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90114743A - 헤어드라이기 - Google Patents

헤어드라이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90114743A
KR20090114743A KR1020080040540A KR20080040540A KR20090114743A KR 20090114743 A KR20090114743 A KR 20090114743A KR 1020080040540 A KR1020080040540 A KR 1020080040540A KR 20080040540 A KR20080040540 A KR 20080040540A KR 20090114743 A KR20090114743 A KR 20090114743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hair
main body
led
optical fiber
scalp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80040540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0998333B1 (ko
Inventor
이종일
김춘광
손옥재
Original Assignee
김훈기
전남대학교산학협력단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김훈기, 전남대학교산학협력단 filed Critical 김훈기
Priority to KR1020080040540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998333B1/ko
Publication of KR20090114743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90114743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998333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998333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45HAND OR TRAVELLING ARTICLES
    • A45DHAIRDRESSING OR SHAVING EQUIPMENT; EQUIPMENT FOR COSMETICS OR COSMETIC TREATMENTS, e.g. FOR MANICURING OR PEDICURING
    • A45D20/00Hair drying devices; Accessories therefor
    • A45D20/04Hot-air producers
    • A45D20/08Hot-air producers heated electrically
    • A45D20/10Hand-held drying devices, e.g. air douches
    • A45D20/12Details thereof or accessories therefor, e.g. nozzles, stands
    • AHUMAN NECESSITIES
    • A45HAND OR TRAVELLING ARTICLES
    • A45DHAIRDRESSING OR SHAVING EQUIPMENT; EQUIPMENT FOR COSMETICS OR COSMETIC TREATMENTS, e.g. FOR MANICURING OR PEDICURING
    • A45D20/00Hair drying devices; Accessories therefor
    • A45D20/22Helmets with hot air supply or ventilating means, e.g. electrically heated air current
    • A45D20/38Arrangement of the electric heating means
    • A45D20/40Arrangement of the electric heating means for use of infrared rays
    • AHUMAN NECESSITIES
    • A45HAND OR TRAVELLING ARTICLES
    • A45DHAIRDRESSING OR SHAVING EQUIPMENT; EQUIPMENT FOR COSMETICS OR COSMETIC TREATMENTS, e.g. FOR MANICURING OR PEDICURING
    • A45D2200/00Detai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in A45D
    • A45D2200/20Additional enhancing means
    • A45D2200/205Radiation, e.g. UV, infrared

Abstract

본 발명은 근적외선이 방사되어 모발의 건조시간을 최소화할 수 있도록 형성된 헤어드라이기에 관한 것으로, 모터에 의해 회전하는 송풍팬이 내부에 설치되어 있으며, 공기가 유입되는 유입구와, 히터에 의해 가열된 공기가 배출되는 배출구가 형성된 본체를 구비하는 헤어드라이기에 있어서, 사용자가 머리를 말리는 과정 중 모발에 근적외선을 조사하여 모발의 건조시간을 단축시킬 수 있도록 본체에 설치되는 근적외선 램프부를 더 구비하는 것이다.
상기 근적외선 램프부는 파장이 850 내지 920 nm인 근적외선을 방사하는 근적외선 엘이디를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에 따른 헤어드라이기는 근적외선을 모발에 조사함으로써 모발의 건조시간을 최소화함에 따라 모발의 손상을 줄이고 전력 소모 역시 최소화할 수 있다. 그리고 적색 및 청색 엘이디를 두피에 근접하게 조사함으로써 두피 건강을 개선할 수 있는 이점이 있다.
근적외선, 헤어드라이기, 광섬유

Description

헤어드라이기 {Hair dryer}
본 발명은 헤어드라이기에 관한 것으로서, 더 상세하게는 근적외선이 방사되어 모발의 건조시간을 최소화할 수 있도록 형성된 헤어드라이기에 관한 것이다.
