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90132238A - Pen-shaped scanner - Google Patents

Pen-shaped scanner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90132238A
KR20090132238A KR1020080058408A KR20080058408A KR20090132238A KR 20090132238 A KR20090132238 A KR 20090132238A KR 1020080058408 A KR1020080058408 A KR 1020080058408A KR 20080058408 A KR20080058408 A KR 20080058408A KR 20090132238 A KR20090132238 A KR 20090132238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receiving element
light receiving
image
scanner
pe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80058408A
Other languages
Korean (ko)
Inventor
홍영표
Original Assignee
제노젠(주)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제노젠(주) filed Critical 제노젠(주)
Priority to KR1020080058408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90132238A/en
Publication of KR20090132238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90132238A/en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01Input arrangements or combined input and output arrangements for interaction between user and computer
    • G06F3/03Arrangements for converting the position or the displacement of a member into a coded form
    • G06F3/033Pointing devices displaced or positioned by the user, e.g. mice, trackballs, pens or joysticks; Accessories therefor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1/00Scanning, transmission or reproduction of documents or the like, e.g. facsimile transmission; Details thereof
    • H04N1/04Scanning arrangements, i.e. arrangements for the displacement of active reading or reproducing elements relative to the original or reproducing medium, or vice versa
    • H04N1/10Scanning arrangements, i.e. arrangements for the displacement of active reading or reproducing elements relative to the original or reproducing medium, or vice versa using flat picture-bearing surfaces
    • H04N1/107Scanning arrangements, i.e. arrangements for the displacement of active reading or reproducing elements relative to the original or reproducing medium, or vice versa using flat picture-bearing surfaces with manual scanning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1/00Scanning, transmission or reproduction of documents or the like, e.g. facsimile transmission; Details thereof
    • H04N1/04Scanning arrangements, i.e. arrangements for the displacement of active reading or reproducing elements relative to the original or reproducing medium, or vice versa
    • H04N1/19Scanning arrangements, i.e. arrangements for the displacement of active reading or reproducing elements relative to the original or reproducing medium, or vice versa using multi-element arrays
    • H04N1/191Scanning arrangements, i.e. arrangements for the displacement of active reading or reproducing elements relative to the original or reproducing medium, or vice versa using multi-element arrays the array comprising a one-dimensional array, or a combination of one-dimensional arrays, or a substantially one-dimensional array, e.g. an array of staggered elements
    • H04N1/192Simultaneously or substantially simultaneously scanning picture elements on one main scanning line
    • H04N1/193Simultaneously or substantially simultaneously scanning picture elements on one main scanning line using electrically scanned linear arrays, e.g. linear CCD array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2201/00Indexing scheme relating to scanning, transmission or reproduction of documents or the like, and to details thereof
    • H04N2201/0096Portable device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ultimedia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Human Computer Interaction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Facsimile Scanning Arrangements (AREA)
  • Image Input (AREA)

Abstract

PURPOSE: A pen scanner is provided to move a pen while putting a tip below a column to be scanned, thereby easily obtaining an image of a desired part of a document or a book. CONSTITUTION: A pointed tip(110) moves while being put on a scan target object. A light receiving element(122) photographs a surface of the scan target object around the tip. A controller(132) controls operation of the light receiving element. The controller processes an image photographed by the light receiving element. By movement to a side of a pen scanner(100), plural images are photographed. Two images are bonded together at the corresponding position. By deletion of an overlapped part, one roughly-oblong image is obtained.

Description

펜 스캐너 {PEN-SHAPED SCANNER}Pen Scanner {PEN-SHAPED SCANNER}

이 발명은 스캐너에 관한 것이며, 더 자세하게는 문서 또는 책의 일부를 행단위로 스캔할 수 있는 펜 모양의 스캐너에 관한 것이다.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scanner, and more particularly, to a pen-shaped scanner that can scan a portion of a document or book line by line.

지면에 인쇄된 문자 또는 도형의 이미지를 캡처하는 스캐너는 다양한 형태로 개발되어 있다. 가장 보편적인 형태는 탁자 위에 올려놓고 사용하는 거치형이며, 촬상면을 따라 이동하는 라인 수광소자를 이용하여 스캔 대상 물체의 지면을 스캔한다.Scanners for capturing images of text or figures printed on the ground have been developed in various forms. The most common type is a stationary type that is placed on a table and scans the surface of an object to be scanned using a line light receiving element moving along an image plane.

한편, 디지털 펜 또는 펜 마우스 등이 개발되어 있다. 디지털 펜과 펜 마우스는 모두 컴퓨터의 포인팅 장치의 일종인 광마우스에서 사용하는 수광소자를 이용한다. 광마우스용 수광소자는 통상적으로 8×8 픽셀 내의 각 화소의 명암만을 구별한다. 즉, 디지털 펜 또는 펜 마우스는 8×8 픽셀 내의 각 화소의 명암의 이동으로부터 지면에 대한 상대적 이동을 감지하기 위한 장치이며, 육안으로 식별할 정도의 다소 큰 크기의 면적의 이미지를 캡처할 능력은 없다.On the other hand, digital pens or pen mice have been developed. Digital pens and pen mice both use light-receiving elements used in optical mice, a type of pointing device for computers. The light receiving element for an optical mouse typically distinguishes only the contrast of each pixel within 8x8 pixels. In other words, a digital pen or pen mouse is a device for detecting relative movement with respect to the ground from the movement of the intensity of each pixel within 8x8 pixels, and the ability to capture an image of a size large enough to be visually discernible is none.

