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90119646A - 과부하 보호장치 - Google Patents

과부하 보호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90119646A
KR20090119646A KR1020080045815A KR20080045815A KR20090119646A KR 20090119646 A KR20090119646 A KR 20090119646A KR 1020080045815 A KR1020080045815 A KR 1020080045815A KR 20080045815 A KR20080045815 A KR 20080045815A KR 20090119646 A KR20090119646 A KR 20090119646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overload
overload protector
protection device
housing member
protecto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80045815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고기철
최남일
황성구
Original Assignee
센싸타테크놀러지스코리아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센싸타테크놀러지스코리아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센싸타테크놀러지스코리아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080045815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90119646A/ko
Publication of KR20090119646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90119646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HELECTRIC SWITCHES; RELAYS; SELECTORS; EMERGENCY PROTECTIVE DEVICES
    • H01H71/00Details of the protective switches or relays covered by groups H01H73/00 - H01H83/00
    • H01H71/10Operating or release mechanisms
    • H01H71/12Automatic release mechanisms with or without manual release
    • H01H71/14Electrothermal mechanisms
    • H01H71/16Electrothermal mechanisms with bimetal element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HELECTRIC SWITCHES; RELAYS; SELECTORS; EMERGENCY PROTECTIVE DEVICES
    • H01H71/00Details of the protective switches or relays covered by groups H01H73/00 - H01H83/00
    • H01H71/10Operating or release mechanisms
    • H01H71/12Automatic release mechanisms with or without manual release
    • H01H71/14Electrothermal mechanisms
    • H01H71/22Electrothermal mechanisms with compensation for variation of ambient temperature

Landscapes

  • Emergency Protection Circuit Devic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과부하 보호장치를 개시한다. 상기 과부하 보호장치는, 정상범위 내의 전류가 인가될시 전류 흐름을 허용하고 과전류 발생시 전류흐름을 차단하는 과부하 보호기; 하부면이 상기 과부하 보호기의 상부면과 전기적으로 접촉되며, 주변온도에 따라 저항값이 반응하여 주변온도가 낮으면 발열량이 높아지고 주변온도가 상승하면 발열량이 낮아지는 PTC소자; 및 일부분이 하방으로 돌출된 상판부재와, 이 상판부재의 양단부가 각각 하방으로 절곡되고 각 하단모서리가 내측으로 절곡된 측판부재로 이루어지며, 상기 상판부재의 돌출부분이 상기 PTC소자의 상부면과 접촉되고 상기 두 측판부재의 하단부가 상기 과부하 보호기의 하부면과 접촉되며, 상기 PTC소자를 상기 과부하 보호기의 상부면에 탈착 가능하게 고정하는 전도성 스프링클립;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은 사고전류 발생시, 단락전류를 신속히 차단할 수 있게 하고, 아울러 기존과 같은 퓨즈교체 작업을 수반하지 않게 한다.
과부하, 보호장치, PTC, 스프링클립

Description

과부하 보호장치{Overload protection device}
본 발명은 과부하 보호장치에 관한 것으로, 특히 각종 변압기 등에 설치되어 과전류로부터 해당 기기를 안전하게 보호할 수 있게 하는 과부하 보호장치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변압기(1)는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다수 개의 중공형 철편(2a)으로 이루어진 철편부(2)와, 이 철편부의 내부에 설치되는 2개 이상의 권선으로 이루어진 권선부(3)와, 상기 철편부(2)의 상부와 하부의 양측에 각각 설치되는 상부고정부재(4) 및 하부고정부재(5)와, 상기 상부고정부재(4)의 상부에 설치되고 해당 도선에 과전류가 인가될 시 전류흐름을 차단하는 퓨즈(6)를 갖는 단자마운트(7)로 이루어진다. 상기 철편부(2)와 권선부(3)는 외부 전력원(미도시)으로부터 공급되는 교류전력을 받아 전자유도작용에 의해 전압과 전류를 변성시키는 역할을 한다.
