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90125556A - Method, apparatus and system for coding video data - Google Patents

Method, apparatus and system for coding video data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90125556A
KR20090125556A KR1020080051720A KR20080051720A KR20090125556A KR 20090125556 A KR20090125556 A KR 20090125556A KR 1020080051720 A KR1020080051720 A KR 1020080051720A KR 20080051720 A KR20080051720 A KR 20080051720A KR 20090125556 A KR20090125556 A KR 20090125556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image data
roi
region
image
bit rat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80051720A
Other languages
Korean (ko)
Inventor
임정연
문재원
주영호
김문철
Original Assignee
에스케이 텔레콤주식회사
한국과학기술원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에스케이 텔레콤주식회사, 한국과학기술원 filed Critical 에스케이 텔레콤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080051720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90125556A/en
Publication of KR20090125556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90125556A/en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3ELECTRONIC CIRCUITRY
    • H03MCODING; DECODING; CODE CONVERSION IN GENERAL
    • H03M13/00Coding, decoding or code conversion, for error detection or error correction; Coding theory basic assumptions; Coding bounds; Error probability evaluation methods; Channel models; Simulation or testing of codes
    • H03M13/03Error detection or forward error correction by redundancy in data representation, i.e. code words containing more digits than the source words
    • H03M13/23Error detection or forward error correction by redundancy in data representation, i.e. code words containing more digits than the source words using convolutional codes, e.g. unit memory codes
    • HELECTRICITY
    • H03ELECTRONIC CIRCUITRY
    • H03MCODING; DECODING; CODE CONVERSION IN GENERAL
    • H03M13/00Coding, decoding or code conversion, for error detection or error correction; Coding theory basic assumptions; Coding bounds; Error probability evaluation methods; Channel models; Simulation or testing of codes
    • H03M13/25Error detection or forward error correction by signal space coding, i.e. adding redundancy in the signal constellation, e.g. Trellis Coded Modulation [TCM]
    • H03M13/258Error detection or forward error correction by signal space coding, i.e. adding redundancy in the signal constellation, e.g. Trellis Coded Modulation [TCM] with turbo codes, e.g. Turbo Trellis Coded Modulation [TTCM]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19/00Methods or arrangements for coding, decoding, compressing or decompressing digital video signals
    • H04N19/10Methods or arrangements for coding, decoding, compressing or decompressing digital video signals using adaptive coding
    • H04N19/102Methods or arrangements for coding, decoding, compressing or decompressing digital video signals using adaptive coding characterised by the element, parameter or selection affected or controlled by the adaptive coding
    • H04N19/132Sampling, masking or truncation of coding units, e.g. adaptive resampling, frame skipping, frame interpolation or high-frequency transform coefficient masking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19/00Methods or arrangements for coding, decoding, compressing or decompressing digital video signals
    • H04N19/10Methods or arrangements for coding, decoding, compressing or decompressing digital video signals using adaptive coding
    • H04N19/134Methods or arrangements for coding, decoding, compressing or decompressing digital video signals using adaptive coding characterised by the element, parameter or criterion affecting or controlling the adaptive coding
    • H04N19/167Position within a video image, e.g. region of interest [ROI]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7/00Television systems
    • H04N7/14Systems for two-way working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ultimedia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Probability & Statistics with Applications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Compression Or Coding Systems Of Tv Signals (AREA)

Abstract

PURPOSE: A method and an apparatus for coding video and a service system thereof are provided to encode an area which has great influence on video quality and an area which does not have great influence on video quality at respective different bit rates, thereby improving video quality. CONSTITUTION: An image obtaining unit(110) obtains video data. An image dividing unit(120) divides the obtained video data into a preset interest area and a non-interest area. An image encoding unit(130) respectively encodes video data of the interest area and video data of the non-interest area by preset area bit rate information. An image combining unit(140) combines the encoded video data of the interest area with the video data of the non-interest area.

Description

영상 코덱 방법, 영상 코덱 장치 및 그 영상 서비스 시스템{Method, Apparatus and System for Coding Video Data}Video codec method, video codec device and video service system {Method, Apparatus and System for Coding Video Data}

본 발명은 영상 코덱 방법, 영상 코덱 장치 및 그 영상 서비스 시스템에 관한 것이다. 더욱 상세하게는, 유무선 통신망의 대역폭을 낭비하지 않으면서도 관심이 집중되고 전체적인 화질을 좌우하는 영역에 대한 영상 품질을 향상시키는 영상 코덱 방법, 영상 코덱 장치 및 그 영상 서비스 시스템에 관한 것이다.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video codec method, a video codec device and a video service system thereof. More specifically,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n image codec method, an image codec device, and an image service system for improving image quality in a region where attention is focused and dominates overall image quality without wasting bandwidth of a wired / 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

음성 또는 영상의 신호를 디지털 신호로 변환하는 코더(Coder)와 그 반대로 변환시켜 주는 디코더(Decoder)의 기능을 함께 갖춘 기술인 코덱(Codec)은 음성데이터나 영상데이터를 컴퓨터가 처리할 수 있게 디지털로 바꿔 주고, 그 데이터를 컴퓨터 사용자가 알 수 있게 모니터에 본래대로 재생시켜 주기도 하는 소프트웨어 또는 하드웨어이다. 특히, 동영상처럼 용량이 큰 파일을 작게 묶어주고 이를 다시 본래대로 재생할 수 있게 해준다. 파일을 작게 해주는 것을 인코딩(Encoding), 본래대로 재생하는 것을 디코딩(Decoding)이라고 한다. Codec, a technology that combines the function of a coder that converts audio or video signals into digital signals, and vice versa, allows the computer to process audio or video data digitally. It is software or hardware that converts and replays the data on a monitor so that the computer user can see it. In particular, it bundles large files such as videos and allows them to be played back. Making a file smaller is called Encoding, and playing it back intact is called decoding.

특히 큰 용량을 가지는 영상데이터는 유무선 통신망 또는 재생하는 장치에 큰 부하를 주게 되며, 이를 전술한 코덱 기술을 이용하여 소정의 비트율(Bit Rate) 로 인코딩하여 비트 양을 줄여주어 유무선 통신망 또는 재생 장치의 부하를 줄여 줄 수 있다. In particular, video data having a large capacity places a heavy load on a wired / 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 or a device for reproducing, and reduces the amount of bits by encoding it at a predetermined bit rate by using the above-described codec technology. It can reduce the load.

영상데이터에는 관심이 집중되는 영역, 영상 화면 내 움직임이 많은 영역 등의 비트 양이 갑자기 증가하는 영역이 있으며, 이러한 영역은 전체적인 영상 품질에 큰 영향을 끼칠 수 있는 영역이다. There is an area in which the amount of bits suddenly increases, such as an area of interest, an area with a lot of movement in the image screen, and such an area may have a great influence on the overall image quality.

하나의 프레임 단위로 인코딩하는 종래의 영상 코덱 기술은 하나의 프레임 내에 존재하는 영상 품질에 큰 영향을 끼치는 영역과 그렇지 않은 영역에 대한 구분 없이 일률적으로 부호화함으로써, 영상 서비스 제공시 유무선 통신망의 대역폭 감소 또는 갑작스런 부호화 영상의 출력 데이터 증가시에 영상 화질의 급격한 저하를 발생시키는 문제점을 초래한다. 특히, 제한적이고 가변적인 대역폭을 가지는 무선 이동 환경에서는 이러한 문제점이 더욱 심각하게 발생할 수 있다. The conventional video codec technology of encoding one frame unit uniformly encodes an area having a great influence on the image quality existing in one frame and an area that is not, thereby reducing the bandwidth of the wired / 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 when providing a video service or It causes a problem that a sudden deterioration of image quality occurs when the output data of a sudden encoded image increases. In particular, this problem may occur more seriously in a wireless mobile environment with limited and variable bandwidth.

전술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본 발명의 목적은, 영상 품질에 큰 영향을 끼치는 영역과 그렇지 않은 영역에 대하여 각기 다른 비트율로 인코딩함으로써, 유무선 통신망의 대역폭을 낭비하지 않으면서도, 관심이 집중되고 전체적인 화질을 좌우하는 영역에 대한 영상 품질을 향상시키는 영상 코덱 장치를 제공하는 데 있다. It is an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to solve the above-mentioned problems, by focusing attention and overall image quality without wasting bandwidth of wired / 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by encoding at different bit rates for regions having a great influence on image quality and regions not having image quality. The present invention provides a video codec device that improves image quality of a region in which the dominant region is affected.

전술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한 측면에 따르면, 영상 코덱 장치에 있어서, 영상데이터를 획득하는 영상 획득부; 상기 획득된 영상데이터를 기설정된 관심영역과 비 관심영역으로 분리하는 영상 분리부; 기설정된 영역별 비트율 정보를 이용하여 상기 관심영역의 영상데이터 및 상기 비 관심영역의 영상데이터를 각각 부호화하는 영상 인코딩부; 및 상기 각각 부호화된 관심영역의 영상데이터 및 비 관심영역의 영상데이터를 결합하는 영상 결합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영상 코덱 장치를 제공한다. According to an aspect of the present invention for achieving the above object, an image codec device comprising: an image acquisition unit for acquiring image data; An image separator for dividing the acquired image data into a preset region of interest and a non-interest region; An image encoder which encodes image data of the ROI and image data of the non-ROI using preset bit rate information for each region; And an image combiner for combining the encoded image data of the ROI and the image data of the non-ROI, respectively.

전술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다른 한 측면에 따르면, 영상 코덱 방법에 있어서, (a) 영상데이터를 획득하는 단계; (b) 관심영역의 설정 여부를 확인하는 단계; (c) 상기 관심영역이 설정된 경우, 상기 획득된 영상데이터를 상기 관심영역과 비 관심영역으로 분리하는 단계; (d) 영역별 비트율 정보를 이용하여 상기 관심영역의 영상데이터 및 상기 비 관심영역의 영상데이터를 각각 부호화하는 단계; 및 (e) 상기 각각 부호화된 관심영역의 영상데이터 및 비 관심영역의 영상데이터를 결합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영상 코덱 방법을 제공한다. According to another aspect of the present invention for achieving the above object, an image codec method comprising the steps of: (a) obtaining image data; (b) confirming whether a region of interest is set; (c) separating the acquired image data into the ROI and the non-ROI when the ROI is set; (d) encoding image data of the ROI and image data of the non-ROI by using bit rate information for each region; And (e) combining the encoded image data of the region of interest and the image data of the non-interest region, respectively.

