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90131133A - 가스분무법을 이용한 금속복합분말의 제조방법 및 이를위한 금속복합분말 제조장치 - Google Patents

가스분무법을 이용한 금속복합분말의 제조방법 및 이를위한 금속복합분말 제조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90131133A
KR20090131133A KR1020080056951A KR20080056951A KR20090131133A KR 20090131133 A KR20090131133 A KR 20090131133A KR 1020080056951 A KR1020080056951 A KR 1020080056951A KR 20080056951 A KR20080056951 A KR 20080056951A KR 20090131133 A KR20090131133 A KR 20090131133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hase
composite powder
metal composite
crucible
metal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80056951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1117460B1 (ko
Inventor
김용진
양상선
이재욱
Original Assignee
한국기계연구원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한국기계연구원 filed Critical 한국기계연구원
Priority to KR1020080056951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117460B1/ko
Publication of KR20090131133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90131133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117460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117460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2CASTING; POWDER METALLURGY
    • B22FWORKING METALLIC POWDER; MANUFACTURE OF ARTICLES FROM METALLIC POWDER; MAKING METALLIC POWDER; APPARATUS OR 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METALLIC POWDER
    • B22F9/00Making metallic powder or suspensions thereof
    • B22F9/02Making metallic powder or suspensions thereof using physical processes
    • B22F9/06Making metallic powder or suspensions thereof using physical processes starting from liquid material
    • B22F9/08Making metallic powder or suspensions thereof using physical processes starting from liquid material by casting, e.g. through sieves or in water, by atomising or spraying
    • B22F9/082Making metallic powder or suspensions thereof using physical processes starting from liquid material by casting, e.g. through sieves or in water, by atomising or spraying atomising using a fluid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2CASTING; POWDER METALLURGY
    • B22FWORKING METALLIC POWDER; MANUFACTURE OF ARTICLES FROM METALLIC POWDER; MAKING METALLIC POWDER; APPARATUS OR 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METALLIC POWDER
    • B22F9/00Making metallic powder or suspensions thereof
    • B22F9/02Making metallic powder or suspensions thereof using physical processes
    • B22F9/06Making metallic powder or suspensions thereof using physical processes starting from liquid material
    • B22F9/08Making metallic powder or suspensions thereof using physical processes starting from liquid material by casting, e.g. through sieves or in water, by atomising or spraying
    • B22F9/082Making metallic powder or suspensions thereof using physical processes starting from liquid material by casting, e.g. through sieves or in water, by atomising or spraying atomising using a fluid
    • B22F2009/0888Making metallic powder or suspensions thereof using physical processes starting from liquid material by casting, e.g. through sieves or in water, by atomising or spraying atomising using a fluid casting construction of the melt process, apparatus, intermediate reservoir, e.g. tundish, devices for temperature control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2CASTING; POWDER METALLURGY
    • B22FWORKING METALLIC POWDER; MANUFACTURE OF ARTICLES FROM METALLIC POWDER; MAKING METALLIC POWDER; APPARATUS OR 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METALLIC POWDER
    • B22F2302/00Metal Compound, non-Metallic compound or non-metal composition of the powder or its coating
    • B22F2302/10Carbide

Landscapes

  • Manufacture Of Metal Powder And Suspensions Thereof (AREA)

Abstract

본 발명은 가스분무법을 이용한 금속복합분말의 제조방법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은 기지상이 챔버에 투입되는 단계와, 강화상이 챔버 내에 구비되는 단계와, 투입된 기지상이 용융되어 용탕이 형성되는 단계와, 상기 용탕에 강화상이 첨가되는 단계와, 강화상이 첨가된 용탕이 교반되어 혼합용탕을 형성하는 단계와, 상기 혼합용탕을 가스와 함께 분무하여 강화상이 함유된 금속복합분말이 형성되는 단계 및 형성된 금속복합분말이 회수되는 단계가 포함되어 이루어진다. 그리고, 이를 위한 제조장치는 기지상이 투입되어 용융되는 도가니가 내부에 구비되는 상챔버와, 상챔버 내부에서 도가니의 상측에 구비되며, 도가니 내부로 강화상의 선택적인 투입을 가능하도록 하는 투입수단과, 투입수단을 통해 상기 도가니 내부로 투입된 강화상과 도가니 내부에서 가열되어 형성된 용탕을 교반시키는 교반수단과, 상기 교반수단을 통해 강화상과 함께 용탕이 교반되어 형성된 혼합용탕을 가스와 함께 분무하여 분말을 생성시키는 분무노즐 및 상기 분무노즐에 의해 생성된 금속복합분말의 회수공간인 하챔버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이에 의하면 특성이 제어된 강화상을 함유하는 분말야금용 금속복합분말을 대량으로 생산할 수 있는 이점이 있다.
금속복합분말, 가스분무법, 전자현미분석, X-선 회절분석, 알루미늄, 실리콘

