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90128749A - 페어글래스를 이용한 고층건물환기시스템 - Google Patents

페어글래스를 이용한 고층건물환기시스템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90128749A
KR20090128749A KR1020080054660A KR20080054660A KR20090128749A KR 20090128749 A KR20090128749 A KR 20090128749A KR 1020080054660 A KR1020080054660 A KR 1020080054660A KR 20080054660 A KR20080054660 A KR 20080054660A KR 20090128749 A KR20090128749 A KR 20090128749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wall
curtain wall
glass
rise building
ai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80054660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0991834B1 (ko
Inventor
채은경
조준오
Original Assignee
조준오
채은경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조준오, 채은경 filed Critical 조준오
Priority to KR1020080054660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991834B1/ko
Publication of KR20090128749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90128749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991834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991834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F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7/00Ventilation
    • F24F7/007Ventilation with forced flow
    • F24F7/013Ventilation with forced flow using wall or window fans, displacing air through the wall or window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F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5/00Air-conditioning systems or apparatus not covered by F24F1/00 or F24F3/00, e.g. using solar heat or combined with household units such as an oven or water heater
    • F24F5/0046Air-conditioning systems or apparatus not covered by F24F1/00 or F24F3/00, e.g. using solar heat or combined with household units such as an oven or water heater using natural energy, e.g. solar energy, energy from the ground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F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7/00Ventilation
    • F24F7/02Roof ventilation
    • F24F7/025Roof ventilation with forced air circulation by means of a built-in ventilator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ombustion & Propulsion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Sustainable Energy (AREA)
  • Sustainable Development (AREA)
  • Load-Bearing And Curtain Wall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고층건물의 환기 시스템에 관한 것으로서, 태양광을 직접 받지 않는 방향의 외벽(300)에 설치되는 개폐가능한 급기용창호(320); 태양광을 직접 받은 방향의 외벽(300)에 이격되도록 설치되는 제1외장커튼월(100); 상기 제1외장커튼월(100)의 하층부에 구비되어 외기가 유입되는 제1외기흡입구(120); 및, 상기 제1외장커튼월(100)의 상단부와 고층건물의 옥상 상부면에 서로 대향하도록 각각 설치되며, 개폐가능한 회동슬릿이 구비된 제1기류배출구(130);를 포함하여 구성되며, 상기 제1외장커튼월(100)은 다수 개의 커튼월 페어글래스(110)로 이루어지며, 상기 커튼월 페어글래스(110)의 단면을 구성하는 2장의 유리 가운데 외벽(300)을 향하는 내측유리(111)는 태양의 단파장 빛을 흡수하고 장파장 빛을 반사하는 성질을 구비하고, 상기 제1외장커튼월(100)이 설치된 방향의 외벽(300)에도 다수 개의 외벽 페어글래스(310)와 개폐가능한 배기용창호(330)가 각 층마다 설치되며, 상기 외벽 페어글래스(310)의 단면을 구성하는 2장의 유리 가운데 상기 커튼월 페어글래스(110)를 향하는 외측유리(311)는 태양의 장파장 빛을 흡수하고 단파장 빛을 반사하는 성질을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제1외장커튼월, 제2외장커튼월, 커튼월 페어글래스, 급기용창호, 배기용창호, 태양광발전모듈

Description

페어글래스를 이용한 고층건물환기시스템{Building Circulation System using Pair glass}
본 발명은 페어글래스를 이용하여 고층건물의 환기를 효과적으로 수행하는 시스템으로서, 보다 상세히는 태양광을 직접 받지 않는 방향의 외벽(300)에 설치되는 개폐가능한 급기용창호(320); 태양광을 직접 받는 방향의 외벽(300)에 이격되도록 설치되는 제1외장커튼월(100); 상기 제1외장커튼월(100)의 하층부에 구비되어 외기가 유입되는 제1외기흡입구(120); 및, 상기 제1외장커튼월(100)의 상단부와 고층건물의 옥상 상부면에 서로 대향하도록 각각 설치되며, 개폐가능한 회동슬릿이 구비된 제1기류배출구(130);를 포함하여 구성되되, 상기 제1외장커튼월(100)은 다수 개의 커튼월 페어글래스(110)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종래의 고층건물은 각 층의 실내에 구비된 공기통로를 하나의 통기실로 연결시키고, 송풍팬을 가동하여 강제적으로 통기실로 모여진 실내의 공기를 외기로 방출하는 강제통풍을 실시하거나, 각 층마다 구비된 개별적인 환기장치를 이용하여 각 층별로 직접 외기로 실내의 탁한 공기를 방출하는 시스템을 적용하고 있으나, 이러한 종래의 환기 시스템은 모두 각 층의 실내에서 필요로 하는 만큼의 환기를 충족시키지 못할뿐 아니라 그 장치가 복잡하여 설치 및 운영 비용이 증가하고, 강제통풍에 따른 소음 발생 및 신체에 불쾌감을 유발하는 문제점이 있다.
