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90130812A - 형상 변경이 가능한 기지국 안테나 - Google Patents

형상 변경이 가능한 기지국 안테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90130812A
KR20090130812A KR1020090049138A KR20090049138A KR20090130812A KR 20090130812 A KR20090130812 A KR 20090130812A KR 1020090049138 A KR1020090049138 A KR 1020090049138A KR 20090049138 A KR20090049138 A KR 20090049138A KR 20090130812 A KR20090130812 A KR 20090130812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base station
antenna
reflecting plate
station antenna
cap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90049138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문영찬
소성환
김인호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케이엠더블유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케이엠더블유 filed Critical 주식회사 케이엠더블유
Priority to US12/484,379 priority Critical patent/US20090312057A1/en
Priority to JP2011513434A priority patent/JP2011524681A/ja
Priority to CN2009801234102A priority patent/CN102084546A/zh
Priority to PCT/KR2009/003199 priority patent/WO2010005178A2/en
Priority to EP09794584A priority patent/EP2308133A2/en
Publication of KR20090130812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90130812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QANTENNAS, i.e. RADIO AERIALS
    • H01Q1/00Details of, or arrangements associated with, antennas
    • H01Q1/08Means for collapsing antennas or parts thereof
    • H01Q1/084Pivotable antenna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QANTENNAS, i.e. RADIO AERIALS
    • H01Q1/00Details of, or arrangements associated with, antennas
    • H01Q1/12Supports; Mounting means
    • H01Q1/22Supports; Mounting means by structural association with other equipment or articles
    • H01Q1/24Supports; Mounting means by structural association with other equipment or articles with receiving set
    • H01Q1/241Supports; Mounting means by structural association with other equipment or articles with receiving set used in mobile communications, e.g. GSM
    • H01Q1/246Supports; Mounting means by structural association with other equipment or articles with receiving set used in mobile communications, e.g. GSM specially adapted for base station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QANTENNAS, i.e. RADIO AERIALS
    • H01Q21/00Antenna arrays or systems
    • H01Q21/06Arrays of individually energised antenna units similarly polarised and spaced apart
    • H01Q21/08Arrays of individually energised antenna units similarly polarised and spaced apart the units being spaced along or adjacent to a rectilinear path
    • H01Q21/10Collinear arrangements of substantially straight elongated conductive unit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QANTENNAS, i.e. RADIO AERIALS
    • H01Q3/00Arrangements for changing or varying the orientation or the shape of the directional pattern of the waves radiated from an antenna or antenna system
    • H01Q3/02Arrangements for changing or varying the orientation or the shape of the directional pattern of the waves radiated from an antenna or antenna system using mechanical movement of antenna or antenna system as a whole
    • H01Q3/04Arrangements for changing or varying the orientation or the shape of the directional pattern of the waves radiated from an antenna or antenna system using mechanical movement of antenna or antenna system as a whole for varying one co-ordinate of the orientation
    • H01Q3/06Arrangements for changing or varying the orientation or the shape of the directional pattern of the waves radiated from an antenna or antenna system using mechanical movement of antenna or antenna system as a whole for varying one co-ordinate of the orientation over a restricted angle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QANTENNAS, i.e. RADIO AERIALS
    • H01Q9/00Electrically-short antennas having dimensions not more than twice the operating wavelength and consisting of conductive active radiating elements
    • H01Q9/04Resonant antennas
    • H01Q9/06Details
    • H01Q9/10Junction boxes specially adapted for supporting adjacent ends of divergent elements
    • H01Q9/12Junction boxes specially adapted for supporting adjacent ends of divergent elements adapted for adjustment of angle between element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Aerials With Secondary Devices (AREA)
  • Variable-Direction Aerials And Aerial Arrays (AREA)

Abstract

본 발명에 따른 기지국 안테나는 적어도 하나의 방사소자를 각각 구비한 적어도 두 개의 반사판; 내부 공동을 형성하여 상기 적어도 두 개의 반사판을 수납하는 레이돔; 상기 레이돔의 상부 및 하부에 각각 결합되는 상부캡 및 하부캡; 상기 적어도 두 개의 반사판 각각과, 상기 상부캡 및 하부캡에 연결되어 상기 적어도 두 개의 반사판의 회전이 가능하도록 하는 반사판 연결부재; 회전력을 제공하는 적어도 하나의 동력발생부; 및 상기 동력발생부에서 제공된 회전력에 따라 회전하는 적어도 하나의 반사판의 회전각을 제어하는 적어도 하나의 동력전달기구부를 포함하며, 상기 동력발생부 및 동력전달기구부 중 적어도 하나는 상기 적어도 두 개의 반사판과 결합된다.
안테나, 반사판, 빔, 방향, 원격, 제어, 형상, 변경

