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90122623A - 원터치식 방수 스위치 - Google Patents

원터치식 방수 스위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90122623A
KR20090122623A KR1020080048526A KR20080048526A KR20090122623A KR 20090122623 A KR20090122623 A KR 20090122623A KR 1020080048526 A KR1020080048526 A KR 1020080048526A KR 20080048526 A KR20080048526 A KR 20080048526A KR 20090122623 A KR20090122623 A KR 20090122623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main body
cap
waterproof switch
electrode plate
operation cap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80048526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0939561B1 (ko
Inventor
김종철
Original Assignee
에버에스티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에버에스티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에버에스티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080048526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939561B1/ko
Publication of KR20090122623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90122623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939561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939561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HELECTRIC SWITCHES; RELAYS; SELECTORS; EMERGENCY PROTECTIVE DEVICES
    • H01H13/00Switches having rectilinearly-movable operating part or parts adapted for pushing or pulling in one direction only, e.g. push-button switch
    • H01H13/02Details
    • H01H13/04Cases; Covers
    • H01H13/06Dustproof, splashproof, drip-proof, waterproof or flameproof casing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HELECTRIC SWITCHES; RELAYS; SELECTORS; EMERGENCY PROTECTIVE DEVICES
    • H01H13/00Switches having rectilinearly-movable operating part or parts adapted for pushing or pulling in one direction only, e.g. push-button switch
    • H01H13/02Details
    • H01H13/12Movable parts; Contacts mounted thereon
    • H01H13/14Operating parts, e.g. push-button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HELECTRIC SWITCHES; RELAYS; SELECTORS; EMERGENCY PROTECTIVE DEVICES
    • H01H36/00Switches actuated by change of magnetic field or of electric field, e.g. by change of relative position of magnet and switch, by shielding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HELECTRIC SWITCHES; RELAYS; SELECTORS; EMERGENCY PROTECTIVE DEVICES
    • H01H36/00Switches actuated by change of magnetic field or of electric field, e.g. by change of relative position of magnet and switch, by shielding
    • H01H36/0006Permanent magnet actuating reed switches
    • H01H36/004Permanent magnet actuating reed switches push-button-operated, e.g. for keyboards

Landscapes

  • Push-Button Switches (AREA)

Abstract

자동수전에 설치하여 사용하는 것이 가능하고 내부로 물이 유입되는 것을 완벽하게 차단되어 누전이나 단락이 발생하지 않아 내구성이 향상되도록, 통형상으로 형성되고 한쪽 끝부분 외주면에는 수나사가 형성되고 다른 쪽 끝부분 내주면에는 둘레를 따라 결합홈이 형성되는 본체와, 바닥있는 통형상으로 형성되고 본체의 수나사에 나사결합되는 암나사가 내주면에 형성되고 외주면에는 수나사가 형성되는 작동캡과, 본체의 외주에 삽입되고 작동캡의 수나사와 나사결합되는 암나사가 내면에 형성되는 고정너트와, 본체의 결합홈에 결합되는 결합돌기가 외주면에 형성되고 본체에 밀착 결합되어 개구면을 밀폐하는 밀봉캡과, 본체의 내부에 설치되고 사용자의 신체 일부가 근접하게 되면 생체 자기장에 의하여 전류가 변화하는 전극판과, 본체의 내부에 설치되고 전극판과 전기적으로 연결되어 전류의 변화를 감지하여 신호로 출력하는 제어기판을 포함하는 원터치식 방수 스위치를 제공한다.
원터치, 수전, 밸브, 수도, 방수, 스위치, 자동, 생체 자기장, 누전, 단락, 적외선 센서

