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90128595A - 문자 메시지 작성을 위한 단말기 및 상용구를 이용한단말기의 단문 메시지 작성 방법 - Google Patents

문자 메시지 작성을 위한 단말기 및 상용구를 이용한단말기의 단문 메시지 작성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90128595A
KR20090128595A KR1020080054417A KR20080054417A KR20090128595A KR 20090128595 A KR20090128595 A KR 20090128595A KR 1020080054417 A KR1020080054417 A KR 1020080054417A KR 20080054417 A KR20080054417 A KR 20080054417A KR 20090128595 A KR20090128595 A KR 20090128595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boilerplate
word
input
list
words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80054417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문석용
Original Assignee
(주)인피니티 텔레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인피니티 텔레콤 filed Critical (주)인피니티 텔레콤
Priority to KR1020080054417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90128595A/ko
Publication of KR20090128595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90128595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01Input arrangements or combined input and output arrangements for interaction between user and computer
    • G06F3/02Input arrangements using manually operated switches, e.g. using keyboards or dials
    • G06F3/023Arrangements for converting discrete items of information into a coded form, e.g. arrangements for interpreting keyboard generated codes as alphanumeric codes, operand codes or instruction codes
    • G06F3/0233Character input methods
    • G06F3/0237Character input methods using prediction or retrieval technique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01Input arrangements or combined input and output arrangements for interaction between user and computer
    • G06F3/048Interaction techniques based on graphical user interfaces [GUI]
    • G06F3/0481Interaction techniques based on graphical user interfaces [GUI] based on specific properties of the displayed interaction object or a metaphor-based environment, e.g. interaction with desktop elements like windows or icons, or assisted by a cursor's changing behaviour or appearance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14Digital output to display device ; Cooperation and interconnection of the display device with other functional units

Abstract

본 발명은 문장입력을 위한 키패드의 조작 및 입력시간을 단축시킬 수 있으며, 검색 단어에 대해 높은 자유도를 갖도록 하여 상용구 검색의 유연성을 극대화하고 제시되는 문장표현 리스트가 더욱 풍부하게 하는 상용구를 이용한 단말기의 단문 메시지 작성 방법에 관한 것으로, 입력부를 통해 입력되는 키버튼 조작에 따라 단문메시지 내용 및 메뉴화면과 상용구 리스트를 표시부에 전달하여 디스플레이 시키도록 하는 제어부와; 상기 입력부를 통해 문자메시지 작성 화면상에서의 검색 단어 입력과, 상용구 리스트에서의 해당 상용구 선택을 수행하도록 화면상에서 제공하는 그래픽 인터페이스인 상용구 처리부와; 단어목록을 수록하고 있어, 상기 제어부로부터 전달된 검색 단어 중에서 상기 단어목록의 단어와 동일한 단어들을 인덱스로 추출하고, 상기 인덱스로 상용구 DB의 상용구를 검색하여 이들을 제어부로 전달하는 상용구 검색엔진으로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문자 메시지 작성을 위한 단말기에 관한 것이다.
이동통신 단말기, 상용구, 문자 메시지, 자유도, 유사도

Description

문자 메시지 작성을 위한 단말기 및 상용구를 이용한 단말기의 단문 메시지 작성 방법{APPARATUS FOR WRITTING OUT THE TEXT MESSAGE AND METHOD FOR WRITTING OUT THE TEXT MESSAGE USING THE COMMON WORDS}
본 발명은 휴대단말기의 단문메시지(SMS) 입력방법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단어 입력에 의해 상용구 리스트들이 제시되고 이들 중 해당 문장을 선택하여 메시지를 작성함으로써 문자 메시지 입력의 효율화를 도모하기 위한 문자 메시지 작성을 위한 단말기이다.
휴대폰은 단순한 음성통화 기능에 문자메시지 작성 및 전송 기능이 부가됨으로써 최근에는 이러한 문자메시지를 이용하는 통신이 널리 이루어지게 되었다.
이러한 문자메시지에 의한 통신은 즉시 응대성이 없어도 효율적인 통신이 가능하게 하므로 청소년을 타겟으로 하는 여러 계층에서 폭넓게 사용되고 각종 업무처리의 보고나 통지, 예고 등의 목적으로도 널리 사용되고 있어 필수적인 통신수단이 되고 있다.
통상적으로 도 1에서 보는 바와 같이, 휴대단말기의 단문메시지 입력은 사용자가 단문 메시지 입력 모드로 들어가서 일일이 키패드의 버튼을 이용하여 해당 문자를 조합함으로써 문자 메시지가 작성되는 것으로, 시간과 조작의 불편성으로 인하여 사용자는 의미가 변하지 않는 범위 내에서 축약하거나 문장을 단축, 변경함으로서 키패드의 조작회수를 최소화하려는 노력을 하게 된다.
