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90133018A - Refrigerator with partition member - Google Patents

Refrigerator with partition member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90133018A
KR20090133018A KR1020080059256A KR20080059256A KR20090133018A KR 20090133018 A KR20090133018 A KR 20090133018A KR 1020080059256 A KR1020080059256 A KR 1020080059256A KR 20080059256 A KR20080059256 A KR 20080059256A KR 20090133018 A KR20090133018 A KR 20090133018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artition member
gasket
refrigerator
door
hook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80059256A
Other languages
Korean (ko)
Other versions
KR100985105B1 (en
Inventor
김도형
Original Assignee
엘지전자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엘지전자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엘지전자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080059256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985105B1/en
Publication of KR20090133018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90133018A/en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985105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985105B1/en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5REFRIGERATION OR COOLING; COMBINED HEATING AND REFRIGERATION SYSTEMS; HEAT PUMP SYSTEMS; MANUFACTURE OR STORAGE OF ICE; LIQUEFACTION SOLIDIFICATION OF GASES
    • F25DREFRIGERATORS; COLD ROOMS; ICE-BOXES; COOLING OR FREEZING APPARATU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F25D23/00General constructional features
    • F25D23/02Doors; Covers
    • F25D23/028Detail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5REFRIGERATION OR COOLING; COMBINED HEATING AND REFRIGERATION SYSTEMS; HEAT PUMP SYSTEMS; MANUFACTURE OR STORAGE OF ICE; LIQUEFACTION SOLIDIFICATION OF GASES
    • F25DREFRIGERATORS; COLD ROOMS; ICE-BOXES; COOLING OR FREEZING APPARATU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F25D23/00General constructional features
    • F25D23/08Parts formed wholly or mainly of plastics materials
    • F25D23/082Strips
    • F25D23/087Sealing strip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5REFRIGERATION OR COOLING; COMBINED HEATING AND REFRIGERATION SYSTEMS; HEAT PUMP SYSTEMS; MANUFACTURE OR STORAGE OF ICE; LIQUEFACTION SOLIDIFICATION OF GASES
    • F25DREFRIGERATORS; COLD ROOMS; ICE-BOXES; COOLING OR FREEZING APPARATU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F25D23/00General constructional features
    • F25D23/06Walls
    • F25D23/069Cooling space dividing partitio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5REFRIGERATION OR COOLING; COMBINED HEATING AND REFRIGERATION SYSTEMS; HEAT PUMP SYSTEMS; MANUFACTURE OR STORAGE OF ICE; LIQUEFACTION SOLIDIFICATION OF GASES
    • F25DREFRIGERATORS; COLD ROOMS; ICE-BOXES; COOLING OR FREEZING APPARATU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F25D2325/00Charging, supporting or discharging the articles to be cooled, not provided for in other groups of this subclass
    • F25D2325/021Shelves with several possible configuration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ombustion & Propulsion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Thermal Sciences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Refrigerator Housings (AREA)

Abstract

PURPOSE: A refrigerator with a partition member is provided to exclude adhesive use in gasket bond and facilitate the bond and separation of the gasket. CONSTITUTION: A refrigerator with a partition member comprises a refrigerator body, a partition member(160), a door(140), a gasket(180) and a gasket supporting part(210). A refrigerating room is formed in the refrigerator body. The partition member divides the front surface opening of the refrigerating room into a plurality of small openings. The door opens and closes the small opening. The gasket is interposed between the partition member and the door. The gasket supporting part is formed at the partition member and fixes and supports the gasket.

Description

구획부재를 구비한 냉장고{REFRIGERATOR WITH PARTITION MEMBER}REFRIGERATOR WITH PARTITION MEMBER}

본 발명은 구획부재를 구비한 냉장고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가스켓의 결합을 신속하고 용이하게 할 수 있도록 한 구획부재를 구비한 냉장고에 관한 것이다.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refrigerator having a partition member, and more particularly, to a refrigerator provided with a partition member to facilitate the fast and easy coupling of the gasket.

냉장고는, 주지된 바와 같이, 음식물을 냉장 또는 냉동하여 신선하게 보관할 수 있도록 하는 장치로서, 내부에 냉각실이 형성된 냉장고 본체와, 냉각실에 냉기를 제공하기 위한 냉동사이클 장치를 구비한다.As is well known, a refrigerator is a device for refrigeration or freezing food to be kept fresh, and includes a refrigerator main body having a cooling chamber therein and a refrigeration cycle apparatus for providing cold air to the cooling chamber.

도 1은 종래의 냉장고의 일 예를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냉장고는, 내부에 냉장실(20) 및 냉동실(30)이 형성되는 냉장고 본체(10)와, 상기 냉장실(20) 및 냉동실(30)을 각각 개폐하는 냉장실도어(25) 및 냉동실도어(35)를 구비한다.1 is a perspective view showing an example of a conventional refrigerator. As shown in FIG. 1, the refrigerator includes a refrigerator main body 10 having a refrigerator compartment 20 and a freezer compartment 30 therein, and a refrigerator compartment door 25 that opens and closes the refrigerator compartment 20 and the freezer compartment 30, respectively. ) And a freezer compartment door 35.

상기 냉장고 본체(10)의 상부영역에는 냉장실(20)이 형성되어 있으며, 상기 냉장실(20)의 전면에는 상기 냉장실(20)을 개폐할 수 있도록 복수의 냉장실도어(25)가 구비되어 있다.A refrigerating compartment 20 is formed in an upper region of the refrigerator main body 10, and a plurality of refrigerating compartment doors 25 are provided on the front surface of the refrigerating compartment 20 to open and close the refrigerating compartment 20.

상기 냉장실도어(25) 중 어느 하나에는 상기 냉장실도어(25)를 개방하지 아 니하고 물 또는 얼음을 인출할 수 있도록 디스펜서(27)가 마련되어 있다. 상기 냉장실도어(25) 중 다른 하나에는 홈바(28)가 구비되어 있다. One of the refrigerating chamber doors 25 is provided with a dispenser 27 so that the refrigerating chamber door 25 can be drawn out without opening the refrigerating chamber door 25. Another one of the refrigerating chamber doors 25 is provided with a groove bar 28.

상기 냉장고 본체(10)의 하부영역에는 냉동실(30)이 형성되어 있으며, 상기 냉동실(30)에는 상기 냉장고 본체(10)의 전후방향을 따라 슬라이딩 가능하게 냉동실도어(35)가 설치되어 있다. 상기 냉동실도어(35)의 배후에는 음식물을 수납할 수 있도록 수납용기(37)가 구비되어 있으며, 상기 수납용기(37)는 상기 냉동실도어(35)와 일체로 전후로 슬라이딩 된다.A freezer compartment 30 is formed in a lower region of the refrigerator body 10, and a freezer compartment door 35 is installed in the freezer compartment 30 so as to slide along the front and rear directions of the refrigerator body 10. A storage container 37 is provided at the rear of the freezing chamber door 35 to accommodate food, and the storage container 37 slides back and forth integrally with the freezing chamber door 35.

그런데, 이러한 종래의 냉장고에 있어서는, 상기 냉동실도어(35)는 상기 냉동실(30)의 전면 개구를 전면적으로 개폐하도록 되어 있어, 음식물의 인출 또는 수납 시 냉기손실이 크다고 하는 문제점이 있다.However, in the conventional refrigerator, the freezer compartment 35 is configured to open and close the entire front opening of the freezer compartment 30, which causes a problem of a large cold air loss during the withdrawal or storage of food.

