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90120546A - Flexible dispaly substrate using nano clay and flexible dispaly employed them - Google Patents

Flexible dispaly substrate using nano clay and flexible dispaly employed them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90120546A
KR20090120546A KR1020080046403A KR20080046403A KR20090120546A KR 20090120546 A KR20090120546 A KR 20090120546A KR 1020080046403 A KR1020080046403 A KR 1020080046403A KR 20080046403 A KR20080046403 A KR 20080046403A KR 20090120546 A KR20090120546 A KR 20090120546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flexible display
clay
chain
nano
display substrat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80046403A
Other languages
Korean (ko)
Inventor
김연수
유상현
한대만
김진수
김태진
성명석
김지혜
송헌일
Original Assignee
웅진케미칼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웅진케미칼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웅진케미칼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080046403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90120546A/en
Publication of KR20090120546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90120546A/en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10SEMICONDUCTOR DEVICES; ELECTRIC SOLID-STATE DEVIC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H10KORGANIC ELECTRIC SOLID-STATE DEVICES
    • H10K77/00Constructional details of devices covered by this subclass and not covered by groups H10K10/80, H10K30/80, H10K50/80 or H10K59/80
    • H10K77/10Substrates, e.g. flexible substrates
    • H10K77/111Flexible substrat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2LAYERED PRODUCTS
    • B32BLAYERED PRODUCTS, i.e. PRODUCTS BUILT-UP OF STRATA OF FLAT OR NON-FLAT, e.g. CELLULAR OR HONEYCOMB, FORM
    • B32B27/00Layered products comprising a layer of synthetic resin
    • HELECTRICITY
    • H10SEMICONDUCTOR DEVICES; ELECTRIC SOLID-STATE DEVIC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H10KORGANIC ELECTRIC SOLID-STATE DEVICES
    • H10K50/00Organic light-emitting devices
    • H10K50/80Constructional details
    • H10K50/84Passivation; Containers; Encapsulations
    • H10K50/841Self-supporting sealing arrangements
    • HELECTRICITY
    • H10SEMICONDUCTOR DEVICES; ELECTRIC SOLID-STATE DEVIC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H10KORGANIC ELECTRIC SOLID-STATE DEVICES
    • H10K50/00Organic light-emitting devices
    • H10K50/80Constructional details
    • H10K50/84Passivation; Containers; Encapsulations
    • H10K50/844Encapsulations
    • HELECTRICITY
    • H10SEMICONDUCTOR DEVICES; ELECTRIC SOLID-STATE DEVIC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H10KORGANIC ELECTRIC SOLID-STATE DEVICES
    • H10K71/00Manufacture or treatment specially adapted for the organic devices covered by this subclas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LSEMICONDUCTOR DEVICES NOT COVERED BY CLASS H10
    • H01L2924/00Indexing scheme for arrangements or methods for connecting or disconnecting semiconductor or solid-state bodies as covered by H01L24/00
    • H01L2924/10Details of semiconductor or other solid state devices to be connected
    • H01L2924/11Device type
    • H01L2924/12Passive devices, e.g. 2 terminal devices
    • H01L2924/1204Optical Diode
    • H01L2924/12044OLED
    • HELECTRICITY
    • H10SEMICONDUCTOR DEVICES; ELECTRIC SOLID-STATE DEVIC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H10KORGANIC ELECTRIC SOLID-STATE DEVICES
    • H10K2102/00Constructional details relating to the organic devices covered by this subclass
    • H10K2102/301Details of OLEDs
    • H10K2102/311Flexible OLED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EREDUCTION OF GREENHOUSE GAS [GHG] EMISSIONS, RELATED TO ENERGY GENERATION, TRANSMISSION OR DISTRIBUTION
    • Y02E10/00Energy generation through renewable energy sources
    • Y02E10/50Photovoltaic [PV] energy
    • Y02E10/549Organic PV cells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PCLIMATE CHANGE MITIGATION TECHNOLOGIES IN THE PRODUCTION OR PROCESSING OF GOODS
    • Y02P70/00Climate change mitigation technologies in the production process for final industrial or consumer products
    • Y02P70/50Manufacturing or production processes characterised by the final manufactured product

Landscapes

  • Physics & Mathematics (AREA)
  • Optics & Photonic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anufacturing & Machinery (AREA)
  • Laminated Bodies (AREA)
  • Silicates, Zeolites, And Molecular Sieves (AREA)
  • Liquid Crystal (AREA)

Abstract

PURPOSE: A flexible display substrate using nano clay and a flexible display including the same are provided to improve transparency and humidity preventing property by controlling a nano particle size. CONSTITUTION: A flexible display substrate using nano clay includes a polymer resin. The nano clay is formed with a chain shape of a nano size. The nano clay is made of a gas barrier coating layer. A particle size of the nano clay formed with the chain shape is 1~3nm. The nano clay formed with the chain shape has a fixed orientation under a current of 0.1~0.5mA.

Description

나노 클레이를 이용한 플렉시블 디스플레이 기판 및 그를 구비한 플렉시블 디스플레이{FLEXIBLE DISPALY SUBSTRATE USING NANO CLAY AND FLEXIBLE DISPALY EMPLOYED THEM}Flexible display substrate using nano clay and flexible display having same {FLEXIBLE DISPALY SUBSTRATE USING NANO CLAY AND FLEXIBLE DISPALY EMPLOYED THEM}

본 발명은 나노 클레이를 이용한 투명성 및 투습방지성이 개선된 플렉시블 디스플레이 기판 및 그를 구비한 플렉시블 디스플레이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바람직하게는 다공성 실리케이트 템플레이트를 이용하여 제조된 사슬형태의 나노 클레이가 가스배리어 코팅층으로 이루어진 플렉시블 디스플레이 기판 및 그를 구비한 투명성 및 투습방지성이 개선된 플렉시블 디스플레이에 관한 것이다.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flexible display substrate having improved transparency and moisture permeability using nano clay and a flexible display having the same, and more preferably to a nano barrier having a chain shape manufactured using a porous silicate template as a gas barrier coating layer.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flexible display substrate, and a flexible display having improved transparency and moisture permeability.

액정 디스플레이로 대표되는 화상 표시 장치에는 종래 유리 기판이 사용되어 왔다. Background Art A glass substrate has conventionally been used for an image display device represented by a liquid crystal display.

그러나 최근, 화상 표시 장치에는 한층 더 나은 박형화, 경량화, 대화면화, 형상의 자유도, 곡면 표시가 요구되고 있고, 무겁고 깨지기 쉬운 유리 기판을 대신하는 소재로서 고투명한 고분자 필름 기판이 검토되고 있다.However, in recent years, an image display device has been required to have a further thinner, lighter weight, larger screen, freedom of shape, curved display, and a high-transparent polymer film substrate has been studied as a material to replace a heavy and brittle glass substrate.

액정 디스플레이(Liquid Crystal Display, 이하 "LCD"라 함)는 백라이트를 채용하지 않을 수 없기 때문에, 많은 부재를 사용해야 한다. 그에 비하여, 일렉트로루미네선스(EL) 표시 소자, 특히 유기 EL 소자와 같은 자발광 소자(Organic Light Emitting Diode, 이하 "OLED"라 함), 전자 페이퍼와 같은 전자 잉크를 사용한 자기 인자 기능을 갖는 디스플레이는 액정 디스플레이에 비하여 보다 적은 부재로 대응할 수 있다는 점에서, 박막화, 휴대성 및 플렉시블이 우수한 디스플레이로 개발이 진행되고 있다. Since a liquid crystal display (hereinafter referred to as "LCD") must employ a backlight, many members must be used. In comparison, displays having a magnetic printing function using an electroluminescent (EL) display element, in particular an organic light emitting diode (hereinafter referred to as "OLED") such as an organic EL element, and an electronic ink such as electronic paper In terms of being able to cope with a smaller member than a liquid crystal display, development is progressing to a display excellent in thinning, portability, and flexibility.

