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90114487A - 바코드 스캐너와 바코드 판독 시스템 및 방법 - Google Patents

바코드 스캐너와 바코드 판독 시스템 및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90114487A
KR20090114487A KR1020080040146A KR20080040146A KR20090114487A KR 20090114487 A KR20090114487 A KR 20090114487A KR 1020080040146 A KR1020080040146 A KR 1020080040146A KR 20080040146 A KR20080040146 A KR 20080040146A KR 20090114487 A KR20090114487 A KR 20090114487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barcode
image
bar code
scanner
camera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80040146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홍영표
Original Assignee
제노젠(주)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제노젠(주) filed Critical 제노젠(주)
Priority to KR1020080040146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90114487A/ko
Publication of KR20090114487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90114487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KGRAPHICAL DATA READING; PRESENTATION OF DATA; RECORD CARRIERS; HANDLING RECORD CARRIERS
    • G06K7/00Methods or arrangements for sensing record carriers, e.g. for reading patterns
    • G06K7/10Methods or arrangements for sensing record carriers, e.g. for reading patterns by electromagnetic radiation, e.g. optical sensing; by corpuscular radiation
    • G06K7/14Methods or arrangements for sensing record carriers, e.g. for reading patterns by electromagnetic radiation, e.g. optical sensing; by corpuscular radiation using light without selection of wavelength, e.g. sensing reflected white light
    • G06K7/1404Methods for optical code recognition
    • G06K7/1408Methods for optical code recognition the method being specifically adapted for the type of code
    • G06K7/14172D bar code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KGRAPHICAL DATA READING; PRESENTATION OF DATA; RECORD CARRIERS; HANDLING RECORD CARRIERS
    • G06K7/00Methods or arrangements for sensing record carriers, e.g. for reading patterns
    • G06K7/10Methods or arrangements for sensing record carriers, e.g. for reading patterns by electromagnetic radiation, e.g. optical sensing; by corpuscular radiation
    • G06K7/10009Methods or arrangements for sensing record carriers, e.g. for reading patterns by electromagnetic radiation, e.g. optical sensing; by corpuscular radiation sensing by radiation using wavelengths larger than 0.1 mm, e.g. radio-waves or microwaves
    • G06K7/10366Methods or arrangements for sensing record carriers, e.g. for reading patterns by electromagnetic radiation, e.g. optical sensing; by corpuscular radiation sensing by radiation using wavelengths larger than 0.1 mm, e.g. radio-waves or microwaves the interrogation device being adapted for miscellaneous applications
    • G06K7/10376Methods or arrangements for sensing record carriers, e.g. for reading patterns by electromagnetic radiation, e.g. optical sensing; by corpuscular radiation sensing by radiation using wavelengths larger than 0.1 mm, e.g. radio-waves or microwaves the interrogation device being adapted for miscellaneous applications the interrogation device being adapted for being moveable
    • G06K7/10386Methods or arrangements for sensing record carriers, e.g. for reading patterns by electromagnetic radiation, e.g. optical sensing; by corpuscular radiation sensing by radiation using wavelengths larger than 0.1 mm, e.g. radio-waves or microwaves the interrogation device being adapted for miscellaneous applications the interrogation device being adapted for being moveable the interrogation device being of the portable or hand-handheld type, e.g. incorporated in ubiquitous hand-held devices such as PDA or mobile phone, or in the form of a portable dedicated RFID reader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KGRAPHICAL DATA READING; PRESENTATION OF DATA; RECORD CARRIERS; HANDLING RECORD CARRIERS
    • G06K7/00Methods or arrangements for sensing record carriers, e.g. for reading patterns
    • G06K7/10Methods or arrangements for sensing record carriers, e.g. for reading patterns by electromagnetic radiation, e.g. optical sensing; by corpuscular radiation
    • G06K7/10544Methods or arrangements for sensing record carriers, e.g. for reading patterns by electromagnetic radiation, e.g. optical sensing; by corpuscular radiation by scanning of the records by radiation in the optical part of the electromagnetic spectrum
    • G06K7/10821Methods or arrangements for sensing record carriers, e.g. for reading patterns by electromagnetic radiation, e.g. optical sensing; by corpuscular radiation by scanning of the records by radiation in the optical part of the electromagnetic spectrum further details of bar or optical code scanning devices
    • G06K7/10831Arrangement of optical elements, e.g. lenses, mirrors, prism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KGRAPHICAL DATA READING; PRESENTATION OF DATA; RECORD CARRIERS; HANDLING RECORD CARRIERS
    • G06K7/00Methods or arrangements for sensing record carriers, e.g. for reading patterns
    • G06K7/10Methods or arrangements for sensing record carriers, e.g. for reading patterns by electromagnetic radiation, e.g. optical sensing; by corpuscular radiation
    • G06K7/14Methods or arrangements for sensing record carriers, e.g. for reading patterns by electromagnetic radiation, e.g. optical sensing; by corpuscular radiation using light without selection of wavelength, e.g. sensing reflected white light
    • G06K7/1404Methods for optical code recognition
    • G06K7/146Methods for optical code recognition the method including quality enhancement steps
    • G06K7/1478Methods for optical code recognition the method including quality enhancement steps adapting the threshold for pixels in a CMOS or CCD pixel sensor for black and white recognition

Landscapes

  • Physics & Mathematic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Electromagnetism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Toxicology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Artificial Intelligence (AREA)
  • Computer Vision & Pattern Recognition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Quality & Reliability (AREA)
  • Image Input (AREA)

Abstract

바코드의 디지털 이미지를 획득하는 디지털 카메라와, 바코드 인쇄면에 밀착하여 촬영할 수 있게 구성된 촬상면 및, 촬상면과 카메라 사이에 일정한 피사체 거리를 유지하게 구성된 광학계를 포함하는 콤팩트 이차원 바코드 스캐너(100)가 제공된다. 또한, 이 스캐너(100) 및, 스캐너(100)에 의해 획득된 디지털 이미지를 디코딩하여 바코드에 기록된 정보를 판독하는 바코드 판독 모듈(441)을 포함하는 이차원 바코드 판독 시스템(400)이 제공된다. 바코드 판독 모듈(441)은, 바코드 스캐너로부터 수신된 이미지를 보정하는 이미지 보정 모듈(451)과, 보정된 바코드 이미지로부터 정보를 디코딩하는 바코드 디코딩 모듈(452) 및, 디코딩된 정보를 디스플레이에 표시해주는 판독 정보 표시 모듈(453)을 포함할 수 있다.
이차원, 바코드, 스캐너, 판독, 이미지, 보정, 렌즈, 곡면

Description

바코드 스캐너와 바코드 판독 시스템 및 방법{BARCODE SCANNER AND SYSTEM AND METHOD FOR READING BARCODE USING IT}
이 발명은 이동식 이차원 바코드 스캐너에 관한 것이며, 좀더 자세하게는 컴팩트하게 구성된 이차원 바코드 스캐너에 관한 것이다.
