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90115651A - 이동 무선 통신 시스템 및 무선 기지국 - Google Patents

이동 무선 통신 시스템 및 무선 기지국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90115651A
KR20090115651A KR1020080133367A KR20080133367A KR20090115651A KR 20090115651 A KR20090115651 A KR 20090115651A KR 1020080133367 A KR1020080133367 A KR 1020080133367A KR 20080133367 A KR20080133367 A KR 20080133367A KR 20090115651 A KR20090115651 A KR 20090115651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radio
base station
wireless
state
cell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80133367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1004308B1 (ko
Inventor
마사루 이와사
데츠오 도미타
미키오 이토
요시오 미우라
Original Assignee
후지쯔 가부시끼가이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후지쯔 가부시끼가이샤 filed Critical 후지쯔 가부시끼가이샤
Publication of KR20090115651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90115651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004308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004308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68/00User notification, e.g. alerting and paging, for incoming communication, change of service or the like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36/00Hand-off or reselection arrangements
    • H04W36/24Reselection being triggered by specific parameters
    • H04W36/30Reselection being triggered by specific parameters by measured or perceived connection quality data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28/00Network traffic management; Network resource management
    • H04W28/02Traffic management, e.g. flow control or congestion control
    • H04W28/08Load balancing or load distribution
    • H04W28/086Load balancing or load distribution among access entities
    • H04W28/0861Load balancing or load distribution among access entities between base st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48/00Access restriction; Network selection; Access point selection
    • H04W48/02Access restriction performed under specific conditions
    • H04W48/06Access restriction performed under specific conditions based on traffic condi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88/00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e.g. terminals, base stations or access point devices
    • H04W88/08Access point devices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DCLIMATE CHANGE MITIGATION TECHNOLOGIES IN 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IES [ICT], I.E. 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IES AIMING AT THE REDUCTION OF THEIR OWN ENERGY USE
    • Y02D30/00Reducing energy consumption in communication networks
    • Y02D30/70Reducing energy consumption in communication networks in 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Abstract

본 발명은 간헐 수신을 행하는 이동 무선 통신 시스템에 있어서, 무선 이동기의 셀 리셀렉션을 제어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무선 기지국(1)은 제1 무선 이동기 그룹(2)의 무선 이동기가 현재의 셀을 재차 선택하는 것을 방해하고자 하는 경우, 페이징 채널 신호의, 그 그룹에 할당된 제2 슬롯(TS2-1∼TS2-4)의 송신을 연속해서 정지시키거나, 제2 슬롯 중 첫 번째인TS2-1과 세 번째인 TS2-3을 송신하고, 두 번째인 TS2-2와 네 번째인 TS2-4의 송신을 정지시키는 것처럼 간헐적으로 정지시킨다. 또는, 무선 기지국(1)은 제2 슬롯의 데이터를 무효 데이터로 하여 송신하여도 좋다. 제1 무선 이동기 그룹(2)의 무선 이동기는 현재의 셀에서 무선 기지국(1)과 통신하는 전파가 존재하지 않거나, 전파의 품질이 나쁘거나, 전파를 사용할 수 없다고 판단하여 다른 셀로의 이동을 시도한다.
Figure P1020080133367
무선 기지국

Description

이동 무선 통신 시스템 및 무선 기지국{MOBILE WIRELESS COMMUNICATION SYSTEM AND WIRELESS BASE STATION}
본 발명은 이동 무선 통신 시스템 및 무선 기지국에 관한 것이다.
종래, 이동 무선 통신 시스템에 있어서, 무선 이동기는, 이동하면, 통신 가능한 무선 기지국으로부터의 전파를 다시 찾아 사용할 수 있는 셀을 검출해야 한다. 또한, 무선 이동기는, 통신 대기 상태에 있어서, 가장 손실이 작은 셀을 검출하는 동작을 행하고 있다. 이것을 셀 리셀렉션이라고 하고, 셀을 검출하는 것을 셀 서치라고 한다. 예컨대, 다음과 같은 페이징 휴대 무선기의 위치 등록 방법이 제안되어 있다. 무선 호출 수신부가 다수의 호출 채널 중에서 최량의 호출 채널을 선택하는 단계와, 선택한 호출 채널이 그때까지 사용하고 있었던 호출 채널과 다른 경우에는, 무선 전화 송수신부를 동작시켜 최량의 무선 기지국의 무선 채널을 선택하고, 기억하는 단계와, 이 기억하는 무선 채널을 통해 발신함으로써 무선 기지국이 어떤 무선 호출 영역에 속해 있는지를 결정하고, 해당하는 무선 호출 영역의 호출 기지국의 번호를 위치 등록 신호로서 기억하는 단계로 이루어진다(예컨대, 특허 문헌 1 참조).
또한, 무선 이동기의 이동에 의해 각 무선 기지국에 걸리는 부하에 불균형이 발생하는 경우에는, 그 불균형을 해소해야 한다. 예컨대, 다음과 같은 부하 분산 방법이 제안되어 있다. 복수의 무선 액세스 포인트 장치의 각각에 걸려 있는 부하와 각 무선 액세스 포인트 장치가 데이터 블록을 송신하고 있는 멀티캐스트 그룹을 관리 노드 장치가 파악하게 하고, 각 무선 액세스 포인트 장치에 걸려 있는 부하에 불균형이 있는지 여부를 판정하게 한다. 그리고, 불균형이 있다고 판정된 경우에는, 걸려 있는 부하가 가장 큰 무선 액세스 포인트 장치로부터 데이터 블록이 송신되어 있는 멀티캐스트 그룹 중에서 적어도 하나를 상기 관리 노드 장치에 의해 특정 하고, 그 멀티캐스트 그룹에 참가하고 있는 무선 단말(무선 이동기)에, 걸려 있는 부하가 가장 작은 무선 액세스 포인트 장치로 접속을 전환할 것을 요구 한다(예컨대, 특허 문헌 2 참조).