Description

원터치식 방수 스위치 {One-Touch Type Waterproof Switch}
본 발명은 원터치식 방수 스위치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야외나 공공장소에 설치되는 급수장치(수도)에 설치되어 사용자가 접촉하는 것으로 개폐신호를 발생시키는 것이 가능하며 완벽한 방수 구조로 구성되므로 누전의 위험성이 없는 원터치식 방수 스위치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공원이나 운동장, 공공장소 등의 사람이 많이 모이는 곳에는 편리하게 물을 마실 수 있도록 급수장치나 수도시설이 설치된다.
종래 수도시설의 경우에는 사용자가 핸들을 회전시켜 밸브를 개폐하는 방식, 사용자가 레버를 들어올리거나 내려서 밸브를 개폐하는 방식, 버튼을 누르면 일정시간 동안만 밸브가 개방되었다가 폐쇄되는 방식 등의 수전이 주로 사용된다.
그런데 종래의 수전은 사용자의 손이 더러울 경우에 핸들이나 레버 등을 오염시킬 우려가 있어 위생상 불리한 점이 있고, 유아의 경우에는 정확한 작동이 어렵다는 문제가 있다.
최근에는 사용자가 근접한 경우에 이를 감지하는 센서(적외선센서)를 설치하여 자동으로 밸브가 개폐되도록 구성하여 위생상의 문제를 해소하고 절수도 가능한 자동수전(전자식 수도밸브)을 많이 채택하고 있다.
그런데 종래 자동수전의 경우에는 구조상 감지센서가 설치된 부위로 물이 유입되는 경우가 많아 누전이 발생하거나 신호를 처리하는 기판에 단락이 발생하여 내구성에 문제가 있다.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점에 착안하여 이루어진 것으로서, 자동수전에 설치하여 사용하는 것이 가능하고 내부로 물이 유입되는 것을 완벽하게 차단되어 누전이나 단락이 발생하지 않아 내구성이 향상되는 원터치식 방수 스위치를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본 발명이 제안하는 원터치식 방수 스위치는 통형상으로 형성되고 한쪽 끝부분 외주면에는 수나사가 형성되고 다른 쪽 끝부분 내주면에는 둘레를 따라 결합홈이 형성되는 본체와, 바닥있는 통형상으로 형성되고 상기 본체의 수나사에 나사결합되는 암나사가 내주면에 형성되고 외주면에는 수나사가 형성되는 작동캡과, 상기 본체의 외주에 삽입되고 상기 작동캡의 수나사와 나사결합되는 암나사가 내면에 형성되는 고정너트와, 상기 본체의 결합홈에 결합되는 결합돌기가 외주면에 형성되고 상기 본체에 밀착 결합되어 개구면을 밀폐하는 밀봉캡과, 상기 본체의 내부에 설치되고 사용자의 신체 일부가 근접하게 되면 생체 자기장에 의하여 전류가 변화하는 전극판과, 상기 본체의 내부에 설치되고 상기 전극판과 전기적으로 연결되어 전류의 변화를 감지하여 신호로 출력하는 제어기판을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그리고 본 발명의 원터치식 방수 스위치는 상기 본체의 내부에 설치되고 상기 전극판의 위치를 일정하게 유지시켜 지지하는 전극홀더를 더 포함하는 것도 가능하다.
본 발명의 원터치식 방수 스위치는 상기 본체의 작동캡쪽 끝면에 설치되는 적외선센서를 더 포함하는 것도 가능하다.
또 본 발명의 원터치식 방수 스위치는 상기 본체의 작동캡쪽 끝면에 설치되며 사용자의 접근이 감지되는 경우 발광되어 표시되는 발광소자를 더 포함하는 것도 가능하다.
