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90131534A - Apparatus for pressing parts - Google Patents

Apparatus for pressing parts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90131534A
KR20090131534A KR1020080057459A KR20080057459A KR20090131534A KR 20090131534 A KR20090131534 A KR 20090131534A KR 1020080057459 A KR1020080057459 A KR 1020080057459A KR 20080057459 A KR20080057459 A KR 20080057459A KR 20090131534 A KR20090131534 A KR 20090131534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upport block
workpiece
block
fixed
ji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80057459A
Other languages
Korean (ko)
Other versions
KR100974340B1 (en
Inventor
구윤섭
조장희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신아정밀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신아정밀 filed Critical 주식회사 신아정밀
Priority to KR1020080057459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974340B1/en
Publication of KR20090131534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90131534A/en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974340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974340B1/en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1MECHANICAL METAL-WORKING WITHOUT ESSENTIALLY REMOVING MATERIAL; PUNCHING METAL
    • B21DWORKING OR PROCESSING OF SHEET METAL OR METAL TUBES, RODS OR PROFILES WITHOUT ESSENTIALLY REMOVING MATERIAL; PUNCHING METAL
    • B21D45/00Ejecting or stripping-off devices arranged in machines or tools dealt with in this subclass
    • B21D45/02Ejecting devic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1MECHANICAL METAL-WORKING WITHOUT ESSENTIALLY REMOVING MATERIAL; PUNCHING METAL
    • B21DWORKING OR PROCESSING OF SHEET METAL OR METAL TUBES, RODS OR PROFILES WITHOUT ESSENTIALLY REMOVING MATERIAL; PUNCHING METAL
    • B21D37/00Tools as parts of machines covered by this subclass
    • B21D37/04Movable or exchangeable mountings for tool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1MECHANICAL METAL-WORKING WITHOUT ESSENTIALLY REMOVING MATERIAL; PUNCHING METAL
    • B21DWORKING OR PROCESSING OF SHEET METAL OR METAL TUBES, RODS OR PROFILES WITHOUT ESSENTIALLY REMOVING MATERIAL; PUNCHING METAL
    • B21D45/00Ejecting or stripping-off devices arranged in machines or tools dealt with in this subclass
    • B21D45/02Ejecting devices
    • B21D45/04Ejecting devices interrelated with motion of tool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Shaping Metal By Deep-Drawing, Or The Like (AREA)
  • Press Drives And Press Lines (AREA)

Abstract

PURPOSE: A press machine is provided to discharge a work piece rapidly by ejecting members capable of ascending and descending. CONSTITUTION: A press machine comprises a horizontal table(30) with a sliding slit(30b) formed in the longitudinal direction, a support block(42) which is fitted with two jigs holding a work piece and reciprocates along the sliding slit, a support block driving part, a processing unit including a lifting die with descends toward the jigs to press the work piece, one or more ejecting members(46) which separate the pressed work piece from jigs and ascends above the jigs to eject the work piece, and a lift actuator which drives the ejecting members.

Description

프레스가공장치{Apparatus for pressing parts}Press Processing Equipment {Apparatus for pressing parts}

본 발명은 프레스가공장치에 관한 것이다.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press working apparatus.

안테나의 출력 성능이 향상됨에 따라 근래에 출시되는 거의 대부분의 휴대폰은 안테나를 본체 내에 내장하고 있다. 이와 같이 본체 내에 설치되는 안테나는 얇은 판의 형태를 취하며 그 일부가 안테나용 회로가 형성되어 있는 기판에 접속하고 있다.As the output performance of the antennas improves, most mobile phones in recent years have the antennas embedded in the main body. In this way, the antenna provided in the main body takes the form of a thin plate, and part of it is connected to a substrate on which an antenna circuit is formed.

상기와 같이 안테나가 판상의 형태를 취하므로, 본체 내부에서 안테나를 펼쳐진 상태로 안정적으로 유지시키기 위해서는 상기 기판을 고정함과 동시에 안테나의 형태를 유지하기 위한 지지부재가 필요하다.Since the antenna takes the form of a plate as described above, in order to stably maintain the antenna in the unfolded state inside the main body, a support member for fixing the substrate and maintaining the shape of the antenna is required.

아울러 상기 지지부재에 안테나를 완전히 고정시키기 위한 장치로서 도 1에 도시한 프레스가공장치(10)가 사용되고 있다. 상기 프레스가공장치(10)는 가장착된 상태의 지지부재와 안테나를 가압 융착하여 완전히 결합하는 역할을 한다. 특히 상기 프레스가공장치(10)에는 가압 후의 피가공물(A)을 외부로 신속히 배출하기 위한 가공물배출수단을 갖는다.In addition, the press working apparatus 10 shown in FIG. 1 is used as a device for completely fixing the antenna to the support member. The press working apparatus 10 serves to fully bond by press-fusion welding the support member and the antenna in the most attached state. In particular, the press working apparatus 10 has a workpiece discharging means for quickly discharging the work A after pressurization to the outside.

도 1은 종래 프레스 가공물 배출수단의 문제점을 설명하기 위하여 도시한 사 시도이다.1 is an attempt to illustrate the problem of the conventional press-work discharge means.

도시한 바와같이, 종래의 프레스가공장치(10)는, 수평의 작업대(12)에 수직으로 고정되는 프레임(28)과, 상기 프레임(28)의 상측부에 고정되며 외부로부터 제공된 공기압에 의해 동작하는 액츄에이터(16)와, 상기 액츄에이터에 의해 승강하는 승강금형(18)을 갖는 가공부(14)와, 상기 가공부의 승강금형(18) 연직 하부에 위치하는 가공물지지부(20)를 갖는다.As shown in the drawing, the conventional press working apparatus 10 is operated by a frame 28 fixed vertically to a horizontal work table 12 and an air pressure provided from the outside and fixed to an upper side of the frame 28. And a processing unit 14 having an actuator 16 to move up and down by the actuator, and a workpiece support 20 positioned vertically below the lifting mold 18 of the processing unit.