또한, 다음과 같은 이동 무선 방식이 제안되어 있다. 기지국(무선 기지국)을 제어하는 제어국에, 각 기지국의 사용률을 검출하여, 어느 하나의 기지국의 사용률이 설계값을 초과하고 또한 그 하나의 기지국에 인접하는 기지국의 회선에 공백이 있을 때에, 그 하나의 기지국의 송신 전력을 변화된 값으로 설정하기 위한 송신 전력 제어 신호를 송출하는 수단을 설치하며, 상기 각 기지국에, 상기 송신 전력 제어 신호를 수취하면 자국의 송신 전력을 변화시키는 수단을 설치하고, 이에 따라 상기 송신 전력을 변화시킨 기지국이 담당하는 서비스 영역의 범위를 변화시킨다(예컨대, 특허 문헌 3 참조).
한편, 다음과 같은 이동 통신 장치 및 간헐 수신 장치가 제안되어 있다. 기 지국(무선 기지국)에는 그 기지국에서의 착신 정보 송신용 슬롯의 반복 주기를 그 기지국의 무선 존 내에 존재하는 이동국에 통지하고, 이동국(무선 이동기)은, 그 통지와 자국에 할당된 종별로부터 간헐 수신 주기를 가변적으로 설정한다(예컨대, 특허 문헌 4 참조).
[특허 문헌 1] 일본 특허 공개 평성 제5-276100호 공보
[특허 문헌 2] 일본 특허 공개 제2004-350052호 공보
[특허 문헌 3] 일본 특허 공개 소화 제57-210739호 공보
[특허 문헌 4] 일본 특허 공개 평성 제6-141365호 공보
그러나, 상기 특허 문헌 2에는, 가장 부하가 큰 무선 액세스 포인트에 접속되어 있는 멀티캐스트 그룹의 무선 이동기의 접속 목적지를 가장 부하가 작은 무선 액세스 포인트 장치로 전환한다는 것이 기재되어 있는 뿐이다. 어떻게 해서 그 전환을 행하게 할 것인지에 대해서는 명시되어 있지 않다. 또한, 상기 특허 문헌 3에 개시된 방식에서는, 무선 기지국의 송신 전력을 변화시키기 위해서, 모든 무선 이동기에 대하여 무선 영역이 축소되어 버린다고 하는 결점이 있다.
전술한 종래 기술에 따른 문제점을 해소하기 위해서, 간헐 수신을 행하는 무선 이동기의 셀 리셀렉션을 제어할 수 있는 이동 무선 통신 시스템 및 무선 기지국을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전술한 과제를 해결하고,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서, 이 이동 무선 통신 시스템 및 무선 기지국은 간헐 수신(DRX: Discontinuous Receiving for Power Saving)을 행하는 복수의 무선 이동기를 향해 무선 이동기가 수신 체크를 행하기 위한 전파를 무선 이동기마다 다른 타이밍으로 송신할 때에, 현재의 셀을 재차 선택하게 하고 싶지 않은 무선 이동기에 할당된 타이밍으로, 수신 체크용 전파의 송신을 연속적 혹은 간헐적으로 정지시키거나 또는 무효 정보를 송신하는 것을 요건으로 한다.
이 이동 무선 통신 시스템 및 무선 기지국에 따르면, 수신 체크용 전파의 송신이 연속적 혹은 간헐적으로 정지된 무선 이동기는, 현재의 셀의 전파의 품질이 나쁘다고 판단하고, 다른 셀로의 이동을 시도한다. 수신 체크용 정보로서 무효 정보가 송신된 무선 이동기에 대해서도 마찬가지이다. 그리고, 다른 셀로의 이동을 시도한 무선 이동기는 이동 목적지의 후보가 되는 셀에서 수신 체크용 전파를 수신하고, 전파의 품질이 허용 범위에 있으면, 그 셀로 이동한다.
이 이동 무선 통신 시스템 및 무선 기지국에 따르면, 간헐 수신을 행하는 무선 이동기의 셀 리셀렉션을 제어할 수 있다고 하는 효과를 발휘한다.
이하에 첨부 도면을 참조하여 실시형태에 따른 이동 무선 통신 시스템 및 무선 기지국의 적합한 실시형태를 상세히 설명한다.
(개략)
도 1은 실시형태에 따른 이동 통신 시스템의 개략을 설명한 도면이다. 도 1에 있어서, BTS(Base Transceiver Station)는 무선 기지국이고, 제1 및 제2 UE(User Equipment) 그룹은 다른 무선 이동기 그룹이며, RNC는 무선 기지국의 상위 장치에 해당하는 무선 제어 장치이다. 또한, TSx-y(x: 숫자 또는 숫자를 나타내는 N, y: 숫자)는 페이징 채널 신호의 타임 슬롯(이하, 슬롯이라 함)을 나타낸다. x는 무선 이동기 그룹에 대응하는 숫자이고, y는 각 x에 대한 일련번호이다. DRX 주기는 간헐 수신의 1주기이다.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무선 기지국(1)은 무선 제어 장치(4)에 접속되어 있고, 페이징 채널 신호를 송신한다. 제1 무선 이동기 그룹(2)에 속하는 무선 이동기는 무선 기지국(1)으로부터 송신된 페이징 채널 신호 중, 자기 그룹에 할당된 제2 슬롯(TS2-1, TS2-2, TS2-3, TS2-4)의 전파를 수신하고, 그것에 기초하여 무선 기지국(1)과 통신할 때의 전파의 품질을 검출한다. 마찬가지로, 제2 무선 이동기 그룹(3)에 속하는 무선 이동기는 페이징 채널 신호 중, 자기 그룹에 할당된 제6 슬롯(TS6-2, TS6-3, TS6-4)의 전파를 수신하여 전파의 품질을 검출한다.