Description

형상 변경이 가능한 기지국 안테나{RECONFIGURABLE BASESTATION ANTENNA}
기지국 안테나에 관한 것으로서, 특히 다중 안테나 방식을 지원하는 기지국 안테나에 관한 것이다.
이동 통신 기술의 발전으로 3세대(3G; 3rd Generation) 망이 채 포화 되기도 전에 4세대(4G; 4th Generation) 망 구축이 활발히 이뤄질 것으로 예상되고 있다. 4G 망을 대표하는 국제 표준인 Mobile WiMAX 또는 LTE(Long Term Evolution) 통신 방식은 주파수 대역 대비 전송 속도인 용량(Capacity, bps/Hz)을 증대시키기 위하여 다양한 기술이 적용되고 있으며, 이 중 가장 효과적으로 용량을 개선시키기 위하여 MIMO(Multi-Input Multi-Output)라 일컫는 다중 안테나 기술(Multiple Antenna Technology)을 적용하고 있다.
기지국 안테나에서 다중 안테나 기술의 근간은 기저 대역(Baseband) 신호 처리(Signal Processing) 기술을 바탕으로 하고 있으나, 안테나의 설치 형상(Antenna Configuration)에 따라 다중 안테나를 사용한 용량 개선 효과는 현격히 달라진다. 그 이유는 다중 안테나 기술은 다수의 다중 경로 페이딩(Multi-path Fading)을 적 극적으로 이용하면서도 다른 가입자로부터의 간섭(Interference) 신호는 제거하는 기술이므로, 동일한 안테나 설치 형상에서도 기지국이 서비스 하는 지역의 전파(Wave Propagation) 환경 및 가입자 분포에 따라 용량 개선 효과가 다르기 때문이다. 그러므로 국제 표준에서는 안테나 설치 형상에 대해서는 표준안에 포함시키지 않고, 필드 상황에 맞춰 자유롭게 안테나를 설치하여 용량을 극대화 할 수 있도록 하고 있다.
그런데 기존 방식의 다중 안테나 기술에서는 안테나 빔이 고정되어 있으므로 전파 환경과 가입자의 분포에 따른 적응적인 대응 없이, 한번 설치되고 나면 기저 대역 신호 처리 기술에만 의존하여 용량의 증대를 기대할 수 없다는 제약이 있다. 물론 필요에 따라 타워에 올라가 안테나 자체 또는 안테나 설치 형상을 변경할 수 있으나, 변경 및 최적화를 위해서는 많은 시간과 비용이 소모되며, 나아가 전파 환경과 가입자 분포가 시간적으로 변하는 상황에는 대처하기가 용이하지 않다. 즉, 종래기술에는 통신 환경의 상태를 실시간으로 반영하여 로드 밸런싱을 수행할 수 없고, 핫스팟 지역으로 안테나 빔을 조향할 수 있는 방안이 존재하지 않는다.
본 발명은 전술한 문제점을 고려하여 안출된 것으로서, 전파 환경 및 가입자 분포에 대응하여 안테나 빔의 방사 방향을 원격지에서 다양하게 가변할 수 있는 기지국 안테나를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본 발명은 전술한 문제점을 고려하여 안출한 것으로서, 전파 환경 및 가입자 분포에 대응하여 안테나 형상을 변경함으로써 셀용량을 증대시킬 수 있는 기지국 안테나를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본 발명은 전술한 문제점을 고려하여 안출한 것으로서, 통신 환경의 상태를 실시간으로 반영하여 로드 밸런싱(load balancing) 기능을 수행하고, 핫 스팟(hot spot)지역으로 안테나 빔을 조향할 수 있는 기지국 안테나를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상기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에 따른 기지국 안테나는 적어도 하나의 방사소자를 각각 구비한 적어도 두 개의 반사판; 내부 공동을 형성하여 상기 적어도 두 개의 반사판을 수납하는 레이돔; 상기 레이돔의 상부 및 하부에 각각 결합되는 상부캡 및 하부캡; 상기 적어도 두 개의 반사판 각각과, 상기 상부캡 및 하부캡에 연결되어 상기 적어도 두 개의 반사판의 회전이 가능하도록 하는 반사판 연결부재; 회전력을 제공하는 적어도 하나의 동력발생부; 및 상기 동력발생부에서 제공된 회전력에 따라 회전하는 적어도 하나의 반사판의 회전각을 제어하는 적어도 하나의 동력전달기구부를 포함하며, 상기 동력발생부 및 동력전달기구부 중 적어도 하나는 상기 적어도 두 개의 반사판과 결합된다.
본 발명에 따른 기지국 안테나에 따르면, 다음과 같은 효과가 있다.
쳇째, 하나의 레이돔 내부에 구비된 복수의 반사판의 조향 각도를 원격지에서 제어함으로써, 통신 환경의 상태를 실시간으로 반영하여 Load Balancing 기능을 수행할 수 있고, 시공간적 제약없이 Hot Spot 지역으로 안테나 빔을 조향 할 수 있다.
둘째, 하나의 레이돔 내부에 구비된 반사판들을 서로 다른 서비스 망을 위한 안테나로서 운용함으로써, 서로 다른 서비스를 동시에 제공할 수 있는 공용 기지국을 운용할 수 있다.
셋째, 전파 환경 및 가입자 분포에 대응하여 안테나 형상을 변경함으로써 셀 용량ㅇ르 증대시킬 수 있는 이점이 있다.
이하 본 발명에 따른 바람직한 실시예를 첨부한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하기 설명에서는 구체적인 특정 사항들이 나타나고 있는데 이는 본 발명의 보다 전반적인 이해를 돕기 위해서 제공된 것일 뿐 이러한 특정 사항들이 본 발명의 범위 내에서 소정의 변형이나 혹은 변경이 이루어질 수 있음은 이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는 자명하다 할 것이다.