상기 가공물지지부(20)는 수평면을 제공하는 받침블록(22)과, 상기 받침블록(22)의 상부에 고정되는 한 쌍의 고정지그(24)를 포함한다. 상기 고정지그(24)는 피가공물(A)을 지지하는 역할을 한다. 즉 작업자가 프레스 가공할 피가공물(A)을 상기 고정지그(24)에 올리는 것이다.The workpiece support 20 includes a support block 22 providing a horizontal plane, and a pair of fixing jigs 24 fixed to the upper portion of the support block 22. The fixing jig 24 serves to support the workpiece (A). That is, the worker raises the workpiece A to be press-processed to the fixing jig 24.

상기 고정지그(24)에 피가공물(A)을 올리고 프레스가공장치(10)를 동작시키면 승강금형(18)이 하강하여 고정지그(24)에 올려 있는 피가공물(A)을 가압 융착한다.When the work A is placed on the fixing jig 24 and the press working apparatus 10 is operated, the elevating die 18 is lowered to press-bond the work A on the fixing jig 24.

한편, 상기 승강금형(18)에 의해 프레싱된 후의 피가공물(A)을 고정지그(24)로부터 신속히 이탈시키기 위해서 종래의 고정지그(24)에는 에어토출구멍(24a)이 마련되어 있다. 상기 에어토출구멍(24a)은 외부로부터 에어튜브(26)를 통과해 공급된 공기가 토출되는 구멍으로서 가공된 후의 피가공물을 상부로 불어낸다. 따라서 가공이 완료된 피가공물은 상기 에어토출구멍(24a)으로부터 토출되는 공기의 압력에 의해 고정지그(24)로부터 이젝팅(ejecting)된다.On the other hand, the air ejection hole 24a is provided in the conventional fixing jig 24 so that the workpiece A after being pressed by the elevating mold 18 can be quickly released from the fixing jig 24. The air discharge hole 24a blows the workpiece after processing as a hole through which the air supplied through the air tube 26 is discharged from the outside. Therefore, the workpiece to be processed is ejected from the fixing jig 24 by the pressure of the air discharged from the air discharge hole 24a.

그런데 상기한 종래의 프레스 가공장치(10)에 구비된 가공물배출수단은, 피 가공물의 배출을 위해 공기의 토출압력을 이용하는 것이므로 예컨대 공기의 압력이 작을 경우 피가공물(A)의 배출이 제대로 이루어지지 않는다는 문제를 갖는다. 즉 공기의 토출 압력이 작을 경우 피가공물(A)이 고정지그(24)로부터 분리되지 않을 수 도 있고 분리된다 하더라도 원하는 지점(예컨대 수거용 바구니)까지 도달하지 않아 작업자가 일일이 손으로 주워 담거나 하여야 하는 것이다.However, since the workpiece discharge means provided in the conventional press working apparatus 10 uses the discharge pressure of air to discharge the workpiece, for example, when the air pressure is small, the workpiece A is not discharged properly. Does not have the problem. That is, when the discharge pressure of the air is small, the workpiece A may not be separated from the fixing jig 24, and even if separated, the worker A should pick it up by hand because it does not reach the desired point (for example, a collecting basket). will be.

본 발명은 상기 문제점을 해소하고자 창출한 것으로서, 고정지그로 부터 피가공물을 이탈시키기 위해 공기의 토출압력을 이용하는 대신 고정지그에 별도의 승강가능한 이젝팅부재를 설치하여 이젝팅부재로 하여금 피가공물을 이탈시키게 하므로 가공물의 배출이 신속 정확하고 그에 따라 고정지그를 복수개 적용할 수 있어 생산성을 배가시킬 수 있는 프레스가공장치를 제공함에 목적이 있다.The present invention has been made to solve the above problems, instead of using the discharge pressure of the air to remove the workpiece from the fixed jig to install a separate liftable ejecting member on the fixed jig to cause the ejecting member to be processed; It is intended to provide a press factory that can double the productivity because the ejection of the workpiece is quickly and accurately, and the plurality of fixing jigs can be applied accordingly.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은, 수평 설치되며 길이방향으로 연장된 일정폭의 슬라이딩장공을 갖는 수평테이블과; 상기 수평테이블의 상부에 위치하며 슬라이딩장공에 가이드되어 슬라이딩 장공을 따라 왕복운동하는 것으로서 그 상면에 피가공물을 고정 지지하는 두 개의 고정지그가 마련되어 있는 받침블록과; 상기 받침블록을 왕복 운동시키는 받침블록구동부와; 상기 받침블록의 상부에 승강 가능하게 위치하며 정지상태의 고정지그로 하강하여 고정지그에 지지되어 있는 피가공물을 프레싱하는 승강금형을 갖는 가공부와; 상기 승강금형이 고정지그로부터 이격된 후 동작하여 고정지그에 머물러 있는 피가공물을 고정지그로부터 이탈시키는 것으로서, 상기 받침블록에 승강 가능하게 설치되고 고정지그 상부로 상승하여 피가공물을 고정지그 외부로 이탈시킨 후 하강하는 하나 이상의 이젝팅부재와, 상기 이젝팅부재를 동작시키는 승강액츄에이터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In order to achieve the above object, the present invention is a horizontal table having a horizontally installed sliding hole extending in the longitudinal direction; A support block positioned at an upper portion of the horizontal table and guided to the sliding hole to reciprocate along the sliding hole, and having two fixing jigs fixed on and supported on the upper surface thereof; A support block driver for reciprocating the support block; A processing unit having a lifting mold positioned on the upper part of the supporting block so as to be lifted and lowered to a stationary fixing jig to press a workpiece supported on the fixing jig; The lifting mold is operated after being spaced apart from the fixed jig to move the workpiece remaining in the fixed jig from the fixed jig, which is installed on the supporting block so as to be lifted and lifted to the upper side of the fixed jig to separate the workpiece out of the fixed jig. It characterized in that it comprises one or more ejecting member and the lifting and lowering actuator for operating the ejecting member after descending.

