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90125366A - 플러그 - Google Patents

플러그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90125366A
KR20090125366A KR1020080051439A KR20080051439A KR20090125366A KR 20090125366 A KR20090125366 A KR 20090125366A KR 1020080051439 A KR1020080051439 A KR 1020080051439A KR 20080051439 A KR20080051439 A KR 20080051439A KR 20090125366 A KR20090125366 A KR 20090125366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hole
locking
rotating
rotating part
main body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80051439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1020090B1 (ko
Inventor
김영철
김청복
Original Assignee
김영철
김청복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김영철, 김청복 filed Critical 김영철
Priority to KR1020080051439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020090B1/ko
Publication of KR20090125366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90125366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020090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020090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R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COUPLING DEVICES; CURRENT COLLECTORS
    • H01R13/00Details of coupling devices of the kinds covered by groups H01R12/70 or H01R24/00 - H01R33/00
    • H01R13/02Contact members
    • H01R13/04Pins or blades for co-operation with socket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R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COUPLING DEVICES; CURRENT COLLECTORS
    • H01R13/00Details of coupling devices of the kinds covered by groups H01R12/70 or H01R24/00 - H01R33/00
    • H01R13/66Structural association with built-in electrical component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R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COUPLING DEVICES; CURRENT COLLECTORS
    • H01R35/00Flexible or turnable line connectors, i.e. the rotation angle being limited
    • H01R35/04Turnable line connectors with limited rotation angle with frictional contact member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R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COUPLING DEVICES; CURRENT COLLECTORS
    • H01R2103/00Two poles

Landscapes

  • Connector Housings Or Holding Contact Member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한 쌍의 접속단자와 접지단자를 포함하는 플러그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상기 접속단자와 접지단자가 결합된 원기둥 형상의 본체와; 상기 본체의 상부에 결합되어 수평방향으로 360°회전하며, 전선이 관통되는 관통공이 중앙에 형성되며 캡(∩)형상으로 이루어진 회전부와; 상기 회전부의 상부에 결합되어 수직방향으로 180°범위 내에서 회동하며, 본체로 삽입결합되는 전선의 끝단부의 외경에 삽입되는 원통형상의 회동부와; 상기 본체에 회전부를 회전되게 결합시키기 위한 회전부의 결합수단을 포함한다.
따라서, 전원 콘센트에 플러그가 꽂힌 상태에서 회전부는 수평방향으로 360°회전이 자유롭고, 회동부는 수직방향으로 180°회전이 가능하므로 플러그의 높이를 높게 설계하지 않아도 되며, 이에 따라 콘센트에 플러그가 꽂히더라도 돌출높이가 낮아지며, 콘센트로부터 각종 전자기기 및 장비로 향하는 플러그 끝단의 전선방향을 자유롭게 조절할 수 있어 선정리가 깔끔해지므로 미관을 해치지 않게 하는 플러그를 제공한다.