또한, 상기 냉동실(30)의 개폐 시, 상기 냉동실도어(35), 수납용기(37) 및 음식물 또는 식품이 일체로 전후 방향을 따라 슬라이딩하도록 되어 있어, 상기 냉동실도어(35), 수납용기(37) 및 저장물의 하중에 기인하여 슬라이딩 조작이 용이하지 않다고 하는 문제점이 있다. 특히, 최근 냉장고들의 대형화 추세에 따라 상기 냉동실도어(35)의 수납용기(37)가 대용량화되어 그 하중이 매우 크기 때문에 슬라이딩 조작에 상당한 힘을 필요로 하게 되어 임산부, 노약자 등이 조작하기에 많은 불편이 따를 수 있다고 하는 문제점이 있다. In addition, when the freezing chamber 30 is opened and closed, the freezing chamber door 35, the storage container 37, and food or food are integrally slid along the front and rear directions, so that the freezing chamber door 35 and the storage container 37 ) And the sliding operation is not easy due to the load of the stock. In particular, in accordance with the recent trend of larger refrigerators, the storage container 37 of the freezer door 35 has a large capacity and its load is so large that a considerable force is required for sliding operation, which makes it difficult for pregnant women, the elderly, and the like to operate. There is a problem that this can be followed.

더욱이 음식물이 상기 냉동실도어(35)를 따라 전방으로 인출되어 외부 공기와 접촉하게 됨으로써 음식물의 온도가 상승하게 되어 음식물에 악영향을 줄 수 있다고 하는 문제점이 있다. 특히, 수납용기(37)가 대용량화된 냉장고에 있어서는, 내부에 수납되는 식품의 양 및 종류도 증가하고, 그에 기인하여 냉동실도어(35)의 개폐 회수도 증가하게 되므로 외기 온도에 노출되는 식품의 양, 종류 및 빈도가 증가하게 된다고 하는 문제점이 있다.Furthermore, there is a problem that food is drawn out along the freezing chamber door 35 and comes into contact with the outside air, thereby increasing the temperature of the food and adversely affecting the food. In particular, in the refrigerator in which the storage container 37 has a large capacity, the amount and type of food stored therein also increase, thereby increasing the number of opening and closing of the freezing chamber door 35, thereby increasing the amount of food exposed to the outside air temperature. There is a problem that the type and frequency increase.

따라서, 본 발명은, 가스켓의 결합 및 분리를 신속하고 용이하게 할 수 있는구획부재를 구비한 냉장고를 제공하는 것을 그 목적으로 한다. Accordingly, an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to provide a refrigerator provided with a partition member that can quickly and easily engage and disengage a gasket.

또한, 본 발명은, 가스켓 결합 시 접착제 사용을 배제할 수 있는 구획부재를 구비한 냉장고를 제공하는 것을 다른 목적으로 한다.In addition, another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to provide a refrigerator having a partition member capable of excluding the use of an adhesive when the gasket is bonded.

본 발명은, 상술한 바와 같은 목적 달성을 위해, 냉각실이 형성되어 있는 냉장고 본체; 상기 냉각실의 전면 개구를 복수의 소개구로 구획하는 구획부재; 상기 소개구를 개폐하는 도어; 상기 구획부재와 상기 도어 사이에 개재되어 틈새를 차단하는 가스켓; 및 상기 구획부재에 형성되어 상기 가스켓을 고정지지하는 가스켓지지부;를 포함하는 구획부재를 구비한 냉장고를 제공한다.The present invention, in order to achieve the above object, the refrigerator body is formed with a cooling chamber; A partition member for partitioning the front opening of the cooling chamber into a plurality of introduction ports; A door for opening and closing the introduction port; A gasket interposed between the partition member and the door to block a gap; And a gasket support part formed on the partition member to fix and support the gasket.

여기서, 상기 가스켓지지부는 상기 구획부재에 돌출 형성되는 후크를 포함하며, 상기 가스켓에는 상기 후크가 수용 결합될 수 있게 후크결합부가 형성될 수 있다.Here, the gasket support part may include a hook protruding from the partition member, and the gasket may include a hook coupling part to accommodate the hook.

상기 가스켓지지부는 상기 가스켓의 후방에 접촉되게 상기 구획부재로부터 돌출되는 지지리브를 더 포함할 수 있다.The gasket support part may further include a support rib protruding from the partition member to be in contact with the rear of the gasket.

상기 가스켓지지부는, 상기 구획부재로부터 돌출되는 돌출부와, 상기 돌출부의 단부에서 절곡되는 절곡부와, 상기 돌출부와 상기 절곡부의 일 측에 배치되어 상기 돌출부 및 상기 절곡부에 수용된 상기 가스켓의 이탈을 방지하는 이탈방지부 를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The gasket support part includes a protrusion protruding from the partition member, a bent portion bent at an end of the protrusion, and disposed at one side of the protrusion and the bent portion to prevent separation of the gasket accommodated in the protrusion and the bent portion. It may be configured to include a departure prevention unit.

상기 돌출부는 상기 냉장고 본체의 전후방향을 따라 상기 가스켓의 후방에 접촉되게 형성될 수 있다.The protrusion may be formed to contact the rear of the gasket along the front and rear directions of the refrigerator main body.

상기 이탈방지부는 상기 구획부재로부터 돌출 형성될 수 있다.The release preventing portion may protrude from the partition member.

상기 이탈방지부는 착탈 가능하게 형성될 수 있다. The departure prevention part may be formed detachably.

상기 가스켓은, 상기 구획부재에 접촉되는 고정부와, 상기 고정부에서 돌출되어 상기 도어에 접촉되는 차단부를 포함할 수 있다.The gasket may include a fixing part contacting the partition member and a blocking part protruding from the fixing part and contacting the door.

상기 구획부재에는 핫라인이 결합되며, 상기 구획부재는, 상기 핫라인의 후방에 배치되는 바디와, 상기 핫라인의 전방에서 상기 바디와 결합되는 전면커버를 포함할 수 있다.A hotline is coupled to the partition member, and the partition member may include a body disposed behind the hotline, and a front cover coupled to the body at the front of the hotline.

상기 바디는, 내부에 수용공간을 형성하는 케이스와, 상기 케이스의 내부에 수용되는 단열재를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The body may include a case forming an accommodating space therein and a heat insulating material accommodated in the case.

상술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르면, 구획부재에 외측으로 돌출되어 절곡된 후크를 형성하고, 가스켓에 후크가 수용 결합되는 후크결합부를 형성함으로써, 가스켓의 결합 및 분리를 신속하고 용이하게 할 수 있다. 또한, 가스켓의 결합 시 접착제의 사용을 배제함으로써 가스켓의 교체 시 접착제의 잔류물이 발생하지 아니한다. As described abov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by forming a hook that protrudes outwardly to the partition member and a hook coupling portion for accommodating the hook to the gasket, it is possible to quickly and easily engage and disengage the gasket. . In addition, no residue of the adhesive occurs when the gasket is replaced by eliminating the use of the adhesive in the bonding of the gasket.

또한, 본 발명에 따르면, 구획부재에 외측으로 돌출되어 절곡형성되는 후크와, 후크의 후방에서 상기 후크와 상호 협조적으로 가스켓을 지지하는 지지리브를 구비하도록 함으로써, 가스켓의 결합 및 분리를 신속하고 용이하게 할 수 있으며, 도어와의 반복적인 접촉에 기인한 가스켓의 분리를 방지할 수 있다.In addition,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by having a hook protruding outwardly bent to the partition member and a support rib for supporting the gasket cooperatively with the hook at the rear of the hook, the coupling and separation of the gasket can be quickly and easily It is possible to prevent the separation of the gasket due to repeated contact with the door.

또한, 본 발명에 따르면, 전후방향을 따라 가스켓의 일측에 접촉되는 돌출부와, 상하방향을 따라 가스켓의 일 측에 접촉되는 절곡부와, 돌출부 및 절곡부의 내측에 삽입된 가스켓의 이탈을 방지하는 이탈방지부를 구비하도록 함으로써, 가스켓의 분리 및 결합을 용이하게 할 수 있고, 가스켓이 외력의 작용에 의해 구획부재로부터 불시에 분리되는 것을 억제할 수 있다.In addition,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the protrusions in contact with one side of the gasket in the front and rear direction, the bent portion in contact with one side of the gasket in the up and down direction, and the separation to prevent the separation of the gasket inserted into the protrusions and the bent portion inside By providing the prevention portion, the gasket can be easily separated and joined, and the gasket can be prevented from being separated from the partition member by the action of an external force.

