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90128193A - 압축 쓰레기통 - Google Patents

압축 쓰레기통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90128193A
KR20090128193A KR1020080054234A KR20080054234A KR20090128193A KR 20090128193 A KR20090128193 A KR 20090128193A KR 1020080054234 A KR1020080054234 A KR 1020080054234A KR 20080054234 A KR20080054234 A KR 20080054234A KR 20090128193 A KR20090128193 A KR 20090128193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ressing member
locking
handle
locking member
ba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80054234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0958703B1 (ko
Inventor
박윤근
Original Assignee
(주)오토코리아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오토코리아 filed Critical (주)오토코리아
Priority to KR1020080054234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958703B1/ko
Publication of KR20090128193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90128193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958703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958703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FGATHERING OR REMOVAL OF DOMESTIC OR LIKE REFUSE
    • B65F1/00Refuse receptacles; Accessories therefor
    • B65F1/14Other constructional features; Accessories
    • B65F1/1405Compressing means incorporated in, or specially adapted for, refuse receptacles
    • AHUMAN NECESSITIES
    • A62LIFE-SAVING; FIRE-FIGHTING
    • A62CFIRE-FIGHTING
    • A62C3/00Fire prevention, containment or extinguishing specially adapted for particular objects or places
    • A62C3/002Fire prevention, containment or extinguishing specially adapted for particular objects or places for warehouses, storage areas or other installations for storing goods
    • AHUMAN NECESSITIES
    • A62LIFE-SAVING; FIRE-FIGHTING
    • A62CFIRE-FIGHTING
    • A62C3/00Fire prevention, containment or extinguishing specially adapted for particular objects or places
    • A62C3/04Fire prevention, containment or extinguishing specially adapted for particular objects or places for dust or loosely-baled or loosely-piled materials, e.g. in silos, in chimney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FGATHERING OR REMOVAL OF DOMESTIC OR LIKE REFUSE
    • B65F1/00Refuse receptacles; Accessories therefor
    • B65F1/14Other constructional features; Accessories
    • B65F1/16Lids or cover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FGATHERING OR REMOVAL OF DOMESTIC OR LIKE REFUSE
    • B65F1/00Refuse receptacles; Accessories therefor
    • B65F1/14Other constructional features; Accessories
    • B65F2001/1494Refuse receptacles comprising means for preventing or extinguishing fire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FGATHERING OR REMOVAL OF DOMESTIC OR LIKE REFUSE
    • B65F2210/00Equipment of refuse receptacles
    • B65F2210/148Locking mea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FGATHERING OR REMOVAL OF DOMESTIC OR LIKE REFUSE
    • B65F2210/00Equipment of refuse receptacles
    • B65F2210/162Pressing mean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ublic Health (AREA)
  •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Emergency Management (AREA)
  • Operations Research (AREA)
  • Processing Of Solid Wast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압축 쓰레기통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쓰레기통에 담긴 쓰레기를 압축하여 더욱 많은 량으로 쓰레기를 담을 수 있으며, 또한, 화재 발생 시 이를 진화할 수 있는 압축 쓰레기통에 관한 것이다.
이러한 본 발명에 따른 압축 쓰레기통은 수용홈이 구비된 베이스; 상기 수용홈에 안착되며, 상하부에 개구부가 형성되도록 중공이 형성되고, 상측 내주연에 걸림턱이 구비되며, 일측 외주연에 투입공이 형성된 통체; 단턱부가 구비되며, 상기 중공에 슬라이드 이동 가능함과 동시에 상기 걸림턱에 상기 단턱부가 접촉되어 상부 개구부를 통해 이탈되지 아니하도록 설치되는 누름부재; 상기 누름부재의 상면에 형성되고, 내면에 가이드홈이 형성된 손잡이; 상기 손잡이의 가이드홈에 설치되어 상하로 슬라이드 이동가능한 바와, 상기 바의 양단부에 설치되며, 상기 누름부재를 관통하여 상기 걸림턱에 걸리도록 형성되는 탄성편으로 구성된 잠금부재; 및 상기 잠금부재와 손잡이 사이에 설치되는 스프링;으로 구성되며,
상기 누름부재는 원통형으로 이루어지며, 내부에 물이 담기는 수용공간이 형성되며, 상면에 주입구가 구비되어 이루어지며,
또한, 상기 누름부재는 원통형으로 이루어지며, 내부에 물이 담기는 수용공간이 형성되며, 상면에 주입구가 구비되고, 상기 수용공간 바닥면에 적어도 하나 이상의 배출공이 형성됨과 아울러 바닥면에 차단필름이 구비되어 이루어진다.