또한, 상기 받침블록에는 상기 이젝팅부재를 관통시키며 승강 가능하게 수용 하는 하나 이상의 관통로가 마련되고, 상기 이젝팅부재는, 상기 관통로내에 수용되는 판상의 부재로서 그 하단부가 받침블록의 하부에서 상기 승강액츄에이터에 연결된 이젝팅플레이트인 것을 특징으로 한다.In addition, the supporting block is provided with at least one through passage for penetrating the ejecting member and to receive the liftable, the ejecting member is a plate-like member accommodated in the through passage, the lower end portion of the lower support block It is characterized in that the ejecting plate connected to the lifting actuator.

또한, 상기 이젝팅플레이트의 상부에는 이젝팅플레이트의 상승시 피가공물에 접하며 피가공물을 고정지그의 측방향으로 이탈시키는 경사부가 마련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In addition, the upper part of the ejecting plate is characterized in that the inclined portion is provided in contact with the workpiece when the ejecting plate is raised and to remove the workpiece in the lateral direction of the fixing jig.

아울러, 상기 슬라이딩장공의 양단부에는 상기 받침블록의 길이방향 이동을 제한하는 것으로서, 상기 수평테이블의 상면에 고정되는 스토핑블록과, 상기 스토핑블록에 각각 구비되며 스토핑블록에 도달하는 받침블록의 정지를 가이드하는 댐퍼가 구비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In addition, at both ends of the sliding hole to limit the longitudinal movement of the support block, the stop block is fixed to the upper surface of the horizontal table, and the stop block is provided on each of the stop block and the stop block to reach the stop block; A damper for guiding the stop is provided.

또한, 상기 받침블록의 하부에는 상기 슬라이딩장공에 가이드되며 왕복운동하여 받침블록을 이동시키는 왕복케리어가 더 구비되고, 상기 받침블록구동부는 상기 수평테이블의 하부에 설치되고 상기 왕복케리어를 왕복운동시키는 액츄에이터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In addition, a lower portion of the support block is further provided with a reciprocating carrier which is guided to the sliding hole and reciprocates to move the support block, and the support block driving portion is installed at the lower portion of the horizontal table to reciprocate the reciprocating carrier. Characterized in that it comprises a.

또한, 상기 수평테이블의 하부에는 상기 이젝팅부재에 의해 고정금형으로부터 이탈된 피가공물을 받아 외부로 이송하는 콘베이어가 더 구비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In addition, the lower portion of the horizontal table is characterized in that the conveyor is further provided for receiving the workpiece separated from the fixed mold by the ejecting member and transported to the outside.

상기와 같이 이루어지는 본 발명의 프레스가공장치는, 고정지그로 부터 피가공물을 이탈시키기 위해 공기의 토출압력을 이용하는 대신 고정지그에 별도의 승강 가능한 이젝팅부재를 설치하여 이젝팅부재로 하여금 피가공물을 이탈시키게 하므로 가공물의 배출이 신속 정확하고 그에 따라 고정지그를 복수개 적용할 수 있어 생산성을 배가시킬 수 있는 잇점이 있다.The press mill of the present invention made as described above, instead of using the discharge pressure of air in order to separate the workpiece from the fixed jig, by installing a separate lifting and ejecting member on the fixed jig causes the ejecting member to remove the workpiece. This allows the product to be released quickly and accurately, and thus, a plurality of fixing jigs can be applied, thereby increasing the productivity.

이하, 본 발명에 따른 하나의 실시예를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보다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Hereinafter, one embodiment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in detail with reference to the accompanying drawings.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프레스가공장치의 구성을 나타내 보인 사시도 이다.Figure 2 is a perspective view showing the configuration of a press working apparatus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상기한 도면부호와 동일한 도면부호는 동일한 기능의 동일한 부재를 가리킨다.The same reference numerals as the above reference numerals denote the same members having the same function.

도시한 바와같이, 본 실시예에 따른 프레스가공장치(60)는, 작업대(12)위에 배치되는 수평테이블(30)과, 상기 수평테이블(30)에 왕복 가능하게 설치되며 그 위에 고정지그(44)를 갖는 받침블록(42)과, 상기 받침블록(42)의 측부에 설치되며 승강금형(18)을 갖는 가공부(14)를 포함한다.As shown, the press working apparatus 60 according to the present embodiment, the horizontal table 30 is disposed on the work table 12, the horizontal jig 30 is installed on the horizontal table 30 so that the fixing jig 44 thereon. It includes a support block 42 having a), and a processing unit 14 is installed on the side of the support block 42 having a lifting mold (18).

상기 수평테이블(30)은 다리(30c)에 의해 작업대(12) 상부에 수평으로 위치한다. 상기 수평테이블(30)의 높이는 그 하부에 액츄에이터 등의 구성요소를 위치시킬 수 있을 정도면 좋다.The horizontal table 30 is horizontally positioned on the work table 12 by the legs 30c. The height of the horizontal table 30 may be enough to place a component such as an actuator in the lower portion thereof.