여기서, 상기 단자마운트(7)의 일측부에는 외부로부터 공급되는 교류전력을 전달하는 외부전선(미도시)과 상기 권선부(3)의 1차 권선을 상호 접속시키는 입력단자대(미도시)가 구비되고, 타측부에는 상기 1차 권선과 대응하는 2차 권선의 각 출력선(8)과 해당 퓨즈(6)를 상호 접속시키는 출력단자대(9)가 구비된다. 또한, 상기 출력단자대(9)는 일측에 상기 철편부(2)와 권선부(3)를 통해 변성된 전력을 외부의 각종 전기장치(미도시)로 공급하기 위한 출력단자(10)가 구비된다.
한편, 전력퓨즈(Power Fuse)는 소호방식에 따라 한류형(Current limitting type)과 비한류형(Expulsion type)으로 구분된다. 한류퓨즈는 높은 아크저항을 발생시키며 단락전류를 강제적으로 억제해서 차단하는 퓨즈이다. 비한류 퓨즈는 소호 가스를 뿜어내며 차단하는 퓨즈이다.
도 2는 변압기 보호용 한류퓨즈를 나타낸 것이다. 상기 도 2에 따른 퓨즈(6)는 중공형태의 세라믹부재(6a)와, 이 세라믹부재의 양단에 구비되는 단자캡(6b)과, 상기 세라믹부재(6a) 안에 배치되고 양측 단부가 각각 해당 단자캡(6b)에 고정된 엘리먼트(6c)와, 상기 세라믹부재(6a) 안에 충전된 소호제(6d)로 이루어진다. 여기서, 상기 엘리먼트(6c)는 은합금(Ag alloy)으로 이루어지고 중간부분에 솔더볼(Solder ball)이 형성되어 있다.
상기 도 2에 따른 퓨즈(6)는 사고전류가 발생했을 때 상기 엘리먼트(6c)에서 순간적으로 고열이 발생되면서 상기 소호제(6d)와 반응하여 전류가 통전되지 못하도록 하여 사고전류를 차단한다.
그러나, 종래 기술에 따른 퓨즈(6)는 변압기(1) 등에 적용되는 경우, 변압기(1)에 사고전류가 발생시 그 퓨즈(6)의 엘리먼트(6c)가 고열에 의해 끊어지는 방식이었기 때문에, 사고시마다 손상된 퓨즈를 새것으로 교체하는데 따른 비용손실을 초래할 뿐만 아니라, 그에 따른 잦은 교체작업으로 인해 매우 불편하였다.
이에, 본 발명은 전술한 바와 같은 문제점들을 해소하기 위해 안출된 것으로, 그 목적은 변압기 등에 사고전류 발생시, 단락전류를 신속히 차단할 수 있게 하고, 아울러 기존과 같은 퓨즈교체 작업을 수반하지 않게 하는 과부하 보호장치를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사용자가 해당기기의 전원을 오프시킴으로써 다시 안전한 작동온도로 냉각되어 정상화될 때까지 전원차단 상태를 유지시킬 수 있게 하는 과부하 보호장치를 제공하는 것이다.
전술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본 발명은 정상범위 내의 전류가 인가될시 전류 흐름을 허용하고 과전류 발생시 전류흐름을 차단하는 과부하 보호기; 하부면이 상기 과부하 보호기의 상부면과 전기적으로 접촉되며, 주변온도에 따라 저항값이 반응하여 주변온도가 낮으면 발열량이 높아지고 주변온도가 상승하면 발열량이 낮아지는 PTC소자; 및 일부분이 하방으로 돌출된 상판부재와, 이 상판부재의 양단부가 각각 하방으로 절곡되고 각 하단모서리가 내측으로 절곡된 측판부재로 이루어지며, 상기 상판부재의 돌출부분이 상기 PTC소자의 상부면과 접촉되고 상기 두 측판부재의 하단부가 상기 과부하 보호기의 하부면과 접촉되며, 상기 PTC소자를 상기 과부하 보호기의 상부면에 탈착 가능하게 고정하는 전도성 스프링클립;을 포함하는 과부하 보호장치를 제공한다.