헤어드라이기는 냉풍 또는 열풍에 의하여 젖은 모발을 건조시키는 일반화된 미용 기구의 하나로서, 일반적으로는 송풍팬이 내장된 환형 몸체와 그 하방에 형성되는 스위치 부착 그립부와 상기한 환형 몸체의 일측에 연장 형성되는 송풍관 유도로와, 상기한 송풍관 유도로 내에 고정되는 코일 히터로 구성되며, 전원이 인가되면 송풍팬이 회전하고 열풍을 원할 경우에만 상기한 코일히터를 가열하며 냉풍을 원할 경우에는 상기한 코일히터를 가열하지 않는 구조이다.
상기한 헤어드라이기의 전체적인 형상은 절곡형, 일자형, 접철형 등 다양한 형태가 공지되어 있으나, 그 기본 기능은 동일하다.
모발의 건조는 건강한 두피 유지를 위해 매우 중요하다. 머리를 감은 다음 젖은 머리를 말리지 않고 그대로 방치하게 되면 두피가 습해져서 세균번식이 용이하게 된다. 눅눅한 두피 환경은 비듬균 번식뿐 아니라 각종 세균과 기타 곰팡이균도 번식하도록 하며 쉰내와 같은 불쾌한 머리냄새를 풍긴다. 심할 경우 탈모까지 유발할 수 있다.
따라서 일반적으로 머리를 감은 다음에는 모발을 건조시키기 위해 헤어드라이기를 사용하게 된다.
그런데 종래의 헤어드라이기는 코일히터에 의해 가열된 열풍을 통해 모발의 수분을 제거하도록 되어 있는데, 이러한 헤어드라이기를 통해 모발 전체를 충분히 말리기 위해서는 장시간 열풍을 가해야 한다.
특히 외부로 노출되어 있는 머리카락은 두피와 인접해 있는 머리카락에 비해 열풍에 노출되는 시간이 길어지게 되며, 이러한 경우 외부로 노출된 머리카락이 지나치게 건조해져서 모발이 갈라지거나 손상되는 문제가 발생하기도 하였다.
따라서 모발의 손상을 방지하면서도 전체 모발을 충분히 건조시킬 수 있는 헤어드라이기의 필요성이 제기되었다.
본 발명은 상기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서, 모발의 건조시간을 최소화할 수 있도록 근적외선을 방사할 수 있는 헤어드라이기를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본 발명은 모터에 의해 회전하는 송풍팬이 내부에 설치되어 있으며, 공기가 유입되는 유입구와, 히터에 의해 가열된 공기가 배출되는 배출구가 형성된 본체를 구비하는 헤어드라이기에 있어서, 사용자가 머리를 말리는 과정 중 모발에 근적외선을 조사하여 모발의 건조시간을 단축시킬 수 있도록 본체에 설치되는 근적외선 램프부를 더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헤어드라이기에 관한 것이다.
근적외선 램프부는 파장이 850 내지 920 nm인 근적외선을 방사하는 근적외선 엘이디를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그리고 헤어드라이기는 본체로부터 외부로의 연장길이를 조정 가능하게 설치된 광섬유부와, 상기 광섬유부를 통해 외부로 광을 도파할 수 있게 상기 본체에 설치되고, 두피를 자극할 수 있는 광이 출사되는 엘이디를 포함하는 엘이디 램프부를 더 구비하는데, 상기 엘이디 램프부의 상기 엘이디는 적색 엘이디 또는 청색 엘이디 중 선택된 하나 또는 두 가지를 모두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에 따른 헤어드라이기는 근적외선을 모발에 조사함으로써 모발의 건 조시간을 최소화함에 따라 모발의 손상을 줄이고 전력 소모 역시 최소화할 수 있다.
그리고 적색 및 청색 엘이디를 두피에 근접하게 조사함으로써 두피 건강을 개선할 수 있는 이점이 있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에 따른 헤어드라이기를 더욱 상세하게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 1 내지 도 4를 참조하면, 본 발명에 따른 헤어드라이기(100)는 본체(10)와, 본체(10)의 내부에 설치되는 모터(20), 송풍팬(21), 히터(22)와, 상기 본체(10)의 전방에 설치되는 램프홀더(30)와, 램프홀더(30)에 설치되는 근적외선 램프부(40)와, 본체(10)에 설치되는 청색, 적색 엘이디(63)를 포함하는 엘이디 램프부(60) 및 엘이디 램프부(60)에서 출사되는 광이 도파될 수 있게 본체(10)에 설치되는 광섬유부(70)를 포함한다.