상기 수평테이블(30)은 일정두께를 갖는 플레이트로서 그 일측에 길이방향으로 연장된 일정폭의 슬라이딩장공(30b)을 갖는다. 상기 슬라이딩장공(30b)은 왕복캐리어(30)의 왕복운동을 가이드한다. 아울러 상기 슬라이딩장공(30b)의 양측부에 는 가이드레일(32)이 구비된다. 상기 가이드레일(32)은 직선 운동하는 왕복캐리어(40)를 지지하며 왕복케리어(40)의 직선운동을 가이드한다.The horizontal table 30 is a plate having a predetermined thickness and has a sliding slot 30b of a predetermined width extending in the longitudinal direction on one side thereof. The sliding long hole 30b guides the reciprocating motion of the reciprocating carrier 30. In addition, the guide rail 32 is provided at both sides of the sliding long hole (30b). The guide rail 32 supports the reciprocal carrier 40 in a linear motion and guides the linear motion of the reciprocal carrier 40.

또한 상기 슬라이딩장공(30b)의 양측부에는 스토핑블록(34)과 댐퍼(36)가 구비된다. 상기 스토핑블록(34)은 수평테이블(30) 상면에 견고히 고정된 블록형 부재로서 댐퍼(36)를 지지한다. In addition, the stopper block 34 and the damper 36 are provided at both sides of the sliding long hole (30b). The stopping block 34 supports the damper 36 as a block-shaped member firmly fixed to the upper surface of the horizontal table 30.

상기 댐퍼(36)는 받침블록(42)을 정지시키는 역할을 한다. 즉 받침블록(42)이 슬라이딩장공(30b)을 따라 일측방향 또는 반대방향으로 이동하여 일정지점에 도달했을 때 받침블록(42)을 부드럽게 정지시키는 역할을 하는 것이다. 이를 위해 상기 댐퍼(36)에는 완충헤드(36a)가 구비된다. 상기 완충헤드(36a)는 고무나 실리콘으로 제작된 것으로서 받침블록(42)의 도달시 받침블록(42)의 대향면을 막아 정지시킨다.The damper 36 serves to stop the support block 42. That is, when the support block 42 moves in one direction or the opposite direction along the sliding long hole (30b) and serves to stop the support block 42 smoothly. To this end, the damper 36 is provided with a shock absorbing head 36a. The shock absorbing head 36a is made of rubber or silicon and stops by blocking the opposite surface of the support block 42 when the support block 42 arrives.

또한 상기 슬라이딩장공(30b)의 양측부에는 배출구멍(30a)이 마련된다. 상기 배출구멍(30a)은 후술할 이젝팅플레이트(46)에 의해 고정지그(44)로부터 튕겨나간 피가공물이 하부로 빠져나가는 통로이다. 상기 배출구멍(30a)은 받침블록(42)이 좌우측으로 완전히 이동하여 정지한 상태에서 일측 고정지그(44)의 측부에 위치한다.In addition, discharge holes 30a are provided at both sides of the sliding long hole 30b. The discharge hole 30a is a passage through which the workpiece that has been thrown out of the fixing jig 44 by the ejecting plate 46 to be described later exits. The discharge hole (30a) is located on the side of the one side fixing jig 44 in the state in which the support block 42 is completely moved left and right.

아울러 상기 수평테이블(30)의 하부에는 배출콘베이어(38)가 설치된다. 상기 배출콘베이어(30)는 일반적인 콘베이어로서 상기 배출구멍(30a)을 하향 통과하여 벨트(38a)에 떨어진 피가공물을 외부로 반출하는 역할을 한다.In addition, the discharge conveyor 38 is installed below the horizontal table (30). The discharge conveyor (30) is a general conveyor serves to carry out the workpiece to fall to the belt 38a through the discharge hole (30a) downward.

상기 가공부(14)는 고정지그(44)에 놓여진 피가공물을 프레싱 가공하기 위한 것으로서, 상기 배출구멍(30a)의 사이에 고정되는 프레임(28)과, 상기 프레임(28) 의 상부에 고정되며 외부로부터 공급받은 공압에 의해 동작하는 액츄에이터(16)와, 상기 액츄에이터(16)에 의해 승강하는 승강금형(18)을 포함한다.The processing unit 14 is for pressing the workpiece placed on the fixing jig 44, and is fixed to the frame 28 fixed between the discharge holes 30a and the upper portion of the frame 28. An actuator 16 which is operated by the pneumatic pressure supplied from the outside, and the lifting mold 18 which is lifted and lowered by the actuator 16 are included.

상기 승강금형(18)은 일측 고정지그(44)의 연직 상부에 위치한다. 즉 상기 받침블록(42)이 일측으로 또는 반대측으로 완전히 이동하여 정지한 순간, 두 개의 고정지그 중 스토핑블록(34)으로부터 먼 쪽 고정지그(44)의 연직 상부에 위치하는 것이다. 상기 가공부(14)의 동작은 도 1에 도시한 종래의 프레스가공장치와 동일하다. The lifting mold 18 is located in the vertical upper portion of the one side jig 44. That is, at the moment when the supporting block 42 moves completely to one side or the other side and stops, the supporting block 42 is located on the vertical upper portion of the fixing jig 44 far from the stopping block 34. The operation of the processing unit 14 is the same as the conventional press working apparatus shown in FIG.

한편, 상기 받침블록(42)은 일정두께를 갖는 금속형 블록체로서 그 상면에 두 개의 고정지그(44)를 갖는다. 상기 고정지그(44)에는 피가공물이 놓여진다. 피가공물을 고정지그(44)에 올리는 일은 작업자에 의해 수행된다.On the other hand, the support block 42 is a metal block having a predetermined thickness and has two fixing jigs 44 on its upper surface. The workpiece is placed on the fixing jig 44. The work to be mounted on the fixed jig 44 is performed by an operator.

