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90119440A - 객체 기반 양방향 방송 시스템, 단말기 및 그 방송 방법 - Google Patents

객체 기반 양방향 방송 시스템, 단말기 및 그 방송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90119440A
KR20090119440A KR1020080045488A KR20080045488A KR20090119440A KR 20090119440 A KR20090119440 A KR 20090119440A KR 1020080045488 A KR1020080045488 A KR 1020080045488A KR 20080045488 A KR20080045488 A KR 20080045488A KR 20090119440 A KR20090119440 A KR 20090119440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broadcast content
information
broadcast
terminal
serv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80045488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심성용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다산네트웍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다산네트웍스 filed Critical 주식회사 다산네트웍스
Priority to KR1020080045488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90119440A/ko
Publication of KR20090119440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90119440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HBROADCAST COMMUNICATION
    • H04H60/00Arrangements for broadcast applications with a direct linking to broadcast information or broadcast space-time; Broadcast-related systems
    • H04H60/35Arrangements for identifying or recognising characteristics with a direct linkage to broadcast information or to broadcast space-time, e.g. for identifying broadcast stations or for identifying users
    • H04H60/37Arrangements for identifying or recognising characteristics with a direct linkage to broadcast information or to broadcast space-time, e.g. for identifying broadcast stations or for identifying users for identifying segments of broadcast information, e.g. scenes or extracting programme ID
    • H04H60/372Programme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HBROADCAST COMMUNICATION
    • H04H60/00Arrangements for broadcast applications with a direct linking to broadcast information or broadcast space-time; Broadcast-related systems
    • H04H60/35Arrangements for identifying or recognising characteristics with a direct linkage to broadcast information or to broadcast space-time, e.g. for identifying broadcast stations or for identifying users
    • H04H60/37Arrangements for identifying or recognising characteristics with a direct linkage to broadcast information or to broadcast space-time, e.g. for identifying broadcast stations or for identifying users for identifying segments of broadcast information, e.g. scenes or extracting programme ID
    • H04H60/375Commercial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21/00Selective content distribution, e.g. interactive television or video on demand [VOD]
    • H04N21/20Servers specifically adapted for the distribution of content, e.g. VOD servers; Operations thereof
    • H04N21/23Processing of content or additional data; Elementary server operations; Server middleware
    • H04N21/234Processing of video elementary streams, e.g. splicing of video streams or manipulating encoded video stream scene graphs
    • H04N21/23424Processing of video elementary streams, e.g. splicing of video streams or manipulating encoded video stream scene graphs involving splicing one content stream with another content stream, e.g. for inserting or substituting an advertisement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21/00Selective content distribution, e.g. interactive television or video on demand [VOD]
    • H04N21/40Client devices specifically adapted for the reception of or interaction with content, e.g. set-top-box [STB]; Operations thereof
    • H04N21/43Processing of content or additional data, e.g. demultiplexing additional data from a digital video stream; Elementary client operations, e.g. monitoring of home network or synchronising decoder's clock; Client middleware
    • H04N21/434Disassembling of a multiplex stream, e.g. demultiplexing audio and video streams, extraction of additional data from a video stream; Remultiplexing of multiplex streams; Extraction or processing of SI; Disassembling of packetised elementary stream
    • H04N21/4345Extraction or processing of SI, e.g. extracting service information from an MPEG stream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Multimedia (AREA)
  •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Marketing (AREA)
  • Two-Way Televisions, Distribution Of Moving Picture Or The Like (AREA)

Abstract

객체 기반의 양방향 방송 시스템, 단말기 및 그 방송 방법이 개시된다. 객체 기반 양방향 방송 시스템에 있어서, 방송 컨텐츠와, 상기 방송 컨텐츠에 포함된 객체들을 분리하기 위한 객체 정보와, 상기 방송 컨텐츠가 객체 기반 양방향 방송 서비스가 제공되는 방송 컨텐츠인지 여부를 표시하는 식별 정보를 전송하는 서버; 및 상기 방송 컨텐츠, 객체 정보 및 식별 정보를 수신하고, 수신된 식별 정보가 상기 방송 컨텐츠가 객체 기반 양방향 방송 서비스가 제공되는 방송 컨텐츠임을 표시하는 경우, 상기 객체 정보를 분석하여 분리한 객체들 중에서 선택된 객체에 상응하는 상세 정보를 수신하여 출력하는 단말기를 포함하는 객체 기반 양방향 방송 시스템을 구성한다. 따라서 방송 컨텐츠의 시청과 더불어 방송 컨텐츠에 포함된 객체와 관련된 다양한 정보와 서비스의 제공을 받을 수 있다. 이를 통하여, 사용자는 보다 다양하고 편리하게 방송 컨텐츠에 관련된 정보와 부가 서비스를 누릴 수 있는 효과가 있다.
객체, 객체 정보, 방송 컨텐츠, 양방향 방송, 방송 서비스

Description

객체 기반 양방향 방송 시스템, 단말기 및 그 방송 방법{SYSTEM AND TERMINAL OF OBJECT-BASED BIDIRECTIONAL BROADCASTING AND METHOD THEREOF}
본 발명은 객체 기반 양방향 방송 시스템, 방송 단말기 및 그 방송 방법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방송 컨텐츠가 포함한 객체를 방송 컨텐츠와 분리하여 각각 출력하는 방송 단말기, 각 객체에 관련된 광고 등의 서비스를 제공하는 서버를 포함하는 양방향 방송 시스템 및 그 방송 방법에 관한 것이다.
종래의 초고속 인터넷망을 이용하여 제공되는 양방향 방송 서비스는 일반 공중파 방송과 달리 방송과 통신의 융합이라는 패러다임의 변화를 통해 빠르게 발전하고 있다.
이러한 인터넷 기술의 발전으로 인하여, 종래에 방송사로부터 일방적으로 방송되는 방송 컨텐츠를 수동적으로 수신만 하는 것이 아니라, 서버에 미리 저장된 방송 컨텐츠를 사용자가 임의로 선택하여 시청할 수 있는 VOD(Video On Demand) 서비스가 이미 널리 보편화되어 있다. 이러한 VOD 서비스는 스트리밍(Streaming), 다운로드 앤 플레이(Download & Play), 서버 자원 공유 등의 다양한 방식으로 제공되고 있다.
이러한 양방향 방송 서비스의 개념은 더욱 확장되고 있으며, 앞으로도 더 다양한 서비스가 제공될 것으로 보인다.
하지만, 종래의 양방향 방송 서비스는 여전히 상당히 제한적이며, 방송 컨텐츠 이외에 이와 관련 정보들을 다양하게 제공하거나, 방송 컨텐츠와 관련된 상품 광고, 쇼핑, 지식 정보 제공 등의 다양한 서비스를 제공하지 못한다는 점에서 문제점이 있다.
그리고 방송 컨텐츠의 시청 중에도 다양한 정보와 서비스를 제공받고자 하는 사용자의 요구도 더욱 증대되고 있으며, 이러한 정보와 서비스의 범위도 더욱 넓어지고 있다.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본 발명의 목적은, 방송 컨텐츠가 포함한 객체와 관련하여 광고 등의 다양한 서비스를 제공하는 양방향 방송 시스템 및 방송 단말기를 제공하는데 있다.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방송 컨텐츠가 포함한 객체와 관련하여 광고 등의 다양한 서비스를 이용하는 양방향 방송 방법을 제공하는데 있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은, 객체 기반 양방향 방송 시스템에 있어서, 방송 컨텐츠와, 상기 방송 컨텐츠에 포함된 객체들을 분리하기 위한 객체 정보와, 상기 방송 컨텐츠가 객체 기반 양방향 방송 서비스가 제공되는 방송 컨텐츠인지 여부를 표시하는 식별 정보를 전송하는 서버; 및 상기 방송 컨텐츠, 객체 정보 및 식별 정보를 수신하고, 수신된 식별 정보가 상기 방송 컨텐츠가 객체 기반 양방향 방송 서비스가 제공되는 방송 컨텐츠임을 표시하는 경우, 상기 객체 정보를 분석하여 분리한 객체들 중에서 선택된 객체에 상응하는 상세 정보를 수신하여 출력하는 단말기를 포함하는 객체 기반 양방향 방송 시스템을 제공한다.
여기에서, 상기 상세 정보는 상기 서버로부터 전송되도록 구성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단말기는 상기 수신된 객체 중에서 선택된 객체에 상응하는 상세 정보를 출력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단말기는 상기 수신된 방송 컨텐츠를 제 1 화면 출력 레이어(layer)에 출력하고, 상기 객체 정보를 분석하여 상기 방송 컨텐츠 상에 객체를 분리하여 제 2 화면 출력 레이어에 각각 출력하여 사용자로 하여금 상기 객체를 선택할 수 있도록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그리고 상기 단말기는 상기 서버로부터 상기 방송 컨텐츠의 목록 정보 및 상기 식별 정보를 미리 수신하여 데이터베이스로 저장 및 관리함이 바람직하다.
한편, 상기 식별 정보가 상기 방송 컨텐츠가 객체 기반 양방향 방송 서비스가 제공되지 않는 방송 컨텐츠임을 표시하는 경우, 상기 단말기가 상기 제 1 화면 출력 레이어에 상기 서버로부터 수신한 방송 컨텐츠를 출력하고, 상기 제 2 화면 출력 레이어에 상기 분리된 객체를 출력하지 않도록 구성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객체 정보는 상기 방송 컨텐츠 별로 각각 하나씩 구성될 수 있다.
