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90119215A - 차량 타이어용 전원발생장치 - Google Patents

차량 타이어용 전원발생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90119215A
KR20090119215A KR20080045114A KR20080045114A KR20090119215A KR 20090119215 A KR20090119215 A KR 20090119215A KR 20080045114 A KR20080045114 A KR 20080045114A KR 20080045114 A KR20080045114 A KR 20080045114A KR 20090119215 A KR20090119215 A KR 20090119215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diaphragm
housing
wafer
power
vehicle tir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080045114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1047654B1 (ko
Inventor
이용성
Original Assignee
현대자동차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현대자동차주식회사 filed Critical 현대자동차주식회사
Priority to KR20080045114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047654B1/ko
Priority to JP2008326838A priority patent/JP2009278859A/ja
Priority to US12/357,997 priority patent/US8129885B2/en
Publication of KR20090119215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90119215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047654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047654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NELECTRIC MACHIN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H02N2/00Electric machines in general using piezoelectric effect, electrostriction or magnetostriction
    • H02N2/18Electric machines in general using piezoelectric effect, electrostriction or magnetostriction producing electrical output from mechanical input, e.g. generators
    • H02N2/186Vibration harvester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CVEHICLE TYRES; TYRE INFLATION; TYRE CHANGING; CONNECTING VALVES TO INFLATABLE ELASTIC BODIES IN GENERAL; DEVICES OR ARRANGEMENTS RELATED TO TYRES
    • B60C19/00Tyre parts or construction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CVEHICLE TYRES; TYRE INFLATION; TYRE CHANGING; CONNECTING VALVES TO INFLATABLE ELASTIC BODIES IN GENERAL; DEVICES OR ARRANGEMENTS RELATED TO TYRES
    • B60C23/00Devices for measuring, signalling, controlling, or distributing tyre pressure or temperature, specially adapted for mounting on vehicles; Arrangement of tyre inflating devices on vehicles, e.g. of pumps or of tanks; Tyre cooling arrangement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General Electrical Machinery Utilizing Piezoelectricity, Electrostriction Or Magnetostriction (AREA)
  • Measuring Fluid Pressure (AREA)

Abstract

본 발명에 따른 차량 타이어용 전원발생장치는, 내부 공간이 형성된 하우징과, 상기 하우징에 배치되는 고정 웨이퍼와, 상기 고정 웨이퍼와 접하고, 외부의 진동, 압력 및 음향에너지에 의해 전기 에너지가 생성 가능토록 구비된 다이아프램을 포함하여,
차량 타이어의 공기압을 모니터링하기 위해 구비되는 시스템(TPMS)의 전자장치를 작동하도록 외부의 진동이나 압력 및 음향에너지를 이용하여 기계적인 응력의 작용에 따라 전기를 생성할 수 있는 압전체를 포함하는 다이아프램을 이용하여 소형 및 내구성이 우수한 전원발생장치를 구비함으로써 타이어와 같이 외부의 단절된 부위에 배치되는 전자장치의 사용 시 상기 전원발생장치를 사용하고, 종래 외부의 단절된 부위에 배치되는 전자장치에 자체 배터리를 사용할 시 발생되었던 주기적으로 배터리를 교환해야 하는 문제점을 해결하는 효과를 얻을 수 있다.
타이어, 압전체, 다이아프램, 웨이퍼, 전극

