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90127496A - 광학소자, 이를 구비하는 백라이트 유닛 및 액정표시장치 - Google Patents

광학소자, 이를 구비하는 백라이트 유닛 및 액정표시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90127496A
KR20090127496A KR1020080053508A KR20080053508A KR20090127496A KR 20090127496 A KR20090127496 A KR 20090127496A KR 1020080053508 A KR1020080053508 A KR 1020080053508A KR 20080053508 A KR20080053508 A KR 20080053508A KR 20090127496 A KR20090127496 A KR 20090127496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base film
pattern
liquid crystal
microscopic optical
presen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80053508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0985733B1 (ko
Inventor
박정호
성기성
도영수
김도윤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엘엠에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엘엠에스 filed Critical 주식회사 엘엠에스
Priority to KR1020080053508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985733B1/ko
Priority to US12/996,933 priority patent/US20110085108A1/en
Priority to PCT/KR2009/003088 priority patent/WO2009151260A2/ko
Priority to JP2011513420A priority patent/JP2011523102A/ja
Priority to CN2009801215991A priority patent/CN102066991A/zh
Publication of KR20090127496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90127496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985733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985733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2OPTICS
    • G02BOPTICAL ELEMENTS, SYSTEMS OR APPARATUS
    • G02B5/00Optical elements other than lenses
    • G02B5/02Diffusing elements; Afocal elements
    • GPHYSICS
    • G02OPTICS
    • G02BOPTICAL ELEMENTS, SYSTEMS OR APPARATUS
    • G02B5/00Optical elements other than lenses
    • G02B5/02Diffusing elements; Afocal elements
    • G02B5/0273Diffusing elements; Afocal elements characterized by the use
    • G02B5/0278Diffusing elements; Afocal elements characterized by the use used in transmission
    • GPHYSICS
    • G02OPTICS
    • G02BOPTICAL ELEMENTS, SYSTEMS OR APPARATUS
    • G02B5/00Optical elements other than lenses
    • G02B5/02Diffusing elements; Afocal elements
    • G02B5/0205Diffusing elements; Afocal elements characterised by the diffusing properties
    • G02B5/021Diffusing elements; Afocal elements characterised by the diffusing properties the diffusion taking place at the element's surface, e.g. by means of surface roughening or microprismatic structures
    • G02B5/0231Diffusing elements; Afocal elements characterised by the diffusing properties the diffusion taking place at the element's surface, e.g. by means of surface roughening or microprismatic structures the surface having microprismatic or micropyramidal shape
    • GPHYSICS
    • G02OPTICS
    • G02BOPTICAL ELEMENTS, SYSTEMS OR APPARATUS
    • G02B5/00Optical elements other than lenses
    • G02B5/02Diffusing elements; Afocal elements
    • G02B5/0205Diffusing elements; Afocal elements characterised by the diffusing properties
    • G02B5/0257Diffusing elements; Afocal elements characterised by the diffusing properties creating an anisotropic diffusion characteristic, i.e. distributing output differently in two perpendicular axes
    • GPHYSICS
    • G02OPTICS
    • G02BOPTICAL ELEMENTS, SYSTEMS OR APPARATUS
    • G02B5/00Optical elements other than lenses
    • G02B5/02Diffusing elements; Afocal elements
    • G02B5/0205Diffusing elements; Afocal elements characterised by the diffusing properties
    • G02B5/0263Diffusing elements; Afocal elements characterised by the diffusing properties with positional variation of the diffusing properties, e.g. gradient or patterned diffuser
    • GPHYSICS
    • G02OPTICS
    • G02BOPTICAL ELEMENTS, SYSTEMS OR APPARATUS
    • G02B5/00Optical elements other than lenses
    • G02B5/04Prisms
    • GPHYSICS
    • G02OPTICS
    • G02FOPTICAL 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LIGHT BY MODIFICATION OF THE OPTICAL PROPERTIES OF THE MEDIA OF THE ELEMENTS INVOLVED THEREIN; NON-LINEAR OPTICS; FREQUENCY-CHANGING OF LIGHT; OPTICAL LOGIC ELEMENTS; OPTICAL ANALOGUE/DIGITAL CONVERTERS
    • G02F1/00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colour, phase, polarisation or direction of light arriving from an independent light source, e.g. switching, gating or modulating; Non-linear optics
    • G02F1/01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colour, phase, polarisation or direction of light arriving from an independent light source, e.g. switching, gating or modulating; Non-linear optic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phase, polarisation or colour 
    • G02F1/13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colour, phase, polarisation or direction of light arriving from an independent light source, e.g. switching, gating or modulating; Non-linear optic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phase, polarisation or colour  based on liquid crystals, e.g. single liquid crystal display cells
    • G02F1/133Constructional arrangements; Operation of liquid crystal cells; Circuit arrangements
    • G02F1/1333Constructional arrangements; Manufacturing methods
    • G02F1/1335Structural association of cells with optical devices, e.g. polarisers or reflectors

