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00000517U - 고무장갑 건조대 - Google Patents

고무장갑 건조대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00000517U
KR20100000517U KR2020080009058U KR20080009058U KR20100000517U KR 20100000517 U KR20100000517 U KR 20100000517U KR 2020080009058 U KR2020080009058 U KR 2020080009058U KR 20080009058 U KR20080009058 U KR 20080009058U KR 20100000517 U KR20100000517 U KR 20100000517U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body portion
rubber gloves
rubber
attached
clip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080009058U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진병구
Original Assignee
진병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진병구 filed Critical 진병구
Priority to KR2020080009058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100000517U/ko
Publication of KR20100000517U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00000517U/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JKITCHEN EQUIPMENT; COFFEE MILLS; SPICE MILLS; APPARATUS FOR MAKING BEVERAGES
    • A47J47/00Kitchen containers, stands or the like, not provided for in other groups of this subclass; Cutting-boards, e.g. for bread
    • A47J47/16Stands, or holders for kitchen article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6DRYING
    • F26BDRYING SOLID MATERIALS OR OBJECTS BY REMOVING LIQUID THEREFROM
    • F26B25/00Details of general application not covered by group F26B21/00 or F26B23/00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Food Science & Technology (AREA)
  • Drying Of Solid Materials (AREA)

Abstract

본 고안은 고무장갑 건조대에 관한 것으로, 특히 수지 재질로 배면에 삽입홈이 구비된 몸체부를 사출 성형하고, 상기 삽입홈의 내측으로 자석을 끼워 결합 한 상태에서 상기 몸체부의 배면에 부착부를 부착시켜 부엌 벽면에 고정 결합하며, 고무장갑을 끼울 수 있게 고정돌기부가 내측에 돌출 형성된 고정클립을 자석의 자력에 의해 몸체부의 전면에 탈,부착될 수 있게 결합 구성된 건조대를 구성하므로서,
상기 자석이 결합 된 몸체부를 벽면에 부착시켜 고정하고, 상기 몸체부의 전면에 고무장갑이 내측으로 끼워져 결합 된 고정클립을 착,탈식으로 결합하여 물에 젖은 고무장갑을 건조시킬 수 있어 주부들의 손에 발생하는 습진을 예방할 수 있으며, 상기 수지 재질로 여러 가지 형태로 사출 성형되는 몸체부 때문에 주방에 꾸며진 분위기에 따라 사용자가 선택적으로 건조대를 부엌의 벽면에 부착시켜 장식품으로도 사용할 수 있도록 한 고무장갑 건조대에 관한 것이다.
몸체부, 고정클립, 고무장갑, 건조대, 끼움부, 자석

Description

고무장갑 건조대{ The drying device a pair of rubber gloves }
본 고안은 고무장갑 건조대에 관한 것으로, 특히 수지 재질로 사출 성형되는 몸체부의 내측에 한 쌍의 자석을 삽입 결합한 상태에서 부착부를 이용하여 부엌의 벽면에 고정 결합하고, 상기 몸체부의 전면에 고무장갑을 내측으로 끼워 결합시킬 수 있는 고정클립을 착,탈식으로 고정 결합하여 물에 젖은 고무장갑을 쉽게 건조시킬 수 있어 주부들의 손을 주부습진에서 예방할 수 있도록 형성된 것이다.
일반적으로 고무장갑은 천연 고무 재질을 이용하여 제작되는 것으로, 상기 고무장갑의 주 용도는 부엌 등과 같이 물을 이용하여 집안을 청소하는 데 사용하는 것이다.
그러나, 고무장갑을 이용하여 주부들이 집안을 청소 하다보면 상기 고무장갑의 내측으로 물이 유입되고, 그 물이 유입된 고무장갑을 싱크대 위에 올려놓거나 또는 그냥 방치하여 고무장갑이 물에 의해 변형되는 문제점이 발생하게 되었다.
