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90123148A - 물 저장 기능을 갖는 야외용 의자 - Google Patents

물 저장 기능을 갖는 야외용 의자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90123148A
KR20090123148A KR1020080049086A KR20080049086A KR20090123148A KR 20090123148 A KR20090123148 A KR 20090123148A KR 1020080049086 A KR1020080049086 A KR 1020080049086A KR 20080049086 A KR20080049086 A KR 20080049086A KR 20090123148 A KR20090123148 A KR 20090123148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late
water storage
storage function
valve
partitio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80049086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0965853B1 (ko
Inventor
김경민
임채영
Original Assignee
김경민
임채영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김경민, 임채영 filed Critical 김경민
Priority to KR1020080049086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965853B1/ko
Publication of KR20090123148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90123148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965853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965853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CCHAIRS; SOFAS; BEDS
    • A47C9/00Stools for specified purposes
    • A47C9/10Camp, travelling, or sports stool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CCHAIRS; SOFAS; BEDS
    • A47C7/00Parts, details, or accessories of chairs or stools
    • A47C7/62Accessories for chairs
    • A47C7/622Receptacles, e.g. cup holders, storage containers
    • EFIXED CONSTRUCTIONS
    • E03WATER SUPPLY; SEWERAGE
    • E03BINSTALLATIONS OR METHODS FOR OBTAINING, COLLECTING, OR DISTRIBUTING WATER
    • E03B3/00Methods or installations for obtaining or collecting drinking water or tap water
    • E03B3/02Methods or installations for obtaining or collecting drinking water or tap water from rain-water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Environmental & Geological Engineering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Hydrology & Water Resources (AREA)
  • Public Health (AREA)
  • Water Supply & Treatment (AREA)
  • Special Chairs (AREA)

Abstract

물 저장 기능을 갖는 야외용 의자가 개시된다. 상기 물 저장 기능을 갖는 야외용 의자는 빗물 등이 내부로 유입되어 저장되고, 저장된 물을 필요에 따라 개폐밸브를 개방하여 사용할 수 있다. 따라서, 물 자원을 절약할 수 있다. 또한, 공원 또는 야외의 공공 장소에 많이 설치된 의자를 급수시설로 사용할 수 있다. 이는, 충분한 급수시설의 보급을 의미하므로, 공원 또는 야외의 공공 장소를 이용하는 이용자는 대단히 편리하다.