또한, 본 발명에 따르면, 전후방향을 따라 가스켓의 일측에 접촉되는 돌출부와, 상하방향을 따라 가스켓의 일 측에 접촉되는 절곡부와, 돌출부 및 절곡부의 내측에 삽입된 가스켓의 이탈을 방지하는 이탈방지부를 착탈가능하게 형성함으로써, 가스켓의 분리 및 결합을 신속하고 용이하게 할 수 있으며, 가스켓이 불시에 분리되는 것을 효과적으로 방지할 수 있다. In addition,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the protrusions in contact with one side of the gasket in the front and rear direction, the bent portion in contact with one side of the gasket in the up and down direction, and the separation to prevent the separation of the gasket inserted into the protrusions and the bent portion inside By detachably forming the prevention portion, it is possible to quickly and easily detach and join the gasket, and effectively prevent the gasket from being accidentally separated.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에 대해 상세히 설명한다.Hereinafter, with reference to the accompanying drawings will be described in detail the present invention.

[제1실시예][First Embodiment]

도 2는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 따른 구획부재를 구비한 냉장고의 사시도이고, 도 3은 도 2의 Ⅲ-Ⅲ선에 따른 구획부재의 확대단면도이다.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구획부재를 구비한 냉장고는, 냉각실이 형성되어 있는 냉장고 본체(110); 상기 냉각실의 전면 개구를 복수의 소개구로 구획하는 구획부재(160); 상기 소개구를 개폐하는 도어(140); 상기 구획부재(160)와 상기 도어(140) 사이에 개 재되어 틈새를 차단하는 가스켓(180); 및 상기 구획부재(160)에 형성되어 상기 가스켓(180)을 고정지지하는 가스켓지지부(210);를 포함하여 구성되어 있다. 여기서, 상기 냉각실은 냉동실 및 냉장실을 통칭하는 말이며, 상기 냉장고 본체(110)는 상기 냉동실 또는 냉동실 중 적어도 어느 하나를 구비하게 구성될 수 있다. 또한, 상기 구획부재(160)는 냉각실, 즉 냉장실 및/또는 냉동실의 전면에 적어도 하나가 설치될 수 있다. 상기 냉장고 본체(110)에는 상기 냉각실에 냉기를 제공할 수 있게 냉동사이클이 구비된다. 이하, 상기 냉장고 본체(110)는 냉장실 및 냉동실을 구비하고, 상기 구획부재(160)는 상기 냉동실의 전면 개구에 배치되는 경우를 예를 들어 설명하기로 한다.2 is a perspective view of a refrigerator having a partition member according to a first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and FIG. 3 is an enlarged cross-sectional view of the partition member according to line III-III of FIG. 2. As shown in FIG. 2, the refrigerator including the partition member includes: a refrigerator main body 110 in which a cooling chamber is formed; A partition member 160 for partitioning the front opening of the cooling chamber into a plurality of introduction ports; A door 140 for opening and closing the introduction port; A gasket 180 interposed between the partition member 160 and the door 140 to block a gap; And a gasket support part 210 formed on the partition member 160 to fix and support the gasket 180. Here, the cooling chamber is a term for a freezing chamber and a refrigerating chamber, and the refrigerator main body 110 may be configured to include at least one of the freezing chamber and the freezing chamber. In addition, at least one partition member 160 may be installed on the front surface of the cooling chamber, that is, the refrigerating chamber and / or the freezing chamber. The refrigerator main body 110 is provided with a refrigeration cycle to provide cold air to the cooling chamber. Hereinafter, the refrigerator main body 110 includes a refrigerating chamber and a freezing chamber, and the partition member 160 will be described by way of example in the case of the front opening of the freezing chamber.

상기 냉장고 본체(110)의 상부영역에는 냉장실(120)이 형성되어 있으며, 상기 냉장실(120)의 전면에는 상기 냉장실(120)을 선택적으로 개폐할 수 있게 복수의 냉장실도어(125)가 회동가능하게 결합되어 있다. 상기 냉장실도어(125)에는 디스펜서(127) 및 홈바(128)가 구비될 수 있다. A refrigerating chamber 120 is formed in an upper region of the refrigerator main body 110, and a plurality of refrigerating chamber doors 125 are rotatable on the front surface of the refrigerating chamber 120 to selectively open and close the refrigerating chamber 120. Are combined. The refrigerating chamber door 125 may be provided with a dispenser 127 and a groove bar 128.

상기 냉장고 본체(110)의 하부영역에는 냉동실(130)이 형성되어 있으며, 상기 냉동실(130)의 전면에는 상기 냉동실(130)의 전면 개구를 복수, 즉 2개의 소개구로 구획하는 구획부재(160)가 설치되어 있다. 상기 냉동실(130)에는 상기 소개구를 각각 선택적으로 개폐할 수 있게 도어(140)가 구비된다. 상기 도어(140)는 후방에 식품이 수납되는 수납용기(142)를 구비한 서랍형 도어(140)로 구현되어 있다. 상기 도어(140)의 후면에는 상기 소개구와 접촉될 수 있게 도어가스켓(147)이 구비되어 있다. 상기 도어(140)의 후방, 즉 상기 수납용기(142)의 양 측에는 레 일(144)이 구비되어 있으며, 상기 냉동실(130)의 내부에는 상기 레일(144)이 결합되어 지지되는 레일홀더(145)가 마련되어 있다. A freezer compartment 130 is formed in a lower region of the refrigerator body 110, and a partition member 160 divides a front opening of the freezer compartment 130 into a plurality of inlet openings on a front surface of the freezer compartment 130. Is installed. The freezing chamber 130 is provided with a door 140 to selectively open and close the introduction port, respectively. The door 140 is implemented as a drawer-type door 140 having a storage container 142 to accommodate food therein. The rear surface of the door 140 is provided with a door gasket 147 to be in contact with the introduction port. Rails 144 are provided at the rear of the door 140, that is, at both sides of the storage container 142, and the rail holder 145 is coupled to and supported by the rail 144 inside the freezing compartment 130. ) Is provided.

한편, 상기 구획부재(160)는 상기 냉동실(130)의 전면 개구가 상하로 구획되게 상기 냉장고 본체(110)의 좌우방향을 따라 배치되어 있다. 상기 냉동실(130)의 전면 개구, 즉 소개구의 테두리에는 냉동사이클의 냉매가 유입되어 유동함으로써 소개구의 테두리의 온도를 상승시켜 소개구의 테두리의 이슬맺힘이 방지되게 하는 냉동실 핫라인(150)이 구비된다. 상기 냉동실(130)의 내부 양 측벽에는 상기 냉동실 핫라인(150) 중 상기 구획부재(160)에 결합되는 구획부재결합구간이 수용 결합될 수 있게 함몰된 도피부(115)가 형성되어 있다. 이는 상기 냉장고 본체(110)의 발포 시 상기 핫라인(150)의 구획부재결합구간이 냉동실(130)의 내부에 삽입되는 발포 지그에 접촉되어 손상이 발생되는 것을 억제함과 아울러 구획부재결합구간의 조립을 위한 굴신에 따른 손상을 억제하기 위함이다. On the other hand, the partition member 160 is disposed along the left and right directions of the refrigerator main body 110 so that the front opening of the freezing compartment 130 is divided up and down. The freezing chamber hotline 150 is provided at the front opening of the freezing chamber 130, that is, at the edge of the introduction port to increase the temperature at the edge of the introduction port by flowing the refrigerant of the refrigerating cycle to flow. The inner sidewalls of the freezing compartment 130 are formed with the escape portion 115 recessed to accommodate the compartment member coupling section coupled to the partition member 160 of the freezer compartment hotline 150. This suppresses the occurrence of damage due to contacting the foam jig inserted into the freezer compartment 130 with the partition member coupling section of the hotline 150 when the refrigerator body 110 is foamed and the assembly of the partition member coupling section. In order to suppress the damage caused by flexing.