또한, 상기 물에 젖은 고무장갑을 건조하지 않은 상태에서 주부들이 다시 사용을 하다보면 물에 젖은 고무장갑에 의해 세균들이 번식하게 되고, 그 고무장갑을 다시 주부들이 사용하기 때문에 주부들의 손에 습진이 발생 되며, 또한 젖은 고무 장갑에 번식된 세균들에 의해 식중독균이 발생하고, 상기 식중독균에 의해 요리된 음식을 여러 사람들이 먹어 식중독에 간염되는 문제점이 발생하게 되었다.
따라서, 상기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본 고안은, 자석이 결합 된 몸체부를 벽면에 고정 결합하고, 상기 몸체부의 전면에 고무장갑이 내측으로 끼워져 결합 된 고정클립을 착,탈식으로 결합하여 상기 물에 젖은 고무장갑을 건조시킬 수 있어 주부들 손에 발생하는 습진을 예방할 수 있으며, 상기 수지 재질로 여러 가지 형태로 사출 성형되는 몸체부 때문에 주방에 꾸며진 분위기에 따라 사용자가 선택적으로 건조대를 부엌의 벽면에 부착시켜 장식품으로 사용할 수 있도록 한 고무장갑 건조대를 제공함을 목적으로 한다.
상기 목적 달성을 위한 본 고안은,
고무 장갑을 건조시킬 수 있도록 형성된 고무장갑 건조대에 있어서,
수지 재질로 여러 가지 모양으로 사출 성형되고, 그 내부에 구비된 삽입홈에 자석이 내장된 몸체부를 형성하고, 상기 몸체부의 배면에 벽면 부착용 부착부를 부착 설치하며, 고무장갑의 끝단 말림부에 끼워진 상태로 몸체부의 전면부에 부착되는 고정클립을 자석의 자력에 의해 탈,부착될 수 있게 결합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의하면, 수지 재질로 사출 성형되는 몸체부를 형성하고, 상기 몸체부의 배면에 한 쌍의 자석을 삽입 결합한 상태에서 상기 몸체부를 벽면에 고정 결합하며, 상기 벽면에 고정 결합 된 몸체부의 전면에 고무장갑을 끼워 결합할 수 있도록 형성된 고정클립을 몸체부의 전면에 착,탈식으로 결합 된 건조대를 형성하므로서, 상기 고정클립에 물에 젖은 고무장갑을 끼워 결합한 상태에서 몸체부의 전면에 결합시켜 고무장갑을 건조하기 때문에 주부들은 물에 젖은 고무장갑에 의해 발생되는 주부습진을 방지할 수 있으며, 상기 건조가 된 고주장갑을 이용하여 주부들이 음식을 제조하여 식중독을 예방하고, 또한 몸체부의 전면에 끼움홈이 구비된 끼움부를 돌출 형성하며, 상기 끼움홈을 싱크대에 작은 컵 등과 같은 것을 올려놓을 수 있게 형성된 식기 건조대에 결합시킨 후에 후크를 이용하여 건조대를 고정 결합하여, 물에 젖은 고무장갑을 건조하므로서, 상기 물어 젖은 고무장갑에서 떨어지는 물은 싱크대의 배수관을 통해 외부로 방출시켜 상기 고무장갑에서 떨어지는 물에 의해 부엌이 지져분하거나 또는 세균이 발생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는 효과를 기대할 수 있다.
이하, 첨부된 도 1 내지 도 5를 참조하여 본 고안의 바람직한 실시 예를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먼저, 본 고안의 설명에 앞서 도면에서 미 도시되었지만 본 고안의 건조대(6)는 여러 가지 모양으로 사출될 수 있으며 본 고안은 도면에서 도시된 것처럼 게 모양으로 형성된 것을 일 예로 설명하기로 한다.
먼저 본 고안은 물에 젖은 고무강갑(5)을 건조대(6)에 거치시켜 건조할 수 있도록 형성된 것이다.
상기 건조대(6)는 수지 재질로 벽면에 결합되는 몸체부(1)와 상기 몸체부(1) 에 내장되는 자석(3)과 상기 자석(3)의 자력에 의해 고무장갑(5)를 몸체부(1)의 전면에 탈,부착시킬 수 있는 고정클립(2)으로 구성되는 것이다.