이러한 경향에 따라서 최근에는 청소년들 사이에 변형된 언어가 통용되고 있고 이러한 변형된 통신언어는 바람직한 언어습관 정착에 큰 문제가 되고 있다.
상기하는 변형 언어가 대두하게 되는 가장 큰 원인은 짧은 시간 내에 많은 문자를 보내기가 번거로워 의미가 통하는 범위 내에서 최소한의 키패드 조작이 요청되기 때문이다.
따라서 상기하는 단문메시지의 전체 통화에서의 비중이 증대되는 만큼, 문자입력을 최대한 효율화시키는 것이 휴대단말기, 특히 휴대단말기를 제어하는 프로그램 개발자의 주요한 관심이 되고 있다.
이러한 문자메시지의 키패드 조작을 단순화시키고자, 음절 입력마다 해당 문장 리스트가 제공되는 기술이 공지된 바 있다.
도 2에서 보는 바와 같이, 문자 메시지 작성 시 초두의 출현하는 1 음절 + 1 자음음소 또는 그 이상의 값의 입력 시에 제어로직이 메모리로부터 다빈도 상용구 중에 추출하여 디스플레이하는 로직을 구현한다.
예를 들어 사용자가 단문입력 모드로 진행하게 되고, 특정문장인 "안녕하세요?" 을 입력하기 위하여 "안ㄴ"을 입력하면 프로그램은 다빈도 상용구를 내장한 메모리에서 이에 해당하는 기 입력된 문장인 1.안녕하세요?, 2.안녕하십니까? 와 같은 다빈도 상용구를 표시부에 출력하고 사용자는 이 상태에서는 휴대폰(H) 입력부의 상하 스크롤 버튼 또는 출현한 다빈도 상용구의 앞의 해당하는 선택번호를 길게 눌러 입력하는 방법 등으로서 전체 문장을 단일의 키 조작만으로 입력하게 되는 것이다.
그러나 이러한 로직은 문자메시지로 작성되는 음절과 음소가 차례로 입력됨에 따라 그에 해당하는 검색어로 시작하는 문장들이 검색되어 리스트로 제공되는 것이기 때문에 검색된 문장들의 자유도가 매우 낮아지게 되어 사용자가 이들 중 표현하고자 하는 문장을 선택하기에는 한계가 있다.
예를 들어 상기와 같이"안ㄴ"를 입력했을 경우, '안녕하세요', '안녕하십니까', '안녕히 계세요' 등과 같이 "안ㄴ"로 시작하는 문장은 검색되겠지만, '그동안 안녕하셨어요', '등과 같이 "안ㄴ"를 포함되는 문장은 검색되지 않게 되어 문장의 자유도가 낮아지게 될 뿐만 아니라 오히려"안 나올래?" "안 놀아"등과 같은 의도하지 않는 무수한 문장까지 검색되어 나오게 되므로 그 검색문장 리스트가 너무 광범위하게 제공됨으로써 문장 선택 시에 큰 어려움을 겪게 된다.
또한 "오늘은"으로 시작하는 문장을 입력 시에, "오늘은 날씨가 좋아요""오늘은 일요일이에요" 등과 같은 "오늘은"으로 시작하는 문장은 모두 검색될지언정 "오늘이 무슨 날이죠?" "오늘을 기억해요"등과 같은 문장은 검색되지 않으므로, 검색되어 제공되는 리스트의 문장들이 그 검색어에 대한 자유도가 낮아지게 된다.
즉, 상기의 도 2에서 제공되는 종래기술이 문장을 완성하기 위한 키패드 버 튼 조작을 단순화하고 이로 인해 빠른 시간 내에 문자메시지를 작성 할 수는 있다고 할지라도, 검색어에 대한 문장의 자유도가 낮아 80자 내외의 단문메시지로 상대방에게 의사를 전달해야 하는 사용자에게 보다 적절한 문장표현을 제공하는 데는 한계가 있다.
본 발명은 상기하는 종래의 문제점을 감안하여 안출한 것으로서 단문메시지의 송출을 위한 문자입력의 키패드조작 회수를 최소화하여 빠른 문자 메시지의 작성을 유도하기 위한 상용구를 이용한 단말기의 단문 메시지 작성 방법을 제공하기 위함이다.
또한 본 발명의 목적은 검색 단어에 대해 높은 자유도를 갖도록 하여 하나의 검색 단어에 대해 다양한 표현을 갖는 상용구 리스트가 제시될 수 있도록 하는 상용구를 이용한 단말기의 단문 메시지 작성 방법을 제공하기 위함이다.
또한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상용구 리스트를 유사도가 높은 순서로 정렬하여 제시함으로써 사용자가 표현하고자 하는 상용구에 대한 검색 범위를 좁히도록 하는 상용구를 이용한 단말기의 단문 메시지 작성 방법을 제공하기 위함이다.