아울러 고층건물(특히 요즘 유행하는 주상복합 건물)의 상층부는 태양의 복사열로 인하여 여름철 실내 온도가 상승하여 냉방설비 가동 비용이 급격히 증가하고 경우에 따라서는 냉방설비를 최대부하로 가동하여도 쾌적한 실내환경을 조성할 수 없는 문제점이 있다.
상기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창작된 본 발명의 목적은 다음과 같다.
첫째, 페어글래스의 태양광 흡수 기능을 이용하여 태양광이 조사되는 방향의 외장커튼월과 건물의 외벽 사이의 상승기류를 발달시켜 고층건물의 실내 환기에 활용할 수 있는 환기 시스템을 제공함을 본 발명의 목적으로 한다.
둘째, 태양광발전모듈을 페어글래스의 내측유리에 설치하여 태양광이 조사되는 방향의 외장커튼월과 건물의 외벽 사이의 상승기류를 발달시켜 고층건물의 실내 환기에 활용함과 동시에 태양광발전모듈을 냉각하여 태양광발전모듈의 효율을 개선하고 발전된 전기를 고층건물의 소비전력으로 사용할 수 있는 환기 시스템을 제공함을 본 발명의 다른 목적으로 한다.
셋째, 계단실이나 엘리베이터샤프트를 흡기통로로 활용하는 환기 시스템을 제공함을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으로 한다.
넷째, 태양광이 조사되지 않는 방향에 설치된 외장커튼월과 창호를 흡기통로로 활용하는 환기 시스템을 제공함을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으로 한다.
다섯째, 외장커튼월과 고층건물의 외벽 사이로 상승한 상승기류를 외기로 효과적으로 배출할 수 있는 환기 시스템을 제공함을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으로 한다.
상기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창작된 본 발명의 구성은 다음과 같다.
본 발명은 고층건물의 환기 시스템에 관한 것으로서, 태양광을 직접 받지 않는 방향의 외벽(300)에 설치되는 개폐가능한 급기용창호(320); 태양광을 직접 받은 방향의 외벽(300)에 이격되도록 설치되는 제1외장커튼월(100); 상기 제1외장커튼월(100)의 하층부에 구비되어 외기가 유입되는 제1외기흡입구(120); 및, 상기 제1외장커튼월(100)의 상단부와 고층건물의 옥상 상부면에 서로 대향하도록 각각 설치되며, 개폐가능한 회동슬릿이 구비된 제1기류배출구(130);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여기서 상기 제1외장커튼월(100)은 다수 개의 커튼월 페어글래스(110)로 이루어지며, 상기 커튼월 페어글래스(110)의 단면을 구성하는 2장의 유리 가운데 외벽(300)을 향하는 내측유리(111)는 태양의 단파장 빛을 흡수하고 장파장 빛을 반사하는 성질을 구비하고, 상기 제1외장커튼월(100)이 설치된 방향의 외벽(300)에도 다수 개의 외벽 페어글래스(310)와 개폐가능한 배기용창호(330)가 각 층마다 설치되며, 상기 외벽 페어글래스(310)의 단면을 구성하는 2장의 유리 가운데 상기 커튼월 페어글래스(110)를 향하는 외측유리(311)는 태양의 장파장 빛을 흡수하고 단파장 빛을 반사하는 성질을 구비한다.
이와는 달리 상기 커튼월 페어글래스(110) 및 상기 외벽 페어글래스(310)는 태양광을 모두 통과하는 성질을 가지고, 상기 커튼월 페어글래스(110)의 단면을 구성하는 2장의 유리 가운데 외벽(300)을 향하는 내측유리(111)에는 다수 개의 태양광발전모듈(112)이 부착되기도 한다.
본 발명의 구성에 따른 기술적 효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페어글래스의 태양광 흡수 기능을 이용하여 태양광이 조사되는 방향의 외장커튼월과 건물의 외벽 사이의 상승기류를 발달시켜 고층건물의 실내 환기에 활용할 수 있다.
