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90129288A - 순환수세식 화장실 - Google Patents

순환수세식 화장실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90129288A
KR20090129288A KR1020080058030A KR20080058030A KR20090129288A KR 20090129288 A KR20090129288 A KR 20090129288A KR 1020080058030 A KR1020080058030 A KR 1020080058030A KR 20080058030 A KR20080058030 A KR 20080058030A KR 20090129288 A KR20090129288 A KR 20090129288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unit
fluid
water
toilet
filter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80058030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김경동
이상권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메덱스이엔씨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메덱스이엔씨 filed Critical 주식회사 메덱스이엔씨
Publication of KR20090129288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90129288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CCHEMISTRY; METALLURGY
    • C02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 C02F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 C02F11/00Treatment of sludge; Devices therefor
    • C02F11/004Sludge detoxification
    • EFIXED CONSTRUCTIONS
    • E03WATER SUPPLY; SEWERAGE
    • E03DWATER-CLOSETS OR URINALS WITH FLUSHING DEVICES; FLUSHING VALVES THEREFOR
    • E03D5/00Special constructions of flushing devices, e.g. closed flushing system
    • E03D5/016Special constructions of flushing devices, e.g. closed flushing system with recirculation of bowl-cleaning fluid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HBUILDINGS OR LIKE STRUCTURES FOR PARTICULAR PURPOSES; SWIMMING OR SPLASH BATHS OR POOLS; MASTS; FENCING; TENTS OR CANOPIES, IN GENERAL
    • E04H1/00Buildings or groups of buildings for dwelling or office purposes; General layout, e.g. modular co-ordination or staggered storeys
    • E04H1/12Small buildings or other erections for limited occupation, erected in the open air or arranged in buildings, e.g. kiosks, waiting shelters for bus stops or for filling stations, roofs for railway platforms, watchmen's huts or dressing cubicles
    • E04H1/1205Small buildings erected in the open air
    • E04H1/1216Public W.C.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Architecture (AREA)
  • Water Supply & Treatment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Hydrology & Water Resources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Aviation & Aerospace Engineering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ublic Health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Environmental & Geological Engineering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Organic Chemistry (AREA)
  • Biological Treatment Of Waste Water (AREA)
  • Water Treatment By Sorption (AREA)

Abstract

본 발명에 따른 순환수세식 화장실은 베이스와, 상기 베이스에 설치되고, 양변기가 설치되는 룸과, 상기 베이스에 설치되고, 상기 양변기에서 공급된 분뇨 및 물을 포함한 유체를 저장하는 유량조정유닛과, 상기 베이스에 설치되고, 상기 유량조정유닛에서 공급된 유체를 생물학적으로 분해/소화시키는 포기유닛과, 상기 베이스에 설치되고, 상기 포기유닛에서 공급된 유체를 화학처리 및 여과시키는 복합처리유닛과, 상기 베이스에 설치되고, 상기 복합처리유닛에서 공급된 유체를 생물학적으로 분해/여과시키는 바이오반응유닛과, 상기 베이스에 설치되고, 상기 바이오반응유닛에서 공급된 유체를 여과시켜 유기물 및 색소를 제거시키는 여과유닛과, 상기 베이스에 설치되고, 상기 여과유닛에서 정화된 물을 저장하며, 상기 양변기에 물을 공급하는 저장유닛을 포함하기 때문에, 일체로 형성되어 이동 및 설치가 간편하고, 저장된 물을 정화시켜 양변기에 재 사용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별도의 상수도 시설이 없는 장소에서도 지속적으로 양변기를 사용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Description

순환수세식 화장실{cycle type flush toilet}
본 발명은 순환수세식 화장실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별도의 상수시설이 필요하지 않는 무급수, 오염물질을 방류하지 않는 무방류 및 오염물질을 별도로 수거할 필요없는 무수거를 실현한 수 있는 순환수세식 화장실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수세식화장실은 저장된 물을 사용하여 분뇨를 처리하는 장치이고, 이를 위해 필수적으로 상수시설이 설치된 곳에 수세식화장실을 설치하여야 한다.
이를 보완하기 위해 최근에는 하천변, 산책로, 공원 등 시민들이 많이 이용하는 지역에 이동식 수세식 화장실을 설치하여 시민들의 불편을 최소화하고 있다.
그런데 종래의 이동식 수세식화장실은 소정양의 물을 저장한 후 저장된 물이 다 사용되면 더 이상 사용할 수 없는 문제점이 있다.
또한 저장된 분뇨를 별도로 처리해야 하기 때문에 관리인이 주기적으로 분뇨 를 수거해야 하는 등의 부차적인 문제점이 있다.
더불어 종래의 이동식 수세식 화장실은 별도로 분뇨를 수거하지 않을 경우 하천 또는 계곡 등에 분뇨를 방류시켜야 하기 때문에 환경오염을 유발시키는 문제점이 있다.
