는 것이 바람직하다.The controller may adjust the magnification of the selected plurality of object displays differently according to the degree of proximity touch of the input medium. Here, the control unit preferably enlarges and displays the plurality of selected objects as the proximity touch is closer to the touch screen.

또한, 상기 선택 복수 객체의 중심은 확대전과 동일할 수 있으며, 이와 달리 상기 제어부는 상기 근접 터치 또는 직접 터치로 인하여 상기 선택 복수 객체가 확대되는 경우, 선택 복수 객체의 중심을 근접 또는 직접 터치 전의 위치에서 일정거리 이격되는 곳에 위치시킬 수도 있다.Also, the center of the plurality of selected objects may be the same as before the enlargement. In contrast, when the plurality of selected objects are enlarged due to the proximity touch or the direct touch, the controller moves the center of the selected plurality of objects before the proximity or direct touch. You can also place it at some distance from the.

상기 제어부는 상기 입력 매체의 근접 터치에 의한 확대 디스플레이의 경우, 직접 터치에 의해 상기 선택 복수 객체 중 하나를 선택 가능한 것이 바람직하다.In the case of the enlarged display by the proximity touch of the input medium, the controller may select one of the selected plurality of objects by direct touch.

상기 제어부는 상기 입력 매체의 직접 터치에 의한 확대 디스플레이의 경우, 터치 이탈에 의해 상기 선택 복수 객체 중 하나를 선택 가능한 것이 바람직하다.In the case of the enlarged display by direct touch of the input medium, the control unit may select one of the plurality of selected objects by touch detachment.

상기 제어부는 상기 선택 복수 객체 중 상기 입력 매체와 최단 거리의 객체를 제외한 객체를 축소하여 디스플레이하는 것이 바람직하다.The controller may reduce and display an object excluding the object having the shortest distance from the input medium among the plurality of selected objects.

상기 제어부는 상기 입력 매체에 의한 근접 터치 또는 직접 터치가 해제되면 상기 선택 복수 객체를 원래 배율로 복귀시키는 것이 바람직하다.The controller may return the selected plurality of objects to their original magnifications when the proximity touch or the direct touch by the input medium is released.

한편, 본 발명에 따른 휴대 단말기는 입력 매체의 근접 터치 또는 직접 터치 동작에 따라 서로 다른 터치 입력 신호를 생성하는 터치 스크린, 상기 터치 스크린 상에 표시되는 메뉴 리스트 및 상기 입력 매체로부터 일정 범위 이내의 복수 메뉴(선택 메뉴 객체)를 상기 입력 매체의 근접 터치 또는 직접 터치 동작에 따라 확대하여 디스플레이하는 제어부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다른 특징으로 한다.Meanwhile, a portable terminal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a touch screen for generating different touch input signals according to a proximity touch or direct touch operation of an input medium, a menu list displayed on the touch screen, and a plurality of inputs within a predetermined range from the input medium. And a control unit configured to enlarge and display a menu (selection menu object) according to the proximity touch or direct touch operation of the input medium.

이때, 상기 메뉴 리스트는 옵션 브라우저, 지하철 노선도, 네비게이션 지도, 웹 브라우저 탐색기, 파일 브라우저 중 적어도 어느 하나일 수 있으며, 상기 제어부는 상기 선택 메뉴 객체가 이미지와 문자로 이루어진 경우, 상기 이미지와 문자 모두 확대하여 디스플레이하는 것이 바람직하다.In this case, the menu list may be at least one of an option browser, a subway map, a navigation map, a web browser navigator, and a file browser, and the control unit enlarges both the image and text when the selection menu object is composed of images and text. It is preferable to display it.

상기 제어부는 상기 근접 터치 또는 직접 터치로 인하여 상기 선택 메뉴 객체가 확대되는 경우, 선택 복수 객체의 중심을 근접 또는 직접 터치 전의 위치에서 일정거리 이격되는 곳에 위치시킬 수 있으며, 상기 선택 메뉴 객체가 확대됨으로 인하여 겹치는 부분이 발생할 경우, 상기 입력 매체에서 최단 거리의 객체를 최상 위에 배치할 수 있다.When the selection menu object is enlarged due to the proximity touch or the direct touch, the controller may position the center of the plurality of selection objects at a distance separated from a position before the proximity or direct touch, and the selection menu object is enlarged. Due to this, when the overlapping part occurs, the object having the shortest distance from the input medium may be disposed on the top.

또한, 상기 제어부는 상기 입력 매체 외의 추가 입력 매체를 인식한 경우, 상기 원 입력 매체의 이동에 대해서, 상기 선택 메뉴 객체 내에서의 이동으로 처리하는 것이 바람직하다.In addition, when the control unit recognizes an additional input medium other than the input medium, it is preferable to process the movement of the original input medium as movement in the selection menu object.

상기와 같이 구성되는 본 발명에 관련된 휴대 단말기에 따르면, 휴대 단말기의 터치 스크린에 소정의 복수 객체가 디스플레이된 상태에서 상기 입력 매체의 근접 터치 또는 직접 터치 동작에 따라 일부 복수 객체의 배율을 변경하여 디스플레이함으로써, 사용자의 사용 편의를 도모할 수 있으며, 결과적으로 제품에 대한 신뢰성이 향상된다.According to the mobile terminal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configured as described above, while a predetermined plurality of objects are displayed on the touch screen of the mobile terminal, the magnification of some of the plurality of objects is displayed according to the proximity touch or direct touch operation of the input medium. By doing so, the user's convenience can be achieved, and as a result, the reliability of the product is improved.

본 명세서에서 기술되는 휴대 단말기는 휴대폰, 스마트 폰(smart phone), 노트북 컴퓨터(notebook computer), 디지털방송용 단말기, PDA(Personal Digital Assistants), PMP(Portable Multimedia Player), 네비게이션, 등이 있다.The portable terminal described herein includes a mobile phone, a smart phone, a notebook computer, a digital broadcasting terminal, a personal digital assistant (PDA), a portable multimedia player (PMP), navigation, and the like.

이하, 본 발명과 관련된 휴대 단말기 및 이를 이용한 화면 제어 방법에 대하여 도면을 참조하여 보다 상세하게 설명한다.Hereinafter, a portable terminal related to the present invention and a screen control method using the same will be described in more detail with reference to the accompanying drawings.

도 1을 참조하여, 본 발명과 관련된 휴대 단말기를 기능에 따른 구성요소 관점에서 살펴보겠다.Referring to FIG. 1, a portable terminal related to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in terms of components according to functions.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와 관련된 휴대 단말기의 블록 구성도(block diagram)이다. 1 is a block diagram of a mobile terminal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시된 휴대 단말기(100)는 무선 통신부(110), A/V(Audio/Video) 입력부(120), 조작부(130), 센싱부(140), 출력부(150), 저장부(160), 인터페이스부(170), 제어부(180) 및 전원 공급부(190) 등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구성요소들은 실제 응용에서 구현될 때 필요에 따라 2 이상의 구성요소가 하나의 구성요소로 합쳐지거나, 하나의 구성요소가 2 이상의 구성요소로 세분되어 구성될 수 있음을 유념해야 한다.The illustrated mobile terminal 100 includes a wireless communication unit 110, an A / V input unit 120, an operation unit 130, a sensing unit 140, an output unit 150, a storage unit 160, The interface unit 170 may include a controller 180, a power supply unit 190, and the like. It should be noted that the above components may be combined into one or more components, or one component may be subdivided into two or more components as necessary when implemented in actual application.

이하 상기 구성요소들에 대해 차례로 살펴본다.Hereinafter, the components will be described in turn.

무선 통신부(110)는 방송 수신 모듈(111), 이동통신 모듈(112), 무선 인터넷 모듈(113), 근거리 통신 모듈(114) 및 GPS 모듈(115) 등을 포함할 수 있다.The wireless communication unit 110 may include a broadcast receiving module 111, a mobile communication module 112, a wireless internet module 113, a short range communication module 114, a GPS module 115, and the like.

방송 수신 모듈(111)은 방송 채널을 통하여 외부의 방송 관리 서버(미 도시)로부터 방송 신호 및/또는 방송 관련된 정보를 수신한다. 상기 방송 채널은 위성 채널, 지상파 채널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방송 관리 서버는, 방송 신호 및/또는 방송 관련 정보를 생성하여 송신하는 서버 또는 기 생성된 방송 신호 및/또는 방송 관련 정보를 제공받아 단말기에 송신하는 서버를 의미할 수 있다. 상기 방송 관련 정보는, 방송 채널, 방송 프로그램 또는 방송 서비스 제공자에 관련한 정보를 의미할 수 있다. 상기 방송 신호는, TV 방송 신호, 라디오 방송 신호, 데이터 방송 신 호를 포함할 뿐만 아니라, TV 방송 신호 또는 라디오 방송 신호에 데이터 방송 신호가 결합한 형태의 방송 신호도 포함할 수 있다.The broadcast receiving module 111 receives a broadcast signal and / or broadcast related information from an external broadcast management server (not shown) through a broadcast channel. The broadcast channel may include a satellite channel and a terrestrial channel. The broadcast management server may mean a server that generates and transmits a broadcast signal and / or broadcast related information or a server that receives a previously generated broadcast signal and / or broadcast related information and transmits the same to a terminal. The broadcast related information may mean information related to a broadcast channel, a broadcast program, or a broadcast service provider. The broadcast signal may include not only a TV broadcast signal, a radio broadcast signal, and a data broadcast signal but also a broadcast signal having a data broadcast signal combined with a TV broadcast signal or a radio broadcast signal.

한편, 상기 방송 관련 정보는, 이동통신망을 통하여도 제공될 수 있으며, 이러한 경우에는 상기 이동통신 모듈(112)에 의해 수신될 수 있다.Meanwhile, the broadcast related information may be provided through a mobile communication network, and in this case, may be received by the mobile communication module 112.

상기 방송 관련 정보는 다양한 형태로 존재할 수 있다. 예를 들어, DMB(Digital Multimedia Broadcasting)의 EPG(Electronic Program Guide) 또는 DVB-H(Digital Video Broadcast-Handheld)의 ESG(Electronic Service Guide) 등의 형태로 존재할 수 있다.The broadcast related information may exist in various forms. For example, it may exist in the form of Electronic Program Guide (EPG) of Digital Multimedia Broadcasting (DMB) or Electronic Service Guide (ESG) of Digital Video Broadcast-Handheld (DVB-H).

상기 방송 수신 모듈(111)은, 각종 방송 시스템을 이용하여 방송 신호를 수신하는데, 특히, DMB-T(Digital Multimedia Broadcasting-Terrestrial), DMB-S(Digital Multimedia Broadcasting-Satellite), MediaFLO(Media Forward Link Only), DVB-H(Digital Video Broadcast-Handheld), ISDB-T(Integrated Services Digital Broadcast-Terrestrial) 등의 디지털 방송 시스템을 이용하여 디지털 방송 신호를 수신할 수 있다. 물론, 상기 방송 수신 모듈(111)은, 상술한 디지털 방송 시스템뿐만 아니라 방송 신호를 제공하는 모든 방송 시스템에 적합하도록 구성된다.The broadcast receiving module 111 receives broadcast signals using various broadcasting systems, and in particular, digital multimedia broadcasting-terrestrial (DMB-T), digital multimedia broadcasting-satellite (DMB-S), and media forward link (MediaFLO). Digital broadcast signals can be received using digital broadcasting systems such as only), digital video broadcast-handheld (DVB-H), integrated services digital broadcast-terrestrial (ISDB-T), and the like. Of course, the broadcast receiving module 111 is configured to be suitable for all broadcast systems providing broadcast signals as well as the digital broadcast system described above.

방송 수신 모듈(111)을 통해 수신된 방송 신호 및/또는 방송 관련 정보는 저장부(160)에 저장될 수 있다.The broadcast signal and / or broadcast related information received through the broadcast receiving module 111 may be stored in the storage 160.

또한, 이동통신 모듈(112)은, 이동 통신망 상에서 기지국, 외부의 단말, 서버 중 적어도 하나와 무선 신호를 송수신한다. 여기에서, 상기 무선 신호는, 음성 호 신호, 화상 통화 호 신호 또는 문자/멀티미디어 메시지 송수신에 따른 다양한 형태의 데이터를 포함할 수 있다. In addition, the mobile communication module 112 transmits and receives a radio signal with at least one of a base station, an external terminal, and a server on a mobile communication network. The wireless signal may include various types of data according to transmission and reception of a voice call signal, a video call call signal, or a text / multimedia message.

무선 인터넷 모듈(113)은 무선 인터넷 접속을 위한 모듈을 말하는 것으로, 무선 인터넷 모듈(113)은 내장되거나 외장될 수 있다.The wireless internet module 113 refers to a module for wireless internet access, and the wireless internet module 113 may be internal or external.

근거리 통신 모듈(114)은 근거리 통신을 위한 모듈을 말한다. 근거리 통신 기술로 블루투스(Bluetooth), RFID(Radio Frequency Identification), 적외선 통신(IrDA, infrared Data Association), UWB(Ultra Wideband), ZigBee 등이 이용될 수 있다.The short range communication module 114 refers to a module for short range communication. As a short range communication technology, Bluetooth, Radio Frequency Identification (RFID), Infrared Data Association (IrDA), Ultra Wideband (UWB), ZigBee, and the like may be used.

또한, GPS(Global Position System) 모듈(115)은 복수 개의 인공위성으로부터 항법 정보를 수신한다.In addition, the GPS module 115 receives navigation information from a plurality of satellites.

한편, A/V(Audio/Video) 입력부(120)는 오디오 신호 또는 비디오 신호 입력을 위한 것으로, 이에는 카메라 모듈(121)과 마이크 모듈(122) 등이 포함될 수 있다. 카메라 모듈(121)은 화상 통화모드 또는 촬영 모드에서 이미지 센서에 의해 얻어지는 정지영상 또는 동영상 등의 화상 프레임을 처리한다. 그리고, 처리된 화상 프레임은 디스플레이 모듈(151)에 표시될 수 있다.Meanwhile, the A / V input unit 120 is for inputting an audio signal or a video signal, and may include a camera module 121 and a microphone module 122. The camera module 121 processes image frames such as still images or moving images obtained by an image sensor in a video call mode or a photographing mode. The processed image frame may be displayed on the display module 151.

카메라 모듈(121)에서 처리된 화상 프레임은 저장부(160)에 저장되거나 무선 통신부(110)를 통하여 외부로 전송될 수 있다. 카메라 모듈(121)은 단말기의 구성 태양에 따라 2개 이상이 구비될 수도 있다.The image frame processed by the camera module 121 may be stored in the storage 160 or transmitted to the outside through the wireless communication unit 110. Two or more camera modules 121 may be provided according to the configuration of the terminal.

마이크 모듈(122)은 통화모드 또는 녹음모드, 음성인식 모드 등에서 마이크로폰(Microphone)에 의해 외부의 음향 신호를 입력받아 전기적인 음성 데이터로 처 리한다. 그리고, 처리된 음성 데이터는 통화 모드인 경우 이동통신 모듈(112)를 통하여 이동통신 기지국으로 송신 가능한 형태로 변환되어 출력될 수 있다. 마이크 모듈(122)은 외부의 음향 신호를 입력받는 과정에서 발생되는 잡음(noise)를 제거하기 위한 다양한 잡음 제거 알고리즘이 구현될 수 있다.The microphone module 122 receives an external sound signal by a microphone in a call mode, a recording mode, a voice recognition mode, etc., and processes the external sound signal as electrical voice data. The processed voice data may be converted into a form transmittable to the mobile communication base station through the mobile communication module 112 and output in the call mode. The microphone module 122 may implement various noise removing algorithms for removing noise generated in the process of receiving an external sound signal.

조작부(130)는 사용자가 단말기의 동작 제어를 위하여 입력하는 키 입력 데이터를 발생시킨다. 조작부(130)는 키 패드(key pad) 돔 스위치 (dome switch), 터치 패드(정압/정전), 조그 휠, 조그 스위치 등으로 구성될 수 있다. 특히, 터치 패드가 후술하는 디스플레이 모듈(151)과 상호 레이어 구조를 이룰 경우, 이를 터치 스크린이라 부를 수 있다.The operation unit 130 generates key input data input by the user for controlling the operation of the terminal. The operation unit 130 may be configured of a key pad dome switch, a touch pad (static pressure / capacitance), a jog wheel, a jog switch, and the like. In particular, when the touch pad forms a mutual layer structure with the display module 151 described later, this may be referred to as a touch screen.

센싱부(140)는 휴대 단말기(100)의 개폐 상태, 휴대 단말기(100)의 위치, 사용자 접촉 유무 등과 같이 휴대 단말기(100)의 현 상태를 감지하여 휴대 단말기(100)의 동작을 제어하기 위한 센싱 신호를 발생시킨다. 예를 들어 휴대 단말기(100)가 슬라이드 폰 형태인 경우 슬라이드 폰의 개폐 여부를 센싱할 수 있다. 또한, 전원 공급부(190)의 전원 공급 여부, 인터페이스부(170)의 외부 기기 결합 여부 등과 관련된 센싱 기능을 담당한다.The sensing unit 140 detects a current state of the mobile terminal 100 such as an open / closed state of the mobile terminal 100, a position of the mobile terminal 100, presence or absence of a user contact, and controls the operation of the mobile terminal 100. Generate a sensing signal. For example, when the portable terminal 100 is in the form of a slide phone, whether the slide phone is opened or closed may be sensed. In addition, it is responsible for sensing functions related to whether the power supply unit 190 is supplied with power or whether the interface unit 170 is coupled to an external device.

인터페이스부(170)는 휴대 단말기(100)에 연결되는 모든 외부기기와의 인터페이스 역할을 한다. 예를 들어, 유/무선 헤드셋, 외부 충전기, 유/무선 데이터 포트, 카드 소켓(예를 들어, 메모리 카드(Memory card), SIM/UIM card), 오디오 I/O(Input/Output) 단자, 비디오 I/O(Input/Output) 단자, 이어폰 등이 있다. 이와 같은 인터페이스부(170)는 외부 기기로부터 데이터를 전송받거나 전원을 공급받아 휴대 단말기(100) 내부의 각 구성 요소에 전달하거나 휴대 단말기(100) 내부의 데이터가 외부 기기로 전송되도록 한다.The interface unit 170 serves as an interface with all external devices connected to the mobile terminal 100. For example, wired / wireless headsets, external chargers, wired / wireless data ports, card sockets (e.g. memory cards, SIM / UIM cards), audio input / output (I / O) terminals, video I / O (Input / Output) terminal, earphone, etc. The interface unit 170 receives data from an external device or receives power and transmits the data to each component inside the mobile terminal 100 or transmits the data inside the mobile terminal 100 to an external device.

출력부(150)는 오디오 신호 또는 비디오 신호 또는 알람(alarm) 신호의 출력을 위한 것으로, 이에는 디스플레이 모듈(151)과 음향 출력 모듈(152), 알람 출력 모듈(153) 등이 포함될 수 있다. The output unit 150 is for outputting an audio signal, a video signal, or an alarm signal. The output unit 150 may include a display module 151, a sound output module 152, an alarm output module 153, and the like.

디스플레이 모듈(151)은 휴대 단말기(100)에서 처리되는 정보를 표시 출력한다. 예를 들어 휴대 단말기(100)가 통화 모드인 경우 통화와 관련된 UI(User Interface) 또는 GUI(Graphic User Interface)를 표시한다. 그리고 휴대 단말기(100)가 화상 통화 모드 또는 촬영 모드인 경우 촬영 또는/및 수신된 영상 또는 UI, GUI를 표시한다. The display module 151 displays and outputs information processed by the mobile terminal 100. For example, when the mobile terminal 100 is in a call mode, the mobile terminal 100 displays a user interface (UI) or a graphic user interface (GUI) related to the call. When the mobile terminal 100 is in a video call mode or a photographing mode, the mobile terminal 100 displays a photographed and / or received image, a UI, or a GUI.

한편, 전술한 바와 같이, 디스플레이 모듈(151)과 터치패드가 상호 레이어 구조를 이루어 터치 스크린으로 구성되는 경우, 디스플레이 모듈(151)은 출력 장치 이외에 입력 장치로도 사용될 수 있다. 디스플레이 모듈(151)은 액정 디스플레이(liquid crystal display), 박막 트랜지스터 액정 디스플레이(thin film transistor-liquid crystal display), 유기 발광 다이오드(organic light-emitting diode), 플렉시블 디스플레이(flexible display), 3차원 디스플레이(3D display) 중에서 적어도 하나를 포함할 수 있다. 그리고 휴대 단말기(100)의 구현 형태에 따라 디스플레이 모듈(151)이 2개 이상 존재할 수도 있다. 예를 들어, 휴대 단말기(100)에 외부 디스플레이 모듈(미도시)과 내부 디스플레이 모듈(미도시)이 동시에 구비될 수 있다.Meanwhile, as described above, when the display module 151 and the touch pad have a mutual layer structure and constitute a touch screen, the display module 151 may be used as an input device in addition to the output device. The display module 151 may be a liquid crystal display, a thin film transistor-liquid crystal display, an organic light-emitting diode, a flexible display, or a three-dimensional display. 3D display). In addition, two or more display modules 151 may exist according to the implementation form of the mobile terminal 100. For example, the external display module (not shown) and the internal display module (not shown) may be simultaneously provided in the portable terminal 100.

음향 출력 모듈(152)은 호신호 수신, 통화모드 또는 녹음 모드, 음성인식 모드, 방송수신 모드 등에서 무선 통신부(110)로부터 수신되거나 저장부(160)에 저장된 오디오 데이터를 출력한다. 또한, 음향 출력 모듈(152)은 휴대 단말기(100)에서 수행되는 기능(예를 들어, 호신호 수신음, 메시지 수신음 등)과 관련된 음향 신호를 출력한다. 이러한 음향 출력 모듈(152)에는 스피커(speaker), 버저(Buzzer) 등이 포함될 수 있다.The sound output module 152 outputs audio data received from the wireless communication unit 110 or stored in the storage unit 160 in a call signal reception, a call mode or a recording mode, a voice recognition mode, a broadcast reception mode, and the like. In addition, the sound output module 152 outputs a sound signal related to a function (eg, a call signal reception sound, a message reception sound, etc.) performed in the mobile terminal 100. The sound output module 152 may include a speaker, a buzzer, and the like.

알람 출력 모듈(153)은 휴대 단말기(100)의 이벤트 발생을 알리기 위한 신호를 출력한다. 휴대 단말기(100)에서 발생되는 이벤트의 예로는 전화 통화를 요청하는 호 신호 수신, 메시지 수신, 키 신호 입력, 미리 정해진 시간을 알리는 알람 등이 있다. 알람 출력 모듈(153)은 오디오 신호나 비디오 신호 이외에 다른 형태로 이벤트 발생을 알리기 위한 신호를 출력한다. 예를 들면, 진동 형태로 신호를 출력할 수 있다. 호 신호가 수신되거나 메시지가 수신된 경우, 이를 알리기 위해 알람 출력 모듈(153)은 진동을 출력할 수 있다. 또는, 키 신호가 입력된 경우, 키 신호 입력에 대한 피드백으로 알람 출력 모듈(153)은 진동을 출력할 수 있다. 상기와 같은 진동 출력을 통해 사용자는 이벤트 발생을 인지할 수 있다. 물론 이벤트 발생 알림을 위한 신호는 디스플레이 모듈(151)이나 음향 출력 모듈(152)을 통해서도 출력될 수 있다.The alarm output module 153 outputs a signal for notifying occurrence of an event of the portable terminal 100. Examples of the event generated in the mobile terminal 100 include a call signal reception requesting a phone call, a message reception, a key signal input, an alarm for notifying a predetermined time, and the like. The alarm output module 153 outputs a signal for notifying occurrence of an event in a form other than an audio signal or a video signal. For example, the signal may be output in the form of vibration. When a call signal is received or a message is received, the alarm output module 153 may output a vibration to notify this. Alternatively, when a key signal is input, the alarm output module 153 may output a vibration in response to the key signal input. Through the vibration output as described above, the user can recognize the occurrence of the event. Of course, the signal for notification of event occurrence may be output through the display module 151 or the sound output module 152.

저장부(160)는 제어부(180)의 처리 및 제어를 위한 프로그램이 저장될 수도 있고, 입/출력되는 데이터들(예를 들어, 폰북, 메시지, 정지영상, 동영상 등)의 임시 저장을 위한 기능을 수행할 수도 있다. The storage unit 160 may store a program for processing and control of the controller 180, and a function for temporarily storing input / output data (for example, a phone book, a message, a still image, a video, etc.). You can also do

저장부(160)는 플래시 메모리 타입(flash memory type), 하드디스크 타입(hard disk type), 멀티미디어 카드 마이크로 타입(multimedia card micro type), 카드 타입의 메모리(예를 들어 SD 또는 XD 메모리 등), 램, 롬 중 적어도 하나의 타입의 저장매체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휴대 단말기(100)는 인터넷(internet)상에서 저장부(150)의 저장 기능을 수행하는 웹 스토리지(web storage)를 운영할 수도 있다. The storage unit 160 may include a flash memory type, a hard disk type, a multimedia card micro type, a card type memory (eg, SD or XD memory), It may include a storage medium of at least one type of RAM and ROM. In addition, the mobile terminal 100 may operate a web storage that performs a storage function of the storage unit 150 on the Internet.

그리고 제어부(180)는 통상적으로 휴대 단말기(100)의 전반적인 동작을 제어한다. 예를 들어 음성 통화, 데이터 통신, 화상 통화 등을 위한 관련된 제어 및 처리를 수행한다. 또한, 제어부(180)는 멀티 미디어 재생을 위한 멀티미디어 재생 모듈(181)을 구비할 수도 있다. 멀티미디어 재생 모듈(181)은 제어부(180) 내에 하드웨어로 구성될 수도 있고, 제어부(180)와 별도로 소프트웨어로 구성될 수도 있다.The controller 180 typically controls the overall operation of the mobile terminal 100. For example, perform related control and processing for voice calls, data communications, video calls, and the like. In addition, the controller 180 may include a multimedia playback module 181 for multimedia playback. The multimedia playback module 181 may be configured in hardware in the controller 180 or may be configured in software separately from the controller 180.

또한, 상기 제어부(180)는 입력 매체(예를 들어, 사용자의 손가락)가 상기 터치 스크린을 근접 터치 또는 직접 터치하는 동작을 식별하여, 상기 터치 스크린에 서로 다른 그래픽 사용자 인터페이스(GUI)를 제공한다. 예를 들어, 상기 제어부(180)는, 상기 터치 스크린상에 소정의 상위 객체가 디스플레이된 상태에서 상기 입력 매체가 상기 상위 객체를 근접 터치 또는 직접 터치함에 따라, 상기 상위 객체에 연결된 기능을 제공하기 위한 하위 객체를 상기 터치 스크린 상에 디스플레이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제어부(180)는 상기 터치 스크린 상에 디스플레이된 상기 상위 객체 및 하위 객체를 활성화시킴으로써, 상기 입력 매체가 상기 상위 객체 및 하위 객체를 근접 터치 또는 직접 터치하는 동작을 식별할 수 있다. 상기 제어 부(180)의 세부 기능에 대해서는 이하에서 더욱 상세히 설명될 것이다.In addition, the controller 180 identifies an operation in which an input medium (for example, a user's finger) touches the touch screen in proximity or directly, thereby providing different graphic user interfaces (GUIs) to the touch screen. . For example, the controller 180 may provide a function connected to the upper object when the input medium touches the upper object in close proximity or directly while a predetermined upper object is displayed on the touch screen. Can display sub-objects on the touch screen. In addition, the controller 180 may identify an operation of touching or directly touching the upper object and the lower object by activating the upper object and the lower object displayed on the touch screen. Detailed functions of the control unit 180 will be described in more detail below.

전원 공급부(190)는 제어부(180)의 제어에 의해 외부의 전원, 내부의 전원을 인가받아 각 구성요소들의 동작에 필요한 전원을 공급한다.The power supply unit 190 receives an external power source and an internal power source under the control of the controller 180 to supply power for operation of each component.

이상에서는 본 발명과 관련된 휴대 단말기를 기능에 따른 구성요소 관점에서 살펴보았다. 이하에서는 도 2 및 도 3을 더욱 참조하여, 본 발명과 관련된 휴대 단말기를 외형에 따른 구성요소 관점에서 더욱 살펴보겠다. 이하에서는 설명의 간명함을 위해 폴더 타입, 바 타입, 스윙타입, 슬라이더 타입, 등과 같은 여러 타입의 휴대 단말기들 중에서 슬라이더 타입의 휴대 단말기를 예로 들어 설명한다. 따라서 본 발명은 슬라이더 타입의 휴대 단말기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고 상기 전술한 타입을 포함한 모든 타입의 휴대 단말기에 적용될 수 있다. In the above, the portable terminal related to the present invention has been described in terms of components according to functions. Hereinafter, referring to FIG. 2 and FIG. 3, the portable terminal related to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further described in terms of components according to appearance. In the following description, a slider-type portable terminal is described as an example among various types of portable terminals such as a folder type, a bar type, a swing type, a slider type, and the like for clarity of explanation. Therefore, the present invention is not limited to the slider type portable terminal, but can be applied to all types of portable terminals including the aforementioned type.

도 2는 본 발명과 관련된 휴대 단말기의 일 예를 전면에서 바라본 사시도이다. 2 is a front perspective view of an example of a mobile terminal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본 발명의 휴대 단말기(100)는 제1바디(100A)와, 상기 제1바디(100A)에 적어도 일 방향을 따라 슬라이딩 가능하게 구성된 제2바디(100B)를 포함한다. The portable terminal 100 of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a first body 100A and a second body 100B configured to be slidable in at least one direction on the first body 100A.

제1바디(100A)가 제2바디(100B)와 중첩되게 배치된 상태를 닫힌 상태(closed configuration)라 칭할 수 있으며, 본 도면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1바디(100A)가 제2바디(100B)의 적어도 일 부분을 노출한 상태를 열린 상태(open configuration)라 칭할 수 있다. A state in which the first body 100A is disposed to overlap with the second body 100B may be referred to as a closed configuration, and as shown in the drawing, the first body 100A is referred to as the second body 100B. The exposed state of at least a portion of the N may be referred to as an open configuration.

상기 휴대 단말기(100)는 닫힌 상태에서 주로 대기 모드로 작동하지만 사용자의 조작에 의해 대기 모드가 해제되기도 한다. 그리고, 상기 휴대 단말기(100)는 열린 상태에서 주로 통화 모드 등으로 작동하지만 사용자의 조작 또는 소정 시간의 경과에 의해 대기 모드로 전환되기도 한다.Although the portable terminal 100 operates mainly in the standby mode in the closed state, the standby mode may be released by a user's manipulation. In addition, the portable terminal 100 operates mainly in a call mode or the like in an open state, but may be switched to a standby mode by a user's manipulation or a lapse of a predetermined time.

상기 제1바디(100A)의 외관을 이루는 케이스(케이싱, 하우징, 커버 등)는 제 1 프론트 케이스(100A-1)와 제 1 리어 케이스(100A-2)에 의해 형성된다. 상기 제 1 프론트 케이스(100A-1)와 제 1 리어 케이스(100A-2)에 의해 형성된 공간에는 각종 전자부품들이 내장된다. 제 1 프론트 케이스(100A-1)와 제 1 리어 케이스(100A-2) 사이에는 적어도 하나의 중간 케이스들이 추가로 배치될 수도 있다. The case (casing, housing, cover, etc.) forming the exterior of the first body 100A is formed by the first front case 100A-1 and the first rear case 100A-2. Various electronic components are embedded in the space formed by the first front case 100A-1 and the first rear case 100A-2. At least one intermediate case may be further disposed between the first front case 100A-1 and the first rear case 100A-2.

상기 케이스들은 합성수지를 사출하여 형성되거나 금속 재질, 예를 들어 스테인레스 스틸(STS) 또는 티타늄(Ti) 등과 같은 금속 재질을 갖도록 형성될 수도 있다.The cases may be formed by injecting a synthetic resin or may be formed of a metal material, for example, a metal material such as stainless steel (STS) or titanium (Ti).

제1 바디(100A), 구체적으로 제 1 프론트 케이스(100A-1)에는 디스플레이모듈(151), 제 1 음향출력모듈(152-1), 제1 카메라모듈(121-1) 또는 제1 조작부(130-1)가 배치될 수 있다. In the first body 100A, specifically, the first front case 100A-1, the display module 151, the first sound output module 152-1, the first camera module 121-1, or the first manipulation unit ( 130-1) may be disposed.

상기 디스플레이모듈(151)은 정보를 시각적으로 표현하는 LCD(liquid crystal display), OLED(Organic Light Emitting Diodes) 등을 포함한다. The display module 151 includes a liquid crystal display (LCD), organic light emitting diodes (OLED), and the like, which visually express information.

그리고 상기 디스플레이모듈(151)에는 터치패드가 레이어 구조로 중첩됨으로써, 상기 디스플레이모듈(151)이 터치 스크린으로 동작하여 사용자의 터치에 의한 정보의 입력 또한 가능하게 할 수도 있다. In addition, since the touch pad is superimposed on the display module 151 in a layer structure, the display module 151 may operate as a touch screen to enable input of information by a user's touch.

상기 제 1 음향출력모듈(152-1)은 리시버 또는 스피커의 형태로 구현될 수 있다. The first sound output module 152-1 may be implemented in the form of a receiver or a speaker.

상기 제1카메라모듈(121-1)은 사용자 등에 대한 이미지 또는 동영상을 촬영하기에 적절하도록 구현될 수 있다. The first camera module 121-1 may be implemented to be suitable for capturing an image or a video of a user.

제1바디(100A)와 마찬가지로, 제 2 바디(100B)의 외관을 이루는 케이스는 제 2 프론트 케이스(100B-1)와 제 2 리어 케이스(100B-2)에 의해 형성된다.Like the first body 100A, the case forming the external appearance of the second body 100B is formed by the second front case 100B-1 and the second rear case 100B-2.