상기 구획부재(160)는, 상기 냉동실(130)의 좌우 폭에 대응되는 길이를 가지며 상기 핫라인(150)의 구획부재결합구간의 후방에 배치되는 바디(161)와, 상기 핫라인(150)의 전방에서 상기 바디(161)와 전후방향으로 대면접촉 결합되는 전면커버(170)를 구비한다. 상기 바디(161)는, 내부에 수용공간이 형성되는 케이스(162)와, 상기 케이스(162)의 내부에 수용 결합되는 단열재(164)와, 상기 케이스(162)의 후방 개구를 차단하도록 결합되는 후면커버(165)를 구비한다. 상기 케이스(162)의 전면에는 상기 핫라인(150)이 수용될 수 있게 내측, 즉 후방으로 함몰된 핫라인 수용부(163)가 형성되어 있다.The partition member 160 has a length corresponding to the left and right widths of the freezer compartment 130 and is disposed behind the partition member coupling section of the hotline 150 and the front of the hotline 150. The front cover 170 is coupled to the body 161 in front and rear contact with the front and rear directions. The body 161 is coupled to block the rear opening of the case 162, the heat insulating material 164 accommodated and coupled to the inside of the case 162, the housing 162 is formed therein; A rear cover 165 is provided. A hotline accommodating part 163 recessed inward, ie, rearward, is formed on the front surface of the case 162 to accommodate the hotline 150.

상기 전면커버(170)는 상기 냉동실(130)의 전면에 양 단이 고정 결합될 수 있게 상기 냉동실(130)의 좌우폭에 비해 긴 길이를 가지게 긴 판상으로 형성된다. 상기 전면커버(170)의 양 단부에는 상기 냉동실(130)의 개구 테두리에 형성된 암나사부(155)에 결합되는 스크류(175)가 통과할 수 있게 관통공(173)이 각각 형성되어 있다. 여기서, 상기 전면커버(170)는 핫라인(150)의 열이 신속하게 전달될 수 있게 금속부재로 형성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전면커버(170)는 상기 도어가스켓(147)과 자기적으로 결합될 수 있도록 자성체로 형성될 수 있다. The front cover 170 is formed in a long plate shape having a longer length than the left and right width of the freezing chamber 130 so that both ends can be fixedly coupled to the front surface of the freezing chamber 130. Through-holes 173 are formed at both ends of the front cover 170 so that the screw 175 coupled to the female screw part 155 formed at the opening edge of the freezing compartment 130 can pass therethrough. Here, the front cover 170 may be formed of a metal member so that the heat of the hot line 150 can be quickly transferred. In addition, the front cover 170 may be formed of a magnetic material to be magnetically coupled to the door gasket 147.

상기 케이스(162)의 내부에는 단열재(164)가 수용 결합된다. 상기 단열재(164)는 소위 이피에스(EPS: Expandable Polystylene)라고 하는 발포수지 등으로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케이스(162)의 후방 단부에는 후면커버(165)가 결합되어 있으며, 상기 후면커버(165)는 상기 케이스(162)의 후방 개구의 크기에 대응되는 판상으로 형성된다. The heat insulating material 164 is accommodated in the case 162. The insulation 164 may be formed of a foamed resin such as so-called Expandable Polystylene (EPS). The rear cover 165 is coupled to the rear end of the case 162, and the rear cover 165 is formed in a plate shape corresponding to the size of the rear opening of the case 162.

한편, 상기 케이스(162)의 양 측, 즉 도면상 상부면(162a) 및 하부면(162b)에는 상기 도어(140)와 접촉되어 상기 구획부재(160)와 상기 도어(140) 사이의 틈새를 차단하는 가스켓(180)이 구비된다. 상기 케이스(162)의 상부면(162a) 및 하부면(162b)에는 상기 각 가스켓(180)을 착탈 가능하게 고정 지지할 수 있게 가스켓지지부(210)가 형성되어 있다.On the other hand, both sides of the case 162, that is, the upper surface 162a and the lower surface 162b in the drawing contact with the door 140 to close the gap between the partition member 160 and the door 140. A gasket 180 for blocking is provided. A gasket support part 210 is formed on the upper surface 162a and the lower surface 162b of the case 162 to detachably fix the gasket 180.

상기 가스켓지지부(210)는,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케이스(162)의 상부면(162a) 및 하부면(162b)에서 상하방향으로 각각 돌출된 후크(211)를 구비한다. 상기 후크(211)는 돌출부(213)와 상기 돌출부(213)의 단부에서 수평으로 절곡 된 걸림부(214)로 구성된다. 상기 후크(211)의 전면, 즉 상기 걸림부(214)의 전면에는 후방 외측으로 경사지게 경사부(215)가 형성되어 있다. As shown in FIG. 3, the gasket support part 210 includes hooks 211 protruding from the upper surface 162a and the lower surface 162b of the case 162 in the vertical direction. The hook 211 includes a protrusion 213 and a locking portion 214 that is bent horizontally at the end of the protrusion 213. An inclined portion 215 is formed on the front surface of the hook 211, that is, the front surface of the locking portion 214 to be inclined rearward.

상기 가스켓(180)은, 상기 후크(211)에 결합되는 고정부와, 상기 고정부에서 돌출되어 상기 도어(140)와 접촉되어 상기 도어(140)와 상기 고정부 사이 틈새를 차단하는 차단부를 구비한다. 상기 차단부는 상기 고정부의 전방 모서리에서 전방으로 경사지게 돌출되어 상기 도어(140)의 다이크(dike)에 접촉된다. The gasket 180 includes a fixing part coupled to the hook 211 and a blocking part protruding from the fixing part to contact the door 140 to block a gap between the door 140 and the fixing part. do. The blocking part protrudes obliquely forward from the front edge of the fixing part to contact the dike of the door 140.

상기 고정부에는 상기 후크(211)가 수용 결합될 수 있게 후크결합부(185)가 형성되어 있다. 상기 후크결합부(185)는 상기 후크(211)의 형상에 대응되게 형성되며 일측, 즉 상기 케이스(162)측에 입구가 형성되어 있다. 여기서, 상기 고정부는 상기 후크(211)의 돌출 길이, 즉 상기 케이스(162)의 외면과 상기 걸림부(214) 사이의 길이에 비해, 상기 후크결합부(185)를 형성하는 입구측 수평구간(186)의 두께가 작도록 형성된다. 이는 상기 가스켓(180)의 결합시 상기 저부 수평구간(186)이 상기 걸림부(214)의 하측 공간으로 용이하게 삽입될 수 있도록 하기 위함이다.The hook portion 211 is formed in the fixing portion to accommodate the hook 211 is received. The hook coupling portion 185 is formed to correspond to the shape of the hook 211, the inlet is formed on one side, that is, the case 162 side. Here, the fixing portion is an inlet side horizontal section forming the hook coupling portion 185, compared to the protruding length of the hook 211, that is, the length between the outer surface of the case 162 and the locking portion 214 ( 186 is formed to be small. This is to allow the bottom horizontal section 186 to be easily inserted into the lower space of the locking portion 214 when the gasket 180 is coupled.

