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90131722A - 서로 다른 유전율을 가지는 기판에 형성된 안테나 패턴부를이용한 이동통신단말기 내장형 안테나 및 이를 이용한이동통신단말기 - Google Patents

서로 다른 유전율을 가지는 기판에 형성된 안테나 패턴부를이용한 이동통신단말기 내장형 안테나 및 이를 이용한이동통신단말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90131722A
KR20090131722A KR1020080057618A KR20080057618A KR20090131722A KR 20090131722 A KR20090131722 A KR 20090131722A KR 1020080057618 A KR1020080057618 A KR 1020080057618A KR 20080057618 A KR20080057618 A KR 20080057618A KR 20090131722 A KR20090131722 A KR 20090131722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antenna
substrate
mobile communication
communication terminal
buil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80057618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장영철
김남기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케이티테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케이티테크 filed Critical 주식회사 케이티테크
Priority to KR1020080057618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90131722A/ko
Publication of KR20090131722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90131722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QANTENNAS, i.e. RADIO AERIALS
    • H01Q1/00Details of, or arrangements associated with, antennas
    • H01Q1/12Supports; Mounting means
    • H01Q1/22Supports; Mounting means by structural association with other equipment or articles
    • H01Q1/24Supports; Mounting means by structural association with other equipment or articles with receiving set
    • H01Q1/241Supports; Mounting means by structural association with other equipment or articles with receiving set used in mobile communications, e.g. GSM
    • H01Q1/242Supports; Mounting means by structural association with other equipment or articles with receiving set used in mobile communications, e.g. GSM specially adapted for hand-held use
    • H01Q1/243Supports; Mounting means by structural association with other equipment or articles with receiving set used in mobile communications, e.g. GSM specially adapted for hand-held use with built-in antenna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QANTENNAS, i.e. RADIO AERIALS
    • H01Q1/00Details of, or arrangements associated with, antennas
    • H01Q1/36Structural form of radiating elements, e.g. cone, spiral, umbrella; Particular materials used therewith
    • H01Q1/38Structural form of radiating elements, e.g. cone, spiral, umbrella; Particular materials used therewith formed by a conductive layer on an insulating support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R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COUPLING DEVICES; CURRENT COLLECTORS
    • H01R13/00Details of coupling devices of the kinds covered by groups H01R12/70 or H01R24/00 - H01R33/00
    • H01R13/646Details of coupling devices of the kinds covered by groups H01R12/70 or H01R24/00 - H01R33/00 specially adapted for high-frequency, e.g. structures providing an impedance match or phase match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MTELEPHONIC COMMUNICATION
    • H04M1/00Substation equipment, e.g. for use by subscribers
    • H04M1/02Constructional features of telephone sets
    • H04M1/0202Portable telephone sets, e.g. cordless phones, mobile phones or bar type handset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R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COUPLING DEVICES; CURRENT COLLECTORS
    • H01R2201/00Connectors or connections adapted for particular applications
    • H01R2201/02Connectors or connections adapted for particular applications for antenna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Support Of Aerials (AREA)

Abstract

저주파 대역에 대응하여 소형화가 용이한 이동통신단말기용 내장형 안테나가 개시된다. 제 1 유전율을 가지는 적어도 하나의 제 1 기판, 제 2 유전율을 가지는 제 2 기판 및 제 1 기판과 제 2 기판 상에 걸쳐 형성되고, 이동통신단말기의 메인보드로부터 급전라인을 통하여 급전되는 급전 단자를 구비하는 안테나 패턴부를 포함하여 이동통신단말기용 내장형 안테나를 구성한다. 따라서, 서로 다른 유전율의 기판 상에 안테나 패턴부를 형성함으로써, 저 유전율 기판에서는 방사성능의 향상을 얻을 수 있고, 고 유전율 기판에서는 적은 부피에서도 저주파의 공진주파수를 조절할 수 있어 대역 특성을 얻을 수 있도록 하는 상호보완적인 안테나 구성을 취할 수 있다. 이를 통해, 별도의 외장형 안테나의 사용 없이도 내장형 안테나만으로도 다양한 부가 서비스를 지원 가능하므로 이동통신단말기 디자인의 자유도를 제고하고, 이동통신단말기의 제조 비용을 절감시키는 효과를 가져올 수 있다.
