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90129798A - Portable type electronic device - Google Patents

Portable type electronic device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90129798A
KR20090129798A KR1020080055896A KR20080055896A KR20090129798A KR 20090129798 A KR20090129798 A KR 20090129798A KR 1020080055896 A KR1020080055896 A KR 1020080055896A KR 20080055896 A KR20080055896 A KR 20080055896A KR 20090129798 A KR20090129798 A KR 20090129798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main body
electronic device
mounting
portable electronic
hol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80055896A
Other languages
Korean (ko)
Other versions
KR101462280B1 (en
Inventor
이승빈
정수용
박관보
Original Assignee
삼성전자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삼성전자주식회사 filed Critical 삼성전자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080055896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462280B1/en
Publication of KR20090129798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90129798A/en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462280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462280B1/en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1/00Details not covered by groups G06F3/00 - G06F13/00 and G06F21/00
    • G06F1/16Constructional details or arrangements
    • G06F1/1613Constructional details or arrangements for portable computer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1/00Details not covered by groups G06F3/00 - G06F13/00 and G06F21/00
    • G06F1/16Constructional details or arrangements
    • G06F1/1613Constructional details or arrangements for portable computers
    • G06F1/1633Constructional details or arrangements of portable computers not specific to the type of enclosures covered by groups G06F1/1615 - G06F1/1626
    • G06F1/1656Details related to functional adaptations of the enclosure, e.g. to provide protection against EMI, shock, water, or to host detachable peripherals like a mouse or removable expansions units like PCMCIA cards, or to provide access to internal components for maintenance or to removable storage supports like CDs or DVDs, or to mechanically mount accessories
    • G06F1/166Details related to functional adaptations of the enclosure, e.g. to provide protection against EMI, shock, water, or to host detachable peripherals like a mouse or removable expansions units like PCMCIA cards, or to provide access to internal components for maintenance or to removable storage supports like CDs or DVDs, or to mechanically mount accessories related to integrated arrangements for adjusting the position of the main body with respect to the supporting surface, e.g. legs for adjusting the tilt angle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1/00Details not covered by groups G06F3/00 - G06F13/00 and G06F21/00
    • G06F1/16Constructional details or arrangements
    • G06F1/1613Constructional details or arrangements for portable computers
    • G06F1/1633Constructional details or arrangements of portable computers not specific to the type of enclosures covered by groups G06F1/1615 - G06F1/1626
    • G06F1/1684Constructional details or arrangements related to integrated I/O peripherals not covered by groups G06F1/1635 - G06F1/1675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omputer Hardware Design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Human Computer Interaction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Position Input By Displaying (AREA)
  • Mechanical Pencils And Projecting And Retracting Systems Therefor, And Multi-System Writing Instruments (AREA)
  • Telephone Set Structure (AREA)

Abstract

PURPOSE: A portable electronic device is provided to achieve simplification and portability by forming a stand equipped with a pen holder at a hole unit installed to one end of a main body. CONSTITUTION: A supporter is formed in a main body(110) and receives a stylus pen. The supporter is pulled out to the outside of the main body and is inserted into the main body. The supporter is rotated and supports the main body when the supporter is pulled out. A locking unit is installed in the main body. The locking unit stops withdrawal of the supporter by matching with one end of the supporter when the supporter is pulled out. A hinge unit(140) is installed in the supporter. The hinge unit rotates the supporter when the supporter is rotated. A hole unit(111) including the supporter is formed at one end of the main body.

Description

휴대용 전자 기기{PORTABLE TYPE ELECTRONIC DEVICE}Portable electronic device {PORTABLE TYPE ELECTRONIC DEVICE}

본 발명은 휴대용 전자 기기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터치 타입 디스플레이를 갖는 휴대용 전자 장치의 본체에 스타일러스 펜의 수납을 가능하게 함과 아울러 본체를 거치 가능하게 하도록 거치부를 구비한 휴대용 전자 기기에 관한 것이다. BACKGROUND OF THE INVENTION 1. Field of the Invention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portable electronic device, and more particularly, to a portable electronic device having a mounting portion for allowing a stylus pen to be stored in a main body of a portable electronic device having a touch type display and for mounting the main body. It is about.

일반적으로, 휴대용 전자 기기는 휴대용 단말기, PMP, MP3 등의 용이하게 휴대 가능한 전자 기기 등을 일컫는다. In general, a portable electronic device refers to a portable terminal, an easily portable electronic device such as PMP, MP3, and the like.

또한, 최근의 휴대용 전자 기기에 구비되는 전면 디스플레이를 터치 타입으로 형성함으로써, 사용자가 휴대용 전자 기기의 사용시 보다 편리하게 사용할 수 있도록 하도록 하는 추세이다.In addition, by forming a front display provided in a recent portable electronic device as a touch type, it is a trend to allow a user to use the portable electronic device more conveniently.

또한, 근래 들어, 휴대용 단말기나 PMP 등을 통해 영화 또는 DMB 등의 다양한 멀티미디어를 시청할 수 있게 되어 사용자들에게 다양한 혜택을 제공한다. In addition, in recent years, it is possible to watch a variety of multimedia, such as movies or DMB through a portable terminal or PMP to provide a variety of benefits to users.

이러한, 터치 타입의 디스플레이를 용이하게 사용할 수 있도록 휴대용 전자 기기에는 터치 타입 디스플레이에 메뉴 등의 선택을 용이하게 하도록 스타일러스 펜을 구비한다. 도시하진 않았으나, 상기 스타일러스 펜은 휴대용 전자 기기의 본체 내부에 구비된 스타일러스 펜 수납부에 구비되기도 하고, 또는 액세서리와 같이 외부에 휴대하기도 한다. In order to easily use such a touch type display, the portable electronic device includes a stylus pen to facilitate selection of a menu or the like on the touch type display. Although not shown, the stylus pen may be provided in a stylus pen housing provided inside the main body of the portable electronic device, or may be carried externally as an accessory.

또한, 휴대용 단말기나 PMP등을 이용하여 영화, 인터넷, 방송 등의 멀티미디어 컨텐츠를 이용시 거치대를 사용하여 휴대용 전자 기기를 탁자나 책상 또는 평평한 면 위에 거치할 수 있도록 구비한다. In addition, when using multimedia contents such as movies, the Internet, broadcasting using a portable terminal or PMP, the portable electronic device can be mounted on a table, desk, or flat surface using a holder.

상기 거치대는 휴대용 전자 기기의 본체에 일체형으로 구비되거나 분리형으로 구비되는 경우도 있으며, 일반적으로는 액세서리와 같이 휴대용 전자 기기의 걸림 고리에 장착하여 휴대하면서 필요시 분리하여 사용하게 된다. The cradle may be provided integrally with the main body of the portable electronic device or may be provided as a detachable body. In general, the holder may be mounted on a hook of the portable electronic device as an accessory, and then separated and used when necessary.

