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90117600A - 디스플레이장치용 지지장치 - Google Patents

디스플레이장치용 지지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90117600A
KR20090117600A KR1020090015819A KR20090015819A KR20090117600A KR 20090117600 A KR20090117600 A KR 20090117600A KR 1020090015819 A KR1020090015819 A KR 1020090015819A KR 20090015819 A KR20090015819 A KR 20090015819A KR 20090117600 A KR20090117600 A KR 20090117600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wire
display device
holes
pair
fixing uni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90015819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0955479B1 (ko
Inventor
박재후
윤부근
김상학
태기현
김봉주
Original Assignee
삼성전자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Priority claimed from KR1020080120211A external-priority patent/KR20100007682A/ko
Application filed by 삼성전자주식회사 filed Critical 삼성전자주식회사
Priority to US12/437,157 priority Critical patent/US7883069B2/en
Priority to EP09159736A priority patent/EP2116755B1/en
Priority to DE200960000822 priority patent/DE602009000822D1/de
Priority to EP11151030.1A priority patent/EP2302280B1/en
Priority to AT09159736T priority patent/ATE501393T1/de
Priority to ES09159736T priority patent/ES2333937T1/es
Priority to EP11151032.7A priority patent/EP2302281B1/en
Priority to EP10193875A priority patent/EP2292968B1/en
Priority to DE09159736T priority patent/DE09159736T1/de
Publication of KR20090117600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90117600A/ko
Priority to CY20092200002T priority patent/CY2200167T2/el
Publication of KR100955479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955479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5/00Details of television systems
    • H04N5/64Constructional details of receivers, e.g. cabinets or dust covers
    • H04N5/655Construction or mounting of chassis, e.g. for varying the elevation of the tube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MFRAMES, CASINGS OR BEDS OF ENGINES, MACHINES OR APPARATUS, NOT SPECIFIC TO ENGINES, MACHINES OR APPARATUS PROVIDED FOR ELSEWHERE; STANDS; SUPPORTS
    • F16M11/00Stands or trestles as supports for apparatus or articles placed thereon Stands for scientific apparatus such as gravitational force meters
    • F16M11/02Heads
    • F16M11/04Means for attachment of apparatus; Means allowing adjustment of the apparatus relatively to the stand
    • F16M11/06Means for attachment of apparatus; Means allowing adjustment of the apparatus relatively to the stand allowing pivoting
    • F16M11/12Means for attachment of apparatus; Means allowing adjustment of the apparatus relatively to the stand allowing pivoting in more than one direction
    • F16M11/125Means for attachment of apparatus; Means allowing adjustment of the apparatus relatively to the stand allowing pivoting in more than one direction for tilting and rolling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MFRAMES, CASINGS OR BEDS OF ENGINES, MACHINES OR APPARATUS, NOT SPECIFIC TO ENGINES, MACHINES OR APPARATUS PROVIDED FOR ELSEWHERE; STANDS; SUPPORTS
    • F16M11/00Stands or trestles as supports for apparatus or articles placed thereon Stands for scientific apparatus such as gravitational force meters
    • F16M11/02Heads
    • F16M11/18Heads with mechanism for moving the apparatus relatively to the stand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MFRAMES, CASINGS OR BEDS OF ENGINES, MACHINES OR APPARATUS, NOT SPECIFIC TO ENGINES, MACHINES OR APPARATUS PROVIDED FOR ELSEWHERE; STANDS; SUPPORTS
    • F16M13/00Other supports for positioning apparatus or articles; Means for steadying hand-held apparatus or articles
    • F16M13/02Other supports for positioning apparatus or articles; Means for steadying hand-held apparatus or articles for supporting on, or attaching to, an object, e.g. tree, gate, window-frame, cycle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1/00Details not covered by groups G06F3/00 - G06F13/00 and G06F21/00
    • G06F1/16Constructional details or arrangements
    • G06F1/1601Constructional details related to the housing of computer displays, e.g. of CRT monitors, of flat displays
    • G06F1/1607Arrangements to support accessories mechanically attached to the display housing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Multimedia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Computer Hardware Design (AREA)
  • Human Computer Interaction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Devices For Indicating Variable Information By Combining Individual Elements (AREA)

Abstract

본 발명의 목적은 디스플레이장치에 별도의 추가가공없이 와이어를 연결할 수 있는 디스플레이장치용 지지장치를 제공하는 것이다.
개시된 본 발명에 의한 디스플레이장치용 지지장치는 디스플레이장치를 벽면에 고정하기 위한 디스플레이장치용 지지장치에 있어서, 상기 디스플레이장치의 배면에는 VESA(Video Electronics Standards Association) 월 마운트 규격에 따라 형성된 복수의 VESA홀이 마련되고, 상기 복수의 VESA홀 중 어느 한 쌍의 VESA홀에 양단이 결합되는 와이어부와, 상기 와이어부를 상기 벽면에 걸기 위해 상기 벽면에 고정된 와이어걸이부를 포함하여 이루어질 수 있다.

