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90130700A - 휴대 단말기에서 사용자가 편리하게 기능을 수행할 수있도록 한 방법 및 그 휴대 단말기 - Google Patents

휴대 단말기에서 사용자가 편리하게 기능을 수행할 수있도록 한 방법 및 그 휴대 단말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90130700A
KR20090130700A KR1020080056438A KR20080056438A KR20090130700A KR 20090130700 A KR20090130700 A KR 20090130700A KR 1020080056438 A KR1020080056438 A KR 1020080056438A KR 20080056438 A KR20080056438 A KR 20080056438A KR 20090130700 A KR20090130700 A KR 20090130700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ombination
sensors
user
portable terminal
sensing inputs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80056438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안세호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케이티테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케이티테크 filed Critical 주식회사 케이티테크
Priority to KR1020080056438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90130700A/ko
Publication of KR20090130700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90130700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01Input arrangements or combined input and output arrangements for interaction between user and computer
    • G06F3/03Arrangements for converting the position or the displacement of a member into a coded form
    • G06F3/041Digitisers, e.g. for touch screens or touch pads, characterised by the transducing means
    • G06F3/0416Control or interface arrangements specially adapted for digitiser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1/00Details not covered by groups G06F3/00 - G06F13/00 and G06F21/00
    • G06F1/16Constructional details or arrangements
    • G06F1/1613Constructional details or arrangements for portable computers
    • G06F1/1633Constructional details or arrangements of portable computers not specific to the type of enclosures covered by groups G06F1/1615 - G06F1/1626
    • G06F1/1637Details related to the display arrangement, including those related to the mounting of the display in the housing
    • G06F1/1643Details related to the display arrangement, including those related to the mounting of the display in the housing the display being associated to a digitizer, e.g. laptops that can be used as penpad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1/00Details not covered by groups G06F3/00 - G06F13/00 and G06F21/00
    • G06F1/16Constructional details or arrangements
    • G06F1/1613Constructional details or arrangements for portable computers
    • G06F1/1633Constructional details or arrangements of portable computers not specific to the type of enclosures covered by groups G06F1/1615 - G06F1/1626
    • G06F1/1684Constructional details or arrangements related to integrated I/O peripherals not covered by groups G06F1/1635 - G06F1/1675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01Input arrangements or combined input and output arrangements for interaction between user and computer
    • G06F3/03Arrangements for converting the position or the displacement of a member into a coded form
    • G06F3/041Digitisers, e.g. for touch screens or touch pads, characterised by the transducing means
    • G06F3/044Digitisers, e.g. for touch screens or touch pads, characterised by the transducing means by capacitive mean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01Input arrangements or combined input and output arrangements for interaction between user and computer
    • G06F3/048Interaction techniques based on graphical user interfaces [GUI]