Description

플러그{Plug}
본 발명은 한 쌍의 접속단자와 접지단자를 포함하는 플러그에 관한 것으로, 특히, 전원 콘센트에 플러그가 꽂힌 상태에서 플러그 끝단으로부터 인출되는 전선이 수평방향과 수직방향으로 자유롭게 회전 또는 회동될 수 있게 하여 콘센트에 꽂히는 플러그의 돌출높이를 낮추고, 콘센트로부터 각종 전자기기 및 장비로 향하는 플러그 끝단의 전선정리가 깔끔하게 이루어지게 하는 플러그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플러그는 각종 전자장비, 전자기기 등으로 전원을 공급하는 전선의 끝단에 형성되어 전원공급장치 및 상용전원의 끝단에 결합되는 콘센트에 꽂혀(또는, 전기적으로 접속되어) 전선이 콘센트에 전기적으로 접속되게 하는 역할을 하는 것이다.
그러나, 종래의 플러그는 대부분 일자형 또는 'ㄱ'자 형으로 형성되어 있으며, 특히, 플러그와 전선이 연결되는 부분에서 장비사용 중 전선이 꼬이거나 비틀리는 등의 작용에 의하여 전선 피복이 파열되거나 찢어지는 등의 문제점이 발생하므로 종래의 플러그에서는 전선이 인출되는 곳을 고정형으로 제작함으로써 꼬이거나 비틀리는 현상에 대하여 전선이 보호될 수 있게 하였다.
상기한 바와 같이 전선이 인출되는 곳을 고정형으로 제작할 경우 플러그와 전선이 인출되는 곳의 두께가 상당히 두꺼워질 수밖에 없으며, 특히, 콘센트 홀에 플러그가 삽입된 상태에서는 전선이 자유롭게 만곡되고 방향이 설정될 수 있도록 하기 위해서는 콘센트의 표면에서 어느 정도 이격거리를 유지해야 하므로 돌출부위가 높을 수밖에 없었다.
또한, 현재 출시되고 있는 벽 고정형 콘센트 또는 이동형 멀티탭(콘센트)는 플러그의 접속단자가 일정한 방향을 가르키는 패턴으로 꽂힐 수 있도록 접속홀이 형성되어 있어 다수 개의 플러그를 하나의 콘센트에 꽂을 경우 모두 같은 방향을 가르키고 있게 되므로 전선을 인출하고 장비를 배치 및 배열함에 있어 많은 선들이 서로 꼬이거나 최단 경로로 배치되지 못하게 되어 배선이 매우 조잡하고 외관이 미려하지 못하였던 문제점이 있었다.
상기한 종래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안출된 본 발명은, 콘센트의 접속홀의 방향에 관계없이 콘센트에 플러그가 꽂힌 상태에서 전선의 방향설정을 임의대로 조정할 수 있게 하여 선정렬이 미려하고 장비배치가 자유롭게 하며, 콘센트로부터 플러그가 최소한의 높이로 돌출될 수 있게 하여 벽면의 외관은 물론 벽면에 가구 및 장비를 배치함에 있어서 기물과 벽면사이의 공간을 최소화하여 공간활용을 극대화시키고자 하는 데 그 목적이 있다.
상기한 목적은, 한 쌍의 접속단자와 접지단자를 포함하는 플러그에 있어서, 상기 접속단자와 접지단자가 결합된 원기둥 형상의 본체와; 상기 본체의 상부에 결합되어 수평방향으로 360°회전하며, 전선이 관통되는 관통공이 중앙에 형성되며 캡(∩)형상으로 이루어진 회전부와; 상기 회전부의 상부에 결합되어 수직방향으로 180°범위 내에서 회동하며, 본체로 삽입결합되는 전선의 끝단부의 외경에 삽입되는 원통형상의 회동부와; 상기 본체에 회전부를 회전되게 결합시키기 위한 회전부의 결합수단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플러그에 의해 달성된다.
여기서, 상기 회전부의 결합수단은, 상기 회전부의 하단 내주면에서 내측 중앙을 향하여 돌출형성된 적어도 하나 이상의 걸림부와; 상기 본체의 상부 외경면 둘레에 홈 형상으로 형성되어 걸림부가 회전될 수 있게 하는 회전홈과; 상기 회전홈에 형성되어 걸림부가 회전홈으로 유도삽입될 수 있게 걸림부와 대응되는 형상으 로 모따기 된 삽입홈과; 상기 회전홈으로 삽입된 걸림부가 회전홈에서 분리이탈되지 않게 하는 걸림부의 잠금수단을 포함한다.
그리고, 상기 걸림부의 잠금수단은, 상기 삽입홈 하부의 본체 외경면에서 내측 중앙으로 천공된 잠금공과; 상기 잠금공의 내측 끝단으로 직교되게 연결되도록 본체 외경면에서 잠금공으로 천공된 가압공과; 상기 잠금공에 삽입되는 잠금공의 길이보다 짧게 형성된 잠금부와; 상기 가압공에 삽입되며, 내측 끝단이 잠금부의 내측 끝단에 밀착되되, 잠금공측으로 경사면이 형성된 가압부와; 상기 회전부의 외경 하단에 형성되며 잠금공과 동일하거나 비교적 작게 절개된 조작공을 포함한다.
또한, 상기 회전부에 회동부가 회동되게 결합시키기 위한 회동부의 결합수단을 더 포함하되, 상기 회동부의 결합수단은, 상기 회전부의 상단에서 관통공을 가로지르도록 'l'형상으로 형성된 가이드홈과; 상기 가이드홈의 내측 양면에 형성된 회동공과; 상기 회동부의 하단에서 돌출형성되어 회동공으로 삽입되는 회동축을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은 콘센트에 전기적으로 접속시키기 위하여 플러그를 꽂더라도 그 돌출부위가 낮아 벽면에 밀착하여 가구나 전자장비와 같은 기물을 밀착배치하더라도 벽면과 기물사이의 공간을 최소화할 수 있으므로 공간활용이 극대화될 수 있는 효과를 가진다.
그리고, 플러그의 회전부와 회동부가 360°, 180°로 회전 및 회동할 수 있게 됨으로써, 회전부와 회동부가 동시에 회전 또는 회동하게 되므로 전선의 꼬임 및 비틀림 현상을 최대한 억제하므로 전선정렬 및 장비의 배치가 자유롭게 되는 효과를 가진다.
아울러, 각 콘센트의 접속홀이 형성된 접속구가 다수 개일 경우 각각 서로 동일한 방향으로 접속홀이 형성되어있다 하더라도 플러그가 꽂힌 상태에서 회전부와 회동부가 자유롭게 회전 및 회동되므로 접속홀의 방향에 관계없이 전선의 배치 및 배열이 자유로워 깔금한 선정리작업이 수행될 수 있어 외관이 미려해지는 효과를 가진다.
이하, 본 발명의 구성 및 작용을 첨부된 도 1 내지 도 5를 참조하여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플러그의 외관을 도시한 외관 사시도이며,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플러그의 구성을 도시한 분해 사시도이고, 도 3은 도 2에 도시된 회전부의 구성을 도시한 부분 단면도이며, 도 4는 도 3의 A - A선 단면도이고, 도 5는 회동부의 작용상태를 도시한 작용상태도이다.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플러그(100)는 접속단자(101)가 결합된 본체(102)가 하부에 위치하고, 그 상부에 수평방향으로 360°회전하는 회전부(111)가 결합되며, 회전부(111)의 상부에는 180°회동하는 회동부(121)가 결합된다.