Description

차량 타이어용 전원발생장치{Energy harvesting device for automobile tire}
본 발명은 차량 타이어 전원발생장치에 관한 것으로, 최근 타이어공기압력을 모니터링 하는 시스템(TPMS)등이 법규화 되면서 상기 시스템을 위한 전자장치의 작동을 위해 독립적으로 구비되는 전원발생장치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자동차에는 전자장치들이 구비되고 이러한 전자장치들을 구동하기 위해서는 전력 공급이 필요하다. 최근에는 자동차의 전자장치가 급속도로 증가하는 추세여서 상기 전자장치로 전력 공급을 위한 전선 등의 수량이 증가하고 있다. 특히 최근에는 타이어공기압력을 모니터링하는 시스템(TPMS)이 법규화 되는 추세이고, 상기와 같은 시스템을 작동하기 위해 외부의 진동이나 압력 등을 이용해 전기에너지를 생산할 수 있는 전원발생장치를 구비한다.
도 1은 종래 기술에 따른 외부의 진동에 따라 내부에 존재하는 강철구가 양 쪽에 존재하는 압전 세라믹스 판을 타격하여 전기를 생산하는 개념이 도시된 도면이다.
도 1을 참조하면, 압전 세라믹스 판(1)은 양단이 막힌 원통형 컨테이너(8)의 양단쪽에 배치되어 있고, 강철구(4)가 상기 압전 세라믹스 판(1)을 타격하면, 전기가 생성된다. 완충판(3)은 접착재(6)를 사용하여 컨테이너(8)의 한쪽 측벽에 부착되며, 압전 세라믹스 판(1)은 접착재(6)를 사용하여 상기 완충판(3)의 중심에서만 부착된다. 컨테이너(8) 다른 측벽에는, 상기와 같이 압전 세라믹스 판(1)이 부착되고, 따라서 압전 세라믹스 판(1)의 양쪽은 서로 마주하게 된다. 각 압전 세라믹스 판(1)의 마주하는 면의 중심에는 보호판(2)이 고정된다. 파이프(7)가 압전 세라믹스 판(1)들 사이에 배치되고, 자유롭게 구를 수 있는 강철구(4)는 파이프(7) 내에 제공된다.
상기 압전 세라믹스 판(1)은 동일한 형태(동일 재질, 동일 형상 및 두께)를 갖는 두 개의 판형상의 압전 세라믹스 소자(1a, 1b)를 세라믹스 소자(1a, 1b)의 유전성 분극화(dielectric polarization)의 극이 서로 반대가 되도록 결합하여 형성된다. 동일하게 형성된 세라믹스 소자(1a, 1b)가 결합되므로, 접합면이 중심점(팽창하거나 압축되지 않는 지점)이 되도록 파형 진동이 야기된다. 이 경우, 한쪽 면의 세라믹스 소자(1a)가 팽창하면, 다른 면의 세라믹스 소자(1b)가 압축되고, 출력 전압의 극은 동일한 방향이 되며, 두 개의 압전 세라믹스 소자(1a, 1b)는 발전 구조에서 직렬로 연결된다.
파형 진동이 접합면에 중심이 위치하도록 유발될 때, 팽창 및 압축 동작은 모두 하나의 압전 세라믹스 소자(1a, 또는 1b)에서 수행되며, 발전은 극성의 감쇠없이 효과적으로 이루어진다. 전기적 에너지로서 생성된 전류는 리드 와이어(9)를 통해서 얻어진다.
이 경우 두 개의 압전 세라믹스 소자(1a, 1b)가 적층되지만, 각 압전 세라믹스 소자(1a 또는 1b)는 적층식으로 작동될 수 있다. 이러한 적층 구조에서, 복수의 얇은 압전 세라믹스 판(이 겨우, 복수의 분극은 같음)이 결합되고 적층되며, 그로 인해 하나의 압전 세라믹스 소자(1a 또는 1b)가 형성된다.
압전 세라믹스 판(1)이 접착제(5)를 사용하여 완충판(3)의 중심에 고정된 이유는, 압전 세라믹스 판(1)의 진동이 감소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한 것이다. 압전 세라믹스 판(1)이 진동할 때, 압전 세라믹스 판(1)을 지지하는 부재는 압전 세라믹스 판(1)의진동을 감소시키는 요인이 된다. 감소요인을 제거하기 위해, 압전 세라믹스 판(1)은 완충판(3)을 사용하여 최대한 자유로운 상태에 있게 된다.
완충판(3)을 사용하는 것에 의해, 압전 세라믹스 판(1)의 고유진동이 오랫동안 유지되므로, 발전 효율이 향상된다. 완충부재는 또한 압전 세라믹스 판(1)에 가해지는 충격을 흡수한다. 보호판(2)은 금속, 합성수지 등으로 이루어지며, 압전 세라믹스 판(1)을 강철구(4)의 타격으로부터 보호한다. 압전형 발전기가 바람, 파도 또는 사람의 동작 등을 이용하는 사전에 설정된 운동조건의 환경에 배치되면, 강철구(4)가 아래위로 굴러서 압전 세라믹스 판(1)의 오른쪽 및 왼쪽 면을 타격하게 되어 충돌에 의해 충격에너지를 가한다. 그 후, 압전 세라믹스 판(1)에 진동이 생기 고, 압전 세라믹스 판(1)은 반복적으로 팽창 및 압축되어, 압전 세라믹스 판(1)은
교류전류 전기를 생성한다.