무선 기지국(1)은 제1 무선 이동기 그룹(2)에 속하는 무선 이동기가 현재의 셀을 재차 선택하지 않도록 제어하고 싶은 경우, 페이징 채널 신호의 제2 슬롯의 전파를 연속해서 정지시킨다. 즉, 무선 기지국(1)은, 첫 번째, 두 번째, 세 번째 및 네 번째의 제2 슬롯(TS2-1, TS2-2, TS2-3, TS2-4)의 전파를 송신하는 것을 정지한다. 이 상태를 완전 정파(停波) 상태라고 부른다. 제2 슬롯의 완전 정파 상태에서는, 제1 무선 이동기 그룹(2)에 속하는 무선 이동기는 페이징 채널 신호를 수 신할 수 없기 때문에, 현재의 셀에서 무선 기지국(1)과 통신할 수 있는 전파가 존재하지 않는다고 판단하고, 다른 셀로의 이동을 시도한다.
무선 기지국(1)은 제2 슬롯의 완전 정파 상태 대신에 제2 슬롯의 전파를 간헐적으로 송신, 즉 간헐적으로 정지하여도 좋다. 예컨대, 무선 기지국(1)은 첫 번째와 세 번째의 제2 슬롯(TS2-1, TS2-3)의 전파를 송신하고, 두 번째와 네 번째의 제2 슬롯(TS2-2, TS2-4)의 전파를 정지한다. 이 상태를 간헐 정파 상태라고 부른다. 제2 슬롯의 간헐 정파 상태에서는 제1 무선 이동기 그룹(2)에 속하는 무선 이동기는 페이징 채널 신호를 수신할 수 있거나, 수신할 수 없거나 하기 때문에, 현재의 셀에서 무선 기지국(1)과 통신할 때의 전파의 품질이 나쁘다고 판단하고, 다른 셀로의 이동을 시도한다. 또한, 간헐 정파 상태나 완전 정파 상태 대신에 무선 기지국(1)은 제어 대상이 되는 슬롯의 전파를 송신할 때의 전력을 낮추도록 하여도 좋다. 이 이후, 이 상태를 저송신 전력 상태라 한다.
또는, 무선 기지국(1)은 제2 슬롯의 정보를 정규 정보 대신에 무효 정보로 하여 송신하여도 좋다. 이 상태를 무효 정보 송신 상태라고 부른다. 무효 정보란, 예컨대 CRC(Cyclic Redundancy Check, 순회용장검사) 에러나 포맷 에러 등이 발생하는 정보를 말한다. 제2 슬롯의 무효 정보 송신 상태에서는, 제1 무선 이동기 그룹(2)에 속하는 무선 이동기는 페이징 채널 신호로서, 무효 정보를 수신하고, 수신 체크용 정규 정보를 수신할 수 없기 때문에, 현재의 셀에서는 무선 기지국(1)과 통신할 때의 전파를 사용할 수 없다고 판단하고, 다른 셀로의 이동을 시도한다.
(무선 기지국의 구성)
도 2는 실시형태에 따른 무선 기지국의 구성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 2에 있어서, TRA는 무선 송신부와 무선 수신부에 해당하는 무선 송수신부이다. 또한, SIG는 신호 처리부이고, CP는 제어부이며, IF는 인터페이스이고, CLK는 클록부이며, SW는 셀렉터 스위치이다.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무선 기지국(1)에서는, 무선 송수신부(11), 신호 처리부(12), 제어부(13), 인터페이스(14) 및 클록부(15)가 셀렉터 스위치(16)를 통해 서로 접속되어 있다. 셀렉터 스위치(16)는 각부 사이에서 신호의 경로를 전환한다. 클록부(15)는 각부에 동작 타이밍을 결정하는 클록 신호를 공급한다. 무선 송수신부(11)는 안테나(5)에 접속되어 있고, 안테나(5)를 통해 무선 이동기로부터 공통 채널 신호를 포함하는 전파를 수신한다. 또한, 무선 송수신부(11)는 제어부(13)로부터 메시지를 수취하고, 그 메시지에 기초하여 안테나(5)를 통해 무선 이동기에 페이징 신호를 포함하는 전파를 송신한다.
신호 처리부(12)는 무선 송수신부(11)에 의해 수신된 공통 채널 신호의 수신처리를 행한다. 인터페이스(14)는 유선 전송로를 통해 무선 제어 장치(4)에 접속되어 있고, 무선 제어 장치(4)로부터의 지시를 수취한다. 제어부는(13)는 신호 처리부(12)로부터 수신 처리 후의 공통 채널 신호를 수취한다. 또한, 제어부(13)는 인터페이스(14)로부터 무선 제어 장치(4)의 지시를 수취한다. 그리고, 제어부(13)는 공통 채널 신호의 수신수(유량) 또는 무선 제어 장치(4)의 지시에 기초하여 페이징 채널 신호의 임의의 슬롯의 전파의 송신 상태를 제어하는 메시지를 송신한다.
제어부(13)에 대해서, 예컨대, 도 1의 예에서 설명한다. 이 예에서는, 무선 기지국(1)은 무선 제어 장치(4)로부터, 제1 무선 이동기 그룹(2)으로의 페이징 채널 신호의 송신을 정지한다고 하는 전파 정지 지시를 수취한다. 이 경우, 제어부(13)는 페이징 채널 신호의 제2 슬롯(TS2-1, TS2-2, TS2-3, TS2-4)의 전파를 완전 정파 상태, 간헐 정파 상태, 저송신 전력 상태 또는 무효 정보 송신 상태로 한다고 하는 전파 정지 지시의 메시지를 송신한다. 무선 기지국(1)이 복수의 셀을 관리하고 있는 경우에는, 무선 제어 장치(4)로부터의 전파 정지 지시 및 제어부(13)가 송신하는 전파 정지 지시에, 제어 대상인 셀을 특정하는 정보가 포함된다.