전술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또 다른 한 측면에 따르면, 영상 서비스 시스템에 있어서, 획득된 영상데이터를 기설정된 관심영역과 비 관심영역으로 분리하고, 기설정된 영역별 비트율 정보를 이용하여 상기 관심영역의 영상데이터 및 상기 비 관심영역의 영상데이터를 각각 부호화하고, 상기 각각 부호화된 관심영역의 영상데이터 및 비 관심영역의 영상데이터를 결합하여 결합 영상데이터를 생성하고, 상기 결합 영상데이터를 송신하는 제 1 단말기; 상기 제 1 단말기로부터 상 기 결합 영상데이터를 수신하고, 상기 관심영역 및 상기 비 관심영역으로 분리하여 각각 복호화하고, 상기 각각 복호화된 관심영역의 영상데이터 및 비 관심영역의 영상데이터를 결합하여 디스플레이하는 제 2 단말기; 및 상기 제 1 단말기 및 상기 제 2 단말기 간의 상기 결합 영상데이터를 전송하는 유무선 통신망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영상 서비스 시스템을 제공한다. According to another aspect of the present invention for achieving the above object, in the video service system, the obtained image data is divided into a predetermined region of interest and a non-interest region, and using the predetermined bit rate information for each region Encode the image data of the ROI and the image data of the non-ROI, respectively, and generate the combined image data by combining the encoded image data of the ROI and the image data of the non-ROI, and transmit the combined image data. A first terminal; Receiving the combined image data from the first terminal, decoding the divided region into the ROI and the non-ROI, respectively, and combining and displaying the image data of the decoded ROI and the non-ROI, respectively. A second terminal; And a wired or 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 for transmitting the combined image data between the first terminal and the second terminal.

전술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또 다른 한 측면에 따르면, 영상 서비스 시스템에 있어서, 영상데이터를 기설정된 관심영역과 비 관심영역으로 분리하고, 기설정된 영역별 비트율 정보 또는 화질 정보를 이용하여 상기 관심영역의 영상데이터 및 상기 비 관심영역의 영상데이터를 각각 부호화하고, 상기 각각 부호화된 관심영역의 영상데이터 및 비 관심영역의 영상데이터를 결합하여 결합 영상데이터를 생성하고, 상기 결합 영상데이터를 제공하는 영상 제공 서버; 상기 영상 제공 서버로부터 상기 결합 영상데이터를 수신하여 상기 관심영역 및 상기 비 관심영역으로 분리하고 각각 복호화하여, 상기 각각 복호화된 관심영역의 영상데이터 및 비 관심영역의 영상데이터를 결합하여 디스플레이하는 단말기; 및 상기 영상 제공 서버 및 상기 단말기 간의 상기 결합 영상데이터를 전송하는 유무선 통신망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영상 서비스 시스템을 제공한다. According to another aspect of the present invention for achieving the above object, in the video service system, by separating the image data into a predetermined region of interest and non-interest of region, by using the predetermined bit rate information or image quality information for each region The image data of the ROI and the image data of the non-ROI are respectively encoded, and the combined image data is generated by combining the encoded image data of the ROI and the image data of the non-ROI, and the combined image data is generated. Providing image providing server; A terminal configured to receive the combined image data from the image providing server, separate the image into the ROI and the non-ROI, and decode each of them, and display the image data of the decoded ROI and the image data of the non-ROI; And a wired or 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 for transmitting the combined image data between the image providing server and the terminal.

이상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의하면, 영상 품질에 큰 영향을 끼치는 영역과 그렇지 않은 영역에 대하여 각기 다른 비트율로 인코딩함으로써, 유무선 통신망의 대역폭을 낭비하지 않으면서도, 관심이 집중되고 전체적인 화질을 좌우하 는 영역에 대한 영상 품질을 향상시키는 영상 코덱 장치를 제공하는 효과가 있다. As described abov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by encoding at different bit rates for areas that have a great influence on video quality and areas that do not, the interest is concentrated and the overall picture quality is determined without wasting the bandwidth of the wired / 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 Has the effect of providing an image codec device for improving the image quality of a region.

이하, 본 발명의 실시예를 첨부된 도면들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우선 각 도면의 구성요소들에 참조부호를 부가함에 있어서, 동일한 구성요소들에 대해서는 비록 다른 도면상에 표시되더라도 가능한 한 동일한 부호를 가지도록 하고 있음에 유의해야 한다. 또한, 본 발명을 설명함에 있어, 관련된 공지 구성 또는 기능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당업자에게 자명하거나 본 발명의 요지를 흐릴 수 있고 판단되는 경우에는 그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Hereinafter,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in detail with reference to the accompanying drawings. First of all, in adding reference numerals to the components of each drawing, it should be noted that the same reference numerals are used as much as possible even if displayed on different drawings. In addition, in describing the present invention, detailed descriptions of related well-known structures or functions will be apparent to those skilled in the art or may obscure the subject matter of the present invention, and detailed descriptions thereof will be omitted.

우선 본 발명에 따른 영상 코덱 장치(100)를 간략히 설명하면, 본 발명에 따른 영상 코덱 장치(100)는 유무선 통신망을 통한 영상 통화 서비스, 영상 회의 서비스, 영상 제공 서비스 등의 영상 서비스를 제공하기 위한 통신기기들에 구비되어, 입력 영상데이터를 관심영역과 비 관심영역으로 나누고 관심영역의 영상데이터 부호화에 비 관심영역의 영상데이터 부호화보다 상대적으로 많은 비트양을 할당하여 부호화함으로써 사용자로 하여금 영상 서비스를 제공받을 때 주로 주목의 대상이 되는 관심영역의 화질을 높게 부호화하여 향상된 주관적 화질을 제공할 수 있는 영상 코덱에 관련된 기술을 제공하는 장치이다. First, the video codec device 100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briefly described. The video codec device 100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s provided for providing a video service such as a video call service, a video conference service, and a video providing service through a wired or 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 It is provided in communication devices and divides the input image data into the ROI and the non-ROI, and assigns and encodes a relatively larger amount of bits than the image data encoding of the ROI to encode the image data of the ROI. It is a device that provides a technique related to an image codec that can provide an improved subjective image quality by encoding a high quality image of a region of interest, which is mainly focused when received.

본 발명에서는 "관심영역"을 상대적으로 관심이 집중되는 영상 영역, 영상 화면 내 움직임이 많은 영역, 영상의 내용을 가장 많이 담고 있는 영상 영역, 또는 영상 전체의 화질을 좌우하는 영상 영역으로 정의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영상 통 화 경우, 사용자의 얼굴 부분에 해당하는 영상 영역이 관심영역이 될 수 있다. In the present invention, the "region of interest" may be defined as an image region in which relatively attention is focused, an area with a lot of movement in the image screen, an image region containing the most content of the image, or an image region which determines the quality of the entire image. have. For example, in the case of a video call, an image region corresponding to the face of the user may be a region of interest.

본 발명에 따른 영상 코덱 장치(100)에 의한 영상데이터의 인코딩은 종래의 영상데이터 인코딩과 아래와 같은 점에서 그 차이점이 있다. Encoding of image data by the image codec device 100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s different from the conventional image data encoding in the following points.

본 발명에 따른 영상 코덱 장치(100)는 프레임 단위로 영상데이터를 인코딩한다는 점에서는 종래의 영상 코덱 장치에서의 인코딩과 유사하나, 종래의 영상 코덱 장치는 영상데이터를 어떠한 방식으로 인코딩하든 하나의 프레임에 포함되는 영상데이터는 동일한 비트율로 인코딩하나, 본 발명에 따른 영상 코덱 장치(100)는 하나의 프레임이라 할지라도 하나의 프레임에 포함되는 관심영역과 비 관심영역의 영상데이터를 각기 다른 비트율로 각각 인코딩할 수 있다는 점에서 확연한 차이점이 있다. The video codec device 100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s similar to the encoding in the conventional video codec device in that it encodes the image data in units of frames. However, the conventional video codec device encodes the image data in one frame regardless of the method. Although the image data included in the video data is encoded at the same bit rate, the image codec device 100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may use image data of the ROI and non-ROI included in one frame at different bit rates, even if one frame is used. There is a significant difference in that it can be encoded.

전술한 본 발명에 따른 영상 코덱 장치(100)는 장치에 대한 개략적인 블록구성도인 도 1을 참조하여 설명한다. The image codec device 100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described above will be described with reference to FIG. 1, which is a schematic block diagram of the device.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전술한 본 발명에 따른 영상 코덱 장치(100)는 영상 획득부(110), 영상 분리부(120), 영상 인코딩부(130) 및 영상 결합부(140) 등을 포함한다. 단, 본 발명에 따른 영상 코덱 장치(100)는 인코딩 및 디코딩을 모두 수행할 수도 있으나, 도 1에 도시된 영상 획득부(110), 영상 분리부(120), 영상 인코딩부(130) 및 영상 결합부(140)는 영상데이터를 인코딩하는 인코딩 블록(Encoding Block)이다. As illustrated in FIG. 1, the image codec device 100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may include an image acquisition unit 110, an image separation unit 120, an image encoding unit 130, an image combining unit 140, and the like. Include. However, although the image codec device 100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may perform both encoding and decoding, the image acquisition unit 110, the image separation unit 120, the image encoding unit 130, and the image illustrated in FIG. 1 may be performed. The combiner 140 is an encoding block that encodes image data.

영상 획득부(110)는 카메라 등과 같은 영상 획득 장치를 통해 또는 영상데이터 저장소에서 해당 영상데이터를 획득한다. The image acquisition unit 110 acquires corresponding image data through an image acquisition device such as a camera or the like from an image data storage.

영상 분리부(120)는 영상 획득부(110)에서 획득된 영상데이터를 기설정된 관심영역과 비 관심영역으로 분리한다. The image separator 120 separates the image data acquired by the image acquirer 110 into a predetermined ROI and a non-ROI.

영상 인코딩부(130)는 기설정된 영역별 비트율 정보를 이용하여 영상 분리부(120)에서 분리된 관심영역의 영상데이터 및 비 관심영역의 영상데이터를 각각 부호화한다. 여기서, 영역별 비트율 정보는 관심영역에 대한 제 1 비트율 및 비 관심영역에 대한 제 2 비트율을 포함하되, 제 1 비트율은 제 2 비트율에 비해 상대적으로 높은 값을 가진다. The image encoding unit 130 encodes the image data of the ROI separated from the image separation unit 120 and the image data of the non-ROI by using predetermined bit rate information for each region. Here, the bit rate information for each region includes a first bit rate for the ROI and a second bit rate for the non-ROI, but the first bit rate has a relatively higher value than the second bit rate.

영상 결합부(140)는 영상 인코딩부(130)에서 각각 부호화된 관심영역의 영상데이터 및 비 관심영역의 영상데이터를 결합한다. The image combiner 140 combines the image data of the ROI encoded by the image encoder 130 and the image data of the non-ROI, respectively.

또한 영상 결합부(140)는 관심영역의 영상데이터에 대한 오류를 감시하거나 감시된 오류를 복구하면서, 각각 부호화된 관심영역의 영상데이터 및 비 관심영역의 영상데이터를 결합할 수 있다. 이를 통해 오류에 더욱더 강건한 결합이 가능하게 되어 영상 품질이 향상될 수 있다. In addition, the image combiner 140 may combine the image data of the ROI and the image data of the non-ROI, respectively, while monitoring or recovering the error of the image data of the ROI. This allows for more robust coupling to errors, which can improve image quality.