따라서, 스타일러스 펜은 휴대용 전자 기기에 메뉴 등을 실행시키거나 사용자가 사용할 때마다 사용하게 되고, 디스플레이에서 플레이 되는 화면을 사용자가 용이하게 볼 수 있도록 휴대하고 있던 거치대를 사용하여 휴대용 전자 기기를 거치하게 된다. Therefore, the stylus pen is used whenever a user executes a menu or the like on a portable electronic device, and mounts the portable electronic device by using a holder that is easily carried so that the user can easily view the screen played on the display. do.

그러나, 휴대용 전자 기기에 휴대된 스타일러스 펜이나 거치대를 각각 따로 휴대해야 하므로 공간 활용의 저하를 발생하며, 사용시 복잡하고 번거로운 문제점이 있으며, 또한 따로 휴대용 전자 기기에 각각 휴대하게 되므로 분실의 위험성이 높은 문제점이 있다. However, since the stylus pen or the cradle carried in the portable electronic device must be carried separately, there is a reduction in space utilization, and there is a complicated and cumbersome problem when using the portable electronic device. There is this.

또한, 사용자가 스타일러스 펜 및 거치대를 한꺼번에 휴대해야 하므로 외관상 수려하지 못한 문제점이 있다. In addition, the user has to carry the stylus pen and the cradle at a time, so there is a problem in appearance is not beautiful.

또한, 최근의 휴대용 전자 기기의 경우 디스플레이의 크기는 크게 구비하되, 휴대용 전자 기기의 무게나 모양은 가볍고 작게 하는 추세이나, 거치대의 경우 그 무게가 있으므로 휴대용 전자 기기의 전체적인 무게를 증가시키는 문제점이 있다.In addition, in the case of the recent portable electronic devices, the display size is large, but the weight or shape of the portable electronic device tends to be light and small, but in the case of the cradle, there is a problem of increasing the overall weight of the portable electronic device. .

따라서, 휴대용 전자 기기에 스타일러스 펜과 거치대를 용이하게 휴대할 수 있음은 물론, 스타일러스 펜의 기능과 휴대용 전자 기기의 거치 기능을 함께할 수 있는 장치의 필요성이 요구되어 지는 실정이다. Accordingly, there is a need for a device capable of easily carrying a stylus pen and a holder in a portable electronic device, as well as a function of mounting a portable electronic device with a function of a stylus pen.

또한, 휴대용 전자 기기에 휴대 되어야 하는 액세서리를 줄일 수 있게 함은 물론 휴대를 용이하게 하며, 액세서리의 무게를 줄일 수 있도록 하는 휴대용 전자 기기의 필요성이 요구되어 지는 실정이다. In addition, there is a need for a portable electronic device that can reduce the accessories to be carried in the portable electronic device as well as to facilitate the portable, and to reduce the weight of the accessory.

따라서,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본 발명은 휴대용 전자 기기를 거치 가능하게 함과 아울러 스타일러스 펜을 구비할 수 있도록 하는 휴대용 전자 기기를 제공함에 있다. Accordingly, in order to solve the above problems, the present invention is to provide a portable electronic device that can be equipped with a portable electronic device and to be provided with a stylus pen.

또한, 휴대용 전자 기기에 스타일러스 펜과 거치대를 용이하게 휴대할 수 있게 하면서 스타일러스 펜의 기능과 휴대용 전자 기기의 거치 기능을 함께할 수 있도록 하는 휴대용 전자 기기를 제공함에 있다. In addition, the present invention provides a portable electronic device capable of easily carrying a stylus pen and a holder in a portable electronic device while allowing a function of the stylus pen and a mounting function of the portable electronic device to be carried.

또한, 휴대용 전자 기기에 휴대 되어야 하는 액세서리를 줄일 수 있게 함은 물론 휴대를 용이하게 하며, 액세서리의 무게를 줄일 수 있도록 하는 휴대용 전자 기기를 제공함에 있다.  In addition, to provide a portable electronic device that can reduce the accessories to be carried in the portable electronic device, as well as easy to carry, and to reduce the weight of the accessory.

이를 위해, 본원 발명은 터치 타입 디스플레이를 구비한 휴대용 전자 기기에 있어서,To this end, the present invention is a portable electronic device having a touch type display,

상기 휴대용 전자 기기의 본체;A main body of the portable electronic device;

상기 본체에 구비되며, 그 내측으로 스타일러스 펜을 수용함과 아울러 상기 본체 외측으로 인입/인출되고, 인출시 회동하여 상기 본체를 거치시키는 거치부;A mounting portion provided in the main body, accommodating the stylus pen inwardly, and drawing in / out of the main body and pivoting when the drawing is carried out to mount the main body;

상기 본체의 내부에 장착되고, 상기 거치부의 인출시, 상기 거치부의 일단과 걸려 상기 거치부의 인출을 정지시키는 걸림부; 및A locking part mounted inside the main body and stopping the extraction of the mounting part by hanging with one end of the mounting part when the mounting part is pulled out; And

상기 거치부에 구비되고, 상기 거치부의 개방시 상기 거치부를 회동가능하게 하는 힌지부를 포함하는 휴대용 전자 기기를 개시한다. Disclosed is a portable electronic device provided in the mounting portion and including a hinge portion configured to rotate the mounting portion when the mounting portion is opened.

또한, 상기 본체의 일단에는 상기 거치부를 구비하는 홀부가 형성되는 휴대용 전자 기기를 개시한다. Also disclosed is a portable electronic device having one end of the main body provided with a hole having the mounting portion.

상기 홀부는 상기 본체의 일단 내측에 구비됨과 아울러 상기 본체의 거치된 상태에서 상기 본체의 디스플레이의 하측면과 나란한 방향으로 형성되는 휴대용 전자 기기를 개시한다. The hole unit is provided inside one end of the main body and discloses a portable electronic device formed in a direction parallel to the lower side of the display of the main body in the mounted state of the main body.

상기 거치부는 상기 홀부에서 인입/인출됨과 아울러 상기 스타일러스 펜을 인입/인출 가능하게 수용하고, 상기 홀부에서 인출시 상기 본체 외부로 노출되어 상기 본체를 거치하는 펜 수용부와, The mounting portion is withdrawn / withdrawn from the hole, and the receptacle to accept / withdraw the stylus pen, the pen receiving portion is exposed to the outside of the main body when the withdrawal from the hole to mount the main body;

상기 펜 수용부의 일단에 구비되고, 상기 거치부의 인출시 상기 힌지부에 의해 회동되어 상기 본체를 거치 가능하게 하는 거치 본체부와, A mounting body portion provided at one end of the pen housing portion and pivoted by the hinge portion when the holding portion is drawn out to allow the main body to be mounted;

상기 거치 본체부의 일단에 구비되고, 상기 힌지부에 의해 상기 거치 본체부와 결합되어 있으며, 상기 거치 본체부의 개방시 상기 걸림부에 걸리는 걸림 부재로 구비되는 휴대용 전자 기기를 개시한다. Disclosed is a portable electronic device provided at one end of the mounting body portion, coupled to the mounting body portion by the hinge portion, and provided as a locking member that is caught by the locking portion when the mounting body portion is opened.