이러한 구성에 의하여, 상기 가스켓(180)을 결합하고자 할 때는, 상기 후크(211)의 외측에 상기 후크결합부(185)의 입구가 위치하게 상기 가스켓(180)을 배치한다. 다음, 상기 가스켓(180)을 상기 후크(211)측으로 가압하면 상기 수평구간(186)은 상기 후크(211)의 경사부(215)를 따라 이동하면서 탄성 변형되고, 상기 경사부(215)의 끝을 지나게 되면 자체의 탄성력으로 초기 위치로 복귀되어 상기 후크(211)의 걸림부(214)와 케이스(162) 사이 공간으로 삽입되어 결합이 완료된다. 차단부는 고정부로부터 전방으로 경사지게 돌출되어 있어 도어(140)의 닫힘 시 도 어(140)의 다이크와 접촉되어 후방으로 탄성 변형된 상태로 다이크와 접촉하게 되어 냉기 누설을 효과적으로 방지하게 된다. By such a configuration, when the gasket 180 is to be coupled, the gasket 180 is disposed such that the inlet of the hook coupling portion 185 is positioned outside the hook 211. Next, when the gasket 180 is pressed toward the hook 211 side, the horizontal section 186 is elastically deformed while moving along the inclined portion 215 of the hook 211, and the end of the inclined portion 215. When it passes through the return to the initial position by its elastic force is inserted into the space between the engaging portion 214 and the case 162 of the hook 211 is completed the coupling. The blocking part protrudes obliquely forward from the fixing part to contact the dyke of the door 140 when the door 140 is closed, thereby contacting the dyke in an elastically deformed state to the rear, thereby effectively preventing cold air leakage.

[제2실시예]Second Embodiment

도 4는 본 발명의 제2실시예에 따른 구획부재를 구비한 냉장고의 구획부재의 단면도이다. 이하, 전술 및 도시한 구성과 동일 및 동일 상당부분에 대해서는 도면 설명의 편의상 도시를 생략하고, 동일한 참조부호를 인용하여 설명하기로 한다. 또한, 일부 중복되는 구성에 대한 상세한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 본 구획부재를 구비한 냉장고는, 냉장실 및 냉동실이 형성되어 있는 냉장고 본체(110); 상기 냉동실의 전면 개구를 복수의 소개구로 구획하는 구획부재(160); 상기 소개구를 개폐하는 도어(140); 상기 구획부재(160)와 상기 도어(140) 사이에 개재되어 틈새를 차단하는 가스켓(180); 및 상기 구획부재(160)에 형성되어 상기 가스켓(180)을 고정지지하는 가스켓지지부(230);를 포함하여 구성되어 있다. 4 is a cross-sectional view of a partition member of a refrigerator having a partition member according to a secon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Hereinafter, the same or equivalent components as those described above and shown in the drawings will be omitted for convenience of description of the drawings and will be described with reference to the same reference numerals. In addition, detailed description of some overlapping configurations will be omitted. The refrigerator including the partition member includes a refrigerator main body 110 in which a refrigerator compartment and a freezer compartment are formed; A partition member 160 for partitioning the front opening of the freezer compartment into a plurality of introduction ports; A door 140 for opening and closing the introduction port; A gasket 180 interposed between the partition member 160 and the door 140 to block a gap; And a gasket support part 230 formed on the partition member 160 to fix and support the gasket 180.

상기 구획부재(160)는 상기 냉동실(130)의 전면 개구를 상하방향을 따라 복수의 소개구로 구획할 수 있게 냉장고 본체(110)의 좌우방향을 따라 배치된다. 상기 냉동실(130)에는 상기 각 소개구를 선택적으로 개폐할 수 있게 도어(140)가 각각 구비된다. 상기 냉동실의 전면, 즉 상기 소개구의 테두리에는 소개구의 이슬맺힘을 방지할 수 있게 핫라인(150)이 구비된다. The partition member 160 is disposed along the left and right directions of the refrigerator main body 110 to partition the front opening of the freezing compartment 130 into a plurality of introduction ports along the vertical direction. The freezing chamber 130 is provided with a door 140 to selectively open and close each introduction port. The front of the freezer compartment, that is, the edge of the introduction port is provided with a hotline 150 to prevent the dew condensation of the introduction port.

한편,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구획부재(160)는, 상기 핫라인(150)을 사이에 두고 전후에서 각각 대면 접촉되어 결합되는 바디(161) 및 전면커버(170)를 구비한다. 상기 바디(161)는, 내부에 수용공간을 형성하는 케이스(162)와, 상기 케 이스(162)의 내부에 수용결합되는 단열재(164)와, 상기 케이스(162)의 후방 개구를 차단하는 후면커버(165)로 구성된다. Meanwhile, as shown in FIG. 4, the partition member 160 includes a body 161 and a front cover 170 which are coupled to face each other in front and rear contact with the hotline 150 interposed therebetween. The body 161 may include a case 162 forming an accommodation space therein, a heat insulating material 164 accommodated in the case 162, and a rear surface blocking the rear opening of the case 162. It consists of a cover 165.

상기 구획부재(160)의 상부면(162a) 및 하부면(162b)에는 상기 구획부재(160)와 상기 도어(140) 사이의 틈새를 차단할 수 있게 가스켓(180)이 각각 구비된다. 상기 구획부재(160)에는 상기 가스켓(180)을 고정 지지할 수 있게 가스켓지지부(230)가 형성되어 있다.Gaskets 180 are provided on the upper surface 162a and the lower surface 162b of the partition member 160 to block a gap between the partition member 160 and the door 140. The partition member 160 is provided with a gasket support 230 to fix and support the gasket 180.

상기 가스켓지지부(230)는,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케이스(162)의 상부면(162a) 및 하부면(162b)에서 각각 상하 방향을 따라 돌출되는 후크(211)와, 상기 후크(211)의 일 측, 즉 후방에서 상기 후크(211)와 상호 협조적으로 상기 가스켓(180)을 지지하는 지지리브를 구비한다.As shown in FIG. 4, the gasket support part 230 includes a hook 211 protruding from the upper surface 162a and the lower surface 162b of the case 162 along the vertical direction, and the hook ( A support rib supporting the gasket 180 in cooperation with the hook 211 at one side, that is, the rear of the 211 is provided.

상기 후크(211)는, 상기 케이스(162)로부터 외측으로 돌출되는 돌출부(213)와, 상기 돌출부(213)에서 수평으로 절곡되는 걸림부(214)를 구비한다. 상기 걸림부(214)에는 경사부(215)가 형성되어 있다. The hook 211 includes a protrusion 213 protruding outward from the case 162 and a locking portion 214 that is bent horizontally from the protrusion 213. An inclined portion 215 is formed at the locking portion 214.

상기 가스켓(180)은, 상기 후크(211)에 결합되는 고정부와, 상기 고정부에서 돌출되어 상기 도어(140)와 접촉되어 상기 도어(140)와 상기 고정부 사이 틈새를 차단하는 차단부를 구비한다. 상기 차단부는 상기 고정부의 전방 모서리에서 전방으로 경사지게 돌출되어 상기 도어(140)의 다이크(dike)에 접촉된다.The gasket 180 includes a fixing part coupled to the hook 211 and a blocking part protruding from the fixing part to contact the door 140 to block a gap between the door 140 and the fixing part. do. The blocking part protrudes obliquely forward from the front edge of the fixing part to contact the dike of the door 140.

상기 고정부에는 상기 후크(211)가 수용 결합될 수 있게 후크결합부(185)가 형성되어 있다. 상기 후크결합부(185)는 상기 후크(211)의 형상에 대응되게 형성되며 일 측, 즉 상기 케이스(162)측에 입구가 형성되어 있다. 여기서, 상기 고정 부는 상기 후크(211)의 돌출 길이, 즉 상기 케이스(162)의 외면과 상기 걸림부(214) 사이의 길이에 비해, 상기 후크결합부(185)를 형성하는 입구측 수평구간(186)의 두께가 작도록 형성된다. 이는 상기 가스켓(180)의 결합시 상기 저부 수평구간(186)이 상기 걸림부(214)의 하측 공간으로 용이하게 삽입될 수 있도록 하기 위함이다.The hook portion 211 is formed in the fixing portion to accommodate the hook 211 is received. The hook coupling portion 185 is formed to correspond to the shape of the hook 211, the inlet is formed on one side, that is, the case 162 side. Here, the fixing portion is an inlet side horizontal section forming the hook coupling portion 185, compared to the protruding length of the hook 211, that is, the length between the outer surface of the case 162 and the locking portion 214 ( 186 is formed to be small. This is to allow the bottom horizontal section 186 to be easily inserted into the lower space of the locking portion 214 when the gasket 180 is coupled.