Landscapes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Optics & Photonics (AREA)
  • Nonlinear Science (AREA)
  • Mathematical Physics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rystallography & Structural Chemistry (AREA)
  • Optical Elements Other Than Lenses (AREA)
  • Liquid Crystal (AREA)
  • Planar Illumination Modul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액정표시장치에서 휘도 특성을 최대한 유지하면서 집광효과를 높이고 넓은 시야각을 갖도록 하는 광학소자와 이를 포함하는 백라이트 유닛 및 액정표시장치에 관한 것이다.
이를 위하여 본 발명의 광학소자는,
광 투과성을 갖는 베이스 필름; 및 상기 베이스 필름의 적어도 일면에 형성된 다수의 미세광학패턴; 을 포함하고,
상기 각 미세광학패턴은 상기 베이스 필름의 표면과 접하는 부분이 타원형상이고 상기 미세광학패턴의 산의 높이가 상기 타원형상의 장축을 따라 그 중심부에서 양단부로 갈수록 낮아지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광학소자, 액정표시장치, 백라이트 유닛, 미세광학패턴, 베이스 필름

Description

광학소자, 이를 구비하는 백라이트 유닛 및 액정표시장치{OPTICAL ELEMENT, BACKLIGHT UNIT AND LIQUID CRYSTAL DISPLAY INCLUDING THE SAME}
본 발명은 액정표시장치에 사용되는 광학소자에 관한 것으로서, 특히 액정표시장치에서 고휘도 특성을 최대한 유지하면서 집광 효과를 높이고 넓은 시야각을 갖도록 하는 광학소자와, 이를 포함하는 백라이트 유닛 및 액정표시장치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액정표시장치(LCD:Liquid Crystal Display)에서 널리 사용되는 광학소자로는 도광판, 확산판, 프리즘시트, 액정패널 등이 있다. 이러한 광학소자들은 액정표시장치의 광확산, 집광, 휘도개선 등을 위하여 통상적으로 사용되고 있다. 예를 들어, 액정표시장치에 사용되는 백라이트 유닛에서는 광원으로부터 입사된 광선이 도광판을 통해 면광원으로 전환된 후 확산판에 의해 확산되어 프리즘시트의 하방에 입사된다. 이때 프리즘시트는 입사된 광을 광출사면에서 집광함으로써 액정표시장치의 휘도를 향상시킬 수 있다.
도 1은 종래의 일반적인 액정표시장치의 개략적인 단면도이다.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액정표시장치(10)는 크게 백라이트 유닛(A)과 패널 유닛(B)으로 구성된다. 백라이트 유닛(A)은 광원(10)으로부터 입사된 광선을 확산 출사시키는 도광판(12)과 확산판(13), 확산판(13)으로부터 입사되는 광을 집광시켜 출사시키는 하나 이상의 프리즘시트(14), 프리즘시트(14)로부터 입사되는 광을 선택 반사시키는 반사편광막(15) 및 반사편광막(15)을 투과한 원편광을 선편광으로 전환시키는 위상지연층(16)을 포함하여 구성된다. 패널 유닛(B)은 백라이트 유닛(A)으로부터 출사되는 광 중에서 선편광은 투과시키며 원편광은 50%를 투과시키고 나머지는 흡수하는 흡수형 편광막(17) 및 시각적으로 화면을 표시하는 액정패널(18)을 포함하여 구성된다. 미설명된 도면부호 11은 반사판이다.
이러한 액정표시장치에 사용되는 각종 광학소자의 경우 고휘도를 위한 집광기능의 향상에 대한 기술개발이 중점적으로 이루어졌다. 이는 LCD 장치가 모바일, 노트북 컴퓨터 등 개인용 전자기기에 주로 사용되기 때문이다. 따라서 이러한 개인용 전자기기의 경우 시야각은 큰 문제로 대두되지 않았다. 그런데, 최근 들어 LCD TV가 대형화되고 가격 인하로 대중화되면서 여러 시청자가 동시에 시청할 수 있고, 특히 차량의 네비게이션 장치는 운전석과 보조석에서 동시에 확인할 수 있도록 넓은 시야각이 요구되고 있다.
이에 따라, 종래에는 광시야각을 갖는 광학소자로서 확산시트를 여러 장 적층하여 사용하는 방법과 반사 편광 필름을 사용하는 방법이 있다. 전자의 확산시트를 여러 장 사용하는 방법은 휘도 상승에 한계가 있으며 여러 장 적층함으로써 제 품두께가 두꺼워지는 단점이 있으며, 후자의 반사 편광 필름을 사용하는 방법은 반사 편광 필름이 아직까지 시장 독점적 상품이라 그 가격이 비싸 제품의 경쟁력을 떨어뜨리는 문제점이 있다.
따라서, 해당 기술분야에서는 액정표시장치에서 넓은 시야각을 갖도록 하는 광학소자에 대한 기술개발이 계속 요구되어 오고 있다.
본 발명은 상기한 종래기술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제안된 것으로서, 액정표시장치에서 고휘도 특성을 최대한 유지하면서 슬림하면서도 저렴한 비용으로 집광 효과를 높이고 넓은 시야각을 갖도록 하는 광학소자를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또한, 본 발명은 이러한 광학소자를 포함하는 백라이트 유닛 및 액정표시장치를 제공하는데 다른 목적이 있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에 따른 광학소자는,
광 투과성을 갖는 베이스 필름; 및 상기 베이스 필름의 적어도 일면에 형성된 다수의 제1 미세광학패턴; 을 포함하고,