다시 말하면, 태양의 단파장을 흡수하는 내측유리(111)와 태양의 단파장을 흡수하는 외측유리(311) 사이의 공간은 태양광을 골고루 흡수하여 가열된 유리로 인하여 온도가 상승하고, 이로 인하여 상승기류가 더욱 발달되어 배기가 원활하게 이루어질 수 있으며, 가열된 커튼월 페어글래스(110)나 외벽 페어글래스(310)의 열기도 상승기류를 따라 외기로 배출되어 실내 유입이 차단될 수 있다.
둘째, 태양광발전모듈(112)을 커튼월 페어글래스(110)의 내측유리(111)에 설치하여 제1외장커튼월(100)과 고층건물의 외벽(300) 사이의 상승기류를 발달시켜 고층건물의 실내 환기에 활용함과 동시에 태양광발전모듈(112)을 냉각하여 태양광발전모듈(112)의 발전효율을 개선하고 발전된 전기를 고층건물의 소비전력으로 사용하는 부가적인 효과도 도모할 수 있다.
셋째, 계단실(600)이나 엘리베이터샤프트(700)를 흡기통로로 활용할 수 있다.
다시 말하면, 고층건물마다 구비되어 있는 계단실(600)이나 엘리베이터샤프트(700)를 통하여 상승하는 상승기류를 세대주공간(400)으로 공급하고 배기용창호(330)를 통하여 실내의 탁한 공기를 배출하는 것이 가능한데, 이러한 구 조의 경우 기존의 건물에 구비되어 있는 계단실(600) 또는 엘리베이터샤프트(700)를 상승기류의 수직통로로 활용하는 바, 별도의 덕트 설치가 불필요하다. 따라서 기존 건물을 개조하는 경우에도 공사구간을 최소화하고 공기를 단축하여 건물의 개조로 인한 거주민의 불편을 최소화할 수 있다.
넷째, 태양광이 조사되지 않는 방향에 설치된 제2외장커튼월(200)과 급기용창호(320)를 흡기통로로 활용할 수 있다.
다시 말하면, 제2외장커튼월(200)과 외벽(300) 사이에서 발생되는 상승기류를 급기용창호(320)를 통하여 실내로 공급하고, 실내의 탁한 공기는 배기용창호(330)를 통하여 배출하고, 배출된 탁한 공기는 제1외장커튼월(100)과 외벽(300) 사이의 공간에서 발생되는 상승기류를 타고 상승하여 제1기류배출구(130)를 통과하여 외기로 배출되는 환기 시스템을 구현할 수 있다.
다섯째, 외장커튼월과 고층건물의 외벽 사이로 상승한 상승기류를 외기로 효과적으로 배출할 수 있다.
다시 말하면, 서로 대향하도록 설치된 제1기류배출구(130) 서로 대향하도록 설치되어 고층건물의 상층부를 흐르는 외기가 제1기류배출구(130)를 빠른 속도로 통과하면 베르누이의 정리에 따른 벤튜리 효과가 발생하여 제1외장커튼월(100)과 외벽(300) 사이의 상승기류의 상승을 더욱 촉진하여 원활한 배기가 이루어지게 할 수 있다.
이하에서는 본 발명의 구체적 실시예를 첨부도면을 참조하여 보다 상세히 설명한다.
도1은 본 발명의 구체적 실시예로서, 급기용창호(320), 배기용창호(330), 제1외장커튼월(100), 제1외기흡입구(120), 및 제1기류배출구(130)를 이용하여 배기가 이루어지는 경우를 도시하고, 도2는 태양광발전모듈(112)이 부착된 경우를 도시하고, 도3은 제2외장커튼월(200)이 설치된 경우를 도시하고, 도4는 계단실(600)을 급기통로로 활용하는 경우를 도시하고, 도5는 엘리베이터샤프트(700)를 급기통로로 활용하는 경우를 도시하고, 도6은 외기배출구(150)가 제1외장커튼월(100)의 중간층부에 구비되는 경우를 도시한다.
도1에 도시된 바에 의하면, 태양광을 직접 받는 방향의 외벽(300)에는 제1외장커튼월(100)이 외벽(300)에서 이격되도록 설치되는데, 제1외장커튼월(100)과 외벽(300) 사이의 공간은 상승기류의 통로가 된다.
태양광을 직접 받지 않는 방향의 외벽(300)에는 별도의 외장커튼월이 설치되지 않고 개폐가능한 급기용창호(320)만이 설치된다.