또한, 본 발명은 위의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대하여 다음의 구체적인 실시예들을 더 제공한다.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과부하 보호기는, 일정깊이의 오목부를 구비하고 상부테두리를 따라 외측으로 뻗는 플랜지를 구비하며, 일부분에 외부로 뻗는 단자를 갖는 전도성 하우징부재와, 이 하우징부재의 오목부의 일부분에 후단부가 고정되고 선단부에 가동접촉부를 갖는 바이메탈부재와, 상기 하우징부재의 플랜지 상에 안장되고 상기 하우징부재의 오목부와 대응하는 개구부를 갖는 절연성 개스킷과, 이 개스킷 상에 상호 이격된 상태로 각각 안장되며, 각각 오목부를 구비하고 각 양측테두리를 따라 외측으로 뻗는 플랜지를 구비하며, 이 각 플랜지의 양측에는 고정용 플랜지를 더 구비하며, 둘 중 하나의 일부분에 외부로 뻗는 단자를 갖고 나머지 부분에는 고정접촉부를 갖는 제1 및 제2 커버 분리부로 이루어진 전도성 커버부재와, 몸체가 상기 제1 및 제2 커버 분리부의 오목부 안에 수용되며, 일단이 상기 두 커버 분리부 중 하나에 고정되고 타단이 나머지 하나에 고정된 히터요소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과부하 보호기를 수용할 수 있도록 적어도 하나의 장착부를 구비하며, 이 장착부의 일측 두 개소에 각각 단자용 개구부가 구비되고 길이방향 양단부에는 각각 장착홀이 구비된 절연성 베이스 하우징부재와, 이 베이스 하우징부재에 잠금해제수단을 매개로 하여 탈착 가능하게 고정되고 상기 적어도 하나의 과부하 보호기를 덮는 절연성 베이스 커버부재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장착부는 상기 과부하 보호기의 커버부재의 돌출부분을 수용하는 오목부와, 상기 과부하 보호기의 커버부재의 나머지부분을 지지하는 안착부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잠금해제수단은 상기 베이스 하우징부재와 상기 베이스 커버부재 중 하나의 양측에 각각 구비된 후크와, 나머지 하나의 대응부분에 각각 구비된 후크걸림부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안착부는 해당 과부하 보호기가 양측 또는 후측으로 벗어나지 않도록 대응부분에 각각 측벽이 구비되고, 상기 안착부의 전측 중앙부분에는 해당 과부하 보호기가 전측으로 벗어나지 않도록 돌기가 구비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은 사고전류 발생시, 단락전류를 신속히 차단할 수 있게 하고, 아울러 기존과 같은 퓨즈교체 작업을 수반하지 않게 한다. 또한, 본 발명은 사용자가 해당기기의 전원을 오프시킴으로써 다시 안전한 작동온도로 냉각되어 정상화될 때까지 전원차단 상태를 유지시킬 수 있게 하여 안전사고를 예방할 수 있게 한다.
이하, 본 발명에 따른 과부하 보호장치의 실시예를 도 3 내지 도 6을 참조하여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과부하 보호장치의 기본구성을 보여주는 개략 분해 사시도이고, 도 4는 도 3의 기본구성으로 이루어진 적어도 하나의 과부하 보호장치 와, 이 과부하 보호장치를 패키지화하는 베이스 하우징부재와 베이스 커버부재를 보여주는 개략 사시도이다.
하기 본 발명에 대한 설명에서 종래 기술의 구성과 동일한 구성요소들에 대해서는 이해의 편의를 위해 종래 기술에서와 같은 동일한 부호를 사용하였다.
본 발명에 따른 과부하 보호장치(11)는 도 3과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크게 과부하 보호기(20), PTC소자(40) 및 스프링클립(50)으로 구성된다.
여기서, 상기 과부하 보호기(20)는 정상범위 내의 전류가 인가될시 전류 흐름을 허용하고 과전류 발생시 전류흐름을 차단하는 역할을 한다.
상기 PTC소자(40)는 하부면이 상기 과부하 보호기(20)의 상부면과 전기적으로 접촉되며, 주변온도에 따라 저항값이 반응하여 주변온도가 낮으면 발열량이 높아지고 주변온도가 상승하면 발열량이 낮아지는 특성을 갖는다. 상기 PTC소자(40)는 과전류 발생시 동작하고 나면 한번 사용으로 수명을 다하는 퓨즈와는 달리 반영구적으로 사용 가능하다.