제2 바디(100B), 구체적으로 제 2 프론트 케이스(100B-1)의 전면(front face)에는 제2 조작부(130-2)가 배치될 수 있다.The second manipulation unit 130-2 may be disposed on the front surface of the second body 100B, specifically, the second front case 100B-1.

제 2 프론트 케이스(100B-1) 또는 제 2 리어 케이스(100B-2)) 중 적어도 하나에는 제3 조작부(130-3), 마이크모듈(122), 인터페이스부(170)가 배치될 수 있다. The third manipulation unit 130-3, the microphone module 122, and the interface unit 170 may be disposed on at least one of the second front case 100B-1 or the second rear case 100B-2).

상기 제1 내지 제3 조작부(130-1, 130-2, 130-3)는 조작부(manipulating portion)(130)라 통칭될 수 있으며, 사용자가 촉각적인 느낌을 주면서 조작하게 되는 방식(tactile manner)이라면 어떤 방식이든 채용될 수 있다. The first to third manipulation units 130-1, 130-2, and 130-3 may be collectively referred to as manipulating portions 130, and may be manipulated while the user gives a tactile feeling. Can be employed in any manner.

예를 들어, 상기 조작부(130)는 사용자의 푸시 또는 터치 조작에 의해 명령 또는 정보를 입력받을 수 있는 돔 스위치 또는 터치 패드로 구현되거나, 키를 회전시키는 휠 또는 조그 방식이나 조이스틱과 같이 조작하는 방식 등으로도 구현될 수 있다. For example, the operation unit 130 may be implemented as a dome switch or a touch pad that may receive a command or information by a user's push or touch operation, or may be operated by a wheel or jog method or a joystick that rotates a key. Or the like.

기능적인 면에서, 제1 조작부(130-1)는 시작, 종료, 스크롤 등과 같은 명령을 입력하기 위한 것이고, 제2 조작부(130-2)는 숫자 또는 문자, 심볼(symbol) 등 을 입력하기 위한 것이다. In functional terms, the first operation unit 130-1 is for inputting a command such as start, end, scrolling, etc., and the second operation unit 130-2 is for inputting numbers, letters, symbols, and the like. will be.

또한, 제3 조작부(130-3)는 상기 휴대단말기 내의 특수한 기능을 활성화하기 위한 핫 키(hot-key)로서 작동할 수 있다.In addition, the third operation unit 130-3 may operate as a hot-key for activating a special function in the mobile terminal.

상기 마이크모듈(122)은 사용자의 음성, 기타 소리 등을 입력 받기에 적절한 형태로 구현될 수 있다.The microphone module 122 may be implemented in a form suitable for receiving a user's voice, other sounds, and the like.

상기 인터페이스부(170)는 본 발명과 관련된 휴대 단말기(100)가 외부 기기와 데이터 교환 등을 할 수 있게 하는 통로가 된다. 예를 들어, 상기 인터페이스부(170)는 유선 또는 무선으로, 이어폰과 연결하기 위한 접속단자, 근거리 통신을 위한 포트(예를 들어, 적외선 포트(IrDA port), 블루투스 포트(Bluetooth port), 무선 랜 포트(wireless Lan port) 등), 또는 상기 휴대 단말기(100) 내부의 각 구성 요소에 전원을 공급하기 위한 전원공급 단자들 중 적어도 하나일 수 있다. The interface unit 170 serves as a passage for allowing the portable terminal 100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to exchange data with an external device. For example, the interface unit 170 is wired or wirelessly, a connection terminal for connecting with an earphone, a port for short-range communication (for example, an infrared port (IrDA port), a Bluetooth port, a wireless LAN) Port (wireless Lan port, etc.), or at least one of power supply terminals for supplying power to each component inside the portable terminal 100.

상기 인터페이스부(170)는 SIM(subscriber identification module) 또는 UIM(user identity module), 정보 저장을 위한 메모리 카드 등의 외장형 카드를 수용하는 카드 소켓일 수도 있다. The interface unit 170 may be a card socket that accommodates an external card such as a subscriber identification module (SIM) or a user identity module (UIM) and a memory card for storing information.

제 2 리어 케이스(100B-2) 측에는 상기 휴대 단말기(100)에 전원을 공급하기 위한 전원공급부(190)가 장착된다. The power supply unit 190 for supplying power to the portable terminal 100 is mounted on the second rear case 100B-2.

상기 전원공급부(190)는, 예를 들어 충전 가능한 배터리로서 충전 등을 위하여 착탈 가능하게 결합될 수 있다.The power supply unit 190 may be detachably coupled for charging, for example, as a rechargeable battery.

도 3는 도 2의 휴대 단말기의 후면 사시도이다. 3 is a rear perspective view of the portable terminal of FIG. 2.

도 3을 참조하면, 제2바디(100B)의 제 2 리어 케이스(100B-2)의 후면에는 제2 카메라모듈(121-2)이 추가로 장착될 수 있다. 상기 제2 카메라모듈(121-2)은 제1 카메라모듈(121-1, 도 1 참조)과 실질적으로 반대되는 촬영 방향을 가지며, 제1 카메라모듈과 서로 다른 화소를 가질 수 있다. Referring to FIG. 3, a second camera module 121-2 may be additionally mounted on the rear surface of the second rear case 100B-2 of the second body 100B. The second camera module 121-2 may have a photographing direction substantially opposite to that of the first camera module 121-1 (see FIG. 1), and may have different pixels from the first camera module.

예를 들어, 제1 카메라모듈(121-1)은 화상 통화 등의 경우에 사용자의 얼굴을 촬영하여 상대방에 전송함에 무리가 없도록 저화소를 가지며, 제2 카메라모듈(121-2)은 일반적인 피사체를 촬영하고 바로 전송하지는 않는 경우가 많기에 고 화소를 가지는 것이 바람직하다.For example, the first camera module 121-1 has a low pixel so that the user's face is photographed and transmitted to the counterpart in case of a video call, and the second camera module 121-2 is a general subject. It is preferable to have a high pixel because it is not often photographed and transmitted immediately.

제2 카메라모듈(121-2)에 인접하게는 플래쉬(121-3)와 거울(121-4)이 추가로 배치될 수 있다. 상기 플래쉬(121-3)는 제2 카메라모듈(121-2)로 피사체를 촬영하는 경우에 상기 피사체를 향해 빛을 비추게 된다. 상기 거울(121-4)은 사용자가 제2 카메라모듈(121-2)을 이용하여 자신을 촬영(셀프 촬영)하고자 하는 경우에, 사용자 자신의 얼굴 등을 비춰볼 수 있게 한다.The flash 121-3 and the mirror 121-4 may be further disposed adjacent to the second camera module 121-2. The flash 121-3 illuminates the light toward the subject when the subject is photographed by the second camera module 121-2. The mirror 121-4 allows the user to see his / her face or the like when the user wants to photograph himself (self-photographing) using the second camera module 121-2.

제 2 리어 케이스(100B-2)에는 제2 음향출력모듈(152-2)이 추가로 배치될 수도 있다. The second sound output module 152-2 may be further disposed on the second rear case 100B-2.

상기 제2 음향출력모듈(152-2)는 제1 음향출력모듈(152-1, 도2 참조)와 함께 스테레오 기능을 구현할 수 있으며, 스피커폰 모드로 통화를 위하여 사용될 수도 있다. The second sound output module 152-2 may implement a stereo function together with the first sound output module 152-1 (see FIG. 2), and may be used for a call in a speakerphone mode.

또한, 제 2 리어 케이스(100B-2)의 일 측에는 통화 등을 위한 안테나 외에 방송신호 수신용 안테나(111-1)가 배치될 수 있다. 상기 안테나(111-1)는 제2바 디(100B)(2)에서 인출 가능하게 설치될 수 있다.In addition, an antenna 111-1 for receiving a broadcast signal may be disposed on one side of the second rear case 100B-2 in addition to an antenna for a call. The antenna 111-1 may be installed to be pulled out of the second body 100B and 2.

제1바디(100A)의 제 1 리어 케이스(100A-2) 측에는 제1바디(100A)와 제2바디(100B)를 슬라이딩 가능하게 결합하는 슬라이드 모듈(100C)의 일 부분이 배치된다. A portion of the slide module 100C for slidably coupling the first body 100A and the second body 100B to the first rear case 100A-2 side of the first body 100A is disposed.

슬라이드 모듈(100C)의 다른 부분은 제2 바디(100B)의 제 2 프론트 케이스(100B-1) 측에 배치되어, 본 도면에서와 같이 외부로 드러나지 않는 형태일 수 있다. The other part of the slide module 100C may be disposed on the side of the second front case 100B-1 of the second body 100B and may not be exposed to the outside as shown in the drawing.

이상에서는 제2 카메라모듈(121-2)) 등이 제2바디(100B)에 배치되는 것으로 설명하였으나, 반드시 그에 제한되는 것은 아니다.In the above description, the second camera module 121-2) and the like are disposed on the second body 100B, but are not necessarily limited thereto.

예를 들어, 제2 카메라모듈(121-2) 등과 같이 제 2 리어 케이스(100B-2)에 배치되는 것으로 설명한 구성들(111-1, 121-2 내지 121-3, 152-2) 중 적어도 하나 이상이 제1바디(100A), 주로는 제 1 리어 케이스(100A-2)에 장착되는 것도 가능하다. 그러한 경우라면, 상기 닫힌 상태에서 제 1 리어케이스(100A-2)에 배치되는 구성(들)이 제2바디(100B)에 의해 보호되는 이점이 있다. 나아가, 제2 카메라모듈(121-2)이 별도로 구비되지 않더라도, 제1 카메라모듈(121-1)가 회전 가능하게 형성되어 제2 카메라모듈(121-2)의 촬영 방향까지 촬영이 가능하도록 구성될 수도 있다. For example, at least one of the elements 111-1, 121-2 to 121-3, and 152-2 described as disposed on the second rear case 100B-2, such as the second camera module 121-2. At least one may be mounted to the first body 100A, mainly the first rear case 100A-2. In such a case, there is an advantage that the configuration (s) arranged in the first rear case 100A-2 in the closed state are protected by the second body 100B. Furthermore, even if the second camera module 121-2 is not separately provided, the first camera module 121-1 is formed to be rotatable so that shooting can be performed up to the shooting direction of the second camera module 121-2. May be

상기와 같이 설명된 휴대 단말기는 상기 설명된 실시예들의 구성과 방법이 한정되게 적용될 수 있는 것이 아니라, 상기 실시예들은 다양한 변형이 이루어질 수 있도록 각 실시예들의 전부 또는 일부가 선택적으로 조합되어 구성될 수도 있다.The above-described portable terminal is not limited to the configuration and method of the above-described embodiments, but the embodiments may be configured by selectively combining all or some of the embodiments so that various modifications can be made. It may be.

도 4는 본 발명과 관련된 터치스크린의 구조를 나타낸다.4 illustrates a structure of a touch screen related to the present invention.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디스플레이 모듈(151)은 터치패드(400)와 상호 레이어 구조를 이룸으로써 터치 스크린(500)으로 구성된다. As shown in FIG. 4, the display module 151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forms a mutual layer structure with the touch pad 400 and is configured as a touch screen 500.

도 4에 도시된, 상기 터치패드(400)는 ITO(Indium Tin Oxide)와 같은 투명 도전성 물질로 이루어지는 4각형의 도전막(411)과 상기 도전막(411)의 각 모서리에 형성된 금속 전극들(412-1 내지 412-4)로 이루어진다. 상기 도전막(411) 상에는 보호막(420)이 형성될 수 있다.As illustrated in FIG. 4, the touch pad 400 includes a quadrangular conductive film 411 made of a transparent conductive material such as indium tin oxide (ITO) and metal electrodes formed at each corner of the conductive film 411. 412-1 to 412-4). The passivation layer 420 may be formed on the conductive layer 411.

상기 터치패드(400)는 정전 용량 감지 방식(Capacitive sensing type)의 위치 검출 장치로서, 송신측 금속 전극들(T: 412-1, 412-4)에 인가된 교류 전압에 의하여 상기 송신측 금속 전극들(T: 412-1, 412-4)과 수신측 금속 전극들(R: 412-2, 412-3) 사이에 전기력선(Electric Field Lines)을 형성한다. 상기 형성된 전기력선은 상기 보호막(420)을 통하여 상기 터치 패널(400)에 외부에 연장된다. 이에 따라, 입력 매체(예를 들어, 사용자의 손가락)가 상기 터치패드(400)에 근접하거나 상기 터치패드(400)를 직접 터치함으로써 상기 전기력선을 일부 차단시킬 경우 상기 수신측 금속 전극들(R: 412-2, 412-3)로 흐르는 전류의 위상 및 크기에 변화가 발생한다. 이는 인체가 지면에 대하여 수 pF의 정전 용량을 갖기 때문에, 사용자가 상기 터치패널(400)에 손가락을 근접시키거나 터치할 경우 상기 터치패널(400) 상 에 형성된 전기력선을 왜곡시키기 때문이다. The touch pad 400 is a capacitive sensing type position detecting apparatus, and the transmitting side metal electrode is applied by an alternating voltage applied to the transmitting side metal electrodes T: 412-1 and 412-4. Electrical field lines are formed between the electrodes T: 412-1 and 412-4 and the receiving metal electrodes R: 412-2 and 412-3. The formed electric line of force extends to the outside of the touch panel 400 through the passivation layer 420. Accordingly, when the input medium (for example, a user's finger) closes the electric field line by approaching the touch pad 400 or directly touching the touch pad 400, the receiving side metal electrodes R: A change occurs in the phase and magnitude of the current flowing to 412-2 and 412-3. This is because the human body has a capacitance of several pF with respect to the ground, and the user distorts electric force lines formed on the touch panel 400 when the user approaches or touches the finger with the touch panel 400.

그리고, 휴대 단말기(100) 내부에 구성된 프로세서들(미도시)은 상기 입력 매체의 터치 동작에 따른 수신측 금속 전극들(R: 412-2, 412-3)의 전류 변화를 이용하여 상기 입력 매체가 근접한 거리와, 상기 터치가 발생한 위치를 감지할 수 있게 된다. In addition, the processors (not shown) configured in the portable terminal 100 may change the input medium by using a current change of the receiving metal electrodes R 412-2 and 412-3 according to a touch operation of the input medium. It is possible to detect the distance close to the position where the touch occurred.

또한, 상기 입력 매체에는 사용자의 손가락뿐만 아니라, 상기 터치패드(400) 상에 형성된 전기력선을 왜곡시킴으로써 상기 휴대 단말기(100)가 터치 입력을 인식할 수 있는 물체라면 모두 포함된다. In addition, the input medium may include any object not only a user's finger but also an object capable of recognizing a touch input by distorting an electric force line formed on the touch pad 400.

도 5는 상기 도 4의 터치스크린을 이용한 입력 매체의 근접 거리를 검출하는 원리를 설명하는 도면이다. FIG. 5 is a diagram illustrating a principle of detecting a proximity distance of an input medium using the touch screen of FIG. 4.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투명 도전막(411)에 형성된 금속 전극들(412-1 내지 412-4) 중 송신측 금속 전극(412-1)에 교류 전압(430)이 인가됨으로써, 상기 송신측 금속 전극(412-1)과 수신측 금속 전극(412-2) 사이에 전기력선들(501 내지 503)이 형성된다. 상기 전기력선들(501 내지 503)은 터치스크린(500)의 수직 상방향(즉, z방향)으로 연장되어 형성된다. As illustrated in FIG. 5, the AC voltage 430 is applied to the transmitting side metal electrode 412-1 among the metal electrodes 412-1 to 412-4 formed on the transparent conductive film 411, thereby transmitting the above-described voltage. Electrical force lines 501 to 503 are formed between the side metal electrode 412-1 and the receiving side metal electrode 412-2. The electric field lines 501 to 503 extend in a vertically upward direction (ie, z direction) of the touch screen 500.

그리고, 사용자의 손가락(510)이 상기 터치스크린(500)에 근접한 거리에 따라, 상기 손가락(510)이 차단하는 전기력선들(501 내지 503)의 양이 달라지게 된다. 즉, 상기 손가락(510)이 상기 터치스크린(500)에 가까워질수록 상기 손가락(510)이 상기 전기력선들(501 내지 503)에 미치는 영향은 증가하게 된다. In addition, according to the distance between the user's finger 510 and the touch screen 500, the amount of electric field lines 501 to 503 blocked by the finger 510 is changed. That is, as the finger 510 gets closer to the touch screen 500, the influence of the finger 510 on the electric field lines 501 to 503 increases.

이와 같이 손가락(510)에 의하여 전기력선들(501 내지 503)에 가해진 영향은 각각의 금속 전극(412-1, 412-2)에 연결된 전류 검출부(440-1, 440-2)에 인가되는 전류를 변화시키게 되고, 상기 전류 검출부(440-1, 440-2)는 상기 전류의 변화를 검출하여 아날로그-디지털 컨버터(ADC: Analog-Digital Converter)(450)로 제공한다. 그러면, 상기 아날로그-디지털 컨버터(ADC)(450)는 아날로그 신호 형태로 입력되는 전류의 변화량을 디지털 값으로 변환한 후, 터치 시간 측정부(460)로 제공한다. As described above, the influence applied to the electric field lines 501 to 503 by the finger 510 may affect the current applied to the current detectors 440-1 and 440-2 connected to the metal electrodes 412-1 and 412-2. The current detectors 440-1 and 440-2 detect the change in the current and provide it to an analog-digital converter (ADC) 450. Then, the analog-to-digital converter (ADC) 450 converts the amount of change of the current input in the form of an analog signal into a digital value, and provides it to the touch time measuring unit 460.

그러면, 상기 터치 시간 측정부(460)는 상기 아날로그-디지털 컨버터(ADC)(450)로부터 제공된 전류 변화량에 대한 정보로부터 상기 터치스크린(500)이 상기 손가락(510)이 근접하였음을 인식할 수 있는 터치 인식 유효 거리(즉, 도 5에서 'd1') 이내에 상기 손가락(510)이 머무른 시간을 측정한다. 이에 따라, 상기 터치 시간 측정부(460)은 미리 정해진 시간(예를 들어, 1초) 이상 상기 손가락(510)이 근접 터치 인식 유효 거리(즉, 도 5에서 'd1') 이내에 머무를 경우 본 발명에 따른 근접 터치 또는 직접 터치 동작을 수행하고 있는 것으로 인식할 수 있다. 반면에, 상기 터치 시간 측정부(460)는 상기 손가락(510)이 미리 정해진 시간(예를 들어, 1초) 보다 짧은 시간 동안 근접 터치 인식 유효 거리(즉, 도 5에서 'd1') 이내에 머무를 경우에는 본 발명에 따른 근접 터치 또는 직접 터치 동작을 수행하는 것이 아닌 것으로 판단할 수 있다. Then, the touch time measuring unit 460 may recognize that the finger 510 is close to the touch screen 500 from the information on the amount of current change provided from the analog-to-digital converter (ADC) 450. The time that the finger 510 stays within the touch recognition effective distance (ie, 'd1' in FIG. 5) is measured. Accordingly, when the finger 510 stays within the proximity touch recognition effective distance (ie, 'd1' in FIG. 5) for more than a predetermined time (for example, 1 second), the touch time measuring unit 460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t may be recognized that the proximity touch or direct touch operation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s performed. On the other hand, the touch time measuring unit 460 may keep the finger 510 within a proximity touch recognition effective distance (ie, 'd1' in FIG. 5) for a time shorter than a predetermined time (for example, 1 second). In this case, it may be determined that the proximity touch or the direct touch operation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s not performed.

이와 같이, 상기 터치 시간 측정부(460)에 의해 상기 손가락(510)이 상기 터치 스크린(500)을 근접 터치 또는 직접 터치 동작에 따른 터치 입력이 있는 것으로 판단된 경우, 상기 터치 시간 측정부(460)는 상기 거리 검출부(470)에 터치 입력 발생 정보 및 전류 변화량에 대한 정보를 제공한다. As such, when it is determined by the touch time measuring unit 460 that the finger 510 has a touch input based on a proximity touch or a direct touch operation on the touch screen 500, the touch time measuring unit 460 ) Provides the distance detection unit 470 with information about the touch input generation information and the current change amount.

그러면, 상기 거리검출부(460)는 상기 제공된 전류 변화량에 대한 정보로부터 상기 손가락(510)과 상기 터치 스크린(500)간의 거리, 즉 상기 손가락(510)이 상기 터치 스크린(500)으로부터 수직 상방향(즉, z방향)으로 이격된 거리를 계산한다. Then, the distance detection unit 460 is a distance between the finger 510 and the touch screen 500 from the information on the amount of current change, that is, the finger 510 is vertically upward from the touch screen 500 ( That is, the distance spaced in the z direction) is calculated.

구체적으로, 상기 손가락(510)이 상기 터치패널(400)의 수직 상방향(즉, z방향)으로부터 d1(예를 들어, 30mm)보다 가깝고 d2(예를 들어, 20mm)보다 먼 거리에 위치한 경우(즉, d1~d2 사이에 위치한 경우), 상기 거리검출부(460)는 상기 손가락(510)이 상기 터치 스크린(500)이 외부 입력 매체의 터치 여부를 감지하기 시작하는 터치 인식 유효 거리 이내에 들어온 것으로 판단하여, 본 발명에 따른 근접 터치 동작에 대응하는 기능을 제공할 수 있다. 여기서, 근접 터치란 사용자 명령을 입력하기 위하여 입력 매체(예를 들어, 사용자의 손가락)가 상기 터치스크린(500)의 상기 터치 인식 유효 거리 이내에 위치한 상태를 말하며, 상기 근접 터치는 상기 입력 매체가 상기 터치스크린(500)을 직접 터치하지는 않는 것이라는 점에서 상기 입력 매체가 상기 터치 스크린(500)을 직접 터치하는 직접 터치 동작과 구분된다.Specifically, when the finger 510 is located closer than d1 (eg, 30 mm) and farther than d2 (eg, 20 mm) from the vertical upward direction (ie, z direction) of the touch panel 400. (Ie, located between d1 and d2), the distance detector 460 is located within a touch recognition effective distance at which the finger 510 starts detecting whether the touch screen 500 touches an external input medium. By determining, a function corresponding to the proximity touch operation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may be provided. Here, the proximity touch refers to a state in which an input medium (for example, a user's finger) is located within the touch recognition effective distance of the touch screen 500 for inputting a user command. The input medium is distinguished from a direct touch operation in which the input medium directly touches the touch screen 500 in that the touch screen 500 is not directly touched.

또한, 상기 손가락(510)이 상기 터치 스크린(500)의 수직 상방향(즉, z방향)으로부터 d2(예를 들어, 20mm)보다 가깝고 d3(예를 들어, 10mm)보다 먼 거리에 위치한 경우(즉, d2~d3 사이에 위치한 경우), 상기 거리검출부(460)는 상기 손가 락(510)이 상기 터치 스크린(500)에 상당히 근접한 것으로 판단할 수 있다.Further, when the finger 510 is located closer than d2 (for example, 20 mm) and farther than d3 (for example, 10 mm) from the vertical upward direction (ie, z direction) of the touch screen 500 ( That is, when the position is located between d2 and d3), the distance detector 460 may determine that the finger 510 is very close to the touch screen 500.

나아가, 상기 손가락(510)이 상기 터치 스크린(500)의 수직 상방향(즉, z방향)으로부터 d3(예를 들어, 10mm)보다 가까운 거리에 위치(즉, d3 이내에 위치한 경우)하거나 상기 손가락(510)이 상기 터치 스크린(500)의 표면을 직접 터치한 경우, 상기 거리검출부(460)는 상기 손가락(510)이 상기 터치 스크린(500)을 오차 범위 내에서 직접 터치한 것으로 판단한다.Further, when the finger 510 is positioned at a distance closer to d3 (eg, 10 mm) from the vertically upward direction (ie, z direction) of the touch screen 500 (ie, located within d3) or the finger ( When the 510 directly touches the surface of the touch screen 500, the distance detector 460 determines that the finger 510 directly touches the touch screen 500 within an error range.

상기 도 5에서는, 상기 손가락(510)의 터치 동작을 상기 손가락(510)과 상기 터치 스크린(500)간의 거리에 따라 3단계로 구분하여 설명하고 있으나, 상기 터치 동작은 4단계 이상으로 더욱 정밀하게 구분될 수 있다. In FIG. 5, the touch operation of the finger 510 is divided into three steps according to the distance between the finger 510 and the touch screen 500, but the touch operation is more precisely performed in four or more steps. Can be distinguished.

다음으로, 위치 검출부(480)는 상기 전류 변화량에 대한 정보로부터 상기 손가락(510)이 지시하고 있는 상기 터치 스크린(500) 상의 위치, 즉 상기 터치 스크린(500) 상의 x 및 y방향의 수평 좌표를 계산한다. 상기 y방향은 도 5에 도시된 x 및 z 방향에 수직한 방향이다. Next, the position detector 480 determines the position on the touch screen 500 indicated by the finger 510, that is, the horizontal coordinates in the x and y directions on the touch screen 500, from the information on the amount of change of the current. Calculate The y direction is a direction perpendicular to the x and z directions shown in FIG. 5.

이와 같이 측정된 상기 손가락(510)과 상기 터치 스크린(500)간의 이격된 수직 거리 및 상기 손가락(510)이 상기 터치패널(400) 상에 위치한 수평 좌표는 제어부(180)에 제공된다. 이에 따라, 상기 제어부(180)는 상기 수직 거리 및 수평 좌표에 따라 사용자의 명령을 판단하고, 상기 사용자 명령에 따른 제어 동작을 수행함과 아울러 상기 디스플레이 모듈(151) 상에 소정의 그래픽 사용자 인터페이스(GUI)를 제공한다.The measured vertical distance between the finger 510 and the touch screen 500 and the horizontal coordinates of the finger 510 on the touch panel 400 are provided to the controller 180. Accordingly, the controller 180 determines a user's command according to the vertical distance and the horizontal coordinate, performs a control operation according to the user command, and also has a predetermined graphical user interface (GUI) on the display module 151. ).

도 6은 상기 도 4의 터치스크린을 이용한 입력 매체의 위치 검출 원리를 설명하는 도면이다. FIG. 6 is a diagram illustrating a principle of position detection of an input medium using the touch screen of FIG. 4.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터치패널(400)의 송신측 금속 전극들(T: 412-1, 412-4)에 교류전압원으로부터 교류 전압이 인가되면, 상기 송신측 금속 전극들(T: 412-1, 412-4)과 수신측 금속 전극들(R: 412-2, 412-3) 사이에 전기력선들(미도시)이 형성된다. As illustrated in FIG. 6, when an AC voltage is applied from an AC voltage source to the transmitting side metal electrodes T 412-1 and 412-4 of the touch panel 400, the transmitting side metal electrodes T 412. Electric field lines (not shown) are formed between the -1 and 412-4 and the receiving metal electrodes R 412-2 and 412-3.

그리고, 상기 터치패널(400) 상에 사용자의 손가락(510)이 근접하거나 상기 터치패널(400)을 직접 터치하면 상기 금속 전극들(412-1 내지 412-4)에 전류 변화가 발생한다. 그러면, 상기 전류검출부(440-1 내지 440-4)는 이러한 전류량의 변화를 측정하고, 앞서 설명한 바와 같이, 위치검출부(470)는 이와 같은 전류량의 변화를 통하여 상기 손가락(510)이 상기 터치패널(400) 상에 위치한 수평 좌표(즉, x-y 좌표)를 검출하여 제어부(180)에 제공한다. 이에 따라, 상기 제어부(180)는 상기 손가락(510)이 터치하고 있는 상기 터치 스크린(500) 상의 수평 좌표를 인식하고, 상기 터치 동작에 대응하는 사용자 명령을 수행함과 아울러 상기 디스플레이 모듈(151) 상에 소정의 그래픽 사용자 인터페이스(GUI)를 제공할 수 있게 된다.When the user's finger 510 is close to the touch panel 400 or directly touches the touch panel 400, a current change occurs in the metal electrodes 412-1 to 412-4. Then, the current detectors 440-1 to 440-4 measure the change in the amount of current, and as described above, the position detector 470 uses the finger 510 to change the amount of current. The horizontal coordinate (ie, xy coordinate) located on the 400 is detected and provided to the controller 180. Accordingly, the controller 180 recognizes a horizontal coordinate on the touch screen 500 that the finger 510 is touching, performs a user command corresponding to the touch operation, and performs an operation on the display module 151. It is possible to provide a predetermined graphical user interface (GUI).

또한, 상기 도 5 및 도 6에서는, 상기 터치 시간 측정부(460), 거리 검출부(470) 및 위치 검출부(480)를 각각의 기능에 따라 서로 구분하여 도시하였으나, 상기 터치 시간 측정부(460), 거리 검출부(470) 및 위치 검출부(480)는 제어부(180) 내에 형성될 수 있다. In addition, in FIGS. 5 and 6, the touch time measuring unit 460, the distance detector 470, and the position detecting unit 480 are illustrated separately from each other according to respective functions, but the touch time measuring unit 460 is illustrated. The distance detector 470 and the position detector 480 may be formed in the controller 180.

아울러, 상기 도 4 내지 도 6에서는 정전 용량 감지 방식에 따른 터치 패 널(400)을 구비한 터치 스크린(500)을 예로 들어, 상기 터치 스크린(500)에 대한 상기 입력 매체의 근접 터치 및 직접 터치 여부를 판단하는 원리를 설명하였으나, 입력 매체와 터치 스크린(500) 간의 거리 및 입력 매체가 지시하고 있는 위치를 검출하는 기능을 제공할 수 있는 한, 상기 터치패널(400)의 종류 또는 상기 터치 패널(400)에 구성된 금속 전극들(412-1 내지 412-4)의 배열 형태는 제한되지 않는다. In addition, in FIGS. 4 to 6, the touch screen 500 having the touch panel 400 according to the capacitive sensing method is taken as an example, and the proximity touch and the direct touch of the input medium with respect to the touch screen 500 are provided. Although the principle of determining whether or not has been described, the type of the touch panel 400 or the touch panel can be provided as long as it can provide a function of detecting a distance between the input medium and the touch screen 500 and a position indicated by the input medium. The arrangement of the metal electrodes 412-1 to 412-4 configured at 400 is not limited.

예를 들어, 상기 터치패널(400)은 레이저 다이오드(Laser Diode)와 발광다이오드(Light Emitting Diode)를 사용한 광전 센서, 고주파 발진형 근접 센서, 및 자기형 근접 센서를 이용하여 상기 입력 매체와 상기 터치패널(400)간에 근접 위치를 검출할 수 있도록 구현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상판 또는 하판에 금속 전극을 형성하고 상기 입력 매체에 의하여 눌려진 위치에 따른 전압의 변화를 검출하는 저항막 감지 방식(Resistive Sensing Type)과 상기 정전 용량 감지 방식을 서로 결합하여 구현될 수도 있다.For example, the touch panel 400 uses the photoelectric sensor using a laser diode and a light emitting diode, a high frequency oscillating proximity sensor, and a magnetic proximity sensor to touch the input medium and the touch. In addition to being able to detect the proximity position between the panels 400, a resistive sensing method for forming a metal electrode on the upper or lower plate and detecting a change in voltage according to the position pressed by the input medium (Resistive Sensing) Type) and the capacitive sensing scheme may be implemented by combining with each other.

도 7A 내지 도 7D는 본 발명의 제1 실시 예에 따른 근접 터치 인식 기능을 갖는 휴대 단말기를 이용한 그래픽 사용자 인터페이스 제공 방법을 설명하는 도면이다. 7A to 7D illustrate a method of providing a graphical user interface using a mobile terminal having a proximity touch recognition function according to a first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상기 도 7A 내지 도 7D에 도시된 휴대 단말기(100)는 사용자가 화면을 보면서 상기 화면을 통하여 사용자 명령을 입력할 수 있도록, 상기 디스플레이 모듈(151)에 터치패드(400)가 상호 레이어 구조를 이루는 터치 스크린(500)을 구비한다. 특히, 상기 터치 스크린(500)은 입력 매체(예를 들어, 사용자의 손가락)(510) 의 근접 터치 동작 및 직접 터치 동작을 구분할 수 있고, 이에 따라 상기 근접 터치 동작 및 직접 터치 동작에 따라 서로 다른 입력 신호를 생성할 수 있다. 따라서, 사용자는 입력매체(510)을 이용하여 상기 터치 스크린(500)을 근접 터치 또는 직접 터치함에 따라 서로 다른 사용자 명령을 입력할 수 있게 된다. The mobile terminal 100 illustrated in FIGS. 7A to 7D has a structure in which the touch pad 400 forms a mutual layer structure on the display module 151 so that a user may input a user command through the screen while viewing the screen. A touch screen 500 is provided. In particular, the touch screen 500 may distinguish a proximity touch action and a direct touch action of an input medium (for example, a user's finger) 510, and thus may be different from each other according to the proximity touch action and the direct touch action. An input signal can be generated. Accordingly, the user may input different user commands by touching or touching the touch screen 500 directly using the input medium 510.

먼저, 도 7A는 본 발명의 제1 실시 예에 따라 입력 매체의 직접 터치 동작시 터치 스크린에 제공되는 그래픽 사용자 인터페이스를 설명하는 도면이다. First, FIG. 7A illustrates a graphic user interface provided on a touch screen during a direct touch operation of an input medium according to the first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7A에서는 휴대 단말기(100)의 대기 화면에 소정의 초기 객체를 디스플레이하고 있다. 여기서, 대기 화면이란 휴대 단말기(100)의 전원을 켰을 때 상기 터치 스크린(500)에 디스플레이되는 첫 화면을 말한다. 또한 본 발명에서 정의되는 객체란 문자, 숫자, 기호, 심볼, 도형, 사진, 이미지, 동영상, 또는 이들의 조합으로 이루어지는 텍스트, 메뉴, 아이콘, 리스트와 같이 상기 터치 스크린(500) 상에 디스플레이될 수 있는 모든 형태의 사용자 인터페이스 수단을 포함한다.In FIG. 7A, a predetermined initial object is displayed on the standby screen of the mobile terminal 100. Here, the standby screen refers to the first screen displayed on the touch screen 500 when the portable terminal 100 is turned on. In addition, an object defined in the present invention may be displayed on the touch screen 500 such as a text, a menu, an icon, or a list composed of letters, numbers, symbols, symbols, figures, pictures, images, videos, or a combination thereof. All forms of user interface means.