상기 본체(10)는 전후방향을 따라 공기의 유동로가 형성되어 있는 메인바디(11)와, 메인바디(11)의 일측으로부터 하방으로 연장되게 형성되어 있는 손잡이(16)를 구비한다.
메인바디(11)는 후방에 외부 공기가 유입될 수 있도록 유입구(12)가 형성되어 있으며, 상기 유입구(12)로부터 연장되는 유동로의 단부에는 공기가 배출될 수 있도록 배출구(13)가 형성되어 있다. 그리고 배출구(13)가 형성된 메인바디(11)의 일단에는 외주면에 램프홀더(30)를 체결하기 위한 나사산이 형성되어 있다.
손잡이(16)는 사용자가 손으로 파지하기 용이하도록 형성되어 있으며, 내부에 후술하는 엘이디 램프부(60)가 장착될 수 있는 장착공간이 형성되어 있다. 그리고 손잡이(16)의 외주면에는 헤어드라이기(100)의 구동을 조작할 수 있도록 스위치부(17)가 형성되어 있는데, 스위치부(17)는 모터(20)와 히터(22)를 구동하기 위한 제1 스위치(18)와, 후술하는 근적외선 엘이디(43)와 적색·청색 엘이디(63,64)를 발광시키도록 전원을 단속하는 제2 스위치(19)를 포함한다.
상기 모터(20)와 송풍팬(21)은 본체(10)의 내부에 설치되는데, 송풍팬(21)은 모터(20)에 의해 회전하면서 유입구(12)를 통해 외부공기가 메인바디(11)의 내부로 유입될 수 있도록 회전한다.
상기 히터(22)는 유동로를 통과하는 공기를 가열하기 위한 것으로서, 메인바디(11)의 내부에 유동로에 노출되도록 설치되는 열선 형태로 형성되어 있다.
스위치부(17)를 통해 전원공급부에서 모터(20)에 전원을 인가하면 모터(20)의 구동에 의해 송풍팬(21)이 회전하면서 외부 공기를 유입구(12)를 통해 메인바디(11)의 내부로 흡입하게 되며, 유동로를 통과하는 공기는 히터(22)에 의해 가열된 후 배출구(13)를 통해 배출되어 모발을 건조하게 된다.
램프홀더(30)는 메인바디(11)에 결합되어 근적외선 램프부(40)와 광섬유부(70)를 고정하기 위한 것으로서, 상기 메인바디(11)의 외주면에 형성되어 있는 나사산에 나사결합될 수 있도록 형성된 체결부분(31)과, 체결부분(31)의 단부에 연결되어 있으며 전후방향으로 연장되어 근적외선 엘이디(43)와 광섬유부재(72)가 끼워질 수 있는 제1, 제2 끼움홀(33,34)들이 형성되어 있는 고정부분(32)을 포함한 다.
고정부분(32)은 배출구(13)를 폐쇄하지 않도록 중앙에 전후방향을 따라 관통홀(35)이 형성되어 있으며, 고정부분(32)의 내경은 체결부분(31)의 내경에 비해 상대적으로 작게 형성되어 있다.
근적외선 램프부(40)는 램프홀더(30)에 의해 본체(10)에 고정되는데, 상기 고정부분(32)에 대응하는 외경과 내경을 갖는 링 형상의 지지부재(41)와, 지지부재(41)에 원호방향을 따라 이격되게 설치되는 다수개의 근적외선 엘이디(43)를 포함한다.
지지부재(41)에는 근적외선 엘이디(43)의 사이에 후술하는 광섬유홀더(80)로부터 연장되는 광섬유부재(72)가 램프홀더(30)로 연장될 수 있도록 전후방향을 따라 관통되어 있는 복수개의 제1 광섬유 체결홀(42)들이 형성되어 있다.