상기 몸체부(1)는 수지 재질로 게 모양으로 사출되며, 상기 몸체부(1)의 배면에 한 쌍의 삽입홈(11)을 요입 형성한다.
상기 몸체부(1)의 배면에 요입 형성된 삽입홈(11)에 한 쌍의 자석(3)을 삽입 하고, 그 몸체부(1)의 배면에 양면테이프와 같은 부착부(4)를 결합시켜 상기 부착부(4)에 의해 몸체부(1)의 삽입홈(11)에 끼워 결합 한 자석(3)이 외측으로 이탈되는 것을 방지하면서 건조대(6)를 부엌 또는 욕실의 벽면에 고정 결합한다.
상기 몸체부(1)의 전면에 자석(3)의 자력에 의해 탈,부착되도록 고정클립(2)을 결합한다.
상기 고정클립(2)은 몸체부(1) 전면에 자석(3)의 자력에 의해 부착되는 제1클립편(23a)과 고무장갑(5)의 내측으로 끼워지는 제2클립편(23b)을 원형 단면을 갖도록 형성된 탄성부(22)의 하측에 연장되게 형성한다.
상기 제2클립편(23b)에는 고무장갑(5)의 이탈을 최대한 억제하는 고정돌기부(21)를 돌출 형성하며, 상기 제1 및 제2클립편(23a,23b)의 끝단에는 절곡부(23c)를 상향 형성하여 상기 절곡부(23c)에 의해 고정클립(2)이 결합 된 고무장갑(5)을 사용자가 팔에 껴서 착용하거나 벗을때, 상기 고정클립(2)에 의해 상처가 나는 것을 방지한다.
이와 같이 고정돌기부(21)가 내측에 구비된 고정클립(2)를 형성하여, 상단에 말림부(51)가 구비된 고무장갑(5)을 고정클립(2)의 내측 방향으로 끼워 결합하고, 그 고정클립(2)을 부엌의 벽면에 고정 되게 설치된 몸체부(1)의 전면에 결합하는 것이다.
즉, 고정클립(2)의 탄성부(22)에 이르도록 고무장갑(5)의 말림부(51)가 끼워지도록 하여, 상기 제1 및 제2클립편(23a,23b) 사이에 고무장갑(5)이 집혀지도록 하고, 또한 내측에 구비된 고정돌기부(21)에 고무장갑(5)이 눌려져 잘 빠지지 않도록 고정클립(2)을 고무장갑(5)에 결합하고, 그 고무장갑(5)을 몸체부(1)에 자석(3)의 자력에 의해 탈,부착되게 결합하는 것이다.
이때, 몸체부(1)의 전면에, 더욱 상세하게는 자석(3)이 내장된 위치에 한 쌍의 스토퍼(12)를 반원 형태로 돌출 형성하여, 상기 스토퍼(12)에 의해 고무장갑(5)과 결합 된 고정클립(2)이 몸체부(1)의 하부로 미끄러져 이탈되는 것을 방지한다.
즉, 몸체부(1)의 전면에 한 쌍의 스토퍼(12)를 돌출 형성하고, 상기 스토퍼(12)에 고정클립(2)에 구비된 탄성부(22)가 걸리게 하여 상기 고정클립(2)이 고무장갑(5)의 무게에 의해 몸체부(1)의 하부로 미끄러져 이탈되는 것을 방지하는 것이다.
한편, 고무장갑(5)을 착,탈식으로 결합할 수 있도록 형성된 건조대(6)를 벽면이 아닌 싱크대에 설치되어 컵 등과 같이 작은 그릇들은 올려놓을 수 있게 형성된 철망 형태의 식기 건조대의 전면부에 횡 방향으로 설치된 철봉에 거치시킬 수 있도록 하는 또 다른 고정수단으로 몸체부(1)의 상부에 끼움부(13)와 후크(15)를 형성한다.