쓰레기통, 압축, 물, 손잡이, 탄성, 걸림턱, 탄성편, 탄성띠, 스프링

Description

압축 쓰레기통{A compaction type dustbin}
본 발명은 압축 쓰레기통에 관한 것으로 통체의 중공에 담기는 쓰레기통을 누름부재를 이용하여 압축할 수 있어보다 많은 쓰레기를 담을 수 있으며, 또한, 통체에 담긴 쓰레기에 불이 나면 이를 자동으로 진화할 수 있는 압축 쓰레기통에 관한 것이다.
종래의 쓰레기통은 쓰레기통을 담을 수 있는 통체와 이 통체의 상부를 막아주는 뚜껑으로 이루어진다.
이러한 쓰레기통은 통체에 담기는 쓰레기가 넘칠 때 상기 뚜껑을 가압하여 쓰레기를 압축하였으나, 잘 압축되지 아니하여 뚜껑이 안 닫치는 문제점이 있었다.
그리고, 뚜껑이 닫히지 아니함으로써, 통체에 담긴 쓰레기가 보여 미관상 보기 좋지 아니하였으며, 쓰레기에서 발생되는 악취를 예방할 수 없었다.
한편, 화장실에 비치되는 쓰레기통에 이용자가 담배 꽁초 등을 버리는 일이 종종 발생하여 화재의 위험성이 있으나, 초기 진화수단이 없어 화재 발생 시 대형 사고의 원인이 되었다.
따라서, 본 발명의 목적은 쓰레기통을 압축하여 보다 많은 량의 쓰레기통을 담을 수 있으며, 화재 발생 시 자동으로 화재가 진화될 수 있는 압축 쓰레기통을 제공함에 있다.
상기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에 따른 압축 쓰레기통의 특징은, 수용홈이 구비된 베이스; 상기 수용홈에 안착되며, 상하부에 개구부가 형성되도록 중공이 형성되고, 상측 내주연에 걸림턱이 구비되며, 일측 외주연에 투입공이 형성된 통체; 단턱부가 구비되며, 상기 중공에 슬라이드 이동 가능함과 동시에 상기 걸림턱에 상기 단턱부가 접촉되어 상부 개구부를 통해 이탈되지 아니하도록 설치되는 누름부재; 상기 누름부재의 상면에 형성되고, 내면에 가이드홈이 형성된 손잡이; 상기 손잡이의 가이드홈에 설치되어 상하로 슬라이드 이동가능한 바와, 상기 바의 양단부에 설치되며, 상기 누름부재를 관통하여 상기 걸림턱에 걸리도록 형성되는 탄성편으로 구성된 잠금부재; 및 상기 잠금부재와 손잡이 사이에 설치되는 스프링;으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그리고, 상기 누름부재는 원통형으로 이루어지며, 내부에 물이 담기는 수용 공간이 형성되며, 상면에 주입구가 구비되어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누름부재는 원통형으로 이루어지며, 내부에 물이 담기는 수용공간이 형성되며, 상면에 주입구가 구비되고, 상기 수용공간 바닥면에 적어도 하나 이상의 배출공이 형성됨과 아울러 바닥면에 차단필름이 구비되어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따른 탄성 걸림편에 의해 누름부재가 쓰레기통이 담기는 통체의 상부에 위치하고 있다가 사용자의 조작에 의해 누름부재가 자중 또는 사용자의 누름에 의해 통체에 담긴 쓰레기통을 압축하여 많은 량의 쓰레기를 담을 수 있는 효과가 있다.
