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90120939A - 무선통신시스템에서 간섭 제거 장치 및 방법 - Google Patents

무선통신시스템에서 간섭 제거 장치 및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90120939A
KR20090120939A KR1020080046996A KR20080046996A KR20090120939A KR 20090120939 A KR20090120939 A KR 20090120939A KR 1020080046996 A KR1020080046996 A KR 1020080046996A KR 20080046996 A KR20080046996 A KR 20080046996A KR 20090120939 A KR20090120939 A KR 20090120939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transmission mode
base station
terminal
femto base
servic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80046996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1469159B1 (ko
Inventor
황성수
윤상보
이주현
Original Assignee
삼성전자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삼성전자주식회사 filed Critical 삼성전자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080046996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469159B1/ko
Priority to PCT/KR2009/002677 priority patent/WO2009142445A2/ko
Priority to US12/993,546 priority patent/US8838107B2/en
Publication of KR20090120939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90120939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469159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469159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24/00Supervisory, monitoring or testing arrangements
    • H04W24/10Scheduling measurement reports ; Arrangements for measurement report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28/00Network traffic management; Network resource management
    • H04W28/02Traffic management, e.g. flow control or congestion control
    • H04W28/04Error control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52/00Power management, e.g. TPC [Transmission Power Control], power saving or power classes
    • H04W52/02Power saving arrangements
    • H04W52/0203Power saving arrangements in the radio access network or backbone network of 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52/0206Power saving arrangements in the radio access network or backbone network of 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in access points, e.g. base st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52/00Power management, e.g. TPC [Transmission Power Control], power saving or power classes
    • H04W52/04TPC
    • H04W52/18TPC being performed according to specific parameters
    • H04W52/24TPC being performed according to specific parameters using SIR [Signal to Interference Ratio] or other wireless path parameters
    • H04W52/241TPC being performed according to specific parameters using SIR [Signal to Interference Ratio] or other wireless path parameters taking into account channel quality metrics, e.g. SIR, SNR, CIR, Eb/lo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84/00Network topologies
    • H04W84/02Hierarchically pre-organised networks, e.g. paging networks, cellular networks, WLAN [Wireless Local Area Network] or WLL [Wireless Local Loop]
    • H04W84/04Large scale networks; Deep hierarchical networks
    • H04W84/042Public Land Mobile systems, e.g. cellular systems
    • H04W84/045Public Land Mobile systems, e.g. cellular systems using private Base Stations, e.g. femto Base Stations, home Node B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DCLIMATE CHANGE MITIGATION TECHNOLOGIES IN 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IES [ICT], I.E. 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IES AIMING AT THE REDUCTION OF THEIR OWN ENERGY USE
    • Y02D30/00Reducing energy consumption in communication networks
    • Y02D30/70Reducing energy consumption in communication networks in 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Quality & Reliability (AREA)
  • Mobile Radio Communication System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무선통신시스템에서 펨토 셀에 따른 간섭을 줄이기 위한 장치 및 방법에 관한 것으로서, 서비스를 제공하는 단말이 존재하지 않는 경우, 송신 모드를 비활성화되도록 제어하고, 송신 모드가 비활성 상태인 경우, 단말로부터 수신되는 신호의 세기를 측정하는 과정과, 상기 수신신호 세기를 고려하여 상기 송신 모드가 활성화되도록 제어하는 과정을 포함하여 펨토 셀에 의한 간섭의 영향을 감소시키고 펨토 기지국의 전력 소모를 줄일 수 있는 이점이 있다.
펨토 셀(Femto cell), 펨토 기지국, 신호 세기, 핸드 오버

Description

무선통신시스템에서 간섭 제거 장치 및 방법{APPARATUS AND METHOD FOR INTERFERENCE CANCELLING IN WIRELESS COMMUNICATION SYSTEM}
본 발명은 펨토 셀(Femto-cell)을 제공하는 무선통신시스템에 관한 것으로서, 특히 상기 무선통신시스템에서 펨토 셀에 따른 간섭을 감소시키기 위한 장치 및 방법에 관한 것이다.
셀룰러(cellular) 방식의 무선통신 시스템에서는 셀 내의 지리적 요건 또는 단말과 기지국 간의 거리 또는 단말의 이동으로 인하여 채널 상태가 열악해져 단말과 기지국 간의 통신이 원활하게 수행되지 못하는 현상이 발생한다. 예를 들어, 기지국의 서비스 영역 내에서도 사무실 또는 가옥과 같은 밀폐한 건물에 의해 전파 음영 지역이 형성된다. 만일, 단말이 상기 전파 음영 지역에 위치하는 경우, 상기 기지국은 상기 단말과의 채널 상태가 열악하여 원활한 통신을 수행하지 못하게 된다.
이에 따라 무선통신시스템은 전파 음영 지역의 서비스 문제를 해결하면서 고 속의 데이터 서비스를 제공하기 위한 펨토 셀 서비스를 제공한다. 여기서, 상기 펨토 셀은 사무실 또는 가옥 등과 같은 옥내에 설치된 광대역 망을 통해 이동 통신 코어 네트워크에 접속하는 펨토 기지국에 의해 형성되는 작은 셀 영역을 의미한다.
상술한 바와 같이 무선통신시스템은 전파 음영 지역에 펨토 기지국을 설치하여 매크로 셀 전체의 용량을 증대시킬 수 있다. 하지만, 매크로 기지국에 접속하여 통신을 수행하는 단말은 펨토 셀로부터의 간섭에 의해 통신 품질이 저하되는 문제가 발생한다.
따라서, 본 발명의 목적은 무선통신시스템에서 펨토 셀에 의한 간섭을 감소시키기 위한 장치 및 방법을 제공함에 있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무선통신시스템의 펨토 기지국은 접속된 단말이 존재하지 않는 경우, 송신 모드를 비활성화시키기 위한 장치 및 방법을 제공함에 있다.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은 무선통신시스템에서 단말의 상향링크 신호의 세기에 따라 펨토 기지국의 송신 모드를 활성화시키고 제어하기 위한 장치 및 방법을 제공함에 있다.