이러한 용도에 기판 재료로서 고분자 필름이 검토되고 있고, 고분자 필름의 유연성을 이용하여, 휴대 가능한 용도개발, 두루마리 롤과 같은 플렉시블 디스플레이 개발이 활발하다.Polymer films have been studied as substrate materials for such applications, and portable applications and flexible displays such as roll rolls have been actively developed using the flexibility of the polymer films.

즉, 플렉시블 디스플레이는 플라스틱 등 휠 수 있는 기판에 만들어진 평판 디스플레이로서, 우수한 화면표시 특성을 그대로 지니면서 구부리거나 두루마리 형태로 둘둘 말 수 있는 편리함 때문에 다양한 형태로 디스플레이를 제작, 활용할 수 있어 거의 모든 IT 제품은 물론 생활용품에도 적용될 수 있다.In other words, a flexible display is a flat panel display made of a plastic-like substrate that can be bent or rolled while maintaining excellent display characteristics. Therefore, almost all IT products can be produced and utilized in various forms. Of course, it can be applied to household goods.

일반적으로 플렉시블 디스플레이는 기판, 상기 기판 상에 형성된 투명 전극 및 표시 재료로 이루어지는데, 기판 재료를 종래 LCD 또는 OLED에서 액정을 싸고 있는 유리기판에서 플라스틱 필름으로 대체함으로써, 종래 유리기판을 사용하는 LCD 또는 OLED에 비해 얇고 가볍고 충격에도 강한 유연성 및 휴대성을 지니게 된다.In general, a flexible display is composed of a substrate, a transparent electrode formed on the substrate, and a display material, and by replacing the substrate material with a plastic film on a glass substrate surrounding a liquid crystal in a conventional LCD or OLED, an LCD using a conventional glass substrate or Compared to OLED, it is thinner, lighter and more shock-resistant than ever.

따라서, 플렉시블 디스플레이용 기판은 기계적 강도, 유연성, 유기 EL 소자나 전자 잉크 등의 내구성을 높이기 위한 가스배리어성, 디스플레이의 시인성을 저해하지 않도록 투명성이 요구된다.Therefore, the flexible display substrate is required to have transparency so as not to impair mechanical strength, flexibility, gas barrier properties for enhancing durability of organic EL elements, electronic ink and the like, and visibility of the display.

일본 공개특허 제2003-17244호에서는 상기 기판 소재로서 폴리에틸렌테레프탈레이트, 폴리카보네이트, 폴리올레핀, 폴리에테르술폰 등을 개시한 바 있다.Japanese Laid-Open Patent Publication No. 2003-17244 discloses polyethylene terephthalate, polycarbonate, polyolefin, polyether sulfone, and the like as the substrate material.

그러나, 상기 기판 소재는 열 팽창률이 크므로, 상기 기판은 사용하는 플렉시블 디스플레이는 주위의 온도 변화에 의하여, 투명 전극에 균열이 생겨 저항이 커지거나, 나아가 단선이 생기는 문제가 있다.However, since the substrate material has a large thermal expansion rate, the flexible display used for the substrate has a problem of cracking in the transparent electrode due to ambient temperature change, thereby increasing resistance, or even disconnection.

또한, 플렉시블 디스플레이용 기판으로 사용되는 플라스틱 필름은 투습방지성이 기존의 유리보다 상당히 취약하므로, 가스배리어(gas barrier) 코팅층이 추가적으로 요구되며, 최근 가스배리어의 성능을 개선하기 위한 방법으로 클레이가 상당히 많이 응용되고 있다.In addition, the plastic film used as a substrate for flexible display is significantly weaker than the conventional glass, so additional gas barrier coating layer is required, and clay as a way to improve the performance of the gas barrier in recent years It is applied a lot.

그러나 클레이는 본래 유색물질이므로 플렉시블 기판에 코팅될 경우, 투명성이 저하되는 단점이 있고, 클레이에 의한 경직성으로 코팅된 필름의 휨 정도가 클 경우 기판이 금이 가거나 부러지게 된다. 이로 인해 통상 클레이가 코팅된 플렉시블 기판을 이용한 플렉시블 디스플레이는 표시되는 화면이 흐려지거나 유연성이 떨어지는 문제점이 지적되어 왔다.However, since clay is an inherently colored material, there is a disadvantage in that transparency is lowered when coated on a flexible substrate, and the substrate is cracked or broken when the degree of warpage of the coated film due to rigidity due to clay is large. For this reason, a flexible display using a clay-coated flexible substrate has been pointed out that the displayed screen is blurred or has low flexibility.

따라서, 플렉시블 디스플레이의 상용화를 위해서는 종래 클레이를 이용한 가스배리어 코팅층을 가지는 플렉시블 디스플레이 기판이 투명성 및 투습도 개선이 전제되어야 한다.Therefore, in order to commercialize the flexible display, the flexible display substrate having the gas barrier coating layer using the conventional clay should be assumed to have improved transparency and moisture permeability.

이에, 본 발명자들은 플렉시블 디스플레이의 상용화를 위하여, 종래 가스배리어 코팅층보다 더 우수한 투명성과 유연성을 가질 뿐 아니라 투습방지성이 우수한 나노 클레이를 이용한 가스배리어 코팅층 기술을 개시하고자 한다.Accordingly, the present inventors intend to disclose a gas barrier coating layer technology using nano clay having superior transparency and flexibility as well as excellent moisture permeability for commercialization of a flexible display.

본 발명의 목적은 나노 클레이를 이용한 투명성 및 투습방지성이 개선된 플렉시블 디스플레이 기판을 제공하는 것이다.An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to provide a flexible display substrate with improved transparency and moisture permeability using nano clay.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상기 나노 클레이가 가스배리어 코팅층으로 이루어진 투명성 및 투습방지성이 개선된 플렉시블 디스플레이 기판의 제조방법을 제공하는 것이다.Another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to provide a method of manufacturing a flexible display substrate having improved transparency and moisture permeability, wherein the nano clay is formed of a gas barrier coating layer.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은 투명성 및 투습방지성이 개선된 플렉시블 디스플레이 기판을 구비한 플렉시블 디스플레이를 제공하는 것이다.Another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to provide a flexible display having a flexible display substrate having improved transparency and moisture permeability.

상기 목적을 달성하고자, 본 발명은 고분자 수지 및 나노크기의 사슬형태로 형성된 나노 클레이가 가스배리어 코팅층으로 이루어진 투명성 및 투습방지성이 개선된 플렉시블 디스플레이 기판을 제공한다.In order to achieve the above object, the present invention provides a flexible display substrate having improved transparency and moisture permeability of the nano clay formed in the polymer resin and nano-sized chain form of the gas barrier coating layer.

상기 사슬형태로 형성된 나노 클레이는 1 내지 3 nm 입도를 가지며, 전류 0.1∼0.5mA 하에 일정 배향성을 가지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The nanoclays formed in the chain form have a particle size of 1 to 3 nm, and have a constant orientation under a current of 0.1 to 0.5 mA.