상기의 과제를 해결하기 위한 본 발명은, 문자 메시지 작성을 위한 단말기에 있어서, 문자 입력이 가능하도록 키패드로 구성되는 입력부와; 상기 입력부에서 입력되는 단어, 문자 메시지, 상용구 리스트 중 어느 하나 이상을 디스플레이하는 표시부와; 상용구를 저장하고 있는 상용구 DB를 포함하는 메모리와; 상기 입력부를 통해 입력되는 키버튼 조작에 따라 단문메시지 내용 및 메뉴화면과 상용구 리스트를 표시부에 전달하여 디스플레이 시키도록 하는 제어부와; 상기 입력부를 통해 문자메시지 작성 화면상에서의 검색 단어 입력과, 상용구 리스트에서의 해당 상용구 선택을 수행하도록 화면상에서 제공하는 그래픽 인터페이스인 상용구 처리부와; 단어목록을 수록하고 있어, 상기 제어부로부터 전달된 검색 단어 중에서 상기 단어목록의 단어와 동일한 단어들을 인덱스로 추출하고, 상기 인덱스로 상용구 DB의 상용구를 검색하여 이들을 제어부로 전달하는 상용구 검색엔진으로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문자 메시지 작성을 위한 단말기에 의해 달성된다.
여기서 검색 단어라 함은 사용자가 입력부(LCD 화면 상)를 통해 상용구 리스트를 제공받기 위해 입력하는 단어, 어절, 어구를 총칭하여 이르는 말이다.
또한 본 발명은, 상기 상용구 처리부는 사용자가 상기 입력부를 통해 상용구를 입력할 때 이를 제어부로 전달하여 메모리에 등록시키도록 하는 기능, 사용자가 입력하는 단어를 상용구 검색엔진의 단어목록에 등록시키도록 하는 기능을 포함하여 수행하도록 화면상의 유저 인터페이스를 제공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르면, 상기 상용구 검색엔진은 해당 인덱스가 상용구의 구성 음절, 어절, 어구 중 어느 하나 이상에 포함하도록 하여 검색되는 상용구의 자유도를 높이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르면, 상기 상용구 검색엔진은 높은 자유도를 가지는 상용구 리스트를 사용자가 입력한 검색 단어와 유사도가 높은 순서대로 정렬하여 이들을 제어부로 전달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르면, 입력부에 의해 입력된 검색 단어가 제어부로 전달되는 단어입력단계(S10)와; 상기 상용구 검색엔진이 상기 제어부로 전달된 단어 중에서 인덱스로 사용될 단어를 추출하기 위해 단어목록을 검색하고, 검색된 하나 이상의 단어를 인덱스로 하여 상용구 DB(25)의 상용구를 검색하는 상용구 검색 단계(S20)와; 검색된 상용구들에 대해 유사도가 높은 순서로 상용구에 순번을 부여하여 제어부에 전달하고, 상기 제어부는 이들을 순번대로 정렬시켜 디스플레이 되도록 하는 상용구 디스플레이단계(S30)와; 상기 상용구 리스트가 정렬되어 디스플레이 되어진 상태에서 상기 단어입력단계(S10)와 동일한 과정으로 다른 단어를 입력하지 않을 경우, 입력부의 조작에 의해 디스플레이 되어 있는 상용구 리스트들 중에서 해당 상용구가 선택되면 단문 메시지 창에 해당 상용구가 입력되어 지는 단문 메시지 표시 단계(S80)로 구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르면, 상기 상용구 디스플레이단계(S30)를 수행한 후, 상기 단어입력 단계(S10)에서와 동일한 과정으로 기 입력 단어에 연속되게 연속단어를 입력하는 연속단어 입력 단계(S40)와; 상기 상용구 검색단계(S20)에서와 동일한 과정으로 상기 연속단어에 대한 단어목록을 검색하고 이들에서 인덱스가 될 단어를 추출하여 화면상의 리스트에 있는 상용구들을 검색하는 디스플레이 상용구 검색 단계(S50)와; 상기 검색된 리스트는 상용구 디스플레이 단계(S30)에서와 동일한 과정 으로 단어 및 연속 단어 모두에 대해서 유사도가 높은 순서로 정렬되게 디스플레이 되도록 하는 상용구 디스플레이 단계(S60)로 구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르면, 상기 상용구 디스플레이 단계(S60)를 수행한 후 연속단어 입력 단계(40)로 되돌아가 연속단어를 입력할지를 판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르면, 상기 상용구 검색 단계(S20, S50)의 상용구는 그 음절, 어절, 어구 중 어느 하나 이상에 해당 인덱스를 포함하도록 하여 검색되는 상용구의 자유도를 높이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상과 같은 본 발명의 상용구를 이용한 단말기의 단문 메시지 작성 방법은, 사용자의 약간의 숙지만으로 발신 단문메시지의 대부분을 차지하는 다빈도 상용구를 용이하게 1 - 2 개 정도의 키패드의 조작만으로 완성하여 입력이 가능하므로 문장입력을 위한 키패드의 조작 및 입력시간을 최대 80 % 이상 단축시킬 수 있어 빠른 문자 메시지 작성을 유도한다.