기존의 통신 서비스 망(예컨대, 2G 또는 3G 망)을 이용하여 이동통신 서비스 를 제공하면서 신규 통신 서비스 망(예컨대, 4G 망)을 구축할 경우, 신규 기지국 사이트를 설치하는데 많은 비용이 소요된다. 따라서, 기존의 통신 서비스 망(예컨대, 2G 또는 3G 망)이 설치된 사이트를 이용하여 신규 통신 서비스 망(예컨대, 4G 망)을 구축하게 되면, 신규 기지국 사이트 설치에 소요되는 비용을 줄일 수 있다. 이에 따라, 신규 통신 서비스 망의 구축시 공용 기지국(Co-siting) 설치가 요구된다. 즉, 차세대 통신 서비스 망에 필요한 안테나를, 이미 구축된 기지국 타워의 안테나와 더불어 설치하는 것이 요구된다.
한편, 이동 통신 기지국에서 기존에 사용되는 통상적인 안테나는 편파 다이버시티 운용을 위한 ±45°이중 편파(Dual-polarization) 안테나이고, ±45°이중 편파안테나를 사용하여 통상적인 4-branch 다중 안테나 기술을 지원하기 위해서는, 두 개의 이중 편파 안테나를 충분히 이격시켜 공간 다이버시티 효과를 얻게 설치하는 방식(이하, '제1방식'이라 함)과, 하나의 레이돔에 두 개의 이중 편파 안테나를 인접시켜 놓은 사중 편파(Quad-polarization) 안테나를 구현하는 방식(이하, '제2방식'이라 함)과, 인접한 이중 편파 안테나와 버틀러 행렬(Butler Matrix)을 사용하여 지향 각도가 다른 두 개의 안테나 빔을 형성하는 방식(이하, '제3방식'이라 함)이 주로 사용된다.
도 1a는 다중 안테나 기술을 지원하는 제1방식에 따른 안테나의 일반적인 설치 구조를 예시하고, 도 1b는 도 1a의 안테나에 의해 방사되는 빔의 패턴 및 방향을 예시한다. 도 1a 및 도 1b를 참조하면, 복수의 방사소자(13,17)를 구비한 두 개의 반사판(제1반사판(12) 및 제2반사판(16))이 두 개의 레이돔(11,15)에 각각 마련 되며, 상기 두 개의 레이돔(11,15)은 서로 미리 정해진 거리(d) 만큼 이격되어 고정된다. 이에 따라, 상기 제1반사판(12)은 제1방향(13-b)으로 제1패턴의 빔(13-a)을 방사하고, 상기 제1반사판(12)과 소정 거리 이격된 제2반사판(16)은 제2방향(17-b)으로 제2패턴의 빔(17-a)을 방사한다. 이러한 제1방식은 편파 다이버시티와 공간 다이버시티 효과를 동시에 얻는 장점은 있으나, 안테나 두 개를 사용해야 하므로 안테나 자체 가격 및 설치 비용, 타워 공간 문제, 타워 임대 조건에서 불리하다.
도 2a는 다중 안테나 기술을 지원하는 제2방식에 따른 안테나의 일반적인 설치 구조를 예시하고, 도 2b는 도 2a의 안테나에 의해 방사되는 빔의 패턴 및 방향을 예시한다. 도 2a 및 도 2b를 참조하면, 제2방식에 따른 안테나는, 복수의 방사소자(13,17)를 구비한 두 개의 반사판(제1반사판(22) 및 제2반사판(26))을 하나의 레이돔(21)에 이웃되게 마련한다. 이에 따라, 상기 제1반사판(22)은 제1방향(23-b)으로 제1패턴의 빔(23-a)을 방사하고, 상기 제1반사판(22)에 이웃한 제2반사판(26)은 제2방향(27-b)으로 제2패턴의 빔(27-a)을 방사한다. 이러한 제2방식은 상기 제1방식에 비하여 경제적인 면은 있으나, 두 개의 안테나 사이의 신호 연관성(Correlation)이 크므로 다중 안테나 기술에서 충분한 용량 확보에 문제가 있다.
도 3a는 다중 안테나 기술을 지원하는 제3방식에 따른 안테나의 일반적인 설치 구조를 예시하고, 도 3b는 도 3a의 안테나에 의해 방사되는 빔의 패턴 및 방향을 예시한다. 도 3a 및 도 3b를 참조하면, 제3방식에 따른 안테나는 복수의 방사소자(33,37)를 구비한 두 개의 반사판(제1반사판(32) 및 제2반사판(36))을 하나의 레 이돔(31)에 이웃되게 구비하고, 버틀러 행렬부(Butler Matrix)(38)에서 구동하는 버틀러 행렬을 사용하여 제1반사판(32) 및 제2반사판(36)으로부터의 안테나 빔의 지향 각도를 변환한다. 이에 따라, 상기 제1반사판(32)은 제1방향(33-b)으로 제1패턴의 빔(33-a)을 방사하고, 상기 제1반사판(32)에 이웃한 제2반사판(36)은 제2방향(37-b)으로 제2패턴의 빔(37-a)을 방사한다. 이러한 제3방식은 상기 제2방식의 경제적인 이득을 얻으면서 문제점인 신호 연관성을 패턴 다이버시티로 해결하는 장점이 있으나, 버틀러 행렬에 의한 신호 손실, 안테나 Scan Loss 및 안테나 복잡도가 증가하는 문제가 발생한다. 또한, 버틀러 행렬을 사용하여 전기적으로 안테나 빔의 지향 각도를 이격 시키는 경우, 주파수에 따라 안테나 패턴이 변하는데, 특히 FDD(Frequency Divided Duplex) 방식에서는 통상적으로 송수신 주파수가 많이 떨어져 있으므로 송수신 안테나 빔이 동조 되지 않는 치명적 결함이 발생할 수 있다.
전술한, 세 가지 방식은 모두 안테나 빔이 고정되어 있으므로 전파 환경과 가입자의 분포에 따라 적응적으로 대응이 불가능하고, 한번 설치되고 나면 기저 대역 신호 처리 기술에만 의존하여 용량의 증대를 기대해야 하는 문제가 있다.
본 발명에서는 원격 제어 가능한 안테나 빔을 형성하여 전파 환경 및 가입자 분포에 맞춰 적응적으로 안테나 빔을 가변시킴으로써 다중 안테나 기술을 통한 용량 증대 효과를 극대화할 수 있고, Butler Matrix의 사용에 따른 단점들을 극복할 수 있으며, 가입자 분포에 맞춰 안테나 빔의 방향을 조정하여 섹터 간 Load Balancing기능을 지원할 수 있고, 서비스 지역 내의 Hot Spot 지역으로 안테나 빔을 조향할 수 있는 기지국 안테나를 제안한다.