이때, 상기 객체 정보는 상기 방송 컨텐츠에서 제공되는 상품 품목 및 개수에 관한 상품 목록 정보와, 상기 방송 컨텐츠의 출력 중 소정의 타임 슬롯(Time Slot) 동안 출력되어야 할 상품 품목에 관한 타임 슬롯 정보와, 상기 타임 슬롯 내에서 출력될 각 상품 품목을 표시하기 위한 객체 표시 영역 정보 및 위치 이동 정보와, 상기 각 상품 품목 중에서 선택된 상품 품목의 상세 정보를 수신하기 위해 연결될 URL정보를 포함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한편, 상기 제 2 화면 출력 레이어는 상기 제 1 화면 출력 레이어 상에 온 스크린 디스플레이(On Screen Display) 방식으로 오버레이(overlay)되는 화면 출력 레이어인 것이 바람직하다.
여기에서, 상기 상세 정보는 상기 객체에 해당하는 상품의 광고 정보인 것이 바람직하다.
한편, 상기 서버는 상기 객체기반의 방송 컨텐츠를 전송하기 위한 VOD 서버와, 상기 식별 정보와, 상기 방송 컨텐츠에 포함된 객체 정보를 전송하기 위한 객체 정보 관리 서버와, 상기 객체 중 선택된 객체에 관한 상세 정보를 유지 및 관리하기 위한 UI 관리 서버로 각각 별도로 구성될 수 있다.
이때, 상기 단말기는 상기 VOD 서버로부터 상기 방송 컨텐츠를 수신 및 출력하기 위한 미디어 플레이어 모듈과, 상기 객체 정보 관리 서버로부터 상기 객체 정보를 수신하여 처리하기 위한 객체 정보 관리 모듈과, 상기 서버로부터 수신한 식별 정보가 상기 방송 컨텐츠가 객체 기반 양방향 방송 서비스가 제공되는 방송 컨텐츠임을 표시하는 경우 상기 방송 컨텐츠에 포함된 객체 및 상기 객체에 상응하는 상세 정보를 출력하고, 사용자 이벤트에 따른 기능을 수행하기 위한 UI 모듈을 포함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UI 모듈은 상기 서버로부터 수신한 식별 정보가 상기 방송 컨텐츠가 객체 기반 양방향 방송 서비스가 제공되지 않는 방송 컨텐츠임을 표시하는 경우 상기 객체 및 상기 객체에 상응하는 상세 정보를 출력하지 않도록 구성된다.
아울러 상기 단말기는 소정의 디스플레이 장치에 연결되는 셋탑 박스(Set Top Box)일 수 있다.
상기 다른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일 측면은, 방송 컨텐츠가 방송 객체 기반 양방향 방송 서비스가 제공되는 방송 컨텐츠인지 여부를 표시하는 식별 정보를 수신하여 확인하는 단계와, 선택된 방송 컨텐츠가 방송 객체 기반 양방향 방송 서비스가 제공되는 방송 컨텐츠인 경우, 선택된 방송 컨텐츠와 방송 컨텐츠에 포함된 객체들을 분리하기 위한 객체 정보를 수신하는 단계와, 상기 객체 정보를 분석하여 상기 방송 컨텐츠에 포함된 객체들을 상기 방송 컨텐츠 상에 분리하여 표시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객체 기반 양방향 방송 단말기의 방송 방법을 제공한다.
여기에서, 상기 분리하여 표시된 객체들 중에서 선택된 객체에 상응하는 상세 정보를 수신하여 출력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때, 상기 방송 컨텐츠 상에 분리하여 표시하는 단계에서, 상기 단말기가 상기 수신된 방송 컨텐츠를 제 1 화면 출력 레이어에 출력하고, 상기 수신된 객체 정보를 분석하여 상기 방송 컨텐츠 상에 객체를 분리하여 제 2 화면 출력 레이어에 각각 출력하여 사용자로 하여금 상기 객체를 선택할 수 있도록 구성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식별 정보를 수신하는 단계 이전에, 상기 방송 컨텐츠의 목록 정보를 미리 수신하여 데이터베이스로 저장 및 관리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한편, 상기 방송 컨텐츠 상에 분리하여 표시하는 단계에서, 상기 검출된 식별 정보가 상기 방송 컨텐츠가 객체 기반 양방향 방송 서비스가 제공되지 않는 방송 컨텐츠임을 표시하는 경우, 상기 단말기가 상기 서버로부터 수신한 방송 컨텐츠를 하나의 화면 출력 레이어에 출력하도록 구성된다.
이때, 상기 객체 정보를 수신하는 단계에서, 상기 객체 정보가 상기 방송 컨 텐츠 별로 각각 하나씩 구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한편, 상기 객체 정보를 수신하는 단계에서 상기 객체 정보는, 상기 방송 컨텐츠에서 제공되는 상품 품목 및 개수에 관한 상품 목록 정보와, 상기 방송 컨텐츠의 출력 중 소정의 타임 슬롯(Time Slot) 동안 출력되어야 할 상품 품목에 타임 슬롯 정보와, 상기 타임 슬롯 내에서 출력될 각 상품 품목을 표시하기 위한 객체 표시 영역 정보 및 위치 이동 정보와, 상기 각 상품 품목 중에서 선택된 상품 품목의 상세 정보를 수신하기 위해 연결될 UI정보를 포함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방송 컨텐츠 상에 분리하여 표시하는 단계에서, 상기 제 2 화면 출력 레이어가 상기 제 1 화면 출력 레이어 상에 온 스크린 디스플레이 방식으로 오버레이 되는 화면 출력 레이어가 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때, 상기 상세 정보를 수신하여 출력하는 단계에서, 상기 상세 정보가 상기 객체에 해당하는 상품의 광고 정보인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다른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또 다른 일 측면은, 방송 컨텐츠 및 방송 컨텐츠가 객체 기반 양방향 방송 서비스가 제공되는 방송 컨텐츠인지 여부를 표시하는 식별 정보를 수신하여 처리하는 미디어 플레이어 모듈과, 상기 식별 정보가 상기 수신된 방송 컨텐츠가 객체 기반 양방향 방송 서비스가 제공되는 방송 컨텐츠임을 표시하는 경우, 상기 수신된 방송 컨텐츠에 포함된 객체들을 분리하기 위한 객체 정보를 수신하여 처리하는 객체 정보 관리 모듈과, 상기 방송 컨텐츠에 포함된 객체를 상기 방송 컨텐츠 상에 분리하여 표시하고, 표시된 객체 중 선택된 객체에 상응하는 상세 정보를 수신하여 출력하는 UI 모듈과, 사용자의 명령을 입력하기 위한 입력 장치 관리 모듈을 포함하는 객체 기반 양방향 방송 단말기를 제공한다.
이때, 상기 단말기는, 상기 수신된 컨텐츠를 소정의 디스플레이 장치로 출력하는 셋탑 박스(Set Top Box)인 것이 바람직하다.
이때, 상기 미디어 플레이어 모듈이 상기 수신된 방송 컨텐츠를 상기 디스플레이 장치의 제 1 화면 출력 레이어(layer)에 출력하고, 상기 UI 모듈이 상기 수신된 방송 컨텐츠의 객체를 상기 디스플레이 장치의 제 2 화면 출력 레이어에 출력하여 사용자로 하여금 상기 객체를 선택할 수 있도록 구성될 수 있다.
상기와 같은 본 발명에 따른 객체 기반 양방향 방송 시스템, 단말기 또는 그 방송 방법을 이용할 경우에는 방송 컨텐츠의 시청과 더불어 방송 컨텐츠에 포함된 객체와 관련된 다양한 정보와 서비스의 제공을 받을 수 있다.
이를 통하여, 사용자는 보다 다양하고 편리하게 방송 컨텐츠에 관련된 정보와 부가 서비스를 누릴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본 발명은 다양한 변경을 가할 수 있고 여러 가지 실시예를 가질 수 있는 바, 특정 실시예들을 도면에 예시하고 상세한 설명에 상세하게 설명하고자 한다.
그러나, 이는 본 발명을 특정한 실시 형태에 대해 한정하려는 것이 아니며, 본 발명의 사상 및 기술 범위에 포함되는 모든 변경, 균등물 내지 대체물을 포함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각 도면을 설명하면서 유사한 참조부호를 유사한 구성요소에 대해 사용하였다. 그리고 도면에서 동일한 구성요소들에 대해서는 비록 다른 도면에 표시되더라도 가능한 한 동일한 참조번호 및 부호로 나타내고 있음에 유의해야 한다. 또한, 본 발명을 설명함에 있어서, 관련된 공지기능 혹은 구성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발명의 요지를 불필요하게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 그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제 1, 제 2, A, B 등의 용어는 다양한 구성요소들을 설명하는데 사용될 수 있지만, 상기 구성요소들은 상기 용어들에 의해 한정되어서는 안 된다. 상기 용어들은 하나의 구성요소를 다른 구성요소로부터 구별하는 목적으로만 사용된다.
예를 들어, 본 발명의 권리 범위를 벗어나지 않으면서 제 1 구성요소는 제 2 구성요소로 명명될 수 있고, 유사하게 제 2 구성요소도 제 1 구성요소로 명명될 수 있다. 및/또는 이라는 용어는 복수의 관련된 기재된 항목들의 조합 또는 복수의 관련된 기재된 항목들 중의 어느 항목을 포함한다.