아울러 상기 고정지그(44)의 형상이 피가공물의 형태에 따라 달라짐은 물론이다. 본 실시예에서는 도면을 단순화하기 위하여 고정지그(44)를 단지 사각판의 형태로 도시하였지만 실제 고정지그는 매우 복잡한 형태를 취한다.In addition, the shape of the fixing jig 44 is a matter of course depending on the shape of the workpiece. In the present embodiment, the fixing jig 44 is shown only in the form of a square plate in order to simplify the drawing, but the actual fixing jig takes a very complicated shape.

도 4를 통해 상기 받침블록(42)과 받침블록(42)에 설치되는 이젝팅플레이트(46)에 대한 설명을 하기로 한다.4 will be described with respect to the ejection plate 46 installed in the support block 42 and the support block 42.

도시한 바와같이, 상기 받침블록(42)은 길이방향으로 연장된 사각판의 형태를 취하며 그 상부에 두 개의 고정지그(44)를 갖는다. 상기 고정지그(44)에는 피가공물을 수용하기 위한 지지홈(44a)이 마련되어 있다. 상기 고정지그(44)의 형상이 피가공물의 형상에 따라 달라짐은 당연하다. As shown, the support block 42 takes the form of a square plate extending in the longitudinal direction and has two fixing jigs 44 thereon. The fixing jig 44 is provided with a supporting groove 44a for accommodating the workpiece. Naturally, the shape of the fixing jig 44 depends on the shape of the workpiece.

특히 상기 받침블록(42)에는 다수의 관통슬릿(42a)이 형성되어 있다. 상기 관통슬릿(42a)은 받침블록(42)은 물론 고정지그(44)를 수직으로 관통하는 구멍으로서 그 내부에 이젝팅플레이트(46)를 수용한다. 상기 관통슬릿(42a)은 상호 평행하며 받침블록(42)의 하부와 고정지그(44)의 상부를 연통시킨다.In particular, a plurality of through slits 42a are formed in the support block 42. The through slit 42a is a hole for vertically penetrating the fixing block 44 as well as the support block 42 to receive the ejecting plate 46 therein. The through slits 42a are parallel to each other and communicate the bottom of the support block 42 with the top of the fixing jig 44.

상기 이젝팅플레이트(46)는 각 관통슬릿(42a)에 수용된 상태로 승강하는 판상 부재이다. 기본적으로 상기 이젝팅플레이트(46)는 고정지그(44)의 상부에 놓여진 피가공물을 고정지그(44)로부터 이탈시키는 역할을 한다. 즉 고정지그(44)에 놓여진 상태로 승강금형(18)에 의해 눌려 가공이 완료된 피가공물을 고정지그(44)로부터 이탈시켜 후속 공정으로 보내는 것이다.The ejecting plate 46 is a plate member which is lifted and lifted in a state accommodated in each through slit 42a. Basically, the ejecting plate 46 serves to disengage the workpiece placed on the fixing jig 44 from the fixing jig 44. In other words, the workpiece to be pressed by the elevating mold 18 in the state of being placed on the fixing jig 44 is removed from the fixing jig 44 and sent to the subsequent process.

이를 위해 상기 이젝팅플레이트(46)의 상단부는 이젝팅플레이트(46)의 상승시 고정지그(44) 상부로 돌출되고, 하강시 고정지그(44) 내부로 숨어든다.To this end, the upper end of the ejecting plate 46 protrudes upward from the fixing jig 44 when the ejecting plate 46 is raised, and hides into the fixing jig 44 when descending.

특히 상기 이젝팅플레이트(46)의 상단에는 경사부(46a)가 마련되어 있다. 상기 경사부(46a)는 상기 배출구멍(30a)측으로 하향 경사진 부분으로서 피가공물이 이탈되는 방향을 결정한다. 상기 경사부(46a)에 의해 피가공물은 상기 배출구멍(30a)측으로 튕겨나간다.In particular, the inclined portion 46a is provided at the upper end of the ejecting plate 46. The inclined portion 46a is a portion inclined downward toward the discharge hole 30a to determine the direction in which the workpiece is released. The workpiece is bounced toward the discharge hole 30a by the inclined portion 46a.

한편, 상기 각 이젝팅플레이트(46)의 하단부는 승강판(47)에 고정된다. 또한 상기 승강판(47)은 수직액츄에이터(50)에 연결된다. 따라서 상기 수직액츄에이터(50)가 동작함에 따라 이젝팅플레이트(46)가 동시에 상승하거나 하강하는 것이다. 상기 수직액츄에이터(50)는 각각의 고정지그(44) 하부에 하나씩 구비된다. On the other hand, the lower end of each of the ejecting plate 46 is fixed to the lifting plate 47. In addition, the lifting plate 47 is connected to the vertical actuator (50). Therefore, as the vertical actuator 50 operates, the ejecting plate 46 is simultaneously raised or lowered. The vertical actuator 50 is provided at the bottom of each fixing jig (44).

아울러 도 5에 도시한 바와같이 상기 수직액츄에이터(50)는 고정브라켓(도 5의 62)을 통해 받침블록(42)에 고정되어 받침블록(42)과 더불어 수평 왕복운동 한 다.In addition, as shown in FIG. 5, the vertical actuator 50 is fixed to the support block 42 through a fixing bracket (62 of FIG. 5) and horizontally reciprocates along with the support block 42.

도 3은 상기 도 2에 도시한 수평테이블의 측면도이다.3 is a side view of the horizontal table shown in FIG.