이동통신단말기, 내장, 안테나, 유전율, DMB

Description

서로 다른 유전율을 가지는 기판에 형성된 안테나 패턴부를 이용한 이동통신단말기 내장형 안테나 및 이를 이용한 이동통신단말기{MOBILE-TELEPHONE BUILT-IN ANTENNA USING ANTENNA PATTERN FORMED ON SUBSTRATES HAVING DIFFERENT PERMITTIVITY, AND MOBILE TELEPHONE USING THE SAME}
본 발명은 이동통신단말기의 내장형 안테나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협소한 단말기의 내부공간에 실장될 수 있는 내장형 안테나로서, 이동통신단말기가 지원하는 다양한 부가 서비스의 주파수 대역을 별도의 외장 안테나 없이 하나의 내장형 안테나로 지원할 수 있도록 하는 이동통신단말기용 내장형 안테나에 관한 것이다.
최근에 보편화되고 있는 이동통신단말기나 휴대용 디지털 TV(예컨대, DMB, DVB-H, MediaFlo) 단말기 등의 슬림화나 소형화에는 안테나 기술의 발전 또한 중요한 요인이 될 수 있다.
예컨대, 종래 1세대 이동통신단말기들의 경우에는 스터드(stud) 타입의 안테나를 구비하여, 이동통신단말기의 상단 일 측에 돌출된 형태의 외장을 가져 휴대가 불편하고 파손의 우려가 컸으며 이동통신단말기의 상품성에 큰 영향을 미치는 디자 인의 자유도가 한정되는 문제가 있었다. 그러나, 최근에는 대부분 안테나가 단말기의 하우징내에 장착되어 돌출된 형태의 안테나가 외관상 노출되지 않는 인테나(intenna) 형태가 보편적으로 채택되고 있다.
또한, 최근의 단말기들의 경우에는 대부분 두 개 또는 세 개 이상의 대역을 수용해야 한다. 예컨대, 제 3 세대 이동통신의 대표 주자로서 전세계적으로 보편화되고 있는 3GPP 표준에 의한 WCDMA(Wide-band Code Division Multiple Access) 기술을 준수하는 이동통신단말기의 경우에는 대부분의 경우 기본적으로 GSM 주파수 대역(860 ~ 960MHz), UMTS(Universal Mobile Telecommunications System) 대역(1,920 ~ 2,170MHz)을 지원하여야 하며, 추가적으로 DCS(Global Positioning System) 대역(1,710 ~ 1,880MHz) 및 PCS(Personal Communication Service) 대역(1,880 ~ 1,990MHz)을 지원하여야 한다. 즉, 내장형 안테나의 경우에도 슬림화되고 소형화되는 이동통신단말기의 디자인 추세에 부합되도록 작은 부피 내에서도 우수한 방사 특성과 넓은 대역폭을 가져야 하는 요구가 뒤따른다.
더욱이, 최근의 단말기들은 다양한 부가 서비스를 지원하고 있다. 예컨대, GPS, 블루투스(Bluetooth), 지상파 또는 위성파 디지털 멀티미디어 방송(DMB: Digital Multimedia Broadcasting) 등의 부가 서비스를 지원하고 있으며, 최근에는 NFC(Near Field Communication) 등의 RFID(Radio Frequency Identification) 기능의 지원까지도 보편화되고 있는 추세이다.
한편, 이러한 다양한 부가서비스들은 서로 중복되거나 서로 상이한 주파수 대역을 이용하고 있으므로, 앞서 언급된 단말기의 내장형 안테나와는 별개의 주파 수 대역에 대응되는 별도의 안테나를 구비하여야 한다는 문제점이 존재한다. 이를 해결하기 위해서는 광대역의 안테나를 이용하는 방법도 있으나, 하나의 안테나로 모든 주파수 대역을 고르게 커버하는 광대역 특성을 얻기는 현실적으로 어려움이 있으며, 어느 하나의 부가서비스에 대응되는 주파수 대역에서는 수신감도의 저하가 따른다. 또한, 이동통신단말기 본연의 통신서비스용의 주파수 대역에 비하여 디지털 멀티미디어 방송(DMB)와 같은 경우는 상대적으로 주파수 대역이 낮아서 안테나의 부피가 커지게 된다는 문제점이 있다.
따라서, 이에 대한 대안으로 각각의 부가서비스들에 대응되는 용도의 외장형 안테나를 단말기의 외장형 안테나 알에프 컨넥터에 연결시켜 사용하는 방법이 이용되고 있으나, 이 또한 외장형 안테나의 소지 상의 불편과 분실의 우려가 따르며, 외장형 안테나를 단말기에 부착시킨 상태에서 힘이 가해질 경우 파손의 우려가 높아 서비스 비용이 증대된다는 문제점이 있다.