도 7A을 참조하면, 휴대 단말기(100)의 대기 화면에는 터치 스크린(500)의 가시 영역(Viewing Area) 전체에 소정의 초기 객체(예를 들어, 이정표(Mile Post) ㅇ)(601)가 디스플레이되고, 상기 터치 스크린(500)의 하단에는 메뉴 실행 아이콘(602), 다이얼 실행 아이콘(603), 메시지 실행 아이콘(604) 및 전화부 실행 아이콘(605)과 같은 복수의 아이콘 객체들(602 내지 605)이 디스플레이되어 있다. 또한, 상기 터치 스크린(500) 상단의 인디케이터(Indicator) 영역에는 휴대 단말기(100)의 수신 감도를 나타내는 아이콘(606)과, 배터리의 잔량을 나타내는 아이콘 (606) 및 현재 시각을 나타내는 아이콘(608)과 같은 인디케이터 객체들이 상기 초기 객체(601)에 오버레이(Overlay)되어 디스플레이된다. 아울러, 상기 인디케이터 객체들 바로 밑에는 현재 시간을 나타내는 객체(609)가 디스플레이된다. Referring to FIG. 7A, a predetermined initial object (eg, Mile Post) 601 is displayed on the entire viewing area of the touch screen 500 on the standby screen of the mobile terminal 100. At the bottom of the touch screen 500, a plurality of icon objects 602 to 605, such as a menu execution icon 602, a dial execution icon 603, a message execution icon 604, and a phone book execution icon 605. Is displayed. In addition, in the indicator area on the top of the touch screen 500, an icon 606 indicating the reception sensitivity of the mobile terminal 100, an icon 606 indicating the remaining battery power, and an icon 608 indicating the current time are displayed on the indicator area. Indicator objects such as are overlayed on the initial object 601 and displayed. In addition, an object 609 indicating a current time is displayed directly below the indicator objects.

상기 도 7A에서 체크 마크(√)(511)는 입력 매체(예를 들어, 사용자의 손가락)가 메뉴 실행 아이콘(602)을 직접 터치하였음을 나타낸다. In FIG. 7A, a check mark (√) 511 indicates that the input medium (eg, a user's finger) directly touches the menu execution icon 602.

이와 같이, 입력 매체가 상기 메뉴 실행 아이콘(602)을 직접 터치하게 되면, 도 7B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어부(180)는 상기 직접 터치 동작을 식별하여 상기 터치 스크린(500) 상에 대분류 메뉴를 구성하는 아이콘들(710 내지 718)을 디스플레이한다. 상기 대분류 메뉴에는 각종 부가 서비스를 위한 'T서비스' 아이콘(710), 소리 및 진동 설정을 위한 '소리/진동' 아이콘(711), 화면 설정을 위한 '화면' 아이콘(712), 각종 컨텐츠 보관을 위한 '컨텐츠 보관함' 아이콘(713), 사진 촬영 및 멀티미디어 실행을 위한 '멀티미디어' 아이콘(714), 일정 관리를 위한 '다이어리' 아이콘(715), 송수신 메시지 관리를 위한 '메시지' 아이콘(716), 전화번호부 관리를 위한 '전화번호부' 아이콘(717), 휴대 단말기(100)에 대한 사용자 환경 설정을 위한 '사용자환경설정' 아이콘(718)이 포함될 수 있다. As such, when the input medium directly touches the menu execution icon 602, as illustrated in FIG. 7B, the controller 180 identifies the direct touch operation and displays a large classification menu on the touch screen 500. The icons 710 to 718 that make up are displayed. The large category menu includes a 'T service' icon 710 for various additional services, a 'sound / vibration' icon 711 for sound and vibration setting, a 'screen' icon 712 for screen setting, and various contents storage. 'Content Library' icon (713), 'Multimedia' icon (714) for taking pictures and multimedia execution, 'Diary' icon (715) for scheduling, 'Message' icon (716) for sending and receiving messages, A 'phone book' icon 717 for managing the phone book and a 'user environment' icon 718 for setting a user environment for the mobile terminal 100 may be included.

여기서, 도 7A의 상기 메뉴 실행 아이콘(502)은 상위 객체에 해당한다. 그리고, 입력 매체(예를 들어, 사용자의 손가락)가 상기 메뉴 실행 아이콘(502)을 직접 터치할 시, 도 7B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터치 스크린(500) 상에 디스플레이되는 상기 아이콘 객체들(710 내지 718)은 상기 메뉴 실행 아이콘(502)에 연결된 하위 객체들에 해당한다.Here, the menu execution icon 502 of FIG. 7A corresponds to a parent object. When the input medium (for example, a user's finger) directly touches the menu execution icon 502, the icon objects (displayed on the touch screen 500, as shown in FIG. 7B). 710 to 718 correspond to sub-objects connected to the menu execution icon 502.

이와 같이, 입력 매체(예를 들어, 사용자의 손가락)가 터치 스크린(500) 상에 디스플레이된 상위 객체(즉, 상기 메뉴 실행 아이콘(602))를 직접 터치함으로써, 상기 상위 객체에 대응하는 하위 객체(즉, 상기 아이콘 객체들(710 내지 718))가 상기 터치 스크린(500) 상에 디스플레이될 수 있다. As such, the input medium (for example, the user's finger) directly touches the parent object displayed on the touch screen 500 (that is, the menu execution icon 602), thereby lowering the object corresponding to the parent object. (Ie, the icon objects 710 to 718) may be displayed on the touch screen 500.

한편, 도 7B의 상기 터치 스크린(500) 하단에 형성된 복귀 아이콘(719)을 상기 입력 매체(예를 들어, 사용자의 손가락)가 직접 터치하면 다시 상기 도 7A와 같이 이전 화면 상태로 복귀될 수 있다. Meanwhile, when the input medium (for example, the user's finger) directly touches the return icon 719 formed at the bottom of the touch screen 500 of FIG. 7B, the screen may be returned to the previous screen state as shown in FIG. 7A. .

이하에서는, 도 8 및 도 9를 참조하여, 상기 발명에 따른 휴대 단말기(100) 내부에 형성되는 다단계의 메뉴 트리 구조 및 각각의 메뉴에 의해서 실행되는 기능에 대하여 설명한다. Hereinafter, referring to FIGS. 8 and 9, a multi-level menu tree structure formed in the portable terminal 100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and a function executed by each menu will be described.

도 8은 본 발명에 따른 휴대 단말기의 대분류 메뉴에 구비된 아이콘 객체들과 상기 아이콘 객체들에 대한 하위 객체들의 구성을 도시한 도면이다.8 is a diagram illustrating the configuration of icon objects and sub-objects of the icon objects included in a large category menu of a mobile terminal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도 8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대분류 메뉴에는 'T서비스' 아이콘 객체(710), '소리/진동' 아이콘 객체(711), '화면' 아이콘 객체(712), '컨텐츠 보관함' 아이콘 객체(713), '멀티미디어' 아이콘 객체(714), '다이어리' 아이콘 객체(715), '메시지' 아이콘 객체(716), '전화번호부' 아이콘 객체(717), '사용자환경설정' 아이콘 객체(718)가 포함될 수 있다. 상기 각각의 아이콘 객체(710 내지 718)에는 하나 이상의 단계로 이루어진 하위 객체들이 연결되며, 상기 각 하위 객체의 구성 및 기능은 다음과 같다. As shown in FIG. 8, the large category menu includes a 'T service' icon object 710, a 'sound / vibration' icon object 711, a 'screen' icon object 712, and a 'content library' icon object 713. ), A 'multimedia' icon object 714, a 'diary' icon object 715, a 'message' icon object 716, a 'phone book' icon object 717, a 'user preference' icon object 718 May be included. Sub-objects composed of one or more steps are connected to each of the icon objects 710 to 718, and the configuration and function of each sub-object are as follows.

먼저, 'T서비스' 아이콘 객체(710)의 하위 객체로서는 글로벌 로밍 기능 제공을 위한 '1.글로벌로밍', 이동 통신 사업자의 부가 서비스를 등록 및 실행하기 위한 '2.부가서비스', 무선 인터넷 접속을 위한 '3.무선인터넷' 등과 같은 텍스트 객체들이 연결될 수 있다. 상기 일련의 텍스트 객체들의 집합은 하나의 리스트 객체로 분류될 수 있다. 또한, 이하에서 설명될 일련의 텍스트 객체들의 집합 역시 리스트 객체로 분류될 수 있다. First, as a sub-object of the 'T service' icon object 710, '1.global roaming' for providing global roaming function, '2.additional service' for registering and executing an additional service of a mobile carrier, and wireless Internet access Text objects such as '3.Wireless Internet' can be connected. The set of text objects may be classified into one list object. In addition, a set of text objects to be described below may also be classified as a list object.

'소리/진동' 아이콘 객체(711)의 하위 객체로서는 벨소리의 종류 및 음량 크기를 설정하기 위한 '1.벨소리선택', 무선인터넷에 접속하여 원하는 벨소리를 다운로드하기 위한 '2.벨소리다운로드', 벨소리 또는 진동의 크기를 설정하기 위한 '3.매너모드설정', 벨소리 또는 진동 제공 여부를 선택하기 위한 '4.벨/진동설정', 전원켜기음 및 전원끄기음과 같은 효과음을 설정하기 위한 '5.효과음선택', 배터리 경고음 또는 통화 연결음 등을 설정하기 위한 '6.상황별알림음', 사용자가 받지 못한 전화가 있음을 알리기 위한 '7.부재전화알림' 등과 같은 텍스트 객체들이 연결될 수 있다. As sub-objects of the 'Sound / Vibration' icon object 711, '1.Select ringtone' for setting the type and volume of the ringtone, '2.Download ringtone' for downloading the desired ringtone by accessing the wireless Internet, the ringtone Or '3. Silent mode setting' to set the size of vibration, '4.bell / vibration setting' to select whether to provide ringtone or vibration, and '5' to set sound effects such as power on sound and power off sound. Text objects such as 'Select sound effect', '6.Situation notification sound' for setting battery warning sound or call connection sound, and '7. Missed call notification' for notifying the user of missed call can be connected.

'화면' 아이콘 객체(712)의 하위 객체로서는, 대기화면, 전화수신화면, 전화발신화면 등을 구분하여 화면을 설정을 위한 '1.배경화면꾸미기', 무선 인터넷에 접속하여 원하는 그림을 다운로드한 후 화면에 디스플레이하기 위한 '2.배경화면다운로드', 휴대 단말기(100)에 사용되는 글씨 모양 및 크기를 설정하기 위한 '3.글씨모양/크기', 및 전원 절약 모드에 따라 조명시간 또는 조명밝기를 설정하기 위한 '4.조명시간/밝기' 등과 같은 텍스트 객체들이 연결될 수 있다.As a sub-object of the 'screen' icon object 712, '1. wallpaper decorating' for setting up a screen by dividing a standby screen, a telephone reception screen, a telephone call screen, etc. '2.Download wallpaper' for display on the screen after the '3.Font / size' for setting the font shape and size used in the mobile terminal 100, and lighting time or light brightness depending on the power saving mode Text objects, such as '4. lighting time / brightness', for setting the, may be connected.

'컨텐츠 보관함' 아이콘 객체(713)의 하위 객체로서는, 휴대 단말기(100)의 저장부(160)에 저장된 기본 벨소리 및 무선인터넷을 통하여 다운로드한 벨소리를 확인한 후 원하는 벨소리 및 크기를 선택하기 위한 '1.벨소리보관함', 휴대 단말기(100)의 저장부(160)에 저장된 기본 배경화면 및 무선인터넷을 통하여 다운로드한 배경화면을 확인한 후 원하는 배경화면을 선택하여 대기화면으로 설정하기 위한 '2.배경화면보관함', 카메라앨범에 저장된 여러 개의 사진 파일을 하나의 화면에 썸네일(Thumbnail)과 같이 축소 사진 형태로 디스플레이하기 위한 '3.사진/동영상앨범', MP3 파일의 보관 및 재생을 위한 '4.뮤직보관함', 컨텐츠보관함의 메모리사용 내역을 확인하기 위한 '5.메모리사용정보', 및 내장메모리 또는 외장메모리에 저장된 컨텐츠를 탐색하기 위한 '6.컨텐츠 탐색기' 등과 같은 텍스트 객체들이 연결될 수 있다.As a sub-object of the 'content library' icon object 713, '1' for selecting a desired ringtone and size after checking the basic ringtone stored in the storage 160 of the mobile terminal 100 and the downloaded ringtone through the wireless Internet. Ringtone box ', the default wallpaper stored in the storage unit 160 of the mobile terminal 100 and the wallpaper downloaded through the wireless Internet after selecting the desired wallpaper' 2.Wallpaper for setting the standby screen Library ”, '3.Photo/Video Album' for displaying multiple photo files stored in Camera Album in the form of thumbnails such as thumbnails on one screen, and '4.Music for storing and playing MP3 files. Storage box, '5.Memory usage information' for checking the memory usage history of the content storage box, and '6.Content for searching contents stored in the internal or external memory. Text objects, such as a "z explorer".

'멀티미디어' 아이콘 객체(714)의 하위 객체로서는, 사진 및 동영상을 찍고 저장하며 저장된 사진을 전송하기 위한 '1.카메라', 사용자가 선택한 사진에 음악과 효과를 가진 스타일을 적용하여 뮤직 비디오를 만들어 주는 기능을 위한 '2.뮤비스튜디오', 게임 기능 제공을 위한 '3.게임', 근거리 무선 통신 기능 제공을 위한 '4.블루투스' 등과 같은 텍스트 객체들이 연결될 수 있다. 나아가, 상기 '1.카메라' 텍스트 객체의 하위에는 사진 및 동영상을 촬영하고 디스플레이하기 위한 '촬영/갤러리', 촬영한 사진 및 동영상을 확인하기 위한 '카메라앨범', 영상통화 시 상대방에게 보여지는 화면을 대체할 수 있는 이미지와 동영상을 저장하기 위한 '영상통화앨범', 휴대 단말기(100)에 저장된 사진을 자유롭게 편집하여 원하는 이미지 를 만들기 위한 '사진편집', 촬영음 선택, 촬영후 사진확인, 설정값 초기화 등을 위한 '카메라환경설정' 등과 같은 텍스트 객체들이 상기 '1.카메라'에 대한 하위 객체로서 연결될 수 있다. As a sub-object of the 'multimedia' icon object 714, '1.Camera' for taking and storing photos and videos and transferring stored photos, and creating music videos by applying styles with music and effects to the photos selected by the user. Text objects such as '2.MubiStu' for giving function, '3.Game' for providing game function, and '4.Bluetooth' for providing short range wireless communication function can be connected. Further, a 'shooting / gallery' for capturing and displaying photos and videos, a 'camera album' for checking the photographs and videos, and a screen shown to the other party during a video call are located below the '1.camera' text object. 'Video call album' for storing images and videos that can replace the 'photo', 'edit photo' to create the desired image by freely editing the pictures stored in the mobile terminal 100, select the sound recording, check the picture after shooting, setting Text objects such as 'camera configuration' for value initialization, etc. may be connected as sub-objects for the '1. camera'.

'다이어리' 아이콘 객체(715)의 하위 객체로서는, 미리 설정한 시간에 벨소리 또는 진동을 출력하기 위한 '1.알람/모닝콜', 일별 스케쥴 관리를 위한 '2.일정', 일별 사용자가 해야할 일을 저장하고 및 이를 알리는 알림음을 제공하기 위한 '3.할일', 특정일을 설정해 놓고 그 날자까지 남은 날짜 또는 지나간 날짜를 확인하기 위한 '4.D-Day', 간단한 메모의 작성, 저장 및 편집 기능을 제공하기 위한 '5.메모', 단어 검색 기능을 제공하기 위한 '6.전자사전', 지하철 노선 및 사용자의 현재 위치 등을 제공하기 위한 '7.지하철노선도', 계산기 기능을 제공하기 위한 '8.계산기', 각종 사용자 편의를 위한 기능을 제공하기 위한 '9.편의기능' 등과 같은 텍스트 객체들이 포함될 수 있다. 또한, 상기 '9.편의기능' 텍스트 객체의 하위에는 '단위변환기', '세계시간', 및 '스톱워치' 등과 같은 텍스트 객체들이 상기 '9.편의기능'에 대한 하위 객체로서 연결될 수 있다. As a sub-object of the 'diary' icon object 715, '1.alarm / morning call' for outputting a ringtone or vibration at a preset time, '2.schedule' for daily schedule management, and a task for the daily user '3.To-do' for saving and providing a notification sound, '4.D-Day' for setting a specific date and checking the remaining or past date until that date, creating, saving and editing a simple memo '5.memo' to provide functions, '6.electronic dictionary' to provide the word search function, '7.metro route map' to provide subway lines and the user's current location, and to provide the calculator function Text objects such as '8. calculator' and '9. convenience functions' for providing various user convenience functions may be included. Further, text objects such as 'unit converter', 'world time', and 'stopwatch' may be connected as sub-objects of the '9. convenience function' below the '9. convenience function' text object.

'메시지' 아이콘 객체(716)의 하위 객체로서는, 송수신 메시지의 보관을 위한 '1.메시지보관함', 메시지의 작성 및 송신을 위한 '2.메시지보내기', 이메일의 작성, 보관 및 송수신을 위한 '3.e-mail' 등과 같은 텍스트 객체들이 연결될 수 있다. As a sub-object of the 'message' icon object 716, '1.Message Box' for storing transmission and reception messages, '2.Send Message' for creating and sending messages, and '' 3. Text objects such as 'e-mail' can be connected.

'전화번호부' 아이콘 객체(717)의 하위 객체로서는, 휴대 단말기(100)에 저장된 전화번호부 관리를 위한 '1.전화번호부찾기', 휴대 단말기(100) 내에 새로운 전화번호를 저장하기 위한 '2.전화번호추가', 휴대 단말기(100)에 저장된 전화번호 중 자주 사용하는 전화번호를 단축번호에 등록시킨 후 간편하게 전화를 걸 수 있도록 하는 '3.단축번호관리', 가족별, 친구별, 회사별 전화번호를 분류하여 관리하기 위한 '4.그룹관리', 통화, 발신, 수신, 부재중 전화 등의 목록을 제공하기 위한 '5.통화목록', 및 전화번호부 상에 저장된 번호 중 최근 검색한 결과를 제공하기 위한 '6.최근검색목록' 등과 같은 텍스트 객체들이 연결될 수 있다. As a sub-object of the 'phone book' icon object 717, '1. Find phone book' for managing the phone book stored in the mobile terminal 100, and '2. Add a phone number ',' 3. Speed dial number management ', so that you can easily call after registering a frequently used phone number among the phone numbers stored in the mobile terminal 100, by family, friends, company '4.Group management' for classifying and managing phone numbers, '5.Call list' for providing a list of calls, outgoing, incoming, missed calls, etc., and the recent search results among the numbers stored in the phonebook Text objects such as '6.Recent Search List' to provide can be connected.

'사용자환경설정' 아이콘 객체(718)의 하위 객체로는, 개인 사생활 보호를 위해 휴대 단말기(100) 잠금 기능을 제공하기 위한 '1.휴대폰잠금', 영상 통화 기능을 제공하기 위한 '2.영상통화', 사용자의 휴대 단말기(100)의 전화번호, 모델명 및 내장된 소프트웨어의 버전을 확인하기 위한 '3.내휴대폰정보', 및 무선인터넷 접속 시 테이터 통신 환경을 설정하기 위한 '4.통신환경' 등과 같은 텍스트 객체들이 연결될 수 있다.As a sub-object of the 'user preference' icon object 718, '1. mobile phone lock' for providing the mobile terminal 100 locking function for personal privacy protection, '2. video for providing the video call function Call, '3.My mobile phone information' for checking the phone number, model name and version of the embedded software of the user's mobile terminal 100, and '4. Communication environment for setting the data communication environment when accessing the wireless Internet Text objects such as' may be connected.

도 9는 본 발명에 따른 휴대 단말기의 메뉴 트리 구조를 도시한 도면이다.9 is a diagram illustrating a menu tree structure of a mobile terminal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도 9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메뉴 트리 구조는 제1 단계 메뉴(대분류 메뉴)와, 상기 제1 단계 메뉴의 하위에 연결된 제2 단계 메뉴(중분류 메뉴)와, 상기 제2 단계 메뉴의 하위에 연결된 제3 단계 메뉴(소분류 메뉴)로 이루어진다. 상기 제1 내지 제3 단계 메뉴는 각각 뎁스1 내지 뎁스3에 대응하며, 순차적으로 더 큰 뎁스(즉, 더 낮은 단계의 하위 메뉴)로 구분된다. 또한, 상기 제2 단계 메뉴는 상기 제1 단계 메뉴에 대한 소분류 메뉴로도 구분될 수 있다. As shown in FIG. 9, the menu tree structur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a first step menu (large classification menu), a second step menu (middle classification menu) connected to a lower level of the first step menu, and the second step menu. It consists of a third level menu (sub-category menu) connected below. The first to third step menus correspond to the depths 1 to 3, respectively, and are sequentially divided into larger depths (ie, lower level submenus). In addition, the second step menu may be classified into a sub-category menu for the first step menu.

종래에는 이와 같은 메뉴 트리 구조 하에서 특정 기능을 수행하는 메뉴로 이동하기 위해서는 반드시 대분류 메뉴 또는 상위 단계의 메뉴를 거쳐야만 했다. 그러나, 상기 메뉴 트리 상에 나열된 메뉴들이 많을수록 특정 메뉴를 실행하기 위해서는, 상기 터치 스크린(500) 또는 조작부(130)를 터치하거나 조작하는 회수가 증가하게 되고, 이로 인하여 사용자의 불편함을 가중시킬 우려가 있다. Conventionally, in order to move to a menu performing a specific function under such a menu tree structure, it has to go through a large category menu or a higher level menu. However, as the number of menus listed on the menu tree increases, the number of times of touching or manipulating the touch screen 500 or the operation unit 130 increases in order to execute a specific menu, thereby increasing the inconvenience of the user. There is.

이하에서는, 위와 같은 사용자의 불편함을 해소할 수 있도록, 상기 대분류 메뉴의 구성에 기초하여 본 발명에 따라 터치 스크린(500)의 근접 터치 동작 시 상기 터치 스크린(500)에 제공되는 그래픽 사용자 인터페이스에 대해서 설명한다. Hereinafter, in order to solve the inconvenience of the user as described above, based on the configuration of the large classification menu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n the proximity touch operation of the touch screen 500 according to the graphical user interface provided on the touch screen 500 Explain.

도 7C는 본 발명의 제1 실시 예에 따라 입력 매체의 근접 터치 동작시 터치 스크린에 제공되는 그래픽 사용자 인터페이스를 설명하는 도면이다. FIG. 7C illustrates a graphic user interface provided on a touch screen during a proximity touch operation of an input medium according to the first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7C에서 도면 부호 '512'는 입력 매체(예를 들어, 사용자의 손가락)(510)가 상기 터치 스크린(500)의 터치 인식 유효 거리 내에서 상기 터치 스크린(500)에 디스플레이된 메뉴 실행 아이콘(602)을 근접 터치하였음을 나타낸다. In FIG. 7C, reference numeral 512 denotes a menu execution icon displayed on the touch screen 500 by an input medium (for example, a user's finger) 510 within a touch recognition effective distance of the touch screen 500. 602 is in close proximity.

이와 같이, 입력 매체(510)가 상기 메뉴 실행 아이콘(602)을 일정 시간(예를 들어, 1초) 이상 근접 터치하게 되면, 도 7D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어부(180)는 상기 근접 터치 동작을 식별하여 상기 터치 스크린(500) 상에 상기 메뉴 실행 아이콘(602)과 연관된 기능을 제공하기 위한 하위 객체(720)를 일시적으로 디스플레이한다. As such, when the input medium 510 touches the menu execution icon 602 in close proximity for a predetermined time (for example, 1 second) or more, as illustrated in FIG. 7D, the controller 180 performs the proximity touch operation. To temporarily display a sub-object 720 for providing a function associated with the menu execution icon 602 on the touch screen 500.

상기 하위 객체(720)는 사용자가 자주 사용하는 특정 기능을 바로 실행할 수 있도록 상기 휴대 단말기(100) 내에 미리 등록한 사용자 단축 메뉴들(721 내지 729)을 포함한다. 도 7D에서는 '전화번호찾기' 메뉴(721), '단축번호관리' 메뉴(722), 및 '카메라앨범' 메뉴(723)가 사용자 단축 메뉴로서 등록되고, 그 외 메뉴들(724 내지 729)은 향후 사용자 등록을 위하여 미등록 메뉴로서 보류된 상태임을 나타내고 있다. The sub-object 720 includes user shortcut menus 721 to 729 registered in advance in the portable terminal 100 so that a user may execute a specific function frequently used. In FIG. 7D, the 'call number' menu 721, the 'shortcut number management' menu 722, and the 'camera album' menu 723 are registered as a user shortcut menu, and the other menus 724 to 729 are It indicates that it is suspended as an unregistered menu for future user registration.

여기서, 상기 메뉴 실행 아이콘(602)은 상위 객체에 해당하며, 상기 메뉴 실행 아이콘(602)의 근접 터치에 의하여 상기 터치 스크린(500) 상에 디스플레이되는 상기 사용자 등록 단축 메뉴들(721 내지 729)은 상기 메뉴 실행 아이콘(602)에 대한 하위 객체(720)에 해당한다. Here, the menu execution icon 602 corresponds to a higher object, and the user registration shortcut menus 721 to 729 displayed on the touch screen 500 by the proximity touch of the menu execution icon 602 are It corresponds to the sub-object 720 for the menu execution icon 602.

이와 같이, 터치 스크린(500) 상에 상기 사용자 등록 단축 메뉴들(721 내지 729)이 일시적으로 디스플레이된 상태에서 상기 입력 매체(510)가 근접 위치 이동하여 상기 사용자 등록 단축 메뉴들(721 내지 729) 중 '전화번호찾기' 메뉴(721) 상으로 이동한 후 상기 '전화번호찾기' 메뉴(721)를 직접 터치하면, 제어부(180)는 상기 직접 터치 동작을 식별하여 상기 '전화번호찾기' 메뉴(721)에 대응하는 기능을 바로 실행시킨다. 여기서, 근접 위치 이동이란 상기 입력 매체(510)가 상기 터치 스크린(500)을 근접 터치한 상태에서 상기 터치 스크린(500)의 표면을 따라 수평으로 이동하는 것을 말한다. 이에 따라, 사용자는 상기 '전화번호찾기' 메뉴(721)를 찾기 위하여 상기 휴대 단말기(100) 내에 구성된 다단계의 메뉴 트리를 번거롭게 검색하지 않아도, 상기 '전화번호찾기' 메뉴(721)를 바로 실행할 수 있는 이점이 있다. As such, when the user registration shortcut menus 721 to 729 are temporarily displayed on the touch screen 500, the input medium 510 is moved to a proximal position so that the user registration shortcut menus 721 to 729 are moved. If the user moves directly to the 'phone number finder' menu 721 and directly touches the 'phone number finder' menu 721, the controller 180 identifies the direct touch operation and the 'phone number finder' menu ( The function corresponding to 721 is immediately executed. Here, the proximity position movement refers to the horizontal movement along the surface of the touch screen 500 while the input medium 510 is in close contact with the touch screen 500. Accordingly, a user can directly execute the 'call number search' menu 721 without having to search a multi-level menu tree configured in the mobile terminal 100 to find the 'call number' menu 721. There is an advantage to that.

결과적으로, 본 발명에 따르면 사용자가 현재 터치 스크린(500) 상에 디스플레이되어 있는 상위 객체에 연관된 특정 기능을 실행하기 위하여 다단계의 메뉴 트리를 검색하지 않고서도, 상기 입력 매체(510)가 상기 상위 객체를 근접 터치할 경우 상기 상위 객체에 연관된 다수의 기능들 중 사용자가 자주 사용하는 특정 기능을 수행하기 위한 하위 객체를 상기 터치 스크린(500)에 일시적으로 디스플레이함으로써, 사용자는 상기 휴대 단말기(100)에 상기 특정 기능을 바로 실행시킬 수 있는 이점이 있다. As a result,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the input medium 510 allows the upper object to be executed without the user searching the multi-level menu tree to execute a specific function associated with the higher object currently displayed on the touch screen 500. When the user touches a proximity touch, the user temporarily displays a lower object on the touch screen 500 to perform a specific function frequently used by the user among a plurality of functions related to the upper object. There is an advantage that can execute the specific function immediately.

반면에, 도 7D에 도시된 바와 같이 터치 스크린(500) 상에 상기 사용자 등록 단축 메뉴들(721 내지 729)이 일시적으로 디스플레이된 상태에서 상기 입력 매체(510)가 상기 사용자 등록 단축 메뉴들(721 내지 729) 중 어느 하나를 직접 터치함이 없이 상기 터치 스크린(500)의 터치 인식 유효 거리 밖으로 벗어나게 되면, 제어부(180)는 상기 터치 스크린(500)에 다시 상기 도 7C에 도시된 이전 화면을 디스플레이시킬 수 있다. On the other hand, as shown in FIG. 7D, the input medium 510 displays the user registration shortcut menus 721 while the user registration shortcut menus 721 to 729 are temporarily displayed on the touch screen 500. 729, the controller 180 displays the previous screen shown in FIG. 7C again on the touch screen 500 when the touch screen 500 is out of the touch recognition effective distance without directly touching any one of the methods. You can.

이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르면 사용자가 입력 매체(예를 들어, 사용자의 손가락)(510)를 이용하여 터치 스크린(500) 상에 디스플레이된 상위 객체를 근접 터치하면 상기 상위 객체에 연관된 하위 객체가 상기 터치 스크린(500) 상에 일시적으로 디스플레이되고, 상기 입력 매체(510)가 터치 인식 유효 거리 밖으로 벗어나기만 하면 다시 이전 화면 상태로 복귀된다. As described abov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when the user touches the upper object displayed on the touch screen 500 in close proximity using the input medium (for example, the user's finger) 510, the lower object associated with the upper object is displayed. It is temporarily displayed on the touch screen 500, and once the input medium 510 is out of the touch recognition effective distance, it is returned to the previous screen state.

이에 따라, 상기 터치 스크린 상에 상기 하위 객체가 일시적으로 디스플레이된 상태에서, 사용자는 상기 하위 객체에 대응하는 기능을 실행할 것인지 여부를 판단할 수 있고, 아울러 상기 하위 객체에 대응하는 기능을 실행하지 않을 경우에는 별도의 터치 동작 또는 상위 메뉴로의 복귀 과정을 거치지 않아도 다시 최초의 대기 화면을 제공받을 있다. Accordingly, in a state in which the sub-object is temporarily displayed on the touch screen, the user may determine whether to execute a function corresponding to the sub-object, and also do not execute the function corresponding to the sub-object. In this case, the first standby screen may be provided again without a separate touch operation or a return to the upper menu.

도 10A 내지 도 10D는 본 발명의 제2 실시 예에 따른 근접 터치 인식 기능을 갖는 휴대 단말기를 이용한 그래픽 사용자 인터페이스 제공 방법을 설명하는 도면이다. 10A to 10D illustrate a graphic user interface providing method using a mobile terminal having a proximity touch recognition function according to a secon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먼저, 도 10A는 본 발명의 제2 실시 예에 따라 입력 매체의 직접 터치 동작시 터치 스크린에 제공되는 그래픽 사용자 인터페이스를 설명하는 도면이다. First, FIG. 10A illustrates a graphic user interface provided on a touch screen during a direct touch operation of an input medium according to a secon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10A에서 체크 마크(√)(511)는 입력 매체(예를 들어, 사용자의 손가락)가 다이얼 실행 아이콘(603)을 직접 터치하였음을 나타낸다. In FIG. 10A, a check mark (√) 511 indicates that the input medium (eg, a user's finger) has touched the dial execution icon 603 directly.

입력 매체(예를 들어, 사용자의 손가락)가 상기 다이얼 실행 아이콘(603)를 직접 터치하게 되면, 도 10B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어부(180)는 상기 직접 터치 동작을 식별하여 상기 터치 스크린(500) 상에 전화번호를 입력할 수 있도록 숫자 아이콘들로 이루어진 다이얼(Dial)(730)를 디스플레이시킨다. 이에 따라, 사용자는 상기 다이얼(730)에 구비된 숫자 아이콘들을 직접 터치함으로써 전화번호를 입력할 수 있고, 터치 스크린(500) 상에서 상기 다이얼(730)의 상부 영역(731)에 사용자가 입력한 전화번호가 디스플레이된다. When an input medium (for example, a user's finger) directly touches the dial execution icon 603, as illustrated in FIG. 10B, the controller 180 identifies the direct touch operation to detect the touch screen 500. Display a dial 730 of number icons so that a phone number can be entered. Accordingly, the user may input a phone number by directly touching the number icons provided on the dial 730, and the user inputs the phone number on the upper area 731 of the dial 730 on the touch screen 500. The number is displayed.

상기 도 10A의 상기 다이얼 실행 아이콘(603)은 상위 객체에 해당한다. 그리고, 입력 매체(예를 들어, 사용자의 손가락)가 상기 다이얼 실행 아이콘(602)을 직 접 터치할 시, 도 10B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터치 스크린(500) 상에 디스플레이되는 상기 다이얼(730)은 상기 다이얼 실행 아이콘(602)에 연결된 하위 객체에 해당한다.The dial execution icon 603 of FIG. 10A corresponds to a parent object. When the input medium (for example, a user's finger) directly touches the dial execution icon 602, the dial 730 displayed on the touch screen 500 as shown in FIG. 10B. ) Corresponds to a sub-object connected to the dial execution icon 602.

이와 같이, 입력 매체(예를 들어, 사용자의 손가락)가 터치 스크린(500) 상에 디스플레이된 상위 객체(즉, 상기 다이얼 실행 아이콘(603))을 직접 터치함으로써, 상기 상위 객체에 대응하는 하위 객체(즉, 상기 다이얼(730))가 상기 터치 스크린(500) 상에 디스플레이될 수 있다. As described above, the input medium (for example, the user's finger) directly touches the upper object displayed on the touch screen 500 (that is, the dial execution icon 603), thereby lowering the lower object corresponding to the upper object. (Ie, the dial 730) may be displayed on the touch screen 500.