또한 본 발명의 상용구를 이용한 단말기의 단문 메시지 작성 방법은 검색 단어에 대해 높은 자유도를 갖도록 하여 상용구 검색의 유연성을 극대화하고 제시되는 문장표현 리스트가 더욱 풍부하게 될 뿐만 아니라, 유사도가 높은 상용구 리스트를 정렬하여 제시함으로써 의도하고자 한 상용구를 빠르게 검색할 수 있도록 하는 상용구를 이용한 단말기의 단문 메시지 작성 방법에 관한 것이다.
이하의 부수된 도면과 함께 본 발명의 휴대단말기의 단문메시지 입력방법을 더욱 상세하게 설명한다.
본 발명의 휴대단말기의 단문메시지 입력방법은 종래로부터의 소프트웨어적으로 제어되는 휴대단말기 구동 및 제어용의 프로그램에 하기하는 기능을 수행하는 로직을 더 부가함으로서 구현되는 구성임은 물론이다.
즉, 본 발명은 이동통신 단말기를 실시예로 하여 설명하고 있으나 이에 한정하지 않고 문장 작성을 필요로 하는 번역기, 사전, 전자메모지 등에서도 하기에 설명될 상용구 검색 방법이 사용되어 질 수 있으며, 단말기의 측면에서도 전자사전, PMP, PDA 등과 같은 휴대 단말기에 널리 쓰일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휴대단말기의 단문메시지 입력방법은 한국어에 대하여 주로 설명하였지만 영어 등의 타국가의 언어에도 동일한 개념으로 적용이 가능함은 물론이고, 휴대폰, 개인정보단말기(PDA). 네비게이터 등의 문자 입력이 요구되는 모든 휴대단말기에 동일한 개념이 적용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문자 메시지 작성을 위한 단말기에 적용시켰을 경우의 구성도이며, 입력부(10), 표시부(12), 상용구 처리부(11), 제어부(22), 상용구 검색엔진(13), 메모리(24), 상용구 DB(25)로 구성된다.
상기 입력부(10)는 각종 문자 입력 버튼 및 선택버튼 등으로 구성되는 키패드를 포함하고 있으며, 이를 통해 메시지 및 단어 작성 및 상용구 선택 등을 하도 록 한다.
상기 입력부(10)는 각종 문자 입력을 위해 복수의 버튼키를 구비하게 되는데, 상용구 입력 선택을 위한 별도의 상용구 버튼키를 구비하거나 기존 키패드를 상용구 버튼키로 활용할 수 있다.
상기 표시부(12)는 상기 문자 입력부(10)에서 입력되는 문자를 문자 메시지 창에 표시하며, 상용구를 위한 단어 입력창 및 다양한 상용구 리스트를 디스플레이 시켜준다.
상기 상용구 처리부(11)는 제어부(22)의 일측에 위치하고 있어, 사용자가 문자메시지 작성 화면상에서 검색 단어의 입력 및 그에 따른 상용구 리스트의 디스플레이 그리고 리스트 중 해당 상용구를 선택하여 문자메시지를 완성하는 일련의 과정을 보다 쉽게 작업할 수 있도록 휴대폰 표시부(12)를 통해 제공하는 그래픽 인터페이스를 제공한다.
또한 상기 상용구 처리부(11)는 사용자가 입력부(10)를 통해 입력하는 상용구를 제어부(22)로 전달함으로써 메모리(24)에 등록되도록 하며, 사용자가 입력한 대표문자(인덱스)가 상용구 검색엔진(13)의 단어목록에 등록되도록 하며, 상용구 리스트들 중에서 선택된 상용구를 문자 메시지 내용으로 대체하는 기능을 수행하도록 화면상의 유저 인터페이스를 제공한다.
특히 이를 위한 상기 상용구 처리부(11)는 도 4~5에서 보는 바와 같이, 단어 입력창을 제공하는 것이 바람직하며, 상기 단어 입력창은 상기 입력부(10) 상의 특정버튼을 누르거나 화면상의 메뉴에서 제공되는 단어 입력창을 선택했을 경우 화면 에 디스플레이 되어 진다.
따라서 사용자는 단어 입력창 내에서 깜박이는 커서를 따라 검색하고자 하는 단어를 입력하게 되고, 하기에 설명 될 상용구 검색엔진(13)이 이들 입력되는 음절 내지는 어구를 단어로 인식한 뒤 상용구의 인덱스에 상기 검색 단어가 포함될 경우, 해당 상용구 리스트가 디스플레이 되는 것이다.
물론 실시예에 따라 별도의 단어 입력창이 없이 문자 메시지 작성 창에서 바로 검색 단어를 입력할 수 있으며, 단어가 입력됨에 따라 자동으로 해당 상용구 리스트가 디스플레이 될 수도 있다.
