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920000667Y1 - 자동수전용 감지기 - Google Patents

자동수전용 감지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920000667Y1
KR920000667Y1 KR2019880021781U KR880021781U KR920000667Y1 KR 920000667 Y1 KR920000667 Y1 KR 920000667Y1 KR 2019880021781 U KR2019880021781 U KR 2019880021781U KR 880021781 U KR880021781 U KR 880021781U KR 920000667 Y1 KR920000667 Y1 KR 920000667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water
sensor
photoelectric sensor
infrared
circuit board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19880021781U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900012780U (ko
Inventor
최건일
Original Assignee
최건일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최건일 filed Critical 최건일
Priority to KR2019880021781U priority Critical patent/KR920000667Y1/ko
Publication of KR900012780U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900012780U/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920000667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920000667Y1/ko

Link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DMEASURING NOT SPECIALLY ADAPTED FOR A SPECIFIC VARIABLE; ARRANGEMENTS FOR MEASURING TWO OR MORE VARIABLES NOT COVERED IN A SINGLE OTHER SUBCLASS; TARIFF METERING APPARATUS; MEASURING OR TESTING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1D5/00Mechanical means for transferring the output of a sensing member; Means for converting the output of a sensing member to another variable where the form or nature of the sensing member does not constrain the means for converting; Transducers not specially adapted for a specific variable
    • G01D5/26Mechanical means for transferring the output of a sensing member; Means for converting the output of a sensing member to another variable where the form or nature of the sensing member does not constrain the means for converting; Transducers not specially adapted for a specific variable characterised by optical transfer means, i.e. using infrared, visible, or ultraviolet light
    • G01D5/32Mechanical means for transferring the output of a sensing member; Means for converting the output of a sensing member to another variable where the form or nature of the sensing member does not constrain the means for converting; Transducers not specially adapted for a specific variable characterised by optical transfer means, i.e. using infrared, visible, or ultraviolet light with attenuation or whole or partial obturation of beams of light
    • G01D5/34Mechanical means for transferring the output of a sensing member; Means for converting the output of a sensing member to another variable where the form or nature of the sensing member does not constrain the means for converting; Transducers not specially adapted for a specific variable characterised by optical transfer means, i.e. using infrared, visible, or ultraviolet light with attenuation or whole or partial obturation of beams of light the beams of light being detected by photocell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KVALVES; TAPS; COCKS; ACTUATING-FLOATS; DEVICES FOR VENTING OR AERATING
    • F16K37/00Special means in or on valves or other cut-off apparatus for indicating or recording operation thereof, or for enabling an alarm to be given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Domestic Plumbing Installations (AREA)

Abstract

내용 없음.

