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90126654A - 휴대용 충전장치 - Google Patents

휴대용 충전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90126654A
KR20090126654A KR1020080052856A KR20080052856A KR20090126654A KR 20090126654 A KR20090126654 A KR 20090126654A KR 1020080052856 A KR1020080052856 A KR 1020080052856A KR 20080052856 A KR20080052856 A KR 20080052856A KR 20090126654 A KR20090126654 A KR 20090126654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mobile phone
main body
unit
detachable
charging devic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80052856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0977404B1 (ko
Inventor
김복범
이덕신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이랜텍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이랜텍 filed Critical 주식회사 이랜텍
Priority to KR1020080052856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977404B1/ko
Publication of KR20090126654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90126654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977404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977404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JCIRCUIT ARRANGEMENTS OR SYSTEMS FOR SUPPLYING OR DISTRIBUTING ELECTRIC POWER; SYSTEMS FOR STORING ELECTRIC ENERGY
    • H02J7/00Circuit arrangements for charging or depolarising batteries or for supplying loads from batteries
    • H02J7/0068Battery or charger load switching, e.g. concurrent charging and load supply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RVEHICLES, VEHICLE FITTINGS, OR VEHICLE PART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R11/00Arrangements for holding or mounting articl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R11/02Arrangements for holding or mounting articl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for radio sets, television sets, telephones, or the like; Arrangement of controls thereof
    • B60R11/0241Arrangements for holding or mounting articl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for radio sets, television sets, telephones, or the like; Arrangement of controls thereof for telephone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Power Engineering (AREA)
  • Telephone Set Structure (AREA)
  • Charge And Discharge Circuits For Batteries Or The Like (AREA)

Abstract

본 발명은 휴대용 충전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전원 공급을 위한 전원공급부와, 휴대폰의 충전을 위한 휴대폰충전부와, 상기 휴대폰과 블루투스 방식으로 통신가능한 헤드셋을 충전하기 위한 헤드셋충전부와, 상기 휴대폰의 착탈을 위한 휴대폰착탈부를 포함하는 본체부와; 상기 본체부를 회전가능하게 지지하는 본체지지부와; 상기 본체지지부에 착탈가능하게 결합되는 고정부재;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에 의해, 휴대폰의 충전과 본 휴대폰과 연동되는 헤드셋의 동시충전이 가능하며, 휴대폰이 거치되는 본체부와 차량에 설치되는 본체지지부가 착탈가능하도록 구성되어 휴대의 편이성을 향상시키고, 휴대폰이 착탈되는 휴대폰착탈부를 회전가능하게 마련하고, 휴대폰이 거치되는 본체부를 회전가능하게 마련하여 휴대폰의 거치 상태를 필요에 따라 조절할 수 있으며, 본체부를 독립적으로 이용가능하도록 구성하여 차량 외부에서도 휴대폰과 헤드셋의 충전을 용이하게 할 수 있다.
블루투스, 충전, 거치, 회전

Description

휴대용 충전장치{A PORTABLE CHARGER}
본 발명은 휴대용 충전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휴대폰과 연동되는 블루투스 헤드셋의 동시 충전이 가능하며, 휴대폰이 거치되는 본체부와 차량에 설치되는 본체지지부가 착탈가능하도록 구성되어 휴대의 편이성을 향상시킨 휴대용 충전장치에 관한 것이다.
통상적인 개념의 "휴대폰"이라 함은 사용자가 휴대하면서 상대방과 무선 통신을 수행할 수 있는 전자 장치를 의미한다.
이러한 휴대폰은 휴대성을 고려하여 소형화, 슬림화, 그립화 및 경량화되어가는 추세에 있으며, 보다 다양한 기능을 추구할 수 있는 멀티 미디어화 방향으로 나아가고 있는 추세에 있다.
보편화된 휴대폰은 외관상으로 여러 타입으로 분류된다.
예를 들어, 휴대폰은 외형에 따라서 바형(bar-type), 플립형(flip-type) 또는 폴더형(folder-type)으로 분류된다.
바형은 단일 하우징이 바형으로 구성된 것을 의미하고, 플립형은 바형의 하우징에 힌지장치에 의해 플립이 회전가능하게 구성된 것을 의미하며, 폴더형은 단 일의 바형 하우징에 폴더가 힌지 장치에 의해 회전가능하게 연결되어 접는 방식으로 구성된 것을 의미한다.