전술한 본 발명에 따른 영상 코덱 장치(100)는 영상 통화 서비스, 영상 회의 서비스 및 영상 제공 서비스 등에 관계되는 통신기기들에 적용될 수 있는데, 즉, 영상 코덱 장치(100)는 유선 및/또는 무선 인터페이스를 가진 컴퓨터, 이동 단말 및 서버 등에 포함될 수 있다. The video codec device 100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described above may be applied to communication devices related to a video call service, a video conferencing service, a video providing service, etc. That is, the video codec device 100 may be a wired and / or wireless interface. It may be included in a computer, a mobile terminal and a server having a.

만약 영상 코덱 장치(100)가 영상데이터가 양방향으로 송수신 되는 영상 통화 서비스, 영상 회의 서비스 등의 양방향 영상 서비스를 위한 컴퓨터, 이동 단말 등의 통신기기에 포함된다면, 이러한 컴퓨터, 이동 단말 등의 통신기기에 포함된 영상 코덱 장치(100)는 영상데이터를 관심영역 및 비 관심영역으로 나누고 각각으로 다른 비트율로 부호화하여 결합하는 인코딩 기능뿐만 아니라, 관심영역 및 비 관심영역별로 각각 부호화되어 결합된 영상데이터를 다시 관심영역 및 비 관심영역으로 분리하고 각각 다시 복호화하여 결합하는 디코딩 기능을 수행할 수 있어야 한다. If the video codec device 100 is included in a communication device such as a computer or a mobile terminal for a two-way video service such as a video call service or a video conference service in which video data is transmitted and received in both directions, a communication device such as a computer and a mobile terminal The image codec device 100 included in the image coder divides the image data into regions of interest and non-interests, and encodes and combines the image data encoded and combined for each region of interest and non-interests, respectively, as well as the encoding function for encoding and combining the data at different bit rates. It should be possible to perform a decoding function that separates the region of interest and the non-interest of interest, and decodes and combines them again.

하지만, 영상 코덱 장치(100)가 영상데이터가 단방향으로 송신되는 영상 제공 서비스 등의 단방향 영상 서비스를 위한 콘텐츠 서버와 같은 통신기기에 구비된다면, 이때 영상 코덱 장치(100)는 영상데이터를 관심영역 및 비 관심영역으로 나누고 각각으로 다른 비트율로 부호화하여 결합하는 인코딩 기능만 수행할 수 있으면 된다. However, if the video codec device 100 is provided in a communication device such as a content server for a one-way video service such as a video providing service in which the video data is transmitted in one direction, the video codec device 100 may include the image data in the ROI and the region of interest. It is only necessary to perform an encoding function of dividing into uninterested regions, encoding each at a different bit rate, and combining them.

영상 코덱 장치(100)가 인코딩 기능 및 디코딩 기능을 모두 수행하면, 영상 코덱 장치(100)는 인코딩 기능을 수행하는 인코딩 블록(Encoding Block)과 디코딩 기능을 수행하는 디코딩 블록(Decoding Block)으로 나눌 수 있으며, 이러한 두 블록을 모두 포함하는 본 발명에 따른 영상 코덱 장치(100)는 도 2에 도시된다. When the image codec device 100 performs both an encoding function and a decoding function, the image codec device 100 may be divided into an encoding block that performs an encoding function and a decoding block that performs a decoding function. The video codec device 100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ncluding both of these blocks is shown in FIG. 2.

도 2를 참조하면, 본 발명에 따른 영상 코덱 장치(100)에서의 인코딩 블록은, 영상 획득 장치로부터 영상데이터를 획득하는 영상 획득부(110), 영상 획득부(110)에서 획득된 영상데이터를 기설정된 관심영역과 비 관심영역으로 분리하는 영상 분리부(120), 기설정된 영역별 비트율 정보를 이용하여 영상 분리부(120)에서 분리된 관심영역의 영상데이터 및 비 관심영역의 영상데이터를 각각 부호화하는 영상 인코딩부(130), 영상 인코딩부(130)에서 각각 부호화된 관심영역의 영상데이터 및 비 관심영역의 영상데이터를 결합하는 영상 결합부(140) 및 영상 결합부(140)에서 결합된 영상데이터를 수신 단말기로 송신하는 영상 송신부(150) 등을 포함한다. Referring to FIG. 2, the encoding block in the image codec device 100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may include an image acquisition unit 110 for acquiring image data from an image acquisition apparatus and image data acquired by the image acquisition unit 110. The image separation unit 120 separating the predetermined ROI and the non-ROI, and the image data of the ROI separated from the image separation unit 120 and the image data of the non-ROI using the predetermined bit rate information for each region, respectively. The image combiner 140 and the image combiner 140 which combine the image data of the ROI encoded by the image encoder 130 and the image data of the non-ROI, respectively, are encoded. And an image transmitter 150 for transmitting the image data to the receiving terminal.

또한, 도 2를 참조하면, 본 발명에 따른 영상 코덱 장치(100)에서의 디코딩 블록은, 관심영역 및 비 관심영역별로 각각 부호화되어 결합된 영상데이터를 발신 단말기로부터 수신하는 영상 수신부(180), 영상 수신부(180)에서 수신된 영상데이터를 관심영역 및 비 관심영역으로 분리하는 영상 분리부(120), 영상 분리부(120)에서 분리된 관심영역의 영상데이터 및 비 관심영역의 영상데이터를 각각 복호화하는 영상 디코딩부(190), 영상 디코딩부(190)에서 각각 복호화된 관심영역의 영상데이터 및 비 관심영역의 영상데이터를 결합하는 영상 결합부(140) 및 결합된 영상데이터를 화면에 디스플레이하는 영상 디스플레이부(200) 등을 포함한다. 2, the decoding block in the image codec apparatus 100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an image receiving unit 180 which receives image data encoded and combined for each ROI and non-ROI, from a calling terminal, The image separator 120 that separates the image data received by the image receiver 180 into the ROI and the non-ROI, and the image data of the ROI separated by the image separator 120 and the image data of the non-ROI, respectively The image decoding unit 190 to decode, the image decoding unit 190 and the image combiner 140 for combining the image data of the region of interest and the non-interest region, respectively, and to display the combined image data on the screen And an image display unit 200.

단, 디코딩 블록 및 인코딩 블록에 대한 앞선 설명에서는, 영상데이터의 관심영역 및 비 관심영역으로의 분리가 하나의 영상 분리부(120)에서 수행된다고 하였으나, 디코딩 블록 및 인코딩 블록에서의 영상데이터 분리가 별도의 영상 분리부에서 수행될 수도 있다. However, in the foregoing description of the decoding block and the encoding block, although the separation of the image data into the ROI and the non-ROI is performed by one image separation unit 120, the image data separation in the decoding block and the encoding block is performed. It may be performed by a separate image separator.

또한, 디코딩 블록 및 인코딩 블록에 대한 앞선 설명에서는, 관심영역의 영상데이터 및 비 관심영역의 영상데이터에 대한 결합이 하나의 영상 결합부(140)에서 수행된다고 하였으나, 디코딩 블록 및 인코딩 블록에서의 영상데이터 결합이 별도의 영상 결합부에서 수행될 수도 있다. In addition, in the foregoing description of the decoding block and the encoding block, although the combination of the image data of the ROI and the image data of the non-ROI is performed in one image combiner 140, the image in the decoding block and the encoding block is performed. Data combining may be performed in a separate image combiner.

한편, 영상 분리부(120)가 영상 획득부(110)로부터 획득한 영상데이터 또는 영상 수신부(180)로부터 수신한 영상데이터(관심영역 및 비 관심영역에 대하여 별 도로 부호화되고 다시 결합된 영상데이터)를 관심영역 및 비 관심영역으로 분리하기 위해서는 관심영역이 기설정되어 있어야 한다.On the other hand, the image data obtained from the image acquisition unit 110 or the image data received from the image receiving unit 110, the image data received from the image receiving unit 180 (image data that is separately encoded and combined again with respect to the region of interest and uninterested region) The ROI should be set in advance in order to separate it into the ROI and the non-ROI.

따라서,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영상 코덱 장치(100)는 관심영역을 설정하는 영역 설정부(160)를 추가로 포함한다. 단, 비 관심영역은 설정된 관심영역을 제외한 나머지 부분으로 자동 설정될 수도 있고, 영역 설정부(160)에 의해 명시적으로 설정될 수도 있다. 하지만, 이하 설명에서는 관심영역만 설정하게 되면 비 관심영역은 설정된 관심영역을 제외한 나머지 영역으로 자동 설정되는 것을 가정하여 설명한다. Accordingly, as shown in FIG. 2, the image codec device 100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further includes a region setting unit 160 for setting a region of interest. However, the non-interested area may be automatically set to other parts except the set ROI, or may be explicitly set by the area setting unit 160. However, in the following description, it is assumed that when only the ROI is set, the non-ROI is automatically set to other areas except the ROI.

관심영역 설정 주체에 따라, 관심영역은 기설정된 기본 설정 값을 이용하여 설정될 수도 있고, 사용자 입력 값에 따라 설정될 수도 있으며, 물체의 움직임이나 출현 등에 따라 자동으로 설정될 수도 있다. According to the subject of interest setting, the region of interest may be set using a preset basic setting value, may be set according to a user input value, or may be automatically set according to the movement or appearance of an object.

또한, 관심영역 가변성에 따라, 설정된 관심영역은 고정적일 수도 있고 가변적일 수도 있다. 따라서, 영역 설정부(160)는 관심영역이 한번 설정된 이후 고정적이냐 가변적이냐에 따라 관심영역을 "고정적"으로 설정하거나 "가변적"으로 설정할 수 있다. 고정적으로 설정한다는 것은 한번 설정된 관심영역은 일정시간 변하지 않고 지속된다는 것이고, 가변적으로 설정한다는 것은 설정된 관심영역은 물체의 이동 및 출현 등이 발생하여 관심영역이 이동하거나 확대 또는 축소될 수 있다는 것이다. Also, depending on the region of interest variability, the region of interest may be fixed or variable. Accordingly, the region setting unit 160 may set the region of interest to "fixed" or "variable" according to whether the region of interest is fixed or variable after the region of interest is set once. The fixed setting means that the region of interest once set continues without change for a predetermined time, and the variable setting means that the region of interest may move, enlarge or shrink due to the movement and appearance of an object.

전술한 영역 설정부(160)가 관심영역을 고정적으로 설정하는 경우, 영역 설정부(160)는 기본 설정 값을 이용하여 관심영역을 고정적으로 설정하거나, 사용자 입력정보를 이용하여 관심영역을 고정적으로 설정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영상 통화의 경우 사람 얼굴이 일반적으로 화면 중앙에 위치하기 때문에 화면 중앙 부분을 기본 설정 값으로 설정해두어 이를 이용하여 관심영역으로 고정하여 설정하거나 중앙 부분으로 관심영역으로 고정하여 설정할 수도 있다. When the above-described region setting unit 160 sets the region of interest fixedly, the region setting unit 160 may set the region of interest fixedly by using a default setting value, or may set the region of interest fixedly by using user input information. Can be set. For example, in the case of a video call, since the human face is generally located at the center of the screen, the center portion of the screen may be set as the default setting value, and it may be set to the region of interest by using it or the center portion of the screen. .