본 발명의 고분자 수지는 올레핀 공중합체, 폴리에틸렌테레프탈레이트, 폴리에틸렌 나프탈레이트, 폴리에테르술폰, 폴리이미드, 폴리아크릴레이트배리어, 폴리카보네이트 및 폴리비닐알코올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되는 1종 이상을 사용한다.The polymer resin of the present invention uses at least one member selected from the group consisting of olefin copolymers, polyethylene terephthalates, polyethylene naphthalates, polyether sulfones, polyimides, polyacrylate barriers, polycarbonates and polyvinyl alcohols.

또한, 클레이는 카올리나이트, 스멕타이트, 카올리나이트, 딕카이트, 나크라이트, 할로이사이트, 안티고라이트, 크리소타일, 피로필라이트, 몬모릴로나이트, 헥토라이트, 테트라실릴릭마이카, 나트륨테니올라이트, 백운모, 진주운모, 활석, 버미큘라이트, 금운모, 잔소피라이트 및 녹니석(綠泥石)으로 이루어지는 군에서 선택되는 적어도 하나를 사용한다.In addition, the clay may be kaolinite, smectite, kaolinite, dickite, nacrite, halosite, antigorite, chrysotile, pyrophyllite, montmorillonite, hectorite, tetrasilylmica, sodium teniolite, white mica, pearl mica, At least one selected from the group consisting of talc, vermiculite, gold mica, zansopyrite and chlorite is used.

본 발명은 1) 다공성 실리케이트 템플레이트를 제조하고, 2) 상기 제조된 다공성 실리케이트 템플레이트를 함유한 용액에 클레이를 함침방법으로 담지하고, 100±20℃에서 건조한 후 소성 가공하여, 사슬형태의 나노 클레이를 제조하고, 3) 상기 사슬형태의 나노 클레이를 고분자 수지와 혼합하거나, 상기 고분자 수지 표면상에 도포하는 것으로 이루어진 투명성 및 투습방지성이 개선된 플렉시블 디스플레이 기판의 제조방법을 제공한다. The present invention is 1) preparing a porous silicate template, 2) impregnating clay in a solution containing the prepared porous silicate template by the impregnation method, dried at 100 ± 20 ℃ and plastically processed, the chain-shaped nanoclay And 3) providing a method of manufacturing a flexible display substrate having improved transparency and moisture permeability by mixing the chain-shaped nanoclay with a polymer resin or coating the polymer resin on a surface of the polymer resin.

이때, 다공성 실리케이트 템플레이트 100 중량부에 대하여, 클레이 1 내지 10 중량부를 담지한다.At this time, 1 to 10 parts by weight of clay is supported based on 100 parts by weight of the porous silicate template.

상기 사슬형태의 나노 클레이의 입도는 소성 가공 시, 제거되는 다공성 실리케이트 템플레이트의 입도에 의해 의존하므로, 상기 다공성 실리케이트 템플레이트와 동일크기의 입도를 가진다. 더욱 바람직하게는 본 발명의 제조방법에서, 사슬형태의 나노 클레이가 1 내지 3 nm 입도를 가지는 것이다.The particle size of the chain-shaped nanoclay depends on the particle size of the porous silicate template to be removed during plastic working, and thus has the same size as the porous silicate template. More preferably, in the production method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chain-shaped nanoclay has a particle size of 1 to 3 nm.

또한, 본 발명의 제조방법은 상기 고분자 수지 표면에 도포시, 전류 0.1∼0.5mA를 흘려줌으로써, 상기 나노 클레이에 일정 배향성을 부여한다.In addition, the manufacturing method of the present invention imparts a constant orientation to the nanoclay by flowing a current of 0.1 to 0.5mA when applied to the surface of the polymer resin.

나아가, 본 발명은 고분자 수지 및 사슬형태로 형성된 나노 클레이가 가스배리어 코팅층으로 이루어진 플렉시블 디스플레이 기판 및 투명전극(양극, 음극)으로 이루어진 플렉시블 디스플레이를 제공한다.Furthermore, the present invention provides a flexible display including a flexible display substrate and a transparent electrode (anode and cathode) in which a nano resin formed in a polymer resin and chain form is formed of a gas barrier coating layer.

이때, 본 발명의 플렉시블 디스플레이는 상기 사슬형태로 형성된 나노 클레이가 1 내지 3 nm 입도를 가지며, 전류 0.1∼0.5mA 하에 일정 배향성을 가지는 플렉시블 디스플레이 기판을 구비함으로써, 투습방지성 및 투명성이 개선된다.At this time, the flexible display of the present invention is provided by the nano-clay formed in the chain form having a particle size of 1 to 3 nm, by having a flexible display substrate having a certain orientation under a current of 0.1 to 0.5mA, thereby improving moisture permeability and transparency.

본 발명은 종래 클레이를 이용한 가스배리어 코팅층을 가지는 플렉시블 디스플레이 기판에 대하여, 다공성 실리케이트 템플레이트를 이용하여 사슬형태로 형성된 나노 클레이를 변형하고, 상기 나노 입도를 제어함으로써, 종래 문제점인 투습방지성 및 투명성을 개선할 수 있다.The present invention is to modify the nano-clay formed in the form of a chain using a porous silicate template for a flexible display substrate having a gas barrier coating layer using a conventional clay, by controlling the nano-particle size, moisture resistance and transparency of the conventional problem It can be improved.

또한, 본 발명의 나노 클레이는 실리케이트를 통하여 효과적으로 대량생산할 수 있다.In addition, the nanoclay of the present invention can be effectively mass-produced through silicate.

이하, 본 발명을 상세히 설명하고자 한다.Hereinafter,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in detail.

도 1은 본 발명의 디스플렉시블 디스플레이 기판 구조를 도시한 것으로서, 본 발명은 고분자 수지 및 나노크기의 사슬형태로 형성된 나노 클레이가 가스배리어 코팅층으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플렉시블 디스플레이 기판을 제공하는 것이다. 1 illustrates a structure of a flexible display substrate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present invention provides a flexible display substrate comprising a gas barrier coating layer comprising a nano resin formed in a polymer resin and a nano-sized chain.

본 발명의 "나노 클레이"는 균일한 나노 크기의 기공 구조를 가지는 다공성 실리케이트로부터 제조됨으로써, 상기 다공성 실리케이트로부터 균일한 기공 구조가 부여되고, 긴 사슬형태로 형성된 클레이를 말한다."Nano clay" of the present invention refers to a clay formed in a long chain form by imparting a uniform pore structure from the porous silicate by being prepared from a porous silicate having a uniform nano-sized pore structure.

본 발명의 나노 클레이가 균일한 기공 구조와 긴 사슬형태로 형성됨으로써, 통상의 클레이의 무질서한 분산도를 개선하고, 나노 기공크기의 촘촘한 망상(network) 구조에 의해 수분침입을 억제한다. 따라서, 종래 유리기판 대비 대등한 정도로 투습 방지성이 개선된다.Since the nanoclay of the present invention is formed in a uniform pore structure and a long chain form, it improves the disorderly dispersity of ordinary clay, and suppresses water infiltration by the compact network structure of nano pore size. Therefore, the moisture permeability is improved to a degree comparable to the conventional glass substrate.