어떤 구성요소가 다른 구성요소에 "연결되어" 있다거나 "접속되어" 있다고 언급된 때에는, 그 다른 구성요소에 직접적으로 연결되어 있거나 또는 접속되어 있을 수도 있지만, 중간에 다른 구성요소가 존재할 수도 있다고 이해되어야 할 것이다. 반면에, 어떤 구성요소가 다른 구성요소에 "직접 연결되어" 있다거나 "직접 접속되어" 있다고 언급된 때에는, 중간에 다른 구성요소가 존재하지 않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할 것이다.
본 출원에서 사용한 용어는 단지 특정한 실시예를 설명하기 위해 사용된 것으로, 본 발명을 한정하려는 의도가 아니다. 단수의 표현은 문맥상 명백하게 다르게 뜻하지 않는 한, 복수의 표현을 포함한다. 본 출원에서, "포함하다" 또는 "가 지다" 등의 용어는 명세서상에 기재된 특징,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이 존재함을 지정하려는 것이지, 하나 또는 그 이상의 다른 특징들이나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들의 존재 또는 부가 가능성을 미리 배제하지 않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다르게 정의되지 않는 한, 기술적이거나 과학적인 용어를 포함해서 여기서 사용되는 모든 용어들은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해 일반적으로 이해되는 것과 동일한 의미를 가지고 있다. 일반적으로 사용되는 사전에 정의되어 있는 것과 같은 용어들은 관련 기술의 문맥상 가지는 의미와 일치하는 의미를 가지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하며, 본 출원에서 명백하게 정의하지 않는 한, 이상적이거나 과도하게 형식적인 의미로 해석되지 않는다.
이하, 본 발명에 따른 바람직한 실시예를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하게 설명한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객체 기반 양방향 방송 단말기의 일 실시예를 설명하기 위한 블록도이다.
도 1을 참조하면, 본 발명에 따른 객체 기반 양방향 방송 단말기(100)는 미디어 플레이어 모듈(110), 객체 정보 관리 모듈(120), UI 모듈(130), 입력 장치 관리 모듈(140)을 포함한다. 여기에서, 객체 기반 양방향 방송 단말기(100)는 네트워크(150)를 통해 서버(200)와 연결된다. 이러한 객체 기반 양방향 방송 단말기(100)의 일 예로서는 IP TV(Internet Protocol Television)에 연결되는 셋탑 박스가 될 수 있다. 이하 각 구성에 대하여 간단하게 설명한다.
미디어 플레이어 모듈(110)은 방송 컨텐츠 및 방송 컨텐츠가 객체 기반 양방향 방송 서비스가 제공되는 방송 컨텐츠인지 여부를 표시하는 식별 정보를 서버(200)로부터 수신하여 출력한다.
그리고 객체 정보 관리 모듈(120)은 위 수신한 식별 정보가 미디어 플레이어 모듈(110)이 수신한 방송 컨텐츠가 객체 기반 양방향 방송 서비스가 제공되는 방송 컨텐츠라고 표시하는 경우, 수신된 방송 컨텐츠에 포함된 객체들을 분리하기 위한 객체 정보를 서버(200)로부터 수신하여 처리한다. 즉, 방송 컨텐츠로부터 객체들을 분리한다.
UI 모듈(130)은 방송 컨텐츠에 포함된 객체를 상기 방송 컨텐츠 상에 분리하여 표시한다. 그리고 나서, 표시된 객체 중에서 사용자가 선택한 객체에 상응하는 상세 정보를 서버(200)로부터 수신하여 출력한다.
마지막으로 입력 장치 관리 모듈(140)은 USB 마우스나 리모트 콘트롤과 같은 장치와 연결되어 입력되는 사용자 명령을 처리한다.
즉, 객체 기반 양방향 방송 단말기(100)는 객체 기반 양방향 방송 서비스가 제공되는 방송 컨텐츠의 각 객체에 관련된 각종 서비스를 제공받을 수 있는 장치이다. 객체 기반 양방향 방송 단말기(100)는 서버(200)와 연계된 동작을 중심으로 객체 기반 양방향 방송 시스템을 통해 좀 더 상세하게 살펴보도록 한다.
먼저, 객체 기반 양방향 방송 시스템은 기본적으로 이러한 객체 기반 양방향 방송 단말기(100)와 서버(200)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도 2에서는 이러한 객체 기반 양방향 방송 시스템의 일 실시예를 도시하고 있다. 도 2를 참조하면, 객체 기 반 양방향 방송 시스템은 방송 컨텐츠와 방송 컨텐츠에 포함된 객체들을 분리하기 위한 객체 정보 등을 전송하는 서버들(200-1, 200-2, 200-3)과, 방송 컨텐츠 및 객체 정보를 수신한 후, 객체 정보를 분석하여 방송 컨텐츠와 방송 컨텐츠에 포함된 객체를 분리하여 각각 계층화된 화면 출력으로 출력하는 단말기(100)를 기본적으로 포함한다. 도 2에서 보듯이 도 1의 서버(200)는 각각 VOD 서버(200-1), 객체 정보 관리 서버(200-2), UI 관리 서버(200-3)로 기능에 따라 분리되어 구성될 수 있음을 알 수 있다.
한편, 단말기(100)는 이미 언급한 바와 같이 인터넷 프로토콜 텔레비전이 한 예가 될 수 있으며, 본 발명에서 기술하는 특징을 구비하는 것으로 구성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는 단말기(100)가 인터넷 프로토콜 텔레비전과는 별도로 구성되어 연결되는 셋탑 박스(Set Top Box)로 구성된다. 이러한 경우에는 단말기(100)는 텔레비전과 같은 소정의 디스플레이 장치(300)에 연결되어 영상 컨텐츠의 데이터를 전달하여 출력하도록 한다.
한편, 본 발명에 따른 객체 기반 양방향 방송 시스템을 구현하기 위해서는 사용자의 명령 입력을 위한 입력 수단이 필요하다. 본 실시예에서는 USB 마우스(Universal Serial Bus Mouse)(400), 리모트 콘트롤(Remote Control)(500)을 그 예로 보이고 있다. 이러한 입력 수단은 위 예 외에도 다양하게 부가될 수 있다.
먼저 본 발명의 서버들(200-1, 200-2, 200-3)을 살펴보면 다음과 같다.
VOD 서버(200-1)는 단말기(100)에 VOD 서비스를 제공하기 위해 필요한 서버이다. 본 발명의 VOD 서버는 그 종류에는 무관하며, 스트리밍(Streaming) 기반의 VOD 서버, 다운로드 앤드 플레이(Download & Play) 기반의 VOD 서버, 서버 자원 공유 기반의 VOD 서버 등 어느 것이어도 무방하다.
객체 정보 관리 서버(200-2)는 객체 기반 양방향 방송과 관련된 부가 서비스를 제공하기 위해 필요한 객체 정보를 관리하는 서버이다. 먼저 위 부가 서비스는 그 종류를 불문한다. 이러한 부가 서비스는 방송 컨텐츠와 관련된 다양한 정보의 제공이나 서비스의 제공을 포괄한다. 예를 들면, 방송 서비스, 쇼핑 서비스, 지식 정보 제공 서비스 등이 될 수 있다. 즉, 사용자가 드라마를 시청하는 중에 주인공의 옷, 악세사리, 신 등에 관해 제조 회사명, 상표명, 가격, 재료, 상품 제공 장소 등의 다양한 정보나 광고를 제공하는 것을 의미한다. 그 외에도 주인공이 현재 있는 장소의 위치 정보나 교통 정보 등 사용자가 적극적으로 요청하는 것에 대해서 적극적으로 정보나 광고 등을 제공하는 것을 의미한다. 이를 위해서는 사용자가 원하는 옷, 악세사리, 신 등을 지정하여 객체 정보 관리 서버(200-2)에 요청할 수 있도록 하여야 한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는 광고 서비스를 제공하는 양방향 방송 시스템, 단말기 및 그 방송 방법을 그 예로 설명한다.
위에서 보듯이 객체 정보 관리 서버(200-2)는 위의 옷, 악세사리, 신 또는 주인공의 현재 장소와 같은 방송 컨텐츠 상의 각 객체(Object)들에 관련된 객체 정보를 방송 컨텐츠의 실행 전에 단말기(100)로 전송한다. 이처럼 객체 정보 관리 서버(200-2)는 객체 정보의 제반 관리를 위한 서버이다.
이러한 객체 정보는 방송 컨텐츠마다 별개로 하나의 객체 정보로 구성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즉, 방송 컨텐츠마다 하나의 객체 정보를 구성하도록 한다.
본 발명에 따른 객체 정보를 살펴보면 다음과 같다.
객체 정보는 방송 컨텐츠에서 제공되는 상품 품목 및 개수에 관한 상품 목록 정보, 방송 컨텐츠의 출력 중 소정의 타임 슬롯(Time Slot) 동안 출력되어야 할 상품 품목에 관한 타임 슬롯 정보, 타임 슬롯 내에서 출력될 각 상품 품목을 표시하기 위한 객체 표시 영역 정보 및 위치 이동 정보, 각 상품 품목 중에서 선택된 상품 품목의 상세 정보를 수신하기 위한 연결 정보인 URL 정보를 포함한다.