이러한 문제를 해결하기 위하여, 부가서비스 용도의 안테나 역시 단말기 내부에 실장시키는 내장형 안테나를 이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그러나, 단말기 내부에 실장되는 안테나의 경우에는 이동통신단말기 내에서 실장될 수 있는 안테나 공간이 점점 더 협소화되고 있는 추세에 있을 뿐 아니라, 안테나 주위에 금속성분의 기구물과 잡음을 유발할 수 있는 부품들이 존재해서는 안되는 RF적인 제약이 존재하여, 단말기의 디자인에 큰 제약 사항으로 존재한다.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본 발명의 목적은, 협소한 단말기의 내부공간에 실장될 수 있는 내장형 안테나로서, 이동통신단말기가 지원하는 다양한 부가 서비스의 주파수 대역을 별도의 외장 안테나없이 하나의 내장형 안테나로 지원할 수 있도록 하는 이동통신단말기용 내장형 안테나를 제공하는데 있다.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이동통신단말기가 지원하는 다양한 부가 서비스의 주파수 대역을 별도의 외장 안테나없이 하나의 내장형 안테나로 지원할 수 있도록 하는 내장형 안테나를 구비한 이동통신단말기를 제공하는데 있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은, 이동통신단말기에 이용되는 내장형 안테나에 있어서, 제 1 유전율을 가지는 적어도 하나의 제 1 기판, 제 2 유전율을 가지는 제 2 기판 및 상기 제 1 기판과 상기 제 2 기판 상에 걸쳐 형성되고, 이동통신단말기의 메인보드로부터 급전라인을 통하여 급전되는 급전 단자를 구비하는 안테나 패턴부를 포함한 이동통신단말기용 내장형 안테나를 제공한다.
여기에서, 상기 제 1 기판이 가지는 제 1 유전율은 상기 제 2 기판이 가지는 제 2 유전율과 상이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여기에서, 상기 제 1 기판과 상기 제 2 기판은 동일 평면 상에 배치되도록 구성될 수 있다. 이때, 상기 제 1 기판은 상기 제 2 기판의 양 측면에 배치될 수 있다.
여기에서, 상기 안테나 패턴부는 인쇄회로기판(PCB: Printed Circuit Board) 패턴으로 구성될 수 있다. 이때, 상기 인쇄회로기판 패턴은 상기 제 1 기판 및 제 2기판 중의 적어도 하나의 앞 뒷면에 형성되며, 상기 제 1 기판 및 제 2 기판 중의 적어도 하나의 앞 뒷면에 형성된 패턴은 쓰루 비아(thru via)에 의해서 서로 연결되도록 구성될 수 있다.
상기 다른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은, 상기 이동통신단말기용 내장형 안테나를 구비한 이동통신단말기를 제공한다.
여기에서, 상기 이동통신단말기는, 상기 내장형 안테나와 별도인 외장형 안테나가 연결되는 알에프 컨넥터부 및 상기 알에프 컨넥터부를 통해 연결되는 상기 외장형 안테나와 상기 내장형 안테나를 선택적으로 전환하여 내부 회로에 접속시키는 스위칭부를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여기에서, 상기 스위칭부는 상기 이동통신단말기의 외부로 노출된 스위치를 구비하며, 상기 스위치는 사용자에 의하여 조작되어, 상기 알에프 컨넥터부를 통해 연결되는 상기 외장형 안테나와 상기 내장형 안테나를 선택적으로 전환하여 내부 회로에 접속시키도록 구성될 수 있다.
여기에서, 상기 스위칭부는 상기 내장형 안테나와 상기 외장형 안테나의 수신감도를 비교하여 높은 수신 감도를 가지는 안테나를 선택적으로 전환하여 내부회로에 접속시키도록 구성될 수 있다.
여기에서, 상기 스위칭부는 상기 외장형 안테나가 상기 알에프 컨넥터부에 연결된 것을 감지하여, 상기 외장형 안테나가 상기 알에프 컨넥터부에 연결된 경우에는 상기 외장형 안테나를 내부 회로에 접속시키고, 상기 외장형 안테나가 상기 알에프 컨넥터부에 연결되지 않은 경우에는 상기 내장형 안테나를 내부 회로에 접속시키도록 구성될 수 있다.