상기 메모리(24)는 상용구 DB(25)를 구성하고 있어, 사용자의 단어 입력에 따라 해당 어구들이 독출되도록 다양한 어휘 및 문장들을 수록하고 있다.
상기 상용구 DB(25)의 상용구들은 문자 메시지 사용자들이 자주 사용하는 어구나 문장들을 수록하고 있는 것으로, 사용자가 직접 작성하여 저장시킨 상용구일 수도 있으며 휴대폰 프로그램 상에 기 저장되거나 상용구 제공 서비스업체로부터 무선 다운로드 받아 저장되어 있는 상용구일 수도 있다.
상기 제어부(22)는 상기 입력부(10)를 통해 입력되는 키버튼에 따라 단문메시지 내용 및 핸드폰 조작에 따른 메뉴화면 등을 표시부에 표시하도록 한다.
또한 상기 입력부(10)를 통해 입력되는 단어를 상용구 검색엔진(13)에 전달하여 검색하도록 하고, 이에 따라 상용구 DB(25)로부터 독출된 상용구 리스트들을 표시부(12)에 디스플레이 시킨다.
따라서 상기 제어부(22)는 상기 상용구 문자를 메모리(24)에 저장한 상태에 서, 메시지 작성 화면상에서의 첫 단어가 입력됨에 따라 그 단어를 포함하는 기 저장된 상용구를 상용구 DB(25)를 통해 상기 메모리(24)로부터 독출하여 화면표시하며, 그 화면표시 된 상용구에 대한 선택신호의 입력에 의해 상기 상용구를 문자 메시지 작성 화면상에 표시하도록 한다.
또한 상용구 검색엔진(13)은 제어부(22)의 일측에 위치하고 있어, 상기 제어부(22)로부터 전달된 단어에 대해 상용구 DB(25)의 해당 상용구들을 검색하여 제어부로 전달하는 역할을 한다.
즉, 상용구 검색엔진(13)은 단어들의 집합으로 구성되는 단어목록을 저장하고 있어, 제어부(22)로부터 전달되는 사용자 입력 어구에서 상기 단어목록에 해당하는 단어들이 있을 경우 이들 단어를 인덱스로 하여 상기 인덱스를 포함하는 상용구들을 상용구 DB(25)로부터 독출하여 모두 제어부(22)로 전달하게 된다.
예를 들어, 도 4에서와 같이 '오늘' 이라는 단어를 입력했을 경우, 단어목록에 있는 '오늘'을 하나의 단어로 인식하고 '오늘' 이라는 인덱스를 포함하는 상용구들을 모두 상용구 DB(25)로부터 독출하여 제어부(22)로 전달하게 된다.
이때, '오늘' 이라는 단어의 자유도를 높여 '오늘'과 함께 붙여 쓰기 되어 있는 조사나 접두사 내지는 접미사 등도 함께 검색되어(3,4,5번 문장) 리스트에 제시된다.
또한 '오늘' 이라는 단어의 유사도가 높은 순서대로 리스트로 정렬되어 지는데, 가령 '오늘'이 독립된 하나의 어절로 쓰여진 상용구가 제일 우선적으로 리스트 상에 정렬되고(1,2번 문장), 상기 '오늘'과 함께 하나의 어절에서 쓰여지는 음절 개수에 따라 정렬 순서(3,4,5 문장)를 정하도록 할 수 있다.
도 6은 본 발명의 상용구를 이용한 단말기의 단문 메시지 작성 방법의 순서도를 도시하고 있으며, 도 5의 문자 메시지 화면 예시도를 참고로하여 함께 설명하도록 한다.
도 6에서 보는 바와 같이 우선, 사용자의 키패드 조작에 의해 입력부(10)가 단어를 입력받는 단어입력단계(S10)를 수행하게 된다.
상기 단어입력단계(S10)에서는 입력부(10)를 통해 제어부(22)로 상기 키패드 조작에 의한 단어 혹은 어절을 포함하는 어구(도 5에서는 '오늘')가 전달되는데, 상용구 처리부(11)는 이를 위한 인터페이스를 제공하게 된다.
따라서 상용구 처리부(11)가 상용구를 제공하기 위한 별도의 문자를 입력하도록 단어 입력창 등의 별도의 입력창을 화면상에 제공할 수 있다.
상기 단어입력단계(S10)에 의해 제어부(22)로 어구가 전달되면, 상기 상용구 검색엔진(13)은 상기 제어부(22)로 전달된 어구 중에서 인덱스로 사용될 단어를 추출하기 위해 상용구 검색엔진(13)에 있는 단어목록을 검색하고, 검색된 하나 이상의 단어를 인덱스로 하여 상용구 DB(25)의 상용구를 검색하는 상용구 검색 단계(S20)를 수행하게 된다.
즉, 도 5에서 예시되어 있는 바와 같이, '오늘'이라는 단어를 인덱스(색인어)로 하여 상용구 DB(25)의 상용구들 중 '오늘'을 포함하는 문장을 모두 검색하게 된다.