전술한 바와 같은 압전형 발전기는 비교적 작은 힘으로도 큰 에너지를 낼 수 있는 장점이 있으나, 고주파수의 진동에는 성능이 급격히 저하하고, 특히 강철구가 타격하는 부위는 마모가 발생하여 내구성이 취약하며 강철구가 움직이는 파이프 안쪽이 오염 등으로 표면에 요철이 발생하면서 강철구의 이동이 방해 받는 문제점이 있었다.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종래 기술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안출된 것으로서, 외부의 진동이나 압력 및 음향에너지를 이용하여 기계적인 응력의 작용에 따라 전기를 생성할 수 있는 압전체를 포함하는 다이아프램을 이용하여 소형이고 내구성이 우수한 전압발생장치를 구비하여 타이어와 같이 외부의 단절된 부위에 배치되는 전자장치의 사용 시 상기 전압발생장치를 사용함으로써, 자체 배터리를 사용할 시 주기적으로 배터리를 교환해야 하는 문제점을 해결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상기의 한 과제를 해결하기 위한 본 발명에 따른 차량 타이어용 전원발생장치는, 내부 공간이 형성된 하우징과, 상기 하우징에 배치되는 고정 웨이퍼와, 상기 고정 웨이퍼와 접하고, 외부의 진동, 압력 및 음향에너지에 의해 전기 에너지가 생성 가능토록 구비된 다이아프램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다이아프램은 상기 고정 웨이퍼의 상측에 일정 간격 이격되어 복수 개 배치되고, 상기 다이아프램은 사각형 및 원형으로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다이아프램은 상기 고정 웨이퍼와 직접 접하고, 중심부에 공진주파수 조절이 가능토록 질량체가 일체 형성된 실리콘 웨이퍼와, 상기 실리콘 웨이퍼 상측에 전류가 흐를 수 있도록 구비된 상,하부 전극과, 상기 상,하부 전극 사이에 기계적인 응력의 작용에 의해 전기 발생이 가능토록 압전체를 포함하고, 상기 질량체는 상기 실리콘 웨이퍼 가공 시 형성되며 상기 질량체의 크기와 두께는 공진 주파수에 따라 조절 가능하고 상기 다이아프램과 동일한 형태로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고정 웨이퍼는 상기 실리콘 웨이퍼 보다 구조적으로 강성을 갖고, 공기 출입이 가능한 홀이 일정 간격 이격되어 복수 개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하우징은 상기 고정 웨이퍼와 상기 다이아프램이 안착되는 하부 하우징과, 상기 하부 하우징과 결합하며 상기 다이아프램의 상부를 커버하는 상부 하우징과, 상기 다이아프램에서 출력되는 전원을 변환하고 저장 가능토록 전력변환수단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상부 하우징은 외부의 음향에너지를 효과적으로 흡수할 수 있도록 집음판이 구비되고, 상기 집음판은 상기 상부 하우징과 일체로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하부 하우징은 상기 다이아프램에서 발생되는 과도한 진폭을 억제하고 내구성을 향상시키도록 통기홀이 형성되고, 상기 통기홀은 일정 간격 이격 되어 복수 개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전력변환수단은 상기 하부 하우징에 일체로 형성되고, 상기 전력변환수단과 연결되는 전력단자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와 같이 구성된 본 발명에 따른 차량 타이어용 전원발생장치는, 차량 타이어의 공기압을 모니터링하기 위해 구비되는 시스템(TPMS)의 전자장치를 작동하도록 외부의 진동이나 압력 및 음향에너지를 이용하여 기계적인 응력의 작용에 따라 전기를 생성할 수 있는 압전체를 포함하는 다이아프램을 이용하여 소형 및 내구성이 우수한 전원발생장치를 구비함으로써 타이어와 같이 외부의 단절된 부위에 배치되는 전자장치의 사용 시 상기 전원발생장치를 사용하고, 종래 외부의 단절된 부위에 배치되는 전자장치에 자체 배터리를 사용할 시 발생되었던 주기적으로 배터리를 교환해야 하는 문제점을 해결하는 효과를 얻을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 예를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도 2 및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차량 타이어용 전압발생장치를 나타낸 도면 이고,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차량 타이어용 전압발생장치의 다이아프램 구조를 나타낸 도면이며,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차량 타이어용 전압발생장치의 전체 구조를 간략하게 나타낸 도면이고, 도 6은 본 발명에 따른 차량 타이어용 전압발생장치에 따른 효과를 나타낸 그래프이다.