무선 송수신부(11)는 제어부(13)로부터 페이징 채널 신호의 제2 슬롯에 대한 전파 정지 지시의 메시지를 수신하면, 해당하는 슬롯(TS2-1, TS2-2, TS2-3, TS2-4)의 전파를 완전 정파 상태, 간헐 정파 상태, 저송신 전력 상태 또는 무효 정보 송신 상태로 설정한다. 완전 정파 상태, 간헐 정파 상태, 저송신 전력 상태 및 무효 정보 송신 상태 중 어느 하나의 상태로 하는 것에 대해서는 미리 무선 기지국(1)의 설계시의 사양으로 정해져 있다. 이 사양에 따라, 무선 송수신부(11)는 제2 슬롯 (TS2-1, TS2-2, TS2-3, TS2-4)의 전파를 완전 정파 상태, 간헐 정파 상태, 저송신 전력 상태 또는 무효 정보 송신 상태로 하여 페이징 채널 신호를 송신한다. 제어부(13)가 공통 채널 신호의 수신수에 기초하여 페이징 채널 신호를 제어하는 경우는, 다음과 같다.
도 3은 실시형태에 따른 무선 기지국의 제어부의 동작을 설명한 도면이다.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어부(13)는 무선 이동기 그룹마다 공통 채널 신호의 수신수를 카운트한다(단계 S1). 그리고, 제어부(13)는 무선 이동기 그룹마다 카운트한 공통 채널 신호의 수신수와, 미리 설정되어 있는 임계값을 비교한다(단계 S2). 비교 결과, 도 1의 예에서 설명하면, 제1 무선 이동기 그룹(2)으로부터 수신한 공통 채널 신호의 수가 임계값을 초과하고 있는 경우(단계 S2: Yes), 제어부(13)는 제1 무선 이동기 그룹(2)의 전파를 정지하는 지시, 즉, 페이징 채널 신호의 제2 슬롯(TS2-1, TS2-2, TS2-3, TS2-4)에 대한 전파 정지 지시의 메시지를 송신한다(단계 S3).
그것에 의해, 무선 송수신부(11)는 제2 슬롯(TS2-1, TS2-2, TS2-3, TS2-4)의 전파를 완전 정파 상태, 간헐 정파 상태, 저송신 전력 상태 또는 무효 정보 송신 상태로 하여 페이징 채널 신호를 송신한다. 한편, 단계 S2에서, 제1 무선 이동기 그룹(2)으로부터 수신한 공통 채널 신호의 수가 임계값을 초과하지 않는 경우(단계 S2: No), 제어부(13)는 전파 정지 지시의 메시지를 송신하지 않는다. 따라서, 무선 송수신부(11)는 제2 슬롯(TS2-1, TS2-2, TS2-3, TS2-4)의 전파를 통상의 송신 상태로 설정하여 페이징 채널 신호를 송신한다.
여기서, 단계 S2의 임계값에는 제1 임계값과 그것보다도 낮은 제2 임계값이 있다. 제1 임계값은 해당하는 슬롯의 전파를 정지시키지 않은 상태에서 정지시키는 상태로 전환하기 위한 임계값이다. 제2 임계값은 해당하는 슬롯의 전파를 정지시키고 있는 상태를 해제하고, 정지시키지 않은 상태로 전환하기 위한 임계값이다. 제2 임계값 판정의 경우는, 무선 이동기 그룹마다의 판정이 아니라, 무선 이동기 그룹을 합계한 값으로 판정한다. 복수의 무선 이동기 그룹이 정지 상태였을 경우 에는, 다음 순서로 해제를 행한다. 정지 전의 수신 카운트수가 작은 그룹에서부터 순차적으로 해제한다. 또는, 가장 처음에 정지한 그룹에서부터 해제한다. 단계 S2에서, 무선 이동기 그룹으로부터 수신한 공통 채널 신호의 수가 임계값을 초과하는 경우란, 해당하는 슬롯의 전파를 정지하지 않는 상태에서 제1 임계값을 초과하는 경우와, 해당하는 슬롯의 전파를 정지하고 있는 상태에서 제2 임계값을 하회하지 않는 경우를 포함한다. 또한, 단계 S2에서, 무선 이동기 그룹으로부터 수신한 공통 채널 신호의 수가 임계값을 초과하지 않는 경우란, 해당하는 슬롯의 전파를 정지하지 않은 상태에서 제1 임계값을 초과하지 않는 경우와, 해당하는 슬롯의 전파를 정지하고 있는 상태에서 제2 임계값을 하회하는 경우를 포함한다. 또한, 공통 채널 신호의 수신수의 카운트값을, 어떤 조건으로 초기값, 예컨대 0 으로 클리어하여도 좋다. 그 조건으로는 예컨대 일정 시간마다라도 좋고, 다른 무선 이동기 그룹으로부터의 공통 채널 신호의 수신수가 임계값을 초과한 경우라도 좋다. 또한, 다음과 같은 조건이 충족될 때에, 전파 정지 상태로부터의 복구를 실시하여도 좋다. 그 조건으로는, 전파 정지로부터 일정 시간이 경과했을 때라도 좋고, 셀 내의 이동 무선기의 수가 임계값 이하가 되었을 때라도 좋으며, 셀 내의 공통 채널 신호의 총수신수가 임계값 이하가 되었을 때라도 좋다.