Description

디스플레이장치용 지지장치{SUPPORTING DEVICE FOR DISPLAY UNIT}
본 발명은 디스플레이장치용 지지장치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와이어를 이용하여 디스플레이장치를 벽면에 고정할 수 있는 디스플레이장치용 지지장치에 관한 것이다.
디스플레이장치는 텔레비젼, 컴퓨터 모니터 등과 같은 화면출력장치의 일종으로, 현재 각 가정 및 사무실 등에 널리 보급되어 있다. 최근에는 액정표시장치(LCD), 플라즈마 디스플레이 패널(PDP) 등과 같이 두께가 얇고도 부피가 적은 평판형 디스플레이 본체가 개발되어 널리 사용되고 있으며, 그 수요 또한 점점 증가하고 있는 추세이다.
이와 같은 평판형 디스플레이 장치는 두께가 얇아 벽면에 걸어두고 사용할 경우 주거공간을 보다 효과적으로 활용할 수 있어 편리하므로, 디스플레이장치를 벽에 걸어두기 위해 다양한 지지장치가 개발되고 있다.
디스플레이장치용 지지장치의 일 예로 대한민국 공개특허공보 2005-70839호에는 박형 벽걸이용 티브이를 벽면에 간편하게 거치 시킬 수 있도록 한 것과 더불어 상기 벽걸이용 티브이의 시청 각도를 시청자가 원하는 위치로 조절 할 수 있도 록 한 벽걸이용 티브이의 벽걸이 장치가 개시된다.
상기 공보에 개시된 벽걸이용 티브이의 벽걸이 장치(이하 '디스플레이장치용 지지장치'라 한다.)는 벽걸이용 티브이의 후면을 이루는 백커버와; 벽걸이용 티브이가 벽면에 걸려서 고정되도록 구비된 벽걸이용 와이어와; 백커버의 후면에 일체로 형성되어 와이어를 고정하는 와이어 고정부; 그리고, 백커버의 후면에 구비되어, 벽걸이용 티브이의 시청 각도를 조절하는 각도조절수단을 포함하여 구성된다.
그러나, 상기 공보에 개시된 지지장치에 포함되는 각도조절수단은 사용자가 직접 백커버에 장착된 각도조절수단의 상,하부회동부를 회전시켜 시청각도를 조절해야 하기 때문에 사용자가 디스플레이장치의 시청각도를 조절하기가 용이하지 아니한 문제점이 있다.
또한, 벽걸이용 티브이의 백커버에는 와이어를 고정하기 위한 와이어 고정부가 마련되는데, 와이어 고정부의 구조상 견고한 지지가 어려워 벽걸이용 티브이가 대형화되는 경우 티브이의 하중에 의해 와이어 고정부가 파손되어 안전사고가 발생할 수 있는 문제점이 있다.
또한, 벽걸이용 티브이의 백커버에는 와이어를 고정하기 위한 와이어 고정부가 마련되는데, 와이어 고정부의 형성을 위한 별도의 가공이 필요하기 때문에 제조공정이 추가되어 제조비용이 증가하는 문제점이 있다.
또한, 상기 공보에 개시된 지지장치의 와이어가 디스플레이장치의 외부로 노출되기 때문에 미관이 저하되는 문제점이 있다.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점을 감안하여 안출된 것으로, 본 발명의 목적은 사용자가 용이하게 디스플레이장치의 시청각도를 조절할 수 틸팅장치를 구비한 디스플레이장치용 지지장치를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와이어부를 디스플레이장치에 견고하게 장착할 수 있는 구조를 구비한 디스플레이장치용 지지장치를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은 디스플레이장치에 별도의 추가가공없이 와이어를 연결할 수 있는 디스플레이장치용 지지장치를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은 디스플레이장치를 벽에 고정하는 경우 디스플레이장치가 벽면에 실질적으로 평행하게 고정 가능하게 하는 디스플레이장치용 지지장치를 제공하는 것이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에 따른 디스플레이장치용 지지장치는 디스플레이장치를 벽면에 고정하기 위한 디스플레이장치용 지지장치에 있어서, 상기 디스플레이장치의 배면에는 VESA(Video Electronics Standards Association) 월 마운트 규격에 따라 형성된 복수의 VESA홀이 마련되고, 상기 복수의 VESA홀 중 어느 한 쌍의 VESA홀에 양단이 결합되는 와이어부와, 상기 와이어부를 상기 벽면에 걸기 위해 상기 벽면에 고정된 와이어걸이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와이어부는 상기 복수의 VESA홀 중 상부에 형성된 한 쌍의 상부 VESA홀에 고정될 수 있다.
상기 복수의 VESA홀 중 하부에 형성된 한 쌍의 하부 VESA홀에 고정되어 상기 디스플레이장치의 배면을 벽면에 대해 소정거리 이격시키는 이격부재를 더 포함한다.
상기 이격부재에 회전 가능하게 장착되어 상기 디스플레이장치를 틸팅시키는 회전암부를 더 포함한다.
상기 이격부재는 스크류체결이 가능한 스크류삽입홀과, 상기 회전암부의 과 회전을 방지하는 지지부와, 상기 벽면과의 접촉부위에 마련된 완충부재를 포함한다.
상기 회전암부는 상하 회전 가능하게 마련되고, 상기 회전암부는 하방으로 회전하여 선단이 벽면에 지지되어 상기 디스플레이장치를 틸팅시킨다.
상기 와이어의 길이는 상기 한 쌍의 상부 VESA홀사이의 거리보다 길고, 상기 한 쌍의 상부 VESA홀사이의 중심과 접하는 수직선이 상기 디스플레이장치의 상단과 만나는 지점에서 상기 한 쌍의 상부 VESA홀 각각을 연결하는 거리의 합보다 짧게 형성할 수 있다.
상기 와이어의 양 단부 각각과 결합되며 상기 VESA홀에 고정되는 고정유닛을 더 포함한다.
상기 와이어는 상기 고정유닛에 스크류결합될 수 있다.
상기 고정유닛은 상기 와이어와 결합되는 고정부재와, 상기 고정부재를 수용하는 케이스를 포함한다.
상기 고정유닛은 상기 와이어를 상기 고정유닛내부로 안내하는 와이어삽입공이 형성될 수 있다.
상기 고정유닛은 외관을 형성하는 제1케이스와, 상기 제1케이스와 결합하며 내부에 상기 와이어가 감기는 공간을 구획하는 제2케이스를 포함한다.
상기 와이어삽입공은 상기 제1케이스의 외주면에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와이어부가 상기 고정유닛외부로 이탈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해 상기 와이어부의 단부에는 이탈방지부가 마련된다.
상기 고정유닛은 상기 와이어를 상기 고정유닛내부로 안내하는 와이어삽입공이 형성되고, 상기 이탈방지부는 상기 와이어삽입공보다 반경이 더 크게 형성된다.
상기 와이어는 상기 공간에서 잠겨진 형태로 상기 이탈방지부측이 상기 와이어에 매듭지어질 수 있다.
상기 고정유닛은 상기 벽면과의 접촉하는 접촉부위에 마련된 완충부재를 더 포함한다.
그리고, 본 발명의 다른 측면에 따른 디스플레이장치용 지지장치는 디스플레이장치를 벽면에 고정하기 위한 디스플레이장치용 지지장치에 있어서, 상기 디스플레이장치의 배면에 결합되는 한 쌍의 고정유닛과, 양단이 상기 고정유닛에 결속되는 와이어부와, 상기 와이어부를 상기 벽면에 걸기 위해 상기 벽면에 고정된 와이어걸이부를 포함하여 이루어 질 수 있다.
상기 디스플레이장치의 배면에는 복수의 홀이 형성되고, 상기 한 쌍의 고정유닛은 상기 복수의 홀 중 어느 한 쌍의 홀에 착탈 가능하게 스크류결합된다.
상기 어느 한 쌍의 홀은 상기 디스플레이장치의 배면에서 수직방향으로 함몰형성될 수 있다.
상기 어느 한 쌍의 홀은 VESA(Video Electronics Standards Association) 월 마운트 규격에 따라 형성된 VESA홀일 수 있다.
상기 고정유닛은 상기 와이어를 상기 고정유닛내부로 안내하는 와이어삽입공이 형성된다.
상기 고정유닛은 외관을 형성하는 제1케이스와, 상기 제1케이스와 결합하며 내부에 상기 와이어가 감기는 공간을 구획하는 제2케이스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고정유닛은 상기 와이어를 상기 고정유닛내부로 안내하는 와이어삽입공이 형성되고, 상기 와이어삽입공은 상기 제1케이스의 외주면에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와이어부가 상기 고정유닛외부로 이탈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해 상기 와이어부의 단부에는 이탈방지부가 마련된다.
상기 고정유닛은 상기 와이어를 상기 고정유닛내부로 안내하는 와이어삽입공이 형성되고, 상기 이탈방지부는 상기 와이어삽입공보다 반경이 더 크게 형성된다.
상기 와이어는 상기 공간에서 잠겨진 형태로 상기 이탈방지부측이 상기 와이어에 매듭지어진다.
상기 고정유닛은 상기 벽면과의 접촉하는 접촉부위에 마련된 완충부재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한 쌍의 고정유닛 하측에 결합되어 상기 디스플레이장치의 배면을 벽면에 대해 소정거리 이격시키는 이격부재를 더 포함한다.
상기 디스플레이장치의 배면에는 한 쌍의 상부홀과 한 쌍의 하부홀이 형성되고, 상기 고정유닛은 상기 한 쌍의 상부홀에 각각 결합되고 상기 이격부재는 상기 한 쌍의 하부홀에 각각 결합된다.
상기 이격부재에 회전가능하게 장착되어 상기 디스플레이장치를 틸팅시키는 회전암부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와이어의 길이는 상기 한 쌍의 상부 VESA홀사이의 거리보다 길고, 상기 한 쌍의 상부 VESA홀사이의 중심과 접하는 수직선이 상기 디스플레이장치의 상단과 만나는 지점에서 상기 한 쌍의 상부 VESA홀 각각을 연결하는 거리의 합보다 짧게 할 수 있다.