본 발명의 목적들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제 1 견지에 따르면, 무선통신시스템의 펨토 기지국에서 송신 모드를 제어하기 위한 방법은, 송신 모드가 비활성 상태인 경우, 단말로부터 수신되는 신호의 세기를 측정하는 과정과, 상기 수신신호 세기를 고려하여 상기 송신 모드가 활성화되도록 제어하는 과정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제 2 견지에 따르면, 무선통신시스템의 펨토 기지국에서 송신 모드를 제어하기 위한 장치는, 송신 모드가 비활성 상태인 경우, 단말로부터 신호를 수신받는 수신부와, 상기 수신 신호의 세기를 측정하는 신호 세기 측정부와, 상기 수신신호 세기를 고려하여 상기 송신 모드가 활성화되도록 제어하는 송신 모드 제 어부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술한 바와 같이 무선통신시스템의 펨토 기지국은 단말의 상향링크 신호 세기에 따라 송신 모드를 제어함으로써, 펨토 셀에 의한 간섭의 영향을 감소시키고 펨토 기지국의 전력 소모를 줄일 수 있는 이점이 있다.
이하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를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그리고, 본 발명을 설명함에 있어서, 관련된 공지기능 혹은 구성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발명의 요지를 불필요하게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된 경우 그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이하 본 발명은 무선통신시스템에서 펨토 셀에 의한 간섭을 감소시키기 위한 기술에 대해 설명한다.
상기 무선통신시스템은 매크로 셀 내에 위치하는 펨토 셀에 의한 간섭의 영향을 감소시키기 위해 상기 펨토 셀을 관장하는 펨토 기지국에 접속한 단말이 존재하지 않을 경우, 상기 펨토 기지국은 송신 모드가 비활성화되도록 제어한다. 즉, 상기 펨토 기지국은 송신 전력을 끄거나 최소화시킨다. 예를 들어, 하기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펨토 기지국에 접속된 단말이 매크로 기지국 또는 인접한 펨토 기지국으로 핸드오버하는 경우, 상기 펨토 기지국은 송신 모드가 비활성화되도록 제 어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펨토 셀을 포함하는 무선통신시스템의 구성을 도시하고 있다.
상기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매크로 기지국(100)은 하나의 매크로 셀을 관장하고, 상기 매크로 셀 내에는 펨토 기지국(110)이 관장하는 펨토 셀이 위치할 수 있다.
단말이 P1 시점(120)에 펨토 셀 내에 위치하는 경우, 상기 단말은 상기 펨토 기지국(110)에 접속하여 통신을 수행한다. 만일, 상기 단말이 P2 시점(130)에 상기 펨토 셀 밖으로 이동하는 경우, 상기 단말은 핸드오버를 통해 상기 매크로 기지국(100)으로 접속하여 통신을 수행한다.
상기 단말이 매크로 기지국으로 핸드오버하여 상기 펨토 기지국(110)에 접속한 단말이 존재하지 않은 경우, 상기 펨토 기지국(110)은 송신 모드가 비활성화되도록 제어한다. 즉, 상기 펨토 기지국(110)은 송신 전력을 오프 상태로 전환한다.
상술한 바와 같이 펨토 기지국은 자신에 접속된 단말이 존재하지 않는 경우, 송신 전력을 오프 상태로 전환한다. 이 경우, 상기 펨토 기지국의 송신 전력은 하기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변화한다.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무선통신시스템에서 단말이 경험하는 수신신호 세기를 도시하고 있다.
상기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단말이 P1 시점(220)에 펨토 셀 내에 위치하는 경우, 상기 단말은 매크로 기지국의 신호 세기(210)보다 펨토 기지국의 신호 세 기(200)를 더 크게 느낀다. 따라서, 상기 단말은 상기 P1 시점(220)에 상기 펨토 기지국에 접속하여 통신을 수행한다.
만일, 상기 단말이 펨토 셀의 외곽으로 이동하는 경우, 상기 단말이 느끼는 매크로 기지국의 신호 세기(210)는 상기 P1 시점(220)보다 점점 커진다. 이에 반하여 상기 단말이 느끼는 펨토 기지국의 신호 세기(200)는 상기 P1 시점(220)보다 점점 작아진다.
이에 따라 상기 단말이 P2 시점(230)에 펨토 셀 밖으로 이동하는 경우, 상기 단말은 펨토 기지국의 신호 세기(200)보다 매크로 기지국의 신호 세기(210)를 더 크게 느낀다. 따라서, 상기 단말은 상기 매크로 기지국으로 핸드오버를 수행한다.
상기 펨토 기지국은 상기 단말의 핸드오버 절차를 수행하는 과정에서 P3 시점(240)에서 상기 단말 또는 매크로 기지국으로부터 핸드오버 절차 완료 신호를 제공받으면 송신 전력을 오프 상태로 전환한다. 여기서, 상기 펨토 기지국은 상기 P3 시점(240)에 상기 매크로 기지국으로 핸드오버한 단말 이외에 서비스를 제공하는 단말이 존재하지 않는 경우에만 송신 전력을 오프 상태로 전환한다.
상술한 바와 같이 펨토 기지국에 접속된 단말이 매크로 기지국으로 핸드오버하는 경우, 상기 펨토 기지국은 하기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송신 전력을 제어한다.
도 3은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무선통신시스템의 펨토 기지국에서 송신 모드가 비활성화되도록 제어하기 위한 절차를 도시하고 있다.
상기 도 3을 참조하면 상기 펨토 기지국은 301단계에서 자신에게 접속된 단말들과 통신을 수행한다.
이후, 상기 펨토 기지국은 303단계로 진행하여 자신에 접속된 단말로부터 핸드오버 요청신호가 수신되는지 확인한다. 즉, 상기 펨토 기지국은 자신에 접속된 단말이 매크로 기지국 또는 인접한 펨토 기지국으로 핸드오버할 것을 요청하는 신호가 수신되는지 확인한다.