도 10C는 본 발명의 제2 실시 예에 따라 입력 매체의 근접 터치 동작시 터치 스크린에 제공되는 그래픽 사용자 인터페이스를 설명하는 도면이다. FIG. 10C illustrates a graphic user interface provided on a touch screen during a proximity touch operation of an input medium according to a second embodiment of the present disclosure.

도 10C에서 도면 부호 '512'는 입력 매체(예를 들어, 사용자의 손가락)(510)가 상기 터치 스크린(500)의 터치 인식 유효 거리 내에서 상기 터치 스크린(500)에 디스플레이된 다이얼 실행 아이콘(503)을 근접 터치하였음을 나타낸다. In FIG. 10C, reference numeral 512 denotes a dial execution icon displayed on the touch screen 500 by an input medium (for example, a user's finger) 510 within a touch recognition effective distance of the touch screen 500. 503 is in close proximity.

이와 같이, 입력 매체(510)가 상기 다이얼 실행 아이콘(603)을 일정 시간(예를 들어, 1초) 이상 근접 터치하게 되면, 도 10D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어부(180)는 상기 근접 터치 동작을 식별하여 상기 터치 스크린(500) 상에 상기 다이얼 실행 아이콘(602)과 연관된 기능을 제공하기 위한 하위 객체를 일시적으로 디스플레이시킨다. As such, when the input medium 510 is in close proximity to the dial execution icon 603 for a predetermined time (for example, 1 second) or more, as illustrated in FIG. 10D, the controller 180 performs the proximity touch operation. To temporarily display a sub-object for providing a function associated with the dial execution icon 602 on the touch screen 500.

상기 하위 객체는 휴대 단말기(100)에 저장된 전화번호 중 사용자가 자주 사용하는 전화번호를 단축번호에 등록시킨 후 간편하게 전화를 걸 수 있도록 하는 단 축 번호 리스트(740)를 포함한다.The sub-object includes a list of abbreviated numbers 740 for easily dialing after registering a frequently used telephone number among the telephone numbers stored in the mobile terminal 100 in a speed dial number.

도 10D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단축 번호 리스트(740)가 일련의 사진, 또는 사진과 문자가 결합된 형태로 이루어질 수 있다. 예를 들어, 상기 단축 번호 리스트(740) 중 제1 객체(741)는 사용자가 등록한 단축번호(도 10D에서는 '1'번으로 등록함)(741-1)와 상기 단축번호 '1'에 할당된 이름(예를 들어, 'Tom')(741-2)으로 이루어진다. 또한, 상기 단축 번호 리스트(740) 중 제2 객체(742)는 사용자가 등록한 단축번호(도 10D에서는 '2'번으로 등록함)(742-1)와 상기 단축번호 '2'에 할당된 사람의 사진(741-2)으로 이루어진다. 이에 따라, 사용자는 상기 디스플레이된 단축 번호 리스트(740) 중 이름 또는 사진을 보고서 통화하고자 하는 상대방을 용이하게 선택할 수 있다.As shown in FIG. 10D, the shortcut number list 740 may be configured as a series of photographs or a combination of photographs and characters. For example, the first object 741 of the shortcut number list 740 is assigned to the shortcut number registered by the user (registered as '1' in FIG. 10D) 741-1 and the shortcut number '1'. Name (eg, 'Tom') 741-2. Also, the second object 742 of the shortcut number list 740 is a person assigned to the shortcut number (registered as '2' in FIG. 10D) 742-1 registered by the user and the shortcut number '2'. Is made up of photos 741-2. Accordingly, the user can easily select a counterpart of the displayed shortcut number list 740 to call by looking at a name or picture.

여기서, 상기 다이얼 실행 아이콘(603)은 상위 객체에 해당하며, 상기 다이얼 실행 아이콘(603)의 근접 터치에 의하여 상기 터치 스크린(500) 상에 디스플레이되는 상기 단축 번호 리스트(740)는 상기 다이얼 실행 아이콘(603)에 대한 하위 객체(720)에 해당한다. Here, the dial execution icon 603 corresponds to a higher object, and the speed dial list 740 displayed on the touch screen 500 by the proximity touch of the dial execution icon 603 is the dial execution icon. Corresponds to sub-object 720 for 603.

이와 같이, 터치 스크린(500) 상에 상기 단축 번호 리스트(740)가 일시적으로 디스플레이된 상태에서 상기 입력 매체(510)가 근접 위치 이동하여 상기 단축 번호 리스트(740) 중 제1 객체(741) 상으로 이동한 후, 상기 제1 객체(741)를 직접 터치하면, 상기 제어부(180)는 상기 직접 터치 동작을 식별하여 상기 제1 객체(741) 할당된 전화번호로 전화 연결 기능을 바로 실행시키도록 구성될 수 있다. 이에 따라, 사용자는 통화하고자 하는 상대방의 전화번호를 찾기 위하여 상기 휴대 단말기(100) 내에 구성된 다단계의 메뉴 트리를 번거롭게 검색하지 않아도, 대기 화면 상에 디스플레이된 다이얼 실행 아이콘(603)를 이용하여 곧바로 통화 상대방을 선택하고 전화 연결을 할 수 있게 된다. As described above, the input medium 510 is moved in a proximate position while the shortcut number list 740 is temporarily displayed on the touch screen 500, so that the first object 741 of the shortcut number list 740 is moved. After moving to, when the first object 741 is directly touched, the controller 180 identifies the direct touch operation to immediately execute a telephone connection function to the telephone number assigned to the first object 741. Can be configured. Accordingly, the user can call directly using the dial execution icon 603 displayed on the idle screen without having to search the multi-level menu tree configured in the mobile terminal 100 to find the phone number of the counterpart. You will be able to select the other party and make a call.

결과적으로, 본 발명에 따르면 사용자가 현재 터치 스크린(500) 상에 디스플레이되어 있는 상위 객체에 연관된 특정 기능을 실행하기 위하여 다단계의 메뉴 트리를 검색하지 않고서도, 상기 입력 매체(510)가 상기 상위 객체를 근접 터치할 경우 상기 상위 객체에 연관된 다수의 기능들 중 특정 기능을 수행하기 위한 하위 객체를 상기 터치 스크린(500)에 일시적으로 디스플레이함으로써, 사용자는 상기 휴대 단말기(100)에 상기 특정 기능을 바로 실행할 수 있는 이점이 있다. As a result,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the input medium 510 allows the upper object to be executed without the user searching the multi-level menu tree to execute a specific function associated with the higher object currently displayed on the touch screen 500. When the user touches a proximity touch, by temporarily displaying a lower object on the touch screen 500 to perform a specific function among a plurality of functions related to the upper object, the user directly displays the specific function on the mobile terminal 100. There is a viable advantage.

반면에, 도 10D에 도시된 바와 같이 터치 스크린(500) 상에 상기 단축 번호 리스트(740)가 일시적으로 디스플레이된 상태에서 상기 입력 매체(510)가 상기 단축 번호 리스트(740)에 포함된 단축 번호들 중 어느 하나를 직접 터치함이 없이 상기 터치 스크린(500)의 터치 인식 유효 거리 밖으로 벗어나게 되면, 제어부(180)는 상기 터치 스크린(500)에 다시 상기 도 10C에 도시된 이전 화면이 디스플레이시킬 수 있다. On the other hand, as shown in FIG. 10D, in the state in which the speed dial list 740 is temporarily displayed on the touch screen 500, the speed dial number included in the speed dial list 740 of the input medium 510. If the touch screen 500 is out of the touch recognition effective distance without directly touching any one of these, the controller 180 may display the previous screen shown in FIG. 10C again on the touch screen 500. have.

또한, 도 10D에서는 상기 다이얼 실행 아이콘(603)의 하위 객체로서 단축번호 리스트(740)를 예로 들어 설명하였으나, 상기 하위 객체는 최근통화순 리스트 또는 최빈통화순 리스트로 이루어질 수도 있다. 상기 최근 통화순 리스트는 최근 발신 리스트, 최근 수신 리스트, 또는 최근 발신 및 수신 리스트의 조합으로 이루어질 수 있다. 아울러, 상기 최빈 통화순 리스트는 최빈 발신 리스트, 최빈 수신 리스트, 또는 최빈 발신 및 수신 리스트의 조합으로 이루어질 수 있다. In addition, although the shortcut number list 740 is described as an example of the sub-object of the dial execution icon 603 in FIG. 10D, the sub-object may be configured as the most recent call order list or the least frequently order call list. The recent call order list may include a recent call list, a recent call list, or a combination of a recent call list. In addition, the least frequently ordered list may be made of a combination of the most frequently called list, the least frequently received list, or the least frequently sent and received list.

도 11A 내지 도 11D는 본 발명의 제3 실시 예에 따른 근접 터치 인식 기능을 갖는 휴대 단말기를 이용한 그래픽 사용자 인터페이스 제공 방법을 설명하는 도면이다. 11A to 11D illustrate a method for providing a graphical user interface using a mobile terminal having a proximity touch recognition function according to a thir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먼저, 도 11A는 본 발명의 제3 실시 예에 따라 입력 매체의 직접 터치 동작시 터치 스크린에 제공되는 그래픽 사용자 인터페이스를 설명하는 도면이다. First, FIG. 11A illustrates a graphic user interface provided on a touch screen during a direct touch operation of an input medium according to the thir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11A에서 체크 마크(√)(511)는 입력 매체(예를 들어, 사용자의 손가락)가 메시지 실행 아이콘(604)를 직접 터치하였음을 나타낸다. In FIG. 11A, a check mark (√) 511 indicates that the input medium (eg, a user's finger) has touched the message execution icon 604 directly.

입력 매체(예를 들어, 사용자의 손가락)가 상기 메시지 실행 아이콘(604)을 직접 터치하게 되면, 도 11B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어부(180)는 상기 직접 터치 동작을 식별하여 상기 터치 스크린(500)에 송수신 메시지의 보관을 위한 '1.메시지보관함', 메시지의 작성 및 송신을 위한 '2.메시지보내기', 이메일의 작성, 보관 및 송수신을 위한 '3.e-mail'와 같은 일련의 텍스트 객체들로 이루어진 리스트를 디스플레이시킨다. 이에 따라, 사용자는 상기 텍스트 객체들 중 어느 하나를 직접 터치함으로써 발신할 메시지를 작성하거나 휴대 단말기(100) 내에 저장된 메시지를 확인할 수 있다.When an input medium (for example, a user's finger) directly touches the message execution icon 604, as illustrated in FIG. 11B, the controller 180 identifies the direct touch operation to identify the touch screen 500. A series of texts such as '1.Mailbox' for archiving messages, '2.Send message' for composing and sending messages, and '3.e-mail' for composing, storing and sending emails. Display a list of objects. Accordingly, the user may directly write one of the text objects to compose a message to be sent or check a message stored in the mobile terminal 100.

여기서, 도 11A의 상기 메시지 실행 아이콘(604)은 상위 객체에 해당한다. 그리고, 입력 매체(예를 들어, 사용자의 손가락)가 상기 메시지 실행 아이콘(604)을 직접 터치할 시, 도 11B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터치 스크린(500) 상에 디스 플레이되는 상기 텍스트 객체들은 상기 메시지 실행 아이콘(604)에 연결된 하위 객체들에 해당한다.Here, the message execution icon 604 of FIG. 11A corresponds to a parent object. When the input medium (for example, a user's finger) directly touches the message execution icon 604, the text objects displayed on the touch screen 500 are displayed as illustrated in FIG. 11B. Corresponds to sub-objects connected to the message execution icon 604.

이와 같이, 입력 매체(예를 들어, 사용자의 손가락)가 터치 스크린(500) 상에 디스플레이된 상위 객체(즉, 상기 메시지 실행 아이콘(604))를 직접 터치함으로써, 상기 상위 객체에 대응하는 하위 객체(즉, 메시지 송수신 관련 텍스트 객체들)가 상기 터치 스크린(500) 상에 디스플레이될 수 있다. In this way, the input medium (for example, the user's finger) directly touches the parent object displayed on the touch screen 500 (that is, the message execution icon 604), thereby lowering the child object corresponding to the parent object. (Ie, text objects related to message transmission and reception) may be displayed on the touch screen 500.

도 11C는 본 발명의 제3 실시 예에 따라 입력 매체의 근접 터치 동작시 터치 스크린에 제공되는 그래픽 사용자 인터페이스를 설명하는 도면이다. FIG. 11C is a diagram illustrating a graphic user interface provided on a touch screen during a proximity touch operation of an input medium according to a third embodiment of the present disclosure.

도 11C에서 도면 부호 '512'는 입력 매체(예를 들어, 사용자의 손가락)(510)가 상기 터치 스크린(500)의 터치 인식 유효 거리 내에서 상기 터치 스크린(500)에 디스플레이된 메시지 실행 아이콘(604)을 근접 터치하였음을 나타낸다. In FIG. 11C, reference numeral 512 denotes a message execution icon displayed on the touch screen 500 by an input medium (for example, a user's finger) 510 within a touch recognition effective distance of the touch screen 500. 604 is in close proximity.

이와 같이, 입력 매체(510)가 상기 메시지 실행 아이콘(604)을 일정 시간(예를 들어, 1초) 이상 근접 터치하게 되면, 도 11D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어부(180)는 상기 근접 터치 동작을 식별하여 상기 터치 스크린(500) 상에 상기 메시지 실행 아이콘(604)과 연관된 기능을 제공하기 위한 하위 객체를 일시적으로 디스플레이시킨다. As such, when the input medium 510 is in close proximity to the message execution icon 604 for a predetermined time (for example, 1 second) or more, as illustrated in FIG. 11D, the controller 180 performs the proximity touch operation. To temporarily display a sub-object for providing a function associated with the message execution icon 604 on the touch screen 500.

상기 하위 객체는 사용자가 상기 휴대 단말기(100)를 이용하여 가장 빈번하게 메시지를 전송한 상대방 순으로 상대방의 이름 및 전화번호를 나열한 최빈 발신자 리스트(750)로 이루어질 수 있다. The sub-object may be composed of the most frequent caller list 750 which lists the name and phone number of the other party in order of the other party that the user has most frequently sent the message using the mobile terminal 100.

도 11D에서, 상기 최빈 발신자 리스트(750)는 발신자의 이름과 전화번호가 결합된 형태의 텍스트 객체들로 이루어진다. 예를 들어, 상기 최빈 발신자 리스트(750) 중 가장 상단에 디스플레이된 제1 명칭(Tom)은 사용자가 일정 기간(예를 들어, 1일 또는 1주일) 동안에 상기 휴대 단말기(100)를 이용하여 가장 빈번하게 메시지를 발신한 사람을 나타낸다. 그리고, 상기 제1 명칭(Tom) 아래에 디스플레이된 명칭들(Daniel 내지 Kim)은 상부에서 하부 방향으로 배열된 순서에 따라 메시지를 발신한 빈도가 높은 사람을 나타낸다. 이에 따라, 사용자는 상기 디스플레이된 상기 최빈 발신자 리스트(750)에 구성된 이름 및 전화번호를 보고서 통화하고자 하는 상대방을 용이하게 선택할 수 있다.In FIG. 11D, the least frequently called list 750 consists of text objects in the form of a combination of the caller's name and phone number. For example, the first name Tom displayed at the top of the least frequently sent list 750 may be displayed by the user using the mobile terminal 100 for a certain period of time (for example, one day or one week). Indicates who sent the message frequently. Names Daniel to Kim displayed under the first name Tom indicate a person who has a high frequency of sending a message in an order arranged from top to bottom. Accordingly, the user can easily select the other party to whom the user wants to talk by looking at the name and the phone number configured in the most frequently displayed caller list 750 displayed.

여기서, 상기 메시지 실행 아이콘(604)은 상위 객체에 해당하며, 상기 메시지 실행 아이콘(604)의 근접 터치에 의하여 상기 터치 스크린(500) 상에 디스플레이되는 상기 단축 번호 리스트(750)는 상기 메시지 실행 아이콘(604)에 대한 하위 객체에 해당한다.Here, the message execution icon 604 corresponds to a higher object, and the shortcut number list 750 displayed on the touch screen 500 by the proximity touch of the message execution icon 604 is the message execution icon. Corresponds to subobject for 604.

이와 같이, 터치 스크린(500) 상에 상기 최빈 발신자 리스트(750)가 일시적으로 디스플레이된 상태에서 상기 입력 매체(510)가 근접 위치 이동하여 상기 최빈 발신자 리스트(750) 중 제1 명칭(Tom) 상으로 이동한 후, 상기 제1 명칭(Tom)를 직접 터치하면 상기 제1 명칭(Tom) 할당된 전화번호(010-000-0000)로 메시지 전송을 하는 기능이 바로 실행되도록 구성될 수 있다. 이에 따라, 사용자는 메시지를 전송하고자 하는 상대방의 전화번호를 찾기 위하여 상기 휴대 단말기(100) 내에 구성된 다단계의 메뉴 트리를 번거롭게 검색하지 않아도, 대기 화면 상에 디스플레이된 메 시지 실행 아이콘(604)을 이용하여 곧바로 메시지를 전송할 상대방을 확인한 후 메시지 전송을 할 수 있게 된다. As described above, the input medium 510 is moved in a proximate position while the least-sent caller list 750 is temporarily displayed on the touch screen 500, and thus the first name Tom is displayed on the least-sent caller list 750. After moving to, when the first name (Tom) is touched directly, the function of transmitting a message to the telephone number (010-000-0000) assigned to the first name (Tom) may be immediately executed. Accordingly, the user can use the message execution icon 604 displayed on the standby screen without having to search the multi-level menu tree configured in the mobile terminal 100 to find the phone number of the counterpart to which the message is to be transmitted. By immediately checking the other party to send a message, it is possible to send a message.

반면에, 도 11D에 도시된 바와 같이 터치 스크린(500) 상에 상기 최빈 발신자 리스트(750)가 일시적으로 디스플레이된 상태에서 상기 입력 매체(510)가 상기 최빈 발신자 리스트(750)에 포함된 명칭들 중 어느 하나를 직접 터치함이 없이 상기 터치 스크린(500)의 터치 인식 유효 거리 밖으로 벗어나게 되면, 제어부(180)는 상기 터치 스크린(500)에 다시 상기 도 11C에 도시된 이전 화면을 디스플레이시킬 수 있다. On the other hand, as shown in FIG. 11D, names of the input medium 510 included in the least-needed caller list 750 while the least-known caller list 750 is temporarily displayed on the touch screen 500. If the touch screen 500 is moved out of the touch recognition effective distance without directly touching any one of them, the controller 180 may display the previous screen shown in FIG. 11C again on the touch screen 500. .

또한, 도 11D에서는 상기 다이얼 실행 아이콘(503)의 하위 객체로서 최빈 발신자 리스트(750)를 예로 들어 설명하였으나, 상기 하위 객체는 최근 메시지 발신자순 리스트 또는 단축번호 리스트로 이루어질 수도 있다. In FIG. 11D, the least-received caller list 750 is described as a sub-object of the dial execution icon 503 as an example. However, the sub-object may be a recent message sender list or a shortcut number list.

도 12A 내지 도 12D는 본 발명의 제4 실시 예에 따른 근접 터치 인식 기능을 갖는 휴대 단말기를 이용한 그래픽 사용자 인터페이스 제공 방법을 설명하는 도면이다. 12A to 12D illustrate a graphic user interface providing method using a mobile terminal having a proximity touch recognition function according to a fourth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먼저, 도 12A는 본 발명의 제4 실시 예에 따라 입력 매체의 직접 터치 동작시 터치 스크린에 제공되는 그래픽 사용자 인터페이스를 설명하는 도면이다. First, FIG. 12A illustrates a graphic user interface provided on a touch screen during a direct touch operation of an input medium according to the fourth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12A에서 체크 마크(√)(511)는 입력 매체(예를 들어, 사용자의 손가락)가 전화부 실행 아이콘(605)을 직접 터치하였음을 나타낸다. In FIG. 12A, a check mark (√) 511 indicates that the input medium (eg, the user's finger) has touched the phone book execution icon 605 directly.

입력 매체(예를 들어, 사용자의 손가락)가 상기 전화부 실행 아이콘(605)를 직접 터치하게 되면, 도 12B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어부(180)는 상기 직접 터치 동작을 식별하여 휴대 단말기(100)에 저장된 전화번호부 관리를 위한 '1.전화번호부찾기', 휴대 단말기(100) 내에 새로운 전화번호를 저장하기 위한 '2.전화번호추가', 휴대 단말기(100)에 저장된 전화번호 중 자주 사용하는 전화번호를 단축번호에 등록시킨 후 간편하게 전화를 걸 수 있도록 하는 '3.단축번호관리', 가족별, 친구별, 회사별 전화번호를 분류하여 관리하기 위한 '4.그룹관리' 등과 같은 일련의 텍스트 객체들로 이루어진 리스트를 디스플레이시킨다. 이에 따라, 사용자는 상기 텍스트 객체들 중 어느 하나를 직접 터치함으로써 원하는 전화번호를 용이하게 찾을 수 있다.When an input medium (for example, a user's finger) directly touches the phone part execution icon 605, as illustrated in FIG. 12B, the controller 180 identifies the direct touch operation and thus the portable terminal 100. '1. Find phone book' for managing the phone book stored in '2. Add a phone number' for storing a new phone number in the mobile terminal 100, frequently used phone among the phone numbers stored in the mobile terminal 100 A series of texts such as '3. Shortcut number management' for registering numbers to speed dial numbers and '4.Group management' for categorizing and managing phone numbers by family, friends and company. Display a list of objects. Accordingly, the user can easily find a desired telephone number by directly touching any one of the text objects.

여기서, 도 12A의 상기 전화부 실행 아이콘(605)은 상위 객체에 해당한다. 그리고, 입력 매체(예를 들어, 사용자의 손가락)가 상기 전화부 실행 아이콘(605)를 직접 터치할 시, 도 12B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터치 스크린(500) 상에 디스플레이되는 상기 텍스트 객체들은 상기 전화부 실행 아이콘(605)에 연결된 하위 객체들에 해당한다.Here, the phone book execution icon 605 of FIG. 12A corresponds to an upper object. In addition, when an input medium (for example, a user's finger) directly touches the phone book execution icon 605, as illustrated in FIG. 12B, the text objects displayed on the touch screen 500 may include the text objects. Corresponds to sub-objects connected to the phone book execution icon 605.

이와 같이, 입력 매체(예를 들어, 사용자의 손가락)가 터치 스크린(500) 상에 디스플레이된 상위 객체(즉, 상기 전화부 실행 아이콘(605))를 직접 터치함으로써, 상기 상위 객체에 대응하는 하위 객체(즉, 전화번호부 관련 텍스트 객체들)이 상기 터치 스크린(500) 상에 디스플레이될 수 있다. In this way, the input medium (for example, the user's finger) directly touches the upper object displayed on the touch screen 500 (that is, the phone book execution icon 605), and thus the lower object corresponding to the upper object. (Ie, phonebook related text objects) may be displayed on the touch screen 500.

도 12C는 본 발명의 제4 실시 예에 따라 입력 매체의 근접 터치 동작시 터치 스크린에 제공되는 그래픽 사용자 인터페이스를 설명하는 도면이다. 12C is a diagram for explaining a graphic user interface provided on a touch screen during a proximity touch operation of an input medium according to a fourth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12C에서 도면 부호 '512'은 입력 매체(예를 들어, 사용자의 손가락)(510)가 상기 터치 스크린(500)의 터치 인식 유효 거리 내에서 상기 터치 스크린(500)에 디스플레이된 전화부 실행 아이콘(605)을 근접 터치하였음을 나타낸다. In FIG. 12C, reference numeral 512 denotes a phone part execution icon displayed on the touch screen 500 by an input medium (for example, a user's finger) 510 within a touch recognition effective distance of the touch screen 500. 605 is in close proximity.

이와 같이, 입력 매체(510)가 상기 다이얼 실행 아이콘(605)을 일정 시간(예를 들어, 1초) 이상 근접 터치하게 되면, 도 12D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어부(180)는 상기 근접 터치 동작을 식별하여 상기 터치 스크린(500) 상에 상기 전화부 실행 아이콘(605)과 연관된 기능을 제공하기 위한 하위 객체를 일시적으로 디스플레이시킨다. As such, when the input medium 510 touches the dial execution icon 605 in close proximity for a predetermined time (for example, 1 second) or more, as illustrated in FIG. 12D, the controller 180 performs the proximity touch operation. To temporarily display a sub-object for providing a function associated with the phone book execution icon 605 on the touch screen 500.

상기 하위 객체는 사용자가 상기 휴대 단말기(100) 내부에 저장된 전체 전화번호부 중 사용자가 상기 전체 전화번호부 또는 가족별, 친구별, 회사별 등으로 분류된 그룹별 전화번호부를 검색할 수 있도록 그룹별 분류 리스트(760)를 포함한다.The sub-objects are categorized by group so that the user can search the entire phonebook or a group-by-group phonebook classified by family, friend, company, etc. among the entire phonebooks stored in the mobile terminal 100. List 760.

도 12D에 도시되 바와 같이, 상기 그룹별 분류 리스트(760)는 일련의 텍스트 객체들로 이루어질 수 있다. 예를 들어, 상기 그룹별 분류 리스트(760) 중 가장 상단에는 전체 전화번호를 검색하기 위한 '전체' 텍스트 객체(761)가 형성된다. 상기 '전체' 텍스트 객체(761)의 아래에는 사용자가 가족으로 등록한 사람들의 전화번호들을 검색하기 위한 '가족' 텍스트 객체(762)가 형성된다. 그리고 상기 '가족' 텍스트 객체(762)의 아래에는 사용자가 친구, 회사, 교회, 또는 기관별로 등록한 사람들의 전화번호들을 검색하기 위한 '친구', '회사', '교회', '기관' 등의 텍스트 객체들(763 내지 766)이 형성된다. 이에 따라, 사용자는 입력 매체(510)를 이용하 여 상기 디스플레이된 그룹별 분류 리스트(760)를 보고서 상기 텍스트 객체들(761 내지 766) 중 원하는 그룹을 직접 터치함으로써 상기 원하는 그룹에 해당하는 전화번호부로 즉시 이동할 수 있다. As shown in FIG. 12D, the group classification list 760 may include a series of text objects. For example, a 'full' text object 761 is formed at the top of the group classification list 760 for searching the entire phone number. Under the 'all' text object 761, a 'family' text object 762 for searching the phone numbers of people whose users are registered as a family is formed. Under the 'family' text object 762, a user may search for phone numbers of people registered by a friend, company, church, or institution, such as 'friend', 'company', 'church', 'institution', etc. Text objects 763 to 766 are formed. Accordingly, the user views the displayed group classification list 760 using the input medium 510 and directly touches a desired group of the text objects 761 to 766 to the phone book corresponding to the desired group. You can move immediately.

여기서, 상기 전화부 실행 아이콘(605)은 상위 객체에 해당하며, 상기 전화부 실행 아이콘(605)의 근접 터치에 의하여 상기 터치 스크린(500) 상에 디스플레이되는 상기 그룹별 분류 리스트(760)는 상기 전화부 실행 아이콘(605)에 대한 하위 객체에 해당한다.Here, the phone book execution icon 605 corresponds to an upper object, and the group classification list 760 displayed on the touch screen 500 by the proximity touch of the phone book execution icon 605 is the phone book execution. Corresponds to the sub-object for icon 605.

이와 같이, 터치 스크린(500) 상에 상기 그룹별 분류 리스트(760)가 일시적으로 디스플레이된 상태에서 상기 입력 매체(510)가 근접 위치 이동하여 상기 그룹별 분류 리스트(760) 중 '가족' 텍스트 객체(761) 상으로 이동한 후, 상기 '가족' 텍스트 객체(761)를 직접 터치하면, 제어부(180)는 상기 직접 터치 동작을 식별하여 상기 '가족' 텍스트 객체(761)에 해당하는 전화번호부를 즉시 디스플레이시키도록 구성될 수 있다. 이에 따라, 사용자는 상기 휴대 단말기(100) 내에 구성된 다단계의 메뉴 트리를 번거롭게 검색하지 않아도, 대기 화면 상에 디스플레이된 전화부 실행 아이콘(605)을 이용하여 곧바로 자신이 원하는 그룹의 전화번호부를 검색할 수 있게 된다. As such, when the classification list 760 for each group is temporarily displayed on the touch screen 500, the input medium 510 is moved to a proximal position, and a 'family' text object is included in the classification list 760 for each group. After moving to the upper part of the screen, the user directly touches the 'family' text object 761, and the controller 180 identifies the direct touch operation and thus registers a phone book corresponding to the 'family' text object 761. Can be configured to display immediately. Accordingly, the user can directly search the phone book of the desired group by using the phone book execution icon 605 displayed on the standby screen without having to search the multi-level menu tree configured in the mobile terminal 100. Will be.

반면에, 도 12D에 도시된 바와 같이 터치 스크린(500) 상에 상기 그룹별 분류 리스트(760)가 일시적으로 디스플레이된 상태에서 상기 입력 매체(510)가 상기 그룹별 분류 리스트(760)에 포함된 그룹들 중 어느 하나를 직접 터치함이 없이 상기 터치 스크린(500)의 터치 인식 유효 거리 밖으로 벗어나게 되면, 제어부(180)는 상기 터치 스크린(500)에 다시 상기 도 12C에 도시된 이전 화면을 디스플레이시킬 수 있다. On the other hand, as shown in FIG. 12D, the input medium 510 is included in the classification list 760 for each group while the classification list 760 for each group is temporarily displayed on the touch screen 500. If the touch screen 500 is out of the touch recognition effective distance without directly touching any one of the groups, the controller 180 may display the previous screen shown in FIG. 12C again on the touch screen 500. Can be.

도 13A 내지 도 13D는 본 발명의 제5 실시 예에 따른 근접 터치 인식 기능을 갖는 휴대 단말기를 이용한 그래픽 사용자 인터페이스 제공 방법을 설명하는 도면이다. 13A to 13D illustrate a method of providing a graphic user interface using a mobile terminal having a proximity touch recognition function according to a fifth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먼저, 도 13A는 본 발명의 제5 실시 예에 따라 터치 스크린 상에 받은 문자함이 디스플레이된 상태에서 입력 매체의 직접 터치 동작시 터치 스크린에 제공되는 그래픽 사용자 인터페이스를 설명하는 도면이다. First, FIG. 13A is a diagram illustrating a graphic user interface provided to a touch screen during a direct touch operation of an input medium in a state where a text box received on a touch screen is displayed according to a fifth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13A에서 '받은 문자함'은 도 8에 도시된 메뉴 트리 구조에서 '메시지' 아이콘(716)의 하위 객체들 중 '1. 메시지 보관함' 하부에 구성될 수 있다. 그리고, 도 13A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받은 문자함'의 하부에는 휴대 단말기(100)로 문자 메시지를 전송한 사람들의 리스트가 형성된다. 상기 리스트에는 상기 휴대 단말기(100)로 문자 메시지를 전송한 사람들에 대한 정보를 표시하는 객체들(770 내지 773)이 포함된다. 예를 들어, 제1 객체(770)는 상기 휴대 단말기(100)로 문자 메시지를 전송한 사람의 명칭(770-1), 전화번호(770-2), 및 상기 명칭(770-1)에 할당된 아이콘(770-3)의 조합으로 이루어질 수 있다.In FIG. 13A, 'inbox' is '1.' among sub-objects of the 'message' icon 716 in the menu tree structure shown in FIG. It can be configured under the 'Message Archive'. As shown in FIG. 13A, a list of people who have sent text messages to the mobile terminal 100 is formed below the received text box. The list includes objects 770 to 773 that display information about people who have sent text messages to the mobile terminal 100. For example, the first object 770 is assigned to the name 770-1, the phone number 770-2, and the name 770-1 of the person who sent the text message to the mobile terminal 100. And a combination of the icons 770-3.

도 13A에서 체크 마크(√)(511)는 입력 매체(예를 들어, 사용자의 손가락)가 상기 객체들(770 내지 773) 중 제2 객체(771)를 직접 터치하였음을 나타낸다. In FIG. 13A, a check mark (√) 511 indicates that an input medium (eg, a user's finger) directly touches the second object 771 of the objects 770 to 773.

일 예로, 입력 매체(예를 들어, 사용자의 손가락)가 상기 제2 객체(771)를 직접 터치하게 되면, 도 13B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어부(180)는 상기 직접 터치 동작을 식별하여 상기 제2 객체(771)에 연관된 기능을 제공하기 위한 리스트(780)가 디스플레이된다.For example, when an input medium (for example, a user's finger) directly touches the second object 771, as illustrated in FIG. 13B, the controller 180 identifies the direct touch operation to identify the first touch operation. A list 780 is displayed to provide a function associated with the 2 object 771.

상기 리스트(780)에는 상기 제2 객체(771)에 포함된 전화번호로 문자 메시지를 보내기 위한 '1.답장', 미리 저장된 자주 사용하는 문구(예를 들어, '누구세요?' 또는 '나중에 연락드리겠습니다' 등)를 보내기 위한 '2.상용구답장', 상기 객체(771)에 포함된 문자 메시지(즉, 받은 메시지)를 타인에게 전송하기 위한 '3.전달', 상기 객체(771)에 포함된 문자 메시지를 휴대 단말기(100)의 일정 저장공간에 저장하기 위한 '4.저장', 상기 객체(711)에 포함된 전화번호를 편집하기 위한 '5.전화번호편집', 상기 객체(711)를 삭제하기 위한 '6.삭제', 받은 문자함 내에 저장된 모든 객체들(770 내지 773)을 삭제하기 위한 '7.전체삭제', 및 상기 객체(711)를 스팸번호로 등록하여 관리하기 위한 '8.스팸번호등록' 등과 같은 일련의 텍스트 객체들이 포함될 수 있다. 이에 따라, 사용자는 상기 텍스트 객체들 중 어느 하나를 직접 터치함으로써 상기 휴대 단말기(100)에 선택된 텍스트 객체에 해당하는 기능을 실행시킬 수 있다. The list 780 includes a '1. reply' to send a text message to the phone number included in the second object 771, a pre-stored frequently used phrase (for example, 'who?' Or 'contact me later') 'Communication', etc., '2.commercial reply', '3.deliver' to send a text message (ie, a received message) included in the object 771 to another person, included in the object 771 '4. Save' for storing a text message in a certain storage space of the mobile terminal 100, '5. Edit phone number' for editing the phone number included in the object 711, the object 711 '6. Delete' to delete, '7. Delete all' to delete all the objects 770 to 773 stored in the inbox, and '8. Register to manage the object 711 as a spam number. A series of text objects, such as 'spam number registration'. Accordingly, the user may directly execute any function corresponding to the selected text object by directly touching one of the text objects.