도 2 내지 도 4를 참조하면 상기한 과제를 해결하기 위한 본 발명에 따른 차량 타이어용 전압발생장치는, 내부에 일정한 공간이 형성되어 있는 하우징(10)과, 상기 하우징(10)의 일측에 배치되어 있는 고정 웨이퍼(20)와, 상기 고정 웨이퍼(20)와 접하여 있고, 외부의 진동이나 압력 및 음향에너지에 의해서 전기 에너지가 생성 가능하도록 구비되어 있는 다이아프램(30)을 포함하고 있다.
우선, 상기 다이아프램(30)은 상기 고정 웨이퍼(20)의 상측에서 사용자가 기 설정한 일정 간격만큼 이격되어 복수 개가 배치되어 있고, 상기 다이아프램(30)은 사각형 및 원형으로 형성될 수 있다.
상기 다이아프램(30)은 상기 고정 웨이퍼(20)의 상측에 직접 접하고, 중심부에 공진 주파수의 조절이 가능하도록 질량체(31a)가 일체로 형성되어 있는 실리콘 웨이퍼(31)와, 상기 실리콘 웨이퍼(31)의 상측에 전류가 흐를 수 있도록 구비되어 있는 상, 하부 전극(32,33)과, 상기 상, 하부 전극(32,33) 사이에 배치되어 있어 기계적인 응력의 작용에 의해서 전기 발생이 가능하도록 압전체(34)를 포함하고 있다.
여기서 상기 질량체(31a)는 상기 실리콘 웨이퍼(31)를 후면식각으로 가공할 때 형성되고, 상기 질량체(31a)의 크기와 두께는 원하는 공진 주파수에 따라서 조절 가능할 수 있으며 상기 질량체(31a)는 상기 다이아프램(30)과 동일한 형태로 형성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압전체(34)는 PZT(Pb(Ti,Zr)O3)를 사용할 수 있으며, 압전 효율이 우수한 Zr:Ti가 52:48인 조성인 것을 사용하는 것이 좋다. 한편, 상기 상, 하부 전극(32,33)은 백금이나 금, 구리, 알루미늄 박막을 사용할 수 있다.
상기 실리콘 웨이퍼(31)에 상기 하부 전극(33)을 형성할 때 상기 실리콘 웨이퍼(31)의 표면에는 실리콘 산화막이 형성되는데 상기 실리콘 산화막과 상기 하부 전극(33)의 부착력을 향상시키기 위해 중간층(C)이 형성되고 상기 중간층(C)에는 티타늄이나 크롬이 주로 사용될 수 있다.
도 3에서 보는 바와 같이 상기 다이아프램(30)은 일정한 두께를 얻기 위해서 실리콘 산화물을 매개로 접합하는 SOI 웨이퍼를 사용할 수 있다. 이때 상기 SOI 웨이퍼의 중간에는 산화막(O)이 형성되나 충분한 식각 시간을 통해 제거되어 균일한 두께의 다이아프램을 얻을 수 있다.
다음으로 상기 고정 웨이퍼(20)는 상기 실리콘 웨이퍼(31)보다 구조적으로 강성을 갖고 있는 석영 유리 또는 실리콘 재질로 형성되고, 상기 고정 웨이퍼(20)는 공기 출입이 가능하도록 홀(21)이 사용자가 기 설정한 일정 간격만큼 이격되어 복수 개 형성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하우징(10)은 상부 하우징(12)과 하부 하우징(11)으로 형성되어 있어 내부에 상기 고정 웨이퍼(20) 및 상기 다이아프램(30)이 배치될 수 있는 내부 공간이 형성되어 있고, 상기 하부 하우징(11)에는 상기 고정웨이퍼(20)와 상기 다이아프램(30)이 안착되어 있으며 상기 상부 하우징(12)은 상기 다이아프램(30)의 상부를 커버하는 동시에 상기 하부 하우징(11)과 결합을 한다.
또한 상기 하우징(10)은 상기 다이아프램(30)에서 출력되는 교류전원을 직류전원으로 변환하고 변환된 전원을 저장 할 수 있도록 전력변환수단(13)을 더 포함하고 있다.
여기서 상기 전력변환수단(13)은 상기 하부 하우징(11)에 일체로 형성될 수도 있고 별도로 구비될 수 있으나, 본 실시예에서는 일체로 형성된 것을 도시하였다. 상기 전력변환수단(13)은 상기 전력단자(13a)를 포함하여 상기 전력단자(13a)가 상기 전력변환수단(13)과 연결되며 상기 전력단자(13a)는 동합금 주석을 도금한 소재 혹은 황동 및 청동을 사용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다이아프램(30)과 상기 전력변환수단(13)의 연결과 상기 전력변환수단(13)과 상기 전력단자(13a)와의 연결은 와이어(13b)에 의해 이루어질 수 있다.
상기 상부 하우징(12)은 외부의 음향 에너지를 보다 효과적으로 흡수 할 수 있도록 집음판(12a)을 구비하고 있고, 상기 집음판(12a)은 상기 상부 하우징(12)과 일체로 형성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하부 하우징(11)은 상기 다이아프램(30)에서 발생될 수 있는 과도한 진폭을 억제하고 내구성을 향상시킬 수 있도록 통기홀(11a)이 형성되어 있으며 상기 통기홀(11a)은 사용자가 기 설정한 일정 간격만큼 이격 되어 복수 개 형성 될 수 있다.
상기 통기홀(11a)의 개수 및 크기를 조절하게 되면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외부의 강한 진동 또는 음향 에너지의 압력에 의해서 상기 다이아프램(30)이 과도한 변형을 일으키는 것을 상기 통기홀(11a)을 통해 유출입하는 공기에 의해서 내부에서 발생하는 적절한 압력으로 대항할 수 있게 되어 진폭을 억제할 수 있다.