제어부(13)는 무선 제어 장치(4)로부터의 전파 정지 지시에 기초하여 해당하는 슬롯의 전파를 제어하는 기능과, 공통 채널 신호의 수신수에 기초하여 해당하는 슬롯의 전파를 제어하는 기능 중 어느 한쪽을 갖고 있으면 좋다. 제어부(13)가 양쪽 기능을 갖는 경우에는, 제어부(13)는 무선 제어 장치(4)로부터 전파 정지 지시 를 수취하는 경우, 공통 채널 신호의 수신수가 임계값을 초과하는 경우 또는 그 양쪽의 경우에, 해당하는 슬롯의 전파를 제어한다.
(무선 기지국의 제어부의 구성)
도 4는 실시형태에 따른 무선 기지국의 제어부의 구성을 도시한 도면이다. 또한, 도 4에는 페이징 채널 신호의 임의의 슬롯의 전파를 제어하는 부분에 관계가 있는 구성만이 도시되어 있다.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어부(13)는 호출 제어부(21), 외부 통신 제어부(22) 및 내부 통신 제어부(23)를 구비하고 있다. 호출 제어부(21)는 수신 제어부(31), 전력 제어부(32), 전력 지시부(33) 및 편집·송신부(34)를 구비하고 있다. 외부 통신 제어부(22)는 무선 제어 장치(4)로부터의 전파 정지 지시를 수취한다. 내부 통신 제어부(23)는 무선 이동기로부터의 공통 채널 신호를 수취한다. 수신 제어부(31)는 내부 통신 제어부(23)로부터 공통 채널 신호를 수취하고, 도 3을 참조하면서 설명한 동작(단계 S1∼단계 S3)을 행한다.
전력 제어부(32)는 페이징 채널 신호의 슬롯마다 송신 전력을 제어할 수 있다. 전력 제어부(32)는 공통 채널 신호의 수신수가 임계값을 초과한 경우 또는 외부 통신 제어부(22)로부터 전파 정지 지시를 수취한 경우, 해당하는 슬롯의 송신 전력을 설정한다. 해당하는 슬롯의 전파를 완전 정파 상태로 하는 경우에는, 완전 정파 상태가 해제될 때까지, 해당하는 슬롯의 송신 전력은 연속해서 예컨대 0 으로 설정된다. 해당하는 슬롯의 전파를 간헐 정파 상태로 하는 경우에는, 간헐 정파 상태가 해제될 때까지, 해당하는 슬롯의 송신 전력은 간헐적으로 예컨대 0 으로 설정된다. 해당하는 슬롯의 전파를 저송신 전력 상태로 하는 경우에는, 저송신 전력 상태가 해제될 때까지, 해당하는 슬롯의 송신 전력은 통상보다도 낮은 전력으로 설정된다. 해당하는 슬롯의 전파를 무효 정보 송신 상태로 하는 경우에는, 무효 정보 송신 상태가 해제될 때까지, 해당하는 슬롯의 송신 전력은 예컨대 통상의 전력으로 설정된다. 이들에 해당하지 않는 슬롯의 송신 전력은 예컨대 통상의 전력으로 설정된다.
전력 지시부(33)는 전력 제어부(32)로부터 송신 전력의 제어 내용을 수취하고, 그것에 기초하여 무선 이동기의 송신 전력을 지시한다. 편집·송신부(34)는 전력 제어부(32)로부터의 송신 전력의 제어 내용 및 전력 지시부(33)에 의한 송신 전력의 지시 내용에 기초하여 송신 정보를 편집하고, 해당하는 슬롯에 대한 전파 정지 지시를 포함하는 정보의 송신을 지시한다. 그 전파 정지 지시를 포함하는 정보는, 내부 통신 제어부(23)로부터 무선 송수신부(11)로 송신된다. 또한, 제어부(13)에는, 그 외에, 송신 신호에 대하여 무선 채널을 설정하는 기능부나, 유선측 링크와 관련시키는 처리를 행하는 기능부가 있다.
(무선 기지국의 무선 송수신부의 구성)
도 5는 실시형태에 따른 무선 기지국의 무선 송수신부의 구성을 도시한 도면이다. 또한, 도 5에는 페이징 채널 신호의 임의의 슬롯의 전파를 제어하는 부분에 관계가 있는 구성만이 도시되어 있다.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무선 송수신부(11)는 해석부(41), 변환부(42), 송신부(43), 감시부(44), 전력 제어부(45) 및 수신부(46)를 구비하고 있다. 해석부(41)는 제어부(13)로부터 전파 정지 지시를 포함하는 제어 신호를 수취하고, 그 신호를 해석한다. 그 결과, 해당하는 슬롯의 전파를 무효 정보 송신 상태로 하는 경우에는, 변환부(42)는 해당하는 슬롯의 정보를 무효 정보로 하여 신호의 변환을 행한다. 송신부(43)는 변환부(42)에 의해 변환된 무효 정보를 포함하는 페이징 채널 신호를 무선 이동기로 송신한다.
한편, 해당하는 슬롯의 전파를 완전 정파 상태로 하는 경우에는, 감시부(44)는, 송신 신호를 감시한다. 그리고, 전력 제어부(45)는 해당하는 슬롯의 전파의 송신을 정지한다. 해당하는 슬롯의 전파를 간헐 정파 상태로 하는 경우의 동작에 대해서는 해당하는 슬롯의 전파의 송신을 정지하는 타이밍에서는 완전 정파 상태와 동일하고, 해당하는 슬롯의 전파를 송신하는 타이밍에서는 통상의 동작과 동일하다. 또한, 해당하는 슬롯의 전파를 저송신 전력 상태로 하는 경우의 동작에 대해서는 해당하는 슬롯의 전파를 송신하는 타이밍에서 송신 전력을 낮게 하지만, 그것을 제외하고 통상의 동작과 동일하다.
수신부(46)는 무선 이동기로부터 공통 채널 신호를 수신하고, 그 공통 채널 신호를 신호 처리부(12)로 보낸다. 또한, 무선 송수신부(11)에는 그 외에 무선 주파수를 제어하는 기능부나, 수신 신호를 감시하는 기능부가 있다.