여기서, 도 13A의 도시된 제2 객체(771)는 상위 객체에 해당한다. 그리고, 입력 매체(예를 들어, 사용자의 손가락)가 상기 제2 객체(771)를 직접 터치할 시, 도 13B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터치 스크린(500) 상에 디스플레이되는 상기 리스트(780)는 상기 제2 객체(771)에 연결된 하위 객체들에 해당한다.Here, the illustrated second object 771 of FIG. 13A corresponds to a parent object. When the input medium (for example, a user's finger) directly touches the second object 771, the list 780 displayed on the touch screen 500 as illustrated in FIG. 13B. Corresponds to sub-objects connected to the second object 771.

이와 같이, 입력 매체(예를 들어, 사용자의 손가락)가 터치 스크린(500) 상 에 디스플레이된 상위 객체(즉, 상기 제2 객체(771))를 직접 터치함으로써, 상기 상위 객체에 대응하는 하위 객체(즉, 상기 리스트(780))가 상기 터치 스크린(500) 상에 디스플레이될 수 있다. As described above, the input medium (for example, the user's finger) directly touches the parent object (ie, the second object 771) displayed on the touch screen 500, thereby lowering the child object corresponding to the parent object. (Ie, the list 780) may be displayed on the touch screen 500.

또한, 다른 예로서는, 상기 입력 매체(예를 들어, 사용자의 손가락)가 터치 스크린(500) 상에 디스플레이된 상위 객체(즉, 상기 제2 객체(771))를 직접 터치할 경우, 제어부(180)는 상기 직접 터치 동작을 식별하여 상기 상위 객체에 대응하는 특정 기능을 바로 실행시키도록 구성될 수도 있다. 예를 들어, 입력 매체가 상기 제2 객체(771)를 직접 터치할 경우 상기 제2 객체(771)에 포함된 문자 메시지가 상기 터치 스크린(500) 상에 디스플레이되도록 구성될 수도 있다. As another example, when the input medium (for example, the user's finger) directly touches an upper object (ie, the second object 771) displayed on the touch screen 500, the controller 180 The direct touch operation may be configured to immediately execute a specific function corresponding to the upper object. For example, when an input medium directly touches the second object 771, a text message included in the second object 771 may be displayed on the touch screen 500.

아울러, 상기 입력 매체가 상기 터치 스크린(500)의 하부에 형성된 메뉴 아이콘(774)을 직접 터치하는 경우에도, 도 13B와 같이 상기 터치 스크린(500) 상에 리스트(780)가 디스플레이되거나 상기 제2 객체(771)에 포함된 문자 메시지가 상기 터치 스크린(500) 상에 디스플레이되도록 구성될 수도 있다. In addition, even when the input medium directly touches the menu icon 774 formed under the touch screen 500, the list 780 is displayed on the touch screen 500 or the second screen as shown in FIG. 13B. The text message included in the object 771 may be configured to be displayed on the touch screen 500.

도 13C는 본 발명의 제5 실시 예에 따라 입력 매체의 근접 터치 동작시 터치 스크린에 제공되는 그래픽 사용자 인터페이스를 설명하는 도면이다. FIG. 13C illustrates a graphic user interface provided on a touch screen during a proximity touch operation of an input medium according to a fifth embodiment of the present disclosure.

도 13C에서 도면 부호 '512'은 입력 매체(예를 들어, 사용자의 손가락)(510)가 상기 터치 스크린(500)의 터치 인식 유효 거리 내에서 상기 터치 스크린(500)에 디스플레이된 제2 객체(771)를 근접 터치하였음을 나타낸다. In FIG. 13C, reference numeral 512 denotes a second object on which the input medium (for example, a user's finger) 510 is displayed on the touch screen 500 within a touch recognition effective distance of the touch screen 500. 771) is in close proximity.

이와 같이, 입력 매체(510)가 상기 제2 객체(771)를 일정 시간(예를 들어, 1 초) 이상 근접 터치하게 되면, 도 13D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어부(180)는 상기 근접 터치 동작을 식별하여 상기 터치 스크린(500) 상에 상기 제2 객체(771)에 연관된 전체 기능들 중 사용자가 자주 사용하는 일부 기능을 제공하기 위한 하위 객체를 일시적으로 디스플레이시킨다. As such, when the input medium 510 is in close proximity to the second object 771 for a predetermined time (for example, 1 second) or more, as illustrated in FIG. 13D, the controller 180 may operate the proximity touch. The sub-objects are temporarily displayed on the touch screen 500 to provide some of the functions frequently used by the user among all functions associated with the second object 771.

상기 하위 객체는 상기 도 13B에 도시된 리스트 객체(780)에 포함된 텍스트 객체들 중 사용자가 자주 사용하는 '1.답장', '2.상용구답장', '3.삭제'와 같이 일부 객체들(791 내지 793)만을 포함하는 단축 리스트(790)로 이루어질 수 있다. The sub-object may be some objects, such as '1. reply', '2. commercial reply' and '3. delete', which are frequently used by the user among the text objects included in the list object 780 shown in FIG. 13B. It may consist of a short list 790 including only 791 to 793.

이에 따라, 사용자는 입력 매체(510)를 이용하여 상기 단축 리스트(790)에 포함된 텍스트 객체들(791 내지 793)에 대응되는 자주 사용되는 기능만을 용이하게 선택 및 실행할 수 있다.Accordingly, the user may easily select and execute only frequently used functions corresponding to the text objects 791 to 793 included in the shortcut list 790 using the input medium 510.

여기서, 상기 제2 객체(771)는 상위 객체에 해당하며, 상기 제2 객체(771)의 근접 터치에 의하여 상기 터치 스크린(500) 상에 디스플레이되는 상기 단축 리스트(790)는 상기 제2 객체(771)에 대한 하위 객체에 해당한다.Here, the second object 771 corresponds to a higher object, and the shortcut list 790 displayed on the touch screen 500 by the proximity touch of the second object 771 may correspond to the second object ( 771).

터치 스크린(500) 상에 상기 단축 리스트(790)가 일시적으로 디스플레이된 상태에서 상기 입력 매체(510)가 근접 위치 이동하여 상기 단축 리스트(790) 중 '3.삭제' 텍스트 객체(793) 상으로 이동한 후, 상기 '3.삭제' 텍스트 객체(793)를 직접 터치하면, 제어부(180)는 상기 직접 터치 동작을 식별하여 상기 '3.삭제' 텍스트 객체(793)에 해당하는 기능을 실행하여 상기 제2 객체(771)를 삭제하게 된다. While the shortcut list 790 is temporarily displayed on the touch screen 500, the input medium 510 is moved in a proximal position, and is placed on the '3. Delete' text object 793 of the shortcut list 790. After moving, when directly touching the '3. delete' text object 793, the controller 180 identifies the direct touch operation and executes a function corresponding to the '3. delete' text object 793. The second object 771 is deleted.

이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르면 사용자가 현재 터치 스크린(500) 상에 디스플레이되어 있는 상위 객체에 연관된 특정 기능을 실행하기 위하여 다단계의 메뉴 트 리를 검색하지 않고서도, 상기 입력 매체(510)가 상기 상위 객체를 근접 터치할 경우 상기 상위 객체에 연관된 다수의 기능들 중 사용자가 자주 사용하는 일부 기능들을 수행하기 위한 하위 객체를 상기 터치 스크린(500)에 일시적으로 디스플레이함으로써, 사용자는 상기 휴대 단말기(100)에 자신이 원하는 특정 기능을 바로 실행할 수 있는 이점이 있다. As described abov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the input medium 510 does not need to search the multi-level menu tree to execute a specific function related to the upper object currently displayed on the touch screen 500. When the user touches the object in proximity, the user may temporarily display a sub-object on the touch screen 500 to perform some of the functions frequently used by the user among the plurality of functions associated with the upper object, thereby allowing the user to carry out the portable terminal 100. The advantage is that you can immediately execute the specific functions you want.

반면에, 도 13D에 도시된 바와 같이 터치 스크린(500) 상에 상기 단축 리스트(790)가 일시적으로 디스플레이된 상태에서 상기 입력 매체(510)가 상기 단축 리스트(790)에 포함된 텍스트 객체들(791 내지 793) 중 어느 하나를 직접 터치함이 없이 상기 터치 스크린(500)의 터치 인식 유효 거리 밖으로 벗어나게 되면, 상기 제어부(180)는 상기 터치 스크린(500)에 다시 상기 도 13C에 도시된 이전 화면을 디스플레이시킬 수 있다. On the other hand, as shown in FIG. 13D, in the state where the shortcut list 790 is temporarily displayed on the touch screen 500, the text objects included in the shortcut list 790 may be included in the input medium 510. When the touch screen 500 is out of the touch recognition effective distance without directly touching any one of the 791 to 793, the controller 180 returns the touch screen 500 to the previous screen shown in FIG. 13C. Can be displayed.

아울러, 상기 입력 매체(510)가 상기 터치 스크린(500)의 하부에 형성된 메뉴 아이콘(774)를 근접 터치하는 경우에도, 도 13D와 같이 상기 터치 스크린(500) 상에 상기 단축 리스트(790)가 디스플레이되도록 구성될 수도 있다. In addition, even when the input medium 510 touches the menu icon 774 formed below the touch screen 500 in close proximity, the shortcut list 790 is displayed on the touch screen 500 as shown in FIG. 13D. It may be configured to be displayed.

도 14A 내지 도 14D는 본 발명의 제6 실시 예에 따른 근접 터치 인식 기능을 갖는 휴대 단말기를 이용한 그래픽 사용자 인터페이스 제공 방법을 설명하는 도면이다. 14A to 14D illustrate a graphic user interface providing method using a mobile terminal having a proximity touch recognition function according to a sixth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먼저, 도 14A는 본 발명의 제6 실시 예에 따라 터치 스크린 상에 카메라 앨범이 디스플레이된 상태에서 입력 매체의 직접 터치 동작시 터치 스크린에 제공되 는 그래픽 사용자 인터페이스를 설명하는 도면이다. First, FIG. 14A illustrates a graphic user interface provided on a touch screen during a direct touch operation of an input medium in a state where a camera album is displayed on a touch screen according to a sixth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14A에서 '카메라 앨범'은 도 8에 도시된 메뉴 트리 구조에서 '멀티미디어' 아이콘(714)의 하위 객체들 중에서 '1. 카메라'의 하부에 구성된다. 그리고, 도 14A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카메라앨범'의 하부에는 사용자가 휴대 단말기(100) 내에 저장한 복수의 사진 객체들이 썸네일(Thumbnail) 형태로 포함된다. In FIG. 14A, a 'camera album' is one of sub-objects of the 'multimedia' icon 714 in the menu tree structure shown in FIG. It is configured at the bottom of the camera. As shown in FIG. 14A, a plurality of photo objects stored in the portable terminal 100 by the user in the lower portion of the 'camera album' are included in the form of thumbnails.

도 14A에서 체크 마크(√)(511)는 입력 매체(예를 들어, 사용자의 손가락)가 상기 복수의 사진 객체들 중 하나의 사진 객체(801)를 직접 터치하였음을 나타낸다. In FIG. 14A, a check mark (√) 511 indicates that an input medium (eg, a user's finger) directly touched one of the plurality of photo objects.

그리고, 입력 매체(예를 들어, 사용자의 손가락)가 상기 사진 객체(801)를 직접 터치하게 되면, 도 14B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어부(180)는 상기 직접 터치 동작을 식별하여 상기 썸네일 형태의 사진 객체(801)를 상기 터치 스크린(500) 상에 확대하여 디스플레이시킨다.When an input medium (for example, a user's finger) directly touches the photo object 801, as illustrated in FIG. 14B, the controller 180 identifies the direct touch operation to form the thumbnail. The photo object 801 is enlarged and displayed on the touch screen 500.

도 14C는 본 발명의 제6 실시 예에 따라 입력 매체의 근접 터치 동작시 터치 스크린에 제공되는 그래픽 사용자 인터페이스를 설명하는 도면이다. 14C is a diagram for explaining a graphic user interface provided on a touch screen during a proximity touch operation of an input medium according to a sixth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14C에서 도면 부호 '512'은 입력 매체(예를 들어, 사용자의 손가락)(510)가 상기 터치 스크린(500)의 터치 인식 유효 거리 내에서 상기 터치 스크린(500)에 디스플레이된 썸네일 형태의 사진 객체들 중 어느 하나(801)를 근접 터치하였음을 나타낸다. In FIG. 14C, reference numeral 512 denotes a thumbnail photo of an input medium (for example, a user's finger) 510 displayed on the touch screen 500 within a touch recognition effective distance of the touch screen 500. It indicates that one of the objects 801 is in close touch.

이와 같이, 입력 매체(510)가 상기 사진 객체(801)를 일정 시간(예를 들어, 1초) 이상 근접 터치하게 되면, 도 14D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어부(180)는 상기 근접 터치 동작을 식별하여 상기 터치 스크린(500) 상에 상기 사진 객체(801)에 연관된 기능들 중 사용자가 자주 사용하는 일부 기능을 제공하기 위한 하위 객체를 일시적으로 디스플레이시킨다. As such, when the input medium 510 is in close proximity to the photo object 801 for a predetermined time (for example, 1 second) or more, as illustrated in FIG. 14D, the controller 180 performs the close touch operation. By identifying and temporarily displaying a sub-object for providing some of the functions frequently used by the user among the functions associated with the photo object 801 on the touch screen 500.

상기 하위 객체는 상기 도 14D에 도시된 바와 같이 사용자가 자주 사용하는 기능들로서, 상기 사진 객체(801)를 일시적으로 복사하기 위한 '1.복사', 상기 사진 객체의 삭제를 방지하도록 보호설정하거나 그 보호설정을 해제하기 위한 '2.보호설정/해제', 상기 사진 객체(801)를 삭제하기 위한 '3.삭제', 현재 터치 스크린(500) 상에 디스플레이된 모든 사진 객체들을 선택하기 위한 '4.전체선택', 현재 터치 스크린(500) 상에 디스플레이된 모든 사진 객체들에 대한 선택을 해제하기 위한 '5.전체해제'와 같은 텍스트 객체들(811 내지 815)을 포함하는 리스트(810)로 이루어진다. The sub-objects are functions frequently used by a user as shown in FIG. 14D, and are set to '1. copy' for temporarily copying the photo object 801, protected to prevent deletion of the photo object, or '2. Protect On / Off' to release the protection, '3. Delete' to delete the photo object 801, '4 to select all photo objects currently displayed on the touch screen 500 .Select all, to a list 810 containing text objects 811 to 815, such as '5. Clear All' to deselect all photo objects currently displayed on the touch screen 500. Is done.

이에 따라, 사용자는 입력 매체(510)를 이용하여 상기 리스트(810)에 포함된 텍스트 객체들(811 내지 815)에 해당하는 자주 사용되는 기능들을 용이하게 선택 및 실행시킬 수 있다.Accordingly, the user may easily select and execute frequently used functions corresponding to the text objects 811 to 815 included in the list 810 using the input medium 510.

여기서, 상기 도 14C에 도시된 썸네일 형태의 사진 객체(801)는 상위 객체에 해당하며, 상기 사진 객체(801)의 근접 터치에 의하여 상기 터치 스크린(500) 상에 디스플레이되는 상기 리스트(810)는 상기 사진 객체(801)에 대한 하위 객체에 해당한다.Here, the thumbnail-type photo object 801 illustrated in FIG. 14C corresponds to an upper object, and the list 810 displayed on the touch screen 500 by a proximity touch of the photo object 801 is Corresponds to the sub-object of the photo object 801.

이와 같이, 터치 스크린(500) 상에 상기 리스트 객체(810)가 일시적으로 디 스플레이된 상태에서 상기 입력 매체(510)가 근접 위치 이동하여 상기 리스트(810) 중 '3.삭제' 텍스트 객체(813) 상으로 이동한 후, 상기 '3.삭제' 텍스트 객체(813)를 직접 터치하면, 상기 제어부(180)는 상기 직접 터치 동작을 식별하여 상기 '3.삭제' 텍스트 객체(813)에 해당하는 기능을 실행하여 상기 사진 객체(801)를 삭제할 수 있다. As such, when the list object 810 is temporarily displayed on the touch screen 500, the input medium 510 is moved in a proximal position so that the text object 813 of the list 810 is deleted. ) And then directly touching the '3. delete' text object 813, the controller 180 identifies the direct touch operation and corresponds to the '3. delete' text object 813. The photo object 801 may be deleted by executing a function.

이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르면 상기 입력 매체(510)가 상기 상위 객체를 근접 터치할 경우, 상기 터치 스크린(500) 상에 상기 상위 객체에 연관된 다수의 기능들 중 사용자가 자주 사용하는 일부 기능만을 실행하기 위한 하위 객체를 일시적으로 디스플레이함으로써, 사용자는 다수의 메뉴들을 모두 검색해야 하는 불편함이 없이 상기 휴대 단말기(100)에 자신이 원하는 특정 기능을 바로 선택 및 실행할 수 있는 이점이 있다.As described abov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when the input medium 510 touches the upper object in close proximity, only some functions frequently used by the user among the plurality of functions related to the upper object are executed on the touch screen 500. By temporarily displaying the sub-object for the purpose, the user can directly select and execute a specific function desired by the portable terminal 100 without the inconvenience of having to search all the plurality of menus.

반면에, 도 14D에 도시된 바와 같이 터치 스크린(500) 상에 상기 리스트(810)가 일시적으로 디스플레이된 상태에서 상기 입력 매체(510)가 상기 리스트(810)에 포함된 텍스트 객체들(811 내지 815) 중 어느 하나를 직접 터치함이 없이 상기 터치 스크린(500)의 터치 인식 유효 거리 밖으로 벗어나게 되면, 상기 제어부(180)는 상기 터치 스크린(500)에 다시 상기 도 14C에 도시된 이전 화면을 디스플레이시킬 수 있다. On the other hand, as illustrated in FIG. 14D, in the state in which the list 810 is temporarily displayed on the touch screen 500, the text objects 811 to 710 included in the list 810 are included in the input medium 510. If the touch screen 500 is out of the touch recognition effective distance without directly touching any one of the buttons 815, the controller 180 displays the previous screen shown in FIG. 14C again on the touch screen 500. You can.

도 15A 내지 도 15D는 본 발명의 제7 실시 예에 따른 근접 터치 인식 기능을 갖는 휴대 단말기를 이용한 그래픽 사용자 인터페이스 제공 방법을 설명하는 도면 이다. 15A to 15D illustrate a method for providing a graphical user interface using a mobile terminal having a proximity touch recognition function according to a seventh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먼저, 도 15A는 본 발명의 제7 실시 예에 따라 터치 스크린 상에 카메라 앨범이 디스플레이된 상태에서 입력 매체의 직접 터치 동작시 터치 스크린에 제공되는 그래픽 사용자 인터페이스를 설명하는 도면이다. First, FIG. 15A illustrates a graphic user interface provided to a touch screen during a direct touch operation of an input medium in a state where a camera album is displayed on a touch screen according to a seventh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15A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휴대 단말기(100)는 '카메라앨범' 기능을 실행하여 터치 스크린(500) 상에 사진 객체(801)가 디스플레이된 상태에서, 멀티태스킹(Multitasking) 서비스에 의하여 현재 사용중인 기능(즉, '카메라앨범')을 종료하지 않고서도 상기 터치 스크린(500) 상에 다른 기능을 이용하기 위한 객체들(820 내지 834)을 디스플레이할 수 있다. As shown in FIG. 15A, the mobile terminal 100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executes a 'camera album' function, and a multitasking service is performed while the photo object 801 is displayed on the touch screen 500. By doing so, the objects 820 to 834 for using other functions may be displayed on the touch screen 500 without ending the function currently being used (that is, the camera album).

도 15A에서는, 터치 스크린(500) 상에 사진 객체(801)가 디스플레이된 상태에서, 사용자가 조작부(130)를 조작하여 멀티태스킹 서비스를 이용하기 위한 사용자 명령을 입력하면, 제어부(180)는 상기 사용자 명령을 식별하여 상기 사진 객체(801) 상에 본 발명에 따른 대분류 메뉴(710 내지 718)(도 8 참조)를 검색하기 위한 대분류 메뉴 객체(820)와, 상기 메뉴 트리 구조 중 상기 대분류 메뉴(710 내지 718)의 하부에 구성된 소분류 메뉴 중 일부 메뉴를 바로 실행하기 소분류 메뉴 객체들(831 내지 834)을 디스플레이시킬 수 있다. 예를 들어, 상기 소분류 메뉴 객체들(831 내지 834)에는 '문자보내기'(831), '받은 문자함'(832), '사진보내기'(833), '뮤직보관함'(834)와 같은 텍스트 객체 또는 아이콘 객체들이 포함될 수 있다.In FIG. 15A, when a photo object 801 is displayed on the touch screen 500, when a user operates a manipulation unit 130 and inputs a user command to use a multitasking service, the controller 180 may determine the above. A large classification menu object 820 for identifying a user command and searching the large classification menus 710 to 718 (see FIG. 8)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on the photo object 801, and the large classification menu ( The sub-category menu objects 831 to 834 may be displayed to immediately execute some menus among the sub-category menus configured at the bottom of 710 to 718. For example, the sub-category menu objects 831 to 834 include text objects such as 'send text' 831, 'received text box' 832, 'send photo' 833, and 'music box' 834. Or icon objects.

도 15A에서 체크 마크(√)(511)는 입력 매체(예를 들어, 사용자의 손가락)가 상기 대분류 메뉴 객체(820) 내의 '메시지' 텍스트 객체(821)를 직접 터치하였음을 나타낸다. 이와 같이, 입력 매체(예를 들어, 사용자의 손가락)가 상기 '메시지' 텍스트 객체(821)를 직접 터치하게 되면, 도 15B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어부(180)는 상기 직접 터치 동작을 식별하여 상기 '메시지'텍스트 객체(821)의 하위 메뉴 기능을 실행하기 위한 텍스트 객체들(1.메시지 보관함, 2.메시지 보내기, 3.e-mail, ...)을 포함하는 리스트(840)를 디스플레이시킨다. 상기 각각의 텍스트 객체(1.메시지 보관함, 2.메시지 보내기, 3.e-mail, ...)에는 또한 다수의 하위 메뉴들이 구성될 수 있다. 예를 들어, '1.메시지 보관함'에는 휴대 단말기(100)에 수신된 메시지를 보관하는 '받은문자함', 상기 수신된 메시지 중 사용자 선택에 의하여 영구적으로 보관할 메시지를 저장하기 위한 '영구보관함', 수신된 메시지를 스팸 메시지로 관리하기 위한 '스팸메시지'와 같은 하위 메뉴들이 형성될 수 있다. 또한, '2.메시지 보내기'에는 상기 휴대 단말기(100)가 전송한 메시지를 보관하는 '보낸문자함', 상기 전송한 메시지 중 사용자 선택에 의하여 영구적으로 보관할 메시지를 저장하기 위한 '영구보관함', 전송할 메시지를 작성하기 위한 '메시지 작성', 작성 도중인 메시지를 현재 작성된 상태로 임시 보관하기 위한 '임시보관함'과 같은 하위 메뉴들이 형성될 수 있다. In FIG. 15A, a check mark (√) 511 indicates that an input medium (eg, a user's finger) has touched a 'message' text object 821 directly within the classification menu object 820. As such, when an input medium (for example, a user's finger) directly touches the 'message' text object 821, as illustrated in FIG. 15B, the controller 180 identifies the direct touch operation. Display a list 840 including text objects (1.message archive, 2.send message, 3.e-mail, ...) for executing submenu functions of the 'message' text object 821 Let's do it. Each text object (1. message box, 2. message send, 3. e-mail, ...) may also be composed of a number of submenus. For example, '1. Message box' includes 'inbox' for storing the message received in the mobile terminal 100, 'permanent box' for storing the message to be permanently stored by the user's selection of the received message, Submenus such as 'spam message' may be formed to manage the received message as a spam message. In addition, '2. Send a message' is a 'sent letter box' to store the message sent by the mobile terminal 100, 'permanent storage box' for storing a message to be permanently stored by the user's selection of the transmitted message, transmission Submenus such as 'Writing message' for composing a message and 'Draft box' for temporarily storing a message being created as a current message may be formed.

또한, 입력 매체(예를 들어, 사용자의 손가락)가 상기 메뉴 이동 아이콘들(822, 823)을 직접 터치하게 되면, 도 8에 도시된 메뉴 트리 구조 중 대분류 메뉴들(710 내지 718)을 순차적으로 검색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상기 대분류 메뉴 객체(820) 내에 '메시지' 텍스트 객체(821)가 디스플레이된 상태에서, 입력 매체가 제1 메뉴 이동 아이콘(822)을 직접 터치하면, 상기 제어부(180)는 상기 직접 터치 동작을 식별하여 상기 대분류 메뉴 객체(820)에 '다이어리' 텍스트 객체를 디스플레이시킬 수 있다. 반면에 상기 입력 매체가 제2 메뉴 이동 아이콘(823)를 직접 터치하면, 상기 제어부(180)는 상기 직접 터치 동작을 식별하여 상기 대분류 메뉴 객체(820)에 '전화번호부' 텍스트 객체를 디스플레이시킬 수 있다. In addition, when an input medium (for example, a user's finger) directly touches the menu moving icons 822 and 823, the major classification menus 710 to 718 of the menu tree structure shown in FIG. 8 are sequentially displayed. You can search. For example, when the 'message' text object 821 is displayed in the large category menu object 820, and the input medium directly touches the first menu movement icon 822, the controller 180 may directly The touch action may be identified to display a 'diary' text object on the large category menu object 820. On the other hand, when the input medium directly touches the second menu move icon 823, the controller 180 may identify the direct touch operation and display a 'phone book' text object on the large category menu object 820. have.

도 15C는 본 발명의 제7 실시 예에 따라 입력 매체의 근접 터치 동작시 터치 스크린에 제공되는 그래픽 사용자 인터페이스를 설명하는 도면이다. FIG. 15C illustrates a graphic user interface provided on a touch screen during a proximity touch operation of an input medium according to a seventh embodiment of the present disclosure.

도 15C에서 도면 부호 '512'는 입력 매체(예를 들어, 사용자의 손가락)(510)가 상기 터치 스크린(500)의 터치 인식 유효 거리 내에서 상기 터치 스크린(500)에 디스플레이된 상기 대분류 메뉴 객체(820) 내에 '메시지' 텍스트 객체(821)를 근접 터치하였음을 나타낸다. In FIG. 15C, reference numeral 512 denotes the large classification menu object in which an input medium (eg, a user's finger) 510 is displayed on the touch screen 500 within a touch recognition effective distance of the touch screen 500. It indicates that the 'message' text object 821 is in close contact with 820.

이와 같이, 입력 매체(510)가 상기 '메시지' 텍스트 객체(821)를 일정 시간(예를 들어, 1초) 이상 근접 터치하게 되면, 도 15D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어부(180)는 상기 근접 터치 동작을 식별하여 상기 터치 스크린(500) 상에 상기 도 8의 대분류 메뉴들(710 내지 718) 전체 또는 상기 대분류 메뉴들(710 내지 718) 중 사용자가 자주 사용하는 일부 메뉴들을 제공하기 위한 하위 객체를 일시적으로 디스플레이시킨다. As such, when the input medium 510 comes into close contact with the 'message' text object 821 for a predetermined time (for example, 1 second) or more, as shown in FIG. 15D, the controller 180 controls the proximity. Sub-objects for identifying a touch operation and providing all of the large category menus 710 to 718 of FIG. 8 or some of the large category menus 710 to 718 that are frequently used by a user on the touch screen 500. Is displayed temporarily.

상기 하위 객체는 상기 도 15D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1.T서비스', '2.소리/진동', '3.화면', '4.컨텐츠보관함', '5.멀티미디어'등의 텍스트 객체들(851 내 지 855)을 포함하는 리스트(850)로 이루어질 수 있다. 이에 따라, 사용자는 입력 매체(510)를 이용하여 상기 리스트(840)에 포함된 텍스트 객체들(851 내지 855) 중 하나를 선택함으로써 자신이 원하는 기능을 용이하게 실행시킬 수 있다.The sub-object is a text object such as '1.T service', '2.sound / vibration', '3.screen', '4.content storage box', '5.multimedia', etc. as shown in FIG. 15D. It may consist of a list 850 containing the fields (851 to 855). Accordingly, the user can easily execute a desired function by selecting one of the text objects 851 to 855 included in the list 840 using the input medium 510.

여기서, 상기 도 15C에 도시된 상기 '메시지' 텍스트 객체(821)는 상위 객체에 해당하며, 상기 '메시지' 텍스트 객체(821)의 근접 터치에 의하여 상기 터치 스크린(500) 상에 디스플레이되는 상기 리스트(850)는 상기 '메시지' 텍스트 객체(821)에 대한 하위 객체에 해당한다.Here, the 'message' text object 821 illustrated in FIG. 15C corresponds to an upper object, and the list displayed on the touch screen 500 by a proximity touch of the 'message' text object 821. 850 corresponds to a sub-object for the 'message' text object 821.

터치 스크린(500) 상에 상기 리스트(850)가 일시적으로 디스플레이된 상태에서 상기 입력 매체(510)가 근접 위치 이동하여 상기 리스트 객체(850) 중 '1.T서비스' 텍스트 객체(851) 상으로 이동한 후, 상기 '1.T서비스' 텍스트 객체(851)를 직접 터치하면, 제어부(180)는 상기 직접 터치 동작을 식별하여 상기 '1.T서비스' 텍스트 객체(851)에 해당하는 하위 메뉴를 디스플레이하거나 특정 기능을 실행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While the list 850 is temporarily displayed on the touch screen 500, the input medium 510 is moved in proximity to the '1.T service' text object 851 of the list object 850. After moving, if the user directly touches the '1.T service' text object 851, the controller 180 identifies the direct touch operation and the submenu corresponding to the '1.T service' text object 851. Can be configured to display or execute a particular function.

반면에, 도 15D에 도시된 바와 같이 터치 스크린(500) 상에 상기 리스트(850)가 일시적으로 디스플레이된 상태에서 상기 입력 매체(510)가 상기 리스트(850)에 포함된 텍스트 객체들(851 내지 855) 중 어느 하나를 직접 터치함이 없이 상기 터치 스크린(500)의 터치 인식 유효 거리 밖으로 벗어나게 되면, 상기 제어부(180)는 상기 터치 스크린(500)에 다시 상기 도 15C에 도시된 이전 화면을 디스플레이시킬 수 있다. On the other hand, as shown in FIG. 15D, in the state in which the list 850 is temporarily displayed on the touch screen 500, the text objects 851 to 152 included in the list 850 are included in the input medium 510. If the touch screen 500 is out of the touch recognition effective distance without directly touching any one of the steps 855, the controller 180 displays the previous screen shown in FIG. 15C again on the touch screen 500. You can.

도 16A 내지 도 16D는 본 발명의 제8 실시 예에 따른 근접 터치 인식 기능을 갖는 휴대 단말기를 이용한 그래픽 사용자 인터페이스 제공 방법을 설명하는 도면이다. 16A to 16D illustrate a graphic user interface providing method using a mobile terminal having a proximity touch recognition function according to an eighth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먼저, 도 16A는 본 발명의 제8 실시 예에 따라 터치 스크린 상에 카메라 웹페이지가 디스플레이된 상태에서 입력 매체의 직접 터치 동작시 터치 스크린에 제공되는 그래픽 사용자 인터페이스를 설명하는 도면이다. First, FIG. 16A illustrates a graphic user interface provided to a touch screen during a direct touch operation of an input medium in a state where a camera web page is displayed on a touch screen according to an eighth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16A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휴대 단말기(100)는 무선 인터넷 모듈(113)을 통하여 웹사이트에 접속할 수 있고, 상기 접속된 웹사이트의 웹페이지를 상기 터치 스크린(500)에 디스플레이할 수 있다. 도 16A에서는, 웹브라우저(860) 내에 하나의 웹페이지의 전체 영역이 디스플레이되어 있다. 상기 무선 인터넷 접속 기능은 도 8에 도시된 메뉴 트리 구조 중 '1.T서비스'(710) 하위 메뉴 중 '3.무선인터넷' 메뉴에 의해서 실행될 수 있다. As shown in FIG. 16A, the mobile terminal 100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can access a website through the wireless Internet module 113, and display the webpage of the connected website on the touch screen 500. can do. In FIG. 16A, the entire area of one web page is displayed in the web browser 860. The wireless Internet access function may be executed by the '3.Wireless Internet' menu of '1.T service' 710 submenu of the menu tree structure shown in FIG.

상기 휴대 단말기(100)에 디스플레이되는 하나의 웹페이지는 웹페이지 객체(861)로 정의될 수 있으며, 상기 웹페이지 객체(861)에는 예를 들어, 기업 로고, 메뉴바, 광고, 이미지, 텍스트, 그래픽 등과 같은 다양한 객체들이 포함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웹페이지 객체(861)에 포함된 기업 로고, 메뉴바, 광고, 이미지, 텍스트, 그래픽에는 각각 다른 웹페이지의 URL(Uniform Resource Locator)이 연결됨으로써, 사용자가 상기 기업 로고, 메뉴바, 광고, 이미지, 텍스트 또는 그래픽을 직접 터치함으로써 해당 웹페이지의 화면을 상기 터치 스크린(500)에 디스플레이할 수 있다. One web page displayed on the mobile terminal 100 may be defined as a web page object 861. The web page object 861 may include, for example, a corporate logo, a menu bar, an advertisement, an image, text, Various objects such as graphics may be included. In addition, the corporate logo, menu bar, advertisement, image, text, and graphics included in the web page object 861 are connected to a uniform resource locator (URL) of a different web page, so that the user may receive the corporate logo, menu bar, By directly touching an advertisement, an image, text, or a graphic, a screen of a corresponding web page may be displayed on the touch screen 500.