Description

물 저장 기능을 갖는 야외용 의자 {OUTDOORS STOOL WITH WATER STORAGE FUNCTION}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의자의 사시도.
도 2는 도 1의 일부 절개 사시도.
도 3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의자의 사시도.
*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
110 : 다리 120 : 몸체
130 : 구획판 140 : 개폐밸브
본 발명은 물 저장 기능을 갖는 야외용 의자에 관한 것이다.
공원 또는 야외의 공공 장소 등에는 급수(給水) 시설이 설치되어 있다. 그러나, 급수시설에서 배출되는 물을 식물 공급용 등으로 사용하기에는 자원의 낭비일 수 있다.
그리고, 급수 시설의 부족으로 간단하게 씻거나 물건을 세척하고자 하는 이용자들은 대단히 불편하다.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종래 기술의 문제점을 해소하기 위하여 안출된 것으로, 본 발명의 목적은 의자의 내부에 빗물의 저장할 수 있도록 구성하여 자원을 절약할 수 있고, 편의를 제공할 수 있는 물 저장 기능을 갖는 야외용 의자를 제공함에 있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에 따른 물 저장 기능을 갖는 야외용 의자는, 일단부가 바닥과 접촉된 복수의 다리; 상기 다리의 타단부에 결합된 하판, 상기 하판의 상측에 위치되며 사용자가 앉는 좌석의 기능을 하는 상판, 상기 하판과 상기 상판을 일체로 연결하며 상기 상판의 일측 외면과 간격을 가지는 측판을 가지고 내부에 밀폐 공간이 형성된 몸체; 상기 몸체의 내부에 설치되어 상기 몸체 내부의 공간을 상측과 하측으로 구획하는 구획판; 상기 구획판과 상기 상판 사이의 상기 측판 부위에 설치되어 상기 구획판과 상기 상판 사이에 저장된 물을 외부로 배출하는 개폐밸브를 구비한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물 저장 기능을 갖는 야외용 의자를 상세히 설명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의자의 사시도이고, 도 2는 도 1의 일부 절개 사시도이다.
도시된 바와 같이, 본 실시예에 따른 의자는 다리(110), 몸체(120), 구획판(130) 및 개폐밸브(140)를 가진다.
다리(110)는 복수개 마련되어 지면 등과 같은 바닥에 하단부가 접촉된다.
몸체(120)는 하판(121), 하판(121)의 상측에 위치된 상판(123), 하판(121)과 상판(123)을 일체로 연결하는 측판(125)을 가지며, 내부에 밀폐 공간이 형성된다.
몸체(120)는 원통형 또는 다면체로 형성될 수 있는데, 본 실시예에서는 육면체를 예로 들어 설명한다. 이 경우에는, 하판(121)과 상판(123)은 사각형으로 형성되고, 측판(125)은 사각형상의 전면판(126), 후면판(127), 좌측면판(128) 및 우측면판(129)으로 구성된다.
하판(121)은 다리(110)의 상단부에 결합되어 지지되고, 상판(123)은 사용자가 앉을 수 있는 좌석의 기능을 한다.
후면판(127)과 상판(123) 사이에는 상판(123)으로 떨어진 빗물 등이 몸체(120)의 내부로 유입될 수 있도록 간격(123a)이 형성된다. 그리고, 상판(123)과 대향하는 후면판(127)의 상단부측 내면은 하측으로 갈수록 두께가 두꺼워지는 경사면(127a)으로 형성된다. 이는 경사면(127a)을 타고 빗물 등이 몸체(120)의 내부로 유입되게 하기 위함이다.
이때, 상판(123)은 후면판(127)에서 멀어질수록 상기 바닥으로부터 점점 더 높아지게 형성되고, 후면판(127)과 대향하는 상판(123)의 외면은 중앙부에서 모서리부로 갈수록 상기 바닥으로부터 점점 더 높아지게 형성된다. 그러면, 상판(123)에 떨어진 빗물 등이 후면판(127)과 대향하는 상판(123)의 외면 중앙부측으로 집중되어, 간격(123a)을 통하여 몸체(120)의 내부로 유입된다.
상판(123)은 좌석을 기능을 하므로, 앉는데 불편함이 없도록 곡면 등으로 적 절하게 형성한다.
구획판(130)은 몸체(120)의 내부에 설치되어 몸체(120) 내부의 공간을 상측과 하측으로 구획한다. 그리하여, 간격(123a)을 통하여 유입된 물이 구획판(130)과 상판(123) 사이의 공간에 저장되게 한다.
구획판(130)이 없다면, 하판(121)과 상판(123) 사이의 공간에 물이 저장된다. 그러면, 하판(121)과 인접되게 개폐밸브(140)를 설치하여야 몸체(120)에 저장된 물을 외부로 배출할 수 있다. 그런데, 하판(121)과 인접되게 개폐밸브(140)를 설치하면, 개폐밸브(140)와 상기 바닥과의 간격이 좁아 사용이 불편하다. 이로인해, 구획판(130)을 설치한 것이다.
개폐밸브(140)는 구획판(130)과 상판(123) 사이의 우측면판(129)에 설치되어 저장된 물을 외부로 배출시킨다.
구획판(130)은 중앙부에서 전면판(126) 및 후면판(127)측으로 갈수록 상기 바닥으로부터 점점 더 높아지는 V형태로 형성된다. 그러면, 간격(123a)을 통하여 유입된 물이 구획판(130)의 중앙부측으로 집중된다. 그리고, 저장된 물의 완전한 배출을 위하여 개폐밸브(140)는 구획판(140)의 중앙부와 접하는 우측면판(129)의 부위에 설치된다.
또한, 구획판(140)은, 개폐밸브(140)를 기준으로, 개폐밸브에서 멀어질수록 상기 바닥으로부터 점점 더 높아지는 형태로 경사지게 설치된다. 즉, 구획판(140)은 우측판(129)에서 좌측판(128)측으로 갈수록 상기 바닥으로부터 점점 더 높아지는 형태로 경사지게 설치된다. 이는, 물을 개폐밸브(140)측으로 집중시켜, 용이하 게 배출하기 위함이다.
본 실시예에 따른 의자는 내부에 물이 저장되므로, 방수용 재질로 제조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그리고, 각 부품의 접촉 부위는 물의 누설을 방지하기 위하여 실링한다.
도 3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의자의 사시도로서, 도 1과의 차이점만을 설명한다.
도시된 바와 같이, 몸체(220)의 하판(221)은 개폐밸브(240)측으로 갈수록 상기 바닥과 점점 더 가까와지는 형태로 경사지게 형성된다. 즉, 하판(221)은 개폐밸브(240)측인 우측이 좌측 보다 더 낮게 형성된다. 이는 본 실시예에 따른 의자의 형상을 비대칭으로 형성하여 미관상 아름답게 하기 위함이다.
이상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물 저장 기능을 갖는 야외용 의자는 빗물 등이 내부로 유입되어 저장되고, 저장된 물을 필요에 따라 개폐밸브를 개방하여 사용할 수 있다. 따라서, 물 자원을 절약할 수 있다.
또한, 공원 또는 야외의 공공 장소에 많이 설치된 의자를 급수시설로 사용할 수 있다. 이는, 충분한 급수시설의 보급을 의미하므로, 공원 또는 야외의 공공 장소를 이용하는 이용자는 대단히 편리하다.
이상에서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라 본 발명을 설명하였지만,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변경 및 변형한 것도 본 발명에 속함은 당연하다.