한 행 또는 두 행 정도의 지면의 이미지를 효율적으로 캡처할 수 있는 작고 간편한 스캐너가 요구된다. 스캔하고자 하는 부분을 정확하게 겨냥하여 원하는 이미지를 용이하게 얻을 수 있는 스캐너가 요구된다.There is a need for a small and simple scanner that can efficiently capture images of one or two rows of ground. There is a need for a scanner capable of easily obtaining the desired image by precisely targeting the portion to be scanned.

위와 같은 과제를 해결하기 위해, 책 또는 문서 등과 같은 스캔 대상 물체의 이미지를 획득하는 스캐너가 제공된다. 양호하게는 이 스캐너가 펜 스캐너로 형성된다. 여기에서, "펜 스캐너"라고 함은 팬 그립(pen grip) 방식으로 잡고 사용할 수 있도록 가늘고 길에 형성된 스캐너를 지칭한다.In order to solve the above problems, there is provided a scanner for obtaining an image of the object to be scanned, such as books or documents. Preferably this scanner is formed as a pen scanner. As used herein, the term "pen scanner" refers to a scanner that is thin and formed in a way that can be held and used in a pen grip manner.

이 발명에 따른 스캐너는 스캔 대상 물체에 대고 이동하게 구성된 뾰족한 팁(pointed tip)과, 팁 근처의 스캔 대상 물체의 표면을 촬상하게 구성된 수광소자 및, 수광소자의 작동을 제어하고 수광소자에 의해 촬상된 이미지를 처리하게 구성된 컨트롤러를 포함한다. 여기에서, "처리"라고 함은 이미지 신호를 메모리에 저장하거나, 통신 네트워크를 통해 다른 머신 또는 저장장치로 전송하거나, 이미지에서 OCR(optical character recognition) 방식으로 텍스트 등과 같은 파생 정보를 추출하는 것과 같은 다양한 태스크(task)를 포괄적으로 지칭하는 것이다.The scanner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has a pointed tip configured to move relative to the object to be scanned, a light receiving element configured to image the surface of the object to be scanned near the tip, and an image of the light receiving element which controls the operation of the light receiving element. It includes a controller configured to process the rendered image. Herein, "processing" refers to storing an image signal in memory, transmitting it to another machine or storage device over a communication network, or extracting derived information, such as text, in an optical character recognition (OCR) manner from an image. It is a generic term for various tasks.

양호하게는, 팁이 지면과 구름 접촉하는 볼을 포함할 수 있을 것이다.Preferably, the tip may comprise a ball in cloud contact with the ground.

양호하게는, 수광소자가 면적 수광소자이고, 스캐너는 스캔 대상 물체의 표면에서 반사된 빛을 상기 면적 수광소자에 입사시켜 이미지를 형성하게 구성된 렌 즈를 더 포함할 수 있을 것이다.Preferably, the light receiving element is an area receiving element, and the scanner may further include a lens configured to inject light reflected from the surface of the object to be scanned into the area receiving element to form an image.

양호하게는, 수광소자가 라인 수광소자이고, 스캐너는 스캐너의 이동 방향과 속도를 감지하는 이동감지 수단을 더 포함할 수 있을 것이다.Preferably, the light receiving element is a line light receiving element, and the scanner may further include movement detecting means for detecting a moving direction and a speed of the scanner.

양호하게는, 팁을 스캔 대상 물체에 댈 때 팁에 가해지는 압력에 의해 작동하는 압력감지 스위치를 더 포함할 수 있을 것이다.Preferably, the method may further include a pressure sensing switch operated by the pressure applied to the tip when the tip is placed on the object to be scanned.

양호하게는, 스캔 대상 물체를 조명하는 광원을 더 포함할 수 있을 것이다.Preferably, it may further include a light source for illuminating the object to be scanned.

양호하게는, 외부의 소리를 입력하는 마이크를 더 포함할 수 있을 것이다.Preferably, it may further include a microphone for inputting an external sound.

양호하게는, 외부로 소리를 출력하는 스피커를 더 포함할 수 있을 것이다.Preferably, it may further include a speaker for outputting sound to the outside.

위와 같은 스캐너를 이용하면, 스캔하고자 하는 행의 아래에 팁을 대고 펜으로 밑줄을 긋듯이 이동함으로써, 문서 또는 책의 원하는 부분의 이미지를 용이하게 획득할 수 있다.Using such a scanner, it is possible to easily obtain an image of a desired portion of a document or a book by moving the tip under the row to be scanned and underlining with a pen.

이 스캐너는 펜처럼 용이하게 휴대할 수 있다.The scanner can be easily carried like a pen.

이 스캐너는 마이크와 스피커를 구비함으로써 문서 또는 책에 인쇄된 문자 와 외부에서 입력되는 음향 또는 음성 및 외부로 출력해야 할 소리를 상호변환 또는 상호관련시키는 다양한 방식의 컴퓨테이션(computation)이 가능하게 한다.The scanner is equipped with a microphone and a speaker, which enables a variety of computations to interconvert or correlate text printed on a document or book, externally input or voice, and sounds to be output. .

이 발명의 상기 및 기타의 목적, 특징 및 장점은 첨부된 도면을 참고한 실시예에 관한 이하의 설명으로부터 명백해질 것이다.These and other objects, features and advantages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come apparent from the following description of the embodiments with reference to the accompanying drawings.