만일, 상기 핸드오버 요청 신호가 수신되는 경우, 상기 펨토 기지국은 305단계로 진행하여 상기 단말이 매크로 기지국 또는 인접한 펨토 기지국으로 접속하도록 상기 단말에 대한 핸드오버 절차를 수행한다.
이후, 상기 펨토 기지국은 307단계로 진행하여 상기 단말 또는 상기 단말이 핸드오버한 매크로 기지국 또는 상기 단말이 핸드오버한 인접한 펨토 기지국으로부터 상기 단말에 대한 핸드오버 완료 신호가 수신되는지 확인한다.
상기 핸드오버 완료 신호가 수신되면, 상기 펨토 기지국은 309단계로 진행하여 서비스를 제공하고 있는 단말이 존재하는지 확인한다.
만일, 서비스를 제공하는 단말이 존재하는 경우, 상기 펨토 기지국은 상기 301단계로 되돌아가 자신에게 접속된 단말들과 통신을 수행한다.
한편, 서비스를 제공하는 단말이 존재하지 않는 경우, 상기 펨토 기지국은 311단계로 진행하여 송신 모드가 비활성화되도록 제어한다. 즉, 상기 펨토 기지국은 송신 전력을 오프 상태로 전환한다. 예를 들어, 상기 펨토 기지국은 상기 송신 전력의 세기를 단계적으로 낮추어 오프 상태로 전환한다.
이후, 상기 펨토 기지국은 본 알고리즘을 종료한다.
상술한 실시 예에서 펨토 기지국은 단말이 핸드오버하여 접속된 단말이 존재 하지 않는 경우, 송신 전력을 오프 상태로 전환하였다. 여기서, 상기 펨토 기지국에 접속된 단말이 존재하지 않는다는 것은 상기 펨토 기지국을 통해 실제 통화 및 데이터를 송수신하는 단말이 존재하지 않는 것을 의미한다. 즉, 상기 펨토 기지국의 셀 내에 대기(idle) 모드인 다수 개의 단말들이 존재하더라도 상기 펨토 기지국은 접속된 단말이 존재하지 않는다고 판단하여 송신 모드가 비활성화되도록 제어한다. 여기서, 상기 대기 모드인 단말은 통화 및 데이터 전송을 수행하지 않는 단말을 의미한다.
다른 실시 예를 들어 펨토 기지국은 서비스를 제공하던 단말이 통화를 종료하여 접속된 단말이 존재하지 않는 경우, 송신 모드가 비활성화되도록 제어한다. 예를 들어, 상기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P1 시점(120)에 단말이 펨토 셀 내에 위치하는 경우, 상기 펨토 기지국(110)은 송신 모드를 활성 상태로 유지하여 상기 단말로 서비스를 제공한다. 만일, 상기 단말이 통화를 종료하여 접속된 단말이 존재하지 않는 경우, 상기 펨토 기지국(110)은 송신 모드가 비활성화되도록 제어한다.
도 4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 예에 따른 무선통신시스템에서 펨토 기지국의 송신 모드를 비활성화되도록 제어하기 위한 절차를 도시하고 있다.
상기 도 4를 참조하면 상기 펨토 기지국은 401단계에서 자신에게 접속된 단말들과 통신을 수행한다.
이후, 상기 펨토 기지국은 403단계로 진행하여 서비스를 제공하던 단말과의 호 연결이 해제되는지 확인한다. 예를 들어, 상기 펨토 기지국은 서비스를 제공하던 단말의 상향링크 신호 세기를 측정하여 상기 단말과의 호 연결이 해제되었는지 확인한다. 다른 실시 예를 들어, 상기 펨토 기지국은 서비스를 제공하던 단말로부터 호 연결 해제 신호가 수신되는지 확인한다.
상기 단말과의 호 연결이 해제되는 경우, 상기 펨토 기지국은 405단계로 진행하여 서비스를 제공하고 있는 단말이 존재하는지 확인한다.
만일, 서비스를 제공하는 단말이 존재하는 경우, 상기 펨토 기지국은 상기 401단계로 되돌아가 자신에게 접속된 단말들과 통신을 수행한다.
한편, 서비스를 제공하는 단말이 존재하지 않는 경우, 상기 펨토 기지국은 407단계로 진행하여 송신 모드가 비활성화되도록 제어한다. 즉, 상기 펨토 기지국은 송신 전력을 오프 상태로 전환한다. 예를 들어, 상기 펨토 기지국은 상기 송신 전력의 세기를 단계적으로 낮추어 오프 상태로 전환한다.
이후, 상기 펨토 기지국은 본 알고리즘을 종료한다.
상술한 바와 같이 펨토 기지국은 자신에 접속된 단말이 존재하지 않는 경우, 인접한 펨토 셀 또는 매크로 셀로 미치는 간섭의 영향을 줄이기 위해 송신 모드가 비활성화되도록 제어한다.
이때, 송신 모드가 비활성 상태인 펨토 기지국은 단말의 상향링크 신호의 세기에 따라 송신 모드가 활성화되도록 제어한다. 예를 들어, 하기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단말이 매크로 기지국 또는 인접한 펨토 기지국으로부터 펨토 기지국으로 핸드오버하는 경우, 상기 펨토 기지국은 상기 단말로 서비스를 제공하기 위해 송신 모드가 활성화되도록 제어한다. 즉, 상기 펨토 기지국은 송신 전력을 온 상태로 전환한다.
도 5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 예에 따른 펨토 셀을 포함하는 무선통신시스템의 구성을 도시하고 있다.
상기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매크로 기지국(500)은 하나의 매크로 셀을 관장하고, 상기 매크로 셀 내에는 펨토 기지국(510)이 관장하는 펨토 셀이 위치할 수 있다.
단말이 T1 시점(520)에 펨토 셀 밖에 위치하는 경우, 상기 단말은 상기 매크로 기지국(500)에 접속하여 통신을 수행한다. 만일, 상기 단말이 T2 시점(520)에 상기 펨토 셀 내로 이동하는 경우, 상기 단말은 상기 펨토 기지국(510)으로 핸드오버하여 통신을 수행한다.