이 발명은 또한 그러한 바코드 스캐너와 컴퓨팅 장치를 포함하는 바코드 판독 시스템에 관한 것이다.
1차원 바코드는 주로 물류 관리 분야에서 활용되었지만, 2차원 바코드는 하나의 바코드 내에 기록할 수 있는 정보량이 1차원 바코드에 비해 훨씬 많아지면서, 각종 문서 내용 기록, 신분 확인을 위한 신원 사항 기록, 금융 거래 정보 기록, 세무 관련 기록, 사진 등 이미지의 암호화 데이터 기록 등 다양한 활용이 가능해지고, 물류 분야보다는 행정 업무 처리, 금융 업무 처리, 세무 업무 처리, 휴대폰 등을 이용한 티켓 발행 업무 처리, 전자북 등 문화 콘텐츠 관련 분야 등에서 2차원 바코드를 이용한 서비스 개발이 계속되고 있다.
이러한 2차원 바코드를 판독하는 판독 장치는 POS(point of sale) 등에 설치되는 탁상형 또는 거치형 스캐너를 이용하거나 건(gun) 모양의 핸드헬드(handheld) 스캐너를 이용한다.
그런데, 새롭게 확대되고 있는 2차원 바코드 활용 서비스 분야에서는 개인들이 책상 위에서, 또는 휴대하고 다니면서 2차원 바코드를 판독할 수 있는 간편한 장치를 요구한다. 기존의 건 모양의 핸드헬드 스캐너를 들고 전자북을 읽거나, 명함에 인쇄된 바코드를 판독하거나, 세금고지서, 행정문서 등에 인쇄된 바코드를 읽기에는 지나치게 거추장스럽다.
2차원 바코드 스캐너는 정사각형 또는 직사각형으로 형성된 바코드를 CCD 카메라 등과 같은 카메라로 촬영하여 디지털 이미지 정보를 획득하고, 획득된 디지털 이미지 정보로 된 바코드 내의 흑백 화소를 구분하여 처리함으로써, 바코드 내에 기록된 정보를 판독한다.
2차원 바코드는 심볼별로 화소수는 동일할지라도, 그 크기는 다양하게 인쇄되며, 하나의 바코드를 해독하기 위해서는 해당 심볼의 전체를 촬영하여야 한다. 즉, 촬영할 바코드의 크기에 따라 조리개를 조절하면서 해당 심볼의 크기 및 스캐너와 바코드와의 거리에 맞게 초점거리를 조절한 후 촬영하게 된다.
기존의 바코드 스캐너에서는 거치형이나 핸드헬드형 모두 이러한 초점 조절 방식을 채택하고 있고, 그러한 초점 조절을 위해 마커 빔을 이용하고 있다. 이러한 마커 빔 조사 수단으로 인해 스캐너의 구성이 복잡해지고, 소형화가 제한을 받게 되며, 제조비용 상승의 원인이 된다.
이 발명은 위와 같은 사항을 감안하여 이루어진 것이며, 바코드 촬상면과 카메라의 거리를 고정적으로 유지함으로써 가변 초점이 아닌 고정 초점을 이용하는 바코드 스캐너를 제공하려는 것이다.
바코드 촬상면은 바코드에 밀접시켜 촬영할 수 있게 구성된 접촉식 촬상면이며, 개인이 일상생활에서 접할 수 있는 보편적인 크기의 바코드를 전체적으로 촬영하기에 충분한 크기를 가져야 한다.
촬상면의 크기에도 불구하고, 스캐너의 전체적인 크기는 휴대가 간편하고 한 손 조작이 가능할 정도로 충분히 작아야 한다.
이 발명은 또한 위 스캐너에서 촬영된 바코드 이미지를 분석하여 바코드를 판독하는 바코드 판독 시스템을 제공하려는 것이다.
위와 같은 과제를 해결하기 위한 이 발명의 한 양태에 따르면, 바코드의 디지털 이미지를 획득하는 디지털 카메라와, 바코드 인쇄면에 밀착하여 촬영할 수 있게 구성된 촬상면 및, 촬상면과 카메라 사이에 일정한 피사체 거리를 유지하게 구성된 광학계를 포함하는 이차원 바코드 스캐너가 제공된다.
양호하게는, 광학계가 촬상면의 제1 측변 근처로부터 스캐너의 상단을 향해 가면서 비스듬하게 경사지게 배치된 제1 반사경 및, 촬상면의 제1 측변과 마주보는 촬상면의 제2 측변 근처에 배치된 제2 반사경을 포함할 수 있다. 카메라의 광축은 카메라에서 제2 반사경으로, 제2 반사경에서 제1 반사경으로 차례로 경유하여 촬상면과 사실상 직교하는 방향으로 촬상면의 중심을 통과하게 배치되는 것이 양호하다.
이 발명의 또다른 양태에 따르면, 이차원 바코드의 디지털 이미지를 획득하는 바코드 스캐너 및, 바코드 스캐너에 의해 획득된 디지털 이미지를 디코딩하여 바코드에 기록된 정보를 판독하는 바코드 판독 모듈을 포함하는 이차원 바코드 판독 시스템이 제공된다. 바코드 판독 모듈은, 바코드 스캐너로부터 수신된 이미지를 보정하는 이미지 보정 모듈과, 보정된 바코드 이미지로부터 정보를 디코딩하는 바코드 디코딩 모듈 및, 디코딩된 정보를 디스플레이에 표시해주는 판독 정보 표시 모듈을 포함할 수 있다.
양호하게는, 이미지 보정 모듈이 렌즈 수차 보정 모듈 및 곡면 보정 모듈을 포함한다.
선택적으로, 바코드 스캐너와 바코드 판독 모듈이 일체형으로 구성될 수 있을 것이다.
이 발명의 또다른 양태에 따르면, 디지털 카메라에 의해 이차원 바코드의 이미지를 포함하는 디지털 이미지를 촬영하는 단계와, 디지털 이미지 전체에 대해 렌즈 수차에 의한 이미지 왜곡을 보정하는 단계와, 보정된 이미지에서 바코드 이미지 부분을 캡처하는 단계와, 캡처된 바코드의 유형을 판정하는 단계와, 판정된 유형의 바코드 디코딩 방식에 따라 바코드에 기록된 정보를 디코딩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이차원 바코드를 판독하는 방법이 제공된다.