    • G06F3/0484Interaction techniques based on graphical user interfaces [GUI] for the control of specific functions or operations, e.g. selecting or manipulating an object, an image or a displayed text element, setting a parameter value or selecting a range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01Input arrangements or combined input and output arrangements for interaction between user and computer
    • G06F3/048Interaction techniques based on graphical user interfaces [GUI]
    • G06F3/0487Interaction techniques based on graphical user interfaces [GUI] using specific features provided by the input device, e.g. functions controlled by the rotation of a mouse with dual sensing arrangements, or of the nature of the input device, e.g. tap gestures based on pressure sensed by a digitiser
    • G06F3/0488Interaction techniques based on graphical user interfaces [GUI] using specific features provided by the input device, e.g. functions controlled by the rotation of a mouse with dual sensing arrangements, or of the nature of the input device, e.g. tap gestures based on pressure sensed by a digitiser using a touch-screen or digitiser, e.g. input of commands through traced gesture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2200/00Indexing scheme relating to G06F1/04 - G06F1/32
    • G06F2200/16Indexing scheme relating to G06F1/16 - G06F1/18
    • G06F2200/163Indexing scheme relating to constructional details of the computer
    • G06F2200/1637Sensing arrangement for detection of housing movement or orientation, e.g. for controlling scrolling or cursor movement on the display of an handheld computer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Human Computer Interaction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Computer Hardware Design (AREA)
  • Position Input By Displaying (AREA)

Abstract

각각 사용자의 접촉을 감지하면 감지 신호를 출력하는 복수개의 센서로 구성된 센서부와, 상기 복수개의 센서중 적어도 하나의 센서로부터 감지 신호를 수신하면, 상기 각 센서가 사용자의 접촉을 감지하였는 지의 여부를 나타내는 값 또는 지시자들의 조합인 감지 입력의 조합을 생성하고, 생성된 감지 입력의 조합이 미리 정해진 동작에 대응하면, 상기 동작을 수행하는 제어부를 포함하여 휴대 단말기를 구성한다. 따라서, 사용자가 기존의 키입력부나 터치스크린을 통해 기능을 수행하는 것보다 쉽고 편리하게 다양한 기능을 수행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휴대 단말기, 터치스크린

Description

휴대 단말기에서 사용자가 편리하게 기능을 수행할 수 있도록 한 방법 및 그 휴대 단말기{Method of enabling user to perform function of portable terminal easily and the portable terminal}
본 발명은 휴대 단말기에서 사용자가 편리하게 기능을 수행할 수 있도록 한 방법 및 그 휴대 단말기에 관한 것이다.
이동통신 기술의 발전과 휴대 단말기의 제조 기술이 발전하면서 다양한 기능을 수행하고 휴대가 용이한 다양한 형태의 휴대 단말기가 소개되고 있다. 휴대 단말기는 휴대의 편의성을 위해 소형화되는 추세에 있다. 그리고 최근에는 표시장치와 입력장치의 기능을 동시에 수행할 수 있는 터치 스크린을 갖는 휴대 단말기도 출시되고 있으며, 그 사용이 확대되고 있다. 터치 스크린을 갖는 휴대 단말기를 사용하는 사용자는 터치 스크린의 터치를 통하여 휴대 단말기의 메뉴를 검색하고 필요한 기능을 사용한다.
그런데, 터치 스크린 상에 표시된, 메뉴를 지시하는 아이콘 또는 지시자의 크기는 매우 작기 때문에 사용자가 터치 스크린 상에 표시된 아이콘 또는 지시자를 정확하게 터치하는 것이 쉽지 않다.
또한, 터치 스크린을 구비하지 않은 휴대 단말기의 경우에, 사용자가 소정 기능을 수행하기 위해서 휴대단말기에 구비된 키패드 상의 키를 누르고, 소정 기능이 위치하는 메뉴에 진입해야 하기 때문에, 메뉴의 선택 또는 기능의 실행이 매우 번거로웠다.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본 발명의 목적은 휴대 단말기에서 사용자 편리하게 기능을 수행할 수 있도록 한 방법 및 그 휴대 단말기를 제공하는데 있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일 측면은, 각각 사용자의 접촉을 감지하면 감지 신호를 출력하는 복수개의 센서로 구성된 센서부와, 상기 복수개의 센서중 적어도 하나의 센서로부터 감지 신호를 수신하면, 상기 각 센서가 사용자의 접촉을 감지하였는 지의 여부를 나타내는 값 또는 지시자들의 조합인 감지 입력의 조합을 생성하고, 생성된 감지 입력의 조합이 미리 정해진 동작에 대응하면, 상기 동작을 수행하는 제어부를 포함하는 휴대 단말기를 제공한다.
여기에서 상기 휴대 단말기는 사용자에 의해 터치되면 터치 입력 신호를 상기 제어부로 출력하는 터치스크린부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여기에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감지 입력의 조합에 대응하는 동작을 수행할 시, 현재의 동작 모드를 확인하고, 상기 현재의 동작 모드에서 상기 감지 입력의 조합에 대응한 동작을 수행한다.