Description

가스분무법을 이용한 금속복합분말의 제조방법 및 이를 위한 금속복합분말 제조장치{A manufacturing method of composite metal powder using the gas atomization and manufacturing device of the same}
본 발명은 가스분무법을 이용한 금속복합분말의 제조방법 및 이를 위한 금속복합 분말 제조장치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금속분말을 제조하는 방법으로는 고체금속을 분쇄하는 분쇄법과, 석출과 같은 화학적 방법을 통한 습식법, 그리고 금속소재를 용융시킨 뒤 분사노즐을 이용하여 분무하는 분무법 등이 사용된다.
이 중에서, 상기 분무법은 사용하는 냉각매체에 따라 물과 같은 액체를 사용하는 수분사법과, 가스를 사용하는 가스분무법으로 구분할 수 있다.
종래 가스분무법(Gas Atomization)에 의한 금속분말제조 방법은 일반적으로 용융금속을 분사노즐을 통하여 흘려주면서 상온의 아르곤 또는 질소와 같은 불활성 가스를 분사하여 금속분말을 제조하며, 제조된 금속분말의 입자크기가 평균 100㎛ 정도로 형성된다.
금속은 용융온도에 따라 아연(Zn), 알루미늄(Al), 주석(Sn) 등과 같이 낮은 융점을 갖는 소재와 스테인레스강, 구리(Cu), 철(Fe), 니켈(Ni), 코발트(Co) 등과 같이 높은 융점을 갖는 금속 또는 다원계 합금 등으로 구분할 수 있다.
한편, 상기와 같이 다양한 종류로 구분되는 금속소재들은 강화상(Reinforcing phase)이 포함되어 금속소재의 특성을 향상시키게 되며, 이와 같이 강화상을 함유한 금속소재는 주로 강화상을 투입한 뒤 용융주조법을 통하여 제조된다.
그러나, 상기와 같이 용융주조법을 통하여 제조된 금속소재는 계면을 따라 강화상이 분리될 우려가 높아 제조된 제품의 실형상 가공이 어려우며, 기지상(Matrix phase) 즉, 낮은 용융점의 소재와 강화상 즉, 높은 용융점의 소재를 혼합하는 별도의 용융 혼합과정이 추가된다.
또한, 상기와 같은 혼합과정을 포함하여 용융주조된 금속소재는 강화상과 기지상이 혼합될 때, 상기 강화상이 응집되어 불균일 분포가 발생하게 되며, 이로 인하여 강화상의 양이나 크기, 형상, 분포 등의 제어가 어려운 문제점이 있으며, 강화상 함유 금속소재의 크기 또한 조절하기 어려운 문제점이 있다.
상기와 같은 종래 기술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창안된 본 발명의 목적은, 강화상을 함유하는 금속복합분말의 제조를 위해 용융된 기지상에 강화상을 투입하고 투입된 강화상과 용융된 기지상을 교반한 뒤 가스분무법을 이용하여 금속복합분말을 제조하는 가스분무법을 이용한 금속복합분말의 제조방법을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상기 방법을 위한 금속복합분말 제조장치를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은 기지상이 챔버에 투입되는 단계와, 강화상이 챔버 내에 구비되는 단계와, 투입된 기지상이 용융되어 용탕이 형성되는 단계와, 상기 용탕에 강화상이 첨가되는 단계와, 강화상이 첨가된 용탕이 교반되어 혼합용탕을 형성하는 단계와, 상기 혼합용탕을 가스와 함께 분무하여 강화상이 함유된 금속복합분말이 형성되는 단계 및 형성된 금속복합분말이 회수되는 단계가 포함되어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강화상은 상기 기지상보다 상대적으로 높은 용융점을 가지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강화상은 세라믹과 금속간 화합물과 유무기물 중 하나 이상을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강화상은 