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00000266U - 방향성을 갖는 원터치 캡을 구비한 포장용기 - Google Patents

방향성을 갖는 원터치 캡을 구비한 포장용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00000266U
KR20100000266U KR2020080008737U KR20080008737U KR20100000266U KR 20100000266 U KR20100000266 U KR 20100000266U KR 2020080008737 U KR2020080008737 U KR 2020080008737U KR 20080008737 U KR20080008737 U KR 20080008737U KR 20100000266 U KR20100000266 U KR 20100000266U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main body
touch cap
neck portion
fastening member
fasten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080008737U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448114Y1 (ko
Inventor
장하진
이오수
Original Assignee
(주)아모레퍼시픽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아모레퍼시픽 filed Critical (주)아모레퍼시픽
Priority to KR2020080008737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448114Y1/ko
Publication of KR20100000266U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00000266U/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448114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448114Y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DCONTAINERS FOR STORAGE OR TRANSPORT OF ARTICLES OR MATERIALS, e.g. BAGS, BARRELS, BOTTLES, BOXES, CANS, CARTONS, CRATES, DRUMS, JARS, TANKS, HOPPERS, FORWARDING CONTAINERS; ACCESSORIES, CLOSURES, OR FITTINGS THEREFOR; PACKAGING ELEMENTS; PACKAGES
    • B65D47/00Closures with filling and discharging, or with discharging, devices
    • B65D47/04Closures with discharging devices other than pumps
    • B65D47/06Closures with discharging devices other than pumps with pouring spouts or tubes; with discharge nozzles or passages
    • B65D47/08Closures with discharging devices other than pumps with pouring spouts or tubes; with discharge nozzles or passages having articulated or hinged closures
    • B65D47/0804Closures with discharging devices other than pumps with pouring spouts or tubes; with discharge nozzles or passages having articulated or hinged closures integrally formed with the base element provided with the spout or discharge passage
    • AHUMAN NECESSITIES
    • A45HAND OR TRAVELLING ARTICLES
    • A45DHAIRDRESSING OR SHAVING EQUIPMENT; EQUIPMENT FOR COSMETICS OR COSMETIC TREATMENTS, e.g. FOR MANICURING OR PEDICURING
    • A45D40/00Casings or accessories specially adapted for storing or handling solid or pasty toiletry or cosmetic substances, e.g. shaving soaps or lipstick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DCONTAINERS FOR STORAGE OR TRANSPORT OF ARTICLES OR MATERIALS, e.g. BAGS, BARRELS, BOTTLES, BOXES, CANS, CARTONS, CRATES, DRUMS, JARS, TANKS, HOPPERS, FORWARDING CONTAINERS; ACCESSORIES, CLOSURES, OR FITTINGS THEREFOR; PACKAGING ELEMENTS; PACKAGES
    • B65D2203/00Decoration means, markings, information elements, contents indicators
    • B65D2203/02Label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DCONTAINERS FOR STORAGE OR TRANSPORT OF ARTICLES OR MATERIALS, e.g. BAGS, BARRELS, BOTTLES, BOXES, CANS, CARTONS, CRATES, DRUMS, JARS, TANKS, HOPPERS, FORWARDING CONTAINERS; ACCESSORIES, CLOSURES, OR FITTINGS THEREFOR; PACKAGING ELEMENTS; PACKAGES
    • B65D35/00Pliable tubular containers adapted to be permanently or temporarily deformed to expel contents, e.g. collapsible tubes for toothpaste or other plastic or semi-liquid material; Holders therefor
    • B65D35/44Closure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Closures For Containers (AREA)

Abstract

본 고안은 방향성을 갖는 원터치 캡을 구비한 포장용기에 관한 것으로, 내용물을 배출시키는 배출구(112)가 형성된 네크부(114)의 외경으로 나사산이 형성된 본체(110)와, 상기 본체(110)의 네크부(114)에 형성된 나사산과 체결되도록 내경에 나사산이 형성되고, 외경에 래칫 기어(122)가 형성되며 본체(110)에 형성된 배출구(112)와 유로로 연결되는 유출구(124)가 형성된 체결부재(120)와, 상기 체결부재(120)에 형성된 래칫 기어(122)와 치합되는 체결관(131)이 형성되며, 상기 체결관(131)의 둘레를 감싸며 체결관(131)의 상단과 연결된 외체(132)에 체결부재(120)의 유출구(124)와 유로로 연결되는 토출구(133)가 형성되고, 상기 외체(132)와 스냅경첩(134)에 의해 연결되는 뚜껑부(135)가 형성된 원터치 캡(130)을 포함하는 방향성을 갖는 원터치 캡을 구비한 포장용기가 제공된다. 이에 따라서, 본체(110)의 상품라벨(118)과 원터치 캡(130)의 파지부(138)를 일직선상에 정렬시킬 때 원터치 캡(130)의 회전에 방향성을 갖게 하므로 본체(110)의 상품라벨(118)과 원터치 캡(130)의 파지부(138)의 정렬이 용이하고, 원터치 캡(130)이 본체(110)에서 임의적으로 회전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포장용기, 튜브, 원터치 캡, 방향성, 래칫 기어

Description

방향성을 갖는 원터치 캡을 구비한 포장용기{Container having one touch cap with directiveness}
본 고안은 포장용기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본체에 저장된 내용물의 토출을 제어하도록 본체에 장착된 원터치 캡이 방향성을 갖도록 회전됨으로써 포장용기가 상품 판매를 위해 진열될 때 본체에 부착된 상품 라벨에 맞추어 원터치 캡을 올바르게 위치시켜 포장용기를 효율적으로 광고할 수 있는 방향성을 갖는 원터치 캡을 구비한 포장용기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고점성의 화장품은, 용기로부터 용이하게 배출 사용할 수 있도록 튜브형 용기를 주로 사용하게 되고, 용기로부터 배출사용이 용이하면서 적당량의 내용물을 배출하여 사용할 수 있도록 토출구가 형성된 원터치 캡을 장착하여 사용하게 된다.