Description

자동수전용 감지기
제1도는 본 고안 자동 수전용 감지기의 분리사시도.
제2도는 본 고안 감지기가 세면기에 설치 상태의 사시도.
제3도는 본 고안 감지기의 조립 단면도.
제4도는 본 고안 감지기의 사용상태 개략평면도.
제5도는 본 고안 감지기의 다른 사용상태 개략정면도.
제6도는 본 고안의 회로도.
제7도는 종래기술에 따른 감지기가 부착된 세면기의 사시도.
제8도는 또 다른 종래기술에 따른 감지기가 부착된 세면기의 사시도이다.
*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1 : 캡 13a, 13b : 적외선 투광창
15 : 고정판 17a, 17b : 광전센서
18 : 회로기판 19 : 나사부
20 : 전선 A : 적외선 발광부
B : 수광부 C : 출력부
IC1, IC2: 회로부 D1, D2: 포토다이오드
OP1, OP2, OP3, OP4 : 제1, 2, 3, 4증폭기
본 고안은 세면기에 부착되어 자동으로 물을 공급하게 하는 자동수전용 감지기에 관한 것으로서, 특히 수전(水栓)과는 분리형으로 손을 가까이하면 물이 나오고 뒤로 빼면 물이 멎게하는 광전센서와, 한번 손을 대면 물이 계속 나오다가 두면대면 물이 멎게하는 광전센서를 함께 조합하여 내장시킨 자동 수전용 감지기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수동수전은 사용전후에 일일이 조작하여야 하는 번거로움이 있는바, 손이나 얼굴을 깨끗이 씻은 다음에 물을 잠그기 위해 수전 개폐밸브를 다시 만져야 하므로번거러움을 느끼게 되고, 더우기 병원과 같이 바이러스 감염되기 쉬운 공공시설의 경우에는 피부 접촉에 의해 세균이 옮겨질수 있는 비 위생적인 문제점이 있다.
따라서, 최근에는 전혀 손으로 만질 필요가 없이 위생적으로 사용할수 있는 자동수건이 사용되고 있는바, 이 자동수전은 광전센서가 앞의 물체를 감지한 다음 전자 밸브를 제어하여 물을 자동으로 공급또는 차단되도록 한 것으로서, 이 광전센서의 감지기능에 따라 그 용도가 구분되어 사용되고 있다.
예컨대 제7도에 도시된 세면기는 자동수전(6a)과 광전센서(17a)가 분리설치된 경우로서 이 광전센서(17a)에 한번 손을 내밀면 물이 자동적으로 공급되고, 다시한번 손을 내밀면 물공급이 차단되게되는 세면용(洗面用)인 한편, 제8도에 도시된 세면기는 자동수전(6b)에 광전센서(17b)가 일체로 조립되어서 물체를 광전센서(17b)에 가까이 할때만 물을 공급하는 세수용(洗手用)으로 사용되어 구분되는 거이다.
그러나 상기 세면용의 세면기는 사용후 손으 광센서에 재차대어주어야 물이 멎게 되는데, 이를 잊어버리고 지나쳐 버리는 경우가 많아 물의 낭비가 심하고, 또한 상기 세수용의 세면기는 손을 씻기에만 편리할뿐, 필요한 양의 물을 받기 위해서는 손을 계속 내밀고 있어야 하는 불편이 있다.
즉, 종래의 자동수전을 한가지 기능만으론 각기 물을 공급하는 시기가 달라 사용자가 원하는 대로 사용할수 없었고, 그 설치작업이 어려울뿐만 아니라 수전과 광전센서의 일체형은 광전센서의 고장시 수전전체를 교환하여야 하므로 비경제적인 문제점을 안고 있는 것이다.
본 고안은 이러한 제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안출된 것으로, 감지될때만 단속적으로 물을 공급되게 하는 제1광전 센서와, 한번감지후 지속적으로 물을 공급케 하는 제2광전센서를 함께 내장하여 사용자가 선택적으로 사용할 수 있도록 하면서 통상의 세면기에 용이하게 설치할수 있을뿐만 아니라 구조적으로 교체가 용이한 자동수전용 감지기를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있다.