(제1 운용예)
도 6은 실시형태에 따른 이동 통신 시스템의 운용예를 설명한 도면이다. 도 6에 있어서, BTS_A 및 BTS_B는 다른 무선 기지국이고, 셀_A, 셀_B 및 셀_C는 다른 셀이며, UE_A∼UE_J는 다른 무선 이동기이다. 무선 기지국_A52 및 무선 기지국_B53은 무선 제어 장치(51)에 의해 관리되어 있다. 무선 기지국_A52는 셀_A54 및 셀_B55를 관리하고 있다. 무선 기지국_B53은 셀_C56을 관리하고 있다. 셀_B55는 셀_A54 및 셀_C56과 충분히 중첩되어 있고, 셀_B55에는 다른 셀과 중첩되지 않는 영역이 없다.
처음 상태를 다음과 같이 한다. 예컨대, 무선 이동기_A61은 셀_A54에 있다. 무선 이동기_J70은 셀_C56에 있다. 그 이외의 무선 이동기(B62∼I69)는 셀_B55에 있는 것으로 한다. 이 상태에서는, 셀_B55에 수용되어 있는 무선 이동기의 수가 많다. 그래서, 무선 기지국_A52는 셀_B55에 있는 무선 이동기를 향해 페이징 채널 신호를 송신할 때에, B62와 D64와 F66과 H68의 무선 이동기가 속하는 그룹에 할당된 슬롯의 전파를 완전 정파 상태로 한다.
그것에 의해, B62와 D64와 F66과 H68의 무선 이동기는 셀_B55에 대한 페이징 채널 신호가 소멸되었다고 판단하고, 셀의 재선택을 행한다. 그 때, 셀_B55를 재차 선택할 수 없기 때문에, 셀_A54나 셀_C56이 선택된다. 도 6의 예에서는, B62와 D64의 무선 이동기는 셀_A54를 선택하고, F66과 H68의 무선 이동기는 셀_C56을 선택하고 있다.
도 6에 있어서, B62, D64, F66 및 H68의 무선 이동기와 셀_B55를 접속하는 이점쇄선은 셀의 재선택을 행하기 전의 접속 상태를 나타낸다. 또한, B62, D64, F66 및 H68의 무선 이동기와 셀_A54 또는 셀_C56을 접속하는 실선은 셀의 재선택 후의 접속 상태를 나타낸다. 또한, 완전 정파 상태 대신에 간헐 정파 상태, 저송신 전력 상태 또는 무효 정보 송신 상태로 하여도 좋다. 무효 정보 송신 상태를 선택하는 경우에는, 전력 레벨의 급격한 변화를 필요로 하지 않는다. 따라서, 무효 정보 송신 상태는 하드웨어의 응답성에 고속성이 요구되지 않는 저렴한 시스템 에 적합하다. 그것에 대하여, 완전 정파 상태나 간헐 정파 상태는 하드웨어의 응답성에 고속성이 요구되는 경우에 적합하다.
(제2 운용예)
도 7은 실시형태에 따른 이동 통신 시스템의 다른 운용예를 설명한 도면이다. 제2 운용예는 셀_B55와, 셀_A54 및 셀_C56과의 중첩이 충분하지 않고, 셀_B55에 다른 셀과 중첩되지 않는 영역이 있는 예이다. 처음 상태는 전술한 제1 운용예와 동일한 것으로 한다. 제2 운용예에서는, 무선 기지국_A52는 셀_B55에 있는 무선 이동기를 향해 페이징 채널 신호를 송신할 때에, B62와 D64와 F66과 H68의 무선 이동기가 속하는 그룹에 할당된 슬롯의 전파를 간헐 정파 상태로 한다.
그것에 의해, B62와 D64와 F66과 H68의 무선 이동기는 셀_B55에 대한 페이징 채널 신호의 전파 품질이 나쁘다고 판단하여 셀의 재선택을 행하고, 셀_A54나 셀_C56으로의 이동을 시도한다. 도 7의 예에서는, 무선 이동기_B62는 셀_A54로 이동할 수 있었지만, 무선 이동기_D64는 셀_A54나 셀_C56으로 이동할 수 없고, 원래의 셀_B55를 재차 선택한다. 즉, 무선 이동기_D64는 셀_B55에 체류하게 된다. 또한, 무선 이동기_H68은 셀_C56로 이동할 수 있었지만, 무선 이동기_F66은 셀_A54나 셀_C56으로 이동할 수 없고, 원래의 셀_B55에 체류한다.
도 7에 있어서, D64 및 F66의 무선 이동기와 셀_B55를 접속하는 파선은 셀의 재선택을 행한 결과, 다른 셀로 이동할 수 없어 원래의 셀에 접속하는 상태를 나타낸다. 또한, 간헐 정파 상태 대신에 저송신 전력 상태 또는 간헐적인 무효 정보 송신 상태로 하여도 좋다. 제2 운용예와 같이, 셀의 중첩이 충분하지 않은 경우에 는, 페이징 채널 신호의 슬롯의 전파를 완전 정파 상태로 하는 것은 바람직하지 못하다. 그 이유는 완전 정파 상태로 했을 경우, 해당하는 무선 이동기는 원래의 셀에 체류할 수 없기 때문에, 다른 셀과의 접속을 확립할 수 없으면, 그 무선 이동기와 무선 기지국과의 접속이 끊어져 버리기 때문이다. 단, 시스템의 안전성을 유지하기 위해서, 일부의 무선 이동기가 셀_B55에 접속하는 것을 불가능하게 하는 경우에는, 완전 정파 상태를 선택할 수도 있다.