도 1 은 종래의 화장품 용기를 나타낸 사시도이다. 도면을 참조하여 설명하면, 크림과 액상 같은 소정의 점성을 갖는 화장품은, 그 내용물을 필요에 따라 토출시켜 사용할 수 있는 튜브형 용기(10)에 보관되어 사용된다.
종래의 튜브형 용기(10)는 크게 내용물을 저장하는 본체(20)와 상기 본 체(20)에 장착되는 원터치 캡(30)으로 이루어지는 바, 상기 본체(20)의 상부에는 저장된 내용물을 배출시키는 배출구(22)가 형성되는데, 상기 배출구(22)는 본체와 일체로 형성되는 네크부(24)에 형성되고, 상기 네크부(24)의 외경에는 나사산이 형성되어 원터치 캡(30)과 체결된다.
즉, 상기 원터치 캡(30)은 네크부(24)의 외경에 형성된 나사산에 대응하는 나사산이 내경에 형성된 내체(31)와, 상기 내체(31)를 감싸고 내체(31)의 상단과 연결된 외체(32) 및 상기 외체(32)와 스냅경첩(33)에 의해 연결되는 뚜껑부(34)로 구성된다.
그리고, 상기 외체(32)의 전면에는 뚜껑부(34)를 손가락으로 들어올리기 쉽도록 파지부(35)가 형성되며, 상기 내체(31)의 중심에는 본체(20)에 형성된 배출구(22)와 유로로 연결된 토출구(36)가 형성되어 본체(20)에 저장된 내용물을 외부로 토출하게 된다.
상기와 같은 종래의 튜브형 용기(10)는 제조공정 중에 본체에 내용물이 충진되고, 원터치 캡(30)이 장착되거나 또는 본체(20)가 성형되는 즉시 본체(20)의 정면에 해당하는 표면에 제품명이나 제품의 특성을 알리는 상품라벨(26)이 형성되어 제품으로 출하된다. 이때, 본체(20)에 형성되는 상품라벨(26)과 원터치 캡(30)에 형성된 파지부(35)를 일직선상에 위치시킴으로써, 제품으로 출하된 튜브형 용기(10)가 판매대에 진열될 때 구매자에게 보다 효과적으로 광고할 수 있도록 하게 된다.
부연하자면, 원터치 캡(30)에서 뚜껑부(34)가 개방되기 위해 전개되는 방 향(A)와, 본체(20)에 형성된 상품라벨(26)이 정면으로 보이는 방향(B)이 일직선으로 정렬되는 경우가 그렇지 않은 제품에 비해 제품의 신뢰성을 우수하게 구매자가 인식하기 때문에 제품 판매를 촉진하게 된다.
그러나, 상기와 같이 본체(20)에 형성되는 상품라벨(26)과 원터치 캡(30)에 형성된 파지부(35)가 일직선상에 위치하도록 제조를 하더라도 원터치 캡(30)과 본체(20)를 조립할 때 원터치 캡(30)에 어느 정도의 스트로크를 가하여 조립하느냐에 따라 원터치 캡(30)과 본체(20)는 똑바로 조립되지 않고 원터치 캡(30)의 파지부(35)와 본체(20)의 상품라벨(26)이 일직선상에 조립되지 않고 정렬이 틀어지게 된다.
