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90126725A - Management method and system for internet sutdy paper - Google Patents

Management method and system for internet sutdy paper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90126725A
KR20090126725A KR1020080052971A KR20080052971A KR20090126725A KR 20090126725 A KR20090126725 A KR 20090126725A KR 1020080052971 A KR1020080052971 A KR 1020080052971A KR 20080052971 A KR20080052971 A KR 20080052971A KR 20090126725 A KR20090126725 A KR 20090126725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ontent
offline learning
learning object
classification
cod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80052971A
Other languages
Korean (ko)
Inventor
박명선
송근성
이수희
김철우
진영민
임미숙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케이티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케이티 filed Critical 주식회사 케이티
Priority to KR1020080052971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90126725A/en
Publication of KR20090126725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90126725A/en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50/00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implementation of business processes of specific business sectors, e.g. utilities or tourism
    • G06Q50/10Services
    • G06Q50/20Education

Landscapes

  •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Tourism & Hospitality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Human Resources & Organizations (AREA)
  • Primary Health Care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Economics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Educational Administration (AREA)
  • Marketing (AREA)
  • Educational Technology (AREA)
  • Strategic Management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Management, Administration, Business Operations System, And Electronic Commerce (AREA)

Abstract

PURPOSE: A method for providing online contents of an offline learning object is provided to transmit only a recognition image of an incomprehensible problem or offline study object information to a contents providing server. CONSTITUTION: To register explanation contents of a specific offline study object, a user interface input window is transmitted to a user terminal(200). Information about the inputted specific offline study object and explanation contents are received. After giving a classification code to the explanation contents, a UCC(User Created Contents) contents providing server(300) matches the given classification code with the explanation contents. A recognition code is searched and is matched with the offline study object information. The classification code is matched with the searched ID code.

Description

오프라인 학습객체의 온라인 콘텐츠 제공방법 및 시스템{MANAGEMENT METHOD AND SYSTEM FOR INTERNET SUTDY PAPER}OFFLINE LEARNING METHOD AND SYSTEM ONLINE CONTENT {MANAGEMENT METHOD AND SYSTEM FOR INTERNET SUTDY PAPER}

본 발명은 오프라인 학습객체의 온라인 콘텐츠 제공방법 및 시스템에 관한 것이다.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method and system for providing online content of an offline learning object.

일반적으로 학생들은 유명 교재/정석 수학/성문 영어/한샘 국어 등을 참고 교재로 사용하고 있다. 하지만, 이러한 교재를 봐도 이해가 잘 안되는 부분에 대해서는 추가 해설 내용을 제공받을 수 없다.In general, students use famous textbooks, regular math, written English, and Hanssem Korean as reference materials. However, these textbooks do not provide additional commentary on parts that are not well understood.

유아용 교재의 경우에는 해설 내용을 성우가 읽어 오디오를 CD 매체 등에 기록하여 함께 보충 교재로 판매하고 있다. 하지만, 부모는 보충 교재가 포함된 교재가 고가이므로 구매하는데 있어 어려움이 있고, 구매하더라도 교재 내용에 매칭되는 CD를 매번 찾아 바꿔줘야만 하는 번거로움이 있다.In the case of textbooks for toddlers, voice actors read the narration and record audio on CD media and sell them together as supplementary materials. However, parents have difficulty in purchasing because the textbooks containing supplements are expensive, and even if you buy, there is a hassle to find and change the CD matching the textbook contents each time.

인터넷 온라인 학습서비스의 경우에는 강사 중심의 콘텐츠를 제작하여 판매하고 있으며, 게시판, 메일 등을 이용하여 질문하고 답을 얻는 방법을 사용하고 있 어 학생들이 스스로 학습하는 과정에서 자신이 모르는 부분만을 해결해 주기 어려웠다. 또한, 사업자 관점에서도 콘텐츠를 제작하는데 막대한 비용이 들어가고, 기본적이 콘텐츠 소비 수요가 발생되지 않으면 사업을 영속하기 어려운 문제점이 있다.In the case of the online online learning service, instructor-centered contents are produced and sold, and questions and answers are obtained through bulletin boards and e-mails, and students solve only the parts they do not know in the process of learning by themselves. It was difficult. In addition, there is a problem in that it is difficult to perpetuate the business unless a huge amount of costs are involved in producing the content, and the basic content consumption demand does not occur from the viewpoint of the operator.

대한민국특허출원 출원번호 10-2006-0101651 호에는 교재용 매체에 소정 분할 영역마다 패턴코드를 실장하고, 패턴코드에 해당하는 분량만큼의 비디오 파일을 분할하여 저장함으로써 비디오 파일을 부분적으로 다운로드 가능하게 하는 패턴코드를 이용한 교육용 비디오 분할 다운로드 시스템 및 방법에 대해 개시하고 있다. 그러나, 기존 교재를 다시 제작해야만 하고, 다시 제작된 교재는 실제 학습과 무관한 코드로 인하여 미관상 좋지 않고 학습 몰입도를 저해하는 문제점이 있다. 또한, 휴대폰의 작은 화면으로 보기 어려워 실제 학습 이해도를 증진하기에는 어려운 문제가 있다.In Korean Patent Application No. 10-2006-0101651, a pattern code is mounted on a teaching material medium for each predetermined area, and the video file can be partially downloaded by dividing and storing a video file corresponding to the pattern code. Disclosed are a video segment download system and method for education using code. However, the existing textbooks have to be re-created, and the re-created textbooks have a problem that they do not look good due to the code that is not related to actual learning and hinder learning immersion. In addition, it is difficult to see the small screen of the mobile phone has a problem that is difficult to promote the actual understanding.

또한, 대한민국특허출원 출원번호 10-2003-0101816 호에는 접속URL정보를 가지는 바코드가 인자된 학습교재 및 학습교재를 이용한 시스템에 대해 개시하고 있다. 그러나, 단말에서 바코드를 인식하고 URL로 변환해서 단말에서 인식하도록 단말에 인식기를 설치해야만 하는 문제점이 있다.In addition, Korean Patent Application No. 10-2003-0101816 discloses a system using a learning textbook and a learning textbook printed with a bar code having access URL information. However, there is a problem in that a recognizer must be installed in the terminal so that the terminal recognizes the barcode, converts the URL into a URL, and recognizes the barcode.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창안된 것으로서, 오프라인 학습객체에서 사용자가 이해가 잘 안되는 내용에 대한 추가해설정보를 IPTV, PC, 휴대단말 등을 통해 온라인으로 제공받을 수 있도록 한 오프라인 학습객체의 온라인 콘텐츠 제공방법 및 시스템을 제공함을 목적으로 한다.The present invention was devised to solve the above problems, and offline learning that allows the user to be provided online via IPTV, PC, mobile terminal, etc. An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to provide a method and system for providing online contents of an object.

상기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에 따른 오프라인 학습객체의 온라인 콘텐츠 등록방법의 일 측면에 따르면, (a) 사용자 단말로 특정 오프라인 학습객체의 해설 콘텐츠를 등록하기 위한 사용자 인터페이스 입력창을 제공하는 단계; (b) 상기 사용자 인터페이스 입력창을 통해 입력된 특정 오프라인 학습객체정보 및 해설 콘텐츠를 수신하는 단계; (c) 상기 해설 콘텐츠에 분류코드를 부여한 후 부여된 분류코드와 해설 콘텐츠를 매칭시켜 저장하는 단계; (d) 상기 오프라인 학습객체정보에 매칭되는 인식코드를 검색하는 단계; 및 (e) 상기 검색된 인식코드에 상기 분류코드를 매핑시켜 저장하는 단계를 포함한다.According to an aspect of the online content registration method of the offline learning object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for achieving the above object, (a) providing a user interface input window for registering commentary content of a specific offline learning object to the user terminal; ; (b) receiving specific offline learning object information and commentary content input through the user interface input window; (c) assigning a classification code to the commentary content and storing the matched classification code with the commentary content; (d) searching for a recognition code matching the offline learning object information; And (e) mapping and storing the classification code on the retrieved recognition code.

상기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에 따른 오프라인 학습객체의 온라인 콘텐츠 제공방법의 일 측면에 따르면, (a) 사용자 단말로부터 전송된 특정 오프라인 학습객체의 인식 이미지를 수신하는 단계; (b) 상기 특정 오프라인 학습객체의 인식 이미지에서 인식코드를 추출하는 단계; (c) 상기 추출된 인식코드에 매핑되는 분류코드를 검색하는 단계; 및 (d) 상기 분류코드에 매칭되는 해설 콘텐츠를 상기 사용자 단말로 전송하는 단계를 포함한다.According to an aspect of the online content providing method of the offline learning object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for achieving the above object, (a) receiving a recognition image of the specific offline learning object transmitted from the user terminal; (b) extracting a recognition code from the recognition image of the specific offline learning object; (c) searching for a classification code mapped to the extracted recognition code; And (d) transmitting narration content matching the classification code to the user terminal.