또한, 휴대폰은 개폐 방식에 따라서 회전형(rotation-type) 또는 슬라이딩형(sliding-type)으로 분류되기도 한다.
회전형은 두 개의 하우징이 마주보면서 대면한 상태를 계속 유지한 채 회전가능하게 연결되어 개폐되는 것을 의미하고, 슬라이딩형은 두 개의 하우징이 길이방향으로 슬라이딩이동으로 개폐되는 것을 의미한다.
상기 열거된 바와 같이 다양한 타입의 휴대폰은 장소에 구애됨이 없이 데이터의 송수신 및 통화가 가능한 장점이 있으나, 한편으로는 통화소음 등에 의해 타인에게 피해를 주는 경우가 많아 최근에는 휴대폰에 헤드셋을 연결하여 사용하는 예가 늘고 있다.
상기 휴대폰에 헤드셋을 연결하는 방식으로서, 종래에는 유선 케이블 연결방식을 사용하였으나 최근에는 단거리 무선 데이터 송수신이 가능한 블루투스 규격이 개발되어, 휴대폰을 포함한 각종 무선 데이터 송수신 장치에 적용되고 있으며, 헤드셋에도 블루투스 모듈이 장착되어 단말기간 무선 데이터 송수신을 통해 음성신호의 무선 송수신이 가능하게 되었다.
한편, 상기 휴대폰 및 헤드셋에 충전에 있어서, 휴대폰의 경우 서로 다른 충전기 규격에 의한 수요자들의 불편을 해소하기 위한 일환으로 각 제조사 및 모델에 공용으로 적용할 수 있도록 DC 4.2V 의 24핀 커넥터로 규격화된 충전기가 제공되고 있는 반면, 상기 헤드셋의 경우 사용되는 DC 5V 의 1핀 커넥터의 충전기는 광범위 하게 보급되고 있지 못한 실정이다.
따라서, 헤드셋의 충전을 위해 사용자가 전용 충전기를 별도로 구입해야 하는 점, 휴대폰의 충전기와는 달리 광범위하게 보급되지 못해 헤드셋 충전을 용이하게 하지 못하는 점 등의 사용상 불편함이 있었다.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창작된 것으로서, 본 발명의 목적은, 휴대폰의 충전과 본 휴대폰과 연동되는 헤드셋의 동시충전이 가능한 휴대용 충전장치를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은, 휴대폰이 거치되는 본체부와 차량에 설치되는 본체지지부가 착탈가능하도록 구성되어 휴대의 편이성을 향상시킨 휴대용 충전장치를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은, 휴대폰이 착탈되는 휴대폰착탈부를 회전가능하게 마련하고, 휴대폰이 거치되는 본체부를 회전가능하게 마련하여 휴대폰의 거치 상태를 조절할 수 있는 휴대용 충전장치를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은, 상기 본체부를 독립적으로 이용가능하도록 구성하여 차량 외부에서도 휴대폰과 헤드셋의 충전을 용이하게 할 수 있는 휴대용 충전장치를 제공하는 것이다.
상기 목적은, 본 발명에 따라, 전원 공급을 위한 전원공급부와, 휴대폰의 충전을 위한 휴대폰충전부와, 상기 휴대폰과 블루투스 방식으로 통신가능한 헤드셋을 충전하기 위한 헤드셋충전부와, 상기 휴대폰의 착탈을 위한 휴대폰착탈부를 포함하는 본체부와; 상기 본체부를 회전가능하게 지지하는 본체지지부와; 상기 본체지지부에 착탈가능하게 결합되는 고정부재;를 포함하는 휴대용 충전장치에 의해 달성된 다.
여기서, 상기 전원공급부는 DC 4.2V 의 24핀 커넥터로 구성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휴대폰충전부는 휴대폰에 착탈되기 위한 휴대폰 충전용 케이블을 추가적으로 포함하며, 상기 휴대폰 충전용 케이블은 DV 4.2V 의 24핀 커넥터로 구성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헤드셋충전부는 DC 5V 1핀 커넥터로 구성될 수 있다.
또한, 상기 헤드셋충전부는 상기 본체부로부터 슬라이딩 돌출 가능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한편, 상기 본체부는 상기 휴대폰 충전용 케이블의 착탈을 위한 휴대폰 충전용 케이블 착탈부를 추가적으로 포함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휴대폰착탈부는 회전가능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또한, 상기 본체부의 후면에는 본 본체부를 기립시키는 기립부재를 추가적으로 포함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본체부는 상기 본체지지부와 착탈되도록 마련될 수 있다.