상기 각각의 제1 미세광학패턴은 상기 베이스 필름의 표면과 접하는 부분이 타원형상이고 상기 제1 미세광학패턴의 산의 높이가 상기 타원형상의 장축을 따라 그 중심부에서 양단부로 갈수록 낮아지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실시 예에서, 본 발명의 광학소자는 상기 베이스 필름의 일면에 상기 다수의 제1 미세광학패턴이 형성된 경우, 상기 베이스 필름의 일면의 반대면에 길이방향으로 복수의 산과 밸리가 연속적으로 형성된 제2 미세광학패턴을 추가로 포함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제1 미세광학패턴 및 제2 미세광학패턴은 각각의 산이 서로 수직으로 교차하도록 배열된 것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의 실시 예에서, 상기 제1 미세광학패턴의 산은 상기 타원형상의 장축을 따라 일정한 곡률반경으로 만곡되어 이루어진 것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의 실시 예에서, 상기 제1 미세광학패턴의 산의 중심부 높이는 0.2~200㎛인 것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의 실시 예에서, 상기 제1 미세광학패턴의 타원형상은 단축 및 장축의 길이가 각각 1~5000㎛ 및 1~100㎛인 것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의 실시 예에서, 상기 미세광학패턴의 타원형상은 장축:단축의 비가 1:1 초과 내지 1:50000 이하인 것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의 실시 예에서, 상기 제1 미세광학패턴 사이의 거리는 1~5000㎛인 것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의 실시 예에서, 상기 제1 미세광학패턴은 매트릭스 형태 또는 서로 교차로 배열된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본 발명은 상기한 제1 실시 예 및 제2 실시 예에 따른 광학소자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백라이트 유닛을 제공한다.
나아가, 본 발명은 이러한 백라이트 유닛을 포함하여 구성된 액정표시장치를 제공한다.
본 발명에 의하면 액정표시장치에서 저렴한 비용으로 집광 효과를 높이고 넓은 시야각을 구현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에서는 정면에서의 휘도뿐만 아니라 측면에서의 휘도를 향상시켜 액정표시장치의 화면 전체에 걸쳐 고른 휘도를 유지할 수 있다.
이하에서,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의 상세한 설명이 첨부된 도면들을 참조하여 설명할 것이다. 본 발명에 따른 광학소자는 액정표시장치에 통상적으로 사용되는 어떠한 구조에도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이 광범위하게 적용될 수 있다. 따라서 이하에서 기술되는 광학소자는 액정표시장치에 사용되는 소자의 기본적인 구조로서 본 발명을 설명하기 위한 예시로서 제공된다.
나아가, 하기에서 본 발명을 설명함에 있어, 관련된 공지 기능 또는 구성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발명의 요지를 불필요하게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에는 그 상세한 설명을 생략할 것이다.
도 2a 및 도 2b는 본 발명의 제1 실시 예에 따른 광학소자의 사시도이다.
도 2a 및 도 2b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제1 실시 예에 따른 광학소자(100)는 광 투과성을 갖는 베이스 필름(110) 및 그 베이스 필름(110)의 적어도 일면에 형성된 다수의 미세광학패턴(120)을 포함하여 구성된다.
본 발명에 따른 베이스 필름(110)은 입사되는 광을 투과시키는 재료로서, 예컨대, PC(Polycarbonate), PET(Polyester), PE(Polyethylene), PP(Polypropylene), PMMA(Polymethly Methacrylate) 중에서 선택된 하나를 포함한다.
본 발명에 따른 다수의 미세광학패턴(120)은 소정 높이의 산(121)을 갖도록 베이스 필름(110)의 적어도 일면에 형성되고 그 베이스 필름(110)으로 입사된 광을 집광 및 확산시킨다. 이러한 미세광학패턴(120)은 베이스 필름(110)의 적어도 일면에 일체로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다수의 미세광학패턴(120)은 상부에서의 단면투영시 타원형상(122)을 갖는다. 다시 말하면, 본 발명에 따른 각 미세광학패턴(120)은 베이스 필름(110)의 적어도 일면과 접하는 부분이 타원형상(122)이다. 이때 바람직하게는 미세광학패턴(120)의 산(121)은 이러한 타원형상(122)의 장축을 따라서 그 중심부에서 양단부로 갈수록 높이가 낮아진다. 보다 바람직하게는 미세광학패턴(120)의 산(121)은 타원형상(122)의 장축을 따라 일정한 곡률반경으로 만곡되어 이루어진다.