나아가, 본 발명의 사슬형태를 가지는 나노 클레이는 나노 물질이 가지는 상호작용에 의하여 균일한 배열성을 가지게 된다. 따라서, 필름에 코팅될 때, 필름 양축에 전류0.1∼0.5mA를 흘려주면, 일정 배향성을 가진다. 이때, 전류는 0.1∼0.5mA가 바람직하다. 전류가 0.1mA 보다 낮을 경우, 클레이에 반응하지 않으며, 반면에, 0.5mA를 초과하면, 클레이간의 상호작용이 강하게 작용하여 사슬구조가 끊어질 수 있다.Furthermore, the nanoclay having a chain form of the present invention has a uniform arrangement by the interaction of the nanomaterial. Therefore, when coated on a film, when a current of 0.1 to 0.5 mA is applied to both axes of the film, the film has a constant orientation. At this time, the current is preferably 0.1 to 0.5mA. If the current is lower than 0.1 mA, it does not react to the clay, whereas if the current is higher than 0.5 mA, the interaction between the clays is strong and the chain structure may be broken.

또한, 본 발명의 나노 클레이의 입도는 1 내지 3 nm로 제어됨으로써, 투명성이 개선된다. 이때, 나노 클레이의 입도가 1 nm 미만이면, 필름 코팅 공정 중 구조가 무너질 수 있으며, 3 nm를 초과하면, 클레이가 두꺼워져 투명성이 저하된다.In addition, the particle size of the nanoclay of the present invention is controlled to 1 to 3 nm, thereby improving transparency. In this case, when the particle size of the nanoclay is less than 1 nm, the structure may collapse during the film coating process, and when the particle size exceeds 3 nm, the clay becomes thick and the transparency decreases.

본 발명에서 상기 사슬형태로 형성된 나노 클레이와 혼합 사용되는 고분자 수지는 열 가소성 수지이고, 바람직하게는 가시광선에 대하여 투명한 것이라면 사용 가능하다. 바람직하게는 유리 전이점(Tg)이 150℃ 이상, 보다 바람직하게는 180℃ 이상, 더욱 바람직하게는 200℃ 이상으로서 내열성이 우수하여야 한다. 그의 일례로는 저밀도 폴리에틸렌, 고밀도 폴리에틸렌, 에틸렌-프로필렌 공중합체, 에틸렌-부텐 공중합체, 에틸렌-헥센 공중합체, 에틸렌-옥텐 공중합체, 에틸렌-노르보르넨 공중합체, 에틸렌-드몬 공중합체, 폴리프로필렌, 에틸렌-아세트산 비닐 공중합체, 에틸렌-메틸메타크릴레이트 공중합체, 아이오노머 수지 등의 폴리올레핀 공중합체; 폴리에틸렌테레프탈레이트, 폴리부틸렌테레프탈레이트, 폴리에틸렌나프탈레이트 등의 폴리에스테르; 나일론-6, 나일론-6,6, 메타자일렌디아민-아디프산 축중합체; 폴 리메틸메타크릴이미드 등의 아미드계 수지; 폴리메틸메타크릴레이트 등의 아크릴 수지; 폴리스티렌, 스티렌-아크릴로니트릴 공중합체, 스티렌-아크릴로니트릴-부타디엔 공중합체, 폴리아크릴로니트릴 등의 스티렌-아크릴로니트릴계 수지; 트리아세트산 셀룰로오스, 디아세트산 셀룰로오스 등의 소수화 셀룰로오스계 수지; 폴리염화비닐, 폴리염화 비닐리덴, 폴리불화 비닐리덴, 폴리테트라플루오로에틸렌 등의 할로겐 함유 수지; 폴리비닐알코올, 에틸렌-비닐알코올 공중합체, 셀룰로오스 유도체 등의 수소 결합성 수지; 폴리카보네이트; 폴리술폰; 폴리에테르술폰; 폴리에테르에테르케톤; 폴리페닐렌옥사이드; 폴리메틸렌옥사이드; 액정 수지이다.In the present invention, the polymer resin used in combination with the nano-clay formed in the chain form is a thermoplastic resin, and preferably used as long as it is transparent to visible light. Preferably the glass transition point (Tg) should be excellent in heat resistance as 150 degreeC or more, More preferably, it is 180 degreeC or more, More preferably, it is 200 degreeC or more. Examples thereof include low density polyethylene, high density polyethylene, ethylene-propylene copolymer, ethylene-butene copolymer, ethylene-hexene copolymer, ethylene-octene copolymer, ethylene-norbornene copolymer, ethylene-dmonone copolymer, polypropylene Polyolefin copolymers such as ethylene-vinyl acetate copolymer, ethylene-methyl methacrylate copolymer and ionomer resin; Polyesters such as polyethylene terephthalate, polybutylene terephthalate and polyethylene naphthalate; Nylon-6, nylon-6,6, metaxylenediamine-adipic acid condensers; Amide resins such as polymethyl methacrylimide; Acrylic resins such as polymethyl methacrylate; Styrene-acrylonitrile resins such as polystyrene, styrene-acrylonitrile copolymers, styrene-acrylonitrile-butadiene copolymers, and polyacrylonitrile; Hydrophobized cellulose resins such as triacetic cellulose and diacetic cellulose; Halogen-containing resins such as polyvinyl chloride, polyvinylidene chloride, polyvinylidene fluoride, and polytetrafluoroethylene; Hydrogen bond resins such as polyvinyl alcohol, ethylene-vinyl alcohol copolymer, cellulose derivatives; Polycarbonate; Polysulfones; Polyether sulfone; Polyether ether ketone; Polyphenylene oxide; Polymethylene oxide; Liquid crystal resin.

본 발명의 고분자 수지로서 더욱 바람직하게는, 올레핀 공중합체, 폴리에틸렌테레프탈레이트, 폴리에틸렌 나프탈레이트, 폴리에테르술폰, 폴리이미드, 폴리아크릴레이트, 폴리카보네이트 및 폴리비닐알코올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되는 1종 이상을 사용하는 것이다. More preferably, at least one selected from the group consisting of an olefin copolymer, polyethylene terephthalate, polyethylene naphthalate, polyether sulfone, polyimide, polyacrylate, polycarbonate and polyvinyl alcohol as the polymer resin of the present invention To use.

이어, 본 발명에서 사용되는 클레이는 카올리나이트, 스멕타이트, 카올리나이트, 딕카이트, 나크라이트, 할로이사이트, 안티고라이트, 크리소타일, 피로필라이트, 몬모릴로나이트, 헥토라이트, 테트라실릴릭마이카, 나트륨테니올라이트, 백운모, 진주운모, 활석, 버미큘라이트, 금운모, 잔소피라이트 및 녹니석(綠泥石)으로 이루어지는 군에서 선택되는 적어도 하나이며, 바람직하게는 카올리나이계, 스멕타이트계, 버미큘라이트계 등이 있으며, 더욱 바람직하게는 카올리나이트계이다. 또한, 카올리나이트계 클레이는 천연 카올리나이트계 또는 합성 카올리나이트계일 수 있다.Then, the clay used in the present invention is kaolinite, smectite, kaolinite, dickite, nacrite, halosite, antigorite, chrysotile, pyrophyllite, montmorillonite, hectorite, tetrasilyl mica, sodium teniolite, At least one selected from the group consisting of dolomite, pearl mica, talc, vermiculite, gold mica, zansopyrite and chlorite, preferably kaolinai, smectite, vermiculite, and the like. Preferably kaolinite. In addition, the kaolinite clay may be natural kaolinite-based or synthetic kaolinite-based.