또한, 영역 설정부(160)가 관심영역을 가변적으로 설정하는 경우, 영역 설정부(160)는 물체 검출 알고리즘을 이용한 물체 검출 결과를 토대로 관심영역을 자동으로 변경하면서 설정한다. 예를 들어, 영상 통화의 경우 사람의 얼굴이 이동하거나 새로 나타나게 되면 물체 검출 알고리즘에 의해 검출된 결과를 토대로 관심영역이 이동하거나 확대 또는 축소되어 설정될 수 있고 다른 관심영역으로 변경되어 설정될 수도 있다. In addition, when the area setting unit 160 variably sets the ROI, the area setting unit 160 sets the ROI while changing the ROI automatically based on the object detection result using the object detection algorithm. For example, in the case of a video call, when a face of a person moves or newly appears, the ROI may be set to move, enlarge or reduce based on the result detected by the object detection algorithm, or may be set to change to another ROI. .

한편, 영역 설정부(160)가 관심영역을 미설정한 경우, 영상 분리부(120)는 영상 획득부(110)에서 획득된 영상데이터 또는 영상 수신부(180)에서 수신한 영상데이터의 전체를 관심영역으로 간주하여 처리한다. On the other hand, when the region setting unit 160 has not set the ROI, the image separator 120 may care about the entirety of the image data acquired by the image acquirer 110 or the image data received by the image receiver 180. Treat it as an area.

또한 영상 분리부(120)는, 영역 설정부(160)가 관심영역을 미설정한 경우, 디폴트로 정의된 특정 형태의 영역을 관심영역으로 간주하여 처리할 수도 있다. 여기서, 특정 형태는 박스, 원 등의 형태일 수 있다. 예를 들어 디폴트로 정의된 특정 형태가 박스로 되어 있고, 영역 설정부(160)가 관심영역을 미설정하고 영상 획득부(110) 또는 영상 수신부(180)에서 영상데이터를 얻게 되면, 이 영상데이터를 디폴트로 정의된 박스에 대응되는 영상데이터의 부분을 관심영역의 데이터로 간주하여 영역별로 분리할 수 있다. In addition, when the region setting unit 160 does not set an ROI, the image separator 120 may process a particular type of region defined as a default as the ROI. Here, the specific form may be a form of a box, a circle, or the like. For example, if a specific shape defined as a default is a box, and the area setting unit 160 has not set an ROI and obtains the image data from the image acquisition unit 110 or the image receiving unit 180, the image data. A portion of image data corresponding to a box defined as a default may be regarded as data of a region of interest, and may be separated by regions.

도 2를 참조하면, 본 발명에 따른 영상 코덱 장치(100)는 관심영역에 대한 제 1 비트율 및 비 관심영역에 대한 제 2 비트율을 포함한 영역별 비트율 정보를 조절하여 설정하는 비트율 설정부(170)를 추가로 포함할 수 있다. Referring to FIG. 2, the image codec apparatus 100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adjusts and sets bit rate information for each region including a first bit rate for a region of interest and a second bit rate for an uninterested region. It may further include.

이러한 비트율 설정부(170)는 목표로 하는 전체 비트율을 근거로 하여, 제 1 비트율 및 제 2 비트율을 조절하면서 설정한다. 이때, 제 1 비트율은 제 2 비트율보다 상대적으로 높게 설정된다. 예를 들어, 전송하기 위한 영상데이터의 목표 전체 비트율이 1Mbps 라고 가정하고, 제 1 비트율과 제 2 비트율을 이용하여 계산될 수 있는 전체 비트율은 1Mbps로 유지하면서도 관심영역의 영상데이터를 높은 품질로 전송하고자 한다면, 관심영역에 대한 제 1 비트율은 700Kbps로 설정하고 비 관심영역에 대한 제 2 비트율은 300Kbps로 설정한다. 즉, 관심영역 부호화를 위한 제 1 비트율이 결정되면 비 관심영역 부호화를 위한 제 2 비트율이 목표 비트율에서 제 1 비트율을 뺀 잔여 비트율이 할당될 수 있다. The bit rate setting unit 170 sets the first bit rate and the second bit rate based on the target total bit rate. At this time, the first bit rate is set relatively higher than the second bit rate. For example, assuming that the target total bit rate of the image data to be transmitted is 1 Mbps, the image data of the region of interest is transmitted with high quality while maintaining the total bit rate that can be calculated using the first bit rate and the second bit rate at 1 Mbps. If desired, the first bit rate for the region of interest is set to 700 Kbps and the second bit rate for the region of interest is set to 300 Kbps. That is, when the first bit rate for the ROI encoding is determined, the second bit rate for the non-ROI encoding may be assigned the remaining bit rate obtained by subtracting the first bit rate from the target bit rate.

비트율 설정부(170)는 제 1 비트율 및 제 2 비트율을 포함하는 영역별 비트율 정보를 사용자 입력에 의해 설정할 수도 있고, 획득된 서비스 품질 정보(QoS: Quality of Service)를 근거로 하여 자동으로 설정할 수도 있다. 여기서, 서비스 품질 정보는 영상데이터 전송 상태 정보, 영상데이터 재생 상태 정보 및 유무선 통신망 상태 정보 등을 포함할 수 있다. The bit rate setting unit 170 may set area-specific bit rate information including the first bit rate and the second bit rate by a user input, or may automatically set the bit rate information based on the obtained quality of service (QoS). have. The service quality information may include image data transmission state information, image data reproduction state information, wired / 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 state information, and the like.

비트율 설정부(170)가 서비스 품질 정보를 이용하여 자동으로 비트율을 설정하는 경우, 영상 코덱 장치(100)에서 모니터링하거나, 연동하는 통신 시스템 또는 이동 단말, 컴퓨터 등의 영상데이터 수신 장치로부터 수신하여 서비스 품질 정보를 획득하고, 이를 근거로 하여 제 1 비트율 및 제 2 비트율을 조절하면서 설정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만약 획득된 서비스 품질 정보에 가용 대역폭, 대역폭 변화량, 지연, 지연 편차, 데이터 손실 등에서 하나 이상의 유무선 통신망 상태 정보가 포함되어 있고 이 유무선 통신망 상태 정보를 통해 전송 환경이 대역폭이 제한되고 가변적일 수 있는 무선 이동 환경이란 것을 확인할 수 있으며, 이러한 전송 환경에 적합하도록 제 1 비트율 및 제 2 비트율을 조절하여 설정할 수 있다. 가령 유무선 통신망 상태 정보에 가용 대역폭 정보가 있고 이를 통해 가용 대역폭이 800Kbps라면, 전체 목표 비트율을 800Kbps 정도로 설정하고 이를 근거로 제 1 비트율 및 제 2 비트율을 설정할 수 있다. When the bit rate setting unit 170 automatically sets the bit rate using the quality of service information, the video codec device 100 monitors or receives a service from an image data receiving device such as a communication system or a mobile terminal or a computer. The quality information can be obtained and set while adjusting the first bit rate and the second bit rate based on the quality information. For example, if the obtained quality of service information includes one or more wired / wireless network state information in available bandwidth, bandwidth variation, delay, delay deviation, data loss, etc., the wired / wireless network state information allows the transmission environment to be limited in bandwidth and variable. It may be confirmed that the wireless mobile environment may be, and the first bit rate and the second bit rate may be adjusted and set to suit the transmission environment. For example, if there is available bandwidth information in the wired / wireless network state information and the available bandwidth is 800 Kbps, the total target bit rate may be set to about 800 Kbps, and the first bit rate and the second bit rate may be set based on this.

한편, 전술한 영상 인코딩부(130)는 비트율 설정부(160)에서 설정된 제 1 비트율 및 제 2 비트율을 이용하여 관심영역의 영상데이터 및 비 관심영역의 영상 데이터를 각각 부호화할 수 있으며, 비트율 설정부(160)에서 설정된 제 1 비트율 및 제 2 비트율 중 하나 이상을 변경하여 관심영역의 영상데이터 및 비 관심영역의 영상 데이터를 각각 부호화할 수도 있다. 여기서, 제 1 비트율은 제 2 비트율보다 상대적으로 큰 값을 가지게 하여 관심영역의 영상데이터는 비 관심영역의 영상데이터에 비해 상대적으로 높은 비트율로(고화질로) 부호화될 수 있다. Meanwhile, the above-described image encoder 130 may encode the image data of the ROI and the image data of the non-ROI by using the first bit rate and the second bit rate set by the bit rate setting unit 160, and set the bit rate. The image data of the ROI and the non-ROI may be encoded by changing one or more of the first bit rate and the second bit rate set in the unit 160, respectively. Here, the first bit rate may have a value larger than the second bit rate so that the image data of the ROI may be encoded at a higher bit rate (high definition) than the image data of the non-ROI.

이와 같은 영역별로 다른 비트율로 부호화하는 것은, 즉 관심영역의 영상데이터를 높은 비트율(제 1 비트율)로 부호화하고 비 관심영역의 영상데이터를 낮은 비트율(제 2 비트율)로 부호화하는 것은, 관심영역의 영상데이터를 낮은 비트율로 부호화하여 발생 비트 양을 줄여주고, 이러한 발생 비트 양의 감소는 상대적으로 관심이 집중되어 전체 영상 품질을 좌우할 수 있는 관심영역의 영상데이터를 많은 비트 양을 발생시키는 높은 비트율로 부호화할 수 있는 여력을 만들어줄 수 있다. 그로 인해, 상대적으로 관심이 집중되어 좋은 화질을 보여야 하는 관심영역에 대한 영상 품질은 향상시키면서도 목표로 하는 전체 비트율은 적절히 유지되거나 줄일 수가 있다. Encoding at such a different bit rate for each region, that is, encoding video data of the ROI at a high bit rate (first bit rate) and encoding video data of a non-ROI at a low bit rate (second bit rate), By encoding the image data at a low bit rate, the amount of generated bits is reduced, and such a decrease in the amount of generated bits is achieved at a high bit rate to generate a large bit amount of image data of the region of interest, which is relatively focused and can influence the overall image quality. It can make room for coding. As a result, the target overall bit rate can be properly maintained or reduced while improving the image quality of the region of interest in which a relatively high concentration of attention is required to show good image quality.

또한, 영상 인코딩부(130)는 양자화 파라미터 값 조절, 영상 프레임에 대한 부호화 건너뛰기 및 비 관심영역의 영상데이터에 대한 부호화 건너뛰기 중에서 하나 이상을 이용하여 부호화된 영상데이터의 비트 양을 조절할 수도 있다. In addition, the image encoder 130 may adjust the bit amount of the encoded image data by using one or more of adjusting a quantization parameter value, skipping encoding on the image frame, and skipping encoding on the image data of the uninterested region. .