상기 기지상보다 작은 크기를 가지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강화상의 분율은 용융되는 기지금속 대비 0.1 내지 50 부피분율 미만임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의한 금속복합분말 제조장치는 기지상이 투입되어 용융되는 도가니가 내부에 구비되는 상챔버와, 상기 상챔버 내부에서 상기 도가니의 상측에 구비되며, 상기 도가니 내부로 강화상의 선택적인 투입을 가능하도록 하는 투입수단과, 상기 투입수단을 통해 상기 도가니 내부로 투입된 강화상과 상기 도가니 내부에서 가열되어 형성된 용탕을 교반시키는 교반수단과, 상기 교반수단을 통해 상기 강화상과 함께 용탕이 교반되어 형성된 혼합용탕을 가스와 함께 분무하여 분말을 생성시키는 분무노즐 및 상기 분무노즐에 의해 생성된 금속복합분말의 회수공간인 하챔버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교반수단은 상기 상챔버 외측에 구비되는 교반모터와, 상기 도가니 내부에서 상기 교반모터와 연결되어 회전하는 임펠러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투입수단은 상기 강화상이 수용되는 수용부와, 상기 수용부를 작동시켜 상기 도가니 내부로 상기 강화상이 투입되도록 하는 조작부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와 같은 특징을 가지는 본 발명에 의하면, 특성이 제어된 강화상을 함유하는 분말야금용 금속복합분말을 대량으로 생산할 수 있는 이점이 있다.
그리고, 상기와 같이 생성된 금속복합분말을 이용하여 분말야금 공정을 수행함으로써 기계적 특성이 향상된 제품을 생산할 수 있는 이점이 있다.
이하에서는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구체적인 실시 예에 관하여 설명한다. 다만,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은 이하 제시되는 실시 예에 제한되지 아니하며, 본 발명의 사상을 이해하는 당업자는 동일한 사상의 범위 내에서 다른 실시예를 용이하게 제안할 수 있을 것이다.
도 1 에는 본 발명에 의한 일실시 예인 가스분무법을 이용한 금속복합분말 제조장치의 구조가 개략적으로 도시된 도면이 있다.
도시된 바에 의하면, 본 발명에 의한 일실시 예인 가스분무법을 이용한 금속복합분말 제조장치는 제조하고자 하는 금속복합분말의 기지상(도 3 에서 도면부호 600)과 강화상(도 3 에서 도면부호 700)이 상챔버(100) 내부에 수용될 수 있도록 구성된다.
상세하게, 상기 상챔버(100) 내부에는 상기 기지상(600)을 용융시키기 위한 도가니(120)와 히터(140)가 구비되고, 상기 도가니(120)의 상측으로 상기 강화상(700)이 수용되는 투입수단(500)이 구비된다.
상기 도가니(120)는 상방이 개구되도록 형성되며, 상부에서 하부로 갈수록 수용면적이 좁아지도록 형성되어 하단에는 아래에서 상세히 설명할 분무노즐(300)이 연결되도록 구성된다.
그리고, 상기 도가니(120)의 외측에는 상기 도가니(120)를 가열하기 위한 히 터가 구비되어, 내부에 수용되는 기지상(600)을 도가니(120)와 함께 가열한다.
상기 투입수단(500)은 수용부(520)와 조작부(540)를 포함하여 구성되며, 대략 원통 형상으로 형성되어 내부에 상기 강화상(700)이 수용되는 수용부(520)는 몸체 중심에서 일방향으로 치우진 부분에 회전축이 형성되어, 상기 회전축을 중심으로 회동할 수 있도록 형성된다.
그리고, 상기 수용부(520)의 몸체 일측에는 사용자 조작에 의해 상기 수용부(520)를 일방향으로 기울여 상기 수용부(520)의 내부에 수용된 강화상(700)이 상기 도가니(120) 내부로 투입될 수 있도록 하는 조작부(540)가 연결된다.