상기 끼움부(13)는 몸체부(1)의 배면 중앙 부분에 철망 형태의 식기건조대의 철봉이 끼워지는 끼움홈(14)을 좌우방향으로 관통되게 요입 형성하고, 상기 끼움부(13)의 상단에 고정돌부(16)가 돌출 형성되면서 상기 끼움부(13)의 상단면을 중심으로 상,하로 접혀져 끼움홈(14)을 선택적으로 개,폐할 수 있는 후크(15)를 끼움부(13)의 상단에 연결되게 형성한다.
그리고 상기 고정돌부(16)와 대응되는 고정홈(17)을 몸체부(1)의 배면에 요입 형성하여 상기 고정돌부(16)가 고정홈(17)에 끼워져 결합되도록 구성한다.
이와 같이 형성된 본 고안의 바람직한 결합 상태 및 효과를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먼저, 수지 재로 몸체부(1)를 사출 성형하고, 상기 몸체부(1)의 배면에 구비된 삽입홈(11)에 한 쌍의 자석(3)을 끼워 결합한다.
상기 자석(3)이 끼워져 결합 된 몸체부(1)의 배면에 도 5의 (a)와 같이 양면테이프로 이루어진 부착부(4)를 결합하고, 상기 부착부(4)를 이용하여 몸체부(1)를 부엌 또는 화장실의 벽면에 부착 결합한다.
본 고안의 건조대(6)를 사용하기 위해서는 본 고안에 구비된 고정클립(2)을 고무장갑(5)에 끼워 결합시킨다.
상기 고무장갑(5)에 고정클립(2)을 끼워 결합하는 것은 도 4와 같이 제2클립편(23b)이 고무장갑(5)의 내측으로 끼워지도록 고무장갑(5)을 제1 및 제2클립편(23a,23b) 사이로 끼워 고정하며, 상기 고무장갑(5)의 말림부(51)가 고정클립(2)의 탄성부(22)에 끼워지도록 하여 고무장갑(5)으로부터 고정클립(2)이 쉽게 빠지지 않도록 한다.
그리고 본 고안의 고정클립(2)을 고무장갑(5)에 결합한 상태로 고무장갑(5)을 손에 착용하거나 벗을 때, 제2클립편(23b)의 끝단에 구비된 절곡부(23c)가 상향 돌출되도록 접혀져 있으므로, 사용자의 피부가 클립편에 의해 손상을 입게 되는 현상을 방지할 수 있다.
상기 고무장갑(5)이 끼워 결합 된 고정클립(2)을 도 3의 (b)와 같이 부엌 또는 화장실의 벽면에 고정 설치 된 몸체부(1)에 부착시켜 물에 젖은 고무장갑(5)을 건조시킨다.
이와 같이 물에 젖은 고무장갑(5)을 부엌의 벽면에 고정된 건조대(6)를 이용하여 자연적으로 건조시키게 되면 고무장갑 내에서의 세균번식을 차단할 수 있어서 세균성 주부 습진을 예방할 수 있는 것이다.
이때, 몸체부(1)의 전면에 도 1과 같이 돌출 형성된 한 쌍의 스토퍼(12)에 의해 고정클립(2)이 걸리게 되므로, 상기 고정클립(2)이 고무장갑(5)의 하중에 의해 미끄러져 내리는 것을 방지 한다.
한편, 도 5의 (b)와 같이 몸체부(1)의 상부에 끼움홈(14)이 구비된 끼움부(13)를 형성하여, 상기 끼움홈(14)을 싱크대에 설치된 식기 건조대의 철봉에 삽입되게 결합한 상태에서, 후크(15)를 도 5의 (a)와 같이 끼움부(13)의 상단면을 중심으로 고정홈(17)에 삽입 결합되게 아래로 회전시켜 건조대(6)를 식기 건조대에 고정 결합한다.
이와 같이 싱크대에 형성된 식기 건조대에 건조대(6)를 고정 결합하므로서, 상기 건조대(6)의 몸체부(1)의 상면에 고정클립(2)을 이용하여 젖은 고무장갑(5)을 건조시킬 때, 상기 고무장갑(5)에서 떨어지는 물은 싱크대를 통해 외부로 배수될 수 있도록 한 것이다.