이하 본 고안은 첨부한 예시도면에 의거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본 고안감지기(1)는 제1도에 도시된 바와같이 아랫쪽에 나사부(19)가 형성된 고정판(15)과, 이 고정판(15) 위에 설치되는 회로기판(18) 및, 이 회로기판(18)위에 설치되어 상기 고정판(15)에 구비된 스크류(16)를 매개로 체결되는 캡(11)으로 구성되는 바, 상기 회로기판(18)의 상부에는 수직방향의 제1광전센서(17a)와 수평방향의 제2광전센서(17b)가 1쌍씩 각각 설치되고, 이 회로기판(18)의 하부에는 이들 광전센서(17a, 17b)가 물체를 감지함에 따라 세면기(2) 한쪽에 설치된 전자밸브(7)을 매개로 동작시켜 주는 전자회로 또는 PC(Programmable Comtroller)가 설치되어 있으며, 상기 캡(11)의 상부와 측부한쪽에는 투광창(13a, 13b)이 구비된 관통구멍(12a, 12b)이 각각 구비되어 상기 회로기판(18)의 광전센서(17a, 17b)가 외부의 물체를 감지할수 있도록 되어 있는 한편, 이 캡(11)의 내부에는 측벽을 따라 상기 고정판(15)에 끼워지는 스크류(16)가 체결되는 다수의 보스(14)가 구비되어 있다.
여기서, 상기캡(11)상방을 향하는 제1광전센서(17a)는 그 적외선 송수신 회로기능에 의하여 한번 감지 되면 지속적인 물공급을 하게하는 세면용 감지센서인 반면에, 이 캡(11)측방을 향하는 다른 제2광전센서(17b)는 그 적외선 송수신 회로 기능에 의하여 감지될 때만 단속적인 물공급을 하게 하는 세수용 감지센서인바, 상기 지속기능을 가지는 제1광전센서(17a)의 감지방향을 수직상방으로 하고, 단속기능을 가지는 제2광전센서(17b)의 감지방향은 세면기 내부 또는 그와 함께 설치되는 자동수전의 토수구 아래쪽으로 할 수도 있다.
한편, 본 고안의 회로도를 살펴보면, 제6도에 도시된 바와같이 제1, 2광전센서(17a, 17b)의 회로기판(18)에 적외선을 방출하도록된 적외선발광부(A)와, 이 적외선발광부(A)의 적외선을 수광하도록된 수광부(B), 이 수광부(B)에서 증폭작용된 출력신호를 받아 전자밸브(7)를 작동시키도록된 출력부(C)가 구성되어 있다.
그리고 상기 적외선발광부(A)에는 논리조합된 회로부(IC1)의 일단에 바이어스 저항(R1, R2)과 캐패시터(C1)가 연결되고, 또따른 일단에는 바이어스저항(R3)을 통하여 트랜지스터(TR1)에 연결되며, 이 트랜지스터(TR1)의 에미터측에는 발광다이오드(D1)가 연결되어 있다.
또한 상기 수광부(B)에는 제1증폭기(OP1)의 입력단에 포토다이오드(D2)가 피드백되는 바이어스저항(R5)과 병렬연결되어 있고, 그 출력단은 바이어스저항(R6)과 캐패서터(C3)를 통하여 제2증폭기(OP2)의 입력단에 연결되어 있으며, 이 제2증폭기(OP2)의 출력단은 바이어스저항(R10)를 통하여 제3증폭기(OP3)입력단에 연결되는 한편, 제4증폭기(OP4)입력단에는 바이어스저항(R14, R16, R17, R18)과 캐패서터(C4, C5)및 다이오드(D3, D4)가 직병렬로 연결된다. 또한 이 제4증폭기(OP4)의 출력단에는 트랜지스터(TR2)가 연결된다.
그리고 상기 출력부에는 논리조합된 회로부(IC2)의 일단에 바이어스저항(R21)이 연결되고, 또다른 일단에 바이어스저항(R22)을 통하여 출력트랜지스터(TR3)에 연결되는 한편, 이 출력트랜지스터(TR3)의 콜렉터측에 전자밸브(7)가 연결되어 있다.
다음은 이상과같이 구성된 본 고안의 작용 효과에 대해 설명한다.
먼저 고정판(15)위에 제1, 2광전센서(17a, 17b)의 회로기판(18)을 설치하면서 이 회로기판(18)의 전선(20)이 고정판(15)의 나사부(19)를 아랫쪽으로 관통설치해준 다음 이 고정판(15)위에 캡(11)을 설치하여 이 고정판(15) 아랫쪽에서 스크류(16)로 체결해 줌으로써 본 고안 감지기(1)의 조립이 완료되는바, 이 감지기(1) 하부의 나사부(19)를 고무팩킹(5)을 매개로 세면기(2)의 한족설치공(3)에 끼우고 나서 별도의 너트(4)를 상기 나사부(19)에 체결하여 설치한 다음 상기 나사부(19)를 관통한 전선(20)을 세면기(2)와 별도로 설치된 전자밸브(7)에 연결해주어야 한다.