도 4는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 따른 기지국 안테나의 사시도이고, 도 5a 내지 5e는 도 4의 기지국 안테나에 의해 방사되는 빔의 패턴 및 방향을 예시하는 도면이다.
도 4 및 도 5a 내지 도 5e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기지국 안테나는 상부 캡(411) 및 하부 캡(413)이 상부 및 하부에 각각 씌워지는 레이돔(412)에 의해 외형이 형성된다. 레이돔(412)의 내부에는 복수의 방사소자(43, 47) 및 적어도 하나의 반사판(42,46)과, 상기 복수의 방사소자(43, 47) 및 적어도 하나의 반사판(42,46)을 고정하는 각종 장비들이 설치된다. 특히,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기지국 안테나는 상기 복수의 방사소자(43, 47) 및 반사판(42,46)이 회전 가능하도록 고정하는 반사판 연결부재(44,45)를 구비하며, 상기 복수의 방사소자(43, 47) 및 적어도 하나의 반사판(42,46)의 회전을 원격지에서 제어하기 위한, 적어도 하나의 동력발생부(48)와 동력전달 기구부(493,495)를 구비한다.
상기 반사판 연결부재(44,45)는 상기 상부캡(411) 및/또는 하부캡(413)에 고정된 제1힌지(44) 및 적어도 하나의 반사판(42,46) 사이에 장착되는 제2힌지(45)를 구비한다. 상기 제1 및 제2힌지(44,45)는 중앙 샤프트 및 상기 중앙 샤프트 주위에 피봇 가능하게 배치되며 적어도 하나의 반사판(42,46)에 각각 연결되는 미러 하우징을 구비할 수 있으며, 특히 제1힌지(44)의 중앙 샤프트는 상기 상부캡(411) 및/또는 하부캡(413)에 고정된다. 이러한 반사판 연결부재(44,45)의 구조에 의해, 제1 및 제2힌지(44,45)의 중앙 샤프트를 중심으로 하는 회전축을 제공하며, 반사판 들(42,46)은 상기 회전축을 중심으로 회전가능하게 된다.
상기 동력발생부(48)는 원격지로부터 제어신호를 입력받고, 상기 제어신호에 대응하여 상기 반사판(42,46)의 회전을 위한 동력을 발생시키는 것으로써, 예컨대, 전동기일 수 있다.
상기 동력전달 기구부(493,495)는 상기 동력발생부(48)의 회전축에 고정되는 외접기어(493)를 구비하고, 반사판들(42,46)의 회전에 따라 형성되는 외접기어(493)의 이동 경로에 대응하여, 상기 하부캡(413)에 마련되는 내접기어(495)를 구비한다. 이러한 상기 동력전달 기구부(493,495)의 구조에 의해, 기지국 안테나는 원격지(예컨대, 기지국 본체 장비)로부터 반사판(42,46)의 회전을 제어하는데 필요한 제어신호를 수신할 수 있으며, 상기 동력발생부(48)의 구동에 의해 반사판들(42,46)의 회전 각을 제어할 수 있다. 이로써, 상기 동력발생부(48)에 의해 반사판들(42,46)은 도 5a 내지 5e와 같이 회전될 수 있으며, 본 발명의 기지국 안테나는 섹터간 Load Balancing기능을 지원할 수 있고, 서비스 지역 내의 Hot Spot 지역으로 안테나 빔을 조향 할 수 있으며, 기지국의 섹터 운용을 다양하게 변경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외접기어(493)는 적어도 하나 이상이 될 수 있다.
나아가, 상기 동력전달 기구부(493,495)는 내부에 마련된 공동에 상기 동력발생부(48)를 수납하는 보조캡(49)을 더 구비할 수 있다.
나아가,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 따른 기지국 안테나는 반사판들(42,46)의 진동보강을 위하여, 상부캡(411)과 반사판들(42,46) 사이에 각각 가이드 레일(미도시)을 더 구비할 수 있다.
비록,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 반사판들(42,46)의 회전을 위한 장치들로써, 동력전달 기구부(493,495)의 구성요소를 예시하였으나, 본 발명이 이를 한정하는 것은 아니며, 동력전달 기구부(493,495)는 원격지로부터 상기 동력발생부(48)로 제공되는 제어신호를 이용하여 반사판들(42,46)의 회전을 제어할 수 있는 구조이면 충분하다.
또한,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 동력전달 기구부(493,495)가 외접기어(493) 및 내접기어(495)를 구비함을 예시하였으나, 본 발명이 이를 한정하는 것은 아니며, 동력전달 기구부(493,495)는 원격지에서 제공되는 제어신호를 이용하여 반사판들(42,46)의 회전을 제어할 수 있는 구조이면 충분하다.
또한,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 상기 동력발생부(48)와 외접기어(493)가 상기 보조캡(49) 내부에 마련되고, 하부캡(413)에 내접기어(495)가 구비되는 것을 예시하였으나, 상기 동력발생부(48)가 하부캡(413)에 고정되고, 내접기어(495)가 상기 보조캡(49)에 구비되는 것도 가능하다.
또한,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로, 동력발생부(48)가 반사판들(42,46)의 상단부에 설치되고, 내접기어(495)가 상기 동력발생부(48)와 상부캡(411) 사이에 구비되는 것도 가능하다.