상기와 같은 본 발명에 따른 이동통신단말기용 내장형 안테나를 이용할 경우에는, 별도의 부가서비스용 외장형 안테나를 사용자가 소지하고 다니면서 필요 시마다 이동통신단말기에 결합하여 사용하는 대신에 하나의 내장형 안테나로 부가서비스에 대응되는 주파수 대역을 지원 가능하므로, 외장형 안테나를 소지하고 다닐 경우의 불편을 해소할 수 있다.
즉, 서로 다른 유전율의 기판 상에 안테나 패턴부를 형성함으로써, 저 유전율 기판에서는 방사성능의 향상을 얻을 수 있고, 고 유전율 기판에서는 적은 부피에서도 저주파의 공진주파수를 조절할 수 있어 대역 특성을 얻을 수 있도록 하여 상호보완적인 안테나 구성을 취할 수 있다.
이를 통하여, 외부로 돌출되는 외장형 안테나의 사용 없이도 내장형 안테나만으로도 다양한 부가 서비스를 지원 가능하므로 이동통신단말기 디자인의 자유도를 제고할 수 있으며, 단일한 내장형 안테나를 채용하는 것에 의해서 이동통신단말기의 제조 비용을 절감시키는 효과를 가져올 수 있다.
본 발명은 다양한 변경을 가할 수 있고 여러 가지 실시예를 가질 수 있는 바, 특정 실시예들을 도면에 예시하고 상세한 설명에 상세하게 설명하고자 한다. 그러나, 이는 본 발명을 특정한 실시 형태에 대해 한정하려는 것이 아니며, 본 발명의 사상 및 기술 범위에 포함되는 모든 변경, 균등물 내지 대체물을 포함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각 도면을 설명하면서 유사한 참조부호를 유사한 구성요소에 대해 사용하였다.
제1, 제2, A, B 등의 용어는 다양한 구성요소들을 설명하는데 사용될 수 있지만, 상기 구성요소들은 상기 용어들에 의해 한정되어서는 안 된다. 상기 용어들은 하나의 구성요소를 다른 구성요소로부터 구별하는 목적으로만 사용된다. 예를 들어, 본 발명의 권리 범위를 벗어나지 않으면서 제1 구성요소는 제2 구성요소로 명명될 수 있고, 유사하게 제2 구성요소도 제1 구성요소로 명명될 수 있다. 및/또는 이라는 용어는 복수의 관련된 기재된 항목들의 조합 또는 복수의 관련된 기재된 항목들 중의 어느 항목을 포함한다.
어떤 구성요소가 다른 구성요소에 "연결되어" 있다거나 "접속되어" 있다고 언급된 때에는, 그 다른 구성요소에 직접적으로 연결되어 있거나 또는 접속되어 있을 수도 있지만, 중간에 다른 구성요소가 존재할 수도 있다고 이해되어야 할 것이다. 반면에, 어떤 구성요소가 다른 구성요소에 "직접 연결되어" 있다거나 "직접 접속되어" 있다고 언급된 때에는, 중간에 다른 구성요소가 존재하지 않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할 것이다.
본 출원에서 사용한 용어는 단지 특정한 실시예를 설명하기 위해 사용된 것으로, 본 발명을 한정하려는 의도가 아니다. 단수의 표현은 문맥상 명백하게 다르 게 뜻하지 않는 한, 복수의 표현을 포함한다. 본 출원에서, "포함하다" 또는 "가지다" 등의 용어는 명세서상에 기재된 특징,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이 존재함을 지정하려는 것이지, 하나 또는 그 이상의 다른 특징들이나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들의 존재 또는 부가 가능성을 미리 배제하지 않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다르게 정의되지 않는 한, 기술적이거나 과학적인 용어를 포함해서 여기서 사용되는 모든 용어들은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해 일반적으로 이해되는 것과 동일한 의미를 가지고 있다. 일반적으로 사용되는 사전에 정의되어 있는 것과 같은 용어들은 관련 기술의 문맥 상 가지는 의미와 일치하는 의미를 가지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하며, 본 출원에서 명백하게 정의하지 않는 한, 이상적이거나 과도하게 형식적인 의미로 해석되지 않는다.
이하, 본 발명에 따른 바람직한 실시예를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하게 설명한다.
본 발명에 따른 이동통신단말기 내장형 안테나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이동통신단말기 내장형 안테나의 일 실시예를 도시한 개념도이다.