한편, 상기 본체부지지부는 상기 고정부재와 착탈되는 지지대와, 본 지지대와 결합되는 몸체부를 포함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몸체부는, 상부가 상기 본체부에 착탈되며, 하부가 구형상으로 마련되는 회동부와; 상기 회동부가 안착되는 회동안착부와; 상기 회동안착부의 하부에 위치하여 상기 회동부와 회동안착부의 마찰력을 일정하게 유지시키는 탄성재와; 상기 회동안착부의 측부에 상, 하방으로 구동 가능하도록 설치되는 회동고정 부;를 포함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회동고정부는 본 회동고정부의 구동에 따라 상기 회동부와 회동안착부 사이의 마찰력이 조절되도록 마련될 수 있다.
또한, 상기 회동고정부는 본 회동고정부의 구동에 따라 상기 지지대의 일면에 고정되는 걸림돌기를 추가적으로 포함하며, 상기 걸림돌기는 상기 회동고정부의 하방 구동시에 상기 지지대의 일면에 고정되도록 마련될 수 있다.
한편, 상기 휴대용 충전장치는 상기 휴대폰의 후면에 접착되며, 상기 휴대폰착탈부에 대응되어 착탈되는 착탈부재를 추가적으로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고정부재는 차량의 에어컨 그릴에 착탈 가능하도록 설치될 수 있다.
본 발명에 의해, 휴대폰의 충전과 본 휴대폰과 연동되는 헤드셋의 동시충전이 가능한 휴대용 충전장치를 제공할 수 있다.
또한, 휴대폰이 거치되는 본체부와 차량에 설치되는 본체지지부가 착탈가능하도록 구성되어 휴대의 편이성을 향상시킬 수 있다.
또한, 휴대폰이 착탈되는 휴대폰착탈부를 회전가능하게 마련하고, 휴대폰이 거치되는 본체부를 회전가능하게 마련하여 휴대폰의 거치 상태를 필요에 따라 조절할 수 있다.
또한, 상기 본체부를 독립적으로 이용가능하도록 구성하여 차량 외부에서도 휴대폰과 헤드셋의 충전을 용이하게 할 수 있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구성을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이에 앞서, 본 명세서 및 청구범위에 사용된 용어는 사전적인 의미로 한정 해석되어서는 아니되며, 발명자는 자신의 발명을 최선의 방법으로 설명하기 위해 용어의 개념을 적절히 정의할 수 있다는 원칙에 입각하여,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에 부합되는 의미와 개념으로 해석되어야 한다.
따라서, 본 명세서에 기재된 실시예 및 도면에 도시된 구성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불과할 뿐이고,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모두 표현하는 것은 아니므로, 본 출원 시점에 있어 이들을 대체할 수 있는 다양한 균등물과 변형예들이 존재할 수 있음을 이해하여야 한다.
도 1 은 본 발명에 따른 본체부의 분해사시도이며, 도 2 는 본 발명에 따른 본체부의 결합사시도이며, 도 3 은 본 발명에 따른 휴대폰착탈부의 회전과정도이며, 도 4 는 본 발명에 따른 본체지지부의 분해사시도이며, 도 5 는 본 발명에 따른 본체지지부의 결합사시도이며, 도 6 은 본 발명에 따른 휴대용 충전장치의 분해사시도이며, 도 7 은 본 발명에 따른 휴대용 충전장치의 결합사시도이며, 도 8 은 본 발명에 따른 휴대용 충전장치의 장착도이다.
도 1 내지 8 을 참조하면, 본 발명에 따른 휴대용 충전장치는, 전원 공급을 위한 전원공급부(1)와, 휴대폰의 충전을 위한 휴대폰충전부(3)와, 상기 휴대폰과 블루투스 방식으로 통신가능한 헤드셋을 충전하기 위한 헤드셋충전부(5)와, 상기 휴대폰의 착탈을 위한 휴대폰착탈부(7)를 포함하는 본체부(10)와; 상기 본체부(10)를 회전가능하게 지지하는 본체지지부(20)와; 상기 본체지지부(20)에 착탈가능하게 결합되는 고정부재(30);를 포함한다.