이때 상기 상용구 검색엔진(13)은 해당 인덱스에 대해 검색 상용구의 자유도 를 높여 이들을 모두 리스트로 제공하게 된다.
즉, 상용구 문장에서 해당 단어인 '오늘'이라는 단어만을 어절로 가지는 상용구 뿐만 아니라 '오늘'을 포함하고 있는 어구 상용구도 모두 검색하여 리스트로 제공하게 된다.
상기 상용구 검색단계(20)를 수행함에 따라 검색된 상용구들에 대해 유사도가 높은 순서로 상용구 리스트를 정렬시켜 디스플레이 되도록 하는 상용구 디스플레이단계(S30)를 수행하게 된다.
즉, 상기 상용구 검색엔진(13)은 높은 자유도로 수많은 상용구들이 검색되어 지는데, 이들 중 유사도가 높은 순서대로 순번을 부여하여 제어부에 전달하게 되고, 제어부(22)는 이들을 순서대로 정렬되게 표시부(12)에 디스플레이되도록 한다.
상기 상용구 리스트가 정렬되어 디스플레이 되어진 상태에서 또 다른 단어를 입력할 경우, 상기 단어입력단계(S10)와 동일한 과정으로 이루어지는 연속 단어 입력단계(S40)를 수행하게 된다.
상기 단계에서는 상기 단어입력 단계(S10)에서의 단어입력창 또는 문자메시지 창에 입력 단어에 연속되게 연속단어를 입력하게 되며, 상기 연속단어가 입력되면 상기 상용구 검색단계(S20)에서와 동일한 과정으로 상기 연속단어에 대한 단어목록을 검색하고 이들에서 인덱스가 될 단어를 추출하여 상용구들을 검색하는 디스플레이 상용구 검색 단계(S50)를 수행하게 된다.
따라서 상용구 리스트 상에서는 단어입력 단계(S10)에서 입력한 단어와 연속단어 입력 단계(S40)에서 입력한 단어 중 어느 하나 이상을 포함하는 상용구 리스 트가 검색된다.
따라서 도 5에서 보는 바와 같이, 상기 상용구 검색엔진(13)은 '오늘'이라는 단어에 대한 상용구 리스트들 중에서 '날씨가'라는 단어에 대한 '날씨' 인덱스를 가지고 다시 재검색하게 되는 것이다.
상기 디스플레이 상용구 검색 단계(S50)에 의해 재검색된 상용구들 역시 높은 자유도에 따라 각 단어가 포함되는 어구들이 있는 상용구 리스트들이 제공된다.
즉, 도 5의 5번 문장에서와 같이 연속 단어에 대한 단어가 포함되는 어절을 갖는 상용구도 함께 검색되어 리스트로 보여진다.
상기 검색된 리스트는 상용구 디스플레이 단계(S30)에서와 같이, 단어 및 연속 단어 모두에 대해서 유사도가 높은 순서로 정렬되게 디스플레이 되도록 하는 상용구 디스플레이 단계(S60)를 수행하게 된다.
따라서 상기 상용구 검색엔진(13)은 이들 단어들 모두에 대해 유사도가 높은 순서대로 순번을 부여하여 제어부(22)에 전달하게 되며, 제어부(22)는 이들 순서대로 정렬시켜 표시부(12)에 디스플레이 되도록 한다.
즉, 상기 표시부(12)에는 단어 입력창 혹은 메시지 작성 창에 단어와 연속단어가 연속되게 입력되어 있으며 그 옆 혹은 하단에는 상용구 리스트가 정렬되어 디스플레이 되어 있게 된다.
이러한 상태에서 또 다른 연속 단어를 입력하기를 원한다면 다시 연속단어 입력단계(S40)로 되돌아가게 되어 단어, 연속단어1, 연속단어2, 연속단어N을 차례로 입력하게 되고, 입력된 단어들에 대해 상기의 검색 방법에 따라 상용구 리스트 들이 제공되어져 화면에 디스플레이 된다.
상기의 연속단어 입력개수가 많을수록 검색되어지는 상용구 리스트 개수는 점점 범위가 줄어들게 되어 사용자가 표현하고자 의도한 상용구를 검색할 수 있게 된다.
따라서 연속단어 입력을 중단하고 디스플레이 되어 있는 상용구 리스트들 중에서 해당 상용구가 선택되면(S70), 단문 메시지 창에 해당 상용구가 입력되어 짐으로써 본 발명의 과정을 모두 마치게 된다.
즉, 상용구 처리부(11)에 의해 키패드 조작에 따른 상용구가 선택되면 상기 제어부(22)는 선택된 상용구를 문자 메시지 창에 표시되도록 하고, 상용구를 선택하지 않고 상용구리스트를 화면에서 사라지도록 하면(키패드 버튼의 취소 버튼 등을 이용)문자 메시지 작성을 위한 상용구를 사용하지 않고 본 발명을 마치게 된다.