이러한 급기용창호(320)는 도1에 도시된 바와 같이 회동하여 개방되는데 회동축이 상단부에 구비되어 하단부가 열리는 구조가 되어 상승기류가 쉽게 유입되도록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제1외기흡입구(120)는 제1외장커튼월(100)의 하층부에 구비되어 외기가 유입되는 입구 역할을 하는데, 유입되는 외기에 포함된 이물질을 제거하기 위하여 공기필터(55)가 구비됨이 바람직하다.
배기용창호(330)는 도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1외장커튼월(100)이 설치된 측면의 외벽(300)에 구비되는데, 급기용창호(320)와는 달리 회동축이 하단부에 구비되어 상단부가 회동하여 개방되는 구조가 되어 상승기류를 따라 실내의 탁한 공기가 쉽게 배출되도록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제1기류배출구(130)는 제1외장커튼월(100)의 상단부와 고층건물의 옥상 상부면에 서로 대향하도록 각각 설치되며, 개폐가능한 회동슬릿이 구비된다.
이와 같이 제1기류배출구(130)가 서로 대향하도록 설치되면 고층건물의 상층부를 흐르는 외기가 제1기류배출구(130)를 빠른 속도로 통과하면서 제1외장커튼월(100)과 외벽(300) 사이의 상승기류의 상승을 더욱 촉진하여 원활한 배기가 이루어지도록 한다.
다시 말하면 베르누이의 정리에 따른 벤튜리 효과와 유사한 현상을 유도하여 제1외장커튼월(100)과 외벽(300) 사이의 상승기류를 제1기류배출구(130) 방향으로 끌어올리고 제1기류배출구(130)를 통과하는 외기와 함께 배출시킬 수 있다.
물론 제1기류배출구(130)를 통과하는 외기의 풍속이 약하거나 거의 없는 경우에는 이러한 벤튜리 효과를 기대할 수 없으며, 이 경우에는 상승기류만의 상승력에 의하여 제1기류배출구(130)를 통한 배기가 이루어지게 된다.
제1송풍팬(135)은 제1기류배출구(130)에 설치되고, 제1외장커튼월(100)과 고층건물의 외벽(300) 사이의 상승기류의 속도가 미리 설정된 풍속 이하인 경우 자동으로 작동하여 상승기류를 강제로 배출하는 기능을 수행한다.
제1층간방화댐퍼(140)는 제1외장커튼월(100)과 고층건물의 외벽(300) 사이의 층간 경계부마다 설치되고, 개폐가능한 회동슬릿이 구비되어 있으며, 화재가 발생하는 경우 자동으로 회동슬릿이 차단되어 하층부의 화염이 상승기류를 타고 상층부로 전파되는 것을 방지한다.
필요한 경우에는 제1층간방화댐퍼(140)을 수동으로 조작할 수도 있는데, 동절기의 경우 제1층간방화댐퍼(140)를 수동으로 차단하여 실내의 난방열이 상승기류를 타고 외부로 배출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도1에 도시된 제1외장커튼월(100)은 다수 개의 커튼월 페어글래스(110)로 이루어지는데, 커튼월 페어글래스(110)의 단면을 구성하는 2장의 유리 가운데 외벽(300)을 향하는 내측유리(111)는 태양의 단파장 빛을 흡수하고 장파장 빛을 반사하는 성질을 구비하고 있다.
또한 제1외장커튼월(100)이 설치된 방향의 외벽(300)에도 다수 개의 외벽 페어글래스(310)가 각 층마다 설치되는데, 외벽 페어글래스(310)의 단면을 구성하는 2장의 유리 가운데 커튼월 페어글래스(110)를 향하는 외측유리(311)는 태양의 장파장 빛을 흡수하고 단파장 빛을 반사하는 성질을 구비하게 된다.
따라서, 태양의 단파장을 흡수하는 내측유리(111)와 태양의 단파장을 흡수하는 외측유리(311) 사이의 공간은 태양광을 골고루 흡수하여 가열된 유리로 인하여 온도가 상승하고, 이로 인하여 상승기류가 더욱 발달되어 배기가 원활하게 이루어질 수 있으며, 가열된 커튼월 페어글래스(110)나 외벽 페어글래스(310)의 열기도 상승기류를 따라 외기로 배출되어 실내 유입이 차단된다.
도2는 도1과는 달리 커튼월 페어글래스(110) 및 외벽 페어글래스(310)는 태 양광을 모두 통과하는 성질을 가지고 있으며 장파장이나 단파장을 흡수하는 성질을 가지고 있지 않다.
그 대신 커튼월 페어글래스(110)의 단면을 구성하는 2장의 유리 가운데 외벽(300)을 향하는 내측유리(111)에는 다수 개의 태양광발전모듈(112)이 부착되는데, 이와 같이 태양광발전모듈(112)이 태양광을 받게 되면 가열되어 온도가 상승하게 된다.