도 16A에서 체크 마크(√)(511)는 입력 매체(예를 들어, 사용자의 손가락)가 상기 웹페이지 객체(861) 내의 일정 위치를 직접 터치하였음을 나타낸다. 이와 같이, 입력 매체(예를 들어, 사용자의 손가락)가 상기 웹페이지 객체(861)의 일정 위치를 직접 터치하게 되면, 도 16B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어부(180)는 상기 직접 터치 동작을 식별하여 상기 입력 매체가 직접 터치한 위치를 중심으로 웹페이지 객체(861)의 전체 영역 중 일부 영역을 상기 터치 스크린(500) 상에 확대하여 디스플레이시킬 수 있다. In FIG. 16A, a check mark (√) 511 indicates that an input medium (eg, a user's finger) has touched a certain position within the webpage object 861 directly. As such, when an input medium (for example, a user's finger) directly touches a predetermined position of the webpage object 861, as illustrated in FIG. 16B, the controller 180 identifies the direct touch operation. As a result, a partial area of the entire area of the webpage object 861 may be enlarged and displayed on the touch screen 500 based on the position where the input medium directly touches.

도 16C는 본 발명의 제8 실시 예에 따라 입력 매체의 근접 터치 동작시 터치 스크린에 제공되는 그래픽 사용자 인터페이스를 설명하는 도면이다. FIG. 16C is a diagram illustrating a graphic user interface provided on a touch screen during a proximity touch operation of an input medium according to an eighth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16C에서 도면 부호 '512'는 입력 매체(예를 들어, 사용자의 손가락)(510)가 상기 터치 스크린(500)의 터치 인식 유효 거리 내에서 상기 터치 스크린(500)에 디스플레이된 상기 웹페이지 객체(861) 내의 일정 위치를 근접 터치하였음을 나타낸다. In FIG. 16C, reference numeral 512 denotes the webpage object in which an input medium (eg, a user's finger) 510 is displayed on the touch screen 500 within a touch recognition effective distance of the touch screen 500. It indicates that a certain position in 861 is in close proximity.

이와 같이, 입력 매체(510)가 상기 웹페이지 객체(861)를 일정 시간(예를 들어, 1초) 이상 근접 터치하게 되면, 도 16D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어부(180)는 상기 근접 터치 동작을 식별하여 상기 터치 스크린(500) 상에 역시 다단계의 메뉴 트리로 구성되는 웹브라우저(851)의 전체 기능들 중 사용자가 자주 사용하는 일부 기능들을 바로 실행하기 위한 하위 객체를 일시적으로 디스플레이시킬 수 있다. As such, when the input medium 510 is in close proximity to the webpage object 861 for a predetermined time (for example, 1 second) or more, as illustrated in FIG. 16D, the controller 180 may operate the proximity touch. Can be displayed temporarily on a sub-object for immediately executing some of the functions frequently used by the user among the entire functions of the web browser 851, which is also composed of a multi-level menu tree on the touch screen 500. .

상기 하위 객체는 상기 도 16D에 도시된 바와 같이 터치 스크린(500) 상에 상기 웹페이지 객체(861)가 디스플레이되기 이전에 마지막으로 방문한 웹페이지로 돌아가기 위한 '1.뒤로', 상기 '1.뒤로' 기능을 실행하기 전에 보았던 웹페이지를 다시 디스플레이하기 위한 '2.앞으로', 웹페이지를 표시할 수 없다는 메시지가 나타날 경우 해당 웹페이지를 다시 연결하거나 웹페이지가 최신 버전인지 확인하기 위한 '3.새로고침', 웹페이지의 프로토콜 종류, 형식, 주소(URL), 연결상태, 작성 날짜 및 수정 날짜와 같은 등록 정보를 확인하기 위한 '4.속성' 등의 텍스트 객체들(871 내지 874)을 포함하는 리스트(870)로 이루어진다. 이에 따라, 사용자는 입력 매체(510)를 이용하여 상기 리스트(870)에 포함된 텍스트 객체들(871 내지 874)로부터 자신이 원하는 기능을 용이하게 선택하여 실행시킬 수 있다.As shown in FIG. 16D, the sub-object is' 1.back 'for returning to the last visited webpage before the webpage object 861 is displayed on the touch screen 500, and the' 1. '2.Forward' to redisplay the webpage you saw before executing the 'backward' function, or '3' to reconnect the webpage or check if the webpage is up-to-date 'Refresh', text properties 871 to 874 such as '4.Properties' to check properties such as protocol type, format, address (URL), connection status, creation date and modification date of the web page. It consists of a list 870 that includes. Accordingly, the user may easily select and execute a desired function from the text objects 871 to 874 included in the list 870 using the input medium 510.

여기서, 상기 도 16C에 도시된 상기 웹페이지 객체(861)는 상위 객체에 해당하며, 상기 웹페이지 객체(861)의 근접 터치에 의하여 상기 터치 스크린(500) 상에 디스플레이되는 상기 리스트(870)는 상기 웹페이지 객체(861)에 대한 하위 객체에 해당한다.Here, the web page object 861 illustrated in FIG. 16C corresponds to an upper object, and the list 870 displayed on the touch screen 500 by the proximity touch of the web page object 861 Corresponds to the sub-object of the webpage object 861.

이와 같이, 터치 스크린(500) 상에 상기 리스트(870)가 일시적으로 디스플레이된 상태에서 상기 입력 매체(510)가 근접 위치 이동하여 상기 리스트(870) 중 '1.뒤로' 텍스트 객체(871) 상으로 이동한 후, 상기 '1.뒤로' 텍스트 객체(871)를 직접 터치하면 터치 스크린(500) 상에는 상기 현재 디스플레이된 웹페이지 객체(851) 바로 직전에 디스플레이되었던 웹페이지가 다시 디스플레이될 수 있다.As such, when the list 870 is temporarily displayed on the touch screen 500, the input medium 510 is moved in a proximal position, and the text object 871 of the '1. backward' of the list 870 is moved. After moving to, if the '1. back' text object 871 is directly touched, the web page that was displayed immediately before the currently displayed web page object 851 may be displayed on the touch screen 500 again.

이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르면 사용자가 현재 터치 스크린(500) 상에 디스플레이되어 있는 상위 객체에 연관된 특정 기능을 실행하기 위하여 웹브라우저(861) 에 구성된 다단계의 메뉴 트리를 검색하지 않고서도, 상기 입력 매체(510)가 상기 상위 객체를 근접 터치할 경우 상기 상위 객체에 연관된 다수의 기능들 중 사용자가 자주 사용하는 일부 기능들을 수행하기 위한 하위 객체를 상기 터치 스크린(500)에 일시적으로 디스플레이함으로써, 사용자는 상기 휴대 단말기(100)에 자신이 원하는 특정 기능을 바로 선택 및 실행시킬 수 있는 이점이 있다. As described abov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the user does not need to search the multi-level menu tree configured in the web browser 861 to execute a specific function related to the parent object currently displayed on the touch screen 500. When the 510 touches the upper object in close proximity, the user temporarily displays a lower object on the touch screen 500 to perform some of the functions frequently used by the user among the plurality of functions associated with the upper object. There is an advantage in that the portable terminal 100 can immediately select and execute a specific function desired by the user.

반면에, 도 16D에 도시된 바와 같이 터치 스크린(500) 상에 상기 리스트(870)가 일시적으로 디스플레이된 상태에서 상기 입력 매체(510)가 상기 리스트(870)에 포함된 텍스트 객체들(871 내지 874) 중 어느 하나를 직접 터치함이 없이 상기 터치 스크린(500)의 터치 인식 유효 거리 밖으로 벗어나게 되면, 상기 제어부(180)는 상기 터치 스크린(500)에 다시 상기 도 16C에 도시된 이전 화면을 디스플레이시킬 수 있다. On the other hand, as illustrated in FIG. 16D, in the state in which the list 870 is temporarily displayed on the touch screen 500, the text objects 871 to 118 included in the list 870 are included in the input medium 510. If outside the touch recognition effective distance of the touch screen 500 without directly touching any one of 874, the controller 180 displays the previous screen shown in FIG. 16C again on the touch screen 500. You can.

도 17A 내지 도 17B는 본 발명의 제9 실시 예에 따라 입력 매체의 근접 터치 동작시 터치 스크린에 제공되는 그래픽 사용자 인터페이스를 설명하는 도면이다. 17A to 17B illustrate a graphic user interface provided on a touch screen during a proximity touch operation of an input medium according to a ninth embodiment of the present disclosure.

도 17A에서 도면 부호 '512'는 입력 매체(예를 들어, 사용자의 손가락)(510)가 상기 터치 스크린(500)의 터치 인식 유효 거리 내에서 상기 터치 스크린(500)에 디스플레이된 상기 웹브라우저(860) 내에 형성된 소정의 아이콘(862)을 근접 터치하였음을 나타낸다. 상기 아이콘(862)은 주소 입력창(863)의 우측단에 인접하여 형성될 수 있다. In FIG. 17A, reference numeral 512 denotes the web browser in which an input medium (for example, a user's finger) 510 is displayed on the touch screen 500 within a touch recognition effective distance of the touch screen 500. It indicates that a predetermined icon 862 formed in 860 is in close proximity. The icon 862 may be formed adjacent to the right end of the address input window 863.

이와 같이, 입력 매체(510)가 상기 아이콘(862)을 일정 시간(예를 들어, 1 초) 이상 근접 터치하게 되면, 도 17B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어부(180)는 상기 근접 터치 동작을 식별하여 상기 터치 스크린(500) 상에 최근 접속했던 하나 이상의 웹주소 리스트(880)를 일시적으로 디스플레이시킬 수 있다. 상기 웹주소 리스트(880)는 상기 주소 입력창(863)의 하단에 인접하여 형성될 수 있다.As such, when the input medium 510 is in close proximity to the icon 862 for a predetermined time (for example, 1 second) or more, as illustrated in FIG. 17B, the controller 180 identifies the proximity touch operation. One or more web address lists 880 recently accessed on the touch screen 500 may be temporarily displayed. The web address list 880 may be formed adjacent to the bottom of the address input window 863.

상기 도 17A에 도시된 상기 아이콘(862)은 상위 객체에 해당하며, 상기 아이콘(862)의 근접 터치에 의하여 상기 터치 스크린(500) 상에 디스플레이되는 상기 웹주소 리스트(880)는 상기 아이콘(862)에 대한 하위 객체에 해당한다.The icon 862 illustrated in FIG. 17A corresponds to a parent object, and the web address list 880 displayed on the touch screen 500 by a proximity touch of the icon 862 is the icon 862. Corresponds to the child object for).

이와 같이, 터치 스크린(500) 상에 상기 웹주소 리스트(880)가 일시적으로 디스플레이된 상태에서 상기 입력 매체(510)가 근접 위치 이동하여 상기 웹주소 리스트(880)에 포함된 웹주소 중 어느 하나를 직접 터치하면, 상기 제어부(180)는 상기 직접 터치 동작을 식별하여 상기 웹브라우저(860)에 상기 직접 터치된 웹주소에 대응하는 웹페이지를 디스플레이시킬 수 있다.As such, when the web address list 880 is temporarily displayed on the touch screen 500, the input medium 510 is moved to a proximal position, and thus any one of web addresses included in the web address list 880. When directly touching, the controller 180 may identify the direct touch operation and display the web page corresponding to the directly touched web address in the web browser 860.

반면에, 도 17B에 도시된 바와 같이 터치 스크린(500) 상에 상기 웹주소 리스트(880)가 일시적으로 디스플레이된 상태에서 상기 입력 매체(510)가 상기 웹주소 리스트(880)에 포함된 웹주소들 중 어느 하나를 직접 터치함이 없이 상기 터치 스크린(500)의 터치 인식 유효 거리 밖으로 벗어나게 되면, 상기 제어부(180)는 상기 도 17A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터치 스크린(500) 상에서 상기 웹주소 리스트(880)를 제거할 수 있다. On the other hand, as shown in FIG. 17B, a web address included in the web address list 880 is included in the web address list 880 while the web address list 880 is temporarily displayed on the touch screen 500. When the touch screen 500 is out of the touch recognition effective distance without directly touching any one of the above, the controller 180 may display the web address list on the touch screen 500 as illustrated in FIG. 17A. 880 may be removed.

도 18A 내지 도 18B는 본 발명의 제10 실시 예에 따라 입력 매체의 근접 터 치 동작시 터치 스크린에 제공되는 그래픽 사용자 인터페이스를 설명하는 도면이다. 18A to 18B illustrate a graphic user interface provided on a touch screen during a close touch operation of an input medium according to a tenth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18A 및 도 18B에 도시된 바와 같이, 웹브라우저(860) 내에는 제1,2 웹페이지 이동 아이콘들(864, 865)이 형성될 수 있다. As shown in FIGS. 18A and 18B, first and second web page movement icons 864 and 865 may be formed in the web browser 860.

상기 제1 웹페이지 이동 아이콘(864)은, 입력 매체(예를 들어, 사용자의 손가락)(510)가 상기 제1 웹페이지 이동 아이콘(864)를 직접 터치 시, 터치 스크린(500) 상에 현재 디스플레이된 웹페이지 이전에 마지막으로 방문한 웹페이지를 디스플레이하는 기능을 제공한다. 상기 제2 웹페이지 이동 아이콘(865)은, 입력 매체(510)가 상기 제2 웹페이지 이동 아이콘(865)을 직접 터치 시, 상기 제1 웹페이지 이동 아이콘(864)의 기능을 실행하기 전에 보았던 웹페이지를 상기 터치 스크린(500) 상에 다시 디스플레이하는 기능을 제공한다. The first webpage move icon 864 is currently displayed on the touch screen 500 when an input medium (eg, a user's finger) 510 directly touches the first webpage move icon 864. Provides the function to display the webpage last visited before the displayed webpage. The second webpage move icon 865 is viewed before the input medium 510 directly touches the second webpage move icon 865 before executing the function of the first webpage move icon 864. It provides a function of displaying the web page on the touch screen 500 again.

반면에, 본 발명에 따르면 상기 입력 매체(510)가 제1,2 웹페이지 이동 아이콘들(864, 865)을 근접 터치할 경우, 다음과 같이 미리 보기 이미지를 제공할 수 있다.On the other hand,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when the input medium 510 touches the first and second web page moving icons 864 and 865 in close proximity, the preview image may be provided as follows.

도 18A에서 도면 부호 '512'는 입력 매체(510)가 상기 터치 스크린(500)의 터치 인식 유효 거리 내에서 상기 터치 스크린(500)에 디스플레이된 상기 제1 웹페이지 이동 아이콘(864)을 근접 터치하였음을 나타낸다. In FIG. 18A, reference numeral 512 denotes a proximity touch of the first webpage moving icon 864 displayed on the touch screen 500 by the input medium 510 within a touch recognition effective distance of the touch screen 500. It is shown.

이와 같이, 입력 매체(510)가 상기 제1 웹페이지 이동 아이콘(864)을 일정 시간(예를 들어, 1초) 이상 근접 터치하게 되면, 도 18B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어 부(180)는 상기 근접 터치 동작을 식별하여 상기 제1 웹페이지 이동 아이콘(864) 상부에 상기 터치 스크린(500) 상에 현재 디스플레이된 웹페이지 이전에 마지막으로 방문한 웹페이지를 축소한 미리 보기(Preview) 이미지(881)를 일시적으로 디스플레이할 수 있다. 즉, 상기 제1 웹페이지 이동 아이콘(864)을 근접 터치할 경우, 상기 미리 보기 이미지(881)를 통하여 미리 보기(Preview) 기능을 제공할 수 있다. 한편, 상기 입력 매체(510)가 상기 제2 웹페이지 이동 아이콘(865)을 근접 터치할 경우에는, 상기 제어부(180)은 상기 제1 웹페이지 이동 아이콘(865)의 기능을 실행하기 전에 보았던 웹페이지를 축소한 미리 보기 이미지(미도시)를 상기 제2 웹페이지 이동 아이콘(865)의 상부에 일시적으로 디스플레이할 수도 있다.As such, when the input medium 510 comes in close contact with the first webpage moving icon 864 for a predetermined time (for example, 1 second) or more, as illustrated in FIG. 18B, the controller 180 may perform A preview image 881 in which the webpage visited last before the webpage currently displayed on the touch screen 500 is identified on the first webpage moving icon 864 by identifying the proximity touch operation. ) Can be displayed temporarily. That is, when the first web page movement icon 864 is in close touch, a preview function may be provided through the preview image 881. On the other hand, when the input medium 510 touches the second webpage moving icon 865 in close proximity, the controller 180 may have viewed the web before executing the function of the first webpage moving icon 865. A preview image (not shown) in which the page is reduced may be temporarily displayed on the second webpage moving icon 865.

여기서, 상기 제1 웹페이지 이동 아이콘(864)은 상위 객체에 해당하며, 상기 제1 웹페이지 이동 아이콘(864)의 근접 터치에 의하여 상기 터치 스크린(500) 상에 디스플레이되는 상기 미리 보기 이미지(881)는 상기 제1 웹페이지 이동 아이콘(864)에 대한 하위 객체에 해당한다.Here, the first webpage move icon 864 corresponds to a higher object, and the preview image 881 displayed on the touch screen 500 by a proximity touch of the first webpage move icon 864. ) Corresponds to a sub-object of the first web page move icon 864.

이와 같이, 터치 스크린(500) 상에 상기 미리 보기 이미지(881)가 일시적으로 디스플레이된 상태에서 상기 입력 매체(510)가 근접 위치 이동하여 상기 미리 보기 이미지(881)를 직접 터치하면, 상기 제어부(180)는 상기 직접 터치 동작을 식별하여 상기 웹브라우저(860)에 상기 직접 터치된 미리 보기 이미지(881)에 대응하는 웹페이지가 확대되어 디스플레이될 수 있다.As such, when the input medium 510 is moved in a proximate position while the preview image 881 is temporarily displayed on the touch screen 500, the touch screen directly touches the preview image 881. 180, the web page corresponding to the directly touched preview image 881 may be enlarged and displayed on the web browser 860 by identifying the direct touch operation.

반면에, 도 18B에 도시된 바와 같이 터치 스크린(500) 상에 상기 미리 보기 이미지(881)가 일시적으로 디스플레이된 상태에서 상기 입력 매체(510)가 상기 미 리 보기 이미지(881)를 직접 터치함이 없이 상기 터치 스크린(500)의 터치 인식 유효 거리 밖으로 벗어나게 되면, 상기 제어부(180)는 상기 도 18A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터치 스크린(500) 상에서 상기 미리 보기 이미지(881)를 제거할 수 있다. On the other hand, as shown in FIG. 18B, the input medium 510 directly touches the preview image 881 while the preview image 881 is temporarily displayed on the touch screen 500. If the touch screen 500 is out of the touch recognition effective distance without this, the controller 180 can remove the preview image 881 on the touch screen 500 as shown in FIG. 18A. .

상기와 같이 설명된 근접 터치 인식 기능을 갖는 휴대 단말기 및 이를 이용한 그래픽 사용자 인터페이스 제공 방법은 상기 설명된 실시예들의 구성과 방법이 한정되게 적용될 수 있는 것이 아니라, 상기 실시예들은 다양한 변형이 이루어질 수 있도록 각 실시예들의 전부 또는 일부가 선택적으로 조합되어 구성될 수도 있다. 일예로, 위 설명에서는 근접 터치시 선택된 객체에 대해서만 확대되는 구성에 대해 설명을 하였으나, 사용자의 편의를 고려하여 다른 디스플레이 방식의 제공이 가능하다.The above-described portable terminal having a proximity touch recognition function and a method for providing a graphic user interface using the same are not limited to the configuration and method of the above-described embodiments, but the embodiments may be modified in various ways. All or some of the embodiments may be selectively combined. For example, in the above description, a configuration in which only the selected object is enlarged when the proximity touch is described has been described. However, another display method may be provided in consideration of the user's convenience.

이상에서 설명한 근접 터치 및 직접 터치는 사용자의 손가락과 같은 휴대 단말기 상에서 디스플레이되고 있는 객체에 비하여 지나치게 큰 입력 매체에 의해 이루어지는 것을 예상해야 하므로, 근접 터치 시 확대 디스플레이 등의 방법을 제공한다 하더라도, 기본적인 메뉴, 객체들이 일정 이상의 크기를 가지고 있어야 조작이 용이하다. 이는 너무 작은 크기, 서로 간의 좁은 간격을 가질 경우 근접 객체의 선택이 어려운 문제로 기인한 것으로, 이하 이에 대한 대책을 살펴보도록 한다.Since the proximity touch and the direct touch described above should be expected to be made by an input medium that is too large compared to the object being displayed on the portable terminal such as the user's finger, even if a method such as an enlarged display is provided during the proximity touch, In addition, the objects must be over a certain size for easy operation. This is due to a problem that it is difficult to select adjacent objects when the size is too small and there is a narrow gap between them.

도 19 내지 20은 소정 객체를 디스플레이하는 휴대 단말기의 개념을 설명하기 위해 나타낸 것으로, 살펴보면, 터치 스크린 상에 선택이나 배율의 변경이 가능한 객체가 복수개 존재하고 있다.19 to 20 illustrate a concept of a mobile terminal for displaying a predetermined object. Referring to FIG. 19, a plurality of objects that can be selected or changed in magnification exist on the touch screen.

이 중에서 ①과 같이 서로간에 거리가 떨어져 있는 객체에 대해서는 앞에서 살펴본 근접 터치시 확대와 같은 방식의 적용으로 충분히 편리하게 사용이 가능할 것이나, ②와 같이 복수의 개체가 서로 근접해서 위치하는 경우 사용자에 의한 선택이 어렵다. 예를 들어 2개의 복수 개체가 근접해 있는 좌상단의 ② 중 우측 객체를 선택하고자 하는 경우, 앞에서 설명한 방식에 의해 근접 터치를 수행하며, 입력 매체에 근접한 하나의 객체만이 확대되어 디스플레이된다. 이때, 사용자의 올바른 근접 터치로 인하여 우측 객체가 선택되는 경우가 바람직할 것이나, 실수 등으로 인하여 좌측의 객체가 선택된 경우 좌측 객체가 확대 디스플레이됨으로써, 우측 객체는 가려지게 된다. 이러한 상태에서 우측 객체의 선택은 어려우므로, 근접 터치를 해제한 후 다시 시도하여야 할 것이다. 이와 다르게 확대되는 객체가 입력 매체에 의해 가려지지 않도록 다른 위치에 표시(이 경우 확대된 좌측의 객체에 의해 선택하고자 하는 우측의 객체 또한 가려지지 않음)되는 경우라 하더라도, 사용자는 기본적으로 좁은 간격을 갖는 좌상단의 ② 중 우측 객체를 선택하기 위해 미세하게 입력 매체를 이동시켜야 할 것이다. 이러한, 과정은 이동 상태, 최소한 미세한 움직임이 존재하는 휴대 상태에서 사용이 이루어지는 휴대 단말기의 사용 현실을 고려할 때 거의 불가능한 것이다. 따라서, 앞에서 살펴본 실시예의 적용을 위해서는 입력 매체인 사용자의 손가락 등을 이용하여 각 객체를 용이하게 구분하여 선택할 수 있는 정도로 객체 크기 및 간격을 조정하여 디스플레이하여야 한다. 그러나, 이는 전체 객체의 확대를 요구하게 되므로, 한 화면에 모두 디스플레이되어야 사용이 편리한 객체들조차 나누어 디스플레이하여야 함(한 화면에 모두 디스플레이할 수 없으므로)을 의미한다. 즉, 이와 같은 경우 사용자는 화면에 표시되지 않은 객체를 나타내기 위해서 화면 이동 등의 추가 작업을 요하게 된다.Of these, objects that are separated from each other, such as ①, can be used conveniently by applying the same method as the above-mentioned close-up touch, but when a plurality of objects are located close to each other, such as ②, Difficult to choose For example, if the user wants to select the right object from the upper left ② where two objects are in close proximity, the proximity touch is performed by the above-described method, and only one object close to the input medium is enlarged and displayed. In this case, the right object may be selected due to the correct proximity touch of the user. However, when the left object is selected due to a mistake or the like, the left object is enlarged and displayed so that the right object is hidden. In this state, since the selection of the right object is difficult, it is necessary to release the proximity touch and try again. Even if the enlarged object is displayed in a different position so that it is not obscured by the input medium (in this case, the object on the right that is to be selected by the enlarged left object is also not hidden), the user may basically narrow the gap. It is necessary to move the input medium finely in order to select the right object out of ② in the upper left corner. This process is almost impossible in view of the reality of use of the mobile terminal, which is used in a mobile state where at least a fine movement exists. Therefore, in order to apply the above-described embodiment, the object size and spacing should be adjusted and displayed to the extent that each object can be easily distinguished and selected using a user's finger or the like as an input medium. However, since this requires an enlargement of the entire object, it means that all objects that are easy to use should be displayed separately on one screen (since they cannot be displayed on one screen). That is, in such a case, the user needs additional work such as moving the screen to indicate an object that is not displayed on the screen.

이러한 문제를 해소하기 위하여 다음 실시예에 따른 휴대 단말기는 입력 매체의 근접 터치 또는 직접 터치 동작에 따라 서로 다른 터치 입력 신호를 생성하는 터치 스크린(10) 및 상기 입력 매체로부터 일정 범위 이내의 복수 객체(선택 복수 객체)를 상기 입력 매체의 근접 터치 또는 직접 터치 동작에 따라 배율을 변경하여 디스플레이하는 제어부(20)를 포함하여 이루어져 있다.In order to solve this problem, the portable terminal according to the following embodiment includes a touch screen 10 that generates different touch input signals according to a proximity touch or direct touch operation of an input medium and a plurality of objects within a predetermined range from the input medium ( And a control unit 20 for changing the magnification according to the proximity touch or direct touch operation of the input medium.

상기 터치 스크린(10)은 앞서 설명한 내용과 동일하므로 설명을 생략하며, 상기 제어부(20)에 대해서 살펴보면, 근접 터치 또는 직접 터치 동작에 따라 복수 객체의 배율을 변경하여 디스플레이하고 있다.Since the touch screen 10 is the same as the above description, a description thereof will be omitted, and the controller 20 will be described by changing the magnification of the plurality of objects according to a proximity touch or a direct touch operation.

이때, 고려할 몇가지 사항에 대해서 살펴보면, 먼저 다수의 배율 변경 또는 선택이 가능한 객체가 디스플레이되는 터치 스크린에서 몇개의 복수 객체를 선택하는지가 문제되는데, 이는 상기 입력 매체로부터 일정 범위 이내의 복수 객체 전부를 배율 변경하여 디스플레이하는 방식, 상기 입력 매체로부터 일정 범위 이내라 하더라도, 그 수가 기준값을 초과하는 경우에는 상기 입력 매체 중심에 가까운 일정수의 복수 객체만 디스플레이하는 방식이 가능하다.In this case, referring to several things to consider, it is a question of how many objects are selected on a touch screen on which an object capable of changing or selecting a plurality of magnifications is displayed, which multiplies all the objects within a predetermined range from the input medium. A method of changing and displaying the display. Even if the input medium is within a predetermined range, when the number exceeds the reference value, only a predetermined number of objects close to the center of the input medium may be displayed.

이를 감안하더라도 상기 입력 매체로부터 일정 범위 이내에 위치하는 2개 이상의 객체가 배율 변경되어 디스플레이되는데, 일반적으로 상기 배율 변경은 확대의 개념이 될 것이다.In view of this, two or more objects located within a predetermined range from the input medium are displayed after being changed in magnification. Generally, the change of magnification will be a concept of magnification.

다음으로, 상기 입력 매체로부터의 일정 범위를 어떻게 결정할 것인가가 문 제된다. 상기 일정 범위는 실험적으로 사용자가 소정 입력 매체를 통하여 일정 객체를 지시하여 근접 터치 또는 직접 터치한 경우 선택이 이루어질 것이라고 예상되는 범위를 적어도 포함하여야 할 것이다. 따라서, 상기 입력 매체에 대한 인식을 최단 거리에서 인식한 터치 스크린의 지점을 중심으로 적절하게 범위의 설정이 이루어져야 할 것이며, 이때 현재 디스플레이되고 있는 객체의 성격도 고려하여야 할 것이다. 예를 들어 옵션 메뉴와 같은 리스트로서 객체가 표시되는 경우에는 터치 스크린 좌우측은 중요하지 않으므로, 위아래측의 범위를 중심으로 범위가 정해져야 한다.Next, the question is how to determine a certain range from the input medium. The predetermined range should include at least a range that is expected to be selected when the user instructs a proximity object or a direct touch by indicating a certain object through a predetermined input medium. Therefore, the range should be appropriately set based on the point of the touch screen that recognizes the recognition of the input medium at the shortest distance, and the nature of the object currently being displayed should be considered. For example, when an object is displayed as a list such as an option menu, the left and right sides of the touch screen are not important, and the range should be determined based on the upper and lower ranges.

그 다음은, 상기 선택 복수 객체의 배율 변경에 대한 것으로, 일반적으로 상기 배율 변경은 확대가 되겠지만, 경우에 따라서는 축소되도록 할 수도 있을 것이다.Next, the change of the magnification of the plurality of selected objects is performed. In general, the change of the magnification may be enlarged, but may be reduced in some cases.

마지막으로, 터치 방식에 대해서도 고려를 하여야 한다. 일반적으로 근접 터치를 통하여 선택 복수 객체를 확대 디스플레이한 후 직접 터치를 통하여 상기 선택 복수 객체 중 원하는 객체를 선택하는 것이 바람직하나, 기기의 특성, 사용자의 조작 능력 등을 고려할 경우, 근접 터치 상태에서의 이동 등의 조작이 사용자에게 어려운 경우도 예상된다. 따라서, 직접 터치로 선택 복수 객체를 확대표시하고 직접 터치 해제(터치 이탈), 현재 상태에서 반복 터치 등을 통하여 원하는 객체를 선택하는 방안도 고려해 볼 수 있다.Finally, consideration should be given to the touch method. In general, it is preferable to enlarge and display the selected plurality of objects through the proximity touch and then select a desired object from the selected plurality of objects through the direct touch. However, in consideration of the characteristics of the device and the user's manipulation ability, It is also expected that operation such as movement is difficult for the user. Accordingly, a method of enlarging and displaying a plurality of selected objects by direct touch and selecting a desired object through direct touch release (touch release), repeated touch in the current state, and the like may be considered.

물론, 상기 제어부는 상기 입력 매체에 의한 근접 터치 또는 직접 터치가 해제되면 상기 선택 복수 객체를 원래 배율로 복귀시키도록 구성되어야 할 것이다.Of course, the control unit should be configured to return the selected plurality of objects to the original magnification when the proximity touch or the direct touch by the input medium is released.

도 22에 이와 같은 선택 복수 객체를 확대(배율 변경)하여 디스플레이하는 예를 도시하였다.FIG. 22 illustrates an example in which such a plurality of selected objects are enlarged (magnified) and displayed.

도 19 내지 20에서 설명한 바와 다르게 좌상단에 위치하는 2개의 객체② 모두를 확대하여 디스플레이하고 있다. 이와 같이 선택 복수 객체를 확대하여 표시함으로써, 기본적인 객체의 크기가 작은 경우 사용자의 식별이 용이함은 물론이며, 확대된 선택 복수 객체 중 사용자가 원하는 객체를 용이하게 확인 및 선택할 수 있게 된다. 도 22를 보면, 확대되는 2개 객체의 중심점 또한 상기 확대 배율에 맞춰 이동하여 서로 간격이 넓어져 있음을 알 수 있는데, 이를 통하여 사용자는 상기 넓어진 간격만큼 상기 입력 매체를 이동시킴으로써, 원하는 객체의 선택을 용이하게 할 수 있게 된다. 물론, 이와 같은 경우, 사용자가 상기 선택 복수 객체 내에서의 객체 이동이 아니라 다른 위치로의 이동과 구분할 필요가 발생되는데, 이는 근접 터치의 경우 근접 터치의 정도, 즉 입력 매체와 터치 스크린 간의 근접 거리에 따라 다르게 대응하도록 함으로써 해결할 수 있다. 즉, 상기 근접 터치를 거리에 따라 복수개의 단계로 설정해 두고, 각 단계에 확대된 선택 복수 객체 내에서의 이동, 다른 위치로의 이동을 각각 대응시켜 둠으로써, 해소가 가능하다. Unlike those described with reference to FIGS. 19 to 20, both objects 2 located at the upper left are enlarged and displayed. By enlarging and displaying the selected plurality of objects as described above, the user can easily identify when the size of the basic object is small, and the user can easily identify and select a desired object among the enlarged selected plurality of objects. Referring to FIG. 22, it can be seen that the center points of the two objects to be enlarged are also moved in accordance with the enlargement magnification so that the intervals are widened. The user selects a desired object by moving the input medium by the widened interval. It can be facilitated. Of course, in this case, it is necessary for the user to distinguish the movement from the object to the other position rather than the movement of the object within the plurality of selected objects, which is a proximity touch, that is, a proximity distance between the input medium and the touch screen. This can be solved by responding differently. In other words, the proximity touch can be set to a plurality of stages according to the distance, and the resolution can be solved by making the movement within the selected plurality of objects and the movement to other positions respectively correspond to each stage.

물론, 선택 복수 객체 내의 모든 객체가 확대됨으로써, 확대전의 기본 배율에서의 조작에 따라 상기 선택 복수 객체 내의 이동이 결정된다 하더라도, 보다 편리하게 선택을 수행할 수 있을 것이다.Of course, since all objects in the plurality of selected objects are enlarged, even if the movement in the plurality of selected objects is determined according to the operation at the basic magnification before the enlargement, the selection will be more convenient.