상기 걸림부의 외주연에는 상기 홀부에 장착되게 체결부가 돌출형성되고, The outer periphery of the engaging portion is formed with a fastening portion protruding to be mounted to the hole,

상기 걸림부의 내주연에는 중공을 형성하여 상기 펜 수용부 및 상기 거치 본체부를 이동 가능하게 하고, 상기 걸림부의 일단과 걸려 정지되게 단턱지게 단턱부를 형성하는 휴대용 전자 기기를 개시한다. Disclosed is a portable electronic device, in which a hollow is formed at an inner circumference of the locking portion to move the pen receiving portion and the mounting body portion, and a stepped portion is formed to be caught and stopped at one end of the locking portion.

상기 걸림부재의 외주연은 인입/인출방향으로 다수의 산형부와 골형부를 형 성하고, The outer circumference of the locking member forms a plurality of mountain parts and valleys in the inlet / outlet direction,

상기 산형부들의 원주 반경은 상기 단턱부의 반경보다 크게 형성되어 상기 거치부의 인출시 상기 단턱부에 상기 산형부가 걸려 상기 거치부의 인출을 정지시키는 휴대용 전자 기기를 개시한다.Disclosed is a portable electronic device having a circumferential radius of the ridges greater than a radius of the stepped portion to stop the extraction of the mount by hanging the ridge on the stepped portion.

상기 단턱부에는 상기 거치부의 인출시 상기 골형부와 맞물리는 스토퍼가 상기 단턱부의 내주연에 적어도 하나 이상 돌출형성되어 있으며, The stopper has at least one stopper engaging with the bone-shaped part when the holder is pulled out and protrudes at an inner circumference of the stepper.

상기 스토퍼는 상기 거치부의 인출시 상기 걸림부의 중공에서 상기 걸림부재의 회동을 방지하게 형성되는 휴대용 전자 기기를 개시한다. The stopper discloses a portable electronic device that is formed to prevent rotation of the locking member in the hollow of the locking portion when the stopper is pulled out.

상기 체결부는 상기 걸림부의 외주연에서 돌출형성된 돌출부와, The fastening portion and a protrusion formed on the outer periphery of the locking portion,

상기 돌출부에 구비되고, 상기 홀부에 체결되게 홀을 형성하는 체결홀로 구비되는 휴대용 전자 기기를 개시한다. Disclosed is a portable electronic device provided in the protruding portion and provided as a fastening hole for forming a hole to be fastened to the hole portion.

상기 체결홀은 상기 홀부에 체결부재에 의해 체결되는 휴대용 전자 기기를 개시한다. The fastening hole discloses a portable electronic device fastened by a fastening member to the hole part.

상기 힌지부는 상기 걸림 부재의 일단에 구비되는 지지축과, The hinge portion and the support shaft is provided at one end of the locking member,

상기 거치부의 일단에 형성됨과 아울러 상기 지지축에 회동가능하게 결합되는 회동축으로 구비되는 휴대용 전자 기기를 개시한다. Disclosed is a portable electronic device that is formed at one end of the mounting portion and is provided with a rotation shaft rotatably coupled to the support shaft.

상기 펜 수용부의 말단 내주연에는 상기 스타일러스 펜을 고정시키도록 지지하는 지지부가 구비되고,The inner periphery of the pen receiving portion is provided with a support for supporting to fix the stylus pen,

상기 스타일러스 펜의 외주연에는 상기 지지부와 맞물려 상기 지지부에 홀딩되는 홀딩부가 구비되는 휴대용 전자 기기를 개시한다.  Disclosed is a portable electronic device having a holding part held at an outer circumference of the stylus pen in engagement with the support part.

상기 홀딩부는 상기 스타일러스 펜의 외주연으로 스크류 형태의 나선형의 돌출부로 이루어져 있고, The holding portion is made of a spiral protrusion of a screw shape in the outer circumference of the stylus pen,

상기 지지부는 상기 펜 수용부의 내주연으로 상기 스크류 형태의 나선형의 홈으로 이루어져 있으며, The support portion is made of a spiral groove of the screw form in the inner circumference of the pen receiving portion,

상기 스타일러스 펜을 상기 펜 수용부(121)에 회전함으로써, 상기 나선형의 돌출부가 상기 나선형의 홈에 맞물리면서 홀딩되는 휴대용 전자 기기를 개시한다. By rotating the stylus pen to the pen housing 121, a portable electronic device is held in which the helical protrusion is held while being engaged with the helical groove.

상술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휴대용 전자 기기에 따르면, As described above, according to the portable electronic devic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휴대용 전자 장치의 본체 일단에 구비된 홀부에 펜 수납부를 구비한 거치부를 구비함으로써, 휴대용 전자 기기를 거치 가능하게 함과 아울러 스타일러스 펜을 동시에 구비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By providing a mounting portion having a pen housing portion in a hole provided at one end of the main body of the portable electronic device, the portable electronic device can be mounted and an stylus pen can be provided at the same time.

또한, 휴대용 전자 기기에 구비되어야 하는 스타일러스 펜의 수납과 별도로 구비해야 하는 거치대를 동시에 구비할 수 있게 함으로써, 스타일러스 펜의 수납을 용이하게 함은 물론, 별도의 거치대를 필요로하지 않아 액세서리의 간소화 및 휴대용 전자 기기의 휴대성을 향상시키는 효과가 있다.  In addition, by allowing the portable electronic device to accommodate the storage of the stylus pen and the holder to be provided at the same time, it is easy to store the stylus pen, and does not require a separate holder to simplify the accessories and There is an effect of improving the portability of the portable electronic device.

또한, 펜 수납부와 스타일러스 펜을 서로 홀딩하도록 스크류 형태의 나선형 돌출부와 나선형 홈을 맞물리게 하여 스타일러스 펜의 분실 위험을 줄이는 효과가 있다.In addition, there is an effect of reducing the risk of loss of the stylus pen by engaging the screw protrusion and the spiral groove to hold the pen housing and the stylus pen with each other.