여기서, 상기 본체부(10)는, 도 1 및 2 에서와 같이, 전원공급부(1)와 휴대폰충전부(3)와 헤드셋충전부(5)가 전기적으로 연결된 PCB 기판이 상부커버(2)와 하부커버(6)에 수용될 수 있도록 구성된다.
여기서, 상기 전원공급부(1)는 차량의 시가잭, USB 포트 또는 규격화된 가정용 충전기 등에 연결되어 본 발명에 따른 휴대용 충전장치에 전원을 공급하는 구성요소로써, DC 4.2V 의 24핀 커넥터로 구성될 수 있다.
또한, 상기 휴대폰충전부(3)는 휴대폰에 전원을 공급하여 배터리를 충전시키기 위한 구성요소로써, 휴대폰에 착탈되기 위한 휴대폰 충전용 케이블(4)을 추가적으로 포함하며, 상기 휴대폰 충전용 케이블(4)은 DV 4.2V 의 24핀 커넥터로 구성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헤드셋충전부(5)는 상기 휴대폰과 연동되는 블루투스 헤드셋을 충전하기 위한 구성요소로써, 여러 종류의 핀 커넥터로 마련될 수 있으며, 바람직하게는 현재 규격화되어 시판되고 있는 헤드셋에 적용가능하도록 DC 5V 1핀 커넥터로 구성될 수 있다.
또한, 상기 헤드셋충전부(5)는 상기 본체부(10)로부터 슬라이딩 돌출 가능하도록 구성되어, 헤드셋을 충전할 경우에는 헤드셋충전부(5)를 돌출시켜 충전을 수행하고, 헤드셋 충전이 필요없는 경우에는 상기 본체부(10)의 내부로 종입시킴으로 써, 본 발명에 따른 휴대용 충전장치의 외관을 더욱 컴팩트하게 구성할 수 있다.
한편, 상기 본체부(10)는 상기 휴대폰 충전용 케이블(4)의 착탈을 위한 휴대폰 충전용 케이블 착탈부(9)를 추가적으로 포함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휴대폰 충전용 케이블 착탈부(9)는 휴대폰의 충전을 하지 않는 경우 또는 헤드셋 만을 충전할 경우, 상기 휴대폰 충전용 케이블(4)의 커넥터를 상기 휴대폰 충전용 케이블 착탈부(9)에 연결시킴으로써, 차량 운행 중 발생되는 진동에 의한 상기 휴대폰 충전용 케이블(4)의 흔들림을 방지하며, 기 설치된 차량의 다른 장치와의 충돌을 방지하여 휴대폰 충전용 케이블(4)의 수명을 연장시킬 수 있다.
한편, 상기 본체부(10)는 휴대폰을 착탈시키며, 회전가능하도록 마련된 휴대폰착탈부(7)를 포함한다.
도 3 에서와 같이, 상기 상부커버(2)의 내측면에는 돌출된 고정부(17)와 복수의 고정홈(19)이 형성되며, 상기 휴대폰착탈부(7)는 상기 고정홈(19)에 대응되는 돌기(13)와 상기 고정부(17)에 대응되어 일정이상의 회전을 방지하는 스토퍼(11)로 구성된 회전체(15)와 결합된다.
여기서, 상기 복수의 고정홈(19)은 상기 휴대폰착탈부(7)와 결합된 회전체(15)의 돌기(17)를 수용할 수 있도록 일정간격으로 형성되어 상기 휴대폰착탈부(7)의 일정범위의 회전 시(90°,180°,270°)에, 적절한 고정력을 제공할 수 있도록 마련된다.
한편, 상기 하부커버(6)의 후면에는 상기 본체부(10)를 기립시키기 위한 기 립부재(8)가 추가적으로 포함될 수 있다.
상기 기립부재(8)는 상기 본체부(10)를 차량 외의 장소에서 독립적으로 사용할 경우, 상기 본체부(10)를 기립시키기 위한 구성요소이며, 도 1 및 2 에서와 같이 "L" 자 형상으로 마련될 수 있지만 그 형상은 이에 한정되지 않으며, 상기 본체부(10)를 기립시키는 여러가지 형상으로써 이용할 수 있음은 물론이다.
또한, 상기 하부커버(6)는 후술하여 설명할 회동부(24)와의 착탈을 위한 결합부(미도시)를 포함하며, 바람직하게는, 후술하여 설명할 착탈부재(40)와 동일한 형상으로 채용될 수 있다.