도 1은 본 발명의 디스플렉시블 디스플레이 기판 구조를 도시한 것으로서, 기판; 가스배리어 코팅층; 및 투명전극으로 이루진 구조로 이루어지며, 상기 투명전극 및 층간의 필름을 보호, 필름의 내마모성을 위하여 오버코트층 또는 언더코트층을 추가 적층할 수 있다. 또한, 접착력을 향상시키기 위하여 프라이머층을 추가 적층할 수 있다. 상기 추가 적층되는 오버코트층, 언더코트층 또는 프라이머층은 당업자라면 원하는 목적에 따라 용이하게 설계 변경할 수 있다.1 illustrates a flexible display substrate structure of the present invention, comprising: a substrate; A gas barrier coating layer; And made of a structure consisting of a transparent electrode, to protect the film between the transparent electrode and the layer, the overcoat layer or an undercoat layer can be further laminated for the wear resistance of the film. In addition, a primer layer may be further laminated to improve adhesion. The additional laminated overcoat layer, undercoat layer or primer layer can be easily modified by those skilled in the art according to the desired purpose.

본 발명은 1) 다공성 실리케이트 템플레이트를 제조하고, The present invention is to prepare 1) a porous silicate template,

2) 상기 제조된 다공성 실리케이트 템플레이트를 함유한 용액에 클레이를 함침방법으로 담지하고, 100±20℃ 온도에서 건조한 후 소성 가공하여, 사슬형태의 나노 클레이를 제조하고, 2) Impregnating clay in the solution containing the prepared porous silicate template by the impregnation method, dried at 100 ± 20 ℃ temperature and then plasticized to prepare a chain-shaped nanoclay,

3) 상기 사슬형태의 나노 클레이를 고분자 수지와 혼합하거나, 상기 고분자 수지 표면상에 도포하는 것으로 이루어진 투명성 및 투습방지성이 개선된 플렉시블 디스플레이 기판의 제조방법을 제공한다.3) The present invention provides a method of manufacturing a flexible display substrate having improved transparency and moisture permeability by mixing the chain-shaped nanoclay with a polymer resin or coating the polymer resin on a surface of the polymer resin.

단계 1)에서 다공성 물질은 순수한 실리카 물질임이 바람직하며, pH 3.0 이하의 강한 산성 분위기에서 테트라에틸 오소실리케이트(Tetraethyl orthosilicate)를 플루로닉 공중합체(Pluronic copolymer) 계면활성제 용액에 넣고 수열 합성(Hydrothermal synthesis)하여 여과한 후, 소성 가공하여, 1 내지 3 nm 기공을 가지는 다공성 실리케이트 템플레이트(Mesoporous silicate Template)로 제조한다. 상기 다공성 실리케이트는 수열 합성 시에 온도를 조절하여 기공의 크기를 조절하고, 소성 가공 중에 실리카 이외의 불순물들을 모두 소멸시킬 수 있다. In step 1), the porous material is preferably a pure silica material, and tetraethyl orthosilicate is added to a Pluronic copolymer surfactant solution in a strong acidic atmosphere of pH 3.0 or lower, and hydrothermal synthesis ), Filtered, and then calcined to prepare a porous silicate template having 1 to 3 nm pores (Mesoporous silicate Template). The porous silicate can control the size of the pores by controlling the temperature during hydrothermal synthesis, and can eliminate all impurities other than silica during the plastic working.

단계 2)는 상기 제조된 다공성 실리케이트 템플레이트를 유기용액에 용해시켜 준비하고, 여기에 클레이를 초기함침(Incipient wetness) 방법으로 담지 시킨 다음 100±20℃ 온도에서 건조 후 소성 가공하여 나노 크기의 사슬형태를 가지는 나노 클레이를 제조하는 것이다.Step 2) is prepared by dissolving the prepared porous silicate template in an organic solution, and the clay is supported by an incipient wetness method, then dried at 100 ± 20 ℃ temperature and plastically processed to form a nano-sized chain form To prepare a nano clay having.

상기 나노 클레이에서 나노 크기의 사슬형태는 소성 가공 시, 제거되는 다공성 실리케이트 템플레이트 입도만큼 생성되는 것이다. 따라서, 상기 사슬형태의 나노 클레이의 입도는 소성 가공 시, 제거되는 다공성 실리케이트 템플레이트의 입도에 의해 의존하므로, 상기 사용된 다공성 실리케이트 템플레이트와 동일크기의 입도를 가진다. The nano-sized chain form in the nanoclay is produced by the particle size of the porous silicate template to be removed during plastic processing. Therefore, the particle size of the chain-shaped nanoclay depends on the particle size of the porous silicate template to be removed during plastic working, and thus has the same size as the porous silicate template used.

더욱 바람직하게는 본 발명의 제조방법에서, 사슬형태의 나노 클레이는 1 내지 3 nm 입도를 가진다. 이때, 클레이의 입도가 1 nm 미만이면, 필름 코팅 공정 중, 구조가 무너질 수 있으며, 3 nm를 초과하면 클레이가 두꺼워져 투명성이 저하된다.More preferably, in the production method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chain-shaped nanoclay has a particle size of 1 to 3 nm. In this case, if the particle size of the clay is less than 1 nm, the structure may collapse during the film coating process, and if it exceeds 3 nm, the clay becomes thick and transparency is lowered.

이때, 클레이는 카올리나이트, 스멕타이트, 카올리나이트, 딕카이트, 나크라이트, 할로이사이트, 안티고라이트, 크리소타일, 피로필라이트, 몬모릴로나이트, 헥토라이트, 테트라실릴릭마이카, 나트륨테니올라이트, 백운모, 진주운모, 활석, 버미큘라이트, 금운모, 잔소피라이트 및 녹니석(綠泥石)으로 이루어지는 군에서 선택되는 적어도 하나이며, 바람직하게는 카올리나이계, 스멕타이트계, 버미큘라이트계 등이 사용할 수 있다.At this time, the clay is kaolinite, smectite, kaolinite, dickite, nacrite, halosite, antigorite, chrysotile, pyrophyllite, montmorillonite, hectorite, tetrasilic mica, sodium teniolite, white mica, pearl mica, It is at least one selected from the group consisting of talc, vermiculite, gold mica, zansopyrite and chlorite, and preferably kaolini-based, smectite-based, vermiculite-based or the like.

상기 클레이는 다공성 실리케이트 템플레이트 100 중량부에 대하여, 1 내지 10 중량부로 첨가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때, 상기 클레이가 1 중량부 미만이면, 균일한 사슬형태를 형성하기 어려우며, 10 중량부를 초과하면, 필름의 투명성이 저하될 우려가 있다.The clay is preferably added in an amount of 1 to 10 parts by weight based on 100 parts by weight of the porous silicate template. At this time, if the clay is less than 1 part by weight, it is difficult to form a uniform chain form, and if it exceeds 10 parts by weight, the transparency of the film may be lowered.

본 발명의 균일한 나노 크기의 긴 사슬형태로 개질된 나노 클레이는 출발물질로서 나노 크기의 기공을 가지는 다공성 실리케이트로부터 합성되므로, 상기 실리케이트 물질을 통하여 나노 클레이를 효과적으로 대량 생산할 수 있다.Since the nanoclay modified into a uniform nano-sized long chain form of the present invention is synthesized from a porous silicate having nano-sized pores as a starting material, it is possible to efficiently mass-produce nanoclays through the silicate material.

단계 3)은 상기 사슬형태의 나노 클레이를 고분자 수지와 혼합하거나, 상기 고분자 수지 표면상에 도포하여 제조된 가스배리어 코팅층을 구비한 플렉시블 디스플레이 기판의 제조방법을 제공한다.Step 3) provides a method of manufacturing a flexible display substrate having a gas barrier coating layer prepared by mixing the chain-shaped nanoclay with a polymer resin or by coating the polymer resin on a surface of the polymer resin.