본 발명의 실시 예에서, 이러한 타원형상에서 장축(21)의 길이는 1~5000㎛인 것이 바람직하고, 단축(22)의 길이는 1~100㎛인 것이 바람직하다. 이때, 이러한 타원형상의 단축과 장축의 길이 비율은 1:1을 초과하고 1:50000 이하인 것이 바람직하다. 보다 더 바람직하게는 1:1000 이하인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이러한 미세광학패턴(120) 간의 거리는 1~5000㎛인 것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의 실시 예에서, 이러한 장축대 단축의 길이비와 미세광학패턴(120) 간의 거리는 입사광의 집광 및 화 산 효율에 따라 결정될 수 있고 나아가 액정표시장치의 측면부에서의 휘도에 의해 결정될 수 있다.
한편, 본 발명에 따른 다수의 미세광학패턴(120)은 서로 일정한 간격으로 배열된다. 본 발명의 일례로서, 도 2a와 같이 다수의 미세광학패턴(120)은 종횡으로 나열된 매트릭스(matrix) 형태로 배열될 수 있다. 다른 예로서, 도 2b와 같이 다수의 미세광학패턴(120)은 서로 교차하도록 배열될 수도 있다.
도 3은 도 2의 A-A'를 나타낸 단면도 및 사시도이고, 도 4는 도 2의 B-B'를 나타낸 단면도이다.
도 3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제1 실시 예에 따른 미세광학패턴(120)은 그 단면투영시 실질적으로 삼각형상의 단면을 갖는다. 이러한 삼각형상의 중심부(121a)는 미세광학패턴(120)에서 산(121)의 일부가 된다. 이때 상기 중심부(121a)에서 타원형상(122)의 단축(22)을 따라 베이스 필름(110)의 표면(122a)까지 이르는 측면부의 라인(A,B)은 곡선인 것이 바람직하다. 왜냐하면, 이러한 측면부 라인(A,B)이 곡선인 경우에는 입사광이 집광될 뿐만 아니라 측면으로도 확산되기 때문이다. 그러나 본 발명은 이에 한정되지 않고 직선의 형태로 구현이 가능하다. 이 경우 입사광의 확산보다는 집광이 더 강하게 일어난다. 이로써 미세광학패턴(120)은 입사광의 집광뿐만 아니라 측면으로의 확산기능도 함께 구현할 수 있다. 또한, 미세광학패턴(120)은 그 산(121)이 타원형상(122)의 장축(21)을 따라서 소정의 높이를 갖는다. 이때, 이러한 산(121)의 높이는 바람직하게는 타원형상(122)의 장축(21)을 따 라 변한다. 이는 도 4에서 구체적으로 설명된다. 도면에는 미세광학패턴(120)의 단면이 삼각형상으로 형성된 것으로 도시되어 있으나, 본 발명은 이에 한정되지 않고 정삼각형, 이등변삼각형, 원호형, 사다리형, 사각형 등 다양한 형상으로 구현이 가능하다. 또한 액정표시장치에서 측면부에서의 휘도를 높여 넓은 시야각의 확보를 위하여 미세광학패턴(120)의 산(121)이 상하로 배열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도 4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제1 실시 예에 따른 각 미세광학패턴(120)은 베이스 필름(110)의 적어도 일면과 접하는 부분인 타원형상(122)의 장축(21)을 따라서 미세광학패턴(120)의 산(121)이 그 중심부(121a)에서 양단부(121b)로 갈수록 높이가 낮아진다. 다시 말하면, 미세광학패턴(120)은 그 중심부(121a)에서 산(121)의 높이가 가장 높고 양 끝단부(121b)로 갈수록 높이는 낮아진다. 특히, 바람직하게는 미세광학패턴(120)의 산(121)은 이러한 타원형상(122)의 장축(21)을 따라서 일정한 곡률반경으로 만곡되어 있다. 이때 중심부(121a)에서 산(121)의 높이는 0.2~200㎛인 것이 바람직하다. 이러한 산(121)의 높이가 위 범위보다 작거나 커지게 되면 가공이 난해해지고 집광효율이 저하되어 유의한 값을 가질 수 없게 된다.
도 4에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로서 미세광학패턴(120)의 측단면에서 볼 때, 산(121)이 일정한 곡률반경으로 만곡된 것으로 도시되어 있으나, 본 발명은 이러한 구조에 한정되지 않는다. 다른 예로서, 중심부(121a)에서 양단부(121a)까지 서로 다른 곡률반경으로 만곡될 수 있고 직선으로 구현될 수도 있다. 그러나 액정표시장치에 적용될 경우 가시면 전체에 고른 휘도를 제공하기 위해 중심부(121a)에 서 장축(21)을 따라 양단부(121b)로 이어지는 산(121)의 형상은 서로 대칭되는 것이 바람직하며, 보다 바람직하게는 일정한 곡률반경으로 만곡된 것이 양호하다.
한편, 본 발명의 제1 실시 예에 따른 광학소자(100)는 백라이트 유닛 및 액정표시장치에 사용될 수 있다. 이 경우 미세광학패턴(120)은 베이스 필름(110)의 상면에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로써 하부의 광원(미도시)에서 발생된 광이 베이스 필름(110)을 투과하여 미세광학패턴(120)으로 입사되면 그 입사광을 집광함과 동시에 측면으로 확산시킨다. 이로써 휘도 특성을 유지하면서 넓은 시야각을 구현할 수 있다. 이때, 액정표시장치에서 정면 및 측면에서의 휘도 특성을 고려하여 미세광학패턴(120)의 크기, 밀도, 산의 곡률반경 등을 적절하게 조정할 수 있다.
여기서, 본 발명의 실시 예는 상기 구조에 한정되지 않고 베이스 필름(110)의 상면 및 하면에 동시에 미세광학패턴(120)이 형성될 수도 있다. 이 경우에, 하면의 미세광학패턴(120)에 의해 집광 및 확산된 광이 베이스 필름(110)을 투과한 후 상면의 미세광학패턴(120)에 의해 다시 집광 및 확산된다 이와 같이, 본 발명의 제1 실시 예에 따른 광학소자(100)는 액정표시장치의 백라이트 유닛에 적용되는 경우, 도면에 도시된 구조뿐만 아니라, 상하 대칭구조로도 적용될 수 있다.