그리고, 탄성 걸림편을 파지하는 단순한 동작에 의해 누름부재의 슬라이드 이동이 가능함으로써, 사용이 간편한 효과가 있다.
또한, 화재 발생 시 누름부재의 바닥면이 녹아 부름부재의 수용공간에 담긴 물이 자중에 의해 하부로 낙하하여 화재를 자동으로 진화하는 효과가 있다.
한편, 누름부재의 바닥면에 적어도 하나 이상의 배출공이 구비되며, 상기 바닥면에 차단필름이 구비됨으로써, 화재 발생 시 초기에 진화 가능한 효과가 있다.
이하, 본 발명에 따른 압축 쓰레기통의 바람직한 실시 예를 첨부한 도면을 참조하여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압축 쓰레기통의 분해 사시도이고, 도 2는 도 1의 결합 단면도이며,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누름부재의 다른 실시 예를 나타낸 도면이고,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누름부재의 또 다른 실시 예를 나타낸 도면이며, 도 5는 본 고안에 따른 압축 쓰레기통의 다른 실시 예를 나타낸 도면이고, 도 6은 도 5의 A-A선 단면도이며, 도 7은 사용상태를 나타낸 도면이고, 도 8은 쓰레기 봉투가 설치된 상태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1 내지 도 2에 도시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압축 쓰레기통(1)은 크게 베이스(10)와, 통체(20)와, 누름부재(30)와, 손잡이(40)와, 탄성 걸림편(50)으로 구성된다.
상기 베이스(10)는 원통형으로 이루어지며, 상면 중앙에 후수할 통체(20)가 안착되는 원형 수용홈(11)이 구비된다.
상기 통체(20)는 일정 길이를 가지는 원통형으로 이루어져 상기 수용홈(11)에 끼움 안착되며, 상하부에 개구부가 형성되도록 중공(21)이 형성되고, 상측 내주연에 걸림턱(22)이 구비되며, 일측 외주연에 상기 중공(21)과 외부가 연통하도록 하는 투입공(23)이 형성된다.
상기 투입공(23)은 쓰레기가 투입되는 입구로서 일정 크기를 가지며, 통체(20)의 상부측에 위치한다.
한편, 상기 통체(20)와 베이스(10)의 수용홈(10) 사이에 쓰레기통 봉투가 위치할 수 있도록 통체(20)의 외경이 수용홈(11)의 직경보다 작게 형성될 수 있다.
상기 누름부재(30)는 상부의 직경이 작도록 단턱부(31)가 구비된 원통형으로 이루어지며, 상기 통체(20)의 중공(21)에 슬라이드 이동 가능함과 동시에 상기 걸림턱(22)에 의해 상측 개구부를 통해 이탈되지 아니하도록 설치된다.
그리고, 후술할 잠금부재(50)의 탄성편(52)이 삽입관통되는 홀(H)이 구비된다.
이러한 홀(H)은 일측은 누름부재(30)의 상면과 연통하고 타측은 외주연과 연통되도록 형성된다.
이러한 누름부재(30)는 도 3에 도시한 바와 같이, 상부의 직경이 작도록 단턱부(31)가 구비된 원통형으로 이루어지며, 잠금부재(50)의 탄성편(52)이 삽입관통되는 홀(H)이 구비되고, 내부에 물이 담기는 수용공간(32)이 형성되며, 상면에 주입구(33)가 구비되어 이루어질 수 있다.
그리고, 주입구(33)를 통해 상기 수용공간(32)에 물을 주입하기 용이하도록 상면이 오목하게 형성되며, 그 중앙에 주입구(33)가 위치하는 것이 좋다.