본 발명은 별도의 상수시설이 필요하지 않는 무급수, 오염물질을 방류하지 않는 무방류 및 오염물질을 별도로 수거할 필요없는 무수거를 실현한 수 있는 순환수세식 화장실을 제공하는데 목적이 있다.
본 발명의 일측면은 베이스와, 상기 베이스에 설치되고, 양변기가 설치되는 룸과, 상기 베이스에 설치되고, 상기 양변기에서 공급된 분뇨 및 물을 포함한 유체를 저장하는 유량조정유닛과, 상기 베이스에 설치되고, 상기 유량조정유닛에서 공급된 유체를 생물학적으로 분해/소화시키는 포기유닛과, 상기 베이스에 설치되고, 상기 포기유닛에서 공급된 유체를 화학처리 및 여과시키는 복합처리유닛과, 상기 베이스에 설치되고, 상기 복합처리유닛에서 공급된 유체를 생물학적으로 분해/여과시키는 바이오반응유닛과, 상기 베이스에 설치되고, 상기 바이오반응유닛에서 공급된 유체를 여과시켜 유기물 및 색소를 제거시키는 여과유닛과, 상기 베이스에 설치 되고, 상기 여과유닛에서 정화된 물을 저장하며, 상기 양변기에 물을 공급하는 저장유닛을 포함하는 순환수세식 화장실을 제공한다.
본 발명의 다른 측면은 양변기가 설치되는 룸과, 상기 양변기에서 공급된 분뇨 및 물을 포함한 유체를 저장하는 유량조정유닛과, 상기 유량조정유닛에서 공급된 유체를 생물학적으로 분해/소화시키는 포기유닛과, 상기 포기유닛에서 공급된 유체를 화학처리 및 여과시키는 복합처리유닛과, 상기 복합처리유닛에서 공급된 유체를 생물학적으로 분해/여과시키는 바이오반응유닛과, 상기 바이오반응유닛에서 공급된 유체를 여과시켜 유기물 및 색소를 제거시키는 여과유닛과, 상기 여과유닛에서 정화된 물을 저장하며, 상기 양변기에 물을 공급하는 저장유닛을 포함하는 순환수세식 화장실을 제공한다.
여기서 상기 룸의 하부에는 상기 양변기에서 공급된 분뇨 및 물을 저장하는 저류유닛이 더 배치되고, 상기 저류유닛은 고형물을 분쇄시키는 커터펌프를 포함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유량조정유닛은 고형물을 걸러내는 스크린유닛과, 상기 스크린유닛을 통과한 유체를 상기 포기유닛으로 유동시키는 펌프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포기유닛은 소정간격 이격되게 배치된 상측바디 및 하측바디와, 상기 상측바디 및 하측바디 사이에 배치되는 우드칩과, 상기 상측바디 및 하측바디 사이에 배치되어 산소를 공급시키는 산기관을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복합처리유닛은 유체에서 질소 및 인을 제거시키기 위하여 소석 회, 일라이트, 고온 소성된 굴껍질 및 활성탄 분말이 혼합된 고체제제와, 우드칩을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바이오반응유닛은 우드칩이 저장되는 바이오탱크와, 상기 바이오탱크 내부에 배치되어 산소를 공급하는 산기관과, 상기 바이오탱크가 배치되고 상기 복합처리유닛에서 공급된 유체가 저장되는 아우터탱크와, 상기 아우터탱크에 저장된 유체를 상기 바이오탱크에 공급시키는 제 1 펌프와, 상기 바이오탱크를 거쳐 정화된 유체를 상기 여과유닛에 공급시키는 제 2 펌프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여과유닛은 유기물 및 색소를 제거시키는 입상활성탄이 배치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순환수세식 화장실은 일체로 형성되어 이동 및 설치가 간편하고, 저장된 물을 정화시켜 양변기에 재 사용할 수 있기 때문에, 별도의 상수도 시설이 없는 장소에서도 지속적으로 양변기를 사용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또한 본 발명은 한번의 급수로 물을 순환 재사용할 수 있고, 정화된 물을 하천이나 계곡으로 방류시키지 않기 때문에 하수설비가 요구되지 않으며, 분뇨를 주기적으로 수거하지 않아도 된다.
또한 본 발명은 컨테이너와 같은 형태로 형성되는 바, 사용자가 이용하는 양변기와 처리장치 각 부분이 일체로 형성되기 때문에, 이동 및 설치가 편리한 효과가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1 실시예에 따른 순환수세식 화장실이 도시된 일부 분해 사시도이고, 도 2는 도 1의 평면도이고, 도 3은 도 1의 단면도이다.