양호하게는, 이 방법이 원본 바코드의 곡면 형상으로 인한 바코드 이미지의 왜곡을 보정하는 곡면 보정 단계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이 발명의 또다른 양태에 따르면, 이차원 바코드를 판독하기 위한 컴퓨터 실행 가능 명령어가 기록된 컴퓨터 읽기 가능한 매체가 제공된다. 이 매체에 기록된 컴퓨터 실행 가능 명령어는, 디지털 카메라에 의해 촬영된 이차원 바코드의 이미지를 포함하는 디지털 이미지 전체에 대해 렌즈 수차에 의한 이미지 왜곡을 보정하는 행위와, 보정된 이미지에서 바코드 이미지 부분을 캡처하는 행위와, 캡처된 바코드의 유형을 판정하는 행위와, 판정된 유형의 바코드 디코딩 방식에 따라 바코드에 기록된 정보를 디코딩하는 행위를 실행하도록 구성된다.
위에서 설명한 이 발명에 따라 구성되는 이차원 바코드 판독 시스템은 종래의 이차원 바코드 판독 시스템에 비해 그 구성이 간소하고 제조 비용이 저렴하면서도 고도의 신뢰도와 속도로 다양한 이차원 바코드를 판독할 수 있다.
이 발명에 따른 이차원 바코드 스캐너는 카메라와 2 내지 3매의 반사경만으로 간소하고 콤팩트하게 구성되기 때문에, 손바닥 안에 들어올 정도로 크기가 작고 무게가 가벼워 간편하게 휴대할 수 있으며, 바코드 스캐닝을 할 때에도 한 손으로 잡고 간편하게 조작할 수 있다.
이 발명에 따른 바코드 스캐너는 책상 위에서 이차원 바코드가 인쇄된 각종 문서나 영수증, 고지서, 명함 등으로부터 정보를 판독하기 위해 간편하게 이용할 수 있다.
또한, 바코드 디코딩 모듈을 구현할 수 있는 컴퓨팅 장치 또는 대안적 전자 장치를 고밀도 집적 회로 등에 의해 간소하게 구성하여 바코드 스캐너에 통합함으로써 개인이 지니고 다니면서 이차원 바코드로 인코딩된 전자북을 읽거나 음원을 청취하기 위한 미디어 플레이어로 구성될 수도 있다.
이 발명에 따른 바코드 스캐너 및 판독장치는 저렴한 가격과 콤팩트한 구성에 의해 개인용 장비의 보급을 확대함으로써 물류 등 특정한 업무용에 한정된 이차원 바코드 활용 서비스 분야를 각종 서비스 산업 및 문화 콘텐츠 산업으로 확대할 수 있게 한다.
특히, 이 발명의 바코드 스캐너의 휴대가 간편한 특성으로 인해, 공공시설이나 교통시설 등에서 특정한 위치에 이차원 바코드로 인코딩된 각종 정보를 저렴하고 공간 절감적이며 내구성이 강하고 대중 접근이 용이한 방식으로 구성하여 서비스할 수 있게 될 것이다.
아래에서는 이 발명의 양호한 구성에 관해 예시적으로 도시한 도면을 참조하여 이 발명의 양호한 구현 및 이용에 관해 상세하게 기술한다. 아래의 기술은 단지 예시적인 것일 뿐이고, 이 발명의 기술적 사상 및 범위를 제한하려는 것이 아니다.
바코드 스캐너
도 1은 이 발명의 제1 양태에 따른 바코드 스캐너(100)의 제1 모델의 개략적 외관 사시도를 도시하며, 도 2는 제2 모델의 개략적 외관 사시도를 도시한다.
제1 모델은 파지의 편의성을 고려하여 스캐너(100)의 상단(101)을 향해 가면서 좁아지는 대략적인 사다리꼴 육면체를 이루며, 제2 모델은 보편적인 직육면체의 형상을 이룬다. 스캐너(100)의 촬상면(102)은 하면에 형성되며, 제1 모델과 제2 모델의 스캐너(100)에서 하면에 형성되는 촬상면(102)의 크기가 동일하다면, 두 스캐너(100)의 높이(H)도 대략 동일하게 형성될 수 있을 것이다.
도시된 외관은 예시적인 것일 뿐이고, 이 발명에 따른 스캐너(100)의 외관을 제한하려는 것이 아니다. 이 발명에 따른 스캐너(100)의 외관은 한 손으로 잡고 조작하기에 적당한 다양한 형상으로 형성될 수 있을 것이다. 예를 들어, 제1 모델 및 제2 모델의 스캐너(100) 모두 인체 공학적 고려를 통해 적절한 위치에 오목부 또는 돌기 형상의 파지용 손잡이가 형성될 수 있을 것이다. 또한, 스캐너(100)의 외면에는, 도시의 단순 명료화를 위해 생략하였지만, 적절한 위치에 각종 조작 버튼, 표시 램프, 입출력 단자, 액정 디스플레이 패널 등이 필요에 따라 배치될 수 있을 것이다.
도 3은 이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바코드 스캐너(100)의 내부 구성을 예시하기 위한 횡단면도를 도시한다. 제1 실시예에 따른 바코드 스캐너(100)는 하면에 촬상면(102)이 형성되고 촬상면(102)의 제1 측변(103)의 중앙에 인접하여 카메라(121)가 설치되며, 제1 측변(103) 근처로부터 스캐너(100)의 상단(101)을 향해 가면서 비스듬하게 경사진 제1 반사경(111)이 설치되고, 제1 측변(103)과 마주보는 제2 측변(104) 근처에는 제2 반사경(112)이 설치된다. 카메라(121)와 반사경 및 촬상면(102)의 배치관계를 더 자세하게 설명하자면, 카메라(121)의 광축(122)은 카 메라(121)에서 제2 반사경(112)으로, 제2 반사경(112)에서 제1 반사경(111)으로 차례로 경유하여 촬상면(102)과 직교하는 방향으로 촬상면(102)의 중심을 통과하게 배치된다. 카메라(121)의 유효화각을 고려하여, 제1 반사경(111)은 촬상면(102)의 전면의 상이 입사될 수 있는 크기 및 각도를 가져야 하며, 제2 반사경(112)은 제1 반사경(111)에서 반사되는 촬상면(102)의 전면의 상이 입사될 수 있는 크기 및 각도를 가져야 하고, 카메라(121)는 제2 반사경(112)에서 반사되는 촬상면(102)의 전면의 상이 카메라(121)의 촬상소자의 최대영역에 입사되게 하는 각도 및 거리로 배치되어야 한다.
예를 들어, 카메라(121)는 CCD(charge-coupled device) 카메라일 수 있으며, 카메라(121)의 CCD영역은 아날로그 카메라의 필름에 해당하는 부분으로서 상이 맺히는 영역이다. 카메라(121)의 CCD영역은 그 사용 목적에 따라 다양한 형상으로 구성될 수 있지만, 일반적으로 직사각형 또는 정사각형으로 형성되며, 그 면적에 배치된 CCD의 밀집도에 따라 촬영 이미지의 해상도가 결정된다. 즉, 촬상면(102)의 상이 카메라(121)의 CCD 영역의 최대면적에 맺히게 카메라(121)를 배치함으로써 가장 양호한 해상도의 이미지를 얻을 수 있다.