상기 단계(c)와 단계(d) 사이에, 상기 검색된 분류코드가 다수개인 경우 다수개의 분류코드를 상기 사용자 단말로 전송하는 단계; 상기 사용자 단말로 전송된 다수개의 분류코드 중에서 사용자에 의해 선택된 분류코드를 확인하는 단계를 더 포함한다.Transmitting a plurality of classification codes to the user terminal when the searched classification codes are plural between steps (c) and (d); The method may further include identifying a classification code selected by the user among a plurality of classification codes transmitted to the user terminal.

상기 단계(a)에서, 상기 인식 이미지는, 상기 사용자 단말의 카메라를 통해 촬영된 인식 이미지이다.In the step (a), the recognition image is a recognition image photographed through a camera of the user terminal.

상기 사용자에 의해 선택된 다수개의 분류코드를 저장하는 단계(e)를 더 포함한다.(E) storing a plurality of classification codes selected by the user.

상기 단계(e) 이후에, (f) 상기 사용자 단말로부터 맞춤 콘텐츠 서비스가 요청되는 경우 맞춤 콘텐츠 서비스를 요청한 사용자의 ID에 매칭되는 다수개의 분류코드를 검색하는 단계; (g) 상기 검색된 다수개의 분류코드에 각각 매칭되는 해설 콘텐츠를 검색하여 분석하는 단계; (h) 상기 분석 결과에 따라 상기 맞춤 콘텐츠 서비스를 요청한 사용자에게 적합한 맞춤 콘텐츠를 생성하는 단계; (i) 상기 생성한 맞춤 콘텐츠를 상기 사용자 단말로 전송하는 단계를 더 포함한다.After the step (e), (f) retrieving a plurality of classification codes that match the ID of the user who requested the customized content service when the customized content service is requested from the user terminal; (g) searching for and analyzing commentary content each matching the searched plurality of classification codes; (h) generating customized content suitable for a user who requested the customized content service according to the analysis result; (i) transmitting the generated personalized content to the user terminal.

상기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에 따른 오프라인 학습객체의 온라인 콘텐츠 제공방법의 일 측면에 따르면, (a) 사용자 단말로 특정 오프라인 학습객체 의 해설 콘텐츠를 제공하기 위한 사용자 인터페이스 입력창을 제공하는 단계; (b) 상기 사용자 인터페이스 입력창을 통해 입력된 특정 오프라인 학습객체정보를 수신하는 단계; (c) 상기 특정 오프라인 학습객체정보에 매칭되는 인식코드를 검색하는 단계; (d) 상기 검색된 인식코드에 매핑되는 분류코드를 검색하는 단계; 및 (e) 상기 분류코드에 매칭되는 해설 콘텐츠를 상기 사용자 단말로 전송하는 단계를 포함한다.According to an aspect of the online content providing method of the offline learning object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for achieving the above object, (a) providing a user interface input window for providing commentary content of a specific offline learning object to the user terminal; ; (b) receiving specific offline learning object information input through the user interface input window; (c) searching for a recognition code matching the specific offline learning object information; (d) searching for a classification code mapped to the retrieved recognition code; And (e) transmitting commentary content matching the classification code to the user terminal.

상기 단계(d)와 단계(e) 사이에, 상기 검색된 분류코드가 다수개인 경우 다수개의 분류코드를 상기 사용자 단말로 전송하는 단계; 상기 사용자 단말로 전송된 다수개의 분류코드 중에서 사용자에 의해 선택된 분류코드를 확인하는 단계를 더 포함한다.Transmitting a plurality of classification codes to the user terminal when the searched classification codes are plural between steps (d) and (e); The method may further include identifying a classification code selected by the user among a plurality of classification codes transmitted to the user terminal.

상기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에 따른 오프라인 학습객체의 온라인 콘텐츠 제공 시스템의 일 측면에 따르면, 사용자 단말로부터 특정 오프라인 학습객체의 인식 이미지가 전송되면 인식 이미지에서 인식코드를 추출하여 인식코드에 매핑되는 분류코드를 검색한 후 상기 검색된 분류코드에 매칭되는 해설 콘텐츠를 상기 사용자 단말로 전송하거나, 상기 사용자 단말로부터 특정 오프라인 학습객체정보가 전송되면 특정 오프라인 학습객체정보에 매칭되는 인식코드를 검색하여 검색된 인식코드에 매핑되는 분류코드를 검색한 후 검색된 분류코드에 매칭되는 해설 콘텐츠를 상기 사용자 단말로 전송한다.According to an aspect of an online content providing system of an offline learning object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for achieving the above object, when the recognition image of a specific offline learning object is transmitted from the user terminal, the recognition code is extracted from the recognition image and mapped to the recognition code. Search for a classification code to be transmitted to the user terminal, and the description content corresponding to the searched classification code is transmitted to the user terminal, or when specific offline learning object information is transmitted from the user terminal, search for a recognition code matching the specific offline learning object information. After searching for the classification code mapped to the identification code, the narration content matching the searched classification code is transmitted to the user terminal.

상기 오프라인 학습객체의 온라인 콘텐츠 제공 시스템은, 상기 특정 오프라 인 학습객체정보를 입력할 수 있는 사용자 인터페이스 입력창을 상기 사용자 단말로 제공하는 웹인터페이스 제공모듈; 상기 특정 오프라인 학습객체의 인식 이미지를 인식하여 인식된 이미지로부터 인식코드를 추출하는 이미지 인식모듈; 다수의 오프라인 학습객체정보 및 각각의 오프라인 학습객체정보에 매칭되는 인식코드와 분류코드가 매핑되어 저장되는 분류체계정보 DB; 상기 이미지 인식모듈에서 추출된 인식코드를 전송받아 인식코드에 매핑되는 분류코드를 상기 분류체계정보 DB로부터 검색하는 분류체계 관리모듈; 상기 사용자 인터페이스 입력창을 통해 입력된 다수의 오프라인 학습객체정보에 대한 해설 콘텐츠와 각각의 해설 콘텐츠에 매칭되는 분류코드가 저장되는 해설 콘텐츠 DB; 상기 분류체계 관리모듈에서 검색된 분류코드를 전송받아 분류코드에 매칭되는 해설 콘텐츠를 상기 해설 콘텐츠 DB로부터 검색하는 해설 콘텐츠 관리모듈; 및 상기 각 구성요소를 제어하여, 오프라인 학습객체의 온라인 해설 콘텐츠 서비스와 관련된 일련의 처리를 담당하는 제어모듈을 포함한다.The system for providing online contents of the offline learning object may include: a web interface providing module configured to provide a user interface input window for inputting the specific offline learning object information to the user terminal; An image recognition module for recognizing a recognition image of the specific offline learning object and extracting a recognition code from the recognized image; A classification system information DB in which a plurality of offline learning object information and a recognition code and a classification code matched with each offline learning object information are mapped and stored; A classification system management module which receives the identification code extracted from the image recognition module and searches a classification code mapped to the identification code from the classification system information DB; Commentary content DB that stores the commentary content for the plurality of offline learning object information input through the user interface input window and the classification code matching each commentary content; Commentary content management module for receiving the classification code retrieved from the classification system management module to search the commentary content matching the classification code from the commentary content DB; And a control module that controls each of the components to perform a series of processes related to the online commentary content service of the offline learning object.

다수의 사용자 ID와 사용자 ID별로 각각 매칭되는 다수의 분류코드가 저장되는 이력정보 DB; 상기 웹인터페이스 제공모듈로부터 맞춤 콘텐츠를 요청한 사용자 ID가 전송되면 전송된 사용자 ID에 매칭되는 다수개의 분류코드를 상기 이력정보 DB로부터 검색하는 이력관리모듈을 더 포함한다.A history information DB for storing a plurality of classification codes matched for each of a plurality of user IDs and user IDs; The apparatus further includes a history management module for retrieving a plurality of classification codes matching the transmitted user ID from the history information DB when a user ID requesting personalized content is transmitted from the web interface providing module.

상기 해설 콘텐츠 관리모듈은, 상기 이력관리모듈로부터 검색된 다수개의 분류코드가 전송되면 전송된 다수개의 분류코드 각각에 매칭되는 해설 콘텐츠를 상기 해설 콘텐츠 DB로부터 검색하여 분석하고, 분석 결과에 따라 상기 맞춤 콘텐츠 서 비스를 요청한 사용자에게 적합한 맞춤 콘텐츠를 생성한다.The commentary content management module searches and analyzes commentary content matching each of the plurality of classification codes transmitted from the commentary content DB when a plurality of classification codes searched from the history management module are transmitted, and analyzes the customized content according to an analysis result. Create customized content suitable for the user who requested the service.