이상에서 설명한 본 발명에 의한 본 발명에 따른 디스플레이장치용 지지장치는 디스플레이장치의 배면에 형성된 홀을 이용하여 와이어부를 견고하게 고정함으로써 와이어부를 이용하여 디스플레이장치를 벽면에 고정하는 것이 가능하게 되어 디스플레이장치와 벽면사이의 간격을 최소화하여 공간활용성을 향상시킬 수 있다.
또한, 와이어부의 단부에 이탈방지부를 마련하고 이탈방지부측에 매듭을 형성한 후 고정유닛에 장착함으로써, 이탈방지부가 와이어부에 걸린 상태를 유지하여 큰 하중이 걸리는 상황에서도 안정성을 확보할 수 있다.
또한, 하부홀에 고정유닛에 대응하는 두께의 이격부재를 구비함으로써 디스플레이장치와 벽면과의 이격 간격이 상,하 방향을 따라 일정하게 유지되어 디스플레이장치가 전방으로 기울어지는 것을 방지할 수 있고, 회전암부를 구비함으로써 디스플레이장치의 배면의 단자부 등으로 사용자가 용이하게 접근할 수 있도록 할 수 있다.
또한, 디스플레이장치의 VESA홀을 이용하여 와이어를 고정시킴으로써, 와이어를 고정하기 위한 별도의 와이어고정부의 가공이 필요하지 아니하여 제조공정 효율을 향상시킬 수 있는 효과가 있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 따른 디스플레이장치 용 지지장치에 대하여 설명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디스플레이장치용 지지장치의 전체적인 외관을 나타내는 분해사시도이고, 도 2는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디스플레이장치용 지지장치의 동작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본 발명의 제 1실시예에 따른 디스플레이장치용 지지장치는 도 1,2에 도시된 바와 같이 디스플레이장치(10)와 연결된 와이어부(20)와, 디스플레이장치(10)의 하중을 지지하도록 와이어부(20)를 벽면에 고정하는 와이어걸이부(30)와, 디스플레이장치(10)의 시청각도를 조절하기 위한 틸팅장치(40)를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와이어부(20)는 디스플레이장치(10)와 와이어걸이부(30)를 연결하기 위한 것으로, 디스플레이장치(10)의 하중을 견딜 수 있도록 금속재질로 형성되어, 와이어부(20)의 양단(21,22)은 디스플레이장치(10)의 배면(11)의 양측에 결합된다.
디스플레이장치(10)의 배면(11)에는 배면(11)에 수직하게 함몰 형성된 복수의 홀(12,13)이 마련되는데, 복수의 홀(12,13)은 와이어부(20)를 결합하기 위한 것으로 배면 상부의 양측에 형성된 한쌍의 상부홀(12)과, 후술할 이격부재(15)를 결합하기 위한 것으로 배면 하부의 양측에 형성된 한쌍의 하부홀(13)을 포함한다.
상부홀(12)에는 와이어부(20)를 걸기 위한 환형의 고정유닛(14a)와, 고정유닛(14a)를 디스플레이장치(10)의 배면에 고정하기 위한 결합스크류(14)가 결합된다.
와이어부(20)의 양단(21,22)은 링형으로 끝단 처리되어 고정유닛(14a)의 외주연에 고정되고, 결합스크류(14)는 환형의 고정유닛(14a)의 중심을 관통하여 상부 홀(12)에 스크류 체결되어 고정유닛(14a)을 디스플레이장치(10)의 배면에 고정한다.
이와 같이 와이어부(20)가 디스플레이장치(10) 배면(11)의 상부홀(12)에 고정되기 때문에 디스플레이장치(10)와 연결된 와이어부(20)를 벽면의 와이어걸이부(30)에 거는 경우 디스플레이장치(10)의 상부가 전방으로 경사지게 된다.
이를 방지하기 위해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 따른 디스플레이장치용 지지장치는 하부홀(13)에는 디스플레이장치(10)의 하부가 벽면으로부터 소정거리 이격된 채로 벽면에 지지되도록 하는 이격부재(15)를 포함한다.
이격부재(15)는 디스플레이장치(10)의 하부가 벽면과 소정 거리 이격되도록 함으로써 디스플레이장치(10)와 벽면과의 이격 간격이 상,하 방향을 따라 일정하게 유지되어 디스플레이장치(10)가 전방으로 기울어지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이격부재(15)는 이격부재(15)를 디스플레이장치(10)의 배면(11)에 결합시키기 위한 체결브라켓(16)과, 체결브라켓(16)에 회전 가능하게 고정된 제1휠부(17)를 포함한다. 체결브라켓(16)의 상측에는 이격부재(15)를 하부홀(13)에 고정시키기 위한 스크류가 삽입될 수 있도록 스크류홀(16a)이 형성되고, 하측에는 제1휠부(17)를 회전 가능하게 고정하기 위한 휠장착부(17a)가 형성된다.
디스플레이장치(10)의 틸팅 동작시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와이어걸이부(30)를 중심으로 상부홀(12)측이 호형의 궤적으로 A방향으로 이동하여 틸팅하게 되는데, 이와 같은 틸팅동작으로 인하여 디스플레이장치(10)의 상부가 전방으로 회전하여 경사를 형성하면서 디스플레이장치의 하부는 벽면을 따라 B방향으로 상향운 동을 하게 된다.
이때, 제1휠부(17)는 벽면에 지지되어 상하 운동 가능하게 마련됨으로써 디스플레이장치(10) 배면의 손상없이 디스플레이장치(10)의 원활한 틸팅동작을 수행할 수 있게 한다.
한편, 상, 하부홀(13)은 바람직하게는 VESA(Video Electronics Standards Association) 월 마운트 규격에 맞도록 디스플레이장치(10)의 배면에 형성된 VESA홀을 이용할 수 있다. 따라서 디스플레이장치(10)에 별도의 홀가공없이 vesa홀을 이용함으로써, 간단하게 와이어부(20) 및 제1휠부(17)를 디스플레이장치(10)에 고정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 따른 디스플레이장치용 지지장치에 포함되는 틸팅장치(40)는 틸팅장치(40)를 벽면에 고정하기 위한 고정브라켓(41)과, 고정브라켓(41)에 설치되는 구동모터(42)와, 일단이 구동모터(42)와 결합하여 구동모터(42)의 회전축부(43)를 중심으로 회전하는 암부(44)와, 암부(44)의 타단에 마련되어 암부(44)가 원활하게 디스플레이장치의 배면을 따라 승, 하강 가능하게 하는 제2휠부(45)를 포함한다.
고정브라켓은 와이어걸이부와 분리되어 별도로 벽면에 고정될 수 있으나, 본 실시예에서는 고정브라켓(41)의 상부에 와이어걸이부(30)가 일체로 형성되어, 와이어걸이부(30)를 벽면에 고정시킴으로써 틸팅장치(40)를 벽면에 고정시킬 수 있게 된다.
구동모터(42)에는 기어부(미도시)가 장착되고 기어부에는 회전축부(43)가 마 련된다.
암부(44)는 회전축부(43)에 수직한 방향의 막대형으로 마련되며 그 단부에 제2휠부(45)가 회전 가능하게 고정된다.
구동모터(42)의 구동시 암부(44)는 상향 회전하여 디스플레이장치(10)의 상부 배면을 가압함으로써 디스플레이장치(10)가 틸팅되도록 한다.
이 때, 구동모터(42)는 디스플레이장치(10)가 벽면으로 당겨지는 힘보다 크거나 같은 정도의 소정의 정지토크를 가지도록 설정함으로써, 구동모터(42)는 디스플레이장치(10)가 틸팅된 상태에서 구동모터(42)의 구동이 정지되는 경우에도 디스플레이장치(10)의 틸팅상태를 유지할 수 있도록 암부의 회전을 방지하는 회전방지부의 기능을 한다.
이와 같은 틸팅장치(40)는 구동모터(42)를 동작시키기 위한 신호를 인가하는 입력부(46)와, 입력부(46)의 신호를 토대로 구동모터(42)를 제어하는 제어부(47)를 더 포함한다.(도2참조)
입력부(46)는 디스플레이장치(10)내 또는 리모콘(미도시)에 마련될 수 있으며, 미리 설정된 암부(44)의 회전각도(C)로 암부(44)를 회전시킬 수 있으며, 또는 구동모터(42)의 온/오프 신호를 제어부(47)에 인가할 수 있다.
제어부(47)는 입력부(46)에서 인가된 신호를 토대로 구동모터(42)를 구동하여 암부(44)의 회전각도(C)를 조절한다.
일 예로 사용자가 틸팅모드를 선택하는 경우 제어부(47)는 제어부(47)에 기억된 소정의 틸팅각도(D)에 대응하는 암부(44)의 회전각도(C)로 암부(44)를 회전시 킬 수 있으며, 또한, 틸팅각도(D)에 따라 틸팅모드를 일 예로 상, 중, 하로 구분할 수 있으며, 사용자가 상, 중, 하 중 어느 하나의 모드를 선택하면 제어부(47)는 상, 중, 하에 해당하는 소정의 틸팅각도(D)에 대응하는 암부(44)의 회전각도(C)로 암부(44)를 회전시킨다.
또한, 사용자가 입력부(46)를 통해 구동모터(42)에 신호를 인가하는 시간에 비례하여 구동모터(42)를 구동하여 암부를 회전시킴으로써 사용자가 원하는 임의의 틸팅각도로 디스플레이장치(10)를 틸팅시킬 수도 있다.
이와 같은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 따른 디스플레이장치용 지지장치는 디스플레이장치(10)의 배면 상부홀(12)에 고정유닛(14a) 및 결합스크류(14)를 이용하여 와이어부(20)를 연결하고, 하부홀(13)에 이격부재(15)를 결합시킨다. 또한, 와이어걸이부(30)와 일체로 형성된 틸팅장치(40)를 벽면에 스크류 체결하고 고정시켜 디스플레이장치의 지지장치의 조립을 완성한다.
이 후 디스플레이장치에 연결된 와이어부를 벽면에 고정된 와이어걸이부에 걸어줌으로써 디스플레이장치의 설치를 완료한다.