또한, 상기 사슬형태의 나노 클레이를 고분자 수지와 혼합하는 방법으로는 실린지 펌프(Syringe pump)를 이용하여 이축 압출기 또는 배치 믹서로 투입하여, 컴파운딩 제조할 수 있다.In addition, as a method of mixing the chain-shaped nanoclay with a polymer resin, a compounding may be prepared by feeding a twin screw extruder or a batch mixer using a syringe pump.

이때, 컴파운딩 되는 고분자 수지는 상기에서 기술한 바와 같으며, 더욱 바람직하게는 올레핀 공중합체, 폴리에틸렌 테레프탈레이트, 폴리에틸렌 나프탈레이트, 폴리에테르술폰, 폴리이미드, 폴리아크릴레이트, 폴리카보네이트 및 폴리비닐알코올로 이루어진 군에서 1 이상 선택되어 이루어지는 것이다. In this case, the polymer resin to be compounded is as described above, more preferably, olefin copolymer, polyethylene terephthalate, polyethylene naphthalate, polyether sulfone, polyimide, polyacrylate, polycarbonate and polyvinyl alcohol It is made of one or more selected from the group consisting of.

또한, 본 발명의 제조방법은 상기 고분자 수지 표면에 도포시, 전류 0.1∼0.5mA를 흘려줌으로써, 상기 나노 클레이에 일정 배향성을 부여한다. 이때, 전류가 0.1mA 보다 낮을 경우, 클레이에 반응하지 않으며, 반면에, 0.5mA를 초과하면, 클레이간의 상호작용이 강하게 작용하여 사슬구조가 끊어질 수 있어 바람직하지 않다.In addition, the manufacturing method of the present invention imparts a constant orientation to the nanoclay by flowing a current of 0.1 to 0.5mA when applied to the surface of the polymer resin. At this time, when the current is lower than 0.1mA, it does not react to the clay, on the other hand, if it exceeds 0.5mA, the interaction between the clay is a strong action can be broken chain structure is not preferable.

나아가, 본 발명은 고분자 수지 및 사슬형태로 형성된 나노 클레이가 가스배리어 코팅층으로 이루어진 플렉시블 디스플레이 기판 및 투명전극(양극, 음극)으로 이루어진 플렉시블 디스플레이를 제공한다.Furthermore, the present invention provides a flexible display including a flexible display substrate and a transparent electrode (anode and cathode) in which a nano resin formed in a polymer resin and chain form is formed of a gas barrier coating layer.

본 발명의 플렉시블 디스플레이라 함은 플렉시블 유기 EL 디스플레이 또는 플렉시블 액정 디스플레이를 포함한다. The flexible display of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a flexible organic EL display or a flexible liquid crystal display.

이때, 본 발명의 플렉시블 디스플레이는 상기 사슬형태로 형성된 나노 클레이가 1 내지 3 nm 입경을 가지며, 전류 0.1∼0.5mA 하에 일정 배향성을 가지는 플렉시블 디스플레이 기판을 구비함으로써, 투습방지성 및 투명성이 개선된다.At this time, the flexible display of the present invention is provided by the nano-clay formed in the chain form having a particle size of 1 to 3 nm, and having a flexible display substrate having a constant orientation under a current of 0.1 to 0.5mA, thereby improving moisture permeability and transparency.

이하, 실시예를 통하여 본 발명을 보다 상세히 설명하고자 한다. Hereinafter,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in more detail with reference to Examples.

본 실시예는 본 발명을 보다 구체적으로 설명하기 위한 것이며, 본 발명의 범위가 이들 실시예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This embodiment is intended to illustrate the present invention in more detail, and the scope of the present invention is not limited to these examples.

<실시예 1∼3> <Examples 1-3>

pH 3 이하의 강한 산성 분위기에서 테트라에틸 오소실리케이트를 플루로닉 공중합체 계면활성제 용액 속에서 교반시킨 후 60℃에서 수열 합성하여 여과 후, 550℃에서 소성 가공하여 실리카 이외의 불순물들을 제거하였다. 상기 방법으로부터, 3nm 의 기공을 지니는 다공성 실리케이트 구조의 템플레이트(Mesoporous silicate Template)를 제조하였다.Tetraethyl orthosilicate was stirred in a pluronic copolymer surfactant solution in a strong acid atmosphere of pH 3 or less, hydrothermally synthesized at 60 ° C., filtered, and calcined at 550 ° C. to remove impurities other than silica. From this method, a template of porous silicate structure having pores of 3 nm was prepared.

상기 제조된 다공성 물질 템플레이트 함유용액 100g에 카올리나이트 5g를 5분 동안 초기 함침(Incipient wetness) 방법으로 담지시켰다. 이후, 100℃에서 건조한 후 550℃에서 소성 가공하여 상기 다공성 물질 템플레이트를 제거하였다. 이후, 3nm의 입도를 가지는 긴 사슬형태의 나노 클레이를 얻었다.100 g of the prepared porous material template-containing solution was loaded with 5 g of kaolinite for 5 minutes by an incipient wetness method. Thereafter, the porous material template was removed by drying at 100 ° C. and then plastically processing at 550 ° C. Then, a long chain nanoclay having a particle size of 3nm was obtained.

상기 제조된 나노크기의 사슬형태를 가지는 나노 클레이를 폴리카보네이트 표면상에 도포하여 100nm 두께의 가스배리어 코팅층을 제조하였다.The nanoclay having the nano-sized chain form prepared above was coated on the polycarbonate surface to prepare a gas barrier coating layer having a thickness of 100 nm.

상기 두께를 200nm 및 300nm로 달리하여 가스배리어 코팅층을 제조한 것을 제외하고는, 상기 실시예 1과 동일하게 수행하였다.The thickness was changed to 200 nm and 300 nm, except that the gas barrier coating layer was manufactured.

<실시예 4><Example 4>

상기 다공성 물질 템플레이트 함유용액 100g에 카올리나이트 10g를 담지하는 것을 제외하고는, 상기 실시예 1과 동일하게 수행하였다.The same procedure as in Example 1 was carried out except that 10 g of kaolinite was supported on 100 g of the template containing solution of the porous material.

<비교예 1∼3><Comparative Examples 1 to 3>

나노크기의 사슬형태를 가지는 나노 클레이가 아닌, 통상의 클레이를 이용하여 두께 100, 200 및 300nm의 가스배리어 코팅층을 제조한 것을 제외하고는, 실시예 1과 동일하게 수행하였다. The same procedure as in Example 1 was carried out except that a gas barrier coating layer having a thickness of 100, 200, and 300 nm was manufactured using a conventional clay, not a nano clay having a nano-sized chain form.

<비교예 4><Comparative Example 4>

상기 다공성 실리케이트의 수열 합성 시, 50℃에서 수행하여 10nm의 기공을 지니는 다공성 실리케이트 구조의 템플레이트를 이용하여, 10nm의 입도를 가지는 사슬형태 의 나노 클레이를 제조하는 것을 제외하고는, 상기 실시예 1과 동일하게 수행하였다.In the hydrothermal synthesis of the porous silicate, using a template of a porous silicate structure having a pore of 10nm by performing at 50 ℃, except for producing a chain-shaped nanoclay having a particle size of 10nm, Example 1 and The same was done.