도 1은 이 발명의 양호한 실시예에 따른 펜 스캐너(100)의 외관을 개략적으 로 도시한 도면이다.1 is a view schematically showing the appearance of a pen scanner 100 according to a preferre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이 발명의 양호한 실시예에 따른 펜 스캐너(100)는 한 손으로 펜 그립 방식으로 쥐고 사용하기에 편리하도록 가늘고 길게 형성되어 있다.The pen scanner 100 according to the preferre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formed to be thin and long so as to be conveniently held and used in one hand with a pen grip method.

펜 스캐너(100)의 선단에는 지면에 대고 이동할 수 있는 펜촉(110)이 형성되어 있다. 펜촉(110)은 단지 뾰족한 팁의 형태로 형성될 수도 있고, 지면과의 마찰을 최소화하기 위한 볼펜촉으로 형성될 수도 있다. 펜촉(110)은 지면에 잉크를 묻히는 보통의 펜촉 또는 볼펜촉일 수도 있고, 단지 펜 스캐너(100)가 스캔할 위치만 겨냥하기 위한 더미(dummy) 펜촉일 수도 있다.The tip of the pen scanner 100 is formed with a pen nib 110 that can move against the ground. The nib 110 may be formed only in the form of a pointed tip, or may be formed of a ball nib for minimizing friction with the ground. The nib 110 may be a regular nib or ball nib that deposits ink on the ground, or may be a dummy nib for targeting only the locations where the pen scanner 100 will scan.

펜촉(110) 근처의 펜 스캐너(100)의 내부에는 아래에서 각 실시예마다 더 자세하게 설명될 수광소자가 배치되어 있다. 펜촉(110)은 수광소자(122)와 지면 사이의 간격을 대략적으로 일정하게 유지하면서 스캐너(100)를 지면 상의 원하는 위치를 따라 이동시키는 것을 수월하게 한다.Inside the pen scanner 100 near the nib 110, a light receiving element to be described in more detail in each embodiment is disposed below. The nib 110 facilitates moving the scanner 100 along a desired position on the ground while maintaining a substantially constant distance between the light receiving element 122 and the ground.

예시된 실시예에서는 펜 스캐너(100)의 후단 근처에 마이크(154)와 스피커(152)가 배치된 것으로 도시되어 있지만, 이 발명에 따른 펜 스캐너(100)가 이러한 마이크(154)와 스피커(152)가 구비된 구성에 의해 제한되는 것은 아니다.In the illustrated embodiment, although the microphone 154 and the speaker 152 are shown disposed near the rear end of the pen scanner 100, the pen scanner 100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s such a microphone 154 and the speaker 152. ) Is not limited by the configuration provided.

도 2는 이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펜 스캐너(100)의 내부 구성요소를 개략적으로 도시한 도면이다.2 is a diagram schematically showing the internal components of the pen scanner 100 according to the first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2에 보이듯이, 이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펜 스캐너(100)는 면적 수광소자(122)를 구비한다. 면적 수광소자(122)는 예를 들어 CCD(charge-coupled device) 또는 CMOS(complementary metal oxide semiconductor) 등과 같은 이미지 센서로 구성된다. 면적 수광소자(122)는 통상적으로 다수의 화소(또는 수광소자)가 소정의 종횡비를 갖는 직사각형을 이루게 배열된 수광소자이며, 정지상태에서 렌즈(124)를 통해 형성되는 직사각형 시야 내의 피사체의 이미지를 촬상한다. 좀더 양호한 이미지를 얻기 위해 스캔될 지면을 조명하는 조명용 광원(126)을 포함할 수도 있다.As shown in FIG. 2, the pen scanner 100 according to the first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an area light receiving element 122. The area light receiving element 122 is composed of an image sensor such as a charge-coupled device (CCD) or a complementary metal oxide semiconductor (CMOS). The area light receiving element 122 is typically a light receiving element in which a plurality of pixels (or light receiving elements) are arranged to form a rectangle having a predetermined aspect ratio, and the image of the subject in the rectangular field of view formed through the lens 124 in a stationary state is displayed. Take a picture. It may also include an illumination light source 126 that illuminates the ground to be scanned to obtain a better image.

도 3은 도 2에 도시된 제1 실시예에 따른 펜 스캐너(100)를 필기 자세로 손에 쥐고 펜촉(110)을 지면에 댔을 때 지면과 만나는 면적 수광소자(122)의 촬상영역, 즉 시야(320)를 도시한다. 면적 수광소자(122)의 시야(320)는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지면에 대한 펜촉(110)의 접점(310)의 바로 위에 형성되는 것이 양호하지만, 이 발명의 구성이 이러한 시야(320) 위치에 의해 제한되는 것은 아니다. 도 3a 내지 도 3e에 보이듯이, 면적 수광소자(122)의 시야(320)는 펜촉(110)의 접점(310)의 좌상, 우상, 좌, 우, 하 등 다양한 위치에 형성될 수 있을 것이다.3 illustrates an image capturing area of the area light receiving element 122 that meets the ground when the pen scanner 100 according to the first embodiment shown in FIG. 2 is held in a hand in a writing position and the nib 110 is put on the ground. The field of view 320 is shown. Although the field of view 320 of the area light receiving element 122 is preferably formed directly above the contact point 310 of the nib 110 with respect to the ground as shown in FIG. 3, the configuration of the present invention is such a field of view 320. It is not limited by location. As shown in FIGS. 3A to 3E, the field of view 320 of the area light receiving device 122 may be formed at various positions such as the upper left, upper right, left, right, and bottom of the contact point 310 of the nib 110.