촬상면(102)은 정사각형 또는 적절한 종횡비의 직사각형으로 형성될 수 있을 것이다. 카메라(121)의 렌즈 수차를 고려하여 양호한 이미지를 얻기 위해서는 종횡비가 2:1 이하인 것, 즉 도 3의 지면을 관통하는 방향으로의 촬상면(102)의 길이가 도 3에 도시된 촬상면(102)의 폭(W)의 2배 이하인 것이 적절하다. 예시된 실시예에서는, 국제표준 2차원 바코드의 형상들을 고려하여, 종횡비를 3:4, 즉 촬상 면(102)의 길이(도 6에 도시된 L)가 폭(W)의 1⅓로 되도록 형성한다.
도 4는 이 발명의 제2 실시예에 따른 바코드 스캐너(200)의 내부 구성을 예시하기 위한 횡단면도를 도시한다. 제2 실시예에 따른 바코드 스캐너(200)는 하면에 촬상면(202)이 형성되고, 촬상면(202)의 제1 측변(203) 근처로부터 스캐너(200)의 상단(201)을 향해 가면서 비스듬하게 경사진 제1 반사경(211)이 설치되며, 제1 측변(203)과 마주보는 제2 측변(204) 근처에는 제2 반사경(212)이 설치된다. 앞서 설명한 제1 실시예와 달리, 카메라(221)는 촬상면(202)의 제2 측변(204)의 중앙에 대응하는 위치에서 스캐너(200)의 상단(201) 근처에 설치된다.
제1 실시예와 마찬가지로, 카메라(221)의 광축(222)은 카메라(221)에서 제2 반사경(212)으로, 제2 반사경(212)에서 제1 반사경(211)으로 차례로 경유하여 촬상면(202)과 직교하는 방향으로 촬상면(202)의 중심을 통과하게 배치된다. 카메라(221)의 유효화각을 고려하여, 제1 반사경(211)은 촬상면(202)의 전면의 상이 입사될 수 있는 크기 및 각도를 가져야 하며, 제2 반사경(212)은 제1 반사경(211)에서 반사되는 촬상면(202)의 전면의 상이 입사될 수 있는 크기 및 각도를 가져야 하고, 카메라(221)는 제2 반사경(212)에서 반사되는 촬상면(202)의 전면의 상이 카메라(221)의 촬상소자의 최대영역에 입사되게 하는 각도 및 거리로 배치되어야 한다.
도 5는 이 발명의 제3 실시예에 따른 바코드 스캐너(300)의 내부 구성을 예시하기 위한 횡단면도를 도시하고, 도 6은 종단면도를 도시한다. 제3 실시예에 따른 바코드 스캐너(300)는 하면에 촬상면(302)이 형성되고, 촬상면(302)의 제1 측변(303) 근처로부터 스캐너(300)의 상단을 향해 가면서 비스듬하게 경사진 제1 반사경(311)이 설치되며, 제1 측변(303)과 마주보는 제2 측변(304) 근처에는 제2 반사경(312)이 설치된다. 앞서 설명한 제2 실시예와 달리, 제3 실시예에 따른 스캐너(300)는 제3 반사경(313)을 더 포함한다. 제3 반사경(313)은, 제1 및 제2 반사경(311, 312)과 직교하는 방향으로 배치된다. 다시 말해서, 제1 반사경(311) 및 상기 제2 반사경(312)은 종축선(길이방향 중심선)이 촬상면(302)과 평행하고 횡축선(폭방향 중심선)이 촬상면(302)에 대해 경사지게 배치되어 있음에 반해, 제3 반사경(313)은 횡축선(폭방향 중심선)이 촬상면(302)과 평행하고 종축선(길이방향 중심선)이 촬상면(302)에 대해 경사지게 배치되어 있다. 즉, 도 5에서, 제1 및 제2 반사경(312)은 그들의 단면이 도시되어 있음에 반해, 제3 반사경(313)은 그 배면이 도시되어 있다. 제3 반사경(313)의 경면 앞에 카메라(321)가 장착된다.
카메라(321)의 광축(322)은 카메라(321)에서 제3 반사경(313)으로, 제3 반사경(313)에서 제2 반사경(312)으로, 제2 반사경(312)에서 제1 반사경(311)으로 차례로 경유하여 촬상면(302)과 직교하는 방향으로 촬상면(302)의 중심을 통과하게 배치된다. 카메라(321)의 유효화각을 고려하여, 제1 반사경(311)은 촬상면(302)의 전면의 상이 입사될 수 있는 크기 및 각도를 가져야 하며, 제2 반사경(312)은 제1 반사경(311)에서 반사되는 촬상면(302)의 전면의 상이 입사될 수 있는 크기 및 각도를 가져야 하고, 제3 반사경(313)은 제2 반사경(312)에서 반사되는 촬상면(302)의 전면의 상이 입사될 수 있는 크기 및 각도를 가져야 하며, 카메라(321)는 제3 반사경(313)에서 반사되는 촬상면(302)의 전면의 상이 카메라(321)의 촬상소자의 최대영역에 입사되게 하는 각도 및 거리로 배치되어야 한다.
앞서 설명한 제1 내지 제3 실시예에 따른 스캐너(100, 200 또는 300)는 한 손으로 파지하고 촬상면(102, 202 또는 302)을 아래로 한 상태에서 바코드 위에 촬상면(102, 202 또는 302)을 대고 촬영함으로써 바코드 이미지를 획득한다. 하나의 바코드가 촬상면(102, 202 또는 302)보다 작다면, 바코드가 촬상면(102, 202 또는 302) 내에서 어느 위치에 배치되든 무관하게, 바코드 전체가 촬상면(102, 202 또는 302) 내에 포함되기만 한다면, 해독 가능한 바코드 이미지를 획득할 수 있다.