마지막으로 상기 상부 하우징(12)과 상기 하부 하우징(11)은 반도체용 에폭시 혹은 초음파 융착으로 접하여 결합할 수 있다.
상기와 같이 구성된 본 발명의 차량 타이어용 전압발생장치의 구조 및 작동상태를 살펴보면 다음과 같다.
먼저, 하부 하우징(11)이 구비되면 상기 하부 하우징(11)의 일측에 고정 웨이퍼(2)가 배치된다. 상기 고정 웨이퍼(20)에는 공기의 유출입이 가능하도록 사용자가 기 설정한 일정 간격만큼 이격된 홀(21)이 형성되어 있다.
그리고 상기 고정 웨이퍼(20)의 상측에는 상기 홀(21)의 위치에 대응되어 다이아프램(30)이 배치된다.
상기 다이아프램(30)은 중심부에 공진 주파수의 조절이 가능하도록 질량체(31a)가 일체 형성된 실리콘 웨이퍼(31)와, 상기 실리콘 웨이퍼(20)의 상측에 백금이나 금, 구리 혹은 알루미늄 박막을 사용한 하부 전극(33)이 구비되고, 상기 실리콘 웨이퍼(31)와 상기 하부 전극(33)은 티타늄이나 크롬에 의해 접합한다.
그리고 상기 실리콘 웨이퍼(31)와 접하지 않은 상기 하부 전극(33)의 타측에 는 기계적인 응력의 작용에 의해서 전기를 발생할 수 있도록 PZT인 압전체(34)가 구비되고, 상기 압전체(34)의 상측에 상기 하부 전극(33)과 동일 소재의 상부 전극(32)이 구비된다.
상기 고정 웨이퍼(20)의 상측에 상기 다이아프램(30)이 구비되면 상기 다이아프램(30)의 상부를 커버하며 외부의 음향 에너지를 효과적으로 흡수 할 수 있도록 집음판(12a)이 일체 형성된 상기 상부 하우징(12)이 구비되어 상기 하부 하우징(11)과 결합된다.
한편, 상기 하부 하우징(11)에는 상기 다이아프램(30)에서 출력되는 교류 전원을 직류 전원으로 변환하고 변환된 전원을 저장 할 수 있는 전력변환수단(13)이 일체 형성되어 있다.
상기 전력변환수단(13)에는 황동 혹은 청동을 사용한 전력단자(13a)가 연결이 되고, 상기 다이아프램(30)과 상기 전력변환수단(13)의 연결과 상기 전력변환수단(13)과 상기 전력단자(13a)의 연결은 와이어(13b)에 의해서 이루어진다.
상기와 같은 차량 타이어용 전원발생장치는 외부의 진동이나 압력 및 음향 에너지가 상기 다이아프램(30)에 전달이 되면 상기 다이아프램(30)이 상하로 변형이 되고, 이때 상기 다이아프램(30)에 구비되어 있는 상기 압전체(34)를 변형시키면서 상기 상, 하부 전극(32,33)에서는 전기가 생산된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전원발생장치는 도 6에서 보는 바와 같이 음향 에너지의 압력(음압)이 90Db 이상 증가시에는 상기 하부 하우징(11)에 형성되어 있는 통기홀(11a)에 의한 공기의 댐핑효과로 상기 다이아프램(30)의 변형이 억제되므로 전 기 에너지의 발생량이 더 이상 커지지 않는 것을 알 수 있다. 이로 인해 과도한 음압에 의한 다이아프램(30)의 파손 위험이 없어 내구성이 우수한 장점을 갖고 있다.
이와 같이 본 발명은 도면에 도시된 실시예를 참고로 설명되었으나 이는 예시적인 것에 불과하며, 본 발명은 상기의 실시예와 도면에 의해 한정되지 않고 그 발명의 기술사상 범위 내에서 당업자에 의해 다양한 변형이 가능하다. 따라서, 본 발명의 진정한 기술적 보호 범위는 첨부된 특허청구범위의 기술적 사상에 의하여 정해져야 할 것이다.
본원 발명에 따른 차량 타이어용 전원발생장치를 적용하면, 타이어와 같이 외부에 단절되어 있는 부위의 전자장치를 위해 사용되던 자체 배터리를 삭제할 수 있고, 이로 인해 배터리 사용 및 배터리 교환 등으로 인해 발생되는 비용을 절감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도 1은 종래 기술에 따른 외부의 진동에 따라 내부에 존재하는 강철구가 양쪽에 존재하는 압전 세라믹스 판을 타격하여 전기를 생산하는 개념이 도시된 도면
도 2 및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차량 타이어용 전압발생장치를 나타낸 도면.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차량 타이어용 전압발생장치의 다이아프램 구조를 나타낸 도면.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차량 타이어용 전압발생장치의 전체 구조를 간략하게 나타낸 도면.
도 6은 본 발명에 따른 차량 타이어용 전압발생장치에 따른 효과를 나타낸 그래프.
<도면의 주요 부분에 관한 부호의 설명>
10: 하우징 11: 하부 하우징
12: 상부 하우징 20: 고정 웨이퍼
30: 다이아프램 31: 실리콘 웨이퍼
32: 상부 전극 33: 하부 전극
34: 압전체 C: 중간층
O: 산화막