여기에서 상품 목록 정보는 하나의 방송 컨텐츠에서 제공되는 모든 상품 품목과 그 개수로 구성될 수 있다. 그리고 타임 슬롯 정보는 소정 단위의 타임 슬롯 내에서 처리될 상품 품목에 관한 정보이다. 이러한 타임 슬롯은 방송 컨텐츠의 재생 시간 정보를 분할하여 구성하도록 한다. 한편, 이러한 상품 품목은 이러한 타임 슬롯에서 방송 컨텐츠의 화면 상에서 특정 영역에 위치하는 것으로 지정될 수 있어야 사용자가 선택 가능한데, 객체 정보는 이를 위한 객체 표시 영역 정보 및 위치 이동 정보를 포함한다. 그리고 객체 정보는 사용자가 특정 객체를 선택하는 경우 특정 객체와 관련된 상세 정보를 제공할 서버의 URL 정보를 포함한다. 이러한 상세 정보는 해당 객체 즉, 옷, 신 등의 광고 정보에 해당하는데, 웹(Web) 기반의 HTML 문서로 작성됨이 바람직하다. 이러한 경우 이 HTML 파일에는 상세 정보의 전송 등 관련 처리 모듈이 포함되어 있어서 해당 페이지 내에서만 동작하게 된다. 한편, 이러한 객체 정보의 파일 자체는 다양한 파일 형태로 구현될 수 있지만, XML 기반으로 작성됨이 바람직하다.
그리고 UI 관리 서버(200-3)는 디스플레이 장치(300) 상의 사용자 화면에서 사용자가 특정 객체를 선택하였을 경우 특정 객체에 대한 정보를 유지 및 관리하는 서버이다.
다음으로 본 발명의 단말기(100)를 살펴보면 다음과 같다.
단말기(100)는 미디어 플레이어 모듈(110), 객체 정보 관리 모듈(120), UI 모듈(130), 입력 관리 모듈(140)을 포함한다.
여기에서, 미디어 플레이어 모듈(110)은 VOD 서버(200-1)로부터 방송 컨텐츠를 수신 및 출력하기 위한 모듈이고, 객체 정보 관리 모듈(120)은 객체 정보 관리 서버(200-2)로부터 객체 정보를 수신하여 처리하기 위한 모듈이며, UI 모듈은 방송 컨텐츠에 포함된 객체 및 사용자에 의해 선택된 객체에 상응하는 상세 정보를 출력할 뿐 아니라 사용자 이벤트에 따른 기능을 수행하는 모듈이다. 좀 더 살펴보면 다음과 같다.
미디어 플레이어 모듈(110)은 VOD 서버(200-1)로부터 수신한 방송 컨텐츠를 디코딩하여 디스플레이 장치(300)를 통해 출력하도록 처리한다. 본 발명의 미디어 플레이어 모듈(110)은 이러한 일반적인 기능 외에도 양방향 방송 서비스를 제공하기 위하여 방송 컨텐츠 재생 시간 정보를 객체 정보 관리 모듈(120)에 주기적으로 제공한다. 특히 방송 컨텐츠 재생 시간 정보는 PTS(Presentation Time Stamp)인 것이 바람직하다. 이러한 PTS는 전술한 특정 타임 슬롯 상에서 객체의 영역을 지정하기 위한 시간 정보로서 이용된다. 여기에서, PTS의 시간 단위는 밀리 세컨드(ms) 단위인 것이 적당하다. 미디어 플레이어 모듈(110)이 객체 정보 관리 모듈(120)로 제공하는 PTS 정보의 주기는 인간의 감각 기관을 고려할 때 100 ~ 200 [ms]가 적당하다. 물론 대기 시간이 짧을수록 객체의 분리에 효율적일 수 있으나 시스템의 효율성이나 인간의 시각 특성을 고려할 때 100[ms]이면 충분하다.
객체 정보 관리 모듈(120)은 객체 정보 관리 서버(200-2)로부터 전술한 객체 정보를 수신하여 처리한다. 객체 정보 관리 모듈(120)의 기능에 관하여 좀 더 살펴보면 다음과 같다.
객체 정보 관리 모듈(120)은 먼저, 객체 정보 관리 서버(200-2)로부터 출력할 방송 컨텐츠와 관련된 객체 정보를 수신하고, 수신한 객체 정보를 파싱(Parsing)하여 단말기(100)의 각 모듈이 효율적으로 처리할 수 있도록 객체 정보의 구조를 변경한다. 그리고 UI 모듈(130)이 파싱한 객체 정보에 관련된 이벤트를 처리할 수 있도록 해당 객체 정보를 UI 모듈(130)과 공유한다. 그리고 미디어 플레이어 모듈(110)로부터 전달받은 PTS를 기반으로 시간 경과에 따라 출력될 UI 이벤트 및 관련 정보를 UI 모듈(130)로 전달한다.
다음으로 UI 모듈(130)은 기본적으로 사용자 이벤트에 따른 기능을 수행한다. 여기에서 UI 모듈(130)은 방송 컨텐츠에 포함된 객체를 디스플레이 장치(300)를 통해 출력한다. 이때 미디어 플레이어 모듈(110)에 의해 출력되는 방송 컨텐츠와 UI 모듈(130)에 의해 출력되는 객체는 각각 별개의 계층적인 화면 출력 레이어에 의해 출력된다. 즉, 방송 컨텐츠는 제 1 화면 출력 레이어에 출력하고, 방송 컨텐츠에서 분리된 객체는 제 2 화면 출력 레이어에 출력할 수 있다. 이러한 화면 출력 방식으로서는 온 스크린 디스플레이(On Screen Display) 방식이 한 예가 될 수 있다. 즉, 드라마의 출력 중에 주인공의 가방이나 목걸이는 온 스크린 디스플 레이 방식에 의한 별도의 화면 출력 레이어에 출력할 수 있다.
한편, 본 발명의 단말기(100)는 방송 컨텐츠가 이처럼 방송 서비스 등이 제공되도록 연계되는지 여부를 나타내는 식별 정보를 미리 전달받도록 할 수 있다. 이와 더불어 본 발명의 단말기(100)는 사용자가 원하는 방송 컨텐츠를 VOD 서버(200-1)에 요청할 수 있도록 미리 방송 컨텐츠의 목록 정보도 미리 전달받도록 구성될 수 있다. 이러한 경우 사용자는 방송 컨텐츠의 목록 정보를 참조하여 시청을 원하는 방송 컨텐츠의 전송을 요청할 수 있으며, 이러한 방송 컨텐츠가 방송 서비스 등이 제공되는지 여부를 미리 알 수도 있다. 사용자는 이러한 방송 컨텐츠의 목록 정보와 방송 컨텐츠가 객체 기반 양방향 방송 서비스가 제공되는 방송 컨텐츠인지 여부를 나타내는 플래그(Flag)를 VOD 서버(200-1) 및 객체 정보 관리 서버(200-2)로부터 미리 수신하여 이용할 수 있다. 도 4를 참조하면, 사용자는 사용자 화면을 통해 소정의 방송 컨텐츠의 URL 정보가 제공됨을 확인한다면 객체에 상응하는 상세 정보가 제공되는 것이므로 위 방송 컨텐츠는 객체 기반의 방송 서비스가 제공되는 방송 컨텐츠임을 알 수 있도록 할 수 있다. 한편, 이러한 방송 컨텐츠의 목록 정보 및 플래그는 단말기(100) 내에서 데이터베이스로 저장 및 관리될 수 있다.
한편, 이러한 플래그를 이용한다면, 계층적 화면 출력 레이어를 이용하여 방송 컨텐츠의 객체를 출력할 필요없이 단지 방송 컨텐츠만을 하나의 화면 출력 레이어를 통하여 출력하면 된다. 예를 들어 위 플래그가 방송 컨텐츠가 객체 기반의 방송 서비스가 제공되지 않는 컨텐츠임을 나타내는 값을 가진다면 UI 모듈(130)은 객체 정보를 이용한 객체의 분리를 실행하지 않는 것으로 판단하여 객체의 분리는 실행되지 않는다. 그리고 미디어 플레이어 모듈(110)은 객체의 분리와 무관하게 방송 컨텐츠를 하나의 화면 출력 레이어를 통하여 출력할 뿐이다.
한편, 본 발명의 입력 장치 관리 모듈(140)은 단말기(100)에 연결되는 USB 마우스(400), 리모트 콘트롤(500)과 같은 입력 장치를 관리한다. 이러한 입력 장치에서 사용자 이벤트가 발생하였을 경우, 해당 이벤트를 UI 모듈(130)로 전달하는 역할을 수행한다. 아울러 이러한 입력 장치는 USB 마우스(400), 리모트 콘트롤(500)에 국한되지 않는다.
마지막으로, 앞서 언급한 객체 정보와 관련하여 사용자가 방송 컨텐츠 내에 포함된 객체를 어떻게 특정하여 선택하는 지에 관해서, 도 4 및 도 5를 참조하여 구체적으로 설명한다.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객체 기반 양방향 방송 시스템 또는 방송 방법의 화면 구성예에 관한 것이다. 도 4는 드라마와 같은 방송 컨텐츠가 디스플레이 장치(300)를 통해 출력되는 화면으로서, 방송 컨텐츠 상의 주인공이 목에 걸고 있는 베르사체 목걸이(510), 손에 걸고 있는 샤넬 핸드백(520) 및 식탁 위의 오뚜기 햇반(530)이 객체의 예로서 도시되어 있다. 이러한 객체는 화면 상에서는 일정한 색상이나 구분 가능한 표시를 통해 사용자가 쉽게 인식할 수 있도록 구성할 수 있으며, 방송 컨텐츠의 출력 중에 화면의 하단 부분과 같은 일부분을 분리하여 객체를 간단하게 문자로 부가 표시할 수 있다. 물론 이러한 문자의 부가 표시는 팝업 윈도우(Pop-up Window)로 구성할 수도 있다. 한편, 사용자의 취향에 따라 이러한 객 체의 표시 자체를 방송 컨텐츠의 시청 중에 인에이블/디스에이블(Enable/Disable)되도록 구성할 수도 있다.