이때 상기 펨토 기지국(510)의 송신 모드가 비활성화 상태인 경우, 상기 펨토 기지국(510)은 상기 단말의 신호 세기에 따라 송신 모드가 활성화되도록 제어한다. 예를 들어, 상기 단말의 신호 세기가 기준 값보다 커지는 경우, 상기 펨토 기지국(510)은 상기 단말로 서비스를 제공하기 위한 송신 전력을 온 상태로 전환한다.
상술한 바와 같이 송신 모드가 비활성화 상태인 펨토 기지국은 자신에게 접속하기 위해 핸드오버하는 단말로 서비스를 제공하기 위해 송신 전력을 온 상태로 전환한다. 이 경우, 펨토 기지국의 송신 전력은 하기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변화한다.
도 6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 예에 따른 무선통신시스템에서 수신신호 세기를 도시하고 있다.
상기 도 6을 참조하면, 상기 도 6의(a)는 펨토 기지국에서 느끼는 단말의 상향링크 신호의 세기(600)를 나타내고, 상기 도 6의 (b)는 단말에서 느끼는 펨토 기지국의 신호 세기(630)와 매크로 기지국의 신호 세기(620)를 나타낸다.
상기 도 6의 (a)에 도시된 바와 같이 단말이 T1 시점(640)에 펨토 셀의 밖에 위치하는 경우, 상기 펨토 기지국이 느끼는 상기 단말의 상향링크 신호의 세기(600)는 미약하다.
이후, 상기 단말이 T2 시점(650)에 상기 펨토 셀 내로 이동하는 경우, 상기 펨토 기지국이 느끼는 단말의 신호 세기(600)는 상기 T1 시점(640)보다 커진다. 만일, T3 시점(660)과 같이 상기 펨토 기지국이 느끼는 상기 단말의 신호 세기(600)가 기준 값보다 커지는 경우, 상기 펨토 기지국은 상기 단말로 서비스를 제공하기 위해 송신 전력을 온 상태로 전환한다.
상기 도 6의 (b)에 도시된 바와 같이 단말이 T1 시점(640)에 펨토 셀의 밖에 위치하는 경우, 상기 단말은 펨토 기지국의 신호 세기(630)보다 매크로 기지국의 신호 세기(620)를 더 크게 느낀다. 따라서, 상기 단말은 상기 T1 시점(640) 동안 상기 매크로 기지국에 접속하여 통신을 수행한다.
상기 단말이 상기 펨토 셀 내로 이동하는 경우, T3 시점(660)에 상기 도 6의 (a)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팸토 기지국은 송신 전력을 온 상태로 전환한다. 따라서, 단말이 느끼는 펨토 기지국의 신호 세기(630)가 점점 커진다.
만일, T4 시점(670)과 같이 상기 단말 느끼는 매크로 기지국의 신호 세 기(620)보다 펨토 기지국의 신호 세기(630)를 더 큰 경우, 상기 단말은 상기 펨토 기지국으로 핸드오버를 수행한다.
상술한 바와 같이 매크로 기지국에서 펨토 기지국으로 단말이 핸드오버하는 경우, 상기 펨토 기지국은 하기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송신 전력을 제어한다.
도 7은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무선통신시스템에서 펨토 기지국의 송신 모드가 활성화되도록 제어하기 위한 절차를 도시하고 있다.
상기 도 7을 참조하면 상기 펨토 기지국은 701단계에서 송신 모드의 비활성 상태를 유지한다. 즉, 상기 펨토 기지국은 자신에게 접속한 단말이 존재하지 않으므로 매크로 기지국 또는 인접한 펨토 기지국으로 미치는 간섭의 영향을 줄이기 위해 송신 모드의 비활성 상태를 유지한다.
상기 송신 모드의 비활성 상태를 유지하는 동안 상기 펨토 기지국은 703단계로 진행하여 단말로부터 신호가 수신되는지 확인한다. 이때, 송신 모드가 비활성 상태인 경우, 상기 펨토 기지국은 수신 모드는 활성 상태를 유지하므로 단말로부터 신호를 수신받을 수 있다.
만일, 단말로부터 신호가 수신되는 경우, 상기 펨토 기지국은 705단계로 진행하여 상기 수신신호의 세기를 측정한다. 여기서, 상기 수신신호는 상기 단말이 전송하는 레인징 신호 또는 주기적으로 전송하는 신호 또는 펨토 기지국의 송신 모드 제어를 위해 별도로 정의한 신호를 나타낸다.
상기 수신신호의 세기를 측정한 후, 상기 펨토 기지국은 707단계로 진행하여 상기 수신신호의 세기와 기준 값을 비교한다.
만일, 상기 수신신호의 세기가 기준 값보다 작거나 같은 경우, 상기 펨토 기지국은 상기 701단계로 진행하여 송신 모드의 비활성상태를 유지한다.
한편, 상기 수신신호의 세기가 기준 값보다 큰 경우, 상기 펨토 기지국은 709단계로 진행하여 송신 모드가 활성화되도록 제어한다. 즉, 상기 펨토 기지국은 송신 전력을 온 상태로 전환한다. 예를 들어, 상기 펨토 기지국은 상기 송신 전력의 세기를 단계적으로 증가시켜 온 상태로 전환한다.
상기 송신 모드가 활성화된 경우, 상기 펨토 기지국은 711단계로 진행하여 상기 수신신호 세기가 기준 값보다 큰 단말에 대한 핸드오버 절차를 수행한다.
이후, 상기 펨토 기지국은 본 알고리즘을 종료한다.
상술한 실시 예에서 매크로 기지국에 접속된 단말이 펨토 셀 내로 이동하는 경우, 송신 모드를 비활성 상태로 유지하는 펨토 기지국은 단말의 신호 세기에 따라 상기 송신 모드가 활성화되도록 제어하였다.