Claims (8)

  1. 내부 공간이 형성된 하우징과,
    상기 하우징에 배치되는 고정 웨이퍼와,
    상기 고정 웨이퍼와 접하고, 외부의 진동, 압력 및 음향에너지에 의해 전기 에너지가 생성 가능토록 구비된 다이아프램을 포함하는 차량 타이어용 전원발생장치.
  2.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다이아프램은 상기 고정 웨이퍼의 상측에 일정 간격 이격되어 복수 개 배치되고, 상기 다이아프램은 사각형 및 원형으로 형성된 차량 타이어용 전원발생장치.
  3.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다이아프램은 상기 고정 웨이퍼와 직접 접하고, 중심부에 공진주파수 조절이 가능토록 질량체가 일체 형성된 실리콘 웨이퍼와,
    상기 실리콘 웨이퍼 상측에 전류가 흐를 수 있도록 구비된 상,하부 전극과,
    상기 상,하부 전극 사이에 기계적인 응력의 작용에 의해 전기 발생이 가능토록 압전체를 포함하고,
    상기 질량체는 상기 실리콘 웨이퍼 가공 시 형성되며, 상기 질량체의 크기 와 두께는 공진주파수에 따라 조절 가능하고 상기 다이아프램과 동일한 형태로 형성된 차량 타이어용 전원발생장치.
  4.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고정 웨이퍼는 상기 실리콘 웨이퍼 보다 구조적으로 강성을 갖고, 공기 출입이 가능한 홀이 일정 간격 이격되어 복수 개 형성된 차량 타이어용 전원발생장치.
  5.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하우징은 상기 고정 웨이퍼와 상기 다이아프램이 안착되는 하부 하우징과,
    상기 하부 하우징과 결합하며 상기 다이아프램의 상부를 커버하는 상부 하우징과,
    상기 다이아프램에서 출력되는 전원을 변환하고 저장 가능토록 전력변환수단을 포함하는 차량 타이어용 전원발생장치.
  6. 청구항 5에 있어서,
    상기 상부 하우징은 외부의 음향에너지를 효과적으로 흡수할 수 있도록 집음판이 구비되고, 상기 집음판은 상기 상부 하우징과 일체로 형성된 차량 타이어용 전원발생장치.
  7. 청구항 5에 있어서,
    상기 하부 하우징은 상기 다이아프램에서 발생되는 과도한 진폭을 억제하고 내구성을 향상시키도록 통기홀이 형성되고, 상기 통기홀은 일정 간격 이격 되어 복수 개 형성된 차량 타이어용 전원발생장치.
  8. 청구항 5에 있어서,
    상기 전력변환수단은 상기 하부 하우징에 일체로 형성되고, 상기 전력변환수단과 연결되는 전력단자를 더 포함하는 차량 타이어용 전원발생장치.
KR20080045114A 2008-05-15 2008-05-15 차량 타이어용 전원발생장치 KR101047654B1 (ko)