이하에서, 첨부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가장 바람직한 일 실시 예를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Hereinafter, with reference to the accompanying drawings will be described in detail the most preferre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1 내지 도 3 및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에 따른 터치 타입 디스플레이를 구비한 휴대용 전자 기기(100)는 상기 휴대용 전자 기기의 본체(110)와 거치부(120)와, 걸림부(150)와, 힌지부(140)를 포함하고 있다. 상기 거치부(120)는 그 내측으로 스타일러스 펜(160)을 수용하도록 상기 본체(100)에 구비됨과 아울러 상기 본체(100) 외측으로 인입/인출되며, 인출시 회동하여 상기 본체(100)를 거치시키도록 상기 본체(100)에 구비되어 있다. 상기 걸림부(150)는 상기 거치부(120)의 인출시, 상기 거치부(120)를 걸리도록 상기 본체(100)의 내부에 장착되어 있다. 상기 힌지부(140)는 상기 거치부(120)의 개방시 상기 거치부(120)를 회동가능하게 하도록 상기 거치부(120)에 구비되어 있다. 1 to 3 and 5, the portable electronic device 100 having a touch type display according to an exemplary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may include a main body 110 and a holder 120 of the portable electronic device. And a locking portion 150 and a hinge portion 140. The mounting part 120 is provided in the main body 100 to receive the stylus pen 160 inward, and is pulled into / out of the main body 100, and rotates to draw the main body 100. It is provided in the main body 100 to make. The catching part 150 is mounted inside the main body 100 so as to catch the mounting part 120 when the mounting part 120 is drawn out. The hinge portion 140 is provided in the mounting portion 120 to enable the mounting portion 120 to rotate when the mounting portion 120 is opened.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본체(100)의 일단에는 상기 거치부(120)를 구비하는 홀부(111)가 형성되어 있다. As shown in FIG. 2, a hole 111 having the mounting part 120 is formed at one end of the main body 100.

도 1, 도 2,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홀부(111)는 상기 본체(100)의 일단 내측에 구비됨과 아울러 상기 본체(100)의 거치된 상태에서 상기 본체(100)의 디스플레이(112)의 하면과 나란한 방향으로 형성되어 있다. As shown in FIG. 1, FIG. 2, and FIG. 5, the hole part 111 is provided inside one end of the main body 100 and a display of the main body 100 in a mounted state of the main body 100. It is formed in the direction parallel to the lower surface of 112.

도 2, 도 3, 도 5 및 도 9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거치부(120)는 펜 수용부(121)와, 거치 본체부(122)와, 걸림부재(130)로 구성되어 있다. 상기 펜 수용부(121)는 상기 홀부(111)에서 인입/인출됨과 아울러 상기 스타일러스 펜(160)을 인입/인출 가능하게 수용하고, 상기 홀부(111)에서 인출시 상기 본체(100) 외부로 노출되어 상기 본체(100)를 거치하도록 구비되어 있다. 상기 거치 본체부(122)는 상기 거치부(120)의 인출시 상기 힌지부(140)에 의해 회동되어 상기 본체(100)를 거치 가능하게 하도록 상기 펜 수용부(121)의 일단에 구비되어 있다. 상기 걸림부재(130)는 상기 힌지부(140)에 의해 상기 거치 본체부(122)와 결합되어 있으며, 상기 거치 본체부(122)의 개방시 상기 걸림부(150)에 걸리도록 상기 거치 본체부(122)의 일단에 구비되어 있다. 2, 3, 5 and 9, the mounting portion 120 is composed of a pen receiving portion 121, the mounting body portion 122, and the locking member 130. The pen accommodating part 121 may be inserted / extracted from the hole part 111 and accommodating the stylus pen 160 to be retractable / extractable, and exposed to the outside of the main body 100 when withdrawn from the hole part 111. Is provided to mount the main body 100. The mounting body 122 is rotated by the hinge portion 140 when the mounting portion 120 is pulled out and is provided at one end of the pen receiving portion 121 to allow the mounting of the main body 100. . The locking member 130 is coupled to the mounting body portion 122 by the hinge portion 140, and the mounting body portion is caught by the locking portion 150 when the mounting body portion 122 is opened. It is provided at one end of 122.

도 2, 도 5 및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걸림부(150)의 외주연에는 상기 홀부(111)에 장착되도록 체결부(151)가 돌출형성되어 있고, 상기 걸림부(150)의 내주연에는 상기 펜 수용부(121) 및 상기 거치 본체부(122)를 이동 가능하게 함과 아울러 상기 걸림부(150)의 일단과 걸려 정지되도록 중공을 형성함과 아울러 단턱지게 구비되 단턱부(152)를 형성하고 있다. 2, 5 and 6, the outer periphery of the engaging portion 150, the fastening portion 151 is protruded to be mounted to the hole portion 111, the locking portion 150 of The inner periphery of the pen receiving portion 121 and the mounting body portion 122 to move, and to form a hollow to stop and stop with one end of the catching portion 150 is provided with a stepped portion ( 152 is formed.

도 6 및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걸림부재(130)의 외주연은 인입/인출방향으로 다수의 산형부(130a)와 골형부(130b)를 형성하고 있고, 상기 산형부(130a)들의 원주 반경은 상기 단턱부(152)의 반경보다 크게 형성되어 상기 거치부(120)의 인출시 상기 단턱부(152)에 상기 산형부(130a)가 걸려 상기 거치부(120)의 인출을 정지시키도록 구비되어 있다. As shown in FIGS. 6 and 7, the outer circumference of the locking member 130 forms a plurality of peaks 130a and valleys 130b in the inlet / outlet direction, and the peaks 130a. Their circumferential radius is greater than the radius of the stepped portion 152 so that the ridge portion 130a is caught by the stepped portion 152 when the withdrawal of the mounting portion 120 stops the withdrawal of the mounting portion 120. It is provided to make.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단턱부(152)에는 상기 거치부(120)의 인출시 상기 골형부(130b)와 맞물리도록 상기 단턱부(152)의 내주연에서 적어도 하나 이상 돌출형성되는 스토퍼(153)가 구비되어 있으며, 상기 스토퍼(153)는 상기 거치 부(120)의 인출시 상기 걸림부(150)의 중공에서 상기 걸림부재(130)의 회동을 방지하게 형성되어 있다. As shown in FIG. 7, the stepper 152 has a stopper protruding from the inner circumference of the stepped portion 152 so as to be engaged with the bone portion 130b when the mounting portion 120 is pulled out. 153 is provided, and the stopper 153 is formed to prevent rotation of the locking member 130 in the hollow of the locking portion 150 when the mounting portion 120 is pulled out.

도 2, 도 5, 도 6 및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체결부(151)는 돌출부(151a)와, 체결홀(152b)로 구비되어 있고, 상기 돌출부(151a)는 상기 걸림부(150)의 외주연에서 돌출형성되어 있으며, 상기 체결홀(151b)은 상기 홀부(111)에 체결되게 홀을 형성하도록 상기 돌출부(151a)에 구비되어 있다. 2, 5, 6 and 7, the fastening portion 151 is provided with a protrusion 151a and a fastening hole 152b, the protrusion 151a is the locking portion ( Protruding from the outer periphery of 150, the fastening hole (151b) is provided in the protrusion (151a) to form a hole to be fastened to the hole (111).