한편, 화재 발생 시 상기 수용공간(32)의 바닥면이 녹아 수용공간(32)에 담 긴 물이 베이스(10)로 낙하함으로 상기 베이스(10)의 수용홈(11) 저면에 쓰레기가 통과할 수 없는 작은 구멍(12)이 적어도 하나 이상 더 구비되는 것이 좋다.
또한, 도 4에 도시한 바와 같이, 상기 누름부재(30)는 상부의 직경이 작도록 단턱부(31)가 구비된 원통형으로 이루어지며, 잠금부재(50)의 탄성편(52)이 삽입관통되는 홀(H)이 구비되고, 내부에 물이 담기는 수용공간(32)이 형성되며, 상면에 주입구(33)가 구비되고, 상기 수용공간(32) 바닥면에 적어도 하나 이상의 배출공(34)이 형성됨과 동시에 상기 배출공(34)을 통해 수용공간(32)에 담긴 물이 빠져나가지 아니하도록 바닥면에 차단필름(35)이 구비되어 이루어질 수 있다.
그리고, 주입구(33)를 통해 상기 수용공간(32)에 물을 주입하기 용이하도록 상면이 오목하게 형성되며, 그 중앙에 주입구(33)가 위치하는 것이 좋다.
여기서, 상기 차단필름(35)은 수밀 가능하도록 접착제 등을 이용하여 수용공간(32) 바닥면 상부 또는 하부에 부착 설치된다.
상기 차단필름(35)이 수용공간(32) 바닥면 상부에 설치될 때에는 차단필름의 재장착이 용이하도록 누름부재(30)는 상하부 케이스(30a, 30b)로 이루어지며, 상하부 케이스(30a, 30b)는 나사결합된다.
상기 손잡이(40)는 양측부가 절곡된 "∩"자형으로 이루어지며, 양단부가 누름부재(30) 상면 테두리부에 고정 설치된다.
그리고, 후술할 잠금부재(50)을 이용자가 파지하여 가압할 때 잠금부재(50) 가 상하 슬라이드 이동할 수 있도록 내면에 가이드홈(41)이 형성된다.
상기 잠금부재(50)는 상기 손잡이(40)의 가이드홈(41)에 설치되어 상하로 슬라이드 이동하는 "∩"자형 바(51)와, 일단은 상기 바(51)의 양단부에 고정되며, 타단은 상기 누름부재(30)의 홀(H)을 관통하여 상기 걸림턱(22)에 걸리는 탄성편(52)으로 이루어진다.
여기서, 상기 탄성편(52)은 이용자가 잠금부재(50)를 눌렀을 때, 상기 손잡이(40)의 가이드홈(41)을 따라 상향으로 슬라이드 이동하는 바(51)에 의해 이동 즉, 누름부재(30) 내측으로 이동하여 통공(20) 걸림턱(22)과의 걸림이 해제되도록 설치된다.
상기 스프링(60)은 상기 잠금부재(50)의 바(51)와 손잡이(40) 사이에 적어도 하나 이상 설치되어 이용자의 누름 조작에 의해 상향 슬라이드 이동된 바(51)에 의해 압축 상태가 되었다가, 이용자의 누름 조작이 해제되면 원위치하여 바(51)와 탄성편(52)을 원위치시킨다.
상기 스프링(60)에 의해 잠금부재(50)가 용이하게 복원될 수 있도록 양측에 하나 씩 적어도 2개 이상 설치되는 것이 좋다.
한편, 도 5에 도시한 바와 같이, 손잡이(40')는 양측부가 절곡된 "∩"자형으로 이루어지며, 양단부가 누름부재(30) 상면 테두리부에 고정 설치되고, 내면 일 측, 즉 파지부분 저면에 홈(42)이 형성되어 이루어지며, 잠금부재(50')는 상기 손잡이(40')의 내면에 설치되며, 양단부가 상기 누름부재(30)의 홀(H)을 관통하여 걸림턱(22)과 걸리게 설치되는 탄성띠(53)로 이루어질 수 있다.