여기에서, 상기 감지 입력의 조합들은 이미지 편집 모드에서 이미지 잘라내기 동작, 이미지 붙여넣기 동작, 이미지 삭제하기 동작 및 이미지 복사하기 동작에 각각 맵핑된다.
여기에서, 상기 감지 입력의 조합들은 브라우징 모드에서 왼쪽 방향 수직 스크롤 동작, 오른쪽 방향 수직 스크롤 동작, 왼쪽 방향 수평 스크롤 동작 및 오른쪽 방향 수평 스크롤 동작에 각각 맵핑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 단말기.
여기에서, 상기 감지 입력의 조합들은 동영상 뷰어 모드에서 시계방향 휠키 동작, 반시계방향 휠키 동작, 재생 속도 느리게 하는 동작, 및 재생 속도를 빠르게 하는 동작에 각각 맵핑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 단말기.
여기에서, 상기 복수개의 센서의 개수는 5이며, 상기 5개의 센서중 하나는 상기 휴대 단말기의 우측 측면 상에 위치해 있으며, 상기 5개의 센서중 4개의 센서는 상기 휴대 단말기의 좌측 측면 상에 일렬로 위치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 단말기.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다른 측면는, 각각 사용자의 접촉을 감지하면 감지 신호를 출력하는 복수개의 센서로 구성된 센서부를 포함하는 휴대 단말기에서, 상기 복수개의 센서중 적어도 하나의 센서로부터 감지 신호를 수신하면, 상기 각 센서가 사용자의 접촉을 감지하였는 지의 여부를 나타내는 값 또는 지시자들의 조합인 감지 입력의 조합을 생성하는 단계와, 생성된 감지 입력의 조합이 미리 정해진 동작에 대응하면, 상기 동작을 수행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휴대 단말기 의 기능을 용이하게 수행하는 방법을 제공한다.
여기에서, 상기 동작을 수행하는 단계는 현재의 동작 모드를 확인하는 단계와, 상기 현재의 동작 모드에서 상기 감지 입력의 조합에 대응한 동작을 수행하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와 같은 본 발명에 따른 휴대 단말기에서 사용자가 편리하게 기능을 수행할 수 있도록 한 방법 및 그 휴대 단말기를 이용하면, 사용자가 기존의 키입력부나 터치스크린을 통해 기능을 수행하는 것보다 쉽고 편리하게 다양한 기능을 수행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본 발명은 다양한 변경을 가할 수 있고 여러 가지 실시예를 가질 수 있는 바, 특정 실시예들을 도면에 예시하고 상세한 설명에 상세하게 설명하고자 한다. 그러나, 이는 본 발명을 특정한 실시 형태에 대해 한정하려는 것이 아니며, 본 발명의 사상 및 기술 범위에 포함되는 모든 변경, 균등물 내지 대체물을 포함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각 도면을 설명하면서 유사한 참조부호를 유사한 구성요소에 대해 사용하였다.
제1, 제2, A, B 등의 용어는 다양한 구성요소들을 설명하는데 사용될 수 있지만, 상기 구성요소들은 상기 용어들에 의해 한정되어서는 안 된다. 상기 용어들은 하나의 구성요소를 다른 구성요소로부터 구별하는 목적으로만 사용된다. 예를 들어, 본 발명의 권리 범위를 벗어나지 않으면서 제1 구성요소는 제2 구성요소로 명명될 수 있고, 유사하게 제2 구성요소도 제1 구성요소로 명명될 수 있다. 및/또는 이라는 용어는 복수의 관련된 기재된 항목들의 조합 또는 복수의 관련된 기재된 항목들 중의 어느 항목을 포함한다.
어떤 구성요소가 다른 구성요소에 "연결되어" 있다거나 "접속되어" 있다고 언급된 때에는, 그 다른 구성요소에 직접적으로 연결되어 있거나 또는 접속되어 있을 수도 있지만, 중간에 다른 구성요소가 존재할 수도 있다고 이해되어야 할 것이다. 반면에, 어떤 구성요소가 다른 구성요소에 "직접 연결되어" 있다거나 "직접 접속되어" 있다고 언급된 때에는, 중간에 다른 구성요소가 존재하지 않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할 것이다.