특히, 제조공정 중에 본체(20)와 원터치 캡(30)이 체결될 때 네크부(24)의 외경에 형성된 나사산과 원터치 캡(30)의 내체(31) 내경에 형성된 나사산이 완전히 잠긴 상태일 때 본체(20)에 형성되는 상품라벨(26)과 원터치 캡(30)에 형성된 파지부(35)가 일직선상에 위치하여야 하지만 본체(20)의 네크부(24)와 원터치 캡(30)의 내체(31)에 형성되는 나사산 가공 오차와 본체(20)와 원터치 캡(30)의 조립 오차에 의해 본체(20)에 형성되는 상품라벨(26)과 원터치 캡(30)에 형성된 파지부(35)가 일직선상에 위치하지 않게 된다.
이렇게, 본체(20)에 형성된 상품라벨(35)과 원터치 캡(30)에 형성된 파지부(35)가 일직선상에 위치하지 않게 되면 제품의 판매를 위해 판매대에 진열될 때 효과적인 광고를 할 수 없어 판매를 촉진할 수 없다. 따라서, 판매대에 제품이 진열될 때 본체(20)에 형성된 상품라벨(26)과 원터치 캡(30)을 정렬시키기 위해 작업 자가 원터치 캡(30)을 본체로부터 회전시켜 본체(20)와 원터치 캡(30)의 체결을 죄거나 풀게 되나 이에 따라 본체(20)와 원터치 캡(30)의 체결상태가 불량해져 내용물이 본체(20)의 네크부(24)와 원터치 캡(30)의 내체(31) 사이로 유출되는 문제가 발생된다.
본 고안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 본체에 형성된 상품라벨과 원터치 캡에 형성된 파지부를 일직선상에 위치하도록 정렬시킬 때 용이하게 조작할 수 있고, 원터치 캡이 임의적으로 회전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는 방향성을 갖는 원터치 캡을 구비한 포장용기를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고안의 기술적 사상으로는, 내용물을 배출시키는 배출구(112)가 형성된 네크부(114)의 외경으로 나사산이 형성된 본체(110)와, 상기 본체(110)의 네크부(114)에 형성된 나사산과 체결되도록 내경에 나사산이 형성되고, 외경에 래칫 기어(122)가 형성되며 본체(110)에 형성된 배출구(112)와 유로로 연결되는 유출구(124)가 형성된 체결부재(120)와, 상기 체결부재(120)에 형성된 래칫 기어(122)와 치합되는 체결관(131)이 형성되며, 상기 체결관(131)의 둘레를 감싸며 체결관(131)의 상단과 연결된 외체(132)에 체결부재(120)의 유출구(124)와 유로로 연결되는 토출구(133)가 형성되고, 상기 외체(132)와 스냅경첩(134)에 의해 연결되는 뚜껑부(135)가 형성된 원터치 캡(130)을 포함하는 방향성을 갖는 원터치 캡을 구비한 포장용기에 의해 달성된다.
여기서, 상기 체결부재(120)의 외경을 따라 가이드 돌기(126)가 형성되고, 상기 가이드 돌기(126)와 접하는 체결관(131)의 내경에 가이드 홈(136)이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본체(110)에 형성된 배출구(112)와 체결부재(120)에 형성된 유출구(124)와 원터치 캡(130)에 형성된 토출구(133)는 순차적으로 다단으로 결합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한편,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고안의 다른 기술적 사상으로는, 내용물을 배출시키는 배출구(212)가 형성된 네크부(214)의 외경에 래칫 기어(216)가 형성되고, 상기 래칫 기어(216)와 간섭이 발생되지 않는 네크부(214)의 외경 둘레부분에 가이드 돌기(218)가 형성된 본체(210)와, 상기 네크부(214)에 형성된 래칫 기어(216)와 치합되고, 상기 네크부(214)에 형성된 가이드 돌기(218)와 대응하는 가이드 홈(226)이 형성되는 체결관(221)이 형성되며, 상기 체결관(221)의 둘레를 감싸며 체결관(221)의 상단과 연결된 외체(222)에 본체(210)의 배출구(212)와 유로로 연결되는 토출구(223)가 형성되고, 상기 외체(222)와 스냅경첩(224)에 의해 연결되는 뚜껑부(225)가 형성된 원터치 캡(220)을 포함하는 방향성을 갖는 원터치 캡을 구비한 포장용기에 의해 달성된다.
여기서, 상기 본체(210)에 형성된 배출구(212)와 원터치 캡(220)에 형성된 토출구(223)는 다단으로 결합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본 고안에 의한 방향성을 갖는 원터치 캡을 구비한 포장용기는, 본체의 상품라벨과 원터치 캡의 파지부를 일직선상에 정렬시킬 때 원터치 캡의 회전에 방향성을 갖게 하므로 본체의 상품라벨과 원터치 캡의 파지부의 정렬이 용이하다.