상기에서 적외선센서나 발광소자가 설치되는 경우에는 효과적인 적외선센서의 작동이나 발광효율을 위하여 상기 본체에 조립되는 작동캡의 측면부분을 투명재질로 형성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밀봉캡과 상기 본체의 끝면 사이에는 효과적인 밀봉을 위하여 밀봉링을 설치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에 따른 원터치식 방수 스위치에 의하면, 전극판과 제어기판이 내부에 설치되는 통형상의 본체 양쪽에 작동캡과 밀봉캡을 밀착 결합시켜 형성하므로, 물이 스며드는 것이 완벽하게 방지되고, 누전 및 단락의 우려가 없다. 나아가 제어기판과 전극판 등의 부품의 고장이 적어 반영구적으로 사용하는 것이 가능하고, 내구성이 크게 향상된다.
그리고 본 발명에 따른 원터치식 방수 스위치에 의하면, 사용자의 신체 부위가 작동캡에 접근하면 생체 자기장에 의하여 밸브 개방 신호가 출력됨은 물론 적외선센서에 의해서도 밸브 개방 신호가 출력되므로, 누구라도 용이하게 물을 사용하는 것이 가능하다. 또한, 적외선센서나 생체 자기장 센서 중 어느 하나가 고장이 발생한 경우에도 다른 것에 의하여 유효한 신호의 발생이 이루어지므로, 보다 효과적으로 안전하게 물의 사용이 가능하다.
다음으로, 본 발명에 따른 원터치식 방수 스위치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대하여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하게 설명한다.
먼저, 본 발명에 따른 원터치식 방수 스위치의 일실시예는 도 1 내지 도 3에 나타낸 바와 같이, 본체(10), 작동캡(20), 고정너트(30), 밀봉캡(40), 전극판(50), 제어기판(60)을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상기 본체(10)는 통형상으로 형성된다. 상기 본체(10)는 한쪽 끝면(11)은 중앙부에 감지구멍(14)이 형성되는 일부만 개방된 상태로 형성하고, 다른 쪽 끝면(12)은 완전 개방된 상태로 형성한다.
상기 본체(10)의 감지구멍(14)이 형성되는 한쪽 끝면(11)의 내부에는 상기 전극판(50)이 밀착된 상태로 설치된다.
상기 전극판(50)은 본체의 내부에 설치되고, 사용자의 신체 일부가 근접하면 생체 자기장에 의하여 전류가 변화하는 성질을 나타낸다.
상기 전극판(50)은 제어기판(60)과 신호선(52)을 통하여 서로 전기적으로 연결되어 신호를 전송하도록 구성된다.
상기 제어기판(60)은 상기 본체(10)의 내부에 설치되고, 상기 전극판(50)에서 발생하는 전류의 변화를 감지하여 자동수전의 개폐신호로 출력한다.
상기 본체(10)는 전극판(50)이 노출되어 생체 자기장의 영향이 효과적으로 미치도록 한쪽 끝면(11) 중앙부에 감지구멍(14)을 형성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전극판(50)은 상기 본체의 내부에 설치되는 전극홀더(58)를 통하여 위치가 일정하게 유지되도록 지지된다.
상기 제어기판(60)은 전극홀더(58)와 밀봉캡(40) 사이에 위치가 고정되어 지지된다.
상기 본체(10)의 일부만 개방되는 한쪽 끝면(11)쪽 끝부분 외주면에는 수나사(13)가 형성된다.
상기 본체(10)의 한쪽 끝면(11)쪽에는 상기 작동캡(20)이 분리가능하게 조립된다.
상기 작동캡(20)은 바닥이 있는 통형상으로 형성된다.
상기 작동캡(20)의 내주면에는 상기 본체(10)의 수나사(13)와 나사결합되는 암나사(23)가 형성된다.
상기 작동캡(20)의 외주면에는 수나사(25)가 형성된다.
상기 고정너트(30)는 상기 본체(10)의 외주면에 이동가능하게 삽입된다.
상기 고정너트(30)의 내주면에는 상기 작동캡(20)의 수나사(25)와 나사결합되는 암나사(35)가 형성된다.
상기 고정너트(30)와 작동캡(20) 사이에 자동수전의 몸체(2)가 끼워져 고정되고, 이러한 과정으로 자동수전에 고정 설치가 이루어진다.