<비교예 5>Comparative Example 5

상기 다공성 실리케이트의 수열 합성 시, 35℃에서 수행하여 15nm의 기공을 지니는 다공성 실리케이트 구조의 템플레이트를 이용하여, 15nm의 입도를 가지는 사슬형태의 나노 클레이를 제조하는 것을 제외하고는, 상기 실시예 1과 동일하게 수행하였다.When hydrothermal synthesis of the porous silicate, using a template of a porous silicate structure having a pore of 15nm by performing at 35 ℃, except for producing a chain-shaped nanoclay having a particle size of 15nm, Example 1 and The same was done.

<실험예 1>Experimental Example 1

상기 실시예 1 내지 3에서 제조된 나노크기의 사슬형태를 가지는 나노 클레이를 이용하여 제조된 가스배리어 코팅층을 구비한 플렉시블 디스플레이 기판에 대하여, 투명도 및 투습도를 측정하고, 가스배리어 코팅층 표면을 관찰하여 하기 표 1에 기재하였다. For a flexible display substrate having a gas barrier coating layer prepared using nanoclay having a nano-sized chain form prepared in Examples 1 to 3, transparency and moisture permeability were measured, and the surface of the gas barrier coating layer was observed. It is shown in Table 1 .

구분division 필름의 두께Film thickness 투명도 (at 400∼700nm)Transparency (at 400 ~ 700nm) 투습도 (at 40℃90%RH)Permeability (at 40 ℃ 90% RH) 표면관찰(SEM)Surface observation (SEM) 실시예 1Example 1 100 nm100 nm 87%87% 0.010 g/m2[day]0.010 g / m 2 [day] 3nm 기공관찰3nm pore observation 실시예 2Example 2 200 nm200 nm 85%85% 0.007 g/m2[day]0.007 g / m 2 [day] 3nm 기공관찰3nm pore observation 실시예 3Example 3 300 nm300 nm 72%72% 0.002 g/m2[day]0.002 g / m 2 [day] 3nm 기공관찰3nm pore observation

반면에, 나노크기의 사슬형태를 가지는 나노 클레이가 아닌 통상의 일반 클레이를 이용하여 제조된 가스배리어 코팅층을 구비한 플렉시블 디스플레이 기판에 대하여, 투명도 및 투습도를 측정하고, 가스배리어 코팅층 표면을 관찰하여 하기 표 2에 기재하였다. On the other hand, with respect to a flexible display substrate having a gas barrier coating layer manufactured using a conventional general clay rather than a nano clay having a nano-sized chain form, the transparency and moisture permeability were measured, and the surface of the gas barrier coating layer was observed. It is shown in Table 2 .

구분division 필름의 두께Film thickness 투명도 (at 400∼700nm)Transparency (at 400 ~ 700nm) 투습도 (at 40℃90%RH)Permeability (at 40 ℃ 90% RH) 표면관찰(SEM)Surface observation (SEM) 비교예 1Comparative Example 1 100 nm100 nm 83%83% 0.040g/m2[day]0.040 g / m 2 [day] 뭉침Bunch 비교예 2Comparative Example 2 200 nm200 nm 81%81% 0.015 g/m2[day]0.015 g / m 2 [day] 뭉침Bunch 비교예 3Comparative Example 3 300 nm300 nm 75%75% 0.009 g/m2[day]0.009 g / m 2 [day] 뭉침Bunch

상기 표 1 및 2에서 보이는 바와 같이, 본 발명의 나노크기의 사슬형태를 가지는 나노 클레이를 이용하여 제조된 가스배리어 코팅층을 구비한 플렉시블 디스플레이 기판은 동일한 두께 대비, 종래 일반 클레이를 이용한 경우보다 투명성 및 투습방지성이 개선되었다. 또한, 표면상에 뭉침현상없이 미세기공을 확인하였다. As shown in Tables 1 and 2, the flexible display substrate having the gas barrier coating layer manufactured using the nanoclay having the nano-sized chain form of the present invention has the same thickness, transparency, and transparency compared with the case of conventional clay. Moisture resistance has been improved. In addition, micropores were confirmed without aggregation on the surface.

상기에서 살펴본 바와 같이, 본 발명은 As described above, the present invention

첫째, 종래의 클레이를 다공성 실리케이트 템플레이트 함유용액에 담지하고 건조한 후 소성 가공하여 제조된 사슬형태의 나노 클레이를 제조하였다. First, a chain-shaped nanoclay prepared by supporting a conventional clay in a porous silicate template-containing solution, drying and plasticizing was prepared.

둘째, 상기 사슬형태의 나노 클레이의 구조 및 입도를 최적화하고, 상기 사슬형태의 나노 클레이를 가스배리어 코팅층로 구성하는 플렉시블 디스플레이 기판의 투명성 및 투습방지성을 개선하였다.Second, the structure and particle size of the chain-shaped nanoclay was optimized, and the transparency and moisture permeability of the flexible display substrate including the chain-shaped nanoclay as a gas barrier coating layer were improved.

셋째, 상기 사슬형태의 나노 클레이를 다공성 실리케이트로부터 제조하므로, 대량 생산이 가능하다.Third, since the chain-type nanoclay is manufactured from porous silicates, mass production is possible.

이상에서 본 발명은 기재된 구체예에 대해서만 상세히 설명되었지만 본 발명의 기술사상 범위 내에서 다양한 변형 및 수정이 가능함은 당업자에게 있어서 명백한 것이며, 이러한 변형 및 수정이 첨부된 특허청구범위에 속함은 당연한 것이다. Although the present invention has been described in detail only with respect to the described embodiments, it will be apparent to those skilled in the art that various modifications and variations are possible within the technical scope of the present invention, and such modifications and modifications are within the scope of the appended claims.

도 1은 본 발명의 플렉시블 디스플레이 기판의 구조를 도시한 것이다. 1 illustrates the structure of a flexible display substrate of the present invention.

Claims (13)