이러한 본 발명의 제1 실시 예에 따른 광학소자(100)는 액정표시장치의 백라이트 유닛에서 확산판으로 이용될 수 있다. 예컨대, 이러한 광학소자(100)가 확산판으로 이용되는 경우 베이스 필름(110)은 PET 필름을 이용할 수 있다.
도 5는 본 발명의 제2 실시 예에 따른 광학소자의 개략적인 사시도이다.
도 5를 참조하면, 본 발명에 따른 제2 실시 예에 따른 광학소자(200)는 광 투과성을 갖는 베이스 필름(210), 그 베이스 필름(210)의 일면에 형성된 제1 미세광학패턴(220) 및 그 베이스 필름(222)의 타면에 형성된 제2 미세광학패턴(230)을 포함하여 구성된다.
본 발명에 따른 베이스 필름(210)은 입사되는 광을 투과시키는 재료로서, 예컨대, PC(Polycarbonate), PET(Polyester), PE(Polyethylene), PP(Polypropylene), PMMA(Polymethly Methacrylate) 중에서 선택된 하나를 포함한다.
본 발명에 따른 다수의 제1 미세광학패턴(220)은 소정 높이의 산(221)을 갖도록 베이스 필름(210)의 일면에 형성되고 그 베이스 필름(210)으로 입사된 광을 집광 및 확산시킨다. 이러한 제1 미세광학패턴(220)은 베이스 필름(210)의 일면에 일체로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의 제2 실시 예에 따른 베이스 필름(210) 및 제1 미세광학패턴(220)은 도 2 내지 도 4에서 설명한 본 발명의 제1 실시 예에 따른 베이스 필름(110) 및 미세광학패턴(120)과 구성 및 작용이 동일하므로 그에 대한 중복 설명은 생략한다.
본 발명에 따른 제2 미세광학패턴(230)은 베이스 필름(210)에서 제1 미세광학패턴(220)이 형성된 일면의 반대면에 형성된다. 본 발명의 일례로서 제2 미세광학패턴(230)은 복수의 산(231)과 밸리(232)가 연속으로 형성된 프리즘 패턴인 것이 바람직하다. 즉, 예를 들어 제2 미세광학패턴(230)은 베이스 필름(210)의 길이방향 을 따라서 실질적으로 삼각형상이 연속적으로 배열되어 다수의 산(231)과 밸리(232)가 서로 이웃하도록 연속 배열된 프리즘 패턴으로 이루어질 수 있다. 바람직하게는 이러한 제2 미세광학패턴(230)은 하부에서 입사된 광을 집광시켜 상부로 출사하는 기능을 수행한다. 이로써 상부에 있는 액정패널(미도시)의 가시면 전체에 걸쳐 휘도를 향상시키는 기능을 한다. 이러한 제2 미세광학패턴(230)을 이루는 개개의 프리즘은 그 단면투영시 삼각형상, 원호형상, 다각형상 중 어느 하나의 단면을 갖는다.
도 6은 도 5의 C-C'를 나타낸 사시도이다.
도 6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제2 실시 예에 따른 제1 미세광학패턴(220) 및 제2 미세광학패턴(230)은 그 단면투영시 실질적으로 삼각형상의 단면을 갖는다. 이때, 이러한 삼각형상의 단면에서 제1 미세광학패턴(220)의 경우 산(211)에서 타원형상(222)까지 이르는 라인(A,B)은 곡선인 것이 바람직하고, 제2 미세광학패턴(230)의 경우 산(231)에서 밸리(232)에 이르는 라인은 직선인 것이 바람직하다. 도면에서는 일례로서 제1 미세광학패턴(220) 및 제2 미세광학패턴(230)의 각 산(221,231)이 평행하게 형성되어 있으나, 다른 예로서 상기 각 산(221,231)은 서로 교차되도록 형성될 수도 있다. 여기서 액정표시장치에서 측면부(좌우)에서의 휘도를 높여 넓은 시야각을 확보하기 위해서는 제1 미세광학패턴(220)의 산(221)이 액정표시장치에서 상하로 배열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한편, 본 발명의 제2 실시 예에 따른 광학소자(200)는 백라이트 유닛 및 액정표시장치에 적용될 수 있다. 이 경우, 제1 미세광학패턴(220)은 베이스 필름(210)의 하면에, 제2 미세광학패턴(230)은 상면에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로써 하부의 광원(미도시)에서 발생된 광이 하면의 제1 미세광학패턴(220)으로 입사되면 그 입사광을 집광 및 확산시켜 베이스 필름(210)으로 출사하고, 이후 베이스 필름(210)을 투과하여 제2 미세광학패턴(230)으로 입사되면 그 입사광을 집광하여 상부로 출사시킨다. 이로써 휘도 특성을 유지하면서 넓은 시야각을 구현할 수 있다. 액정표시장치에서 정면 및 측면의 휘도 특성을 고려하여 제1 미세광학패턴(220)의 크기, 밀도, 산의 곡률반경 등을 적절하게 조정할 수 있다.
여기서, 본 발명의 실시 예는 상기 구조에 한정되지 않고 베이스 필름(210)을 기준으로 상면에 제1 미세광학패턴(220)이, 하면에 제2 미세광학패턴(230)이 형성될 수도 있다. 이 경우 하부로부터 입사되는 입사광은 제2 미세광학패턴(230)에 의해 집광되어 베이스 필름(210)으로 출사되고, 베이스 필름(210)을 통과하여 출사된 광은 다시 제1 미세광학패턴(220)에 의해 집광 및 확산이 일어나게 된다. 이러한 광의 확산을 통하여 측면에서의 넓은 시야각을 확보할 수 있다.
이러한 본 발명의 제2 실시 예에 따른 광학소자(200)는 액정표시장치의 백라이트 유닛에서 통상의 프리즘시트(prism sheet)로 이용될 수 있다. 이 경우에 베이스 필름(210)은 PET 필름을 이용할 수 있다.