원기둥 형상으로 이루어진 상기 본체(102)의 접속단자(101) 및 접지단자(도시하지 않음)는 통상의 플러그(100)에서의 조립 및 구조를 그대로 채택한 것이므 로, 그 상세한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체(102)의 상부 외경면 둘레에는 홈 형상으로 회전홈(103)이 연계형성되어 있으며, 이 회전홈(103)의 상단 중 적어도 어느 한 부분에는 도시된 바와 같이 부분적으로 절개되어 삽입홈(104)이 형성된다.
여기서, 본 발명에서는 상기 삽입홈(104)이 두 개 형성된 것으로 도시하였으나 본 발명은 여기에 한정되지 않고 더 많은 수의 삽입홈(104)을 형성할 수도 있다.
한편, 상기 본체(102)의 상부에 결합되는 회전부(111)는,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단 중앙에 전선(105)이 관통될 수 있도록 관통공(112)이 형성된 캡(∩)형상으로 이루어져 있으며, 회전부(111)의 하단 내주면에는 상기 삽입홈(104)으로 하향삽입되어 본체(102)의 회전홈(103)을 따라 360°회전할 수 있는 걸림부(113)가 삽입홈(104)과 대응되는 형상으로 적어도 하나 이상 형성된다.
따라서, 상기 회전부(111)를 본체(102)에 결합시킬 때에는 회전부(111)의 걸림부(113)가 본체(102)의 삽입홈(104)으로 삽입되게 한 후 회전부(111)를 적당한 각도로 회전시키면 삽입홈(104)과 걸림부(113)가 어긋나면서 회전부(111)가 본체(102)로부터 분리되지 않고 회전할 수 있게 되는 것이다.
그러나, 상기 회전부(111)가 회전하는 도중 걸림부(113)가 삽입홈(104)과 일치될 경우 자칫 회전부(111)가 분리이탈될 수 있으므로 본 발명에서는 이를 방지하기 위하여 잠금장치로서 걸림부(113)의 잠금수단을 제공한다.
즉, 상기한 걸림부(113)의 잠금수단은, 도 2와 도 3에 은선으로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삽입홈(104) 하부의 본체(102) 외경면에서 내측 중앙으로 잠금공(118)을 천공하고, 상기 잠금공(118)의 내측 끝단으로 직교되어 서로 연통되도록 본체(102) 외경면에서 잠금공(118)을 향하여 가압공(114)을 형성한다.
그리고, 상기 잠금공(118)에는 잠금공(118)의 길이보다 짧게 형성되며, 노출부분은 본체(102)의 외경면과 동일한 라운딩이 형성된 잠금부(115)를 삽입하되, 잠금부(115)의 내측 끝단에는 경사면(116a)이 형성된 가압부(116)를 삽입하여 이 경사면(116a)이 잠금부(115)의 내측 끝단과 접촉하도록 도 2와 같이 삽입한다.
여기서, 상기 가압부(116)의 노출부분은 본체(102)의 외경면보다 돌출되지 않아야 하며, 반드시 본체(102) 외경면과 동일한 라운딩이 형성될 필요는 없다.
따라서, 상기 회전부(111)를 본체(102)에 결합시킬 때에는 회전부(111)의 걸림부(113)가 삽입홈(104)을 향하여 하향삽입되게 한 후 회전부(111)를 회전시키되 회전부(111)의 외경면에 도 2와 같이 절개된 조작공(117)이 가압공(114)과 일치될 때까지 회전시켜 송곳이나 못 등과 같이 조작공(117)을 관통할 수 있는 기구로 가압부(116)를 가압시킴으로써, 경사면(116a)이 잠금부(115)를 밀어서 본체(102) 외경면을 향하여 도 3과 같이 돌출되게 하여 삽입홈(104)이 잠금부(115)에 의해 채워지게 한다.
결국, 상기 걸림부(113)가 유일하게 분리이탈될 수 있는 삽입홈(104)을 제거함으로써, 회전부(111)의 분리이탈을 원천적으로 봉쇄한다는 것이다.
한편, 상기 회전부(111)의 상부에는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회동부(121)를 결합시켜 수직방향으로 180°범위 내에서 회동되게 하는 바, 이 회동부(121)는 본 체(102)로 삽입결합되는 전선(105)이 관통될 수 있도록 원통형상으로 이루어진다.
따라서, 상기 본체(102)에 회전부(111)를 회전되게 결합시키기 위해서는, 상기 회전부(111)의 상단에서 관통공(112)을 가로지르며, 회동부(121)가 좌우측으로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완전히 눕혀질 수 있을 정도의 폭으로 가이드홈(122)을 'l'자 형상으로 형성한다.
그리고, 상기 가이드홈(122)의 내측 양면에는 도 3과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회동공(123)을 형성하고, 이 회동공(123)에 삽입될 수 있도록 상기 회동부(121)의 하단 양측면에는 회동축(124)을 돌출성형하여 회동부(121)를 하향으로 가압하면 회동축(124)이 회동공(123)에 억지끼움식으로 끼워져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회동부(121)가 180°회동할 수 있게 한다.
상기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은 본체(102)에 결합되는 회전부(111)의 걸림부(113)가 회전홈(103)을 따라 360°회전될 수 있게 하여 전선(105)을 사용하는 도중 전선(105)의 이동경로를 따라 동반회전하게 함으로써, 꼬임이나 비틀림이 방지되게 하여 전선(105)의 파열 및 파손을 예방할 수 있으며, 회동부(121)가 180°로 회동하게 되므로 플러그(100)가 콘센트에 꽂힌 상태에서도 전선(105)의 방향설정이 자유롭게 이루어지게 되므로 외관정리를 미려하게 할 수 있는 장점을 가진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플러그의 외관을 도시한 외관 사시도.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플러그의 구성을 도시한 분해 사시도.
도 3은 도 2에 도시된 회전부의 구성을 도시한 부분 단면도.
도 4는 도 3의 A - A선 단면도.
도 5는 회동부의 작용상태를 도시한 작용상태도.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00 : 플러그 101 : 접속단자
102 : 본체 103 : 회전홈
104 : 삽입홈 105 : 전선
111 : 회전부 112 : 관통공
113 : 걸림부 114 : 가압공
115 : 잠금부 116 : 가압부
117 : 조작공 118 : 잠금공
121 : 회동부 122 : 가이드홈
123 : 회동공
124 : 회동축