도 1 내지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실시예에 따른 순환수세식 화장실(100)은 양변기(10)가 설치되는 룸(20)과, 상기 양변기(10)에서 공급된 분뇨를 저장하는 저류유닛(30)과, 상기 저류유닛(30)에서 공급된 분뇨를 저장하는 유량조정유닛(40)과, 상기 유량조정유닛(40)에서 공급된 분뇨를 분해/소화시키는 포기유닛(50)과, 상기 포기유닛(50)의 유체를 화학처리 및 여과시키는 복합처리유닛(60)과, 상기 복합처리유닛(60)의 유체를 분해/여과시키는 바이오반응유닛(70)과, 상기 바이오반응유닛(70)을 통과한 유체를 여과시키는 여과유닛(80)과, 상기 여과유닛(80)에서 걸러진 물을 저장하는 저장유닛(90)을 포함한다.
본 실시예에서 상기 순환수세식 화장실은 룸(20)과 각 처리유닛(30)(40)(50)(60)(70)(80)(90)이 베이스(99)에 일체로 형성되고, 이로 인해 이동 및 설치가 간편하다. 또한 본 실시예에서는 도시되지 않았으나 상기 룸(20)과 각 처리유닛(30)(40)(50)(60)(70)(80)(90) 중 적어도 어느 하나가 분리되어 설치되어도 무방하다.
이하 각 부분에 대해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상기 양변기(10)는 수세식 화장실에서 일반적으로 사용되는 것과 동일하다.
상기 룸(20)은 상기 양변기(10)가 설치된 벽 및 그에 따른 일체의 공간으로서 복수개로 구성될 수 있다.
상기 저류유닛(30)은 상기 각 양변기(10)에서 사용된 물 및 분뇨가 1차 저장되고, 상기 분뇨를 포함한 물(이하 "유체"라 한다)을 상기 유량조정유닛(40)으로 유동시키기 위해 커터펌프(35)가 배치된다.
본 실시예에서 상기 저류유닛(30)은 상기 양변기(10)의 하부에 배치되어 공간활용도를 높이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커터펌프(35)는 고형물인 분뇨를 분쇄시키기 위해 커터가 설치된 펌프로서, 유체의 수위가 일정 이상이되면 수위센서(36)를 통해 이를 감지한 후 유체를 상기 유량조정유닛(40)으로 펌핑시킨다.
상기 유량조정유닛(40)은 상기 커터펌프(35)를 통해 공급된 유체를 저장하기 위한 것으로서, 상기 커터펌프(35)를 통해 분쇄된 고형물을 거르기 위한 스크린유닛(42) 및 저장된 유체를 상기 포기유닛(50)으로 유동시키기 위한 펌프(45)를 포함한다.
상기 유량조정유닛(40)은 상기 저류유닛(30)에서 공급된 유체를 저장하는 바, 다수개의 수위센서(46)가 배치되고, 상기 각 수위센서(46)에 따라 펌프(45)가 작동된다.
상기 스크린유닛(42)은 상기 커터펌프(35)에서 분쇄된 고형물 중 화장지와 같은 고형물을 걸러 내기 위한 것이고, 상기 유량조정유닛(40) 내부에 별도로 구획되어 설치된다. 본 실시예에서 상기 스크린유닛(42)은 상기 유량조정유닛(40)의 내 부 상측에 설치되고, 상기 커터펌프(35)에서 공급된 유체가 소정 높이 이상일 때 상기 유량조정유닛(40)으로 낙하되도록 구성된다.
상기 수위센서(46)는 높이 방향으로 다수개 설치되고, 이를 통해 유체의 수위에 따라 각각 작동되며, 이를 통해 상기 유량조정유닛(40) 내부에 유체가 장기간 정체되어 부폐되는 것을 방지한다.
즉, 하측에 설치된 수위센서(46a)보다 높게 유체가 저장된 경우 중간에 위치된 수위센서(46b)가 수위를 측정하여 펌프(45)를 작동시키고, 상기 중간 수위센서(46b)보다 수위가 높은 경우 상측 수위센서(46c)가 작동되어 유체를 펌핑시킨다.
상기 포기유닛(50)은 호퍼형태로 형성된 상/하측바디(52)(54)와, 상기 바디(52)(54)의 내부 하측에 배치되어 공급된 유체에 산소를 공급하는 산기관(55)과, 상기 바디(52)(54)의 유체 내부에 배치된 우드칩(56)을 포함한다.
상기 상측바디(52) 및 하측바디(54)는 각각 원추형태로 형성되고 상기 상/하측바디(52)(54) 사이에 상기 우드칩(56)이 배치된다.
여기서 상기 상/하측바디(52)(54)은 소정간격 이격되어 상기 펌프(45)를 통해 펌핑된 유체가 내부로 유입되어 상기 우드칩(56)과 반응되도록 한다.
본 실시예에서 펌프(45)를 통해 펌핑된 유체는 상기 상측바디(52)의 외측면을 타고 하측으로 유동되고, 상기 공급된 유체는 상기 상측바디(52)의 외주면을 따라서 원형으로 회전되면서 상기 상측바디(52)의 하측으로 이동된다.