도 1을 참조하면, 본 발명에 따른 이동통신단말기 내장형 안테나(100)는 제 1 유전율을 가지는 제 1 기판(110), 제 2 유전율을 가지는 제 2 기판(120) 및 제 1 기판(110)과 제 2 기판(120)에 걸쳐 형성된 안테나 패턴부(130)를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또한, 안테나 패턴부(130)는 이동통신단말기의 메인보드(미도시)로부터 급전라인을 통하여 연결되는 급전 단자(feeding point; 131)를 가진다. 이때, 제 1 유전율과 제 2 유전율이 서로 다른 값을 가지도록 제 1 기판(110)과 제 2 기판(120)의 재질은 선택된다.
또한, 제 1 기판(110)과 제 2 기판(120)은 동일 평면 상에 배치되도록 구성될 수 있다.
예컨대, 도 1에서 예시된 본 발명에 따른 내장형 안테나의 일 실시예에서는 제 2 기판(120)을 가운데에 위치시키고 제 1 기판(110)이 제 2 기판(120)의 양 측면에 배치된 구조를 취하고 있다. 그러나, 본 발명에 따른 내장형 안테나는 도 1에서 예시된 구조에 한정되지 않고 다양한 구성을 취할 수 있다. 예컨대, 제 1 기판(110)을 제 2 기판(120)의 일 측면에만 배치시킨 형태로 구성할 수도 있다. 또한, 제 2 기판(120) 양측에 위치한 기판들(110)이 제 2 기판(120)보다는 낮되 각각 서로 다른 유전율을 가지도록 구성시킬 수도 있다. 예컨대, 제 1 유전율을 가지는 제 1 기판, 제 2 유전율을 가지는 제 2 기판 및 제 3 유전율을 가지는 제 3 기판으로 구성하고, 제 2 기판의 양 측면에 제 1 기판과 제 3 기판을 배치시키되, 제 1 유전율과 제 3 유전율은 제 2 유전율에 비해서 낮은 값을 가지도록 구성할 수도 있을 것이다.
앞서 언급된 바와 같이, 제 1 기판(110)은 제 2 기판(120)에 비해서 상대적으로 낮은 유전율을 가지는 기판이 이용된다. 제 1 기판(110)과 제 2 기판(120)의 재질은 예컨대, 테플론(Teflon), FR4 등이 이용될 수 있다. 통상적으로 FR4의 유전 율이 테플론의 유전율보다 높으므로 제 1 기판(110)으로는 테플론이 사용될 수 있고, 제 2 기판(120)으로는 FR4가 사용될 수 있다. 그러나, 제 1 기판(110)과 제 2 기판(120)의 재질은 이에 국한되지 않고 다른 여러 가지 재질이 이용될 수 있다.
제 2 기판(120)은 상대적으로 높은 유전율을 가지는 재질로서 제작되어, 적은 부피로도 안테나의 공진 주파수(resonance frequency)를 맞추기 위한 역할을 수행하여 전체 안테나의 부피를 줄이는데 기여한다. 반면에, 제 1 기판(110)은 제 2 기판(120)에 비해서 상대적으로 낮은 유전율을 가지는 재질로 제작되어 안테나의 부피를 줄이는 역할보다는 방사(radiation) 효율을 높여 안테나 전체의 방사 성능을 증가시키는 역할을 수행하게 된다.
즉, 본 발명에 따른 내장형 안테나는 고유전율 기판을 이용하여 적은 전체 안테나의 부피에서도 저주파대역에 맞는 공진 주파수를 조절하고, 고유전율 기판을 이용할 경우의 낮은 방사 성능을 저유전율 기판으로 보충하는 상호보완적인 구성을 취하게 된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내장형 안테나가 지원하는 주파수 대역은 GSM 주파수 대역(860 ~ 960MHz), UMTS(Universal Mobile Telecommunications System) 대역(1,920 ~ 2,170MHz) 및 PCS(Personal Communication Service) 대역(1,880 ~ 1,990MHz) 등의 통신서비스용 대역에 비해서 저주파 대역인 지상파 디지털 멀티미디어 방송(DMB: Digital Multimedia Broadcasting) 대역일 수 있다. 즉, 저주파 대역일수록 주파수 대역에 대응되는 안테나의 부피가 커지게 되므로, 본 발명에 따라 서로 다른 유전율을 가지는 기판을 결합하는 내장형 안테나의 구성이 필요성이 높 아질 수 있다.