도면을 참조하면, 상기 수평테이블(30)의 상부에 받침블록(42)이 위치하고 있고, 수평테이블(30)의 하부에 두 개의 수직액츄에이터(50)가 고정되어 있음을 알 수 있다. 상기 수직액츄에이터(50)는 고정브라켓(62)을 통해 받침블록(42)에 고정되어 받침블록(42)과 동시에 왕복운동 한다.Referring to the drawings, it can be seen that the support block 42 is positioned on the upper portion of the horizontal table 30, and two vertical actuators 50 are fixed to the lower portion of the horizontal table 30. The vertical actuator 50 is fixed to the support block 42 through the fixing bracket 62 to reciprocate simultaneously with the support block 42.

특히 상기 받침블록(42)을 화살표 a방향 또는 그 반대방향으로 슬라이딩 이동시킬 수 있도록 수평테이블(30)의 하부에 메인액츄에이터(48)가 설치된다. 상기 메인엑츄에이터(48)는 외부로부터 제공된 공압에 의해 동작하는 것으로서, 상기 직업대(도 2의 12)에 별도의 고정수단(미도시)을 통해 고정되는 실린더(48a)와, 상기 실린더(48a)에 의해 길이방향으로 왕복하는 작동로드(48b)를 갖는다.In particular, the main actuator 48 is installed at the lower portion of the horizontal table 30 so as to slide the support block 42 in the arrow a direction or the opposite direction. The main actuator 48 is operated by the pneumatic pressure provided from the outside, the cylinder 48a which is fixed to the job table (12 of FIG. 2) through a separate fixing means (not shown), and the cylinder 48a Has a working rod 48b reciprocating in the longitudinal direction.

특히 상기 작동로드(48b)의 단부에는 연결부재(64)가 핀 연결된다. 상기 연결부재(64)는 상기 왕복캐리어(40)에 고정된 상태로 하부로 연장된 강성 부재로서 작동로드(48b)와 왕복캐리어(40)를 연결한다. 따라서 상기 메인액츄에이터(48)의 동작에 의해 작동로드(48b)가 실린더(48a)로부터 인출되거나 반대방향으로 이동함에 따라 받침블록(42)이 상기 슬라이딩장공(30b)을 따라 왕복운동 한다.In particular, the connecting member 64 is pinned to the end of the operating rod (48b). The connecting member 64 connects the operating rod 48b and the reciprocating carrier 40 as a rigid member extending downward while being fixed to the reciprocating carrier 40. Therefore, the support block 42 reciprocates along the sliding hole 30b as the operation rod 48b is drawn out of the cylinder 48a or moved in the opposite direction by the operation of the main actuator 48.

도 5는 상기 이젝팅플레이트의 구동 원리를 설명하기 위하여 도시한 도면이다.5 is a view illustrating a driving principle of the ejecting plate.

도시한 바와같이, 도면상 좌측 승강판(47)이 수직액츄에이터(50)의 작용에 의해 하부로 하강한 상태로 대기하고 있고, 고정지그(44)에는 피가공물(A)이 올려 져 있다. 상기 피가공물(A)은 하강한 승강금형(18)에 의해 가압 가공된 후, 받침블록(42)이 화살표 a방향으로 이동하여 정지했을 때 즉 우측의 고정지그(44)가 승강금형(18)의 연직 하부에 도달했을 때 수직액츄에이터(50)에 의해 고정지그(44)로부터 이젝팅된다. As shown in the drawing, the left elevating plate 47 is waiting to be lowered downward by the action of the vertical actuator 50, and the work A is placed on the fixing jig 44. The workpiece A is pressurized by the lowered lifting mold 18, and then the support block 42 moves in the direction of the arrow a to stop, i.e., the fixed jig 44 on the right moves the lifting mold 18. When it reaches the vertical lower part of, it is ejected from the fixing jig 44 by the vertical actuator 50.

또한 도 5에서 우측의 승강판(47)은 받침블록(42)의 저면까지 상승한 상태임을 알 수 있다. 상기 승강판(47)은 수직액츄에이터(50)의 작용에 의해 상승하여 이젝팅플레이트(46)로 하여금 고정지그(44)에 놓여져 있던 피가공물을 상측부로 튕겨 올리게 한다.In addition, it can be seen that the lifting plate 47 on the right side of FIG. 5 is up to the bottom of the support block 42. The lifting plate 47 is raised by the action of the vertical actuator 50 to cause the ejecting plate 46 to bounce the workpiece placed on the fixing jig 44 to the upper side.

결국 상기한 바와 같이 구성되는 본 실시예의 프레스가공장치는, 두 개의 고정지그(44)가 승강금형(18)의 연직하부와 배출구멍(30a)을 왕복하면서 가공된 피가공물을 배출구멍(30a)으로 이탈시키고, 특히 이젝팅플레이트(46)로 하여금 피가공물을 고정지그(44)로부터 분리시키므로 피가공물의 이탈이 확실하며 그에 따라 작업속도 또한 매우 빨라진다.As a result, the press processing device of the present embodiment constituted as described above discharges the workpiece to be processed while the two fixing jigs 44 reciprocate the vertical lower portion of the elevating mold 18 and the discharge hole 30a. In particular, since the ejecting plate 46 separates the workpiece from the fixed jig 44, the workpiece is separated from the workpiece and the working speed is also very high.

이상, 본 발명을 구체적인 실시예를 통하여 상세하게 설명하였으나, 본 발명은 상기 실시예에 한정하지 않고,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의 범위내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하여 여러 가지 변형이 가능하다.As mentioned above, although this invention was demonstrated in detail through the specific Example, this invention is not limited to the said Example, A various deformation | transformation is possible for a person with ordinary knowledge within the scope of the technical idea of this invention.