도 7 및 도 8은 종래의 광학소자와 본 발명에 따른 광학소자에서 출사되는 광의 경로를 비교하기 위한 시뮬레이션 결과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7(a)는 종래의 광학소자의 측면에서 광의 경로를 나타낸 시뮬레이션 결과이고, 도 7(b)는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광학소자의 측면에서 광의 경로를 나타낸 시뮬레이션 결과이다. 도면에 나타난 바와 같이, 종래의 광학소자는 측단면이 직선으로 형성되어 광의 확산이나 집광력이 거의 없고, 본 발명의 광학소자는 측단면이 렌즈형태, 즉 일정한 곡률을 만곡되도록 형성되어 광의 확산 및 집광력이 발생함을 알 수 있다.
또한, 도 8(a)는 종래의 광학소자의 사시도에서 광의 경로를 나타낸 시뮬레이션 결과이고, 도 8(b)는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광학소자의 사시도에서 광의 경로를 나타낸 시뮬레이션 결과이다. 도면에 나타난 바와 같이 종래의 광학소자의 경우 삼각형 프리즘에서는 집광력만 발생함을 알 수 있고, 본 발명의 광학소자의 경우 집광력뿐만 아니라 측면으로의 확산력도 함께 발생함을 알 수 있다.
이러한 시뮬레이션 결과를 통하여 본 발명의 광학소자는 상방으로의 집광 및 측면으로의 확산도 함께 구현됨을 알 수 있고, 이로써 액정표시장치에서 시야각을 넓게 확보할 수 있게 된다.
도 9는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광학소자를 포함한 액정표시장치의 일부를 개략적으로 도시한 도면이다.
도 9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액정표시장치(700)는 백라이트 유닛(A)과 패널 유닛(B)로 구성된다. 이러한 액정표시장치(700)에서는 광원(710)에서 입사된 광과 반사판(711)에서 반사된 광을 확산 및 출사시키는 도광판(720)과 확산판(730), 확산판(730)으로부터 입사되는 입사광을 집광시키는 하나 이상의 프리즘시트 (740), 프리즘시트(740)로부터 입사된 광을 선택반사시키는 반사편광막(750), 반사편광막(750)을 투과한 원편광을 선편광으로 전환시키는 위상지연층(760), 위상지연층(760)을 통과한 광 중 선편광은 투과시키며, 원편광은 50%를 투과시키고 나머지는 흡수하는 흡수형 편광막(770) 및 화면을 표시하는 액정패널(780)을 포함하여 구성된다.
이때, 본 발명의 실시 예들에 따른 광학소자를 이용하여 확산판(730) 또는 프리즘시트(740)를 구현하는 경우, 확산판(730) 및 프리즘시트(740) 중 적어도 하나의 일면(예:하부면)에 각각 다수의 미세광학패턴(731,743a,743b)이 형성됨으로써 광을 집광 및 확산시키도록 한다. 또한, 본 발명의 실시 예에서 프리즘시트(740)의 경우 하부 프리즘시트(741) 상부에 상부 프리즘시트(742)가 적층된 구조를 가질 수 있다.
도 9에서는 액정표시장치의 일례를 도시한 것으로서, 본 발명의 다른 실시 예에서 확산판(730) 및 프리즘시트(740)는 다양하게 구현될 수도 있다. 예를 들어, 도 9에서 확산판(730) 및 프리즘시트(740)는 베이스 필름의 상면 또는 양면에 각각 다수의 미세광학패턴(731,743a,743b)이 형성됨으로써 광을 집광 및 확산시키도록 할 수도 있다.
이와 같이 본 발명에서는 광학소자가 백라이트 유닛에서 다양한 형태로 구현될 수 있으며, 특히 미세광학패턴에서 입사광을 집광 및 확산시킴으로써 휘도 특성 을 최대한 유지하면서 측면에서의 넓은 시야각을 확보할 수 있다.
상기 도면과 발명의 상세한 설명은 단지 본 발명의 예시적인 것으로서, 이는 단지 본 발명을 설명하기 위한 목적에서 사용된 것이지 의미한정이나 특허청구범위에 기재된 본 발명의 범위를 제한하기 위하여 사용된 것은 아니다. 그러므로 본 기술 분야의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이로부터 다양한 변형 및 균등한 타 실시형태가 가능하다는 점을 이해할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의 진정한 기술적 보호 범위는 첨부된 특허청구범위의 기술적 사상에 의해 정해져야 할 것이다.
최근 들어 액정표시장치(LCD)는 휴대폰, TV, 네비게이션, 각종 모니터와 같은 디스플레이 장치에서 그 사용폭이 점점 확대되고 있으며 향후에도 이러한 추세는 계속될 것으로 예상된다. 특히 디스플레이 장치가 대형화되면서 정면의 휘도뿐만 아니라 측면에서의 휘도가 중요한 요소가 되고 있다. 따라서 액정표시장치에 사용되는 각종 광학소자에서 넓은 시야각을 위한 기술개발이 활발히 진행되고 있다.
이러한 측면에서 볼 때, 본 발명에 따른 액정표시장치에 사용되는 광학소자는 고휘도 특성을 유지하면서 저렴한 비용으로 집광 기능을 높이고 넓은 시야각을 구현할 수 있기 때문에 최종적으로 제품의 품질향상에 기여할 수 있다. 이러한 이유에서 본 발명의 광학소자는 향후 디스플레이 장치에서 널리 이용될 수 있을 것으로 판단된다.
도 1은 종래의 일반적인 액정표시장치의 개략적인 단면도이다.
도 2a 및 도 2b는 본 발명의 제1 실시 예에 따른 광학소자의 개략적인 사시도이다.
도 3은 도 2의 A-A'를 나타낸 단면도 및 사시도이다.
도 4는 도 2의 B-B'를 나타낸 단면도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제2 실시 예에 따른 광학소자의 개략적인 사시도이다.
도 6은 도 5의 C-C'를 나타낸 사시도이다.
도 7 및 도 8은 종래의 광학소자와 본 발명의 광학소자에서의 광의 경로를 시뮬레이션한 결과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9는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광학소자를 포함한 액정표시장치의 일부를 개략적으로 도시한 도면이다.