즉, 상기 조작부(540)는 일단이 상기 수용부(520)와 연결되고, 타단이 상기 상챔버(100)의 외측으로 노출되도록 형성되어, 사용자가 노출된 타단을 파지하여 잡아당기게 되면, 상기 수용부(520)가 회전축을 중심으로 사용자가 파지하는 방향을 따라 상승하게 되어, 내부에 수용된 강화상(700)이 경사를 따라 상기 도가니(120) 내부로 투입된다.
물론, 모터와 조작스위치 등을 구비하여 사용자가 조작스위치를 조작하면 상기 수용부(520)가 상기 모터의 작동에 의해 일방향으로 기울어지도록 구성하는 것도 가능할 것이다.
한편, 상기 도가니(120) 내부에는 상기 기지상(600)이 수용되어 상기 히터(140)에 의해 가열됨으로써 용탕이 되고, 상기와 같이 형성된 용탕에 상기 강화상(700)이 투입되어 교반될 수 있도록 교반수단(400)의 일부가 수용된다.
상세하게, 상기 교반수단(400)은 상기 상챔버(100) 일측에 구비되어 회전력 을 생성하는 교반모터(420)와, 상기 교반모터(420)의 회전축과 연결되며, 상기 도가니(120) 내부에 수용되어 용탕 즉, 용융 상태의 기지상(600)과 상기 강화상(700)이 교반되도록 회전하는 임펠러(440)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그리고, 도면에 상세하게 도시되지는 않았지만 상기 교반모터(420)는 실린더나 별도의 모터 등을 이용해 높낮이가 조절될 수 있도록 장착되며, 이로 인해 상기 도가니(120) 내부에서 상기 임펠러(440)의 위치가 가변 가능하게 되어 상기 용탕에 투입된 강화상(700)이 상기 용탕과 원활하게 교반될 수 있도록 한다.
한편, 상기 기지상(600)은 용융점이 상대적으로 낮은 금속(Al, Cu, Fe 등) 및 합금(AlSi, FeNi 등)이 사용되고, 상기 강화상(700)은 용융점이 상기 기지상(600) 보다 상대적으로 높은 세라믹(SiC, TiC, Al2O3, SiO2 등)과 금속간 화함물(Al3Zr 등) 또는 유무기물이 하나 이상 포함되어 사용된다.
그리고, 상기 기지상(600)은 그 크기가 10㎛ 내지 1000㎛ 범위를 가지고, 상기 강화상(700)은 그 크기가 상대적으로 상기 기지상(600) 보다 작은 크기를 가지도록 형성되며, 1㎚ 내지 100㎛ 범위 이내의 크기를 가지는 것이 가장 바람직할 것이다.
이는 상기 강화상(700)이 기지상(600)의 크기 보다 클 경우 기지상(600)의 특성을 향상시키기 위한 강화상(700)의 역할 수행이 되지 않기 때문이다.
상기 강화상(700)은 부피 분율이 상기 용융되는 기지금속 대비 0.1 내지 50 vol% 이내의 범위를 가지도록 투입된다. 이는 상기 강화상(700)이 50% 이상일 경우 점도가 높아져 가스분무가 원활하게 이루어지지 않기 때문이다.
한편, 상기 분무노즐(300)은 전술한 바와 같이 상기 도가니(120)의 하단에 연결되어 상기와 같은 크기 및 분율의 범위를 가지는 강화상(700)과 용탕의 혼합용탕이 고압의 가스와 함께 상기 하챔버(200) 내부로 분무 될 수 있도록 형성되며, 이와 같은 노즐구조는 이미 공지된 기술이므로 상세한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
상기와 같이 분무노즐(300)에 의해 분무되는 혼합용탕은 고압의 가스와 함께 분사되면서 분말 형태로 변환되고, 이와 같이 변환된 금속복합분말은 상기 하챔버(200) 내부로 회수된다.
즉, 상기 하챔버(200)는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상챔버(100)의 하측에서 상기 상챔버(100)를 지지하면서 상기 분무노즐(300)과 연결된다. 그리고 상기 분무노즐(300)의 단부에서 가스와 함께 분사되면서 분말형태로 변환되는 금속복합분말을 포집하여 저장하게 되며, 도면에 도시되지는 않았지만 이를 위해 싸이클론이 상기 하챔버(200)의 하측으로 더 구비된다.