본 출원에서 사용한 용어는 단지 특정한 실시예를 설명하기 위해 사용된 것으로, 본 발명을 한정하려는 의도가 아니다. 단수의 표현은 문맥상 명백하게 다르게 뜻하지 않는 한, 복수의 표현을 포함한다. 본 출원에서, "포함하다" 또는 "가지다" 등의 용어는 명세서상에 기재된 특징,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이 존재함을 지정하려는 것이지, 하나 또는 그 이상의 다른 특징들이나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들의 존재 또는 부가 가능성을 미리 배제하지 않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다르게 정의되지 않는 한, 기술적이거나 과학적인 용어를 포함해서 여기서 사용되는 모든 용어들은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해 일반적으로 이해되는 것과 동일한 의미를 가지고 있다. 일반적으로 사용되는 사전에 정의되어 있는 것과 같은 용어들은 관련 기술의 문맥 상 가지는 의미와 일 치하는 의미를 가지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하며, 본 출원에서 명백하게 정의하지 않는 한, 이상적이거나 과도하게 형식적인 의미로 해석되지 않는다.
이하, 본 발명에 따른 바람직한 실시예를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하게 설명한다.
본 발명에 따르면, 휴대 단말기는 핸드헬드(handheld) 컴퓨터, 휴대 전화기, PDA(Personal Digital Assistants)와 같은 단말기일 수 있으며, 본 발명은 이에 한정되지 않으며, 터치스크린을 구비하는 모든 단말기에 공통적으로 적용될 수 있음은 당업자에게 자명할 것이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휴대 단말기의 사시도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1을 참조하면, 본 발명에 따라 휴대 단말기는 자신의 본체의 측면 상에 센서들(10~50)를 구비한다. 도 1에서는 센서들(10~50)이 오른손잡이 사용자에 맞춰 배치되어 있다. 구체적으로 설명하면, 사용자가 휴대 단말기를 자신의 손으로 잡을 때, 손가락들이 자연스럽게 위치하는 지점들에 센서들(10~50)이 위치해 있다. 그에 따라, 휴대 단말기의 우측 측면 상에 하나의 센서(10)가 위치되며, 좌측 측면 상에 나머지 4개의 센서들(20~50)이 위치된다.
만약, 휴대 단말기가 왼손잡이 사용자를 위한 것이면, 휴대 단말기의 우측 측면 상에 1개의 센서가 위치되며, 좌측 측면 상에 4개의 센서가 위치된다. 센서들(10~50)의 위치는 휴대 단말기의 제조업자 또는 휴대 단말기의 타입에 따라 변할 수 있다.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휴대 단말기의 블록 구성도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2를 참조하면, 휴대 단말기는 센서부(100), 제어부(200), 터치 스크린부(300) 및 메모리(400)를 포함한다.
센서부(100)는 제1 센서(10) 내지 제5 센서(50)를 포함한다. 제1 센서(10)는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사용자가 휴대 단말기를 손으로 잡은 경우 엄지 손가락이 위치되는 지점에 위치되며, 제2 내지 제5 센서들(20~50)은 나머지 손가락들이 각각 위치되는 지점들에 위치될 수 있다. 이들 센서들(10~50)은 사용자에 의해 터치되면 감지 신호를 제어부(200)로 출력한다.
그리고, 각 센서(10~50)는 정전용량 센서에 의해 구현될 수 있다. 그러나, 본 발명은 이에 한정되지 않으며 각 센서는 당업자에 의해 가능한 어떠한 센서로도 구현될 수 있다. 또한, 각 센서 대신에 센서의 위치에 키버튼이 구현될 수도 있다.