즉 상기 고정너트(30)를 작동캡(20)에 나사결합시켜 고정시키는 것으로 설치작업이 완료되므로, 설치가 매우 편리하다.
상기 작동캡(20)의 측면(21) 중앙부는 사용자의 손가락 등이 안정적으로 접촉될 수 있도록 오목하게 형성하는 것도 가능하다.
상기에서 본체(10)에 설치되는 전극판(50)을 상기 작동캡(20)의 측면(21) 내면과 접하도록 설치하면, 작동캡(20)에 접촉하는 사용자의 손가락에서 방출되는 생체 자기장이 보다 효과적으로 전극판(50)에 영향을 미치게 된다.
그리고 상기 본체(10)의 작동캡(20)쪽 끝면(11)에는 적외선센서(70)를 설치하는 것도 가능하다.
상기 적외선센서(70)는 발광부와 수광부로 구성된다.
또 상기 본체(10)의 작동캡(20)쪽 끝면(11)에는 사용자의 접근이 감지되는 경우 발광되어 표시되는 발광소자(80)를 설치하는 것도 가능하다.
상기 발광소자(80)는 LED(발광다이오드) 등을 이용하여 구성하는 것이 가능하다.
상기 적외선센서(70) 및 발광소자(80)는 상기 제어기판(60)에 전기적으로 연결된다.
상기 제어기판(60)에서는 상기 전극판(50) 또는 적외선센서(70)로부터 물체의 감지신호가 전송되는 경우, 자동수전에서 물이 공급되는 동안 상기 발광소자(80)가 발광하도록 전원을 공급하도록 구성한다.
상기 제어기판(60) 또는 자동수전은 절수를 위하여 상기 전극판(50) 또는 적외선센서(70)로부터 신호가 전송되는 경우 일정시간 동안만 물이 공급되도록 구성하는 것도 가능하다.
상기에서 적외선센서(70)나 발광소자(80)가 설치되는 경우에는 효과적인 적외선센서(70)의 작동이나 발광효율을 위하여 상기 본체(10)에 조립되는 작동캡(20)의 측면(21)부분을 투명재질로 형성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작동캡(20)은 전체를 투명재질로 형성하는 것도 가능하다.
상기 본체(10)의 다른 쪽 끝면(12)의 끝부분 내주면에는 둘레를 따라 결합홈(17)이 형성된다.
상기 밀봉캡(40)의 외주면에는 상기 본체(10)의 결합홈(17)에 결합되는 결합돌기(47)가 외주면에 형성된다.
상기 밀봉캡(40)은 상기 본체(10)에 밀착 결합되어 개구면을 밀폐하는 마개형상으로 형성한다.
상기 밀봉캡(40)에는 상기 제어기판(60)에 연결된 신호선(62)이 설치되는 전선구멍(42)이 형성된다.
상기 밀봉캡(40)과 상기 본체(10)의 끝면(12) 사이에는 효과적인 밀봉을 위하여 밀봉링(48)을 설치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밀봉링(48)은 O-링이나 고무패킹, 실리콘패킹 등을 이용하여 구성한다.
상기에서는 본 발명에 따른 원터치식 방수 스위치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대하여 설명하였지만, 본 발명은 이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고 특허청구범위와 발명의 상세한 설명 및 첨부한 도면의 범위 안에서 여러 가지로 변형하여 실시하는 것이 가능하고, 이 또한 본 발명의 범위에 속한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원터치식 방수 스위치의 일실시예를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원터치식 방수 스위치의 일실시예를 나타내는 분해 사시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원터치식 방수 스위치의 일실시예를 나타내는 조립 단면도이다.