상기 스프링클립(50)은 일부분이 하방으로 돌출된 상판부재(50a)와, 이 상판부재의 양단부가 각각 하방으로 절곡되고 각 하단모서리가 내측으로 절곡된 측판부재(50b)로 이루어진다. 상기 상판부재(50a)의 돌출부분이 상기 PTC소자(40)의 상부면과 접촉되고 상기 두 측판부재(50b)의 하단부는 상기 과부하 보호기(20)의 하부면과 접촉되게 배치된다. 상기 스프링클립(50)은 상기 PTC소자(40)를 상기 과부하 보호기(20)의 상부면에 탈착 가능하게 고정시키며, 전도성 재질로 이루어져 있다. 그에 따라, 상기 PTC소자(40)의 상부부분은 상기 스프링클립(50)을 매개로 하여 상 기 과부하 보호기(20)의 하부면과 전기적으로 접촉되고 상기 PTC소자(40)의 하부부분은 상기 과부하 보호기(20)의 상부면과 전기적으로 접촉된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과부하 보호장치는 전술한 바와 같은 기본구성에 다음의 구체적인 실시예들로 더 한정될 수 있다.
상기 과부하 보호기(20)는,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크게 하우징부재(21), 바이메탈부재(22), 개스킷(23), 커버부재(24) 및 히터요소(25)를 포함한다.
여기서, 상기 하우징부재(21)는 일정깊이의 오목부(21a)를 구비하고 상부테두리를 따라 외측으로 뻗는 플랜지(21b)를 구비하며, 일부분에 외부로 뻗는 단자(21c)를 구비하고, 전도성 재질로 이루어진다. 상기 바이메탈부재(22)는 상기 하우징부재(21)의 오목부(21a)의 일부분에 후단부가 고정되고 선단부에 가동접촉부(22a)를 구비한다. 상기 개스킷(23)은 상기 하우징부재(21)의 플랜지(21b) 상에 안장되고 상기 하우징부재(21)의 오목부(21a)와 대응하는 개구부(23a)를 구비하며, 절연성 재질로 이루어진다. 상기 개스킷(23)의 개구부(23a)는 상기 하우징부재(21)의 오목부(21a)와 연통하는 것으로서 그 오목부의 크기 및 모양과 동일할 필요는 없다. 상기 커버부재(24)는 제1 및 제2 커버 분리부(24a,24b)로 이루어지고 전도성 재질로 이루어진다. 상기 각 커버 분리부(24a,24b)는 상기 개스킷(23) 상에 상호 이격된 상태로 안장되며, 오목부(24c)를 구비하고 각 양측테두리를 따라 외측으로 뻗는 플랜지(24d)를 구비한다. 또한, 상기 각 커버 분리부(24a,24b)는 상기 각 플랜지(24d)의 양측에 고정용 플랜지(24dd)를 더 구비하며, 둘 중 하나의 일부분에 외부로 뻗는 단자(24e)를 갖고 나머지 부분에는 고정접촉부(24f)를 갖는다. 상기 히터요소(25)는 몸체가 상기 제1 및 제2 커버 분리부(24a,24b)의 오목부(24c) 안에 수용되며, 일단이 상기 두 커버 분리부(24a,24b) 중 하나에 고정되고 타단이 나머지 하나에 고정된다.
한편, 전술한 바와 같은 구성의 과부하 보호장치(11)는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과부하 보호기(20)의 하부와 상부에 각각 베이스 하우징부재(12)와 베이스 커버부재(13)를 더 포함하는 형태로 구성될 수 있다. 상기 베이스 하우징부재(12)와 베이스 커버부재(13)를 더 포함하는 과부하 보호장치는 이해의 편의를 위해 도면부호 11a로 표시한다.