상기 산기관(56)은 상기 바디(52)(54) 내부에 배치되어 공기를 분출시키고, 상기 산기관(56)에서 분출된 공기는 상기 바디(52)(54) 내부의 우드칩(56)을 혼합 시킬 뿐만 아니라 상기 우드칩(56)의 미생물에 산소를 공급하는 역할을 겸한다.
여기서 상기 산기관(56)의 작동은 소정 기간마다 간헐적으로 실시되는 것이 바람직하고, 상기 산기관(56)에서 분출된 공기에 의해 부유되는 우드칩(56)은 상기 상측바디(52)의 내측면에 부딪힌 후 다시 서서히 낙하되어 상기 바디(52)(54) 사이로 빠져나가지 않도록 구성된다.
또한 도시되진 않았으나 상기 상/하측바디(52)(54) 사이에 메쉬형태의 망을 설치하여 상기 우드칩(56)이 빠져나가는 것을 방지할 수도 있다.
한편, 상기 우드칩(56)은 상기 미생물이 살아가는 집의 역할을 수행하는 것으로서, 다수개의 다공이 형성되고, 습기에 강하여 부패가 잘 이루어지지 않는 재질이 바람직하다. 그래서 본 실시예에서는 상기 우드칩(56)으로 삼나무가 사용되고, 상기 우드칩(56)의 입자는 5 ~ 7 mm로 형성되어 비교적 큰 입자의 고형물을 걸러낼 수 있으며, 상기 우드칩(56)에 의해 걸러진 고형물은 상기 우드칩(56)에서 배양되는 미생물에 의해 분해된다.
상기 우드칩은 목편을 크기별로 분류한 후, 표면적과 공극율을 극대화하여 미생물 배양을 촉진시킨다. 여기서 유기물은 상기 우드칩의 공극에 흡착 또는 부착되고, 미생물들이 상기 유기물을 영양으로 섭취하는 과정에 의해 물, 탄산가스, 산화 또는 동화되어 맑은 물만 배출된다.
상기 우드칩의 구성을 살펴보면 다음과 같다.
주성분 섬유소 65 ~ 85% 공극율 75 ~ 80%
리그닌체 10 ~ 25% 표면적 30㎡/g
펜토산체 5 ~ 10% 크기 0.5mm ~ 10mm
상기 고형물에 포함된 유기물을 분해하는 미생물은 세균, 원생동물로 구분되 며 플록(Floc)형성 세균으로는 주오글로에아 라미제라(Zoogloea ramigera), 스페로틸러스 네이탄스(Sphearotilus natans)가 주류를 이루고, 아크로모박터(Achromobacter), 알카리 젠스(Alcaligenes), 바실러스(Bacillus), 후라보 박테리아(Flauobacterium), 시우도모나스(Phseudomonas) 등이 있다. 원생동물에는 섬모충류가 주류를 이루고, 유기물 분해시 산소를 필요로 하는 호기성 미생물과 산소를 필요로 하지 않는 혐기성 세균의 혼성체이다. 상기 우드칩(56)에 의하여 증식된 미생물 Floc은 폐수에 유기물로 섞여있는 오니(汚泥)를 소화 분해하는데, 상기 폐수가 포함된 유체가 투입되면, 상기 유체가 미립목질입자를 통과하면서 증온균인 미생물들에 의해 분해가 일어나며 상당량의 열을 발생시키고, 이 열이 미립목질입자에 다량으로 존재하는 혐기성 미생물의 활동을 증진시킨다. 상기 혐기성 미생물은 상온(20℃)에서 소화대사 작용이 활발하고, 상기 미립목질입자 체내의 온도가 70℃정도까지 상승되어 유기물의 활동이 더욱 증진된다.
상기 우드칩(56)을 이용한 미립목질입자에 의한 폐수처리방법의 원리는 폐수를 생물학적으로 처리하는 것으로서, 호기성 미생물은 탄수화물과 질소화합물을 섭취 분해하는 바, 탄수화물은 산소를 섭취하여 이산화탄소와 물로 분해되고, 에너지를 이용하여 탄소유기물 제거 및 질산화가 이루어지며, 생물학적 산소요구량을 낮추어 정화된다. 혐기성 미생물은 산소공급이 필요 없는 상태로 탄산가스, 메탄가스, 암모니아, 황화수소 등을 섭취하여 고분자 유기물을 흡수 분해시킨다.
결과적으로, 상기 호기성 미생물은 폐수의 유기물을 분해시킴으로서, 폐수 내의 탄소유기물질을 제거시킨다.
다음으로, 상기 포기유닛(50)을 통해 정화된 유체는 펌프(미도시)를 통해 상기 복합처리유닛(60)으로 유동된다.