터치스크린부(300)는 제어부(200)로부터의 동영상, 이미지 등을 표시하며, 사용자로부터의 터치 입력에 따른 제어 신호를 제어부(200)로 제공한다. 이 터치스크린부(300)는 본 발명에 따른 휴대 단말기의 필수 구성요소는 아니며, 본 발명은 센서부를 구비하는 것으로 구현 가능하다.
제어부(200)는 휴대 단말기의 전반적인 동작을 제어하며, 본 발명에 따라 센서부(100)로부터의 센서 감지 신호에 따른 동작을 수행한다.
구체적으로 설명하면, 제어부(200)는 감지부(100)에 포함된 각 센서(10~50)로부터 감지 신호를 수신한다. 그리고, 제어부(200)는 수신한 감지 신호들에 기초하여 감지 입력의 조합을 생성한다.
감지 입력의 조합은 사용자가 센서들(10~50)중 어떤 센서를 사용자의 접촉을 감지했는 지를 나타내며, 각 센서가 사용자의 접촉을 감지하였는 지를 나타내는 값들의 조합을 의미한다. 예컨대, 도 1을 참조하면 센서들(10~50) 중 사용자가 휴대 단말기를 오른손으로 잡았을 때 엄지 손가락과 검지 손가락이 위치하는 지점의 센서들(10, 20)이 감지를 수행하면 감지 입력의 조합은 감지 신호를 출력한 제1 및 제2 센서(10, 20)에 대해서는 센서가 사용자의 접촉을 감지했음을 나타내는 값 또는 지시자가 설정되고, 감지 신호를 출력하지 않은 제3 내지 제5센서(20~50)에 대해서는 센서가 사용자의 접촉을 감지하지 않았음을 나타내는 값 또는 지시자가 설정된다. 감지 입력의 조합은 이러한 값들 또는 지시자들의 조합이다. 일 예로, 센서가 사용자의 접촉을 감지했음을 나타내는 값은 디지털값 1또는 지시자 O가 될 수 있고, 센서가 터치를 감지하지 않았음을 나타내는 값은 디지털값 0또는 지시자 X가 될 수 있다. 이 경우, 감지 입력의 조합은 11000 이거나 OOXXX가 될 수 있다.
또한, 센서들중 적어도 하나의 센서가 감지 신호를 출력하면, 제어부(200)는 현재의 동작 모드를 판단한다. 그리고, 제어부(200)는 현재의 동작 모드에서 감지 입력의 조합에 대응하는 동작을 수행한다.
이 때, 제어부(200)는 터치 스크린부(300)를 통해 터치 입력 신호를 수신하면, 터치 입력 신호에 따라서 동작을 수행하는데, 이러한 터치 신호에 따른 동작 제어는 센서부(100)로부터의 감지 신호에 따른 동작 제어와 별개로 이루어진다.
그에 따라, 사용자는 터치 스크린부(300)를 통해서 메뉴나 기능을 실행할 수 있으며, 센서부(100)의 센서를 통해서 터치스크린부(300)를 통해 실행 가능한 메뉴나 기능과 다른 메뉴나 기능을 실행할 수 있다.
예를 들어, 현재의 모드가 이미지 편집 모드인 경우, 사용자는 터치스크린부를 통해 이미지의 특정 영역을 선택할 수 있다. 그리고 사용자는 휴대 단말기를 잡고 손가락을 통해 센서들(10~50)을 선택적으로 접촉함으로써 선택된 특정 영역의 이미지에 대해 잘라내기 동작이나 붙여넣기 동작을 실행할 수 있다. 다르게는, 사용자는 센서들(10-50)을 선택적으로 접촉한 후 이미지의 특정 영역을 선택하는 경우에도 선택된 특정 영역의 이미지에 대해 잘라내기 동작이나 붙여넣기 동작을 실행할 수 있다.