일차원 바코드는 일방향으로의 흑백 선폭에 의해 정보를 인코딩하고, 2차원 바코드는 직교하는 양방향으로의 흑백 선폭, 즉 흑백 도트의 크기에 의해 정보를 인코딩한다. 그러므로, 바코드 정보를 디코딩하기 위해서는 바코드 전체에 걸쳐 모든 도트에 대해 동일한 배율로 이미지를 획득하는 것이 중요하다. 바코드 일부의 도트가 왜곡되어 다른 부분의 도트보다 커지거나 작아지면, 디코딩 에러를 유발할 수 있다. 카메라에 의해 촬영된 영상은 광축을 중심으로 화각이 넓어짐에 따라 변하는 렌즈수차(lens aberration)에 의한 이미지 왜곡이 발생된다. 종래의 바코드 판독기는 바코드 이미지를 촬상하기 전에 마커 빔을 발사하여 바코드가 판독 가능 범위 내에 들어올 때 이미지 획득 성공을 알리는 비프(beep) 음을 내면서 촬영하게 된다. 그러나, 이 발명에 따른 스캐너(100, 200 또는 300)에서는 카메라(121, 221 또는 321), 정확하게는 카메라의 조리개가 촬상면(102, 202 또는 302)에 대해 고정되어 있고, 바코드는 촬상면(102, 202 또는 302)에 실질적으로 접촉된 상태에서 촬영된다. 촬상면(102, 202 또는 302)의 각 부분에 대한 렌즈 수차에 의한 왜곡은 렌즈 특성 및 고정된 조리개 개방 정도에 따라 미리 알 수 있는 상 수(constant)이므로 용이하게 보정될 수 있다. 다시 말해서, 특정한 렌즈를 구비한 CCD 카메라의 조리개가 고정되어 있다면 촬상영역의 각 부분, 즉 각각의 개별적인 CCD로 들어오는 이미지의 렌즈 수차는 항상 동일하다. 또한, 이 발명에 따른 바코드 스캐너(100, 200 또는 300)에서는 CCD 카메라와 촬상면의 거리가 고정되어 있으므로, 조리개가 고정된 상태에서는 촬상면의 특정한 부위의 상은 항상 동일한 CCD에 맺히게 된다. 그러므로, 이 발명에 따른 바코드 스캐너의 특정한 제품에서의 렌즈 수차는 단지 하나의 촬영 이미지를 원본 이미지와 비교함으로써 촬상면의 각각의 부분에 대한 보정 계수를 실험적으로 구할 수 있다. 이러한 대표적인 바코드 스캐너에서 구해진 보정 계수는 동일하게 생산되는 동종 제품에 대해 허용 오차 범위 내에서 양호하게 적용될 수 있다. 제품별로 좀더 정확한 보정을 행하고자 한다면, 상이한 여러 보정 계수의 데이터베이스를 구축해 두고 제품별로 가장 적합한 것을 선택하여 적용할 수도 있을 것이다. 이렇게 실험적으로 정해진 보정 계수를 적용하여 이미지를 보정하는 행위는 아주 적은 컴퓨팅 자원을 이용하여 신속하게 처리할 수 있다. 이미지 보정 절차에 대해서는 아래에서 더 자세하게 설명한다. 그러므로, 이 발명에 따른 바코드 스캐너(100, 200 또는 300)는 촬상면(102, 202 또는 302)을 바코드에 대고 촬영함으로써 판독 가능한 바코드 이미지를 간편하게 획득할 수 있다. 여기에서, 렌즈 수차라고 함은 비점 수차, 볼록 일그러짐(barrel distortion), 색 수차, 비대칭 수차(coma), 시야 곡률 수차(curvature of field), 오목 일그러짐(pincushion distortion), 구면 수차(spherical aberration) 등을 포함하는 렌즈별로 고유하게 나타나는 전반적인 이미지 왜곡을 지칭하는 것으로 이해 하여야 한다.
촬영되는 바코드 이미지의 밝기를 개선하기 위해, 앞서 설명한 제1 내지 제3 실시예에 따른 바코드 스캐너(100, 200 또는 300)의 내부에는 LED(light emitting diode) 등과 같은 조명용 광원이 배치될 수 있을 것이다. 조명용 광원은 반사경이 배치되지 않은 내벽에 인접하게 배치될 수 있으며, 조명으로부터의 빛이 카메라(121, 221 또는 321), 촬상면(102, 202 또는 302) 및 반사경(111, 122; 211, 212; 311, 312, 313)의 어디에도 직접 조사되지 않도록 차광하고 간접 조명에 의해서만 촬상면(102, 202 또는 302)이 조명되게 하는 것이 양호하다. 또한, 차광수단(도시 안됨)은 반사경과 카메라에 조사되는 간접 조명의 광량을 최소화하고 촬상면에 조사되는 광량을 최대화하도록 설치되는 것이 양호하다.
바코드 판독 시스템
아래에서는, 앞서 설명한 바코드 스캐너(100)를 이용하여 구성되는 바코드 판독 시스템(400)에 대해 설명한다.
필수적인 것은 아닐지라도, 바코드 판독 시스템(400)의 적어도 일부는 PC(personal computer) 등과 같은 컴퓨팅 장치에 의해 실행되는 컴퓨터 실행 가능 명령어의 일반적 콘텍스트로 기술될 수 있다. 프로그램 모듈들은 일반적으로 특정한 작업들을 수행하거나 또는 특정한 추상 데이터 유형들을 구현하는 루틴, 프로그램, 개체, 구성요소, 데이터 구조 등을 포함한다. 또한, 이러한 판독 시스템의 적어도 일부는 하드웨어로 구현될 수도 있을 것이다.
도 7은 한 실시예에 따른 바코드 판독 시스템(400)을 도시한다. 시스템(400) 은 컴퓨팅 장치(410), 예를 들어 범용 컴퓨팅 장치, 서버, 랩톱, 이동 컴퓨팅 장치 등을 포함한다. 컴퓨팅 장치(410)는 실감형 컴퓨터 읽기 가능 저장 매체(시스템 메모리(422))에 연결된 하나 이상의 프로세서(421)들을 포함한다. 프로세서(421)는 마이크로프로세서, 마이크로컴퓨터, 마이크로콘트롤러, 디지털 신호 프로세서 등일 수 있을 것이다. 시스템 메모리(422)는 예를 들어, 휘발성 임의 액세스 메모리(예를 들어, RAM) 및 비휘발성 읽기 전용 메모리(예를 들어, ROM, 플래시 메모리, 등)를 포함한다. 시스템 메모리(422)는 프로세서(421)에 의해 실행 가능한 컴퓨터 프로그램 명령어, 및 컴퓨터 프로그램 명령어의 각각에 의해 발생 및/또는 이용되는 프로그램 데이터를 포함한다. 그러한 컴퓨터 프로그램 명령어 및 프로그램 데이터는 프로그램 모듈(431) 및 프로그램 데이터(432)로서 각각 도시되어 있다. 프로그램 모듈(431)은 예를 들어, 바코드 판독 모듈(barcode reading module)(441) 및 런타임 환경을 제공하기 위한 OS(Operating System) 및 장치 드라이버 등과 같은 기타 애플리케이션들을 제공하기 위한 기타 프로그램 모듈(442) 등을 포함한다.
바코드 판독 모듈(441)은 바코드 스캐너(100)로부터 수신된 이미지를 보정하는 이미지 보정 모듈(451), 보정된 바코드 이미지로부터 정보를 디코딩하는 바코드 디코딩 모듈(452), 수신된 바코드 이미지 및 디코딩된 정보를 디스플레이에 표시해주는 판독 정보 표시 모듈(453)을 포함할 수 있을 것이다.