Priority Applications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080045114A KR101047654B1 (ko) 2008-05-15 2008-05-15 차량 타이어용 전원발생장치
JP2008326838A JP2009278859A (ja) 2008-05-15 2008-12-24 バッテリー代替発電ユニット
US12/357,997 US8129885B2 (en) 2008-05-15 2009-01-22 Electric generating unit as substitute for vehicle battery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080045114A KR101047654B1 (ko) 2008-05-15 2008-05-15 차량 타이어용 전원발생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90119215A true KR20090119215A (ko) 2009-11-19
KR101047654B1 KR101047654B1 (ko) 2011-07-07

Family

ID=4131550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080045114A KR101047654B1 (ko) 2008-05-15 2008-05-15 차량 타이어용 전원발생장치

Country Status (3)

Country Link
US (1) US8129885B2 (ko)
JP (1) JP2009278859A (ko)
KR (1) KR101047654B1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DE112010004671T5 (de) 2009-12-03 2013-01-17 Lg Electronics Inc. Leistungssteuerverfahren einer durch Benutzergestik steuerbaren Vorrichtung
KR20150066079A (ko) * 2013-12-06 2015-06-16 현대자동차주식회사 자가 발전 장치 및 이를 적용한 타이어압 모니터링 시스템

Families Citing this family (8)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DE102007006994A1 (de) * 2006-08-11 2008-02-14 Robert Bosch Gmbh Schaltungsmodul
KR101843185B1 (ko) * 2011-06-20 2018-03-29 삼성전기주식회사 관성센서
KR20120080882A (ko) * 2011-01-10 2012-07-18 삼성전자주식회사 음향 변환기 및 그 구동방법
CN105393300B (zh) * 2013-07-18 2019-12-13 香港科技大学 杂化共振引起的声学吸收和杂化共振超表面的声电能转换
CN104426424A (zh) * 2013-08-29 2015-03-18 中国科学院微电子研究所 一种宽频振动能量采集器结构及其制造方法
CN103840709B (zh) * 2014-02-20 2016-04-13 东南大学 物联网射频收发组件开孔混合梁振动电磁自供电微传感器
US10581344B2 (en) * 2015-01-16 2020-03-03 Chambre De Commerce Et D'industrie De Region Paris Ile De France Miniature kinetic energy harvester for generating electrical energy from mechanical vibrations
US10999684B1 (en) 2020-01-17 2021-05-04 Sae Magnetics (H.K.) Ltd. MEMS microphone and method of manufacturing the MEMS microphone