즉, 상기 내용물을 저장한 본체에 장착된 원터치 캡이 래칫 기어에 의해 원 터치 캡이 본체에 한 방향으로 회전 가능하여 상기 본체에 형성된 상품라벨과 상기 원터치 캡에 형성된 파지부를 일직선 상에 정렬시킬 때 용이하게 조작 가능하며, 임의적으로 회전되지 않도록 스토퍼의 역활을 하게 된다.
그리고, 상기 본체에 형성된 배출구와 내용물을 최종적으로 토출하는 원터치 캡에 형성된 토출구가 다단 결합되어 뚜껑부에 형성된 마개부가 최종적으로 원터치 캡에 형성된 토출구만을 개폐하기 때문에 내용물이 외부로 유출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한 별도의 기밀부재가 필요치 않게 된다.
이하, 본 고안에 따른 실시예를 첨부된 도면에 따라 보다 상세히 설명한다.
제 1 실시예
도 2 는 본 고안에 따른 방향성을 갖는 원터치 캡을 구비한 포장용기의 제 1 실시예를 나타낸 사시도이고, 도 3 은 본 고안에 따른 포장용기의 제 1 실시예를 나타낸 분해 사시도이며, 도 4 는 본 고안에 따른 포장용기의 제 1 실시예를 나타낸 측단면도이다.
도면을 참조하여 설명하면, 본 고안에 따른 포장용기(100)의 제 1 실시예는 내용물을 저장하는 본체(110)의 상단에 내용물을 배출하기 위한 배출구(112)가 형성되는데, 상기 배출구(112)는 본체(110)의 상단에 형성된 네크부(114)에 형성되고, 상기 네크부(114)의 외경 둘레를 따라 나사산(116)이 형성된다.
상기 네크부(114)에 장착되는 체결부재(120)는, 그 내경에 네크부(114)에 형 성된 나사산(116)과 치합되는 나사산(128)이 형성되고, 외경에는 일방향으로 치열이 배열된 래칫 기어(122)가 형성된다. 이와 함께, 상기 체결부재(120)의 외경에는 가이드 돌기(126)가 형성되는 바, 상기 가이드 돌기(126)는 래칫 기어(122)와 간섭이 발생하지 않는 체결부재(120)의 외경에 형성됨으로써 후술되는 원터치 캡(130)에 형성된 가이드 홈(136)에 설치되어 원터치 캡(130)이 체결부재(120)에 장착된 상태에서 회전하게 될 때 지지하는 역할을 하게 된다.
또한, 상기 체결부재(120)의 상부에는 본체(110)의 네크부(114)에 형성된 배출구(112)와 유로로 연결되는 유출구(124)가 형성되어, 본체(110)에 저장된 내용물이 배출될 때 네크부(114)의 배출구(112)에서 체결부재(120)의 유출구(124)로 배출된다. 즉, 상기 체결부재(120)는 본체(110)에 형성된 네크부(114)의 상부와 측면 둘레를 감싸도록 하부가 개방되고 상부가 폐쇄되되 상기 상부에는 네크부(114)의 배출구(112)와 연결되는 유출구(124)가 형성된 형상을 갖는다.
그리고, 상기 체결부재(120)는 내경에 나사산(128)이 형성되고 외경에 래칫 기어(122)가 형성될 수 있으나, 도 4 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체결부재(120)가 내체(121)와 외체(129)의 2중 구조로 이루어지고, 상기 내체(121)의 내경에 네크부(114)에 형성된 나사산(116)과 치합하는 나사산(128)이 형성되고, 상기 외체(129)의 외경에 원터치 캡(130)에 형성된 래칫 기어(137)와 치합하는 래칫 기어(122)가 형성될 수도 있다.
상기 원터치 캡(130)은, 체결부재(120)의 래칫 기어(122)와 치합되도록 그 내경에 래칫 기어(137)가 형성된 체결관(131)이 형성되며, 상기 체결관(131)의 둘 레를 감싸며 체결관(131)의 상단과 연결된 외체(132)에 체결부재(120)의 유출구(124)와 유로로 연결되는 토출구(133)가 형성되어 본체(110)의 배출구(112)와 체결부재(120)의 유출구(124)를 거쳐 배출된 내용물은 토출구(133)로 토출된다.
즉, 상기 원터치 캡(130)은 체결부재(120)의 상부와 측면 둘레를 감싸도록 하부가 개방되고 상부가 폐쇄되되 상기 상부에는 체결부재(120)의 유출구(124)와 연결되는 토출구(133)가 형성된 형상을 갖는다.