한편, 사용자는 이러한 객체의 상세 정보를 얻기 위해 USB 마우스(400) 또는 리모트 콘트롤(500)로 객체를 선택할 수 있다. 즉, 사용자는 USB 마우스(400)를 이용하여 객체 그 자체(510, 520, 530) 또는 객체의 문자 부가 표시(510-1, 520-1, 530-1)를 클릭하여 선택하거나, 리모트 콘트롤(500)을 이용하여 화면 하단의 베르사체 목걸이(510-1), 샤넬 핸드백(520-1), 오뚜기 햇반(530-1) 중 어느 하나의 번호를 클릭하여 선택할 수 있다. 여기에서, 이러한 객체의 선택은 방송 컨텐츠의 출력이 계속되는 중에 객체를 선택하여 상세 정보를 받아보도록 구성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사용자가 특정 객체를 선택하면 방송 컨텐츠의 출력을 일시적으로 중단하도록 구성할 수도 있다. 이러한 것은 사용자가 객체를 선택하는 순간 UI 모듈(130)이 미리 설정된 별도의 플래그로서, 사용자의 선택 여부에 대한 플래그를 변경하여 미디어 플레이어 모듈(110)에 전달함으로써 가능하다. 물론 VOD 서버(200-1)로부터 수신 중인 방송 컨텐츠는 단말기(100) 내의 별도의 데이터베이스에 저장 후 출력할 수도 있다.
이하,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객체 기반 양방향 방송 시스템 또는 방송 방법의 객체 정보의 구성예이다. 도 5를 참조하여 도 4의 화면에 출력된 객체의 객체 정보가 각각 무엇으로 구성되는 지를 구체적인 예를 들어 설명한다.
앞서 언급하였듯이 객체 정보는 상품 목록 정보, 타임 슬롯 정보, 객체 표시 영역 정보 및 위치 이동 정보, URL 정보 등을 포함하여 구성되며, 도 6의 객체 정 보 역시 하나의 방송 컨텐츠에 생성된 객체 정보이다. 도 6은 도 4의 Content ID '001'에 대해서 생성된 객체 정보임을 예시하고 있다. 도 6의 객체 정보 중 상품 목록 정보는 해당 방송 컨텐츠 내에 포함된 모든 상품 품목과 개수를 포함하고 있다. 도 6에서 보듯이 베르사체 목걸이 1개, 샤넬 핸드백 2개 등과 같다. 그리고 객체 정보 중 타임 슬롯 정보는 해당 방송 컨텐츠를 소정 시간 단위의 타임 슬롯으로 나누어 각 타임 슬롯 내에서 출력되는 상품 품목을 포함한다. 예를 들어 도 5의 화면이 타임 슬롯 #1에 해당한다고 가정하면, 타임 슬롯 #1에는 베르사체 목걸이, 샤넬 핸드백, 오뚜기 햇반 등이 타임 슬롯 정보에 포함될 것이다. 즉 해당 타임 슬롯에 포함되는 일부 상품 목록이 해당 될 것이다. 그리고 객체 정보 중 객체 표시 영역 정보 및 위치 이동 정보는 해당 타임 슬롯 내에서 출력되는 각 상품 품목을 표시하기 위한 정보이다. 즉, 상품 품목을 사용자가 구분하여 인식할 수 있도록 표시하기 위한 객체를 지정하기 위한 정보이다. 이는 해당 화면에서 각 객체 즉, 상품이 위치하는 영역에 관한 좌표값이 될 수 있다. 예를 들면 베르사체 목걸이 1개가 도 5의 화면에서 X좌표값 55-60, Y좌표값 72-80의 영역에 위치하는 것으로 나타낼 수 있다. 한편, 해당 방송 컨텐츠는 동영상이므로 해당 상품의 영역이 시간에 따라 변경될 수 있다. 해당 타임 슬롯이 매우 짧은 시간의 구간이라면 위치 이동 정보는 무시할 수 있을 정도로 취급할 수 있겠으나, 그렇지 않은 경우에는 해당 상품의 위치 이동을 지정하고 표시하여야 사용자가 이를 선택할 수 있다. 이러한 위치 이동 정보는 도 6에는 직접 도시하지 않았지만, 처음 X 좌표값 55-60, Y 좌표값 72-80의 해당 좌표값의 변동치나 벡터 변위 정보의 변동치 등을 소정 개수 이상으로 나타내도록 함으로써 상품의 위치 이동에 따른 표시를 할 수 있다. 여하튼 객체 표시 영역 정보 및 위치 이동 정보는 각 객체의 영역이 사용자가 언제라도 선택할 수 있도록 지정되고 표시될 수 있는 정보이면 족하다.
한편, 이러한 객체 정보는 선택된 상품에 대한 URL 정보를 포함하는데, URL 정보는 해당 상품과 링크되어 해당 상품의 상세 정보를 제공하도록 하는 주소 정보라고 할 수 있다. 즉, 도 6의 'www.megatv.com/드라마1/베르사체 목걸이1'이 이에 해당 한다. 해당 상품을 선택하면 해당 URL 정보에 연결된 서버에서 상세 정보를 전송한다. 물론 이러한 상세 정보 역시 해당 방송 컨텐츠의 출력 중에 화면의 일부나 팝업 윈도우를 통해 출력되도록 구성하거나, 해당 방송 컨텐츠의 출력을 일시 중단하고 상세 정보를 출력하도록 구성할 수 있다.
다음으로, 본 발명에 따른 객체 기반 양방향 방송 방법의 일 실시예를 설명한다.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객체 기반 양방향 방송 방법의 일 실시예를 설명하기 위한 순서도이다.
도3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방송 방법은 사용자 화면의 방송 목록 정보에서 선택한 방송 컨텐츠가 객체 기반 양방향 방송 서비스가 제공되는 방송 컨텐츠인지 표시하는 식별 정보를 수신하여 확인하는 단계(S110), 선택한 방송 컨텐츠와 방송 컨텐츠에 포함된 객체들을 분리하기 위한 객체 정보를 수신하는 단계(S120), 수신한 방송 컨텐츠를 제 1 화면 출력 레이어에 출력하고, 수신한 객체 정보를 분석하여 방송 컨텐츠 상에 객체를 분리하여 제 2 화면 레이어에 출력하는 단계(S130), 제 2 화면 출력 레이어에 출력된 분리된 객체를 선택하는 단계(S140), 선택된 객체 에 상응하는 상세 정보를 요청하여 수신하고 출력하는 단계(S150) 및 방송 컨텐츠 또는 상세 정보의 출력을 완료하고 종료하는 단계(S160)를 포함한다. 좀 더 구체적으로는 다음과 같다.
먼저, 사용자는 특정 방송 컨텐츠가 객체 기반 양방향 방송 서비스의 제공되는 방송 컨텐츠인지를 수신한 식별 정보를 통해 확인하고 이를 참조하여 시청하고자 하는 방송 컨텐츠 및 방송 서비스 등을 선택할 수 있다.(S110)
이에 앞서 단말기(100)는 VOD 서버(200-1)로부터 미리 방송 컨텐츠의 목록 정보와 목록 정보 상의 방송 컨텐츠가 객체 기반 양방향 방송 서비스가 제공되는지 여부를 나타내는 플래그를 수신하여 저장한다. 이러한 예가 도 4에 나타나 있다.
도 4를 참조하면, 사용자는 사용자 화면을 통해 소정의 방송 컨텐츠의 URL 정보가 제공됨을 확인한다면 객체에 상응하는 상세 정보가 제공되는 것이므로 위 방송 컨텐츠는 객체 기반의 방송 서비스가 제공되는 방송 컨텐츠임을 알 수 있도록 할 수 있다. 한편, 이러한 방송 컨텐츠의 목록 정보 및 플래그는 단말기(100) 내에서 데이터베이스로 저장 및 관리될 수 있다.
한편, 이러한 플래그를 이용한다면, 계층적 화면 출력 레이어를 이용하여 방송 컨텐츠의 객체를 출력할 필요없이 단지 방송 컨텐츠만을 하나의 화면 출력 레이어를 통하여 출력하면 된다. 예를 들어 위 플래그가 방송 컨텐츠가 객체 기반의 방송 서비스가 제공되지 않는 컨텐츠임을 나타내는 값을 가진다면 UI 모듈(130)은 이 플래그를 미디어 플레이어 모듈(110)에 넘겨줌으로써 미디어 플레이어 모듈(110)이 하나의 화면 출력 레이어에 방송 컨텐츠만을 출력하면 되도록 한다.