도 6은 본 발명의 제2실시예에 따른 기지국 안테나의 사시도이고, 도 7a 내지 7e는 도 6의 기지국 안테나에 의해 방사되는 빔의 패턴 및 방향을 예시하는 도면이다.
본 발명의 제2실시예에 따른 기지국 안테나는 제1실시예에 따른 기지국 안테 나와 동일한 구조로 구성된다. 다만, 본 발명의 제2실시예에 따른 기지국 안테나는 제1실시예에 비하여 레이돔(612) 내부에 구비된 반사판(62,64,66)의 수를 다르게 구비하며, 상기 반사판(62,64,66)의 회전을 위한 장비들을 다르게 구비한다.
구체적으로, 본 발명의 제2실시예에 따른 기지국 안테나는 3개의 반사판, 즉 제1반사판(62), 제2반사판(64), 및 제3반사판(66)을 레이돔(612) 내부에 구비한다. 상기 제1반사판(62)을 중심으로 양 측면에 제2반사판(64) 및 제3반사판(66)이 배치되며, 제2반사판(64) 및 제3반사판(66)은 반사판 연결부재(68,69)를 통해 각각 상기 제1반사판(62)에 연결된다. 반사판 연결부재(68,69)는 제1반사판(62)의 위치를 고정하고, 반사판 연결부재(68,69)의 중심 축을 기준으로 제2반사판(64) 및 제3반사판(66)이 회전 가능하게 마련된다.
또한, 상기 제2반사판(64) 및 제3반사판(66)의 회전을 원격지에서 제어하기 위한, 동력발생부(705)와 동력전달 기구부(713,715)를 구비한다. 제1실시예에서와 마찬가지로 동력전달 기구부(713,715)는 외접기어(713) 및 내접기어(715)를 구비할 수 있다.
나아가, 동력전달 기구부(713,715)는 동력발생부(705)가 수납되는 보조캡(70)을 더 구비할 수 있으며, 상기 보조캡(70)은 제2반사판(64) 및 제3반사판(66)에 각각 장착될 수 있다.
이러한 동력발생부(705)와 동력전달 기구부(713,715)의 구조에 의해, 기지국 안테나는 원격지(예컨대, 기지국 본체 장비)로부터 상기 제2반사판(64) 및 제3반사판(66)의 회전을 제어하는데 필요한 동력발생부(705) 제어신호를 수신할 수 있으 며, 상기 동력발생부(705)의 구동에 의해 상기 제2반사판(64) 및 제3반사판(66)의 회전 각을 제어할 수 있다. 이로써, 상기 동력발생부(705)에 의해 상기 제2반사판(64) 및 제3반사판(66)은 도 7a 내지 7e와 같이 회전될 수 있다. 이로써, 서로 다른 통신 서비스를 제공하기 위한 신호를 복수의 반사판(62,64,66)을 통해 동시에 방사하는 것이 가능하다. 예컨대, 2G(또는 3G) 통신 서비스와 4G 통신 서비스를 공용화하여 제공하는 경우, 2G(또는 3G) 통신 서비스를 제공하기 위한 신호는 상기 제1반사판(62)을 통해 방사하고, 4G 통신 서비스를 제공하기 위한 신호는 상기 제2반사판(64) 및 제3반사판(66)을 통해 방사하는 것이 가능하다. 따라서, 본 발명의 제2실시예에 따른 기지국 안테나는 2G(또는 3G) 통신서비스를 제공하면서, 새로이 4G 망을 공용 기지국으로 구축하는 경우에 상당한 효과를 갖는다. 즉, 기존의 2G(또는 3G) 통신용 안테나를 중앙부에 고정하고, 신규하게 제공되는 4G 통신용 안테나를 양쪽으로 구성하기 때문에 적정한 수준으로 신호 연관성을 낮출 수 있고, 적정 수준의 공간 다이버시티 효과를 창출할 수 있다. 또한, 안테나 빔의 방사 방향이 동력발생부(705)와 동력전달 기구부(713,715)에 의해 기구적으로 조절되므로 패턴 다이버시티 효과를 창출할 수 있다. 나아가, 본 발명의 제2실시예에 따른 기지국 안테나는, 신규로 설계되는 통신망(예컨대, 4G 통신 서비스의 망)이 이전의 통신망(예컨대, 3G 통신 서비스 망)과 다르더라도, 빔 방사 방향의 제어를 통해, 유연하게 공용 기지국을 운용할 수 있다.
나아가, 본 발명에 따른 기지국 안테나를 기저 대역 신호 처리 기술에 유기적으로 연계하여 운용함으로써, 이동 통신 망을 최적화하여 운용할 수 있는 변형 다중 안테나 기술(HMAT, Hybrid Multiple Antenna Technology)로 진화할 수 있다. 즉, 개별 가입자에 대한 신호처리는 기저 대역에서 수행하고, 가입자 분포에 따른 안테나 빔의 형성은 본 발명에 따른 기지국 안테나에서 수행함으로써, 이동 통신 망을 최적화하여 운용할 수 있다.
이상에서 본 발명은 비록 한정된 실시예와 도면에 의해 설명되었으나, 본 발명은 이것에 의해 한정되지 않으며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해 다양한 수정 및 변형이 가능함은 물론이다.
도 1a는 다중 안테나 기술을 지원하는 제1방식에 따른 안테나의 일반적인 설치 구조의 개략도,
도 1b는 도 1a의 안테나에 의해 방사되는 빔의 패턴 및 방향의 예시도,
도 2a는 다중 안테나 기술을 지원하는 제2방식에 따른 안테나의 일반적인 설치 구조의 개략도,
도 2b는 도 2a의 안테나에 의해 방사되는 빔의 패턴 및 방향의 예시도,
도 3a는 다중 안테나 기술을 지원하는 제3방식에 따른 안테나의 일반적인 설치 구조의 개략도,
도 3b는 도 3a의 안테나에 의해 방사되는 빔의 패턴 및 방향의 예시도,
도 4는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 따른 기지국 안테나의 사시도,
도 5a 내지 5e는 도 4의 기지국 안테나에 의해 방사되는 빔 패턴 및 방향의 예시도,
도 6은 본 발명의 제2실시예에 따른 기지국 안테나의 사시도,
도 7a 내지 7e는 도 6의 기지국 안테나에 의해 방사되는 빔 패턴 및 방향의 예시도.