본 발명에 의하면, 사용자가 오프라인상에서 특정 학습객체에 대한 학습시에 이해가 잘 되지 않는 문제에 대한 인식 이미지 또는 오프라인 학습객체정보만을 콘텐츠 제공서버로 전송함으로써, 콘텐츠 제공서버로부터 제공되는 다양한 UCC 형태의 추가 해설 콘텐츠를 제공받아 즉시 문제를 해결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by transmitting only the recognition image or offline learning object information about a problem that the user does not understand well when learning a specific learning object offline, the various types of UCC provided from the content providing server Additional commentary content is provided to solve the problem immediately.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로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이에 앞서, 본 명세서 및 청구범위에 사용된 용어나 단어는 통상적이거나 사전적인 의미로 한정해서 해석되어서는 아니되며, 발명자는 그 자신의 발명을 가장 최선의 방법으로 설명하기 위해 용어의 개념을 적절하게 정의할 수 있다는 원칙에 입각하여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에 부합하는 의미와 개념으로 해석되어야만 한다. 따라서, 본 명세서에 기재된 실시예와 도면에 도시된 구성은 본 발명의 가장 바람직한 일 실시예에 불과할 뿐이고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모두 대변하는 것은 아니므로, 본 출원시점에 있어서 이들을 대체할 수 있는 다양한 균등물과 변형예들이 있을 수 있음을 이해하여야 한다.Hereinafter, exemplary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in detail with reference to the accompanying drawings. Prior to this, terms or words used in the specification and claims should not be construed as having a conventional or dictionary meaning, and the inventors should properly explain the concept of terms in order to best explain their own invention. Based on the principle that can be defined, it should be interpreted as meaning and concept corresponding to the technical idea of the present invention. Therefore, the embodiments described in the specification and the drawings shown in the drawings are only the most preferre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and do not represent all of the technical idea of the present invention, various modifications that can be replaced at the time of the present application It should be understood that there may be equivalents and variations.

도 1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오프라인 학습객체에 관한 UCC 해설 콘텐 츠를 제공하기 위한 시스템 구성을 나타내는 도면이다.1 is a diagram illustrating a system configuration for providing UCC commentary content regarding an offline learning object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시스템은 오프라인 학습객체(100)와, 사용자 단말(200)과, UCC 콘텐츠 제공서버(300)를 포함한다.As shown in FIG. 1, the system of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an offline learning object 100, a user terminal 200, and a UCC content providing server 300.

오프라인 학습객체(100)는 사용자가 학습하고자 하는 오프라인 상의 학습객체로서, 특정 상품이나 학습교재(정석 수학/성문 영어/한샘 국어) 또는 명함 등이 포함된다.The offline learning object 100 is an offline learning object that a user wants to learn, and includes a specific product or learning textbook (jeongseok mathematics / written English / Hanssem Korean) or a business card.

각각의 학습객체에는 고유한 인식코드가 저장된 인식 이미지가 부착되어지며, 특히 학습교재에는 각 문제별로 인식 이미지가 부착된다.Each learning object is attached with a recognition image stored with a unique identification code. Especially, the learning textbook is attached with a recognition image for each problem.

사용자 단말(200)은 IPTV 또는 PC 또는 휴대폰 단말 등이 포함되며, 각 단말에는 오프라인 학습객체(100)에 부착된 인식 이미지를 촬영할 수 있는 카메라가 내장된다.The user terminal 200 includes an IPTV or a PC or a mobile phone terminal, and each terminal includes a camera capable of capturing a recognition image attached to the offline learning object 100.

UCC 콘텐츠 제공서버(300)는 사용자 단말(200)로부터 특정 오프라인 학습객체에 대한 UCC 해설 콘텐츠 등록이 요청되면, 오프라인 학습객체에 관한 정보를 입력할 수 있는 사용자 인터페이스 입력창을 사용자 단말(200)로 제공하여 사용자 인터페이스 입력창을 통해 입력된 오프라인 학습객체정보 및 첨부된 UCC 해설 콘텐츠를 전송받는다.When the UCC content providing server 300 is requested to register UCC commentary content for a specific offline learning object from the user terminal 200, the UCC content providing server 300 sends a user interface input window for inputting information on the offline learning object to the user terminal 200. Provides offline learning object information and attached UCC commentary contents input through the user interface input window.

UCC 콘텐츠 제공서버(300)는 사용자 단말(200)로부터 전송받은 UCC 해설 콘텐츠에 대한 분류코드를 부여하고, 분류코드와 UCC 해설 콘텐츠를 매칭시켜 저장한 후 오프라인 학습객체정보에 매칭되는 인식코드에 분류코드를 매핑시켜 저장한다.The UCC content providing server 300 assigns a classification code for the UCC commentary content received from the user terminal 200, matches the classification code with the UCC commentary content, stores the classified code, and classifies the identification code corresponding to the offline learning object information. Map and save the code.

UCC 콘텐츠 제공서버(300)는 사용자 단말(200)로부터 촬영된 특정 오프라인 학습객체의 인식 이미지를 전송받는 경우, 이미지에 포함된 인식코드를 추출하고 추출된 인식코드에 매핑되는 분류코드를 검색하여 분류코드에 매칭되는 UCC 해설 콘텐츠를 사용자 단말(200)로 제공한다.When the UCC content providing server 300 receives a recognition image of a specific offline learning object photographed from the user terminal 200, the UCC content providing server 300 extracts a recognition code included in the image and searches and classifies a classification code mapped to the extracted recognition code. The UCC commentary content matching the code is provided to the user terminal 200.

UCC 콘텐츠 제공서버(300)는 사용자 단말(200)로부터 맞춤 콘텐츠 서비스가 요청되면, 사용자 ID에 매칭되는 분류코드를 검색하고 검색된 분류코드에 매칭되는 UCC 해설 콘텐츠 분석 결과에 따라 생성한 맞춤 콘텐츠를 사용자 단말(200)로 제공한다.When a customized content service is requested from the user terminal 200, the UCC content providing server 300 searches for a classification code corresponding to a user ID and uses the customized content generated according to the UCC commentary content analysis result matching the searched classification code. Provided to the terminal 200.

UCC 콘텐츠 제공서버(300)는 사용자 단말(200)로부터 특정 오프라인 학습객체에 대한 UCC 해설 콘텐츠 서비스가 요청되면, 오프라인 학습객체에 관한 정보를 입력할 수 있는 사용자 인터페이스 입력창을 사용자 단말(200)로 제공하여 사용자 인터페이스 입력창을 통해 입력된 오프라인 학습객체정보를 전송받는다.When the UCC content providing service for a specific offline learning object is requested from the user terminal 200, the UCC content providing server 300 sends a user interface input window for inputting information on the offline learning object to the user terminal 200. Provides offline learning object information input through the user interface input window.

UCC 콘텐츠 제공서버(300)는 사용자 단말(200)로부터 전송받은 특정 오프라인 학습객체정보에 매칭되는 인식코드를 검색하고 인식코드에 매핑되는 분류코드를 검색하여 분류코드에 매칭되는 UCC 해설 콘텐츠를 사용자 단말(200)로 제공한다.The UCC content providing server 300 searches for a recognition code matching the specific offline learning object information received from the user terminal 200, searches for a classification code mapped to the recognition code, and matches the UCC description content matching the classification code to the user terminal. Provided at 200.

도 2는 도 1의 UCC 콘텐츠 제공서버의 구성을 나타내는 도면이고, 도 3은 도 2의 분류체계정보 DB의 구조를 나타내는 도면이다.FIG. 2 is a diagram showing the configuration of the UCC content providing server of FIG. 1, and FIG. 3 is a diagram showing the structure of the classification scheme information DB of FIG.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UCC 콘텐츠 제공서버(300)는 웹인터페이스 제공모듈(311)과, 이미지 인식모듈(312)과, 분류체계정보 DB(313)와, 분류체계 관리모듈(314)과, 제어모듈(315)과, UCC 콘텐츠 관리모듈(316)과, UCC 콘텐츠 DB(317)와, 이력정보 DB(318)와, 이력관리모듈(319)을 포함한다.As shown in FIG. 2, the UCC content providing server 300 of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a web interface providing module 311, an image recognition module 312, a classification scheme information DB 313, and a classification scheme management module ( 314, a control module 315, a UCC content management module 316, a UCC content DB 317, a history information DB 318, and a history management module 319.