메모리(40)는 감지 입력의 조합에 대응하여 동작 모드 및 동작을 저장하고 있다. 하나의 감지 입력의 조합에 대해서 동작 모드별로 하나의 동작이 대응될 수 있으며, 그에 따라 하나의 감지 입력의 조합에 여러 동작이 대응될 수 있다. 그에 따라 사용자는 하나의 사용자 터치 동작을 통해 다양한 기능을 수행할 수 있게 된다.
이하에는 상기와 같은 구성의 휴대 단말기에서 사용자 편리하게 휴대 단말기의 기능을 수행할 수 있도록 한 방법을 설명한다.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휴대 단말기에서 사용자 편리하게 휴대 단말기의 기능을 수행할 수 있도록 한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순서도이다.
도 3을 참조하면, 휴대 단말기는 단계 510에서 센서부(100)의 센서들(10~50)중 적어도 하나의 센서가 사용자의 터치를 감지하는 지를 판단한다. 이는 센서들(10~50)중 적어도 하나의 센서로부터 감지 신호가 출력되는 것에 의해 판단될 수 있다. 휴대 단말기는 센서들(10~50)중 적어도 하나의 센서로부터 센서 신호가 출력 되면 단계 520으로 진행하여 센서 감지 입력의 조합을 생성한다. 여기에서, 감지 입력의 조합은 센서가 사용자의 접촉을 감지하였는 지의 여부를 나타내는 값 또는 지시자들의 조합이다.
이어서, 휴대 단말기는 530에서 현재의 동작 모드를 판단하고, 단계 540에서 현재의 동작 모드에서의 감지 입력의 조합에 대응하는 동작을 수행한다.
따라서, 휴대 단말기는 터치스크린부를 통한 터치 입력에 따라 동작하면서 센서들을 통한 감지 입력에 따라 동작할 수 있다.
도 4는 발명에 따라 감지 입력의 조합과 그에 대응하는 동작의 맵핑 관계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4를 참조하면, 감지 입력의 조합들에 대응하여 동작들이 맵핑되어 있다. 전술한 바와 같이, 하나의 감지 입력의 조합에 대해서 동작 모드별로 하나의 동작이 대응될 수 있으며, 그에 따라 하나의 감지 입력의 조합에 여러 동작이 대응될 수 있다.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센서가 사용자의 접촉을 감지했음을 나타내는 값은 지시자 O로 설정되고, 센서가 터치를 감지하지 않았음을 나타내는 값은 디지털값 지시자 X로 설정되어 있다.
제1 센서 및 제2 센서는 감지 신호를 출력하고, 제3 내지 제5 센서가 감지 신호를 출력하지 않는 경우 감지 입력의 조합은 OOXXX이다. 이 감지 입력의 조합 OOXXX은 이미지 편집 모드에서는 잘라내기 동작에 맵핑되어 있다. 또한, 이 감지 입력의 조합 OOXXX은 브라우징 모드에서는 왼쪽 방향 수직 스크롤 동작에 맵핑되어 있으며, 동영상 뷰어 모드에서는 시계방향 휠키 동작에 맵핑되어 있다.
따라서, 예컨대, 브라우징 모드에서, 사용자는 휴대 단말기를 잡고 미리 정해진 센서를 접촉하는 것에 의해 디스플레이 상에 표시된 화면을 풀브라우징할 수 있다.
또한, 이 감지 입력의 조합 OXOXX은 이미지 편집 모드에서는 붙여넣기 동작에 맵핑되어 있고, 브라우징 모드에서는 오른쪽 방향 수직 스크롤 동작에 맵핑되어 있으며, 동영상 뷰어 모드에서는 재생 속도를 느리게 하는 동작에 맵핑되어 있다. 이러한 방식으로, 감지 입력의 조합은 여러 동작 모드별로 다른 동작에 대응할 수 있다.
상기에서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참조하여 설명하였지만, 해당 기술 분야의 숙련된 당업자는 하기의 특허 청구의 범위에 기재된 본 발명의 사상 및 영역으로부터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본 발명을 다양하게 수정 및 변경시킬 수 있음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휴대 단말기의 사시도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휴대 단말기의 블록 구성도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휴대 단말기에서 사용자 편리하게 휴대 단말기의 기능을 수행할 수 있도록 한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순서도이다.