상기 복합처리유닛(60)은 상기 포기유닛(50)을 통해 1차 정화된 유체를 생물학적 및 화학적으로 정화시키는 장치로서, 내부에 오폐수의 고도처리용 고체제제(62)(이하, 간략하게 고체제제(62)라 한다.) 및 우드칩(66)이 배치된다.
본 발명에 따른 고체제제(62)는 소정 크기의 펠릿(pellet) 형태를 나타낼 수 있고, 고도처리 단계에서 오폐수에 침지되어 수중의 질소, 인 등의 영양염류를 제거한다. 이때, 『고도처리』란, 일반적인 오폐수 처리의 3 단계에 있어서 최종의 3차 처리를 지칭하는데, 일반적인 오폐수 처리단계는 고형물이나 미세 부유물, 유지(油脂) 등을 분리함으로써 BOD 25∼35%, 부유물질 30∼40% 정도를 제거하는 1차 처리(간이처리)와, 활성슬러지법, 살수여상법(撒水濾床法) 등의 방법을 통해 BOD 75∼95%, 부유물질 70∼90% 정도를 제거하는 2차 처리(고급처리) 그리고 수중의 질소(N), 인(P) 등의 영양염류를 제거함으로써 고도의 수질을 얻는 3차 처리, 다시 말해 고도처리로 구분된다.
따라서, 본 발명에 따른 고체제제(62)는 고도처리 단계의 오폐수에 침지되어 수중의 질소(N), 인(P) 등의 영양염류를 제거하는 역할을 하는바, 오폐수와의 접촉이 자유로운 메쉬(mesh) 케이스(63) 등에 넣어져 포기조(aeration tank)에 실장 될 수 있고, 영양염류를 제거할 수 있도록 소석회와, 일라이트와, 굴껍질과, 활성탄 분말을 주성분으로 한다. 이때, 필요하다면 포기조에는 오폐수와 고체제제(62)의 접촉을 유도하기 위한 산기관(61)이 마련될 수 있고, 포기조 내에 침전된 고형물을 분리하기 위한 에어리프트장치가 마련될 수 있는데, 이들 산기관과 에어리프트를 비롯한 포기조는 당업자라면 쉽게 이해할 수 있으므로 별도의 설명은 생략한다.
상기 고체제제(62)를 이루는 각 구성성분에 대해 보다 상세하게 살펴본다.
먼저 소석회는 수산화칼슘이라 불리는 칼슘(Ca)의 수산화물로, 산화칼슘(CaO,생석회)에 물 또는 수증기를 작용(생석회의 소화)시켜 얻어진다. 이때, 생석회의 소화를 빠르게 진행하면 흰색 분말이 얻어지는 반면, 물속에 방치하면 육방정계의 판상결정이 얻어진다. 따라서 후자의 경우에는 별도의 분쇄작업을 통해 분말을 사용한다. 상기의 소석회는 후술하는 응집제(flocculant)의 응집성분을 강화하는 보조제의 역할과 함께, 인을 제거하고 오폐수의 PH를 높이는 알칼리 보충제로 작용한다.
다음으로, 일라이트는 단사정계에 속하는 점토광물의 일종으로 미세한 백색운모를 총칭한다. 상기의 일라이트는 수중에서 음전하(-2)를 띠어 이온교환, 흡착, 공침반응을 통해 중금속과 조류 등의 유기물을 흡착 분해하고, 활성산소와 OH- 등의 라디칼(radical)에 의한 유기물질의 산화 및 분해 작용을 일으키며, SiO2, Ai2O3의 응집 및 침전반응을 통해 수중의 불순물을 제거하는 작용을 한다. 더불어 일라이트는 조류의 세포벽을 파괴하여 재발생을 방지하고, 질소(N), 인(P) 등의 영양염류와 유해 중금속을 제거하며, 탈취특성을 통해 처리수 및 슬러지의 냄새를 저감시키는바, 소석회와 함께 사용될 경우에 침강력 및 탈수성이 더욱 우수한 응집제로 작용한다.
다음으로, 굴껍질은 이른바 패각(貝殼)이라 불리는 그것으로, 탄산칼슘 94%, 석고 등 기타 성분이 6%로 구성되어 있다. 상기의 굴껍질은 본 발명에 따른 고체제제에 있어서 pH를 순화 시키고, 알루미늄 응집제를 대체할 수 있는 천연응집제로 작용된다. 이때, 본 발명에 따른 고체제제(62)를 위한 굴껍질은 특수한 처리과정을 거쳐 고온 소성된 것을 특징을 하는데, 구체적으로는 해안가 등에서 채취한 굴껍질을 1년 정도 숙성시킨 후 세척하여 불순물을 제거한 다음, 700℃ 이상의 고온에서 충분히 소성시키고, 입자의 직경이 0.15mm 이하가 되도록 곱게 분쇄하여 사용한다.