이 발명에 따른 펜 스캐너(100)는 문서 또는 책의 한 행 이상에 대응하는 폭을 갖고 길이가 긴 장방형 영역의 이미지를 스캔하기 위한 것이다. 도 3 또는 도 3a 내지 도 3e에 도시된 면적 수광소자(122)의 시야(320)의 세로 길이는 스캔하고자 하는 영역의 폭에 대응하지만, 가로 길이는 스캔하고자 하는 영역의 길의 수십분의 일에 불과하다.The pen scanner 100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s for scanning an image of a long rectangular area having a width corresponding to one or more rows of a document or a book. Although the vertical length of the field of view 320 of the area light receiving element 122 shown in FIG. 3 or FIGS. 3A to 3E corresponds to the width of the area to be scanned, the horizontal length is one tenth of the length of the area to be scanned. It is only.

도 2에 도시된 이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펜 스캐너(100)에서는 이미지 스티칭 기술을 이용하여 스캔 영역의 연장이 이루어진다. 다시 말해서, 펜 스캐너(100)를 옆으로 이동하면서 다수의 이미지를 촬상하고, 인접한 이미지들의 세로 방향의 화소 배열을 비교하여 서로 대응하는 위치에서 두 개의 이미지를 접합한 후, 중첩되는 부분을 삭제함으로써 하나의 길쭉한 대략 장방형의 이미지가 얻어진다.In the pen scanner 100 according to the first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shown in FIG. 2, the scan area is extended using an image stitching technique. In other words, by photographing a plurality of images while moving the pen scanner 100 to the side, by comparing the vertical pixel arrangement of the adjacent images to join the two images at the corresponding position, by deleting the overlapping portion One elongated approximately rectangular image is obtained.

도 4는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구성된 펜 스캐너(100)를 이용하여 책의 이미지를 촬상한 후, 앞서 설명한 이미지 스티칭 기술에 의해 접합하여 획득한 예시적 이미지를 도시한다. 도 4의 이미지에서 가로 방향의 가장자리 선이 계단 모양으로 들쭉날쭉한 것은 다수의 이미지를 이미지 스티칭 기술에 의해 접합하여 얻어진 것임을 나타낸다.4 illustrates an example image obtained by capturing an image of a book using a pen scanner 100 configured as illustrated in FIG. 2, and then bonding the same by using the image stitching technique described above. The jagged edges in the transverse direction in the image of FIG. 4 indicate that a plurality of images are obtained by joining by image stitching techniques.

펜촉(110)은 펜 스캐너(100)를 옆으로 이동시키면서 이미지를 촬상하는 과정에서 사용자가 스캔하고자 하는 영역을 따라 펜 스캐너를 이동시키기에 수월하게 한다. 즉,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면적 수광소자(122)의 시야(320)가 펜촉의 위쪽에 배치되는 펜 스캐너(100)에서는 사용자가 펜 스캐너(100)를 잡고, 펜촉을 스캔하고자 행의 좌단 아래에 대고, 스캔하고자 하는 행 아래에 밑줄을 긋듯이 우측으로 이동시킴으로써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은 길쭉한 대략 장방형의 이미지를 얻을 수 있다. 책의 한 행을 스캔함에 있어서 대략 100여 개의 이미지가 촬상되어 스티칭된다.The pen tip 110 makes it easy to move the pen scanner along an area to be scanned by the user in the process of capturing an image while moving the pen scanner 100 sideways. That is, in the pen scanner 100 in which the field of view 320 of the area light receiving element 122 is disposed above the pen tip, as shown in FIG. 3, the user holds the pen scanner 100 and the left end of the row to scan the pen tip. At the bottom, an elongated approximately rectangular image as shown in FIG. 4 can be obtained by moving to the right underlined the row to be scanned. In scanning a row of books, approximately 100 images are captured and stitched.

도 5는 이 발명의 제2 실시예에 따른 펜 스캐너(200)의 내부 구성요소를 개략적으로 도시한 도면이다.5 is a diagram schematically showing the internal components of the pen scanner 200 according to the secon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5에 보이듯이, 이 발명의 제2 실시예에 따른 펜 스캐너(200)는 라인 수광소자(222)를 구비한다. 라인 수광소자(222)는 예를 들어 CCD(charge-coupled device) 또는 CMOS(complementary metal oxide semiconductor) 등과 같은 이미지 센서로 구성된다. 라인 수광소자(222)는 다수의 화소(또는 수광소자)가 소정의 길이를 갖는 직선형을 이루게 배열된 수광소자이다. 라인 수광소자(222)의 선폭은 하나의 화소 또는 두개 이상의 화소에 대응할 수 있지만, 그 폭이 면적 수광소자(122)의 가로 길이에 비해 매우 작다. 즉, "라인 수광소자"와 "면적 수광소자"라는 용어에서 라인과 면적의 의미는 가로 방향의 길이의 차이에 따른 상대적 개념인 것으로 이해하여야 하며, 라인 수광소자(222)는 화소가 일렬로 배열된 것에만 제한되는 것이 아니며 2열 이상으로 배열될 수도 있지만 면적 수광소자(122)보다는 훨씬 적은 수의 열로 배열되기 때문이다. 라인 수광소자(222)는 통상적으로 피사체와 수광소자 사이에 렌즈를 배치하지 않으며, 피사체로부터 수광소자에 일정한 각도(통상적으로 직각)로 입사되는 빛만 수광한다. 라인 수광소자(222)에서 좀더 양호한 이미지를 획득하기 위해 지면을 조명하는 광원(도시 안됨)을 구비할 수도 있을 것이다.As shown in FIG. 5, the pen scanner 200 according to the secon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a line light receiving element 222. The line light receiving element 222 is configured of, for example, an image sensor such as a charge-coupled device (CCD) or a complementary metal oxide semiconductor (CMOS). The line light receiving element 222 is a light receiving element in which a plurality of pixels (or light receiving elements) are arranged in a straight line having a predetermined length. The line width of the line light receiving element 222 may correspond to one pixel or two or more pixels, but the width thereof is very small compared to the horizontal length of the area light receiving element 122. That is, the terms "line light receiving element" and "area light receiving element" in the terms of the line and area should be understood as a relative concept according to the difference in the length of the horizontal direction, the line light receiving element 222 is arranged in a line This is because the present invention is not limited thereto but may be arranged in two or more rows, but is arranged in a much smaller number of rows than the area light receiving element 122. The line light receiving element 222 typically does not arrange a lens between the subject and the light receiving element, and receives only light incident from the subject at a predetermined angle (typically right angle) from the subject. It may be provided with a light source (not shown) that illuminates the ground to obtain a better image in the line light receiving element 222.