이하에서는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상기와 같은 금속복합분말 제조장치를 이용하여 가스분무법을 이용한 금속복합분말의 제조방법에 대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도 2 에는 본 발명에 의한 가스분무법을 이용한 금속복합분말의 제조방법을 도시한 순서도가 도시되어 있다.
도면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의한 가스분무법을 이용한 금속복합분말의 제조방법에서는 우선, 상기 상챔버(100) 내부에 상기 기지상(도 3 에서 도면부호 600)이 투입되는 단계가 수행된다.
즉, 전술한 바와 같이 상기 상챔버(100) 내부에는 상기 기지상(600)이 수용되는 도가니(120)가 구비되고, 상기 도가니(120) 내부에 상기 기지상(600)이 수용된다.
그리고, 상기 상챔버(100) 내부에 구비되는 투입수단(500)에 상기 강화상(700)이 수용되는 단계가 상기 기지상(600)의 수용단계와는 별도 과정으로 수행된다.
즉, 상기 기지상(600)이 상기 도가니(120) 내부에 수용되는 단계와 상기 강화상(700)이 상기 투입수단(500)의 일구성인 수용부(520)의 내부에 수용되는 과정은 각각 개별적으로 이루어지므로 순서와는 무관하게 이루어질 수 있다. 그러나, 상기 기지상(600)의 기계적 특성을 보강하기 위하여 상기 강화상(700)이 투입되므로 상기 기지상(600)의 수용 이후 보강할 특성을 고려하여 상기 강화상(700)을 수용하는 것이 바람직할 것이다.
한편, 상기와 같이 상챔버(100) 내부에 기지상(600)과 강화상(700)의 수용이 완료되면, 상기 도가니(120) 내부에 수용된 기지상(600)이 용융되어 용탕을 형성하는 단계가 수행된다.
상기 용탕이 형성되는 단계에서는, 상기 상챔버(100)의 내부에 구비되는 도가니(120)에서 유도용해에 의해 약 900℃의 용탕으로 상기 기지상(600)이 변환된다.
그리고, 상기 기지상(600)이 용융되어 형성된 용탕에는 상기 강화상(700)이 투입되는 단계가 수행된다.
이때, 상기 강화상(700)은 전술한 바와 같이 사용자가 외부에서 조작가능하도록 조작부(540)와 연결된 수용부(520) 내부에 구비되므로, 사용자는 상기 기지상(600)의 상태를 확인하고 용탕으로 변환되었음이 확인되면, 상기 조작부(540)를 이용하여 강화상(700)을 상기 용탕에 투입하는 것이 가능하게 된다.
상기와 같이 투입되는 강화상(700)은 전술한 바와 같이 상기 기지상(600) 보다 용융점이 높은 재질로 용융된 기지상(600)내부에 투입된 상태에서 그 특성을 유지하게 된다.
그리고, 상기 강화상(700)이 용탕 즉, 용융된 기지상(600)에 투입되면, 상기 교반수단(400)의 일구성인 교반모터(420)가 회전하여 이와 연결된 임펠러(440)를 고속으로 회전시키게 되고, 이와 같이 고속회전하는 임펠러(440)에 의해 상기 강화상(700)이 용탕 내부에서 고르게 퍼지게 되어 혼합용탕이 된다.
한편, 상기와 같이 혼합용탕이 형성되면, 상기 혼합용탕을 분무노즐(300)을 이용해 고압의 가스와 함께 분무함으로써 금속복합분말을 형성하는 단계가 수행된다.
그리고, 상기와 같이 생성되는 금속복합분말은 상기 기지상(600)에 상기 강화상(700)이 함유된 상태로 상기 하챔버(200) 내부에서 회수되어 수용된다.
이하에서는 상기와 같이 제조되는 금속복합분말에 대하여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보다 상세히 살펴본다.
도 3 에는 본 발명에 의해 제조된 금속복합 분말의 결정질 구조를 개략적으로 보인 단면도가 도시되어 있다.