도 2 및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체결홀(151b)은 체결부재(미도시)에 의해 상기 홀부(111)에 체결되어 진다. 2 and 5, the fastening hole 151b is fastened to the hole part 111 by a fastening member (not shown).

도 2 내지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힌지부(140)는 지지축(141)과 회동축(142)으로 구비되어 있고, 상기 지지축(141)은 상기 걸림부재(130)의 일단에 구비되어 있으며, 상기 회동축(142)은 상기 거치부(120)의 일단에 형성됨과 아울러 상기 지지축(141)에 회동가능하게 결합되어 있다. 2 to 5, the hinge portion 140 is provided with a support shaft 141 and a rotation shaft 142, the support shaft 141 is at one end of the locking member 130 Is provided, the rotating shaft 142 is formed on one end of the mounting portion 120 and is rotatably coupled to the support shaft 141.

도 4 및 도 8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펜 수용부(121)의 말단 내주연에는 상기 스타일러스 펜(160)을 고정시키도록 지지하는 지지부(미도시)가 구비되어 있고, 상기 스타일러스 펜(160)의 외주연에는 상기 지지부(미도시)와 맞물려 상기 지지부(미도시)에 홀딩되는 홀딩부(161)가 구비되어 있다. As shown in FIGS. 4 and 8, a distal end portion of the pen accommodating portion 121 is provided with a support part (not shown) for fixing the stylus pen 160 to be fixed and the stylus pen 160. The outer periphery of the) is provided with a holding part 161 is engaged with the support (not shown) and held in the support (not shown).

도 8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홀딩부(161)는 상기 스타일러스 펜(160)의 외주연으로 스크류 형태의 나선형의 돌출부가 구비되어 있고, 상기 지지부는 상기 펜 수용부(121)의 내주연으로 상기 스크류 형태의 나선형의 홈이 구비되어 있으며, 상기 스타일러스 펜(160)을 상기 펜 수용부(121)에 회전함으로써, 상기 나선형의 돌출부가 상기 나선형의 홈에 맞물리면서 홀딩되어 진다. As shown in FIG. 8, the holding part 161 is provided with a spiral protrusion having a screw shape as an outer circumference of the stylus pen 160, and the support part is formed as an inner circumference of the pen receiving part 121. The screw-shaped spiral groove is provided, and by rotating the stylus pen 160 in the pen receiving portion 121, the spiral protrusion is held while being engaged with the spiral groove.

상기와 같은 구성을 가지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일 실시 예에 의한 휴대용 전자 기기의 동작과정을 첨부된 도 1 내지 도 9를 참조하여 더욱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An operation process of a portable electronic device according to an exemplary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having the above configuration will be described in more detail with reference to FIGS. 1 to 9.

도 2 내지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휴대용 전자 기기의 본체(100)에는 상기 터치 타입 디스플레이(112)의 거치된 상태의 하부와 나란한 방향으로 홀부(111)가 구비되어 있고, 상기 홀부(111)의 내부에는 스타일러스 펜(160)을 구비함과 아울러 상기 본체(100)를 거치할 수 있도록 거치부(120)를 구비한다. 2 to 4, the main body 100 of the portable electronic device is provided with a hole 111 in a direction parallel to a lower part of the mounted state of the touch type display 112. The interior of the 111 is provided with a stylus pen 160 and a mounting portion 120 to mount the body 100.

사용자가 상기 스타일러스 펜(160)을 사용하기 위해서는 도 8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거치부(120)의 상기 펜 수용부(121)에서 상기 스타일러스 펜(160)의 상단을 회전시킨다. In order for a user to use the stylus pen 160, as shown in FIG. 8, the upper end of the stylus pen 160 is rotated at the pen receiving portion 121 of the mounting portion 120.

상기 스타일러스 펜(160)의 일단 외주연에 형성된 나선형의 돌출부(161)는 상기 펜 수용부(121)의 내주연에 형성된 나선형의 홈부에 맞물려 있는 상태에서, 사용자가 회전시킴으로 인해 상기 나선형의 돌출부(161)는 상기 나선형의 홈부에서 서서히 이탈된다. The spiral protrusion 161 formed at one outer circumference of the stylus pen 160 is engaged with the spiral groove formed at the inner circumference of the pen accommodating portion 121, so that the spiral protrusion 161 is rotated by the user. 161 is gradually released from the helical groove.

상기 나선형의 돌출부(161)가 상기 나선형의 홈부에서 모두 일탈됨과 아울러 상기 스타일러스 펜(160)은 상기 펜 수용부(121)에서 분리되어 사용가능하게 되는 것이다. The helical protrusions 161 are all deviated from the helical grooves, and the stylus pen 160 is separated from the pen accommodating part 121 to be used.

이 상태에서 상기 스타일러스 펜(160)을 다시 상기 펜 수용부(121)에 수납하 기 위해서는 상기 스타일러스 펜(160)을 상기 펜 수용부(121)에 삽입시킨 후 인출시의 회전방향과 반대 방향으로 회전시킨다. In this state, in order to store the stylus pen 160 in the pen receiving portion 121 again, the stylus pen 160 is inserted into the pen receiving portion 121 and then rotated in a direction opposite to that of the drawing. Rotate

이로 인해, 상기 나선형의 돌출부(161)는 상기 나선형의 홈부에 맞물리게 되고, 상기 스타일러스 펜(160)은 상기 펜 수용부(121)에 수납되게 된다. As a result, the helical protrusion 161 is engaged with the helical groove, and the stylus pen 160 is accommodated in the pen receiving portion 121.

상기 홀부(111)에 상기 거치부(120)가 인입된 상태에서, 상기 본체(100)를 거치시키기 위해서 상기 거치부(120)를 상기 홀부(111)에서 인출시킨다. In the state in which the mounting portion 120 is inserted into the hole 111, the mounting portion 120 is pulled out of the hole 111 to mount the main body 100.

상기 거치부(120)를 상기 본체(100)의 길이 방향으로 잡아당기면, 상기 스타일러스 펜(160)을 구비한 상기 거치부(120)는 상기 본체(100)의 외부로 인출된다. When the holder 120 is pulled in the longitudinal direction of the main body 100, the holder 120 having the stylus pen 160 is drawn out of the main body 100.

도 1, 도 2, 도 3 및 도 9에서 보는 바와 같이, 상기 거치부(120)를 계속 잡아당기면, 상기 힌지부(140) 및 상기 힌지부(140)에 구비되어 있는 걸림부(150)의 일부가 상기 본체(100)의 외부로 돌출됨과 아울러 상기 홀부(111)의 내주연에 구비된 걸림부(150)에 상기 걸림부재(130)가 걸린다. As shown in FIGS. 1, 2, 3, and 9, when the mounting portion 120 is continuously pulled out, the hinge portion 140 and the locking portion 150 provided in the hinge portion 140 are provided. A part protrudes to the outside of the main body 100 and the locking member 130 is caught by the locking portion 150 provided on the inner circumference of the hole 111.