도 5에 도시된 이 발명의 제2 실시예에 따른 펜 스캐너(200)가 정지상태에서 감지하는 이미지는 도 6에 보이듯이 피사체의 직선형 이미지(420)이다.The image detected by the pen scanner 200 according to the secon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n FIG. 5 in a stationary state is a linear image 420 of a subject as shown in FIG. 6.

도 6은 도 5에 도시된 제2 실시예에 따른 펜 스캐너(200)를 필기 자세로 손에 쥐고 펜촉(210)을 지면에 댔을 때 라인 수광소자(222)가 지면에 대한 펜촉(210)의 접점(410)의 좌측의 지면의 직선 부분의 이미지(420)를 감지하는 것을 도시한다. 라인 수광소자(222)에 의해 직선형 이미지(420)가 감지되는 지면의 위치는, 도 6a 내지 도 6f에 보이듯이, 펜촉(210)의 접점(410)의 좌, 우, 상 등에 다 양하게 배치될 수 있을 것이다.FIG. 6 illustrates that the line light receiving element 222 has a nib 210 against the ground when the pen scanner 200 according to the second embodiment shown in FIG. 5 is held in a hand with the pen nib 210 held on the ground. Illustrating sensing an image 420 of a straight portion of the ground on the left side of the contact 410. The position of the ground on which the linear image 420 is sensed by the line light receiving element 222 is arranged in various ways such as left, right, and top of the contact point 410 of the nib 210 as shown in FIGS. 6A to 6F. Could be.

도 5에 도시된 이 발명의 제2 실시예에 따른 펜 스캐너(200)에서는 펜 스캐너(200)가 옆으로 이동함에 따라 계속적으로 직선형 이미지(420)를 감지하고, 감지된 이미지(420)를 연속으로 접합함으로써 길쭉한 하나의 이미지를 얻는다. 라인 수광소자(222)를 이용하는 이 발명의 제2 실시예에 따른 펜 스캐너(200)에서는, 통상적으로, 이미지 스티칭 기술은 이용되지 않으며, 펜 스캐너(200)의 이동을 정확하게 감지하고, 한 이미지를 감지한 위치를 벗어나자마자 라인 수광소자(222)가 다른 한 이미지를 감지하게 하는 기술이 이용된다. 종래의 책상 거치형 평판 스캐너 등에서는 스태핑 모터 등과 같은 기계식 이동 속도 제어 또는 이동감지 수단이 이용된다. 이 발명에 따른 펜 스캐너(200)에서는 예를 들어 광학식 또는 전자식 이동 감지 수단이 이용될 수 있을 것이다. 예를 들어,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이 발명의 제2 실시예에 따른 펜 스캐너(200)는 이미지 감지용 수광소자인 라인 수광소자(222) 외에, 펜 스캐너의 이동을 감지하는 이동감지용 수광소자(242) 및 광원(244)을 추가로 구비할 수 있을 것이다. 이동감지용 수광소자(242)는 보통의 광마우스에서 이용되는 수광소자를 이용할 수 있을 것이고, 이때 이동감지는 보통의 광마우스에서 이동을 감지하는 것과 동일한 방식으로 이루어질 수 있을 것이다. 광마우스에서 이동을 감지하는 기술은 이 기술분야에서 숙련된 자에게는 널리 알려진 것이므로, 여기에서는 더 설명하지 아니 한다.In the pen scanner 200 according to the second exemplary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llustrated in FIG. 5, the pen scanner 200 continuously detects the straight image 420 as the pen scanner 200 moves sideways, and continuously detects the detected image 420. By joining, we get an elongated image. In the pen scanner 200 according to the secon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using the line light receiving element 222, an image stitching technique is typically not used, and accurately detects the movement of the pen scanner 200, and displays one image. As soon as the sensor deviates from the detected position, a technique of causing the line light receiving element 222 to sense another image is used. In a conventional desk-mounted flatbed scanner or the like, a mechanical moving speed control or movement detecting means such as a stepping motor is used. In the pen scanner 200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for example, an optical or electronic movement sensing means may be used. For example, as shown in FIG. 5, the pen scanner 200 according to the secon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may detect a movement of the pen scanner in addition to the line light receiving element 222 which is an image sensing light receiving element. The light receiving element 242 and the light source 244 may be further provided. The movement detecting light receiving element 242 may use a light receiving element used in an ordinary optical mouse, in which case the movement sensing may be performed in the same manner as detecting a movement in an ordinary optical mouse. Techniques for detecting movement in optical mice are well known to those skilled in the art and will not be described further herein.