이처럼 사용자는 이러한 플래그를 참조하여 객체 기반 양방향 방송 서비스의 제공 여부를 확인하고 이를 이용하여 방송 컨텐츠 및 방송 서비스 등을 선택할 수 있다. 그리고 이러한 플래그를 이용하면 이후 단말기(100)가 방송 컨텐츠를 출력하는 때 방송 컨텐츠만을 출력할 지 또는 방송 컨텐츠와 방송 컨텐츠로부터 분리된 객체를 오버레이하여 출력할 지를 결정할 수 있다.
다음으로 단말기(100)는 사용자가 선택한 방송 컨텐츠와 그 방송 컨텐츠에 포함된 객체들을 분리하기 위한 객체 정보를 VOD 서버(200-1)와 객체 정보 관리 서버(200-2)로부터 미리 수신한다.(S120)
이때 VOD 서버(200-1)와 객체 정보 관리 서버(200-2)는 각각 단말기(100)의 미디어 플레이어 모듈(110)과 객체 정보 관리 모듈(120)과 연결된다. 여기에서 VOD 서버(200-1)는 단말기(100)에 VOD 서비스를 제공하기 위해 필요한 서버로서, 스트리밍(Streaming) 기반의 VOD 서버, 다운로드 앤드 플레이(Download & Play) 기반의 VOD 서버, 서버 자원 공유 기반의 VOD 서버 등을 망라함은 앞서 언급한 바와 같다. 그리고 객체 정보 관리 서버(200-2) 다양한 정보의 제공이나 부가 서비스의 제공을 위해 객체 정보를 관리하는 서버로서, 이러한 부가 서비스 역시 방송 서비스, 쇼핑 서비스, 지식 정보 서비스 등 그 종류를 불문한다. 이하 객체기반 양방향 방송 방법에서도 방송 서비스를 일 예로 설명한다. 여기서 객체 정보 역시 방송 컨텐츠마다 별개로 하나의 객체 정보로 구성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한편, 위 S110 단계에서 사용자가 방송 목록 정보를 통해 선택한 방송 컨텐츠가 객체기반 양방향 방송 서비스가 제공되지 않는 방송 컨텐츠인 경우에는 미디 어 플레이어 모듈(110)이 VOD 서버(200-1)로부터 선택한 방송 컨텐츠를 수신하여 단순히 출력한다.(S120-1) 이때 단말기의 데이터베이스에 저장된 플래그는 UI 모듈(130)을 통해 미디어 플레이어 모듈(110)로 전달되고, 미디어 플레이어 모듈(110)은 객체의 출력을 고려함이 없이 단순히 방송 컨텐츠만을 디스플레이 장치(300)를 통해 출력한다. 그리고 나서 방송 컨텐츠의 출력이 완료되면 이를 종료한다.(S160) 다만, 도 3에는 도시하지 않았지만, 사용자가 USB 마우스(400)나 리모트 콘트롤(500)과 같은 사용자 입력 장치를 통해 명령을 입력하면 입력 장치 관리 모듈(140)이 이를 수신하여 사용자 이벤트를 UI 모듈(130)로 전달하는데, 방송 컨텐츠의 출력 중 종료 등과 같은 사용자의 조작이 가능함은 물론이다.
다음으로 S120 단계에서 객체 정보 관리 서버(200-2)가 방송 컨텐츠에 포함된 객체들을 분리하기 위한 객체 정보를 전송하면, 객체 정보 관리 모듈(120)이 방송 컨텐츠에 포함된 객체와 관련된 객체 정보를 수신하여 방송 컨텐츠와 이에 포함된 객체들을 처리하고 미디어 플레이어 모듈(110)과 UI 모듈(130)이 각각 방송 컨텐츠와 이에 포함된 객체들을 출력한다.(S130) 이 단계의 구성을 좀 더 살펴보면 다음과 같다.
먼저, 객체 정보 관리 모듈(120)은 수신한 객체 정보를 파싱(Parsing)하여 단말기(100)의 각 모듈이 효율적으로 처리할 수 있도록 객체 정보의 데이터 구조를 변경한다. 그리고 나서 UI 모듈(130)이 파싱한 객체 정보에 관련된 이벤트를 처리할 수 있도록 해당 객체 정보를 UI 모듈(130)과 공유한다.
여기에서 미디어 플레이어 모듈(110)과 UI 모듈(130)이 각각 방송 컨텐츠 및 이와 관련된 객체들을 연계하여 출력할 수 있어야 한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는 미디어 플레이어 모듈(110)에서 제공하는 PTS(Presentation Time Stamp)를 이용한다. 기본적으로는 방송 컨텐츠의 재생 시간에 따라 각 객체가 어느 재생 시간에 출력되어야 하는가를 기준으로 판단하고 이를 함께 출력할 수 있도록 한다.
그러므로, 미디어 플레이어 모듈(110)은 PTS를 주기적으로 객체 정보 관리 모듈(120)로 전달하며, 객체 정보 관리 모듈(120)은 PTS와 객체 정보 관리 서버(200-2)로부터 제공받은 객체 정보를 이용하여 방송 컨텐츠에 포함된 객체를 처리할 수 있다. 이러한 객체 정보는 방송 컨텐츠에서 제공되는 상품 품목 및 개수에 관한 상품 목록 정보, 방송 컨텐츠의 출력 중 소정의 타임 슬롯(Time Slot) 동안 출력되어야 할 상품 품목에 관한 타임 슬롯 정보, 타임 슬롯 내에서 출력될 각 상품 품목을 표시하기 위한 객체 표시 영역 정보 및 위치 이동 정보, 각 상품 품목 중에서 선택된 상품 품목의 상세 정보를 수신하기 위한 연결 정보인 URL 정보를 포함한다.
여기에서 상품 목록 정보, 타임 슬롯 정보, 객체 표시 영역 정보 및 위치 이동 정보, URL 정보 각각은 앞서 설명한 도 3의 설명과 같으므로 생략한다.
이때 미디어 플레이어 모듈(110)의 방송 컨텐츠 출력과 UI 모듈(130)의 객체 출력은 각각 계층적인 화면 출력 레이어를 통해 출력한다. 즉, 제 1 화면 출력 레이어에는 방송 컨텐츠를 출력하고, 제 2 화면 출력 레이어에는 방송 컨텐츠에 포함된 객체를 출력한다. 즉, 방송 컨텐츠 상의 특정 상품에 특별한 색상이나 형태 등을 통해 부가되도록 하거나 사용자로 하여금 육안으로 식별할 수 있도록 하여야 한 다. 이러한 방식의 일 예로서는 온 스크린 디스플레이 방식이 될 수 있다. 즉, 드라마 속의 주인공이 착용한 악세사리를 온 스크린 디스플레이 방식으로 오버레이되도록 출력함으로서 사용자가 식별하도록 하는 것이다.
좀 더 구체적으로는 도 5를 통해 본 발명에 따른 화면 출력 구성예를 알 수 있다. 도 5는 드라마와 같은 방송 컨텐츠가 디스플레이 장치(300)를 통해 출력되는 화면으로서, 방송 컨텐츠 상의 주인공이 목에 걸고 있는 베르사체 목걸이(510), 손에 걸고 있는 샤넬 핸드백(520) 및 식탁 위의 오뚜기 햇반(530)이 객체의 예로서 도시되어 있다. 이러한 객체는 화면 상에서는 일정한 색상이나 구분 가능한 표시를 통해 사용자가 쉽게 인식할 수 있도록 구성할 수 있으며, 방송 컨텐츠의 출력 중에 화면의 하단 부분과 같은 일부분을 분리하여 객체를 간단하게 문자로 부가 표시할 수 있다. 물론 이러한 문자의 부가 표시는 팝업 윈도우(Pop-up Window)로 구성할 수도 있을 것이다. 한편, 사용자의 취향에 따라 이러한 객체의 표시 자체를 방송 컨텐츠의 시청 중에 인에이블/디스에이블(Enable/Disable)되도록 구성할 수도 있다.
다음으로, 사용자는 S130 단계에서 제 2 화면 출력 레이어에 출력된 분리된 객체를 선택할 수 있다.(S140)
여기에서 사용자는 USB 마우스(400)나 리모트 콘트롤(500)과 같은 입력 장치를 이용하여 객체를 선택할 수 있다. 이때, 사용자가 선택하지 않고 방송 컨텐츠를 시청만 하는 경우에는 방송 컨텐츠의 출력을 완료하고 종료한다.(S160)
그리고 도 3에는 도시하지 않았지만, 사용자가 USB 마우스(400)나 리모트 콘 트롤(500)과 같은 사용자 입력 장치를 통해 명령을 입력하면 입력 장치 관리 모듈(140)이 이를 수신하여 사용자 이벤트를 UI 모듈(130)로 전달하는데, 방송 컨텐츠의 출력 중 종료 등과 같은 사용자의 조작이 가능함은 역시 앞서 언급한 바와 같다.
여기에서, 사용자의 객체 선택에 관하여 좀 더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이하 도 5 및 도 6을 참조하여 객체 정보를 이용한 객체의 선택을 설명한다.