여기서, 상기 베이스 하우징부재(12)는 상기 과부하 보호기(20)를 수용할 수 있도록 적어도 하나의 장착부(12a)를 구비한다. 또한, 상기 장착부(12a)의 일측 두 개소에 각각 단자용 개구부(12b)가 구비되고 길이방향 양단부에는 각각 장착홀(12c)이 구비된다. 상기 베이스 커버부재(13)는 상기 베이스 하우징부재(12)에 잠금해제수단(14)을 매개로 하여 탈착 가능하게 고정되고 상기 적어도 하나의 과부하 보호기(20)를 덮는 형태로 구비된다. 상기 베이스 하우징부재(12)와 베이스 커버부재(13)는 각각 절연성 재질로 이루어진다.
상기 장착부(12a)는 상기 과부하 보호기(20)의 커버부재(24)의 돌출부분을 수용하는 오목부(12aa)와, 상기 과부하 보호기(20)의 커버부재(24)의 나머지부분을 지지하는 안착부(12ab)로 이루어질 수 있다. 상기 안착부(12ab)는 해당 과부하 보호기(20)가 양측 또는 후측으로 벗어나지 않도록 대응부분에 각각 측벽(12ac)이 구비되고, 상기 안착부(12ab)의 전측 중앙부분에는 해당 과부하 보호기(20)가 전측으 로 벗어나지 않도록 돌기(12ad)가 구비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잠금해제수단(14)은 상기 베이스 하우징부재(12)와 상기 베이스 커버부재(13) 중 하나의 양측에 각각 구비된 후크(14a)와, 나머지 하나의 대응부분에 각각 구비된 후크걸림부(14b)로 이루어질 수 있다. 이 경우, 상기 후크걸림부(14b)는 결합홀(14bb)을 갖는 형태로 구비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위와 같이 구성된 본 발명에 따른 과부하 보호장치의 바람직한 조립과정 및 그 작동을 도 3 내지 도 6을 참조하여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과부하 보호장치의 바람직한 조립과정을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먼저, 하우징부재(21)의 오목부(21a) 내의 일부분에 바이메탈부재(22)의 후단부를 용접하여 고정한다. 아울러, 커버부재(24)의 제 1 및 제2 커버 분리부(24a,24b) 안에 히터요소(25)의 몸체를 위치시킨 후, 그 제1 및 제2 커버 분리부(24a,24b) 중 하나에 상기 히터요소(25)의 일단을 용접하여 고정하고 타단을 나머지 하나에 용접하여 고정한다. 이 경우, 상기 제1 및 제2 커버 분리부(24a,24b) 중 하나는 고정접촉부(24f)를 구비하고 나머지 하나는 단자(24e)를 갖는다.
그런 다음, 상기 하우징부재(21)와 커버부재(24) 사이에 개스킷(23)을 개입시켜 그 하우징부재(21)와 커버부재(24)를 상호 밀착시킨 후, 상기 커버부재(24)의 제1 및 제2 커버 분리부(24a,24b)의 각 고정용 플랜지(24dd)를 상기 하우징부재(21)의 해당 플랜지(24d)에 절곡시켜 고정한다. 이때, 상기 바이메탈부재(22)의 선단부의 가동접촉부(22a)는 상기 하우징부재(21)의 고정접촉부(24f)와 접촉된 상태에 있게 된다.
그런 다음, 전술한 바와 같이 조립된 과부하 보호기(20)의 하우징부재(21)의 상부에 PTC소자(40)를 위치시킨 후, 스프링클립(50)을 이용하여 상기 PTC소자(40)를 상기 과부하 보호기(20)에 고정하여 과부하 보호장치(11)를 완성한다.
위와 같이 조립된 상기 과부하 보호장치(11)는 아래와 같은 전기적 동작특성을 나타낸다.
상기 하우징부재(21)의 단자(21c)와 상기 커버부재(24)의 단자(24e)는 바이메탈부재(22)를 매개로 하여 전기를 통전시키며, 상기 바이메탈부재(22)는 히터요소(25)에 의해 발생되는 열에 의해 동작된다. 또한, 상기 PTC소자(40)의 상측부는 상기 스프링클립(50)을 통해 상기 커버부재(24)와 통전되고, 그 PTC소자(40)의 하측부는 상기 하우징부재(21)와 통전된다. 상기 PTC소자(40)는 주변온도에 따라 저항값이 반응하여 주변온도가 낮으면 발열량이 높아지고 주변온도가 상승하면 발열량이 낮아지는 특성을 갖는다. 그에 따라, 상기 PTC소자(40)는 과전류 발생시 히터요소(25)로부터 발생되는 열에 따라 저항값이 반응하여 상기 바이메탈부재(22)의 개방상태를 계속적으로 유지시키게 된다.