다른 실시 예를 들어 펨토 셀 내에서 비활성 상태였던 단말이 활성화되는 경우, 송신 모드를 비활성 상태로 유지하는 펨토 기지국은 상기 단말의 신호 세기에 따라 송신 모드가 활성화되도록 제어할 수도 있다. 즉, 단말이 펨토 셀 내에 위치하지만 비활성 상태인 경우, 상기 펨토 기지국은 자신에 접속된 단말이 존재하지 않는 것으로 인식하여 송신 모드의 비활성 상태를 유지한다. 하지만, 상기 단말이 활성화되면 상기 펨토 기지국은 상기 단말의 수신 신호 세기에 따라 송신 전력을 온 상태로 전환한다.
도 8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 예에 따른 무선통신시스템에서 펨토 기지국의 송신 모드가 활성화되도록 제어하기 위한 절차를 도시하고 있다.
상기 도 8을 참조하면 상기 펨토 기지국은 801단계에서 송신 모드의 비활성화 상태를 유지한다. 즉, 상기 펨토 기지국은 자신에게 접속한 단말이 존재하지 않으므로 매크로 기지국 또는 인접한 펨토 기지국으로 미치는 간섭의 영향을 줄이기 위해 송신 모드의 비활성화 상태를 유지한다.
상기 송신 모드의 비활성화 상태를 유지하는 동안 상기 펨토 기지국은 803단계로 진행하여 단말로부터 신호가 수신되는지 확인한다. 이때, 송신 모드가 비활성화 상태인 경우, 상기 펨토 기지국은 수신 모드는 활성 상태를 유지하므로 단말로부터 신호를 수신받을 수 있다.
만일, 단말로부터 신호가 수신되는 경우, 상기 펨토 기지국은 805단계로 진행하여 상기 수신신호의 세기를 측정한다. 여기서, 상기 수신신호는 상기 단말이 전송하는 레인징 신호 또는 상기 단말이 주기적으로 전송하는 신호 또는 펨토 기지국의 송신 모드 제어를 위해 별도로 정의된 신호를 나타낸다.
상기 수신신호의 세기를 측정한 후, 상기 펨토 기지국은 807단계로 진행하여 상기 수신신호의 세기와 기준 값을 비교한다.
만일, 상기 수신신호의 세기가 기준 값보다 작거나 같은 경우, 상기 펨토 기지국은 상기 801단계로 진행하여 송신 모드의 비활성화 상태를 유지한다.
한편, 상기 수신신호의 세기가 기준 값보다 큰 경우, 상기 펨토 기지국은 809단계로 진행하여 송신 모드가 활성화되도록 제어한다. 즉, 상기 펨토 기지국은 송신 전력을 온 상태로 전환한다. 예를 들어, 상기 펨토 기지국은 상기 송신 전력 의 세기를 단계적으로 증가시켜 온 상태로 전환한다.
상기 송신 모드가 활성화된 경우, 상기 펨토 기지국은 811단계로 진행하여 상기 수신신호 세기가 기준 값보다 큰 단말과의 통신을 수행한다.
이후, 상기 펨토 기지국은 본 알고리즘을 종료한다.
이하 설명은 단말로부터 수신되는 신호의 세기에 따라 송신 모드를 제어하기 위한 펨토 기지국의 구성에 대해 설명한다.
도 9는 본 발명에 따른 무선통신시스템에서 펨토 기지국의 블록 구성을 도시하고 있다.
상기 도 9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단말은 듀플렉서(900), 수신부(910), 송신부(920), 제어부(930), 신호 세기 측정부(940) 및 송신 모드 제어부(950)을 포함하여 구성된다.
상기 듀플렉서(900)는 듀플렉싱 방식에 따라 상기 송신부(920)로부터 제공받은 송신신호를 안테나를 통해 송신하고, 안테나로부터의 수신신호를 수신부(910)로 제공한다.
상기 수신부(910)는 RF수신블록, 복조블록, 채널복호블록 등을 포함하여 구성되며, 상기 듀플렉서(900)로부터 제공받은 신호로부터 데이터를 복원하여 상기 제어부(930)로 전달한다. 예를 들어, 직교 주파수 분할 다중 방식을 사용하는 경우, 상기 RF수신블럭은 필터 및 RF전처리기 등으로 구성된다. 또한, 상기 복조블럭은 각 부반송파에 실린 데이터를 추출하기 위한 FFT연산기 등으로 구성된다. 또한, 상기 채널복호블럭은 복조기, 디인터리버 및 채널디코더 등으로 구성된다.
상기 제어부(930)는 상기 펨토 기지국의 전체적인 송수신 동작을 제어한다. 또한, 상기 제어부(930)는 매크로 셀 또는 인접한 펨토 셀로 미치는 간섭의 영향을 줄이기 위해 상기 송신 모드 제어부(950)의 제어에 따라 송신 모드를 제어한다. 즉, 상기 제어부(930)는 상기 송신 모드 제어부(950)의 제어에 따라 송신 전력을 온 또는 오프 상태로 전환한다. 예를 들어, 송신 전력이 오프 상태인 경우, 상기 제어부(930)는 상기 송신 모드 제어부(950)의 제어에 따라 송신 전력을 단계적으로 증가시켜 온 상태로 전환시킨다. 한편, 송신 전력이 온 상태인 경우, 상기 제어부(930)는 상기 송신 모드 제어부(950)의 제어에 따라 송신 전력을 단계적으로 감소시켜 오프 상태로 전환시킨다.
상기 신호 세기 측정부(940)는 상기 제어부(930)를 통해 제공받은 단말의 상향링크 신호의 세기를 측정하여 상기 송신 모드 제어부(950)로 제공한다. 이때, 상기 신호 세기 측정부(940)는 단말이 전송하는 레인징 신호 또는 상기 단말이 주기적으로 전송하는 신호 또는 상기 단말이 전송한 펨토 기지국의 송신 모드 제어를 위해 별도로 정의한 신호를 이용하여 상기 단말의 신호 세기를 측정한다.