한편, 상기 선택 복수 객체가 모두 동일 배율로 변경되어 디스플레이되는 경우, 각 객체의 구분이 명확한 경우 사용자는 자신이 올바른 위치에 입력 매체를 위 치시켰음을 인지하여 선택을 유도할 수도 있으나, 작은 휴대 단말기의 화면을 고려해 볼 때 결코 바람직하지 못할 것이다. 따라서, 선택 복수 개체 내에서도 입력 매체와 최단거리의 객체 대해서는 다른 선택 복수 개체와 구분이 가능하도록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On the other hand, when the plurality of selected objects are all displayed at the same magnification, when the distinction of each object is clear, the user may induce selection by recognizing that the user has positioned the input medium at the correct position. Considering the screen of it would never be desirable. Therefore, it is preferable to distinguish the object having the shortest distance from the input medium within the plurality of selected objects from other selected plurality of objects.

예를 들어, 입력 매체와 최단거리에 위치하는 객체를 다른 선택 복수 객체들보다 크게 확대하여 디스플레이하거나, 상기 최단거리에 위치하는 객체 외의 다른 선택 복수 객체를 축소하여 디스플레이할 수도 있다.For example, the object located at the shortest distance from the input medium may be displayed in a larger manner than the other selected plurality of objects, or the selected plurality of objects other than the object located at the shortest distance may be reduced.

전자의 경우는 선택 복수 객체를 기본적으로 확대하여 디스플레이할 경우, 최단거리의 객체를 더욱 크게 확대함으로써, 사용자가 입력 장치가 현재 가리키는 객체가 무언인지를 명확하게 나타낼 수 있으며, 후자의 경우에는 최단거리 객체 외의 선택 복수 객체를 주변 다른 객체보다 작게 표시함으로써, 입력 장치가 가리키는 객체를 나타낸다. 이때, 최단거리 객체는 확대하여 디스플레이하는 것이 바람직할 것이나, 인근 선택 복수 객체의 축소 디스플레이를 통한 상대적 확대 효과를 얻을 수 있으므로, 별다른 확대를 하지 않을 수도 있다.In the former case, when the selected object is enlarged and displayed by default, the object of the shortest distance can be enlarged further, so that the user can clearly indicate what the input device is currently pointing to, and in the latter case, the shortest distance. Selecting Other Objects By displaying a plurality of objects smaller than other objects, the input device indicates an object. In this case, the shortest object may be enlarged and displayed, but a relative enlargement effect may be obtained through a reduced display of a plurality of nearby selected objects, and thus may not be enlarged.

한편, 상기 제어부는 상기 입력 매체의 근접 터치의 정도에 따라 상기 선택 복수 객체 디스플레이의 배율을 다르게 조정할 수 있으며, 예로서, 도 23과 같이 확대를 단계로 나누어 실행할 수 있다.The controller may adjust the magnification of the selected plurality of object displays differently according to the degree of proximity touch of the input medium. For example, the controller may divide the magnification into steps as shown in FIG. 23.

근접 터치를 인지하기 시작하는 구간부터 일정 거리까지를 A, 사용자가 근접 터치와 직접 터치의 구간을 조절하기 어려운 구간을 C로 상기, A와 C 구간 사이를 B로 설정하여, A 구간에서 1.5배 확대 등의 1차 확대, B 구간에서 2배 확대 등의 2 차 확대를 실시한다. 이와 같이 근접 터치 거리에 따라 확대 배율을 달리함으로써, 사용자에게 편의를 제공할 수 있게 된다. 상기 C 구간은 사용자가 근접 터치와 직접 터치를 구분하기 어려운 구간으로, 상기 C 구간은 통상적으로 사용자가 근접 터치 시도시 직접 터치로 연결될 가능성이 있는 구간이 해당된다. 상기 C 구간에 대한 처리는 직접 터치로 또는 상기 B 구간의 연장으로 보아 2차 확대로 실행할 수 있다.A to the distance from the start of the recognition of the proximity touch to a certain distance, C, the section that is difficult for the user to adjust the section of the proximity touch and direct touch to C, between the A and C sections to B, 1.5 times in the A section 1st magnification such as magnification, and 2nd magnification such as 2x magnification in section B. As such, by varying the magnification according to the proximity touch distance, it is possible to provide convenience to the user. The section C is a section in which it is difficult for a user to distinguish between a proximity touch and a direct touch, and the section C generally corresponds to a section in which the user may be directly connected by a direct touch when attempting a proximity touch. The processing for the C section may be performed by the second touch with a direct touch or as an extension of the B section.

물론, 특별한 경우에는 접근할수록 축소하여 디스플레이할 수도 있으며, 이는 해당 객체의 성격에 따라 또는 사용자에 의한 옵션 변경을 통하여 설정이 가능하도록 한다.Of course, in a special case, it may be reduced and displayed as it approaches, which may be set according to the characteristics of the corresponding object or by changing an option by a user.

한편, 이상에서는 근접 터치 또는 직접 터치에 따라 변경된 배율로 디스플레이되는 선택 복수 객체의 중심이 확대시 상기 배율 변경에 맞춰 이동, 즉 객체 자체의 크기 뿐만 아니라, 객체 간의 거리도 배율에 따라 조정되는 예를 설명하였다. 이 경우, 앞에서 잠시 언급했지만, 선택 복수 객체 디스플레이 후 상기 입력 매체의 이동이 선택 복수 객체 내부에서의 이동인지, 다른 위치로의 이동인지에 대한 추가적인 구별 과정이 요구된다. 물론, 이와 같은 과정이 사용자에게 별다른 불편을 가하지 않을 수 있으나, 기본 배율에서의 객체간 이동 거리와 차이가 발생됨으로써 혼동을 야기할 경우도 배제할 수 없다.Meanwhile, in the above description, the center of the selected plurality of objects displayed at the magnification changed according to the proximity touch or the direct touch is moved in accordance with the magnification change when enlarged, that is, not only the size of the object itself but also the distance between the objects is adjusted according to the magnification. Explained. In this case, as mentioned earlier, an additional discrimination process is required to determine whether the movement of the input medium after the display of the selected plurality of objects is a movement inside the selected plurality of objects or moves to another position. Of course, such a process may not cause any inconvenience to the user, but it may not exclude the case of causing confusion by a difference between the moving distances between objects at the basic magnification.

따라서, 도 24에서와 같이 선택 복수 객체의 확대시 객체 자체의 배율만 변경하고 객체 간의 거리 D는 기본 배율과 동일하게 처리하는 방안을 고려해 볼 수 있다. 즉, 선택 복수 객체 각각의 중심을 배율 변경 전과 동일(중심 고정)하게 처 리하여, 드래그 등 사용자의 조작에 대해 배율 변경 전과 동일한 조건을 제공함으로써, 사용자의 편의를 도모할 수 있다. 물론, 이 경우에는 확대되는 객체가 서로 겹치는 문제가 발생될 수도 있으며, 앞에서 언급했던 미세 거리 조정에 대한 불편함에 대한 문제가 남아 있게 되므로, 중심의 이동 방식과 고정 방식을 적절히 조화시켜 사용할 수도 있을 것이다. 전자의 경우는 입력 매체에서 최단 거리의 객체를 최상위에 배치함으로써 해결이 가능하며, 후자의 경우, 사용자의 조작에 의해 중심 이동 방식과 중심 고정 방식을 선택할 수 있도록 하며, 이를 설정 변경에서뿐만 아니라, 소정 객체에 대한 서비스 이용시에 바로 선택이 가능하도록 수단을 강구함으로써 해결이 가능하다.Accordingly, as shown in FIG. 24, a method of changing only the magnification of the object itself and expanding the distance D between objects in the same manner as the basic magnification may be considered. In other words, the center of each of the selected plurality of objects is treated in the same manner as before the magnification change (fixed center), and the user's convenience can be provided by providing the same conditions as before the magnification change for the user's operation such as dragging. Of course, in this case, there may be a problem in which the enlarged objects overlap each other, and the problem of the inconvenience of the fine distance adjustment mentioned above remains, so that the center moving method and the fixing method may be appropriately combined. . In the former case, the shortest distance from the input medium can be solved by placing the object at the top. In the latter case, the center movement method and the center fixing method can be selected by the user's operation. The solution can be solved by finding a means to select immediately when using a service on an object.

즉, 상기 중심 이동 방식과 중심 고정 방식의 선택을 옵션 메뉴를 통해서만 선택 가능하도록 하면, 사용자는 서비스 이용 중 상황에 맞게 설정하기 위하여 설정 메뉴를 이용하고 다시 서비스를 이용해야 하는 불편함이 있을 수 있으므로, 현재 서비스 이용 중에 바로 선택이 가능하도록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예로써, 기본적인 근접 터치 후 드래그시에는 중심 고정 방식을 실행하고, 상기 근접 터치 상태에서 다른 손가락을 근접 터치하는 경우에는 중심 이동 방식을 실행하도록 할 수 있을 것이다. 입력 매체로서 손가락을 사용할 경우, 검지손가락을 이용하는 것이 보편적이므로, 검지손가락을 이용한 터치시에 추가적인 근접 터치가 용이한 엄지 손가락에 의한 근접 터치가 추가적으로 인식되면 중심 이동 방식을 실행하도록 할 수 있다. 참고로, 상기 중심 이동 방식은 이미 선택되어 배율 변경되어 표시되고 있는 선택 복수 객체 내에서의 움직임으로 한정하는 것이 바람직하다.That is, when the selection of the center movement method and the center fixed method can be selected only through the option menu, the user may have inconvenience in using the setting menu and using the service again in order to set it according to the situation while using the service. In this case, it is desirable to be able to select immediately while using the current service. For example, the center fixed method may be executed when dragging after a basic proximity touch, and the center movement method may be executed when another finger is touched in proximity with the other touch. When a finger is used as an input medium, it is common to use an index finger. When a proximity touch by a thumb that is easy to additionally touch the touch when the index finger is touched is additionally recognized, the center movement method may be executed. For reference, the center movement method is preferably limited to the movement in the selected plurality of objects that are already selected and changed in magnification.

다음으로, 상기 선택 복수 객체가 입력 매체에 의해 가려지는 경우에 대해 살펴보도록 하자.Next, a case in which the plurality of selected objects are covered by the input medium will be described.

손가락 등의 입력 매체를 통하여 디스플레이되고 있는 객체 중 소정 객체를 선택할 때, 위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입력 매체의 일정 범위 내의 복수 객체(선택 복수 객체)가 배율이 변경되어 디스플레이된다. 일반적으로 작은 크기의 휴대 단말기를 고려할 때, 상기 배율 변경은 확대가 될 것이다. 이렇게 확대된 선택 복수 객체의 디스플레이 위치는 상기 선택 복수 객체 전체의 중심이 상기 입력 매체와 최단 거리 지점이 되는 것이 일반적일 것이나, 이럴 경우 상기 입력 매체에 의해 선택 복수 객체가 가려질 수 있다. 위와 같은 가려짐 문제를 해소하기 위하여 일정 객체를 선택하기 위해 일정 거리 아래를 근접 터치 또는 직접 터치하고, 이를 인식한 제어부에서 상기 일정 거리만큼 떨어진 위의 객체를 선택한 것이라 인식하고 처리할 수도 있겠으나, 이와 같은 방식은 사용자에게 조작의 어려움을 가중시키게 되므로, 결코 바람직하지 못하다. 따라서, 사용자에게 원하는 객체에 대한 선택을 상기 객체가 존재하는 위치에 대한 터치로 가능하도록 하면서도, 터치에 의해 선택된 객체가 입력 매체에 의해 가려지지 않는 방안이 요구된다. 이를 위하여 도 25에 나타낸 실시예에서는 근접 터치 또는 직접 터치로 인하여 상기 선택 복수 객체가 확대되는 경우, 선택 복수 객체의 중심을 근접 또는 직접 터치 전의 위치에서 일정거리 이격되는 곳에 위치시키도록 제어부를 구성하였다. 즉, 선택 복수 객체 전체를 원 위치에서 일정거리 이격된 위치에 디스플레이하는 것으로, 일반적으로 입력 매 체에 의한 터치가 터치 지점에서 아래 방향을 가리게 되므로, 상기 중심의 이동은 터치 지점에서 윗쪽 방향인 것이 바람직하다. 물론, 이와 같이 선택 복수 객체 전체의 중심(선택 복수 객체 각각의 중심과 구별되어야 함) 이동은 입력 매체의 근접 터치 또는 직접 터치가 해제된 경우 원래대로 복귀되도록 해야 할 것이다.When a predetermined object is selected among objects being displayed through an input medium such as a finger, a plurality of objects (selected plurality of objects) within a predetermined range of the input medium are changed and displayed according to the above embodiment. In general, when considering a small size portable terminal, the magnification change will be enlarged. The enlarged display position of the plurality of selected objects may generally be the center of the entire selection plurality of objects as the shortest distance point from the input medium. In this case, the selection plurality of objects may be covered by the input medium. In order to solve the above-mentioned occlusion problem, in order to select a certain object, a proximity touch or a direct touch below a certain distance, and the controller which recognizes the above object may be recognized and processed as selecting the object above the predetermined distance. Such a method adds to the difficulty of the operation to the user and is therefore not preferable. Accordingly, there is a need for a method for allowing a user to select a desired object with a touch on a location where the object exists, while preventing the object selected by the touch from being blocked by the input medium. To this end, in the embodiment illustrated in FIG. 25, when the plurality of selected objects are enlarged due to the proximity touch or the direct touch, the controller is configured to position the center of the selected plurality of objects at a distance separated from the position before the proximity or direct touch. . That is, the entire display of the plurality of selected objects is displayed at a position spaced from the original position by a predetermined distance. In general, since the touch by the input medium covers the downward direction from the touch point, the movement of the center is upward from the touch point. desirable. Of course, the movement of the center of the whole of the plurality of selection objects (which must be distinguished from the center of each of the plurality of objects of selection) should be returned to its original state when the proximity touch or the direct touch of the input medium is released.

도 26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다른 실시예를 나타낸 것으로, 입력 매체의 근접 터치 또는 직접 터치 동작에 따라 서로 다른 터치 입력 신호를 생성하는 터치 스크린, 상기 터치 스크린 상에 표시되는 메뉴 리스트 및 상기 입력 매체로부터 일정 범위 이내의 복수 메뉴(선택 메뉴 객체)를 상기 입력 매체의 근접 터치 또는 직접 터치 동작에 따라 확대하여 디스플레이하는 제어부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휴대 단말기의 사용 실태를 나타내었다.FIG. 26 illustrates another preferre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wherein a touch screen generates different touch input signals according to a proximity touch or direct touch operation of an input medium, a menu list displayed on the touch screen, and the input medium. The use state of a portable terminal including a control unit which enlarges and displays a plurality of menus (selection menu objects) within a predetermined range according to a proximity touch or a direct touch operation of the input medium is shown.

앞 실시예의 복수 객체를 소정의 메뉴 리스트로서 설정한 것으로, 상기 메뉴 리스트는 다양한 예가 가능하다. 예로서, 상기 메뉴 리스트는 옵션 브라우저, 지하철 노선도, 네비게이션 지도, 웹 브라우저 탐색기, 파일 브라우저 중 어느 하나일 수 있다.The plurality of objects of the previous embodiment is set as a predetermined menu list, and the menu list may be various examples. For example, the menu list may be any one of an option browser, a subway map, a navigation map, a web browser explorer, and a file browser.

도 26은 메뉴 리스트로서 옵션 브라우저를 나타낸 것으로, 사용자의 근접 또는 직접 터치가 '3 Call history'를 지시하는 경우, '3 Call history' 및 입력 매체의 일정 범위 내에 존재하는 '2 Address book'과 '4 Orange music'을 배율 변경하여 디스플레이한다. 즉, 위 세개의 메뉴가 선택 메뉴 객체가 되는 것으로, 그외의 메뉴 리스트와 배율상 차별화를 둔다.FIG. 26 illustrates an option browser as a menu list. When a user's proximity or direct touch indicates' 3 Call history ',' 2 Address book 'and' 2 Address book 'and' that exist within a predetermined range of the input medium are shown. 4 Change and display Orange Music '. That is, the above three menus become selection menu objects, and differentiate them from other menu lists in magnification.

기존에는 입력 매체의 크기 등을 고려하여 도 27과 같이 도 26에 비하여 확 대된 메뉴 리스트를 제공하였는데, 이와 같은 경우 한 화면에 모든 메뉴 리스트를 디스플레이하기 어려우므로, 하단에 존재하는 일부 메뉴는 도 27의 하단의 화살표를 터치함으로써 슬라이딩되는 형태로 제공되었다. 그러나, 이와 같은 메뉴 리스트의 분리는 사용의 불편을 초래하므로, 기본적으로 하나의 메뉴 리스트를 한 화면에 표시할 필요가 있으며, 본 실시예를 통하여 해결이 가능하다.Conventionally, the menu list is expanded as compared to FIG. 26 in consideration of the size of the input medium, etc. As shown in FIG. 27, in this case, it is difficult to display all the menu list on one screen. It was provided in the form of sliding by touching the arrow at the bottom of the. However, such a separation of the menu list is inconvenient to use, so basically it is necessary to display one menu list on one screen, which can be solved through this embodiment.

상기 메뉴 리스트를 한 화면에 모두 표시할 정도의 크기(물론, 눈으로 인식이 가능한 크기를 만족해야 할 것이며, 메뉴 리스트가 많아 한 화면으로 표시할시 인식이 불가능한 경우에는 메뉴리스트를 나누는 것이 바람직할 것이다.)로 축소시켜 디스플레이한다. 상기 메뉴 리스트가 눈으로 인식이 가능한 크기이기는 하나, 손가락 등의 입력 매체를 통하여 원하는 리스트의 선택이 어려운 크기를 갖는 경우 본 실시예를 통하여, 선택 메뉴 객체-상기 입력 매체의 최단 거리에 위치하는 메뉴 객체 및 최단 거리 메뉴에서 일정 범위 내 존재하는 메뉴 객체-를 모두 배율 변경(일반적으로 확대)하여 디스플레이하며, 상기 최단 거리 메뉴 객체는 다른 선택 메뉴 객체에 비하여 보다 크게 디스플레이한다.The size of the menu list to be displayed on one screen (of course, it should satisfy the size that can be recognized by the eye, and if the menu list is too large to recognize when displaying on one screen, it is preferable to divide the menu list. To display it. When the menu list has a size that can be recognized by the eye, but it is difficult to select a desired list through an input medium such as a finger, according to the present embodiment, a menu item located at the shortest distance of the selection menu object-the input medium In the object and the shortest distance menu, all of the menu objects existing within a predetermined range are displayed by changing the magnification (generally enlarging), and the shortest distance menu object is displayed larger than other selection menu objects.

이를 통하여 사용자는 현재 자신이 지시한 메뉴 객체가 무엇인지 확인 가능하며, 터치 이동을 통하여 원하는 객체로의 선택을 용이하게 수행할 수 있다. 상기 터치 이동을 통한 다른 메뉴 객체로의 이동시 그 간격이 좁을 경우 미세한 터치 이동이 어려우므로, 앞에서 살펴본 예에서와 같이, 확대된 상기 선택 메뉴 객체의 크기에 대응하는 터치 이동에 의해서도 선택이 가능하도록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Through this, the user can check what is the menu object currently instructed by the user, and can easily select the desired object through the touch movement. When the distance is narrow when moving to another menu object through the touch movement, minute touch movement is difficult. Therefore, as described above, the touch screen corresponding to the enlarged size of the selected menu object can be selected. It is preferable.

즉, 상기 제어부가 상기 입력 매체 외의 추가 입력 매체를 인식한 경우, 상 기 원 입력 매체의 이동에 대해서, 상기 선택 메뉴 객체 내에서의 이동으로 처리하도록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That is, when the control unit recognizes an additional input medium other than the input medium, the movement of the input medium may be treated as a movement in the selection menu object.

예로서, 사용자가 도 26을 통하여 자신이 선택하고 있는 메뉴 객체가 '3 Call history'임을 확인한 후 자신이 실질적으로 원하는 '4 Orange music'으로 이동하고자 하는 경우, 각 메뉴 객체간의 간격이 좁아 미세 터치 이동이 잘못되어 도 28과 같이 '5 Orange World'를 지시할 수가 있다. 이런 경우 사용자는 보다 주의를 기울여 메뉴를 선택해야 하는 불편함을 느끼게 되므로, 도 26에서 선택 메뉴 객체로서 확대 표시된 상태로 '4 Orange music'로 터치 이동할 수 있도록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For example, when the user confirms that the menu object selected by the user is '3 Call history' through FIG. 26 and then wants to move to '4 Orange music', the user wants to move to '4 Orange music'. Incorrect movement may indicate '5 Orange World' as shown in FIG. In this case, since the user may feel inconvenient to select a menu with more attention, it is preferable to allow the user to touch move to '4 Orange music' while being enlarged and displayed as the selection menu object in FIG. 26.

도 26에서는 사용자가 '3 Call history'를 중심으로 터치가 이루어진 상태를 나타내며, 선택 메뉴 객체로서, '2 Address book'과 '4 Orange music'도 일부 확대가되어 디스플레이되고 있다. 이 상태에서 엄지손가락을 추가로 터치하여 터치 이동(드래그)하면, 상기 도 26에 표시된 선택 메뉴 객체 내에서의 이동으로 변환되도록 함으로써, 용이하게 '4 Orange music'을 선택할 수 있도록 한다. 물론, 상기 선택 메뉴 객체 내 이동시에도 기본 입력 매체인 검지 손가락과 최단 거리의 메뉴 객체가 가장 크게 확대되도록 함으로써, 현재 지시하고 있는 메뉴 객체가 무엇인지 사용자에게 인지시키는 것이 바람직하며, 그 예를 도 29에 나타내었다.In FIG. 26, the user shows a state in which a touch is made around '3 call history', and as a selection menu object, '2 Address book' and '4 Orange music' are also partially enlarged and displayed. In this state, when the thumb is additionally touched to move the touch (drag), it is converted into the movement in the selection menu object shown in FIG. 26, so that '4 Orange music' can be easily selected. Of course, even when moving in the selection menu object, it is preferable to make the menu object of the shortest distance with the index finger as the basic input medium to be enlarged the most, so that the user is aware of which menu object is currently instructed. Shown in

엄지 손가락을 더하여 터치 이동, 즉 드래그하는 경우에는 선택 메뉴 객체 내에서의 이동만 되므로, 선택 메뉴 객체인 '2 Address book', '3 Call history' 및 '4 Orange music' 3개의 메뉴에서만 이동이 된다. 상기 선택 메뉴 객체의 디스 플레이 영역을 넘어선 경우에도 위 3개의 메뉴만 지시되므로, 예를 들어 도 29에서 '6 Games & Apps'까지 드래그한 경우라도 '4 Orange music'을 지시(가장 크게 확대)하는 것으로 처리된다. 이 상태에서 엄지 손가락의 터치를 해제하면 '6 Games & Apps'를 중심으로 한 새로운 선택 메뉴가 객체가 디스플레이된다.If you add a thumb and move, or drag, only movement within the selection menu object, only the menu items '2 Address book', '3 Call history', and '4 Orange music' are moved. . Since only the above three menus are instructed even when the display area of the selection menu object is exceeded, for example, even when dragged to '6 Games & Apps' in FIG. Is treated as. In this state, if you release your thumb, a new selection menu centered on '6 Games & Apps' is displayed.

이와 같은 방식을 통하면, 작은 크기의 메뉴 리스트 상에서 사용자는 원하는 메뉴 객체가 선택 메뉴 객체로서 디스플레이되도록 검지 손가락으로 지시한 후, 엄지 손가락을 더하여 이동함으로써, 원하는 메뉴 객체를 손쉽게 선택할 수 있게 된다.In this manner, the user can easily select the desired menu object by instructing the index finger to display the desired menu object as the selected menu object on the small size of the menu list, and then moving with the addition of the thumb.

이상에서 설명한 상기 검지 손가락과 엄지 손가락은 같이 움직일 수도 있으며, 엄지 손가락을 고정해 놓고 검지 손가락만 움직여 선택이 가능하도록 할 수도 있다. 이와는 다른 방식의 적용도 가능하다. 예를 들어 휴대 단말기 사용시 터치를 위해서는 한손은 파지하고, 다른 손으로 터치를 수행하는 것이 일반적이므로, 도 30에서와 같이 파지한 손의 엄지 손가락을 이용할 수도 있다. 이 경우, 선택 메뉴 객체 내에서의 이동을 원할 경우에는 휴대 단말기를 파지한 손의 엄지 손가락을 터치 스크린에 근접 또는 직접 터치시킴으로써, 원하는 바를 이룰 수 있다. 요는, 메뉴 선택에 사용되는 기본 입력 매체의 입력이 지속되는 상태에서 다른 입력 매체의 입력이 인지되는 경우, 선택 메뉴 객체 내에서의 이동으로 처리하는 것이다.The index finger and thumb described above may be moved together, or the thumb may be fixed and the index finger may be moved to allow selection. Alternative applications are also possible. For example, when using a mobile terminal, one hand is held for a touch and a touch is performed with the other. Therefore, the thumb of the held hand may be used as shown in FIG. 30. In this case, when the user wants to move within the selection menu object, the desired thumb can be achieved by touching the thumb of the hand holding the mobile terminal close to or directly on the touch screen. In other words, when the input of another input medium is recognized while the input of the basic input medium used for the menu selection is continued, the processing is performed as a movement in the selection menu object.

또 한가지 환기할 점은 위 설명은 선택 메뉴 객체 전체가 배율 변경되는 경우, 즉 선택 메뉴 객체간의 거리 또한 배율 변경되는 경우에 적용이 유리하다는 점이다.It should be noted that the above description is advantageous when the entire selection menu object is changed in magnification, that is, when the distance between the selection menu objects is also changed in magnification.

메뉴 리스트를 구성하는 각 메뉴 객체 간의 간격이 사용자가 용이하게 선택할 수 있을 정도일 경우에는 사용자의 편의를 위하여 확대 표시하는 정도로 원하는 바를 달성할 수 있을 것이다. 즉, 이럴 경우에는 선택 메뉴 객체 내에서의 이동이 의미가 반감된다. 그러나, 메뉴 리스트의 크기가 메뉴 리스트마다 다른 것이 일반적이므로, 선택 메뉴 객체 내에서의 이동 기능을 제공하는 것이 바람직할 것이다.When the distance between each menu object constituting the menu list is so easily selectable by the user, the user may achieve a desired degree of enlargement and display for the user's convenience. That is, in this case, the movement in the selection menu object is halved. However, since the size of the menu list is generally different for each menu list, it would be desirable to provide a move function within the selected menu object.

도 31은 메뉴 리스트로서 지하철 노선도가 제시된 경우를 나타낸다. 지하철 노선도는 일반적으로 휴대 단말기 화면에 모두 디스플레이할 경우 눈으로 인식할 수 있는 범위를 벗어난다. 따라서, 눈으로 인식 가능하도록 몇개 구역으로 나누어 표시하게 되는데, 그럼에도 불구하고 각 역의 크기는 작게 표시될 수 밖에 없다.31 shows a case where a subway route map is presented as a menu list. Subway maps are generally out of the reach of the eye if they are displayed on the screen of a mobile terminal. Therefore, the display is divided into several zones so that the eyes can be recognized. Nevertheless, the size of each station is inevitably displayed small.

이때 각 역과 연계된 서비스, 예를 들어 역간의 거리, 역간의 이동 시간, 해당 역 주변의 먹거리 지점 탐색등을 연계하여 이용하기 위해서는 각 역을 용이하게 선택할 수 있어야 한다. 기존에는 역 선택의 어려움을 해소하기 위하여 일정 지역이 근접 터치 또는 직접 터치되는 경우, 상기 일정 지역을 확대하여 전체 디스플레이하는 방식을 취하였다. 그러나, 이와 같은 경우 다른 역을 선택하고자 하는 경우 기본 화면으로 돌아가서 다시 선택하는 방식을 취하게 되는데 이와 같은 방식은 상당한 불편함으로 작용하는 것을 경험해 보았을 것이다.At this time, in order to use the service associated with each station, for example, distance between stations, travel time between stations, and searching for food spots around the station, each station should be easily selectable. Conventionally, in order to solve the difficulty of selecting a station, when a certain area is touched in close proximity or directly, the entire area is enlarged and displayed. However, in this case, if you want to select a different station to go back to the basic screen to take a method again, such a method would have experienced a considerable inconvenience.

도 31에서는 근접 터치 또는 직접 터치시 최단 거리의 역 뿐만 아니라, 일정 범위 내의 역까지 확대 디스플레이함으로써, 작은 크기의 지하철 노선도에서 원하는 역을 편리하게 선택할 수 있다. 신도림역을 선택하고자 하는 사용자는 확대되지 않은 기본 지하철 노선도에서 신도림역을 입력 매체를 통하여 근접 터치 또는 직접 터치한다. 그러나, 기본적인 지하철 노선도의 크기가 작은 관계로 신도림역을 정확하게 터치하지 못하고 근처의 구로역을 터치한 상태이다. 제어부는 상기 입력 매체를 인식하여, 상기 입력 매체로부터 최단 거리에 존재하는 메뉴 객체인 구로역 및 상기 입력 매체로부터 일정 범위 내에 존재하는 메뉴 객체인 신도림역과 대림역을 모두 선택 메뉴 객체로서, 배율 변경하여 디스플레이한다. 상기 디스플레이는 화면 전체를 이용한 디스플레이이거나, 일부 화면을 사용하는 디스플레이일 수 있는데, 상기 입력 매체의 터치가 해제되면 원래의 지하철 노선도로 복귀하도록 구성함으로써, 기존과 같은 사용시의 불편함은 없게 된다.In FIG. 31, a desired station can be conveniently selected from a small subway map by expanding and displaying not only the station of the shortest distance in close proximity or direct touch but also a station within a certain range. The user who wants to select the Sindorim station touches or touches the Sindorim station directly through the input medium on the unexpanded basic subway map. However, due to the small size of the basic subway map, they could not touch Sindorim Station accurately but touched nearby Guro Station. The control unit recognizes the input medium, and displays, as a selection menu object, both the Guro station, the menu object existing at the shortest distance from the input medium, and the Sindorim station and Daelim station, the menu objects existing within a predetermined range from the input medium, as a selection menu object. . The display may be a display using an entire screen or a display using a partial screen. When the touch of the input medium is released, the display is configured to return to the original subway route, thereby eliminating inconvenience in use as before.

선택 메뉴 객체로서 선택된 구로역, 신도림역, 대림역은 배율 변경, 일반적으로 확대되어 디스플레이되며, 이 중에서 입력 매체와 최단 거리의 구로역이 가장 크게 배율 변경되어 디스플레이됨으로써, 사용자는 현재 자신의 선택이 구로역임을 인지하게 되며, 원래 목적했던 신도림역을 용이하게 선택할 수 있다. 상기 선택 메뉴 객체가 전체 화면을 통하여 디스플레이되는 경우 확대된 상태에서 입력 매체를 터치 이동함으로써, 신도림역을 용이하게 선택할 수 있게 되는데, 일부 화면을 통하여 디스플레이되는 경우에는 선택 메뉴 객체 이외의 역으로의 이동과 충돌이 발생할 수 있다. 즉, 상기 선택 메뉴 객체를 현재의 위치에 그대로 확대하여 디스플레이하는 경우 확대된 배율로 인하여 사용자가 신도림역의 위치로 입력 매체를 이동할 경우, 확대 디스플레이되고 있는 선택 메뉴 객체 내의 신도림역을 선택한 것인지 확대되지 않은 지하철 노선도에서 신길역을 선택한 것인지를 구분하여야 한 다. 이는 앞의 옵션 브라우저를 메뉴 리스트로서 적용한 경우의 예를 도입하여 해결할 수 있다. 즉, 추가적인 입력 매체가 인식되는 경우 선택 메뉴 객체 내에서의 이동으로 인식하고, 그렇지 않은 경우에는 원래 배율의 지하철 노선도 상에서의 이동으로 인식하도록 함으로써 해결이 가능하다.The Guro Station, Sindorim Station, and Daelim Station selected as the selection menu objects are displayed by changing the magnification, and generally enlarged and displaying the Guro Station of the shortest distance from the input medium. The user recognizes that the current selection is the Guro Station. You can easily choose Sindorim Station that was originally intended. When the selection menu object is displayed through the entire screen, by moving the input medium in an enlarged state, the Sindorim station can be easily selected. When the selection menu object is displayed through some screens, the user moves to a station other than the selection menu object. A crash can occur. That is, when the user moves the input medium to the position of Sindorim station due to the enlarged magnification when the selected menu object is enlarged and displayed at the current position, the selected menu object is selected whether the Shindorim station in the enlarged display menu object is selected or not. It is necessary to distinguish whether or not Singil Station is selected from the route map. This can be solved by introducing an example of applying the above option browser as a menu list. In other words, if the additional input medium is recognized, it can be recognized as a movement in the selection menu object, and if not, it can be recognized as a movement on the subway map of the original magnification.

물론, 기본적으로 디스플레이되는 지하철 노선도의 배율이 높아 각 역간의 구분이 어렵지 않은 경우에는 상기 지하철 노선도 내 각 역의 중심(각 역간의 거리는 고정)은 그대로 두고, 선택 메뉴 객체 각각만 확대 디스플레이함으로써, 사용자에게 편의를 제공할 수 있다. 상기 선택 메뉴 객체 각각이 확대됨으로 인하여 겹치는 부분이 발생할 경우, 상기 입력 매체에서 최단 거리의 객체를 최상위에 배치하는 것이 바람직하다.Of course, when the magnification of the subway map is displayed on the basis of the high magnification, it is not difficult to distinguish between the stations, and the center of each station in the subway map (the distance between the stations is fixed) is left unchanged. Can provide convenience. When an overlapping portion occurs due to the enlargement of each of the selection menu objects, it is preferable to place the object having the shortest distance on the input medium at the top.