웹인터페이스 제공모듈(311)은 사용자 단말(200)로 특정 오프라인 학습객체에 대한 UCC 해설 콘텐츠 등록 및 UCC 해설 콘텐츠 서비스 메뉴를 제공하며, 이러한 서비스 메뉴가 선택되면 사용자가 특정 오프라인 학습객체에 관한 정보를 입력할 수 있는 사용자 인터페이스 입력창을 제공한다.The web interface providing module 311 provides the user terminal 200 with a UCC commentary content registration and UCC commentary content service menu for a specific offline learning object, and when the service menu is selected, the user provides information on a specific offline learning object. Provides a user interface input window for input.

이미지 인식모듈(312)은 사용자 단말(200)로부터 전송된 특정 오프라인 학습객체의 인식 이미지가 웹인터페이스 제공모듈(311)을 통해 전송되면, 전송된 이미지를 인식하고 인식된 이미지로부터 인식코드를 추출하여 분류체계 관리모듈(314)로 전송한다.When the recognition image of the specific offline learning object transmitted from the user terminal 200 is transmitted through the web interface providing module 311, the image recognition module 312 recognizes the transmitted image and extracts a recognition code from the recognized image. The classification scheme management module 314 transmits.

분류체계정보 DB(313)는 다수의 오프라인 학습객체에 관한 정보 및 각각의 오프라인 학습객체정보에 매칭되는 인식코드와 분류코드가 저장된다. 여기서, 오프라인 학습객체정보는 도 3에 나타난 바와 같이 객체이름, 출판 버전명, 출판일, 저자명, 페이지, 순서기호 등의 항목을 포함한다.The classification system information DB 313 stores information about a plurality of offline learning objects and a recognition code and a classification code matched to each offline learning object information. Here, the offline learning object information includes items such as an object name, a publication version name, a publication date, an author name, a page, a sequence code, and the like, as shown in FIG.

분류체계 관리모듈(314)은 UCC 콘텐츠 관리모듈(316)로부터 전송받은 UCC 해설 콘텐츠의 오프라인 학습객체정보에 해당하는 인식코드를 분류체계정보 DB(313)로부터 검색하고, 검색된 인식코드에 UCC 콘텐츠 관리모듈(316)로부터 전송받은 분류코드를 매핑시켜 저장한다.The classification system management module 314 retrieves the identification code corresponding to the offline learning object information of the UCC commentary content received from the UCC content management module 316 from the classification system information DB 313, and manages the UCC content in the retrieved recognition code. The classification code received from the module 316 is mapped and stored.

분류체계 관리모듈(314)은 이미지 인식모듈(312)로부터 인식코드가 전송되면 인식코드에 매핑되는 분류코드를 분류체계정보 DB(313)로부터 검색하여 검색된 분류코드를 UCC 콘텐츠 관리모듈(316)과 이력관리모듈(319)로 전송한다.When the identification code is transmitted from the image recognition module 312, the classification system management module 314 retrieves the classification code mapped to the identification code from the classification system information DB 313 and retrieves the retrieved classification code from the UCC content management module 316. Transfer to the history management module (319).

UCC 콘텐츠 DB(317)는 사용자 단말(200)로부터 전송된 특정 오프라인 학습객체정보에 대한 UCC 해설 콘텐츠와 UCC 콘텐츠 관리모듈(316)에 의해 부여된 분류코드를 매칭시켜 저장한다.The UCC content DB 317 matches and stores the UCC commentary content for the specific offline learning object information transmitted from the user terminal 200 and the classification code given by the UCC content management module 316.

UCC 콘텐츠 관리모듈(316)은 사용자 단말(200)로부터 전송된 특정 오프라인 학습객체정보 및 특정 오프라인 학습객체정보에 대한 UCC 해설 콘텐츠가 웹인터페이스 제공모듈(311)을 통해 전송되면, 전송된 UCC 해설 콘텐츠에 대한 분류코드를 부여하고, 부여한 분류코드와 UCC 해설 콘텐츠를 매칭시켜 UCC 콘텐츠 DB(317)에 저장한다.The UCC content management module 316 transmits the UCC commentary content when the UCC commentary content for the specific offline learning object information and the specific offline learning object information transmitted from the user terminal 200 is transmitted through the web interface providing module 311. A classification code is assigned to the matching code, and the assigned classification code is matched with the UCC description content and stored in the UCC content DB 317.

UCC 콘텐츠 관리모듈(316)은 사용자 단말(200)로부터 전송된 UCC 해설 콘텐츠에 부여한 분류코드와 특정 오프라인 학습객체정보를 분류체계 관리모듈(314)로 전송한다.The UCC content management module 316 transmits the classification code assigned to the UCC commentary content transmitted from the user terminal 200 and the specific offline learning object information to the classification system management module 314.

UCC 콘텐츠 관리모듈(316)은 분류체계 관리모듈(314)로부터 전송된 분류코드에 매칭되는 UCC 해설 콘텐츠를 UCC 콘텐츠 DB(317)로부터 검색하여 검색된 UCC 해설 콘텐츠를 웹인터페이스 제공모듈(311)로 전송한다.The UCC content management module 316 retrieves UCC commentary content matching the classification code transmitted from the classification system management module 314 from the UCC content DB 317 and transmits the retrieved UCC commentary content to the web interface providing module 311. do.

UCC 콘텐츠 관리모듈(316)은 이력관리모듈(319)로부터 전송된 다수개의 분류코드에 각각 매칭되는 UCC 해설 콘텐츠를 UCC 콘텐츠 DB(317)로부터 검색하여 분석하고, 분석 결과에 따라 맞춤 콘텐츠 서비스를 요청한 사용자에게 적합한 맞춤 콘텐츠를 생성하여 웹인터페이스 제공모듈(311)로 전송한다.The UCC content management module 316 retrieves and analyzes UCC commentary content corresponding to each of a plurality of classification codes transmitted from the history management module 319 from the UCC content DB 317, and requests a customized content service according to the analysis result. Creates a personalized content suitable for the user and transmits it to the web interface providing module 311.

이력정보 DB(318)는 사용자 ID와 이에 매칭되는 다수의 분류코드가 저장된다.The history information DB 318 stores a user ID and a plurality of classification codes corresponding thereto.

이력관리모듈(319)은 웹인터페이스 제공모듈(311)로부터 전송된 사용자 ID에 매칭되는 다수개의 분류코드를 이력정보 DB(318)로부터 검색하고, 검색된 다수개의 분류코드를 UCC 콘텐츠 관리모듈(316)로 전송한다.The history management module 319 retrieves a plurality of classification codes matching the user ID transmitted from the web interface providing module 311 from the history information DB 318, and retrieves the plurality of classification codes found in the UCC content management module 316. To send.

제어모듈(315)은 상기 각 구성요소를 제어하여, 특정 오프라인 학습객체의 UCC 해설 콘텐츠 서비스와 관련된 일련의 처리를 담당한다.The control module 315 controls each of the above components, and is responsible for a series of processes related to the UCC commentary content service of a specific offline learning object.

도 4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특정 오프라인 학습객체정보에 관한 UCC 해설 콘텐츠를 등록하는 과정을 나타내는 도면이고, 도 5는 특정 오프라인 학습객체정보의 등록 및 및 검색을 위한 사용자 인터페이스 입력창의 일예를 나타내는 도면이다.4 is a diagram illustrating a process of registering UCC commentary content related to specific offline learning object information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and FIG. 5 is an example of a user interface input window for registering and searching for specific offline learning object information. It is a figure which shows.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사용자는 오프라인 학습객체(상품, 문서, 명함 등)에 대한 UCC 해설 콘텐츠를 제작하여 사용자 단말(200)에 저장(S10)한다.As shown in FIG. 4, the user generates UCC commentary content for the offline learning object (product, document, business card, etc.) and stores it in the user terminal 200 (S10).

사용자는 사용자 단말(200)을 통해 UCC 콘텐츠 제공서버(300)의 웹인터페이스 제공모듈(311)로부터 제공되는 웹페이지에 접속(S20)하여 UCC 해설 콘텐츠 등록 메뉴를 선택한다.The user accesses a web page provided from the web interface providing module 311 of the UCC content providing server 300 through the user terminal 200 (S20) and selects a menu for registering UCC commentary content.

웹인터페이스 제공모듈(311)은 사용자가 UCC 해설 콘텐츠를 등록할 수 있는 사용자 인터페이스 입력창을 사용자 단말(200)로 제공(S30)한다. 여기서, 사용자 인터페이스 입력창은 HTML 형식이나 별도의 클라이언트 프로그램으로 제공될 수 있다.The web interface providing module 311 provides a user interface input window through which the user can register UCC commentary content to the user terminal 200 (S30). Here, the user interface input window may be provided in HTML format or as a separate client program.