한편, 상기 본체지지부(20)는, 도 4 및 5 에서와 같이, 상기 고정부재와 착탈되는 지지대(21)와, 본 지지대(21)와 결합되는 몸체부(22)로 구성되어, 상기 본체부(10)를 지지할 수 있도록 마련된다.
여기서, 상기 몸체부(22)는, 회동부(24)와 본 회동부(24)를 안착시키는 회동안착부(25)와 상기 회동안착부(25)의 하부에 위치하는 탄성재(26)가 원통형상의 하우징(23)에 수용되며, 상기 회동안착부(25)의 측부에 설치되는 회동고정부(27)를 포함한다.
여기서, 상기 회동부(24)는 상부가 상기 본체부(10)에 착탈되며, 하부가 구형상으로 마련되어 상기 회동안착부(25)에 안착됨으로써, 상기 회동부(24)가 상, 하, 전, 후 방향으로 회전가능하도록 마련될 수 있다.
또한, 상기 회동부(24)가 안착되는 상기 회동안착부(25)의 안착면은 본 회동부(24)와 적절한 마찰력을 유지하기 위해 완만한 곡선형태로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 하다.
또한, 상기 회동안착부(25)의 하부에 위치하는 탄성재(26)는 압축된 상태로 설치되며, 상기 회동안착부(25)를 일정하게 가압하여 상기 회동부(24)와 회동안착부(25)의 마찰력을 일정하게 유지시키도록 마련될 수 있다.
이는, 상기 회동부(24)와 회동안착부(25)가 일정한 마찰력을 가지게 구성함으로써, 차량진동이나 외부 충격에 의해 상기 본체부(10)의 거치상태가 쉽게 변경되지 않게 하기 위함이다.
한편, 상기 회동고정부(27)는 상기 회동안착부(25)의 측부에 상, 하방으로 구동 가능하도록 설치되는 구성요소로써, 상기 회동고정부(27)의 구동에 따라 상기 회동부(24)와 회동안착부(25) 사이의 마찰력을 조절하는 역할을 담당한다.
여기서, 상기 회동고정부(27)는 양측에 상기 지지대(21)의 걸림홈(29)에 대응되어 고정되는 걸림돌기(28)를 추가적으로 포함할 수 있다.
즉, 상기 회동고정부(27)는 본 회동고정부(27)의 구동에 따라 상기 지지대(21)의 걸림홈(29)에 고정되는 걸림돌기(28)를 추가적으로 포함하며, 상기 걸림돌기(28)는 상기 회동고정부(27)의 하방 구동시에 상기 지지대(21)의 걸림홈(29)에 고정되도록 마련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걸림돌기(28)가 상기 걸림홈(29)에 고정되면, 상기 회동고정부(27)가 일정간격으로 상승되어 고정되며, 이는 상기 회동고정부(27)와 결합된 상기 회동안착부(25)의 일정간격의 상승으로 이어지고, 이로 인하여 상기 회동안착부(25)와 상기 회동부(24)에 가압력이 증가하여, 상기 회동안착부(25)와 회동 부(24)의 마찰력이 증가된다.
상기와 같이, 상기 회동안착부(25)와 회동부(24) 사이의 마찰력을 조절할 수 있도록 마련됨으로써, 사용자는 상기 회동고정부(27)를 상방으로 구동시킨 상태에서, 상기 회동부(24)와 결합된 본체부(10)의 위치 및 각도를 조절하여 휴대폰의 거치상태를 조절하며, 거치상태의 조절이 완료되면, 상기 회동고정부(27)를 하방으로 구동시켜 상기 회동부(24)와 본체부(10)의 회전이 용이하지 않도록 고정시킨다.
한편, 본 발명에 따른 휴대용 충전장치는, 도 6 에서와 같이, 휴대폰의 후면에 접착되며, 상기 휴대폰착탈부(7)에 대응되어 착탈되는 착탈부재(40)를 추가적으로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착탈부재(40)는 일면에 접착용 양면테이프를 포함하여 휴대폰(100)과 접착고정되며, 휴대폰에 접착된 착탈부재(40)를 휴대폰착탈부(7)에 결합시킴으로서, 용이한 휴대폰의 거치 및 충전을 수행할 수 있다.
한편, 상기 고정부재(30)는 상기 지지대(21)에 착탈될 수 있도록 마련되며, 도 8 에서와 같이, 차량의 에어컨 그릴에 착탈 가능하도록 설치되어, 상기 본체지지부(20)와 결합될 수 있다.