이미지 보정 모듈(451)은 렌즈 수차 보정 모듈(461), 곡면 보정 모듈(462), 및 표준 바코드 검증 모듈(463)을 포함할 수 있을 것이다. 바코드 스캐너(100)에 의해 촬영된 바코드 이미지는 도 8a 내지 도 8h에 보이듯이 다양한 위치, 크기, 및 각도로 획득된다. 앞서 설명했듯이, 렌즈 수차 보정 모듈(461)은 촬상면(102)을 통해 촬영된 이미지 전체를 부위별로 정해진 일정한 보정계수에 의해 보정한 후, 보정된 이미지 상에서의 바코드 위치를 선택하여 도 9a 내지 도 9d에 보이듯이 바코드의 각도를 정위치로 회전시키고, 바코드 부분만을 캡처해낸다. 여기에서, 정위치라고 함은 바코드의 이미지가 반듯하게 선 직사각형 또는 정사각형의 위치로 배치되는 것을 의미한다. 해당 바코드의 규격을 알 수 있다면, 그 규격에 따라 상하 위치를 바르게 하여 배치할 수도 있을 것이다. 표준 바코드 검증 모듈(463)은 캡처된 바코드 이미지를 프로그램 데이터(432)의 표준 바코드 검증 데이터(471)에 의해 비교 및 분석함으로써 캡처된 바코드의 유형이 어떤 표준 바코드에 속하는지를 결정한다. 프로그램 데이터(432)는 바코드 판독 정보의 후처리 또는 부가적 이용을 위해 이용되는 기타 프로그램 데이터(472)를 포함할 수도 있을 것이다.
바코드 디코딩 모듈(452)는 결정된 표준 바코드의 디코딩 데이터를 이용하여 해당 바코드 디코딩 엔진에 의해 캡처된 바코드를 디코딩하며, 판독 정보 표시 모듈(453)은 디코딩된 바코드 정보를 디스플레이 장치(481)에 의해 표시해준다. 이 때, 수신된 바코드 이미지도 디코딩된 바코드 정보와 함께 표시될 수 있을 것이며, 바코드 주변에 있는 문자 및 숫자도 촬영된 이미지 형태로 표시되거나, 또는 별도의 문자 인식 모듈(도시 안됨)에 의해 변환된 텍스트 정보의 형태로 표시될 수 있을 것이다.
표준 바코드 검증 모듈(463)에서의 검증에 실패하는 경우, 예를 들어 대응하는 표준 바코드 유형을 발견할 수 없는 경우에는, 촬영된 바코드의 표면이 굴곡이 있거나 또는 다른 형태의 왜곡 또는 손상이 있는 것으로 추정하고, 이미지 보정 모듈(451)의 곡면 보정 모듈(462)에 의한 보정 알고리즘을 수행한다. 곡면 보정 알고리즘에 대해서는 아래에서 더 자세하게 기술한다.
판독 시스템(400)은 디스플레이 장치(481), 예를 들어 컴퓨팅 장치(410)에 합체되어 있거나 또는 분리되어 있는 모니터 및/또는 프린터를 포함할 수 있을 것이다. 또한, 판독 시스템(400)은 키보드, 마우스 등과 같은 포인팅 장치, 트랙볼, 터치패드, 기타 사용자가 컴퓨팅 장치(410)를 제어 또는 운용하기 위한 입력을 제공하기 위해 이용할 수 있는 입력 장치(482)를 포함할 수 있을 것이다.
바코드 스캐너(100)는 컴퓨팅 장치(410)에 대해 USB(Universal Serial Bus) 등과 같은 유선 접속부, 또는 블루투스(Bluetooth), 지그비(Zigbee), UWB(Ultra-wideband) 등과 같은 무선 접속부, 또는 와이브로(wibro), 인터넷, 인트라넷 등과 같은 유무선 통신 네트워크 중 어느 것에 의해서든 접속될 수 있을 것이다.
또한, 도 7에 도시되고 예시적으로 기술된 실시예에서는 바코드 판독 모듈(441)이 컴퓨팅 장치(410)에 포함된 것으로 도시되어 있지만, 바코드 판독 모듈(441)의 기능 중 적어도 일부는 바코드 스캐너(100)에서 구현되도록 구성할 수도 있을 것이다. 예를 들어, 바코드 판독 모듈(441)의 이미지 보정 모듈(451)을 바코드 스캐너(100)에서 구현하여 렌즈 수차가 보정되고 정위치로 캡처된 바코드 이미지만을 컴퓨팅 장치로 전송하도록 구현될 수도 있을 것이다.
또한, 도 7에 도시된 컴퓨팅 장치(410)의 구성요소 중에서 바코드 판독을 위해 요구되는 구성요소의 전부를 바코드 스캐너(100)에서 일체형으로 구현함으로써 독립적 바코드 판독 장치로 구성할 수도 있을 것이다.
또한, 도 7에 도시된 시스템(400)에서는 바코드 판독 정보의 출력 수단이 디스플레이만 예시되어 있지만, 예를 들어 바코드에 기록된 정보가 음원인 경우에는 당연하게 스피커를 이용하여 출력할 수 있을 것이다. 이와 같이, 바코드에 기록된 정보의 유형 또는 그러한 정보를 이용하고자 하는 목적 및 방법에 따라 다양한 출력 수단으로 바코드 판독 정보를 출력할 수 있을 것이다.
예시적 절차
도 10은 바코드 판독을 위해 이용되는 예시적 로직 알고리즘을 도시하는 플로우 차트이다. 바코드 스캐너(100)와 컴퓨팅 장치(410)의 접속이 이루어진 상태에서 바코드 스캐너(100)로부터 이미지가 전송되면 알고리즘이 시작된다(단계 1001). 스캐너(100)에서의 이미지 전송은 바코드 이미지를 촬영함으로써 자동으로 이루어지거나, 별도의 전송 버튼을 눌러서 전송할 수 있을 것이다. 별도의 전송 버튼을 이용하여 전송하는 경우에는, 스캐너(100)에 내장되거나 또는 연결된 메모리에 저장된 다수의 바코드 이미지를 한꺼번에 전송할 수도 있을 것이다.
알고리즘이 시작되면, 촬상면(102)을 통해 촬영된 이미지 전체를 부위별로 정해진 일정한 보정계수에 의해 보정한다(단계 1002). 보정이 완료되면, 이미지 상에서의 바코드 위치를 선택하여 바코드의 각도를 정위치로 회전시킨 후, 바코드 부분만을 캡처해낸다(단계 1003). 캡처된 바코드 이미지를 표준 바코드 검증 데이터에 의해 비교 및 분석하고(단계 1004), 대응하는 표준 바코드 유형이 존재하는지 판정하고(단계 1005), 대응하는 표준 바코드 유형이 존재하면, 해당 유형을 캡처된 바코드의 유형으로 결정한다(단계 1007). 캡처된 바코드를 결정된 표준 바코드 디코딩 엔진에 의해 디코딩한 후(단계 1008), 디코딩된 바코드 정보를 디스플레이에 의해 표시해준다(단계 1009).