뿐만 아니라 부호화된 영상(관심영역 및 비관심 영역) 데이터를 전송 할 시에 관심 영역 데이터가 특히 전송 에러에 강하게 견디기 위해 비균등 오류 보호(Unequal Error Protection) 기법을 사용하여 관심 영역 데이터에 오류에 대한 보호를 강하게 적용하고 비 관심 영역 데이터에는 상대적으로 오류에 약한 보호를 적용한다. 이때 오류에 대한 보호 정도에 따라 부가 발생 데이터량이 증가되는데 이를 비트율 설정부(170)가 관심 영역 부호화에 제 1 비트율 할당과 비 관심 영역 부호화에 제 2 비트율을 할당할 시에 고려할 수 있다. 비 균등 오류 보호 기법으로는 길쌈 코드(Convolutional code)나 터보 코드(Turbo code) 등을 사용할 수 있다.In addition, when transmitting the coded image (region of interest and region of interest) data, the region of interest data is used for error in the region of interest using the Unequal Error Protection technique, in order to withstand the transmission error. Strong protection is applied and relatively weak error protection is applied to uninterested region data. In this case, the amount of additionally generated data increases according to the degree of protection against errors, which may be taken into account by the bit rate setting unit 170 when allocating the first bit rate to the ROI encoding and the second bit rate to the non-ROI encoding. Non-uniform error protection techniques may use convolutional code or turbo code.

이상에 전술한 본 발명에 따른 영상 코덱 장치(100)를 요약하면, 영상 코덱 장치(100)는 유무선 통신망을 통한 영상 통화 서비스, 영상 회의 서비스, 영상 제공 서비스 등의 영상 서비스를 제공하기 위한 통신기기들에 구비되어, 입력 영상데이터를 관심영역과 비 관심영역으로 나누고 관심영역의 영상데이터 부호화에 비 관 심영역의 영상데이터 부호화보다 상대적으로 많은 비트 양을 할당하여 부호화함으로써 사용자로 하여금 영상 서비스를 제공받을 때 주로 주목의 대상이 되는 관심영역의 화질을 높게 부호화하여 향상된 주관적 화질을 제공할 수 있는 영상 코덱에 관련된 기술을 제공하는 장치이다. Summarizing the video codec device 100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described above, the video codec device 100 is a communication device for providing a video service, such as a video call service, a video conference service, a video providing service through a wired or 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 Provided to the user to divide the input image data into a region of interest and an uninterested region, and provide a video service by allocating a relatively larger amount of bits to encode the image data of the region of interest than the image data encoding of the uninterested region. It is a device that provides a technique related to an image codec that can provide an improved subjective image quality by encoding a high quality image of a region of interest, which is mainly the subject of attention when receiving.

본 발명에 따른 영상 코덱 장치(100)가 제공하는 화질 향상의 효과는 유선 및 무선 통신망 환경 모두에서 얻을 수 있으나, 유선 환경에 비해 상대적으로 제한적이고 가변적인 대역폭(Bandwidth) 및 큰 지연 편차(Delay Variation, Jitter Delay)를 가지는 무선 이동 환경에서 그 효과는 더욱 두드러진다. The image quality improvement provided by the image codec device 100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can be obtained in both wired and 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 environments, but it is relatively limited and variable bandwidth and delay variation compared to the wired environment. In a wireless mobile environment with Jitter Delay, the effect is more pronounced.

왜냐하면, 상대적으로 관심이 집중되는 관심영역의 영상데이터는 해당 물체 또는 영상 화면의 움직임으로 인해 출력 비트 양이 급격히 증가할 수 있고, 제한적이고 가변적인 대역폭을 가지는 무선 이동 환경에서는 이러한 급격히 증가한 출력 비트 양을 감당할 대역폭의 여유가 유선 환경에 비해 상대적으로 부족하므로 양자화 파라미터 값을 더욱 크게 하여 비트 발생 양을 더욱 감소시키거나 더 많은 프레임 건너뛰기 등을 통해 부호화할 영상의 부호화 과정을 더욱 많이 생략하는 경우가 발생하여 영상 품질 저하를 더욱 심각하게 초래할 수 있는 것이다. This is because the amount of output bits may increase rapidly due to the movement of a corresponding object or video screen, and the amount of output bits increases rapidly in a wireless mobile environment with limited and variable bandwidth. Since there is less bandwidth to cover than the wired environment, the quantization parameter value is increased to reduce the amount of bits generated further or to skip more encoding processes of the image to be encoded by skipping more frames. This can cause more serious degradation of image quality.

하지만, 본 발명에 따른 영상 코덱 장치(100)는 비 관심영역의 영상데이터를 낮은 비트율로 부호화하여 발생 비트 양을 줄여주고, 이러한 발생 비트 양의 감소는 상대적으로 관심이 집중되어 전체 영상 품질을 좌우할 수 있는 관심영역의 영상데이터를 많은 비트 양을 발생시키는 높은 비트율로 부호화할 수 있는 여력을 만들어준다. 그로 인해, 상대적으로 관심이 집중되어 좋은 화질을 보여야하는 관심영역 에 대한 영상 품질은 향상시키면서도 목표로 하는 전체 비트율은 적절히 유지되거나 줄일 수가 있다. However, the image codec device 100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reduces the amount of generated bits by encoding the image data of the non-interested region at a low bit rate, and the reduction of the amount of generated bits is relatively concentrated to influence the overall image quality. This makes it possible to encode video data of a region of interest that can be encoded at a high bit rate that generates a large amount of bits. As a result, the target overall bit rate can be properly maintained or reduced while improving the image quality of the region of interest in which a relatively high concentration of attention is required to show good image quality.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영상 코덱 방법에 대한 흐름도이다. 3 is a flowchart illustrating an image codec method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영상 코덱 방법은, 영상데이터를 획득하는 단계(S300), 관심영역의 설정 여부를 확인하고, 확인 결과 관심영역이 설정된 경우 획득된 영상데이터를 관심영역과 비 관심영역으로 분리하는 단계(S302), 영역별 비트율 정보를 이용하여 관심영역의 영상데이터 및 비 관심영역의 영상데이터를 각각 부호화하는 단계(S304) 및 각각 부호화된 관심영역의 영상데이터 및 비 관심영역의 영상데이터를 결합하는 단계(S306) 등으로 포함한다. As shown in FIG. 3, the image codec method may include obtaining image data (S300), checking whether the ROI is set, and when the ROI is set as a result of the checking, sets the acquired image data to the ROI and the non-ROI. Separating the image data of the region of interest and the image data of the non-interest region using the bit rate information of each region (S302), and encoding the image data of the region of interest and the image of the non-interest region, respectively. Combining the data (S306) or the like.

S304 단계 이전에, 관심영역에 대한 제 1 비트율 및 비 관심영역에 대한 제 2 비트율을 포함하는 영역별 비트율 정보를 조절하여 설정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여기서, 제 1 비트율은 제 2 비트율보다 높게 조절되어 설정된다.  Before step S304, adjusting and setting the bit rate information for each region including the first bit rate for the ROI and the second bit rate for the non-ROI. Here, the first bit rate is set to be adjusted higher than the second bit rate.

전술한 영역별 비트율 정보 설정 단계에서의 영역별 비트율 정보 설정은 사용자 입력에 의해 설정될 수도 있으며, 서비스 품질 정보(QoS: Quality of Service)를 이용하여 자동으로 설정할 수도 있다. The region-specific bit rate information setting in the above-described region-specific bit rate information setting step may be set by user input or may be automatically set by using quality of service (QoS).

서비스 품질 정보(QoS: Quality of Service)를 이용하여 영역별 비트율 정보를 자동으로 설정하는 경우, 영역별 비트율 정보는 영상데이터 전송 상태 정보, 영상데이터 재생 상태 정보 및 유무선 통신망 상태 정보 중 하나 이상을 포함하는 서비스 품질(QoS: Quality of Service) 정보를 고려하여 조절하여 설정될 수 있다. When the bit rate information for each area is automatically set using quality of service (QoS), the bit rate information for each area includes one or more of video data transmission status information, video data playback status information, and wired / wireless network status information. The quality of service (QoS) can be adjusted and set in consideration of the information.

이때, 서비스 품질 정보는 영상 코덱 장치(100)에서 모니터링하여 획득하거 나, 연동하는 통신 시스템 또는 이동 단말, 컴퓨터 등의 영상데이터 수신 장치로부터 획득할 수도 있다. In this case, the service quality information may be obtained by monitoring by the image codec device 100 or may be obtained from an image data receiving apparatus such as a communication system or a mobile terminal or a computer to which the service codec interoperates.

S302 단계에서, 관심영역 설정 여부 확인 결과가 관심영역이 미설정된 경우에는, 획득된 영상데이터 전체를 관심영역으로 처리할 수 있다. 이렇게 되면, 영상데이터 전체가 관심영역으로 분리되고, 비 관심영역의 영상데이터는 존재하지 않게 된다. In operation S302, when the ROI is not set as the result of checking whether the ROI is set, the entire acquired image data may be processed as the ROI. In this case, the entire image data is divided into the ROI, and the image data of the non-ROI does not exist.

또한, S302 단계에서, 관심영역 설정 여부 확인 결과가 관심영역이 미설정된 경우에는, 디폴트로 정의된 특정 형태의 영역을 관심영역으로 처리하여 분리할 수도 있다. 이렇게 되면, 디폴트로 정의된 특정 형태의 영역에 대응되는 영상데이터가 관심영역으로 분리되고, 디폴트로 정의된 특정 형태의 영역을 제외한 영역에 대응되는 영상데이터가 비 관심영역으로 처리되어 분리된다. In addition, in operation S302, when the ROI is not set as the result of checking whether the ROI is set, a region of a specific type defined as a default may be processed and separated as the ROI. In this case, image data corresponding to a region of a specific type defined as a default is divided into a region of interest, and image data corresponding to a region except a region of a specific form defined as a default is processed and separated as a region of interest.

S302 단계에서의 관심영역 설정 여부 확인 이전에, 관심영역을 고정적으로 설정하거나 가변적으로 설정하는 단계를 추가로 포함할 수 있다. Prior to checking whether the ROI is set in operation S302, the method may further include setting the ROI fixedly or variably.

관심영역을 고정적으로 설정하는 경우, 기설정된 기본 설정 값을 이용하여 설정하거나, 사용자 입력정보를 이용하여 설정할 수도 있다. When the ROI is fixedly set, the ROI may be set using a preset basic setting value or may be set using user input information.

관심영역을 가변적으로 설정하는 경우, 물체 검출 알고리즘을 이용하여 물체 검출 결과를 토대로 관심영역을 자동으로 변경하면서 설정한다. When the ROI is variably set, the ROI is set while automatically changing the ROI based on an object detection result using an object detection algorithm.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영상 코덱 방법이 적용될 수 있는 영상 서비스 시스템에 대한 도면이다. 4 is a diagram of an image service system to which an image codec method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can be applied.