이를 자세히 살펴보면, 상기 거치부(120)를 당기게 되면, 상기 거치부(120)에 연결되어 있는 상기 회동축(142) 및 상기 회동축(142)에 결합된 상기 지지축(141)과 상기 지지축(141)을 구비하고 있는 상기 걸림부(150)는 상기 홀부(111)에서 상기 본체(100)의 외측으로 돌출되는 방향으로 이동된다. In detail, when the holder 120 is pulled, the support shaft 141 and the support shaft coupled to the pivot shaft 142 and the pivot shaft 142 are connected to the holder 120. The locking portion 150 having the 141 is moved in a direction protruding from the hole 111 to the outside of the main body 100.

이때, 상기 걸림부(150)의 내부는 상기 거치부(120) 및 상기 힌지부가(140) 이동가능하게 중공으로 형성되어 있으며, 테이퍼 형상으로 단턱지게 형성되어 상기 본체(100)의 외측과 근접할수록 그 내주연의 지름이 작아지게 형성된다. 또한, 상기 걸림부재(130)는 그 외주연이 길이 방향으로 산과 골을 형성하도록 산형 부(130a)와 골형부(130b)로 구비되고, 상기 산형부(130a)의 지름은 상기 걸림부(150)의 단턱부(152)의 지름보다 크게 형성된다. At this time, the inside of the engaging portion 150 is formed in a hollow to move the mounting portion 120 and the hinge portion 140, is formed in a tapered shape step closer to the outside of the main body 100 The diameter of the inner periphery is formed to be small. In addition, the locking member 130 is provided with a mountain-shaped portion 130a and a bone-shaped portion 130b so that the outer circumference thereof forms a hill and valley in the longitudinal direction, the diameter of the mountain portion 130a is the locking portion 150 It is formed larger than the diameter of the stepped portion (152).

따라서, 상기 걸림부재(130)가 상기 걸림부(150)의 내부에 들어오면, 상기 산형부(130a)가 상기 단턱부(152)에 의해 맞물려 상기 거치부(120)의 이동을 정지시키게 된다. Therefore, when the locking member 130 enters the inside of the locking part 150, the mountain part 130a is engaged by the stepped part 152 to stop the movement of the mounting part 120.

또한, 상기 단턱부(152)의 내측으로 돌출형성된 상기 스토퍼(153)가 상기 골형부(130b)에 맞물림으로써, 상기 걸림부재(130)는 상기 걸림부(150)에서 회동되지 않게 구속당한다. In addition, the stopper 153 protruding inwardly of the stepped portion 152 is engaged with the valley portion 130b, so that the locking member 130 is restrained from being rotated by the locking portion 150.

상기 거치부(120)가 상기 본체(100)의 외부로 모두 인출되고, 상기 거치부(120)의 일단에 구비되는 상기 힌지부(140)도 외부로 인출된다. The mounting portion 120 is drawn out to the outside of the main body 100, the hinge portion 140 provided at one end of the mounting portion 120 is also drawn out.

이 상태에서 상기 거치부(120)를 상기 본체(100)와 수직방향으로 회동시킨다. In this state, the mounting part 120 is rotated in a vertical direction with the main body 100.

상기 거치 본체(100)부의 일단에 구비된 상기 회동축(142)은 상기 걸림부재(130)의 일단에 구비된 상기 지지축(141)을 중심으로 회동하게 되고, 상기 거치 본체부(122)가 상기 본체(100)에서 소정의 각도를 이루게 되고, 상기 거치 본체부(122) 및 상기 펜 수용부(121)에 의해 상기 본체(100)는 책상이나 평편한 면에 거치된다.The pivot shaft 142 provided at one end of the mounting body 100 is rotated about the support shaft 141 provided at one end of the locking member 130, and the mounting body 122 is A predetermined angle is formed in the main body 100, and the main body 100 is mounted on a desk or a flat surface by the mounting main body 122 and the pen housing 121.

또한, 상기 거치된 상태에서 상기 스타일러스 펜(160)을 사용하기 위해서는 상기 스타일러스 펜(160)을 상기 펜 수용부(121)에서 회동시켜 상기 나선형의 돌출부를 상기 나선형의 홈부에서 이탈시켜 인출시켜 사용하게 된다.In addition, in order to use the stylus pen 160 in the mounted state, the stylus pen 160 is rotated in the pen receiving portion 121 so that the spiral protrusion is separated from the groove of the spiral to be used. do.

따라서, 사용자는 상기 스타일러스 펜(160)을 상기 본체(100) 내부에 수용하는 것도 용이할 뿐만 아니라, 거치대로도 사용할 수 있게 되는 것이다. Therefore, the user may not only easily accommodate the stylus pen 160 inside the main body 100 but also use the holder.

또한, 쓰임새에 따라 상기 스타일러스 펜(160)만을 상기 본체(100)의 외측으로 인출시켜 사용할 수도 있게 되며, 상기 스타일러스 펜(160)을 수용하고 있는 상기 펜 수용부(121)를 상기 본체(100)의 외측으로 인출시켜 상기 본체(100)의 거치대로 사용할 수 있게 되는 것이다. In addition, only the stylus pen 160 may be drawn out of the main body 100 according to its use, and the pen accommodating part 121 accommodating the stylus pen 160 may be used as the main body 100. Withdrawal to the outside of the main body 100 will be able to use as a cradle.

이상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휴대용 전자 기기는 전술한 실시 예 및 도면에 의해 한정되는 것은 아니고,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벗어나지 않은 범위 내에서 여러 가지 치환, 변형 및 변경이 가능함은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있어 명백할 것이다. As described above, the portable electronic device of the present invention is not limited to the above-described embodiments and drawings, and various substitutions, modifications, and changes can be made without departing from the technical spirit of the present invention. It will be apparent to those of ordinary skill in the art.

예를 들어, 상기 힌지부(140)는 상기 지지축과 상기 지지축에 결합되는 회동축(142)으로 구비되도록 도시하였으나, 상기 본체(100)의 외측으로 인출된 상기 거치대를 상기 본체(100)에서 회동함과 아울러 거치 가능하게 하도록 소정의 힘을 갖는 장치물이 구비되는 것도 가능하다. For example, although the hinge part 140 is illustrated to be provided as the support shaft and the pivot shaft 142 coupled to the support shaft, the holder 100 drawn out to the outside of the body 100 is the main body 100. It is also possible to be provided with a device having a predetermined force to enable rotation and as well as mounting in.