도면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의한 가스분무법을 이용한 금속복합분말의 제조방법에 의해 제조된 금속복합분말은 기지상(600)의 내부에 상기 강화상(700)이 함유되어 기지상(600)의 내부에서 상기 강화상(700)과 기지상(600)의 계면이 형성된다. 따라서, 상기 강화상(700)이 응집되어 상기 기지상(600) 일측으로 불균일하게 분포되는 것이 방지된다.
이하에서는 실시 예를 통해 이를 보다 구체적으로 살펴본다.
도 4 는 본 발명에 의해 제조된 실리콘 카바이드(SiC)를 함유한 알루미늄(Al) 복합분말의 미세조직을 보인 사진이고, 도 5 는 본 발명에 의해 제조된 실리콘 카바이드(SiC)를 함유한 알루미늄(Al) 복합분말의 전자현미분석(Electron Probe Micro Analysis : EPMA) 사진이며, 도 6 은 본 발명에 의해 제조된 실리콘 카바이드(SiC)를 함유한 알루미늄(Al) 복합분말의 X-선 회절분석 결과를 보인 도면이다.
이들 도면에 도시된 금속복합분말은 본 발명에 의한 가스분무법을 이용한 금속복합분말 제조방법 및 이를 위한 금속복합분말 제조장치에 의해 형성된 것으로, 세라믹의 한 종류인 실리콘 카바이드(SiC)가 함유된 알루미늄(Al) 복합분말이다.
상기 실리콘 카바이드(SiC)가 함유된 알루미늄(Al) 복합분말은 전술한 바와 같이 유도용해를 통하여 상기 상챔버(100)의 도가니(120)에서 약 900℃의 알루미늄(Al) 용탕이 되고, 약 2 vol.%의 실리콘 카바이드(SiC)가 상기 수용부(520)의 내부에 수용되어 있다가 상기 알루미늄(Al) 용탕에 직접 투입된다.
그리고, 상기 교반수단(400)을 상하로 이동시키면서 상기 실리콘 카바이드(SiC)가 투입된 알루미늄(Al) 용탕을 약 500RPM으로 회전시켜 교반시킴으로써 혼합용탕을 형성한다.
상기와 같이 형성된 실리콘 카바이드(SiC)와 알루미늄(Al)의 혼합용탕을 직경 2㎜ 분무노즐(300)을 통해 흘려보내고, 이와 함께 약 20bar의 혼합가스(질소:산소=8:2)를 상기 분무노즐(300) 끝단으로 분사함으로써 약 150㎛ 크기의 실리콘 카바이드(SiC)가 함유된 알루미늄(Al) 복합분말이 형성되고, 상기 실리콘 카바이드(SiC)가 함유된 알루미늄(Al) 복합분말은 상기 하챔버(200) 내부에서 회수되어 수용된다.
상기 과정을 통해 형성된 실리콘 카바이드(SiC)가 함유된 알루미늄(Al) 복합분말의 현미경 사진과 전자현미분석 결과와 X-선 회절 분석 결과를 통해, 기지상(600)인 알루미늄(Al) 속에 강화상(700)인 실리콘 카바이드(SiC)가 함유된 상태가 확인된다.
도 1 은 본 발명에 의한 일실시 예인 가스분무법을 이용한 금속복합분말 제조장치의 구조가 개략적으로 도시된 도면.
도 2 는 본 발명에 의한 가스분무법을 이용한 금속복합분말의 제조방법을 도시한 순서도.
도 3 은 본 발명에 의해 제조된 금속복합분말의 결정질 구조를 개략적으로 보인 단면도.
도 4 는 본 발명에 의해 제조된 실리콘 카바이드(SiC)를 함유한 알루미늄(Al) 복합분말의 미세조직 및 이를 부분확대한 모습을 보인 사진.
도 5 는 본 발명에 의해 제조된 실리콘 카바이드(SiC)를 함유한 알루미늄(Al) 복합분말의 전자현미분석(Electron Probe Micro Analysis : EPMA) 사진.
도 6 은 본 발명에 의해 제조된 실리콘 카바이드(SiC)를 함유한 알루미늄(Al) 복합분말의 X-선 회절분석 결과를 보인 도면.
*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
100..... 상챔버 120..... 도가니
140..... 히터 200..... 하챔버
300..... 분무노즐 400..... 교반수단
420..... 교반모터 440..... 임펠러
500..... 투입수단 520..... 수용부
540..... 조작부 600..... 기지상
700..... 강화상