한편, 상기 과부하 보호장치(11)는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복수 개를 한 세트로 하는 과부하보호장치(11a)로 조립되어 사용될 수 있다. 이 경우, 상기 각 과부하 보호장치(11)는 베이스 하우징부재(12)의 해당 장착부(12a) 안에 수용된 후, 상기 베이스 하우징부재(12)와 베이스 커버부재(13)가 잠금해제수단(14)을 매개로 하여 일체로 고정된다.
위와 같이 조립된 과부하 보호장치를 변압기에 적용할 경우 그 과부하 보호 장치의 작동을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변압기(1)는 통상,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다수 개의 중공형 철편(2a)으로 이루어진 철편부(2)와, 이 철편부의 내부에 설치되는 2개 이상의 권선으로 이루어진 권선부(3)와, 상기 철편부(2)의 상부와 하부의 양측에 각각 설치되는 상부고정부재(4) 및 하부고정부재(5)로 이루어진다. 상기 상부고정부재(4)는 상기 철편부(2)의 상부를 가로지는 장착 플레이트(4a)와, 이 장착 플레이트의 양단 좌우에 각각 구비되고 하방으로 절곡된 고정부(4b)로 이루어지며, 상기 고정부(4b)는 나사 등과 같은 패스너(4c)를 매개로 하여 상기 철편부(2)에 고정된다.
먼저,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상부고정부재(4)의 장착 플레이트(4a) 상에 본 발명에 따른 과부하 보호장치(11a)를 위치시켜 패스너(4c)를 매개로 하여 상기 과부하 보호장치(11a)를 상기 장착 플레이트(4a)에 고정한다.
그런 다음, 상기 권선부(3)의 제2 권선의 3개 출력선(8)을 해당 과부하 보호기(20)의 단자(24e)에 각각 연결하여 고정한다. 이어서, 상기 각 과부하 보호기(20)의 나머지 단자(21c)에 가정, 산업시설 등으로 연결되는 외부 출력선(8a)을 각각 연결한다(도 6 참조).
그런 다음, 상기 권선부(3)의 제1 권선의 2개 입력선(미도시)을 외부 전력원(미도시)과 연결된 두 외부전선(미도시)과 각각 연결시킨 후, 상기 변압기(1)와 외부 전력원 간의 개폐스위치(미도시)를 온시킨다.
이러한 상태에서, 상기 변압기(1)에 과전류가 발생되면, 상기 과부하 보호기(20)의 히터요소(25)는 발열하게 된다. 그에 따라, 상기 하우징부재(21)의 내부 에 후단부가 고정된 바이메탈부재(22)의 가동접촉부(22a)가 상기 커버부재(24)측 고정접촉부(24f)로부터 분리된다.
이때, 상기 과부하 보호기(20)의 상부에 구비된 PTC소자(40)는 상기 히터요소(25)로부터 발생되는 열에 의해 주변온도가 높아지면 발열량을 낮추고 주변온도가 낮아지면 발열량을 높이게 된다. 그에 따라, 상기 바이메탈부재(22)의 가동접촉부(22a)와 상기 커버부재(24)측 고정접촉부(24f) 간의 분리상태는 계속 유지되게 된다.
한편, 작업자가 상기 변압기(1)와 외부 전력원(미도시) 간의 개폐스위치(미도시)를 오프시켜 상기 과부하 보호기(20)의 내부가 다시 정상온도에 이르면, 상기 바이메탈부재(22)의 가동접촉부(22a)는 다시 상기 커버부재(24)측 고정접촉부(24f)에 접촉되어 변압기(1)로부터 가정, 산업시설 등으로 전류를 통전시킬 수 있게 된다.
이상에서 설명한 본 발명은 전술한 실시예 및 첨부된 도면에 의해 한정되지 않으며,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 내에서의 단순 치환, 변형 및 변경은 당 분야에서의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명백한 것이다.