다음으로 활성탄은 코코넛 껍질이나, 석탄, 나무 등을 고온에서 탄화시켜 얻어질 수 있고, 325 메쉬(mesh) 이하로 곱게 분쇄해서 사용한다. 이때 메쉬란 입자(粒子)의 크기를 등급 매기는 호칭을 나타낸다. 상기의 활성탄은 그 내부의 무수한 세공(細孔)들을 통해 각종 용해성 유기물질과 냄새물질, 유해물질, 중금속을 흡착 및 제거하는 작용을 한다.
그 밖에도 본 발명에 따른 고체제제(62)에는 일정량의 황토가 첨가될 수 있는데, 상기의 황토는 인(P)을 흡착하고 수질을 정화시키는 역할 이외에, 소석회, 일라이트, 굴껍질, 활성탄 분말들이 펠릿의 형태를 유지할 수 있도록 하는 바인더(binder)의 역할을 한다. 이를 위한 황토는 물속에서 고운채로 걸러 모래성분을 제거한 다음 물속에 가라앉힌 고운 입자를 선별하여 사용한다.
한편, 본 발명에 따른 고체제제(62)는 상기의 구성 물질들 간의 혼합비를 조절함으로써 가장 높은 영양염류 제거효율을 얻을 수 있는데, 본 출원인의 실험결과, 소석회와, 일라이트와, 고온 소성된 굴껍질과, 활성탄 분말이 4:3:2:1의 비율로 혼합하고, 여기에 20 중량% 의 황토를 함유하는 것이 가장 적절함을 알 수 있었 다.
다음으로 상기 복합처리유닛(60)은 내부에 상기 우드칩(66)이 배치되고, 상기 우드칩(66)은 상기 포기유닛(50)의 우드칩(56)보다 작은 입자로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그리고 상기 포기유닛(50)에서 펌핑된 유체는 상기 고체제제(62)를 통과하면서 정화된 후 하측으로 이동되고, 일측에 배치된 우드칩(66)을 통과하면서 다시 한번 정화된다.
여기서 상기 우드칩(66)을 통과할 때에는 하측에서 상측으로 유동되면서 유체가 정화되기 때문에 굵은 입자의 고형물이 통과되는 것을 방지시킨다.
다음으로 상기 우드칩(66)을 통과한 유체는 바이오반응유닛(70)으로 유동된다.
여기서 상기 복합처리유닛(60)에서 정화된 유체는 펌프(미도시)를 통해 유동되어도 무방하고, 상기 바이오반응유닛(70)으로 자연스럽게 유동되도록 배관(미도시)을 설치하여도 무방하다.
상기 바이오반응유닛(70)은 우드칩(76)이 저장되는 바이오탱크(72)와, 상기 바이오탱크(72) 내부에 배치되어 산소를 공급하는 산기관(74)과, 상기 바이오탱크(72)가 배치되고 상기 복합처리유닛(60)에서 공급된 유체가 저장되는 아우터탱크(71)와, 상기 아우터탱크(71)에 저장된 유체를 상기 바이오탱크(72)에 공급시키는 제 1 펌프(77)와, 상기 바이오탱크(72)를 거쳐 정화된 유체를 상기 여과유닛(80)에 공급시키는 제 2 펌프(78)를 포함한다.
상기 우드칩(76)은 상술한 우드칩(56)과 동일한 재질이되 입자의 굵기가 더 작은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바이오탱크(72)는 내부에 상기 우드칩(76)이 채워지고, 내부 하측에 상기 산기관(74)이 설치된다. 그래서 상기 산기관(74)이 작동될 경우 상기 우드칩(76)에 산소가 공급되어 상기 우드칩(76)에 서식하는 미생물들이 보다 왕성하게 활동하게 되고 이를 통해 공급된 유체의 유기물들을 분해시킨다.
여기서 상기 아우터탱크(71) 내부에는 상기 복합처리유닛(60)에서 공급된 유체가 하부에 저장되고, 상기 제 1 펌프(77)는 상기 아우터탱크(71)에 저장된 유체를 상기 바이오탱크(72) 상부로 펌핑시킨다.
그리고 상기 아우터탱크(71)에 공급된 유체는 상기 우드칩(76)을 통과하면서 고형물이 분해되고, 정화된 물은 하부로 낙하된다.
여기서 상기 제 1 펌프(77)가 배치된 곳과 상기 제 2 펌프(78)가 배치된 곳은 서로 구획되어 설치됨으로서, 상기 복합처리유닛(60)에서 공급된 유체가 상기 바이오탱크(72)를 통과한 유체와 섞이지 않도록 한다.
그리고 상기 제 2 펌프(78)는 상기 바이오탱크(72)에서 정화된 유체를 상기 여과유닛(80)로 펌핑시킨다.
여기서 상기 제 1, 2 펌프(77)(78)에는 각각 수위센서가 배치되어 각각 작동된다.
상기 여과유닛(80)은 상기 바이오탱크(72)에서 정화된 유체를 저장함과 아울 러 상기 유체에서 유기물 및 색소를 제거시키는 입상활성탄(82)이 배치된다.