도 1과 2는 종래의 문자 메시지 작성 화면의 예시도.
도 3은 본 발명의 문자 메시지 작성을 위한 단말기의 구성도,
도 4는 본 발명의 상용구를 이용한 단말기의 단문 메시지 작성 방법의 검색단어를 입력하여 상용구 리스트가 제공되는 화면 예시도,
도 5는 도 4의 검색단어에 연속되게 단어를 입력함에 따라 2개 이상의 인덱스로 검색된 상용구 리스트가 제공되는 화면 예시도,
도 6은 본 발명의 상용구를 이용한 단말기의 단문 메시지 작성 방법의 전체 순서도.
*도면부호의 상세한 설명*
10 : 입력부 12 : 표시부
13 : 상용구 처리부 22 : 제어부
24 : 메모리 25 : 상용구 DB

Claims (8)

  1. 문자 메시지 작성을 위한 단말기에 있어서,
    문자 입력이 가능하도록 키패드로 구성되는 입력부와;
    상기 입력부에서 입력되는 단어, 문자 메시지, 상용구 리스트 중 어느 하나 이상을 디스플레이하는 표시부와;
    상용구를 저장하고 있는 상용구 DB를 포함하는 메모리와;
    상기 입력부를 통해 입력되는 키버튼 조작에 따라 단문메시지 내용 및 메뉴화면과 상용구 리스트를 표시부에 전달하여 디스플레이 시키도록 하는 제어부와;
    상기 입력부를 통해 문자메시지 작성 화면상에서의 검색 단어 입력과, 상용구 리스트에서의 해당 상용구 선택을 수행하도록 화면상에서 제공하는 그래픽 인터페이스인 상용구 처리부와;
    단어목록을 수록하고 있어, 상기 제어부로부터 전달된 검색 단어 중에서 상기 단어목록의 단어와 동일한 단어들을 인덱스로 추출하고, 상기 인덱스로 상용구 DB의 상용구를 검색하여 이들을 제어부로 전달하는 상용구 검색엔진으로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문자 메시지 작성을 위한 단말기.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상용구 처리부는 사용자가 상기 입력부를 통해 상용구를 입력할 때 이 를 제어부로 전달하여 메모리에 등록시키도록 하는 기능, 사용자가 입력하는 단어를 상용구 검색엔진의 단어목록에 등록시키도록 하는 기능을 포함하여 수행하도록 화면상의 유저 인터페이스를 제공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문자 메시지 작성을 위한 단말기.
  3.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상용구 검색엔진은 해당 인덱스가 상용구의 구성 음절, 어절, 어구 중 어느 하나 이상에 포함하도록 하여 검색되는 상용구의 자유도를 높이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문자 메시지 작성을 위한 단말기.
  4. 제 3항에 있어서,
    상기 상용구 검색엔진은 높은 자유도를 가지는 상용구 리스트를 사용자가 입력한 검색 단어와 유사도가 높은 순서대로 정렬하여 이들을 제어부로 전달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문자 메시지 작성을 위한 단말기.
  5. 입력부에 의해 입력된 검색 단어가 제어부로 전달되는 단어입력단계(S10)와;
    상기 상용구 검색엔진이 상기 제어부로 전달된 단어 중에서 인덱스로 사용될 단어를 추출하기 위해 단어목록을 검색하고, 검색된 하나 이상의 단어를 인덱스로 하여 상용구 DB(25)의 상용구를 검색하는 상용구 검색 단계(S20)와;
    검색된 상용구들에 대해 유사도가 높은 순서로 상용구에 순번을 부여하여 제어부에 전달하고, 상기 제어부는 이들을 순번대로 정렬시켜 디스플레이 되도록 하는 상용구 디스플레이단계(S30)와;
    상기 상용구 리스트가 정렬되어 디스플레이 되어진 상태에서 다른 단어를 입력하지 않을 경우, 입력부의 조작에 의해 디스플레이 되어 있는 상용구 리스트들 중에서 해당 상용구가 선택되면 단문 메시지 창에 해당 상용구가 입력되어 지는 단문 메시지 표시 단계(S80)로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상용구를 이용한 단말기의 단문 메시지 작성 방법.
  6. 제 5항에 있어서,
    상기 상용구 디스플레이단계(S30)를 수행한 후, 상기 단어입력 단계(S10)에서와 동일한 과정으로 기 입력 단어에 연속되게 연속단어를 입력하는 연속단어 입력 단계(S40)와;
    상기 상용구 검색단계(S20)에서와 동일한 과정으로 상기 연속단어에 대한 단어목록을 검색하고 이들에서 인덱스가 될 단어를 추출하여 상용구 DB의 상용구들을 검색하는 디스플레이 상용구 검색 단계(S50)와;
    상기 단어 및 연속단어 중 어느 하나 이상을 포함하도록 검색된 상기 상용구 리스트가 상용구 디스플레이 단계(S30)에서와 동일한 과정으로 순번을 부여하여 단어 및 연속 단어 모두에 대해서 유사도가 높은 순서로 정렬되게 디스플레이 되도록 하는 상용구 디스플레이 단계(S60)로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상용구를 이용한 단말기의 단문 메시지 작성 방법.