부연하자면, 상기 본체(110)의 네크부(114)는 래칫 기어(122)가 형성된 체결부재(120)의 내경에 설치되고, 상기 체결부재(120)는 래칫 기어(122)와 치합하는 원터치 캡(130)의 내경에 설치되는 다단 결합구조를 갖고, 상기 본체(110)의 배출구(112)와 체결부재(120)의 유출구(124)와 원터치 캡(130)의 토출구(133)가 연통됨으로써, 본체(110)에 저장된 내용물이 상기의 유로를 통해 원터치 캡(130)의 외부로 토출된다.
이와 함께, 상기 원터치 캡(130)의 체결관(131) 내경에는 체결부재(120)의 외경에 형성된 가이드 돌기(126)와 형합되는 가이드 홈(136)이 형성되어 원터치 캡(130)이 체결부재(120)에 장착되는 경우 상기 원터치 캡(130)이 임의적으로 체결부재(120)에서 이탈되는 것을 방지할 뿐만 아니라 체결부재(120)에서 원터치 캡(130)이 회전하게 될 때 원터치 캡(130)의 회전을 안내하게 된다.
또한, 상기 본체(110)의 네크부(114)에 체결부재(120)가 장착되고, 상기 체결부재(120)에 원터치 캡(130)이 장착될 때 상기 네크부(114)에 체결부재(120)가 나사산 체결에 의해 잠기는 방향과 동일한 방향으로 체결부재(120)와 원터치 캡(130)에 형성된 래칫 기어(122, 137)의 치열이 배열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는, 일직선상에 본체(110)에 형성된 상품라벨(118)과 원터치 캡(130)에 형성된 파지부(138)가 정렬되지 않은 경우 원터치 캡(130)을 회전시키게 되는데, 이때 만약 원터치 캡(130)의 회전방향이 네크부(114)에 체결부재(120)가 잠기는 방향과 반대일 경우 원터치 캡(130)의 회전에 따라 네크부(114)에 나사산 체결된 체결부재(120)가 풀리기 때문에 이를 방지하기 위해 네크부(114)에 체결부재(120)가 잠기는 방향만으로 원터치 캡(130)이 체결부재(120) 상에서 회전될 수 있도록 래칫 기어(122, 137)의 치열이 배열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그리고, 상기 원터치 캡(130)의 외체(132) 일측에는 스냅경첩(134)이 형성되어 원터치 캡(130)의 상단을 개폐하는 뚜껑부(135)를 외체(132)를 연결하게 된다. 상기 외체(132)의 상단 특히, 외체(132)에 형성된 토출구(133)와 접하는 뚜껑부(135)의 내측에는 토출구(133)에 삽입되는 마개부(135a)가 형성되어, 뚜껑부(135)가 닫혔을 때 마개부(135a)가 토출구(133)를 기밀하게 폐쇄하여 본체(110)에 저장된 내용물이 임의적으로 토출되는 것을 방지하게 된다.
상기와 같은 구성을 갖는 제 1 실시예에 따른 포장용기(100)의 동작을 살펴보면, 본체(110)의 네크부(114)에 체결부재(120)가 장착되고, 상기 체결부재(120)에 원터치 캡(130)이 장착된 상태에서 본체(110)에 형성된 상품라벨(118)과 원터치 캡(130)의 외체(132)에 형성된 파지부(138)가 일직선상에 정렬되도록 제조공정 중에 포장용기가 제조된다.
그러나, 상기 네크부(114)와 체결부재(120)의 체결 시 나사산 가공 오차와 조립 오차에 의해 본체(110)에 형성되는 상품라벨(118)과 원터치 캡(130)에 형성된 파지부(138)가 일직선상에 위치하지 않거나 구매자가 진열된 제품을 살펴보기 위해 원터치 캡(130)의 뚜껑부(135)를 여닫는 과정 중에 원터치 캡(130)이 본체(110)로부터 회전하여 상품라벨(118)과 파지부(138)의 정렬이 틀어지게 된다.
이렇게, 본체(110)에 형성된 상품라벨(118)과 원터치 캡(130)에 형성된 파지부(138)가 일직선상에 위치하지 않는 경우 이를 정렬하기 위해 작업자는 원터치 캡(130)의 외체(132)를 잡고 회전시키게 되는데, 이때 원터치 캡(130)의 회전방향은 본체(110)에 장착된 체결부재(120)의 잠김방향과 동일한 방향으로 회전시키게 된다. 이에 따라, 네크부(114)에 체결부재(120)가 나사산 체결에 의해 잠기는 방향과 동일한 방향으로 치열이 형성된 원터치 캡(130)에 형성된 래칫 기어(137)가 이동하게 된다.