사용자는 USB 마우스(400) 또는 리모트 콘트롤(500)를 이용하여 도 5에 도시된 상품(510, 520, 530)을 각각 선택하여 상세 정보를 얻을 수 있다. 즉, 사용자는 USB 마우스(400)를 이용하여 객체 그 자체(510, 520, 530) 또는 객체의 문자 부가 표시(510-1, 520-1, 530-1)를 클릭하여 선택하거나, 리모트 콘트롤(500)을 이용하여 화면 하단의 베르사체 목걸이(510-1), 샤넬 핸드백(520-1), 오뚜기 햇반(530-1) 중 어느 하나의 번호를 클릭하여 선택할 수 있다. 여기에서, 이러한 객체의 선택은 방송 컨텐츠의 출력이 계속되는 중에 객체를 선택하여 상세 정보를 받아보도록 구성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사용자가 특정 객체를 선택하면 방송 컨텐츠의 출력을 일시적으로 중단하도록 구성할 수 있음은 앞서 언급한 바와 같다. 이것 역시 사용자가 객체를 선택하는 순간 UI 모듈(130)이 미리 설정된 별도의 플래그를 미디어 플레이어 모듈(110)에 전달함으로써 가능하다. 물론 VOD 서버(200-1)로부터 수신 중인 방송 컨텐츠는 단말기(100) 내의 별도의 데이터베이스에 저장 후 출력할 수 있다.
이러한 상품의 선택을 위해 이용되는 객체 정보의 구성예는 도 6과 같다. 도 6의 객체 정보의 구성예는 이미 앞서 설명한 바와 같으므로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위 S140 단계에서 사용자가 방송 컨텐츠의 시청 중에 원하는 상품에 해당하는 객체를 선택하면, UI 모듈(130)은 선택된 객체에 상응하는 상세 정보를 수신하여 출력한다.(S150)
여기에서 UI 모듈(130)은 이미 객체 정보에 포함된 URL을 이용하여 상세 정보를 요청할 수 있다. 그리고 이러한 상세 정보는 해당 객체 즉, 옷, 신 등의 광고 정보에 해당하는데, 웹(Web) 기반의 HTML 문서로 작성됨이 바람직하다. 이러한 경우 이 HTML 파일에는 상세 정보의 전송 등 관련 처리 모듈이 포함되어 있어서 해당 페이지 내에서만 동작하게 된다. 이러한 HTML 파일을 기반으로 해당 상품의 방송 서비스 뿐만 아니라 쇼핑 서비스 등이 제공될 수도 있을 것이다.
이러한 상세 정보는 디스플레이 장치(300) 상에서 시청 중인 방송 컨텐츠를 일시 중지하고 출력되도록 구성될 수 있으며, 디스플레이 장치(300)의 화면을 분할하여 동시에 출력이 되도록 구성될 수도 있다. 한편, 이러한 상세 정보를 별도로 데이터베이스에 저장하여 시청 중인 방송 컨텐츠의 종료 후에 출력하여 볼 수 있도록 구성될 수도 있다.
다음으로, 방송 컨텐츠 또는 방송 컨텐츠에 포함된 객체의 상세 정보의 출력을 완료하고 종료한다.(S160)
상기에서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참조하여 설명하였지만, 해당 기술 분야의 숙련된 당업자는 하기의 특허 청구의 범위에 기재된 본 발명의 사상 및 영 역으로부터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본 발명을 다양하게 수정 및 변경시킬 수 있음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객체 기반 양방향 방송 단말기의 일 실시예를 설명하기 위한 블록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객체 기반 양방향 방송 시스템의 일 실시예를 설명하기 위한 블록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객체 기반 양방향 방송 방법의 일 실시예를 설명하기 위한 순서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객체 기반 양방향 방송 시스템 또는 방송 방법의 VOD 방송 목록 정보의 구성예이다.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객체 기반 양방향 방송 시스템 또는 방송 방법의 화면 구성예이다.
도 6은 본 발명에 따른 객체 기반 양방향 방송 시스템 또는 방송 방법의 객체 정보의 구성예이다.

Claims (26)

  1. 객체 기반 양방향 방송 시스템에 있어서,
    방송 컨텐츠와, 상기 방송 컨텐츠에 포함된 객체들을 분리하기 위한 객체 정보와, 상기 방송 컨텐츠가 객체 기반 양방향 방송 서비스가 제공되는 방송 컨텐츠인지 여부를 표시하는 식별 정보를 전송하는 서버; 및
    상기 방송 컨텐츠, 객체 정보 및 식별 정보를 수신하고, 수신된 식별 정보가 상기 방송 컨텐츠가 객체 기반 양방향 방송 서비스가 제공되는 방송 컨텐츠임을 표시하는 경우, 상기 객체 정보를 분석하여 분리한 객체들 중에서 선택된 객체에 상응하는 상세 정보를 수신하여 출력하는 단말기를 포함하는 객체 기반 양방향 방송 시스템.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상세 정보는 상기 서버로부터 전송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객체 기반 양방향 방송 시스템.
  3.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단말기는,
    상기 수신된 객체 중에서 선택된 객체에 상응하는 상세 정보를 출력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객체 기반 양방향 방송 시스템.
  4. 제 3 항에 있어서, 상기 단말기는,
    상기 수신된 방송 컨텐츠를 제 1 화면 출력 레이어(layer)에 출력하고, 상기 객체 정보를 분석하여 상기 방송 컨텐츠 상에 객체를 분리하여 제 2 화면 출력 레이어에 각각 출력하여 사용자로 하여금 상기 객체를 선택할 수 있도록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객체 기반 양방향 방송 시스템.
  5. 제 4 항에 있어서, 상기 단말기는,
    상기 서버로부터 상기 방송 컨텐츠의 목록 정보 및 상기 식별 정보를 미리 수신하여 데이터베이스로 저장 및 관리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객체 기반의 양방향 방송 시스템.
  6. 제 5 항에 있어서, 상기 식별 정보가 상기 방송 컨텐츠가 객체 기반 양방향 방송 서비스가 제공되지 않는 방송 컨텐츠임을 표시하는 경우,
    상기 단말기가 상기 제 1 화면 출력 레이어에 상기 서버로부터 수신한 방송 컨텐츠를 출력하고, 상기 제 2 화면 출력 레이어에 상기 분리된 객체를 출력하지 않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객체 기반 양방향 방송 시스템.
  7. 제 6 항에 있어서, 상기 객체 정보는,
    상기 방송 컨텐츠 별로 각각 하나씩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객체 기반 양방향 방송 시스템.
  8. 제 7 항에 있어서, 상기 객체 정보는,
    상기 방송 컨텐츠에서 제공되는 상품 품목 및 개수에 관한 상품 목록 정보;
    상기 방송 컨텐츠의 출력 중 소정의 타임 슬롯(Time Slot) 동안 출력되어야 할 상품 품목에 관한 타임 슬롯 정보;
    상기 타임 슬롯 내에서 출력될 각 상품 품목을 표시하기 위한 객체 표시 영역 정보 및 위치 이동 정보; 및
    상기 각 상품 품목 중에서 선택된 상품 품목의 상세 정보를 수신하기 위해 연결될 URL정보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객체 기반 양방향 방송 시스템.
  9. 제 8 항에 있어서, 상기 제 2 화면 출력 레이어는,
    상기 제 1 화면 출력 레이어 상에 온 스크린 디스플레이(On Screen Display) 방식으로 오버레이(overlay)되는 화면 출력 레이어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객체 기반 양방향 방송 시스템.
  10. 제 9 항에 있어서, 상기 상세 정보는,
    상기 객체에 해당하는 상품의 광고 정보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객체 기반 양방향 방송 시스템.
  11. 제 10 항에 있어서, 상기 서버는,
    상기 객체기반의 방송 컨텐츠를 전송하기 위한 VOD 서버;
    상기 식별 정보와, 상기 방송 컨텐츠에 포함된 객체 정보를 전송하기 위한 객체 정보 관리 서버; 및
    상기 객체 중 선택된 객체에 관한 상세 정보를 유지 및 관리하기 위한 UI 관리 서버로 각각 별도로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객체 기반 양방향 방송 시스템.
  12. 제 11 항에 있어서, 상기 단말기는,
    상기 VOD 서버로부터 상기 방송 컨텐츠를 수신 및 출력하기 위한 미디어 플레이어 모듈;
    상기 객체 정보 관리 서버로부터 상기 객체 정보를 수신하여 처리하기 위한 객체 정보 관리 모듈; 및
    상기 서버로부터 수신한 식별 정보가 상기 방송 컨텐츠가 객체 기반 양방향 방송 서비스가 제공되는 방송 컨텐츠임을 표시하는 경우 상기 방송 컨텐츠에 포함된 객체 및 상기 객체에 상응하는 상세 정보를 출력하고, 사용자 이벤트에 따른 기능을 수행하기 위한 UI 모듈을 포함함을 특징으로 하는 객체 기반 양방향 방송 시스템.
  13. 제 12 항에 있어서, 상기 UI 모듈이,
    상기 서버로부터 수신한 식별 정보가 상기 방송 컨텐츠가 객체 기반 양방향 방송 서비스가 제공되지 않는 방송 컨텐츠임을 표시하는 경우 상기 객체 및 상기 객체에 상응하는 상세 정보를 출력하지 않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객체 기반 양방향 방송 시스템.
  14. 제 13 항에 있어서, 상기 단말기는,
    소정의 디스플레이 장치에 연결되는 셋탑 박스(Set Top Box)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객체 기반 양방향 방송 시스템.