한편, 지하철 노선도와 같이 메뉴 객체가 이미지와 문자로 이루어진 경우, 이미지 또는 문자 둘 중 어느 하나만 확대할 수도 있으며, 이미지와 문자 모두 확대할 수 있는데, 일반적으로 후자의 방안이 사용자의 편의를 보다 증대시킬 수 있을 것이다.On the other hand, when the menu object is composed of images and texts, such as subway maps, only one of the images or texts can be enlarged, and both images and texts can be enlarged. Could be.

지하철 노선도의 경우 옵션 브라우저와는 다르게 각 메뉴 객체의 크기가 작다. 따라서, 입력 매체에 의하여 선택 메뉴 객체가 가려질 수 있으므로, 근접 터치 또는 직접 터치로 인하여 상기 선택 메뉴 객체가 확대되는 경우, 선택 복수 객체 전체의 중심을 근접 또는 직접 터치 전의 위치에서 일정거리 이격되는 곳에 위치시킬 수도 있다.In the case of the subway map, each menu object is small, unlike the option browser. Therefore, since the selection menu object may be covered by the input medium, when the selection menu object is enlarged due to the proximity touch or the direct touch, the center of the entire selection plurality of objects is spaced a certain distance from the position before the proximity or direct touch. It can also be located.

즉, 도 31의 경우, 선택 메뉴 객체인 구로역, 신도림역, 대림역을 원래의 기 본 지하철 노선도에서의 해당 위치가 아닌 좌상단 등 다른 위치에 디스플레이함으로써, 입력 매체에 의한 가려짐을 방지할 수 있다. 여기서 더 확장하여 살펴보면, 도 32에서와 같이 선택 메뉴 객체를 디스플레이하는 영역을 화면 내 일정 영역에 배정해 놓을 수도 있다. 이 상태에서 확대된 선택 메뉴 객체 내에서의 이동은 앞에서 설명된 바와 같이 추가적인 입력 수단의 인식을 통하여 가능하며, 기본적인 입력 매체만의 이동은 기본 배율의 지하철 노선도에 대응하도록 하면 된다. 즉, 도 32와 같이 기본 배율의 지하철 노선도에서 선택 메뉴 객체로서 구로역, 신도림역, 대림역이 선택된 경우, 추가적인 입력 매체가 인식되면, 상기 선택 메뉴 객체는 고정된다. 이때 상기 선택 메뉴 객체 내에서의 이동은 두가지 방안이 고려될 수 있다. 검지 손가락 등의 기본 입력 매체 외의 엄지 손가락 등의 추가 입력 매체로 인하여 상기 선택 메뉴 객체가 고정이 된 경우, 기본 입력 매체인 검지 손가락을 원래 위치에서 해제하고, 좌상단에 위치하는 확대된 선택 메뉴 객체 디스플레이 영역으로 이동하여 원하는 역을 선택할 수도 있으며, 검지 손가락을 원래 위치에서 해제하지 않고, 도 33과 같이 좌상단에 디스플레이되는 선택 메뉴 객체인 각 역간의 방향, 거리 S만큼 직관적으로 터치 이동함으로써, 원하는 역을 선택할 수도 있다. 물론, 선택된 역은 선택 메뉴 객체 중에서도 가장 크게 디스플레이함으로써, 확인할 수 있도록 해야 한다.That is, in the case of FIG. 31, the selection menu objects Guro Station, Sindorim Station, and Daelim Station are displayed at other positions, such as the upper left, instead of the corresponding positions in the original basic subway map, thereby preventing obstruction by the input medium. In this case, the area displaying the selection menu object may be allocated to a predetermined area of the screen as illustrated in FIG. 32. In this state, movement within the enlarged selection menu object may be performed through the recognition of additional input means as described above, and movement of only the basic input medium may correspond to the subway route map of the basic magnification. That is, when Guro Station, Sindorim Station, and Daelim Station are selected as the selection menu objects in the subway route map with the basic magnification as shown in FIG. 32, when the additional input medium is recognized, the selection menu object is fixed. In this case, two methods for moving within the selection menu object may be considered. When the selection menu object is fixed due to an additional input medium such as a thumb other than the basic input medium such as the index finger, the index finger, which is the basic input medium, is released from its original position, and the enlarged selection menu object is displayed on the upper left. It is also possible to select a desired station by moving to the area, and without touching the index finger from the original position, the desired station is intuitively touched by the direction and distance S between each station, which is a selection menu object displayed on the upper left as shown in FIG. You can also choose. Of course, the selected station must be displayed to be the largest among the selection menu objects so that it can be confirmed.

도 34는 메뉴 리스트로서 네비게이션 지도가 제시된 경우를 나타낸다. 네비게이션 지도의 경우, 목적으로 하는 지점의 선택이 중요하다. 기존에는 주소를 직 접 입력하는 불편한 방식을 위하였는데, 이는 이동 중, 특히 운전 중일 경우 불편함과 아울러 안전사고의 발생 가능성까지 내포하고 있었다. 따라서, 선택 메뉴를 통하여 목적지의 설정은 매우 중요한 문제가 되고 있다. 그러나, 구체적인 세부 지역에 대해서는 결국 사용자의 직접적인 주소 입력 등을 요하게 되므로, 이를 해소하기 위한 방안이 요구된다. 휴대 단말기 등 네비게이션 지도 표시 수단이 되는 휴대용 기기는 그 화면의 크기가 작은 관계로 디스플레이되는 지점의 디스플레이 또한 작을 수 밖에 없다. 이를 위하여 근접 터치 등을 통하여 확대한 후 직접 터치를 통하여 선택하는 방식이 있을 수 있겠으나, 상기 확대된 지점이 자신이 원하는 지점이 아닐 경우 작은 화면을 통하여 재확인을 수행해야 한다. 따라서, 본 실시예에서는 입력 매체의 일정 범위 내의 지점을 모두 확대 디스플레이함으로써, 사용자의 일부 실수에 의한 오터치의 경우에도 인근의 원하는 지점이 확대 디스플레이되도록 한다. 상기 확대된 디스플레이를 통하여 원하는 지점을 용이하게 확인하여 터치를 수정함으로써, 원하는 지점의 선택이 용이하게 된다.34 illustrates a case where a navigation map is presented as a menu list. In the case of a navigation map, the choice of the point of interest is important. Previously, this was for the inconvenient method of inputting an address directly, which was inconvenient when moving, especially while driving, and also included the possibility of a safety accident. Therefore, setting the destination through the selection menu has become a very important problem. However, the specific detailed area eventually requires a user's direct address input, so a method for solving the problem is required. In the case of a portable device such as a mobile terminal, which is a navigation map display means, the display of the spot displayed due to the small size of the screen is also small. To this end, there may be a method of selecting through direct touch after enlarging through a proximity touch or the like, but if the enlarged point is not a desired point, the user must reconfirm through a small screen. Accordingly, in the present embodiment, all points within a predetermined range of the input medium are enlarged and displayed, so that even in case of an o-touch caused by some mistake of the user, a desired point nearby is displayed. By easily identifying the desired point through the enlarged display and modifying the touch, it is easy to select the desired point.

물론, 메뉴 리스트가 네비게이션 지도인 경우에도, 앞서 살펴본 옵션 브라우저, 지하철 노선도의 구체적인 실시예의 적용이 가능하다.Of course, even if the menu list is a navigation map, the above-described exemplary embodiments of the option browser and the subway map can be applied.

도 35는 메뉴 리스트로서 웹 브라우저가 제시된 경우를 나타낸다. 구체적으로 웹 브라우저의 메뉴 중 국가 메뉴가 좁은 간격으로 디스플레이되고 있는 상태를 나태내고 있는데, 손가락 등의 입력 매체에 비하여 그 간격이 좁다. 따라서, 사용자가 'China'를 선택하고자 하는 경우, 정확히 선택하는 것이 어려운 관계로 'Espana'가 선택된 경우를 나타낸다. 본 실시예에서는 근접 터치를 통하여 확대 디스플레이되는 'Espana'외 일정 범위 내에 존재하는 'Deutschland', 'France'도 확대하여 디스플레이한다. 물론, 현재 선택된 메뉴 객체가 'Espana'임을 나타내기 위하여 다른 두개의 국가보다 상기 'Espana'는 크게 디스플레이되는 것이 바람직하다.35 shows a case where a web browser is presented as a menu list. In detail, a state in which a country menu is displayed at a narrow interval among menus of a web browser is shown, but the interval is smaller than that of an input medium such as a finger. Therefore, when the user wants to select 'China', 'Espana' is selected because it is difficult to select correctly. In the present embodiment, besides 'Espana' which is enlarged and displayed through the proximity touch, 'Deutschland' and 'France' existing within a predetermined range are also enlarged and displayed. Of course, in order to indicate that the currently selected menu object is 'Espana', the 'Espana' is preferably displayed larger than the other two countries.

본 실시예에서는 확대된 선택 메뉴 객체로 인하여 인근의 다른 메뉴 객체가 가려져 있는 것을 나타내고 있다. 따라서, 원래 목적으로 하던 'China'가 상기 확대된 선택 메뉴 객체에 의해 가려져 디스플레이되지 않고 있다. 그러나, 국가 메뉴의 경우, 알파벳 순으로 나열되는 것이 일반적이므로, 사용자는 가려진 메뉴에 'China'가 있음을 인지할 수 있어, 근접 터치 이동을 통하여 'China'를 선택할 수 있다. 그러나, 이러한 사용자의 경험과 지식에 근거한 메뉴 제시는 불편한 요소로 작용할 수 있으므로, 몇가지 대안을 강구하는 것이 바람직하다.In the present exemplary embodiment, other nearby menu objects are hidden due to the enlarged selection menu object. Thus, 'China', which was originally intended, is not hidden and displayed by the enlarged selection menu object. However, in the case of the country menu, since it is generally listed in alphabetical order, the user can recognize that there is 'China' in the hidden menu, so that the user can select 'China' through the proximity touch movement. However, since menu presentation based on the user's experience and knowledge can be inconvenient, it is desirable to take some alternatives.

이러한, 대안은 앞 실시예에서 언급하지 않았던 선택 메뉴 객체로 인한 인근 메뉴 객체의 가려짐 문제에 대한 해소에도 적용이 가능함은 물론이다.This alternative is also applicable to the solution to the problem of obscuring the neighboring menu object due to the selection menu object not mentioned in the previous embodiment.

도 35와 같이 각 객체가 문자열의 나열인 경우, 도 36에서와 같이 확대된 선택 메뉴 객체의 아래에 위치하는 메뉴 객체를 상기 선택 메뉴 객체가 확대된 T만큼 아래로 이동시키는 방안이 있을 수 있다. 다시 말해서, 인근 메뉴 객체의 중심을 이동시킨다는 것으로, 이를 통하여 가려지는 메뉴 객체가 없어지게 된다. 그러나, 이와 같은 방식은 지하철 노선도, 네비게이션 지도와 같은 각 메뉴 객체가 전체 이미지와 연관된 이미지를 포함할 경우에 적용이 어렵다. 다음으로는 앞 지하철 노선 도에서 언급한 바와 같이 선택 메뉴 객체를 화면의 일정 영역에 고정시켜 디스플레이하는 방식이 가능하다. 그외에 지시선을 사용하여 원래 위치에서 일정 거리 이격시켜 디스플레이 하는 방식이 있을 수 있으며, 이러한 방식의 선택은 메뉴 리스트의 성격, 사용자의 취향에 따라 조정이 되어야 할 것이다. 물론, 입력 매체에 의한 터치가 해제된 경우에는 원래의 상태로 복귀되어야 한다.When each object is an array of strings as illustrated in FIG. 35, there may be a method of moving a menu object positioned below the enlarged selection menu object as shown in FIG. 36 by the enlarged T of the selection menu object. In other words, by moving the center of the adjacent menu object, there is no menu object that is hidden. However, such a method is difficult to apply when each menu object such as a subway map or a navigation map includes an image associated with the entire image. Next, as mentioned in the previous subway map, it is possible to fix the selection menu object in a certain area of the screen and display the same. In addition, there may be a method of displaying a distance from the original position by using a leader line, and the selection of this method should be adjusted according to the nature of the menu list and the user's taste. Of course, when the touch by the input medium is released, it must be returned to its original state.

도 36은 메뉴 리스트로서 파일 브라우저가 제시된 경우를 나타낸다. 파일 브라우저의 경우, 일반적으로 폴더 또는 파일의 이름이 작은 크기로 표시되므로, 사용자에게 불편함을 느끼게 한다. 이에 따라, 입력 매체에 의한 근접 또는 직접 터치시 상기 입력 매체와 최단거리의 객체만를 확대하여 디스플레이하는 방안이 제시되어 있으나, 사용자의 편리한 선택과 보다 많은 정보의 제공을 위하여 상기 입력 매체와 일정 범위 내의 파일도 확대하여 디스플레이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즉, 근접 또는 직접 터치시 입력 매체로부터 일정 범위 내의 파일 객체를 모두 확대하여 디스플레이함으로써, 사용자에게 보다 많은 정보의 제공이 가능하며, 선택의 편의를 도모한다. 또한 이와 같은 방식을 통하여, 한 화면에 보다 많은 파일을 디스플레이하여도 선택에 큰 문제가 없게 되므로, 제품에 대한 신뢰성 향상에도 도움을 주게 된다.36 shows a case where a file browser is presented as a menu list. In the case of a file browser, a name of a folder or a file is generally displayed in a small size, which makes the user uncomfortable. Accordingly, a method of enlarging and displaying only the object of the shortest distance with the input medium in proximity or direct touch by the input medium has been proposed, but within a predetermined range with the input medium for convenient selection of the user and provision of more information. It is preferable to also enlarge and display the file. In other words, by enlarging and displaying all file objects within a certain range from the input medium in proximity or direct touch, it is possible to provide more information to the user and facilitate selection. In this way, even if more files are displayed on one screen, there is no big problem in selection, thereby helping to improve the reliability of the product.

다만, 도 37에 표시된 바와 다르게 각 파일 객체간의 간격이 좁은 경우, 확대 표시되는 선택 메뉴 객체로 인한 인근 파일 객체의 가려짐 문제의 해소 방안, 확댄된 선택 메뉴 객체 내에서의 메뉴 객체 이동 등에 대한 대책이 요구되며, 이는 앞서 설명한 예를 그대로 적용가능하다.However, as shown in FIG. 37, when the distance between each file object is narrow, a solution of the problem of occluding the neighboring file object due to the enlarged selection menu object, a countermeasure for moving the menu object within the expanded selection menu object, and the like. This is required, and this is applicable to the above-described example as it is.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와 관련된 휴대 단말기의 블록 구성도. 1 is a block diagram of a portable terminal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2는 본 발명과 관련된 휴대 단말기의 일 예를 전면에서 바라본 사시도. Figure 2 is a front perspective view of an example of a mobile terminal related to the present invention.

도 3는 도 2의 휴대 단말기의 후면 사시도. 3 is a rear perspective view of the portable terminal of FIG. 2;

도 4는 본 발명과 관련된 터치스크린의 구조를 나타내는 도면.4 is a view showing a structure of a touch screen related to the present invention.

도 5는 상기 도 4의 터치스크린을 이용한 입력 매체의 근접 거리를 검출하는 원리를 설명하는 도면. FIG. 5 is a diagram illustrating a principle of detecting a proximity distance of an input medium using the touch screen of FIG. 4. FIG.

도 6은 상기 도 4의 터치스크린을 이용한 입력 매체의 위치 검출 원리를 설명하는 도면. FIG. 6 is a view for explaining a position detection principle of an input medium using the touch screen of FIG. 4. FIG.

도 7A 내지 도 7D는 본 발명의 제1 실시 예에 따른 근접 터치 인식 기능을 갖는 휴대 단말기를 이용한 그래픽 사용자 인터페이스 제공 방법을 설명하는 도면. 7A to 7D illustrate a method for providing a graphical user interface using a mobile terminal having a proximity touch recognition function according to a first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8은 본 발명에 따른 휴대 단말기의 대분류 메뉴에 구비된 아이콘 객체들과 상기 아이콘 객체들에 대한 하위 객체들의 구성을 도시한 도면.8 is a diagram illustrating the configuration of icon objects and sub-objects of the icon objects included in a large category menu of a mobile terminal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도 9는 본 발명에 따른 휴대 단말기의 메뉴 트리 구조를 도시한 도면.9 is a diagram illustrating a menu tree structure of a mobile terminal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도 10A 내지 도 10D는 본 발명의 제2 실시 예에 따른 근접 터치 인식 기능을 갖는 휴대 단말기를 이용한 그래픽 사용자 인터페이스 제공 방법을 설명하는 도면. 10A to 10D illustrate a method for providing a graphical user interface using a mobile terminal having a proximity touch recognition function according to a secon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11A 내지 도 11D는 본 발명의 제3 실시 예에 따른 근접 터치 인식 기능을 갖는 휴대 단말기를 이용한 그래픽 사용자 인터페이스 제공 방법을 설명하는 도면. 11A to 11D illustrate a graphic user interface providing method using a mobile terminal having a proximity touch recognition function according to a thir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12A 내지 도 12D는 본 발명의 제4 실시 예에 따른 근접 터치 인식 기능을 갖는 휴대 단말기를 이용한 그래픽 사용자 인터페이스 제공 방법을 설명하는 도면. 12A to 12D illustrate a graphic user interface providing method using a mobile terminal having a proximity touch recognition function according to a fourth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13A 내지 도 13D는 본 발명의 제5 실시 예에 따른 근접 터치 인식 기능을 갖는 휴대 단말기를 이용한 그래픽 사용자 인터페이스 제공 방법을 설명하는 도면. 13A to 13D illustrate a method for providing a graphical user interface using a mobile terminal having a proximity touch recognition function according to a fifth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14A 내지 도 14D는 본 발명의 제6 실시 예에 따른 근접 터치 인식 기능을 갖는 휴대 단말기를 이용한 그래픽 사용자 인터페이스 제공 방법을 설명하는 도면. 14A to 14D illustrate a method for providing a graphical user interface using a mobile terminal having a proximity touch recognition function according to a sixth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15A 내지 도 15D는 본 발명의 제7 실시 예에 따른 근접 터치 인식 기능을 갖는 휴대 단말기를 이용한 그래픽 사용자 인터페이스 제공 방법을 설명하는 도면. 15A to 15D illustrate a graphic user interface providing method using a mobile terminal having a proximity touch recognition function according to a seventh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16A 내지 도 16D는 본 발명의 제8 실시 예에 따른 근접 터치 인식 기능을 갖는 휴대 단말기를 이용한 그래픽 사용자 인터페이스 제공 방법을 설명하는 도면. 16A to 16D illustrate a graphic user interface providing method using a mobile terminal having a proximity touch recognition function according to an eighth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17A 내지 도 17B는 본 발명의 제9 실시 예에 따라 입력 매체의 근접 터치 동작시 터치 스크린에 제공되는 그래픽 사용자 인터페이스를 설명하는 도면. 17A to 17B illustrate a graphic user interface provided on a touch screen during a proximity touch operation of an input medium according to a ninth embodiment of the present disclosure.

도 18A 내지 도 18B는 본 발명의 제10 실시 예에 따라 입력 매체의 근접 터치 동작시 터치 스크린에 제공되는 그래픽 사용자 인터페이스를 설명하는 도면. 18A to 18B illustrate a graphic user interface provided on a touch screen during a proximity touch operation of an input medium according to a tenth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19 내지 20은 소정 복수 객체를 디스플레이하는 휴대 단말기의 개념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19 to 20 are diagrams for explaining the concept of a mobile terminal for displaying a plurality of predetermined objects.

도 21은 복수 객체를 배율 변경하여 디스플레이하는 실시예에 대한 휴대 단말기의 구성을 나타낸 블럭도.FIG. 21 is a block diagram illustrating a configuration of a mobile terminal according to an embodiment in which a plurality of objects are displayed by changing a magnification.

도 22는 도 21의 구성에 의해 선택 복수 객체가 확대 디스플레이 되는 예를 나타낸 도면.FIG. 22 is a diagram illustrating an example in which a plurality of selected objects are enlarged and displayed by the configuration of FIG. 21; FIG.

도 23은 근접 거리에 따라 배율이 변경되는 예를 나타낸 도면.23 is a diagram illustrating an example in which the magnification is changed according to a proximity distance.

도 24는 도 22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확대 디스플레이 예를 나타낸 도면.24 illustrates an enlarged display example 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of FIG. 22.

도 25는 도 22의 또다른 실시예에 따른 도면.25 is a view 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of FIG.

도 26은 메뉴 리스트로서 옵션 브라우저가 적용된 실시예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Fig. 26 is a view for explaining an embodiment to which an option browser is applied as a menu list.

도 27은 도 26에서 해결하고자 하는 문제를 나타낸 도면.27 is a view showing a problem to be solved in FIG.

도 28은 도 27에서 터치 이동에 오차가 발생된 경우를 나타낸 도면.FIG. 28 is a diagram illustrating a case in which an error occurs in touch movement in FIG. 27; FIG.

도 29는 도 28의 문제를 해소하기 위한 방안을 제시한 도면.FIG. 29 is a diagram illustrating a solution for solving the problem of FIG. 28. FIG.

도 30은 도 29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도면.30 is a view 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of FIG. 29;

도 31은 메뉴 리스트로서 지하철 노선도가 적용된 실시예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FIG. 31 is a view for explaining an embodiment to which a subway route map is applied as a menu list; FIG.

도 32는 도 31에서 입력 매체로 인한 선택 메뉴 객체의 가려짐 문제를 해소하기 위한 일 방안을 나타낸 도면.FIG. 32 is a diagram illustrating one method for solving a problem of obscuring a selection menu object due to an input medium in FIG. 31.

도 33은 도 32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도면.33 is a diagram 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of FIG. 32;

도 34는 메뉴 리스트로서 네비게이션 지도가 적용된 실시예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Fig. 34 is a view for explaining an embodiment to which a navigation map is applied as a menu list.

도 35는 메뉴 리스트로서 웹 브라우저가 적용된 실시예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Fig. 35 is a view for explaining an embodiment to which a web browser is applied as a menu list.

도 36은 도 35에서 확대 디스플레이되는 선택 메뉴 객체에 의해 인근 메뉴 객체가 가려지는 문제를 해소하는 일 방안을 나타낸 도면.FIG. 36 is a diagram illustrating a method of eliminating a problem in which neighboring menu objects are blocked by the selected menu object enlarged and displayed in FIG. 35. FIG.

도 37은 메뉴 리스트로서 파일 브라우저가 적용된 실시예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Fig. 37 is a view for explaining an embodiment to which a file browser is applied as a menu list.

Claims (16)

입력 매체의 근접 터치 또는 직접 터치 동작에 따라 서로 다른 터치 입력 신호를 생성하는 터치 스크린; 및A touch screen configured to generate different touch input signals according to a proximity touch or direct touch operation of the input medium; And 상기 입력 매체로부터 일정 범위 이내의 복수 객체(선택 복수 객체)를 상기 입력 매체의 근접 터치 또는 직접 터치 동작에 따라 배율을 변경하여 디스플레이하는 제어부;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휴대 단말기.And a controller configured to display a plurality of objects (selected plurality of objects) within a predetermined range from the input medium by changing the magnification according to a proximity touch or a direct touch operation of the input medium. 청구항 1에 있어서,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상기 제어부는 상기 선택 복수 객체 중 상기 입력 매체로부터 최단거리의 객체를 다른 선택 복수 객체보다 더 크게 디스플레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 단말기.And the controller is configured to display an object of the shortest distance from the input medium among the plurality of selected plurality of objects larger than other selected plurality of objects. 청구항 1에 있어서,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상기 제어부는 상기 입력 매체의 근접 터치의 정도에 따라 상기 선택 복수 객체 디스플레이의 배율을 다르게 조정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 단말기.And the control unit adjusts the magnification of the selected plurality of object displays differently according to the degree of proximity touch of the input medium. 청구항 3에 있어서,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3, 상기 제어부는 상기 근접 터치가 상기 터치 스크린에 가깝게 이루어질수록 상기 선택 복수 객체를 확대하여 디스플레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 단말기.The controller may be configured to enlarge and display the selected plurality of objects as the proximity touch is closer to the touch screen. 청구항 1에 있어서,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상기 선택 복수 객체 각각의 중심은 배율 변경 전과 동일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 단말기.The center of each of the selected plurality of objects is the same as before the magnification change. 청구항 1에 있어서,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상기 제어부는 상기 근접 터치 또는 직접 터치로 인하여 상기 선택 복수 객체가 확대되는 경우, 선택 복수 객체의 중심을 근접 또는 직접 터치 전의 위치에서 일정거리 이격되는 곳에 위치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 단말기.The controller may be configured to position the center of the selected plurality of objects at a predetermined distance from the position before the proximity or direct touch when the plurality of selected objects are enlarged due to the proximity touch or the direct touch. 청구항 1 또는 2에 있어서,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or 2, 상기 제어부는 상기 입력 매체의 근접 터치에 의한 확대 디스플레이의 경우, 직접 터치에 의해 상기 선택 복수 객체 중 하나를 선택 가능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 단말기.The controller may select one of the selected plurality of objects by direct touch in the case of the enlarged display by the proximity touch of the input medium. 청구항 1 또는 2에 있어서,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or 2, 상기 제어부는 상기 입력 매체의 직접 터치에 의한 확대 디스플레이의 경우, 터치 이탈에 의해 상기 선택 복수 객체 중 하나를 선택 가능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 단말기.The controller may be configured to select one of the selected plurality of objects by touch detachment in the case of an enlarged display by direct touch of the input medium. 청구항 1 또는 2에 있어서,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or 2, 상기 제어부는 상기 선택 복수 객체 중 상기 입력 매체와 최단 거리의 객체를 제외한 객체를 축소하여 디스플레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 단말기.The controller may reduce and display an object excluding the object having the shortest distance from the input medium among the plurality of selected objects. 청구항 1 또는 2에 있어서,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or 2, 상기 제어부는 상기 입력 매체에 의한 근접 터치 또는 직접 터치가 해제되면 상기 선택 복수 객체를 원래 배율로 복귀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 단말기.And the controller returns the selected plurality of objects to their original magnifications when a proximity touch or direct touch by the input medium is released. 입력 매체의 근접 터치 또는 직접 터치 동작에 따라 서로 다른 터치 입력 신호를 생성하는 터치 스크린;A touch screen configured to generate different touch input signals according to a proximity touch or direct touch operation of the input medium; 상기 터치 스크린 상에 표시되는 메뉴 리스트; 및A menu list displayed on the touch screen; And 상기 입력 매체로부터 일정 범위 이내의 복수 메뉴(선택 메뉴 객체)를 상기 입력 매체의 근접 터치 또는 직접 터치 동작에 따라 확대하여 디스플레이하는 제어부;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휴대 단말기.And a controller configured to enlarge and display a plurality of menus (selection menu objects) within a predetermined range from the input medium according to a proximity touch or a direct touch operation of the input medium. 청구항 11에 있어서,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1, 상기 메뉴 리스트는 옵션 브라우저, 지하철 노선도, 네비게이션 지도, 웹 브라우저 탐색기, 파일 브라우저 중 적어도 어느 하나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 단말기.The menu list is at least one of an option browser, a subway map, a navigation map, a web browser navigator, and a file browser. 청구항 11에 있어서,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1, 상기 제어부는 상기 선택 메뉴 객체가 이미지와 문자로 이루어진 경우, 상기 이미지와 문자 모두 확대하여 디스플레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 단말기.The controller may be configured to enlarge and display both the image and the text when the selection menu object includes the image and the text. 청구항 11에 있어서,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1, 상기 제어부는 상기 근접 터치 또는 직접 터치로 인하여 상기 선택 메뉴 객체가 확대되는 경우, 선택 복수 객체의 중심을 근접 또는 직접 터치 전의 위치에서 일정거리 이격되는 곳에 위치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 단말기.When the selection menu object is enlarged due to the proximity touch or the direct touch, the controller locates the center of the plurality of selected objects at a position separated by a predetermined distance from the position before the proximity or direct touch. 청구항 11에 있어서,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1, 상기 제어부는 상기 선택 메뉴 객체가 확대됨으로 인하여 겹치는 부분이 발생할 경우, 상기 입력 매체에서 최단 거리의 객체를 최상위에 배치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 단말기.And the controller is configured to place an object of the shortest distance on the input medium at the highest level when an overlapping part occurs due to the enlargement of the selection menu object. 청구항 11에 있어서,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1, 상기 제어부는 상기 입력 매체 외의 추가 입력 매체를 인식한 경우, 상기 원 입력 매체의 이동에 대해서, 상기 선택 메뉴 객체 내에서의 이동으로 처리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 단말기.And when the controller recognizes an additional input medium other than the input medium, the controller processes the movement of the original input medium as movement in the selection menu object.
KR1020080060744A 2008-06-24 2008-06-26 Portable terminal capable of sensing proximity touch KR20100001017A (en)

Priority Applications (5)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80060744A KR20100001017A (en) 2008-06-26 2008-06-26 Portable terminal capable of sensing proximity touch
US12/490,282 US9030418B2 (en) 2008-06-24 2009-06-23 Mobile terminal capable of sensing proximity touch
ES09008286.8T ES2628976T3 (en) 2008-06-24 2009-06-24 Mobile terminal capable of detecting proximity contact
EP09008286.8A EP2138929B1 (en) 2008-06-24 2009-06-24 Mobile terminal capable of sensing proximity touch
US14/678,865 US9639222B2 (en) 2008-06-24 2015-04-03 Mobile terminal capable of sensing proximity touch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80060744A KR20100001017A (en) 2008-06-26 2008-06-26 Portable terminal capable of sensing proximity touch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00001017A true KR20100001017A (en) 2010-01-06

Family

ID=4181136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80060744A KR20100001017A (en) 2008-06-24 2008-06-26 Portable terminal capable of sensing proximity touch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100001017A (en)

Cited By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340677B1 (en) * 2011-09-09 2013-12-12 주식회사 팬택 Terminal apparatus for supporting smart touch and method for operating terminal apparatus
KR20140018377A (en) * 2011-05-31 2014-02-12 애플 인크. Devices, methods, and graphical user interfaces for document manipulation
KR20160117051A (en) * 2015-03-31 2016-10-10 네이버 주식회사 Method, system and recording medium for connecting transport route service and map service
US9632695B2 (en) 2006-10-26 2017-04-25 Apple Inc. Portable multifunction device, method, and graphical user interface for adjusting an insertion point marker
US9846533B2 (en) 2009-03-16 2017-12-19 Apple Inc. Methods and graphical user interfaces for editing on a multifunction device with a touch screen display
US9910539B2 (en) 2014-02-05 2018-03-06 Samsung Electronics Co., Ltd. Method and apparatus for controlling flexible display and electronic device adapted to the method

Cited By (1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9632695B2 (en) 2006-10-26 2017-04-25 Apple Inc. Portable multifunction device, method, and graphical user interface for adjusting an insertion point marker
US9846533B2 (en) 2009-03-16 2017-12-19 Apple Inc. Methods and graphical user interfaces for editing on a multifunction device with a touch screen display
US9875013B2 (en) 2009-03-16 2018-01-23 Apple Inc. Methods and graphical user interfaces for editing on a multifunction device with a touch screen display
US10761716B2 (en) 2009-03-16 2020-09-01 Apple, Inc. Methods and graphical user interfaces for editing on a multifunction device with a touch screen display
KR20140018377A (en) * 2011-05-31 2014-02-12 애플 인크. Devices, methods, and graphical user interfaces for document manipulation
US10664144B2 (en) 2011-05-31 2020-05-26 Apple Inc. Devices, methods, and graphical user interfaces for document manipulation
US11256401B2 (en) 2011-05-31 2022-02-22 Apple Inc. Devices, methods, and graphical user interfaces for document manipulation
KR101340677B1 (en) * 2011-09-09 2013-12-12 주식회사 팬택 Terminal apparatus for supporting smart touch and method for operating terminal apparatus
US9910539B2 (en) 2014-02-05 2018-03-06 Samsung Electronics Co., Ltd. Method and apparatus for controlling flexible display and electronic device adapted to the method
KR20160117051A (en) * 2015-03-31 2016-10-10 네이버 주식회사 Method, system and recording medium for connecting transport route service and map service
US9528840B2 (en) 2015-03-31 2016-12-27 Naver Corporation Method, system, and recording medium for connecting public transportation route service and map service
US9939278B2 (en) 2015-03-31 2018-04-10 Naver Corporation Method, system, and recording medium for connecting public transportation route service and map service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ES2628976T3 (en) Mobile terminal capable of detecting proximity contact
US8224392B2 (en) Mobile terminal capable of recognizing fingernail touch and method of controlling the operation thereof
JP2022169516A (en) continuity
KR102064965B1 (en) Method for controlling using double touch jesture and the terminal thereof
US9008730B2 (en) Mobile terminal capable of providing multi-haptic effect and method of controlling the mobile terminal
EP2667293B1 (en) Mobile terminal and control method thereof
KR101474963B1 (en) Controlling a Mobile Terminal
US10691327B2 (en) Mobile terminal and control method for the mobile terminal
US8786563B2 (en) Mobile terminal and method of controlling the same
EP2889746B1 (en) Electronic device and method of controlling the same
KR101495351B1 (en) Portable terminal capable of sensing proximity touch
US20130326415A1 (en) Mobile terminal and control method thereof
EP2658227A1 (en) Exchange of hand-drawings on touch-devices
KR20100053811A (en) Mobile terminal with touch screen and method of processing data using same
KR20100019024A (en) Mobile terminal with touch screen and method of processing data using same
KR102056189B1 (en) Mobile terminal and method for controlling thereof
KR20100003523A (en) Portable terminal and driving method of the same
CN108604154B (en) Method for displaying graphical user interface based on gestures and electronic equipment
JP2011180964A (en) Portable terminal, and screen display method and display program for portable terminal telephone
KR20100001017A (en) Portable terminal capable of sensing proximity touch
KR20140113155A (en) Mobile device and control method for the same
KR102255087B1 (en) Electronic device and method for displaying object
EP2743815B1 (en) Mobile terminal and method of controlling the mobile terminal
KR20090104469A (en) Portable terminal capable of sensing proximity touch and method for providing graphic user interface using the same
KR101495350B1 (en) Portable terminal capable of sensing proximity touch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