제2 실시예에 따라 라인 수광소자(222)를 이용하는 펜 스캐너(200)는 렌즈 없이 통상적으로 직각으로 입사되는 빛만을 수광하여 이미지를 감지하는 라인 수광 소자의 특성상 왜곡 없는 이미지를 얻을 수 있다. 즉, 제1 실시예에 따라 면적 수광소자(122)를 이용하는 펜 스캐너(100)는 렌즈(124)를 통해 입사되는 빛을 수광하여 이미지를 촬상하므로, 렌즈수차 또는 색수차 등과 같은 각종 수차로 인해 이미지에 다소간의 왜곡이 발생할 수 있다. 그러나, 제2 실시예에 따른 펜 스캐너(200)를 지나치게 빨리 이동시키면, 라인 수광소자(222)가 이미지를 미처 감지하지 못하고 누락시킬 수 있으므로, 거의 일정한 속도로 서서히 이동시켜야 한다. 즉, 라인 수광소자(222)를 이용하는 제2 실시예에 따른 펜 스캐너(200)는 정해진 스캔 속도 내에서는 면적 수광소자(122)를 이용하는 제1 실시예에 따른 펜 스캐너(100)에 비해 왜곡 없는 정확한 이미지를 얻을 수 있지만, 통상적으로, 구현 가능한 최대 스캔 속도가 제1 실시예에 따른 펜 스캐너(100)에서 구현 가능한 스캔 속도보다 느리다.According to the second exemplary embodiment, the pen scanner 200 using the line light receiving element 222 may obtain a distortion-free image due to the characteristics of the line light receiving element that detects an image by receiving only light incident at a right angle without a lens. That is, since the pen scanner 100 using the area light receiving element 122 according to the first embodiment receives the light incident through the lens 124 to capture an image, the pen scanner 100 receives the image due to various aberrations such as lens aberration or chromatic aberration. Some distortion may occur. However, if the pen scanner 200 according to the second embodiment is moved too fast, the line light receiving device 222 may not detect the image and may miss it, and therefore, the pen scanner 200 may be moved slowly at an almost constant speed. That is, the pen scanner 200 according to the second embodiment using the line light receiving element 222 has no distortion compared to the pen scanner 100 according to the first embodiment using the area light receiving element 122 within a predetermined scan speed. Although accurate images can be obtained, typically, the maximum scan speed that can be implemented is slower than the scan speed that can be implemented in the pen scanner 100 according to the first embodiment.

제1 실시예 및 제2 실시예에 따른 펜 스캐너(100, 200)에서 컨트롤러(132, 232)는 수광소자(122, 222) 등 각종 구성요소의 작동을 제어하고, 수광소자(122, 222)에 의해 획득된 이미지를 처리하는 역할을 한다. 이미지의 처리는 앞서 설명한 이미지 스티칭 또는 직선형 이미지의 연속적인 접합을 포함한다. 또한, 이미지의 처리는 획득된 이미지로부터 OCR(optical character recognition) 방식으로 문자를 추출하는 것을 포함할 수도 있을 것이다. 추출된 문자는 예를 들어 TTS(text-to-speech) 모듈을 이용하여 음성정보로 변환되어 스피커(152, 252)를 통해 출력될 수도 있을 것이다. 또한, 추출된 문자는 마이크(154, 254)를 통해 입력되어 저장되는 음성정보의 파일명 또는 색인어로 이용될 수도 있을 것이다. 또한, 추출된 문자는 각종 정보를 검색하기 위한 검색어로 이용될 수도 있을 것이다.In the pen scanners 100 and 200 according to the first and second embodiments, the controllers 132 and 232 control the operation of various components such as the light receiving elements 122 and 222, and the light receiving elements 122 and 222. It serves to process the image acquired by. The processing of the images involves the image stitching described above or the continuous joining of the straight images. The processing of the image may also include extracting the character from the acquired image in an optical character recognition (OCR) manner. For example, the extracted text may be converted into voice information using a text-to-speech (TTS) module and output through the speakers 152 and 252. In addition, the extracted text may be used as a file name or index word of voice information input and stored through the microphones 154 and 254. Also, the extracted text may be used as a search word for searching for various information.

도시되지는 않았지만, 펜 스캐너(100)는 LCD(liquid crystal display) 등과 같은 표시장치를 구비할 수도 있을 것이다. 또한, 도시되지는 않았지만, 펜 스캐너(100, 200)는 인트라넷, 인터넷, 유무선 전화망 등과 같은 각종 통신 네트워크 상에 있는 다른 머신과 연결될 수 있는 유선 및/또는 무선 통신포트 또는 통신 모듈(136, 236)을 구비할 수 있을 것이다. 통신포트 또는 통신 모듈(136, 236)은 USB(Universal Serial Bus), UWB(Ultra-wideband), 지그비(Zigbee), 블루투스(Bluetooth) 등과 같은 적절한 통신 프로토콜을 이용하여 구성될 수 있을 것이며, 무선 전화망에 가입자로서 직접 연결되게 구성될 수도 있을 것이다.Although not shown, the pen scanner 100 may include a display device such as a liquid crystal display (LCD). In addition, although not shown, the pen scanners 100 and 200 may be wired and / or wireless communication ports or communication modules 136 and 236 that may be connected to other machines on various communication networks such as intranets, the Internet, wired and wireless telephone networks, and the like. It may be provided. The communication port or communication module 136, 236 may be configured using a suitable communication protocol such as Universal Serial Bus (USB), Ultra-wideband (UWB), Zigbee, Bluetooth, and the like. It may also be configured to connect directly as a subscriber.