또한, 상기 스타일러스 펜(160)의 수납의 외주연으로 나선형의 돌출부를 구비하고, 상기 나선형의 돌출부에 맞물리도록 상기 펜 수용부(121)의 외주연으로 나선형의 홈부를 구비하도록 하였으나, 후크 형식으로 걸려 상기 스타일러스 펜(160)을 상기 펜 수용부(121)에 홀딩시키는 것도 가능하며, 볼펜 및 볼펜 뚜겅과 같은 형태의 홀딩 형식도 가능하다. In addition, the outer periphery of the storage of the stylus pen 160 is provided with a helical protrusion, and the outer periphery of the pen receiving portion 121 to be engaged with the helical protrusion is provided with a helical groove, but in the form of a hook It is also possible to hold the stylus pen 160 to the pen receiving portion 121, and a holding form such as a ballpoint pen and a ballpoint pen cover is also possible.

도 1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일 실시 예에 따른 휴대용 전자 기기를 나타낸 사시도. 1 is a perspective view showing a portable electronic devic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2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일 실시 예에 따른 휴대용 전자 기기의 내측에 구비되는 거치부, 걸림부재 및 걸림부를 나타내는 내부도. Figure 2 is an internal view showing the mounting portion, the locking member and the locking portion provided inside the portable electronic devic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3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일 실시 예에 따른 휴대용 전자 기기의 거치부를 인출시켜 휴대용 전자 기기의 거치된 상태를 나타낸 도면. 3 is a view showing a mounted state of the portable electronic device by withdrawing the mounting portion of the portable electronic devic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4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일 실시 예에 따른 휴대용 전자 기기의 거치부 및 거치부의 펜 수용부에서 스타일러스 펜을 인출시킨 상태를 나타낸 분리 사시도. 4 is an exploded perspective view illustrating a state in which the stylus pen is drawn out from the holder of the portable electronic device and the pen housing of the holder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5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일 실시 예에 따른 휴대용 전자 기기의 거치부를 나타낸 사시도. 5 is a perspective view illustrating a holder of a portable electronic device according to an exemplary embodiment of the present disclosure.

도 6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일 실시 예에 따른 휴대용 전자 기기의 걸림부 및 걸림 부재를 나타내는 사시도. 6 is a perspective view illustrating a locking portion and a locking member of a portable electronic device according to an exemplary embodiment of the present disclosure.

도 7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일 실시 예에 따른 휴대용 전자 기기의 걸림부의 단턱부에 걸림 부재의 산형부가 걸림과 아울러 상기 걸림부의 스토퍼에 골형부가 맞물린 상태를 나타낸 도면, FIG. 7 is a view illustrating a state in which a mount of the locking member is engaged with the stepped portion of the locking portion of the portable electronic device according to an exemplary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and a bone portion is engaged with the stopper of the locking portion;

도 8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일 실시 예에 따른 휴대용 전자 기기의 거치부의 펜 수용부에서 스타일러스 펜이 인출된 상태를 나타낸 도면.8 is a view showing a state in which the stylus pen is drawn out from the pen accommodation portion of the holder of the portable electronic device according to an exemplary embodiment of the present disclosure.

도 9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일 실시 예에 따른 휴대용 전자 기기의 거치부를 홀부에서 인출시킴과 아울러 상기 거치부의 펜 수용부에서 스타일러스 펜을 인출한 상태를 나타낸 도면.9 is a view showing a state in which the stylus pen is drawn out from the pen receiving portion of the holder and withdraws the mounting portion of the portable electronic devic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Claims (12)