따라서 커튼월 페어글래스(110) 및 외벽 페어글래스(310) 사이의 공간은 가열된 태양광발전모듈(112)에 의하여 상승기류의 온도가 상승되어 상승기류가 더욱 발달하게 되고 결과적으로 원활한 배기가 이루어질 수 있다.
또한 상승기류가 태양광발전모듈(112)를 냉각시켜 발전효율을 높이는 부가적인 효과도 도모할 수 있으며, 이러한 태양광발전을 통하여 생산된 전기를 고층건물의 설비에 사용할 수 있어 일석삼조의 효과를 도모할 수 있다.
이러한 태양광발전모듈(112)은 커튼월 페어글래스(110)의 내측유리(111)의 전면적을 덮도록 설치하거나 일부 면적만을 덮도록 설치할 수도 있다.
도3은 도1과는 달리 제2외장커튼월(200)이 설치되는 경우를 도시하고 있는데, 제2외장커튼월(200)은 태양광을 직접 받지 않는 방향의 외벽(300)에 이격되도록 설치된다.
제2외장커튼월(200)은 제1외장커튼월(100)과는 달리 반드시 페어글래스를 사용할 필요가 없으며 별도의 태양광발전모듈(112)이 부착되지도 않는다.
제2외장커튼월(200)의 하층부에는 외기가 유입되는 제2외기흡입구(220)가 구 비되는데, 외기에 포함된 이물질을 제거하기 위하여 공기필터(55)가 구비됨이 바람직하다.
제2기류배출구(230)는 제2외장커튼월(200)의 상단부와 고층건물의 옥상 상부면에 서로 대향하도록 각각 설치되며, 개폐가능한 회동슬릿이 구비된다.
제2기루배출구(230)의 기능이나 구조도 제1기류배출구(130)와 동일한 바, 중복된 설명을 생략한다.
제2송풍팬(235)은 제2기류배출구(230)에 설치되고, 제2외장커튼월(200)과 고층건물의 외벽(300) 사이의 상승기류의 속도가 미리 설정된 풍속 이하인 경우 자동으로 작동하여 상승기류를 강제로 배출하는 기능을 수행한다.
제2층간방화댐퍼(240)는 제2외장커튼월(200)과 고층건물의 외벽(300) 사이의 층간 경계부마다 설치되고, 개폐가능한 회동슬릿이 구비되는데, 화재 발생시 자동으로 차단되어 하층부의 화염이 상승기류를 따라 상층부로 전달되는 것을 방지한다.
제2층간방화댐퍼(240)의 경우도 제1층간방화댐퍼(140)와 마찬가지로 수동으로 조작할 수도 있는데, 동절기의 경우 제2층간방화댐퍼(240)를 수동으로 차단하여 실내의 난방열이 상승기류를 타고 외부로 배출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도4는 계단실(600)을 급기통로로 이용하는 경우이고 도5는 엘리베이터샤프트(700)를 급기통로로 사용하는 경우이다.
즉, 도4 또는 도5에 도시된 고층건물은 세대주공간(400), 공용복도(500), 계단실(600), 및 엘리베이터샤프트(700)로 구분되는데, 제1통풍구(11)는 세대주공 간(400)과 공용복도(500)를 구획하는 수직벽면에 구비되고, 제2통풍구(22)는 공용복도(500)와 계단실(600), 또는 공용복도(500)와 엘리베이터샤프트(700)를 구획하는 수직벽면에 구비되어 계단실(600)이나 엘리베이터샤프트(700)를 통하여 상승되는 상승기류를 공용복도(500)를 통하여 세대주공간(400)으로 공급하는 통로 역할을 한다.
제1통풍구(11) 및 제2통풍구(22)에는 각각 개폐가능한 회동슬릿이 구비된 실내방화댐퍼(66)가 설치되어 유사시 화염이 전파되는 것을 방지한다.
실내방화댐퍼(66)도 수동으로 조작할 수도 있는데, 동절기의 경우 수동으로 차단하여 실내의 난방열이 외부로 배출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실내송풍팬(77)은 제2통풍구(22)에 설치되어 계단실(600) 또는 엘리베이터샤프트(700)의 공기를 공용복도(500)로 강제로 공급하는 기능을 수행한다.
제3기류배출구(33)는 계단실(600) 또는 엘리베이터샤프트(700)의 상단부에 서로 대향하도록 설치되며, 개폐가능한 회동슬릿이 구비되는데, 제3기류배출구(33)도 제1기류배출구(130)나 제2기류배출구(230)와 기능이나 구조가 동일한 바 증복된 설명을 생략한다.