상기 설명과 같이 본 고안의 건조대는 주방 또는 욕실의 벽면 뿐만 아니라 싱크대에 설치된 식기건조대에도 간편하게 설치하여 사용할 수 있게되므로 그 사용상 편리함을 증대시킬 수 있다.
도 6 또는 도 7은 본 고안의 다른 실시 예를 도시한 것으로, 동일 구성 요소에 대해서는 동일부호 표기하여 중복 설명을 생략하기로 한다.
상기 고무장갑(5)의 상부 일측면에 결합판(24)을 본드와 같은 부착부(4a)를 이용하여 고정 결합하고, 그 결합판(24)을 자석(3)이 구비된 몸체부(1)의 전면에 착,탈식으로 결합하여 고무장갑(5)을 건조시킬 수 있게 된다.
본 고안의 다른 실시 예는 본 고안에 적용된 고정클립(2)에 비해 구조가 단순하여 제품의 생산 단가를 향상시킬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제품의 생산성을 높여줄 수 있다.
도 1은 본 고안의 고무장갑 건조대의 분리 사시도.
도 2는 본 고안의 고무장갑 건조대의 정,배면도.
도 3은 본 고안의 고무장갑 건조대의 측면을 도시한 도면.
도 4는 본 고안의 고정클립의 확대 단면도.
도 5는 본 고안의 고무장갑 건조대의 사용 상태도를 도시한 도면.
도 6는 본 고안의 다른 실시 예를 도시한 사시도.
도 7은 본 고안의 다른 실시 예의 측단면도.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도면 부호의 설명>
1: 몸체부, 2: 고정클립,
3: 자석, 4: 부착부,
5: 고무장갑, 6: 건조대.
11: 삽입홈, 12: 스토퍼,
13: 끼움부, 14: 끼움홈,
15: 후크, 16: 고정돌부,
17: 고정홈, 21: 고정돌기부,
22: 탄성부, 23: 고정편,
24: 결합판, 51: 말림부,

Claims (5)

  1. 고무 장갑(5)을 건조시킬 수 있도록 형성된 고무장갑 건조대에 있어서,
    수지 재질로 여러 가지 모양으로 사출 성형되고, 그 내부에 구비된 삽입홈(11)에 자석(3)이 내장된 몸체부(1)를 형성하고, 상기 몸체부(1)의 배면에 벽면 부착용 부착부(4)를 부착 설치하며, 고무장갑(5)의 끝단 말림부(51)에 끼워진 상태로 몸체부(1)의 전면부에 부착되는 고정클립(2)을 자석(3)의 자력에 의해 탈,부착될 수 있게 결합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고무장갑 건조대.
  2. 청구항 1항에 있어서,
    상기 몸체부(1)의 상단 배면에 식기받침대의 철봉에 끼워지는 끼움홈(14)이 구비된 끼움부(13)를 형성하고, 상기 끼움부(13)의 상단에 고정돌부(16)가 구비된 후크(15)를 연결 형성하여, 상기 끼움부(13)의 상단면을 중심으로 후크(15)가 상,하로 접히면서 끼움홈(14)을 개,폐할 수 있도록 하며, 상기 고정돌부(16)와 대응되면서 후크(15)를 고정 결합할 수 있도록 몸체부(1)의 배면에 고정홈(17)을 요입 형성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고무장갑 건조대.
  3. 청구항 1항에 있어서,
    상기 몸체부(1)의 전면부에 고정클립(2)이 부착되는 위치에 한 쌍의 스토퍼(12)를 돌출 형성하여 자석(3)에 의해 탈,부착되는 고정클립(2)이 고무장갑(5)의 하중에 의해 몸체부(1)의 하부로 미끄러져 이탈되는 것을 방지하도록 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고무장갑 건조대.