도 1은 퓨즈를 갖는 단자마운트가 구비된 일반적인 변압기를 보여주는 개략 사시도.
도 2는 도 1의 변압기의 단자마운트에 적용되는 퓨즈를 보여주는 개략 단면 사시도.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과부하 보호장치의 기본구성을 보여주는 개략 분해 사시도.
도 4는 도 3의 기본구성으로 이루어진 적어도 하나의 과부하 보호장치와, 이 과부하 보호장치를 패키지화하는 베이스 하우징부재와 베이스 커버부재를 보여주는 개략 사시도.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패키지화된 과부하 보호장치가 설치된 변압기를 보여주는 개략 사시도.
도 6은 도 5의 과부하 보호장치로부터 베이스 커버부재를 분리시킨 것으로서, 각 과부하 보호장치의 두 단자, 변압기의 제2 권선의 출력선 및 외부전선의 연결관계를 보여주는 개략 확대 사시도.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1, 11a: 과부하 보호장치 12: 베이스 하우징부재
12a: 장착부 12b: 단자용 개구부
12c: 장착홀 13: 베이스 커버부재
14: 잠금해제수단 14a: 후크
14b: 후크걸림부 20: 과부하 보호기
21: 하우징부재 22: 바이메탈부재
23: 개스킷 24: 커버부재
25: 히터요소 40: PTC소자
50: 스프링클립 50a: 상판부재
50b: 측판부재

Claims (6)

  1. 정상범위 내의 전류가 인가될시 전류 흐름을 허용하고 과전류 발생시 전류흐름을 차단하는 과부하 보호기;
    하부면이 상기 과부하 보호기의 상부면과 전기적으로 접촉되며, 주변온도에 따라 저항값이 반응하여 주변온도가 낮으면 발열량이 높아지고 주변온도가 상승하면 발열량이 낮아지는 PTC소자; 및
    일부분이 하방으로 돌출된 상판부재와, 이 상판부재의 양단부가 각각 하방으로 절곡되고 각 하단모서리가 내측으로 절곡된 측판부재로 이루어지며, 상기 상판부재의 돌출부분이 상기 PTC소자의 상부면과 접촉되고 상기 두 측판부재의 하단부가 상기 과부하 보호기의 하부면과 접촉되며, 상기 PTC소자를 상기 과부하 보호기의 상부면에 탈착 가능하게 고정하는 전도성 스프링클립;
    을 포함하는 과부하 보호장치.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과부하 보호기는, 일정깊이의 오목부를 구비하고 상부테두리를 따라 외측으로 뻗는 플랜지를 구비하며, 일부분에 외부로 뻗는 단자를 갖는 전도성 하우징부재와, 이 하우징부재의 오목부의 일부분에 후단부가 고정되고 선단부에 가동접촉부를 갖는 바이메탈부재와, 상기 하우징부재의 플랜지 상에 안장되고 상기 하우징부재의 오목부와 대응하는 개구부를 갖는 절연성 개스킷과, 이 개스킷 상에 상호 이격된 상태로 각각 안장되며, 각각 오목부를 구비하고 각 양측테 두리를 따라 외측으로 뻗는 플랜지를 구비하며, 이 각 플랜지의 양측에는 고정용 플랜지를 더 구비하며, 둘 중 하나의 일부분에 외부로 뻗는 단자를 갖고 나머지 부분에는 고정접촉부를 갖는 제1 및 제2 커버 분리부로 이루어진 전도성 커버부재와, 몸체가 상기 제1 및 제2 커버 분리부의 오목부 안에 수용되며, 일단이 상기 두 커버 분리부 중 하나에 고정되고 타단이 나머지 하나에 고정된 히터요소를 포함하는 것인 과부하 보호장치.
  3.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상기 과부하 보호기를 수용할 수 있도록 적어도 하나의 장착부를 구비하며, 이 장착부의 일측 두 개소에 각각 단자용 개구부가 구비되고 길이방향 양단부에는 각각 장착홀이 구비된 절연성 베이스 하우징부재와, 이 베이스 하우징부재에 잠금해제수단을 매개로 하여 탈착 가능하게 고정되고 상기 적어도 하나의 과부하 보호기를 덮는 절연성 베이스 커버부재를 더 포함하는 것인 과부하 보호장치.