전술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휴대용 충전장치는, 휴대폰(100)의 충전과 본 휴대폰(100)과 연동되는 헤드셋의 동시충전이 가능하며, 휴대폰(100)이 거치되는 본체부(10)와 차량에 설치되는 본체지지부(20)가 착탈가능하도록 구성되어 사용의 편의성을 향상시켰으며, 휴대폰(10)이 착탈되는 휴대폰착탈부(7)를 회전가능 하게 마련하고, 휴대폰(100)이 거치되는 본체부(10)를 회전가능하게 마련하여 휴대폰(100)의 거치 상태를 필요에 따라 조절할 수 있을 뿐 아니라 상기 본체부(10)를 독립적으로 이용가능하도록 구성하여 차량 외부에서도 휴대폰(100)과 헤드셋의 충전을 용이하게 할 수 있다.
이상, 본 발명은 비록 한정된 실시예와 도면에 의해 설명되었으나,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은 이러한 것에 한정되지 않으며,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해,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과 하기 될 특허청구범위의 균등범위 내에서 다양한 수정 및 변형 실시가 가능할 것이다.
첨부의 하기 도면들은, 전술한 발명의 실시를 위한 구체적인 내용과 함께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이해시키기 위한 것이므로, 본 발명은 하기 도면에 도시된 사항에 한정해석되어서는 아니 된다.
도 1 은 본 발명에 따른 본체부의 분해사시도이며,
도 2 는 본 발명에 따른 본체부의 결합사시도이며,
도 3 은 본 발명에 따른 휴대폰착탈부의 회전과정도이며,
도 4 는 본 발명에 따른 본체지지부의 분해사시도이며,
도 5 는 본 발명에 따른 본체지지부의 결합사시도이며,
도 6 은 본 발명에 따른 휴대용 충전장치의 분해사시도이며,
도 7 은 본 발명에 따른 휴대용 충전장치의 결합사시도이며,
도 8 은 본 발명에 따른 휴대용 충전장치의 장착도이다.
*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
1 : 전원공급부 3 : 휴대폰충전부
5 : 헤드셋충전부 7 : 휴대폰착탈부
8 : 기립부재 10 : 본체부
20 : 본체지지부 21 : 지지대
22 : 몸체부 24 : 회동부
25 : 회동안착부 26 : 탄성재
30 : 고정부재 40 : 착탈부재

Claims (15)

  1. 전원 공급을 위한 전원공급부와, 휴대폰의 충전을 위한 휴대폰충전부와, 상기 휴대폰과 블루투스 방식으로 통신가능한 헤드셋을 충전하기 위한 헤드셋충전부와, 상기 휴대폰의 착탈을 위한 휴대폰착탈부를 포함하는 본체부와;
    상기 본체부를 회전가능하게 지지하는 본체지지부와;
    상기 본체지지부에 착탈가능하게 결합되는 고정부재;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용 충전장치.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전원공급부는 DC 4.2V 의 24핀 커넥터로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용 충전장치.
  3.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휴대폰충전부는 휴대폰에 착탈되기 위한 휴대폰 충전용 케이블을 추가적으로 포함하며, 상기 휴대폰 충전용 케이블은 DV 4.2V 의 24핀 커넥터로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용 충전장치.
  4.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헤드셋충전부는 DC 5V 1핀 커넥터로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 용 충전장치.
  5. 제 4 항에 있어서,
    상기 헤드셋충전부는 상기 본체부로부터 슬라이딩 돌출 가능하도록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용 충전장치.
  6. 제 1 항 또는 3 항에 있어서,
    상기 본체부는 상기 휴대폰 충전용 케이블의 착탈을 위한 휴대폰 충전용 케이블 착탈부를 추가적으로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용 충전장치.
  7.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휴대폰착탈부는 회전가능하도록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용 충전장치.
  8.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본체부의 후면에는 본 본체부를 기립시키는 기립부재를 추가적으로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용 충전장치.
  9.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본체부는 상기 본체지지부와 착탈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용 충전 장치.
  10. 제 9 항에 있어서,
    상기 본체부지지부는 상기 고정부재와 착탈되는 지지대와, 본 지지대와 결합되는 몸체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용 충전장치.