이와 같이 본 발명의 디스플레이장치의 지지장치는 디스플레이장치(10)와 벽면사이의 간격을 최소화하여 공간활용성을 향상시킬 수 있으며, 리모콘 등을 이용하여 틸팅장치(60)를 구동함으로써 디스플레이장치의 시청각도를 용이하게 조절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도 3은 본 발명의 제1실시예의 변형예에 따른 디스플레이장치용 지지장치를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제 1실시예의 변형예에 따른 디스플레이장치용 지지장치는 제1실시예에 비해 틸팅장치의 설치위치의 변화가 있을 뿐 그 외의 구성을 동일하다.
제1실시예의 변형예의 구성 중 제1실시예와 동일한 구성은 동일한 도면부호를 부여하고 그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
제1실시예에서는 와이어걸이부와 틸팅장치가 일체로 마련되지만, 변형예에서는 와이어걸이부(30')와 틸팅장치(40')가 별도의 분리된 구성으로 마련된다.
따라서 와이어걸이부(30')를 벽면에 고정하고 틸팅장치(40')는 벽면 또는 디스플레이장치의 배면 중 어느 하나에 고정시킬 수 있으나, 변형예에서는 틸팅장치(40')를 디스플레이장치(10)의 배면(11)에 고정하는 것을 일 예로 설명한다.
틸팅장치(40')는 틸팅장치(40')를 디스플레이장치(10)의 배면(11)에 고정하기 위하여 고정브라켓(41')에 스크류홀(41a)이 형성될 뿐 그 외의 구성은 제1실시예와 동일하게 마련된다.
따라서 틸팅장치(40')를 벽면 또는 디스플레이장치의 배면에 선택적으로 결합시킬 수 있으며, 제1실시예와 동일한 효과를 발휘할 수 있다.
다음은 본 발명의 제2실시예에 따른 디스플레이장치용 지지장치에 대하여 설명한다.
도 4는 본 발명의 제2실시예에 따른 디스플레이장치용 지지장치의 전체적인 외관을 나타내는 분해사시도이고, 도 5는 본 발명의 제2실시예에 따른 지지플레이장치용 지지장치의 와이어걸이부의 요부사시도이며, 도 6은 본 발명의 제2실시예에 따른 디스플레이장치용 지지장치의 고정유닛측의 조립도이며, 도 7은 본 발명의 제 2실시예에 따른 디스플레이장치용 지지장치의 이격부재와 회전암부의 조립도이다.
또한, 도 8은 본 발명의 제2실시예에 따른 디스플레이장치용 지지장치의 동작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본 발명의 제 2실시예에 따른 디스플레이장치용 지지장치는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디스플레이장치(10)의 배면에 양단이 결합된 와이어부(60)와, 디스플레이장치(10)의 하중을 지지하도록 와이어부(60)를 벽면에 고정하는 와이어걸이부(70)를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또한, 제2실시예에 따른 디스플레이장치는 디스플레이장치(10)의 배면(11)에 와이어부(60)를 결합시키며 디스플레이장치(10) 배면을 벽면에 대해 이격시키는 고정유닛(80)과, 디스플레이장치(10) 배면에서 고정유닛(80) 하부에 장착되어 디스플레이장치(10) 배면(11)을 벽면에 실질적으로 평행하게 설치될 수 있도록 하는 이격부재(90)를 더 포함하여 이루어질 수 있다.
와이어걸이부(70)는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헤드부(71)와, 헤드부(71)의 후측에 형성되어 와이어부(60)의 일측이 안착되는 안착부(72)와, 안착부(72)의 후측에 형성되어 벽면과 접하는 벽면지지부(73)를 포함한다.
와이어걸이부(70)의 중심에는 와이어걸이부(70)를 벽면에 고정할 수 있도록 스크류홀(70a)이 형성되어, 스크류(75)가 스크류홀(70a)에 삽입되어 벽면에 장착됨으로써 와이어걸이부(70)가 벽면에 고정된다.
또한, 헤드부(71)에는 스크류(75)가 외부로 노출되는 것을 방지하는 캡부(74)가 장착된다.
안착부(72)는 헤드부(71)와, 벽면지지부(73)의 반경보다 작은 반경으로 형성되어 안착부(72)에 걸리는 와이어부(60)가 와이어걸이부(70)로부터 이탈되는 것을 방지한다.
와이어부(60)는 디스플레이장치(10)와 와이어걸이부(70)를 연결하기 위한 것으로, 디스플레이장치(10)의 하중을 견딜 수 있도록 금속재질로 형성되는데, 다수의 금속사를 꼬아 형성하고 외부에 피복을 입힌 형태로 마련될 수 있다.
와이어부(60)의 양단은 디스플레이장치(10)의 배면(11)의 양측에 결합된다.
디스플레이장치(10)의 배면(11)에는 배면(11)에서 수직하게 함몰 형성된 복수의 홀(12,13)이 마련되는데, 복수의 홀(12,13)은 와이어부(60)를 결합하기 위한 것으로 배면(11) 상부의 양측에 형성된 한쌍의 상부홀(12)과, 이격부재(90)를 결합하기 위한 것으로 배면(11) 하부의 양측에 형성된 한쌍의 하부홀(13)을 포함한다.
상부홀(12)은 대략 디스플레이장치(10)의 배면(11) 상측에 대향되는 위치에 형성된다.
와이어부(60)의 길이는 한 쌍의 상부홀(12)사이의 거리(E)보다 길고, 한 쌍의 상부홀(12)사이의 중심과 접하는 수직선(F)이 디스플레이장치(10)의 상단과 만나는 지점에서 한 쌍의 상부홀(12) 각각을 연결하는 거리(G,H)의 합보다 짧게 함으로써, 디스플레이장치(10)를 벽면에 거는 경우 와이어부(60)가 디스플레이장치(10)의 외측으로 노출되는 것을 방지하여 외관을 미려하게 할 수 있다.
이때 와이어부(60)의 길이는 후술할 이탈방지부(61)의 매듭부분을 제외한 것으로, 와이어부(60)의 길이는 상기 길이에 이탈방지부의 매듭부분의 길이가 추가적 으로 확보되어야 한다.
상부홀(12)에는 와이어부(60)의 단부와 결속된 고정유닛(80)이 스크류 결합된다.
고정유닛(80)은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외관을 형성하는 제1케이스(81)와, 제1케이스(81)와 결합하며 내부에 와이어부(60)의 단부가 감기는 공간을 구획하는 제2케이스(82)를 포함하여 이루어질 수 있다.
제1케이스(81)의 외주면에는 고정유닛(80)내부에 와이어부(60)의 단부를 안내하는 와이어삽입공(83)이 형성되고, 제1케이스(81)의 배면 테두리에는 벽면과의 충돌시 손상 및 소음을 방지하는 제1완충부재(84)가 마련된다.
와이어부(60)는 와이어삽입공(83)에 대응하여 와이어부(60)의 단부에는 와이어부(60)가 고정유닛(80)외부로 이탈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해 와이어삽입공(83)보다 반경이 더 크게 형성된 이탈방지부(61)가 마련된다.
이탈방지부(61)는 금속재의 와이어부(60)의 단부에 이중사출 등을 통해 와이어부(60)의 두께보다 직경이 큰 볼 형상으로 형성될 수 있다.
따라서, 와이어부(60)를 한 쌍의 고정유닛(80)의 제1케이스(81)에 형성된 와이어삽입공(83)에 삽입한 후 와이어부(60)의 양단에 이중사출 등을 통해 이탈방지부(61)를 형성함으로써 와이어부(60)가 고정유닛(80)으로부터 이탈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제2케이스(82)는 중심부에 결합스크류(85)가 삽입될 수 있는 스크류홀(86)이 형성되고, 외주면에는 제1케이스(81)와 결합되어 와이어부(60)의 단부가 감기는 원 통부(87)가 형성된다.
제2케이스는 결합스크류가 일체로 형성될 수 있으며, 이때 고정유닛은 상부홀에 직접 나사 결합될 수 있다.
와이어부(60)의 단부는 제1케이스(81)와 상기 제2케이스(82)에 의해 구획되는 공간에서 감긴 상태로 고정되는데,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와이어부(60)의 단부는 원통부(87)를 감고 이탈방지부(61)측이 매듭이 지어지도록 한다.
이와 같이 이탈방지부(61)측이 매듭이 지어지도록 함으로써, 디스플레이장치(10)를 벽면에 거는 경우 와이어부(60)에 큰 하중이 걸려 와이어부(60)를 당기는 힘이 커지더라도 매듭지어진 이탈방지부(61)가 와이어부(60)에 걸린 상태를 유지하기 때문에 큰 하중을 지지할 수 있게 된다.
하부홀(13)에는 디스플레이장치(10)가 벽면에 대해 평행하게 설치되도록 디스플레이장치(10)와 벽면사이를 소정거리 이격시키는 이격부재(90)가 결합된다.
이격부재(90)는 스크류 체결이 가능하도록 중심측에 스크류삽입홀(91)이 형성되고 벽면과 접촉하는 이격부재(90)의 배면측은 디스플레이장치(10)가 벽면에 접촉하는 경우 발생하는 충격을 완충하는 제2완충부재(92)가 장착된다.
이격부재(90)는 디스플레이장치(10)와 벽면이 상호 평행을 이루도록 디스플레이장치(10)의 하측을 벽면으로부터 소정간격 이격시키는 두께로 형성된다.
이격부재(90)의 두께는 실질적으로 고정유닛(80)의 두께와 동일하게 하여 도 8에 도시된 바와 같이 디스플레이장치(10)와 벽면과의 평행을 유지할 수 있다.
제1,2완충부재(84,92)는 각각 벽면에 지지되어 디스플레이장치(10)의 손상을 방지하는데, 일 예로 루버재질로 마련될 수 있으며 기타 완충기능을 수행하는 다양한 재질로 이루어질 수 있다.
이격부재(90)에는 디스플레이장치(10)를 틸팅시키는 회전암부(100)가 회전 가능하게 장착될 수 있다.
회전암부(100)는 상,하 또는 좌,우 회전 가능하게 장착될 수 있으나, 본 실시예에서는 상,하 회전 가능하게 장착되는 것을 일 예로 한다.
이격부재(90)는 회전암부(100)의 과도한 회전을 방지하는 지지부(93)를 포함한다.