안테나 패턴부(130)는 패턴의 제작을 용이하게 하고, 대량 생산에 의한 안테나 패턴간의 편차를 줄이기 위하여, 인쇄회로기판(PCB: Printed Circuit Board) 패턴으로 이루어져, 상기 제 1 및 제 2 기판에 인쇄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 경우, 도 1에서 예시된 바와 같이, 안테나 패턴부는 인쇄회로기판 패턴으로 형성되므로, 저주파 대역의 공진에 필요한 길이(λ)를 최대한 확보하기 위해서 인쇄회로기판의 앞 뒷면에 형성된 라인을 쓰루 비아(thru via; 140)로 연결하여 헬리컬(helical) 형태의 안테나 패턴을 형성하도록 할 수 있다.
한편, 도 1에서 예시된 본 발명에 따른 내장형 안테나의 경우에는 추가적으로 급전 단자(131)에 연결되는 정합 소자가 부가될 수 있다. 즉, 서로 다른 유전율을 가지는 기판 상에 안테나 패턴부를 형성시키는 것에 의해서도 패턴의 길이만으로 충분한 방사 효율(공진)을 얻지 못할 경우에는 공진 주파수를 튜닝(tuning)하여 조절할 수 있도록, 임피던스 정합(impedance matching)을 위한 수동 소자인 인덕터(inductor) 등의 정합용 소자를 납땜 등으로 급전 단자(131)에 부가하여 안테나 패턴부와 정합용 소자에 의해 공진 주파수를 조절할 수 있도록 할 수 있다.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내장형 안테나에 구비될 수 있는 정합소자 패드를 설명하기 위한 개념도이다.
도 2를 참조하면, 본 발명에 따른 내장형 안테나의 다른 실시예(200)의 경우에는 상술된 정합용 소자를 부착하기 위한 안테나 패턴부의 본체와 급전단자(231) 간에 정합 소자 패드부(233)를 구비할 수 있다.
예컨대, 정합용 소자 패드부(232)는 안테나 패턴부의 공진 주파수를 조절하기 위하여 필요 시에 인덕터를 납땜하여 임피던스 정합을 이룰 수 있도록 하는 복수개의 패드(pad; 233-1 내지 233-N)를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즉, 도 2에서는 안테나 패턴부의 급전 단자(231)와 연결되는 급전 라인 상에 복수개의 정합용 소자 패드(233-1 내지 233-N)를 구비하고, 필요 시에 필요한 만큼의 인덕터를 납땜하여 공진 주파수를 조절하는 구성을 예시하고 있다.
본 발명에 따른 내장형 안테나를 이용한 이동통신단말기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내장형 안테나를 이용하는 이동통신단말기의 일 실시예을 도시한 블록도이다.
이동통신단말기의 경우에는 본 발명에 따른 내장형 안테나만을 이용하는 것도 가능하나, 본 발명에 따른 내장형 안테나를 구비한 이동통신단말기의 경우에는 별도의 외장 안테나 또는 이어폰 안테나와 함께 사용하여 다이버시티(diversity) 또는 선택적인 스위칭의 개념으로 안테나를 이용하는 구성이 가능할 수 있다.
도 3을 참조하면, 본 발명에 따른 내장형 안테나(310)를 구비한 이동통신단말기(300)는, 내장형 안테나와 별도인 외장형 안테나(320)가 연결되는 알에프 컨넥터부(330)를 구비하고, 내장형 안테나(310)와 알에프 컨넥터부(330)를 통해 연결되는 상기 외장형 안테나(320)를 선택적으로 전환하여 내부 회로에 접속시키는 스위칭부(340)를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이때, 스위칭부는 이동통신단말기(300)의 외부로 노출된 스위치 등을 구비하여, 사용자의 스위치 조작에 의하여 상기 내장형 안테나(310)와 상기 알에프 컨넥터부를 통해 연결되는 상기 외장형 안테나(320)를 선택적으로 전환하여 내부 회로(RF 수신회로; 350)에 접속시키도록 구성될 수 있다.
또는, 스위칭부는 외부로 노출된 스위치 대신에 이동통신단말기 사용자 인터페이스의 소정의 메뉴 구조에서 설정 가능한 설정값에 따라서 내장형 안테나(310)와 외장형 안테나(320)를 선택적으로 사용하도록 동작할 수 있다.