Claims (12)

  1. 광 투과성을 갖는 베이스 필름; 및
    상기 베이스 필름의 적어도 일면에 형성된 다수의 제1 미세광학패턴; 을 포함하고,
    상기 각 제1 미세광학패턴은 상기 베이스 필름의 표면과 접하는 부분이 타원형상이고 상기 제1 미세광학패턴의 산의 높이가 상기 타원형상의 장축을 따라 그 중심부에서 양단부로 갈수록 낮아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광학소자.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베이스 필름의 일면에 상기 다수의 제1 미세광학패턴이 형성된 경우, 상기 베이스 필름의 일면의 반대면에 길이방향으로 복수의 산과 밸리가 연속적으로 형성된 제2 미세광학패턴을 추가로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광학소자.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제1 미세광학패턴 및 제2 미세광학패턴은 각각의 산이 서로 수직으로 교차하도록 배열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광학소자.
  4.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제1 미세광학패턴의 산은 상기 타원형상의 장축을 따라 일정한 곡률반 경으로 만곡되어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광학소자.
  5.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제1 미세광학패턴의 산의 중심부 높이는 0.2~200㎛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광학소자.
  6.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제1 미세광학패턴의 타원형상은 장축 및 단축의 길이가 각각 1~5000㎛ 및 1~100㎛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광학소자.
  7. 제6항에 있어서,
    상기 제1 미세광학패턴의 타원형상은 단축:장축의 비가 1:1 초과 내지 1:50000 이하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광학소자.
  8.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제1 미세광학패턴 사이의 거리는 1~5000㎛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광학소자.
  9.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제1 미세광학패턴은 매트릭스 형태로 배열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광학 소자.
  10.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제1 미세광학패턴은 서로 교차로 배열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광학소자.
  11. 제1항 또는 제2항에 기재된 광학소자를 포함하여 구성된 백라이트 유닛.
  12. 제11항에 기재된 백라이트 유닛을 포함하여 구성된 액정표시장치.
KR1020080053508A 2008-06-09 2008-06-09 광학소자, 이를 구비하는 백라이트 유닛 및 액정표시장치 KR100985733B1 (ko)