근적외선 엘이디(43)는 상기 제1 끼움홀(33)들에 끼워져 전단이 고정부분(32)의 전방으로 노출되게 설치되며, 모발의 건조시 근적외선 엘이디(43)에서 방사되는 근적외선에 의해 건조시간을 단축하기 위한 것이다.
도 5에는 근적외선 엘이디(43)를 사용하였을 때의 건조시간의 변화를 알아보기 위한 실험 결과가 그래프로 도시되어 있다.
도 5를 참조하면, 이 실험에서는 근적외선 엘이디(43)가 설치되지 않은 일반 헤어드라이기(100)(case1)와, 근적외선 엘이디(43)가 각각 1 내지 4개씩 설치되어 있는 case2 ~ case5를 통해 일정 시간동안 증발된 수분량을 측정하였다.
즉, 각각의 경우에 대하여 실험 시작 전 일정 크기의 용기에 저장되어 있는 물의 양을 측정한 다음 단위 시간이 지난 후의 물의 양을 측정하여 일반 헤어드라이기(100)(case1)와 근적외선 엘이디(43)가 설치되어 있는 헤어드라이기(100)(case2 ~ case5)의 수분 증발량을 비교하였다. 본 실험에서 증발이 이루어지는 실험실의 온도 및 습도는 모두 동일하게 유지하였으며, 각각의 헤어드라이기(100)와 용기 사이의 거리도 모두 동일하였다.
그래프에서 볼 수 있는 바와 같이 2분이 경과 된 후 일반 드라이기(case1)는 수분이 11.3 g에서 10.0g으로 1.3g이 감소했다. 반면 근적외선 엘이디(43)가 장착된 case2 ~ case5의 경우에는 각각 1.35g, 1.4g, 1.6g, 1.85g이 감소했다.
이렇게 일반 헤어드라이기(100)에 비해 근적외선 엘이디(43)가 장착되어 있는 헤어드라이기(100)가 단위시간 동안 증발시킨 수분의 양이 더 많으므로 모발의 건조시 근적외선 엘이디(43)에 의해 모발의 건조시간을 단축할 수 있음을 확인할 수 있었다. 아울러 근적외선 엘이디(43)의 설치 개수가 늘어날수록 건조 속도 역시 증가하는 것을 확인할 수 있었다.
근적외선 엘이디(43)는 특히 파장이 850 내지 920 nm인 것을 사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일반적으로 근적외선은 적외선 중에서도 파장이 가장 짧은 750 ~ 3000nm인 것을 가리키는데, 근적외선의 파장에 따른 수분의 건조속도를 비교하여 가장 효율적인 파장대를 확인하였다.
도 6은 근적외선의 파장에 따른 건조속도 비교 실험을 정리한 그래프이다.
그래프에 나타나 있는 바와 같이 파장이 상호 다른 근적외선 엘이디(43)를 조사하여 용기에 담겨있는 5g의 물이 모두 증발하는데 걸리는 시간을 기록하였다. 본 실험에서 용기로부터 근적외선 엘이디(43) 사이의 이격 거리는 모두 동일하며,각각의 실험 중 건조실의 온도와 습도 역시 모두 동일하게 유지하였다.
그래프를 통해 확인할 수 있는 것처럼, 반복되는 실험을 통해 파장이 850 내지 920nm 인 경우가 다른 파장대에 비해서 물이 건조되는데 걸리는 시간이 가장 짧음을 확인할 수 있었다.
반복적인 실험을 통해 파장이 2000nm 이상인 경우에는 건조 시간이 증가할 것으로 예상되어 실험을 실시하지 않았다.
이렇게 실험을 통해 상기 근적외선 엘이디(43)는 파장이 850 내지 920nm인 것을 사용하는 것이 가장 바람직함을 확인할 수 있었다.
근적외선 램프부(40)의 후방에는 절연부재(50)가 설치되어 있다.