도 4는 발명에 따라 감지 입력의 조합과 그에 대응하는 동작의 맵핑 관계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00: 센서부
200: 제어부
300: 터치 스크린부
400: 메모리:

Claims (12)

  1. 각각 사용자의 접촉을 감지하면 감지 신호를 출력하는 복수개의 센서로 구성된 센서부와,
    상기 복수개의 센서중 적어도 하나의 센서로부터 감지 신호를 수신하면, 상기 각 센서가 사용자의 접촉을 감지하였는 지의 여부를 나타내는 값 또는 지시자들의 조합인 감지 입력의 조합을 생성하고, 생성된 감지 입력의 조합이 미리 정해진 동작에 대응하면, 상기 동작을 수행하는 제어부를 포함함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 단말기.
  2. 제 1 항에 있어서,
    사용자에 의해 터치되면 터치 입력 신호를 상기 제어부로 출력하는 터치스크린부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 단말기.
  3.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감지 입력의 조합에 대응하는 동작을 수행할 시, 현재의 동작 모드를 확인하고, 상기 현재의 동작 모드에서 상기 감지 입력의 조합에 대응한 동작을 수행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 단말기.
  4. 제 3 항에 있어서,
    상기 감지 입력의 조합들은 이미지 편집 모드에서 이미지 잘라내기 동작, 이미지 붙여넣기 동작, 이미지 삭제하기 동작 및 이미지 복사하기 동작에 각각 맵핑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 단말기.
  5. 제 3 항에 있어서, 상기 감지 입력의 조합들은 브라우징 모드에서 왼쪽 방향 수직 스크롤 동작, 오른쪽 방향 수직 스크롤 동작, 왼쪽 방향 수평 스크롤 동작 및 오른쪽 방향 수평 스크롤 동작에 각각 맵핑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 단말기.
  6. 제 3 항에 있어서, 상기 감지 입력의 조합들은 동영상 뷰어 모드에서 시계방향 휠키 동작, 반시계방향 휠키 동작, 재생 속도 느리게 하는 동작, 및 재생 속도를 빠르게 하는 동작에 각각 맵핑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 단말기.
  7.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복수개의 센서의 개수는 5이며, 상기 5개의 센서중 하나는 상기 휴대 단말기의 우측 측면 상에 위치해 있으며, 상기 5개의 센서중 4개의 센서는 상기 휴대 단말기의 좌측 측면 상에 일렬로 위치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 단말기.
  8. 각각 사용자의 접촉을 감지하면 감지 신호를 출력하는 복수개의 센서로 구성된 센서부를 포함하는 휴대 단말기에서,
    상기 복수개의 센서중 적어도 하나의 센서로부터 감지 신호를 수신하면, 상 기 각 센서가 사용자의 접촉을 감지하였는 지의 여부를 나타내는 값 또는 지시자들의 조합인 감지 입력의 조합을 생성하는 단계와,
    생성된 감지 입력의 조합이 미리 정해진 동작에 대응하면, 상기 동작을 수행하는 단계를 포함함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 단말기의 기능을 용이하게 수행하는 방법.
  9.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동작을 수행하는 단계는
    현재의 동작 모드를 확인하는 단계와,
    상기 현재의 동작 모드에서 상기 감지 입력의 조합에 대응한 동작을 수행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 단말기의 기능을 용이하게 수행하는 방법.
  10. 제 9 항에 있어서,
    상기 감지 입력의 조합들은 이미지 편집 모드에서 이미지 잘라내기 동작, 이미지 붙여넣기 동작, 이미지 삭제하기 동작 및 이미지 복사하기 동작에 각각 맵핑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 단말기의 기능을 용이하게 수행하는 방법.