회전암부(100)가 디스플레이장치(10)의 배면(11)에 인접하게 배치된 상태에서 사용자가 디스플레이장치(10)의 하측을 벽면으로부터 전방으로 이격시키고, 회전암부(100)를 하측으로 회전시켜 지지부(93)에 접하도록 한 상태에서 외력을 제거하면 도 8에 도시된 바와 같이 회전암부(100)의 자유단부가 벽면에 지지되어 디스플레이장치(10)의 하측이 전방으로 틸팅되게 된다.
이와 같이 디스플레이장치(10)의 하측을 틸팅함으로써 디스플레이장치(10)의 배면(11) 하측에 마련된 단자부(미도시)측으로 사용자가 용이하게 접근할 수 있다.
이 때, 디스플레이장치(10)의 배면(11)과 회전암부(100)가 이루는 각도는 90도보다 크게하여 디스플레이장치(10)의 자중에 의해 회전암부(100)가 가압되어 회전암부(100)가 상향으로 회전하는 것을 방지한다.
고정유닛(80) 및 이격부재(90)가 고정되는 상, 하부홀(13)은 임의의 위치에서 디스플레이장치의 배면에 수직 함몰되어 형성될 수도 있으나, VESA(Video Electronics Standards Association) 월 마운트 규격에 맞도록 디스플레이장치(10)의 배면에 형성된 VESA홀을 이용할 수 있다. 따라서 디스플레이장치(10)에 별도의 홀가공없이 VESA홀을 이용함으로써, 간단하게 와이어부가 연결된 고정유닛(80) 및 이격부재(90)를 디스플레이장치(10)에 고정할 수 있다.
도 9는 본 발명의 제3실시예에 따른 디스플레이장치용 지지장치의 고정유닛측의 조립도이다.
제3실시예는 제2실시예와 비교하여 고정유닛의 구성에 차이가 있을 뿐 다른 구성은 제2실시예와 동일하게 이루어질 수 있다.
이하 제2실시예와 동일한 구성은 동일한 도면부호를 부여하고 그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
고정유닛(120)은 도 9에 도시된 바와 같이, 외관을 형성하며 와이어부(110)가 고정되는 제1케이스(121)와, 제1케이스(121)와 결합하여 제1케이스(121)의 전면을 폐쇄하는 제2케이스(122)를 포함하여 이루어질 수 있다.
제1케이스(121)의 외주면에는 와이어부(110)의 단부와 결합하기 위한 와이어삽입공(123)이 형성되고, 제1케이스(121)의 배면 테두리에는 벽면과의 충돌시 손상 및 소음을 방지하는 제1완충부재(124)가 마련된다.
와이어삽입공(123)에는 암나사부가 형성되고, 와이어부(110)의 단부에는 와이어삽입공(123)에 대응하여 와이어부(110)가 고정유닛(120)에 견고하게 고정되도록 이탈방지부(111)가 마련된다.
이탈방지부(111)는 와이어삽입공(123)에 대응하여 수나사 형태로 마련되며, 금속재의 와이어부(110)의 단부에 다이캐스팅 등을 통해 와이어부(110)의 두께보다 직경이 크게 형성될 수 있다.
따라서, 와이어부(110)를 한 쌍의 고정유닛(120)의 제1케이스(121)에 형성된 와이어삽입공(123)에 스크류 결합하여 와이어부(110)가 고정유닛(120)에 견고하게 고정된다.
제2케이스(122)는 중심부에 결합스크류(85)가 삽입될 수 있는 스크류홀(125)이 형성되고, 외주면에는 이탈방지부(111)의 단부를 수용할 수 있는 수용홀(126)이 형성된다.
와이어부(110)는 고정유닛(120)에 견고하게 스크류 결합되기 때문에, 디스플레이장치(10)를 벽면에 거는 경우 와이어부(110)에 큰 하중이 걸려 와이어부(110)를 당기는 힘이 커지더라도 이를 지지할 수 있게 된다.
도 10은 본 발명의 제4실시예에 따른 디스플레이장치용 지지장치의 고정유닛측의 조립도이다.
제4실시예는 제2실시예와 비교하여 고정유닛의 구성에 차이가 있을 뿐 다른 구성은 제2실시예와 동일하게 이루어질 수 있다.
이하 제2실시예와 동일한 구성은 동일한 도면부호를 부여하고 그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
고정유닛(140)은 도 10에 도시된 바와 같이, 외관을 형성하며 와이어부(130)가 고정되는 제1케이스(141)와, 제1케이스(141)와 결합하여 제1케이스(141)의 전면을 폐쇄하는 제2케이스(142)와, 와이어부(130)와 결합되어 제1,2케이스(141,142)에 의해 구획된 공간에 삽입되는 고정부재(143)를 포함하여 이루어질 수 있다.
제1케이스(141)의 외주면에는 와이어부(130)를 수용하기 위한 와이어삽입공(144)이 절개되어 형성되고, 제1케이스(141)의 배면 테두리에는 벽면과의 충돌시 손상 및 소음을 방지하는 제1완충부재(145)가 마련된다.
와이어삽입공(144)은 와이어부(130)가 삽입되도록 제1케이스(141)의 배면으로부터 절개된다.
와이어부(130)는 고정부재(143)에 의해 단부가 고정되는데, 고정부재(143)는 금속재질의 환형상으로 마련되어 외주면에는 와이어부(130)의 단부가 삽입되는 와이어홀(146)이 형성된다.
와이어부(130)를 와이어홀(146)에 삽입하여 고정부재의 외주측에서 내주측으로 관통시킨 후, 와이어부(130)의 단부에 이탈방지부(131)를 형성하여 와이어부(130)가 고정부재(143)로부터 이탈되는 것을 방지한다.
이탈방지부(131)는 금속재의 이탈방지부(131)의 단부에 다이케스팅 등을 통해 와이어홀(146)의 직경보다 크게 형성될 수 있다.
제2케이스(142)는 중심부에 결합스크류(85)가 삽입될 수 있는 스크류홀(147)이 형성된다.
이와 같은 구성으로, 와이어부(130)가 결합된 고정부재(143)를 제1케이스(141)내에 안착시키고, 제1케이스(141)의 와이어삽입공(144)에 와이어부(130)의 중도를 수용시킨 후, 제2케이스(142)를 제1케이스(141)에 결합하고 결합스크류(85)를 이용하여 고정유닛(140)을 디스플레이장치의 배면에 결합시킨다.
와이어부(130)에는 이탈방지부가 견고하게 형성됨으로써 큰 하중이 걸리는 경우에도 와이어부(130)가 고정부재(143)로부터 이탈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으며, 고정부재(143)는 제1,2케이스(141,142)에 의해 구획된 공간에 수용된 채로 결합스크류(85)에 의해 디스플레이장치 배면에 고정되기 때문에 큰 하중에도 불구하고 고정부재(143)가 제1,2케이스(141,142) 내부에서 이탈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제2 내지 제4실시예는 와이어부를 디스플레이장치의 배면에 견고하게 고정하기 위한 실시예들을 개시하고 있는 것으로, 상기 실시예 외에 다른 구성을 이용하여 와이어부를 디스플레이장치의 배면에 견고하게 고정하는 것이 가능함은 물론이다.
이와 같이 본 발명의 디스플레이장치의 지지장치는 디스플레이장치의 배면에 형성된 홀을 이용하여 와이어부를 견고하게 고정함으로써 와이어부를 이용하여 디스플레이장치를 벽면에 고정하는 것이 가능하게 되어 디스플레이장치와 벽면사이의 간격을 최소화하여 공간활용성을 향상시킬 수 있다.
또한, 와이어부의 단부에 이탈방지부를 마련함으로써 큰 하중이 걸리는 상황에서도 안정성을 확보할 수 있다.
또한, 하부홀에 고정유닛에 대응하는 두께의 이격부재를 구비함으로써 디스플레이장치와 벽면과의 이격 간격이 상,하 방향을 따라 일정하게 유지되어 디스플레이장치가 전방으로 기울어지는 것을 방지할 수 있고, 회전암부를 구비함으로써 디스플레이장치의 배면의 단자부 등으로 사용자가 용이하게 접근할 수 있도록 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디스플레이장치용 지지장치의 전체적인 외관을 나타내는 분해사시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디스플레이장치용 지지장치의 동작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제1실시예의 변형예에 따른 디스플레이장치용 지지장치를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제2실시예에 따른 디스플레이장치용 지지장치의 전체적인 외관을 나타내는 분해사시도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제2실시예에 따른 지지플레이장치용 지지장치의 와이어걸이부의 요부사시도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제2실시예에 따른 디스플레이장치용 지지장치의 고정유닛측의 조립도이다.
도 7은 본 발명의 제2실시예에 따른 디스플레이장치용 지지장치의 이격부재와 회전암부의 조립도이다.
도 8은 본 발명의 제2실시예에 따른 디스플레이장치용 지지장치의 동작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9는 본 발명의 제3실시예에 따른 디스플레이장치용 지지장치의 고정유닛측의 조립도이다.
도 10은 본 발명의 제4실시예에 따른 디스플레이장치용 지지장치의 고정유닛 측의 조립도이다.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 설명*
10 : 디스플레이장치 11 : 배면
12 : 상부홀 13 : 하부홀
14a, 80 : 고정유닛 15,90 : 이격부재
17 : 제1휠부 20, 60 : 와이어부
30,70 : 와이어걸이부 40 : 틸팅장치
42 : 구동모터 44 : 암부
45 : 제2휠부 47 : 제어부
61 : 이탈방지부 81 : 제1케이스
82 : 제2케이스 83 : 와이어삽입공
84 : 제1완충부재 92 : 제2완충부재
93 : 지지부 100 : 회전암부.