사용자는 사용자 단말(200)의 화면상에 디스플레이된 사용자 인터페이스 입 력창을 통해 등록하고자 하는 UCC 해설 콘텐츠의 오프라인 학습객체정보를 입력(S40)한다. 여기서, 사용자 인터페이스 입력창은 도 5에 나타난 바와 같이, 객체 이름(오프라인 교재명, 상품명, 성명), ISBN(국가교재 분류명) 코드, 출판 버전명, 출판일, 저자명, 페이지, 순서기호, 문단, 문단 행 번호, 키워드, 내용 등의 항목과 이에 대응하는 필드를 포함하며, 파일 찾기 버튼, UCC 해설 콘텐츠 등록 버튼 및 검색 버튼이 구비된다.The user inputs the offline learning object information of the UCC commentary content to be registered through the user interface input window displayed on the screen of the user terminal 200 (S40). Here, the user interface input window is an object name (offline textbook name, product name, full name), ISBN (national textbook classification name) code, publication version name, publication date, author name, page, sequence number, paragraph, paragraph as shown in FIG. It includes an item such as a line number, a keyword, a content, and a corresponding field, and includes a file search button, a UCC comment content registration button, and a search button.

즉, 사용자는 사용자 인터페이스 입력창의 콘텐츠 중에서 UCC 해설 콘텐츠 등록에 필요한 사항들을 입력한다. 예를 들어, 사용자가 등록하고자 하는 UCC 해설 콘텐츠가 수학 정석 교재의 문제에 관한 UCC 해설 콘텐츠이고, 수학 정석 교재의 출판 버전이 3판이고, 출판일이 2002년이고, 저자명이 홍성이고, 해당 문제가 45 페이지의 3번째 문제인 경우, 사용자는 사용자 인터페이스 입력창의 객체 이름란에 "정석", 출판 버전명란에 "3", 출판일란에 "2002", 저장명란에 "홍성", 페이지란에 "45", 순서기호란에 "3" 이라고 입력한다.That is, the user inputs items necessary for registering the UCC commentary content among the contents of the user interface input window. For example, the UCC commentary content that the user wants to register is UCC commentary content about the problem of the mathematical textbook, the published version of the mathematical textbook is 3rd edition, the publication date is 2002, the author's name is Hongseong, and the problem Is the third problem on page 45, the user can enter "Order" in the Object Name field, "3" in the Publication Version field, "2002" in the Publication Date field, "Hongseong" in the Saved Name field, and "45" in the Page Field. , Enter "3" in the sequence symbol field.

사용자는 등록하고자 하는 UCC 해설 콘텐츠의 오프라인 학습객체정보의 입력이 완료되면, 사용자 인터페이스 입력창의 파일 찾기 버튼을 선택하여 사용자 단말(200)에 저장되어 있는 UCC 해설 콘텐츠 파일을 첨부(S50)한 후 UCC 해설 콘텐츠 등록 버튼을 선택한다.When the user completes the input of the offline learning object information of the UCC commentary content to be registered, selects a file finder button in the user interface input window and attaches the UCC commentary content file stored in the user terminal 200 (S50). Select the comment content registration button.

사용자 인터페이스 입력창을 통해 입력된 UCC 해설 콘텐츠의 오프라인 학습객체정보 및 첨부된 UCC 해설 콘텐츠 파일이 UCC 콘텐츠 관리모듈(316)로 전송(S60)된다.The offline learning object information of the UCC commentary content input through the user interface input window and the attached UCC commentary content file are transmitted to the UCC content management module 316 (S60).

UCC 콘텐츠 관리모듈(316)은 웹인터페이스 제공모듈(311)을 통해 전송받은 UCC 해설 콘텐츠에 대한 분류코드를 부여(S70)한다.The UCC content management module 316 gives a classification code for the UCC commentary content received through the web interface providing module 311 (S70).

UCC 콘텐츠 관리모듈(316)은 부여한 분류코드와 UCC 해설 콘텐츠를 매칭시켜 UCC 해설 콘텐츠 DB에 저장(S80)한다.The UCC content management module 316 matches the assigned classification code with the UCC commentary content and stores it in the UCC commentary content DB (S80).

UCC 콘텐츠 관리모듈(316)은 분류코드와 웹인터페이스 제공모듈(311)을 통해 전송받은 UCC 해설 콘텐츠의 오프라인 학습객체정보를 분류체계 관리모듈(314)로 전송(S90)한다.The UCC content management module 316 transmits the offline learning object information of the UCC commentary content received through the classification code and the web interface providing module 311 to the classification system management module 314 (S90).

분류체계 관리모듈(314)은 UCC 콘텐츠 관리모듈(316)로부터 전송받은 UCC 해설 콘텐츠의 오프라인 학습객체정보에 해당하는 인식코드를 분류체계정보 DB로부터 검색(S100)한다.The classification system management module 314 retrieves the identification code corresponding to the offline learning object information of the UCC commentary content received from the UCC content management module 316 from the classification system information DB (S100).

분류체계 관리모듈(314)은 분류체계정보 DB로부터 검색된 인식코드에 전송받은 분류코드를 매핑시켜 저장(S110)한다.The classification system management module 314 maps and stores the classification code transmitted to the recognition code retrieved from the classification system information DB (S110).

도 6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특정 오프라인 학습객체정보의 인식 이미지를 인식하여 UCC 해설 콘텐츠를 제공하는 과정을 나타내는 도면이다.6 is a diagram illustrating a process of providing a UCC commentary content by recognizing a recognition image of specific offline learning object information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사용자는 특정 오프라인 학습객체에서 이해가 잘 안되는 문제에 대한 해설을 온라인상에서 제공받고자할 때 해당 문제에 관한 인식 이미지를 사용자 단말(200)의 카메라를 이용하여 촬영(S10)한다.As illustrated in FIG. 6, when a user wants to be provided online with a commentary on a problem that is not well understood in a specific offline learning object, the user captures an image of the recognition using the camera of the user terminal 200 (S10). )do.

사용자는 사용자 단말(200)을 통해 UCC 콘텐츠 제공서버(300)의 웹인터페이스 제공모듈(311)로부터 제공되는 웹페이지에 접속(S20)하여 UCC 해설 콘텐츠 서비 스 메뉴의 이미지 인식 메뉴를 선택한다.The user accesses the web page provided from the web interface providing module 311 of the UCC content providing server 300 through the user terminal 200 (S20) and selects the image recognition menu of the UCC commentary content service menu.

웹인터페이스 제공모듈(311)은 UCC 해설 콘텐츠 서비스 메뉴의 이미지 인식 메뉴 선택에 의해 입력된 이미지를 이미지 인식모듈(312)로 전송하여 이미지 인식을 요청(S30)한다.The web interface providing module 311 transmits an image input by selecting an image recognition menu of the UCC commentary content service menu to the image recognition module 312 to request image recognition (S30).

이미지 인식모듈(312)은 웹인터페이스 제공모듈(311)로부터 전송된 이미지를 인식하여 인식된 이미지로부터 인식코드를 추출(S40)한다.The image recognition module 312 recognizes an image transmitted from the web interface providing module 311 and extracts a recognition code from the recognized image (S40).

이미지 인식모듈(312)은 인식된 이미지로부터 추출한 인식코드를 분류체계 관리모듈(314)로 전송(S50)한다.The image recognition module 312 transmits the identification code extracted from the recognized image to the classification system management module 314 (S50).

분류체계 관리모듈(314)은 이미지 인식모듈(312)로부터 전송된 인식코드에 매핑되는 분류코드를 분류체계정보 DB로부터 검색(S60)한다.The classification system management module 314 retrieves the classification code mapped to the identification code transmitted from the image recognition module 312 from the classification system information DB (S60).

분류체계 관리모듈(314)은 검색된 분류코드를 UCC 콘텐츠 관리모듈(316)과 이력관리모듈(319)로 전송(S70,S80)한다.The classification system management module 314 transmits the searched classification code to the UCC content management module 316 and the history management module 319 (S70 and S80).

UCC 콘텐츠 관리모듈(316)은 분류체계 관리모듈(314)로부터 전송된 분류코드에 매칭되는 UCC 해설 콘텐츠를 UCC 해설 콘텐츠 DB로부터 검색(S90)한다.The UCC content management module 316 searches for the UCC description content matching the classification code transmitted from the classification system management module 314 from the UCC description content DB (S90).

UCC 콘텐츠 관리모듈(316)은 검색된 UCC 해설 콘텐츠를 웹인터페이스 제공모듈(311)로 전송(S100)한다.The UCC content management module 316 transmits the retrieved UCC commentary content to the web interface providing module 311 (S100).