상기 송신 모드 제어부(950)는 송신 모드가 활성 상태인 경우, 자신에 접속한 단말이 존재하지 않으면 상기 송신 모드가 비활성화되도록 상기 제어부(930)를 제어한다. 예를 들어, 자신에 접속된 마지막 단말이 매크로 기지국 또는 인접한 펨토 기지국으로 핸드오버하는 경우, 상기 송신 모드 제어부(950)는 상기 송신 모드가 비활성화되도록 상기 제어부(930)를 제어한다. 이때, 상기 송신 모드 제어부(950)는 상기 단말의 핸드오버 완료 신호가 수신되면 송신 전력을 오프 상태로 전환하도록 제어한다. 다른 실시 예를 들어, 서비스를 제공하던 마지막 단말이 호 연결을 해제하는 경우, 상기 송신 모드 제어부(950)는 상기 송신 모드가 비활성화되도록 상기 제어부(930)를 제어한다. 이때, 송신 모드 제어부(950)는 상기 단말로부터 호 해제 신호가 수신되거나 상기 신호 세기 측정부(940)에서 상기 단말로부터 수신되는 신호 세기에 따라 상기 단말의 호 해제를 확인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송신 모드 제어부(950)는 송신 모드가 비활성 상태인 경우, 상기 신호 세기 측정부(940)로부터 제공받은 단말로부터 제공받은 수신신호의 세기에 따라 송신 모드가 활성화되도록 상기 제어부(930)를 제어한다. 예를 들어, 송신 모드 제어부(950)는 상기 신호 세기 측정부(940)로부터 제공받은 신호 세기가 기준 값보다 큰 경우, 상기 송신 모드가 활성화되도록 상기 제어부(930)를 제어한다.
상기 송신부(920)은 채널부호블록, 변조블록, RF송신블록 등을 포함하여 구성되며, 상기 제어부(930)의 제어에 따라 전송 신호를 무선 자원을 통해 전송을 위한 형태로 변환하여 상기 듀플렉서(900)로 제공한다. 예를 들어, 직교 주파수 분할 다중 방식을 사용하는 경우, 상기 채널부호블럭은 변조기, 인터리버 및 채널인코더 등으로 구성된다. 또한, 상기 변조블럭은 각 부반송파에 데이터를 매핑하기 위한 IFFT연산기 등으로 구성된다. 또한, 상기 RF송신블럭은 필터 및 RF전처리기 등으로 구성된다.
상술한 구성에서 상기 제어부(930)는 프로토콜 제어부로서 상기 신호 세기 측정부(940)와 송신 모드 제어부(950)를 제어한다. 즉, 상기 제어부(930)는 상기 신호 세기 측정부(940)와 송신 모드 제어부(950)의 기능을 수행할 수 있다. 본 발 명에서 이를 별도로 구성한 것은 각 기능들을 구별하여 설명하기 위함이다. 따라서, 실제로 구현하는 경우 이들 모두를 제어부(930)에서 처리하도록 구성할 수 있으며, 이들 중 일부만 상기 제어부(930)에서 처리하도록 구성할 수 있다.
한편 본 발명의 상세한 설명에서는 구체적인 실시 예에 관해 설명하였으나, 본 발명의 범위에서 벗어나지 않는 한도 내에서 여러 가지 변형이 가능하다. 그러므로 본 발명의 범위는 설명된 실시 예에 국한되어 정해져서는 아니 되며 후술하는 특허청구의 범위뿐만 아니라 이 특허청구의 범위와 균등한 것들에 의해 정해져야 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펨토 셀을 포함하는 무선통신시스템의 구성을 도시하는 도면,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무선통신시스템에서 단말이 경험한 수신신호 세기를 도시하는 도면,
도 3은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무선통신시스템의 펨토 기지국에서 송신 모드가 비활성화되도록 제어하기 위한 절차를 도시하는 도면,
도 4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 예에 따른 무선통신시스템의 펨토 기지국에서 송신 모드가 비활성화되도록 제어하기 위한 절차를 도시하는 도면,
도 5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 예에 따른 펨토 셀을 포함하는 무선통신시스템의 구성을 도시하는 도면,
도 6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 예에 따른 무선통신시스템에서 수신신호 세기를 도시하는 도면,
도 7은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무선통신시스템의 펨토 기지국에서 송신 모드가 활성화되도록 제어하기 위한 절차를 도시하는 도면,
도 8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 예에 따른 무선통신시스템의 펨토 기지국에서 송신 모드가 활성화되도록 제어하기 위한 절차를 도시하는 도면, 및
도 9는 본 발명에 따른 무선통신시스템에서 펨토 기지국의 블록 구성을 도시하는 도면.

Claims (16)

  1. 무선통신시스템의 펨토 기지국에서 송신 모드를 제어하기 위한 방법에 있어서,
    송신 모드가 비활성 상태인 경우, 단말로부터 수신되는 신호의 세기를 측정하는 과정과,
    상기 수신신호 세기를 고려하여 상기 송신 모드가 활성화되도록 제어하는 과정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법.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송신 모드가 활성화되도록 제어하는 과정은,
    상기 수신신호 세기가 기준 값보다 큰 경우, 송신 전력을 온 상태로 전환하는 과정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법.
  3. 제 2항에 있어서,
    상기 송신 전력을 온 상태로 전환하는 과정은,
    상기 송신 전력을 단계적으로 증가시켜 상기 송신 전력을 온 상태로 전환하는 과정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법.
  4. 제 2항에 있어서,
    상기 수신신호 세기가 기준 값보다 작은 경우, 송신 모드의 비활성 상태를 유지하는 과정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법.
  5.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송신 모드가 활성화된 경우, 서비스를 제공하는 단말로부터 핸드오버 요청 신호가 수신되면, 상기 단말에 대한 핸드오버 절차를 수행하는 과정과,
    상기 단말의 핸드오버 완료 신호가 수신되는 경우, 서비스를 제공하는 단말이 존재하는지 확인하는 과정과,
    상기 서비스를 제공하는 단말이 존재하지 않는 경우, 상기 송신 모드를 비활성화되도록 제어하는 과정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법.