Claims (34)

  1. 디스플레이장치를 벽면에 고정하기 위한 디스플레이장치용 지지장치에 있어서,
    상기 디스플레이장치의 배면에는 VESA(Video Electronics Standards Association) 월 마운트 규격에 따라 형성된 복수의 VESA홀이 마련되고,
    상기 복수의 VESA홀 중 어느 한 쌍의 VESA홀에 양단이 결합되는 와이어부와,
    상기 와이어부를 상기 벽면에 걸기 위해 상기 벽면에 고정된 와이어걸이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디스플레이장치용 지지장치.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와이어부는 상기 복수의 VESA홀 중 상부에 형성된 한 쌍의 상부 VESA홀에 고정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디스플레이장치용 지지장치.
  3. 제 2항에 있어서,
    상기 복수의 VESA홀 중 하부에 형성된 한 쌍의 하부 VESA홀에 고정되어 상기 디스플레이장치의 배면을 벽면에 대해 소정거리 이격시키는 이격부재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디스플레이장치용 지지장치.
  4. 제 3항에 있어서,
    상기 이격부재에 회전 가능하게 장착되어 상기 디스플레이장치를 틸팅시키는 회전암부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디스플레이장치용 지지장치.
  5. 제 4항에 있어서,
    상기 이격부재는 스크류체결이 가능한 스크류삽입홀과, 상기 회전암부의 과회전을 방지하는 지지부와, 상기 벽면과의 접촉부위에 마련된 완충부재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디스플레이장치용 지지장치.
  6. 제 4항에 있어서,
    상기 회전암부는 상하 회전 가능하게 마련되고, 상기 회전암부는 하방으로 회전하여 선단이 벽면에 지지되어 상기 디스플레이장치를 틸팅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디스플레이장치용 지지장치.
  7. 제 2항에 있어서,
    상기 와이어의 길이는 상기 한 쌍의 상부 VESA홀사이의 거리보다 길고, 상기 한 쌍의 상부 VESA홀사이의 중심과 접하는 수직선이 상기 디스플레이장치의 상단과 만나는 지점에서 상기 한 쌍의 상부 VESA홀 각각을 연결하는 거리의 합보다 짧은 것을 특징으로 하는 디스플레이장치용 지지장치.
  8.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와이어의 양 단부 각각과 결합되며 상기 VESA홀에 고정되는 고정유닛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디스플레이장치용 지지장치.
  9. 제 8항에 있어서,
    상기 와이어는 상기 고정유닛에 스크류결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디스플레이장치용 지지장치.
  10. 제 8항에 있어서,
    상기 고정유닛은 상기 와이어와 결합되는 고정부재와, 상기 고정부재를 수용하는 케이스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디스플레이장치용 지지장치.
  11. 제 8항에 있어서,
    상기 고정유닛은 상기 와이어를 상기 고정유닛내부로 안내하는 와이어삽입공이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디스플레이장치용 지지장치.
  12. 제 11항에 있어서,
    상기 고정유닛은 외관을 형성하는 제1케이스와, 상기 제1케이스와 결합하며 내부에 상기 와이어가 감기는 공간을 구획하는 제2케이스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디스플레이장치용 지지장치.
  13. 제 12항에 있어서,
    상기 와이어삽입공은 상기 제1케이스의 외주면에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디스플레이장치용 지지장치.
  14. 제 8항에 있어서,
    상기 와이어부가 상기 고정유닛외부로 이탈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해 상기 와이어부의 단부에는 이탈방지부가 마련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디스플레이장치용 지지장치.
  15. 제 14항에 있어서,
    상기 고정유닛은 상기 와이어를 상기 고정유닛내부로 안내하는 와이어삽입공이 형성되고,
    상기 이탈방지부는 상기 와이어삽입공보다 반경이 더 크게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디스플레이장치용 지지장치.
  16. 제 14항에 있어서,
    상기 와이어는 상기 공간에서 잠겨진 형태로 상기 이탈방지부측이 상기 와이어에 매듭지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디스플레이장치용 지지장치.
  17. 제 8항에 있어서,
    상기 고정유닛은 상기 벽면과의 접촉하는 접촉부위에 마련된 완충부재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디스플레이장치용 지지장치.
  18. 디스플레이장치를 벽면에 고정하기 위한 디스플레이장치용 지지장치에 있어서,
    상기 디스플레이장치의 배면에 결합되는 한 쌍의 고정유닛과,
    양단이 상기 고정유닛에 결속되는 와이어부와,
    상기 와이어부를 상기 벽면에 걸기 위해 상기 벽면에 고정된 와이어걸이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디스플레이장치용 지지장치.
  19. 제 18항에 있어서,
    상기 디스플레이장치의 배면에는 복수의 홀이 형성되고,
    상기 한 쌍의 고정유닛은 상기 복수의 홀 중 어느 한 쌍의 홀에 착탈 가능하게 스크류결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디스플레이장치용 지지장치.
  20. 제 19항에 있어서,
    상기 어느 한 쌍의 홀은 상기 디스플레이장치의 배면에서 전면방향으로 함몰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디스플레이장치용 지지장치.
  21. 제 19항에 있어서,
    상기 어느 한 쌍의 홀은 VESA(Video Electronics Standards Association) 월 마운트 규격에 따라 형성된 VESA홀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디스플레이장치용 지지장치.
  22. 제 18항에 있어서,
    상기 고정유닛은 상기 와이어를 상기 고정유닛내부로 안내하는 와이어삽입공이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디스플레이장치용 지지장치.
  23. 제 18항에 있어서,
    상기 고정유닛은 외관을 형성하는 제1케이스와, 상기 제1케이스와 결합하며 내부에 상기 와이어가 감기는 공간을 구획하는 제2케이스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디스플레이장치용 지지장치.
  24. 제 23항에 있어서,
    상기 고정유닛은 상기 와이어를 상기 고정유닛내부로 안내하는 와이어삽입공이 형성되고,
    상기 와이어삽입공은 상기 제1케이스의 외주면에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디스플레이장치용 지지장치.
  25. 제 18항에 있어서,
    상기 와이어부가 상기 고정유닛외부로 이탈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해 상기 와이어부의 단부에는 이탈방지부가 마련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디스플레이장치용 지지장치.
  26. 제25항에 있어서,
    상기 고정유닛은 상기 와이어를 상기 고정유닛내부로 안내하는 와이어삽입공이 형성되고,
    상기 이탈방지부는 상기 와이어삽입공보다 반경이 더 크게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디스플레이장치용 지지장치.
  27. 제 26항에 있어서,
    상기 와이어는 상기 공간에서 잠겨진 형태로 상기 이탈방지부측이 상기 와이어에 매듭지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디스플레이장치용 지지장치.
  28. 제 18항에 있어서,
    상기 고정유닛은 상기 벽면과의 접촉하는 접촉부위에 마련된 탄성부재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디스플레이장치용 지지장치.
  29. 제 18항에 있어서,
    상기 한 쌍의 고정유닛 하측에 결합되어 상기 디스플레이장치의 배면을 벽면 에 대해 소정거리 이격시키는 이격부재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디스플레이장치용 지지장치.
  30. 제 29항에 있어서,
    상기 디스플레이장치의 배면에는 한 쌍의 상부홀과 한 쌍의 하부홀이 형성되고, 상기 고정유닛은 상기 한 쌍의 상부홀에 각각 결합되고 상기 이격부재는 상기 한 쌍의 하부홀에 각각 결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디스플레이장치용 지지장치.
  31. 제 29항에 있어서,
    상기 이격부재에 회전가능하게 장착되어 상기 디스플레이장치를 틸팅시키는 회전암부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디스플레이장치용 지지장치.
  32. 제 18항에 있어서,
    상기 와이어의 길이는 상기 한 쌍의 상부 VESA홀사이의 거리보다 길고, 상기 한 쌍의 상부 VESA홀사이의 중심과 접하는 수직선이 상기 디스플레이장치의 상단과 만나는 지점에서 상기 한 쌍의 상부 VESA홀 각각을 연결하는 거리의 합보다 짧은 것을 특징으로 하는 디스플레이장치용 지지장치.
  33. 디스플레이장치를 벽면에 고정하기 위한 디스플레이장치용 지지장치에 있어서,
    상기 디스플레이장치의 배면에는 VESA 월마운트 규격에 따라 형성된 복수의 VESA홀이 마련되고,
    상기 복수의 VESA홀 중 어느 한 쌍의 VESA홀에 양단이 결합되는 와이어부와,
    상기 와이어부를 상기 VESA홀에 결합하기 위한 한 쌍의 고정유닛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디스플레이장치용 지지장치.
  34. 디스플레이장치를 벽면에 고정하기 위한 디스플레이장치용 지지장치에 있어서,
    상기 디스플레이장치의 배면에는 적어도 두 개의 홀이 마련되고,
    상기 적어도 두 개의 홀 중 어느 한 쌍의 홀에 결합되는 한 쌍의 고정유닛과,
    양단이 상기 고정유닛에 결속되는 와이어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디스플레이장치용 지지장치.
KR1020090015819A 2008-05-08 2009-02-25 디스플레이장치용 지지장치 KR100955479B1 (ko)