램프연통구(44)는 계단실(600) 또는 엘리베이터샤프트(700)의 하부에 구비되어 지하공간의 램프(Ramp)와 연통되어, 램프의 공기가 유입되는 입구 역할을 한다.
도6은 외기배출구(150)가 제1외장커튼월(100)의 중간층부에 구비되는 경우를 도시하고 있는데, 외기배출구(150)가 구비되는 경우 외기배출구(150)의 직상부에 위치하는 제1층간방화댐퍼(140)를 차단된 상태로 하거나 별도의 차단막을 설치하여 외기배출구(150)가 구비된 위치까지 상승한 상승기류는 더 이상 제1외장커튼월(100)과 외벽(300) 사이의 공간을 따라 상승하지 않고 외기배출구(150)를 통하여 외기로 배출되도록 한다.
이와 같은 외기배출구(150)를 설치하는 이유는 상승기류의 속도가 필요 이상으로 너무 빨라 소음이 발생하는 경우 이를 중간에서 차단하여 외기로 배출함으로써 적정한 상승기류를 유지하고 상승기류로 인한 소음도 방지하기 위함이다.
만약 외기배출구(150)가 구비되는 경우에는 외기배출구(150)의 상부에 별도의 보조외기흡입구(125)를 추가적으로 설치할 수도 있으며, 이러한 외기배출구(150)와 보조외기흡입구(125)는 고층건물의 층수를 고려하여 다수 개 설치할 수도 있다.
상기한 바와 같이 구체적 실시예를 참조하여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설명하였으나 본 발명의 보호범위가 반드시 이러한 실시예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본 발명의 기술적 요지를 변경하지 않는 범위 내에서 다양한 설계변경, 공지기술의 부가나 삭제, 단순한 수치한정 등의 경우에도 본 발명의 보호범위에 속함을 분명히 한다.
도1은 본 발명의 구체적 실시예로서, 급기용창호(320), 배기용창호(330), 제1외장커튼월(100), 제1외기흡입구(120), 및 제1기류배출구(130)를 이용하여 배기가 이루어지는 경우를 도시한다.
도2는 태양광발전모듈(112)이 부착된 경우를 도시한다.
도3은 제2외장커튼월(200)이 설치된 경우를 도시한다.
도4는 계단실(600)을 급기통로로 활용하는 경우를 도시한다.
도5는 엘리베이터샤프트(700)를 급기통로로 활용하는 경우를 도시한다.
도6은 외기배출구(150)가 제1외장커튼월(100)의 중간층부에 구비되는 경우를 도시한다.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00:제1외장커튼월
110:커튼월 페어글래스
111:내측유리
112:태양광발전모듈
120:제1외기흡입구
125:보조외기흡입구
130:제1기류배출구
135:제1송풍팬
140:제1층간방화댐퍼
150:외기배출구
200:제2외장커튼월
220:제2외기흡입구
230:제2기류배출구
235:제2송풍팬
240:제2층간방화댐퍼
300:외벽
310:외벽 페어글래스
311:외측유리
320:급기용창호
330:배기용창호
400:세대주공간
500:공용복도
600:계단실
700:엘리베이터샤프트
11:제1통풍구
22:제2통풍구
33:제3기류배출구
44:램프연통구
55:공기필터
66:실내방화댐퍼
77:실내송풍팬

Claims (5)

  1. 고층건물의 환기 시스템에 관한 것으로서,
    태양광을 직접 받지 않는 방향의 외벽(300)에 설치되는 개폐가능한 급기용창호(320);
    태양광을 직접 받는 방향의 외벽(300)에 이격되도록 설치되는 제1외장커튼월(100);
    상기 제1외장커튼월(100)의 하층부에 구비되어 외기가 유입되는 제1외기흡입구(120); 및,
    상기 제1외장커튼월(100)의 상단부와 고층건물의 옥상 상부면에 서로 대향하도록 각각 설치되며, 개폐가능한 회동슬릿이 구비된 제1기류배출구(130);
    를 포함하여 구성되되,
    상기 제1외장커튼월(100)은 다수 개의 커튼월 페어글래스(110)로 이루어지며, 상기 커튼월 페어글래스(110)의 단면을 구성하는 2장의 유리 가운데 외벽(300)을 향하는 내측유리(111)는 태양의 단파장 빛을 흡수하고 장파장 빛을 반사하는 성질을 구비하고, 상기 제1외장커튼월(100)이 설치된 방향의 외벽(300)에도 다수 개의 외벽 페어글래스(310)와 개폐가능한 배기용창호(330)가 각 층마다 설치되며, 상기 외벽 페어글래스(310)의 단면을 구성하는 2장의 유리 가운데 상기 커튼월 페어글래스(110)를 향하는 외측유리(311)는 태양의 장파장 빛을 흡수하고 단파장 빛을 반사하는 성질을 구비하거나,
    또는,
    상기 커튼월 페어글래스(110) 및 상기 외벽 페어글래스(310)는 태양광을 모두 통과하는 성질을 가지고, 상기 커튼월 페어글래스(110)의 단면을 구성하는 2장의 유리 가운데 외벽(300)을 향하는 내측유리(111)에는 다수 개의 태양광발전모듈(112)이 부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페어글래스를 이용한 고층건물환기시스템.