즉, 본체(110)의 상품라벨(118)과 원터치 캡(130)의 파지부(138)가 일직선상에 위치하도록 원터치 캡(130)을 회전시킬 때 상기 원터치 캡(130)을 네크부(114)의 나사산(116)과 체결부재(120)의 나사산(128)이 치합되어 잠기는 방향으로 회전시키게 되는 경우 상기 원터치 캡(130)은 공회전을 하게 되지만, 상기 원터치 캡(130)을 이와 반대의 방향(네크부와 체결부재의 결속이 풀리는 방향)으로 회전시키게 되는 경우 상기 원터치 캡(130)의 래칫 기어(137)와 체결부재(120)의 래칫 기어(122)가 서로 맞물려 체결부재(120)를 회전시켜, 네크부(114)에 체결된 체결부재(120)의 결속을 풀게 된다.
상기와 같이 본 고안에 따른 방향성을 갖는 원터치 캡을 구비한 포장용기의 제 1 실시예에 의하면 본체(110)의 상품라벨(118)과 원터치 캡(130)의 파지부(138)를 일직선상에 정렬시킬 때 원터치 캡(130)의 회전에 방향성을 갖게 하므로 본체(110)의 상품라벨(118)과 원터치 캡(130)의 파지부(138)의 정렬이 용이하다.
또한, 상기 체결부재(120)와 원터치 캡(130)에 래칫 기어(122, 137)가 형성됨으로써, 원터치 캡(130)이 본체(110)에서 임의적으로 회전되지 않도록 스토퍼의 역활을 하게 된다.
그리고, 상기 본체(110)에 형성된 배출구(112)와 체결부재(120)에 형성된 유출구(124)와 원터치 캡(130)에 형성된 토출구(133)가 다단으로 결합되어 본체(110)에 저장된 내용물이 본체(110)와 체결부재(120)와 원터치 캡(130)에 형성된 유로를 통해 외부로 배출됨으로써 뚜껑부(135)에 형성된 마개부(135a)가 최종적으로 원터치 캡(130)에 형성된 토출구(133)만을 개폐하기 때문에 내용물이 외부로 유출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한 별도의 기밀부재가 필요치 않게 된다.
한편, 상기 본체(110)와 체결부재(120)와 원터치 캡(130)으로 구성된 제 1 실시예의 포장용기(100)에서 본체(110)와 체결부재(120)를 일체로 성형하여 본체(110)에 원터치 캡(130)이 장착될 수도 있을 것이다. 이를 제 2 실시예에 의거하여 설명한다.
제 2 실시예
도 5 는 본 고안에 따른 방향성을 갖는 원터치 캡을 구비한 포장용기의 제 2 실시예를 나타낸 분해 사시도이고, 도 6 은 본 공안에 따른 포장용기의 제 2 실시 예를 나타낸 측단면도이다.
도면을 참조하여 설명하면, 본 고안에 따른 포장용기(200)의 제 2 실시예는 내용물을 저장하는 본체(210)의 상단에 형성된 네크부(214)에 래칫 기어(216)를 형성하고, 상기 래칫 기어(216)와 간섭이 발생되지 않는 부분으로 네크부(214)에 장착되는 원터치 캡(220)의 회전지지를 위한 가이드 돌기(218)가 형성된다.
부연하자면, 내용물을 저장하는 본체(210)의 상단에 내용물을 배출하기 위한 배출구(212)가 형성되는데, 상기 배출구(212)는 본체(210)의 상단에 형성된 네크부(214)에 형성되고, 상기 네크부(214)의 외경 둘레에는 래칫 기어(216)가 형성된다.
상기 본체(210)의 네크부(214)에 장착되는 원터치 캡(220)은, 본체(210)의 네크부(214) 외경에 형성된 래칫 기어(216)와 치합되도록 그 내경에 래칫 기어(237)가 형성된 체결관(221)이 형성되며, 상기 체결관(221)의 둘레를 감싸며 체결관(221)의 상단과 연결된 외체(222)에 본체(210)의 배출구(212)와 유로로 연결되는 토출구(223)가 형성된다.
즉, 상기 원터치 캡(220)은 본체(210)의 네크부(214) 상부와 측면 둘레를 감싸도록 하부가 개방되고, 상부가 폐쇄되되 상기 상부에는 본체(210)의 배출구(212)와 연결되는 토출구(223)가 형성되는 다단 결합구조를 갖는다.
그리고, 상기 원터치 캡(220)의 체결관(221) 내경에는 본체(210)의 네크부(214) 외경에 형성된 가이드 돌기(218)와 형합되는 가이드 홈(226)이 형성되어 원터치 캡(220)이 본체(210)의 네크부(214)에 장착되는 경우 상기 원터치 캡(220) 이 임의적으로 네크부(214)에서 이탈되는 것을 방지할 뿐만 아니라 네크부(214)에서 원터치 캡(220)이 회전하게 될 때 원터치 캡(220)의 회전을 안내하게 된다.