절연부재(50)는 근적외선 램프부(40)에서 누전이 발생하는 경우 누전된 전기에 의해 광섬유홀더(80)를 통해 분배 및 연장되는 광섬유가 파손되거나, 본체(10)를 통해 사용자가 감전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한 것으로서, 절연물질로 형성되어 있으며, 지지부재(41)의 후방을 지지한다. 절연부재(50)에는 배출구(13)를 통해 배출되는 공기가 통과할 수 있도록 통기공(51)들이 형성되어 있으며, 지지부재(41)와 마찬가지로 광섬유부재(72)가 통과할 수 있는 제2 광섬유 체결홀(52)이 마련되어 있다.
광섬유홀더(80)는 메인바디(11)의 전방에 끼움결합되며 광섬유부재(72)들을 고정하는 것으로, 광섬유부재(72)가 한 가닥씩 통과할 수 있도록 원호방향을 따라 이격되게 형성되어 있는 고정홀(81)들이 마련되어 있으며, 후단에는 메인바디(11)의 배출구(13)측에 형성된 구획판(14)에 끼워질 수 있는 삽입홈(미도시)이 형성되어 있다.
광섬유홀더(80)와 절연부재(50), 근적외선 램프부(40)를 차례로 배열한 다음 램프홀더(30)를 본체(10)에 체결하면 절연부재(50)와 근적외선 램프부(40)는 광섬유홀더(80)와 램프홀더(30)의 고정부분(32)의 사이에서 고정된 상태를 유지하게 된다.
엘이디 램프부(60)는 모발의 건조시 두피에 적색광과 청색광을 조사하여 두피 건강을 유지시키기 위한 것으로, 손잡이(16)의 내부에 형성되어 있는 클램핑부(61)와, 클램핑부(61)에 지지되며, 내부에 적색 엘이디(63)와 청색 엘이디(64)가 각각 두 개씩 장착되어 있는 엘이디 케이스(62)를 포함한다.
상기 적색 엘이디(63)와 청색 엘이디(64)는 두피 자극을 통한 두피 건강을 위한 것이다. 엘이디 램프에서 조사되는 빛은 인체에 흡수되면 조직을 자극하여 세포 안에서 스스로 신진대사를 일으키도록 유도함으로써 미토콘드리아의 생성을 증대시키는 것을 알려져 있다.
특히 적색광은 섬유아세포의 세포성장을 5배 이상 증가시켜 콜라겐 합성을 증식시키며, 청색광은 피부를 정화시키고 여드름의 원인인 박테리아(P.Acne)의 증식을 억제시키는데 효과가 있음이 알려져 있다.
따라서 적색 엘이디(63)와 청색 엘이디(64)를 통해 출사되는 적색광과 청색광이 모발의 건조 중 두피에 조사됨으로써 두피의 세포를 자극하고 두피 건강 유지 에 도움이 될 수 있다.
광섬유부(70)는 상기 엘이디케이스의 상부에 적층되도록 클램핑부(61)에 설치되는 광섬유 케이스(71)와, 광섬유 케이스(71)에 일단이 결합되는 광섬유부재(72)를 구비한다.
광섬유 케이스(71)에는 12 가닥의 광섬유부재(72)가 설치되어 있다. 상기 광섬유부재(72)들은 광섬유 케이스(71)의 하면을 통해 하방으로 노출되도록 설치되며, 상기 적색 엘이디(63)와 청색 엘이디(64)에서 출사되는 광이 수광된다.
광섬유부재(72)들은 광섬유 케이스(71)의 상부에서 하나의 케이블로 형성되어 메인바디(11)의 일측에 형성되어 있는 연장관(15)을 통해 메인바디(11)의 전방을 향해 연장되며, 상기 광섬유홀더(80)의 고정홀(81)들에 한 가닥씩 끼워져 전방으로 연장된다.
광섬유부재(72)의 전단은 램프홀더(30)의 제2 끼움홀(34)을 관통하여 외부로 노출된다.