이상 설명한 바와 같이, 본 실시형태에 따르면, 현재의 셀로부터 다른 셀로 이동시키고자 하는 무선 이동기에, 현재의 셀의 전파가 소멸되었다고 인식시키거나, 현재의 셀의 전파의 품질이 나쁘다고 인식시키거나, 현재의 셀의 전파를 사용할 수 없다고 인식시킬 수 있기 때문에, 무선 이동기가, 현재의 셀을 재차 선택하는 것을 방해할 수 있다. 즉, 무선 이동기의 셀 리셀렉션을 제어할 수 있다.
또한, 통지 정보 등에 의해 무선 이동기가 현재의 셀을 재차 선택하는 것을 방해하는 데 비하여, 무선 이동기마다 셀 리셀렉션을 제어할 수 있기 때문에, 통지 정보가 적어진다. 따라서, 무선 이동기의 전력 소비를 줄일 수 있다. 통지 정보가 적으면, 셀 리셀렉션을 신속히 행할 수 있다. 또한, 무선 이동기에 대하여 기능을 추가하지 않고, 무선 이동기의 셀 리셀렉션을 제어할 수 있다.
또한, 셀을 축소하지 않고, 임의의 무선 이동기 그룹에 대하여 그 그룹에 속하는 무선 이동기의 셀 리셀렉션을 제어할 수 있다. 또한, 무선 이동기 그룹마다 셀 리셀렉션 타이밍을 엇갈리게 할 수 있기 때문에, 위치 등록 등이 집중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또한, 셀이 계층 구조를 이루는 경우에, 무선 이동기가 적절한 계층의 셀을 선택하게 할 수 있다.
도 1은 실시형태에 따른 이동 통신 시스템의 개략을 설명한 도면.
도 2는 실시형태에 따른 무선 기지국의 구성을 나타낸 도면.
도 3은 실시형태에 따른 무선 기지국의 제어부의 동작을 설명한 도면.
도 4는 실시형태에 따른 무선 기지국의 제어부의 구성을 나타낸 도면.
도 5는 실시형태에 따른 무선 기지국의 무선 송수신부의 구성을 나타낸 도면.
도 6은 실시형태에 따른 이동 통신 시스템의 운용예를 설명한 도면.
도 7은 실시형태에 따른 이동 통신 시스템의 다른 운용예를 설명한 도면.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 : 무선 기지국 2, 3 : 무선 이동기 그룹
4 : 상위 장치(무선 제어 장치) 5 : 안테나
11 : 무선 송신부, 무선 수신부 12 : 신호 처리부
13 : 제어부 14 : 인터페이스
15 : 클록부 51 : 무선 제어 장치
52, 53 : 무선 기지국 54, 55, 56 : 셀
61∼70 : 무선 이동기

Claims (3)

  1. 서로 다른 타이밍으로 반복 송신하는 전파의 송신 상태를 상기 타이밍마다 제어하는 무선 기지국과,
    상기 무선 기지국으로부터 송신되는 자국의 할당 타이밍의 상기 전파를 수신하고, 이 수신한 전파에 기초하여 각각의 접속 목적지를 검출하는 복수의 무선 이동기를 구비하며,
    상기 무선 기지국은, 임의의 상기 타이밍의 전파 송신 상태를, 연속해서 정지시키는 완전 정파 상태, 간헐적으로 정지시키는 간헐 정파 상태 또는 무효 정보를 송신하는 무효 정보 송신 상태 중 어느 하나로 제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동 무선 통신 시스템.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무선 기지국은, 상위 장치로부터 지시된 상기 타이밍 또는 공통 채널 신호의 수신수가 임계값을 초과한 상기 무선 이동기에 대응하는 상기 타이밍에 대하여, 상기 전파의 송신 상태를, 상기 완전 정파 상태, 상기 간헐 정파 상태 또는 상기 무효 정보 송신 상태 중 어느 하나로 제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동 무선 통신 시스템.
  3. 복수의 무선 이동기를 향해 서로 다른 타이밍으로 전파를 반복 송신하는 무선 기지국에 있어서,
    상기 무선 이동기로부터 공통 채널 신호를 수신하는 무선 수신부와,
    상기 무선 수신부에 의해 수신된 공통 채널 신호의 수신 처리를 행하는 신호 처리부와,
    상위 장치로부터의 지시를 수취하는 인터페이스와,
    상기 신호 처리부에 의해 수신 처리된 공통 채널 신호의 수신수 또는 상기 인터페이스를 통해 상기 상위 장치로부터 수취한 지시에 기초하여 임의의 상기 타이밍의 전파의 송신 상태를 제어하는 제어부와,
    상기 제어부의 제어에 기초하여 상기 무선 이동기에 상기 전파를 송신하는 무선 송신부를 구비하고,
    상기 제어부는, 상기 상위 장치로부터 지시된 상기 타이밍 또는 상기 공통 채널 신호의 수신수가 임계값을 초과한 상기 무선 이동기에 대응하는 상기 타이밍에 대하여, 상기 전파의 송신 상태를, 연속해서 정지시키는 완전 정파 상태, 간헐적으로 정지시키는 간헐 정파 상태 또는 무효 정보를 송신하는 무효 정보 송신 상태 중 어느 하나로 제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무선 기지국.