  2. 제1항에서,
    태양광을 직접 받지 않는 방향의 외벽(300)에 이격되도록 설치되는 제2외장커튼월(200);
    상기 제2외장커튼월(200)의 하층부에 구비되어 외기가 유입되는 제2외기흡입구(220);
    및,
    상기 제2외장커튼월(200)의 상단부와 고층건물의 옥상 상부면에 서로 대향하도록 각각 설치되며, 개폐가능한 회동슬릿이 구비된 제2기류배출구(230);
    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페어글래스를 이용한 고층건물환기시스템.
  3. 제1항에서,
    고층건물은 세대주공간(400), 공용복도(500), 계단실(600), 및 엘리베이터샤프트(700)로 구분되고,
    세대주공간(400)과 공용복도(500)를 구획하는 수직벽면에 구비되는 제1통풍구(11);
    공용복도(500)와 계단실(600), 또는 공용복도(500)와 엘리베이터샤프트(700)를 구획하는 수직벽면에 구비되는 제2통풍구(22);
    상기 제2통풍구(22)에 설치되어 계단실(600) 또는 엘리베이터샤프트(700)의 공기를 공용복도(500)로 강제로 공급하는 실내송풍팬(77);
    계단실(600) 또는 엘리베이터샤프트(700)의 상단부에 서로 대향하도록 설치되며, 개폐가능한 회동슬릿이 구비된 제3기류배출구(33); 및,
    계단실(600) 또는 엘리베이터샤프트(700)의 하부에는 지하공간의 램프(Ramp)와 연통되는 램프연통구(44);가 더 포함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페어글래스를 이용한 고층건물환기시스템.
  4. 제1항에서,
    상기 제1외장커튼월(100)의 중간층부에 구비되어 상기 제1외장커튼월(100)과 고층건물의 외벽(300) 사이의 상승기류를 외부로 배출하는 외기배출구(150);
    상기 제1외장커튼월(100)과 고층건물의 외벽(300) 사이의 층간 경계부마다 설치되고, 개폐가능한 회동슬릿이 구비된 제1층간방화댐퍼(140); 및,
    상기 외기배출구(150)의 상부에 추가적으로 설치되는 보조외기흡입구(125);
    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페어글래스를 이용한 고층건물환기시스템.
  5. 제2항에서,
    상기 제1기류배출구(130)에 설치되고, 제1외장커튼월(100)과 고층건물의 외벽(300) 사이의 상승기류의 속도가 미리 설정된 풍속 이하인 경우 자동으로 작동하여 상승기류를 강제로 배출하는 제1송풍팬(135);
    상기 제2기류배출구(230)에 설치되고, 제2외장커튼월(200)과 고층건물의 외벽(300) 사이의 상승기류의 속도가 미리 설정된 풍속 이하인 경우 자동으로 작동하여 상승기류를 강제로 배출하는 제2송풍팬(235); 및,
    상기 제2외장커튼월(200)과 고층건물의 외벽(300) 사이의 층간 경계부마다 설치되고, 개폐가능한 회동슬릿이 구비된 제2층간방화댐퍼(240);
    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페어글래스를 이용한 고층건물환기시스템.