단계 1005에서 대응하는 표준 바코드 유형이 존재하지 않으면, 도 11에 도시된 바와 같은 바코드 곡면 보정을 위한 로직 알고리즘이 시작된다(단계 1101). 곡면 보정 알고리즘은 검증 데이터가 존재하는 N개의 표준 바코드에 대해 순차적으로 진행된다. 단계 1102에서는 순차적으로 선택된 표준 바코드의 규격에 따라 바코드 이미지 상의 기준점들을 재배열한다. 재배열에 의한 기준점들 사이의 간격의 신축 정도에 따라 해당 기준점들 사이의 화소들을 재배열한다(단계 1103). 기준점과 화소들이 재배열된 바코드 이미지를 도 10의 단계 1004에서의 처리를 위해 제공한다. 도 10의 단계 1005에서 곡면 보정 로직 알고리즘으로부터 제공된 보정 이미지에 대응하는 표준 바코드 유형이 존재하는 것으로 판정되면, 도 10의 알고리즘은 도 11의 알고리즘에 대해 종료 메시지를 보냄으로써 단계 1104에서 판정할 수 있게 한다. 도 10의 단계 1005에서 이미지에 대응하는 표준 바코드 유형이 존재하지 않는 것으로 판정되면, 판정된 이미지가 곡면 보정 로직 알고리즘으로부터 제공된 보정 이미지인지 더 판정하고(단계 1006), 보정 이미지이면, 도 10의 알고리즘은 도 11의 단계 1104로 보정 재개 메시지를 보내며, 보정 이미지가 아니면, 단계 1101로 보정 개시 메시지를 보낸다. 보정 재개 메시지를 받으면, 차순위 표준 바코드의 규격에 의한 보정 알고리즘이 시작된다(단계 1101). 도 11의 단계 1105에서는, 모든 표준 바코드에 대해 보정을 이미 완료하였으면, 즉 더 이상 보정을 재개할 차순 위 표준 바코드가 없으면, 보정 불가라고 판정하고, 도 10의 단계 1010으로 메시지를 보내고, 종료한다. 보정 불가 메시지를 받은 도 10의 알고리즘은 바코드 판독 불가 메시지를 출력하고(단계 1011), 종료한다.
표준 바코드의 보정 순위는 빈번하게 사용되는 순서대로 미리 정해진 것이거나, 또는 촬영된 바코드 이미지의 기준점 배치를 고려하여 근사한 순서대로 정해질 수 있을 것이다.
위에서는 도 10의 단계 1005에서의 표준 바코드 유형 선택의 결과에 따라 곡면 보정 로직 알고리즘이 시작되는 것만을 기술하였지만, 단계 1008의 디코딩 단계에서 바코드 화소의 손상으로 인해 적절한 신뢰도 이내의 정보를 판독할 수 없는 경우에도 곡면 보정 로직 알고리즘이 시작되게 구성할 수 있을 것이다.
대안적으로, 도 10의 단계 1003의 직후에, 도 11의 곡면 보정 로직 알고리즘이 수행될 수도 있을 것이다. 이 경우에는 캡처된 바코드 이미지의 기준점 배치를 고려하여 가장 근사한 표준 바코드의 규격에 따라 곡면 보정이 수행된다.
또한, 앞서의 설명에서는 선택, 검증, 보정, 판독이 표준 바코드 유형에 기반해서 수행되는 것만을 기술하였지만, 컴퓨팅 장치에 표준 바코드가 아닌 기타의 바코드에 대한 디코딩 엔진이 구비된 경우에는, 사용자의 선택에 따라, 또는 기본적으로 기타의 바코드 유형에 대한 선택, 검증, 보정, 판독이 이루어질 수 있도록 구성될 수도 있을 것이다.
바코드 스캐너와 바코드 판독 시스템 및 그 판독 절차에 관해 도면을 참조하 여 기술하였지만, 이러한 기술은 이 발명의 이해를 돕기 위한 예시적인 것인 뿐이며, 이 발명의 기술적 사상과 범위를 제한하려는 것이 아니다. 이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숙련된 자에게는, 첨부된 특허청구의 범위에서 정해지는 이 발명의 범위로부터 벗어남이 없이, 위에 기술된 이 발명의 예시적 실시예로부터 다양한 변화, 변경 및 조절이 가능할 것이며, 따라서, 첨부된 특허청구의 범위는 그러한 변화, 변경 및 조절을 포함할 것을 의도한다.
도 1은 이 발명에 따른 바코드 스캐너의 제1 모델의 외관을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 2는 이 발명에 따른 바코드 스캐너의 제2 모델의 외관을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 3은 이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바코드 스캐너의 내부 구성을 도시하는 횡단면도이다.
도 4는 이 발명의 제2 실시예에 따른 바코드 스캐너의 내부 구성을 도시하는 횡단면도이다.
도 5는 이 발명의 제3 실시예에 따른 바코드 스캐너의 내부 구성을 도시하는 횡단면도이다.
도 6은 도 5에 도시된 바코드 스캐너의 내부 구성을 도시하는 종단면도이다.
도 7은 이 발명에 따른 바코드 판독 시스템의 구성을 도시하는 블록 선도이다.
도 8a 내지 도 8h는 이 발명에 따른 바코드 스캐너에 의해 촬영하는 바코드를 포함하는 디지털 이미지를 예시하는 도면이다.
도 9a 내지 도 9d는 도 8a 내지 도 8h에 도시된 이미지로부터 바코드 이미지만을 캡처하는 것을 예시하는 도면이다.
도 10은 이 발명에 따라 이차원 바코드를 판독하는 로직을 예시하기 위한 플로우 차트이다.
도 11은 도 10에 도시된 로직에 포함될 수 있는 바코드 이미지의 곡면 보정을 행하는 로직을 예시하기 위한 플로우 차트이다.

Claims (9)

  1. 이차원 바코드 스캐너에 있어서,
    바코드의 디지털 이미지를 획득하는 디지털 카메라와,
    바코드 인쇄면에 밀착하여 촬영할 수 있게 구성된 촬상면 및,
    상기 촬상면과 상기 카메라 사이에 일정한 피사체 거리를 유지하게 구성된 광학계를 포함하는 이차원 바코드 스캐너.
  2.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광학계는 상기 촬상면의 제1 측변 근처로부터 상기 스캐너의 상단을 향해 가면서 비스듬하게 경사지게 배치된 제1 반사경 및, 상기 촬상면의 제1 측변과 마주보는 상기 촬상면의 제2 측변 근처에 배치된 제2 반사경을 포함하고,
    상기 카메라의 광축은 상기 카메라에서 제2 반사경으로, 제2 반사경에서 제1 반사경으로 차례로 경유하여 상기 촬상면과 사실상 직교하는 방향으로 상기 촬상면의 중심을 통과하게 배치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바코드 스캐너.