웹인터페이스 제공모듈(311)은 UCC 콘텐츠 관리모듈(316)로부터 전송된 UCC 해설 콘텐츠를 사용자 단말(200)로 전송(S110)한다.The web interface providing module 311 transmits the UCC commentary content transmitted from the UCC content management module 316 to the user terminal 200 (S110).

이 후, 맞춤 콘텐츠 서비스를 제공받고자 하는 사용자는 사용자 단말(200)을 통해 UCC 콘텐츠 제공서버(300)의 웹인터페이스 제공모듈(311)로부터 제공되는 웹 페이지에 접속하여 맞춤 콘텐츠 서비스를 요청(S120)한다.Thereafter, the user who wants to receive the customized content service requests a customized content service by accessing a web page provided from the web interface providing module 311 of the UCC content providing server 300 through the user terminal 200 (S120). do.

웹인터페이스 제공모듈(311)은 맞춤 콘텐츠 서비스를 요청한 사용자의 ID를 이력관리모듈(319)로 전송하여 맞춤 콘텐츠 서비스를 요청(S130)한다.The web interface providing module 311 transmits the ID of the user who requested the customized content service to the history management module 319 to request the customized content service (S130).

이력관리모듈(319)은 웹인터페이스 제공모듈(311)로부터 전송된 사용자 ID에 매칭되는 분류코드들을 이력정보 DB로부터 검색(S140)한다.The history management module 319 retrieves classification codes matching the user ID transmitted from the web interface providing module 311 from the history information DB (S140).

이력관리모듈(319)은 검색된 다수개의 분류코드를 UCC 콘텐츠 관리모듈(316)로 전송(S150)한다.The history management module 319 transmits the searched plurality of classification codes to the UCC content management module 316 (S150).

UCC 콘텐츠 관리모듈(316)은 이력관리모듈(319)로부터 전송된 다수개의 분류코드에 각각 매칭되는 UCC 해설 콘텐츠를 UCC 해설 콘텐츠 DB로부터 검색하여 분석(S160)한다.The UCC content management module 316 searches for and analyzes UCC commentary content corresponding to each of a plurality of classification codes transmitted from the history management module 319 from the UCC commentary content DB (S160).

UCC 콘텐츠 관리모듈(316)은 다수개의 분류코드에 각각 매칭되는 UCC 해설 콘텐츠의 분석 결과에 따라 맞춤 콘텐츠 서비스를 요청한 사용자에게 적합한 맞춤 콘텐츠를 생성(S170)한다.The UCC content management module 316 generates customized content suitable for the user who requested the customized content service according to the analysis result of the UCC commentary content that matches each of the plurality of classification codes (S170).

UCC 콘텐츠 관리모듈(316)은 생성한 맞춤 콘텐츠를 웹인터페이스 제공모듈(311)로 전송(S180)한다.The UCC content management module 316 transmits the generated customized content to the web interface providing module 311 (S180).

웹인터페이스 제공모듈(311)은 UCC 콘텐츠 관리모듈(316)로부터 전송된 맞춤 콘텐츠를 사용자 단말(200)로 전송(S190)한다.The web interface providing module 311 transmits the customized content transmitted from the UCC content management module 316 to the user terminal 200 (S190).

도 7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특정 오프라인 학습객체정보를 인식하여 UCC 해설 콘텐츠를 제공하는 과정을 나타내는 도면이다.7 is a diagram illustrating a process of providing UCC commentary content by recognizing specific offline learning object information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사용자는 사용자 단말(200)을 통해 UCC 콘텐츠 제공서버(300)의 웹인터페이스 제공모듈(311)로부터 제공되는 웹페이지에 접속(S10)하여 UCC 해설 콘텐츠 서비스 메뉴를 선택한다.As shown in FIG. 7, the user accesses a web page provided from the web interface providing module 311 of the UCC content providing server 300 through the user terminal 200 and selects the UCC commentary content service menu. do.

웹인터페이스 제공모듈(311)은 사용자가 오프라인 학습객체정보를 입력할 수 있는 사용자 인터페이스 입력창을 사용자 단말(200)로 제공(S20)한다. 여기서, 사용자 인터페이스 입력창은 전술한 UCC 해설 콘텐츠를 등록하기 위한 도 5의 사용자 인터페이스 입력창과 동일하다.The web interface providing module 311 provides a user interface input window through which the user can input offline learning object information to the user terminal 200 (S20). Here, the user interface input window is the same as the user interface input window of FIG. 5 for registering the aforementioned UCC commentary content.

사용자는 사용자 단말(200)의 화면상에 디스플레이된 사용자 인터페이스 입력창을 통해 오프라인 학습객체정보를 입력(S30)한다. 예를 들어, 오프라인 학습객체가 수학 정석 교재이고, 수학 정석 교재의 출판 버전이 3판이고, 출판일이 2002년이고, 저자명이 홍성이고, 해당 문제가 45 페이지의 3번째 문제인 경우, 사용자는 사용자 인터페이스 창의 객체 이름란에 "정석", 출판 버전명란에 "3", 출판일란에 "2002", 저장명란에 "홍성", 페이지란에 "45", 순서기호란에 "3" 이라고 입력한다.The user inputs the offline learning object information through the user interface input window displayed on the screen of the user terminal 200 (S30). For example, if the offline learning object is a math textbook, the published version of the math textbook is 3rd edition, the publication date is 2002, the author's name is Hongseong, and the problem is the third page on page 45, then the user Enter "Criteria" in the Object Name field in the Interface window, "3" in the Publication Version Name, "2002" in the Publication Name field, "Hongseong" in the Saved Name field, "45" in the Page field, and "3" in the Sequence Code field.

사용자가 사용자 인터페이스 입력창을 통해 오프라인 학습객체정보를 입력한 후 UCC 해설 콘텐츠 검색 버튼을 선택하면, 웹인터페이스 제공모듈(311)은 입력된 오프라인 학습객체정보를 분류체계 관리모듈(314)로 전송(S40)한다.When the user inputs the offline learning object information through the user interface input window and selects the UCC commentary content search button, the web interface providing module 311 transmits the input offline learning object information to the classification system management module 314 ( S40).

분류체계 관리모듈(314)은 웹인터페이스 제공모듈(311)로부터 전송된 오프라인 학습객체정보에 매칭되는 인식코드를 분류체계정보 DB로부터 검색(S50)한다.The classification system management module 314 searches for a recognition code matching the offline learning object information transmitted from the web interface providing module 311 from the classification system information DB (S50).

분류체계 관리모듈(314)은 검색된 인식코드에 매핑되는 분류코드를 분류체계 정보 DB로부터 검색(S60)한다.The classification system management module 314 retrieves the classification code mapped to the retrieved recognition code from the classification system information DB (S60).

분류체계 관리모듈(314)은 검색된 분류코드를 UCC 콘텐츠 관리모듈(316)로 전송(S70)한다.The classification system management module 314 transmits the retrieved classification code to the UCC content management module 316 (S70).

UCC 콘텐츠 관리모듈(316)은 분류체계 관리모듈(314)로부터 전송된 분류코드에 매칭되는 UCC 해설 콘텐츠를 UCC 해설 콘텐츠 DB로부터 검색(S80)한다.The UCC content management module 316 searches for the UCC description content matching the classification code transmitted from the classification system management module 314 from the UCC description content DB (S80).

UCC 콘텐츠 관리모듈(316)은 UCC 해설 콘텐츠 DB로부터 검색된 UCC 해설 콘텐츠를 웹인터페이스 제공모듈(311)로 전송(S90)한다.The UCC content management module 316 transmits the UCC commentary content retrieved from the UCC commentary content DB to the web interface providing module 311 (S90).

웹인터페이스 제공모듈(311)은 UCC 콘텐츠 관리모듈(316)로부터 전송된 UCC 해설 콘텐츠를 사용자 단말(200)로 전송(S100)한다.The web interface providing module 311 transmits the UCC commentary content transmitted from the UCC content management module 316 to the user terminal 200 (S100).

이상과 같이, 본 발명은 비록 한정된 실시예와 도면에 의해 설명되었으나, 본 발명은 이것에 의해 한정되지 않으며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해 본 발명의 기술사상과 아래에 기재될 특허청구범위의 균등범위 내에서 다양한 수정 및 변형이 가능함은 물론이다.As described above, although the present invention has been described by way of limited embodiments and drawings, the present invention is not limited thereto and is intended by those skilled in the art to which the present invention pertains. Of course, various modifications and variations are possible within the scope of equivalents of the claims to be described.

도 1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오프라인 학습객체에 관한 UCC 해설 콘텐츠를 제공하기 위한 시스템 구성을 나타내는 도면.1 is a diagram showing a system configuration for providing UCC commentary content related to an offline learning object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2는 도 1의 UCC 콘텐츠 제공서버의 구성을 나타내는 도면.2 is a diagram showing the configuration of a UCC content providing server of FIG.