여기서, 이용자가 탄성띠(53)를 누르면 탄성띠(53)의 일부가 상기 손잡이(40')의 홈(42)으로 수용되며, 이때, 걸림턱(22)과 걸리도록 위치한 탄성띠(53)의 양단부가 누름부재(30)의 내측으로 이동되어 누름부재(30) 잠금이 해제되며, 탄성띠(53)의 누름 조작이 해제되면, 탄성띠(53)의 자체 복원 작용에 의해 양단부가 원위치하여 걸림턱(22)과 걸린다.
이때, 스프링(60)은 필요 없다.
그리고, 상기 탄성띠(43)는 도 6에 도시한 바와 같이, 이탈방지를 위해 양단부가 폭이 좁도록 단차지게 형성되는 것이 좋다. 이때, 상기 누름부재(30)의 홀(H)도 탄성띠(43)와 대응되도록 형성된다.
이와 같이 구성된 본 발명에 따른 압축 쓰레기통의 조립 및 사용상태를 도 7 내지 도 8을 참조하여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먼저, 손잡이(40)의 가이드홈(41)에 스프링(60)을 위치시킨 후 잠금부재(50)를 설치한다.
그리고, 통체(20)의 하부측 개구부를 통해 누름부재(30)를 중공(21) 내부로 삽입한다.
그런 다음, 손잡이(40)와 잠금부재(50)의 바(51)를 같이 파지한 다음, 바(51)를 상향으로 눌러준다.
그러면, 누름부재(40)의 홀(H)에 관통 삽입된 잠금부재(50)의 탄성편(52)이 내측으로 이동하여 통체(20)의 내주연에 형성된 걸림턱(22)과 걸리지 아니하며, 이때, 누름부재(30)의 단턱부(31)가 상기 걸림턱(22)의 저면과 밀착되도록 이동시킨 다음 상기 바(51)의 누름 조작을 해제하면, 스프링(60)의 복원 작용에 의해 탄성편(52)이 걸림턱(22)의 상면에 위치하여 누름부재(30)의 낙하를 방지한다.
그런 후, 베이스(10)의 수용홈(11)에 통체(20)의 일측을 끼워 넣는다. 이때, 누름부재(30)가 상부에 위치하도록 한다.
그런 다음, 누름부재(30) 상면에 형성된 주입구(33)를 통해 물을 주입하여 수용공간(32)에 물을 충전한다.
이와 같은 상태에서, 사람들이 통체(20)에 형성된 투입공(23)을 통해 쓰레기를 투입한다.
상기 통체(20)에 쓰레기가 일정량 담기면, 이용자는 손잡이(40)와 잠금부재(50)의 바(51)를 같이 파지한 다음, 상기 바(51)를 상향으로 누른다.
그러면, 바(51)가 손잡이(40)의 가이드홈(41)을 타고 상향 슬라이드 이동되며, 바(51)의 양단에 설치된 탄성편(52)도 같이 이동하여 탄성편(52)과 걸림턱(22)의 걸림 상태가 해제된다.
이때, 손잡이(40)와 바(51)의 사이에 설치된 스프링(60)이 압축된다.
그런 다음, 이용자는 누름부재(30)를 하향으로 눌러주면 상기 누름부재(30) 의 슬라이드 이동에 의해 통체(20)에 담긴 쓰레기가 압축된다.
쓰레기의 압축이 끝나면, 이용자는 상기 누름부재(30)를 원위치시킨 다음, 바(51)의 누름 동작을 해제한다.
그러면, 바(51)와 손잡이(30) 사이에 설치된 스프링(60)의 복원 작용에 의해 바(51)가 원위치하며, 따라서 바(51)의 양단에 설치된 탄성편(52) 또한 걸림턱(22)과 걸리도록 원위치 된다. 즉, 탄성편(52)이 걸림턱(22)의 상면에 위치하여 누름부재(30)의 낙하를 방지한다.