본 발명에 따른 영상 코덱 기술을 적용하여 제공할 수 있는 영상 서비스 종 류에는 영상데이터가 양방향으로 송수신 되는 영상 통화 서비스, 영상 회의 서비스 등과 같은 양방향 영상 서비스 및 영상데이터가 단방향으로 송신되는 영상 제공 서비스 등과 같은 단방향 영상 서비스가 있다. 영상 서비스를 받는 단말기, 서버 등의 통신기기들은 본 발명에 따른 영상 코덱 장치(100)를 구비하고 있어야한다. The video service type that can be provided by applying the video codec technology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a video call service in which video data is transmitted and received in both directions, a video conference service, and a video providing service in which video data is transmitted in one direction. There is the same one-way video service. Communication devices such as terminals, servers, etc. that receive video services should be provided with the video codec device 100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도 4의 (a)는 영상 통화 서비스, 영상 회의 서비스 등과 같은 양방향 영상 서비스를 도시한 도면으로서, 도 4의 (a)에 도시된 바와 같이 양방향 영상 서비스는 유무선 통신망(40)을 통하여 컴퓨터, 이동 단말 등과 같은 제 1 단말기(41) 및 제 2 단말기(42) 간에 이루어진다. 따라서, 본 발명에 따른 영상 코덱 장치(100)는 제 1 단말기(41) 및 제 2 단말기(42)에 구비되어 있으며, 제 1 단말기(41) 및 제 2 단말기(42)에 구비된 영상 코덱 장치(100)는 인코딩 블록 및 디코딩 블록을 모두 포함해야 한다. FIG. 4A is a diagram illustrating a two-way video service such as a video call service and a video conference service. As shown in FIG. 4A, a two-way video service is provided by a computer or mobile device through a wired / 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 40. It is made between the first terminal 41 and the second terminal 42 such as a terminal. Accordingly, the video codec device 100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s provided in the first terminal 41 and the second terminal 42, and is provided in the first terminal 41 and the second terminal 42. 100 should include both an encoding block and a decoding block.

도 4의 (a)를 참조하면, 본 발명에 따른 영상 서비스 시스템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획득된 영상데이터를 기설정된 관심영역과 비 관심영역으로 분리하고, 기설정된 영역별 비트율 정보를 이용하여 관심영역의 영상데이터 및 비 관심영역의 영상데이터를 각각 부호화하고, 각각 부호화된 관심영역의 영상데이터 및 비 관심영역의 영상데이터를 결합하여 결합 영상데이터를 생성하여 결합 영상데이터로 송신하는 제 1 단말기(41), 제 1 단말기(41)로부터 결합 영상데이터를 수신하여 관심영역 및 비 관심영역으로 분리하여 각각 복호화하고, 각각 복호화된 관심영역의 영상데이터 및 비 관심영역의 영상데이터를 결합하여 디스플레이하는 제 2 단말기(42)를 포함하며, 또한 제 1 단말기(41)와 제 2 단말기(42) 간의 결합 영상데이 터를 전송하는 유무선 통신망(40)을 포함한다. Referring to FIG. 4A,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video service system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the obtained image data is divided into a predetermined region of interest and a non-interest region, and using predetermined bit rate information for each region. A first terminal for encoding the image data of the ROI and the non-ROI, respectively, combining the encoded image data of the ROI and the image data of the non-ROI, and generating combined image data and transmitting the combined image data as combined image data; (41) receives the combined image data from the first terminal 41, decodes each of the ROI and the non-ROI, and decodes the image data of the decoded ROI and the image data of the non-ROI, respectively. A wired / 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 40 including a second terminal 42 and transmitting combined image data between the first terminal 41 and the second terminal 42. It includes.

여기서, 제 1 단말기(41) 및 제 2 단말기(42)는 영상 통화 기능 또는 영상 회의 기능을 수행하는 컴퓨터 또는 이동 단말이되, 인코딩 및 디코딩을 수행할 수 있어야 한다. Here, the first terminal 41 and the second terminal 42 should be a computer or mobile terminal that performs a video call function or a video conference function, and should be able to perform encoding and decoding.

도 4의 (b)는 영상 제공 서비스 등과 같은 단방향 영상 서비스를 도시한 도면으로서, 도 4의 (b)에 도시된 바와 같이 단방향 영상 서비스는 유무선 통신망(40)을 통하여 서버(43)로부터 단말기(44)로 영상데이터를 제공하는 서비스이다. 4B is a diagram illustrating a unidirectional video service such as an image providing service. As illustrated in FIG. 4B, a unidirectional video service is connected to a terminal (eg, a server) from a server 43 through a wired / 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 40. 44) provides video data.

여기서, 서버(43)는 본 발명에 따른 영상 코덱 장치(100)를 구비해야하나 영상데이터를 제공하기만 하기 때문에 영상 코덱 장치(100)에서의 인코딩 블록만을 포함하면 되고, 단말기(44)는 본 발명에 따른 영상 코덱 장치(100)를 구비해야하나 영상데이터를 제공받기만 하기 때문에 영상 코덱 장치(100)에서의 디코딩 블록만을 포함하면 된다. 물론, 서버(43) 및 단말기(44)가 구비한 영상 코덱 장치(100)가 인코딩 블록 및 디코딩 블록을 모두 포함할 수도 있다. In this case, the server 43 should include the video codec device 100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but only provide the encoding block in the video codec device 100 because it only provides the image data. The video codec device 100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should be provided, but only the decoding block of the video codec device 100 is included since only the image data is provided. Of course, the image codec device 100 included in the server 43 and the terminal 44 may include both an encoding block and a decoding block.

도 4의 (b)를 참조하면, 본 발명에 따른 영상 서비스 시스템의 다른 일 실시예에 따르면, 영상데이터를 기설정된 관심영역과 비 관심영역으로 분리하고, 기설정된 영역별 비트율 정보 또는 화질 정보를 이용하여 관심영역의 영상데이터 및 비 관심영역의 영상데이터를 각각 부호화하고, 각각 부호화된 관심영역의 영상데이터 및 비 관심영역의 영상데이터를 결합하여 결합 영상데이터를 생성하고, 결합 영상데이터를 제공하는 영상 제공 서버(43), 영상 제공 서버(43)로부터 결합 영상데이터를 수신하여 관심영역 및 비 관심영역으로 분리하고 각각 복호화하여, 각각 복호 화된 관심영역의 영상데이터 및 비 관심영역의 영상데이터를 결합하여 디스플레이하는 단말기(44)를 포함하고, 또한 영상 제공 서버(43)와 단말기(44) 간의 결합 영상데이터를 전송하는 유무선 통신망(40)을 포함한다.Referring to (b) of FIG. 4, 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of the video service system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mage data is divided into a predetermined region of interest and a non-interest region, and predetermined bit rate information or image quality information for each region is set. By encoding the image data of the region of interest and the image data of the non-interest region, respectively, by using the combined image data of the region of interest and the image data of the non-interest region to generate a combined image data, and providing the combined image data Receives combined image data from the image providing server 43 and the image providing server 43, separates them into regions of interest and uninterested regions, and decodes them respectively to combine the image data of the decoded regions of interest and the image data of non-interest regions. And a terminal 44 for displaying and displaying the combined image data between the image providing server 43 and the terminal 44. And a 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 40.

도 4의 (a) 및 (b)에 도신된 유무선 통신망(40)은 인터넷 또는 이동통신망 등을 포함할 수 있다. The wired / 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 40 illustrated in FIGS. 4A and 4B may include the Internet or a mobile communication network.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영상 코덱 기술을 적용한 영상 서비스 제공 방법에 대한 흐름도로서, 여기서 영상 서비스는 도 4의 (a)에 도시된 것과 같은 영상 통화 서비스, 영상 회의 서비스 등의 양방향 영상 서비스를 의미한다. 5 is a flowchart illustrating a video service providing method using a video codec technology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wherein the video service refers to a two-way video service such as a video call service and a video conferencing service as shown in FIG. do.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영상 코덱 기술을 적용한 영상 서비스 제공 방법은, 발신 단말기가 영상데이터를 획득하여 관심영역과 비 관심영역으로 분리하는 단계(S500), 발신 단말기가 영역별 비트율 정보를 이용하여 관심영역의 영상데이터 및 비 관심영역의 영상데이터를 각각 부호화하여 결합하고 송신하는 단계(S502), 수신 단말기가 송신된 영상데이터를 수신하여 관심영역의 영상데이터 및 비 관심영역의 영상데이터로 분리하는 단계(S504), 및 수신 단말기가 분리된 관심영역의 영상데이터 및 비 관심영역의 영상데이터를 각각 복호화하여 결합하고 디스플레이하는 단계(S506) 등을 포함한다. As shown in FIG. 5, in the video service providing method using the video codec technology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the method for obtaining a video data and separating the data into regions of interest and uninterested regions by the calling terminal (S500), and by calling regions, Encoding, combining, and transmitting the image data of the ROI and the non-ROI using the bit rate information, respectively (S502), and the receiving terminal receives the transmitted image data to determine the image data of the ROI and the non-ROI Separating the image data into the image data (S504), and decoding, combining and displaying the image data of the separated ROI and the non-ROI, respectively (S506).

위에서 언급한 관심영역은 기본 설정 값 또는 사용자 입력정보를 토대로 고정적으로 기설정되거나 물체 검출 알고리즘을 이용하여 물체 검출 결과를 토대로 가변적으로 설정된다. The region of interest mentioned above is fixedly preset based on a basic setting value or user input information or variably based on an object detection result using an object detection algorithm.

위에서 언급한 영역별 비트율 정보는 관심영역에 대한 제 1 비트율 및 비 관 심영역에 대한 제 2 비트율을 포함하되, 일반적으로 제 1 비트율은 제 2 비트율보다 큰 값을 가진다. 그러나 관심영역의 크기가 매우 작게 설정된 경우에는 제 2 비트율은 제 1 비트율보다 큰 값을 가질 수 있다. The above-mentioned bit rate information for each region includes a first bit rate for the region of interest and a second bit rate for the uninterested region, but generally the first bit rate has a value larger than the second bit rate. However, when the size of the ROI is set very small, the second bit rate may have a larger value than the first bit rate.

이상의 설명은 본 발명의 기술 사상을 예시적으로 설명한 것에 불과한 것으로서,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본 발명의 본질적인 특성에서 벗어나지 않는 범위에서 다양한 수정 및 변형이 가능할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에 개시된 실시예들은 본 발명의 기술 사상을 한정하기 위한 것이 아니라 설명하기 위한 것이고, 이러한 실시예에 의하여 본 발명의 기술 사상의 범위가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본 발명의 보호 범위는 아래의 청구범위에 의하여 해석되어야 하며, 그와 동등한 범위 내에 있는 모든 기술 사상은 본 발명의 권리범위에 포함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할 것이다.The above description is merely illustrative of the technical idea of the present invention, and those skilled in the art to which the present invention pertains may make various modifications and changes without departing from the essential characteristics of the present invention. Therefore, the embodiments disclosed in the present invention are not intended to limit the technical idea of the present invention but to describe the present invention, and the scope of the technical idea of the present invention is not limited by these embodiments. The scope of protection of the present invention should be interpreted by the following claims, and all technical ideas within the scope equivalent thereto should be construed as being included in the scope of the present invention.