KR1020080133367A 2008-05-01 2008-12-24 이동 무선 통신 시스템 및 무선 기지국 KR101004308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JP-P-2008-119976 2008-05-01
JP2008119976A JP5071228B2 (ja) 2008-05-01 2008-05-01 移動無線通信システムおよび無線基地局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90115651A true KR20090115651A (ko) 2009-11-05
KR101004308B1 KR101004308B1 (ko) 2010-12-28

Family

ID=4099974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80133367A KR101004308B1 (ko) 2008-05-01 2008-12-24 이동 무선 통신 시스템 및 무선 기지국

Country Status (4)

Country Link
US (1) US20090274095A1 (ko)
EP (1) EP2114105A3 (ko)
JP (1) JP5071228B2 (ko)
KR (1) KR101004308B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8189465B1 (en) * 2009-02-04 2012-05-29 Sprint Communications Company L.P. Deep packet inspection policy enforcement
US8751592B2 (en) * 2011-11-04 2014-06-10 Facebook, Inc. Controlling notification based on power expense and social factors
US8498276B2 (en) * 2011-05-27 2013-07-30 Honeywell International Inc. Guardian scrubbing strategy for distributed time-triggered protocols
CN103945407A (zh) * 2014-03-13 2014-07-23 上海华为技术有限公司 一种无线网络基站控制装置、相关方法以及无线网络基站

Family Cites Families (1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S57210739A (en) 1981-06-22 1982-12-24 Nec Corp Mobile radio communication system
JP2890967B2 (ja) 1992-03-25 1999-05-17 松下電器産業株式会社 ページング携帯無線機の位置登録方法
JP3044140B2 (ja) 1992-10-23 2000-05-22 エヌ・ティ・ティ移動通信網株式会社 移動通信装置
JP2002508620A (ja) * 1998-03-23 2002-03-19 サムスン エレクトロニクス カンパニー リミテッド 符号分割多重接続通信システムの逆方向リンク共通チャネルに対する電力制御装置及び方法
USH2106H1 (en) * 1998-09-24 2004-07-06 Opuswave Networks, Inc. Method and apparatus for multiple access communication
US6934539B2 (en) * 2001-01-08 2005-08-23 Lucent Technologies Inc. Apparatus and method for use in identifying presence of wireless terminals in mobile wireless communication systems
JP4009516B2 (ja) * 2002-10-07 2007-11-14 株式会社エヌ・ティ・ティ・ドコモ 移動通信システム、移動通信方法及び制御局
US20040209623A1 (en) * 2003-04-17 2004-10-21 Nortel Networks Limited Method of controlling the access to a public land mobile network
JP4252842B2 (ja) 2003-05-22 2009-04-08 株式会社エヌ・ティ・ティ・ドコモ 管理ノード装置、無線通信システム、負荷分散方法およびプログラム
US7936676B2 (en) * 2003-12-19 2011-05-03 Lenovo (Singapore) Pte. Ltd. Autonomic load balancing in wireless local area networks
US7711377B2 (en) * 2004-06-10 2010-05-04 Qualcomm Incorporated Efficient paging in a wireless communication system
US7328010B2 (en) * 2004-12-14 2008-02-05 Telefonaktiebolaget Lm Ericsson (Pub) Method and apparatus for steering idle mobile stations
JP2007053437A (ja) * 2005-08-15 2007-03-01 Nec Corp 携帯電話端末および携帯電話端末におけるセル選択方法
US7680071B2 (en) * 2005-09-16 2010-03-16 Interdigital Technology Corporation Method and apparatus for managing power during a discontinuous reception mode
US7756548B2 (en) * 2005-09-19 2010-07-13 Qualcomm Incorporated Methods and apparatus for use in a wireless communications system that uses a multi-mode base station
JP5306824B2 (ja) * 2006-01-11 2013-10-02 クゥアルコム・インコーポレイテッド 無線端末のビーコン信号の使用を含むタイミングおよび/または同期に関連する方法および装置
US7974643B2 (en) * 2006-11-09 2011-07-05 Qualcomm Incorporated Reducing mobile-terminated call set up by identifying and mitigating overlap between paging and system information broadcast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US20090274095A1 (en) 2009-11-05
JP2009272775A (ja) 2009-11-19
EP2114105A3 (en) 2011-01-05
EP2114105A2 (en) 2009-11-04
KR101004308B1 (ko) 2010-12-28
JP5071228B2 (ja) 2012-11-14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EP2381590B1 (en) Multi-mode base station method and apparatus for use in a wireless communications system
EP1949564B1 (en) Methods and apparatus for use in a wireless communications system that uses a multi-mode base station
KR101006092B1 (ko) 무선 통신 네트워크들에서의 끊김없는 주파수간 핸드오프
RU2453072C2 (ru) Способ передачи данных с помощью мобильной станции во время состояния прерывистого приема
EP2034750A1 (en) Cell selection method, mobile station apparatus, and mobile communication system in hierarchical cell structure
EP2124461A1 (en) User device, base station apparatus and method for use in mobile communication system
US9084117B2 (en) Dynamic mobility management in cell-breathing base stations in a cellular telecommunication network
KR20140019029A (ko) 선점형 직접 링크 채널 스위칭
KR101714497B1 (ko) 무선통신 시스템에서 긴급 상황 감지 방법 및 장치
KR20140030316A (ko) 이동 무선 디바이스에서의 선택적 수신 다이버시티
WO2009140988A1 (en) Re-activation of a base station in standby mode
US9544835B2 (en) Method and apparatus for connection management
US9049671B2 (en) Radio communication system, radio base station, and power control method
JP2008278303A (ja) 無線通信端末装置及び無線通信方法
EP2288109B1 (en) Method in a communication device providing data services over a packet access radio interface and a communication device
EP2416608B1 (en) A method and terminal for switching a base station for wireless telecommunications between a dormant mode and an active mode.
KR101004308B1 (ko) 이동 무선 통신 시스템 및 무선 기지국
JP5692370B2 (ja) 無線移動通信システム、無線基地局装置、移動端末装置、及び無線移動通信システムにおける無線通信方法
KR20110090035A (ko) 이기종 시스템을 지원하는 이동 단말에서 핸드오버 방법 및 장치
EP2166775B1 (en) Mobile station device and cell setting method
JP2009246598A (ja) 移動通信システム及び移動端末装置並びにセル選択方法
KR20150086067A (ko) 슬립 모드 운용을 위한 펨토셀 ap 디바이스 및 그 구동 방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1210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1205

Year of fee payment: 5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