Claims (8)

  1. 기지상이 챔버에 투입되는 단계;
    강화상이 챔버 내에 구비되는 단계;
    투입된 기지상이 용융되어 용탕이 형성되는 단계;
    상기 용탕에 강화상이 첨가되는 단계;
    강화상이 첨가된 용탕이 교반되어 혼합용탕을 형성하는 단계;
    상기 혼합용탕을 가스와 함께 분무하여 강화상이 함유된 금속복합분말이 형성되는 단계; 및
    형성된 금속복합분말이 회수되는 단계;가 포함되어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가스분무법을 이용한 금속복합분말 제조방법.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강화상은,
    상기 기지상보다 상대적으로 높은 용융점을 가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가스분무법을 이용한 금속복합분말 제조방법.
  3.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강화상은,
    세라믹과 금속간 화합물과 유무기물 중 하나 이상을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가스분무법을 이용한 금속복합분말 제조방법.
  4.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강화상은
    상기 기지상보다 작은 크기를 가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가스분무법을 이용한 금속복합분말 제조방법.
  5.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강화상의 분율은,
    상기 기지상이 용융되는 도가니 대비 0.1 내지 50 미만임을 특징으로 하는 가스분무법을 이용한 금속복합분말 제조방법.
  6. 기지상이 투입되어 용융되는 도가니가 내부에 구비되는 상챔버;
    상기 상챔버 내부에서 상기 도가니의 상측에 구비되며, 상기 도가니 내부로 강화상의 선택적인 투입을 가능하도록 하는 투입수단;
    상기 투입수단을 통해 상기 도가니 내부로 투입된 강화상과 상기 도가니 내부에서 가열되어 형성된 용탕을 교반시키는 교반수단;
    상기 교반수단을 통해 상기 강화상과 함께 용탕이 교반되어 형성된 혼합용탕을 가스와 함께 분무하여 분말을 생성시키는 분무노즐; 및
    상기 분무노즐에 의해 생성된 금속복합분말의 회수공간인 하챔버;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가스분무법을 이용한 금속복합분말 제조장치.
  7. 제 7 항에 있어서, 상기 교반수단은
    상기 상챔버 외측에 구비되는 교반모터와,
    상기 도가니 내부에서 상기 교반모터와 연결되어 회전하는 임펠러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가스분무법을 이용한 금속복합분말 제조장치.
  8. 제 7 항에 있어서, 상기 투입수단은,
    상기 강화상이 수용되는 수용부와,
    상기 수용부를 작동시켜 상기 도가니 내부로 상기 강화상이 투입되도록 하는 조작부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가스분무법을 이용한 금속복합분말 제조장치.
KR1020080056951A 2008-06-17 2008-06-17 가스분무법을 이용한 금속복합분말의 제조방법 KR101117460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80056951A KR101117460B1 (ko) 2008-06-17 2008-06-17 가스분무법을 이용한 금속복합분말의 제조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80056951A KR101117460B1 (ko) 2008-06-17 2008-06-17 가스분무법을 이용한 금속복합분말의 제조방법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90131133A true KR20090131133A (ko) 2009-12-28
KR101117460B1 KR101117460B1 (ko) 2012-03-07