여기서 상기 입상활성탄(82)은 메쉬 형태의 망에 포장되어 배치되고, 상기 유체가 하측에서 상측으로 유동되면서 여과되도록 유로가 구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다음으로, 상기 여과유닛(80)에서 정화된 유체는 저장유닛(90)으로 유동되어 저장되고, 상기 여과유닛(80)에서 상기 저장유닛(90)으로의 유체 이동은 관로(미도시) 또는 펌프(미도시) 등에 의해 이루어질 수 있다.
그래서 상기 저장유닛(90)에 저장되는 유체는 상기 저류유닛(30), 유량조정유닛(40), 포기유닛(50), 복합처리유닛(60), 바이오반응유닛(70), 여과유닛(80)을 거쳐 깨끗한 물로 정화되고, 상기 저장유닛(90)에 저장된 물은 펌프(95)를 통해 상기 양변기(10)에 공급된다.
이로서 본 실시예에 따른 순환수세식 화장실은 저장된 물을 정화시킬 뿐만 아니라 양변기에 재 사용할 수 있기 때문에, 별도의 상수도 시설이 없는 장소에서도 지속적으로 양변기를 사용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즉, 본 실시예는 한번의 급수로 물을 순환 재사용할 수 있고, 정화된 물을 하천이나 계곡으로 방류시키지 않기 때문에 하수설비가 요구되지 않으며, 분뇨를 주기적으로 수거하지 않아도 된다.
또한 본 실시예는 컨테이너와 같은 형태로 형성되는 바, 사용자가 이용하는 양변기와 처리장치 각 부분이 일체로 형성되기 때문에, 이동 및 설치가 편리한 효과가 있다.
상기와 같이 본 발명을 예시된 도면을 참조로 설명하였으나, 본 발명은 본 명세서에 기재된 실시예와 도면에 한정되지 않고, 본 발명의 기술사상이 보호되는 범위 이내에서 다양한 조합을 통해 당업자에 의해 응용이 가능하다.
도 1은 본 발명의 1 실시예에 따른 순환수세식 화장실이 도시된 일부 분해 사시도
도 2는 도 1의 평면도
도 3은 도 1의 단면도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간략한 설명>
10 : 양변기 20 : 룸
30 : 저류유닛 40 : 유량조정유닛
50 : 포기유닛 60 : 복합처리유닛
70 : 바이오반응유닛 80 : 여과유닛
90 : 저장유닛 100 : 순환수세식 화장실

Claims (8)

  1. 베이스와,
    상기 베이스에 설치되고, 양변기가 설치되는 룸과,
    상기 베이스에 설치되고, 상기 양변기에서 공급된 분뇨 및 물을 포함한 유체를 저장하는 유량조정유닛과,
    상기 베이스에 설치되고, 상기 유량조정유닛에서 공급된 유체를 생물학적으로 분해/소화시키는 포기유닛과,
    상기 베이스에 설치되고, 상기 포기유닛에서 공급된 유체를 화학처리 및 여과시키는 복합처리유닛과,
    상기 베이스에 설치되고, 상기 복합처리유닛에서 공급된 유체를 생물학적으로 분해/여과시키는 바이오반응유닛과,
    상기 베이스에 설치되고, 상기 바이오반응유닛에서 공급된 유체를 여과시켜 유기물 및 색소를 제거시키는 여과유닛과,
    상기 베이스에 설치되고, 상기 여과유닛에서 정화된 물을 저장하며, 상기 양변기에 물을 공급하는 저장유닛을 포함하는 순환수세식 화장실.
  2. 양변기가 설치되는 룸과,
    상기 양변기에서 공급된 분뇨 및 물을 포함한 유체를 저장하는 유량조정유닛 과,
    상기 유량조정유닛에서 공급된 유체를 생물학적으로 분해/소화시키는 포기유닛과,
    상기 포기유닛에서 공급된 유체를 화학처리 및 여과시키는 복합처리유닛과,
    상기 복합처리유닛에서 공급된 유체를 생물학적으로 분해/여과시키는 바이오반응유닛과,
    상기 바이오반응유닛에서 공급된 유체를 여과시켜 유기물 및 색소를 제거시키는 여과유닛과,
    상기 여과유닛에서 정화된 물을 저장하며, 상기 양변기에 물을 공급하는 저장유닛을 포함하는 순환수세식 화장실.
  3. 청구항 1 또는 2에 있어서,
    상기 룸의 하부에는 상기 양변기에서 공급된 분뇨 및 물을 저장하는 저류유닛이 더 배치되고, 상기 저류유닛은 고형물을 분쇄시키는 커터펌프를 포함하는 순환수세식 화장실.
  4. 청구항 1 또는 2에 있어서,
    상기 유량조정유닛은
    고형물을 걸러내는 스크린유닛과, 상기 스크린유닛을 통과한 유체를 상기 포기유닛으로 유동시키는 펌프를 포함하는 순환수세식 화장실.