  11. 제 10 항에 있어서,
    상기 몸체부는,
    상부가 상기 본체부에 착탈되며, 하부가 구형상으로 마련되는 회동부와;
    상기 회동부가 안착되는 회동안착부와;
    상기 회동안착부의 하부에 위치하여 상기 회동부와 회동안착부의 마찰력을 일정하게 유지시키는 탄성재와;
    상기 회동안착부의 측부에 상, 하방으로 구동 가능하도록 설치되는 회동고정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용 충전장치.
  12. 제 11 항에 있어서,
    상기 회동고정부는 본 회동고정부의 구동에 따라 상기 회동부와 회동안착부 사이의 마찰력이 조절되도록 마련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용 충전장치.
  13. 제 12 항에 있어서,
    상기 회동고정부는 본 회동고정부의 구동에 따라 상기 지지대의 일면에 고정되는 걸림돌기를 추가적으로 포함하며, 상기 걸림돌기는 상기 회동고정부의 하방 구동시에 상기 지지대의 일면에 고정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용 충전장치.
  14.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휴대용 충전장치는 상기 휴대폰의 후면에 접착되며, 상기 휴대폰착탈부에 대응되어 착탈되는 착탈부재를 추가적으로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용 충전장치.
  15.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고정부재는 차량의 에어컨 그릴에 착탈 가능하도록 설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용 충전장치.
KR1020080052856A 2008-06-05 2008-06-05 휴대용 충전장치 KR100977404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80052856A KR100977404B1 (ko) 2008-06-05 2008-06-05 휴대용 충전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80052856A KR100977404B1 (ko) 2008-06-05 2008-06-05 휴대용 충전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90126654A true KR20090126654A (ko) 2009-12-09
KR100977404B1 KR100977404B1 (ko) 2010-08-24

Family

ID=4168773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80052856A KR100977404B1 (ko) 2008-06-05 2008-06-05 휴대용 충전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977404B1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394295B1 (ko) * 2013-12-12 2014-05-13 오준호 차량용 거치 장치
KR20200060130A (ko) * 2018-11-22 2020-05-29 주식회사 억스코리아 무선 충전기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858179B1 (ko) * 2016-10-10 2018-05-15 유정현 차량용 무선충전기

Family Cites Familie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233270Y1 (ko) * 2001-02-26 2001-09-26 장배준 차량용 핸즈프리
KR200406308Y1 (ko) * 2005-11-03 2006-01-20 주식회사 이어블루 두 개의 충전포트를 갖는 헤드셋 충전장치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394295B1 (ko) * 2013-12-12 2014-05-13 오준호 차량용 거치 장치
WO2015088192A1 (ko) * 2013-12-12 2015-06-18 오준호 차량용 거치 장치
KR20200060130A (ko) * 2018-11-22 2020-05-29 주식회사 억스코리아 무선 충전기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0977404B1 (ko) 2010-08-24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7289767B2 (en) Wireless communication glasses
EP3276779B1 (en) Charging arrangement for electronic accessories
US20050255895A1 (en) Adaptable charging cradle with speaker for portable communication devices
US20090061926A1 (en) Cell Phone with Bluetooth Inside
WO2005086466A1 (ja) 携帯端末用クレードル装置
KR20060097686A (ko) 휴대용 무선 헤드셋
WO2015184685A1 (zh) 无线充电遮阳板
KR100977404B1 (ko) 휴대용 충전장치
KR101452640B1 (ko) 원터치 개폐가 가능한 개선된 힌지 구조
EP1607829A3 (en) Battery-charging assembly for image display device and cradle with the same
KR102123453B1 (ko) 휴대용 단말기 무선 충전 장치
US20040204170A1 (en) Mobile phone battery pack and battery cover with earphone-microphone earpiece jack
CN210629149U (zh) 一种多功能手机背夹电池
CN210372732U (zh) 一种具有充电功能的支架装置
CN203825314U (zh) 弹簧听筒式无线耳机眼镜
CN205986192U (zh) 一种手机充电电池万用背夹
CN212004948U (zh) 移动终端支撑架
CN219875450U (zh) 一种电源适配器
CN220325342U (zh) 一种折叠式无线充电器
CN217508837U (zh) 一种新型固定带支架手机壳
CN212811989U (zh) 一种蓝牙耳机装置
KR100988423B1 (ko) 휴대용 충전장치
CN220108172U (zh) 一种无线蓝牙耳机充电仓
CN218734870U (zh) 一种具有扭簧翻盖定位结构的蓝牙耳机盒
CN220797849U (zh) 一种可拆卸充电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0820

Year of fee payment: 4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