  15. 방송 컨텐츠가 방송 객체 기반 양방향 방송 서비스가 제공되는 방송 컨텐츠인지 여부를 표시하는 식별 정보를 수신하는 단계;
    선택된 방송 컨텐츠가 방송 객체 기반 양방향 방송 서비스가 제공되는 방송 컨텐츠인 경우, 선택된 방송 컨텐츠와 방송 컨텐츠에 포함된 객체들을 분리하기 위한 객체 정보를 수신하는 단계; 및
    상기 객체 정보를 분석하여 상기 방송 컨텐츠에 포함된 객체들을 상기 방송 컨텐츠 상에 분리하여 표시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객체 기반 양방향 방송 단말기의 방송 방법.
  16. 제 15 항에 있어서, 상기 분리하여 표시된 객체들 중에서 선택된 객체에 상응하는 상세 정보를 수신하여 출력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객 체 기반 양방향 방송 단말기의 방송 방법.
  17. 제 16 항에 있어서, 상기 방송 컨텐츠 상에 분리하여 표시하는 단계에서,
    상기 단말기가 상기 수신된 방송 컨텐츠를 제 1 화면 출력 레이어에 출력하고, 상기 수신된 객체 정보를 분석하여 상기 방송 컨텐츠 상에 객체를 분리하여 제 2 화면 출력 레이어에 각각 출력하여 사용자로 하여금 상기 객체를 선택할 수 있도록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객체 기반 양방향 방송 단말기의 방송 방법.
  18. 제 17 항에 있어서, 상기 식별 정보를 수신하는 단계 이전에,
    상기 방송 컨텐츠의 목록 정보를 미리 수신하여 데이터베이스로 저장 및 관리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객체 기반 양방향 방송 단말기의 방송 방법.
  19. 제 18 항에 있어서, 상기 방송 컨텐츠 상에 분리하여 표시하는 단계에서,
    상기 검출된 식별 정보가 상기 방송 컨텐츠가 객체 기반 양방향 방송 서비스가 제공되지 않는 방송 컨텐츠임을 표시하는 경우, 상기 단말기가 상기 서버로부터 수신한 방송 컨텐츠를 하나의 화면 출력 레이어에 출력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객체 기반 양방향 방송 단말기의 방송 방법.
  20. 제 19 항에 있어서, 상기 객체 정보를 수신하는 단계에서,
    상기 객체 정보가 상기 방송 컨텐츠 별로 각각 하나씩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 로 하는 객체 기반 양방향 방송 단말기의 방송 방법.
  21. 제 20 항에 있어서, 상기 객체 정보를 수신하는 단계에서 상기 객체 정보는,
    상기 방송 컨텐츠에서 제공되는 상품 품목 및 개수에 관한 상품 목록 정보;
    상기 방송 컨텐츠의 출력 중 소정의 타임 슬롯(Time Slot) 동안 출력되어야 할 상품 품목에 타임 슬롯 정보;
    상기 타임 슬롯 내에서 출력될 각 상품 품목을 표시하기 위한 객체 표시 영역 정보 및 위치 이동 정보; 및
    상기 각 상품 품목 중에서 선택된 상품 품목의 상세 정보를 수신하기 위해 연결될 UI정보를 포함함을 특징으로 하는 객체 기반 양방향 방송 단말기의 방송 방법.
  22. 제 21 항에 있어서, 상기 방송 컨텐츠 상에 분리하여 표시하는 단계에서,
    상기 제 2 화면 출력 레이어가 상기 제 1 화면 출력 레이어 상에 온 스크린 디스플레이 방식으로 오버레이 되는 화면 출력 레이어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객체 기반 양방향 방송 단말기의 방송 방법.
  23. 제 22항에 있어서, 상기 상세 정보를 수신하여 출력하는 단계에서,
    상기 상세 정보가 상기 객체에 해당하는 상품의 광고 정보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객체 기반 양방향 방송 단말기의 방송 방법.
  24. 방송 컨텐츠 및 방송 컨텐츠가 객체 기반 양방향 방송 서비스가 제공되는 방송 컨텐츠인지 여부를 표시하는 식별 정보를 수신하여 처리하는 미디어 플레이어 모듈;
    상기 식별 정보가 상기 수신된 방송 컨텐츠가 객체 기반 양방향 방송 서비스가 제공되는 방송 컨텐츠임을 표시하는 경우, 상기 수신된 방송 컨텐츠에 포함된 객체들을 분리하기 위한 객체 정보를 수신하여 처리하는 객체 정보 관리 모듈;
    상기 방송 컨텐츠에 포함된 객체를 상기 방송 컨텐츠 상에 분리하여 표시하고, 표시된 객체 중 선택된 객체에 상응하는 상세 정보를 수신하여 출력하는 UI 모듈; 및
    사용자의 명령을 입력하기 위한 입력 장치 관리 모듈을 포함하는 객체 기반 양방향 방송 단말기.
  25. 제 24 항에 있어서, 상기 단말기는,
    상기 수신된 컨텐츠를 소정의 디스플레이 장치로 출력하는 셋탑 박스(Set Top Box)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객체 기반 양방향 방송 단말기.
  26. 제 25 항에 있어서,
    상기 미디어 플레이어 모듈이 상기 수신된 방송 컨텐츠를 상기 디스플레이 장치의 제 1 화면 출력 레이어(layer)에 출력하고,
    상기 UI 모듈이 상기 수신된 방송 컨텐츠의 객체를 상기 디스플레이 장치의 제 2 화면 출력 레이어에 출력하여 사용자로 하여금 상기 객체를 선택할 수 있도록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객체 기반 양방향 방송 단말기.
KR1020080045488A 2008-05-16 2008-05-16 객체 기반 양방향 방송 시스템, 단말기 및 그 방송 방법 KR20090119440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80045488A KR20090119440A (ko) 2008-05-16 2008-05-16 객체 기반 양방향 방송 시스템, 단말기 및 그 방송 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80045488A KR20090119440A (ko) 2008-05-16 2008-05-16 객체 기반 양방향 방송 시스템, 단말기 및 그 방송 방법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90119440A true KR20090119440A (ko) 2009-11-19

Family

ID=4160314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80045488A KR20090119440A (ko) 2008-05-16 2008-05-16 객체 기반 양방향 방송 시스템, 단말기 및 그 방송 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90119440A (ko)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356028B1 (ko) * 2011-03-11 2014-01-24 브로드콤 코포레이션 진행중인 텔레비전 프로그램과 관련된 유저-상호작용을 제공하는 텔레비전 시스템
KR20170089922A (ko) * 2015-03-23 2017-08-04 텐센트 테크놀로지(센젠) 컴퍼니 리미티드 정보 처리 방법 및 장치, 단말기 및 기억 매체
KR102102889B1 (ko) * 2018-10-23 2020-04-22 주식회사 인에이블와우 단말기 및 이의 제어 방법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356028B1 (ko) * 2011-03-11 2014-01-24 브로드콤 코포레이션 진행중인 텔레비전 프로그램과 관련된 유저-상호작용을 제공하는 텔레비전 시스템
KR20170089922A (ko) * 2015-03-23 2017-08-04 텐센트 테크놀로지(센젠) 컴퍼니 리미티드 정보 처리 방법 및 장치, 단말기 및 기억 매체
KR102102889B1 (ko) * 2018-10-23 2020-04-22 주식회사 인에이블와우 단말기 및 이의 제어 방법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7849481B2 (en) Notification for interactive content
JP6219022B2 (ja) 放送受信装置、関連情報提供方法、コンピュータプログラム及び保存媒体
KR100429806B1 (ko) 디지털 tv 프로그램에 연관된 부가 정보를 표시하는방법 및그 장치
CN102948163A (zh) 程序同步触发声明对象的通告
US20130278828A1 (en) Video Display System
AU2002312513A1 (en) Interactive television virtual shopping cart
CN105828124A (zh) 一种直播中信息展示方法及装置
US10257244B2 (en) Method for synchronizing a rich media action with an audiovisual change, corresponding device and computer software, method for generating a rich media presentation and corresponding computer software
US20090204493A1 (en) System and method for providing advertisements in iptv service
JP2010178176A (ja) 情報配信サーバ、携帯端末、これらを備えた情報配信システム及び情報配信方法
US20130111525A1 (en) Method and apparatus for providing information
CN101267544A (zh) 实时显示交互数据的方法和设备
KR20090119440A (ko) 객체 기반 양방향 방송 시스템, 단말기 및 그 방송 방법
KR101895214B1 (ko) 간접광고상품 정보 제공 서버 및 방법
JP2008250815A (ja) メタデータサーバ、検索端末、検索システム
KR20130044903A (ko) 증강 방송 콘텐츠 수신 방법 및 장치, 증강 콘텐츠 제공 방법 및 장치, 증강 콘텐츠 제공 시스템
WO2022052435A1 (zh) 电视网关
KR102435506B1 (ko) 커머스 컨텐츠에 대한 리뷰 컨텐츠 제공 방법, 컴퓨터 프로그램 및 방송 시스템
US20120066075A1 (en) Display apparatus and commercial display method of the same
KR101910458B1 (ko) N-스크린 기반의 ppl 광고 정보 제공 방법
JP5568537B2 (ja) コンテンツ表示方法、コンテンツ表示装置及びそのプログラム
KR102376517B1 (ko) 방송용 컨텐츠의 롤링 디스플레이 방법, 컴퓨터 프로그램 및 방송 시스템
US9077932B2 (en) Multimedia system, relevant multimedia information display device and multimedia information transmission method
CN113498610B (zh) 接收装置
KR20060081204A (ko) 디지털 방송 수신기를 이용한 상품 구매 방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N231 Notification of change of applicant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