또는, 스위칭부는 두 개의 안테나(310, 320)의 수신 감도값에 따라 상황에 따라 적절한 안테나를 선택하는 다이버시티(diversity) 동작을 하도록 구성될 수도 있다. 예컨대, 상기 스위칭부는 상기 내장형 안테나와 상기 외장형 안테나의 수신감도를 비교하여 높은 수신 감도를 가지는 안테나를 선택적으로 전환하여 내부회로에 접속시키도록 구성될 수 있다.
마지막으로, 스위칭부는 외장형 안테나(320)가 알에프 컨넥터부(330)에 연결된 것을 감지하여, 외장형 안테나(320)가 알에프 컨넥터부(330)에 연결된 경우에는 외장형 안테나(320)를 내부 회로(350)에 접속시키고, 외장형 안테나(320)가 알에프 컨넥터부(330)에 연결되지 않은 경우에는 내장형 안테나(310)를 내부 회로(350)에 접속시키도록 동작할 수도 있다.
즉, 사용자가 외장형 안테나를 알에프 컨넥터에 체결시킨 경우에는 자동적으로 외장형 안테나를 사용할 수 있도록 한다. 왜냐하면, 통상적으로 외장형 안테나의 수신감도가 내장형 안테나보다는 높을 수 있기 때문이다.
한편, 스위칭부는 이동통신단말기내부에 구비된 프로세서 유닛(예컨대, MSM-Mobile Station Modem 칩)에 의해서 제어되는 RF 스위치 등을 이용하여 구성될 수 있다. 예컨대, MSM 칩이 스위칭부(340)를 제어할 경우에는 GPIO(General Purpose Input/Output) 핀을 통한 신호를 이용하여 스위칭부(340)를 제어하도록 구성될 수 있을 것이다.
상기에서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참조하여 설명하였지만, 해당 기술 분야의 숙련된 당업자는 하기의 특허 청구의 범위에 기재된 본 발명의 사상 및 영역으로부터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본 발명을 다양하게 수정 및 변경시킬 수 있음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이동통신단말기 내장형 안테나의 일 실시예를 도시한 개념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내장형 안테나에 구비될 수 있는 정합소자 패드를 설명하기 위한 개념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내장형 안테나를 이용하는 이동통신단말기의 일 실시예을 도시한 블록도이다.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도면부호 설명>
110: 제 1 기판 120: 제 2 기판
130: 안테나 패턴부 131: 급전단자
132: 정합소자 패드부

Claims (11)

  1. 이동통신단말기에 이용되는 내장형 안테나에 있어서,
    제 1 유전율을 가지는 적어도 하나의 제 1 기판;
    제 2 유전율을 가지는 제 2 기판; 및
    상기 제 1 기판과 상기 제 2 기판 상에 걸쳐 형성되고, 이동통신단말기의 메인보드로부터 급전라인을 통하여 급전되는 급전 단자를 구비하는 안테나 패턴부를 포함한 이동통신단말기용 내장형 안테나.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제 1 기판이 가지는 제 1 유전율은 상기 제 2 기판이 가지는 제 2 유전율과 상이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동통신단말기용 내장형 안테나.
  3.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제 1 기판과 상기 제 2 기판은 동일 평면 상에 배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동통신단말기용 내장형 안테나.
  4. 제 3 항에 있어서,
    상기 제 1 기판은 상기 제 2 기판의 양 측면에 배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동통신단말기용 내장형 안테나.
  5.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안테나 패턴부는 인쇄회로기판(PCB: Printed Circuit Board) 패턴으로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동통신단말기용 내장형 안테나.
  6. 제 5 항에 있어서,
    상기 인쇄회로기판 패턴은 상기 제 1 기판 및 제 2기판 중의 적어도 하나의 앞 뒷면에 형성되며, 상기 제 1 기판 및 제 2 기판 중의 적어도 하나의 앞 뒷면에 형성된 패턴은 쓰루 비아(thru via)에 의해서 서로 연결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동통신단말기용 내장형 안테나.
  7. 제 1 항에 기재된 이동통신단말기용 내장형 안테나를 구비한 이동통신단말기.
  8. 제 7 항에 있어서,
    상기 내장형 안테나와 별도인 외장형 안테나가 연결되는 알에프 컨넥터부; 및
    상기 알에프 컨넥터부를 통해 연결되는 상기 외장형 안테나와 상기 내장형 안테나를 선택적으로 전환하여 내부 회로에 접속시키는 스위칭부를 포함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동통신단말기.