  6. 제 5항에 있어서,
    상기 송신 모드가 비활성화되도록 제어하는 과정은,
    송신 전력을 단계적으로 감소시켜 상기 송신 전력을 오프 상태로 전환하는 과정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법.
  7.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송신 모드가 활성화된 경우, 서비스를 제공하는 단말이 호 연결을 해제하면 서비스를 제공하는 단말이 존재하는지 확인하는 과정과,
    상기 서비스를 제공하는 단말이 존재하지 않는 경우, 상기 송신 모드를 비활성화되도록 제어하는 과정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법.
  8. 제 7항에 있어서,
    상기 송신 모드가 비활성화되도록 제어하는 과정은,
    송신 전력을 단계적으로 감소시켜 상기 송신 전력을 오프 상태로 전환하는 과정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법.
  9. 무선통신시스템의 펨토 기지국에서 송신 모드를 제어하기 위한 장치에 있어서,
    송신 모드가 비활성 상태인 경우, 단말로부터 신호를 수신받는 수신부와,
    상기 수신 신호의 세기를 측정하는 신호 세기 측정부와,
    상기 수신신호 세기를 고려하여 상기 송신 모드가 활성화되도록 제어하는 송 신 모드 제어부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장치.
  10. 제 9항에 있어서,
    상기 송신 모드 제어부는, 상기 수신신호 세기가 기준 값보다 큰 경우, 송신 모드가 활성화되도록 제어하고, 상기 수신신호 세기가 기준 값보다 작거나 같은 경우, 송신 모드의 비활성 상태를 유지하도록 제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장치.
  11. 제 10항에 있어서,
    상기 송신 모드 제어부는, 상기 송신 모드가 활성화되도록 제어하는 경우, 송신 전력을 단계적으로 증가시켜 상기 송신 전력을 온 상태로 전환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장치.
  12. 제 9항에 있어서,
    상기 송신 모드 제어부의 제어에 따라 활성 또는 비활성화되는 송신부를 더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장치.
  13. 제 8항에 있어서,
    상기 송신 모드 제어부는, 상기 송신 모드가 활성화된 상태에서 상기 수신부를 통해 서비스를 제공하던 단말의 핸드오버 완료 신호가 수신되면 서비스를 제공하는 단말이 존재하는지 확인하고, 서비스를 제공하는 단말이 존재하지 않는 경우, 상기 송신 모드를 비활성화되도록 제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장치.
  14. 제 13항에 있어서,
    상기 송신 모드 제어부는, 상기 송신 모드를 비활성화되도록 제어하는 경우, 송신 전력을 단계적으로 감소시켜 상기 송신 전력을 오프 상태로 전환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장치.
  15. 제 9항에 있어서,
    상기 송신 모드 제어부는, 상기 송신 모드가 활성화된 상태에서 서비스를 제공하던 단말의 호 연결이 해제되면 서비스를 제공하는 단말이 존재하는지 확인하고, 서비스를 제공하는 단말이 존재하지 않는 경우, 상기 송신 모드를 비활성화되도록 제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장치.
  16. 제 15항에 있어서,
    상기 송신 모드 제어부는, 상기 송신 모드를 비활성화되도록 제어하는 경우, 송신 전력을 단계적으로 감소시켜 상기 송신 전력을 오프 상태로 전환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장치.
KR1020080046996A 2008-05-21 2008-05-21 무선통신시스템에서 간섭 제거 장치 및 방법 KR101469159B1 (ko)

Priority Applications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80046996A KR101469159B1 (ko) 2008-05-21 2008-05-21 무선통신시스템에서 간섭 제거 장치 및 방법
PCT/KR2009/002677 WO2009142445A2 (ko) 2008-05-21 2009-05-21 무선통신시스템에서 간섭 제거 장치 및 방법
US12/993,546 US8838107B2 (en) 2008-05-21 2009-05-21 Anti-interference apparatus and method in wireless communication system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80046996A KR101469159B1 (ko) 2008-05-21 2008-05-21 무선통신시스템에서 간섭 제거 장치 및 방법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90120939A true KR20090120939A (ko) 2009-11-25
KR101469159B1 KR101469159B1 (ko) 2014-12-05

Family

ID=4134068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80046996A KR101469159B1 (ko) 2008-05-21 2008-05-21 무선통신시스템에서 간섭 제거 장치 및 방법

Country Status (3)

Country Link
US (1) US8838107B2 (ko)
KR (1) KR101469159B1 (ko)
WO (1) WO2009142445A2 (ko)

Cited B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11078576A2 (en) * 2009-12-23 2011-06-30 Samsung Electronics Co., Ltd. Initial access method and apparatus of user equipment using power reduction request in heterogeneous network
US8831631B2 (en) 2011-03-25 2014-09-09 Electronics And Telecommunications Research Institute Apparatus and method for identifying terminal located in space including small base station
US8843138B2 (en) 2010-12-20 2014-09-23 Electronics And Telecommunications Research Institute Method for controlling transmission power in femto base station and apparatus thereof
US8848567B2 (en) 2011-12-09 2014-09-30 Electronics And Telecommunications Research Institute Method of allotting carrier to station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GB2463074B (en) * 2008-09-02 2010-12-22 Ip Access Ltd Communication unit and method for selective frequency synchronisation in a cellular communication network
US8688133B2 (en) * 2008-10-27 2014-04-01 Nec Corporation Method for operating a WiMAX femtocell base station and femtocell base station
US8625556B2 (en) * 2009-12-29 2014-01-07 Acer Incorporated Signal interference handling method and system and apparatus using the same
US9762605B2 (en) 2011-12-22 2017-09-12 Phillip King-Wilson Apparatus and method for assessing financial loss from cyber threats capable of affecting at least one computer network
JP5396351B2 (ja) * 2010-09-01 2014-01-22 株式会社日立製作所 無線基地局システム及び基地局
GB201018211D0 (en) * 2010-10-28 2010-12-15 Vodafone Ip Licensing Ltd Smart cell activation