도 1은 종래 프레스가공장치의 문제점을 설명하기 위하여 도시한 사시도이다.1 is a perspective view illustrating the problem of a conventional press working apparatus.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프레스가공장치의 구성을 나타내 보인 사시도이다.2 is a perspective view showing the configuration of a press working apparatus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3은 상기 도 2에 도시한 수평테이블의 측면도이다.3 is a side view of the horizontal table shown in FIG.

도 4는 상기 도 2에 도시한 받침블록 및 이젝팅플레이트의 분해 사시도이다.4 is an exploded perspective view of the support block and the ejecting plate shown in FIG.

도 5는 상기 이젝팅플레이트의 구동 원리를 설명하기 위하여 도시한 도면이다.5 is a view illustrating a driving principle of the ejecting plate.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Explanation of symbols for the main parts of the drawings>

10:프레스가공장치 12:작업대 14:가공부 DESCRIPTION OF SYMBOLS 10 Press processing apparatus 12 Work bench 14 Processing part

16:액츄에이터 18:승강금형 20:가공물지지부16: Actuator 18: Lifting mold 20: Workpiece support

22:받침블록 24:고정지그 24a:에어토출구멍22: support block 24: fixing jig 24a: air discharge hole

26:에어튜브 28:프레임 30:수평테이블26: Air tube 28: Frame 30: Horizontal table

30a:배출구멍 30b:슬라이딩장공 30c:다리30a: discharge hole 30b: sliding slot 30c: leg

32:가이드레일 34:스토핑블록 36:댐퍼32: guide rail 34: stopping block 36: damper

36a:완충헤드 38:배출콘베이어 38a:벨트36a: buffer head 38: discharge conveyor 38a: belt

40:왕복캐리어 42:받침블록 42a:관통슬릿40: return carrier 42: support block 42a: through slit

44:고정지그 44a:지지홈 46:이젝팅플레이트44: stationary jig 44a: support groove 46: ejecting plate

46a:경사부 47:승강판 48:메인액츄에이터46a: inclined portion 47: the lifting plate 48: the main actuator

48a:실린더 48b:작동로드 50:수직액츄에이터48a: cylinder 48b: working rod 50: vertical actuator

60:프레스가공장치 62:고정브라켓 64:연결부재60: press processing device 62: fixing bracket 64: connecting member

Claims (6)

수평 설치되며 길이방향으로 연장된 일정폭의 슬라이딩장공을 갖는 수평테이블과;A horizontal table installed horizontally and having a sliding slot having a predetermined width extending in the longitudinal direction; 상기 수평테이블의 상부에 위치하며 슬라이딩장공에 가이드되어 슬라이딩 장공을 따라 왕복운동하는 것으로서 그 상면에 피가공물을 고정 지지하는 두 개의 고정지그가 마련되어 있는 받침블록과;A support block positioned at an upper portion of the horizontal table and guided to the sliding hole to reciprocate along the sliding hole, and having two fixing jigs fixed on and supported on the upper surface thereof; 상기 받침블록을 왕복 운동시키는 받침블록구동부와;A support block driver for reciprocating the support block; 상기 받침블록의 상부에 승강 가능하게 위치하며 정지상태의 고정지그로 하강하여 고정지그에 지지되어 있는 피가공물을 프레싱하는 승강금형을 갖는 가공부와;A processing unit having a lifting mold positioned on the upper part of the supporting block so as to be lifted and lowered to a stationary fixing jig to press a workpiece supported on the fixing jig; 상기 승강금형이 고정지그로부터 이격된 후 동작하여 고정지그에 머물러 있는 피가공물을 고정지그로부터 이탈시키는 것으로서, 상기 받침블록에 승강 가능하게 설치되고 고정지그 상부로 상승하여 피가공물을 고정지그 외부로 이탈시킨 후 하강하는 하나 이상의 이젝팅부재와, 상기 이젝팅부재를 동작시키는 승강액츄에이터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프레스가공장치.The lifting mold is operated after being spaced apart from the fixed jig to move the workpiece remaining in the fixed jig from the fixed jig, which is installed on the supporting block so as to be lifted and lifted to the upper side of the fixed jig to separate the workpiece out of the fixed jig. Pressing apparatus, characterized in that it comprises at least one ejecting member and a lifting and lowering actuator for operating the ejecting member after descending. 제 1항에 있어서,The method of claim 1, 상기 받침블록에는 상기 이젝팅부재를 관통시키며 승강 가능하게 수용하는 하나 이상의 관통로가 마련되고,The support block is provided with at least one through passage for penetrating the ejecting member and to receive the liftable, 상기 이젝팅부재는, 상기 관통로내에 수용되는 판상의 부재로서 그 하단부가 받침블록의 하부에서 상기 승강액츄에이터에 연결된 이젝팅플레이트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프레스가공장치.And said ejecting member is a plate-like member accommodated in said through passage, the lower end being an ejecting plate connected to said elevating actuator at a lower portion of a supporting block. 제 2항에 있어서,The method of claim 2, 상기 이젝팅플레이트의 상부에는 이젝팅플레이트의 상승시 피가공물에 접하며 피가공물을 고정지그의 측방향으로 이탈시키는 경사부가 마련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프레스가공장치.The upper part of the ejecting plate is pressed in contact with the workpiece when the ejecting plate is raised, characterized in that the inclined portion is provided to separate the workpiece in the lateral direction of the fixing jig. 제 1항 내지 제 3항 중 어느 하나의 항에 있어서,The method according to any one of claims 1 to 3, 상기 슬라이딩장공의 양단부에는 상기 받침블록의 길이방향 이동을 제한하는 것으로서, 상기 수평테이블의 상면에 고정되는 스토핑블록과, 상기 스토핑블록에 각각 구비되며 스토핑블록에 도달하는 받침블록의 정지를 가이드하는 댐퍼가 구비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프레스가공장치.On both ends of the sliding hole to limit the longitudinal movement of the support block, a stopping block fixed to the upper surface of the horizontal table, and the stop of the support block is provided on the stopping block, respectively, reaching the stopping block Press processing apparatus, characterized in that provided with a damper for guiding. 제 1항에 있어서,The method of claim 1, 상기 받침블록의 하부에는 상기 슬라이딩장공에 가이드되며 왕복운동하여 받침블록을 이동시키는 왕복케리어가 더 구비되고,A lower portion of the support block is further provided with a reciprocating carrier which is guided to the sliding hole and reciprocates to move the support block, 상기 받침블록구동부는 상기 수평테이블의 하부에 설치되고 상기 왕복케리어를 왕복운동시키는 액츄에이터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프레스가공장치.The supporting block driving unit is installed in the lower portion of the horizontal table and the press processing apparatus comprising an actuator for reciprocating the reciprocating carrier. 제 1항에 있어서,The method of claim 1, 상기 수평테이블의 하부에는 상기 이젝팅부재에 의해 고정금형으로부터 이탈된 피가공물을 받아 외부로 이송하는 콘베이어가 더 구비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프레스가공장치.The lower part of the horizontal table is a press processing apparatus further comprises a conveyor for receiving the workpiece separated from the fixed mold by the ejecting member and transported to the outside.
KR1020080057459A 2008-06-18 2008-06-18 Apparatus for pressing parts KR100974340B1 (en)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80057459A KR100974340B1 (en) 2008-06-18 2008-06-18 Apparatus for pressing parts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80057459A KR100974340B1 (en) 2008-06-18 2008-06-18 Apparatus for pressing parts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90131534A true KR20090131534A (en) 2009-12-29
KR100974340B1 KR100974340B1 (en) 2010-08-05