그리고, 상기 원터치 캡(220)의 외체(222) 일측에는 스냅경첩(224)이 형성되어 원터치 캡(220)의 상단을 개폐하는 뚜껑부(225)와 외체(222)를 연결하게 된다. 상기 외체(222)의 상단 특히, 외체(222)에 형성된 토출구(223)와 접하는 뚜껑부(225)의 내측에는 토출구(223)에 삽입되는 마개부(225a)가 형성되어, 뚜껑부(225)가 닫혔을 때 마개부(225a)가 토출구(223)를 기밀하게 폐쇄하여 본체(210)에 저장된 내용물이 임의적으로 토출되는 것을 방지하게 된다.
이와 같이 제 2 실시예에 따라 본체의 네크부에 래칫 기어와 가이드 돌기가 형성되고 상기 네크부에 장착되는 원터치 캡에 네크부의 래칫 기어에 대응하는 래칫 기어와 가이드 홈이 형성됨으로써, 포장용기의 조립공정이 보다 간소화되고,
본체(210)의 상품라벨(218)과 원터치 캡(220)의 파지부(238)를 일직선상에 정렬시킬 때 원터치 캡(220)의 회전에 방향성을 갖게 되므로 본체(210)의 상품라벨(218)과 원터치 캡(220)의 파지부(238)의 정렬이 용이한 효과가 있다.
한편, 본 고안은 상술한 실시예로서만 한정되는 것이 아니라 본 고안의 요지를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수정 및 변형하여 실시할 수 있고, 그러한 수정 및 변형이 가해진 것도 본 고안의 기술적 사상에 속하는 것으로 보아야 한다.
도 1 은 종래의 포장용기를 나타낸 사시도이다.
도 2 는 본 고안에 따른 방향성을 갖는 원터치 캡을 구비한 포장용기의 제 1 실시예를 나타낸 사시도이다.
도 3 은 본 고안에 따른 포장용기의 제 1 실시예를 나타낸 분해 사시도이다.
도 4 는 본 고안에 따른 포장용기의 제 1 실시예를 나타낸 측단면도이다.
도 5 는 본 고안에 따른 방향성을 갖는 원터치 캡을 구비한 포장용기의 제 2 실시예를 나타낸 분해 사시도이다.
도 6 은 본 공안에 따른 포장용기의 제 2 실시예를 나타낸 측단면도이다.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00, 200 : 포장용기 110, 210 : 본체
112, 212 : 배출구 114, 214 : 네크부
118 : 상품라벨 120 : 체결부재
122 : 체결부재측 래칫 기어 124 : 유출구
126 : 가이드 돌기 130 : 원터치 캡
131 : 체결관 132 : 외체
133 : 토출구 134 : 스냅경첩
135 : 뚜껑 136 : 가이드 홈
137 : 원터치 캡측 래칫 기어 138 : 파지부

Claims (3)

  1. 내용물을 배출시키는 배출구(112)가 형성된 네크부(114)의 외경으로 나사산이 형성된 본체(110)와,
    상기 본체(110)의 네크부(114)에 형성된 나사산과 체결되도록 내경에 나사산이 형성되고, 외경에 래칫 기어(122)가 형성되며 본체(110)에 형성된 배출구(112)와 유로로 연결되는 유출구(124)가 형성된 체결부재(120)와,
    상기 체결부재(120)에 형성된 래칫 기어(122)와 치합되는 체결관(131)이 형성되며, 상기 체결관(131)의 외측으로 형성되며 체결관(131)의 상단과 연결된 외체(132)에 체결부재(120)의 유출구(124)와 유로로 연결되는 토출구(133)가 형성되고, 상기 외체(132)와 스냅경첩(134)에 의해 연결되는 뚜껑부(135)가 형성된 원터치 캡(130)을 포함하는 방향성을 갖는 원터치 캡을 구비한 포장용기.
  2. 청구항 1 에 있어서,
    상기 체결부재(120)의 외경을 따라 가이드 돌기(126)가 형성되고, 상기 가이드 돌기(126)와 접하는 체결관(131)의 내경에 가이드 홈(136)이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향성을 갖는 원터치 캡을 구비한 포장용기.