이상 설명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은 영상 코덱 기술 및 영상 서비스 제공 기술에 적용되어, 유무선 통신망의 대역폭을 낭비하지 않으면서도, 관심이 집중되고 전체적인 화질을 좌우하는 영역에 대한 영상 품질을 향상시키는 효과가 있는 매우 유용한 발명이다. As described above, the present invention is applied to a video codec technology and a video service providing technology, and has an effect of improving image quality in areas where attention is focused and influences overall image quality without wasting bandwidth of wired and 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It is a very useful invention.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영상 코덱 장치에 대한 개략적인 블록구성도, 1 is a schematic block diagram of an image codec devic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영상 코덱 장치에 대한 상세한 블록구성도, 2 is a detailed block diagram of an image codec devic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영상 코덱 방법에 대한 흐름도, 3 is a flowchart of an image codec method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영상 코덱 방법이 적용될 수 있는 영상 서비스 시스템에 대한 도면,4 is a diagram of an image service system to which an image codec method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can be applied;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영상 코덱 방법을 적용한 영상 서비스 제공 방법에 대한 흐름도이다. 5 is a flowchart illustrating a video service providing method applying the video codec method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Description of Symbols for Main Parts of Drawings>

100: 영상 코덱 장치 110: 영상 획득부100: image codec device 110: image acquisition unit

120: 영상 분리부 130: 영상 인코딩부120: image separation unit 130: image encoding unit

140: 영상 결합부 150: 영상 송신부140: video combiner 150: video transmitter

160: 영역 설정부 170: 비트율 설정부160: area setting unit 170: bit rate setting unit

Claims (19)

영상 코덱 장치에 있어서, In the video codec device, 영상데이터를 획득하는 영상 획득부; An image obtaining unit obtaining image data; 상기 획득된 영상데이터를 기설정된 관심영역과 비 관심영역으로 분리하는 영상 분리부; An image separator for dividing the acquired image data into a preset region of interest and a non-interest region; 기설정된 영역별 비트율 정보를 이용하여 상기 관심영역의 영상데이터 및 상기 비 관심영역의 영상데이터를 각각 부호화하는 영상 인코딩부; 및An image encoder which encodes image data of the ROI and image data of the non-ROI using preset bit rate information for each region; And 상기 각각 부호화된 관심영역의 영상데이터 및 비 관심영역의 영상데이터를 결합하는 영상 결합부An image combiner configured to combine the encoded image data of the ROI and the non-ROI, respectively; 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영상 코덱 장치. Image codec device comprising a. 제 1항에 있어서, The method of claim 1, 상기 관심영역을 설정하는 영역 설정부를 추가로 포함하되, Further comprising a region setting unit for setting the region of interest, 상기 영역 설정부는,The area setting unit, 상기 관심영역을 고정적으로 설정하거나 가변적으로 설정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영상 코덱 장치. The image codec device, characterized in that the region of interest is fixedly set or variably set. 제 2항에 있어서, The method of claim 2, 상기 영역 설정부는, The area setting unit, 상기 관심영역을 고정적으로 설정하는 경우, 기설정된 기본 설정 값을 이용하여 설정하거나, 사용자 입력정보를 이용하여 설정하고, When the ROI is fixedly set, it is set using a preset default setting value or is set using user input information. 상기 관심영역을 가변적으로 설정하는 경우, 물체 검출 알고리즘을 이용한 물체 검출 결과를 토대로 상기 관심영역을 변경하면서 설정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영상 코덱 장치. And setting the ROI variably while changing the ROI based on an object detection result using an object detection algorithm. 제 2항에 있어서, The method of claim 2, 상기 영역 설정부에서 상기 관심영역을 미설정한 경우, If the ROI is not set by the region setting unit, 상기 영상 분리부는 상기 영상 획득부에서 획득된 영상데이터 전체를 관심영역으로 처리하거나 디폴트로 정의된 특정 형태의 영역을 관심영역으로 처리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영상 코덱 장치. And the image separation unit processes the entire image data acquired by the image acquisition unit as the ROI or processes a region of a specific type defined by default as the ROI. 제 1항에 있어서, The method of claim 1, 상기 관심영역에 대한 제 1 비트율 및 상기 비 관심영역에 대한 제 2 비트율을 포함한 상기 영역별 비트율 정보를 조절하여 설정하는 비트율 설정부를 추가로 포함하되, And a bit rate setting unit configured to adjust and set bit rate information for each area including a first bit rate for the ROI and a second bit rate for the non-ROI, 상기 비트율 설정부는, The bit rate setting unit, 목표로 하는 전체 비트율을 근거로 하여, 상기 제 1 비트율 및 상기 제 2 비트율을 조절하면서 설정하되, 상기 제 1 비트율은 상기 제 2 비트율보다 높게 설정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영상 코덱 장치.And setting the first bit rate and the second bit rate while adjusting the first bit rate based on the target total bit rate, wherein the first bit rate is set higher than the second bit rate. 제 5항에 있어서, The method of claim 5, 상기 비트율 설정부는, The bit rate setting unit, 목표로 하는 전체 비트율을 근거로 하여, 상기 제 1 비트율 및 상기 제 2 비트율을 조절하면서 설정하되, Setting on the basis of the target total bit rate, adjusting the first bit rate and the second bit rate, 관심영역 부호화 데이터가 비관심 영역 부호화 데이터보다 전송 에러에 더 강하게 견디기 위해 비균등 오류 보호 기법 적용을 고려하여 제 1 비트율과 제 2 비트율을 설정하고, In order to make the region of interest encoded data more resistant to transmission errors than the region of interest, the first bit rate and the second bit rate are set in consideration of the application of an uneven error protection scheme. 상기 비균등 오류 보호 기법 적용은 길쌈 코드(Convolutional code) 또는 터보 코드(Turbo code)를 사용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영상 코덱 장치.The non-uniform error protection technique is applied to the image codec device, characterized in that using a convolutional code or turbo code (Turbo code). 제 5항에 있어서, The method of claim 5, 상기 비트율 설정부는, The bit rate setting unit, 영상데이터 전송 상태 정보, 영상데이터 재생 상태 정보 및 유무선 통신망 상태 정보 중 하나 이상을 포함하는 서비스 품질 정보를 근거로 하여, 상기 제 1 비트율 및 상기 제 2 비트율을 조절하면서 설정하되, 상기 서비스 품질 정보는 상기 영상 코덱 장치에서 모니터링하여 획득하거나, 통신 시스템 또는 영상데이터 수신 장치로부터 획득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영상 코덱 장치. On the basis of the service quality information including at least one of video data transmission status information, video data reproduction status information, and wired / 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 status information, the first bit rate and the second bit rate are adjusted while being set. The video codec device is obtained by monitoring in the video codec device, or obtained from a communication system or an image data receiving device. 제 5항에 있어서, The method of claim 5, 상기 영상 인코딩부는,The video encoding unit, 상기 설정된 상기 제 1 비트율 및 상기 제 2 비트율을 이용하여 상기 관심영역의 영상데이터 및 상기 비 관심영역의 영상 데이터를 각각 부호화하거나, 상기 설정된 상기 제 1 비트율 및 상기 제 2 비트율 중 하나 이상을 변경하여 상기 관심영역의 영상데이터 및 상기 비 관심영역의 영상 데이터를 각각 부호화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영상 코덱 장치. The image data of the ROI and the non-ROI are respectively encoded using the set first bit rate and the second bit rate, or one or more of the set first bit rate and the second bit rate are changed. And image data of the region of interest and image data of the non-interest region, respectively. 제 1항에 있어서, The method of claim 1, 상기 영상 인코딩부는, The video encoding unit, 양자화 파라미터 값 조절, 영상 프레임에 대한 부호화 건너뛰기 및 상기 비 관심영역의 영상데이터에 대한 부호화 건너뛰기 중 하나 이상을 이용하여 부호화된 영상데이터의 비트 양을 조절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영상 코덱 장치. And adjusting the bit amount of the encoded image data by using at least one of adjusting a quantization parameter value, skipping encoding for the image frame, and skipping encoding for the image data of the non-interested region. 제 1항에 있어서, The method of claim 1, 상기 영상 결합부는, The image combiner, 상기 관심영역의 영상데이터에 대한 오류를 감시하거나 감시된 오류를 복구하면서, 상기 각각 부호화된 관심영역의 영상데이터 및 비 관심영역의 영상데이터를 결합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영상 코덱 장치. And a video codec of the encoded region of interest and image data of a non-interest region, respectively, while monitoring an error of the image data of the region of interest or recovering the monitored error. 제 1항에 있어서, The method of claim 1, 상기 관심영역 및 상기 비 관심영역별로 각각 부호화되어 결합한 영상데이터를 수신하는 영상 수신부; An image receiving unit receiving image data encoded and combined for each region of interest and the non-interest region; 상기 영상 수신부에서 수신된 영상데이터가 상기 영상 분리부에 의해 상기 관심영역 및 상기 비 관심영역으로 분리된 이후, 상기 분리된 관심영역 및 비 관심영역의 영상데이트를 각각 복호화하는 영상 디코딩부; 및An image decoding unit decoding the image data of the separated ROI and the non-ROI after the image data received by the image receiver is separated into the ROI and the non-ROI by the image separator; And 상기 영상 디코딩부에서 각각 복호화된 관심영역 및 비 관심영역의 영상데이터가 상기 영상 결합부에 의해 결합된 이후, 상기 결합된 영상데이터를 디스플레이하는 영상 디스플레이부An image display unit which displays the combined image data after the image data of the ROI and the non-ROI, respectively decoded by the image decoding unit, are combined by the image combiner; 를 추가로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영상 코덱 장치. The video codec device, characterized in that it further comprises. 영상 코덱 방법에 있어서, In the video codec method, (a) 영상데이터를 획득하는 단계; (a) obtaining image data; (b) 관심영역의 설정 여부를 확인하는 단계; (b) confirming whether a region of interest is set; (c) 상기 관심영역이 설정된 경우, 상기 획득된 영상데이터를 상기 관심영역과 비 관심영역으로 분리하는 단계; (c) separating the acquired image data into the ROI and the non-ROI when the ROI is set; (d) 영역별 비트율 정보를 이용하여 상기 관심영역의 영상데이터 및 상기 비 관심영역의 영상데이터를 각각 부호화하는 단계; 및(d) encoding image data of the ROI and image data of the non-ROI by using bit rate information for each region; And (e) 상기 각각 부호화된 관심영역의 영상데이터 및 비 관심영역의 영상데이터를 결합하는 단계(e) combining the image data of each region of interest encoded with the image data of the non-interest region; 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영상 코덱 방법. Image codec method comprising a. 제 12항에 있어서, The method of claim 12, 상기 단계 (d) 이전에, Prior to step (d), 상기 관심영역에 대한 제 1 비트율 및 상기 비 관심영역에 대한 제 2 비트율을 포함하는 상기 영역별 비트율 정보를 조절하여 설정하되, The bit rate information for each area including a first bit rate for the region of interest and a second bit rate for the non-interest region is adjusted and set, 상기 제 1 비트율은 상기 제 2 비트율보다 높게 조절되어 설정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영상 코덱 방법. And the first bit rate is adjusted and set higher than the second bit rate. 제 13항에 있어서, The method of claim 13, 상기 영역별 비트율 정보는 영상데이터 전송 상태 정보, 영상데이터 재생 상태 정보 및 유무선 통신망 상태 정보 중 하나 이상을 포함하는 서비스 품질 정보를 근거로 하여 조절하여 설정되되, 상기 서비스 품질 정보는 상기 영상 코덱 장치에서 모니터링하여 획득하거나, 통신 시스템 또는 영상데이터 수신 장치로부터 획득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영상 코덱 방법. The bit rate information for each region is adjusted and set based on service quality information including at least one of image data transmission state information, image data reproduction state information, and wired / 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 state information. Image codec method, characterized in that obtained by monitoring or from a communication system or an image data receiving device. 제 12항에 있어서, The method of claim 12, 상기 단계 (c)는,Step (c) is, 상기 단계 (b)에서의 확인 결과, 상기 관심영역이 미설정된 경우, As a result of the checking in step (b), if the ROI is not set, 상기 획득된 영상데이터 전체를 관심영역으로 처리하거나, 디폴트로 정의된 특정 형태의 영역을 관심영역으로 처리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영상 코덱 방법. The image codec method according to claim 1, wherein the obtained image data is processed as a region of interest or a region of a specific type defined as a region of interest is processed by default. 제 12항에 있어서, The method of claim 12, 상기 단계 (b)이전에, Before step (b) above, 상기 관심영역을 고정적으로 설정하거나 가변적으로 설정하는 단계를 포함하되, Setting the area of interest fixedly or variably; 상기 관심영역을 고정적으로 설정하는 경우, 기설정된 기본 설정 값을 이용하여 설정하거나, 사용자 입력정보를 이용하여 설정하고, When the ROI is fixedly set, it is set using a preset default setting value or is set using user input information. 상기 관심영역을 가변적으로 설정하는 경우, 물체 검출 알고리즘을 이용하여 물체 검출 결과를 토대로 상기 관심영역을 변경하면서 설정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영상 코덱 방법. And setting the ROI variably while changing the ROI based on an object detection result using an object detection algorithm. 영상 서비스 시스템에 있어서, In the video service system, 획득된 영상데이터를 기설정된 관심영역과 비 관심영역으로 분리하고, 기설정된 영역별 비트율 정보를 이용하여 상기 관심영역의 영상데이터 및 상기 비 관심영역의 영상데이터를 각각 부호화하고, 상기 각각 부호화된 관심영역의 영상데이터 및 비 관심영역의 영상데이터를 결합하여 결합 영상데이터를 생성하고, 상기 결합 영상데이터를 송신하는 제 1 단말기; The obtained image data is divided into a predetermined region of interest and a non-interest region, and the image data of the region of interest and the image data of the non-interest region are respectively encoded using predetermined bit rate information for each region, and the respective encoded regions of interest. A first terminal for combining the image data of the region and the image data of the non-interest region to generate combined image data and transmitting the combined image data; 상기 제 1 단말기로부터 상기 결합 영상데이터를 수신하고, 상기 관심영역 및 상기 비 관심영역으로 분리하여 각각 복호화하고, 상기 각각 복호화된 관심영역의 영상데이터 및 비 관심영역의 영상데이터를 결합하여 디스플레이하는 제 2 단말 기; 및Receiving the combined image data from the first terminal, and separately decoding the combined image data into the ROI and the non-ROI, and combining and displaying the image data of the decoded ROI and the non-ROI, respectively. 2 terminal devices; And 상기 제 1 단말기 및 상기 제 2 단말기 간의 상기 결합 영상데이터를 전송하는 유무선 통신망Wired and 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 for transmitting the combined image data between the first terminal and the second terminal 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영상 서비스 시스템. Image service system comprising a. 제 17항에 있어서, The method of claim 17, 상기 제 1 단말기 및 상기 제 2 단말기는 영상 통화 기능 또는 영상 회의 기능을 수행하는 컴퓨터 또는 이동 단말이되, 상기 제 1 단말기 및 상기 제 2 단말기는 인코딩 및 디코딩을 수행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영상 서비스 시스템. The first terminal and the second terminal is a computer or mobile terminal that performs a video call function or a video conferencing function, wherein the first terminal and the second terminal performs encoding and decoding. 영상 서비스 시스템에 있어서, In the video service system, 영상데이터를 기설정된 관심영역과 비 관심영역으로 분리하고, 기설정된 영역별 비트율 정보 또는 화질 정보를 이용하여 상기 관심영역의 영상데이터 및 상기 비 관심영역의 영상데이터를 각각 부호화하고, 상기 각각 부호화된 관심영역의 영상데이터 및 비 관심영역의 영상데이터를 결합하여 결합 영상데이터를 생성하고, 상기 결합 영상데이터를 제공하는 영상 제공 서버; The image data is divided into a predetermined region of interest and a non-interest region, and the image data of the region of interest and the image data of the non-interest region are respectively encoded using predetermined bit rate information or image quality information for each region, and each encoded. An image providing server which combines the image data of the ROI and the image data of the non-ROI to generate combined image data, and provides the combined image data; 상기 영상 제공 서버로부터 상기 결합 영상데이터를 수신하여 상기 관심영역 및 상기 비 관심영역으로 분리하고 각각 복호화하여, 상기 각각 복호화된 관심영역의 영상데이터 및 비 관심영역의 영상데이터를 결합하여 디스플레이하는 단말기; 및A terminal configured to receive the combined image data from the image providing server, separate the image into the ROI and the non-ROI, and decode each of them, and display the image data of the decoded ROI and the image data of the non-ROI; And 상기 영상 제공 서버 및 상기 단말기 간의 상기 결합 영상데이터를 전송하는 유무선 통신망A wired / 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 for transmitting the combined image data between the image providing server and the terminal. 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영상 서비스 시스템. Image service system comprising a.
KR1020080051720A 2008-06-02 2008-06-02 Method, apparatus and system for coding video data KR20090125556A (en)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80051720A KR20090125556A (en) 2008-06-02 2008-06-02 Method, apparatus and system for coding video data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80051720A KR20090125556A (en) 2008-06-02 2008-06-02 Method, apparatus and system for coding video data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90125556A true KR20090125556A (en) 2009-12-07