Claims (5)

  1. 기지국 안테나에 있어서,
    적어도 하나의 방사소자를 각각 구비한 적어도 두 개의 반사판;
    내부 공동을 형성하여 상기 적어도 두 개의 반사판을 수납하는 레이돔;
    상기 레이돔의 상부 및 하부에 각각 결합되는 상부캡 및 하부캡;
    상기 적어도 두 개의 반사판 각각과, 상기 상부캡 및 하부캡에 연결되어 상기 적어도 두 개의 반사판의 회전이 가능하도록 하는 반사판 연결부재;
    회전력을 제공하는 적어도 하나의 동력발생부; 및
    상기 동력발생부에서 제공된 회전력을 적어도 하나의 반사판에 제공하여, 회전력을 제공받은 상기 반사판의 회전각을 제어하는 적어도 하나의 동력전달기구부를 포함하며,
    상기 동력발생부 및 동력전달기구부 중 적어도 하나는 상기 적어도 두 개의 반사판과 결합됨을 특징으로 하는 기지국 안테나.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동력전달기구부는, 상기 동력발생부의 일측에 장착된 적어도 하나의 외접기어와, 상기 적어도 하나의 외접기어의 이동 반경을 따라 상기 상부캡 또는 하부캡에 마련된 내접기어를 포함함을 특징으로 하는 기지국 안테나.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동력발생부 및 상기 동력전달기구부 중 적어도 하나는 상기 상부캡 또는 하부캡에 결합되며,
    상기 동력전달기구부는,
    상기 동력발생부의 회전축에 장착된 외접기어와,
    상기 외접기어와 결합되어 해당 반사판이 회전가능하도록 형성된 내접기어를 포함함을 특징으로 하는 기지국 안테나.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상부캡은 상기 반사판 상부 단부의 이동 반경을 따라 마련되며, 상기 반사판의 진동을 보강하는 가이드 레일을 더 구비함을 특징으로 하는 기지국 안테나.
  5. 제1항 내지 제4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기지국 안테나가 세 개의 반사판을 포함하는 경우, 중앙에 마련된 제1반사판과, 상기 제1반사판을 중심으로 양측에 각각 마련된 제2 및 제3반사판을 포함하며,
    상기 제1반사판은 빔 방사 방향이 고정되며,
    상기 제2 및 제3반사판은 상기 동력발생부 및 동력전달기구부에 의해 방사 각도가 조절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기지국 안테나.
KR1020090049138A 2008-06-16 2009-06-03 형상 변경이 가능한 기지국 안테나 KR20090130812A (ko)