Claims (5)

  1. 한 쌍의 접속단자와 접지단자를 포함하는 플러그에 있어서,
    상기 접속단자와 접지단자가 결합된 원기둥 형상의 본체와;
    상기 본체의 상부에 결합되어 수평방향으로 360°회전하며, 전선이 관통되는 관통공이 중앙에 형성되며 캡(∩)형상으로 이루어진 회전부와;
    상기 회전부의 상부에 결합되어 수직방향으로 180°범위 내에서 회동하며, 본체로 삽입결합되는 전선의 끝단부의 외경에 삽입되는 원통형상의 회동부와;
    상기 본체에 회전부를 회전되게 결합시키기 위한 회전부의 결합수단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플러그.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회전부의 결합수단은,
    상기 회전부의 하단 내주면에서 내측 중앙을 향하여 돌출형성된 적어도 하나 이상의 걸림부와;
    상기 본체의 상부 외경면 둘레에 홈 형상으로 형성되어 걸림부가 회전될 수 있게 하는 회전홈과;
    상기 회전홈에 형성되어 걸림부가 회전홈으로 유도삽입될 수 있게 걸림부와 대응되는 형상으로 모따기 된 삽입홈과;
    상기 회전홈으로 삽입된 걸림부가 회전홈에서 분리이탈되지 않게 하는 걸림 부의 잠금수단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플러그.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걸림부의 잠금수단은,
    상기 삽입홈 하부의 본체 외경면에서 내측 중앙으로 천공된 잠금공과;
    상기 잠금공의 내측 끝단으로 직교되게 연결되도록 본체 외경면에서 잠금공으로 천공된 가압공과;
    상기 잠금공에 삽입되는 잠금공의 길이보다 짧게 형성된 잠금부와;
    상기 가압공에 삽입되며, 내측 끝단이 잠금부의 내측 끝단에 밀착되되, 잠금공측으로 경사면이 형성된 가압부와;
    상기 회전부의 외경 하단에 형성되며 잠금공과 동일하거나 비교적 작게 절개된 조작공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플러그.
  4.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상기 회전부에 회동부가 회동되게 결합시키기 위한 회동부의 결합수단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플러그.
  5. 제4항에 있어서,
    상기 회동부의 결합수단은,
    상기 회전부의 상단에서 관통공을 가로지르도록 'l'형상으로 형성된 가이드 홈과;
    상기 가이드홈의 내측 양면에 형성된 회동공과;
    상기 회동부의 하단에서 돌출형성되어 회동공으로 삽입되는 회동축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플러그.
KR1020080051439A 2008-06-02 2008-06-02 플러그 KR101020090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80051439A KR101020090B1 (ko) 2008-06-02 2008-06-02 플러그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80051439A KR101020090B1 (ko) 2008-06-02 2008-06-02 플러그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90125366A true KR20090125366A (ko) 2009-12-07
KR101020090B1 KR101020090B1 (ko) 2011-03-09