펜 스캐너(100)가 네트워크 상에 있는 다른 머신과 연결될 수 있게 구성되는 경우에는, 앞서 설명한 이미지 처리와 문자 추출 및 추출된 문자의 이용에 관한 각종 작동의 적어도 일부가 적어도 하나의 머신에서 분산 처리될 수도 있을 것이다.If the pen scanner 100 is configured to be able to connect with other machines on a network, at least some of the various operations relating to image processing and character extraction and use of the extracted characters described above may be distributed on at least one machine. Could be

컨트롤러(136, 236)는 수광소자(122, 222), 마이크(154, 254) 및/또는 스피커(152, 252)의 작동을 제어하는 단순한 컨트롤러일 수도 있고, 앞서 설명한 이미지 처리와 문자 추출 및 추출된 문자의 이용에 관한 각종 작동의 적어도 일부를 처리하는 PLC(Programmable Logic Controller) 또는 CPU(central processing unit)일 수도 있을 것이다.The controllers 136 and 236 may be simple controllers that control the operation of the light receiving elements 122 and 222, the microphones 154 and 254 and / or the speakers 152 and 252, and the image processing and character extraction and extraction described above. It may also be a programmable logic controller (PLC) or a central processing unit (CPU) that handles at least some of the various operations related to the use of these characters.

또한, 펜 스캐너(100, 200)는 예를 들어 충전식 배터리 등과 같은 전원(138, 238)을 구비할 수도 있고, 메모리(134, 234)를 구비할 수도 있다.In addition, the pen scanners 100 and 200 may include power sources 138 and 238 such as, for example, rechargeable batteries, and may include memories 134 and 234.

또한, 펜 스캐너(100, 200)는 펜촉(110, 210)을 지면에 댈 때 펜촉(110, 210)에 가해지는 압력에 의해 작동하는 압력감지식 스위치(112, 212)를 구비할 수도 있으며, 압력감지식 스위치(112, 212)가 온(ON) 되면 조명이 켜지면서 수광소자(122)가 지면을 스캔한 이미지를 획득하고, 압력감지식 스위치(112, 212)가 오프(OFF) 되면 조명이 꺼지게 구성될 수 있을 것이다.In addition, the pen scanners 100 and 200 may include pressure-sensitive switches 112 and 212 that operate by pressure applied to the nibs 110 and 210 when the nibs 110 and 210 are held on the ground. When the pressure-sensitive switches 112 and 212 are turned on, the illumination is turned on, and the light receiving element 122 acquires an image of scanning the ground. When the pressure-sensitive switches 112 and 212 are turned off, the lights are turned on. This could be configured to turn off.

이 발명을 특정한 실시예와 관련하여 설명하였지만, 이것은 단지 이 발명의 목적, 특징, 이점에 대한 이해를 돕기 위한 예시적인 것일 뿐이며, 이 발명의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는, 특허청구의 범위에 기재된 이 발명의 보호범위 및 이 발명의 기술 사상으로부터 벗어남이 없이 예시된 실시예로부터의 변경 또는 변화를 용이하게 알 수 있을 것이다. 특허청구의 범위는 그러한 변경 또는 변화예를 포함하려는 것임을 이해하여야 한다.While the invention has been described in connection with specific embodiments, it is merely illustrative to assist in understanding the purpose, features, and advantages of the invention, and for those of ordinary skill in the art, Changes or variations from the illustrated embodiments will be readily apparent without departing from the scope of protection of the invention and the spirit of the invention described in the scope. It is to be understood that the scope of the claims is to cover such changes or modifications.

도 1은 이 발명의 양호한 실시예에 따른 펜 스캐너의 외관을 개략적으로 도시한 도면이다.1 is a view schematically showing the appearance of a pen scanner according to a preferre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2는 이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펜 스캐너의 내부 구성요소를 개략적으로 도시한 단면도이다.2 is a cross-sectional view schematically showing the internal components of the pen scanner according to the first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3은 도 2에 도시된 이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펜 스캐너의 촬상영역을 도시한다.FIG. 3 shows an imaging area of the pen scanner according to the first embodiment of this invention shown in FIG. 2.

도 3a 내지 도 3e는 도 3에 도시된 펜 스캐너의 촬상영역의 변화예적 위치들을 도시한다.3A to 3E show exemplary positions of change of the imaging area of the pen scanner shown in FIG.

도 4는 도 2에 도시된 이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펜 스캐너를 이용하여 획득한 예시적 스캔 이미지를 도시한다.4 shows an exemplary scan image obtained using a pen scanner according to the first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shown in FIG. 2.

도 5는 이 발명의 제2 실시예에 따른 펜 스캐너의 내부 구성요소를 개략적으로 도시한 단면도이다.5 is a cross-sectional view schematically showing the internal components of the pen scanner according to the secon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6은 도 5에 도시된 이 발명의 제2 실시예에 따른 펜 스캐너의 촬상영역을 도시한다.FIG. 6 shows an imaging area of the pen scanner according to the second embodiment of this invention shown in FIG. 5.