상기 지지리브는 상기 후크(211)의 후방에 이격되어 상기가스켓(180)의 후면, 보다 구체적으로 상기 후크결합부(185)를 형성하는 수직구간(187)에 접촉되게 형성된다. 이는 상기 도어(140)의 닫힘 등에 의해 상기 가스켓(180)에 후방으로 외력이 작용할 경우 상기 가스켓(180)이 후방으로 밀리는 것을 방지하기 위함이다. 상기 지지리브는 상기 후크(211)에 비해 더 긴 돌출길이를 가지게 형성될 수 있다. 이는 상기 가스켓(180)이 후방으로 밀리는 것을 더욱 효과적으로 방지하기 위함이다. 여기서, 상기 지지리브는 상기 가스켓(180), 보다 구체적으로 상기 후크결합부(185)를 형성하는 수직구간(187)과 탄성 접촉되게 구성될 수 있다. 즉, 상기 수직구간(187)의 두께에 비해 상기 후크(211)와 상기 지지리브의 거리를 약간 작게 형성하거나, 지지리브의 상단이 상기 후크(211)측으로 기울어지게 형성됨으로써, 상기 가스켓(180)의 결합 시 상기 지지리브가 상기 가스켓(180)에 탄성적으로 접촉될 수 있다.The support ribs are spaced apart from the rear of the hook 211 to be in contact with the rear surface of the gasket 180, more specifically, the vertical section 187 forming the hook coupling part 185. This is to prevent the gasket 180 from being pushed rearward when an external force acts backward on the gasket 180 due to the closing of the door 140. The support rib may be formed to have a longer protruding length than the hook 211. This is to more effectively prevent the gasket 180 from being pushed backwards. Here, the support rib may be configured to elastically contact the gasket 180, more specifically the vertical section 187 forming the hook coupling portion 185. That is, the distance between the hook 211 and the support rib is formed to be slightly smaller than the thickness of the vertical section 187, or the upper end of the support rib is inclined toward the hook 211, thereby forming the gasket 180. When the support rib is coupled to the gasket 180 may be elastically contacted.

이러한 구성에 의하여, 상기 가스켓(180)을 결합하고자 할 때는, 상기 후크(211)의 외측에 상기 후크결합부(185)의 입구가 위치하게 상기 가스켓(180)을 배치한다. 다음, 상기 가스켓(180)을 상기 후크(211)측으로 가압하면 상기 수직구 간(187)은 상기 후크(211)와 상기 지지리브 사이에 삽입되고, 상기 수평구간(186)은 상기 후크(211)의 경사부(215)를 따라 이동하면서 탄성 변형된다. 상기 수평구간(186)의 단부가 상기 경사부(215)의 끝을 지나게 되면 자체의 탄성력으로 초기 위치로 복귀되어 상기 후크(211)의 걸림부(214)와 케이스(162) 사이 공간으로 삽입되어 결합이 완료된다. By such a configuration, when the gasket 180 is to be coupled, the gasket 180 is disposed such that the inlet of the hook coupling portion 185 is positioned outside the hook 211. Next, when the gasket 180 is pressed to the hook 211 side, the vertical section 187 is inserted between the hook 211 and the support rib, and the horizontal section 186 is the hook 211. It is elastically deformed while moving along the inclined portion 215. When the end of the horizontal section 186 passes the end of the inclined portion 215 is returned to its initial position by its elastic force is inserted into the space between the engaging portion 214 and the case 162 of the hook 211 The join is complete.

[제3실시예]Third Embodiment

도 5는 본 발명의 제3실시예에 따른 구획부재를 구비한 냉장고의 구획부재의 단면도이고, 도 6은 도 5의 이탈방지부의 변형례이다. 본 구획부재를 구비한 냉장고는, 냉장실 및 냉동실이 형성되어 있는 냉장고 본체(110); 상기 냉동실의 전면 개구를 복수의 소개구로 구획하는 구획부재(160); 상기 소개구를 개폐하는 도어(140); 상기 구획부재(160)와 상기 도어(140) 사이에 개재되어 틈새를 차단하는 가스켓(240); 및 상기 구획부재(160)에 형성되어 상기 가스켓(240)을 고정지지하는 가스켓지지부(250);를 포함하여 구성되어 있다. 5 is a cross-sectional view of a partition member of a refrigerator having a partition member according to a third exemplary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and FIG. 6 is a modification of the departure preventing unit of FIG. 5. The refrigerator including the partition member includes a refrigerator main body 110 in which a refrigerator compartment and a freezer compartment are formed; A partition member 160 for partitioning the front opening of the freezer compartment into a plurality of introduction ports; A door 140 for opening and closing the introduction port; A gasket 240 interposed between the partition member 160 and the door 140 to block a gap; And a gasket support part 250 formed on the partition member 160 to fix and support the gasket 240.

냉동실의 전면에는 냉동실의 전면 개구를 복수의 소개구로 구획할 수 있게 구획부재(160)가 배치되어 있으며, 상기 냉동실에는 상기 소개구를 선택적으로 개폐할 수 있게 도어(140)가 구비된다. 상기 소개구의 테두리에는 이슬맺힘이 방지될 수 있도록 핫라인(150)이 설치된다.A partition member 160 is disposed at a front surface of the freezing compartment to partition the front opening of the freezing compartment into a plurality of inlet openings, and the freezing compartment is provided with a door 140 to selectively open and close the inlet openings. Hot line 150 is installed on the border of the introduction port so that dew condensation can be prevented.

상기 구획부재(160)는,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핫라인(150)을 사이에 두고 전후에서 각각 대면 접촉되어 결합되는 바디(161) 및 전면커버(170)를 구비한다. 상기 바디(161)는, 내부에 수용공간을 형성하는 케이스(162)와, 상기 케 이스(162)의 내부에 수용결합되는 단열재(164)와, 상기 케이스(162)의 후방 개구를 차단하는 후면커버(165)로 구성된다. As illustrated in FIG. 5, the partition member 160 includes a body 161 and a front cover 170 coupled to face each other in front and rear contact with the hotline 150 interposed therebetween. The body 161 may include a case 162 forming an accommodation space therein, a heat insulating material 164 accommodated in the case 162, and a rear surface blocking the rear opening of the case 162. It consists of a cover 165.

상기 구획부재(160)의 상부면(162a) 및 하부면(162b)에는 상기 구획부재(160)와 상기 도어(140) 사이의 틈새를 차단할 수 있게 가스켓(240)이 각각 구비된다. 상기 가스켓(240)은, 상기 구획부재(160)에 접촉 및 고정되는 고정부와, 상기 고정부로부터 돌출되어 상기 도어(140)와 상기 고정부의 틈새를 차단하는 차단부를 구비한다. 상기 고정부는 사각 단면 형상을 가지도록 형성되어 있다. 상기 구획부재(160)에는 상기 가스켓(240)을 고정 지지할 수 있게 가스켓지지부(250)가 형성되어 있다.Gaskets 240 are provided on the upper surface 162a and the lower surface 162b of the partition member 160 to block a gap between the partition member 160 and the door 140. The gasket 240 includes a fixing part contacting and fixed to the partition member 160, and a blocking part protruding from the fixing part to block a gap between the door 140 and the fixing part. The fixing portion is formed to have a rectangular cross-sectional shape. The partition member 160 is provided with a gasket support part 250 to fix and support the gasket 240.