광섬유부재(72)는 램프홀더(30)에 결합 위치가 고정되지 않고 램프홀더(30)로부터 인출되는 인출 길이를 사용자가 조절할 수 있도록 진퇴 가능하게 결합된다.
이는 광섬유부재(72)를 통해 도파되는 적색광과 청색광의 조사지점이 두피와 최대한 인접하도록 하기 위한 것이다.
모발의 건조시 배출구(13)를 통해 배출되는 가열된 공기는 온도가 높기 때문에 배출구(13)와 두피 사이의 이격거리를 지나치게 좁히게 되는 경우 사용자가 화상을 입을 우려가 있으므로 배출구(13)와 두피 사이의 거리는 일정 거리 이상 근접 시키기가 어렵다.
그러나 광섬유부재(72)를 도파한 적색광과 청색광은 두피에 근접한 지점에서 조사될 때 그 효과가 높다.
이를 도 7의 그래프를 통해 확인할 수 있는데, 근적외선 엘이디(43)와 적색·청색 엘이디(63,64)의 조사거리에 따른 광파워를 측정하였다.
근적외선 엘이디(43)와 적색 엘이디(63) 및 청색 엘이디(64)를 거리를 변화시켜 가면서 각각의 거리에 따른 조사 지점에서의 광파워를 광파워 측정기를 통해 측정한 결과 조사 지점으로부터의 거리가 멀어질수록 조사 지점에 도달하는 광 에너지의 양이 줄어드는 것을 확인할 수 있었다.
따라서 청색광과 적색광을 두피에 조사할 때, 조사 거리를 최대한 두피와 가까워지게 하는 것이 광의 에너지 전달에 유리하지만 상술한 바와 같이 배출구(13)에서 배출되는 가열된 공기에 의해 본체(10)를 두피에 근접시키는 것이 불가능 하므로 광섬유부재(72)를 램프홀더(30)로부터 인출하여 광섬유부재(72)의 단부가 두피와 인접하도록 함으로써 적색광과 청색광에 의한 두피 자극이 더욱 효율적으로 이루어지도록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본 실시예에서는 적색광과 청색광의 조사 거리를 단축시킬 수 있도록 광섬유부재(72)가 적색광과 청색광 만을 도파하게 설치되어 있으나, 근적외선 엘이디(43) 역시 모발 또는 두피 사이의 조사거리가 단축되도록 광섬유부재(72)를 도파하여 두피와 모발에 조사되게 형성될 수도 있다.
본 발명의 헤어드라이기(100)는 근적외선을 통해 모발의 건조시간을 최소화 할 수 있으며, 적색광과 청색광을 통한 두피 자극으로 두피의 건강을 유지시킬 수 있다. 특히 적색광과 청색광의 두피에 대한 조사거리를 단축시켜 광파워의 손실을 최소화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헤어드라이기(100)의 사용 방법은 다음과 같다.
손잡이(16)의 제1 스위치(18)를 통해 모터(20)와 히터(22)를 구동한다.
이후 제2 스위치(19)를 통해 근적외선 엘이디(43)와 적색·청색 엘이디(63,64)가 발광하도록 전원을 인가한 뒤 배출구(13)에서 배출되는 가열된 공기를 이용해 모발을 건조시킨다.
이때, 적색광과 청색광의 조사지점이 두피에 인접할 수 있도록 광섬유부재(72)를 램프홀더(30)로부터 인출시켜 광섬유부재(72)의 단부가 두피와 인접하도록 세팅한 다음 모발의 건조를 진행하면 근적외선에 의해 모발의 건조시간이 단축되며, 적색광과 청색광의 두피 자극 및 세포 활성화를 유도할 수 있다.
본 실시예에서는 근적외선 엘이디(43)와 적색·청색 엘이디(63,64)가 모두 제2 스위치(19)에 의해 발광하도록 전원이 단속되게 형성되어 있으나, 이와는 달리 근적외선 엘이디(43)와 적색·청색 엘이디(63,64)를 따로 발광시킬 수 있도록 별도의 스위치를 더 구비할 수도 있다. 그리고 근적외선 엘이디(43) 역시 두피 및 모발과 인접한 지점에서 조사할 수 있도록 램프홀더(30)로부터 인출 및 인입 가능하게 설치되는 광섬유부재와 연결되도록 형성될 수도 있다.