Claims (6)

  1. 통형상으로 형성되고 한쪽 끝부분 외주면에는 수나사가 형성되고 다른 쪽 끝부분 내주면에는 둘레를 따라 결합홈이 형성되는 본체와,
    바닥있는 통형상으로 형성되고 상기 본체의 수나사에 나사결합되는 암나사가 내주면에 형성되고 외주면에는 수나사가 형성되는 작동캡과,
    상기 본체의 외주에 삽입되고 상기 작동캡의 수나사와 나사결합되는 암나사가 내면에 형성되는 고정너트와,
    상기 본체의 결합홈에 결합되는 결합돌기가 외주면에 형성되고 상기 본체에 밀착 결합되어 개구면을 밀폐하는 밀봉캡과,
    상기 본체의 내부에 설치되고 사용자의 신체 일부가 근접하게 되면 생체 자기장에 의하여 전류가 변화하는 전극판과,
    상기 본체의 내부에 설치되고 상기 전극판과 전기적으로 연결되어 전류의 변화를 감지하여 신호로 출력하는 제어기판을 포함하는 원터치식 방수 스위치.
  2.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본체의 내부에 설치되고 상기 전극판의 위치를 일정하게 유지시켜 지지하는 전극홀더를 더 포함하는 원터치식 방수 스위치.
  3.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본체의 작동캡쪽 끝면에 설치되는 적외선센서를 더 포함하는 원터치식 방수 스위치.
  4.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본체의 작동캡쪽 끝면에 설치되며 사용자의 접근이 감지되는 경우 발광되어 표시되는 발광소자를 더 포함하는 원터치식 방수 스위치.
  5. 청구항 3 또는 청구항 4에 있어서,
    상기 작동캡의 측면부분을 투명재질로 형성하는 원터치식 방수 스위치.
  6.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밀봉캡과 상기 본체의 끝면 사이에 밀봉링을 설치하는 원터치식 방수 스위치.
KR1020080048526A 2008-05-26 2008-05-26 원터치식 방수 스위치 KR100939561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80048526A KR100939561B1 (ko) 2008-05-26 2008-05-26 원터치식 방수 스위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80048526A KR100939561B1 (ko) 2008-05-26 2008-05-26 원터치식 방수 스위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90122623A true KR20090122623A (ko) 2009-12-01
KR100939561B1 KR100939561B1 (ko) 2010-01-29

Family

ID=4168507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80048526A KR100939561B1 (ko) 2008-05-26 2008-05-26 원터치식 방수 스위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939561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429245B1 (ko) * 2014-02-04 2014-08-12 (주)명진클라비스 터치센서 스위치 모듈이 내장되는 급수장치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898685B1 (ko) * 2017-06-30 2018-09-13 주식회사 케이지오토 전류 전압 미터기

Family Cites Familie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358917Y1 (ko) * 2004-05-20 2004-08-12 정제산 무선제어 방식의 자동 수전 장치
KR200373023Y1 (ko) * 2004-10-06 2005-01-14 강규섭 케이블 연결용 콘넥터의 방수장치
KR200429787Y1 (ko) * 2006-08-18 2006-10-27 김찬구 정수기 파우셋 수전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429245B1 (ko) * 2014-02-04 2014-08-12 (주)명진클라비스 터치센서 스위치 모듈이 내장되는 급수장치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0939561B1 (ko) 2010-01-29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9695580B2 (en) System and method to position and retain a sensor in a faucet spout
CA2672853C (en) Multi-mode hands free automatic faucet
US9243392B2 (en) Resistive coupling for an automatic faucet
US9341278B2 (en) System and method for manually overriding a solenoid valve of a faucet
US20150308587A1 (en) System and method to detect and communicate faucet valve position
US20040032749A1 (en) Night light for plumbing fixtures
US6279179B1 (en) Dark-initiated liquid flow control circuit for scrub sink
KR100939561B1 (ko) 원터치식 방수 스위치
US10267432B2 (en) Display device of faucet
US10670801B2 (en) Illuminated drain stopper
WO2018068574A1 (zh) 一种智能感应水嘴
KR101450643B1 (ko) 자동 급수 조절 장치
US10738445B2 (en) Water supply system
KR200412370Y1 (ko) 무드조명 기능이 있는 자동수전의 감지표시 시스템.
CN213236172U (zh) 一种台盆龙头
KR102109470B1 (ko) 제스처와 조도 센서를 활용한 자동화 수도시스템
KR102424321B1 (ko) 투웨이 방식 센서를 구비하는 직수 양변기
CN215840586U (zh) 一种马桶杀菌装置及马桶
CN217355807U (zh) 一种温变式发光抽拉龙头
KR102567491B1 (ko) 절수 기능을 갖는 수전 시스템
CA2904925C (en) Resistive coupling for an automatic faucet
KR920000667Y1 (ko) 자동수전용 감지기
JPH10299052A (ja) センサー式自動水栓
KR200374373Y1 (ko) 정수 파우셋용 램프장치
JPS59144882A (ja) 水道栓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0121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0108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1017

Year of fee payment: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120

Year of fee payment: 8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122

Year of fee payment: 9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122

Year of fee payment: 10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200115

Year of fee payment: 11