Family Cites Families (1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3360664A (en) * 1964-10-30 1967-12-26 Gen Dynamics Corp Electromechanical apparatus
US4079213A (en) * 1977-04-21 1978-03-14 Essex Group, Inc. Piezoelectric transducer having improved low frequency response
GB2166022A (en) * 1984-09-05 1986-04-23 Sawafuji Dynameca Co Ltd Piezoelectric vibrator
US5251264A (en) * 1992-03-25 1993-10-05 Motorola, Inc. Mechanical-vibration-cancelling piezo ceramic microphone
JPH07107752A (ja) * 1993-09-30 1995-04-21 Mitsuteru Kimura 圧電発電装置
JP2894276B2 (ja) * 1996-05-02 1999-05-24 日本電気株式会社 圧電音響変換器
JP2001119795A (ja) * 1999-08-10 2001-04-27 Murata Mfg Co Ltd 圧電型電気音響変換器
JP2004532743A (ja) * 2000-10-25 2004-10-28 ワシントン ステート ユニバーシティ リサーチ ファウンデーション 圧電マイクロトランスデューサ、その使用法および製造法
US7860259B2 (en) * 2004-03-25 2010-12-28 Nec Corporation Piezoelectric acoustic element, acoustic device, and portable terminal device
JP2005354765A (ja) * 2004-06-08 2005-12-22 Taiheiyo Cement Corp 発電装置
US20060232166A1 (en) * 2005-04-13 2006-10-19 Par Technologies Llc Stacked piezoelectric diaphragm members
JP2007013509A (ja) * 2005-06-30 2007-01-18 Sanyo Electric Co Ltd 音響センサおよびダイアフラム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DE112010004671T5 (de) 2009-12-03 2013-01-17 Lg Electronics Inc. Leistungssteuerverfahren einer durch Benutzergestik steuerbaren Vorrichtung
KR20150066079A (ko) * 2013-12-06 2015-06-16 현대자동차주식회사 자가 발전 장치 및 이를 적용한 타이어압 모니터링 시스템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US20090284103A1 (en) 2009-11-19
US8129885B2 (en) 2012-03-06
JP2009278859A (ja) 2009-11-26
KR101047654B1 (ko) 2011-07-07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047654B1 (ko) 차량 타이어용 전원발생장치
KR101295670B1 (ko) 압전 발전기
CN105375818B (zh) 双曲臂型压电-电磁复合发电装置
KR101813731B1 (ko) 에너지 획득 방법 및 장치
CN101262189A (zh) 收集弯曲振动能量的压电式发电机
US20150349667A1 (en) Internal vibration impulsed broadband excitation energy harvester systems and methods
JP2013038755A (ja) 変換器モジュール
US20100045143A1 (en) Self-contained piezoelectric device for generating voltage
JP2011152004A (ja) 発電ユニットおよび発電装置
WO2004077652A1 (ja) 圧電発電装置
CN102412757A (zh) 一种基频共振频率可调的悬臂型压电发电机
JP2009165212A (ja) 圧電体を用いた発電素子およびそれを用いた発電装置
US20040041498A1 (en) Piezoelectric generator
KR100911886B1 (ko) 진동형 압전막을 이용한 도로 매설식 에너지 하비스터
EP2908554B1 (en) Oscillator and electronic device
Pradeesh et al. Vibration based piezoelectric energy harvesting-a review
JP2011193665A (ja) 発電システム
TW201308865A (zh) 能量轉換模組
CN215918086U (zh) 压电超声换能器
CN110165938A (zh) 一种多方向宽频带超声能量收集器
JP2004222414A (ja) 圧電発電方法及びその装置
US20140022026A1 (en) Oscillator
WO2015183281A1 (en) Internal vibration impulsed broadband excitation energy harvester systems and methods
CN220514668U (zh) 一种压电薄膜超声换能器及定向发声的电子设备
JP5943506B2 (ja) 振動力発電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0630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0630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630

Year of fee payment: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628

Year of fee payment: 8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627

Year of fee payment: 9