고분자 수지 및 Polymer resin and 나노크기의 사슬형태로 형성된 나노 클레이가 가스배리어 코팅층으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투명성 및 투습방지성이 개선된 플렉시블 디스플레이 기판.A flexible display substrate with improved transparency and moisture permeability, characterized in that the nano clay formed in a nano-sized chain form consists of a gas barrier coating layer.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사슬형태로 형성된 나노 클레이가 1 내지 3 nm 입도를 가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상기 플렉시블 디스플레이 기판.The flexible display substrate of claim 1, wherein the nanoclays formed in the chain form have a particle size of 1 to 3 nm.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사슬형태로 형성된 나노 클레이가 전류 0.1∼0.5mA 하에 일정 배향성을 가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상기 플렉시블 디스플레이 기판.The flexible display substrate of claim 1, wherein the nanoclays formed in the chain form have a constant orientation under a current of 0.1 to 0.5 mA.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고분자 수지가 올레핀 공중합체, 폴리에틸렌테레프탈레이트, 폴리에틸렌 나프탈레이트, 폴리에테르술폰, 폴리이미드, 폴리아크릴레이트배리어, 폴리카보네이트 및 폴리비닐알코올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되는 1종 이상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상기 플렉시블 디스플레이 기판.The method of claim 1, wherein the polymer resin is at least one selected from the group consisting of an olefin copolymer, polyethylene terephthalate, polyethylene naphthalate, polyether sulfone, polyimide, polyacrylate barrier, polycarbonate and polyvinyl alcohol. The flexible display substrate.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클레이가 카올리나이트, 스멕타이트, 카올리나이트, 딕카이트, 나크라이트, 할로이사이트, 안티고라이트, 크리소타일, 피로필라이트, 몬모릴로나이트, 헥토라이트, 테트라실릴릭마이카, 나트륨테니올라이트, 백운모, 진주운 모, 활석, 버미큘라이트, 금운모, 잔소피라이트 및 녹니석(綠泥石)으로 이루어지는 군에서 선택되는 적어도 하나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상기 플렉시블 디스플레이 기판.The method of claim 1, wherein the clay is kaolinite, smectite, kaolinite, dickite, nacrite, halosite, antigorite, chrysotile, pyrophyllite, montmorillonite, hectorite, tetrasilyl mica, sodium teniolite, The flexible display substrate, characterized in that at least one selected from the group consisting of dolomite, pearl mica, talc, vermiculite, gold mica, zansopyrite and chlorite. 1) 다공성 실리케이트 템플레이트를 제조하고, 1) prepare a porous silicate template, 2) 상기 제조된 다공성 실리케이트 템플레이트를 함유한 용액에 클레이를 함침방법으로 담지하고, 100±20℃에서 건조한 후 소성 가공하여, 사슬형태의 나노 클레이를 제조하고, 2) impregnating the clay in the solution containing the prepared porous silicate template by the impregnation method, dried at 100 ± 20 ℃ and plasticized to prepare a chain-shaped nanoclay, 3) 상기 사슬형태의 나노 클레이를 고분자 수지와 혼합하거나, 상기 고분자 수지 표면상에 도포하는 것으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투명성 및 투습방지성이 개선된 플렉시블 디스플레이 기판의 제조방법.3) A method of manufacturing a flexible display substrate with improved transparency and moisture permeability, characterized in that the chain-shaped nanoclay is mixed with a polymer resin or coated on the polymer resin surface. 제6항에 있어서, 상기 다공성 실리케이트 템플레이트 100 중량부에 대하여, 클레이가 1 내지 10 중량부 담지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상기 제조방법.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6, wherein 1 to 10 parts by weight of clay is supported based on 100 parts by weight of the porous silicate template. 제6항에 있어서, 상기 사슬형태의 나노 클레이가 소성 가공 시, 제거되는 다공성 실리케이트 템플레이트와 동일크기의 입도를 가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상기 제조방법.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6, wherein the chain-shaped nanoclay has a particle size of the same size as that of the porous silicate template to be removed during plastic working. 제6항에 있어서, 상기 사슬형태의 나노 클레이가 1 내지 3 nm 입도를 가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상기 제조방법.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6, wherein the chain-shaped nanoclay has a particle size of 1 to 3 nm. 제6항에 있어서, 상기 고분자 수지 표면에 도포시, 전류 0.1∼0.5mA를 흘려 상기 나노 클레이에 일정 배향성을 부여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상기 제조방법.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6, wherein, when applied to the surface of the polymer resin, a current of 0.1 to 0.5 mA flows to impart a constant orientation to the nanoclay. 고분자 수지로 이루어진 기재 필름상에, 사슬형태로 형성된 나노 클레이가 가스배리어 코팅층으로 이루어진 제1항의 플렉시블 디스플레이 기판이 구비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투습방지성 및 투명성이 개선된 플렉시블 디스플레이.A flexible display having improved moisture permeability and transparency, comprising a flexible display substrate of claim 1, wherein the nano clay formed in a chain form is formed of a gas barrier coating layer on a base film made of a polymer resin. 제11항에 있어서, 상기 사슬형태로 형성된 나노 클레이가 1 내지 3 nm 입도를 가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상기 플렉시블 디스플레이.The flexible display according to claim 11, wherein the nanoclays formed in the chain form have a particle size of 1 to 3 nm. 제11항에 있어서, 상기 사슬형태로 형성된 나노 클레이가 전류 0.1∼0.5mA 하에 일정 배향성을 가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상기 플렉시블 디스플레이.The flexible display of claim 11, wherein the nanoclays formed in the chain form have a constant orientation under a current of 0.1 to 0.5 mA.
KR1020080046403A 2008-05-20 2008-05-20 Flexible dispaly substrate using nano clay and flexible dispaly employed them KR20090120546A (en)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80046403A KR20090120546A (en) 2008-05-20 2008-05-20 Flexible dispaly substrate using nano clay and flexible dispaly employed them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80046403A KR20090120546A (en) 2008-05-20 2008-05-20 Flexible dispaly substrate using nano clay and flexible dispaly employed them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90120546A true KR20090120546A (en) 2009-11-25

Family

ID=4160376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80046403A KR20090120546A (en) 2008-05-20 2008-05-20 Flexible dispaly substrate using nano clay and flexible dispaly employed them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90120546A (en)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332428B1 (en) * 2009-12-07 2013-11-22 제일모직주식회사 Flexible substrate with filler for display apparatus
WO2016089121A1 (en) * 2014-12-03 2016-06-09 (주)씨앤켐 Exfoliation layer and fabrication method therefor
CN110931657A (en) * 2019-12-06 2020-03-27 中国乐凯集团有限公司 Flexible composite substrate for perovskite thin-film solar cell and preparation method thereof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332428B1 (en) * 2009-12-07 2013-11-22 제일모직주식회사 Flexible substrate with filler for display apparatus
WO2016089121A1 (en) * 2014-12-03 2016-06-09 (주)씨앤켐 Exfoliation layer and fabrication method therefor
CN110931657A (en) * 2019-12-06 2020-03-27 中国乐凯集团有限公司 Flexible composite substrate for perovskite thin-film solar cell and preparation method thereof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4376909B2 (en) Multilayer plastic substrate and manufacturing method thereof
TWI510365B (en) Multi-layered plastic substrate and method for manufacturing the same
JP5946837B2 (en) Reflective conductive composite film
KR101512881B1 (en) Gas-barrier film and method formanufacturing the same
TWI506303B (en) Reflective film
WO2007024461A2 (en) Nanocomposite materials and method of making
CN1910040A (en) Gas barrier film and gas barrier laminate
TW200950971A (en) Coated and planarised polymeric films
EP2408016A1 (en) Underside protective sheet for solar cell, solar cell module, and gas-barrier film
JP2010085585A (en) Reflection film
KR101209293B1 (en) Gas barrier transparent polymer composite films
JPWO2008126359A1 (en) Aliphatic polyester resin composition, aliphatic polyester film, reflective film and reflector
KR101878572B1 (en) Adhesive-less multi-layered flexible film having moisture and gas barrier properties and their preparation method
KR101847717B1 (en) Method for manufacturing chitin nanofiber film using centrifugal casting
KR20090120546A (en) Flexible dispaly substrate using nano clay and flexible dispaly employed them
TW201718762A (en) Polymer compositions and substrates for high temperature transparent conductive film applications
JP2008233290A (en) Reflecting film and reflecting plate
KR20170016145A (en) Methods of preparing conductors, conductors prepared therefrom, and electronic devices including the same
TW201410602A (en) Graphene reinforced composite
WO2017116106A1 (en) High moisture- and gas-barrier flexible film of multilayer structure not using adhesive, and manufacturing method therefor
CN111100433B (en) Preparation method of oxygen barrier type PET bottle and product thereof
KR101675350B1 (en) White porous Polyester Film
WO2012100315A1 (en) Optically transparent composites based on bacterial cellulose and boehmite, siloxane and / or a boehmite- siloxane system
US20240149259A1 (en) Photocatalyst Material and Nanometric Coating Obtained Thereof
KR20150019993A (en) Method for preparing silver nanowire and silver nanowire prepared by using the same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WITN Application deemed withdrawn, e.g. because no request for examination was filed or no examination fee was pai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