KR1020080054660A 2008-06-11 2008-06-11 페어글래스를 이용한 고층건물환기시스템 KR100991834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80054660A KR100991834B1 (ko) 2008-06-11 2008-06-11 페어글래스를 이용한 고층건물환기시스템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80054660A KR100991834B1 (ko) 2008-06-11 2008-06-11 페어글래스를 이용한 고층건물환기시스템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90128749A true KR20090128749A (ko) 2009-12-16
KR100991834B1 KR100991834B1 (ko) 2010-11-04

Family

ID=4168892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80054660A KR100991834B1 (ko) 2008-06-11 2008-06-11 페어글래스를 이용한 고층건물환기시스템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991834B1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00053798A (ko) * 2018-11-09 2020-05-19 한국건설기술연구원 이중덕트를 이용한 실외기실의 환기시스템
KR102547440B1 (ko) 2022-08-18 2023-07-07 한상관 중력의 작용에 의해 직각방향으로 상승하는 비중이 가벼운 오염된 기체성 물질분자들을 포집하여 정화하도록 구성되는 학교,군대,지하철,지하주차장,식물재배사,가축사육장,지렁이 사육장,축분이나 음식물 쓰레기 건조장,다중이 거주하는 건축물의 내부에서 발생되는 비중이 가벼운 오염된 공기를 포집하여 깨끗하게 정화하는 자연친화적인 친환경 공기 정화시스템 및 이 시스템을 이용하여 식물을 재배하는 친환경 공법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598502B1 (ko) 2016-01-07 2016-02-29 (주)아이티엠 코퍼레이션 건축사사무소 외기 및 지하 열기를 이용한 건물의 외벽 공기순환시스템

Family Cites Familie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719858B1 (ko) 2006-05-19 2007-05-18 대림산업 주식회사 연돌효과를 이용한 초고층 건물의 하이브리드 환기시스템
KR100803315B1 (ko) 2007-04-19 2008-02-13 조병남 복사열 차단기능이 구비된 고층건물 환기시스템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00053798A (ko) * 2018-11-09 2020-05-19 한국건설기술연구원 이중덕트를 이용한 실외기실의 환기시스템
KR102547440B1 (ko) 2022-08-18 2023-07-07 한상관 중력의 작용에 의해 직각방향으로 상승하는 비중이 가벼운 오염된 기체성 물질분자들을 포집하여 정화하도록 구성되는 학교,군대,지하철,지하주차장,식물재배사,가축사육장,지렁이 사육장,축분이나 음식물 쓰레기 건조장,다중이 거주하는 건축물의 내부에서 발생되는 비중이 가벼운 오염된 공기를 포집하여 깨끗하게 정화하는 자연친화적인 친환경 공기 정화시스템 및 이 시스템을 이용하여 식물을 재배하는 친환경 공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0991834B1 (ko) 2010-11-04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917374B1 (ko) 외장커튼월을 배기공간으로 활용하는 고층건물 환기 시스템
KR100632186B1 (ko) 건축물용 자연환기장치
CN101321995B (zh) 热泵系统
KR101672838B1 (ko) 고층건물의 에너지 절약형 통풍 시스템
KR100807273B1 (ko) 고층건물 환기 시스템
KR100719858B1 (ko) 연돌효과를 이용한 초고층 건물의 하이브리드 환기시스템
KR100399310B1 (ko) 에너지 절약형 다기능 환기 창호
KR100785399B1 (ko) 수직통로를 이용한 고층건물 환기시스템
KR100803315B1 (ko) 복사열 차단기능이 구비된 고층건물 환기시스템
Ismail et al. Stack ventilation strategies in architectural context: a brief review of historical development, current trends and future possibilities
KR100785400B1 (ko) 복사열 및 연돌효과를 이용한 고층건물 환기시스템
CN201421152Y (zh) 房间无能耗换气装置
KR100991834B1 (ko) 페어글래스를 이용한 고층건물환기시스템
JP3944181B2 (ja) 建物空調システム
KR100902635B1 (ko) 계단실 또는 엘리베이터샤프트를 이용한 다층 건물 통풍시스템
KR101265790B1 (ko) 태양에너지를 이용한 하이브리드 창호
KR101424632B1 (ko) 자연채광이 가능한 친환경 건물
KR200209771Y1 (ko) 통기 구조 커튼월과 팬코일유니트를 이용한 일체형 에너지 절약형 공조시스템
JP2010189949A (ja) 建物の換気構造
KR101590723B1 (ko) 수직통풍이 가능한 데크플레이트구조
KR200391419Y1 (ko) 건축물용 자연환기장치
JP4541372B2 (ja) 空気式太陽集熱換気システム
KR101480323B1 (ko) 기존 건축물을 활용한 실내환기 장치.
JP2005350890A (ja) 建物の換気構造
JP6890951B2 (ja) 建物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1028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1010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1026

Year of fee payment: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1121

Year of fee payment: 7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1024

Year of fee payment: 8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1029

Year of fee payment: 9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1024

Year of fee payment: 1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