한편, 상기 가스켓지지부(250)는, 상기 케이스(162)의 상부면(162a) 및 하부면(162b)에 각각 외측으로 돌출형성되는 돌출부(251)와, 상기 돌출부(251)의 단부로부터 절곡되는 절곡부(253)와, 상기 돌출부(251) 및 절곡부(253)의 내부에 수용된 상기 가스켓(240)의 이탈을 방지하는 이탈방지부를 구비한다. 상기 돌출부(251)는 상기 케이스(162)의 상부면(162a) 및 하부면(162b)으로부터 각각 외측으로 돌출되고 상기 케이스(162)의 길이방향을 따라 연장되게 형성된다. 상기 절곡부(253)는 상기 돌출부(251)의 상단부에서 절곡되어 상기 구획부재(160)의 길이방향을 따라 연장 형성된다. 여기서, 상기 절곡부(253)는 상기 돌출부(251)의 상단에서 소정 폭을 가지게 절곡되고 상기 돌출부(251)의 길이방향을 따라 이격된 형태로 구성될 수도 있다. On the other hand, the gasket support part 250, the protrusion 251 is formed to protrude outward on the upper surface 162a and the lower surface 162b of the case 162, respectively, is bent from the end of the protrusion 251 The bent portion 253 and the protrusion 251 and the separation prevention portion for preventing the separation of the gasket 240 accommodated in the bent portion 253 is provided. The protrusion 251 protrudes outward from the upper surface 162a and the lower surface 162b of the case 162 and is formed to extend along the longitudinal direction of the case 162. The bent portion 253 is bent at the upper end of the protrusion 251 is formed extending along the longitudinal direction of the partition member 160. Here, the bent portion 253 may be bent to have a predetermined width at the upper end of the protrusion 251 and may be configured to be spaced apart in the longitudinal direction of the protrusion 251.

상기 이탈방지부는 상기 케이스(162)의 외면에 상기 돌출부(251) 및 절곡 부(253)에 대한 상기 고정부의 삽입방향의 후단에 돌출형성되어 있다. 이는 상기 고정부가 삽입방향과 반대방향으로 이탈되는 것을 차단하기 위함이다.The detachment preventing part is formed on the outer surface of the case 162 at the rear end of the fixing part relative to the protrusion part 251 and the bent part 253. This is to prevent the fixing part from being separated in the direction opposite to the insertion direction.

이러한 구성에 의하여, 상기 가스켓(240)을 결합하고자 할 때는, 상기 구획부재(160)의 상측 및 하측에 상기 이탈방지부가 전방을 향하게 고정부를 배치하여 상기 돌출부(251) 및 절곡부(253) 사이에 상기 고정부를 삽입한다. 상기 고정부의 삽입이 완료되면 상기 이탈방지부는 상기 고정부의 삽입방향의 후단에 접촉되어 상기 고정부가 삽입방향과 반대로 이탈되는 것을 차단하게 된다. By such a configuration, when the gasket 240 is to be coupled, the protrusion 251 and the bent portion 253 are disposed at the upper and lower sides of the partition member 160 such that the fixing part is disposed to face forward. Insert the fixing part in between. When the insertion of the fixing part is completed, the separation preventing part is in contact with the rear end of the insertion direction of the fixing part to block the fixing part from being separated in the opposite direction of the insertion direction.

한편,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구획부재(160)에 대해 착탈가능하게 이탈방지부를 형성할 수도 있다. 상기 이탈방지부는, 상기 구획부재(160), 즉 케이스(162)의 표면에 접촉되는 고정구간부(266)와, 상기 고정구간부(266)의 일 측에서 외측으로 돌출되게 절곡되어 상기 고정부에 접촉되는 차단구간부(267)를 구비한다. 상기 고정구간부(266)에는 상기 케이스(162)에 결합되는 스크류가 통과할 수 있게 관통공(268)이 형성되어 있다. On the other hand, as shown in Figure 6, it is also possible to form a detachable prevention portion detachably with respect to the partition member (160). The detachment preventing part may be bent to protrude outward from one side of the fixing section 266 and the fixing section 266, which is in contact with the surface of the partition member 160, that is, the case 162 to contact the fixing part. A blocking section 267 is provided. A through hole 268 is formed in the fixing section 266 to allow a screw coupled to the case 162 to pass therethrough.

이러한 구성에 의하여, 상기 가스켓(240)을 결합하고자 할 때는, 상기 고정부를 상기 절곡부(253) 및 돌출부(251) 사이 공간에 삽입하고, 상기 고정부의 전방, 즉 고정부의 삽입방향의 후단에 상기 차단구간부(267)가 접촉되게 배치한다. 다음, 상기 고정구간부(266)의 각 관통공(268)에 스크류를 체결하여 상기 이탈방지부가 상기 케이스(162)에 일체로 고정결합되도록 하면 결합이 완료된다. In this configuration, when the gasket 240 is to be coupled, the fixing portion is inserted into the space between the bent portion 253 and the protrusion 251, and the front of the fixing portion, that is, the insertion direction of the fixing portion. The blocking section 267 is arranged to contact the rear end. Next, the coupling is completed by fastening the screw to each through hole 268 of the fixing section 266 so that the separation preventing unit is integrally fixed to the case 162.

전술 및 도시한 실시예에서는, 구획부재가 냉각실의 전면 개구를 상하방향으로 구획할 수 있게 구획부재가 냉각실의 전면에 냉장고 본체의 좌우방향을 따라 배 치된 경우를 예를 들어 설명하고 있지만, 상기 구획부재는 냉각실의 전면 개구를 좌우방향으로 구획할 수 있게 상기 냉장고 본체의 상하방향을 따라 구획부재가 배치되게 구성할 수도 있다. In the above-described and illustrated embodiments, the case in which the partition member is arranged along the left and right directions of the refrigerator main body on the front surface of the cooling chamber so that the partition member partitions the front opening of the cooling chamber in the vertical direction is described. The partition member may be configured such that the partition member is disposed along the vertical direction of the refrigerator main body so as to partition the front opening of the cooling chamber in the left and right direction.

또한, 전술 및 도시한 실시예에서는, 케이스가 일체로 형성된 경우를 예를 들어 설명하고 있지만, 상기 케이스의 상부면 및 저부면이 서로 분리되게 구성될 수도 있다. 이 경우, 상기 케이스의 상부면 및 저부면은 상기 전면커버에 스크류 등에 의해 결합될 수 있다. In addition, in the above-described and illustrated embodiments, a case in which the case is integrally described is described by way of example, but the top and bottom surfaces of the case may be configured to be separated from each other. In this case, the top and bottom surfaces of the case may be coupled to the front cover by screws or the like.

도 1은 종래의 냉장고의 일 예를 도시한 사시도,1 is a perspective view showing an example of a conventional refrigerator,

도 2는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 따른 구획부재를 구비한 냉장고의 사시도, 2 is a perspective view of a refrigerator having a partition member according to a first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3은 도 2의 Ⅲ-Ⅲ선에 따른 구획부재의 확대단면도,3 is an enlarged cross-sectional view of a partition member taken along line III-III of FIG. 2;

도 4는 본 발명의 제2실시예에 따른 구획부재를 구비한 냉장고의 구획부재의 단면도,4 is a cross-sectional view of a partition member of a refrigerator having a partition member according to a secon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5는 본 발명의 제3실시예에 따른 구획부재를 구비한 냉장고의 구획부재의 단면도, 5 is a cross-sectional view of a partition member of a refrigerator having a partition member according to a thir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6은 도 5의 이탈방지부의 변형례이다.FIG. 6 is a modification of the release preventing unit of FIG. 5.