Priority Applications (5)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US12/484,379 US20090312057A1 (en) 2008-06-16 2009-06-15 Reconfigurable base station antenna
JP2011513434A JP2011524681A (ja) 2008-06-16 2009-06-16 リコンフィギュラブルな基地局アンテナ
CN2009801234102A CN102084546A (zh) 2008-06-16 2009-06-16 可重构的基站天线
PCT/KR2009/003199 WO2010005178A2 (en) 2008-06-16 2009-06-16 Reconfigurable base station antenna
EP09794584A EP2308133A2 (en) 2008-06-16 2009-06-16 Reconfigurable base station antenna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US6168108P 2008-06-16 2008-06-16
US61/061,681 2008-06-16

Related Child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10144236A Division KR20120006963A (ko) 2008-06-16 2011-12-28 형상 변경이 가능한 기지국 안테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90130812A true KR20090130812A (ko) 2009-12-24

Family

ID=41690201

Family Applications (2)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90049138A KR20090130812A (ko) 2008-06-16 2009-06-03 형상 변경이 가능한 기지국 안테나
KR1020110144236A KR20120006963A (ko) 2008-06-16 2011-12-28 형상 변경이 가능한 기지국 안테나

Family Applications After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10144236A KR20120006963A (ko) 2008-06-16 2011-12-28 형상 변경이 가능한 기지국 안테나

Country Status (6)

Country Link
US (1) US20090312057A1 (ko)
EP (1) EP2308133A2 (ko)
JP (1) JP2011524681A (ko)
KR (2) KR20090130812A (ko)
CN (1) CN102084546A (ko)
WO (1) WO2010005178A2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18139896A1 (ko) * 2017-01-26 2018-08-02 주식회사 케이엠더블유 안테나 조립체
WO2023048420A1 (ko) * 2021-09-27 2023-03-30 주식회사 케이엠더블유 사중 편파 다이버시티 안테나 시스템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9031613B2 (en) * 2007-12-21 2015-05-12 University Of New Brunswick Joint communication and electromagnetic optimization of a multiple-input multiple-output ultra wideband base station antenna
US9571176B2 (en) * 2008-03-05 2017-02-14 Ethertronics, Inc. Active MIMO antenna configuration for maximizing throughput in mobile devices
KR101085890B1 (ko) 2009-12-21 2011-11-23 주식회사 케이엠더블유 형상 변경이 가능한 기지국 안테나
KR20120094222A (ko) 2011-02-16 2012-08-24 삼성전자주식회사 재구성 가능한 안테나를 사용하는 기지국에서 인접 기지국 사이의 하향링크 간섭을 제거하기 위한 방법 및 장치
CN102986087A (zh) * 2011-07-19 2013-03-20 华为技术有限公司 天线和天线阵列
CN102916260B (zh) * 2011-08-04 2015-05-13 中国电信股份有限公司 天线与基站
CN103715503B (zh) * 2012-09-28 2016-11-23 华为技术有限公司 一种多扇区化天线及通信系统
US9368880B2 (en) 2012-11-16 2016-06-14 Alcatel Lucent Multi-sector antenna structure
CN103840262B (zh) * 2014-03-07 2017-04-26 华为技术有限公司 调节天线的方法、天线和基站控制中心
EP3121973B1 (en) 2014-03-18 2018-03-07 Huawei Technologies Co., Ltd. Method, device and system for directional direction selection
US9660323B2 (en) * 2015-03-27 2017-05-23 T-Mobile Usa, Inc. Independent adjustable azimuth multi-band antenna fixture
JP6249014B2 (ja) * 2015-12-18 2017-12-20 ヤマハ株式会社 無線通信装置
WO2018022307A1 (en) * 2016-07-25 2018-02-01 Commscope Technologies Llc Integrated cell site sector
CN107819198B (zh) * 2017-09-19 2020-03-20 上海华为技术有限公司 一种基站天线的馈电网络,基站天线及基站
GB2572769B (en) * 2018-04-09 2022-12-14 Airspan Ip Holdco Llc Moveable antenna apparatus
CN109728397A (zh) * 2018-12-29 2019-05-07 京信通信技术(广州)有限公司 增强覆盖的基站天线
EP3991250A4 (en) * 2019-06-25 2023-01-18 CommScope Technologies LLC MULTI-BEAM BASE STATION ANTENNAS HAVING BROADBAND RADIATING ELEMENTS
US11056773B2 (en) * 2019-06-28 2021-07-06 Commscope Technologies Llc Twin-beam base station antennas having thinned arrays with triangular sub-arrays
WO2021194652A1 (en) * 2020-03-27 2021-09-30 Commscope Technologies Llc Shared-aperture base station antennas with tri-beam and twin-beam generation
US10911963B1 (en) * 2020-05-11 2021-02-02 Telefonaktiebolaget Lm Ericsson (Publ) Active antenna system
EP3979423A4 (en) * 2020-07-23 2022-12-21 Rosenberger Technologies Co., Ltd. HYBRID NETWORK ANTENNA
US11581637B2 (en) * 2020-09-21 2023-02-14 Commscope Technologies Llc Adjustable reflector antennas
CN112821082B (zh) * 2021-01-04 2022-04-19 武汉虹信科技发展有限责任公司 水平波瓣宽度可调的天线及基站
CN118213758A (zh) * 2022-12-16 2024-06-18 华为技术有限公司 基站天线以及基站