또한 본 실시예에서는 두피 자극을 위한 광을 조사하기 위한 엘이디 램프부(60)가 적색광과 청색광을 조사하기 위한 적색·청색 엘이디(63,64)를 포함하고 있으나, 엘이디 램프부(60)는 이와는 달리 세포 활동을 촉진시키는 등 두피 건강을 증진시킬 수 있도록 두피를 자극할 수 있다면 이 외에도 다양한 종류의 엘이디가 장착될 수도 있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헤어드라이기의 일 실시예를 도시한 사시도이고,
도 2는 도 1의 분리 사시도이고,
도 3은 메인바디의 전방에 장착되어 있는 램프홀더와, 이 램프홀더에 의해 고정되는 근적외선 램프부 및 광섬유부를 도시한 부분절단 사시도이고,
도 4는 손잡이에 설치되는 엘이디램프부 및 광섬유부를 도시한 부분발췌 사시도이고,
도 5는 근적외선 엘이디가 장착된 드라이기와 일반 드라이기 사이의 수분 증발속도를 비교하는 실험 결과를 나타낸 그래프이고,
도 6은 근적외선 엘이디의 파장에 따른 건조속도 실험결과를 나타낸 그래프이고,
도 7은 엘이디 램프의 조사 거리에 따른 광파워 측정 실험 결과를 나타낸 그래프이다.

Claims (4)

  1. 모터에 의해 회전하는 송풍팬이 내부에 설치되어 있으며, 공기가 유입되는 유입구와, 히터에 의해 가열된 공기가 배출되는 배출구가 형성된 본체를 구비하는 헤어드라이기에 있어서,
    사용자가 머리를 말리는 과정 중 모발에 근적외선을 조사하여 모발의 건조시간을 단축시킬 수 있도록 상기 본체에 설치되는 근적외선 램프부를 더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헤어드라이기.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근적외선 램프부는 파장이 850 내지 920 nm인 근적외선을 방사하는 근적외선 엘이디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헤어드라이기.
  3. 제 1항 또는 제 2항에 있어서,
    상기 본체로부터 외부로의 연장길이를 조정 가능하게 설치된 광섬유부와;
    상기 광섬유부를 통해 외부로 광을 도파할 수 있게 상기 본체에 설치되고, 두피를 자극할 수 있는 광이 출사되는 엘이디를 포함하는 엘이디 램프부;를 더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헤어드라이기.
  4. 제 3항에 있어서,
    상기 엘이디 램프부의 상기 엘이디는 적색 엘이디 또는 청색 엘이디 중 선택된 하나 또는 두 가지를 모두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헤어드라이기.