Family

ID=4168704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80051720A KR20090125556A (en) 2008-06-02 2008-06-02 Method, apparatus and system for coding video data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90125556A (en)

Cited B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357384B1 (en) * 2012-08-21 2014-02-06 고려대학교 산학협력단 Method and apparatus for encoding image, method and apparatus for decoding image
WO2019045128A1 (en) * 2017-08-29 2019-03-07 라인 가부시키가이샤 Image quality enhancement of video call
KR20210131587A (en) * 2020-04-24 2021-11-03 주식회사 엘지유플러스 Adaptive bitrate streaming system and method for efficient transmission of contents
KR102618188B1 (en) * 2022-07-19 2023-12-27 주식회사 카카오엔터프라이즈 Method for video communication

Cited By (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357384B1 (en) * 2012-08-21 2014-02-06 고려대학교 산학협력단 Method and apparatus for encoding image, method and apparatus for decoding image
WO2019045128A1 (en) * 2017-08-29 2019-03-07 라인 가부시키가이샤 Image quality enhancement of video call
CN111034184A (en) * 2017-08-29 2020-04-17 连株式会社 Improving video quality of video calls
JP2021500764A (en) * 2017-08-29 2021-01-07 Line株式会社 Improving video quality for video calls
US11223662B2 (en) 2017-08-29 2022-01-11 Line Corporation Method, system, and non-transitory computer readable record medium for enhancing video quality of video call
KR20210131587A (en) * 2020-04-24 2021-11-03 주식회사 엘지유플러스 Adaptive bitrate streaming system and method for efficient transmission of contents
KR102618188B1 (en) * 2022-07-19 2023-12-27 주식회사 카카오엔터프라이즈 Method for video communication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4160278B2 (en) Scalable encoding method of media stream, scalable encoder, and multimedia terminal
US11184584B2 (en) Method for image decoding, method for image encoding, apparatus for image decoding, apparatus for image encoding
US8842159B2 (en) Encoding processing for conferencing systems
US8374236B2 (en) Method and apparatus for improving the average image refresh rate in a compressed video bitstream
US9826260B2 (en) Video encoding device and video encoding method
WO2014000238A1 (en) Terminal and video image compression method
US9306987B2 (en) Content message for video conferencing
US11343501B2 (en) Video transcoding method and device, and storage medium
WO2021057697A1 (en) Video encoding and decoding methods and apparatuses, storage medium, and electronic device
JP2011029868A (en) Terminal device, remote conference system, method for controlling terminal device, control program of terminal device, and computer readable recording medium recording control program of terminal device
KR20100002632A (en) Method, apparatus and system for encoding and decoding video data
KR20090125556A (en) Method, apparatus and system for coding video data
US20220038708A1 (en) Video encoding method, video decoding method, and related apparatuses
WO2002005558A1 (en) Multimedia communication terminal
WO2023142665A1 (en) Image processing method and apparatus, and computer device, storage medium and program product
JP4447443B2 (en) Image compression processor
US11849127B2 (en) Video encoding method, video decoding method, and related apparatuses
US20210409736A1 (en) Video encoding method and apparatus, video decoding method and apparatus, electronic device and readable storage medium
CN116962613A (en) Data transmission method and device, computer equipment and storage medium
WO2021057478A1 (en) Video encoding and decoding method and related apparatus
CN112004084B (en) Code rate control optimization method and system by utilizing quantization parameter sequencing
JP2012134874A (en) Tv conference system
JP2005341347A (en) Multipoint connection device and method
CN112004083B (en) Method and system for optimizing code rate control by utilizing inter-frame prediction characteristics
KR100548243B1 (en) A method of transmitting encoded video signal with rate control for mobile phone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N231 Notification of change of applicant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AMND Amendment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AMND Amendment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AMND Amendment
J201 Request for trial against refusal decision
B601 Maintenance of original decision after re-examination before a trial
J301 Trial decision

Free format text: TRIAL DECISION FOR APPEAL AGAINST DECISION TO DECLINE REFUSAL REQUESTED 20141218

Effective date: 20150423

Free format text: TRIAL NUMBER: 2014101007844; TRIAL DECISION FOR APPEAL AGAINST DECISION TO DECLINE REFUSAL REQUESTED 20141218

Effective date: 20150423