Family

ID=4168687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80051439A KR101020090B1 (ko) 2008-06-02 2008-06-02 플러그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020090B1 (ko)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15099487A1 (ko) * 2013-12-27 2015-07-02 (주)바텍이우홀딩스 구강 내 x선 감지 장치
KR20150077298A (ko) * 2013-12-27 2015-07-07 (주)바텍이우홀딩스 구강 내 x선 감지 장치
KR102180776B1 (ko) * 2019-09-04 2020-11-23 김서현 각도 조절이 가능한 플러그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149793B1 (ko) 2011-06-22 2012-06-08 윤병환 케이블 방향전환장치.

Family Cites Familie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225332Y1 (ko) 1997-10-17 2001-06-01 이정태 방향전환이 가능한플러그
KR200376950Y1 (ko) * 2004-12-03 2005-03-11 학교법인연세대학교 전원 플러그
JP2007172850A (ja) 2005-12-19 2007-07-05 Kao Corp コンセントプラグアダプタ

Cited B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15099487A1 (ko) * 2013-12-27 2015-07-02 (주)바텍이우홀딩스 구강 내 x선 감지 장치
KR20150077298A (ko) * 2013-12-27 2015-07-07 (주)바텍이우홀딩스 구강 내 x선 감지 장치
US10165990B2 (en) 2013-12-27 2019-01-01 Rayence Co., Ltd. Intraoral X-ray detector
KR102180776B1 (ko) * 2019-09-04 2020-11-23 김서현 각도 조절이 가능한 플러그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020090B1 (ko) 2011-03-09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020090B1 (ko) 플러그
US10243311B2 (en) Electrical connector housing assembly and electrical connector
KR101710004B1 (ko) 회전식 플러그와 이에 대응하는 콘센트
CN101854001B (zh) 插头
TWI427876B (zh) 可任意旋轉之導接結構及插座
KR101152865B1 (ko) 안전콘센트
US7458814B2 (en) Twist-check socket and electronic articles equipped with the same
GB2410844A (en) Swivel electrical connector
KR20120053400A (ko) 회전 멀티탭
TWM323745U (en) Series-connected rotational socket
KR100664415B1 (ko) 회전식 조립 모듈 콘센트
KR101233437B1 (ko) 플러그와 콘센트 조립체
KR20180003211U (ko) 멀티 콘센트 접지단자용 연결단자
KR200387542Y1 (ko) 수평 접속 멀티콘센트
CN104184010A (zh) 一种具有插孔任意旋转功能的通用型插座
KR20080004818U (ko) 다방향의 플러그 삽입이 가능한 콘센트
KR200169322Y1 (ko) 회전 기능을 갖는 플러그
KR200416360Y1 (ko) 인입출이 가능한 건축용 콘센트
CN108336531B (zh) 插座、插头、插线板及电器件
US20160181753A1 (en) Rotatable plug
KR20110005851U (ko) 회전되는 상하 이중구조의 멀티 콘센트
KR101225645B1 (ko) 이탈방지 구조를 갖는 플러그 및 라인콘센트
KR200321012Y1 (ko) 여러 개의 콘센트를 갖는 전기분배기구
KR200470644Y1 (ko) 퍼즐형 멀티 콘센트
CN210272932U (zh) 一种电源连接器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