이상과 같이 조립설치되는 본 고안은 제4도와 같이 손을 씻기 위해 자동수전(6)의 토수구 밑으로 손을 내밀면 감지기(1)의 캡(11)내에는 측방의 적외선 투광창(13b)을 통해 상기 자동수전(6)의 토수구 밑으로 적외선을 송출하는 제2광전센서(17b)가 그 손으로부터 반사된 신호를 감지하면 전자밸브(7)을 작동시키게 되는바 즉, 제6도에 도시된 적외선 발광부(A)의 회로부(IC1)와 트랜지스터(TR1)에 의해 적외선 출력신호가 발광다이오드(D1)즉 제2광전센서(17b)의 적외선 발광부(A)를 통해 적외선이 방출되어 투광창(13b)으로 방사되는데, 손을 씻기 위해 자동수전(6)의 토수구밑에 손을 내밀면 이 손에 상기 적외선이 반사되어 포토다이오드(D2), 즉 제2광전센서(17b)의 수광부(B)로 감지된다.
그러면 이 수광공부(B)의 제1, 2, 3, 4증폭기(OP1, OP2, OP3, OP4)에 의해 상기 감지신호가 증폭되어 출력트랜지스터(TR2)를 통해 출력(Vo)혹은 전자밸브(7)에 공급된다. 따라서 전자밸브(7)가 구동되어 물이 나오게 된다.
이때 손을 씻는 동안에도 상기 제2광전센서(17b)가 씻고 있는 손을 감지하고 있어 물이 상기 자동수전(6)에서 계속 나오게되나, 손을 멀리 빼면 제2광전센서(17b)가 외부물체를 감지하지 않게 되어 물의 공급이 차단되는 것이다.
한편, 세면기(2)에 원하는 만큼의 물을 받아서 쓰고자 할 경우에는 제5도와 같이, 본 고안 감지기(1)의 캡(11)윗쪽에 한번 손을 가까이 대어주게 되면, 물이 계속나오게 되고 한번 더 감지되면 물이 멎게 되는 것인바, 즉, 제6도에 도시된 제1광전센서(17a)의 적외선발광부(A)의 회로부(IC1)와 트랜지스터(TR1)에 의해 적외선 출력신호가 발광다이오드(D1)즉 제1광전센서(17a)의 적외선발광부(A)을 통해 방출되어 투광창(13a)으로 방사되는데, 물을 계속적으로 받아쓰기위해 본 고안감지기(1)의 상부캡(11)상면에 손을 가까이 손을 대어주면, 이 손에 상기 적외선이 반사되어 수광부(B)의 포토다이오드(D2), 즉 제1광전센서(17a)의 수광부(B)로 감지된다.
그러면 이 수광부(B)의 제1, 2, 3, 4(OP1, OP2, OP3, OP4)에 의해 상기 감지신호가 증폭되어 출력트랜지스터(TR2)를 통해 출력부(C)에 공급된다.
그리고 이 공급된 신호는 이 출력부(C)의 회로부(IC2)와 출력트랜스(TR3)에 의애 정격신호출력으로 증폭되어 전자밸브(7)에 공급되면 전자밸브(7)가 구동되어 물이 나오게 된다.
그러나 또한번 상기 수광부(B)의 포토다이오드(D2)에 상기 반산신호가 감지되면 상기 출력부(C)의 회로부(IC2)에 의해 상기 전자밸브(7)가 차단된다.
따라서 사용자가 사용자가 원하는 만큼의 물을 세면기(2)에 받아 쓸수 있도록 되어 있다.
여기서 상기 회로부(IC1)와 회로부(IC2)는 셋팅된 프로그램에 따라 순차적으로 제어되도록 한다.
만일 상기 회로내용에 이상이 있거나, 제1, 2광전센서(17a, 17b)가 고장났을 경우에는, 먼저 너트(4)를 풀어 감지기(1)를 세면기(2)로부터 분리시키고, 이 감지기(1)의 캡(11)과 고정판(15)를 분리시키면 그 회로기판(18)을 간단히 꺼낼수 있으므로 보수가 용이한 것이다.
이상에서 설명한 바와같이 본 고안 감지기(1)에는 적어도 2개의 감지기능을 갖는 제1, 2광전센서(17a, 17b)가 설치되어, 사용자가 세면 또는 세수에 따라 이를 선택적으로 사용할 수 있으므로, 물의 낭비없이 편이하게 사용할수 있고, 또 구조가 간단하여 시공 및 보수가 용이한 이점이 있다.