도 3은 도 2의 분류체계정보 DB의 구조를 나타내는 도면.3 is a diagram illustrating a structure of a classification system information DB of FIG. 2.

도 4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특정 오프라인 학습객체정보에 관한 UCC 해설 콘텐츠를 등록하는 과정을 나타내는 도면.4 is a diagram illustrating a process of registering UCC commentary content related to specific offline learning object information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5는 특정 오프라인 학습객체정보의 등록 및 및 검색을 위한 사용자 인터페이스 입력창의 일예를 나타내는 도면.5 is a diagram illustrating an example of a user interface input window for registering and searching for specific offline learning object information.

도 6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특정 오프라인 학습객체정보의 인식 이미지를 인식하여 UCC 해설 콘텐츠를 제공하는 과정을 나타내는 도면.FIG. 6 is a diagram illustrating a process of providing UCC commentary content by recognizing a recognition image of specific offline learning object information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

도 7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특정 오프라인 학습객체정보를 인식하여 UCC 해설 콘텐츠를 제공하는 과정을 나타내는 도면.7 is a view showing a process of providing UCC commentary content by recognizing specific offline learning object information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Claims (12)

오프라인 학습객체의 온라인 콘텐츠 등록방법으로서,As a method of registering the online content of the offline learning object, (a) 사용자 단말로 특정 오프라인 학습객체의 해설 콘텐츠를 등록하기 위한 사용자 인터페이스 입력창을 제공하는 단계;(a) providing a user interface input window for registering commentary content of a specific offline learning object to a user terminal; (b) 상기 사용자 인터페이스 입력창을 통해 입력된 특정 오프라인 학습객체정보 및 해설 콘텐츠를 수신하는 단계;(b) receiving specific offline learning object information and commentary content input through the user interface input window; (c) 상기 해설 콘텐츠에 분류코드를 부여한 후 부여된 분류코드와 해설 콘텐츠를 매칭시켜 저장하는 단계;(c) assigning a classification code to the commentary content and storing the matched classification code with the commentary content; (d) 상기 오프라인 학습객체정보에 매칭되는 인식코드를 검색하는 단계; 및(d) searching for a recognition code matching the offline learning object information; And (e) 상기 검색된 인식코드에 상기 분류코드를 매핑시켜 저장하는 단계(e) mapping and storing the classification code on the retrieved recognition code; 를 포함하는 오프라인 학습객체의 온라인 콘텐츠 등록방법.Online content registration method of offline learning object comprising a. 오프라인 학습객체의 온라인 콘텐츠 제공방법으로서,As a method of providing online content for offline learning objects, (a) 사용자 단말로부터 전송된 특정 오프라인 학습객체의 인식 이미지를 수신하는 단계;(a) receiving a recognition image of a specific offline learning object transmitted from a user terminal; (b) 상기 특정 오프라인 학습객체의 인식 이미지에서 인식코드를 추출하는 단계;(b) extracting a recognition code from the recognition image of the specific offline learning object; (c) 상기 추출된 인식코드에 매핑되는 분류코드를 검색하는 단계; 및(c) searching for a classification code mapped to the extracted recognition code; And (d) 상기 분류코드에 매칭되는 해설 콘텐츠를 상기 사용자 단말로 전송하는 단계(d) transmitting narration content matching the classification code to the user terminal; 를 포함하는 오프라인 학습객체의 온라인 콘텐츠 제공방법.Online content providing method of the offline learning object comprising a. 청구항 2에 있어서,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2, 상기 단계(c)와 단계(d) 사이에,Between step (c) and step (d), 상기 검색된 분류코드가 다수개인 경우 다수개의 분류코드를 상기 사용자 단말로 전송하는 단계;Transmitting a plurality of classification codes to the user terminal when the searched classification codes are plural; 상기 사용자 단말로 전송된 다수개의 분류코드 중에서 사용자에 의해 선택된 분류코드를 확인하는 단계Checking a classification code selected by the user among a plurality of classification codes transmitted to the user terminal; 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오프라인 학습객체의 온라인 콘텐츠 제공방법.Online content providing method of the offline learning object, characterized in that it further comprises. 청구항 2에 있어서,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2, 상기 단계(a)에서,In step (a), 상기 인식 이미지는,The recognition image, 상기 사용자 단말의 카메라를 통해 촬영된 인식 이미지인The recognition image photographed by the camera of the user terminal 것을 특징으로 하는 오프라인 학습객체의 온라인 콘텐츠 제공방법.Method for providing online content of the offline learning object, characterized in that. 청구항 3에 있어서,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3, (e) 상기 사용자에 의해 선택된 다수개의 분류코드를 저장하는 단계(e) storing a plurality of classification codes selected by the user 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오프라인 학습객체의 온라인 콘텐츠 제공방법.Online content providing method of the offline learning object, characterized in that it further comprises. 청구항 5에 있어서,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5, 상기 단계(e) 이후에,After step (e), (f) 상기 사용자 단말로부터 맞춤 콘텐츠 서비스가 요청되는 경우 맞춤 콘텐츠 서비스를 요청한 사용자의 ID에 매칭되는 다수개의 분류코드를 검색하는 단계;(f) searching for a plurality of classification codes matching the ID of the user who requested the customized content service when the customized content service is requested from the user terminal; (g) 상기 검색된 다수개의 분류코드에 각각 매칭되는 해설 콘텐츠를 검색하여 분석하는 단계;(g) searching for and analyzing commentary content each matching the searched plurality of classification codes; (h) 상기 분석 결과에 따라 상기 맞춤 콘텐츠 서비스를 요청한 사용자에게 적합한 맞춤 콘텐츠를 생성하는 단계;(h) generating customized content suitable for a user who requested the customized content service according to the analysis result; (i) 상기 생성한 맞춤 콘텐츠를 상기 사용자 단말로 전송하는 단계(i) transmitting the generated customized content to the user terminal 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오프라인 학습객체의 온라인 콘텐츠 제공방법.Online content providing method of the offline learning object, characterized in that it further comprises. 오프라인 학습객체의 온라인 콘텐츠 제공방법으로서,As a method of providing online content for offline learning objects, (a) 사용자 단말로 특정 오프라인 학습객체의 해설 콘텐츠를 제공하기 위한 사용자 인터페이스 입력창을 제공하는 단계;(a) providing a user interface input window for providing commentary content of a specific offline learning object to a user terminal; (b) 상기 사용자 인터페이스 입력창을 통해 입력된 특정 오프라인 학습객체정보를 수신하는 단계;(b) receiving specific offline learning object information input through the user interface input window; (c) 상기 특정 오프라인 학습객체정보에 매칭되는 인식코드를 검색하는 단계;(c) searching for a recognition code matching the specific offline learning object information; (d) 상기 검색된 인식코드에 매핑되는 분류코드를 검색하는 단계; 및(d) searching for a classification code mapped to the retrieved recognition code; And (e) 상기 분류코드에 매칭되는 해설 콘텐츠를 상기 사용자 단말로 전송하는 단계(e) transmitting the narration content matching the classification code to the user terminal; 를 포함하는 오프라인 학습객체의 온라인 콘텐츠 제공방법.Online content providing method of the offline learning object comprising a. 청구항 7에 있어서,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7, 상기 단계(d)와 단계(e) 사이에,Between step (d) and step (e), 상기 검색된 분류코드가 다수개인 경우 다수개의 분류코드를 상기 사용자 단말로 전송하는 단계;Transmitting a plurality of classification codes to the user terminal when the searched classification codes are plural; 상기 사용자 단말로 전송된 다수개의 분류코드 중에서 사용자에 의해 선택된 분류코드를 확인하는 단계Checking a classification code selected by the user among a plurality of classification codes transmitted to the user terminal; 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오프라인 학습객체의 온라인 콘텐츠 제공방법.Online content providing method of the offline learning object, characterized in that it further comprises. 오프라인 학습객체의 온라인 콘텐츠 제공 시스템으로서,As an online content providing system for offline learning objects, 사용자 단말로부터 특정 오프라인 학습객체의 인식 이미지가 전송되면 인식 이미지에서 인식코드를 추출하여 인식코드에 매핑되는 분류코드를 검색한 후 상기 검색된 분류코드에 매칭되는 해설 콘텐츠를 상기 사용자 단말로 전송하거나, 상기 사용자 단말로부터 특정 오프라인 학습객체정보가 전송되면 특정 오프라인 학습객체정보에 매칭되는 인식코드를 검색하여 검색된 인식코드에 매핑되는 분류코드를 검색한 후 검색된 분류코드에 매칭되는 해설 콘텐츠를 상기 사용자 단말로 전송하는 오프라인 학습객체의 온라인 콘텐츠 제공 시스템.When a recognition image of a specific offline learning object is transmitted from a user terminal, a recognition code is extracted from the recognition image, a classification code mapped to the identification code is searched, and the narration content matching the searched classification code is transmitted to the user terminal, or When the specific offline learning object information is transmitted from the user terminal, the identification code matching the specific offline learning object information is searched, the classification code mapped to the searched recognition code is searched, and the narration content matching the searched classification code is transmitted to the user terminal. Online content providing system of offline learning objects. 청구항 9에 있어서,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9, 상기 오프라인 학습객체의 온라인 콘텐츠 제공 시스템은,The online content providing system of the offline learning object, 상기 특정 오프라인 학습객체정보를 입력할 수 있는 사용자 인터페이스 입력창을 상기 사용자 단말로 제공하는 웹인터페이스 제공모듈;A web interface providing module providing a user interface input window for inputting the specific offline learning object information to the user terminal; 상기 특정 오프라인 학습객체의 인식 이미지를 인식하여 인식된 이미지로부터 인식코드를 추출하는 이미지 인식모듈;An image recognition module for recognizing a recognition image of the specific offline learning object and extracting a recognition code from the recognized image; 다수의 오프라인 학습객체정보 및 각각의 오프라인 학습객체정보에 매칭되는 인식코드와 분류코드가 매핑되어 저장되는 분류체계정보 DB;A classification system information DB in which a plurality of offline learning object information and a recognition code and a classification code matched with each offline learning object information are mapped and stored; 상기 이미지 인식모듈에서 추출된 인식코드를 전송받아 인식코드에 매핑되는 분류코드를 상기 분류체계정보 DB로부터 검색하는 분류체계 관리모듈;A classification system management module which receives the identification code extracted from the image recognition module and searches a classification code mapped to the identification code from the classification system information DB; 상기 사용자 인터페이스 입력창을 통해 입력된 다수의 오프라인 학습객체정보에 대한 해설 콘텐츠와 각각의 해설 콘텐츠에 매칭되는 분류코드가 저장되는 해설 콘텐츠 DB;Commentary content DB that stores the commentary content for the plurality of offline learning object information input through the user interface input window and the classification code matching each commentary content; 상기 분류체계 관리모듈에서 검색된 분류코드를 전송받아 분류코드에 매칭되는 해설 콘텐츠를 상기 해설 콘텐츠 DB로부터 검색하는 해설 콘텐츠 관리모듈; 및Commentary content management module for receiving the classification code retrieved from the classification system management module to search the commentary content matching the classification code from the commentary content DB; And 상기 각 구성요소를 제어하여, 오프라인 학습객체의 온라인 해설 콘텐츠 서비스와 관련된 일련의 처리를 담당하는 제어모듈A control module that controls each of the above components and is responsible for a series of processes related to the online commentary content service of the offline learning object. 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오프라인 학습객체의 온라인 콘텐츠 제공 시스템.Online content providing system of an offline learning object, characterized in that it comprises a. 청구항 10에 있어서,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0, 다수의 사용자 ID와 사용자 ID별로 각각 매칭되는 다수의 분류코드가 저장되는 이력정보 DB;A history information DB for storing a plurality of classification codes matched for each of a plurality of user IDs and user IDs; 상기 웹인터페이스 제공모듈로부터 맞춤 콘텐츠를 요청한 사용자 ID가 전송되면 전송된 사용자 ID에 매칭되는 다수개의 분류코드를 상기 이력정보 DB로부터 검색하는 이력관리모듈을A history management module for retrieving a plurality of classification codes corresponding to the transmitted user IDs from the history information DB when a user ID requesting customized content is transmitted from the web interface providing module;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오프라인 학습객체의 온라인 콘텐츠 제공 시스템.Online content providing system of an offline learning object, characterized in that it further comprises. 청구항 11에 있어서,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1, 상기 해설 콘텐츠 관리모듈은,The commentary content management module, 상기 이력관리모듈로부터 검색된 다수개의 분류코드가 전송되면 전송된 다수개의 분류코드 각각에 매칭되는 해설 콘텐츠를 상기 해설 콘텐츠 DB로부터 검색하여 분석하고, 분석 결과에 따라 상기 맞춤 콘텐츠 서비스를 요청한 사용자에게 적합한 맞춤 콘텐츠를 생성하는When a plurality of classification codes retrieved from the history management module are transmitted, description content corresponding to each of the plurality of classification codes transmitted is searched and analyzed from the commentary content DB, and according to an analysis result, a custom suitable for the user who requested the customized content service To generate content 것을 특징으로 하는 오프라인 학습객체의 온라인 콘텐츠 제공 시스템.Online content providing system of an offline learning object, characterized in that.
KR1020080052971A 2008-06-05 2008-06-05 Management method and system for internet sutdy paper KR20090126725A (en)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80052971A KR20090126725A (en) 2008-06-05 2008-06-05 Management method and system for internet sutdy paper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80052971A KR20090126725A (en) 2008-06-05 2008-06-05 Management method and system for internet sutdy paper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90126725A true KR20090126725A (en) 2009-12-09