Claims (5)

  1. 일단부가 바닥과 접촉된 복수의 다리;
    상기 다리의 타단부에 결합된 하판, 상기 하판의 상측에 위치되며 사용자가 앉는 좌석의 기능을 하는 상판, 상기 하판과 상기 상판을 일체로 연결하며 상기 상판의 일측 외면과 간격을 가지는 측판을 가지고 내부에 밀폐 공간이 형성된 몸체;
    상기 몸체의 내부에 설치되어 상기 몸체 내부의 공간을 상측과 하측으로 구획하는 구획판;
    상기 구획판과 상기 상판 사이의 상기 측판 부위에 설치되어 상기 구획판과 상기 상판 사이에 저장된 물을 외부로 배출하는 개폐밸브를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물 저장 기능을 갖는 야외용 의자.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상판은 상기 간격에서 멀어질수록 상기 바닥으로부터 점점 더 높아지게 형성되고,
    상기 측판과 대향하면서 상기 간격을 형성하는 상기 상판의 외면은 중앙부측에서 모서리부측으로 갈수록 상기 바닥으로부터 점점 더 높아지게 형성되며,
    상기 상판과 대향하면서 상기 간격을 형성하는 상기 측판의 단부측 내면은 하측으로 갈수록 두꺼워지는 경사면으로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물 저장 기능을 갖는 야외용 의자.
  3.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구획판은 자신의 중앙부에서 양측면으로 갈수록 상기 바닥으로부터 점점 더 높아지는 V형태를 이루고,
    상기 개폐밸브는 상기 구획판의 중앙부와 접하는 상기 측판의 부위에 설치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물 저장 기능을 갖는 야외용 의자.
  4. 제 3 항에 있어서,
    상기 구획판은, 상기 개폐밸브를 기준으로, 상기 개폐밸브에서 멀어질수록 상기 바닥으로부터 점점 더 높아지는 형태로 경사지게 설치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물 저장 기능을 갖는 야외용 의자.
  5.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하판은 상기 개폐밸브측으로 갈수록 상기 바닥과 점점 더 가까와지는 형태로 경사지게 설치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물 저장 기능을 갖는 야외용 의자.
KR1020080049086A 2008-05-27 2008-05-27 물 저장 기능을 갖는 야외용 의자 KR100965853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80049086A KR100965853B1 (ko) 2008-05-27 2008-05-27 물 저장 기능을 갖는 야외용 의자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80049086A KR100965853B1 (ko) 2008-05-27 2008-05-27 물 저장 기능을 갖는 야외용 의자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90123148A true KR20090123148A (ko) 2009-12-02
KR100965853B1 KR100965853B1 (ko) 2010-06-24