이때, 누름부재(30)의 단턱부(31)와 통체(20)의 걸림턱(22)은 서로 접면하여 누름부재(30)의 흔들림을 방지한다.
한편, 통체(20)에 담긴 쓰레기에 화재가 발생하면, 이 화재에 의해 발생된 불에 의해 누름부재(30)의 바닥면이 녹게 되고, 이때, 누름부재(30)의 수용공간(32)에 담긴 물이 자유 낙하하여 화재를 진화한다.
또한, 도 8에 나타난 바와 같이, 베이스(10)와 통체(20)의 조립 전에 쓰레기 봉투에 통체(20)를 집어넣은 후, 상기 통체(20)를 베이스에 조립하여 사용할 수 있다.
그러면, 통체(20)에 쓰레기가 다 담긴 상태에서 상기 통체(20)와 베이스(10)를 분리하는 간단한 동작에 의해 쓰레기가 쓰레기통 봉투에 담겨 쓰레기의 수거가 용이하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압축 쓰레기통의 분해 사시도이고,
도 2는 도 1의 결합 단면도이며,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누름부재의 다른 실시 예를 나타낸 도면이고,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누름부재의 또 다른 실시 예를 나타낸 도면이며,
도 5는 본 고안에 따른 압축 쓰레기통의 다른 실시 예를 나타낸 도면이고,
도 6은 도 5의 A-A선 단면도이며,
도 7은 사용상태를 나타낸 도면이고,
도 8은 쓰레기 봉투가 설치된 상태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0 : 베이스, 11 : 수용홈, 12 : 구멍, 20 : 통체, 21 : 중공, 22 : 걸림턱, 23 : 투입공, 30 : 누름부재, 31 : 단턱부, 32 : 수용공간, 33 : 주입구, 34 : 배출공, 35 : 차단필름, 40 : 손잡이, 41 : 가이드홈, 42 : 홈, 50 : 잠금부재, 51 : 바, 52 : 탄성편, 53 : 띠, 60 : 스프링, H : 홀

Claims (4)

  1. 수용홈(11)이 구비된 베이스(10);
    상기 수용홈(11)에 안착되며, 상하부에 개구부가 형성되도록 중공(21)이 형성되고, 상측 내주연에 걸림턱(22)이 구비되며, 일측 외주연에 투입공(23)이 형성된 통체(20);
    단턱부(31)가 구비되며, 상기 중공(21)에 슬라이드 이동 가능함과 동시에 상기 걸림턱(22)에 상기 단턱부(31)가 접촉되어 상부 개구부를 통해 이탈되지 아니하도록 설치되는 누름부재(30);
    상기 누름부재(30)의 상면에 형성되고, 내면에 가이드홈(41)이 형성된 손잡이(40);
    상기 손잡이(40)의 가이드홈(41)에 설치되어 상하로 슬라이드 이동가능한 바(51)와, 상기 바(51)의 양단부에 설치되며, 상기 누름부재(40)를 관통하여 상기 걸림턱(22)에 걸리도록 형성되는 탄성편(52)으로 구성된 잠금부재(50);
    상기 잠금부재(50)와 손잡이(40) 사이에 설치되는 스프링(60);으로 구성되며,
    여기서, 이용자가 상기 손잡이와 잠금부재를 파지한 상태에서 상기 잠금부재를 상향으로 누르면, 상기 잠금부재가 상승되며, 이때, 탄성편이 이동하여 누름부재의 잠금이 해제되며, 잠금부재의 누름을 해제하면 스프링에 의해 탄성편이 원위치하여 누름부재가 잠금상태가 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압축 쓰레기통.
  2.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누름부재(30)는 단턱부(31)가 구비된 원통형으로 이루어지며, 내부에 물이 담기는 수용공간(20)이 형성되며, 상면에 주입구(33)가 구비되어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압축 쓰레기통.