Family

ID=4169073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80057459A KR100974340B1 (en) 2008-06-18 2008-06-18 Apparatus for pressing parts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974340B1 (en)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651820B1 (en) * 2015-07-13 2016-08-29 경창정공 주식회사 Fine blanking press apparatus
CN107470476A (en) * 2017-08-16 2017-12-15 广州市吉峰金属塑胶制品有限公司 A kind of press fit device of the coaxial resonant rod in three section
KR102096786B1 (en) * 2019-05-03 2020-04-03 주식회사 자석나라 Apparatus for mounting magnet of teaching tool

Families Citing this famil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315329B1 (en) 2013-06-24 2013-10-08 임규복 Forging product transfer device
KR102036070B1 (en) 2019-05-09 2019-10-24 최윤기 Press apparatus
CN110293390B (en) * 2019-06-28 2021-01-29 博众精工科技股份有限公司 Overturning air suction pressing jig

Family Cites Familie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S51681U (en) 1974-06-19 1976-01-06
JPS5664820A (en) 1979-09-01 1981-06-02 Aida Eng Ltd Secondary processing apparatus of molded plastic product
JPH06183546A (en) * 1992-12-22 1994-07-05 Lintec Corp Transfer device
KR100637837B1 (en) 2004-11-09 2006-10-23 주식회사 신효 Apparatus for forming a corrugated panel

Cited B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651820B1 (en) * 2015-07-13 2016-08-29 경창정공 주식회사 Fine blanking press apparatus
CN107470476A (en) * 2017-08-16 2017-12-15 广州市吉峰金属塑胶制品有限公司 A kind of press fit device of the coaxial resonant rod in three section
CN107470476B (en) * 2017-08-16 2019-04-05 广州市吉峰金属塑胶制品有限公司 A kind of pressing device for the resonant rod that three segments is coaxial
KR102096786B1 (en) * 2019-05-03 2020-04-03 주식회사 자석나라 Apparatus for mounting magnet of teaching tool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0974340B1 (en) 2010-08-05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974340B1 (en) Apparatus for pressing parts
CN104907443B (en) A kind of punching machine mechanical arm device
JP3915923B2 (en) Work transfer device
CN111496118A (en) Automatic feeding and discharging punching machine equipment and forming method thereof
KR102146402B1 (en) Machine tools having a workpiece support and methods of loading and unloading the workpiece support of the machine tool
JP2017516665A (en) Apparatus and method for separating two workpiece parts of a plate-like workpiece from each other
CN112091107B (en) Gantry press
CN110605562A (en) Press-fit equipment
WO2017113412A1 (en) Feeding method and feeding device
CN108856617B (en) Impact forging equipment with improved structure
CN212074524U (en) Vertical bottle is with dividing apart from device
KR101444725B1 (en) Apparatus for loading a heavy-weigh object
KR101360585B1 (en) Die pick-up control method, die pick-up device using the same, and die bonder including the same
JP2013184805A (en) Method and device for separating product, and skeleton carriage
CN102320186B (en) Numerical control full-automatic disc thermoprinting machine
JP5334875B2 (en) Work separation device
KR200342818Y1 (en) Apparatus for automatically cutting a sprue from an injection molded article
CN211589144U (en) Press-fit equipment
CN112582171B (en) Inductance individual cutting and detecting machine
CN214564236U (en) Low-abrasion engraving machine
EP0325841A2 (en) Shock-absorbing workpiece-supporting device for bending machines
JP2009046260A (en) Sheet material delivery device
JP5328596B2 (en) Cutting device
FI106187B (en) Revolverilävistyspuristin
CN110153607B (en) Automatic cutting device for steel plate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0129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0711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801

Year of fee payment: 7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