Family

ID=4168542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80049086A KR100965853B1 (ko) 2008-05-27 2008-05-27 물 저장 기능을 갖는 야외용 의자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965853B1 (ko)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19095354A1 (zh) * 2017-11-19 2019-05-23 周高明 一种园林凳
CN113079859A (zh) * 2021-04-01 2021-07-09 王翠玲 一种基于建筑的生态绿化结构及其安装使用方法
FR3115188A1 (fr) * 2020-10-21 2022-04-22 Mirac Holding Mobilier d’exterieur recuperateur d’eau de pluie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354278B1 (ko) 2013-01-17 2014-01-23 동아대학교 산학협력단 빗물 집수가 가능한 휴게용 벤치
KR102187898B1 (ko) 2018-09-18 2020-12-07 건국대학교 글로컬산학협력단 우수를 여과하고 저장 및 배출하는 벤치

Family Cites Familie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930006918Y1 (ko) * 1990-12-13 1993-10-09 임천주 등받이가 개폐되는 야외용 의자
KR200288179Y1 (ko) 2002-05-02 2002-09-05 권기생 공간직물을 활용한 완전평면공기 쿠션 및 방석
KR200318456Y1 (ko) 2003-03-28 2003-06-27 류태성 야외용 접이식 난방의자
KR20090010423U (ko) * 2008-04-09 2009-10-14 박경렬 화단경계석 기능이 있는 화분이 부설된 벤치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19095354A1 (zh) * 2017-11-19 2019-05-23 周高明 一种园林凳
FR3115188A1 (fr) * 2020-10-21 2022-04-22 Mirac Holding Mobilier d’exterieur recuperateur d’eau de pluie
CN113079859A (zh) * 2021-04-01 2021-07-09 王翠玲 一种基于建筑的生态绿化结构及其安装使用方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0965853B1 (ko) 2010-06-24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965853B1 (ko) 물 저장 기능을 갖는 야외용 의자
USD529153S1 (en) Tank for a water closet
USD542390S1 (en) Water closet
USD514673S1 (en) Water closet tank
AU304528S (en) Chair
WO2010040948A1 (fr) Dispositif de distribution d'eau de douche en circuit ferme et installation de douche recevant un tel dispositif
KR101306047B1 (ko) 절수형 양변기
CN208056227U (zh) 一种泡沫防溅防臭的智能马桶盖
JP3189917U (ja) マンホール接続型災害用トイレセット
CN109736402A (zh) 一种站坐分置复合型马桶
FR2657519A1 (fr) Ensemble sanitaire pour soins hygieniques et ablutions a caractere rituel.
WO2021070973A1 (ja) ポータブル便器装置
CN201695477U (zh) 地漏
CN211533509U (zh) 一种机械座椅用侧面器具放置盘
US799418A (en) Sanitary water-closet chair and flush-tank.
KR100939049B1 (ko) 간이 의자
CN202850170U (zh) 一种坐蹲两用便器
KR200175233Y1 (ko) 어항이 결합된 변기
KR200379960Y1 (ko) 라디오가 부설된 의자
KR20130031047A (ko) 수전 일체형 세면대
KR200187629Y1 (ko) 수세식 변기
KR20240040540A (ko) 간이 비데 기능이 구비된 생수병용 뚜껑
KR100592564B1 (ko) 탈착 가능한 보조급수대를 갖는 단체 급수대
CN205256611U (zh) 一种新型游泳圈
CN203238750U (zh) 可携式环保节能如厕系统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0610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0612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0609

Year of fee payment: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725

Year of fee payment: 7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627

Year of fee payment: 8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515

Year of fee payment: 9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725

Year of fee payment: 10

R401 Registration of restor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