  3.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누름부재는 단턱부(31)가 구비된 원통형으로 이루어지며, 내부에 물이 담기는 수용공간(32)이 형성되며, 상면에 주입구(33)가 구비되고, 상기 수용공간(32) 바닥면에 적어도 하나 이상의 배출공(34)이 형성됨과 아울러 바닥면에 차단필름(35)이 구비되어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압축 쓰레기통.
  4.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손잡이는 양측부가 절곡된 "∩"자형으로 이루어지며, 양단부가 누름부재(30) 상면 테두리부에 고정 설치되고, 내면 일측에 홈(42)이 형성되어 이루어지며, 상기 잠금부재는 상기 손잡이의 내면에 설치되며, 양단부가 상기 누름부재(30)를 관통하여 걸림턱(22)과 걸리게 설치되는 탄성띠(53)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 로 하는 압축 쓰레기통.
KR1020080054234A 2008-06-10 2008-06-10 압축 쓰레기통 KR100958703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80054234A KR100958703B1 (ko) 2008-06-10 2008-06-10 압축 쓰레기통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80054234A KR100958703B1 (ko) 2008-06-10 2008-06-10 압축 쓰레기통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90128193A true KR20090128193A (ko) 2009-12-15
KR100958703B1 KR100958703B1 (ko) 2010-05-18

Family

ID=4168864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80054234A KR100958703B1 (ko) 2008-06-10 2008-06-10 압축 쓰레기통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958703B1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15137550A1 (ko) * 2014-03-11 2015-09-17 이정희 잔뇨 처리지 및 잔뇨 처리지용 휴지통
CN105752558A (zh) * 2016-04-12 2016-07-13 浙江理工大学 一种可压缩垃圾的垃圾桶

Family Cites Familie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70042520A (ko) * 2007-04-03 2007-04-23 정석원 은나노 첨가 소화기능 물분사 압축 휴지통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15137550A1 (ko) * 2014-03-11 2015-09-17 이정희 잔뇨 처리지 및 잔뇨 처리지용 휴지통
CN105752558A (zh) * 2016-04-12 2016-07-13 浙江理工大学 一种可压缩垃圾的垃圾桶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0958703B1 (ko) 2010-05-18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989172B1 (ko) 압축수단이 구비된 쓰레기통
KR100885858B1 (ko) 가압수단이 구비된 뚜껑 잠금 타입 음식물 쓰레기통
KR100958703B1 (ko) 압축 쓰레기통
KR200476988Y1 (ko) 압축 쓰레기통
KR101993773B1 (ko) 쓰레기통
KR101226106B1 (ko) 친환경 쓰레기통
KR100868304B1 (ko) 가압수단이 구비된 뚜껑 잠금 타입 음식물 쓰레기통
KR101209592B1 (ko) 압축형 음식물 쓰레기통
KR101924105B1 (ko) 압축 쓰레기통
KR101218323B1 (ko) 압축 작업시 뚜껑이 고정되는 압축 쓰레기통
KR20110084735A (ko) 쓰레기통 압착장치
KR101244453B1 (ko) 압축 쓰레기통
KR101810887B1 (ko) 음식물 쓰레기 봉투
KR20010002070A (ko) 쓰레기 통
KR20030018122A (ko) 압착식 쓰레기통
KR200308577Y1 (ko) 압착식 쓰레기통
KR20160018237A (ko) 종량봉투 압축 쓰레기통
KR100629421B1 (ko) 음식물 쓰레기통
KR100629420B1 (ko) 음식물 쓰레기통
KR200454578Y1 (ko) 쓰레기 봉투용 압착 쓰레기통
KR101969119B1 (ko) 압축 쓰레기통
KR200262597Y1 (ko) 압착식 쓰레기통
KR20230136246A (ko) 덮개형 휴지통 누름 뚜껑
KR100828123B1 (ko) 압축 쓰레기통
KR0127839Y1 (ko) 쓰레기 압축기능을 갖는 쓰레기 수거함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0511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0423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0603

Year of fee payment: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503

Year of fee payment: 7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509

Year of fee payment: 8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513

Year of fee payment: 1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