Priority Applications (10)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US12/437,157 US7883069B2 (en) 2008-05-08 2009-05-07 Lifting device of a display apparatus
AT09159736T ATE501393T1 (de) 2008-05-08 2009-05-08 Hebevorrichtung einer anzeigevorrichtung
DE200960000822 DE602009000822D1 (de) 2008-05-08 2009-05-08 Hebevorrichtung einer Anzeigevorrichtung
EP11151030.1A EP2302280B1 (en) 2008-05-08 2009-05-08 Lifting device of a display apparatus
EP09159736A EP2116755B1 (en) 2008-05-08 2009-05-08 Lifting device of a display apparatus
ES09159736T ES2333937T1 (es) 2008-05-08 2009-05-08 Dispositivo de elevacion de un aparato de visualizacion.
EP11151032.7A EP2302281B1 (en) 2008-05-08 2009-05-08 Lifting device of a display apparatus
EP10193875A EP2292968B1 (en) 2008-05-08 2009-05-08 Lifting device of a display apparatus
DE09159736T DE09159736T1 (de) 2008-05-08 2009-05-08 Hebevorrichtung einer Anzeigevorrichtung
CY20092200002T CY2200167T2 (el) 2008-05-08 2009-12-16 Μια ανυψωτικη διαταξη μιας συσκευης οθονης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6)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080043078 2008-05-08
KR1020080043078 2008-05-08
KR1020080066779 2008-07-10
KR20080066779 2008-07-10
KR1020080120211A KR20100007682A (ko) 2008-07-10 2008-11-30 디스플레이장치용 지지장치
KR1020080120211 2008-11-30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90117600A true KR20090117600A (ko) 2009-11-12
KR100955479B1 KR100955479B1 (ko) 2010-04-30