Family

ID=4169042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80056951A KR101117460B1 (ko) 2008-06-17 2008-06-17 가스분무법을 이용한 금속복합분말의 제조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117460B1 (ko)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70072980A (ko) * 2015-12-17 2017-06-28 한국기계연구원 가스분무법을 이용한 자성솔더 복합분말의 제조방법 및 이에 의하여 제조되는 자성솔더 복합분말
CN110125383A (zh) * 2019-04-25 2019-08-16 江苏大学 高纯铁铬铝合金粉末的制造方法
KR102344225B1 (ko) 2020-11-02 2021-12-29 주식회사 이엠엘 고융점 금속 분말 제조장치 및 제조방법

Cited B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70072980A (ko) * 2015-12-17 2017-06-28 한국기계연구원 가스분무법을 이용한 자성솔더 복합분말의 제조방법 및 이에 의하여 제조되는 자성솔더 복합분말
CN110125383A (zh) * 2019-04-25 2019-08-16 江苏大学 高纯铁铬铝合金粉末的制造方法
CN110125383B (zh) * 2019-04-25 2020-04-17 江苏大学 高纯铁铬铝合金粉末的制造方法
KR102344225B1 (ko) 2020-11-02 2021-12-29 주식회사 이엠엘 고융점 금속 분말 제조장치 및 제조방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117460B1 (ko) 2012-03-07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EP1598434B1 (en) Method for preparing a metallic article having an other additive constituent, without any melting
AU2009316980B2 (en) Plasma method and apparatus for recovery of precious metals
AU2018400804B2 (en) Methods of forming spherical metallic particles
US5346184A (en) Method and apparatus for rapidly solidified ingot production
Wang et al. Mechanism of in situ synthesis of TiC in Cu melts and its microstructures
US9267190B2 (en) Production method and production device for a composite metal powder using the gas spraying method
US6368375B1 (en) Processing of electroslag refined metal
CN110129596A (zh) 薄带状纳米Al3(Sc,Zr)/Al复合孕育剂的制备方法
US6926754B2 (en) Method for preparing metallic superalloy articles having thermophysically melt incompatible alloying elements, without melting
KR101117460B1 (ko) 가스분무법을 이용한 금속복합분말의 제조방법
EP1582604A2 (en) Meltless preparation of martensitic steel articles having thermophysically melt incompatible alloying elements
KR101143888B1 (ko) 기계적 활성화법을 이용한 금속복합분말의 제조방법 및 이에 따라 제조되는 금속복합분말
KR20090121967A (ko) 난류용탕 인 시추 합성법을 이용한 금속 나노복합재료의제조방법
CN103924116B (zh) 一种低压脉冲磁场作用下改善SiC颗粒在镁基复合材料中分布的方法
CN109371273A (zh) 一种石墨烯增强镁基复合材料的压铸制备方法
CN1317407C (zh) 一种钢结硬质合金的制备方法
Khripchenko et al. Experiment on injection of SIC and BN nanoparticles into liquid aluminum using MHD stirring with subsequent crystallization of the melt
KR101049029B1 (ko) 기공을 포함하는 금속분말의 제조방법
KR101143887B1 (ko) 가스분무법을 이용한 금속복합분말의 제조방법 및 이에 따라 제조되는 금속복합분말
JPH0196342A (ja) 過共晶Al−Si合金複合材料の連続製造方法
US6129134A (en) Synthesis of metal matrix composite
Chumanov et al. Adding Tungsten Semicarbide to 08Kh18N10T Corrosion-Resistant Steel and Its Effect on the Mechanical Properties
JP2701298B2 (ja) 金属基複合材料の連続製造方法と装置
Nur Hawadah et al. Formation of titanium carbide reinforced copper matrix composite by in situ processing
WO2007119826A1 (ja) Ti粉末の製造方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AMND Amendment
E90F Notification of reason for final refusal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J201 Request for trial against refusal decision
AMND Amendment
E90F Notification of reason for final refusal
B701 Decision to gran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1230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1209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1207

Year of fee payment: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1218

Year of fee payment: 7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1211

Year of fee payment: 8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1210

Year of fee payment: 9