  5. 청구항 1 또는 2에 있어서,
    상기 포기유닛은
    소정간격 이격되게 배치된 상측바디 및 하측바디와,
    상기 상측바디 및 하측바디 사이에 배치되는 우드칩과,
    상기 상측바디 및 하측바디 사이에 배치되어 산소를 공급시키는 산기관을 포함하는 순환수세식 화장실.
  6. 청구항 1 또는 2에 있어서,
    상기 복합처리유닛은
    유체에서 질소 및 인을 제거시키기 위하여 소석회, 일라이트, 고온 소성된 굴껍질 및 활성탄 분말이 혼합된 고체제제와,
    우드칩을 포함하여 구성된 순환수세식 화장실.
  7. 청구항 1 또는 2에 있어서,
    상기 바이오반응유닛은
    우드칩이 저장되는 바이오탱크와,
    상기 바이오탱크 내부에 배치되어 산소를 공급하는 산기관과,
    상기 바이오탱크가 배치되고 상기 복합처리유닛에서 공급된 유체가 저장되는 아우터탱크와,
    상기 아우터탱크에 저장된 유체를 상기 바이오탱크에 공급시키는 제 1 펌프와,
    상기 바이오탱크를 거쳐 정화된 유체를 상기 여과유닛에 공급시키는 제 2 펌프를 포함하는 순환수세식 화장실.
  8. 청구항 1 또는 2에 있어서,
    상기 여과유닛은 유기물 및 색소를 제거시키는 입상활성탄이 배치된 순환수세식 화장실.
KR1020080058030A 2008-06-11 2008-06-19 순환수세식 화장실 KR20090129288A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080054815 2008-06-11
KR1020080054815 2008-06-11

Related Child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80116090A Division KR100878324B1 (ko) 2008-11-21 2008-11-21 순환수세식 화장실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90129288A true KR20090129288A (ko) 2009-12-16

Family

ID=4168939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80058030A KR20090129288A (ko) 2008-06-11 2008-06-19 순환수세식 화장실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90129288A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398716B1 (ko) * 2012-08-13 2014-05-30 (주)알비워터 분뇨처리장치
KR102284146B1 (ko) * 2020-10-28 2021-07-30 김강순 상하 분리형 미생물 변기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398716B1 (ko) * 2012-08-13 2014-05-30 (주)알비워터 분뇨처리장치
KR102284146B1 (ko) * 2020-10-28 2021-07-30 김강순 상하 분리형 미생물 변기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CN100418908C (zh) 一种无污泥排放的污水深度处理方法及其装置
KR100992080B1 (ko) 무급수 무방류 순환 수세식 고도처리장치를 갖춘 친환경 화장실
CN101318758A (zh) 一种气浮与生物滤池相结合的水处理工艺
CN107473471B (zh) 一种污水净化处理装置
KR102170601B1 (ko) 저온플라즈마와 고농축생물막을 이용한 하수 및 오폐수 고도처리 분리막장치
KR100878324B1 (ko) 순환수세식 화장실
KR101964759B1 (ko) 개선된 토양미생물 활성화 장치를 갖는 악취제거 미생물을 이용한 고농도 유기폐수의 처리장치
KR101678202B1 (ko) 폐기물 매립장용 침출수 처리 시스템
CN105271618B (zh) 污水强化处理系统及方法
KR101889687B1 (ko) 무방류 순환수세식 화장실 오수 정화처리장치
CN211595374U (zh) 一种悬浮生物膜与深度过滤联用的污水处理设备
KR101037888B1 (ko) 침전, 생물학적 분해, 여과, 인제거, 자외선소독 일체형 하이브리드 하폐수 처리장치
KR20090129288A (ko) 순환수세식 화장실
KR100762376B1 (ko) 친환경 오수처리시스템
KR101136420B1 (ko) 음식물배출수, 가축폐수 및 분뇨의 통합 정화처리방법
CN210595667U (zh) 一种屠宰场污水处理系统
KR20190124080A (ko) 사계절 다목적 중수도 정화장치
CN104045206A (zh) Uv/o3+baf组合式高级氧化污水处理设备
KR200229765Y1 (ko) 질소, 인 제거용 바이오세라믹 담체를 포함하는 오, 하수 처리장치
CN209052538U (zh) 一种污水处理装置
CN200967776Y (zh) 一种无污泥排放的污水深度处理装置
CN109987795A (zh) 一种屠宰场污水处理系统
JP2003071480A (ja) 水の浄化方法及び装置
CN104085999A (zh) 一种可组装式人工湿地系统
KR101951633B1 (ko) 악취제거 미생물을 이용한 고농도 유기폐수의 처리장치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107 Divisional application of patent
N231 Notification of change of applicant
WITN Withdrawal due to no request for examin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