KR1020080040540A 2008-04-30 2008-04-30 헤어드라이기 KR100998333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80040540A KR100998333B1 (ko) 2008-04-30 2008-04-30 헤어드라이기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80040540A KR100998333B1 (ko) 2008-04-30 2008-04-30 헤어드라이기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90114743A true KR20090114743A (ko) 2009-11-04
KR100998333B1 KR100998333B1 (ko) 2010-12-06

Family

ID=4155595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80040540A KR100998333B1 (ko) 2008-04-30 2008-04-30 헤어드라이기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998333B1 (ko)

Cited B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21140979A1 (ja) * 2020-01-06 2021-07-15 メトラス株式会社 発光ユニット
KR102336327B1 (ko) * 2021-11-01 2021-12-08 이순 적외선 led를 이용한 헤어드라이어
KR20220002052A (ko) 2020-06-30 2022-01-06 주식회사 로이테크 헤어 드라이 장치 및 헤어 드라이 장치의 전원 공급 방법
KR20220002054A (ko) 2020-06-30 2022-01-06 주식회사 로이테크 디지털 터치스크린 방식의 헤어 드라이어와 이를 위한 고효율 전원공급장치

Families Citing this famil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8424543B2 (en) 2010-06-30 2013-04-23 Elc Management Llc Red light emitting device for use with hair product and blow dryer
KR101827356B1 (ko) 2016-12-28 2018-03-22 김민수 헤어 드라이어 및 상기 헤어 드라이어에 적용되는 전자파가 차단된 가열 부재
KR20190132746A (ko) 2018-05-21 2019-11-29 서효경 탈부착 빗 헤어드라이기
WO2023123504A1 (en) * 2021-12-31 2023-07-06 Sz Zuvi Technology Co., Ltd. Attachments and drying apparatuses having attachments

Family Cites Familie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S62184807U (ko) 1986-05-19 1987-11-24
JP4213525B2 (ja) * 2003-06-10 2009-01-21 株式会社フューテック 美容機器
KR200436531Y1 (ko) 2006-10-24 2007-09-06 유닉스전자주식회사 근적외선 파장대의 발광 다이오드를 이용한 후드 드라이어
KR200436529Y1 (ko) * 2006-10-24 2007-09-03 유닉스전자주식회사 근적외선 파장대의 발광 다이오드를 이용한 헤어드라이어

Cited By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21140979A1 (ja) * 2020-01-06 2021-07-15 メトラス株式会社 発光ユニット
KR20220002052A (ko) 2020-06-30 2022-01-06 주식회사 로이테크 헤어 드라이 장치 및 헤어 드라이 장치의 전원 공급 방법
KR20220002054A (ko) 2020-06-30 2022-01-06 주식회사 로이테크 디지털 터치스크린 방식의 헤어 드라이어와 이를 위한 고효율 전원공급장치
KR20220002809A (ko) 2020-06-30 2022-01-07 주식회사 로이테크 디지털 터치스크린 방식의 헤어 드라이어와 이를 위한 고효율 전원공급장치
KR102336327B1 (ko) * 2021-11-01 2021-12-08 이순 적외선 led를 이용한 헤어드라이어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0998333B1 (ko) 2010-12-06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998333B1 (ko) 헤어드라이기
KR101155135B1 (ko) 엘이디 탈부착형 헤어드라이기
JP2007528272A (ja) 可変量イオンの毛髪スタイリング用電気器具
US20080201979A1 (en) Illuminating hair styling system
US20200128935A1 (en) Hair dryer with built-in laser diodes
KR20110017532A (ko) 원적외선 기능이 구비된 애완동물용 사우나
KR100562714B1 (ko) 헤어드라이기
KR200436529Y1 (ko) 근적외선 파장대의 발광 다이오드를 이용한 헤어드라이어
US5826347A (en) Hygienic foot drier
KR101871122B1 (ko) 브러쉬가 구비된 헤어드라이기
KR200471579Y1 (ko) 애완견 드라이 장치
KR200397164Y1 (ko) 음이온 발생기를 구비한 신발건조기
KR200369961Y1 (ko) 레이저 방사 기능을 갖는 헤어 드라이기
KR200389858Y1 (ko) 손 피부 관리장치
KR100541851B1 (ko) 원적외선 및 음이온 발생부재가 장착된 헤어드라이어
KR102202663B1 (ko) 반구형 인서트 모듈을 구비한 신발 살균 건조 장치
KR970003431Y1 (ko) 원적외선 및 자외선을 방사하는 식기건조기
KR20100136158A (ko) 애완견 건조기
KR200497789Y1 (ko) 다중 송풍 드라이어
KR20110029251A (ko) 식기 건조 및 살균기
KR102511667B1 (ko) 카본히터가 구비된 반려동물 관리기
KR200167600Y1 (ko) 원(遠) 적외선(赤外線) 모발 건조기
KR200321239Y1 (ko) 헤어 드라이어
KR20200035820A (ko) 휴대용 건조기
KR20220072296A (ko) 램프 모듈에 의해 원적외선이 조사되는 모발건조용 기기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N231 Notification of change of applicant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