WO2012063834A1 (ja) * 2010-11-10 2012-05-18 京セラ株式会社 基地局及びその制御方法
KR20120070141A (ko) 2010-12-21 2012-06-29 한국전자통신연구원 무선 통신시스템에서 간섭을 제거하여 송신하는 무선송신장치 및 그의 간섭제거방법
PL2640127T3 (pl) * 2012-03-16 2017-08-31 Alcatel Lucent Proaktywny wzrost mocy nadawania łącza uplink w małej komórce przy wychodzących przekazaniach międzykomórkowych
US20130250908A1 (en) * 2012-03-23 2013-09-26 Nokia Siemens Networks Oy Base station power savings and control thereof
KR101892927B1 (ko) * 2012-05-21 2018-10-04 삼성전자주식회사 통신 시스템에서 소형 기지국의 동작을 제어하는 방법 및 그에 따른 소형 기지국
KR20140051520A (ko) * 2012-10-23 2014-05-02 삼성전자주식회사 무선 통신 시스템에서 기지국의 전력 소모 감소를 지원하는 방법 및 장치
US9674743B2 (en) * 2013-03-15 2017-06-06 Lg Electronics Inc. Method for performing measurement of objects and a device therefor
EP3050366A4 (en) * 2013-09-27 2017-05-31 Kyocera Corporation User equipment detection for energy saving cell activation

Family Cites Familie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4535114A (ja) * 2001-06-13 2004-11-18 タンティビ・コミュニケーションズ・インコーポレーテッド 無線メンテナンス・チャネルの電力制御を管理するシステムおよびその方法
KR100556386B1 (ko) * 2003-10-13 2006-03-03 엘지전자 주식회사 이동통신 시스템에서의 망 기반 도먼트 핸드오프 방법
US7176784B2 (en) * 2004-01-21 2007-02-13 Battelle Memorial Institute K1-53 Multi-mode radio frequency device
JP2007524326A (ja) * 2004-03-02 2007-08-23 サムスン エレクトロニクス カンパニー リミテッド 二重モード−二重帯域移動端末の異機種システム間のハンドオーバー方法
CN101278580B (zh) * 2005-10-04 2012-10-17 艾利森电话股份有限公司 Ip连接的无线电基站的无线电网络控制器选择

Cited By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11078576A2 (en) * 2009-12-23 2011-06-30 Samsung Electronics Co., Ltd. Initial access method and apparatus of user equipment using power reduction request in heterogeneous network
WO2011078576A3 (en) * 2009-12-23 2011-11-10 Samsung Electronics Co., Ltd. Initial access method and apparatus of user equipment using power reduction request in heterogeneous network
US8868062B2 (en) 2009-12-23 2014-10-21 Samsung Electronics Co., Ltd. Initial access method and apparatus of user equipment using power reduction request in heterogeneous network
US8843138B2 (en) 2010-12-20 2014-09-23 Electronics And Telecommunications Research Institute Method for controlling transmission power in femto base station and apparatus thereof
US8831631B2 (en) 2011-03-25 2014-09-09 Electronics And Telecommunications Research Institute Apparatus and method for identifying terminal located in space including small base station
US8848567B2 (en) 2011-12-09 2014-09-30 Electronics And Telecommunications Research Institute Method of allotting carrier to station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WO2009142445A2 (ko) 2009-11-26
WO2009142445A3 (ko) 2010-02-25
US8838107B2 (en) 2014-09-16
KR101469159B1 (ko) 2014-12-05
US20110070881A1 (en) 2011-03-24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20090120939A (ko) 무선통신시스템에서 간섭 제거 장치 및 방법
KR101532745B1 (ko) 무선통신시스템에서 펨토 기지국의 소비 전력 감소 장치 및 방법
US10020926B2 (en) Signal strength aware band steering
CN101553023B (zh) 基站装置
KR101524283B1 (ko) 광대역 무선통신 시스템에서 핸드오버 절차와 그에 따른펨토 기지국의 송신기 파워 제어 방법 및 장치
EP2591624B1 (en) Secondary radio-nodes for mobile communications networks and related methods
US8693316B2 (en) Access point resource negotiation and allocation over a wireless interface
US8818391B2 (en) Communication system with femtocells and an interference control method therefor
KR20100020749A (ko) 광대역 무선통신 시스템에서 페이징 방법 및 장치
KR20100048350A (ko) 무선통신시스템에서 소형 셀 운영 장치 및 방법
US9161307B2 (en) Upper-layer base station, lower-layer base station and wireless communication system
KR101804480B1 (ko) 통신 방법, 장치 및 시스템
WO2012011474A1 (ja) 無線通信システム、無線中継局、無線端末、及び通信制御方法
JP5846304B2 (ja) 無線通信方法、無線通信システム、基地局および無線端末
US20120329470A1 (en) Low power base station and communication control method
KR101724376B1 (ko) 매크로 기지국과 홈 기지국 간의 핸드오버를 위한 방법 및 장치
KR20100069063A (ko) 비 면허 대역을 이용하여 끊김 없는 서비스를 제공하는 무선 통신 시스템 및 장치
KR20020014805A (ko) 셀룰러 네트워크의 터미널에서 신호의 전력 레벨의 측정과터미널을 개시하는 방법
KR20120049535A (ko) 무선 통신 시스템에서 레인징 신호를 이용한 상향 링크 전력 제어 방법 및 장치
KR101544150B1 (ko) 무선통신시스템에서 서비스 품질을 향상시키기 위한 장치 및 방법
KR20110051680A (ko) 무선통신시스템에서 신호를 전송하기 위한 장치 및 방법
KR20100027335A (ko) 무선통신시스템에서 단말의 휴면 모드 제어 장치 및 방법
KR20090004370A (ko) 무선통신 시스템에서 소형 기지국의 송신전력 설정 장치 및방법
KR101892927B1 (ko) 통신 시스템에서 소형 기지국의 동작을 제어하는 방법 및 그에 따른 소형 기지국
KR20110092708A (ko) 계층적 셀 구조의 무선통신시스템에서 신호 간섭을 제거하기 위한 장치 및 방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1030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1030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1029

Year of fee payment: 6