  4. 제3항에 있어서, 상기 장착부는 상기 과부하 보호기의 커버부재의 돌출부분을 수용하는 오목부와, 상기 과부하 보호기의 커버부재의 나머지부분을 지지하는 안착부로 이루어진 것인 과부하 보호장치.
  5. 제3항에 있어서, 상기 잠금해제수단은 상기 베이스 하우징부재와 상기 베이스 커버부재 중 하나의 양측에 각각 구비된 후크와, 나머지 하나의 대응부분에 각 각 구비된 후크걸림부로 이루어진 것인 과부하 보호장치.
  6. 제4항에 있어서, 상기 안착부는 해당 과부하 보호기가 양측 또는 후측으로 벗어나지 않도록 대응부분에 각각 측벽이 구비되고, 상기 안착부의 전측 중앙부분에는 해당 과부하 보호기가 전측으로 벗어나지 않도록 돌기가 구비된 것인 과부하 보호장치.
KR1020080045815A 2008-05-16 2008-05-16 과부하 보호장치 KR20090119646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80045815A KR20090119646A (ko) 2008-05-16 2008-05-16 과부하 보호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80045815A KR20090119646A (ko) 2008-05-16 2008-05-16 과부하 보호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90119646A true KR20090119646A (ko) 2009-11-19

Family

ID=4160332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80045815A KR20090119646A (ko) 2008-05-16 2008-05-16 과부하 보호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90119646A (ko)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243712B1 (ko) * 2011-12-13 2013-03-13 주식회사 세훈 과부하 보호장치
KR20220028453A (ko) * 2020-08-28 2022-03-08 (주)마이크로컨텍솔루션 압축기 모터의 과부하 보호장치
KR20230053383A (ko) * 2021-10-14 2023-04-21 (주)마이크로컨텍솔루션 과부하 보호 장치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243712B1 (ko) * 2011-12-13 2013-03-13 주식회사 세훈 과부하 보호장치
KR20220028453A (ko) * 2020-08-28 2022-03-08 (주)마이크로컨텍솔루션 압축기 모터의 과부하 보호장치
KR20230053383A (ko) * 2021-10-14 2023-04-21 (주)마이크로컨텍솔루션 과부하 보호 장치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5981537B2 (ja) 熱金属酸化物バリスタ回路保護デバイス
US9837236B2 (en) High-voltage direct-current thermal fuse
JP5174893B2 (ja) 外部操作型サーマルプロテクタ
US20150214729A1 (en) Pluggable surge protection system
CA2785605C (en) Switchgear unit for switching high dc voltages
TW201340158A (zh) 保護裝置
JP6225195B2 (ja) 回路ブレーカおよび回路ブレーカ用アダプタ
ES2592697T3 (es) Módulos y dispositivos de interruptor seccionador con fusible con detección de corriente en línea
JP2010211928A (ja) 遮断板付spd
JP2001068000A (ja) 回路遮断装置
KR20090119646A (ko) 과부하 보호장치
EP2985776B1 (en) Automotive circuit breaker including circuit breaker with integrated secondary current protection
US3491322A (en) Electric multifunction fuse
JP2004221535A (ja) Ptc素子の進行性破損を防止するための安全構造を有するptcサーミスタ
JP4327374B2 (ja) 電気こたつ用差込プラグ
US6619990B2 (en) Short-circuit current limiter
JP2010086675A (ja) 二重の感温遮断を行なう回路保護構造
CN207183192U (zh) 一种电流过载保护器结构
EP4189716B1 (en) Assembly of a melting fuse with knife blade contacts and an electric measuring apparatus, as well as a melting fuse suitable for use in such an assembly
JP7260710B1 (ja) コンセント装置
JP2006196443A (ja) サーマルプロテクタ及びプロテクタ
US11749483B1 (en) Fuse with compartmentalized body and parallel fuse elements
JP5680575B2 (ja) ヒューズホルダ
KR100610952B1 (ko) 순차 트립 차단기
AU706990B2 (en) Arc chute assembly for circuit breaker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WITN Withdrawal due to no request for examin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