  11. 제 9항에 있어서, 상기 감지 입력의 조합들은 브라우징 모드에서 왼쪽 방향 수직 스크롤 동작, 오른쪽 방향 수직 스크롤 동작, 왼쪽 방향 수평 스크롤 동작 및 오른쪽 방향 수평 스크롤 동작에 각각 맵핑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 단말기의 기능을 용이하게 수행하는 방법.
  12. 제 9 항에 있어서, 상기 감지 입력의 조합들은 동영상 뷰어 모드에서 시계방향 휠키 동작, 반시계방향 휠키 동작, 재생 속도 느리게 하는 동작, 및 재생 속도를 빠르게 하는 동작에 각각 맵핑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 단말기의 기능을 용이하게 수행하는 방법.
KR1020080056438A 2008-06-16 2008-06-16 휴대 단말기에서 사용자가 편리하게 기능을 수행할 수있도록 한 방법 및 그 휴대 단말기 KR20090130700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80056438A KR20090130700A (ko) 2008-06-16 2008-06-16 휴대 단말기에서 사용자가 편리하게 기능을 수행할 수있도록 한 방법 및 그 휴대 단말기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80056438A KR20090130700A (ko) 2008-06-16 2008-06-16 휴대 단말기에서 사용자가 편리하게 기능을 수행할 수있도록 한 방법 및 그 휴대 단말기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90130700A true KR20090130700A (ko) 2009-12-24

Family

ID=4169010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80056438A KR20090130700A (ko) 2008-06-16 2008-06-16 휴대 단말기에서 사용자가 편리하게 기능을 수행할 수있도록 한 방법 및 그 휴대 단말기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90130700A (ko)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10642432B2 (en) Information processing apparatus, information processing method, and program
JP5983503B2 (ja) 情報処理装置及びプログラム
US20190324590A1 (en) Information Processing Device, Operation Input Method And Operation Input Program
US20100073303A1 (en) Method of operating a user interface
KR101224588B1 (ko) 멀티포인트 스트록을 감지하기 위한 ui 제공방법 및 이를적용한 멀티미디어 기기
JP5267388B2 (ja) 情報処理装置、情報処理方法およびプログラム
US8504934B1 (en) Displaying a graphical keyboard
JP5529616B2 (ja) 情報処理システム、操作入力装置、情報処理装置、情報処理方法、プログラム及び情報記憶媒体
EP2921942A1 (en) Terminal, and method for controlling terminal screen display information
US9959038B2 (en) Displaying a graphic keyboard
TWI463355B (zh) 多點觸控介面之訊號處理裝置、訊號處理方法及使用者介面圖像選取方法
KR101679379B1 (ko) 힘 감지 제스처 인식을 위한 방법 및 디바이스
US20130162558A1 (en) Electronic device and method for selectively switching operation interfaces between left-handed mode and right-handed mode
TWI659353B (zh) 電子設備以及電子設備的工作方法
KR20070030062A (ko) 이동통신단말기
CN103019577A (zh) 选择对象的方法及装置、控制方法和控制装置
JPWO2009031213A1 (ja) 携帯端末装置及び表示制御方法
JP5968588B2 (ja) 電子機器
JP6551579B2 (ja) 携帯端末及びプログラム
JP5653062B2 (ja) 情報処理装置、操作入力装置、情報処理システム、情報処理方法、プログラム及び情報記憶媒体
JP2014059765A (ja) 情報処理装置、情報処理装置の制御方法、制御プログラム、および記録媒体
US9213459B2 (en) Electronic apparatus provided with resistive film type touch panel
KR20090130700A (ko) 휴대 단말기에서 사용자가 편리하게 기능을 수행할 수있도록 한 방법 및 그 휴대 단말기
KR20100042762A (ko) 휴대 단말기에서 마우스 인터페이스를 실행하는 방법 및 이를 수행하는 휴대 단말기
KR100725521B1 (ko) 터치 패드를 구비한 휴대 단말기 및 그의 리스트 스크롤방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WITN Application deemed withdrawn, e.g. because no request for examination was filed or no examination fee was pai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