  4. 청구항 1 항에 있어서,
    상기 고정클립(2)은 몸체부(1)에 부착되는 제1클립편(23a)과 고무장갑(5)의 내측으로 끼워지는 제2클립편(23b)이 원형 단면을 갖도록 형성된 탄성부(22)의 하측에 연장되게 형성되고, 상기 제2클립편(23b)에는 고무장갑(5)의 이탈을 최대한 억제하는 고정돌기부(21)를 돌출 형성하며, 상기 제1 및 제2클립편(23a,23b)의 끝단에는 절곡부(23c)를 상향 형성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고무장갑 건조대.
  5. 고무 장갑(5)을 건조시킬 수 있도록 형성된 고무장갑 건조대에 있어서,
    수지 재질로 여러 가지 모양으로 사출 성형되고, 그 내부에 구비된 삽입홈(11)에 자석(3)이 내장된 몸체부(1)를 형성하고, 상기 몸체부(1)의 배면에 벽면 부착용 부착부(4)를 부착 설치하며,
    상기 고무장갑(5)의 상부 표면에 결합판(24)을 부착시켜 결합하고, 그 결합판(24)을 몸체부(1)의 상부에 탈,부착되게 결합하여 고무장갑(5)을 건조시킬 수 있 도록 형성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고무장갑 건조대.
KR2020080009058U 2008-07-08 2008-07-08 고무장갑 건조대 KR20100000517U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80009058U KR20100000517U (ko) 2008-07-08 2008-07-08 고무장갑 건조대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80009058U KR20100000517U (ko) 2008-07-08 2008-07-08 고무장갑 건조대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00000517U true KR20100000517U (ko) 2010-01-18

Family

ID=4419447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080009058U KR20100000517U (ko) 2008-07-08 2008-07-08 고무장갑 건조대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100000517U (ko)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313503B1 (ko) * 2012-08-22 2013-10-01 김지민 시각 장애인을 위한 주방기구 보관장치
WO2019013410A1 (ko) * 2017-07-11 2019-01-17 장창훈 다목적 고정 장치
KR20200030747A (ko) * 2018-09-13 2020-03-23 김영관 고무장갑 건조대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313503B1 (ko) * 2012-08-22 2013-10-01 김지민 시각 장애인을 위한 주방기구 보관장치
WO2019013410A1 (ko) * 2017-07-11 2019-01-17 장창훈 다목적 고정 장치
KR20200030747A (ko) * 2018-09-13 2020-03-23 김영관 고무장갑 건조대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20100000517U (ko) 고무장갑 건조대
AU2018317938A1 (en) A hanger
KR200413774Y1 (ko) 씽크대의 물튐방지구
KR20180001808U (ko) 고무장갑용 결착고리
KR200422250Y1 (ko) 식기건조대의 물받이
KR101442768B1 (ko) 고무장갑
KR20100009332U (ko) 자석을 이용한 고무장갑 걸개
KR101911547B1 (ko) 아기 식탁용 커버
KR200417150Y1 (ko) 고무장갑
KR200468249Y1 (ko) 미끄럼방지 빨래판
NL2002439C2 (nl) In vaatwasmachine te zetten schotelvormig object met vaatdoek.
CN208395508U (zh) 多功能组合晾衣绳收纳体
KR200329304Y1 (ko) 탈ㆍ부착이 용이한 주방용 타월의 걸이구
KR200205437Y1 (ko) 식기세척용 수세미
KR20220139113A (ko) 고무장갑 걸이대
KR20220001935U (ko) 폐비닐봉투 건조대
KR20070000634U (ko) 빨래 건조대용 집게
KR200258670Y1 (ko) 위생컵
CN2724557Y (zh) 防滴水晾衣架
KR200454610Y1 (ko) 낚시용 미끼용기의 거치구조
KR20160137321A (ko) 수세미 걸이장치
KR100952210B1 (ko) 다용도 건조 걸이대
KR200401468Y1 (ko) 주방 가구용 걸레받이
CN202705724U (zh) 方便洗衣板
CN201533789U (zh) 一种新型筷子筒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NORF Unpaid initial registration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