Family

ID=4168779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80052971A KR20090126725A (en) 2008-06-05 2008-06-05 Management method and system for internet sutdy paper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90126725A (en)

Cited By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256034B1 (en) * 2011-06-14 2013-04-18 (주)오투라인 Method and user terminal for lecture using teaching materials
WO2013141962A1 (en) * 2012-03-21 2013-09-26 Google Inc. Unlocking digital content using image recognition
KR101410682B1 (en) * 2010-01-11 2014-06-24 에스케이플래닛 주식회사 Method for Service Message Character base on Image, and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therefor
WO2015174704A1 (en) * 2014-05-14 2015-11-19 최진열 Learning support server, system, and method thereof, and computer-readable recording medium in which program for implementing same is recorded
KR20210009885A (en) * 2019-07-18 2021-01-27 주식회사 누아 Method, device and computer readable storage medium for automatically generating content regarding offline object

Cited By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410682B1 (en) * 2010-01-11 2014-06-24 에스케이플래닛 주식회사 Method for Service Message Character base on Image, and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therefor
KR101256034B1 (en) * 2011-06-14 2013-04-18 (주)오투라인 Method and user terminal for lecture using teaching materials
WO2013141962A1 (en) * 2012-03-21 2013-09-26 Google Inc. Unlocking digital content using image recognition
WO2015174704A1 (en) * 2014-05-14 2015-11-19 최진열 Learning support server, system, and method thereof, and computer-readable recording medium in which program for implementing same is recorded
KR20210009885A (en) * 2019-07-18 2021-01-27 주식회사 누아 Method, device and computer readable storage medium for automatically generating content regarding offline object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CN100416591C (en) Electronic device and recording medium
US9402013B2 (en) Information processing system and information processing method
WO2018150244A1 (en) Registering, auto generating and accessing unique word(s) including unique geotags
KR20170021101A (en) A smart studying apparatus, a method, and a computer readable storage medium for providing an user with scoring and studying information
CN111144079B (en) Method and device for intelligently acquiring learning resources, printer and storage medium
KR101576727B1 (en) Education system based on type of question using qr code and app
US20070022114A1 (en) Apparatus, system, and server capable of effectively specifying information in document
KR101648906B1 (en) System for learning foreign language based on sns log infromation and method threrof
KR20090126725A (en) Management method and system for internet sutdy paper
US20210390251A1 (en) Automatic generation of form application
CN106326490A (en) Assistant learning system and method based on two-dimensional codes
CN111460185A (en) Book searching method, device and system
KR20130021684A (en) System for managing answer paper and method thereof
KR101127646B1 (en) A study book using readable identification code and method for feedback study
KR102570471B1 (en) Sentence making service method and sentence making service method based on user using text mining
KR102576742B1 (en) Information link system, information link program, and method of operating the information link system
KR100725124B1 (en) Method and system for providing education service of foreign languages using identification tag, apparatus for learning foreign languages
KR20130114158A (en) Method for sharing online information by camera image input and text recognition of universally unique character string information id and system thereof
KR20120026287A (en) System and method of incorrect answer management
KR20150031521A (en) Providing related problem method about incorrect answer
Stacey et al. Effective information retrieval from the internet: an advanced user’s guide
De Pietro Authentic and situated learning with the use of an adaptive search engine and a QR-code in mobile mode
KR20180095414A (en) Method for providing question generating service for education
Maurya et al. Application of Google Lens to Promote Information Services beyond the Traditional Techniques
JP2021117659A (en) Identifying device, identifying method, program, and data structure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WITN Withdrawal due to no request for examin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