  3. 이차원 바코드 판독 시스템에 있어서,
    이차원 바코드의 디지털 이미지를 획득하는 바코드 스캐너 및,
    상기 바코드 스캐너에 의해 획득된 디지털 이미지를 디코딩하여 바코드에 기록된 정보를 판독하는 바코드 판독 모듈을 포함하고,
    상기 바코드 판독 모듈은,
    상기 바코드 스캐너로부터 수신된 이미지를 보정하는 이미지 보정 모듈과,
    보정된 바코드 이미지로부터 정보를 디코딩하는 바코드 디코딩 모듈 및,
    디코딩된 정보를 디스플레이에 표시해주는 판독 정보 표시 모듈을 포함하는 바코드 판독 시스템.
  4. 청구항 3에 있어서,
    상기 이미지 보정 모듈은 렌즈 수차 보정 모듈 및 곡면 보정 모듈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바코드 판독 시스템.
  5. 청구항 3 또는 청구항 4에 있어서,
    상기 바코드 스캐너는,
    바코드의 디지털 이미지를 획득하는 디지털 카메라와,
    바코드 인쇄면에 밀착하여 촬영할 수 있게 구성된 촬상면 및,
    상기 촬상면과 상기 카메라 사이에 일정한 피사체 거리를 유지하게 구성된 광학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바코드 판독 시스템.
  6. 청구항 5에 있어서,
    상기 바코드 스캐너와 상기 바코드 판독 모듈이 일체형으로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바코드 판독 시스템.
  7. 이차원 바코드를 판독하는 방법에 있어서,
    디지털 카메라에 의해 이차원 바코드의 이미지를 포함하는 디지털 이미지를 촬영하는 단계와,
    상기 디지털 이미지 전체에 대해 렌즈 수차에 의한 이미지 왜곡을 보정하는 단계와,
    보정된 이미지에서 바코드 이미지 부분을 캡처하는 단계와,
    캡처된 바코드의 유형을 판정하는 단계와,
    판정된 유형의 바코드 디코딩 방식에 따라 바코드에 기록된 정보를 디코딩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바코드 판독 방법.
  8. 제 7항에 있어서,
    원본 바코드의 곡면 형상으로 인한 바코드 이미지의 왜곡을 보정하는 곡면 보정 단계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바코드 판독 방법.
  9. 이차원 바코드를 판독하기 위한 컴퓨터 실행 가능 명령어가 기록된 컴퓨터 읽기 가능한 매체에 있어서,
    상기 컴퓨터 실행 가능 명령어가,
    디지털 카메라에 의해 촬영된 이차원 바코드의 이미지를 포함하는 디지털 이미지 전체에 대해 렌즈 수차에 의한 이미지 왜곡을 보정하는 행위와,
    보정된 이미지에서 바코드 이미지 부분을 캡처하는 행위와,
    캡처된 바코드의 유형을 판정하는 행위와,
    판정된 유형의 바코드 디코딩 방식에 따라 바코드에 기록된 정보를 디코딩하는 행위를 실행하도록 구성된 컴퓨터 읽기 가능한 매체.
KR1020080040146A 2008-04-30 2008-04-30 바코드 스캐너와 바코드 판독 시스템 및 방법 KR20090114487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80040146A KR20090114487A (ko) 2008-04-30 2008-04-30 바코드 스캐너와 바코드 판독 시스템 및 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80040146A KR20090114487A (ko) 2008-04-30 2008-04-30 바코드 스캐너와 바코드 판독 시스템 및 방법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90114487A true KR20090114487A (ko) 2009-11-04

Family

ID=4155573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80040146A KR20090114487A (ko) 2008-04-30 2008-04-30 바코드 스캐너와 바코드 판독 시스템 및 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90114487A (ko)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13188289A2 (en) * 2012-06-11 2013-12-19 Datalogic ADC, Inc. Dynamic imager switching
KR101464852B1 (ko) * 2012-01-05 2014-11-25 아오이 세이키 가부시키가이샤 검체 정보 검출 장치 및 검체 정보 검출 방법
CN112749591A (zh) * 2019-10-31 2021-05-04 珠海市一微半导体有限公司 仓储物流机器人及其物品识别方法和芯片

Cited By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464852B1 (ko) * 2012-01-05 2014-11-25 아오이 세이키 가부시키가이샤 검체 정보 검출 장치 및 검체 정보 검출 방법
US9135487B2 (en) 2012-01-05 2015-09-15 Aoi Seiki Co., Ltd. Sample information detection apparatus and sample information detection method
WO2013188289A2 (en) * 2012-06-11 2013-12-19 Datalogic ADC, Inc. Dynamic imager switching
WO2013188289A3 (en) * 2012-06-11 2014-03-13 Datalogic ADC, Inc. Dynamic imager switching
CN112749591A (zh) * 2019-10-31 2021-05-04 珠海市一微半导体有限公司 仓储物流机器人及其物品识别方法和芯片
CN112749591B (zh) * 2019-10-31 2024-04-05 珠海一微半导体股份有限公司 仓储物流机器人及其物品识别方法和芯片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10331929B2 (en) Imaging terminal, imaging sensor to determine document orientation based on bar code orientation and methods for operating the same
US9477867B2 (en) System and method to manipulate an image
US8295640B2 (en) Noise reduction by image subtraction in an automatic data collection device, such as an image acquisition device
US9626544B2 (en) Removable module for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US8973826B2 (en) Imaging device having light field image sensor
US8881986B1 (en) Decoding machine-readable code
US20090218405A1 (en) Imaging System for Reading Mobile Device Indicia
US20150144692A1 (en) System and method for indicia reading and verification
US20140001267A1 (en) Indicia reading terminal with non-uniform magnification
US9100576B2 (en) Camera positioning tool for symbology reading
EP2507741B1 (en) Imaging-based scanner including border searching for image acquisition
US8083149B2 (en) Annotation of optical images on a mobile device
US8162224B2 (en) Method of setting amount of exposure for photodetector array in barcode scanner
US20080239509A1 (en) Compact imaging lens assembly for an imaging-based bar code reader
US8947745B2 (en) Apparatus and method for scanning and decoding information in an identified location in a document
US20190122087A1 (en) Indicia reading device and methods for decoding decodable indicia employing stereoscopic imaging
US20210240954A1 (en) Methods, systems, and apparatuses for scanning and decoding direct part marking indicia
US8590793B2 (en) Imaging-based barcode readers having curved window
KR20090114487A (ko) 바코드 스캐너와 바코드 판독 시스템 및 방법
US20130094695A1 (en) Method and apparatus for auto-detecting orientation of free-form document using barcode
EP2633473B1 (en) Method and apparatus for capturing form document with imaging scanner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WITN Withdrawal due to no request for examination