도 6a 내지 도 6f는 도 6에 도시된 펜 스캐너의 촬상영역의 변화예적 위치들을 도시한다.6A to 6F show example positions of change of the imaging area of the pen scanner shown in FIG.

Claims (8)

스캔 대상 물체의 이미지를 획득하는 스캐너에 있어서,A scanner for acquiring an image of an object to be scanned, 스캔 대상 물체에 대고 이동하게 구성된 뾰족한 팁(pointed tip)과,A pointed tip configured to move against the object being scanned, 상기 팁 근처의 스캔 대상 물체의 표면을 촬상하게 구성된 수광소자 및,A light receiving element configured to image a surface of a scan object near the tip; 상기 수광소자의 작동을 제어하고 상기 수광소자에 의해 촬상된 이미지를 처리하게 구성된 컨트롤러를 포함하는 스캐너.And a controller configured to control operation of the light receiving element and to process an image captured by the light receiving element. 청구항 1에 있어서,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상기 팁이 지면과 구름 접촉하는 볼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스캐너.And the ball comprises a ball in cloud contact with the ground. 청구항 1에 있어서,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상기 수광소자가 면적 수광소자이고,The light receiving element is an area light receiving element, 상기 스캐너는 스캔 대상 물체의 표면에서 반사된 빛을 상기 면적 수광소자에 입사시켜 이미지를 형성하게 구성된 렌즈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스캐너.The scanner further comprises a lens configured to inject light reflected from the surface of the object to be scanned into the area receiving element to form an image. 청구항 1에 있어서,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상기 수광소자가 라인 수광소자이고,The light receiving element is a line light receiving element, 상기 스캐너는 상기 스캐너의 이동 방향과 속도를 감지하는 이동감지 수단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스캐너.The scanner further comprises a movement detecting means for detecting the moving direction and the speed of the scanner. 청구항 1에 있어서,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상기 팁을 스캔 대상 물체에 댈 때 상기 팁에 가해지는 압력에 의해 작동하는 압력감지 스위치를 더 포함하는 것으로 특징으로 하는 스캐너.And a pressure sensing switch actuated by the pressure applied to the tip when the tip is placed on the object to be scanned. 청구항 1에 있어서,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스캔 대상 물체를 조명하는 광원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스캐너.The scanner further comprises a light source for illuminating the object to be scanned. 청구항 1에 있어서,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외부의 소리를 입력하는 마이크를 더 포함하는 스캐너.The scanner further includes a microphone for inputting external sound. 청구항 1에 있어서,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외부로 소리를 출력하는 스피커를 더 포함하는 스캐너.The scanner further comprises a speaker for outputting sound to the outside.
KR1020080058408A 2008-06-20 2008-06-20 Pen-shaped scanner KR20090132238A (en)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80058408A KR20090132238A (en) 2008-06-20 2008-06-20 Pen-shaped scanner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80058408A KR20090132238A (en) 2008-06-20 2008-06-20 Pen-shaped scanner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90132238A true KR20090132238A (en) 2009-12-30

Family

ID=4169133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80058408A KR20090132238A (en) 2008-06-20 2008-06-20 Pen-shaped scanner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90132238A (en)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90069850A (en) 2017-12-12 2019-06-20 왕한호 A pen scanner
CN111783768A (en) * 2020-07-07 2020-10-16 科大讯飞股份有限公司 Scanning pen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90069850A (en) 2017-12-12 2019-06-20 왕한호 A pen scanner
CN111783768A (en) * 2020-07-07 2020-10-16 科大讯飞股份有限公司 Scanning pen
CN111783768B (en) * 2020-07-07 2023-12-01 科大讯飞股份有限公司 Scanning pen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2001184161A (en) Method and device for inputting information, writing input device, method for managing written data, method for controlling display, portable electronic writing device, and recording medium
US7015969B2 (en) Hand-held image capture apparatus with scanning arrangement
US10180724B2 (en) Operating terminal and operating method
JP2013070212A (en) Image processor and image processing program
US11301063B2 (en) Smart pen device and method of implementing a smart pen device
WO2015186312A1 (en) Image reading device
WO2012163112A1 (en) Frame-skipping scanning and recognizing device and method
US20130076909A1 (en) System and method for editing electronic content using a handheld device
CN212256338U (en) Scanning pen
KR20090132238A (en) Pen-shaped scanner
US9961217B2 (en) Electronic apparatus with instruction reception unit receiving instruction indicated by user and computer-readable medium with program
JP5310040B2 (en) Imaging processing apparatus and program
US20180152566A1 (en) Portable electronic device for scanning and editing of documents
US8531401B2 (en) Computer accessory device
WO1999060467A1 (en) Device and method for recording hand-written information
JP6197801B2 (en) Data input system, data input device, data input method, and data input program
TWI498754B (en) Method and device of document digitization
JP6891094B2 (en) Mouse scanner and scan program
JP5310039B2 (en) Imaging processing apparatus and program
KR100935201B1 (en) Portable scanner with namecard scanning and viewing function
KR20100023218A (en) High-speed pen-shaped scanner
CN100446536C (en) Portable electronic recording pen using planar array detector and scanning method
JP2015088907A (en) Imaging apparatus and digital pen
KR20100022896A (en) Multimedia recorder and player played with book
JP5750598B2 (en) Scanner mouse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WITB Written withdrawal of applic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