Priority Applications (5)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80053508A KR100985733B1 (ko) 2008-06-09 2008-06-09 광학소자, 이를 구비하는 백라이트 유닛 및 액정표시장치
US12/996,933 US20110085108A1 (en) 2008-06-09 2009-06-09 Optical device, and backlight unit and liquid crystal display including the same
PCT/KR2009/003088 WO2009151260A2 (ko) 2008-06-09 2009-06-09 광학소자, 이를 포함하는 백라이트 유닛 및 액정표시장치
JP2011513420A JP2011523102A (ja) 2008-06-09 2009-06-09 光学素子、これを含むバックライトユニット及び液晶表示装置
CN2009801215991A CN102066991A (zh) 2008-06-09 2009-06-09 光学器件、包括其的背光单元和液晶显示装置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80053508A KR100985733B1 (ko) 2008-06-09 2008-06-09 광학소자, 이를 구비하는 백라이트 유닛 및 액정표시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90127496A true KR20090127496A (ko) 2009-12-14
KR100985733B1 KR100985733B1 (ko) 2010-10-06

Family

ID=4168816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80053508A KR100985733B1 (ko) 2008-06-09 2008-06-09 광학소자, 이를 구비하는 백라이트 유닛 및 액정표시장치

Country Status (2)

Country Link
US (1) US20110085108A1 (ko)
KR (1) KR100985733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243827B1 (ko) * 2010-07-16 2013-03-18 엘지디스플레이 주식회사 도광판 및 이를 포함하는 백라이트유닛

Families Citing this famil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9810942B2 (en) * 2012-06-15 2017-11-07 Apple Inc. Quantum dot-enhanced display having dichroic filter
KR20140109103A (ko) * 2013-03-05 2014-09-15 주식회사 엘엠에스 광학 시트 구조체
US9784902B2 (en) 2013-03-25 2017-10-10 3M Innovative Properties Company Dual-sided film with split light spreading structures
KR102091601B1 (ko) 2013-04-01 2020-03-20 엘지전자 주식회사 반사형 프로젝터용 스크린

Family Cites Familie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3521058B2 (ja) * 1998-06-12 2004-04-19 株式会社エンプラス 導光板、サイドライト型面光源装置及び液晶表示装置
TW579438B (en) * 1999-02-04 2004-03-11 Keiwa Inc Light diffusion plate and backlight device using the same
KR101130877B1 (ko) * 2005-03-29 2012-03-28 엘지디스플레이 주식회사 양면에 돌기가 형성된 광학시트를 포함하는 액정표시장치
KR100866898B1 (ko) * 2006-11-22 2008-11-04 희성전자 주식회사 측면형 백라이트 장치의 도광판 구조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243827B1 (ko) * 2010-07-16 2013-03-18 엘지디스플레이 주식회사 도광판 및 이를 포함하는 백라이트유닛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US20110085108A1 (en) 2011-04-14
KR100985733B1 (ko) 2010-10-06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4741887B2 (ja) 光源装置、表示装置及び端末装置
US20090091836A1 (en) Turning film having multiple slopes
US8272773B2 (en) Illuminating device and display device
WO2007119584A1 (ja) 液晶表示装置
JP2004070309A (ja) プリズムシート及びこれを有する液晶表示器
KR20070007648A (ko) 양방향 광전달 반투과 프리즘 시트, 양방향 백라이트어셈블리 및 이를 포함하는 양방향 액정표시장치
JP2010055057A (ja) 液晶表示装置
JP4752493B2 (ja) 光制御シート、面光源装置
JP5526763B2 (ja) 隠蔽構造体を備えた照明装置と表示装置
JP5641126B2 (ja) 面光源装置および表示装置
KR100985733B1 (ko) 광학소자, 이를 구비하는 백라이트 유닛 및 액정표시장치
US20070133225A1 (en) Lighting unit, electro-optic device, and electronic apparatus
JP2005265894A (ja) 集光フィルタ
JP5050017B2 (ja) 光学素子、これを備えたバックライトユニット及び液晶表示装置
US20070189034A1 (en) High output light guide panel, backlight unit having the light guide panel, and display having the backlight unit
KR101009707B1 (ko) 광학소자, 이를 포함하는 백라이트 유닛 및 액정표시장치
JP2011523102A (ja) 光学素子、これを含むバックライトユニット及び液晶表示装置
JP5293177B2 (ja) 光学シート、面光源装置および表示装置
WO2007026986A1 (en) Display device
US20100231823A1 (en) Optical sheet, surface light source device, and display device
JP2014086245A (ja) 導光板、バックライト・ユニット及びディスプレイ装置
JP2011060455A (ja) 照明ユニット及び表示装置
JP2007225853A (ja) 光学シートとそれを用いたバックライト・ユニットおよびディスプレイ
JP2005234258A (ja) 集光フィルタ、液晶表示装置、及び表示装置
KR100845250B1 (ko) 백라이트 유닛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0924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0821

Year of fee payment: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814

Year of fee payment: 9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823

Year of fee payment: 1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