  9. 제 8 항에 있어서,
    상기 스위칭부는 상기 이동통신단말기의 외부로 노출된 스위치를 구비하며, 상기 스위치는 사용자에 의하여 조작되어, 상기 알에프 컨넥터부를 통해 연결되는 상기 외장형 안테나와 상기 내장형 안테나를 선택적으로 전환하여 내부 회로에 접속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동통신단말기.
  10. 제 8 항에 있어서,
    상기 스위칭부는 상기 내장형 안테나와 상기 외장형 안테나의 수신감도를 비교하여 높은 수신 감도를 가지는 안테나를 선택적으로 전환하여 내부회로에 접속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동통신단말기.
  11. 제 8 항에 있어서,
    상기 스위칭부는 상기 외장형 안테나가 상기 알에프 컨넥터부에 연결된 것을 감지하여, 상기 외장형 안테나가 상기 알에프 컨넥터부에 연결된 경우에는 상기 외장형 안테나를 내부 회로에 접속시키고, 상기 외장형 안테나가 상기 알에프 컨넥터부에 연결되지 않은 경우에는 상기 내장형 안테나를 내부 회로에 접속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동통신단말기.
KR1020080057618A 2008-06-19 2008-06-19 서로 다른 유전율을 가지는 기판에 형성된 안테나 패턴부를이용한 이동통신단말기 내장형 안테나 및 이를 이용한이동통신단말기 KR20090131722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80057618A KR20090131722A (ko) 2008-06-19 2008-06-19 서로 다른 유전율을 가지는 기판에 형성된 안테나 패턴부를이용한 이동통신단말기 내장형 안테나 및 이를 이용한이동통신단말기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80057618A KR20090131722A (ko) 2008-06-19 2008-06-19 서로 다른 유전율을 가지는 기판에 형성된 안테나 패턴부를이용한 이동통신단말기 내장형 안테나 및 이를 이용한이동통신단말기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90131722A true KR20090131722A (ko) 2009-12-30

Family

ID=4169086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80057618A KR20090131722A (ko) 2008-06-19 2008-06-19 서로 다른 유전율을 가지는 기판에 형성된 안테나 패턴부를이용한 이동통신단말기 내장형 안테나 및 이를 이용한이동통신단말기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90131722A (ko)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9882269B2 (en) Antennas for handheld electronic devices
US7671804B2 (en) Tunable antennas for handheld devices
KR101339053B1 (ko) 내장형 안테나 장치 및 이것이 구비된 휴대용 단말기
CN104795623B (zh) 移动装置及其制造方法
US7551142B1 (en) Hybrid antennas with directly fed antenna slots for handheld electronic devices
US8531341B2 (en) Antenna isolation for portable electronic devices
US7768462B2 (en) Multiband antenna for handheld electronic devices
US7230575B2 (en) Dual-band chip antenna module
US20110128190A1 (en) Wireless communication terminal with a split multi-band antenna having a single rf feed node
JP2008511198A (ja) 無線端末、無線モジュールおよびそのような端末を製作する方法
CN101807935A (zh) 设有共用内置天线的移动终端及内置天线的共用方法
KR20090124042A (ko) 복층의 연결 구조를 가진 패턴 안테나 및 이를 이용한이동통신단말기
US20100184493A1 (en) Mobile phone
US8378899B2 (en) Wireless communication terminal with a multi-band antenna that extends between side surfaces thereof
JP4201696B2 (ja) 携帯無線機
KR20090118139A (ko) 다양한 부가서비스를 지원하는 이동통신단말기용 일체형외장 안테나 및 이를 이용한 이동통신단말기
KR20090131722A (ko) 서로 다른 유전율을 가지는 기판에 형성된 안테나 패턴부를이용한 이동통신단말기 내장형 안테나 및 이를 이용한이동통신단말기
KR20090124044A (ko) 부가 서비스를 지원하는 이동통신단말기용 내장형 패턴안테나 및 이를 이용한 이동통신단말기
KR20090038979A (ko) 단말기의 안테나 장치
KR20090111056A (ko) 휴대용 장치의 다중 대역 안테나 및 이를 이용한 휴대용장치
KR20090124046A (ko) 복층의 연결 구조를 가진 젠더 내장형 패턴 안테나 및 이를이용한 이동통신단말기
KR20090124399A (ko) 젠더 내장형 안테나
WO2000077885A1 (en) Antenna arrangement
KR20060072265A (ko) 커버 교체형 단말기의 안테나 장치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WITN Withdrawal due to no request for examin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