  3. 내용물을 배출시키는 배출구(212)가 형성된 네크부(214)의 외경에 래칫 기어(216)가 형성되고, 상기 래칫 기어(216)와 간섭이 발생되지 않는 네크부(214)의 외경 둘레부분에 가이드 돌기(218)가 형성된 본체(210)와,
    상기 네크부(214)에 형성된 래칫 기어(216)와 치합되고, 상기 네크부(214)에 형성된 가이드 돌기(218)와 대응하는 가이드 홈(226)이 형성되는 체결관(221)이 형성되며, 상기 체결관(221)의 외측으로 형성되며 체결관(221)의 상단과 연결된 외체(222)에 본체(210)의 배출구(212)와 유로로 연결되는 토출구(223)가 형성되고, 상기 외체(222)와 스냅경첩(224)에 의해 연결되는 뚜껑부(225)가 형성된 원터치 캡(220)을 포함하는 방향성을 갖는 원터치 캡을 구비한 포장용기.
KR2020080008737U 2008-06-30 2008-06-30 방향성을 갖는 원터치 캡을 구비한 포장용기 KR200448114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80008737U KR200448114Y1 (ko) 2008-06-30 2008-06-30 방향성을 갖는 원터치 캡을 구비한 포장용기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80008737U KR200448114Y1 (ko) 2008-06-30 2008-06-30 방향성을 갖는 원터치 캡을 구비한 포장용기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00000266U true KR20100000266U (ko) 2010-01-07
KR200448114Y1 KR200448114Y1 (ko) 2010-03-19

Family

ID=4419421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080008737U KR200448114Y1 (ko) 2008-06-30 2008-06-30 방향성을 갖는 원터치 캡을 구비한 포장용기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448114Y1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220686B1 (ko) * 2011-02-22 2013-01-09 최정구 튜브 용기와 캡의 결합구조
WO2021013857A1 (de) * 2019-07-24 2021-01-28 Bericap Holding Gmbh Verschluss für ein sicherheitsetikett und verschluss mit einem sicherheitsetikett

Families Citing this famil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473412Y1 (ko) 2012-10-12 2014-07-04 임종백 양측에 화장용 튜브가 설치되는 듀얼 화장용기
KR101475153B1 (ko) * 2013-07-12 2014-12-22 최종서 화장품 용기용 캡의 구조
KR102515975B1 (ko) * 2021-09-07 2023-03-30 박영란 튜브형 화장품 용기

Family Cites Familie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EP1174360A1 (en) * 2000-07-21 2002-01-23 Crown Cork &amp; Seal Technologies Corporation Closure for containers
KR200264763Y1 (ko) * 2001-11-14 2002-02-20 주식회사 네오팍 코리아 인쇄위치로의 회동조작이 가능한 원터치 캡
KR20060073397A (ko) * 2004-12-23 2006-06-28 장왕종 음료용기의 뚜껑 구조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220686B1 (ko) * 2011-02-22 2013-01-09 최정구 튜브 용기와 캡의 결합구조
WO2021013857A1 (de) * 2019-07-24 2021-01-28 Bericap Holding Gmbh Verschluss für ein sicherheitsetikett und verschluss mit einem sicherheitsetikett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448114Y1 (ko) 2010-03-19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200448114Y1 (ko) 방향성을 갖는 원터치 캡을 구비한 포장용기
US20080110941A1 (en) Rotational Dispensing Cap Closure for a Liquid Container
EP2368810A1 (en) Bottle cap
US20120241454A1 (en) Multi-Stage Opening and Dispensing Closure
US20190009291A1 (en) Dispensing device for dispensing liquids or fluids in general
US10723537B2 (en) Cartridge pump
US5961010A (en) Dispensing beverage closure
US9409760B1 (en) Fluid dispenser
JP2010089816A (ja) ヒンジキャップ付容器
JP6444221B2 (ja) 積層剥離容器
CN211845571U (zh) 一种撕拉式环保瓶盖
JP2008155961A (ja) ヒンジキャップ付き容器の構造
JP5483435B2 (ja) 中栓
US20090139884A1 (en) Tube-type container
JP5944383B2 (ja) 分配容器
US8439229B2 (en) Closure system between a dispenser head and container of a device for dispensing
US9783344B2 (en) Universal bottle cap assembly
JP5961547B2 (ja) 詰め替え容器
US10946402B2 (en) Dispensing device for dispensing liquids or fluids in general
US11230415B2 (en) Container with cap structure
KR100882255B1 (ko) 마개 분실 및 공회전 방지 용기
KR101195007B1 (ko) 이탈방지용 병마개
JP2005096776A (ja) 絞り出し容器用キャップ
KR20090009785U (ko) 펌프를 가지는 튜브형 이중화장품용기
US11655079B1 (en) Anti-theft plastic bottle cap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0227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0228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0302

Year of fee payment: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223

Year of fee payment: 7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1228

Year of fee payment: 8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