*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Explanation of symbols on the main parts of the drawings

110 : 냉장고 본체 120 : 냉장실110: refrigerator body 120: refrigerator

130 : 냉동실 140 : 도어130: freezer 140: door

150 : 핫라인 160 : 구획부재150: hotline 160: partition member

161 : 바디 162 : 케이스161: body 162: case

163 : 핫라인 수용부 164 : 단열재163: hotline accommodating part 164: heat insulating material

165 : 후면커버 170 : 전면커버165 rear cover 170 front cover

173 : 관통공 175 : 스크류173 through hole 175 screw

180 : 가스켓 181 : 고정부180: gasket 181: fixing part

183 : 차단부 185 : 후크결하부183: block 185: hook hook

186 : 수평구간 187 : 수직구간186: horizontal section 187: vertical section

210 : 가스켓지지부 211 : 후크210: gasket support 211: hook

213 : 돌출부 214 : 걸림부213: protrusion 214: locking portion

215 : 경사부215: inclined portion

Claims (10)

냉각실이 형성되어 있는 냉장고 본체;A refrigerator body in which a cooling chamber is formed; 상기 냉각실의 전면 개구를 복수의 소개구로 구획하는 구획부재;A partition member for partitioning the front opening of the cooling chamber into a plurality of introduction ports; 상기 소개구를 개폐하는 도어;A door for opening and closing the introduction port; 상기 구획부재와 상기 도어 사이에 개재되어 틈새를 차단하는 가스켓; 및A gasket interposed between the partition member and the door to block a gap; And 상기 구획부재에 형성되어 상기 가스켓을 고정지지하는 가스켓지지부;를A gasket support part formed on the partition member to support the gasket; 포함하는 구획부재를 구비한 냉장고.Refrigerator having a partition member comprising. 제1항에 있어서,The method of claim 1, 상기 가스켓지지부는 상기 구획부재에 돌출 형성되는 후크를 포함하며, 상기 가스켓에는 상기 후크가 수용 결합될 수 있게 후크결합부가 형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구획부재를 구비한 냉장고. The gasket support part includes a hook protruding from the partition member, and the gasket includes a hook coupling part formed to accommodate the hook. 제2항에 있어서,The method of claim 2, 상기 가스켓지지부는 상기 가스켓의 후방에 접촉되게 상기 구획부재로부터 돌출되는 지지리브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구획부재를 구비한 냉장고.And the gasket support part further comprises a support rib protruding from the partition member so as to be in contact with the rear of the gasket. 제1항에 있어서,The method of claim 1, 상기 가스켓지지부는, 상기 구획부재로부터 돌출되는 돌출부와, 상기 돌출부 의 단부에서 절곡되는 절곡부와, 상기 돌출부와 상기 절곡부의 일 측에 배치되어 상기 돌출부 및 상기 절곡부에 수용된 상기 가스켓의 이탈을 방지하는 이탈방지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구획부재를 구비한 냉장고. The gasket support part includes a protrusion protruding from the partition member, a bent portion bent at an end of the protrusion, and disposed at one side of the protrusion and the bent portion to prevent separation of the gasket accommodated in the protrusion and the bent portion. Refrigerator having a partition member, characterized in that it comprises a departure prevention portion. 제4항에 있어서,The method of claim 4, wherein 상기 돌출부는 상기 냉장고 본체의 전후방향을 따라 상기 가스켓의 후방에 접촉되게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구획부재를 구비한 냉장고. And the protrusion is formed to be in contact with the rear of the gasket along the front-rear direction of the refrigerator main body. 제4항에 있어서,The method of claim 4, wherein 상기 이탈방지부는 상기 구획부재로부터 돌출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구획부재를 구비한 냉장고. The detachment preventing unit is provided with a partition member, characterized in that protruding from the partition member. 제4항에 있어서,The method of claim 4, wherein 상기 이탈방지부는 착탈 가능하게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구획부재를 구비한 냉장고.The detachment preventing part is a refrigerator having a partition member, characterized in that formed detachably. 제1항 내지 제7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The method according to any one of claims 1 to 7, 상기 가스켓은, 상기 구획부재에 접촉되는 고정부와, 상기 고정부에서 돌출되어 상기 도어에 접촉되는 차단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구획부재를 구비한 냉장고. The gasket includes a fixing part in contact with the partition member and a blocking part protruding from the fixing part in contact with the door. 제8항에 있어서,The method of claim 8, 상기 구획부재에는 핫라인이 결합되며, 상기 구획부재는, 상기 핫라인의 후방에 배치되는 바디와, 상기 핫라인의 전방에서 상기 바디와 결합되는 전면커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구획부재를 구비한 냉장고. A hotline is coupled to the partition member, and the partition member includes a body disposed behind the hotline, and a front cover coupled to the body at the front of the hotline. 제9항에 있어서,The method of claim 9, 상기 바디는, 내부에 수용공간을 형성하는 케이스와, 상기 케이스의 내부에 수용되는 단열재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구획부재를 구비한 냉장고. The body is a refrigerator having a partition member, characterized in that it comprises a case for forming an accommodation space therein, and a heat insulating material accommodated in the interior of the case.
KR1020080059256A 2008-06-23 2008-06-23 Refrigerator with partition member KR100985105B1 (en)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80059256A KR100985105B1 (en) 2008-06-23 2008-06-23 Refrigerator with partition member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80059256A KR100985105B1 (en) 2008-06-23 2008-06-23 Refrigerator with partition member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90133018A true KR20090133018A (en) 2009-12-31
KR100985105B1 KR100985105B1 (en) 2010-10-05

Family

ID=4169193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80059256A KR100985105B1 (en) 2008-06-23 2008-06-23 Refrigerator with partition member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985105B1 (en)

Cited B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10078841A (en) 2019-12-19 2021-06-29 엘지전자 주식회사 Vacuum adiabatic body and refrigerator
KR20210078842A (en) 2019-12-19 2021-06-29 엘지전자 주식회사 Vacuum adiabatic body and refrigerator
KR20210078845A (en) 2019-12-19 2021-06-29 엘지전자 주식회사 Vacuum adiabatic body and refrigerator
KR20210078844A (en) 2019-12-19 2021-06-29 엘지전자 주식회사 Vacuum adiabatic body and refrigerator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11906239B2 (en) * 2022-04-25 2024-02-20 Haier Us Appliance Solutions, Inc. Systems for heat leak prevention in refrigerator appliances

Family Cites Familie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1012841A (en) 1999-06-29 2001-01-19 Matsushita Refrig Co Ltd Refrigerator
JP2003172566A (en) 2001-09-26 2003-06-20 Matsushita Refrig Co Ltd Refrigerator
KR20070028635A (en) * 2005-08-30 2007-03-13 엘지전자 주식회사 A door-structure for refrigerator

Cited B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10078841A (en) 2019-12-19 2021-06-29 엘지전자 주식회사 Vacuum adiabatic body and refrigerator
KR20210078842A (en) 2019-12-19 2021-06-29 엘지전자 주식회사 Vacuum adiabatic body and refrigerator
KR20210078845A (en) 2019-12-19 2021-06-29 엘지전자 주식회사 Vacuum adiabatic body and refrigerator
KR20210078844A (en) 2019-12-19 2021-06-29 엘지전자 주식회사 Vacuum adiabatic body and refrigerator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0985105B1 (en) 2010-10-05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985105B1 (en) Refrigerator with partition member
EP3109581A2 (en) Refrigerator
KR20170065775A (en) Refrigerator
KR100951294B1 (en) Refrigerator
KR100951287B1 (en) Refrigerator with partition member
CN106996671B (en) Refrigerator with a door
KR100972283B1 (en) Refrigerator with partition member
KR101304814B1 (en) A front and rear gap prevention structure for door of refrigerator
JP2014006013A (en) Freezer
KR101902247B1 (en) A refrigerator door structure having a dividing bar assembly and a refrigerator thereof
JP2002022351A (en) Partition structure of refrigerator
KR20090133019A (en) Refrigerator with partition member
JP2005156133A (en) Refrigerator
KR20100000365A (en) Refrigerator with partition member
JP3957926B2 (en) refrigerator
JP6386274B2 (en) refrigerator
KR200180237Y1 (en) Refrigerator
JP3796783B2 (en) refrigerator
KR20090115597A (en) Refrigerator with partition member
JP2013190135A (en) Refrigerator
KR100907258B1 (en) Refrigerator with rail
JP2018071899A (en) refrigerator
JP2016017698A (en) refrigerator
KR20090115596A (en) Refrigerator with partition member and manufacturing method thereof
KR100651308B1 (en) A refrigerator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0823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0822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0824

Year of fee payment: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824

Year of fee payment: 7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814

Year of fee payment: 8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