터치 타입 디스플레이를 구비한 휴대용 전자 기기에 있어서,In a portable electronic device having a touch type display, 상기 휴대용 전자 기기의 본체;A main body of the portable electronic device; 상기 본체에 구비되며, 그 내측으로 스타일러스 펜을 수용함과 아울러 상기 본체 외측으로 인입/인출되고, 인출시 회동하여 상기 본체를 거치시키는 거치부;A mounting portion provided in the main body, accommodating the stylus pen inwardly, and drawing in / out of the main body and pivoting when the drawing is carried out to mount the main body; 상기 본체의 내부에 장착되고, 상기 거치부의 인출시, 상기 거치부의 일단과 걸려 상기 거치부의 인출을 정지시키는 걸림부; 및A locking part mounted inside the main body and stopping the extraction of the mounting part by hanging with one end of the mounting part when the mounting part is pulled out; And 상기 거치부에 구비되고, 상기 거치부의 개방시 상기 거치부를 회동가능하게 하는 힌지부를 포함함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용 전자 기기. And a hinge part provided on the mounting part and configured to rotate the mounting part when the mounting part is opened. 제 1 항에 있어서, The method of claim 1, 상기 본체의 일단에는 상기 거치부를 구비하는 홀부가 형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용 전자 기기. The electronic device of claim 1, wherein a hole having the mounting portion is formed at one end of the main body. 제 2 항에 있어서,The method of claim 2, 상기 홀부는 상기 본체의 일단 내측에 구비됨과 아울러 상기 본체의 거치된 상태에서 상기 본체의 디스플레이의 하측면과 나란한 방향으로 형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용 전자 기기. The hole unit is provided inside one end of the main body, and the portable electronic device, characterized in that formed in a direction parallel to the lower side of the display of the main body in the mounted state of the main body. 제 2항에 있어서, The method of claim 2, 상기 거치부는 상기 홀부에서 인입/인출됨과 아울러 상기 스타일러스 펜을 인입/인출 가능하게 수용하고, 상기 홀부에서 인출시 상기 본체 외부로 노출되어 상기 본체를 거치하는 펜 수용부와, The mounting portion is withdrawn / withdrawn from the hole, and the receptacle to accept / withdraw the stylus pen, the pen receiving portion is exposed to the outside of the main body when the withdrawal from the hole to mount the main body; 상기 펜 수용부의 일단에 구비되고, 상기 거치부의 인출시 상기 힌지부에 의해 회동되어 상기 본체를 거치 가능하게 하는 거치 본체부와, A mounting body portion provided at one end of the pen housing portion and pivoted by the hinge portion when the holding portion is drawn out to allow the main body to be mounted; 상기 거치 본체부의 일단에 구비되고, 상기 힌지부에 의해 상기 거치 본체부와 결합되어 있으며, 상기 거치 본체부의 개방시 상기 걸림부에 걸리는 걸림 부재로 구비됨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용 전자 기기. A portable electronic device provided at one end of the mounting body part, coupled to the mounting body part by the hinge part, and provided as a locking member that is caught by the locking part when the mounting body part is opened. 제 4항에 있어서, The method of claim 4, wherein 상기 걸림부의 외주연에는 상기 홀부에 장착되게 체결부가 돌출형성되고, The outer periphery of the engaging portion is formed with a fastening portion protruding to be mounted to the hole, 상기 걸림부의 내주연에는 중공을 형성함과 아울러 단턱지게 형성되어, 상기 펜 수용부 및 상기 거치 본체부를 이동 가능하게 함과 아울러 상기 걸림부의 일단과 걸려 정지되게 하는 단턱부를 형성함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용 전자 기기. The inner periphery of the locking portion is formed in a hollow and formed stepped, characterized in that the pen receiving portion and the mounting body portion to move and at the same time to form a stepped portion to stop and stop one end of the locking portion Electronics. 제 5항에 있어서, The method of claim 5, 상기 걸림부재의 외주연은 인입/인출방향으로 다수의 산형부와 골형부를 형성하고, The outer circumferential edge of the locking member forms a plurality of hills and valleys in the inlet / outlet direction, 상기 산형부들의 원주 반경은 상기 단턱부의 반경보다 크게 형성되어 상기 거치부의 인출시 상기 단턱부에 상기 산형부가 걸려 상기 거치부의 인출을 정지시킴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용 전자 기기. The circumferential radius of the ridges is greater than the radius of the stepped portion, so that when the ridge portion is drawn out, the ridge portion is hung on the stepped portion to stop the extraction of the mount. 제 6항에 있어서, The method of claim 6, 상기 단턱부에는 상기 거치부의 인출시 상기 골형부와 맞물리는 스토퍼가 상기 단턱부의 내주연에 적어도 하나 이상 돌출형성되어 있으며, The stopper has at least one stopper engaging with the bone-shaped part when the holder is pulled out and protrudes at an inner circumference of the stepper. 상기 스토퍼는 상기 거치부의 인출시 상기 걸림부의 중공에서 상기 걸림부재의 회동을 방지하게 형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용 전자 기기. The stopper is a portable electronic device, characterized in that when the withdrawal of the mounting portion to prevent the rotation of the locking member in the hollow of the locking portion. 제 5항에 있어서, The method of claim 5, 상기 체결부는 상기 걸림부의 외주연에서 돌출형성된 돌출부와, The fastening portion and a protrusion formed on the outer periphery of the locking portion, 상기 돌출부에 구비되고, 상기 홀부에 체결되게 홀을 형성하는 체결홀로 구비됨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용 전자 기기. And a fastening hole provided in the protruding portion and forming a hole to be fastened to the hole portion. 제 6항에 있어서, The method of claim 6, 상기 체결홀은 상기 홀부에 체결부재에 의해 체결됨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용 전자 기기. And the fastening hole is fastened by a fastening member to the hole part. 제 4항에 있어서, The method of claim 4, wherein 상기 힌지부는 상기 걸림 부재의 일단에 구비되는 지지축과, The hinge portion and the support shaft is provided at one end of the locking member, 상기 거치부의 일단에 형성됨과 아울러 상기 지지축에 회동가능하게 결합되는 회동축으로 구비됨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용 전자 기기. Portable electronic device, characterized in that formed on one end of the mounting portion and provided with a rotation shaft rotatably coupled to the support shaft. 제 4 항에 있어서, The method of claim 4, wherein 상기 펜 수용부의 말단 내주연에는 상기 스타일러스 펜을 고정시키도록 지지하는 지지부가 구비되고,The inner periphery of the pen receiving portion is provided with a support for supporting to fix the stylus pen, 상기 스타일러스 펜의 외주연에는 상기 지지부와 맞물려 상기 지지부에 홀딩되는 홀딩부가 구비됨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용 전자 기기.  The outer periphery of the stylus pen is a portable electronic device, characterized in that the holding portion which is held in the support portion in engagement with the support portion. 제 11항에 있어서, The method of claim 11, 상기 홀딩부는 상기 스타일러스 펜의 외주연으로 스크류 형태의 나선형의 돌출부로 이루어져 있고, The holding portion is made of a spiral protrusion of a screw shape in the outer circumference of the stylus pen, 상기 지지부는 상기 펜 수용부의 내주연으로 상기 스크류 형태의 나선형의 홈으로 이루어져 있으며, The support portion is made of a spiral groove of the screw form in the inner circumference of the pen receiving portion, 상기 스타일러스 펜을 상기 펜 수용부(121)에 회전함으로써, 상기 나선형의 돌출부가 상기 나선형의 홈에 맞물리면서 홀딩됨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용 전자 기기. And rotating the stylus pen to the pen receiving portion (121) so that the helical protrusion is held while being engaged with the helical groove.
KR1020080055896A 2008-06-13 2008-06-13 Portable type electronic device KR101462280B1 (en)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80055896A KR101462280B1 (en) 2008-06-13 2008-06-13 Portable type electronic device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80055896A KR101462280B1 (en) 2008-06-13 2008-06-13 Portable type electronic device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90129798A true KR20090129798A (en) 2009-12-17
KR101462280B1 KR101462280B1 (en) 2014-11-19

Family

ID=4168968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80055896A KR101462280B1 (en) 2008-06-13 2008-06-13 Portable type electronic device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462280B1 (en)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21021093A1 (en) * 2019-07-26 2021-02-04 Hewlett-Packard Development Company, L.P. Stylus holders

Family Cites Familie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81052Y2 (en) * 1990-01-26 1996-01-17 株式会社カンセイ Light guide mold
JP4462011B2 (en) * 2004-11-01 2010-05-12 日本電気株式会社 Mobile terminal device with TV function and TV antenna / input pen
KR100780349B1 (en) * 2005-05-18 2007-11-28 엘지전자 주식회사 Portable terminal having pen for both input and antenna
KR101125891B1 (en) * 2005-09-10 2012-03-21 엘지전자 주식회사 Mobile terminal having stylus with antenna function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21021093A1 (en) * 2019-07-26 2021-02-04 Hewlett-Packard Development Company, L.P. Stylus holders
US11714450B2 (en) 2019-07-26 2023-08-01 Hewlett-Packard Development Company, L.P. Stylus holders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462280B1 (en) 2014-11-19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20130068917A1 (en) Stand for Tablet Personal Computer
JP3119144U (en) Electronic device hanging mechanism
US9785191B2 (en) Asymmetric computer tablet and docking system
KR100992436B1 (en) A case for tablet personal computer
TWI434003B (en) Detachable hanger and supporting frame with hanger
US20120275131A1 (en) Support mechanism and electronic device
US8534617B2 (en) Support apparatus for device
WO2020088259A1 (en) Wearable mobile phone clip device
CN103838306B (en) Electronic device
KR20090129798A (en) Portable type electronic device
US20130168275A1 (en) Electronic tablet transport and retaining apparatus
CN206100142U (en) Electronic equipment protective casing
KR101041225B1 (en) Supporter of portable appliance
KR20120003271U (en) Portable phone case with support
KR20120015749A (en) A case being easy to change an angle of tablet personal computer
KR20140082546A (en) Desk Having A Mounting Device for Mobile Device
CN108735925A (en) Electronic device
TWI499940B (en) Wireless mouse
CN215499527U (en) Earphone box
WO2019233080A1 (en) Charging stand
KR102133135B1 (en) Case for handy terminal
CN205768215U (en) A kind of multifunctional office articles for use
CN206439590U (en) Electric equipment supporting device
KR20120015202A (en) A supporter for tablet personal computer
TWI410206B (en) Portable electronic device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1030

Year of fee payment: 4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