Family

ID=4160204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90015819A KR100955479B1 (ko) 2008-05-08 2009-02-25 디스플레이장치용 지지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955479B1 (ko)

Cited By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143526B1 (ko) * 2010-01-21 2012-05-09 주식회사 태광피엔에스 평판화상기용 이동스탠드
CN106594484A (zh) * 2016-12-19 2017-04-26 广州曙迅自动化设备有限公司 一种壁挂式电视机安装装置
CN106998379A (zh) * 2016-12-19 2017-08-01 广州普隆智能设备有限公司 一种车载手机支架装置
KR200486803Y1 (ko) * 2018-04-02 2018-07-03 대우씨엔디(주) 디스플레이 기기의 전도 방지 장치
KR20200065423A (ko) * 2018-11-30 2020-06-09 엘지디스플레이 주식회사 표시장치모듈

Family Cites Familie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2006771A (ja) * 2000-06-20 2002-01-11 Fujitsu General Ltd 表示装置の取付装置
KR20050070839A (ko) * 2003-12-31 2005-07-07 엘지전자 주식회사 벽걸이용 티브이의 벽걸이 장치
KR100587308B1 (ko) 2004-07-21 2006-06-08 엘지전자 주식회사 평판 표시기를 위한 벽걸이 구조
KR100949469B1 (ko) * 2008-02-29 2010-03-29 동오정밀 주식회사 영상표시장치용 벽걸이 걸개장치

Cited By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143526B1 (ko) * 2010-01-21 2012-05-09 주식회사 태광피엔에스 평판화상기용 이동스탠드
CN106594484A (zh) * 2016-12-19 2017-04-26 广州曙迅自动化设备有限公司 一种壁挂式电视机安装装置
CN106998379A (zh) * 2016-12-19 2017-08-01 广州普隆智能设备有限公司 一种车载手机支架装置
KR200486803Y1 (ko) * 2018-04-02 2018-07-03 대우씨엔디(주) 디스플레이 기기의 전도 방지 장치
KR20200065423A (ko) * 2018-11-30 2020-06-09 엘지디스플레이 주식회사 표시장치모듈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0955479B1 (ko) 2010-04-30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20100007682A (ko) 디스플레이장치용 지지장치
EP2116755B1 (en) Lifting device of a display apparatus
JP4547425B2 (ja) 壁掛式表示装置の角度調節装置
US7952863B1 (en) Display mount
KR100955479B1 (ko) 디스플레이장치용 지지장치
US8695936B2 (en) Supporting device for display apparatus
KR100443990B1 (ko) 디스플레이장치
US9282833B2 (en) Supporting device for display apparatus
KR101217123B1 (ko) 디스플레이장치용 지지장치
KR100975570B1 (ko) 디스플레이장치용 지지장치
JP4788190B2 (ja) 映像表示装置の吊り下げ装置
KR100703003B1 (ko) 디스플레이 지지장치
KR200349503Y1 (ko) 틸팅 장치
KR100396595B1 (ko) 평판표시패널용 천장형 고정장치
KR100549309B1 (ko) 평판형 영상 디스플레이 기기의 가변 벽걸이 장치
KR102575997B1 (ko) 천정 고정식 회전체
KR20090106855A (ko) 월 마운트
KR100824557B1 (ko) 틸팅장치 및 회동장치
KR100845154B1 (ko) 틸팅장치 및 회동장치
US20110309216A1 (en) Mounting system that securely couples a monitor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A302 Request for accelerated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330

Year of fee payment: 7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330

Year of fee payment: 8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329

Year of fee payment: 9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328

Year of fee payment: 1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