Claims (1)

  1. 상방 및 측방으로 향하도록 적외선 투광창(13a)(13b)이 각각 부착된 상부캡(11)과, 상기 적외선 투광창(13a)(13b)내측에 위치하는 적외선 소자(17a)(17b)및 각기 다른 그들의 송수신 회로가 집약되어 상기 상부캡(11)내에 내장되는 회로기판과, 상기 회로기판(18)을 지지토록 상기 상부캡 하부에 결합하는 고정판(15)과, 이 고정판(15)중앙하방으로 일체 형성된 나사관(19) 및 그 내부로 인출된 전선(20)으로 구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 수전용 감지기.
KR2019880021781U 1988-12-28 1988-12-28 자동수전용 감지기 KR920000667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9880021781U KR920000667Y1 (ko) 1988-12-28 1988-12-28 자동수전용 감지기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9880021781U KR920000667Y1 (ko) 1988-12-28 1988-12-28 자동수전용 감지기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900012780U KR900012780U (ko) 1990-07-04
KR920000667Y1 true KR920000667Y1 (ko) 1992-01-20

Family

ID=1928262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19880021781U KR920000667Y1 (ko) 1988-12-28 1988-12-28 자동수전용 감지기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920000667Y1 (ko)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900012780U (ko) 1990-07-04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5482250A (en) Automatic flushing device
US5170514A (en) Automatic fluid-flow control system
US5694653A (en) Water control sensor apparatus and method
KR930008366B1 (ko) 진공청소기용 광학적표시 및 기능 감지장치
EP0409998B1 (en) Automatic faucet
US4984314A (en) Automatic fluid-flow control system
US20050253102A1 (en) Faucet control device and associated method
KR850008513A (ko) 소변기 세정장치
JPH07145632A (ja) 衛生設備における水流を非接触様式により制御するための方法および装置並びにこの装置を備えた洗面設備
JP2008248668A (ja) 自動洗面器
US6279179B1 (en) Dark-initiated liquid flow control circuit for scrub sink
KR920000667Y1 (ko) 자동수전용 감지기
ES8305476A1 (es) Grifo de funcionamiento automatico.
GB2195763A (en) Water tap
JP2675352B2 (ja) 自動水栓装置
CN216948595U (zh) 一种应用于智能马桶的脚踢型磁悬浮感应器
KR100939561B1 (ko) 원터치식 방수 스위치
GB2264557A (en) Water supply apparatus
JP2002168966A (ja) 光センサによる物体検知方法
KR950014145B1 (ko) 식기세척기의 세척시간 조절회로
JPH02164943A (ja) 自動水栓及び同水栓の制御方法
KR20110001070U (ko) 초음파 발생장치를 구비한 수도전
JP2551071Y2 (ja) 照明器具
KR930007033Y1 (ko) 식기건조기의 물받이 만수검지장치
KR102424321B1 (ko) 투웨이 방식 센서를 구비하는 직수 양변기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030115

Year of fee payment: 12

EXPY Expiration of ter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