  7. 제 6항에 있어서,
    상기 상용구 디스플레이 단계(S60)를 수행한 후 연속단어 입력 단계(40)로 되돌아가 연속단어를 입력할지를 판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상용구를 이용한 단말기의 단문 메시지 작성 방법.
  8. 제 5항 혹은 6항에 있어서,
    상기 상용구 검색 단계(S20, S50)의 상용구는 그 음절, 어절, 어구 중 어느 하나 이상에 해당 인덱스를 포함하도록 하여 검색되는 상용구의 자유도를 높이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상용구를 이용한 단말기의 단문 메시지 작성 방법.
KR1020080054417A 2008-06-11 2008-06-11 문자 메시지 작성을 위한 단말기 및 상용구를 이용한단말기의 단문 메시지 작성 방법 KR20090128595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80054417A KR20090128595A (ko) 2008-06-11 2008-06-11 문자 메시지 작성을 위한 단말기 및 상용구를 이용한단말기의 단문 메시지 작성 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80054417A KR20090128595A (ko) 2008-06-11 2008-06-11 문자 메시지 작성을 위한 단말기 및 상용구를 이용한단말기의 단문 메시지 작성 방법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90128595A true KR20090128595A (ko) 2009-12-16

Family

ID=4168878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80054417A KR20090128595A (ko) 2008-06-11 2008-06-11 문자 메시지 작성을 위한 단말기 및 상용구를 이용한단말기의 단문 메시지 작성 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90128595A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2375555A (zh) * 2010-08-06 2012-03-14 腾讯科技(深圳)有限公司 输入方法和装置
WO2016003192A3 (ko) * 2014-07-02 2016-02-25 김종한 그림말이 포함된 상용아이콘을 조합하는 메시지 작성 시스템 및 이 시스템의 그림말로 광고하는 메시지 작성 시스템의 광고방법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2375555A (zh) * 2010-08-06 2012-03-14 腾讯科技(深圳)有限公司 输入方法和装置
CN102375555B (zh) * 2010-08-06 2016-08-03 深圳市世纪光速信息技术有限公司 输入方法和装置
WO2016003192A3 (ko) * 2014-07-02 2016-02-25 김종한 그림말이 포함된 상용아이콘을 조합하는 메시지 작성 시스템 및 이 시스템의 그림말로 광고하는 메시지 작성 시스템의 광고방법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7149550B2 (en) Communication terminal having a text editor application with a word completion feature
KR100719412B1 (ko) 무선 통신 디바이스 내의 문자 입력용 방법 및 장치
KR101316988B1 (ko) 휴대전화
US20060190819A1 (en) Communication terminal having a predictive text editor application
US20030095102A1 (en) Communication terminal having a predictive character editor application
US20030023426A1 (en) Japanese language entry mechanism for small keypads
US20080182599A1 (en) Method and apparatus for user input
KR20080044262A (ko) 휴대 전화
KR101137567B1 (ko) 문자 자동 완성 기능을 제공하는 무선 휴대 단말기 및 그방법
JP2009290292A (ja) 携帯電話機
KR100883466B1 (ko) 휴대용 단말기의 특수문자 자동 완성 방법
KR20090128595A (ko) 문자 메시지 작성을 위한 단말기 및 상용구를 이용한단말기의 단문 메시지 작성 방법
KR20070075113A (ko) 이동통신단말에서의 초성자음을 이용한 문자 입력장치 및방법과 이를 위한 이동통신단말
US20030023792A1 (en) Mobile phone terminal with text input aid and dictionary function
KR101199725B1 (ko) 이동단말 상에서의 사용자 편의를 고려한 메시지전송방법
KR100774050B1 (ko) 휴대단말기의 단문메시지 입력방법
KR100834279B1 (ko) 모바일 단말기의 문자 입력 처리방법 및 이를 수행하기위한 모바일 단말기
KR20080095823A (ko) 문자입력방식의 선택이 가능한 다국어 메일링 장치 및 방법
RU2525748C2 (ru) Ввод текста с использованием двух алфавитов и функция выделения клавиш
KR100544774B1 (ko) 문자열 검색 방법 및 장치
CN104268131B (zh) 用于加速中文输入中的候选选择的方法
KR100689580B1 (ko) 자동 띄어쓰기 기능이 탑재된 이동 단말기 및 그 방법
KR100455151B1 (ko) 이동통신 단말기의 문자열 자동변환방법
KR20130016867A (ko) 민감한 단어를 표시할 수 있는 사용자 단말,및 사용자 단말의 민감한 단어 표시 방법
KR100575771B1 (ko) 이동 통신 단말기의 특수 문자 입력 방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