Family Cites Families (1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A2393552C (en) * 2002-07-31 2004-11-30 Yuan Xie A three-dimensional space coverage cellular network
US7817096B2 (en) * 2003-06-16 2010-10-19 Andrew Llc Cellular antenna and systems and methods therefor
KR100713202B1 (ko) * 2003-12-23 2007-05-02 주식회사 케이엠더블유 이동통신 기지국 안테나 빔 제어장치
AU2003296751A1 (en) * 2003-12-31 2005-07-21 Telefonaktiebolaget Lm Ericsson (Publ) Dynamic antenna control
KR100702609B1 (ko) * 2004-03-10 2007-04-03 주식회사 케이엠더블유 안테나에 직결되는 착탈가능한 타워 탑 증폭장치
CN2729936Y (zh) * 2004-09-23 2005-09-28 西安海天天线科技股份有限公司 一种多极化扇区阵列天线
EP1935057B1 (en) * 2005-10-14 2012-02-01 Fractus S.A. Slim triple band antenna array for cellular base stations
KR100807321B1 (ko) * 2005-12-13 2008-02-28 주식회사 케이엠더블유 이동통신 기지국용 가변 빔 제어 안테나
JP2007235264A (ja) * 2006-02-27 2007-09-13 Kyocera Corp アンテナ装置
JP2009533010A (ja) * 2006-04-06 2009-09-10 アンドリュー・コーポレーション セルラーアンテナ及びそのためのシステムと方法
US7382329B2 (en) * 2006-05-11 2008-06-03 Duk Yong Kim Variable beam controlling antenna for a mobile communication base station
JP2007318444A (ja) * 2006-05-25 2007-12-06 Matsushita Electric Ind Co Ltd アンテナ装置、監視装置、及び車輌
US8094086B2 (en) * 2007-08-29 2012-01-10 Agere Systems Inc. Electronically steerable antenna
EP2226890A1 (en) * 2009-03-03 2010-09-08 Hitachi Cable, Ltd. Mobile communication base station antenna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18139896A1 (ko) * 2017-01-26 2018-08-02 주식회사 케이엠더블유 안테나 조립체
US11437713B2 (en) 2017-01-26 2022-09-06 Kmw Inc. Antenna assembly
WO2023048420A1 (ko) * 2021-09-27 2023-03-30 주식회사 케이엠더블유 사중 편파 다이버시티 안테나 시스템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JP2011524681A (ja) 2011-09-01
KR20120006963A (ko) 2012-01-19
EP2308133A2 (en) 2011-04-13
US20090312057A1 (en) 2009-12-17
CN102084546A (zh) 2011-06-01
WO2010005178A3 (en) 2010-03-25
WO2010005178A2 (en) 2010-01-14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20090130812A (ko) 형상 변경이 가능한 기지국 안테나
KR101085890B1 (ko) 형상 변경이 가능한 기지국 안테나
US8432329B2 (en) Antenna configuration provides coverage
US20120020431A1 (en) Antenna device and multi-antenna system
JP5869706B2 (ja) 移動通信システム用可変ビーム制御アンテナ
US20090295656A1 (en) Low profile antenna for satellite communication
KR100656785B1 (ko) 다중 위성 접속 안테나 시스템
JP5297461B2 (ja) セルラ方式通信能力およびポイントツーポイント通信能力を備えたアンテナ
US9871292B2 (en) Steerable satellite antenna assembly with fixed antenna feed and associated methods
US10581152B2 (en) Biaxial antenna comprising a first fixed part, a second rotary part and a rotary joint
CN102656746A (zh) 移动波束天线装置
KR101640518B1 (ko) 듀얼 밴드의 신호 송신 및 수신이 가능한 위성 통신용 단일 안테나 시스템
CN117673748B (zh) 一种超大规模mimo多波束透镜天线系统
KR102305313B1 (ko) 쿼드 편파 안테나 모듈 어레이를 이용하여 빔들의 공간-편파 분리를 구현하는 안테나 장치
KR20230132386A (ko) 빔 커버리지 확장 안테나 및 이를 포함하는 구조체
WO2018154676A1 (ja) アンテナ及びセクタアンテナ
KR20240053559A (ko) 방위각 회전기능을 구비한 평판형 안테나 시스템
JP2024522726A (ja) アンテナ機器のクランピング装置
JPH09294016A (ja) 周波数共用アンテナ
BR112012015518B1 (pt) Antena de estação base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A107 Divisional application of patent
J201 Request for trial against refusal decision
J501 Disposition of invalidation of trial